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666B1 -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666B1
KR100947666B1 KR1020070116394A KR20070116394A KR100947666B1 KR 100947666 B1 KR100947666 B1 KR 100947666B1 KR 1020070116394 A KR1020070116394 A KR 1020070116394A KR 20070116394 A KR20070116394 A KR 20070116394A KR 100947666 B1 KR100947666 B1 KR 100947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ie
leaf
glutinous rice
weight
l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0131A (ko
Inventor
전현철
전원찬
전병균
Original Assignee
전현철
전원찬
전병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현철, 전원찬, 전병균 filed Critical 전현철
Priority to KR1020070116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666B1/ko
Publication of KR20090050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슘과 마그네슘의 함량이 높고 일반적 영양소가 다양하게 함유하는 원료를 이용하여 성장기의 어린이와 노년기의 노인을 위한 음식과 집단급식소의 간편 영양식과 요식업소의 고급음식 및 병상 음식과 요정의 고급 술안주 일식집의 정상메뉴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성물(組成物)로, 조성물의 원료는 영양적 가치가 높고 잎맥이 두텁고 섬유질이 풍부하여 산업성이 높고 원료가 풍부하고 공급이 편리하고 좋아 생산성이 높은 경제적 가치가 우수한 산물(産物)을 새로운 식품으로 발명하여 재배농가에 더 많은 새로운 소득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은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을 구성하는 원료는 모시풀잎 또는 모시풀 꽃과 꽃대, 찹쌀 풀, 깨 혼합물(통깨 50중량%+검은깨 50중량%)을 포함하는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원료의 수피는 전통의류의 최고급 원료로 한에 3회 이상 절단수확하여 수피만 사용하고 잎(葉)은 부산물(副産物)로 퇴비로 사용하고 목질부는 화목(火木)으로 사용하는 모시나무 잎으로 모시나무 풀잎에는 칼슘과 마그네슘이 다량으로 함유하여 새로운 가치를 본 발명으로 제공하므로 모시풀잎이 가지는 고유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여 전통 부각의 조성물을 조성하는 것으로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은 모시풀잎, 함 초, 찹쌀가루, 튀김 가루, 콜라겐, 스테비아가루, 구연산, 생강가루, 콩가루, 녹차 가루, 다시마 가루, 깨 혼합물(통깨+검은깨)을 포함하는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이다.
또한,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는 단계,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별하는 단계, 조성물의 구성 비율을 산정하는 단계, 세척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 데친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 숙성 모시풀잎 조성하는 단계, 찹쌀 혼합물을 조성하는 단계, 찹쌀 풀을 조성하는 단계,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 건조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 선별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포장하는 단계, 튀긴 모시풀잎 부각을 조성하는 단계, 탈지 냉각 튀김 모시풀잎 부각을 조성하는 단계, 선별 포장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모시풀잎 부각(모시나무 잎 부각), 유탕(油湯 튀김), 도포(塗布 바르는 것), 살포(撒布 뿌리는 것),

Description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sweet flavorous the Fried Ramie}
본 발명은 칼슘과 마그네슘의 함량이 높고 일반적 영양소가 다양하게 함유하는 원료를 이용하여 성장기의 어린이와 노년기의 노인을 위한 음식과 집단급식소의 간편 영양식과 요식업소의 고급음식 및 병상 음식과 요정의 고급 술안주 일식집의 정상메뉴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성물(組成物)을 조성하는 기술분야로, 조성물의 원료는 영양적 가치가 높고 잎맥이 두텁고 섬유질이 풍부하여 산업성이 높고 원료가 풍부하고 공급이 편리하고 좋아 생산성이 높은 경제적 가치가 우수한 산물(産物)을 식품으로 새로운 기치를 부여하는 발명으로 본 발명으로 재배농가의 새로운 소득원을 제공하는 기술분야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원료의 수피(樹皮)는 전통의류의 최고급 원료로 한에 3회 이상 절단수확하여 수피만 사용하고 잎(葉)은 부산물(副産物)로 퇴비로 사용하는 모시나무 잎으로 모시나무 잎은 칼슘과 마그네슘이 다량으로 함유하여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므로 모시풀잎이 가지는 고유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여 전통 부각의 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분야로 모시풀잎의 푼 냄새 제거하는 기술분야, 모시풀잎의 고유한 색상을 보존하는 기술분야, 잎맥이 두텁고 섬유질이 많은 모시풀잎을 부드럽게 하는 기술분야, 모시풀잎 데지는 수용액을 유익한 조성물로 조성하는 기술분야, 모시풀잎을 데치는 기술분야, 데친 모시풀잎에 수분을 제거하는 기술분야, 대중적 월드 향미의 찹쌀 풀을 조성하는 기술분야, 모시풀잎에 찹쌀 풀을 균일하게 도포하는 기술분야로 단계별 독립된 기술을 하기와 같이 제시한다.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의 단계별 독립된 기술은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별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조성물의 구성 비율을 산정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세척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데친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숙성 모시풀잎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찹쌀 혼합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찹쌀 풀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건조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선별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포장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튀긴 모시풀잎 부각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탈지 냉각 튀김 모시풀잎 부각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선별 포장하는 단계의 기술분야를 특징으로 하는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이다.
원료를 선정하는 지식기술, 선정한 원료를 목적에 부합하는 규격으로 선별하는 지식기술, 조성물의 도포비율을 정하는 실험기술, 침 지 세척하는 기술, 삶고 데치는 기술, 펼치고 숙성하는 기술, 배합하는 기술, 풀을 조성하는 기술, 균일하게 풀을 바르는 도포기술, 건조하는 기술, 선별포장하는 기술, 튀기는 기술, 탈지 냉각하는 기술, 선별포장하는 기술을 배경기술로 하는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기술이다.
본 발명의 해결(解決)하고자 하는 과제(課題)를 제시하기 전에 본 발명의 조성물인 부각에 대하여 역사적(歷史的) 개념(槪念)을 먼저 제시하고 전통적(傳統的) 개념을 존중하는 새로운 기술로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부각(佐飯 Fried)
부각은 맑은 공기와 깨끗한 물이 있는 청정지역의 향미가 좋은 엽 채(葉菜)를 이용하여 깊은 산속 사찰에서 수도하는 도인이나 신선의 편의에 의한 저장성과 휴대성을 필요로 하여 태동한 귀한 음식이 부각으로 부각은 산사에서 시작한 사찰 음식으로 사찰에서 궁중의 소주방(燒廚房)으로 임금의 수라상(水刺床)으로 전파하여 왕족이나 명문대가에서 다시 서민(庶民)으로 대중화된 귀한 음식으로 오늘날에는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부식이다.
일반적으로 부각이라 함은 당(糖) 각, 튀각, 자반(佐飯)을 통칭하는 대표명칭으로 사용하지만 구체적으로 구분하면 부각은 원료(해초류, 나물, 고추 등)에 간을 한 찹쌀 풀을 발라 유탕(油湯 튀김) 처리하는 것이고, 당(糖) 각은 원료에 찹쌀 풀을 바르고 유탕(油湯 튀김) 전후에 물엿이나 조청 또는 감미료를 다시 도표((塗布 Coating) 처리하는 것이고, 튀각은 원료 자체만을 유탕(油湯 튀김) 처리하여 양념한 것이고, 자반(佐飯)은 고추장 된장 간장 등 갖은 양념으로 밥반찬을 목적으로 하여 유탕(油湯 튀김) 처리하는 것이고, 화(花)각은 꽃(아카시아, 코스모스, 국화, 장미 등)에 찹쌀 풀을 도포하여 유탕(油湯 튀김) 처리하는 것이고, 육(肉)각은 고기(소고기 돼지고기 생선 등)에 찹쌀 풀을 도포하여 부각 또는 자반으로 유탕(油湯 튀김) 처리하는 것으로 분리할 수 있고, 팔도산물의 특색과 특징 그리고 채취하는 시기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본 발명을 통하여 원료와 공정의 차이에 의한 구분으로 상기와 같은 명칭으로 구분하여 확정하고자 한다.
부각에 적당한 유탕(油湯 튀김)의 온도는 140 내지 190℃로 140 내지 150℃에서는 튀김 물이 튀김 통에 깊숙이 내려갔다가 떠오르고, 160 내지 170℃에서는 튀김 물이 튀김 통의 중간에서 내려갔다가 떠오르고, 180 내지 190℃에서는 튀김물이 가라 않지 않고 바로 떠있음으로 튀김 통의 온도를 수시로 확인하여 바삭바삭하고 고소한 부각을 생산해야한다.
부각을 바삭 바삭하게 튀기기 위하여서는 튀김 부각의 품 온이 10 내지 20℃ 차게하여 튀기면 더 바삭해지고 찹쌀 풀의 수분조건을 시험하는 방법은 젓가락 끝에 찹쌀 풀이 원으로 매달리는 상태가 수분함량이 적당하고, 튀김 물과 튀김 솥의 적당한 온도는 튀기고자 하는 부각을 1 내지 5㎝ 정도 잘나서 가열한 튀김 솥에 떨어뜨렸을 때 금방 떠오르는 온도가 튀김 물에 적당한 온도가 된다.
부각을 튀길 때 솥에 넣는 량(量)은 튀김 솥의 기름표면의 반 정도가 적당하 고, 한 번에 너무 많이 넣으면 기름 온도가 급속이 떨어지므로 바삭한 튀김을 만들 수 없고 수시로 기름의 온도를 확인하여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삭바삭한 부각을 생산할 수 있다.
좋은 부각은 좋은 향미의 도포 풀과 균일한 도포에 의한 비율과 튀김용 기름의 선택과 조성하는 기술적 가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포의 비율은 향미와 팽창에 의한 확대율과 저장 및 운반과 관계를 한다.
본 발명은 칼슘과 마그네슘의 함량이 높고 일반적 영양소가 다양하게 함유하는 원료를 이용하여 성장기의 어린이와 노년기의 노인을 위한 음식과 집단급식소의 간편 영양식과 요식업소의 고급음식 및 병상 음식과 요정의 고급 술안주 일식집의 정상메뉴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성물(組成物)을 조성하는 기술(技術)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課題)로 하여, 조성물의 원료는 영양적 가치가 높고 잎맥이 두텁고 섬유질이 풍부하여 산업성이 높고 원료가 풍부하고 공급이 편리하고 좋아 생산성이 높아 경제적 가치가 우수한 산물(産物)을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식품으로 새로운 기치(價値)를 부여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기술로 본 발명으로 하여 원료를 재배하는 농가에 새로운 소득원을 제공하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술적 과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원료의 수피(樹皮)는 전통의류의 최고급 원료로 한에 3 회 이상 절단수확하여 수피만 사용하고 잎(葉)은 부산물(副産物)로 퇴비로 사용하는 모시나무 잎으로 모시나무 잎은 칼슘과 마그네슘이 다량으로 함유하여 새로운 가치를 제공(提供)하므로 모시풀잎이 가지는 고유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여 전통 부각의 조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하여, 모시풀잎의 푼 냄새를 제거하는 기술적 과제, 모시풀잎의 고유한 색상을 보존하는 기술적 과제, 잎맥이 두텁고 섬유질이 많은 모시풀잎을 부드럽게 하는 기술적 과제, 모시풀잎을 데지는 수용액을 유익한 조성물로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 모시풀잎을 적당한 온도로 데치는 기술적 과제, 데친 모시풀잎에 수분을 제거하는 기술적 과제, 대중적 월드 향미의 찹쌀 풀을 조성하는 기술적 과제, 모시풀잎에 찹쌀 풀을 균일하게 도포하는 기술적 과제를 공정(工程 Manufacturing)에 의한 단계별 독립된 기술은 하기와 같이 제시한다.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의한 공정단계별 독립된 기술은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별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조성물의 구성 비율을 산정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세척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데친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숙성 모시풀잎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찹쌀 혼합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찹쌀 풀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건조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선별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포장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튀긴 모시풀잎 부각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탈지 냉각 튀김 모시풀잎 부각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선별 포장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를 특징으로 하는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은 목적에 부합(符合)하는 조성물(組成物)을 조성하기 위하여 공정(工程 Manufacturing)의 단계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명확하고 간결하게 구성하고 과제별 목적과 방법을 공정별로 설정(設定)하여 단계별 독립적 기술성을 유지하는 특성을 본 발명의 구체적(具體的)인 기술로 하여 과제 해결 수단을 하기공정의 순서(順序)에 의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제1공정은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는 단계,
풍부한 섬유질로 잎맥이 두텁고 열에 의한 저항성이 강한 칼슘(녹는점 842 내지 848℃, 끓는점 1,487℃)과 마그네슘(녹는점 651℃, 끓는점 1,107℃)의 함량이 높고 일반적 영양소와 팔미트산(Palmit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올레산(Oleic acid) 등을 다양하게 함유하고 부각으로 최적의 조건을 간직한 모시풀잎을 주원료로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를 위하여 찹쌀 풀의 원료로 응집력과 접착력 강하고 영양적 가치가 높은 찹쌀가루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와 바삭바삭함을 위하여 튀김가루를 선정(選定)하고, 우리의 몸은 16%의 단백질로 이루어졌고 단백질의 2/3가 콜라겐으로 이루고 있고 콜라겐은 영양분을 세포로 전달하고 세포의 노폐물을 회수하는 기능과 칼슘과 무기질을 흡수하여 뼈와 골격을 이루고 있는 생체의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단백질을 동물성 콜라겐으로 선정(選定)하고, 열에 강하고 담백한 단맛으로 대중적 월드 향미를 가진 스테비아가루를 선정(選定)하고, 새콤한 향미와 피로회복 촉진을 위하여 구연산을 선정(選定)하고, 풍부한 무기질을 함유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로 부드러운 짠맛과 모시풀잎 색상보존을 위하여 함 초를 선정(選定)하고, 부패(腐敗)를 방지하고 담백한 향미 개선과 영양공급을 위하여 생강가루를 선정(選定)하고, 고소한 대중적 월드 향미와 단백질 보충을 위하여 콩가루를 선정(選定)하고, 산패(酸敗) 방지하고 향미개선 및 영양공급으로 녹차 가루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를 위하여 다시마 가루를 선정(選定)하고, 품격과 향미를 위하여 통깨를 선정(選定)하고, 품격과 모양과 향미를 위하여 검은깨를 선정(選定)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2공정은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별하는 단계,
모시풀잎은 가로 8 ~ 16㎝ 세로 13 ~ 20㎝의 크기의 잎으로 윗면은 진한 초록색이나 잎 뒷면은 솜 같은 털이 빽빽하게 나 있어 하얗게 보이며 잎에 섬유질이 많아 두텁고 질긴 것으로 선별(選別)하고, 찹쌀을 정수에 10시간 이상 침 지하여 분쇄한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찹쌀가루로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튀김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콜라겐을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스테비아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구연산을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함 초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생강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콩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녹차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다시마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고 고소함이 풍부한 볶은 통깨를 선별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고 고소함이 풍부한 볶은 검은 깨를 선별(選別)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3공정은 조성물의 구성비율을 산정하는 단계,
조성물을 구성비율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데친 모시풀잎 또는 데친 모시풀 꽃과 꽃대 80 ~ 12중량%, 찹쌀 풀 12 ~ 87중량%, 깨 혼합물(통깨 50중량%+검은깨 50중량%) 8 ~ 1중량%를 포함하는 총중량 100중량%로 하는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을 구성비율이다.
