KR20090050123A - 동백나무잎 또는 꽃송이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동백나무잎 또는 꽃송이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0123A
KR20090050123A KR1020070116376A KR20070116376A KR20090050123A KR 20090050123 A KR20090050123 A KR 20090050123A KR 1020070116376 A KR1020070116376 A KR 1020070116376A KR 20070116376 A KR20070116376 A KR 20070116376A KR 20090050123 A KR20090050123 A KR 20090050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llia
leaf
leaves
powd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4348B1 (ko
Inventor
전현철
전원찬
전병균
Original Assignee
전현철
전병균
전원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현철, 전병균, 전원찬 filed Critical 전현철
Priority to KR1020070116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348B1/ko
Publication of KR20090050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2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from fruit, e.g. essential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8Taste or flavour enhanc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에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간식(間食 Snack)을 개발하는 것으로 버려지는 동백꽃송이에 새로운 생명을 제공하고 동백잎에는 영양적 가치에 의한 생산적 가치를 부여하고 대중적 향미를 개발하여 어메니티(Amenity)한 조성물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성장기의 어린이와 노년기의 노인을 위한 음식과 집단급식소의 간편 영양식과 요식업소의 고급음식 및 병상 음식과 요정의 고급 술안주와 일식집의 일상 메뉴로 새콤달콤하며 고소하고 깔 금한 매운맛으로 새로운 사용처를 제공하여 재배농가 및 관리하는 단체에 새로운 소득을 창조하여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은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 함 초, 찹쌀가루, 튀김 가루, 콜라겐, 스테비아가루, 구연산, 과즙, 비타민C, 생강가루, 콩가루, 녹차 가루, 고추 가루, 다시마 가루, 깨 혼합물(통깨+검은깨), 실고추를 포함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이다.
또한,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은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는 기술, 선정한 원료를 목적에 부합하는 규격으로 선별하는 기술, 조성물의 구성에 의한 도포 및 살포비율을 정하는 기술, 동백나무잎 동백꽃송이를 세척하는 기술, 동백나무잎 동백꽃송이를 데치는 기술적 과제로, 동백나무잎 동백꽃송이를 펼치고 숙성하는 기술, 찹쌀 풀 혼합물을 조성하는 기술, 찹쌀 풀을 조성하는 기술, 풀을 바르는 기술, 건조하는 기술, 선별포장하는 기술, 튀기는 기술, 탈지냉각 하는 기술, 선별포장하는 기술을 특징으로 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이다.
동백 꽃 잎(Camellia a flower & leaf), 어메니티(Amenity 감탄과 감동과 매력에 의한 쾌적한) 클러스터(Clusters 꽃송이, 산업적으로 서로 공존하면서 같은 목적으로 같이 행동하는 공존), 낙화(斷頭花, 꽃송이로 떨어짐) 유탕(油湯 튀김), 도포(塗布 바르는 것), 살포(撒布 뿌리는 것),

Description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sweet flavorous the Fried a Camellia flower &leaf}
본 발명은 동백나무의 생육특성에 합당한 제품을 개발하는 기술분야로 아름다운 동백 꽃은 추운 겨울 아침이슬을 받아 꽃송이로 낙화하는 특성은 꽃을 채취하는 시간과 비용이 절약되고 모든 생물의 동면시기라 떨어진 꽃송이에 위생적 환경이 주어지고 수술과 암술 꽃가루 꽃잎을 전부 가진 꽃송이라 영양적 특성이 있고, 동백 잎은 사철 푸른 잎으로 풍부한 영양적 가지를 가지고 섬유질에 의한 왁스층을 형성하는 질긴 특성이 강한 잎으로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여 간식(間食 Snack)을 개발하는 것으로 버려지는 동백꽃송이에 새로운 생명을 제공하고 동백잎에 부드러움에 의한 생산적 가치와 영양적 가치와 새콤달콤하고 고소하며 깔 금한 매운맛으로 대중적 향미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성장기의 어린이와 노년기의 노인을 위한 음식과 집단급식소의 간편 영양식과 요식업소의 고급음식 및 병상 음식과 요정의 고급 술안주와 일식집의 일상메뉴로 새로운 사용처를 제공하여 재배농가 및 동백나무를 관리하는 단체에 새로운 소득을 창조하여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은 목적에 부합하는 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분야 는 단계별로 하기에 제시하고자 한다.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의 단계별 기술분야는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는 기술분야, 선정한 원료를 목적에 부합하는 규격으로 선별하는 기술분야, 조성물의 구성에 의한 도포 및 살포비율을 정하는 기술분야, 동백 꽃 잎을 세척하는 기술분야, 동백 꽃 잎을 데치는 기술분야, 동백 꽃 잎을 수분을 제거하고 모양을 조성하여 숙성하는 기술분야, 찹쌀 풀 혼합물을 조성하는 기술분야, 찹쌀 풀을 조성하는 기술분야, 풀을 바르는 기술분야, 건조하는 기술분야, 선별포장하는 기술분야, 튀기는 기술분야, 탈지냉각하는 기술분야, 선별포장하는 기술분야를 특징으로 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이다.
원료를 선정하는 지식기술, 선정한 원료를 목적에 부합하는 규격으로 선별하는 지식기술, 조성물의 도포비율을 정하는 실험기술, 침 지 세척하는 기술, 삶고 데치는 기술, 수분을 제거 모양을 형성하여 숙성하는 기술, 배합하는 기술, 풀을 조성하는 기술, 균일하게 풀을 바르는 도포 및 살포하는 기술, 건조하는 기술, 선별 포장하는 기술, 튀기는 기술, 탈지냉각하는 기술, 선별포장하는 기술을 배경기술로 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기술이다.
본 발명의 해결(解決)하고자 하는 과제(課題)를 제시하기 전에 본 발명의 조성물인 부각에 대하여 역사적(歷史的) 개념(槪念)을 먼저 제시하고 전통적(傳統的) 개념을 존중하는 새로운 기술로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부각(佐飯 Fried)의 정의.
부각은 맑은 공기와 깨끗한 물이 있는 청정지역의 향미가 좋은 엽 채(葉菜)를 이용하여 깊은 산속 사찰에서 수도하는 도인이나 신선의 덕도(德道) 생활에 편의에 의한 저장성과 휴대성을 필요로 하여 태동(胎動)한 귀한 음식이 부각으로 부각은 산사에서 시작한 사찰 음식으로 사찰에서 궁중의 소주방(燒廚房)으로 임금의 수라상(水刺床)으로 전파하여 왕족이나 명문대가에서 다시 서민(庶民)으로 대중화된 귀한 음식으로 오늘날에는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간식(間食 Snack)이 되었다.
일반적으로 부각이라 함은 당(糖) 각, 튀각, 자반(佐飯)을 통칭하는 대표명칭으로 사용하지만 구체적으로 구분하면 부각은 원료(해초류, 산나물, 고추, 꽃잎 등)에 간을 한 찹쌀 풀을 발라 유탕(油湯 튀김) 처리하는 것이고, 당(糖) 각은 원료에 찹쌀 풀을 바르고 유탕(油湯 튀김) 전후에 물엿이나 조청 또는 감미료를 다시 도표((塗布 Coating) 처리하는 것이고, 튀각은 원료 자체만을 유탕(油湯 튀김) 처리하여 양념한 것이고, 자반(佐飯)은 고추장 된장 간장 등 갖은 양념으로 밥반찬을 목적으로 하여 유탕(油湯 튀김) 처리하는 것이고, 화(花)각은 꽃(아카시아, 코스모스, 국화, 장미 등)에 찹쌀 풀을 도포하여 유탕(油湯 튀김) 처리하는 것이고, 육(肉)각은 고기(소고기 돼지고기 생선 등)에 찹쌀 풀을 도포하여 부각 또는 자반으로 유탕(油湯 튀김) 처리하는 것으로 분리할 수 있고, 팔도산물의 특색과 특징 그리고 채취하는 시기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본 발명을 통하여 원료와 공정의 차이에 의한 구분으로 상기와 같은 명칭으로 구분하여 확정하고자 한다.
부각에 적당한 유탕(油湯 튀김)의 대표적 온도는 140 내지 190℃로 140 내지 150℃에서는 튀김 물이 튀김 통에 깊숙이 내려갔다가 떠오르고, 160 내지 170℃에서는 튀김 물이 튀김 통의 중간에서 내려갔다가 떠오르고, 180 내지 190℃에서는 튀김 물이 가라 않지 않고 바로 떠있음으로 튀김 통의 온도를 수시로 확인하여 바삭바삭하고 고소한 부각을 생산해야한다.
부각을 바삭 바삭하게 튀기기 위하여서는 튀김 부각의 품 온이 10 내지 20℃ 차게하여 튀기면 더 바삭해지고 찹쌀 풀의 수분조건을 시험하는 방법은 젓가락 끝에 찹쌀 풀이 원으로 매달리는 상태가 수분함량이 적당하고, 튀김 물과 튀김 솥의 적당한 온도는 튀기고자 하는 부각을 1 내지 5㎝ 정도 잘나서 가열한 튀김 솥에 떨어뜨렸을 때 금방 떠오르는 온도가 튀김 물과 튀김 솥의 기름의 온도가 가장 적당한 온도로 튀김 주에도 수시로 온도를 확인하여야된다.
부각을 튀길 때 솥에 넣는 량(量)은 튀김 솥의 기름표면의 반 정도가 적당하고, 한 번에 너무 많이 넣으면 기름 온도가 급속이 떨어지므로 바삭한 튀김을 만들 수 없고 수시로 기름의 온도를 확인하여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삭바삭한 부각을 생산할 수 있다.
좋은 부각은 좋은 향미의 도포 풀과 균일한 도포에 의한 비율과 튀김용 기름의 선택과 조성하는 기술적 가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포의 비율은 향미와 팽창에 의한 확대율과 저장 및 운반과 관계를 한다.
본 발명은 꽃(花)과 수형(樹形)이 아름답고 사철 푸르고 풍성함을 간직하고 겨울철에 정열적 진홍색 꽃(花)을 피우는 귀(貴)한 나무라 천연기념물로 지정 관리하는 동백(冬柏)나무의 아름다운 꽃과 상록교목으로 긴 타원형의 두텁고 질기며 광택이 있는 잎에 대중적 월드 향미를 제공하고 영양학적 가치와 항산화(抗酸化)에 의한 피로회복(疲勞回復)을 촉진(促進)하는 기능적 효과(效果)로 새로운 가치(價値)를 창출하는 발명(發明)의 목적(目的)과 발명으로 이루어지는 사회적(社會的) 공헌(貢獻)에 의하여 바닷가 농가와 간척지와 남부 내륙까지 꽃피는 새로운 소득(所得) 수(樹)를 수효와 공급의 원리(原理)에 의하여 자동으로 공헌(貢獻)하는 2차적 목적(目的)을 이루는 창조적(創造的) 기술(技術 Skill)을 해결(解決)하고자 하는 과제(課題)로 하여 사철 푸르고 섬유질(纖維質)이 많아 두텁고 질기어 식용(食用)으로 불가능한 동백(冬柏)나무 잎과 아름다움으로 수명(壽命)을 다하고 버려지 는 동백(冬柏)꽃송이에 새로운 가치(價値)를 부여하는 기술적(技術的) 과제(課題)를 해결(解決)하고자 하는 과제로 하고, 웰빙 문화에 의하여 상승(上乘)하는 욕구(慾求)에 의한 소망(所望)으로 인하여 청정지역의 자연물에 대한 동정적 욕구가 대중화를 이루고 다수확에 의한 재배가 환경적 불안으로 시작되는 오염, 오염에 대한 공포를 유발하는 원인이 나날이 증가하는 현실 속에서 시대적 문화에 부합(符合)하는 자연물(自然物)을 선정하여 가치를 부여하는 기술적(技術的) 과제(課題)를 해결(解決)하고자 하는 과제(課題)로 하고, 새콤달콤하며 고소하고 깔 금한 매운맛을 간직하는 식품을 개발하는 기술적(技術的) 과제(課題)를 해결(解決)하고자 하는 과제(課題)로 하여,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에 새로운 어메니티(Amenity)한 가치(價値)를 부여하는 기술적 과제다.
본 발명은 목적에 부합(符合)하는 제품을 개발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계별 기술적 과제는,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를 채취하는 기술적 과제와 채취한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를 가공하는 기술적 과제와 영양적 가치를 부여하는 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와 남녀노소 모두가 좋아하는 대중적 월드 향미를 개발하는 기술적 과제와 다양한 사용처를 가지고 필요에 의한 새로운 기치를 부여하는 기술적 과제와 생산적 가치를 상승시키는 기술적 과제와 저장과 운송의 편리에 의한 가치를 형성하는 기술적 과제와 생산성에 의한 사업성을 높이고 사회와 국가에 기여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계별 독립(獨立)된 공정(工程 Manufacturing)에 의한 기술적 과제를 하기와 같이 제시한다.
본 발명의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의 단계별(段階別) 독립(獨立)된 공정에 의한 기술적 과제는, 목적(目的)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는 기술적 과제, 선정한 원료를 목적에 부합하는 규격으로 선별하는 기술적 과제, 조성물의 구성에 의한 도포 및 살포비율을 정하는 기술적 과제,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를 세척하는 기술적 과제, 동백나무잎 동백꽃송이를 데치는 기술적 과제, 동백나무잎 동백꽃송이의 수분을 제거하고 모양을 조성하여 숙성하는 기술적 과제, 찹쌀 풀 혼합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 찹쌀 풀을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 풀을 바르는 기술적 과제, 건조하는 기술적 과제, 선별포장하는 기술적 과제, 튀기는 기술적 과제, 탈지냉각하는 기술적 과제, 선별포장하는 기술적 과제를 특징으로 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符合)하는 조성물(組成物)을 조성하기 위하여 공정(工程 Manufacturing)의 단계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명확하고 간결하게 구성하고 과제별 목적과 방법을 공정별로 설정(設定)하여 단계별 독립적 기술성을 유지하는 특성을 본 발명의 구체적(具體的)인 기술로 하여 과제 해결 수단을 하기공정의 순서(順序)에 의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제1공정은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는 기술적 과제로, 상록교목의 긴 타원형으로 길이 5 내지 12㎝, 폭 3 내지 7㎝로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섬유질이 많아 식용으로 불가능한 0.45㎜의 두터운 잎으로 광택이 나고 질긴 특성과 뒷면은 담녹색으로 자연의 풍취를 간직하여 지금까지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관상용으로 사용된 동백나무잎과 꽃받침 잎은 5개이며 길이 1 내지 2㎝로서 꽃잎은 5 내지 7개가 밑에서 합쳐지며 길이 3 내지 5㎝로 수술과도 합쳐지고 수술은 노란색으로 90 내지 100개가 있고 꽃밥(花粉 Pollen)이 황색이고 씨방(子房)에 털이 없으며 암술대가 3개로 갈라지며 겨울철에 정열적 진홍색 꽃(花)으로 풍요한 아름다움을 제공하는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인 동백(冬柏)나무잎과 꽃송이(Cluster)에 새로운 가치(價値)에 의한 용도(用途)가 주어지는 간식(間食 Snack)의 주원료(主原料)로 선정(選定)하고, 찹쌀 풀의 원료로 응집력과 접착력 강하고 영양적 가치가 높은 찹쌀가루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와 바삭바삭함을 위하여 튀김가루를 선정(選定)하고, 우리의 몸은 16%의 단백질로 이루어졌고 단백질의 2/3가 콜라겐으로 이루고 있고 콜라겐은 영양분을 세포에 전달하고 세포의 노폐물을 회수하는 기능과 칼슘과 무기질을 흡수하여 뼈와 골격을 이루고 있는 생체의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단백질로 동물성 콜라겐을 선정(選定)하고, 열에 강하고 담백한 단맛으로 대중적 월드 향미를 가진 스테비아가루를 선정(選定)하고, 새콤한 향미와 피로회복 촉진을 위하여 구연산을 선정(選定)하고, 풍부한 무기질을 함유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로 부드러운 짠맛과 동백꽃송이 또는 동백나무잎의 색상보존을 위하여 함 초를 선정(選定)하고, 부패(腐敗)를 방지하고 담백한 향미 개선과 영양공급을 위하여 생강가루를 선정(選定)하고, 고소한 대중적 월드 향미와 단백질 보충을 위하여 콩가루를 선정 (選定)하고, 산패(酸敗) 방지하고 향미개선 및 영양공급으로 녹차 가루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를 위하여 과즙을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와 색상을 위하여 비타민C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를 위하여 다시마 가루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를 위하여 고추 가루를 선정(選定)하고, 품격과 향미를 위하여 통깨를 선정(選定)하고, 품격과 모양과 향미를 위하여 검은깨를 선정(選定)하고 품격과 모양과 향미를 위하여 실고추를 선정(選定)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2공정은 선정한 원료를 목적에 부합하는 규격으로 선별하는 기술적 과제로, 동백(冬柏)나무잎은 생육기간에 관계없이 싱싱하고 상처가 없는 것으로 당일에 채취한 잎으로 선별(選別)하고, 동백(冬柏)꽃송이는 정열적 진홍색(眞紅色)으로 만개(滿開)하고 아침이슬에 스스로(Naturally) 툭 떨어진 싱싱한 낙화(洛花) 꽃송이로 상처가 없고 당일에 수확한 것을 선별(選別)하고, 찹쌀을 정수에 10시간 이상 침 지하고 볶아서 분쇄한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찹쌀가루로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튀김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콜라겐을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스테비아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함수 구연산을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비타민C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고추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과즙을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함 초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생강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콩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녹차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다시마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고 고소함이 풍부한 볶은 통깨를 선별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고 고소함이 풍부한 볶은 검은 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실고추를 선별(選別)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3공정은 조성물의 구성에 의한 도포 및 살포비율을 정하는 기술적 과제로, 조성물을 구성하는 비율과 도포 및 살포율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 70 내지 22중량%, 찹쌀 풀 24 내지 73중량%, 깨 혼합물(통깨 50중량%+검은깨 50중량%) 5 내지 1중량%, 실고추 1 내지 4중량%를 포함하는 총중량 100%로 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을 구성하는 비율과 도포 및 살포율이다.