제4공정은 세척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
소금과 장수를 혼합하여 2 ~ 4%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조성하고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선별한 모시풀잎은 넣고 침 지 세척하여 모시풀잎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다시 정수에 침 지 세척으로 염화나트륨을 제거하는 세척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5공정은 데친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
함 초와 정수를 혼합하여 6 ~ 18%의 함 초 수용액을 조성하고 함 초 수용액을 솥에 넣고 100±5℃로 가열하고 세척 모시풀잎을 넣고 2 ~ 6분간 데쳐 모시풀잎의 푸른 색상을 보존하고 모시풀잎의 섬유질을 부드럽게 하고 데친 함 초 수용액을 용기에 담아 10℃ 이하로 별도 보관하는 데친 모시풀잎과 데친 함 초 수용액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6공정은 숙성 모시풀잎 조성하는 단계,
데친 모시풀잎을 상하좌우로 펼쳐 무명천으로 수분을 제거하면서 모시풀잎의 크기로 따라 대, 중, 소 3등 분하여 50 ~ 100매씩 천연섬유로 묶어 10 ~ 20℃ 숙성실에 12 ~ 24시간 숙성하여 풋(Unripe) 향미를 제거하여 균일한 찹쌀 풀의 도포를 위한 펼쳐 숙성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7공정은 찹쌀 혼합물을 조성하는 단계,
찹쌀 풀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찹쌀가루 40 ~ 83중량%, 튀김 가루 25 ~ 10중량%, 콜라겐 5 ~ 1중량%, 스테비아가루 5 ~ 1중량%, 구연산 3 ~ 1중량%, 생강가루 6 ~ 1중량%, 콩가루 10 ~ 1중량%, 녹차 가루 3 ~ 1중량%, 다시마 가루 3 ~ 1중량%를 총중량 100중량%로 하여 동력 3상 10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통상의 혼합기로 15 ~ 30분간 혼합하여 찹쌀 혼합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8공정은 찹쌀 풀을 조성하는 단계,
찹쌀 풀 혼합물 20 ~ 40중량%과 제5공정에서 별도 보관한 함 초 수용액 또는 정수 80 ~ 60중량%를 혼합하여 솥에 넣고 온도를 100℃까지 서서히 가열하면서 5 ~ 30rpm으로 자동 휘젓는 솥에서 최소한 30분 이상 계속하여 여러 원료가 혼합되는 성분으로 인하여 풍부한 향미가 만들어지고 응집력이 생기므로 지름이 3㎜의 유리 봉의 끝 밑에 원으로 매달리는 응집력을 가지고 표면에 윤기가 나면서 새콤함을 밑바탕으로 하여 달콤하고 고소하고 짠맛을 소유하면서 담백하고 대중적 담백한 향미의 찹쌀 풀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9공정은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
제3공정의 구성비율과 동일한 량의 찹쌀 풀 통 속에 제3공정의 구성비율과 동일한 량의 숙성 모시풀잎과 제3공정의 구성비율과 동일한 량의 깨 혼합물을 넣고 찹쌀 풀의 품 온을 40 ~ 70℃로 유지하면서 수동으로 혼합 도포하여 모시풀잎 앞뒤에 찹쌀 풀과 깨 혼합물이 균일하게 혼합 도포하여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0공정은 건조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25 ~ 30℃의 2 ~ 4m/s 온풍 위를 통과하면서 2 ~ 4분마다 자동으로 상하를 2 ~ 3회 뒤집기를 실시한 후 찹쌀 풀이 모시풀잎에 안전하게 도포 착지하면 건조(乾燥) 선을 따라 40 ~ 60℃의 열풍 건조실로 이동하여 도포 모시풀잎의 모양의 변화가 없을 때 다시 모시풀잎의 꼭지만을 집어 공간이 축소된 다단 건조대에서 10 ~ 15시간 건조하여 수분함량 20 ~ 40%로 건조하고 2 ~ 10㎠의 크기로 절단하여 다용도 조성물로 규격화하여 다시 40 ~ 60℃의 열풍 건조실에서 10 ~ 15시간 건조하여 수분함량 5% 이하로 건조하는 것과 습도가 낮고 햇빛이 있는 좋은 날에는 야회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2 ~ 10㎠의 크기로 절단하여 건조하는 것으로 건조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방법과 채반에 도포 모시풀잎을 한 장씩 펼쳐 40 ~ 60℃의 건조실에서 20 ~ 30시간 건조하여 수분함량 5% 이하로 건조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1공정은 선별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포장하는 단계,
건조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모시풀잎의 모양이 좋고 같은 규격으로 검사하여 100 ~ 50000g씩 빛과 공기가 차단된 밀폐(密閉)용기에 탈 산 제(脫酸劑)를 넣고 봉인하고 운반용 상자에 포장하는 것과 건조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즉 모시풀잎의 부각의 꼭지를 제거하여 상기와 동일한 규격과 방법으로 포장하여 상품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선별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포장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2공정은 튀긴 모시풀잎 부각을 조성하는 단계,
건조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 즉 모시풀잎 부각을 15 ~ 18℃의 품 온을 조절하여 아름다운 튀김 꽃의 조건을 조성하고, 튀김 솥에 신선한 콩기름을 튀김 솥의 2/3 정도 넣고 140 ~ 200℃로 콩기름을 가열하고, 품 온이 조절된 모시풀잎 부각을 3 ~ 5㎠ 크기로 조각을 내어 가열된 튀김 솥 기름에 넣는 즉석실험을 하여 실험 모시풀잎 부각이 즉시 부상하면서 많은 기포를 형성하고 하얗게 부풀어 오르면, 모시풀잎 부각과 튀김 솥의 기름 온도가 가장 적정한 것으로 모시풀잎 부각을 튀김 솥 기름 면적의 1/2 정도를 넣고 10 ~ 30초 동안 유 탕(튀김) 처리하여 모시풀잎 부각이 하얗게 부풀고 바삭바삭한 것이 꽃처럼 예쁘게 튀겨지는 과정으로 이때 품 온을 유지하는 것과 기름의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 것은 부각 튀김의 좋은 조건으로 처음 실험한 튀김 조건을 계속 유지하는 기술적 관리가 필요하고 이렇게 튀겨진 모시풀잎의 부각은 새콤함을 바탕으로 고소하고 달콤하면서 약간 짭짤한 대중적 담백한 향미의 튀김 모시풀잎 부각으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3공정은 탈지 냉각 튀김 모시풀잎 부각을 조성하는 단계,
새콤함을 바탕으로 고소하고 달콤하면서 짭짤한 대중적 담백한 향미의 튀긴 모시풀잎 부각을 채반이나 그물망으로 고온에서 기름을 탈취하여 파손을 방지하고 20℃ 이하의 저온 실에서 냉각하여 새콤함을 바탕으로 고소하고 달콤하면서 짭짤한 대중적 담백한 향미의 탈지 냉각 모시풀잎 부각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4공정은 선별포장하는 단계,
새콤함을 바탕으로 고소하고 달콤하면서 짭짤한 대중적 월드 향미의 탈취 냉각 모시풀잎 부각을 모양이 좋고 동일한 규격으로 검사하여 100 ~ 50000g씩 빛과 공기가 차단된 밀폐(密閉)용기에 탈 산 제(脫酸劑)를 넣고 운반용 상자에 포장(包裝)하는 것과 탈취 냉각 모시풀잎 부각의 꼭지를 제거하고 동일한 방법과 규격으로 포장하여 상품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콤함을 바탕으로 고소하고 달콤하면서 짭짤한 대중적 담백한 향미의 모시풀잎 튀긴 부각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組成物)에 사용된 원료의 특성 및 기능적 효과와 조성물의 혼합을 통하여 상승하는 기호(嗜好)와 기능(機能)적 효과(效果)를 제시하고자 한다.
가. 조성물(組成物) 원료의 특징(特徵)에 의한 기호(嗜好)와 기능(機能)적 효과(效果).
1. 모시풀잎 (苧麻 Ramie)
학명( Boebmeria nivea L) 쐐기풀 과(―科 Urtic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목으로 단단한 뿌리를 지니고 있으며 키는 1 내리 2m까지 직립으로 자란다. 줄기에는 잔털이 나 있고 잎은 달걀모양으로 하고 어긋나고 잎 끝이 꼬리처럼 길어지며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들이 고르게 나 있다.
모시풀 나무는 가지치기(剪定)를 하여 모시풀 나무에서 고급섬유의 원료로 사용하는 수피(樹皮)를 채취하는 재배 및 자연산 작물로 섬유원료를 얻기 위하여 모시풀 나무에서 가지치기(剪定)를 하면 보통 40 내지 60일이 지나면 새순이 나와서 다 자라는 성장이 빠르고 잘라는 다년생 초목으로 수피를 수확하기 위하여 가지치기(剪定)를 할 때 모시풀잎은 보통 가로 8 내지 16㎝ 세로 13 내지 20㎝의 크기로 자라고 잎의 윗면은 진한 초록색이나 잎 뒷면은 솜 같은 털이 빽빽하게 나 있어 하얗게 보이며 잎에 섬유질이 많아 두텁고 질기다.
모시풀 나무의 꽃은 7 내지 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원추(圓錐)꽃차례를 이루어 피는데, 암꽃과 수꽃이 따로따로 달린다. 엷은 초록색 암꽃으로 이루어진 암꽃차례는 줄기 아래쪽에, 노란빛이 도는 흰색 수꽃으로 이루어진 수꽃차례는 위쪽에 달린다. 이들 꽃차례는 길이가 8 내지 12㎝에 달한다. 노란 꽃은 꽃잎은 없고 꽃 섶이 많은 조각으로 이삭처럼 이루어져 있고 열매는 긴 타원형이며 여러 개가 한데 모여 있는 특성을 이용하여 잎과 꽃과 꽃대로 새로운 식품으로 새로운 가치를 본 발명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으로 모시풀 나무의 부가 가치를 높이는 새로운 용도를 개발하는 것으로 모시풀 나무의 다년생 뿌리는 약재로 줄기는 섬유의 고급원로로 잎은 새로운 식품으로 꽃과 꽃대는 또 다른 식품으로 개발하여 모시풀 나무는 버리는 것이 없는 소득작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농가의 새로운 소득원이다.
모시풀은 중부 이남의 산이나 들판 눅눅한 곳에서 잘 자란다. 섬유작물로 심기도 한다. 가을에 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햇볕에 건조하여 약용으로 사용하고, 줄기껍질에서 실을 뽑아 짠 천을 모시라고 하는데 모시는 여름에 시원하게 입는 고급양복이나 고급와이셔츠 등으로 쓰이며, 모시풀로 만든 종이는 질겨서 돈(紙幣)의 재료로 쓰고 있다. 모시풀은 모시(섬유원료)를 얻기 위해 옛날부터 심어 왔으며 한국에서는 고려시대부터 심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시풀 나무는 모시옷을 제작하기 위하여 모시풀 나무 뿌리의 지상부를 잘라 수피를 이용하여 모시옷을 제작하고 수피 속의 목질부는 화목으로 잎은 부산물로 거름으로 사용하는 섬유작물로 모시풀 나무는 성장력이 강하여 1년에 3회 이상 수확을 한다.
모시풀 나무는 기온과 습도가 높은 곳에서 잘 자라는데, 우리나라 국토의 서쪽인 충청남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지방에서 널리 심고 있다. 이 중에서도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 지방은 옛날부터 한산모시로 유명하여 모시를 많이 심어왔으며, 1000년의 역사를 가지므로 품질이 아주 뛰어나 한산모시로 알려져 궁중이나 귀족에게 진상한 것으로 전하여 왔고, 모시풀 나무 뿌리는 출혈을 막아주고 독이 든 벌레 에 물린 상처를 치료할 때 쓰기도 하며, 이뇨 효과가 있다고 한다.
모시풀 잎에는 클로로겐산(C16 H18 O9) 있고 약한 산 용액에 끊이면 카페 산과 키나 산으로 분해된다. 로이폴린(C27 H30 O14) 약 0.7%, 아피게닌, 프로토카테키산(C7 H5 O4)이 있다.
모시풀의 약리 카페 산 유도체는 지혈작용이 있고, 집토끼 정맥에 주사하면 2주일 동안 백혈구를 76%, 혈소판을 46%로 늘이었습니다. 태를 안정시키는 약으로 임신 중에 태동불안과 하혈에 효과가 있으며 여러 가지 출혈(장 출혈, 잇몸출혈, 자궁출혈)에 치료효과가 좋다고 전하고 있다.
한의에서 청 열 약, 독풀이 약, 이뇨약으로써 혈 뇨, 소변불통, 임질, 단독, 감기로 열이 있을 때 씁니다. 하루 6 내지 10g 정량입니다. 모시풀뿌리 달임 모시풀뿌리 20g을 달여서 요도염, 혈 뇨, 배뇨장애에 하루 3번에 나누어 마십니다. 약성가 및 고서 (苧根味甘補陰血 胎漏丹毒産後熱) 저 근은 달다. 음 혈을 보하며 태 루 단독 산후 열에 쓴 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한산모시의 고장 서천군과 한국식품연구원에 따르면, 모시 잎은 칼슘과 철, 마그네슘 등 풍부한 무기질을 담고 있다고 발표했고, 발표한 자료의 의하면 차 또는 일반 식품으로 새로운 제품으로 개발 가공할 경우 칼슘 함유량이 우유보다 수십 배나 많아 기능성 식품을 개발할 수 있는 원료로 손색이 없는 것으로 판단을 하고 본 발명을 이루고자 한다.
그래서인지 예로부터 모시를 짜는 장인들은 허리가 아프거나 무릎이 쑤시는 병을 가진 사람들은 없었다고 한다. 아마 모시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모시 속의 칼슘을 섭취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좋은 모시풀은 5 내지 6월 초, 8월, 10월에 걸쳐 일 년에 세 번 모시풀잎을 채취할 수 있고, 이때 채취하여 잎은 시들기 전에 증열(蒸熱)하여 건조하여 저온에서 보관하여 곰팡이가 없는 것이 좋다.
모시풀은 약초 중의 약초로 외상을 입어 혈관이 끊어지거나 신경이 끊어졌을 때 모시풀 잎을 발라주거나 싸매주면 외상이 나을 정도로 놀라운 약효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모시풀의 연한 잎을 먹으면 막혀있던 혈관을 뚫어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동안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모시풀 잎에는 생체 내 산화작용을 억제하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비롯한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하는 루틴 등 다양한 영양성분이 함유돼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모시풀 잎은 마비가 온 증상에 좋고 치매에 좋으며 노화까지 방지하는 혈액 정화제로 산후 부종이나 산후 후유증 등 각종 여성 병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 모시풀 잎은 어린 순을 나물로 먹어도 되고, 모시풀 잎을 말린 뒤 가루 내어 떡이나 칼국수를 해먹거나 양념 등에 활용해도 된다.
모시풀잎은 잎 속에 다량으로 함유한 칼슘과 칼륨, 철, 마그네슘으로 지방의 흡수를 억제하는 기능이 있어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최고라는 사실이 입증되었고, 웰빙시대에 문화적 가치가 높은 건강식품으로 식후에 전 후에 마시는 건강 차의 원료로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는 최고의 기능적 가치를 가진 토종의 작물로 농가의 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한다.
모시풀잎의 기능적 성분(표1)
Figure 112007081858685-pat00001
(본 자료는 한국식품연구원에서 서천군에 제공한 자료)
모시풀잎은 건강한 삶의 바탕이 되는 자원중에 자원으로 여름에 아름다운 패션의 원료로 가치가 있고 사계절 항상 건강을 지키는 생활 속의 동반자로 가까이하면 할수록 신비한 매력적 가치가 다시 평가되는 산업적 자원이다.
모시풀잎은 가까이하면 할수록 문명이 준 생활(現代) 속의 질병은 멀어지고 아름다움과 다이어트(Diet)에 의한 건강한 삶은 동반하는 중요한 새로운 가치가 확인될 수 있는 귀한 산업적 자원으로 확인하게 된다.
모시풀잎 속에 다량을 함유한 칼슘(녹는점 842 내지 848℃, 끓는점 1,487℃)과 마그네슘(녹는점 651℃, 끓는점 1,107℃)은 모시풀잎 부각의 원료로 좋은 기능적 조건을 간직하고 있고, 꽃과 꽃대는 모시풀잎 부각으로 좋은 조건을 간직한 농가의 새로운 소득원이다.
북한에서 발행한 약초의 성분과 이용이라는 귀한 책에는 모시풀(苧麻) 편 잎(葉)의 성분에는 클로로켄산(chlorogenic acid), 로이폴린0.7%, 아피게닌, 포로토카테킨산이 있고, 작용으로는 알코올 우려낸 물을 흰 생쥐의 배가 주사하니 백혈구 76% 혈소판 46% 증가를 확인하고, 출혈방지(피 멎이) 작용으로 혈소판증가 기능이 있다고 발표했다.
모시풀 우려낸 물 응용으로는 임신 때 태동불안, 하혈, 장 출혈, 잇몸출혈, 자궁출혈, 배뇨(오줌내기), 임질, 매독, 담독, 감기에 열 내림 약으로 사용한다.
※모시풀잎 속에 다량으로 함유한 성분의 기능적 특성과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과학적 자료에 의하여 재구성하면 하기와 같다.
팔미트산(Palmitic acid).
탄소 수가 16으로 화학식 CH3(CH2)14COOH. 분자량 256, 녹는점 62.65℃, 끓는점 351.5℃. 물(水)에는 녹지(受容性) 않으나 알코올이나 에테르에는 녹는다. 스테아르(Stearic) 산, 올레 산과 함께 동식물계에 널리 분포하며, 대부분의 유지에 함유되어 있는데, 특히 목 랍(木蠟), 팜유에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포화지방산의 일종으로 쇠기름이(牛脂)나 돈지(豚脂) 등에 함유되어 있는 팔미틴은 글리세롤과 3분 자의 팔미트산과의 에스테르(트리팔미틴)이다. 또, 경 랍(鯨蠟)은 팔미트산과 에탄올(세팅알코올)과의 에스테르이다. 팔미트산의 에스테르, 금속염, 알코올, 아미드 등의 유도체는 공업적으로 중요하며 도료, 그리스, 화장품, 플라스틱, 비누, 합성세제 등으로 널리 사용된다.
리놀렌산(Linolenic acid).
탄산 수는 18이고, 분자식 C18H30O2. 리놀레산과 매우 흡사한 분포를 보이며, 글리세린 에스테르로서 많은 건성유(乾性油)의 주성분을 이룬다. 무색의 액체로, 끓는점 230 내지 232℃이다. 물에 녹지 않고, 유기용매에는 녹는다. 이중결합이기 때문에 3종의 이성질체가 알려져 있다. 식물유(아마인)에서만 볼 수 있으며, 동물체 내에서는 합성이 되지 않기 때문에 동물유지에서는 보통 찾아볼 수가 없다. 동물에서는 성장에 불가결한 경우도 있는데, 스스로 합성할 수 없으므로 영양소로서 요구되며, 리놀레산 등과 함께 비타민 F(지방산의 F)라 불리기도 한다.
비타민 에프(Vitamin F) 지용성 비타민의 하나. 콜레스테롤의 대사에 관여하며, 이것이 부족하면 동맥 경화나 피부병을 일으킨다. 돼지의 피부 장애로 발견됐으나, 후에 리놀산과 리놀렌산으로 밝혀졌다. 콩기름 따위의 식물성 기름에 들어 있다.
오메가 3 계열과 오메가 6 계열 혹은 알파 리놀렌산과 감마 리놀렌산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들은 필수지방산으로 우리 몸에서 생성할 수 없으니 음식을 통해서 섭취하여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오메가 3이나 6의 의미는 지방산의 탄소사슬 중에서 메틸기가 붙어있는 곳에서부터 3번째 6번째 탄소의 위치를 말하며 리놀렌산은 이중결합이 3개를 의미하고 다시 말하면 리놀렌산은 주로 생선기름에 많이 있으며, 오메가 3 라고 불립니다. 3 번째 탄소에 이중결합이 있다는 말이다.
또한, 지방산의 산화 등과 관련된 비타민C와 이 같은 다른 영양소를 함께 복용하여야 최적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단순히 뭐가 좋더라 하는 식으로 드시면 만족 서러운 효과를 못 볼 수 있다.
리놀레산(Linoleic acid).
탄소 수는 18이고, 분자식 C18H32O2. 9, 12-옥타데카디엔 산이라고도 한다. 글리세롤과는 에스테르 결합으로 식물유 중에서 콩기름 면실유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공기 중에서 산화되기 쉬운 건성유(乾性油 요도 값 130 이상)는 이 리놀레산과 식물성 기름, 특히 잇꽃 기름, 콩기름, 옥수수기름에 글리세리드 형태로 많이 들어 있다.
공기 중에서 산화되기 쉬운 건성유(요도 값 130 이상)와 반건성유(요도 값 100 내지 130)의 주성분으로서, 혈중콜레스테롤과 에스테르 결합하여 유화 배출되기 쉽게 하므로, 리놀산을 많이 함유하는 식용기름은 혈중 콜레스테롤 값을 내리는 작용을 한다. 리놀산은 동물 체내에서 합성될 수 없는 필수지방산의 하나이며, 환원하면 스테아르 산이 된다. 리놀산이 결핍되면 성장억제나 피부염 등이 발생한다.
결합 리놀레 산(conjugated linoleic acid)이 사람의 체중 감량과 근력 강화에 도움을 준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이번 연구는 위스콘신대학-메디슨(Univ. of Wisconsin-Madison) 산하 식품연구소(Food Research Institute)의 연구진이 수행했으며 연구 결과는 미국화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의 학술대회를 통해 발표되었다.
위스콘신대학 식품연구소의 소장인 마이클 파리자(Michael Pariza) 교수 연구팀이 수행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결합 리놀레 산은 지방 세포가 커지는 것을 막고 근육의 생성을 도모하며 지방 세포의 산화(oxidation)를 증진시킴으로써 체중을 감량시키고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합 리놀레 산은 영양 보조제로 널리 사용되어 왔지만 이 물질이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을 직접 평가한 연구 보고서는 거의 발표된바 없었다.