제4공정은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를 세척하는 기술적 과제로, 선별한 동백나무잎을 4 내지 6%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침 지 세척하고 정수에 다시 세척하여 염화나트륨을 세척하여 세척 동백나무잎을 조성하고, 선별한 동백꽃송이를 흐 르는 정수로 세척하여 세척동백꽃송이를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5공정은 동백나무잎, 동백꽃송이를 데치는 기술적 과제로, 세척 동백나무잎을 100±5℃ 가열된 혼합수용액(함 초 90 내지 10중량%+비타민C 10 내지 90중량%) 15 내지 30%에 4 내지 10분간 데쳐 동백나무잎의 푸른 색상을 보존하고 동백나무잎의 섬유질을 부드럽게 하여 데친 동백나무잎을 조성하고, 세척 동백꽃송이를 100±5℃ 가열된 혼합수용액(함 초 90 내지 10중량%+비타민C 10 내지 90중량%) 15 내지 30%에 1 내지 4분간 데쳐 동백꽃송이의 색상을 보존하고 부드러운 데친 동백꽃송이를 조성하고, 데친 혼합수용액은 10℃ 이하에서 별도 보관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6공정은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의 수분을 제거하고 모양을 조성하여 숙성하는 기술적 과제로, 데친 동백나무잎에 천으로 수분을 제거하고 같은 모양 같은 크기로 상, 중, 하로 구분하여 각각 30 내지 50장씩 결속하여 결속한 동백나무잎을 조성하고, 데친 동백꽃송이를 천으로 수분을 제거하고 꽃 모양으로 손질을 하면서 같은 크기로 상, 중, 하로 구분하여 각각 30 내지 50장씩 결속하여 결속한 동백꽃송이를 조성하고, 결속한 동백나무잎과 결속한 동백꽃송이를 20℃ 이하의 숙성실에서 12 내지 24시간 숙성하여 숙성 동백나무잎과 숙성 동백꽃송이를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7공정은 찹쌀 풀 혼합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로, 찹쌀 풀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찹쌀가루 39 내지 74중량%, 튀김 가루 24 내지 10중량%, 콜라겐 5 내지 1중량%, 스테비아가루 5 내지 1중량%, 과즙 2 내지 1중량%, 구연산 2 내지 1중량%, 생강가루 6 내지 1중량%, 콩가루 10 내지 1중량%, 녹차 가루 3 내지 1중량%, 다시마 가루 3 내지 1중량%, 고추 가루 1 내지 8중량%를 총중량 100%로 하여 동력 3상 10마력 혼합기로 15 내지 30분간 혼합하여 찹쌀 풀 혼합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8공정은 찹쌀 풀을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로, 찹쌀 풀 혼합물을 25 내지 45중량%과 제5공정에서 별도 보관한 혼합수용액 또는 정수 75 내지 55중량%를 혼합하여 솥에 넣고 온도를 100℃까지 서서히 가열하면서 자동으로 휘저음을 최소한 30분 이상 계속하여 여러 원료 속에서 추출하여 혼합되는 성분으로 인하여 풍부한 향미가 만들어지고 응집력이 생기므로 지름이 3㎜의 유리 봉의 끝 밑에 원으로 매달리는 응집력을 가지고 표면에 윤기가 나면서 매운맛을 밑바탕으로 하여 새콤달콤하고 고소하고 2 내지 10% 짠맛을 소유한 대중적 월드 향미의 담백한 찹쌀 풀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9공정은 풀을 바르는 기술적 과제로, 숙성 동백나무잎 또는 숙성 동백꽃송이를 한장 한장에 조성물을 구성하는 비율과 도포 및 살포율과 동일한 량의 찹쌀 풀을 도포하는 것으로 40 내지 70℃의 품 온을 유지하는 찹쌀 풀 통에 숙성 동백나 무잎 또는 숙성 동백꽃송이를 한 장씩 꼭지를 잡고 침 지하여 숙성 동백나무잎 또는 숙성 동백꽃송이 속까지 찹쌀 풀을 도포하고 침투시키어 조성물 도포율과 동일한 량의 찹쌀 풀을 균일하게 도포하고, 도포한 동백나무잎 또는 도포한 동백꽃송이를 폭이 2 내지 3㎜의 뾰족한 집게로 꼭지를 집어 고정하여 도포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가 접치는 것을 방지하여 도포 동백나무잎 또는 도포 동백꽃송이를 조성하고, 조성물 살포(撒布)율과 동일한 량의 깨 혼합물과 실고추를 앞뒤에 살포하여 도포 및 살포 동백나무잎 또는 도포 및 살포 동백꽃송이를 조성하는 방법과, 숙성 동백나무잎 또는 숙성 동백꽃송이를 한장 한장을 플라스틱 도마 위에서 40 내지 70℃의 품 온을 유지하는 찹쌀 풀을 도포 비율과 동일한 량을 도포하고 도포한 동백나무잎 또는 도포한 동백꽃송이의 앞뒤에 살포 비율과 동일한 깨 혼합물과 실고추를 살포하여 담백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의 찹쌀 풀 도포 동백(冬柏)나무잎 또는 동백(冬柏)꽃송이를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0공정은 건조하는 기술적 과제로, 도포 동백나무잎 또는 도포 동백꽃송이를 25 내지 30℃의 2~4m/s 온풍 위를 통과하면서 2 내지 4분마다 자동으로 상하를 2 내지 3회 뒤집기를 실시한 후 찹쌀 풀이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에 안전하게 도포 착지하면 건조(乾燥) 선을 따라 40 내지 60℃의 열풍 건조실로 이동하여 다단 건조대에서 20 내지 30시간 건조하여 수분함량 5% 이하로 건조하는 것과 습도가 낮고 햇빛이 있는 좋은 날에는 야회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건조하여 수분함량 5% 이하로 건조하여 건조 동백나무잎 또는 건조 동백꽃송이의 부각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1공정은 선별포장하는 기술적 과제로, 건조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의 부각을 모양이 좋고 같은(同一) 규격으로 검사하여 100 내지 50000g씩 빛과 공기가 차단된 밀폐(密閉) 용기에 탈산제(脫酸劑)를 넣고 봉인하고, 골판지 상자로 포장하는 것과 건조 동백나무잎 부각의 꼭지를 제거하여 상기와 동일한 규격과 방법으로 포장하여 상품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이다.
제12공정은 튀기는 기술적 과제로, 건조 동백나무잎 또는 건조 동백꽃송이 부각을 15 내지 20℃의 품 온(品溫)으로 조절하여 아름다운 튀김 꽃의 조건을 조성하고, 튀김 솥에 신선한 콩기름을 튀김 솥의 2/3 정도 넣고 140 내지 200℃로 콩기름을 가열하고, 품 온이 조절된 건조 동백나무잎 또는 건조 동백꽃송이 부각을 3 내지 5㎠ 크기로 조각을 내어 가열된 튀김 솥 기름에 넣어 즉석 실험을 하여 실험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 부각이 즉시 부상하면서 많은 기포를 형성하고 하얗게 부풀어 오르면, 건조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 부각과 튀김 솥 기름의 온도가 가장 적정한 것으로 건조 동백나무잎 또는 건조 동백꽃송이 부각을 튀김 솥 기름 면적의 1/2 정도를 넣고 10 내지 60초 동안 유탕(튀김) 처리하여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 부각이 하얗게 부풀고 바삭바삭한 것이 꽃처럼 예쁘게 튀겨지는 것으로 품 온을 유지하는 것과 기름의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 것은 부각 튀김의 좋은 조건 으로 처음 실험한 튀김 조건을 계속 유지하는 기술적 관리가 필요하고 이렇게 튀겨진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의 부각은 매운맛을 밑바탕으로 하여 새콤달콤하고 고소하며 균일하게 간이 된 대중적 월드 향미의 담백한 튀김 동백나무잎 또는 튀김 동백꽃송이 부각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3공정은 탈지냉각하는 기술적 과제로, 매운맛을 밑바탕으로 하여 새콤달콤하고 고소하며 균일하게 간이 된 대중적 월드 향미의 담백한 튀김 동백나무잎 또는 튀김 동백(冬柏)꽃송이 부각을 채반이나 그물망 또는 동력 3상 5마력 2500 내지 3000rpm의 원심분리기(遠心分離機)로 튀긴 즉시 고온에서 기름을 탈취하여 파손을 방지하고 20℃ 이하의 저온 실에서 냉각하여 매운맛을 밑바탕으로 하여 새콤달콤하고 고소하며 균일하게 간이 된 대중적 월드 향미의 담백한 냉각 동백나무잎 또는 냉각 동백꽃송이 부각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4공정은 선별포장하는 기술적 과제로, 매운맛을 밑바탕으로 하여 새콤달콤하고 고소하며 균일하게 간이 된 대중적 월드 향미의 담백한 냉각 동백나무잎 또는 냉각 동백(冬柏)꽃송이 부각을 모양이 좋고 동일한 규격으로 검사하여 100 내지 50000g씩 빛과 공기가 차단된 밀폐(密閉)용기에 탈산제(脫酸劑)를 넣고 골판지 상자에 포장(包裝)하는 것과 냉각 동백나무잎 부각의 꼭지를 제거하고 동일한 방법과 규격으로 포장하여 상품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백 꽃 잎 튀김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組成物)에 사용된 원료의 특성 및 기능적 효과와 조성물의 혼합을 통하여 상승하는 기호(嗜好)와 기능(機能)적 효과(效果)를 제시하고자 한다.
가. 조성물(組成物) 원료의 특징(特徵)에 의한 기호(嗜好)와 기능(機能)적 효과(效果).
1. 동백나무(冬柏 Camellia) 꽃과 잎.
학명 Camellia japonica. 차나무 과(Theaceae), 원산지 한국(남부), 중국, 일본이다. 특성은 높이 15m에 달하는 상록교목으로 수피는 회백색이고, 잎은 타원형이며 길이 5 내지 12㎝, 폭 3 내지 7㎝와 0.40 내지 0.50㎜의 두텁고 질긴 섬유질은 식용으로 불가능하고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광택이 있는데 뒷면은 담녹색이다.
꽃은 11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 피며 적색이고 넓은 종 모양이며 지름 5㎝ 내외이다. 동백꽃의 특징은 첫째, 추운 겨울에 핀다는 것이며 둘째, 온대지방에서 보기 드문 조 매화 즉 겨울에 새의 도움으로 수분을 한다는 것이다. 셋째, 꽃이 지는 모습으로 뭔가 잘못하여 떨어진 것으로 착각할 만큼 가장 아름다운 모습에서 툭 하 고 송이째 떨어진다.
동백나무는 상록교목으로 긴 타원형의 잎은 두텁고 광택이 있다. 꽃은 꽃잎 5매의 붉은 색으로 12월부터 2 내지 3월에 개화된다. 제2차 세계대전 후 미국에서는 동백의 재배가 유행되었고, 따라서 동양의 품종이 많이 미국으로 건너가서 교배가 행하여지고 그 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지에서도 많은 품종이 육성되어 이들 품종이 다시 역수입되고 있다.
또한, 동백나무와 산다화의 구별은 외관상으로도 다르고 또 이들이 뚜렷한 품종인 경우에는 문제가 없겠으나, 세계적으로 생육 되고 있는 Camellia속 가운데에는 동백이나 산차화(山茶花)의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은 유사 식물들이 있고, 우리나라 북쪽에서는 동백나무를 산다(山茶), 해석류라고 한다.
따라서 이들은 사람에 따라 또는 나라에 따라 동백에 가깝다, 산다화에 가깝다, 또는 양자의 잡종이다, 차나무의 잡종이다, 하여 확실한 구별을 못 하고 있는 것이 오늘날의 현상이다.
동백나무는 추위와 건조에 약하다. 생육 적온은 8 내지 25도(월동온도 0도 이상), 겨울철에 저온(0 내지 5도)에 4주간 노출되어야 개화율이 좋다 한겨울에는 5℃ 이상 돼야 겨울을 날 수 있다.
화분에 심어져 있으면 방 안에 들여 놓거나 비닐로 쌓아 양지에 두어야 한다. 또 흙 표면이 마르면 바로 물을 주어야 한다. 동백나무는 꺾꽂이로 번식시킬 수 있다. 6 내지 9월 중순에 가지를 꺾어 화분에 꽂아두면 뿌리가 내린다.
동백꽃은 추운 겨울에 핀은 조(鳥) 매화라는 것은 동백꽃은 벌이나 나비가 활동하지 않는 겨울에 새의 도움으로 수분을 보충한답니다. 이 새가 동박새 또는 동백 새라고 합니다. 동 박 새는 겨울에는 동백꽃의 꿀을 먹고, 열매를 맺으면 그걸 먹고 산답니다.
동백나무는 우리 조상 들의 삶에 늘 가까이 있었어요. 화력이 좋아 땔감으로 많이 썼으며, 재질이 단단해서 얼레빗, 다식판, 장기짝, 가구 등 다양한 생활 용구를 만들어 쓰기도 했답니다. 또한, 동백나무 씨에서 짠 동백기름으로는 머리카락을 부드럽고 멋스럽게 손질했지요.
약재로의 쓰임새도 적지 않았답니다. 동백 가운데 흰색으로 피는 꽃을 물에 끓여 마시면 여자들의 건강에 큰 도움이 되며, 말린 잎을 가루로 빻아 물에 반죽해서 타박상을 입은 부위에 바르면 금세 낫는답니다. 최근에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에 동백기름의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꽃송이로 툭 떨어지는 동백꽃과 사철 푸른 자태를 자랑하는 동백나무 잎을 이용하는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연구를 통하여 농가에 소득을 증대시키는 연구가 필요하고 본 발명으로 농가의 소득을 이루고자 합니다.
우리 삶에 친숙했던 만큼 동백나무가 복을 가져다준다고 믿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일부 지방에서는 동백나무를 불길하게 여기기도 했지요. 꽃이 질 때 한 잎 한 잎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붉은 꽃송이(Cluster)가 통째로 뚝 떨어지는 까닭에 사람들이 동백나무 꽃을 불길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는지도 모릅니다. 이를 놓고 제주도 사람들은 마치 죄수의 목이 툭 떨어지는 모습을 닮았다고 해서 단두화(斷頭花)라고 하면 매우 불길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집 마당에 동백나무를 심으면 도둑이 든다고 생각하는 사람들까지 있다. 하지만, 이것은 동백나무의 꽃이 아름다움으로 많은 사람이 구경하기 위하여 모인다는 뜻이고 동백꽃의 야화를 구경하기 위하여 많은 사람이 방에 모이면 도둑도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우리 조상 들은 대부분 동백나무를 꺾어 망치를 만들어 마루에 걸어 놓으면 나쁜 귀신이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했답니다. 또 전염병을 옮기는 귀신은 평소에 동백나무 숲에 숨어 사는데, 꽃송이(Cluster)가 후드득 떨어지는 소리에 놀라 귀신이 죽는다는 미신도 있답니다. 동백꽃의 꽃말은 그대를 누구보다도 사 랑한다. 입니다. 그래서 혼례식에서 생명과 굳은 약속의 상으로 쓰이기도 한답니다.
동백나무는 정열적 진홍색 꽃을 피우는 것이 지금까지 동백나무의 큰 매력이고, 해안가와 제주도 한라산 1100m까지 분포하는 상록 소 교목으로 나무높이가 15m까지 자란다. 해풍과 염분이 있어도 잘 견디지만 비옥한 곳을 좋아하고 이식이 약해서 옮겨심기가 힘들고 특히, 가을에 이식하면 한(寒) 풍해를 많이 받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양성화로 품종 또는 지역에 따라 11월부터 다음해 5월까지 개화하여 9 내지 10월경에 밤 일만 한 열매가 익는데, 종자로 쓰려면 정선하여 노천매장 후 이듬해 봄에 파종하고 좋은 품종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려면 꺾꽂이 등의 무성증식을 해야 한다.
동백나무는 우리나라, 중국, 일본이 원산지이나 세계적으로 아주 많은 원예품종이 개발되어 지금은 꽃의 크기나 색 등이 아주 다양해져 약 600여 종이나 된다. 우리나라에도 거문도에 자연 상태에서 나타난 변종인 흰 동백과 분홍 동백, 또는 황금색 잎을 가지는 황금 동백이 자생하고 있다.
동백나무는 수많은 열매가 열리는 이유로 다산(多産)의 상징으로 여기어왔고 동백나무가 여자의 임신을 돕는 다고 믿었습니다. 그런데 동백나무가 꽃을 피우는 겨울에는 벌, 나비와 같은 꽃 가루받이에 도움을 주는 곤충들이 날아다니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동백나무는 어떻게 꽃 가루받이를 할까.
동백나무에는 꿀을 아주 좋아하는 작고 귀여운 동백 새라는 새가 있습니다. 이 동백 새가 바로 동백나무의 꽃가루를 옮겨주어 열매를 맺게 도움을 줍니다. 추운 겨울 적당한 먹이 감이 없는 동백 새는 동백나무가 가지고 있는 꿀은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식량이기에 서로에게 도움을 주며 살아가는 공생관계다.
동백나무는 한겨울에 붉은 꽃잎, 샛노란 수술, 그리고 짙푸른 윤기나는 잎사귀가 조화를 이루며 피는 동백꽃도 아름답지만 우리네 옛 생활 속에서까지 아주 친숙한 좋은 꽃나무다.
동백(冬柏) 잎의 구체적인 자료(資料), 동백(冬柏)잎의 채취시기에 따른 일반성분(一般成分)은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catechin, chlorophyll 및 total polyphenol 등의 함량은 다음과 같다. 동백 잎의 조 단백과 조 지방 및 Ascorbic acid 함량은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였고, 조회분과 조섬유 함량은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등 3개의 당이 확인되었고, 총 유리당 함량은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다. 유기산은 citric acid, tartaric acid, succinic acid, acetic acid 등이 검출되었고,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총 함량은 증가하였다.
동백잎의 주된 유리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histidine이었고,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총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감소하였다. 동백 잎의 주된 구성 아미노산은 히스티딘(histidine 염기성 아미노산) 알라닌(alanine)이었고,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구성 아미노산의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동백(冬柏)잎에 함유된 무기질은 P, Ca, K, Na, Fe등으로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동백잎의 클로로필(chlorophyll, 엽록소) 함량과 폴리페놀(total polyphenol, 多價 수산기) 함량은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다.
동백(冬柏) 잎에는 다양한 유기질과 무기질로 잎은 불에 태워 염료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도자기의 유약으로 썼다는 기록으로 보아 우리 조상 들은 동백 잎을 이용하는 지혜를 가진 것으로 생각된다.
동백꽃과 잎의 성분의 차이를 도표로 작성한 표1, 표2, 표3, 표4.
Figure 112007081853220-PAT00001
동백 속에 식물인 차나무는 조 단백 함량이 21.80%로 동백나무 잎보다 높고, 계피는 2.9%, 오갈피는 6.50%로 동백나무 잎보다 아주 적다.
Figure 112007081853220-PAT00002
Ca는 하고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성분을 녹차보다 14배나 동백나무 잎이 많이 함유하고 있다.
K는 체내에서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Na를 배출하고 근육운동, 신경전달 등에 관여하고, 도라지 460㎎/%, 깻잎 389㎎/%, 율무 차 301㎎/%로 잎에는 2배가 높다.
Na는 삼투압조절, 혈액 조절 등에 관여하고, 녹차보다 높다.
Mg는 뼈와 치아를 형성, 효소활성 등에 관여 꽃에 많은 함량을 보였다.
Cu는 체내 철분 흡수 이동에 관여하고, 다른 무기질 함량에 비하여 낮은 함량을 보였다.
Figure 112007081853220-PAT00003
D P P H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홀수의 전자 때문에 517㎚에서 강한 흡수 Band를 보이나 Phenolic 화합물과 같이 수소에 전자를 제공해주는 전자공여체와 반응을 하게 되면 전자 Hydrogen nadical을 받아 Phenoxy nadical을 생성하게 되며, 공여는 비가역적 결합하며, 그 수에 비례하여 진보라색의 D P P H의 색깔은 점점 흐리게 된다.
Figure 112007081853220-PAT00004
일본의 경우 건조하는 동백꽃봉오리(山茶化)를 민간에서 토혈 증(Hemateme -sis)에 사용된 기록이 있으며, 그 밖에도 동백은 항 원충 작용, 진경 작용, 알코올 흡수억제 및 H I V 바이러스 억제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있다
동백꽃은 흔히 겨울을 상징하는 꽃으로 동백꽃을 떠올리고는 합니다. 동백나무는 차나무 과에 속하는 늘 푸른 작은 키 나무로 한자로는 동백(冬柏), 산다화(山茶花)라고 부릅니다. 동백나무는 대부분의 다른 식물들이 활동하지 않는 겨울에 타는 듯한 붉은빛의 꽃을 피우다 다른 꽃들이 피기 시작하는 봄이면 꽃이 지기 시작합니다.
우리 조상은 동백나무를 이용하여 망치를 만들었는데 이 동백나무로 만든 망치는 주로 주술에 이용하거나 병마를 막는데 이용하였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동백나무 망치를 마루에 걸어 놓으면 귀신이 집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아 준다고 믿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멀고도 가까운 나라 일본에서도 전염병이나 재난을 막기 위해 동백나무로 만든 망치를 허리에 차는 풍습이 있으며, 또한 전염병을 옮기는 귀신이 동백나무 숲에 숨어 있다가 꽃이 질 때 함께 떨어져 죽는다는 미신도 전해온다고 합니다.
동백나무는 재질이 단단하여 얼레빗, 다식판, 장기 쪽, 가구 등 다양한 생활용구의 재료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뿐만 아니라 열매에서 짠 기름으로는 어두운 밤 등불을 밝히고 옛 여인들의 머릿결을 윤기나고 단정히 하는 머릿기름으로 사용되어왔습니다.
동백(冬柏)꽃의 구체적인 자료(資料)와 효능은 꽃은 양성화로 적색이고 1개씩 액생 또는 장생하며 화 경이 없고 반 정도 벌어지며 소포는 둥글고 겉에 짧은 백색 털이 있다.
동백(冬柏)꽃받침 잎은 5개이며 길이 1 내지 2㎝로서 난 상 원형이고 꽃잎은 5 내지 7개가 밑에서 합쳐지며 길이 3 내지 5㎝로서 수술과도 합쳐지고 수술은 노란색으로 90 내지 100개가 있다. 꽃 밥이 황색이고 자 방에 털이 없으며 암술대가 3개로 갈라진다. 3 내지 4월에 많이 개화한다.
꽃의 성분은 慈養(자양), 强壯(강장), 便秘(변비)의 해소 미용에 효과가 있고, 동백꽃 꽃가루 속에 35%의 단백질, 22종 필수아미노산, 12종 비타민, 16종의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抗酸化)를 촉진하고, 장 출혈(腸出血)에는 말린 꽃잎 5 내지 10g를 달여 먹으면 효과적이다. 봄을 알려주는 동백꽃 잎으로 술을 담가 두면 분위기를 낼 때 특히 어울린다. 진한 갈색의 독특한 향기, 감칠맛이 일품이다.
동백의 성분 종자의 성분으로 배당체 Camellin이 있고 사포닌(C 57, H 90O 28, 2H 2O)이 있는데 그 게닌체는 (C 29, H 44, O 5)의 조성을 갖는다. 종자 유의 함량은 66%이고 Oleic acid Glyceride가 주류를 이룬다. 종자 유에서 두 종류의 인돌(indol) 화합물이 발견됐다.
잎에는 카테킨류. 베타 아미린(β-amyrin 간장 진통제), 팔미틱산(Palmitic acid 피부 보습), Oleanolic acid가 들어 있다. 꽃잎은 3종류의 페노릭 화합물(P-hydroxybenzoic acid, pro-tocatechuic acid, gallic acid), steroid류(α-spinos -terol, stigmasterol-7-en-3β-o1)의 성분과 잎과 꽃에서 항균성분인 CamellidinⅠ과 Camellidin Ⅱ가 분리되었는데 이는 Triterpenoid saponin이다.
동백의 약학 동백유는 연고 기제 리니멘트 제제의 제조에 약용으로 사용되고, 잎에는 카페인(caffeine), Polyphenol, Eugenol, Theobromine 등이 들어 있어 약용의 소지가 있고, 항산화(抗酸化)를 촉진한다. 꽃은 장 출혈, 자궁출혈, 출혈 등의 지혈(止血)에 쓰인다. 또 산다(山茶) 배당체는 이식성 연한 조직의 암적인 종양을 억제한다는 보고도 있다.
남쪽지방의 민가에서는 동백(冬柏)꽃잎은 더운물에 넣어 목욕할 때 이용했다는 풍속도 전해지고 있다. 전남 거문도지방의 동백꽃 목욕전승은 잘 알려진 것이다. 거문도 사람들은 섣달 그믐날 저녁이면 뜨거운 물에 동백꽃을 우려서 그 물로 목욕을 했다.
동백꽃은 남쪽지방에서는 일찍 피는 꽃으로 이곳 사람들은 동백꽃을 우린 물로 목욕을 하면 종기에 약이 되고 평소에는 피부병이 생기지 않는 것으로 믿었다. 동백꽃 목욕은 50년대까지만 해도 흔하게 행해지던 풍속이었다.
2. 콜라겐(Collagen).
콜라겐이란? 인간을 비롯한 동물의 체내에서 세포와 세포 사이를 메우고 있는 아주 중요한 섬유상태의 경단백질(Albuminoid)입니다.
세포가 다수 집합되어 있는 부위에는 반드시 콜라겐이 존재하고 있으며 특히 피부, 뼈, 연골, 혈관 벽, 치아, 근육 등에는 콜라겐이 다량으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콜라겐(Collagen)은 오래전부터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콜라겐은 18종의 아미노산으로 되어있고, 사람이 콜라겐 및 그 변성 물인 젤라틴을 섭취한 경우에는 다른 단백질과 마찬가지로 소화관 내에서 소화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대부분 아미노산의 형태로 흡수됩니다.
콜라겐(Collagen)은 면역기능을 향상시키고, 세포의 재생작용을 촉진시켜 관절을 튼튼하게 해주며, 피부의 신진대사 활성화 및 보습유지를 통하여 피부미용에 탁월한 효과를 가져다줍니다.
콜라겐(Collagen)은 인체 내에서 젊어서는 많이 합성되나 20대 이후에는 생성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나이가 들면서 피부의 탄력은 물론 잇몸의 붕괴, 근육통, 혈관 벽의 손상 특히 공기 중의 유해산소인 자유라디칼(Free Radical)에 의하여 햇빛이 많이 닿는 얼굴 등에 리포프신이라는 색소가 출현하여 생기는 검버섯, 기미 등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질병 요소를 예방, 치료키 위해서는 콜라겐이 많이 함유된 식품이나 콜라겐 가공식품, 콜라겐 화장품을 사용해야만 됩니다.
콜라겐(Collagen)은 염류용액이나 에탄올에 불용성인 단백질을 모두 가리키며, 함유되어 있는 부위는 동물껍질의 콜라겐, 발톱이나 손톱, 뿔, 지느러미, 물렁뼈 등으로 동물의 외계를 보호하고 있으며, 결합조직은 근섬유를 포함하고 있거나 지방조직을 포함하고 있으며 근육과 다른 조직을 연결한 것으로 건(腱), 인대(靭帶), 근막(筋膜) 등입니다.
산, 알칼리, 효소의 작용을 받기 어려우나 장시간 가열하면 비가역적 변화를 일으켜 물에 용해(鎔解)되는 젤라틴(Gelatine)이 되어 글리신, 프롤린, 옥새프롤린 등의 아미노산 기를 가지게 됩니다.
콜라겐은 섬유성 단백질의 일종으로 세포와 세포 사이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사람의 몸에서는 장기를 감싸는 막, 관절연골, 눈의 각막, 뼈와 피부 등에 주로 존재하는데 특히 뼈를 구성하는 칼슘의 접착제로서의 기능과 주름의 원인이 되는 피부 속 진피 층의 구성 요소로 매우 중요하다.
콜라겐은 음식 중에 생선, 닭 날개고기 힘줄 등에 많이 함유돼 있다. 이들은 장에서 아미노산으로 분해된 후 콜라겐으로 합성되어 전신의 장기, 표피, 근육, 관절 등으로 공급된다. 하지만, 20세가 넘으면 체내에서 생성되는 양이 급격히 줄어 전신의 신진대사가 둔해진다.
접착제가 부족한 뼈에서 칼슘이 빠져나가고 연골의 수분이 부족하게 되므로 몸의 유연성이 떨어진다. 주름살이나 잡티가 생기는 것도 피부 진피 층의 70%나 되는 콜라겐 부족에서 오는 결과다.
주름살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콜라겐이다. 콜라겐이란 우리 몸을 구성한 섬유성 단백질의 일종으로, 세포의 탄력을 유지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그런데 나이가 들면 콜라겐 합성이 줄어들어 피부가 탄력을 잃고 주름이 생기기 시작한다.
따라서 팽팽한 피부를 위해서는 콜라겐 합성량을 보충해주는 제품이 필요한 것, 가장 널리 알려진 레티놀 성분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켜 특히 깊은 주름을 개선하는 것에 도움을 준다, 아데노신 또한 주름 관리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대표 성분으로, 피부 콜라겐 생성을 촉진시켜 탄력을 증대시키고 세포 재생 효과가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콜라겐(Collagen)이란 동물의 뼈, 연골, 물고기 비늘 등에 포함되어 있는 섬유성 단백질 군으로 우리 몸의 16%가 단백질인데 이중 1/3이 콜라겐이고 특수세포인 성상세포, 연골세포, 골세포, 근 섬유 세포에서 주로 합성되며, 특히 연골세포 중에서 약 33%가 콘드로이친 성분으로 인체의 뼈를 구성하는 등으로 인체의 모든 부분에서 콜라겐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콜라겐(Collagen)의 용도 성형재료로 관능미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 입술을 부풀리는데 함몰된 흉터나 주름살 제거를 위해 콜라겐을 주사하며 먼저 피부반응 검사를 받은 다음 괜찮을 경우에 주사되며 보통 6개월 정도 지속 된다. 최근에는 자신의 콜라겐을 배양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화장품 원료로 콜라겐은 보습이 뛰어나며 주름예방 등을 위해 화장품원료로 사용됩니다. 미용재료로 콜라겐벨벳, 콜라겐 마스크 등으로 사용되고, 단백질 트리트먼트제의 원료로 사용됩니다.
식품의 원료로 건강보조식품, 특수 영양식품 등의 원료로 사용되며 피부미용이나 뼈, 연골 등에 콜라겐을 보급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최근 일본에서는 매실 주에 콜라겐을 첨가하여 시판하고 있습니다.
기타로 콜라겐관련 응용분야가 활발히 연구 중이며, 의약품이나 인공피부, 인공혈관, 인공장기 등의 재료로서 개발되어 지고 있습니다.
우리의 몸과 콜라겐관계 머리카락을 구성하는 케라틴은 구조적으로 콜라겐과 비슷하고, 눈의 각막의 주성분은 콜라겐입니다. 이의 상아질은 18%가 콜라겐이고 잇몸이나 치근막도 주로 콜라겐으로 되어 있습니다.
피부 표피 아래 있는 진피의 70%는 콜라겐(Collagen)이고, 손발, 톱 주성분인 케라틴은 구조적으로 콜라겐과 비슷합니다. 각종 내장의 구성에 콜라겐이 관여하고 있고, 관절 뼈와 뼈를 이어주고 있는 연골의 50%가 콜라겐입니다. 뼈의 유기물 중 80%가 콜라겐이고, 뼈와 근육을 이어주는 힘줄의 80%가 콜라겐입니다.
콜라겐(Collagen)의 역할 인간의 몸에는 대략 500만 종류의 단백질이 있는데 그 중 3 내지 4할을 콜라겐이 차지합니다. 그중에서도 피부의 7할은 콜라겐입니다. 또 뼈에 있는 콜라겐의 양은 뼈 중량의 20%를 차지합니다. 척추의 추간판과 무릎 등의 관절에 연골이 있기 때문에 유연하게 몸을 움직일 수 있는데 연골에는 콜라겐이 많습니다.
즉 콜라겐(Collagen)은 세포 사이의 접착제에 해당합니다. 인간의 뼈는 주로 칼슘과 콜라겐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인간의 뼈를 철근콘크리트 빌딩에 비유하면 철근에 해당하는 것이 콜라겐이며 콘크리트에 해당하는 것이 칼슘입니다. 최신의 연구에서는 마크로 파지와 림프구의 힘을 강하게 하여 면역작용의 힘을 높인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습니다.
콜라겐(Collagen)의 기능은 세포의 접착제의 기능과 세포의 증식작용의 기능과 몸과 장기의 구성 물질의 기능과 지혈작용의 기능과 세포기능의 활성화의 기능과 면역의 강화에 기능이 있다.
먹는 콜라겐(Collagen)과 피부의 관계는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몸의 흐름을 회복, 정상적인 기능을 되찾게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양질의 콜라겐을 적극적으로 섭취함으로써 몸속에 오래된 콜라겐과 교체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콜라겐은 오래되어도 보급만 해주면 새것으로 자연스럽게 교체가 됩니다.
이러한 콜라겐(Collagen)을 화장품으로 사용할 경우 각질을 보습하는 효과를 얻어 순간적으로 주름이 완화되고 촉촉한 느낌을 받지만 기미의 원인이 되는 진피까지는 도달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진피에 콜라겐을 공급하고 젊음을 되찾기 위해서는 먹는 것이 가장 빠른 길이라 할 수 있습니다.
피부노화와 주름이 생기는 원인 주름은 진피의 콜라겐(Collagen)과 탄력섬유의 손실로 인해 엘라스틴과 콜라겐의 변성에 의해 탄력성이 떨어지면서 생깁니다. 따라서 콜라겐을 충분히 공급해 주면 주름이 점차 사라지고 젊고, 탄력 있는 피부로 돌아가게 됩니다.
몸속의 흐름을 만드는 콜라겐은 소장에서 흡수된 영양소는 혈관을 통해 각 세포로 전해지는데, 모세혈관에서 나온 영양소는 콜라겐이 다리 역할을 해서 각 세포로 전해집니다.
또한, 노폐물도 콜라겐(Collagen)을 통해 혈관으로 운반되어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콜라겐은 몸 전체의 흐름을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미용과 건강에도 꼭 필요한 물질입니다.
콜라겐(Collagen)과 뼈는 콜라겐을 먹으면 골밀도가 낮거나 관절이 약한 사람이 가장 먼저 그 효과를 느끼게 됩니다. 뼈는 30%의 칼슘과 70%의 콜라겐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콜라겐 섬유에 칼슘이 흡착하여 형성됩니다. 콜라겐 섬유는 철골과 칼슘을 콘크리트로 하여 뼈라는 구조물을 만들어 냅니다.
철골(콜라겐 섬유)이 오래되면 콘크리트(칼슘)와의 결합력이 약해져서 건물(뼈대)이 붕괴 되는 것입니다. 콜라겐(Collagen)이 신선할 때는 칼슘 흡착률도 높지만, 콜라겐이 노화되면 흡착력이 떨어져서 뼈가 버석 버석한 상태가 됩니다.
또한, 물렁뼈의 50%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콜라겐으로 콜라겐이 노화하면 수분을 함유하기 어렵게 되고, 물렁뼈의 마모도 빨라져, 뼈 끼리 부딪치게 되므로 뼈의 모양이 바뀌거나 통증을 느끼게 되며, 다양한 관절 증상을 유발하게 됩니다.
관절에 콜라겐(Collagen)이 부족하면 관절염 유발되고 뼈에 콜라겐이 부족하면 골다공증 유발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콜라겐(Collagen)의 효능 피부의 신진대사 활성화 및 보습유지를 통하여 항상 탄력 있고 싱그러운 피부로 유지시켜줍니다.
면역기능을 강화되고 항암작용으로 암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관절을 튼튼하게 해주며, 관절기능이 강화되고, 관절 통증을 완화시켜 주며 관절질환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장내 수분함유를 증가시키고, 장(腸)의 연동운동을 촉진시켜 변비완화에 좋습니다.
3. 스테비아(stevia).
쌍떡잎식물(雙子葉植物) 초롱꽃목 국화(菊花)과의 여러해살이풀(허브) 학명 Stevia rebaudiana, 분류: 국화과. 원산지 파라과이,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의 국경 산간지, 자생지: 하천이나 습지대 주변, 크기 높이 70 내지 100㎝. 스테비아의 잎에는 단맛 물질인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를 함유하는 21세기의 천연 감미료로 세계가 주목하고 추출 발효물질로 미생물을 번식 토양정화에 이용하고자 국내 외 학자 및 연구자들이 연구하고 있다.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의 성분은 설탕의 약 200 내지 300배의 단맛이 있고, 칼로리도 설탕의 90분의 1로 낮아 다이어트에 효과적인 천연감미료다.
스테비아는 고온에 강하여 300℃의 열에서도 단맛을 유지하는 특성으로 고온을 필요로 하는 식품의 담백한 단맛을 위하여 사용하고는 첨가물이고, 강력한 항산화작용은 녹차에 비하여 5 내지 7배가 높은 것으로 악성 활성산소로 인한 현대인의 성인병(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비만 등)을 억제한다.
스테비아 형태 및 성상, 하천이나 습지대 주변에서 자란다. 뿌리는 원뿌리의 발달이 분명하지 않고 많은 곁뿌리와 막 뿌리가 있다. 생육 후기에는 굵은 뿌리가 발달해서 저장 기능이 생긴다. 뿌리 가까이 있는 숨은 눈에서 새 가지가 자라 해마다 새로운 줄기를 이룬다. 줄기는 곧게 서며 월동 중 줄기의 기능이 없어진다.
줄기 마디에 잎이 달리며 잎겨드랑이에서 가지가 돋는다. 잎은 마주나고 바소 꼴이며 길이 4 내지 10㎝, 나비 약 2.5㎝이다. 가는 톱니와 굴곡이 있고 잎맥은 3개이다. 잎자루는 없으며 포기 전체에 잔털이 난다.
꽃은 1송이에 5 내지 6개의 관상화가 모여서 피며, 자가 불화합성의 성질이 있다. 단일 식물이므로 단일 조건에서 꽃이 빨리 핀다. 종자는 결실률이 낮고 매우 작다. 종자 앞 끝에 부채 살 모양의 관 모가 있다. 번식은 종자나 꺾꽂이로 한다. 수확은 1년에 1 내지 2회 할 수 있으며 9월 상순과 중순이 적기이다.
현대 천연 단맛 물질 대두, 파라과이에서는 옛날부터 스테비아 잎을 감미료로 이용해 왔는데 요즘 높은 열량의 설탕을 과다하게 섭취함에 따라 비만 및 성인병이 문제가 되고, 또한 식품 및 의약품에 첨가물로 필요한 인공합성 단맛 물질이 발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보고에 따라 합성 감미료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단맛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어 새로운 단맛 자원으로 스테비아가 대두하게 되었다.
최근 합성감미료인 사카린의 유해성이 문제가 되자 다시 시선을 끌게 되었다. 감미료로 가치가 인정되어 차, 청량음료, 껌, 간장 등 다양한 감미료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에는 1973년에 일본으로부터 처음 들여왔으며 1976년에 100 내지 300M/T를 일본에 건조 잎으로 수출하였다.
작물 시험장에서 설탕 대체용 개발을 위하여 시험 재배를 해 한국에서 육성한 품종으로는 수원 2호(단맛 성분 12.2%)와 수원 11호(23%)가 있다.
친환경 농업 우수성 스테비아 농자재, 스테비아로 100년 전의 토지로 돌아갈 수 있다. 농약이나 다이옥신 등에 의해 독으로 되어버린 농지에 농업 자재인 스테비아 농축액과 스테비아 분말을 사용하여 스테비아 힘으로 농약이나 다이옥신을 제대로 분해하여 원래의 자연적인 논과 밭으로 복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농산물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농지까지 정화하는 자재는 일찍이 없었다. 농업 자재로는 스테비아 농축액과 분말 모두가 이용되어 각종 야채, 과일, 쌀 등의 재배에 당도를 높이고 수확량 증가 보존기간 향상이란 면에서 놀랄만한 효과를 올리고 있다.
스테비아 농산물의 브랜드는 시장에서도 환영받고 있으며 높은 평가로 인해 고가에 거래되며 친환경 스테비아 농법은 급속도로 확산 되고 있다. 스테비아 농산물이 전국에 재배되어 맛있는 농산물이 만들어짐에 따라 농가가 윤택해지고 농업과 식량에 혁명을 가져와 농업이 발전하고 국민 모두가 스테비아 농산물을 드시고 건강한 식생활은 물론 국가 의료비 절감을 가져와 세계농업 경쟁력에 우수성으로 실현되기를 바랍니다.
4. 구연산(Citric acid)
구연산(枸祁酸)은 과일의 씨나 과즙 속에 유리상태의 산으로 함유되어 있고 레몬이나 미성숙 매실(梅實) 감귤 종류에 많다. 1953년 영국의 한스 클렙스 박사는 구연산이 인체 젖산 축적을 막아 피로회복과 노화를 방지한다는 구연산 사이클 이론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구연산(Citric acid)은 체내에 들어온 음식물이 에너지로 변하는 과정(T C A cycle)에서 젖산(乳酸)의 과잉생산을 억제하고 탄산가스를 물로 분해시켜 체외로 배설하여 조기에 피로회복을 하고, 정신안정 작용을 하는 칼슘의 체내 흡수율(吸收率)을 높여 준다.
구연산은 세포 속에서 낡은 것을 밀어내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신진대사를 촉진 체액의 삼투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산과 알칼리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고 항체(抗體) 능력이 증가 되는 알칼리성 혈액을 갖게 한다.
매실 속에 있는 구연산은 직접 에너지대사에 관여하여 피로회복이나 신체에 활력을 주게 된다. 또 구연산은 철분과 결합하여 철분이 잘 흡수될 수 있도록 비타민C와 함께 상승기능이 있다.
구연산은 자연에 존재하는 동식물의 대사물질로서 감귤류에서 가장 많이 얻을 수 있는 유기산이다. 상쾌한 신맛을 나타내는 산 미제, PH조절제, 산화 방지제, 세제, 수렴제 등으로 식품, 의약, 산업용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음료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구연산은 1784년 레몬즙에서 최초로 결정체로 분리되었으며 그 후 글리세롤에서 합성을 하였고 현재는 전분이나 당밀, 조당 등을 곰팡이나 효모에 의하여 발효하여 만들고 있다.
구연산은 물 분자의 함유 여부에 따라 함수 구연산(Monohydrate)과 무수 구연산(Anhydrous)으로 구분되며, 구연산 나트륨, 구연산 칼슘, 구연산 칼륨 등의 염과 구연산 트리 에테르, 구연산 아세틸 등의 구연산 에스테르 등의 형태로도 이용된다.