리놀레 산(Linolenic acid)이 많이 들어간 식품으로는 들깨, 대두 유, 콩, 쇠비름, 등 푸른 생선에 많이 들어 있다. 필수 지방산은 신체를 정상적으로 성장, 유지시키며 체내의 여러 생리적 과정을 정상적으로 해결해주고, 특히 리놀레 산(Linolenic acid)은 우리 몸에서 E P A나 D H A로 변환되기도 한다. 리놀레 산은 주로 식용유에 많이 있고, 오메가 6 라고 불린다. 이것도 6 번째 탄소에 이중결합이 있다는 말이다.
스테아르산(Stearic acid).
탄소 수는 18이고, 포화 고급지방산으로 화학식은 화학식 C18H36O2. 상온에서는 백색의 엽 상(葉 狀) 결정으로, 녹는점 71 내지 71.5℃, 응고점 69.4℃. 물에는 녹지 않으나, 유기용매(有機溶媒)에는 잘 녹는다. 글리세롤과의 에스테르로서 널리 동식물계의 유지(油脂)나 인지질(燐脂質)에 함유되어 있고 천연으로는 가장 다량으로 존재하는 지방산이다.
소나 양 등의 상온에서 고체인 지방에는 특히 함유량이 많고, 액체 상태인 식물유에는 비교적 적다. 비누는 유지를 수산화 나트륨으로 비누 화하여 만드는데, 그 주성분은 스테아르 산의 나트륨염이다. 또, 스테아르 산과 팔미트 산과의 혼합물은 양초의 제조, 연고 등의 약품, 화장품용 크림 등에도 대량으로 사용된다.
생체 내에서 발견되는 고급포화지방산의 일종으로 상온에서는 백색의 엽 상 결정으로 다른 고급지방산과 마찬가지로 물에는 녹지 않으나, 유기용매(有機溶媒)에는 잘 녹는다.
올레산(Oleic acid).
탄소 수는 18이고, 화학식 C18H34O2, 녹는점 12℃, 끓는점 360℃이다. 이중결합을 1개 가지는 불포화지방산이다. 물에는 거의 녹지 않으나, 에탄올 ·에테르 ·클로로포름 등에는 녹는다. 백금 흑은 니켈 등을 촉매로 하여 수소로 환원시키면 포화인 스테아르 산이 된다.
순수한 것은 무색, 무취인 유상(油狀) 액체로, 공기 속에 방치해 두면 산화되어 황색 또는 갈색으로 착색되고 썩는 냄새가 난다. 올리브유나 동백기름 등 식물성 기름에 특히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소나 돼지의 유지에도 함유되어 있다. 동물에서는 글리세린과 에스테르를 형성하여 피하지방이나 간에 저장된다. 공업적으로 용도가 넓으며, 비누의 원료나 천(布)의 방수제로서 이용된다.
칼슘(Calcium).
주기율표 2A족에 속하는 알칼리토금속원소. 원소기호 Ca, 원자번호 20, 원자량 40.08, 녹는점 39℃, 끓는점 1480℃, 비중 1.55(20℃), 주요 산화 수는 +2, 입방 격자이다. 1808년 영국의 H. 데이비가 물로 혼합한 산화칼슘과 산화수은(Ⅱ)의 혼합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처음으로 은백색의 칼슘을 단리(單離) 하였다. 이 원소는 석회의 라틴어인 calx에서 연유하여 칼슘으로 명명되었다.
생체와 칼슘(calcium)은 칼슘은 중요한 무기질의 하나로서 인체에 2% 정도 함유되어 있다. 골격 중에 99% 존재하며 나머지는 1%는 혈액 및 근육에 함유되어 있다. 골격 중의 칼슘은 인산염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마그네슘을 약간 포함하고 있다.
골격은 인체의 지주격인 역할을 함과 동시에 칼슘의 저장고로서, 혈중 칼슘이 적어지면 골격 속에서 칼슘이 나와서 보급되며 또 여분의 칼슘은 골격으로 되돌아간다. 혈액 속의 칼슘은 대부분이 혈청 속에 존재하는데 항상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혈청 칼슘의 대부분은 이온화되어 있어서 각종 효소작용 등에 관계하고 있다.
또 혈액의 응고성에 대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칼슘은 또 심근(心筋)의 수축작용, 근육의 흥분억제, 신경의 흥분에 대하여 진정시키는 작용을 함과 동시에 백혈구의 식균작용을 촉진하고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등 생리적으로 중요한 작용을 한다.
또 혈중의 칼슘은 체액의 약알칼리성을 유지하는 데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칼슘은 주로 장내(腸內)에서 흡수되며 배설은 오줌과 장내의 양쪽에서 이루어진다. 특히 흡수에는 인 또는 비타민D를 필요로 하는데 칼슘과 인의 비율이 1:1이나 1:2 정도의 비율일 때 흡수가 잘된다.
이 비율이 극도로 커지면 칼슘의 흡수는 소외되고 결국 칼슘 부족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흡수된 칼슘은 먼저 혈장 속에 들어가 부갑상선호르몬 작용으로 조절된다. 칼슘을 많이 함유한 식품으로는 우유 및 유제품, 해초, 천년 초, 엽 채류(葉菜類), 콩류, 뼈와 같이 먹는 생선 뼈 등을 들 수 있다.
1일 소요량은 연령에 따라 다르나 성인의 경우 600㎎,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은 800㎎ 정도가 필요하며 임신부·수유부의 경우에는 소요량이 증가한다. 식물에서는 대량으로 필요하지는 않지만 꼭 필요한 영양소의 하나이며 세포막의 투과성에 관여하는데, 식물의 세포 속에는 수산 칼슘 등의 결정으로 볼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우리들이 섭취한 칼슘은 소장을 통해서 흡수되는데, 극히 소량만 혈액 속으로 흡수되고 대부분은 대변으로 배설되거나 신장을 통해서도 체외로 배설된다. 혈액 속으로 흡수된 칼슘의 일부는 뼈의 형성을 위해서 뼈로 이동하고, 일부는 세포 속으로 들어가 세포활동에 관여하는 것이다.
칼슘이 세포활동에 어느 정도로 깊이 관여하는가에 대한 증명을 보인 것은 최근에 일어난 일이다. 예를 들면, 칼슘이 인간의 생명유지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혈관근육(혈관근)과 심장근육(심장근)의 운동에너지(A T P라고 함)를 조절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칼슘을 충분하게 섭취하지 않으면 뼈 속에 있는 칼슘이 혈액 안으로 대규모로 이동하고, 혈액 안으로 이동한 칼슘이 문제를 일으킨다. 뼈를 구성하는 칼슘이 과도하게 혈액으로 이동함으로 골다공증도 생기지만, 이동한 칼슘이 혈관의 중 막에 침투하여 혈관을 석 탄화시켜서 고혈압 또는 동맥경화를 가속화시키기도 하며 혈관 세포 또는 심근 세포 속으로 과도하게 유입하여 세포의 기능을 정지시켜 버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식생활에서 칼슘을 충분하게 섭취하는 것은 바로 체내 칼슘분포의 균형을 잘 유지하는데 기여를 하는 것이다. 혈액 안(세포외액)에 있는 칼슘의 농도(함유량)와 세포 내 액의 칼슘농도의 차는 1만대 1로 유지한다. 세포 안의 칼슘 량이 증가하면 세포활동에 이상 상태가 일어난다. 이러한 이상상태가 일어나지 않도록 세포는 칼슘에 관련한 다양한 대사활동이 있다.
세포 외 액과 세포 내 액 사이에 있는 삼투압 차이는 칼슘을 반투막인 세포막을 통과시켜서 세포 안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세포 내 액의 나트륨과 세포 외 액의 칼슘이 상호 교환 작용을 통하여 칼슘이 세포내액 쪽으로 이동된다.
세포는 세포막을 경계로 하여 세포막 외면은 음 이온화되어 있고, 세포막 내면은 양 이온화되어 있는 세포막 전위의존성의 칼슘채널을 통하여 칼슘이 세포 외 액에서 세포 내 액으로 이동한다.
칼슘은 여러 경로를 통해서 세포 안으로 이동한 후 단백질과 결합하기도 하고, 칼슘의 저장고라고 할 수 있는 소포체와 미토콘드리아에 저장되기도 한다. 만약 세포 내 전해질(무기질, 미네랄) 농도가 낮아지면 칼슘 펌프가 작동하거나 칼슘과 나트륨의 교환작용이 일어나면서 다시 세포막을 통해서 세포 외 액(혈장)으로 칼슘이 배출된다. 이와 같이 세포 내, 외의 칼슘의 농도분포는 신경과 근육의 흥분 또는 호르몬을 분비하는 세포활동에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칼슘의 대사 활동은 전신에 있는 모든 세포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요약하면, 칼슘 이온은 세포막을 사이에 두고서 세포 안팎을 이동하면서 세포의 증식, 세포의 분화, 정보전달을 하고 있다. 칼슘은 세포 내 액과 세포 외 액 사이에 1대 1만이라는 칼슘함유농도의 차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칼슘펌프와 칼슘채널이 항상 작동되면서 삼투압현상이 관여하고 있다는 것이다.
만약 칼슘섭취 부족으로 체내칼슘분포의 균형이 깨어져 세포 내, 외의 칼슘농도 차를 적절하게 유지하지 못하면 세포의 기능이 정지하는 일이 발생하는데, 이 현상이 심근에서 일어나면 심근경색이 일어나고, 혈관에서 일어나면 과도한 수축으로 고혈압이 일어나는 것이다.
인체는 24시간 동안 끊임없이 한 번도 쉬지 않고 운동을 해야 하는 심근 세포의 흥분과 수축에 대하여 칼슘의 역할을 안다면 매일 적절한 칼슘 섭취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심근 세포가 적절하게 움직이기 위해서는 심근에너지가 필요하며, 이러한 에너지 조절물질이 바로 칼슘과 나트륨과 칼륨이다. 물론 칼슘 이동을 돕는 중요한 물질로 마그네슘도 있다.
심장병이 있는 사람들에게 식염(나트륨)을 줄이라고 하는 이유는 식염을 지나치게 섭취하면 칼슘과 나트륨 교환작용과 삼투압현상에 의하여 세포 외 액에 있는 칼슘과 칼륨이 세포 내 액으로 지나치게 유입하여 심근의 흥분과 수축이 강해져서 결국 심근경색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혈관 근에도 동일한 일이 벌어져 혈압이 상승하는 일을 초래하기도 한다. 또한, 나트륨을 과잉섭취하면 삼투압으로 인하여 세포 내 액의 수분이 세포 외 액으로 대량 빠져나가면 세포기능이 완전히 정지하는 일도 벌어진다.
최근의 연구조사에서 심장병과 고혈압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염을 줄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식염과 반작용을 하는 칼슘을 대량 섭취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되고 있다. 즉, 식염을 많이 섭취한다고 하여도 칼슘을 대량으로 섭취하는 사람의 경우는 식염의 과잉 섭취로 인한 고혈압과 심장병이 발생할 확률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칼슘은 인체에 꼭 필요한 무기염류 중 하나로, 동물체에는 주로 인산과 결합하여 뼈·이[齒] 등에 함유되어 있으며, 그밖에 생리작용에도 관여한다. 사람은 하루에 0.8g 정도 섭취하면 충분하다. 유럽·미국 등에서는 칼슘의 주공급원이 우유나 유제품(乳製品)이며, 이것만으로도 위에서 말한 양의 1/3 내지 1/2 정도가 보급될 정도로 칼슘의 섭취가 풍부하다.
칼슘에 관계된 가장 최근(2007년)의 발표에 의하면 골격이 튼튼할수록 암이 전이될 위험이 적은데 칼슘이 강화된 음식을 먹는 것이 암이 펴지는 것을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호주 앤잭연구소(ANZNC Research Institute) 연구팀이 유방암 전이를 가진 쥐를 이용해 수행한 연구결과 칼슘 부족이 진행성 유방암이 뼈로 전이되는 경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다.
미국 암 연구학회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칼슘 섭취가 유방암이 뼈로 전이되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치료기간 동안 보조 치료로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연구팀은 진행성 유방암 환자의 약 70%가량에서 2차적 전이암으로 갖는다면 이 같은 암 전이가 기준 뼈를 파게 하는 대사 과정에서 유발 통증과 장애를 유발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같은 뼈의 파계(破契)와 이로 인한 뼈의 재생이 암 세포가 자라기 더 좋은 환경을 만드는 악순환을 낳는다고 말했다. 벼의 재생성과 암 전이에 어떤 영양을 주는지를 알기 위하여 연구한 실험쥐를 대상으로 저 칼슘 식과 고 칼슘 식을 하게 한 후 비교 연구를 했다.
연구 결과 뼈의 파게, 재생의 과정을 조절하는 화학적 인자와 무관하게 식이 중 칼슘 부족이 암 세포 증식을 높이고 암세포에 의한 더욱 많은 뼈가 전이되게 만든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많은 노년의 여성들이 칼슘 섭취 부족과 비타민D 부족으로 인해 유방암이 뼈로 전이될 높은 위함을 갖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마그네슘 [Magnesium].
마그네슘은 자연 상태에서는 단일원소로 존재하지 않고 규산이나 황산이나 탄산들과 함께 결합한 염의 형태로 많이 존재한다. 주기율표 제2족에 속하는 알칼리 토 금속으로서 원소기호 Mg, 원자번호 12, 원자량 24.3050, 녹는점 650℃, 끓는점 1,100℃, 비중 1.741이다.
인체 내에서의 기능 마그네슘은 반드시 섭취해야 할 무기물질로 인체 내에서 칼슘, 인과 함께 뼈의 대사에 중요한 기능을 하며 아미노산의 활성화와 A T P의 합성, 단백질의 합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단백질인 콜라겐은 비타민C의 도움을 받으면 아미노산으로 활성화한다.
또한, 신경전달 작용에서 칼슘과 서로 상반되는 작용으로 서로 보완작용을 하기도 하지만 근육을 이완시키는 기능을 한다. 식물체 내에서의 마그네슘은 식물의 엽록소분자의 구성원소로서 엽록소 분자구조의 한가운데에 위치하고 있으며 식물이 광합성을 할 때 모든 효소에 보조 인자로 작용하여 광 인산화반응을 활성화한다.
마그네슘은 식물의 뿌리에서 물과 함께 흡수되어 물관을 통해 이동하며 다른 이온과 결합한 상태로 식물조직 내에 존재한다. 식물체 내에서 마그네슘이 부족하면 잎이 누렇게 되고 심하면 조직이 죽어버린다.
이러한 증상은 포도, 콩, 강낭콩, 고구마, 토마토 등을 포함하여 많은 쌍떡잎 식물에서 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토양 중에 탄산 고토 석회와 같은 마그네슘 함유율이 높은 비료를 주면 된다.
현대는 마그네슘시대라 할만 큼 마그네슘의 중요도가 높아졌다. 마그네슘이 성인 당뇨병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고 미국 M S N B C 인터넷 판이 보도했다. 최근 발표된 마그네슘과 성인 당뇨병 관계에 관한 연구 보고서들은 마그네슘을 표준권장량만 섭취하면 당뇨병위험을 10 내지 30% 줄일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한 보고서에는 여성 8만 5000명과 남성 4만 2000명을 대상으로 장기간에 걸쳐 실시한 조사 분석결과 마그네슘섭취량이 가장 많은 그룹이 적은 그룹에 비해 12 내지 18년 사이에 성인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최고 34%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체중, 운동, 가족력, 등 당뇨병의 다른 요인들을 감안했을 때도 마그네슘의 효과는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3만 900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또 다른 보고서는 마그네슘 섭취 상위그룹이 하위 그룹에 비해 당뇨병 발병률이 11% 낮았으며, 특히 과체중 여성인 경우는 20% 이상 낮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마그네슘은 체내의 인슐린 활동에 영향을 미치며 마그네슘이 부족하면 인슐린 저항이 악화 되어 성인 당뇨병이 발생한다는 시험관 실험결과가 앞서 발표된 일이 있다. 마그네슘은 이밖에 골다공증 위험을 낮추며 혈압조절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연구보고서들에 따르면 특히 마그네슘의 권장 섭취량을 지킨 그룹과 미달한 그룹 사이에 당뇨병 발병률의 격차가 상당히 크게 나타났으며, 권장 섭취량을 초과한 경우는 표준량을 섭취한 사람보다는 발병률이 더 낮았지만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마그네슘의 하루 권장섭취량은 성인남성 400 내지 420㎎, 성인 여성 310 내지 320㎎이다. 미국인들의 평균 마그네슘 섭취량은 권장량에 약 100㎎ 미달하고 있다. 특히 노인들과 이뇨제를 복용한 사람들에게 마그네슘결핍이 두드러진다. 이뇨제는 마그네슘의 체외 배출을 증가시킨다.
마그네슘이 많이 들어 있는 식품은 푸른 잎채소, 정제되지 않는 곡물, 견과류, 말린 콩, 육류, 우유 등이다. 정제된 곡물이나 가공식품을 약간만 간단히 보충 섭취할 수 있다.
음식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천연 이온 미네랄로 편안하게 섭취하는 것도 우리의 몸을 구성하는 원소는 고작 25가지뿐이다. 이 가운데 마그네슘이 차지하는 비율은 0.1%에 지나지 않는다. 인체에 있는 마그네슘은 50%가 칼슘(Ca)과 함께 뼈 속에 들어 있다.
그래서 칼슘이 부족한 사람은 마그네슘도 모자란다. 나머지 49%의 마그네슘은 세포 내에서 300가지 이상의 화학반응 과정에 촉매로 작용한다. 마그네슘은 근육과 신경의 기능을 유지하고, 심장 박동에 리듬을 주고, 에너지를 발생시키며, 단백질 합성의 촉매 등의 구실을 한다.
특별한 병에 걸리지 않은 건강한 사람들도 거의 80%가 마그네슘 결핍 상태에 있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급성 질환에 걸리거나 만성 질환을 앓는 사람들은 대부분 마그네슘 결핍 상태에 있다. 마그네슘 섭취가 부족하면 입맛이 떨어지고 이유 없이 우울한 기분에 빠지기도 한다.
팔과 다리에 쥐가 나는 것처럼 근육 경련이 일어나고 통증이 생기고 마비된 것 같은 느낌에 사로잡히기도 한다. 때론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부정맥이 오는 경우도 있다. 심장 혈관에 혈액 순환이 잘 안 되어 가슴이 아픈 협심증이 생기거나 경기나 발작도 마그네슘 부족에서 비롯되기도 한다.