구연산은 F D A에서 G R A 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로 규정을 한 안전한 식품 첨가물이어서 그 염 및 에스테르와 함께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구연산은 미국 F D A와 F A O, W H O (식량농업기구 세계보건기구) 전문위원회에 의하여 깊이 연구되어 왔으며, 구연산은 독성이 극히 낮으며 적당한 양을 섭취할 경우 건강에 해가 없다는 자료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미국 F D A는 구연산과 구연산의 일반염류를 G R A 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로 분류하고 있다.
또한, F A O, W H O 전문위원회의 10차 보고서에서는 구연산과 구연산 칼슘, 구연산 칼륨, 구연산 나트륨 등은 인체에 대하여 독성이 없다고 규정지어 일일섭취량에 아무 제한을 두지 않는다.
※구연산 사이클
T C A는 Tri Carboxyl Acid의 약자로 구연산을 의미하며 T C A사이클을 구연산 회로 또는 발견한 생화학자의 이름을 따서 크랩스회로라고도 한다.
T C A사이클은 피로회복과 노화방지에 관한 구연산의 의학적 연구로 1953년 영국의 HANS KLEBS 박사는 구연산이 인체 내 젖산 축척을 막아 피로회복과 노화를 방지한다는 구연산 크리브스 사이클 이론으로 노벨 의학상을 받았다.
구연산은 체내에 들어온 음식물이 에너지로 변화는 과정에서 젖산의 과잉생산을 억제하고 탄산가스를 물로 분해시켜 체외로 배설하여 조기에 피로물질을 없애고 정신안정 작용을 하는 칼슘의 체내 흡수율을 높여 준다. 그런데 구연산 사이클이 순조롭게 들어가지 않고 불안정한 연소에 의해 혈액 속에 유산이 축적되어 세포의 노화 질병의 근원인 어깨 결림, 변비 통, 요통 등의 증세가 나타나게 된다.
피로의 원인 물질인 유산이 쌓이면 혈액이 산성화되어 쉽게 피로가 온다. 구연산에는 유산을 분해하여 피로를 없애주며, 산성화된 인체를 약알칼리성으로 개선하여 성인병을 예방한다.
산소가 충분히 세포에서 공급 이용되지 못하면 흡사 공기가 부족하여 장작불이 꺼지는 것처럼, 세포의 생명력도 약해진다. 모든 성인병은 결국 세포의 생명력이 약해져 생긴다. 간세포가 약해지면 간염, 췌장 세포가 약해지면 당뇨병, 혈관 세포가 약해지면 중풍, 심장병, 고혈압 등 혈관계 질환, 조직세포의 극단적으로 약해졌을 때 암, 이와 같이 모든 만성 퇴행성 질병은 세포의 건강과 관련되어 있고, 그러므로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촉진을 위해서는 산소의 이용 상태가 매우 중요해 진다.
공기 중의 산소는 호흡을 통해 혈액에 흡수되며 혈액과 더불어 몸을 만드는 기본 단위인 세포로 운반된다.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려면 무엇보다 생명을 좌우하는 혈액의 질을 무시하고는 그 목적을 달성할 수가 없다. 맑은 혈액은 신선한 산소의 공급을 원활히 한다.
구연산은 세포 안에서 낡은 것을 밀어내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체액의 삼투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산과 알칼리의 균형을 이루어 항체능력이 향상된 약알칼리성 혈액을 갖게 한다.
혈류가 좋고 깨끗한 혈액으로 약알칼리성 체질을 유지하며 세포의 재생능력을 촉진하는 구연산의 섭취는 건강 식단에 필수적이다. 따라서 약알칼리성 혈액은 칼슘을 많이 포함한 혈액으로 혈류가 좋은 깨끗한 혈액으로 항체 체질을 갖게 하며, 산성(酸 毒化) 혈액은 칼슘이 부족한 혈액이며 혈류가 나쁘고 탁한 혈액으로 성인병 발병률이 높은 반 건강 체질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구연산은 약이 아니고 식품이면서 인체에 다음과 같은 도움을 준다.
1) 구연산을 섭취하면 크리브스 사이클의 출발물질이 되어 신진대사가 원활하여 짐과 동시에 인체 피로물질을 신속히 배출하고 혈액을 맑게 하여 순환을 도우며, 음식물의 완전 소화흡수, 자연치유력에 또한 최대한 도움을 준다.
2) 유산이 체내에 축적되면 세포가 노화되어 동맥경화증, 고혈압, 간장병, 류머티스성 등과 같은 성인병 및 노화현상을 촉진한다. 그러나 구연산으로 유산을 억제하면 칼슘 이온의 작용으로 유산을 분해하므로 성인병, 노화방지에 아주 좋다.
3) 혈액을 약알칼리성으로 유지하는, 즉 혈액을 맑게 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자연히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해주므로 신체의 모든 기능을 정상적으로 활동하게 한다. 인체 내 젖산 등의 피로물질을 분해하여 피로회복에 효과적이며 자연치유력을 최대한으로 해준다.
4) 만성신장병으로 신장의 기능이 저하, 부종, 고혈압, 전해질이상, 빈혈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그 정도가 심해 요독증에 이를 경우 신장의 기능을 최대로 증진시켜 노폐물이 쌓이지 않도록 도와주며 면역능력을 증진시킨다.
5) 좌골신경통, 요통 등의 통증을 완화해 주는데, 이는 약알칼리로 체질개선이 되기 때문이며, 맑은 혈액으로 혈액순환을 좋게 하여 자연 치유력이 최대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6) 숙취에 효과적이며 간 기능을 강화시킨다. 또한, 산성 혈액을 정화하여 강한 체질, 항체체질로 바꾸는 작용을 한다.
또 다른 이룬. T C A사이클. 구연산 사이클 이론은 인체 내에서 과일의 주성분인 구연산이라는 유기산에서 출발하여 여러 가지 유기산이 세포막에서 차례로 돌아가면서 생화학반응을 일으켜 우리 몸의 생존에너지 물질인 A T P 및 기타물질을 생성시킨다는 이론이다. 따라서 유기산 사이클이 순조롭게 회전되지 못하면 피로상태가 겹치고 신진대사가 원활치 못하여 동작이 우둔해지고 어깨 결림, 요통 같은 증세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예컨대 전분은 여러 가지 소화단계를 거쳐 구연산이 되는데 이때 약간의 에너지가 소모된다. 따라서 중간대사과정을 생략하고 직접 구연산을 투입하면 소화 및 대사과정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아끼게 돼 피로가 덜 생기게 되고 속도에 있어서도 구연산 복용 후 아주 이른 시간 안에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누구나 구연산 함유음료를 먹으면 피로가 빨리 회복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또 구연산은 일부 연구에 따르면 콜레라, 장티푸스, 인플루엔자, 파라티푸스, 발진티푸스, 이질균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반면 인체에 필요한 대장균은 죽이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병원성 식중독의 회복에 좋다. 물론 구연산의 농도가 진해야 하므로 음료수 몇 병 먹는다고 해서 산뜻한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또 다른 이룬. T C A사이클. 구연산은 레몬, 매실, 귤 등에 다량 함유되어 있어 구연산의 보고라 할 수 있다. 구연산은 위액과 파르틴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켜 입맛을 당기게 할 뿐 아니라 식품에 붙은 세균을 살균시켜 소화불량, 위장병을 없애준다. 또한, 장내의 활동이 원활해지고 장벽을 깨끗이 청소해줌으로 변비를 없애준다.
구연산 속에는 안디오텐신이란 변환효소가 있는데, 이 효소는 혈관의 수축작용에 관계하여 혈압을 낮춰준다. 이 효소의 혈압강하 작용은 혈압을 모두 낮춰주는데 획기적이다. 계속 술을 마시게 되면 알코올성 지방의 축적량이 많아져 간이 부어오르는 지방간이 된다. 구연산은 간장에 해로운 중성지방이 쌓이는 것을 막고 독소를 분해시켜 간장을 보호한다.
구연산에는 부신피질호르몬의 분비를 왕성하게 하여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술독과 담배로 인한 일산화탄소를 분해한다. 구연산은 정혈과 살균작용이 뛰어나므로 나쁜 피를 맑게 정화시켜 체외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피부와 혈액순환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알레르기와 가려움증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기미가 생기는 것은 과산화지질이 피부세포막을 파괴하기 때문이다.
구연산은 과산화 지질을 억제하고 세포의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기미의 원인인 멜라닌 색소를 배출시켜 버린다. 허리나 어깨가 아픈 것은 근육에 젖산이 고여 쉽게 피로해지기 때문이다. 식초, 구연산은 젖산을 분해시켜 근육을 유연하게 할 뿐 아니라 통증을 없애는 부신호르몬을 분비시켜 요통, 어깨 결림을 없앤다.
구연산은 과일의 신맛을 내는 유기산 속에 있고, 대표적인 과일은 사과, 귤, 레몬, 복숭아, 매실, 자두, 살구, 키위, 딸기, 포도, 오렌지, 구아바, 망고, 앵두, 버찌, 자몽, 파인애플, 라임 등
5. 함 초(鹹草, 鹽草)
학명 Saliconia herbacea L(퉁퉁 마디), 과명 명아주 과, 생약 함 초(鹹草), 속명 퉁퉁 마디, 심지(三枝), 염 초(鹽草), 복 초(福草), 신 초(神草), 염 니 초라고도 한다.
분포지는 우리나라 서해안의 염전 주변, 개화기 8 내지 9월, 꽃의 색은 황록색, 결실기는 9 내지 10월, 열매 길이 2밀리미터, 지름 15밀리미터의 까맣고 둥근 열매, 높이는 10 내지 30센티미터의 한해살이풀, 채취 봄, 여름, 가을, 가공법은 날로 즙을 짜거나 그늘에서 말려 가루 낸다.
함 초(鹹 草)의 성분(단위: ㎎/100g) 칼슘(Ca) 417.84, 요오드(I) 8.12, 염소(Cl) 8.23, 마그네슘(Mg) 304, 구리(Cu) 0.55, 비타민(B1) 0.11, 칼륨(K) 940, 니켈(Ni) 0.78, 비타민(B2) 0.14, 철(Fe) 50.63, 크롬(Cr) 0.14, 비타민C 3.90, 인(Fe) 64.4, 코발트(Co) 0.12, 비타민 E 0.15, 망간(Mn) 2.7, 바나듐(V) 0.10, Niacin 0.52, 아연(Zn) 1.9, 나트륨(Na) 5.23, Folic acid 0.08. 등이다.
함 초(鹹 草)는 우리나라 서해안 개펄에 자라는 한해살이풀로 우리말로는 퉁퉁 마디라고 부르며, 전체 모양이 산호를 닮았다 하여 산호초라고도 한다.
바닷물과 가까운 개펄이나 염전 주변에 무리 지어 자란다. 줄기에 마디가 많고 가지가 1 내지 2번 갈라지며 잎과 가지의 구별이 없다. 잎은 다육질로 살이 찌고 진한 녹색인데 가을철이면 빨갛게 변한다. 꽃은 8 내지 9월에 연한 녹색으로 피고 납작하고 둥근 열매가 10월에 익는다.
함 초(鹹 草)는 그 이름대로 맛이 몹시 짜다. 함 초는 거의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소금을 흡수하면서 자라는 식물이다.
중국 최고의 의학책인 신농본초경에는 함 초로 일본의 대화본초에는 신 초(神 草) 또는 복 초(福草) 염 초(鹽 草)로 기록되어 있는 이 풀은 몸 안에 쌓인 독소와 숙변(배변, 배뇨)을 없애고, 암, 궁 근종, 축 농 고혈압, 저혈압, 요통, 당뇨병, 기관지천식, 갑상선기능저하, 갑상선 기능항진, 피부병·관절염 등 갖가지 난치병에 탁월한 치료 효과를 지니고 있는 놀라운 약초이다.
함 초(鹹 草)는 육지에 자라면서도 바닷물 속에 들어 있는 갖가지 미네랄과 효소 성분이 농축되어 들어 있다. 바닷물에는 칼슘, 칼륨, 마그네슘, 철, 요도, 인 등 수십 가지의 미량 원소와 갖가지 독소와 효소로 녹아 있는데 함 초는 인체에 유익한 미량 원소와 효소를 흡수하면서 자란다.
바닷물 1톤 속에 1그램이 들어 있는 효소는 바닷물 속의 갖가지 유기질을 분해하여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함 초에는 이 바닷물의 효소가 다량 농축되어 있는데 이 효소가 사람의 몸 안에 쌓인 갖가지 독소를 없애고 숙변을 분해하여 몸 밖으로 배출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육지에서 생육하는 수많은 식물 중에 함 초는 아연을 가장 많이 함유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고, 아연은 생식기의 기능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므로 남녀의 기를 증진시키고 함 초의 수많은 유익한 성분은 성인병을 예방하는 기능이 있다.
6. 찹쌀(米)
찹쌀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곡물이고 찹쌀에는 광물질과 비타민이 풍부해서 불균형한 영양소를 조절해주며 뼈를 튼튼하게 하는 작용의 비타민D등이 들어 있고 대장에서의 발효과정에 낙산(酪酸)이 생겨나 대장암의 발생을 억제하며 혈 중 콜레스테롤을 낮추어주고 수분 유지 력 이 커서 변비를 막고, 인슐린 분비는 조절, 비만, 고혈압, 동맥경화증 등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신경활동증진 작용에 중요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신경의 활동을 강하게 하고 찰 현미는 영양분이 천연으로 잘 혼합되어 있는 쌀로서 찰기가 있으므로 잡곡밥에는 찹쌀을 혼합해서 밥을 하는 것이 좋다
찹쌀 미음은 오랫동안 설사하던 환자에게 지사제도 되고, 마시는 링거(영양소) 역할도 겸하여 위궤양으로 동통이 있을 때에는 연한 식품으로 위 점막 보호 약이 되며, 불면증에는 숙면제의 구실도 하고 마른 가래가 꽉 차 있을 때에는 거담제로도 응용되며, 산모의 젖이 부족할 때 모유대용도 되고 산모가 마시면 젖의 양을 늘리기도 하며, 만성 변비 중에 상용하면 배변제의 약도 되고 병후회복에도 도움을 주며, 토사 곽란에 명약으로 쓰이고 노인의 귀 울림에 찹쌀 미음으로 종합비타민 한 알씩 복용하면 가벼운 난청 증이 가시며, 굶주리고 허약할 때 찹쌀 미음의 효과는 크고, 찹쌀죽은 성질이 따뜻하고 달아, 땀이 많이 나고 설사를 자주 하는 사람, 위장이 약해서 늘 속이 거북한 사람, 소화기능장애로 조금만 먹어도 배가 부르고 트림이 나오는 사람이 찹쌀죽을 자주 먹으면 소화기능을 정상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볶아서 먹으면 설사를 가라앉히는데 효과가 있으며, 떡으로 만들어 먹으면 힘없이 소변을 자주 보는 노인병 증상이 개선되고, 찹쌀로 밥을 하고 나서 뜸을 들일 때 생기는 진한 미음은 특히 소음인 체질의 위장병 환자들에게 좋으며, 찹쌀은 위벽을 덮어주는 역할을 하는데, 식사 1 내지 2시간 후에 속이 쓰리면 위궤양 또는 십이지장궤양 가능이 높으므로, 이럴 때 찹쌀떡을 먹어보면 속이 쓰린 증상이 나아질 수 있다.
찰벼 짚 뿌리를 태워 장복하는 것은 당뇨병에 민간약으로 술을 빚어 마셔도 같은 약효를 얻을 수 있으며, 찹쌀 겨를 태워 치약과 함께 양치를 하면 황이나 흑 치가 하얗게 되고, 찹쌀은 기질적으로 양인보다는 음인에게 잘 맞는 식품으로,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이 찹쌀을 너무 많이 먹으면 오히려 소화 장애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점미(粘米), 떡쌀이라고도 하며 성질이 온화하고 맛은 쓰며 독이 없고, 성분은 수분이 13.2%이고 당질 74.7g, 단백질 8.7g, 지방 1.2g, 섬유질 1.2g, 회분 1.0g, 인 250㎎, 칼슘 42㎎, 철 1.3㎎, 비타민 B1 0.03㎎, B2 0.15㎎, 니아신 5.7㎎ 등이 들어있고, 기력을 불어 넣어주는 온화한 보양 식품으로, 비위(脾胃)의 기능을 튼튼히 하고 양기를 도우며, 기아를 견디게 하나 조금씩 자주 먹는 것이 좋으며, 위장이 약해 설사가 심하면 콩을 조금 넣어 죽을 쑤어 먹으면 효과를 본다.
7. 튀김가루
밀가루, 소맥 전분, 정제염, 백설탕, 변성전분으로 가공한 튀김용 가루로, 종류에 따라서는 계란을 함유하는 것도 있다. 영양성분은 1인 분량 (100g)을 기준으로 칼로리(㎉) 340, 탄수화물 76g, 단백질 5g, 지방 2.0g, 나트륨 950㎎ 영양성분이 있다.
튀김가루를 소 맥분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와 튀김 가루 100%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사용 목적에 따라 혼합의 량을 결정하나 품질향상을 위하여서는 사용하는 것이 좋다.
8. 생강가루
아시아 남동부가 원산지로 추정되며, 뿌리줄기가 향기롭고 톡 쏘는 맛이 있어 음식의 양념·향료나 약품 등에 쓰인다(향신료). 속명(屬名)인 징기베르(Zingib -er)다. 그리스어 징기베리스(zingiberis)에서 유래했는데, 징기베리스는 산스크리트 향신료 이름인 singabera에서 나왔다.
중국과 인도에서는 고대부터 사용해왔으며, 1세기경에 상인들이 지중해 지방으로 가져갔고 11세기경 영국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스페인인들이 서인도제도와 멕시코를 정복한 후 바로 생강을 가져갔으며, 1547년경에는 생강이 산티아고에서 스페인으로 수출되었다.
잎같이 생긴 줄기는 키가 1m 정도로 자란다. 잎은 줄기를 둘러싸고 있는 잎 집에서 나오는데, 길이가 15 내지 30㎝이고 길쭉한 잎 2장이 수직으로 어긋나 있다. 꽃은 두께가 약 2.5㎝, 길이가 4 내지 7.6㎝이며, 가장자리가 노랗기도 한 녹색의 포(苞)가 겹쳐져 있는데, 각각의 포가 1송이의 작은 황록색·자주색 꽃을 둘러싼다. 생강은 주로 뿌리줄기를 꺾꽂이하여 번식하며, 수확할 때는 뿌리줄기를 흙 속에서 들어올려 깨끗이 씻은 뒤 햇볕에 말리는데, 그 모양이 가지를 치거나 손바닥처럼 갈라져 일정하지 않다.
색깔은 어두운 노란색에서 밝은 갈색, 희미한 담황색 등으로 다양하다. 생강은 코르크층으로 되어 있어 잘 벗겨지지 않는데, 부분적으로 벗겨지기도 하며 긁어내면 코르크층, 표피층, 피하 층이 모두 벗겨진다.
생강은 2% 정도의 정유(精油)를 함유하는데, 그 주성분은 진지베린(zingibe -rene)이며, 진제론(zingerone)은 얼얼한 맛을 낸다. 정유를 추출해 식품과 향수 제조에 이용한다. 향신료로서 생강은 약간 쓴맛이 나며 보통 말려 갈아서 빵, 과자, 카레 요리, 소스, 피클, 진저오일 등에 이용하며, 신선한 뿌리줄기인 풋생강은 요리할 때 쓴다.
껍질을 벗긴 뿌리줄기는 끓여서 시럽에 넣어 절이기도 하며, 일본을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는 입맛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얇게 썰어 식사 중에 먹는다. 생강은 고창(鼓脹)과 복통을 치료하는 약재로도 쓰이고 살균작용으로 식중독을 예방하고, 고기 및 기름의 향미를 개선하는 향신료로 사용한다.
생강은 음식의 감칠맛을 살리는 향신료뿐만 아니라 한방 처방에서는 빠질 수 없는 약재로도 다양하게 활용된다. 각종 처방에 생강을 넣는 것은 기운을 흩어지게 하는 성질이 있어서 약물 효과가 빨리 전달되도록 하고, 아울러 해독시키는 작용도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아로마요법의 한 방법으로 생강이 활용되고 있는데 유칼립투스나 라벤더와 배합하여 그 증기를 흡입해 기관지염이나 코 염증을 완화한다고 한다.