마그네슘이 부족하면 환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질병이나 증상을 악화시키고 합병증을 유발한다. 먼저, 혈전을 조장한다. 혈전이란 혈관에 생긴 작은 응혈 덩어리가 혈관 벽에 붙은 것을 말한다. 이것이 아주 커지면 혈관을 꽉 막아버리는 경우도 있다.
마그네슘이 부족하면 이러한 혈전을 더 잘 생기게 한다는 뜻이다. 또 동맥 혈관 벽을 딱딱하게 만드는 동맥경화증을 악화하고 안구 안 후면 벽에 깊숙이 스크린처럼 자리하는 망막에 병변이 있을 때 악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게다가 고혈압을 악화함에 따라 뇌졸중의 위험성이 높다.
그뿐만이 아니다. 마그네슘 섭취량이 모자라면 당뇨병에 걸리게 되고, 또 이미 당뇨병에 걸린 사람에게는 그 증상이 악화 되는 경향이 있다. 세포 내의 마그네슘 이온이 모자라면 내성 인슐린(제구실을 못하는 인슐린)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위험인자(뚱뚱한 사람, 운동 부족인 사람, 담배를 많이 피는 사람, 가족 중 당뇨병에 걸린 사람 등)를 지닌 사람들도 마그네슘을 많이 섭취하면 당뇨병에 걸릴 확률이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 고령자들이 마그네슘 섭취량을 높일 경우 골밀도(B M D)가 증가하면서 골다공증 발병률은 감소할 수 있을 것임이 시사됐다.
미국 테네시대학 의대(醫大)의 캐서린 M. 라이더 박사팀은 미국 노인병학회誌(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 Society) 발표한 논문에서 이 같이 밝혔다. 평소 마그네슘이 풍부히 함유된 음식물을 빈번히 섭취하거나, 마그네슘 보충제를 꾸준히 복용할 경우 골밀도를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는 것. 가령 마그네슘 섭취량을 1일 100㎎ 늘릴 때마다 골밀도는 2%가량 끌어올릴 수 있으리라는 것이 라이더 박사팀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미국의 경우 골다공증 환자 수가 줄잡아 1,00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여기에 낮은 골밀도를 보여 골다공증이 발병할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는 인구 수만도 3,4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특히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골다공증 발병률이 4배 정도까지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라이더 박사팀은 70 내지 79세 사이의 고령층 남, 여 2,038명을 대상으로 음식물 섭취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연구팀은 음식물 또는 보충제를 통한 평소의 마그네슘 섭취 수준을 면밀히 파악했다. 그 결과 마그네슘 섭취량이 많았던 조사대상자들의 경우 골밀도 또한 높은 수치를 보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해 라이더 박사는 마그네슘이 체내에서 칼슘성 호르몬과 같은 작용을 수행하면서 서구식 메뉴 특유의 높은 산성도(酸性度)를 완화시켜 주는 완충재 역할을 했거나, 뼈 속에서 칼슘의 역할을 대신해 주었기 때문일 것이라고 피력했다. 반면 흑인들의 경우에는 체내의 칼슘 조절·대사기전의 인종적 차이로 인해 백인들과 비교할 때 유의할만한 수준의 골밀도 개선이 눈에 띄지 않았다. 마그네슘의 1일 섭취 권고 량은 남성이 420㎎, 여성은 이보다 적은 320㎎이다.
칼륨 (Potassium).
주기율표 1A족에 속하는 알칼리 금속원소. 원소기호 K, 원자번호 19, 원자량 39.0983, 녹는점 63.5℃, 끓는점 774℃이며 체심입방격자(體心立方格子b.c.c.로 약기. 공간 격자의 입방 정계에 속하고 격자원점 및 격자 전체의 중심이 등가 위치에 있는 체심격자)이다. 칼륨은 나트륨과 함께 화합물로 오래전부터 이용되어 왔다.
식물체에는 칼륨이 이온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것을 태운 나뭇재 등 초목 회(草木 灰)에는 산화칼륨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이 초목 회를 물에 풀어낸 침출액 즉 잿물(알칼리 액)은 수산화칼륨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강한 염기성(알칼리성)을 나타낸다.
이 잿물은 구약성서 시대부터 이미 빨래 등에 이용되었다. 또 옛날에는 잿물을 철제도가니에 넣고 끓여서 농축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고형물 즉 포태시(potash)를 유리나 비누를 만드는 데 이용하였는데 이것은 불순한 탄산칼륨이다.
이 포태시 라는 말은 나중에 수산화칼륨을 비롯하여 칼륨이나 탄산칼륨 등을 뜻하는 말로 쓰이기도 하였다. 일반적으로 칼륨화합물과 나트륨화합물은 겉보기에 비슷하여 구별하기 어려웠는데 1761년 독일 A. S. 마르크그래프는 불꽃반응으로 두 원소의 화합물을 구별하는 데 성공하였다.
즉 칼륨은 엷은 보라색, 나트륨은 노란색의 불꽃반응을 나타낸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칼륨화합물·나트륨화합물을 구별하였다. 1807년 영국 H. 데이비는 칼륨을 처음으로 금속 홑원소 물질로서 단리(單離) 하는 데 성공하였다.
그는 고온으로 융해시킨 수산화칼륨을 전기분해 했을 때 음극에서 밝은 빛과 불꽃을 내며 연소하는 물질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그는 이 물질을 새로운 금속원소라 인정하고 포타슘(potassium)이라 명명하였는데, 이는 포태시(수산화 칼륨)에서 딴 것이다.
현재 한국 등에서 통용되고 있는 원소명 칼륨은 포타슘과 같은 뜻의 독일어인데 이는 초목 회를 뜻하는 아라비아어 kaljan 또는 가볍다는 뜻의 헤브라이어 kal에서 유래했다.
칼륨은 다른 알칼리 금속원소와 마찬가지로 매우 반응성이 좋으므로 자연계에서는 항상 1가의 양이온으로서 화합물의 형태로 존재하며, 홑원소물질로는 산출되지 않는다. 지각(地殼) 속에 비교적 풍부하게 존재하는데, 알칼리금속으로는 나트륨 다음이다.
불용성 알루미늄 규산염, 예를 들어 칼륨 장석 KAlSiO·칼륨 운모 KHAlSiO와 같은 형태로 암석성분으로서 분포되어 있다. 암석이 풍화되면 칼륨 이온은 나트륨 이온 등과 함께 유리(遊離)되는데 나트륨 이온에 비하여 토양 속의 콜로이드 물질에 흡착하기 쉬우므로, 빗물에 의해서도 비교적 유출되지 않고 남아서 식물에 흡수된다.
생체와 칼륨 성인은 보통 약 4g의 칼륨을 함유하고 있지만 체액 중에는 0.07g 정도만을 함유하고 있고 대부분은 세포 안에 K이온으로 존재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나트륨 이온은 세포 안에 극소량만을 함유하고 있다. 세포 안팎에서의 뚜렷한 이온 농도의 차이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이온펌프의 기능으로 에너지(A T P)를 소비하면서 적극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세포 안에서 고농도의 K이온은 리보솜에 의한 단백질합성이나 많은 효소 계의 활성에 꼭 필요하다. 이 밖에 신경자극전달에 있어서 활동전위의 발생에 필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식물에서는 3대 영양소 가운데 하나이며 칼륨 결핍증을 방지하기 위해서 비료로 이용되고 있다. 칼륨은 세포의 삼투압이나 원형질의 콜로이드상태 조절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2. 콜라겐(Collagen).
콜라겐이란? 인간을 비롯한 동물의 체내에서 세포와 세포 사이를 메우고 있는 아주 중요한 섬유상태의 경단백질(Albuminoid)입니다.
세포가 다수 집합되어 있는 부위에는 반드시 콜라겐이 존재하고 있으며 특히 피부, 뼈, 연골, 혈관 벽, 치아, 근육 등에는 콜라겐이 다량으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콜라겐(Collagen)은 오래전부터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콜라겐은 18종의 아미노산으로 되어있고, 사람이 콜라겐 및 그 변성 물인 젤라틴을 섭취한 경우에는 다른 단백질과 마찬가지로 소화관 내에서 소화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대부분 아미노산의 형태로 흡수됩니다.
콜라겐(Collagen)은 면역기능을 향상시키고, 세포의 재생작용을 촉진시켜 관절을 튼튼하게 해주며, 피부의 신진대사 활성화 및 보습유지를 통하여 피부미용에 탁월한 효과를 가져다줍니다.
콜라겐(Collagen)은 인체 내에서 젊어서는 많이 합성되나 20대 이후에는 생성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나이가 들면서 피부의 탄력은 물론 잇몸의 붕괴, 근육통, 혈관 벽의 손상 특히 공기 중의 유해산소인 자유라디칼(Free Radical)에 의하여 햇빛이 많이 닿는 얼굴 등에 리포프신이라는 색소가 출현하여 생기는 검버섯, 기미 등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질병 요소를 예방, 치료키 위해서는 콜라겐이 많이 함유된 식품이나 콜라겐 가공식품, 콜라겐 화장품을 사용해야만 됩니다.
콜라겐(Collagen)은 염류용액이나 에탄올에 불용성인 단백질을 모두 가리키며, 함유되어 있는 부위는 동물껍질의 콜라겐, 발톱이나 손톱, 뿔, 지느러미, 물렁뼈 등으로 동물의 외계를 보호하고 있으며, 결합조직은 근섬유를 포함하고 있거나 지방조직을 포함하고 있으며 근육과 다른 조직을 연결한 것으로 건(腱), 인대(靭帶), 근막(筋膜) 등입니다.
산, 알칼리, 효소의 작용을 받기 어려우나 장시간 가열하면 비가역적 변화를 일으켜 물에 용해(鎔解)되는 젤라틴(Gelatine)이 되어 글리신, 프롤린, 옥새프롤린 등의 아미노산 기를 가지게 됩니다.
콜라겐은 섬유성 단백질의 일종으로 세포와 세포 사이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사람의 몸에서는 장기를 감싸는 막, 관절연골, 눈의 각막, 뼈와 피부 등에 주로 존재하는데 특히 뼈를 구성하는 칼슘의 접착제로서의 기능과 주름의 원인이 되는 피부 속 진피 층의 구성 요소로 매우 중요하다.
콜라겐은 음식 중에 생선, 닭 날개고기 힘줄 등에 많이 함유돼 있다. 이들은 장에서 아미노산으로 분해된 후 콜라겐으로 합성되어 전신의 장기, 표피, 근육, 관절 등으로 공급된다. 하지만, 20세가 넘으면 체내에서 생성되는 양이 급격히 줄어 전신의 신진대사가 둔해진다.
접착제가 부족한 뼈에서 칼슘이 빠져나가고 연골의 수분이 부족하게 되므로 몸의 유연성이 떨어진다. 주름살이나 잡티가 생기는 것도 피부 진피 층의 70%나 되는 콜라겐 부족에서 오는 결과다.
주름살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콜라겐이다. 콜라겐이란 우리 몸을 구성한 섬유성 단백질의 일종으로, 세포의 탄력을 유지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그런데 나이가 들면 콜라겐 합성이 줄어들어 피부가 탄력을 잃고 주름이 생기기 시작한다.
따라서 팽팽한 피부를 위해서는 콜라겐 합성량을 보충해주는 제품이 필요한 것, 가장 널리 알려진 레티놀 성분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켜 특히 깊은 주름을 개선하는 것에 도움을 준다, 아데노신 또한 주름 관리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대표 성분으로, 피부 콜라겐 생성을 촉진시켜 탄력을 증대시키고 세포 재생 효과가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콜라겐(Collagen)이란 동물의 뼈, 연골, 물고기 비늘 등에 포함되어 있는 섬유성 단백질 군으로 우리 몸의 16%가 단백질인데 이중 1/3이 콜라겐이고 특수세포인 성상세포, 연골세포, 골세포, 근 섬유 세포에서 주로 합성되며, 특히 연골세포 중에서 약 33%가 콘드로이친 성분으로 인체의 뼈를 구성하는 등으로 인체의 모든 부분에서 콜라겐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콜라겐(Collagen)의 용도 성형재료로 관능미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 입술을 부풀리는데 함몰된 흉터나 주름살 제거를 위해 콜라겐을 주사하며 먼저 피부반응 검사를 받은 다음 괜찮을 경우에 주사되며 보통 6개월 정도 지속 된다. 최근에는 자신의 콜라겐을 배양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화장품 원료로 콜라겐은 보습이 뛰어나며 주름예방 등을 위해 화장품원료로 사용됩니다. 미용재료로 콜라겐벨벳, 콜라겐 마스크 등으로 사용되고, 단백질 트리트먼트제의 원료로 사용됩니다.
식품의 원료로 건강보조식품, 특수 영양식품 등의 원료로 사용되며 피부미용이나 뼈, 연골 등에 콜라겐을 보급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최근 일본에서는 매실 주에 콜라겐을 첨가하여 시판하고 있습니다.
기타로 콜라겐관련 응용분야가 활발히 연구 중이며, 의약품이나 인공피부, 인공혈관, 인공장기 등의 재료로서 개발되어 지고 있습니다.
우리의 몸과 콜라겐관계 머리카락을 구성하는 케라틴은 구조적으로 콜라겐과 비슷하고, 눈의 각막의 주성분은 콜라겐입니다. 이의 상아질은 18%가 콜라겐이고 잇몸이나 치근막도 주로 콜라겐으로 되어 있습니다.
피부 표피 아래 있는 진피의 70%는 콜라겐(Collagen)이고, 손발, 톱 주성분인 케라틴은 구조적으로 콜라겐과 비슷합니다. 각종 내장의 구성에 콜라겐이 관여하고 있고, 관절 뼈와 뼈를 이어주고 있는 연골의 50%가 콜라겐입니다. 뼈의 유기물 중 80%가 콜라겐이고, 뼈와 근육을 이어주는 힘줄의 80%가 콜라겐입니다.
콜라겐(Collagen)의 역할 인간의 몸에는 대략 500만 종류의 단백질이 있는데 그 중 3 내지 4할을 콜라겐이 차지합니다. 그중에서도 피부의 7할은 콜라겐입니다. 또 뼈에 있는 콜라겐의 양은 뼈 중량의 20%를 차지합니다. 척추의 추간판과 무릎 등의 관절에 연골이 있기 때문에 유연하게 몸을 움직일 수 있는데 연골에는 콜라겐이 많습니다.
즉 콜라겐(Collagen)은 세포 사이의 접착제에 해당합니다. 인간의 뼈는 주로 칼슘과 콜라겐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인간의 뼈를 철근콘크리트 빌딩에 비유하면 철근에 해당하는 것이 콜라겐이며 콘크리트에 해당하는 것이 칼슘입니다. 최신의 연구에서는 마크로 파지와 림프구의 힘을 강하게 하여 면역작용의 힘을 높인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습니다.
콜라겐(Collagen)의 기능은 세포의 접착제의 기능과 세포의 증식작용의 기능과 몸과 장기의 구성 물질의 기능과 지혈작용의 기능과 세포기능의 활성화의 기능과 면역의 강화에 기능이 있다.
먹는 콜라겐(Collagen)과 피부의 관계는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몸의 흐름을 회복, 정상적인 기능을 되찾게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양질의 콜라겐을 적극적으로 섭취함으로써 몸속에 오래된 콜라겐과 교체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콜라겐은 오래되어도 보급만 해주면 새것으로 자연스럽게 교체가 됩니다.
이러한 콜라겐(Collagen)을 화장품으로 사용할 경우 각질을 보습하는 효과를 얻어 순간적으로 주름이 완화되고 촉촉한 느낌을 받지만 기미의 원인이 되는 진피까지는 도달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진피에 콜라겐을 공급하고 젊음을 되찾기 위해서는 먹는 것이 가장 빠른 길이라 할 수 있습니다.
피부노화와 주름이 생기는 원인 주름은 진피의 콜라겐(Collagen)과 탄력섬유의 손실로 인해 엘라스틴과 콜라겐의 변성에 의해 탄력성이 떨어지면서 생깁니다. 따라서 콜라겐을 충분히 공급해 주면 주름이 점차 사라지고 젊고, 탄력 있는 피부로 돌아가게 됩니다.
몸속의 흐름을 만드는 콜라겐은 소장에서 흡수된 영양소는 혈관을 통해 각 세포로 전해지는데, 모세혈관에서 나온 영양소는 콜라겐이 다리 역할을 해서 각 세포로 전해집니다.
또한, 노폐물도 콜라겐(Collagen)을 통해 혈관으로 운반되어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콜라겐은 몸 전체의 흐름을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미용과 건강에도 꼭 필요한 물질입니다.
콜라겐(Collagen)과 뼈는 콜라겐을 먹으면 골밀도가 낮거나 관절이 약한 사람이 가장 먼저 그 효과를 느끼게 됩니다. 뼈는 30%의 칼슘과 70%의 콜라겐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콜라겐 섬유에 칼슘이 흡착하여 형성됩니다. 콜라겐 섬유는 철골과 칼슘을 콘크리트로 하여 뼈라는 구조물을 만들어 냅니다.
철골(콜라겐 섬유)이 오래되면 콘크리트(칼슘)와의 결합력이 약해져서 건물(뼈대)이 붕괴 되는 것입니다. 콜라겐(Collagen)이 신선할 때는 칼슘 흡착률도 높지만, 콜라겐이 노화되면 흡착력이 떨어져서 뼈가 버석 버석한 상태가 됩니다.
또한, 물렁뼈의 50%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콜라겐으로 콜라겐이 노화하면 수분을 함유하기 어렵게 되고, 물렁뼈의 마모도 빨라져, 뼈 끼리 부딪치게 되므로 뼈의 모양이 바뀌거나 통증을 느끼게 되며, 다양한 관절 증상을 유발하게 됩니다.
관절에 콜라겐(Collagen)이 부족하면 관절염 유발되고 뼈에 콜라겐이 부족하면 골다공증 유발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콜라겐(Collagen)의 효능 피부의 신진대사 활성화 및 보습유지를 통하여 항상 탄력 있고 싱그러운 피부로 유지시켜줍니다.
면역기능을 강화되고 항암작용으로 암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관절을 튼튼하게 해주며, 관절기능이 강화되고, 관절 통증을 완화시켜 주며 관절질환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장내 수분함유를 증가시키고, 장(腸)의 연동운동을 촉진시켜 변비완화에 좋습니다.
3. 스테비아(stevia).
쌍떡잎식물(雙子葉植物) 초롱꽃목 국화(菊花)과의 여러해살이풀(허브) 학명 Stevia rebaudiana, 분류: 국화과. 원산지 파라과이,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의 국경 산간지, 자생지: 하천이나 습지대 주변, 크기 높이 70 내지 100㎝. 스테비아의 잎에는 단맛 물질인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를 함유하는 21세기의 천연 감미료로 세계가 주목하고 추출 발효물질로 미생물을 번식 토양정화에 이용하고자 국내 외 학자 및 연구자들이 연구하고 있다.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의 성분은 설탕의 약 200 내지 300배의 단맛이 있고, 칼로리도 설탕의 90분의 1로 낮아 다이어트에 효과적인 천연감미료다.