영양성분 함량 수분 81.7%, 단백질 2.2g, 탄수화물 14.3g, 칼슘 20㎎, 인 14㎎, 비타민C 5㎎. 등이다.
9. 콩가루
학명은 Glycine max MERR. 이다. 일반적으로 콩 또는 대두라 부르지만 종실의 크기에 따라 큰 것은 왕 콩, 중간 것은 중 콩, 작은 것은 좀 콩, 쥐 눈이 콩, 나물 콩, 기름콩, 콩나물 콩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그리고 콩의 입 색(粒色)에 따라 흰콩, 누런 콩, 푸른 콩, 밤콩, 검정콩, 얼룩 콩, 선비 제비 콩, 대알 콩, 아주까리 콩 등으로 불린다. 한자어로는 대두(大豆), 숙(菽), 융숙(戎菽), 황두(黃豆), 원두(元豆), 두자(豆子), 태(太) 등으로 쓴다.
콩은 발아할 때 발생한 한 개의 어린 뿌리가 자라서 곧은 뿌리인 원뿌리가 되며, 여기에서 많은 곁뿌리가 발생하고, 뿌리에는 많은 뿌리혹이 착생한다. 뿌리혹 속의 뿌리혹박테리아는 공중 질소를 고정하고, 이것을 이용한다. 따라서 뿌리혹의 착생이 좋아야 콩의 생육이 좋고 수량이 증대된다.
콩의 줄기는 둥글고 목질화되어 굳으며 속이 차 있고, 신육습성(伸育習性)에 따라 유한신육형과 무한신육형으로 구별되고, 원줄기의 장단, 분지의 장단·수·각도·방향 등에 따라 광초폭형(廣草幅型)과 협초폭형으로 구별된다.
콩의 원줄기 첫째 마디에는 떡잎, 둘째 마디에는 초생단엽(初生單葉)이 마주나고, 셋째 마디부터는 정상 복 엽이 어긋난다. 콩의 잎은 취면운동(就眠運動:잎이나 꽃이 밤이 되면 아래로 처지거나 오므라드는 운동)을 한다.
줄기의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꽃송이가 착생하며, 한 개의 꽃에는 열 개의 수술과 한 개의 암술이 있다. 원줄기에서는 3 내지 5마디, 하위의 곁가지에서는 4, 5마디, 상위의 곁가지에서는 1, 2마디의 꽃부터 개화하고, 한 개의 꽃송이에서는 밑의 꽃부터 개화하며, 자가수분을 하지만 자연교잡도 이루어진다.
총화 수(總花穗 이삭 모양으로 피는 꽃)에 대한 정상협수(正常莢數 정상적으로 맺힌 열매의 숫자)의 비율을 결협율(結莢率)이라 하는데, 콩의 결협율은 20 내지 45%에 불과하다.
결협율을 조장(助長)하려면 영양조건을 개선하여야 한다. 콩의 열매를 보면 꼬투리에 접착되었던 부분인 배꼽의 양쪽에 주공(珠孔)과 합점(合點 밑씨와 그 밑씨를 부착시키는 자루인 胚柄과의 부착 점)이 있고, 씨껍질에 싸여 있는 떡잎과 씨눈이 있으며, 떡잎이 열매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씨 젖〔胚乳〕은 거의 퇴화되어 무배유종자를 형성한다. 콩은 품종에 따라 열매의 크기, 입 색, 배꼽 색, 피분(被粉) 등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어떤 식물의 야생종, 중간 종, 재배종이 가장 많은 곳을 그 식물의 발상지로 삼는다. 이 조건에 맞는 콩의 원산지는 중국의 동북부, 곧 만주라고 보는 것이 통설이다. 일부에서는 중국 남부를 콩의 원산지라 주장하기도 하나, 중국의 앙소·용산 문화유적에는 콩이 나타나지 않고, 관자(管子)에 제(齊)나라 환공(桓公)이 만주지방에서 콩을 가져와 중국에 보급시켰다는 기록이 있다.
또 함경북도 회령 군 오동의 청동기시대유적에서 콩이 출토된 점 등으로 미루어 콩의 원산지는 만주, 곧 옛 고구려 땅이라 할 수 있다. 일본에는 우리나라를 거쳐 전파되었다고 하는데, 일본에서의 재배역사는 약 2,000년이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콩의 어린 풋 대 콩은 삶아서 먹고, 완숙한 콩은 콩밥, 콩자반, 콩설기 떡, 콩엿 등을 만들어 먹는다. 또, 두부, 비지, 된장, 간장, 콩나물, 콩기름 등으로 가공하여 먹기도 하고, 인조기름, 인조고기 등을 만들기도 한다. 콩기름은 각종 공업원료로 이용되며 최근에는 두유의 원료로 많이 소비되고, 고소한 향미는 식욕을 도우고 건강 웰빙 식의 주원료로 대단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콩의 영양성분 조성은 단백질이 40% 지방이 20% 정도를 차지하며 탄수화물은 25% 정도 함유돼 있다. 또 비타민 무기질 외에도 인지질, 사포닌 이소플라본, 피트 산 등의 생리활성 물질들도 포함돼 있다.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 F D A는 콩 단백질을 함유한(6.25g%이상) 식품은 건강한 심장을 위해 좋다고 권장하고 있다.
10. 녹차 가루
기 원지는 미얀마의 이라와디강 원류 지대로 추정되며 그 지역으로부터 중국의 남동부, 인도차이나, 아삼 지역으로 전파되었다.
한국에 차가 전래한 시기는 신라 선덕여왕 때인 7세기이지만 직접 재배하게 된 것은 828년(흥덕왕 3) 사신 대렴(大廉)이 당(唐)나라에서 중국산 소엽종(小葉種) 종자를 가져와 지리산에 심으면서부터이다.
차의 품종, 찻잎 따는 시기, 재배법에 따라 다르나 대체로 카페인을 주로 하는 퓨린염기, 타닌산, 단백질, 아미노산, 아미드, 탄수화물로서 당(糖)·덱스트린·녹말, 셀룰로오스, 펙틴, 식물색소로서 엽록소·카로티노이드, 플라보놀유도체, 안토시안, 그 밖에 정유(精油), 납 질, 수지류(俊脂類), 유기산, 효소, 비타민, 무기성분 등으로 되어 있다. 이들 성분 가운데서 차의 품질과 맛에 관계가 깊은 것은 카페인, 타닌산, 아미노산, 정유 등이다.
녹차의 중요한 것은 엽록소로서 평균 0.6%가 함유되어 있다. 비타민C가 많아 양질의 차 한잔에는 5 내지 6㎎이 들어 있으며, 그 밖에 미네랄류, 칼륨, 칼슘, 망간·불소 등이 함유되어 있다.
녹차 가루는 녹차를 가공하여 분쇄한 것으로 차로 마시는 것보다 가루로 먹는 것은 유성(油性)성분과 수성(水性)성분을 모두 흡수하는 것으로 효과적이고 녹차는 인체의 항산화를 방지하는 기능과 기름의 상패(酸敗)를 방지하고 향미를 개선하는 효과가 크다.
11. 다시마
다시마에는 카로틴류·크산토필류·엽록소 등의 여러 가지 색소 외에 탄소 동화작용으로 만들어지는 마니트·라미나린 등의 탄수화물과 세포벽의 성분인 알긴산이 많이 들어 있고, 요오드·비타민 B2·글루탐산 등의 아미노산이 들어 있다.
성분은 종류에 따라서 다르지만, 대체로 수분 16%, 단백질 7%, 지방 1.5%, 탄수화물 49%, 무기염류 26.5% 정도이며, 탄수화물의 20%는 섬유소이고 나머지는 알긴산과 라미나린 등 다당류이다. 특히 요오드·칼륨·칼슘 등 무기염류가 많이 들어 있으므로, 다시마를 조금씩 자주 먹는 것은 무기염류의 공급을 위해서 좋다. 다시마에 들어 있는 라미닌이라는 아미노산은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다시마의 영양적 특성.
1) 회분이 많아 강력한 알칼리성 식품이다. 특히 다시마 중의 회분은 소화율이 높아 79%나 되어 우유 중의 회분 소화율 50%보다도 훨씬 높다.
2) 칼슘의 함량이 높다. 칼슘이 많더라도 멸치같이 인산의 함량이 더 많은 것은 칼슘의 이용률이 떨어진다. 사람은 생리적으로 칼슘을 인보다 2배나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일반 곡류나 육류는 칼슘보다 인의 함량이 훨씬 높다.
3) 요도가 크다. 요도가 부족하면 목밑샘 호르몬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게 된다. 이 호르몬은 갑상선이라고 하는데 지방 대사의 필수적인 구실을 한다.
4) 칼슘과 요도 그밖에 알칼리성 무기질이 많아 고혈압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다시마 속에 들어 있는 염기성 아미노산인 라미닌이라는 성분이 혈압을 내리게 하는 작용이 있음이 최근에 알려지게 되었다.
다시마는 풍부한 영양소에 의하여 건강식품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향미를 개선하는 국물의 담백(淡白)한 맛을 높이는 주원료로 사용한다.
12. 통깨.
옛날부터 씨를 얻기 위해 재배해왔는데, 씨는 식품과 조미료로 만들었으며 품질 좋은 기름을 추출했다. 중동과 아시아 요리에서는 씨를 통째로 광범위하게 쓰고 있다. 참깨는 아시아 또는 동아프리카가 원산지로 추정되나 지금은 세계적으로 대부분 열대, 아열대, 남반구 온대 지역에서 심고 있다.
이집트인들은 씨를 갈아 가루로 만들어 썼다. 중국인들은 5,000년 전부터 참깨를 이용했는데, 수세기 동안 기름을 태워 나온 그을음으로 가장 품질이 뛰어난 먹을 만들었다. 로마인들은 씨를 커민과 섞어 간 뒤 가루 반죽에 뿌려 빵을 만들었다.
참깨는 신비스런 힘을 가진 것으로 간주하였으며 지금도 마력을 지닌 것으로 여기고 있다. 생육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변종은 키가 0.5 내지 2.5m 정도 자라는데, 가지가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다.
꽃은 잎겨드랑이에 1 내지 3송이씩 핀다. 껍질을 벗긴 씨는 크림색 또는 진줏빛의 흰색이고 길이가 약 3㎜이며 편평한 달걀 모양이다. 씨방 벽은 마르면 벌어져 씨가 흩어져 나오기 때문에 참깨를 수확할 때는 매우 조심스럽게 손으로 작업해야 손실을 막을 수 있다. 20세기 중반 씨가 흩어져 나오지 않는 변종이 개량되어 참깨를 기계로 수확할 수 있게 되었다.
참깨를 한자로 호마(胡麻)라고 하는데, 호마를 통일신라시대에 재배했다는 기록이 있는 점으로 보아 한국에서도 아주 오래전부터 재배한 것으로 추정된다. 주로 기름을 짜는 데 쓰는데, 기름을 짜고 난 깻묵은 사료로도 쓰인다.
꽃은 연한 보라색으로 늦여름에 잎 사이에서 피며, 오동나무 꽃과 비슷하다. 열매는 삭 과(果)로 익으며, 네모난 모양이다. 주요품종으로는 해남, 안동, 수원 11호, 수원 9호 및 최근에 육성된 수원 21호, 풍년 깨와 광산 깨가 있는데, 품종에 따라 재배지역이 다르다. 물이 많거나 잘 빠지지 않는 곳에서는 재배하기 힘들며, 생육기간 중 높은 기온과 햇볕이 좋은 지역이 참깨 재배에 좋다.
참깨와 검은 참깨는 성분이 대부분 동일하다. 참깨에는 지방성분이 약 50% 정도 되는데, 이 지방만 추출하기 때문에 칼로리가 높아서 밥숟가락으로 하나가 100㎉가 넘으니까, 다이어트 하시는 분들은 조심하시는 것이 좋다. 참기름에도 세서미놀 형태로 리그난 성분이 들어있어서 갱년기 예방에 도움이 되고, 또 감마 토코페롤과 세사몰 등 천연 항산화제가 식물성 기름 중 가장 많은 양이 들어있다.
지방도 불포화지방산인 리놀레산이 50%, 올레인산이 35% 들어있어서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좋으니까, 한 번에 많은 양 드시기보다는 식사 때마다 조금씩 자주 드시면 갱년기 증상 예방뿐만 아니라, 건강증진에 여러모로 좋다.
참깨는 수확하여 침 지 세척으로 부유물과 제거하고 세척하여 100℃에서 볶아 똑똑 튀는 소리가 나고 고소한 향기 풍길 때 냉각하여 기름을 짜 참기름으로 사용하고 분쇄하는 것은 참깨가루로 음식에 살포하여 사용하고 통깨로 밀폐용기에 저장하여 음식에 살포하여 향미를 도우는 영양첨가물로 사용한다.
13. 검은 깨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깨 중에서도 검정참깨인 흑 임자를 불로장수의 식품이라 하여 귀중하게 여겨왔고 선약(仙藥)이라 취급되어 왔다. 그런데 최근에 검은깨인 흑 임자에 M-100이라는 새로운 물질이 발견되었다.
M-100은 새로운 항산화 물질로서 암 억제 작용을 하는 임상보고서가 발표되면서 학계의 인정을 받고 있다. 동물실험 보고서에 의하면 피부암 억제능력 60%, 위장 암 억제능력 85%, 폐암 억제능력 75%로 나타나 인간의 암 예방식품으로 인정되고 있다.
검정참깨의 영양성분 오랜 옛날부터 우리 민족이 즐겨 먹고 있는 조미료일 뿐 아니라 보약의 한 가지이다. 단백질 19.65%, 지방 44.15%, 유기물 19.43%, 재 성분 20.12%, 수분 6.65% 들어 있다. 참깨의 지방성분에는 올레인산이 48%, 리놀산이 37%, 팔미트산 8%, 스테아린산이 5%, 이 밖에 피로스테린, 세사민 등이 들어있다. 비타민으로는 비타민 B1, 비타민 E가 많다.
따라서 참깨는 만성위장염, 신경염, 고혈압, 변비, 강정, 빈혈 등에 대한 효과가 뛰어나다. 장복하면 갖가지 효력을 거둘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초학에 의하면 참깨는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며 피부와 머리카락을 윤택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14. 비타민C(Ascorbic acid)
비타민C는 강력한 생물학적 환원제로 작용하고 콜라겐 형성, 도파민, 노에피네프린, 트립토판 등 신경전달물질의 합성, 카르니틴과 스테로이드 합성, 철의 흡수, 면역기능, 상처회복과 그밖에 엽산, 아미노산, 노클레오티드, 콜레스테롤, 포도당 대사에도 관여한다.
비타민C가 결핍되면 모세혈관이 쉽게 파열되고 피부, 점막, 내장기관, 근육에서 출혈이 생기며 체중감소, 면역기능감소, 상처회복지연, 고지혈증 빈혈 등이 나타난다.
비타민C의 급원은 채소와 과일류이며 특히 높은 식품으로는 풋고추, 고추 잎, 피만, 케일, 양배추, 시금치 등의 야채와 키위, 오렌지, 딸기, 토마토 등 과일이 있다.
우리나라 국민 1인 1일당 비타민C 섭취권장량의 155%로 평균치를 보면 충분하나 아직도 조사대상 가구의 21.5%가 권장량의 75% 미만을 섭취하는 것으로 보아 도시 저소득층과 노인의 경우 비타민C의 섭취가 불량하리라 예상된다.
우리나라 성인의 비타민C 권장량은 남녀 구별 없이 70㎎으로 설정되었다. 임신부에게는 15㎎을 추가로 권장하며 수유(授乳)부에게는 권장량을 90㎎으로 권장(勸) 하고 있다. 영아(兒)를 위한 비타민C 권장량은 35㎎, 1 내지 9세는 40㎎, 10 내지 15세는 50㎎, 16 내지 19세 이상 활동하는 성인은 70㎎으로 설정하였다.
비타민(Vitamin)C의 구체적인 기능으로 비타민은 우리 체내에서 생리적 대사기능의 조절로서 매우 중요하다. 비타민은 매우 적은 양으로도 체내에서 물질대사를 위한 촉매 작용을 하며 분해나 합성의 화학반응을 원활하게 하도록 촉진하여 생리기능의 조절을 한다.
이렇게 중요하고 꼭 필요한 것이지만 체내에서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식물에서 섭취하지 않으면 안 되는 유기화합물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의 신체를 형성하고 유지해 나가기 위한 에너지원으로는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등의 영양소가 있다.
이것들은 인간의 신체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인데 이들 영양소의 생체 내에서의 대사를 촉진하고 영양원으로서의 역할을 보조하는 일은 비타민이 담당하고 있다. 비타민의 활동이 있어야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의 3대 영양소가 순조롭게 생체 내에서 작용하며 뼈와 피 그리고 근육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비타민은 이와 같이 미량이기는 하지만 생체 내에서의 화학반응을 원활히 하는 윤활유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윤활유가 감소하거나 없어지거나 하면 여러 가지 장애가 발생한다.
비타민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하며 생명도 좌우하는 필수영양소라는 것은 많은 연구에 의해 서서히 밝혀지고 있다. 그리고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해명됨에 따라 생체가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생명현상으로 연결 지어지는 것으로 되고 있다.
비타민C는 산화를 방지하여 갈변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제조물의 천연색을 보존하기 위하여 비타민C의 수용액에 삶는 방법을 이용하는 다기능 비타민으로 우리와 함께하는 비타민으로 채소류에 많이 있다.
폴란드의 훔크라는 과학자에 의해 1912년 비타민이라고 명명한 후 현재 약 20종류의 비타민이 발견되었다. 비타민을 나타내는 단위로는 ㎎과 I. U(국제단위)로 나타낸다.
최근 국내 대학에서 비타민C 효능에 대하여 새로운 논문을 발표하여 비타민C의 가치를 제시한 내용은 식이섬유와 함께 섭취하면 체중감량 1.5배 이루어진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표했다. 주요내용은 비타민C는 피로회복, 노화방지 같은 알려진 효능 외에 다이어트에 직간접으로 영양을 끼친다는 것을 밝혀낸 것에 의미가 있다고 설명한다.
이번 연구결과를 보면 고용량의 비타민C 섭취가 별도 식이 운동법 없이 체중을 감량시키며 식이섬유와 함께 섭취할 경우 비타민C가 체중감량 효과를 1.5배 이상 항상 시킨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는 체지방이 28% 이상 되는 비만 대학생 71명을 5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8주간 비타민C 1일 2g, 키토산 1일 3g, 차전자피 1일 10g를 단독으로 섭취하게 하거나 혼합 섭취하게 하여 실험자의 체중과 체질량(B M I) 지수 변화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실험결과 비타민C만 섭취한 집단은 평균 0.9㎏의 체중이 감량해 비타민C를 단독으로 복용하는 것만으로도 체중감량의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 카토산과 비타민C를 혼합하여 섭취한 경우에는 4.1㎏의 감량을 기록해 키토산을 단독 복용했을 때 체중감량 2.6㎏보다 그 효과를 1.5배 배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타민C 2g는 시중의 비타민C 음료의 3 내지 4병 정도의 분량에 해당한다는 것과 식이섬유라도 동물성 키토산과 비타민C의 혼합물이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동물 실험에서도 비슷하게 결과를 확인했고, 비타민C 복용방법은 정제보다 액상으로 복용하는 것이 인체에 흡수가 빠르다고 고려대 서형주 교수는 발표하고 있다.
15. 고추(苦椒 Capsicum annuum) 가루 및 실
가지 과(―科 Solanaceae)에 속하는 1년생 초. 줄기에서 많은 가지가 나오며 키가 80㎝까지 자라기도 한다. 잎은 어긋나는데, 잎 끝과 잎 밑이 뾰족하고 잎가 장 자리는 밋밋하다. 잎자루는 길다.
꽃은 통꽃으로 하얀색을 띠며 여름에 잎겨드랑이에서 1송이씩 밑을 향해 피는데, 꽃부리가 5갈래로 갈라져 접시처럼 보인다. 꽃받침은 끝만 얕게 5갈래로 갈라져 있다. 수술은 5개이고 꽃밥은 노란색이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원뿔처럼 생긴 장과(漿果)로 초록색을 띠다가 붉게 익으며, 길이는 보통 5㎝ 정도이지만 이보다 길어지기도 한다.