스테비아는 고온에 강하여 300℃의 열에서도 단맛을 유지하는 특성으로 고온을 필요로 하는 식품의 담백한 단맛을 위하여 사용하고는 첨가물이고, 강력한 항산화작용은 녹차에 비하여 5 내지 7배가 높은 것으로 악성 활성산소로 인한 현대인의 성인병(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비만 등)을 억제한다.
스테비아 형태 및 성상, 하천이나 습지대 주변에서 자란다. 뿌리는 원뿌리의 발달이 분명하지 않고 많은 곁뿌리와 막 뿌리가 있다. 생육 후기에는 굵은 뿌리가 발달해서 저장 기능이 생긴다. 뿌리 가까이 있는 숨은 눈에서 새 가지가 자라 해마다 새로운 줄기를 이룬다. 줄기는 곧게 서며 월동 중 줄기의 기능이 없어진다.
줄기 마디에 잎이 달리며 잎겨드랑이에서 가지가 돋는다. 잎은 마주나고 바소 꼴이며 길이 4 내지 10㎝, 나비 약 2.5㎝이다. 가는 톱니와 굴곡이 있고 잎맥은 3개이다. 잎자루는 없으며 포기 전체에 잔털이 난다.
꽃은 1송이에 5 내지 6개의 관상화가 모여서 피며, 자가 불화합성의 성질이 있다. 단일 식물이므로 단일 조건에서 꽃이 빨리 핀다. 종자는 결실률이 낮고 매우 작다. 종자 앞 끝에 부채 살 모양의 관 모가 있다. 번식은 종자나 꺾꽂이로 한다. 수확은 1년에 1 내지 2회 할 수 있으며 9월 상순과 중순이 적기이다.
현대 천연 단맛 물질 대두, 파라과이에서는 옛날부터 스테비아 잎을 감미료로 이용해 왔는데 요즘 높은 열량의 설탕을 과다하게 섭취함에 따라 비만 및 성인병이 문제가 되고, 또한 식품 및 의약품에 첨가물로 필요한 인공합성 단맛 물질이 발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보고에 따라 합성 감미료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단맛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어 새로운 단맛 자원으로 스테비아가 대두하게 되었다.
최근 합성감미료인 사카린의 유해성이 문제가 되자 다시 시선을 끌게 되었다. 감미료로 가치가 인정되어 차, 청량음료, 껌, 간장 등 다양한 감미료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에는 1973년에 일본으로부터 처음 들여왔으며 1976년에 100 내지 300M/T를 일본에 건조 잎으로 수출하였다.
작물 시험장에서 설탕 대체용 개발을 위하여 시험 재배를 해 한국에서 육성한 품종으로는 수원 2호(단맛 성분 12.2%)와 수원 11호(23%)가 있다.
친환경 농업 우수성 스테비아 농자재, 스테비아로 100년 전의 토지로 돌아갈 수 있다. 농약이나 다이옥신 등에 의해 독으로 되어버린 농지에 농업 자재인 스테비아 농축액과 스테비아 분말을 사용하여 스테비아 힘으로 농약이나 다이옥신을 제대로 분해하여 원래의 자연적인 논과 밭으로 복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농산물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농지까지 정화하는 자재는 일찍이 없었다. 농업 자재로는 스테비아 농축액과 분말 모두가 이용되어 각종 야채, 과일, 쌀 등의 재배에 당도를 높이고 수확량 증가 보존기간 향상이란 면에서 놀랄만한 효과를 올리고 있다.
스테비아 농산물의 브랜드는 시장에서도 환영받고 있으며 높은 평가로 인해 고가에 거래되며 친환경 스테비아 농법은 급속도로 확산 되고 있다. 스테비아 농산물이 전국에 재배되어 맛있는 농산물이 만들어짐에 따라 농가가 윤택해지고 농업과 식량에 혁명을 가져와 농업이 발전하고 국민 모두가 스테비아 농산물을 드시고 건강한 식생활은 물론 국가 의료비 절감을 가져와 세계농업 경쟁력에 우수성으로 실현되기를 바랍니다.
4. 구연산(Citric acid)
구연산(枸祁酸)은 과일의 씨나 과즙 속에 유리상태의 산으로 함유되어 있고 레몬이나 미성숙 매실(梅實) 감귤 종류에 많다. 1953년 영국의 한스 클렙스 박사는 구연산이 인체 젖산 축적을 막아 피로회복과 노화를 방지한다는 구연산 사이클 이론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구연산(Citric acid)은 체내에 들어온 음식물이 에너지로 변하는 과정(T C A cycle)에서 젖산(乳酸)의 과잉생산을 억제하고 탄산가스를 물로 분해시켜 체외로 배설하여 조기에 피로회복을 하고, 정신안정 작용을 하는 칼슘의 체내 흡수율(吸收率)을 높여 준다.
구연산은 세포 속에서 낡은 것을 밀어내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신진대사를 촉진 체액의 삼투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산과 알칼리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고 항체(抗體) 능력이 증가 되는 알칼리성 혈액을 갖게 한다.
매실 속에 있는 구연산은 직접 에너지대사에 관여하여 피로회복이나 신체에 활력을 주게 된다. 또 구연산은 철분과 결합하여 철분이 잘 흡수될 수 있도록 비타민C와 함께 상승기능이 있다.
구연산은 자연에 존재하는 동식물의 대사물질로서 감귤류에서 가장 많이 얻을 수 있는 유기산이다. 상쾌한 신맛을 나타내는 산 미제, PH조절제, 산화 방지제, 세제, 수렴제 등으로 식품, 의약, 산업용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음료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구연산은 1784년 레몬즙에서 최초로 결정체로 분리되었으며 그 후 글리세롤에서 합성을 하였고 현재는 전분이나 당밀, 조당 등을 곰팡이나 효모에 의하여 발효하여 만들고 있다.
구연산은 물 분자의 함유 여부에 따라 함수 구연산(Monohydrate)과 무수 구연산(Anhydrous)으로 구분되며, 구연산 나트륨, 구연산 칼슘, 구연산 칼륨 등의 염과 구연산 트리 에테르, 구연산 아세틸 등의 구연산 에스테르 등의 형태로도 이용된다.
구연산은 F D A에서 G R A 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로 규정을 한 안전한 식품 첨가물이어서 그 염 및 에스테르와 함께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구연산은 미국 F D A와 F A O, W H O (식량농업기구 세계보건기구) 전문위원회에 의하여 깊이 연구되어 왔으며, 구연산은 독성이 극히 낮으며 적당한 양을 섭취할 경우 건강에 해가 없다는 자료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미국 F D A는 구연산과 구연산의 일반염류를 G R A 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로 분류하고 있다.
또한, F A O, W H O 전문위원회의 10차 보고서에서는 구연산과 구연산 칼슘, 구연산 칼륨, 구연산 나트륨 등은 인체에 대하여 독성이 없다고 규정지어 일일섭취량에 아무 제한을 두지 않는다.
※구연산 사이클
T C A는 Tri Carboxyl Acid의 약자로 구연산을 의미하며 T C A사이클을 구연산 회로 또는 발견한 생화학자의 이름을 따서 크랩스회로라고도 한다.
T C A사이클은 피로회복과 노화방지에 관한 구연산의 의학적 연구로 1953년 영국의 HANS KLEBS 박사는 구연산이 인체 내 젖산 축척을 막아 피로회복과 노화를 방지한다는 구연산 크리브스 사이클 이론으로 노벨 의학상을 받았다.
구연산은 체내에 들어온 음식물이 에너지로 변화는 과정에서 젖산의 과잉생산을 억제하고 탄산가스를 물로 분해시켜 체외로 배설하여 조기에 피로물질을 없애고 정신안정 작용을 하는 칼슘의 체내 흡수율을 높여 준다. 그런데 구연산 사이클이 순조롭게 들어가지 않고 불안정한 연소에 의해 혈액 속에 유산이 축적되어 세포의 노화 질병의 근원인 어깨 결림, 변비 통, 요통 등의 증세가 나타나게 된다.
피로의 원인 물질인 유산이 쌓이면 혈액이 산성화되어 쉽게 피로가 온다. 구연산에는 유산을 분해하여 피로를 없애주며, 산성화된 인체를 약알칼리성으로 개선하여 성인병을 예방한다.
산소가 충분히 세포에서 공급 이용되지 못하면 흡사 공기가 부족하여 장작불이 꺼지는 것처럼, 세포의 생명력도 약해진다. 모든 성인병은 결국 세포의 생명력이 약해져 생긴다. 간세포가 약해지면 간염, 췌장 세포가 약해지면 당뇨병, 혈관 세포가 약해지면 중풍, 심장병, 고혈압 등 혈관계 질환, 조직세포의 극단적으로 약해졌을 때 암, 이와 같이 모든 만성 퇴행성 질병은 세포의 건강과 관련되어 있고, 그러므로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촉진을 위해서는 산소의 이용 상태가 매우 중요해 진다.
공기 중의 산소는 호흡을 통해 혈액에 흡수되며 혈액과 더불어 몸을 만드는 기본 단위인 세포로 운반된다.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려면 무엇보다 생명을 좌우하는 혈액의 질을 무시하고는 그 목적을 달성할 수가 없다. 맑은 혈액은 신선한 산소의 공급을 원활히 한다.
구연산은 세포 안에서 낡은 것을 밀어내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체액의 삼투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산과 알칼리의 균형을 이루어 항체능력이 향상된 약알칼리성 혈액을 갖게 한다.
혈류가 좋고 깨끗한 혈액으로 약알칼리성 체질을 유지하며 세포의 재생능력을 촉진하는 구연산의 섭취는 건강 식단에 필수적이다. 따라서 약알칼리성 혈액은 칼슘을 많이 포함한 혈액으로 혈류가 좋은 깨끗한 혈액으로 항체 체질을 갖게 하며, 산성(酸毒化) 혈액은 칼슘이 부족한 혈액이며 혈류가 나쁘고 탁한 혈액으로 성인병 발병률이 높은 반 건강 체질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구연산은 약이 아니고 식품이면서 인체에 다음과 같은 도움을 준다.
1) 구연산을 섭취하면 크리브스 사이클의 출발물질이 되어 신진대사가 원활하여 짐과 동시에 인체 피로물질을 신속히 배출하고 혈액을 맑게 하여 순환을 도우며, 음식물의 완전 소화흡수, 자연치유력에 또한 최대한 도움을 준다.
2) 유산이 체내에 축적되면 세포가 노화되어 동맥경화증, 고혈압, 간장병, 류머티스성 등과 같은 성인병 및 노화현상을 촉진한다. 그러나 구연산으로 유산을 억제하면 칼슘 이온의 작용으로 유산을 분해하므로 성인병, 노화방지에 아주 좋다.
3) 혈액을 약알칼리성으로 유지하는, 즉 혈액을 맑게 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자연히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해주므로 신체의 모든 기능을 정상적으로 활동하게 한다. 인체 내 젖산 등의 피로물질을 분해하여 피로회복에 효과적이며 자연치유력을 최대한으로 해준다.
4) 만성신장병으로 신장의 기능이 저하, 부종, 고혈압, 전해질이상, 빈혈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그 정도가 심해 요독증에 이를 경우 신장의 기능을 최대로 증진시켜 노폐물이 쌓이지 않도록 도와주며 면역능력을 증진시킨다.
5) 좌골신경통, 요통 등의 통증을 완화해 주는데, 이는 약알칼리로 체질개선이 되기 때문이며, 맑은 혈액으로 혈액순환을 좋게 하여 자연 치유력이 최대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6) 숙취에 효과적이며 간 기능을 강화시킨다. 또한, 산성 혈액을 정화하여 강한 체질, 항체체질로 바꾸는 작용을 한다.
또 다른 이룬. T C A사이클. 구연산 사이클 이론은 인체 내에서 과일의 주성분인 구연산이라는 유기산에서 출발하여 여러 가지 유기산이 세포막에서 차례로 돌아가면서 생화학반응을 일으켜 우리 몸의 생존에너지 물질인 A T P 및 기타물질을 생성시킨다는 이론이다. 따라서 유기산 사이클이 순조롭게 회전되지 못하면 피로상태가 겹치고 신진대사가 원활치 못하여 동작이 우둔해지고 어깨 결림, 요통 같은 증세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예컨대 전분은 여러 가지 소화단계를 거쳐 구연산이 되는데 이때 약간의 에너지가 소모된다. 따라서 중간대사과정을 생략하고 직접 구연산을 투입하면 소화 및 대사과정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아끼게 돼 피로가 덜 생기게 되고 속도에 있어서도 구연산 복용 후 아주 이른 시간 안에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누구나 구연산 함유음료를 먹으면 피로가 빨리 회복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또 구연산은 일부 연구에 따르면 콜레라, 장티푸스, 인플루엔자, 파라티푸스, 발진티푸스, 이질균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반면 인체에 필요한 대장균은 죽이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병원성 식중독의 회복에 좋다. 물론 구연산의 농도가 진해야 하므로 음료수 몇 병 먹는다고 해서 산뜻한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또 다른 이룬. T C A사이클. 구연산은 레몬, 매실, 귤 등에 다량 함유되어 있어 구연산의 보고라 할 수 있다. 구연산은 위액과 파르틴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켜 입맛을 당기게 할 뿐 아니라 식품에 붙은 세균을 살균시켜 소화불량, 위장병을 없애준다. 또한, 장내의 활동이 원활해지고 장벽을 깨끗이 청소해줌으로 변비를 없애준다.
구연산 속에는 안디오텐신이란 변환효소가 있는데, 이 효소는 혈관의 수축작용에 관계하여 혈압을 낮춰준다. 이 효소의 혈압강하 작용은 혈압을 모두 낮춰주는데 획기적이다. 계속 술을 마시게 되면 알코올성 지방의 축적량이 많아져 간이 부어오르는 지방간이 된다. 구연산은 간장에 해로운 중성지방이 쌓이는 것을 막고 독소를 분해시켜 간장을 보호한다.
구연산에는 부신피질호르몬의 분비를 왕성하게 하여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술독과 담배로 인한 일산화탄소를 분해한다. 구연산은 정혈과 살균작용이 뛰어나므로 나쁜 피를 맑게 정화시켜 체외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피부와 혈액순환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알레르기와 가려움증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기미가 생기는 것은 과산화지질이 피부세포막을 파괴하기 때문이다.
구연산은 과산화 지질을 억제하고 세포의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기미의 원인인 멜라닌 색소를 배출시켜 버린다. 허리나 어깨가 아픈 것은 근육에 젖산이 고여 쉽게 피로해지기 때문이다. 식초, 구연산은 젖산을 분해시켜 근육을 유연하게 할 뿐 아니라 통증을 없애는 부신호르몬을 분비시켜 요통, 어깨 결림을 없앤다.
구연산은 과일의 신맛을 내는 유기산 속에 있고, 대표적인 과일은 사과, 귤, 레몬, 복숭아, 매실, 자두, 살구, 키위, 딸기, 포도, 오렌지, 구아바, 망고, 앵두, 버찌, 자몽, 파인애플, 라임 등
5. 함 초(鹹草, 鹽草)
학명 Saliconia herbacea L(퉁퉁 마디), 과명 명아주 과, 생약 함 초(鹹草), 속명 퉁퉁 마디, 심지(三枝), 염 초(鹽草), 복 초(福草), 신 초(神草), 염 니 초라고도 한다.
분포지는 우리나라 서해안의 염전 주변, 개화기 8 내지 9월, 꽃의 색은 황록색, 결실기는 9 내지 10월, 열매 길이 2밀리미터, 지름 15밀리미터의 까맣고 둥근 열매, 높이는 10 내지 30센티미터의 한해살이풀, 채취 봄, 여름, 가을, 가공법은 날로 즙을 짜거나 그늘에서 말려 가루 낸다.
함 초(鹹 草)의 성분(단위: ㎎/100g) 칼슘(Ca) 417.84, 요오드(I) 8.12, 염소(Cl) 8.23, 마그네슘(Mg) 304, 구리(Cu) 0.55, 비타민(B1) 0.11, 칼륨(K) 940, 니켈(Ni) 0.78, 비타민(B2) 0.14, 철(Fe) 50.63, 크롬(Cr) 0.14, 비타민C 3.90, 인(Fe) 64.4, 코발트(Co) 0.12, 비타민 E 0.15, 망간(Mn) 2.7, 바나듐(V) 0.10, Niacin 0.52, 아연(Zn) 1.9, 나트륨(Na) 5.23, Folic acid 0.08. 등이다.
함 초(鹹 草)는 우리나라 서해안 개펄에 자라는 한해살이풀로 우리말로는 퉁퉁 마디라고 부르며, 전체 모양이 산호를 닮았다 하여 산호초라고도 한다.
바닷물과 가까운 개펄이나 염전 주변에 무리 지어 자란다. 줄기에 마디가 많고 가지가 1 내지 2번 갈라지며 잎과 가지의 구별이 없다. 잎은 다육질로 살이 찌고 진한 녹색인데 가을철이면 빨갛게 변한다. 꽃은 8 내지 9월에 연한 녹색으로 피고 납작하고 둥근 열매가 10월에 익는다.
함 초(鹹 草)는 그 이름대로 맛이 몹시 짜다. 함 초는 거의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소금을 흡수하면서 자라는 식물이다.
중국 최고의 의학책인 신농본초경에는 함 초로 일본의 대화본초에는 신 초(神 草) 또는 복 초(福草) 염 초(鹽 草)로 기록되어 있는 이 풀은 몸 안에 쌓인 독소와 숙변(배변, 배뇨)을 없애고, 암, 궁 근종, 축 농 고혈압, 저혈압, 요통, 당뇨병, 기관지천식, 갑상선기능저하, 갑상선 기능항진, 피부병·관절염 등 갖가지 난치병에 탁월한 치료 효과를 지니고 있는 놀라운 약초이다.
함 초(鹹 草)는 육지에 자라면서도 바닷물 속에 들어 있는 갖가지 미네랄과 효소 성분이 농축되어 들어 있다. 바닷물에는 칼슘, 칼륨, 마그네슘, 철, 요도, 인 등 수십 가지의 미량 원소와 갖가지 독소와 효소로 녹아 있는데 함 초는 인체에 유익한 미량 원소와 효소를 흡수하면서 자란다.