원래 남아메리카에서 자라던 다년 생 초이나 우리나라에서는 1년생 초로 널리 심고 있다. 언제부터 우리나라에서 심기 시작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은데, 담배와 거의 같은 시기에 일본과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고추는 따뜻한 곳을 좋아해서 16 내지 30℃ 정도에서 잘 자라며 이보다 추운 곳에서는 잘 자라지 않는다. 또한, 토양이 기름지고 물이 잘 빠지는 곳에서 잘 자라는데, 고추씨를 바로 밭에 뿌려서 가꾸면 늦게 익으며 열매 수도 적어지므로 온상에서 모종을 기른 다음 밭에 옮겨 심고 가꾼다. 5월 중·하순에 밭에 옮겨 심고 있다. 고추는 8월 하순부터 11월에 걸쳐 수확하고 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는 11월부터는 포기째 뽑아서 고추를 딴다. 고추는 햇볕에 말리거나 불을 지펴 60℃보다 조금 낮은 온도가 되게 한 다음 말린다.
고추는 햇볕에 말리는 것이 상품으로 향미가 우수하다. 분쇄한 고춧가루의 입자 크기에 따라 용도도 다르므로 김장고춧가루 고추장고춧가루 매운탕고춧가루 무침고춧가루 등으로 분리하여 조리하는 음식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고 부각에 매운맛으로 사용하는 고추는 상품으로 고추장고춧가루 즉 고운 가루를 사용한다.
한방에서는 고추 열매를 번 초(蕃椒) 또는 당신(唐辛)이라고 하여 열매를 달인 물에다 동상에 걸린 곳을 씻어 동상의 치료나 예방에 쓰고, 고춧가루를 신발이나 양말 안에 넣어 피가 잘 통하게 하며 신경통이나 근육통의 치료제로 쓰기도 한다. 고추는 흔히 남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옛날에는 고추와 숯을 새끼에 꼬아 대문 위에 걸어두어 그 집에서 아들을 낳았음을 알리기도 했다.
고추는 옛날부터 사람들이 써왔기 때문에 많은 품종이 만들어졌다. 고추의 매운맛은 품종마다 조금씩 다른데 캅사이신(capsaicin)이라고 하는 물질이 들어 있기 때문에 매운맛이 난다. 이 물질은 소화관의 운동을 촉진하고 위산 분비를 촉진시켜 소화가 잘되게 하지만 고추를 너무 많이 먹으면 위산 분비가 억제된다.
고추는 크게 말린 고추로 쓰는 종류들과 풋고추로 쓰는 종류 2가지로 나눈다. 말린 고추를 쓰는 종류들로는 재래종과 일본에서 만들어진 본응(本鷹)·달마(達磨)·고신(高信)·웅응(熊鷹)·소팔방(小八房)·장팔방(長八房) 등의 품종들이 있으며 풋고추로 쓰는 종류들로는 일광(日光)·복견신(伏見辛)·불암(佛岩)하우스 풋고추 등이 있다.
그 밖의 품종으로는 외국에서 들어온 피망이 있으며 열매를 먹기 위해서가 아니라 감상하기 위해서 심는 아기 고추·아우로라고추·노랑고추·무늬 잎 고추·화초 하늘 고추 등이 있다.
고추의 매운맛은 알칼로이드의 일종인 캡사이신(Capsaincin)이란 휘발성 물질로서 과 피에는 비타민A와 비타민C가 대량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헝가리의 과학자 알버트기오르기 박사가 Bio flavonoid를 발견하여 노벨상을 받기도 했다.
고추 100g당 영양함량 에너지(㎉) 294, 단백질(g) 10.9, 지방질(g) 15.2, 칼슘(㎎) 123, 비타민A(I.U) 7.405, 비타민B(㎎) 0.3, 비타민B²(㎎) 0.3, 비타민B(㎎) 220, 등이 있다.
고추는 우리 식탁에서 빠뜨릴 수 없는 전통 식품이다. 흥미로운 사실 중 하나는 고추의 매운맛이 경기불황일 때 더욱 인기가 높다는 점이다. 이는 한의학적으로 볼 때 일리가 있는 말이다. 매운맛은 기운을 발산하는 성향이 있어 마음속에 고여 있는 우울함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고추의 매운맛은 바로 ‘캡사이신’이란 성분 때문이다. 고추 중에서도 가장 맵기로 소문난 청양고추의 경우 캡사이신 성분이 다른 지방에서 생산된 고추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은 캡사이신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캡사이신이 신경의 단위인 뉴런을 자극해 심한 고통을 주기 때문이다.
고추의 주성분은 캡사이신 외에도 비타민 A, C가 많이 들어 있다. 고추에 포함된 비타민C는 사과의 20배일 정도로 풍부하다. 게다가 캡사이신이 비타민이 산화되는 것을 막기 때문에 조리를 해도 영양소 파괴가 적다. 하지만, 공기 중에 오래 방치하면 캡사이신 성분이 서서히 증발해 비타민의 효능이 떨어진다.
고추는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권장된다. 이 또한 캡사이신 덕택에 지방세포에 작용하여 몸속 지방을 분해하는 작용으로 복부 비만이 있는 사람은 고추에 관심이 높다. 그러나 매운 성분의 고추를 한꺼번에 너무 많이 먹으면 피부에 반점이 생기고 위를 상하게 할 수 있으므로 위장 질환이 있는 사람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풋고추는 서민의 대표적인 술안주로 사용한 것은 고추의 매운맛과 알코올을 분해하는 비타민을 많이 함유한 것에 대한 경험적 지혜로 이용된 전통으로 볼 수 있고 김치와 같은 전통 고유음식에는 대부분 고추를 사용하여 향미를 개선한 것으로 전해진다.
건조한 고추를 1 내지 3㎜로 실과 같이 절단하여 전통음식에 뿌리는 우리의 습관은 아름다움에 대한 미학적 감각으로 고추의 적색을 이용하여 꽃같이 사용했고 향미를 개선하고 도우는 전통조미료로 이용하였다.
16. 과즙
우리나라는 봄부터 가을까지 질 좋은 과일이 생산되어 사철에 과즙을 이용할 수 있는 조건이 있다. 철에 따라 저장성에 따라 공급이 편리한 과즙으로 새콤함에 의한 향미와 영양적 가치를 함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부각에 사용하는 과일의 종류는 한정하지 않고. 지리적으로 동백과 함께하는 남도의 매실을 추천한다.
※매실(梅室 Plum, Prunus mume)
장미과(薔薇科 Ros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 매화나무라고도 한다. 키는 5m 정도 자란다. 줄기는 굵고 거칠며 검은색이나 어린 가지는 초록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난형이며 잎 가장자리에는 뾰족한 톱니들이 나 있다. 잎의 앞뒤와 뒷면 잎맥에 털이 있다. 짧은 잎자루에는 부드러운 털이 나 있으며 턱잎이 있다.
꽃은 이른 봄(2 내지 4월)에 잎보다 먼저 나와 흰색 또는 연분홍색으로 피는데 향기가 강하며, 잎겨드랑이에 1 내지 2송이씩 달린다. 꽃자루가 거의 없으며 5장의 꽃잎은 난형이고, 수술이 많으며 암술은 1개이나 씨방이 털로 덮여 있다. 열매인 매실은 핵과(核果)로, 처음에는 초록색이었다가 7월쯤이면 노란색으로 변하며 매우 시다.
매실로는 술을 빚기도 하는데, 더위 먹었을 때 밥 먹기 전에 한 잔 마시면 입맛이 돌며, 밥 먹은 다음 마시면 소화가 잘되고, 특히 피로 회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매(烏梅:껍질을 벗기고 짚불 연기에 그을려서 말린 매실)는 설사·기침·소갈(消渴)에 쓴다. 꽃을 보기 위해 심을 때는 매화나무, 열매를 얻기 위해 심을 때는 매실나무라고 부른다.
1. 매실의 성분
알칼리성 식품으로 과육 부분이 전체의 85%이며, 주성분은 탄수화물이고, 당분 10%와 다량의 유기산을 함유하고 있다. 유기산은 구연산, 사과산, 주석산, 호박산 피크리 산 등으로 구성돼 있는데 특히 구연산의 함량이 다른 과실에 비해 월등히 높아 매실이 건강식품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그밖에 카테킨 산, 펙틴, 탄닌 등을 함유하고 있다. 세계 최장수국인 이웃 일본에서는 매실이 건강식품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으며 매실을 원료로 한 식품만도 50여 종에 이르고 있다.
2. 매실의 효능.
1) 정신적인 스트레스와 피로회복, 정장작용에 좋다. 매실에는 살균과 피로 회복에 뛰어나고 칼슘흡수를 촉진하는 구연산과 사과산이 풍부하다. 스트레스로 칼슘의 소모가 많아 체질이 심하게 산성화되어 초조감이나 불면증에 시달리는 현대인에게 매실이 좋은 것이 이 때문이다. 2) 소화 불량, 위장 장애를 없앤다. 매실의 신맛은 소화기관에 영향을 주어 위장, 십이지장 등에서 소화액을 내보내게 한다. 또한, 매실즙은 위액의 분비를 촉진하고 정상화시키는 작용이 있어 위산 과다와 소화 불량에 모두 효험을 보인다.
3) 체질 개선 효과가 있다. 육류와 인스턴트 음식을 많이 섭취하면 체질은 산성으로 기운다. 몸이 산성으로 기울면 두통, 현기증, 불면증, 피로 등의 증상이 쉽게 나타난다. 매실은 신맛이 강하지만 알칼리성 식품이다. 매실을 꾸준히 먹으면 체질이 산성으로 기우는 것을 막아 약알칼리성으로 유지할 수 있다. 4) 간장을 보호하고 간 기능을 향상시킨다. 매실에는 간의 기능을 상승시키는 피루부산이라는 성분이 있다. 따라서 늘 피곤하거나 술을 자주 마시는 사람에게 좋다. 또한, 술을 마시고 난 뒤 매실농축액을 물에 타서 마시면 다음날 아침에 한결 가뿐하다.
5) 해독작용이 뛰어나다. 매실에는 피크린 산이라는 성분이 미량 들어있는데 이것이 독성물질을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식중독, 배탈 등 음식으로 인한 질병을 예방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6) 만성 변비를 없앤다. 매실 속에는 강한 해독 작용과 살균효과가 있는 카테킨 산이 들어있다. 카테킨 산은 장안에 살고 있는 나쁜 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장내의 살균성을 높여 장의 염증과 이상 발효를 막고 동시에 장의 연동운동을 활발하게 해 장을 건강하게 유지시켜 나간다.
7) 피부미용에 좋다. 매실 속에 들어있는 각종 성분이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 준다. 각종 유기산과 비타민이 혈액순환을 도와 피부에 좋은 작용을 한다. 8) 열을 내리고 염증을 없애준다. 매실에는 통증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매실을 불에 구운 오매의 진통효과는 동의보감에도 나와 있다. 곪거나 상처 난 부위에 매실농축액을 바르거나 습포를 해주면 화끈거리는 증상도 없어지고 빨리 낫는다. 놀다가 다치고 들어온 아이에게 매실농축액 한두 방울이면 다른 약이 필요 없을 정도다. 감기로 인해 열이 날 때도 좋다.
9) 칼슘의 흡수율을 높인다. 매실 식품은 임산부와 폐경기 여성에게 매우 좋다. 매실 속에 들어있는 칼슘의 양은 포도의 2배, 멜론의 4배에 이른다. 또한, 매실 속에는 칼슘도 다량 함유되어 있다. 체액의 성질이 산성으로 기울면 인체는 그것을 중화시키려고 하는데 이때 칼슘이 필요하다. 칼슘은 장에서 흡수되기 어려운 성질이 있으나 구연산과 결합하면 흡수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성장기 어린이, 임산부, 폐경기 여성에게 매우 좋다. 10) 본초강목에서 말하는 매실의 효능 맛이 시고 무독하다. 간과 담을 다스린다. 근(세포)을 튼튼히 하며 혈액을 정상으로 만든다. 번열을 내리게 하며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사지 통증을 멈추게 한다.
내장의 열을 다스리고 갈증을 조절한다. 토사 곽란을 멈추게 하고 냉을 없애고 설사를 멈추게 한다. 주독을 없애며 종기를 없애고 담을 없앤다. 뱃속의 벌레를 없애며 물의 독과 물고기의 독을 없앤다.
자궁의 피를 멈추게 하고 월경불순, 염증 대하에 좋다. 대변불통, 대변 하혈, 피오줌을 낫게 한다. 입안의 냄새를 없애며 가슴앓이와 배 아픈 것을 다스리고 허증 피로를 다스리며 폐와 장을 수렴한다. 또한, 중풍과 경기를 다스린다.
나. 본 발명이 조성한 조성물(組成物)의 효과(效果).
본 발명은 관상용으로 활용하고 버려지는 동백꽃송이와 동백나무잎에 새로운 가치(價値)를 크게 부여(附與)하는 용도가 다양한 새로운 식품을 조성한 것은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으로 동백나무를 재배하고 관리하는 단체에 새로운 소득을 제공하는 것은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으로 국가에 공헌(貢獻)하는 효과는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결과다.
본 발명은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로 성장기의 어린이와 노년기의 노인을 위한 음식과 집단급식소의 간편 영양식과 요식업소의 고급음식 및 병상 음식과 요정의 고급술안주와 일식집의 정상메뉴로 새로운 사용처를 제공하는 것은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은 콩가루와 생강 가루와 녹차 가루, 고추 가루를 사용하는 찹쌀 풀의 특성은 향미의 특성과 균일한 무기질을 흡수하는 영양학적 특성으로 본 발명의 배합비율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은 무기질이 다량으로 들어 있는 서해안에서 지라는 함 초를 사용하여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를 데치는 것과 데친 함 초 수용액을 찹쌀 풀을 조성하는 물로 재사용하는 특징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영양학적 우수성을 나타내는 효과적 결과다,
본 발명은 좁은 공간에서 대량의 조성물을 조성할 수 있는 공정으로 다단 건조대에 조성물을 메달아 건조하는 것은 생산성을 높이는 수익성으로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은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에 찹쌀 풀을 바르지 않고 침 지하여 도포하는 방법은 바르는 시간을 단축하여 대량 생산을 이루는 공정으로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다.
본 발명은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에 찹쌀 풀을 도포하고 초기건조에 집게와 회전 틀을 사용하여 균일한 도포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은 균일한 도포를 위한 방법으로 최고의 부각 생산하는 고정으로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원료를 분쇄한 가루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은 순도 높은 향미를 위한 것으로 추출하여 혼합하는 것과는 인체에 흡수하는 성분의 종류와 흡수되는 량에 차이가 크게 다르다. 흡수의 차이는 식품의 가치를 평가는 기본적 척도가 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조성물로 사용하는 원료의 전부를 흡수할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하고 균일한 성분의 특성은 본 발명의 효과다.
본 발명은 저장과 휴대와 운송에 편리한 전통부각으로 야회 도시락과 야회 술안주는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에 새로운 용도를 제공하는 기능으로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의 특색으로 차별성이 강조되는 것으로 부각에 동물성 단백질을 사용했다는 것과 비타민C로 데치는 수용액을 조성했다는 것과 고추 가루를 사용하여 매운맛 향미를 조성한 것과 구연산으로 새콤한 향미를 바탕으로 한 것과 콩가루를 사용하여 고소한 대중적 월드 향미를 창조한 것은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의 최고의 효과는 버려지는 동백꽃에 가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동백꽃송이 속에는 동백꽃가루가 있고 동백꽃가루 속에는 35%의 단백질 있고, 22종 필수아미노산이 있고, 12종 비타민이 있고, 16종의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는 동백꽃송이 전체를 한번에 먹을 수 있는 대중적 월드 향미의 식품을 조성한 것은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최대의 효과다.
본 발명은 상록교목의 긴 타원형으로 길이 5 내지 12㎝, 폭 3 내지 7㎝로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섬유질이 많아 식용으로 불가능한 0.40 내지 0.50㎜의 두터운 잎으로 광택이 나고 질긴 특성과 풍부한 무기질(표 1, 표2, 표3, 표4)을 본 발명 원료의 장점(長點)으로 활용하는 기술로 인하여 최초로 동백(冬柏)나무잎의 새로운 스낵(Snack)인 맛좋은 부각으로 탄생시킨 기술과 동백나무잎의 위대한 새로운 변신에 의한 기능의 추가와 용도의 추가는 본 발명의 효과를 증명하는 것이다.
본 발명으로 조성한 모시풀잎 부각의 관능적 효과는 표5와 같다.
Figure 112007081853220-PAT00005
본 관능검사는 성인 남녀 20명에게 시중에서 판매하는 부각 튀김과 본 발명으로 조성한 동백꽃송이 도는 동백 잎 부각의 튀김을 한자리에 5개의 군으로 각각 나누어 물과 같이 제공하고 시음으로 먹은 뒤에 질문에 대하여 진한 것과 좋은 것은 강한 것을 1번에서 선택하여 부족하고 싫은 것은 5번으로 한 결과를 종합한 것이다.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동백꽃송이로 조성한 부각을 모두가 좋다고 선호하는 것은 꽃이라는 특성과 희소(稀少)성에 의한 새로운 스낵(Snack)으로 기능적 가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동백꽃송이 부각은 일식집의 일반메뉴 및 술안주로 가치가 인정되므로 수익적 경제성이 보장되는 대량생산이 가능한 스낵(Snack)으로 평가된다.
본 발명은 구연산 사이클(T C A)과 항산화(抗酸化 표3 도는 표4)가 서로 협조(協調)하여 효과(效果)의 증대(增大)를 나타내는 구성(構成)과 배합비율(配合比率)로 피로의 신속한 회복과 젊고 건강한 생활에 필요한 스낵(Snack)으로 기능의 과학적 분석에 의한 증명은 본 발명의 기술의 우수성과 현실적 필요성을 충족하는 결과로 본 발명의 효과다.
본 발명은 천연기념물에 새로운 경제적 가치를 부여하여 천연기념물을 관리하는 경제성을 창출한 것은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참고문헌(參考文獻)
비타민C가 보이면 건강이 보인다 이왕재
식품가공학 (신광출판사) 장학길 이영택
건강보조식품과 기능성 식품 (효일) 노완섭 허석현
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적 홍원식 추천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아래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制限)하는 것은 아니다.
1. 동백꽃송이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제1공정은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는 기술적 과제로, 꽃받침 잎은 5개이며 길이 1 내지 2㎝로서 꽃잎은 5 내지 7개가 밑에서 합쳐지며 길이 3 내지 5㎝로 수술과도 합쳐지고 수술은 노란색으로 90 내지 100개가 있고 꽃밥(花粉 Pollen)이 황색이고 씨방(子房)에 털이 없으며 암술대가 3개로 갈라지며 겨울철에 정열적 진홍색 꽃(花)으로 풍요한 아름다움을 제공하는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인 동백(冬柏)나무 꽃송이에 새로운 가치(價値)에 의한 용도(用途)가 주어지는 간식(間食 Snack)의 주원료(主原料)로 선정(選定)하고, 찹쌀 풀의 원료로 응집력과 접착력 강하고 영양적 가치가 높은 찹쌀가루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와 바삭바삭함을 위하여 튀김가루를 선정(選定)하고, 우리의 몸은 16%의 단백질로 이루어졌고 단백질의 2/3가 콜라겐으로 이루고 있고 콜라겐은 영양분을 세포에 전달하고 세포의 노폐물을 회수하는 기능과 칼슘과 무기질을 흡수하여 뼈와 골격을 이루고 있는 생체의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단백질로 동물성 콜라겐을 선정(選定)하고, 열에 강하고 담백한 단맛으로 대중적 월드 향미를 가진 스테비아가루를 선정(選定)하고, 새콤한 향미와 피로회복 촉진을 위하여 구연산을 선정(選定)하고, 풍부한 무기질을 함유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로 부드러운 짠맛과 동백꽃송이 또는 동백나무잎의 색상보존을 위하여 함 초를 선정(選定)하고, 부패(腐敗)를 방지하고 담백한 향미 개선과 영양공급을 위하여 생강가루를 선정(選定)하고, 고소한 대중적 월드 향미와 단백질 보충을 위하여 콩가루를 선정(選定)하고, 산패(酸敗) 방지하고 향미개선 및 영양공급으로 녹차 가루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를 위하여 과즙을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와 색상을 위하여 비타민C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를 위하여 다시마 가루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를 위하여 고추 가루를 선정(選定)하고, 품격과 향미를 위하여 통깨를 선정(選定)하고, 품격과 모양과 향미를 위하여 검은깨를 선정(選定)하고 품격과 모양과 향미를 위하여 실고추를 선정(選定)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2공정은 선정한 원료를 목적에 부합하는 규격으로 선별하는 기술적 과제로, 동백(冬柏)꽃송이는 정열적 진홍색(眞紅色)으로 만개(滿開)하고 아침이슬에 스스로(Naturally) 툭 떨어진 싱싱한 낙화(洛花) 꽃송이로 상처가 없고 당일에 수확 한 것을 선별(選別)하고, 찹쌀을 정수에 10시간 이상 침 지하고 볶아서 분쇄한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찹쌀가루로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튀김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콜라겐을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스테비아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함수 구연산을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비타민C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고추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과즙을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함 초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생강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콩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녹차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다시마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고 고소함이 풍부한 볶은 통깨를 선별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고 고소함이 풍부한 볶은 검은 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실고추를 선별(選別)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3공정은 조성물의 구성에 의한 도포 및 살포비율을 정하는 기술적 과제로, 조성물을 구성하는 비율과 도포 및 살포율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동백꽃송이 70중량%, 찹쌀 풀 26중량%, 깨 혼합물(통깨 50중량%+검은깨 50중량%) 3중량%, 실고추 1중량%를 포함하는 총중량 100%로 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을 구성하는 비율과 도포 및 살포율이다.