바닷물 1톤 속에 1그램이 들어 있는 효소는 바닷물 속의 갖가지 유기질을 분해하여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함 초에는 이 바닷물의 효소가 다량 농축되어 있는데 이 효소가 사람의 몸 안에 쌓인 갖가지 독소를 없애고 숙변을 분해하여 몸 밖으로 배출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육지에서 생육하는 수많은 식물 중에 함 초는 아연을 가장 많이 함유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고, 아연은 생식기의 기능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므로 남녀의 기를 증진시키고 함 초의 수많은 유익한 성분은 성인병을 예방하는 기능이 있다.
6. 찹쌀(米)
점미(粘米), 떡쌀이라고도 하며 성질이 온화하고 맛은 쓰며 독이 없고, 성분은 수분이 13.2%이고 당질 74.7g, 단백질 8.7g, 지방 1.2g, 섬유질 1.2g, 회분 1.0g, 인 250mg, 칼슘 42mg, 철 1.3mg, 비타민 B1 0.03mg, B2 0.15mg, 나이아신 5.7mg등이 들어있고, 기력을 불어 넣어주는 온화한 보양 식품으로, 비위(脾胃)의 기능을 튼튼히 하고 양기를 도우며, 기아를 견디게 하나 조금씩 자주 먹는 것이 좋으며, 위장이 약해 설사가 심하면 콩을 조금 넣어 죽을 쑤어 먹으면 효과를 본다.
찹쌀 미음은 오랫동안 설사하던 환자에게 지사제도 되고, 마시는 링거(영양소) 역할도 겸하여 위궤양으로 동통이 있을 때에는 연한 식품으로 위 점막 보호 약이 되며, 불면증에는 숙면제의 구실도 하고 마른 가래가 꽉 차 있을 때에는 거담제로도 응용되는 기능이 있다.
산모의 젖이 부족할 때 모유대용도 되고 산모가 마시면 젖의 양을 늘리기도 하며, 만성 변비 중에 상용하면 윤 변제의 약도 되고, 병후회복에도 도움을 주며, 토사곽란에 명약으로 쓰이고 있다.
노인의 귀 울림에 찹쌀 미음으로 종합비타민 한 알씩 복용하면 가벼운 난청 증이 가시며, 굶주리고 허약할 때 찹쌀 미음의 효과는 크고, 찹쌀죽은 성질이 따뜻하고 달아, 땀이 많이 나고 설사를 자주 하는 사람, 위장이 약해서 늘 속이 거북한 사람, 소화기능장애로 조금만 먹어도 배가 부르고 트림이 나오는 사람이 찹쌀죽을 자주 먹으면 소화기능을 정상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볶아서 먹으면 설사를 가라앉히는데 효과가 있으며, 떡으로 만들어 먹으면 힘없이 소변을 자주 보는 노인병 증상이 개선되고, 찹쌀로 밥을 하고 나서 뜸을 들일 때 생기는 진한 미음은 특히 소음인 체질의 위장병 환자들에게 좋으며, 찹쌀은 위벽을 덮어주는 역할을 하는데, 식사 1 내지 2시간 후에 속이 쓰리면 위궤양 또는 십이지장궤양 가능성이 있고 이럴 때 찹쌀떡을 먹어보면 속이 쓰린 증상이 나아질 수 있다.
찰벼 짚 뿌리를 태워 장복하는 것은 당뇨병에 민간약으로 술을 빚어 마셔도 같은 약효를 얻을 수 있으며, 찹쌀 겨를 태워 치약과 함께 양치를 하면 황이나 흑이가 하얗게 되고, 찹쌀은 기질적으로 양 인보다는 음 인에게 잘 맞는 식품으로,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이 찹쌀을 너무 많이 먹으면 오히려 소화 장애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7. 튀김가루
밀가루, 소맥 전분, 정제염, 백설탕, 변성전분으로 가공한 튀김용 가루로, 종류에 따라서는 계란을 함유하는 것도 있다. 영양성분은 1인 분량 (100g)을 기준으로 칼로리(㎉) 340, 탄수화물 76g, 단백질 5g, 지방 2.0g, 나트륨 950㎎ 영양성분이 있다.
튀김가루를 소 맥분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와 튀김 가루 100%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사용 목적에 따라 혼합의 량을 결정하나 품질향상을 위하여서는 사용하는 것이 좋다.
8. 생강가루
아시아 남동부가 원산지로 추정되며, 뿌리줄기가 향기롭고 톡 쏘는 맛이 있어 음식의 양념·향료나 약품 등에 쓰인다(향신료). 속명(屬名)인 징기베르(Zingib -er)다. 그리스어 징기베리스(zingiberis)에서 유래했는데, 징기베리스는 산스크리트 향신료 이름인 singabera에서 나왔다.
중국과 인도에서는 고대부터 사용해왔으며, 1세기경에 상인들이 지중해 지방으로 가져갔고 11세기경 영국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스페인인들이 서인도제도와 멕시코를 정복한 후 바로 생강을 가져갔으며, 1547년경에는 생강이 산티아고에서 스페인으로 수출되었다.
잎같이 생긴 줄기는 키가 1m 정도로 자란다. 잎은 줄기를 둘러싸고 있는 잎 집에서 나오는데, 길이가 15 내지 30㎝이고 길쭉한 잎 2장이 수직으로 어긋나 있다. 꽃은 두께가 약 2.5㎝, 길이가 4 내지 7.6㎝이며, 가장자리가 노랗기도 한 녹색의 포(苞)가 겹쳐져 있는데, 각각의 포가 1송이의 작은 황록색·자주색 꽃을 둘러싼다. 생강은 주로 뿌리줄기를 꺾꽂이하여 번식하며, 수확할 때는 뿌리줄기를 흙 속에서 들어올려 깨끗이 씻은 뒤 햇볕에 말리는데, 그 모양이 가지를 치거나 손바닥처럼 갈라져 일정하지 않다.
색깔은 어두운 노란색에서 밝은 갈색, 희미한 담황색 등으로 다양하다. 생강은 코르크층으로 되어 있어 잘 벗겨지지 않는데, 부분적으로 벗겨지기도 하며 긁어내면 코르크층, 표피층, 피하 층이 모두 벗겨진다.
생강은 2% 정도의 정유(精油)를 함유하는데, 그 주성분은 진지베린(zingibe -rene)이며, 진제론(zingerone)은 얼얼한 맛을 낸다. 정유를 추출해 식품과 향수 제조에 이용한다. 향신료로서 생강은 약간 쓴맛이 나며 보통 말려 갈아서 빵, 과자, 카레 요리, 소스, 피클, 진저 에일 등에 이용하며, 신선한 뿌리줄기인 풋생강은 요리할 때 쓴다.
껍질을 벗긴 뿌리줄기는 끓여서 시럽에 넣어 절이기도 하며, 일본을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는 입맛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얇게 썰어 식사 중에 먹는다. 생강은 고창(鼓脹)과 복통을 치료하는 약재로도 쓰이고 살균작용으로 식중독을 예방하고, 고기 및 기름의 향미를 개선하는 향신료로 사용한다.
생강은 음식의 감칠맛을 살리는 향신료뿐만 아니라 한방 처방에서는 빠질 수 없는 약재로도 다양하게 활용된다. 각종 처방에 생강을 넣는 것은 기운을 흩어지게 하는 성질이 있어서 약물 효과가 빨리 전달되도록 하고, 아울러 해독시키는 작용도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아로마요법의 한 방법으로 생강이 활용되고 있는데 유칼립투스나 라벤더와 배합하여 그 증기를 흡입해 기관지염이나 코 염증을 완화한다고 한다.
영양성분 함량 수분 81.7%, 단백질 2.2g, 탄수화물 14.3g, 칼슘 20㎎, 인 14㎎, 비타민C 5㎎. 등이다.
9. 콩가루
학명은 Glycine max MERR. 이다. 일반적으로 콩 또는 대두라 부르지만 종실의 크기에 따라 큰 것은 왕 콩, 중간 것은 중콩, 작은 것은 좀 콩·쥐눈이콩·나물 콩·기름콩·콩나물 콩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그리고 콩의 입 색(粒色)에 따라 흰콩, 누런 콩, 푸른 콩, 밤콩, 검정콩, 얼룩 콩, 선비 제비 콩, 대알 콩, 아주까리 콩 등으로 불린다. 한자어로는 대두(大豆·大荳), 숙(菽), 융숙(戎菽), 황두(黃豆), 원두(元豆), 두자(豆子), 태(太) 등으로 쓴다.
콩은 발아할 때 발생한 한 개의 어린 뿌리가 자라서 곧은 뿌리인 원뿌리가 되며, 여기에서 많은 곁뿌리가 발생하고, 뿌리에는 많은 뿌리혹이 착생한다. 뿌리혹 속의 뿌리혹박테리아는 공중 질소를 고정하고, 이것을 이용한다. 따라서 뿌리혹의 착생이 좋아야 콩의 생육이 좋고 수량이 증대된다.
콩의 줄기는 둥글고 목질화되어 굳으며 속이 차 있고, 신육습성(伸育習性)에 따라 유한신육형과 무한신육형으로 구별되고, 원줄기의 장단, 분지의 장단·수·각도·방향 등에 따라 광초폭형(廣草幅型)과 협초폭형으로 구별된다.
콩의 원줄기 첫째 마디에는 떡잎, 둘째 마디에는 초생단엽(初生單葉)이 마주나고, 셋째 마디부터는 정상 복 엽이 어긋난다. 콩의 잎은 취면운동(就眠運動:잎이나 꽃이 밤이 되면 아래로 처지거나 오므라드는 운동)을 한다.
줄기의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꽃송이가 착생하며, 한 개의 꽃에는 열 개의 수술과 한 개의 암술이 있다. 원줄기에서는 3 내지 5마디, 하위의 곁가지에서는 4, 5마디, 상위의 곁가지에서는 1, 2마디의 꽃부터 개화하고, 한 개의 꽃송이에서는 밑의 꽃부터 개화하며, 자가수분을 하지만 자연교잡도 이루어진다.
총화 수(總花穗 이삭 모양으로 피는 꽃)에 대한 정상협수(正常莢數 정상적으로 맺힌 열매의 숫자)의 비율을 결협율(結莢率)이라 하는데, 콩의 결협율은 20 내지 45%에 불과하다.
결협율을 조장(助長)하려면 영양조건을 개선하여야 한다. 콩의 열매를 보면 꼬투리에 접착되었던 부분인 배꼽의 양쪽에 주공(珠孔)과 합점(合點 밑씨와 그 밑씨를 부착시키는 자루인 胚柄과의 부착점)이 있고, 씨껍질에 싸여 있는 떡잎과 씨눈이 있으며, 떡잎이 열매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씨 젖〔胚乳〕은 거의 퇴화되어 무배유종자를 형성한다. 콩은 품종에 따라 열매의 크기, 입 색, 배꼽 색, 피분(被粉) 등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어떤 식물의 야생종, 중간종, 재배종이 가장 많은 곳을 그 식물의 발상지로 삼는다. 이 조건에 맞는 콩의 원산지는 중국의 동북부, 곧 만주라고 보는 것이 통설이다. 일부에서는 중국 남부를 콩의 원산지라 주장하기도 하나, 중국의 앙소·용산 문화유적에는 콩이 나타나지 않고, 관자(管子)에 제(齊)나라 환공(桓公)이 만주지방에서 콩을 가져와 중국에 보급시켰다는 기록이 있다.
또 함경북도 회령군 오동의 청동기시대유적에서 콩이 출토된 점 등으로 미루어 콩의 원산지는 만주, 곧 옛 고구려 땅이라 할 수 있다. 일본에는 우리나라를 거쳐 전파되었다고 하는데, 일본에서의 재배역사는 약 2,000년이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콩의 어린 풋대 콩은 삶아서 먹고, 완숙한 콩은 콩밥, 콩자반, 콩설기 떡, 콩엿 등을 만들어 먹는다. 또, 두부, 비지, 된장, 간장, 콩나물, 콩기름 등으로 가공하여 먹기도 하고, 인조기름, 인조고기 등을 만들기도 한다. 콩기름은 각종 공업원료로 이용되며 최근에는 두유의 원료로 많이 소비되고, 고소한 향미는 식욕을 도우고 건강 웰빙 식의 주원료로 대단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콩의 영양성분 조성은 단백질이 40% 지방이 20% 정도를 차지하며 탄수화물은 25% 정도 함유돼 있다. 또 비타민 무기질 외에도 인지질, 사포닌 이소플라본, 피트 산 등의 생리활성 물질들도 포함돼 있다.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 F D A는 콩 단백질을 함유한(6.25g%이상) 식품은 건강한 심장을 위해 좋다고 권장하고 있다.
10. 녹차 가루
기원지는 미얀마의 이라와디강 원류지대로 추정되며 그 지역으로부터 중국의 남동부, 인도차이나, 아삼 지역으로 전파되었다.
한국에 차가 전래한 시기는 신라 선덕여왕 때인 7세기이지만 직접 재배하게 된 것은 828년(흥덕왕 3) 사신 대렴(大廉)이 당(唐)나라에서 중국산 소엽종(小葉種) 종자를 가져와 지리산에 심으면서부터이다.
차의 품종, 찻잎 따는 시기, 재배법에 따라 다르나 대체로 카페인을 주로 하는 퓨린염기, 타닌산, 단백질, 아미노산, 아미드, 탄수화물로서 당(糖)·덱스트린·녹말, 셀룰로오스, 펙틴, 식물색소로서 엽록소·카로티노이드, 플라보놀유도체, 안토시안, 그 밖에 정유(精油), 납 질, 수지류(俊脂類), 유기산, 효소, 비타민, 무기성분 등으로 되어 있다. 이들 성분 가운데서 차의 품질과 맛에 관계가 깊은 것은 카페인, 타닌산, 아미노산, 정유 등이다.
녹차의 중요한 것은 엽록소로서 평균 0.6%가 함유되어 있다. 비타민C가 많아 양질의 차 한잔에는 5 내지 6㎎이 들어 있으며, 그 밖에 미네랄류, 칼륨, 칼슘, 망간·불소 등이 함유되어 있다.
녹차 가루는 녹차를 가공하여 분쇄한 것으로 차로 마시는 것보다 가루로 먹는 것은 유성(油性)성분과 수성(水性)성분을 모두 흡수하는 것으로 효과적이고 녹차는 인체의 항산화를 방지하는 기능과 기름의 상패(酸敗)를 방지하고 향미를 개선하는 효과가 크다.
11. 다시마
다시마에는 카로틴류·크산토필류·엽록소 등의 여러 가지 색소 외에 탄소 동화작용으로 만들어지는 마니트·라미나린 등의 탄수화물과 세포벽의 성분인 알긴산이 많이 들어 있고, 요오드·비타민 B2·글루탐산 등의 아미노산이 들어 있다.
성분은 종류에 따라서 다르지만, 대체로 수분 16%, 단백질 7%, 지방 1.5%, 탄수화물 49%, 무기염류 26.5% 정도이며, 탄수화물의 20%는 섬유소이고 나머지는 알긴산과 라미나린 등 다당류이다. 특히 요오드·칼륨·칼슘 등 무기염류가 많이 들어 있으므로, 다시마를 조금씩 자주 먹는 것은 무기염류의 공급을 위해서 좋다. 다시마에 들어 있는 라미닌이라는 아미노산은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다시마의 영양적 특성.
1) 회분이 많아 강력한 알칼리성 식품이다. 특히 다시마 중의 회분은 소화율이 높아 79%나 되어 우유 중의 회분 소화율 50%보다도 훨씬 높다.
2) 칼슘의 함량이 높다. 칼슘이 많더라도 멸치같이 인산의 함량이 더 많은 것은 칼슘의 이용률이 떨어진다. 사람은 생리적으로 칼슘을 인보다 2배나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일반 곡류나 육류는 칼슘보다 인의 함량이 훨씬 높다.
3) 요도가 크다. 요도가 부족하면 목밑샘 호르몬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게 된다. 이 호르몬은 갑상선이라고 하는데 지방 대사의 필수적인 구실을 한다.
4) 칼슘과 요도 그밖에 알칼리성 무기질이 많아 고혈압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다시마 속에 들어 있는 염기성 아미노산인 라미닌이라는 성분이 혈압을 내리게 하는 작용이 있음이 최근에 알려지게 되었다.
다시마는 풍부한 영양소에 의하여 건강식품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향미를 개선하는 국물의 담백(淡白)한 맛을 높이는 주원료로 사용한다.
12. 통깨.
옛날부터 씨를 얻기 위해 재배해왔는데, 씨는 식품과 조미료로 만들었으며 품질 좋은 기름을 추출했다. 중동과 아시아 요리에서는 씨를 통째로 광범위하게 쓰고 있다. 참깨는 아시아 또는 동아프리카가 원산지로 추정되나 지금은 세계적으로 대부분 열대, 아열대, 남반구 온대 지역에서 심고 있다.
이집트인들은 씨를 갈아 가루로 만들어 썼다. 중국인들은 5,000년 전부터 참깨를 이용했는데, 수세기 동안 기름을 태워 나온 그을음으로 가장 품질이 뛰어난 먹을 만들었다. 로마인들은 씨를 커민과 섞어 간 뒤 가루 반죽에 뿌려 빵을 만들었다.
참깨는 신비스런 힘을 가진 것으로 간주하였으며 지금도 마력을 지닌 것으로 여기고 있다. 생육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변종은 키가 0.5 내지 2.5m 정도 자라는데, 가지가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다.
꽃은 잎겨드랑이에 1 내지 3송이씩 핀다. 껍질을 벗긴 씨는 크림색 또는 진줏빛의 흰색이고 길이가 약 3㎜이며 편평한 달걀 모양이다. 씨방 벽은 마르면 벌어져 씨가 흩어져 나오기 때문에 참깨를 수확할 때는 매우 조심스럽게 손으로 작업해야 손실을 막을 수 있다. 20세기 중반 씨가 흩어져 나오지 않는 변종이 개량되어 참깨를 기계로 수확할 수 있게 되었다.
참깨를 한자로 호마(胡麻)라고 하는데, 호마를 통일신라시대에 재배했다는 기록이 있는 점으로 보아 한국에서도 아주 오래전부터 재배한 것으로 추정된다. 주로 기름을 짜는 데 쓰는데, 기름을 짜고 난 깻묵은 사료로도 쓰인다.
꽃은 연한 보라색으로 늦여름에 잎 사이에서 피며, 오동나무 꽃과 비슷하다. 열매는 삭 과(果)로 익으며, 네모난 모양이다. 주요품종으로는 해남, 안동, 수원 11호, 수원 9호 및 최근에 육성된 수원 21호, 풍년 깨와 광산 깨가 있는데, 품종에 따라 재배지역이 다르다. 물이 많거나 잘 빠지지 않는 곳에서는 재배하기 힘들며, 생육기간 중 높은 기온과 햇볕이 좋은 지역이 참깨 재배에 좋다.