제4공정은 동백꽃송이를 세척하는 기술적 과제로, 선별한 동백꽃송이를 흐르는 정수로 세척하여 세척동백꽃송이를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5공정은 동백꽃송이를 데치는 기술적 과제로, 세척 동백꽃송이를 100±5℃ 가열된 혼합수용액(함 초 80중량%+비타민C 20중량%) 15%에 2분간 데쳐 동백꽃송이의 색상을 보존하고 부드러운 동백꽃송이를 조성하여 데친 동백꽃송이를 조성하고, 데친 혼합수용액은 10℃ 이하에서 별도 보관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6공정은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의 수분을 제거하고 모양을 조성하여 숙성하는 기술적 과제로, 데친 동백꽃송이를 천으로 수분을 제거하고 꽃 모양으로 손질을 하면서 같은 크기로 상, 중, 하로 구분하여 각각 30개씩 결속하여 결속한 동백꽃송이를 조성하고, 20℃ 이하의 숙성실에서 12시간 숙성하여 숙성 동백꽃송이를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7공정은 찹쌀 풀 혼합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로, 찹쌀 풀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찹쌀가루 48중량%, 튀김 가루 20중량%, 콜라겐 5중량%, 스테비아가루 4중량%, 과즙 1중량%, 구연산 1중량%, 생강가루 3중량%, 콩가루 8중량%, 녹차 가루 3중량%, 다시마 가루 3중량%, 고추 가루 4중량%를 총중량 100%로 하여 동력 3상 10마력 혼합기로 30분간 혼합하여 찹쌀 풀 혼합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8공정은 찹쌀 풀을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로, 찹쌀 풀 혼합물을 30중량%과 제5공정에서 별도 보관한 혼합수용액 또는 정수 70중량%를 혼합하여 솥에 넣고 온도를 100℃까지 서서히 가열하면서 자동으로 휘저음을 최소한 30분 이상 계속하여 여러 원료 속에서 추출하여 혼합되는 성분으로 인하여 풍부한 향미가 만들어지고 응집력이 생기므로 지름이 3㎜의 유리 봉의 끝 밑에 원으로 매달리는 응집력을 가지고 표면에 윤기가 나면서 매운맛을 밑바탕으로 하여 새콤달콤하고 고소하고 6% 짠맛을 소유한 대중적 월드 향미의 담백한 찹쌀 풀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9공정은 풀을 바르는 기술적 과제로, 숙성 동백꽃송이를 한개 한개에 조성물을 구성하는 비율과 도포 및 살포율과 동일한 량의 찹쌀 풀을 도포하는 것으로 40℃의 품 온을 유지하는 찹쌀 풀 통에 숙성 동백꽃송이를 한 개씩 꼭지를 잡고 침 지하여 숙성 동백꽃송이 속까지 찹쌀 풀을 도포하고 침투시키어 조성물 도포율과 동일한 량의 찹쌀 풀을 균일하게 도포하고, 숙성 동백꽃송이를 폭이 2㎜의 뾰족한 집게로 꼭지를 집어 고정하여 도포 동백꽃송이가 접치는 것을 방지하여 도포 동백꽃송이를 조성하고, 조성물 살포(撒布)율과 동일한 량의 깨 혼합물과 실고추를 앞 뒤에 살포하여 도포 및 살포 동백꽃송이를 조성하는 방법과, 숙성 동백꽃송이를 한 개 한 개를 플라스틱 도마 위에서 40 내지 70℃의 품 온을 유지하는 찹쌀 풀을 도포 비율과 동일한 량을 도포하고 도포한 동백꽃송이의 앞뒤에 살포 비율과 동일한 깨 혼합물과 실고추를 살포하여 담백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의 찹쌀 풀 도포 동백꽃송이를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0공정은 건조하는 기술적 과제로, 도포 동백꽃송이를 25℃의 2~4m/s 온풍 위를 통과하면서 2분마다 자동으로 상하를 3회 뒤집기를 실시한 후 찹쌀 풀이 동백꽃송이에 안전하게 도포 착지하면 건조(乾燥) 선을 따라 40℃의 열풍 건조실로 이동하여 다단 건조대에서 30시간 건조하여 수분함량 5% 이하로 건조하는 것과 습도가 낮고 햇빛이 있는 좋은 날에는 야회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건조하여 수분함량 5% 이하로 건조하여 건조 동백꽃송이의 부각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1공정은 선별포장하는 기술적 과제로, 건조 동백꽃송이의 부각을 모양이 좋고 같은(同一) 규격으로 검사하여 100g씩 빛과 공기가 차단된 밀폐(密閉) 용기에 탈산제(脫酸劑)를 넣고 봉인하고, 골판지 상자로 포장하는 방법으로 포장하여 상품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이다.
2. 동백나무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제1공정은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는 기술적 과제로, 상록교목의 긴 타원형으로 길이 5 내지 12㎝, 폭 3 내지 7㎝로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섬유질이 많아 식용으로 불가능한 0.45㎜의 두터운 잎으로 광택이 나고 질긴 특성과 뒷면은 담녹색으로 자연의 풍취를 간직하여 지금까지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관상용으로 사용된 동백나무잎에 새로운 가치(價値)에 의한 용도(用途)가 주어지는 간식(間食 Snack)의 주원료(主原料)로 선정(選定)하고, 찹쌀 풀의 원료로 응집력과 접착력 강하고 영양적 가치가 높은 찹쌀가루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와 바삭바삭함을 위하여 튀김가루를 선정(選定)하고, 우리의 몸은 16%의 단백질로 이루어졌고 단백질의 2/3가 콜라겐으로 이루고 있고 콜라겐은 영양분을 세포에 전달하고 세포의 노폐물을 회수하는 기능과 칼슘과 무기질을 흡수하여 뼈와 골격을 이루고 있는 생체의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단백질로 동물성 콜라겐을 선정(選定)하고, 열에 강하고 담백한 단맛으로 대중적 월드 향미를 가진 스테비아가루를 선정(選定)하고, 새콤한 향미와 피로회복 촉진을 위하여 구연산을 선정(選定)하고, 풍부한 무기질을 함유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로 부드러운 짠맛과 동백꽃송이 또는 동백나무잎의 색상보존을 위하여 함 초를 선정(選定)하고, 부패(腐敗)를 방지하고 담백한 향미 개선과 영양공급을 위하여 생강가루를 선정(選定)하고, 고소한 대중적 월드 향미와 단백질 보충을 위하여 콩가루를 선정(選定)하고, 산패(酸敗) 방지하고 향미개선 및 영양공급으로 녹차 가루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를 위하여 과즙을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와 색상을 위하여 비타민C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를 위하여 다시마 가루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를 위하여 고추 가루를 선정(選定)하고, 품격과 향미를 위하여 통깨를 선정(選定)하고, 품격과 모양과 향미를 위하여 검은깨를 선정(選定)하고 품격과 모양과 향미를 위하여 실고추를 선정(選定)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2공정은 선정한 원료를 목적에 부합하는 규격으로 선별하는 기술적 과제로, 동백(冬柏)나무잎은 생육기간에 관계없이 싱싱하고 상처가 없는 것으로 당일에 채취한 잎으로 선별(選別)하고, 찹쌀을 정수에 10시간 이상 침 지하고 볶아서 분쇄한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찹쌀가루로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튀김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콜라겐을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스테비아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함수 구연산을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비타민C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고추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과즙을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함 초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생강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콩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녹차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다시마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고 고소함이 풍부한 볶은 통깨를 선별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고 고소함이 풍부한 볶은 검은 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실고추를 선별(選別)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3공정은 조성물의 구성에 의한 도포 및 살포비율을 정하는 기술적 과제로, 조성물을 구성하는 비율과 도포 및 살포율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동백나무잎 70중량%, 찹쌀 풀 25중량%, 깨 혼합물(통깨 50중량%+검은깨 50중량%) 3중량%, 실고추 2중량%를 포함하는 총중량 100%로 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을 구성하는 비율과 도포 및 살포율이다.
제4공정은 동백나무잎을 세척하는 기술적 과제로, 선별한 동백나무잎을 4 내지 6%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침 지 세척하고 정수에 다시 세척하여 염화나트륨을 세척하여 세척 동백나무잎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5공정은 동백나무잎을 데치는 기술적 과제로, 세척 동백나무잎을 100±5℃ 가열된 혼합수용액(함 초 70 내지 10중량%+비타민C 30중량%) 30%에 8분간 데쳐 동백나무잎의 푸른 색상을 보존하고 동백나무잎의 섬유질을 부드럽게 하여 데친 동백나무잎을 조성하고 데친 혼합수용액은 10℃ 이하에서 별도 보관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6공정은 동백나무잎의 수분을 제거하고 모양을 조성하여 숙성하는 기술적 과제로, 데친 동백나무잎에 천으로 수분을 제거하고 같은 모양 같은 크기로 상, 중, 하로 구분하여 각각 50장씩 결속하여 결속한 동백나무잎을 조성하고, 결속한 동백나무잎을 20℃ 이하의 숙성실에서 24시간 숙성하여 숙성 동백나무잎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7공정은 찹쌀 풀 혼합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로, 찹쌀 풀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찹쌀가루 45중량%, 튀김 가루 20중량%, 콜라겐 3중량%, 스테비아가루 5중량%, 과즙 1중량%, 구연산 2중량%, 생강가루 3중량%, 콩가루 10중량%, 녹차 가루 2중량%, 다시마 가루 3중량%, 고추 가루 6중량%를 총중량 100%로 하여 동력 3상 10마력 혼합기로 15분간 혼합하여 찹쌀 풀 혼합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8공정은 찹쌀 풀을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로, 찹쌀 풀 혼합물을 35중량%과 제5공정에서 별도 보관한 혼합수용액 또는 정수 65중량%를 혼합하여 솥에 넣고 온도를 100℃까지 서서히 가열하면서 자동으로 휘저음을 최소한 30분 이상 계속하여 여러 원료 속에서 추출하여 혼합되는 성분으로 인하여 풍부한 향미가 만들어지고 응집력이 생기므로 지름이 3㎜의 유리 봉의 끝 밑에 원으로 매달리는 응집력을 가지고 표면에 윤기가 나면서 매운맛을 밑바탕으로 하여 새콤달콤하고 고소하고 8% 짠맛을 소유한 대중적 월드 향미의 담백한 찹쌀 풀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9공정은 풀을 바르는 기술적 과제로, 숙성 동백나무잎 한장 한장에 조성물을 구성하는 비율과 도포 및 살포율과 동일한 량의 찹쌀 풀을 도포하는 것으로 70℃의 품 온을 유지하는 찹쌀 풀 통에 숙성 동백나무잎 한 장씩 꼭지를 잡고 침 지하여 숙성 동백나무잎에 찹쌀 풀을 도포하고 침투시키어 조성물 도포율과 동일한 량의 찹쌀 풀을 균일하게 도포하고, 도포한 동백나무잎을 폭이 23㎜의 뾰족한 집게로 꼭지를 집어 고정하여 도포 동백나무잎이 접치는 것을 방지하여 도포 동백나무잎을 조성하고 조성물 살포(撒布)율과 동일한 량의 깨 혼합물과 실고추를 앞뒤에 살포하여 도포 및 살포 동백나무잎을 조성하는 방법과, 숙성 동백나무잎 한장 한장을 플라스틱 도마 위에서 40℃의 품 온을 유지하는 찹쌀 풀을 도포 비율과 동일한 량을 도포하고 도포한 동백나무잎의 앞뒤에 살포 비율과 동일한 깨 혼합물과 실고추를 살포하여 담백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의 찹쌀 풀 도포 동백나무잎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0공정은 건조하는 기술적 과제로, 도포 동백나무잎을 30℃의 2~4m/s 온풍 위를 통과하면서 2분마다 자동으로 상하를 3회 뒤집기를 실시한 후 찹쌀 풀이 동백나무잎에 안전하게 도포 착지하면 건조(乾燥) 선을 따라 60℃의 열풍 건조실로 이동하여 다단 건조대에서 20시간 건조하여 수분함량 5% 이하로 건조하는 것과 습도가 낮고 햇빛이 있는 좋은 날에는 야회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건조하여 수분함량 5% 이하로 건조하여 건조 동백나무잎의 부각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1공정은 선별포장하는 기술적 과제로, 건조 동백나무잎 부각을 모양이 좋고 같은(同一) 규격으로 검사하여 500g씩 빛과 공기가 차단된 밀폐(密閉) 용기에 탈산제(脫酸劑)를 넣고 봉인하고, 골판지 상자로 포장하는 것과 건조 동백나무잎 부각의 꼭지를 제거하여 상기와 동일한 규격과 방법으로 포장하여 상품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백나무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이다.
3. 동백 꽃 잎 튀김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제1공정은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는 기술적 과제로, 꽃받침 잎은 5개이며 길이 1 내지 2㎝로서 꽃잎은 5 내지 7개가 밑에서 합쳐지며 길이 3 내지 5㎝로 수술과도 합쳐지고 수술은 노란색으로 90 내지 100개가 있고 꽃밥(花粉 Pollen)이 황색이고 씨방(子房)에 털이 없으며 암술대가 3개로 갈라지며 겨울철에 정열적 진홍색 꽃(花)으로 풍요한 아름다움을 제공하는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인 동백(冬柏)나무 꽃송이에 새로운 가치(價値)에 의한 용도(用途)가 주어지는 간식(間食 Snack)의 주원료(主原料)로 선정(選定)하고, 찹쌀 풀의 원료로 응집력과 접착력 강하고 영양적 가치가 높은 찹쌀가루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와 바삭바삭함을 위하여 튀김가루를 선정(選定)하고, 우리의 몸은 16%의 단백질로 이루어졌고 단백질의 2/3가 콜라겐으로 이루고 있고 콜라겐은 영양분을 세포에 전달하고 세포의 노폐물을 회수하는 기능과 칼슘과 무기질을 흡수하여 뼈와 골격을 이 루고 있는 생체의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단백질로 동물성 콜라겐을 선정(選定)하고, 열에 강하고 담백한 단맛으로 대중적 월드 향미를 가진 스테비아가루를 선정(選定)하고, 새콤한 향미와 피로회복 촉진을 위하여 구연산을 선정(選定)하고, 풍부한 무기질을 함유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로 부드러운 짠맛과 동백꽃송이 또는 동백나무잎의 색상보존을 위하여 함 초를 선정(選定)하고, 부패(腐敗)를 방지하고 담백한 향미 개선과 영양공급을 위하여 생강가루를 선정(選定)하고, 고소한 대중적 월드 향미와 단백질 보충을 위하여 콩가루를 선정(選定)하고, 산패(酸敗) 방지하고 향미개선 및 영양공급으로 녹차 가루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를 위하여 과즙을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와 색상을 위하여 비타민C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를 위하여 다시마 가루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를 위하여 고추 가루를 선정(選定)하고, 품격과 향미를 위하여 통깨를 선정(選定)하고, 품격과 모양과 향미를 위하여 검은깨를 선정(選定)하고 품격과 모양과 향미를 위하여 실고추를 선정(選定)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2공정은 선정한 원료를 목적에 부합하는 규격으로 선별하는 기술적 과제로, 동백(冬柏)꽃송이는 정열적 진홍색(眞紅色)으로 만개(滿開)하고 아침이슬에 스스로(Naturally) 툭 떨어진 싱싱한 낙화(洛花) 꽃송이로 상처가 없고 당일에 수확한 것을 선별(選別)하고, 찹쌀을 정수에 10시간 이상 침 지하고 볶아서 분쇄한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찹쌀가루로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튀김가루를 선별(選別)하 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콜라겐을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스테비아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함수 구연산을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비타민C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고추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과즙을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함 초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생강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콩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녹차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다시마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고 고소함이 풍부한 볶은 통깨를 선별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고 고소함이 풍부한 볶은 검은 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실고추를 선별(選別)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3공정은 조성물의 구성에 의한 도포 및 살포비율을 정하는 기술적 과제로, 조성물을 구성하는 비율과 도포 및 살포율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동백꽃송이 70중량%, 찹쌀 풀 27중량%, 깨 혼합물(통깨 50중량%+검은깨 50중량%) 2중량%, 실고추 1중량%를 포함하는 총중량 100%로 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을 구성하는 비율과 도포 및 살포율이다.