참깨와 검은 참깨는 성분이 대부분 동일하다. 참깨에는 지방성분이 약 50% 정도 되는데, 이 지방만 추출하기 때문에 칼로리가 높아서 밥숟가락으로 하나가 100kcal 가 넘으니까, 다이어트 하시는 분들은 조심하시는 것이 좋다. 참기름에도 세서미놀 형태로 리그난 성분이 들어있어서 갱년기 예방에 도움이 되고, 또 감마 토코페롤과 세사몰 등 천연 항산화제가 식물성 기름 중 가장 많은 양이 들어있다.
지방도 불포화지방산인 리놀레산이 50%, 올레인산이 35% 들어있어서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좋으니까, 한 번에 많은 양 드시기보다는 식사 때마다 조금씩 자주 드시면 갱년기 증상 예방뿐만 아니라, 건강증진에 여러모로 좋다.
참깨는 수확하여 침 지 세척으로 부유물과 제거하고 세척하여 100℃에서 볶아 똑똑 튀는 소리가 나고 고소한 향기 풍길 때 냉각하여 기름을 짜 참기름으로 사용하고 분쇄하는 것은 참깨가루로 음식에 살포하여 사용하고 통깨로 밀폐용기에 저장하여 음식에 살포하여 향미를 도우는 영양첨가물로 사용한다.
13. 검은 깨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깨 중에서도 검정참깨인 흑임자를 불로장수의 식품이라 하여 귀중하게 여겨왔고 선약(仙藥)이라 취급되어 왔다. 그런데 최근에 검은깨인 흑임자에서 M-100이라는 새로운 물질이 발견되었다.
M-100은 새로운 항산화 물질로서 암 억제 작용을 하는 임상보고서가 발표되면서 학계의 인정을 받고 있다. 동물실험 보고서에 의하면 피부암 억제능력 60%, 위장 암 억제능력 85%, 폐암 억제능력 75%로 나타나 인간의 암 예방식품으로 인정되고 있다.
검정참깨의 영양성분 오랜 옛날부터 우리 민족이 즐겨 먹고 있는 조미료일 뿐 아니라 보약의 한 가지이다. 단백질 19.65%, 지방 44.15%, 유기물 19.43%, 재 성분 20.12%, 수분 6.65% 들어 있다. 참깨의 지방성분에는 올레인산이 48%, 리놀산이 37%, 팔미트산 8%, 스테아린산이 5%, 이 밖에 피로스테린, 세사민 등이 들어있다. 비타민으로는 비타민 B1, 비타민 E가 많다.
따라서 참깨는 만성위장염, 신경염, 고혈압, 변비, 강정, 빈혈 등에 대한 효과가 뛰어나다. 장복하면 갖가지 효력을 거둘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초학에 의하면 참깨는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며 피부와 머리카락을 윤택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고 기록돼 있다.
나. 본 발명이 조성한 조성물(組成物)의 효과(效果).
본 발명은 부산물로 버리는 잎과 꽃 꽃대에 새로운 가치를 크게 제공하여 새로운 식품을 조성하는 것으로 재배농가에 새로운 소득을 창출하는 것은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으로 국가에 기여하는 효과는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결과다.
본 발명은 칼슘과 칼륨, 오메가 3 그리고 마그네슘이 필요한 성장기 어린이와 노년층에게 단체급식 및 일반급식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간편성과 저장성은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은 새콤함을 바탕에 두고 고소함과 달콤함으로 대중적 월드 향미를 가지는 것은 다양한 고객층의 확보하는 국경 없는 상품으로 본 발명의 사업성과 나타내는 효과다.
본 발명은 간식(Snack)의 기능과 반 반찬으로 부식의 기능과 안주의 기능과 요정의 고급요리의 기능으로 다양한 용도는 사업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본 발명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의 효과다.
본 발명은 콩가루와 생강 가루와 녹차 가루를 사용하는 찹쌀 풀을 사용하는 특성은 향미의 특성과 균일한 무기질을 흡수하는 영양학적 특성을 이루는 조성물로 본 발명의 배합비율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은 무기질이 다량으로 들어 있는 서해안에서 지라는 함 초를 사용하여 모시풀잎을 데치는 것과 데친 함 초 수용액을 찹쌀 풀을 조성하는 물로 재사용하는 특징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영양학적 우수성을 나타내는 효과적 결과다,
본 발명은 좁은 공간에서 대량의 조성물을 조성할 수 있는 공정으로 다단 건조대에 조성물을 메달아 건조하는 것은 생산성을 높이는 수익성으로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은 모시풀잎에 찹쌀 풀을 바르지 않고 침 지하여 도포하는 방법은 바르는 시간을 단축하여 대량 생산을 이루는 공정으로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다.
본 발명은 초기건조에 집게와 회전 틀을 사용하여 균일한 도포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은 최고의 부각 생산하는 것으로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원료를 가루로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은 순도 높은 향미를 위한 것으로 추출하여 혼합하는 것과는 인체에 흡수하는 성분의 종류와 흡수되는 량에 차이가 크게 다르다. 흡수의 차이는 식품의 가치를 평가는 기본적 척도가 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조성물로 사용하는 원료의 전부를 흡수할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함에 의한 특성은 본 발명의 효과다.
본 발명은 저장과 휴대와 운송에 편리한 전통부각으로 야회 도시락과 야회 술안주는 모시풀잎에 새로운 용도를 제공하는 기능으로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의 특색으로 차별성이 강조되는 것으로 부각에 동물성 단백질을 사용했다는 것과 구연산으로 새콤한 향미를 바탕으로 한 것과 콩가루를 사용하여 고소한 대중적 월드 향미를 창조한 것으로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으로 조성한 모시풀잎 부각의 관능적 효과는 표2와 같다.
Figure 112007081858685-pat00002
본 관능검사는 성인 남녀 20명에게 시중에서 판매하는 부각 튀김과 본 발명으로 조성한 부각의 튀김을 한자리에 4개로 각각 나누어 물과 같이 제공하고 시음으로 먹은 뒤에 상기의 질문에 대하여 진한 것과 좋은 것은 1번에서 선택하여 부족하고 싫은 것은 4번으로 한 결과를 종합한 것이다.
새콤한 맛을 바탕으로 달고 고소한 향미에 대하여 모두가 좋다고 선호하는 것은 스낵(Snack)으로 기능적 가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 기능적 필요의 의한 가치를 나타내는 효과다.
젊고 건강하게 살기 위하여 칼슘을 별도로 추가하여 보충하여 먹을 필요가 느끼는가 하는 질문에 모두가 필요하다고 대답하는 것은 칼슘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아래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制限)하는 것은 아니다.
1.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의 제조방법.
제1공정은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는 단계,
풍부한 섬유질로 잎맥이 두텁고 열에 의한 저항성이 강한 칼슘(녹는점 842 내지 848℃, 끓는점 1,487℃)과 마그네슘(녹는점 651℃, 끓는점 1,107℃)의 함량이 높고 일반적 영양소와 팔미트산(Palmit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올레산(Oleic acid) 등을 다양하게 함유하고 부각으로 최적의 조건을 간직한 모시풀잎을 주원료로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를 위하여 찹쌀 풀의 원료로 응집력과 접착력 강하고 영양적 가치가 높은 찹쌀가루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와 바삭바삭함을 위하여 튀김가루를 선정(選定)하고, 우리의 몸은 16%의 단백질로 이루어졌고 단백질의 2/3가 콜라겐으로 이루고 있고 콜라겐은 영양분을 세포로 전달하고 세포의 노폐물을 회수하는 기능과 칼슘과 무기질을 흡수하여 뼈와 골격을 이루고 있는 생체의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단백질을 동물성 콜라겐으로 선정(選定)하고, 열에 강하고 담백한 단맛으로 대중적 월드 향미를 가진 스테비아가루를 선정(選定)하고, 새콤한 향미와 피로회복 촉진을 위하여 구연산을 선정(選定)하고, 풍부한 무기질을 함유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로 부드러운 짠맛과 모시풀잎 색상보존을 위하여 함 초를 선정(選定)하고, 부패(腐敗)를 방지하고 담백한 향미 개선과 영양공급을 위하여 생강가루를 선정(選定)하고, 고소한 대중적 월드 향미와 단백질 보충을 위하여 콩가루를 선정(選定)하고, 산패(酸敗) 방지하고 향미개선 및 영양공급으로 녹차 가루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를 위하여 다시마 가루를 선정(選定)하고, 품격과 향미를 위하여 통깨를 선정(選定)하고, 품격과 모양과 향미를 위하여 검은깨를 선정(選定) 했다.
제2공정은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별하는 단계,
모시풀잎은 가로 8 ~ 16㎝ 세로 13 ~ 20㎝의 크기의 잎으로 윗면은 진한 초록색이나 잎 뒷면은 솜 같은 털이 빽빽하게 나 있어 하얗게 보이며 잎에 섬유질이 많아 두텁고 질긴 것으로 선별(選別)하고, 찹쌀을 정수에 10시간 이상 침 지하여 분쇄한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찹쌀가루로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튀김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콜라겐을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스테비아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구연산을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함 초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생강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콩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녹차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다시마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고 고소함이 풍부한 볶은 통깨를 선별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고 고소함이 풍부한 볶은 검은 깨를 선별(選別) 했다.
제3공정은 조성물의 구성비율을 산정하는 단계,
조성물을 구성비율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모시풀잎 67중량%, 찹쌀 풀 30중량%, 깨 혼합물(통깨 50중량%+검은깨 50중량%) 3중량%를 포함하는 총중량 100중량%로 하는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을 구성했다.
제4공정은 세척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
소금과 장수를 혼합하여 4%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조성하고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선별한 모시풀잎은 넣고 침 지 세척하여 모시풀잎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다시 정수에 침 지 세척으로 염화나트륨을 제거하는 세척 모시풀잎을 조성했다.
제5공정은 데친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
함 초와 정수를 혼합하여 18%의 함 초 수용액을 조성하고 함 초 수용액을 솥에 넣고 100±5℃로 가열하고 세척 모시풀잎을 넣고 2분간 데쳐 모시풀잎의 푸른 색상을 보존하고 모시풀잎의 섬유질을 부드럽게 하고 데친 함 초 수용액을 용기에 담아 10℃ 이하로 별도 보관하는 데친 모시풀잎과 데친 함 초 수용액을 조성했다.
제6공정은 숙성 모시풀잎 조성하는 단계,
데친 모시풀잎을 상하좌우로 펼쳐 무명천으로 수분을 제거하면서 모시풀잎의 크기로 따라 대, 중, 소 3등 분하여 100매씩 천연섬유로 묶어 20℃ 숙성실에 12시간 숙성하여 풋(Unripe) 향미를 제거하여 균일한 찹쌀 풀의 도포를 위한 펼쳐 숙성 모시풀잎을 조성했다.
제7공정은 찹쌀 혼합물을 조성하는 단계,
찹쌀 풀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찹쌀가루 65중량%, 튀김 가루 15중량%, 콜라겐 2중량%, 스테비아가루 1.5중량%, 구연산 1.5중량%, 생강가루 2중량%, 콩가루 8중량%, 녹차 가루 2중량%, 다시마 가루 3중량%를 총중량 100중량%로 하여 동력 3상 10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통상의 혼합기로 30분간 혼합하여 찹쌀 혼합물을 조성했다.
제8공정은 찹쌀 풀을 조성하는 단계,
찹쌀 풀 혼합물 30중량%과 제5공정에서 별도 보관한 함 초 수용액 또는 정수 70중량%를 혼합하여 솥에 넣고 온도를 100℃까지 서서히 가열하면서 8rpm으로 자동 휘젓는 솥에서 최소한 30분 이상 계속하여 여러 원료가 혼합되는 성분으로 인하여 풍부한 향미가 만들어지고 응집력이 생기므로 지름이 3㎜의 유리 봉의 끝 밑에 원으로 매달리는 응집력을 가지고 표면에 윤기가 나면서 새콤함을 밑바탕으로 하여 달콤하고 고소하고 짠맛을 소유하면서 담백하고 대중적 담백한 향미의 찹쌀 풀을 조성했다.
제9공정은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
제3공정의 구성비율과 동일한 량의 찹쌀 풀 통 속에 제3공정의 구성비율과 동일한 량의 숙성 모시풀잎과 제3공정의 구성비율과 동일한 량의 깨 혼합물을 넣고 찹쌀 풀의 품 온을 60℃로 유지하면서 수동으로 혼합 도포하여 모시풀잎 앞뒤에 찹쌀 풀과 깨 혼합물이 모시풀잎 펼친 원형 위에 균일하게 혼합 도포하여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조성했다.
제10공정은 건조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펼친 원형을 유지하면서 25 ~ 30℃의 2 ~ 4m/s 온풍 위를 통과하면서 4분마다 자동으로 상하를 2회 뒤집기를 실시한 후 찹쌀 풀이 모시풀잎에 안전하게 도포 착지하면 건조(乾燥) 선을 따라 60℃의 열풍 건조실로 이동하여 20시간 건조하여 수분함량 5% 이하로 건조했다.
제11공정은 선별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포장하는 단계,
건조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모시풀잎의 모양이 좋고 같은 규격으로 검사하여 100±3g씩 빛과 공기가 차단된 밀폐(密閉)용기에 탈 산 제(脫酸劑)를 넣고 봉인하고 운반용 상자에 포장하는 것과 건조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즉 모시풀잎의 부각의 꼭지를 제거하여 상기와 동일한 규격과 방법으로 포장하여 선별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포장했다.
2. 모시풀잎 꽃과 꽃대 부각 조성물의 제조방법.
제1공정은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는 단계,
모시풀 꽃과 꽃대를 주원료로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를 위하여 찹쌀 풀의 원료로 응집력과 접착력 강하고 영양적 가치가 높은 찹쌀가루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와 바삭바삭함을 위하여 튀김가루를 선정(選定)하고, 우리의 몸은 16%의 단백질로 이루어졌고 단백질의 2/3가 콜라겐으로 이루고 있고 콜라겐은 영양분을 세포로 전달하고 세포의 노폐물을 회수하는 기능과 칼슘과 무기질을 흡수하여 뼈와 골격을 이루고 있는 생체의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단백질을 동물성 콜라겐으로 선정(選定)하고, 열에 강하고 담백한 단맛으로 대중적 월드 향미를 가진 스테비아가루를 선정(選定)하고, 새콤한 향미와 피로회복 촉진을 위하여 구연산을 선정(選定)하고, 풍부한 무기질을 함유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로 부드러운 짠맛과 모시풀잎 색상보존을 위하여 함 초를 선정(選定)하고, 부패(腐敗)를 방지하고 담백한 향미 개선과 영양공급을 위하여 생강가루를 선정(選定)하고, 고소한 대중적 월드 향미와 단백질 보충을 위하여 콩가루를 선정(選定)하고, 산패(酸敗) 방지하고 향미개선 및 영양공급으로 녹차 가루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를 위하여 다시마 가루를 선정(選定)하고, 품격과 향미를 위하여 통깨를 선정(選定)하고, 품격과 모양과 향미를 위하여 검은깨를 선정(選定)했다.
제2공정은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별하는 단계,
모시풀 꽃과 꽃대를 선별(選別)하고, 찹쌀을 정수에 10시간 이상 침 지하여 분쇄한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찹쌀가루로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튀김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콜라겐을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스테비아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구연산을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함 초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생강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콩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녹차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다시마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고 고소함이 풍부한 볶은 통깨를 선별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고 고소함이 풍부한 볶은 검은 깨를 선별(選別)했다.
제3공정은 조성물의 구성비율을 산정하는 단계,
조성물을 구성비율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데친 모시풀 꽃과 꽃대 60중량%, 찹쌀 풀 38중량%, 깨 혼합물(통깨 50중량%+검은깨 50중량%) 2중량%를 포함하는 총중량 100중량%로 하는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을 구성했다.
제4공정은 세척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
소금과 장수를 혼합하여 2%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조성하고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선별한 모시풀 꽃과 꽃대를 넣고 침 지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다시 정수에 침 지 세척으로 염화나트륨을 제거하는 세척 모시풀 꽃과 꽃대를 조성했다.
제5공정은 데친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
함 초와 정수를 혼합하여 6%의 함 초 수용액을 조성하고 함 초 수용액을 솥에 넣고 100±5℃로 가열하고 세척 모시풀 꽃과 꽃대를 넣고 4분간 데쳐 푸른 색상을 보존하고 섬유질을 부드럽게 하고 데친 함 초 수용액을 용기에 담아 10℃ 이하로 별도 보관하는 데친 모시풀 꽃과 꽃대와 데친 함 초 수용액을 조성했다.
제6공정은 숙성 모시풀잎 조성하는 단계,
데친 모시풀 꽃과 꽃대를 상하좌우로 펼쳐 무명천으로 수분을 제거하면서 모시풀 꽃과 꽃대의 크기로 따라 대, 중, 소 3등 분하여 50개씩 천연섬유로 묶어 10℃ 숙성실에 24시간 숙성하여 풋(Unripe) 향미를 제거하여 균일한 찹쌀 풀의 도포를 위한 펼쳐 숙성 모시풀잎을 조성했다.
제7공정은 찹쌀 혼합물을 조성하는 단계,
찹쌀 풀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찹쌀가루 75중량%, 튀김 가루 10중량%, 콜라겐 1중량%, 스테비아가루 3중량%, 구연산 1중량%, 생강가루 1중량%, 콩가루 6중량%, 녹차 가루 2중량%, 다시마 가루 1중량%를 총중량 100중량%로 하여 동력 3상 10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통상의 혼합기로 15분간 혼합하여 찹쌀 혼합물을 조성했다.
제8공정은 찹쌀 풀을 조성하는 단계,
찹쌀 풀 혼합물 40중량%과 제5공정에서 별도 보관한 함 초 수용액 또는 정수 60중량%를 혼합하여 솥에 넣고 온도를 100℃까지 서서히 가열하면서 15rpm으로 자동 휘젓는 솥에서 최소한 30분 이상 계속하여 여러 원료가 혼합되는 성분으로 인하여 풍부한 향미가 만들어지고 응집력이 생기므로 지름이 3㎜의 유리 봉의 끝 밑에 원으로 매달리는 응집력을 가지고 표면에 윤기가 나면서 새콤함을 밑바탕으로 하여 달콤하고 고소하고 짠맛을 소유하면서 담백하고 대중적 담백한 향미의 찹쌀 풀을 조성했다.