제4공정은 동백꽃송이를 세척하는 기술적 과제로, 선별한 동백꽃송이를 흐르는 정수로 세척하여 세척동백꽃송이를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5공정은 동백꽃송이를 데치는 기술적 과제로, 세척 동백꽃송이를 100±5℃ 가열된 혼합수용액(함 초 90중량%+비타민C 10중량%) 15%에 2분간 데쳐 동백꽃송이의 색상을 보존하고 부드러운 데친 동백꽃송이를 조성하고, 데친 혼합수용액은 10℃ 이하에서 별도 보관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6공정은 동백꽃송이의 수분을 제거하고 모양을 조성하여 숙성하는 기술적 과제로, 데친 동백꽃송이를 천으로 수분을 제거하고 꽃 모양으로 손질을 하면서 같은 크기로 상, 중, 하로 구분하여 각각 30 내지 50장씩 결속하여 결속한 동백꽃송이를 조성하고, 결속한 동백꽃송이를 20℃ 이하의 숙성실에서 12시간 숙성하여 숙성 동백꽃송이를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7공정은 찹쌀 풀 혼합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로, 찹쌀 풀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찹쌀가루 46중량%, 튀김 가루 24중량%, 콜라겐 5중량%, 스테비아가루 4중량%, 과즙 2중량%, 구연산 2중량%, 생강가루 2중량%, 콩가루 7중량%, 녹차 가루 3중량%, 다시마 가루 2중량%, 고추 가루 3중량%를 총중량 100%로 하여 동력 3상 10 마력 혼합기로 30분간 혼합하여 찹쌀 풀 혼합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8공정은 찹쌀 풀을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로, 찹쌀 풀 혼합물을 25중량%과 제5공정에서 별도 보관한 혼합수용액 또는 정수 75중량%를 혼합하여 솥에 넣고 온도를 100℃까지 서서히 가열하면서 자동으로 휘저음을 최소한 30분 이상 계속하여 여러 원료 속에서 추출하여 혼합되는 성분으로 인하여 풍부한 향미가 만들어지고 응집력이 생기므로 지름이 3㎜의 유리 봉의 끝 밑에 원으로 매달리는 응집력을 가지고 표면에 윤기가 나면서 매운맛을 밑바탕으로 하여 새콤달콤하고 고소하고 5% 짠맛을 소유한 대중적 월드 향미의 담백한 찹쌀 풀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9공정은 풀을 바르는 기술적 과제로, 숙성 동백꽃송이를 한개 한개에 조성물을 구성하는 비율과 도포 및 살포율과 동일한 량의 찹쌀 풀을 도포하는 것으로 70℃의 품 온을 유지하는 찹쌀 풀 통에 숙성 동백꽃송이를 한 개씩 꼭지를 잡고 침 지하여 숙성 동백꽃송이 속까지 찹쌀 풀을 도포하고 침투시키어 조성물 도포율과 동일한 량의 찹쌀 풀을 균일하게 도포하고 도포 동백꽃송이를 폭이 2㎜의 뾰족한 집게로 꼭지를 집어 고정하여 도포 동백꽃송이가 접치는 것을 방지하여 도포 동백꽃송이를 조성하고, 조성물 살포(撒布)율과 동일한 량의 깨 혼합물과 실고추를 앞뒤에 살포하여 도포 및 살포 동백꽃송이를 조성하는 방법과, 숙성 동백꽃송이를 한 개를 플라스틱 도마 위에서 40℃의 품 온을 유지하는 찹쌀 풀을 도포 비율과 동일한 량을 도포하고 도포한 동백꽃송이의 앞뒤에 살포 비율과 동일한 깨 혼합물과 실 고추를 살포하여 담백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의 찹쌀 풀 도포 동백꽃송이를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0공정은 건조하는 기술적 과제로, 도포 동백꽃송이를 25℃의 2~4m/s 온풍 위를 통과하면서 4분마다 자동으로 상하를 2회 뒤집기를 실시한 후 찹쌀 풀이 동백꽃송이에 안전하게 도포 착지하면 건조(乾燥) 선을 따라 40℃의 열풍 건조실로 이동하여 다단 건조대에서 30시간 건조하여 수분함량 5% 이하로 건조하는 것과 습도가 낮고 햇빛이 있는 좋은 날에는 야회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건조하여 수분함량 5% 이하로 건조하여 건조 동백꽃송이의 부각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1공정은 튀기는 기술적 과제로, 건조 동백꽃송이 부각을 20℃의 품 온(品溫)으로 조절하여 아름다운 튀김 꽃의 조건을 조성하고, 튀김 솥에 신선한 콩기름을 튀김 솥의 2/3 정도 넣고 140 내지 200℃로 콩기름을 가열하고, 품 온이 조절된 건조 동백나무잎 또는 건조 동백꽃송이 부각을 3㎠ 크기로 조각을 내어 가열된 튀김 솥 기름에 넣어 즉석 실험을 하여 실험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 부각이 즉시 부상하면서 많은 기포를 형성하고 하얗게 부풀어 오르면, 건조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 부각과 튀김 솥 기름의 온도가 가장 적정한 것으로 건조 동백나무잎 또는 건조 동백꽃송이 부각을 튀김 솥 기름 면적의 1/2 정도를 넣고 10초 동안 유탕(튀김) 처리하여 동백꽃송이 부각이 하얗게 부풀고 바삭바삭한 것이 꽃처럼 예쁘게 튀겨지는 것으로 품 온을 유지하는 것과 기름의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 것은 부각 튀김의 좋은 조건으로 처음 실험한 튀김 조건을 계속 유지하는 기술적 관리가 필요하고 이렇게 튀겨진 동백꽃송이의 부각은 매운맛을 밑바탕으로 하여 새콤달콤하고 고소하며 균일하게 간이 된 대중적 월드 향미의 담백한 튀김 동백꽃송이 부각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2공정은 탈지냉각하는 기술적 과제로, 매운맛을 밑바탕으로 하여 새콤달콤하고 고소하며 균일하게 간이 된 대중적 월드 향미의 담백한 튀김 동백(冬柏)꽃송이 부각을 채반이나 그물망 또는 동력 3상 5마력 3000rpm의 원심(遠心)분리기로 튀긴 즉시 고온에서 기름을 탈취하여 파손을 방지하고 20℃ 이하의 저온 실에서 냉각하여 매운맛을 밑바탕으로 하여 새콤달콤하고 고소하며 균일하게 간이 된 대중적 월드 향미의 담백한 냉각 동백꽃송이 부각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3공정은 선별포장하는 기술적 과제로, 매운맛을 밑바탕으로 하여 새콤달콤하고 고소하며 균일하게 간이 된 대중적 월드 향미의 담백한 냉각 동백(冬柏)꽃송이 부각을 모양이 좋고 동일한 규격으로 검사하여 1000g씩 빛과 공기가 차단된 밀폐(密閉)용기에 탈산제(脫酸劑)를 넣고 골판지 상자에 포장(包裝)하는 포장으로 상품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백 꽃 잎 튀김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도면은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하는 해석이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이고, 도 2는 동백 꽃 잎 튀김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ims (14)

  1.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을 구성하는 비율과 도포 및 살포율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 70 내지 22중량%, 찹쌀 풀 24 내지 73중량%, 깨 혼합물(통깨 50중량%+검은깨 50중량%) 5 내지 1중량%, 실고추 1 내지 4중량%를 포함하는 총중량 100%로 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을 구성하는 비율과 도포 및 살포율.
  2. 제1항에 있어서,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1공정은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는 기술적 과제로, 상록교목의 긴 타원형으로 길이 5 내지 12㎝, 폭 3 내지 7㎝로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섬유질이 많아 식용으로 불가능한 0.45㎜의 두터운 잎으로 광택이 나고 질긴 특성과 뒷면은 담녹색으로 자연의 풍취를 간직하여 지금까지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관상용으로 사용된 동백나무잎과 꽃받침 잎은 5개이며 길이 1 내지 2㎝로서 꽃잎은 5 내지 7개가 밑에서 합쳐지며 길이 3 내지 5㎝로 수술과도 합쳐지고 수술은 노란색으로 90 내지 100개가 있고 꽃밥(花粉 Pollen)이 황색이고 씨방(子房)에 털이 없으며 암술대가 3개로 갈라지며 겨울철에 정열적 진홍색 꽃(花)으로 풍요한 아름다움을 제공하는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인 동백(冬柏)나무잎과 꽃송이(Cluster)에 새로운 가치(價値)에 의한 용도(用途)가 주어지는 간식(間食 Snack)의 주원료(主原料)로 선정(選定)하고, 찹쌀 풀 의 원료로 응집력과 접착력 강하고 영양적 가치가 높은 찹쌀가루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와 바삭바삭함을 위하여 튀김가루를 선정(選定)하고, 우리의 몸은 16%의 단백질로 이루어졌고 단백질의 2/3가 콜라겐으로 이루고 있고 콜라겐은 영양분을 세포에 전달하고 세포의 노폐물을 회수하는 기능과 칼슘과 무기질을 흡수하여 뼈와 골격을 이루고 있는 생체의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단백질로 동물성 콜라겐을 선정(選定)하고, 열에 강하고 담백한 단맛으로 대중적 월드 향미를 가진 스테비아가루를 선정(選定)하고, 새콤한 향미와 피로회복 촉진을 위하여 구연산을 선정(選定)하고, 풍부한 무기질을 함유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로 부드러운 짠맛과 동백꽃송이 또는 동백나무잎의 색상보존을 위하여 함 초를 선정(選定)하고, 부패(腐敗)를 방지하고 담백한 향미 개선과 영양공급을 위하여 생강가루를 선정(選定)하고, 고소한 대중적 월드 향미와 단백질 보충을 위하여 콩가루를 선정(選定)하고, 산패(酸敗) 방지하고 향미개선 및 영양공급으로 녹차 가루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를 위하여 과즙을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와 색상을 위하여 비타민C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를 위하여 다시마 가루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를 위하여 고추 가루를 선정(選定)하고, 품격과 향미를 위하여 통깨를 선정(選定)하고, 품격과 모양과 향미를 위하여 검은깨를 선정(選定)하고 품격과 모양과 향미를 위하여 실고추를 선정(選定)하는 기술적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2공정은 선정한 원료를 목적에 부합하는 규격으로 선별하는 기술적 과제로, 동백(冬柏)나무잎은 생육기간에 관계없이 싱싱하고 상처가 없는 것으로 당일에 채취한 잎으로 선별(選別)하고, 동백(冬柏)꽃송이는 정열적 진홍색(眞紅色)으로 만개(滿開)하고 아침이슬에 스스로(Naturally) 툭 떨어진 싱싱한 낙화(洛花) 꽃송이로 상처가 없고 당일에 수확한 것을 선별(選別)하고, 찹쌀을 정수에 10시간 이상 침 지하고 볶아서 분쇄한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찹쌀가루로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튀김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콜라겐을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스테비아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함수 구연산을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비타민C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고추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과즙을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함 초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생강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콩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녹차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다시마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고 고소함이 풍 부한 볶은 통깨를 선별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고 고소함이 풍부한 볶은 검은 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실고추를 선별(選別)하는 기술적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3공정은 조성물의 구성에 의한 도포 및 살포비율을 정하는 기술적 과제로, 조성물을 구성하는 비율과 도포 및 살포율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 70 내지 22중량%, 찹쌀 풀 24 내지 73중량%, 깨 혼합물(통깨 50중량%+검은깨 50중량%) 5 내지 1중량%, 실고추 1 내지 4중량%를 포함하는 총중량 100%로 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을 구성하는 비율과 도포 및 살포율과; 제4공정은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를 세척하는 기술적 과제로, 선별한 동백나무잎을 4 내지 6%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침 지 세척하고 정수에 다시 세척하여 염화나트륨을 세척하여 세척 동백나무잎을 조성하고, 선별한 동백꽃송이를 흐르는 정수로 세척하여 세척동백꽃송이를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5공정은 동백나무잎, 동백꽃송이를 데치는 기술적 과제로, 세척 동백나무잎을 100±5℃ 가열된 혼합수용액(함 초 90 내지 10중량%+비타민C 10 내지 90중량%) 15 내지 30%에 4 내지 10분간 데쳐 동백나무잎의 푸른 색상을 보존하고 동백나무잎의 섬유질을 부드럽게 하여 데친 동백나무잎을 조성하고, 세척 동백꽃송이를 100±5℃ 가열된 혼합수용액(함 초 90 내지 10중량%+비타민C 10 내지 90중량%) 15 내지 30%에 1 내지 4분간 데쳐 동백꽃송이의 색상을 보존하고 부드러운 데친 동백꽃송이를 조성하고, 데친 혼합수용액은 10℃ 이하에서 별도 보관하는 기술적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6공정은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의 수분을 제거하고 모양을 조성하여 숙성하는 기술적 과제로, 데친 동백나무잎에 천으로 수분을 제거하고 같은 모양 같은 크기로 상, 중, 하로 구분하여 각각 30 내지 50장씩 결속하여 결속한 동백나무잎을 조성하고, 데친 동백꽃송이를 천으로 수분을 제거하고 꽃 모양으로 손질을 하면서 같은 크기로 상, 중, 하로 구분하여 각각 30 내지 50장씩 결속하여 결속한 동백꽃송이를 조성하고, 결속한 동백나무잎과 결속한 동백꽃송이를 20℃ 이하의 숙성실에서 12 내지 24시간 숙성하여 숙성 동백나무잎과 숙성 동백꽃송이를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7공정은 찹쌀 풀 혼합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로, 찹쌀 풀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찹쌀가루 39 내지 74중량%, 튀김 가루 24 내지 10중량%, 콜라겐 5 내지 1중량%, 스테비아가루 5 내지 1중량%, 과즙 2 내지 1중량%, 구연산 2 내지 1중량%, 생강가루 6 내지 1중량%, 콩가루 10 내지 1중량%, 녹차 가루 3 내지 1중량%, 다시마 가루 3 내지 1중량%, 고추 가루 1 내지 8중량%를 총중량 100%로 하여 동력 3상 10마력 혼합기로 15 내지 30분간 혼합하여 찹쌀 풀 혼합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8공정은 찹쌀 풀을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로, 찹쌀 풀 혼합물을 25 내지 45중량%과 제5공정에서 별도 보관한 혼합수용액 또는 정수 75 내지 55중량%를 혼합하여 솥에 넣고 온도를 100℃까지 서서히 가열하면서 자동으로 휘저음을 최소한 30분 이상 계속하여 여러 원료 속에서 추출하여 혼합되는 성분으로 인하여 풍부한 향미가 만들어지고 응집력이 생기므로 지름이 3㎜의 유리 봉의 끝 밑에 원으로 매달리는 응집력을 가지고 표면에 윤기가 나면서 매운맛을 밑바탕으로 하여 새콤달콤하고 고소하고 2 내지 10% 짠맛을 소유한 대중적 월드 향미의 담백한 찹쌀 풀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9공정은 풀을 바르는 기술적 과제로, 숙성 동백나무잎 또는 숙성 동백꽃송이를 한장 한장에 조성물을 구성하는 비율과 도포 및 살포율과 동일한 량의 찹쌀 풀을 도포하는 것으로 40 내지 70℃의 품 온을 유지하는 찹쌀 풀 통에 숙성 동백나무잎 또는 숙성 동백꽃송이를 한 장씩 꼭지를 잡고 침 지하여 숙성 동백나무잎 또는 숙성 동백꽃송이 속까지 찹쌀 풀을 도포하고 침투시키어 조성물 도포율과 동일한 량의 찹쌀 풀을 균일하게 도포하고, 도포한 동백나무잎 또는 도포한 동백꽃송이를 폭이 2 내지 3㎜의 뾰족한 집게로 꼭지를 집어 고정하여 도포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가 접치는 것을 방지하여 도포 동백나무잎 또는 도포 동백꽃송이를 조성하고, 조성물 살포(撒布)율과 동일한 량의 깨 혼합물과 실고추를 앞뒤에 살포하여 도포 및 살포 동백나무잎 또는 도포 및 살포 동백꽃송이를 조성하는 방법과, 숙성 동백나무잎 또는 숙성 동백꽃송이를 한장 한장을 플라스틱 도마 위에서 40 내지 70℃의 품 온을 유지하는 찹쌀 풀을 도포 비율과 동일한 량을 도포하고 도포한 동백나무잎 또는 도포한 동백꽃송이의 앞뒤에 살포 비율과 동일한 깨 혼합물과 실고추를 살포하여 담백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의 찹쌀 풀 도포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를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10공정은 건 조하는 기술적 과제로, 도포 동백나무잎 또는 도포 동백꽃송이를 25 내지 30℃의 2~4m/s 온풍 위를 통과하면서 2 내지 4분마다 자동으로 상하를 2 내지 3회 뒤집기를 실시한 후 찹쌀 풀이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에 안전하게 도포 착지하면 건조(乾燥) 선을 따라 40 내지 60℃의 열풍 건조실로 이동하여 다단 건조대에서 20 내지 30시간 건조하여 수분함량 5% 이하로 건조하는 것과 습도가 낮고 햇빛이 있는 좋은 날에는 야회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건조하여 수분함량 5% 이하로 건조하여 건조 동백나무잎 또는 건조 동백꽃송이의 부각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11공정은 선별포장하는 기술적 과제로, 건조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의 부각을 모양이 좋고 같은(同一) 규격으로 검사하여 100 내지 50000g씩 빛과 공기가 차단된 밀폐(密閉) 용기에 탈산제(脫酸劑)를 넣고 봉인하고, 골판지 상자로 포장하는 것과 건조 동백나무잎 부각의 꼭지를 제거하여 상기와 동일한 규격과 방법으로 포장하여 상품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12공정은 튀기는 기술적 과제로, 건조 동백나무잎 또는 건조 동백꽃송이 부각을 15 내지 20℃ 의 품 온(品溫)으로 조절하여 아름다운 튀김 꽃의 조건을 조성하고, 튀김 솥에 신선한 콩기름을 튀김 솥의 2/3 정도 넣고 140 내지 200℃로 콩기름을 가열하고, 품 온이 조절된 건조 동백나무잎 또는 건조 동백꽃송이 부각을 3 내지 5㎠ 크기로 조각을 내어 가열된 튀김 솥 기름에 넣어 즉석 실험을 하여 실험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 꽃송이 부각이 즉시 부상하면서 많은 기포를 형성하고 하얗게 부풀어 오르면, 건조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 부각과 튀김 솥 기름의 온도가 가장 적정한 것으로 건조 동백나무잎 또는 건조 동백꽃송이 부각을 튀김 솥 기름 면적의 1/2 정도를 넣고 10 내지 60초 동안 유탕(튀김) 처리하여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 부각이 하얗게 부풀고 바삭바삭한 것이 꽃처럼 예쁘게 튀겨지는 것으로 품 온을 유지하는 것과 기름의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 것은 부각 튀김의 좋은 조건으로 처음 실험한 튀김 조건을 계속 유지하는 기술적 관리가 필요하고 이렇게 튀겨진 동백나무잎 또는 동백꽃송이의 부각은 매운맛을 밑바탕으로 하여 새콤달콤하고 고소하며 균일하게 간이 된 대중적 월드 향미의 담백한 튀김 동백나무잎 또는 튀김 동백꽃송이 부각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13공정은 탈지냉각하는 기술적 과제로, 매운맛을 밑바탕으로 하여 새콤달콤하고 고소하며 균일하게 간이 된 대중적 월드 향미의 담백한 튀김 동백나무잎 또는 튀김 동백(冬柏)꽃 송이 부각을 채반이나 그물망 또는 동력 3상 5마력 2500 내지 3000rpm의 원심분리기(遠心分離機)로 튀긴 즉시 고온에서 기름을 탈취하여 파손을 방지하고 20℃ 이하의 저온 실에서 냉각하여 매운맛을 밑바탕으로 하여 새콤달콤하고 고소하며 균일하게 간이 된 대중적 월드 향미의 담백한 냉각 동백나무잎 또는 냉각 동백꽃송이 부각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동백 꽃 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동백 꽃 잎 튀김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14공정은 선별포장하는 기술적 과제로, 매운맛을 밑바탕으로 하여 새콤달콤하고 고소하며 균일하게 간이 된 대중적 월드 향미의 담백한 냉각 동백나무잎 또는 냉각 동백(冬柏) 꽃송이 부각을 모양이 좋고 동일한 규격으로 검사하여 100 내지 50000g씩 빛과 공기가 차단된 밀폐(密閉)용기에 탈산제(脫酸劑)를 넣고 골판지 상자에 포장(包裝)하는 것과 냉각 동백나무잎 부각의 꼭지를 제거하고 동일한 방법과 규격으로 포장하여 상품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백 꽃 잎 튀김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20070116376A 2007-11-15 2007-11-15 동백나무잎 또는 꽃송이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934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376A KR100934348B1 (ko) 2007-11-15 2007-11-15 동백나무잎 또는 꽃송이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376A KR100934348B1 (ko) 2007-11-15 2007-11-15 동백나무잎 또는 꽃송이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123A true KR20090050123A (ko) 2009-05-20
KR100934348B1 KR100934348B1 (ko) 2009-12-31

Family

ID=4085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376A KR100934348B1 (ko) 2007-11-15 2007-11-15 동백나무잎 또는 꽃송이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3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766A (ko) * 2017-11-30 2019-06-10 제주동백 주식회사 동백꽃 추출물 분말을 포함하는 초콜릿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980B1 (ko) * 2001-09-20 2008-07-09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섯 균사체 배양에 의한 기능성 뽕잎 건강식품의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766A (ko) * 2017-11-30 2019-06-10 제주동백 주식회사 동백꽃 추출물 분말을 포함하는 초콜릿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4348B1 (ko) 200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902B1 (ko) 한방 개량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 고추장 조성물
KR20090032158A (ko) 가압전이(加壓轉移)에 의한 과일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00084594A (ko) 콜라겐 월드 김(海苔)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79016B1 (ko) 한방 개량간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방 개량간장 조성물
KR100896905B1 (ko) 한방 개량된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된장 조성물
KR100974356B1 (ko) 새콤달콤한 동백꽃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84844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비타 사과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53838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감귤(柑橘) 비타 침출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18876A (ko) 새콤달콤한 쿠르쿠민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947666B1 (ko)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934348B1 (ko) 동백나무잎 또는 꽃송이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90050931A (ko) 동백(冬柏)꽃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10080685A (ko) 비타민을 함유하는 새로운 향미의 마른김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52258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감귤 비타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94284B1 (ko) 머위, 매실 및 함초를 함유하는 침출차와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한 침출차와 액상추출차
KR20090018874A (ko) 고혈압 환자가 마시는 새콤달콤한 진 코 침출 및 액상 티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Aziz et al. Fruit & vegetable juice therapy
KR20090050930A (ko) 동백(冬柏)나무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213322B1 (ko) 고소하고 달콤한 유황 김(海苔)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60063855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함 콜라겐 복숭아 비타 녹차(과일 침출차)
KR100884846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복분자 비타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17712A (ko) 레볼루션 블랙 침출 및 액상 티 조성물(組成物)과 그 제조방법
KR20060069404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함 콜라겐 비타 사과 홍차(과일 침출차)
KR20060064590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한 콜라겐 석류 비타 녹차
KR20090026231A (ko) 배변배뇨를 위하여 마시는 다시마 침출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