제9공정은 찹쌀 풀 도포 모시풀 꽃과 꽃대를 조성하는 단계,
제3공정의 구성비율과 동일한 량의 찹쌀 풀 통 속에 제3공정의 구성비율과 동일한 량의 숙성 모시풀 꽃과 꽃대와 제3공정의 구성비율과 동일한 량의 깨 혼합물을 넣고 찹쌀 풀의 품 온을 40℃로 유지하면서 수동으로 혼합 도포하여 모시풀 꽃과 꽃대의 앞뒤에 찹쌀 풀과 깨 혼합물이 균일하게 혼합 도포하여 찹쌀 풀 도포 모시풀 꽃과 꽃대를 조성했다.
제10공정은 건조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
찹쌀 풀 도포 모시풀 꽃과 꽃대를 25℃의 2 ~ 4m/s 온풍 위를 통과하면서 2 ~ 4분마다 자동으로 상하를 2 ~ 3회 뒤집기를 실시한 후 찹쌀 풀이 모시풀 꽃과 꽃대에 안전하게 도포 착지하면 건조(乾燥) 선을 따라 습도가 낮고 햇빛이 있는 좋은 날에는 야회에서도 48시간 건조하는 것으로 건조 모시풀 꽃과 꽃대의 부각을 조성했다.
제11공정은 선별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포장하는 단계,
건조 찹쌀 풀 도포 모시풀 꽃과 꽃대의 모양이 좋고 같은 규격으로 검사하여 1000g씩 빛과 공기가 차단된 밀폐(密閉)용기에 탈 산 제(脫酸劑)를 넣고 봉인하고 운반용 상자에 포장하는 것과 건조 찹쌀 풀 도포 모시풀 꽃과 꽃대를 즉 모시풀 꽃과 꽃대 부각의 꼭지를 제거하여 상기와 동일한 규격과 방법으로 포장하여 상품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선별 찹쌀 풀 도포 모시풀 꽃과 꽃대를 포장했다.
3. 모시풀잎 튀김 부각 조성물의 제조방법.
제1공정은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는 단계,
풍부한 섬유질로 잎맥이 두텁고 열에 의한 저항성이 강한 칼슘(녹는점 842 내지 848℃, 끓는점 1,487℃)과 마그네슘(녹는점 651℃, 끓는점 1,107℃)의 함량이 높고 일반적 영양소와 팔미트산(Palmit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올레산(Oleic acid) 등을 다양하게 함유하고 부각으로 최적의 조건을 간직한 모시풀잎을 주원료로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를 위하여 찹쌀 풀의 원료로 응집력과 접착력 강하고 영양적 가치가 높은 찹쌀가루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와 바삭바삭함을 위하여 튀김가루를 선정(選定)하고, 우리의 몸은 16%의 단백질로 이루어졌고 단백질의 2/3가 콜라겐으로 이루고 있고 콜라겐은 영양분을 세포로 전달하고 세포의 노폐물을 회수하는 기능과 칼슘과 무기질을 흡수하여 뼈와 골격을 이루고 있는 생체의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단백질을 동물성 콜라겐으로 선정(選定)하고, 열에 강하고 담백한 단맛으로 대중적 월드 향미를 가진 스테비아가루를 선정(選定)하고, 새콤한 향미와 피로회복 촉진을 위하여 구연산을 선정(選定)하고, 풍부한 무기질을 함유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로 부드러운 짠맛과 모시풀잎 색상보존을 위하여 함 초를 선정(選定)하고, 부패(腐敗)를 방지하고 담백한 향미 개선과 영양공급을 위하여 생강가루를 선정(選定)하고, 고소한 대중적 월드 향미와 단백질 보충을 위하여 콩가루를 선정(選定)하고, 산패(酸敗) 방지하고 향미개선 및 영양공급으로 녹차 가루를 선정(選定)하고, 대중적 월드 향미를 위하여 다시마 가루를 선정(選定)하고, 품격과 향미를 위하여 통깨를 선정(選定)하고, 품격과 모양과 향미를 위하여 검은깨를 선정(選定)했다.
제2공정은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별하는 단계,
모시풀잎은 가로 8 ~ 16㎝ 세로 13 ~ 20㎝의 크기의 잎으로 윗면은 진한 초록색이나 잎 뒷면은 솜 같은 털이 빽빽하게 나 있어 하얗게 보이며 잎에 섬유질이 많아 두텁고 질긴 것으로 선별(選別)하고, 찹쌀을 정수에 10시간 이상 침 지하여 분쇄한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찹쌀가루로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튀김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콜라겐을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스테비아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구연산을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함 초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생강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콩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녹차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것으로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다시마 가루를 선별(選別)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고 고소함이 풍부한 볶은 통깨를 선별하고,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고 고소함이 풍부한 볶은 검은 깨를 선별(選別)했다.
제3공정은 조성물의 구성비율을 산정하는 단계,
조성물을 구성비율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모시풀잎 65중량%, 찹쌀 풀 30중량%, 깨 혼합물(통깨 50중량%+검은깨 50중량%) 5중량%를 포함하는 총중량 100중량%로 하는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을 구성했다.
제4공정은 세척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
소금과 장수를 혼합하여 4%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조성하고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선별한 모시풀잎은 넣고 침 지 세척하여 모시풀잎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다시 정수에 침 지 세척으로 염화나트륨을 제거하는 세척 모시풀잎을 조성했다.
제5공정은 데친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
함 초와 정수를 혼합하여 18%의 함 초 수용액을 조성하고 함 초 수용액을 솥에 넣고 100±5℃로 가열하고 세척 모시풀잎을 넣고 2분간 데쳐 모시풀잎의 푸른 색상을 보존하고 모시풀잎의 섬유질을 부드럽게 하고 데친 함 초 수용액을 용기에 담아 10℃ 이하로 별도 보관하는 데친 모시풀잎과 데친 함 초 수용액을 조성했다.
제6공정은 숙성 모시풀잎 조성하는 단계,
데친 모시풀잎을 상하좌우로 펼쳐 무명천으로 수분을 제거하면서 모시풀잎의 크기로 따라 대, 중, 소 3등 분하여 100매씩 천연섬유로 묶어 10 ~ 20℃ 숙성실에 20시간 숙성하여 풋(Unripe) 향미를 제거하여 균일한 찹쌀 풀의 도포를 위한 펼쳐 숙성 모시풀잎을 조성했다.
제7공정은 찹쌀 혼합물을 조성하는 단계,
찹쌀 풀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찹쌀가루 44중량%, 튀김 가루 25중량%, 콜라겐 5중량%, 스테비아가루 4중량%, 구연산 3중량%, 생강가루 3중량%, 콩가루 10중량%, 녹차 가루 3중량%, 다시마 가루 3중량%를 총중량 100중량%로 하여 동력 3상 10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통상의 혼합기로 30분간 혼합하여 찹쌀 혼합물을 조성했다.
제8공정은 찹쌀 풀을 조성하는 단계,
찹쌀 풀 혼합물 20중량%과 제5공정에서 별도 보관한 함 초 수용액 또는 정수 80중량%를 혼합하여 솥에 넣고 온도를 100℃까지 서서히 가열하면서 10rpm으로 자동 휘젓는 솥에서 최소한 30분 이상 계속하여 여러 원료가 혼합되는 성분으로 인하여 풍부한 향미가 만들어지고 응집력이 생기므로 지름이 3㎜의 유리 봉의 끝 밑에 원으로 매달리는 응집력을 가지고 표면에 윤기가 나면서 새콤함을 밑바탕으로 하여 달콤하고 고소하고 짠맛을 소유하면서 담백하고 대중적 담백한 향미의 찹쌀 풀을 조성했다.
제9공정은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
제3공정의 구성비율과 동일한 량의 찹쌀 풀 통 속에 제3공정의 구성비율과 동일한 량의 숙성 모시풀잎과 제3공정의 구성비율과 동일한 량의 깨 혼합물을 넣고 찹쌀 풀의 품 온을 70℃로 유지하면서 수동으로 혼합 도포하여 모시풀잎 앞뒤에 찹쌀 풀과 깨 혼합물이 모시풀잎 펼친 원형 위에 균일하게 혼합 도포하여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조성했다.
제10공정은 건조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펼친 원형을 유지하면서 30℃의 2 ~ 4m/s 온풍 위를 통과하면서 2분마다 자동으로 상하를 2 ~ 3회 뒤집기를 실시한 후 찹쌀 풀이 모시풀잎에 안전하게 도포 착지하면 건조(乾燥) 선을 따라 60℃의 열풍 건조실로 이동하여 20시간 건조하여 수분함량 5% 이하로 건조했다.
제11공정은 선별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포장하는 단계,
건조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모시풀잎의 모양이 좋고 같은 규격으로 선별 검사하여 100g씩 빛과 공기가 차단된 밀폐(密閉)용기에 탈 산 제(脫酸劑)를 넣고 봉인하고 운반용 상자에 포장하는 것과 건조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즉 모시풀잎의 부각의 꼭지를 제거하여 상기와 동일한 규격과 방법으로 포장하여 상품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선별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포장했다.
제12공정은 튀긴 모시풀잎 부각을 조성하는 단계,
건조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 즉 모시풀잎 부각을 15℃의 품 온을 조절하여 아름다운 튀김 꽃의 조건을 조성하고, 튀김 솥에 신선한 콩기름을 튀김 솥의 2/3 정도 넣고 1480℃로 콩기름을 가열하고, 품 온이 조절된 모시풀잎 부각을 5㎠ 크기로 조각을 내어 가열된 튀김 솥 기름에 넣는 즉석실험을 하여 실험 모시풀잎 부각이 즉시 부상하면서 많은 기포를 형성하고 하얗게 부풀어 오르면, 모시풀잎 부각과 튀김 솥의 기름 온도가 가장 적정한 것으로 모시풀잎 부각을 튀김 솥 기름 면적의 1/2 정도를 넣고 15초 동안 유 탕(튀김) 처리하여 모시풀잎 부각이 하얗게 부풀고 바삭바삭한 것이 꽃처럼 예쁘게 튀겨지는 과정으로 이때 품 온을 유지하는 것과 기름의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 것은 부각 튀김의 좋은 조건으로 처음 실험한 튀김 조건을 계속 유지하는 기술적 관리가 필요하고 이렇게 튀겨진 모시풀잎의 부각은 새콤함을 바탕으로 고소하고 달콤하면서 약간 짭짤한 대중적 담백한 향미의 튀김 모시풀잎 부각으로 조성했다.
제13공정은 탈지 냉각 튀김 모시풀잎 부각을 조성하는 단계,
새콤함을 바탕으로 고소하고 달콤하면서 짭짤한 대중적 담백한 향미의 튀긴 모시풀잎 부각을 채반이나 그물망으로 고온에서 기름을 탈취하여 파손을 방지하고 20℃ 이하의 저온 실에서 냉각하여 새콤함을 바탕으로 고소하고 달콤하면서 짭짤한 대중적 담백한 향미의 탈지 냉각 모시풀잎 부각을 조성했다.
제14공정은 선별포장하는 단계,
새콤함을 바탕으로 고소하고 달콤하면서 짭짤한 대중적 월드 향미의 탈취 냉각 모시풀잎 부각을 모양이 좋고 동일한 규격으로 검사하여 500g씩 빛과 공기가 차단된 밀폐(密閉)용기에 탈 산 제(脫酸劑)를 넣고 운반용 상자에 포장(包裝)하는 것과 탈취 냉각 모시풀잎 부각의 꼭지를 제거하고 동일한 방법과 규격으로 포장하여 상품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콤함을 바탕으로 고소하고 달콤하면서 짭짤한 대중적 담백한 향미의 모시풀잎 튀긴 부각 조성물을 제조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도면은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하는 해석이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면은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ims (14)

  1.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데친 모시풀잎 또는 모시풀 꽃과 꽃대 80 ~ 12중량%, 찹쌀 풀 12 ~ 87중량%, 깨 혼합물로 통깨 50중량% + 검은깨 50중량% 8 ~ 1중량%를 포함하는 총중량 100중량%로 하는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
  2.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제1공정으로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정하는 것으로, 목적에 부합하는 재료로 모시풀잎 또는 모시풀 꽃과 꽃대, 찹쌀 풀, 깨 혼합물로 통깨 50중량% + 검은깨를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의 원료로 선정하는 단계와; 제2공으로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별하는 단계와; 제3공정으로 조성물의 구성 비율을 산정하는 단계와; 제4공정으로 세척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와; 제5공정으로 데친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와; 제6공정으로 숙성 모시풀잎 조성하는 단계와; 제7공정으로 찹쌀 혼합물을 조성하는 단계와; 제8공정으로 찹쌀 풀을 조성하는 단계와; 제9공정으로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와; 제10공정으로 건조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와; 제11공정으로 선별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포장하는 단계와; 제12공정으로 튀긴 모시풀잎 부각을 조성하는 단계와; 제13공정으로 탈지 냉각 튀김 모시풀잎 부각을 조성하는 단계와; 제14공정으로 선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제2공정은 목적에 부합하는 원료를 선별하는 것으로, 모시풀잎은 가로 8 ~ 16㎝ 세로 13 ~ 20㎝의 크기의 잎으로 윗면은 진한 초록색이나 잎 뒷면은 솜 같은 털이 빽빽하게 나 있어 하얗게 보이며 잎에 섬유질이 많아 두텁고 질긴 것으로 선별하고,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찹쌀가루로 선별하고, 순도 95% 이상의 튀김 가루를 선별하고, 순도 95% 이상의 콜라겐을 선별하고,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스테비아가루를 선별하고, 순도 95% 이상의 구연산을 하고,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함 초 가루를 선별하고, 순도 95% 이상의 104 ~ 74 마이크론 입자 생강가루를 선별하고, 104 ~ 74 마이크론 입자 콩가루를 선별하고, 104 ~ 74 마이크론 입자 녹차 가루를 선별하고, 104 ~ 74 마이크론 입자 다시마 가루를 선별하고, 볶은 통깨를 선별하고, 볶은 검은 깨를 선별하는 기술적 단계와; 제3공정은 조성물의 구성비율을 산정하는 것으로, 조성물을 구성비율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데친 모시풀잎 또는 모시풀 꽃과 꽃대 80 ~ 12중량%, 찹쌀 풀 12 ~ 87중량%, 깨 혼합물로 통깨 50중량% + 검은깨 50중량% 8 ~ 1중량%를 포함하는 총중량 100중량%로 하는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을 구성비율을 산정하는 단계와; 제4공정은 세척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것으로, 소금과 장수를 혼합하여 2 ~ 4%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조성하여 선별한 모시풀잎은 넣고 침 지 세척하고 다시 정수에 침 지 세척으로 염화나트륨을 제거하는 세척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와; 제5공정은 데친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것으로, 함 초와 정수를 혼합하여 6 ~ 18%의 함 초 수용액을 조성하여 솥에 넣고 100±5℃로 가열하고 세척 모시풀잎을 넣고 2 ~ 6분간 데쳐 데친 모시풀잎과 데친 함 초 수용액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와; 제6공정은 숙성 모시풀잎 조성하는 것으로, 데친 모시풀잎을 상하좌우로 펼쳐 무명천으로 수분을 제거하면서 모시풀잎의 크기로 따라 대, 중, 소 3등 분하여 50 ~ 100매씩 천연섬유로 묶어 10 ~ 20℃ 숙성실에 12 ~ 24시간 숙성하여 숙성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를 포함하는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제7공정은 찹쌀 혼합물을 조성하는 것으로, 찹쌀 풀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찹쌀가루 40 ~ 83중량%, 튀김 가루 25 ~ 10중량%, 콜라겐 5 ~ 1중량%, 스테비아가루 5 ~ 1중량%, 구연산 3 ~ 1중량%, 생강가루 6 ~ 1중량%, 콩가루 10 ~ 1중량%, 녹차 가루 3 ~ 1중량%, 다시마 가루 3 ~ 1중량%를 총중량 100중량%로 하여 동력 3상 10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통상의 혼합기로 15 ~ 30분간 혼합하여 찹쌀 혼합물을 조성하는 단계와; 제8공정은 찹쌀 풀을 조성하는 것으로, 찹쌀 풀 혼합물 20 ~ 40중량%과 제5공정에서 별도 보관한 함 초 수용액 또는 정수 80 ~ 60중량%를 혼합하여 솥에 넣고 온도를 100℃까지 서서히 가열하면서 5 ~ 30rpm으로 자동 휘젓는 솥에서 최소한 30분 휘저어 담백한 향미의 찹쌀 풀을 조성하는 단계와; 제9공정은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것으로, 제3공정의 구성비율과 동일한 량의 찹쌀 풀 통 속에 제3공정의 구성비율과 동일한 량의 숙성 모시풀잎과 제3공정의 구성비율과 동일한 량의 깨 혼합물을 넣고 찹쌀 풀의 품 온을 40 ~ 70℃로 유지하면서 수동으로 혼합하고 도포하여 모시풀잎 앞뒤에 찹쌀 풀과 깨 혼합물이 균일하게 혼합 도포하여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제10공정은 건조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것으로,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25 ~ 30℃의 2 ~ 4m/s 온풍 위를 통과하면서 2 ~ 4분마다 자동으로 상하를 2 ~ 3회 뒤집기를 실시한 후 찹쌀 풀이 모시풀잎에 안전하게 도포 착지하면 건조 선을 따라 40 ~ 60℃의 열풍 건조실로 이동하여 도포 모시풀잎의 모양의 변화가 없을 때 다시 모시풀잎의 꼭지만을 집어 공간이 축소된 다단 건조대에서 10 ~ 15시간 건조하여 수분함량 20 ~ 40%로 건조하고 2 ~ 10㎠의 크기로 절단하여 다용도 조성물로 규격화하여 다시 40 ~ 60℃의 열풍 건조실에서 10 ~ 15시간 건조하여 수분함량 5% 이하로 건조하는 것과 습도가 낮고 햇빛이 있는 좋은 날에는 야회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2 ~ 10㎠의 크기로 절단하여 건조하는 것으로 건조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조성하는 방법과 채반에 도포 모시풀잎을 한 장씩 펼쳐 40 ~ 60℃의 건조실에서 20 ~ 30시간 건조하여 수분함량 5% 이하로 건조하는 단계와; 제11공정은 선별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포장하는 것으로, 건조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을 모시풀잎의 모양이 좋고 같은 규격으로 검사하여 100 ~ 50000g씩 빛과 공기가 차단된 밀폐용기에 탈 산 제를 넣고 봉인하고 운반용 상자에 포장하는 기술적 단계를 포함하는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제12공정은 튀긴 모시풀잎 부각을 조성하는 것으로, 건조 찹쌀 풀 도포 모시풀잎 즉 모시풀잎 부각을 15 ~ 18℃의 품 온을 조성하고, 튀김 솥에 신선한 콩기름을 튀김 솥의 2/3 정도 넣고 140 ~ 200℃로 콩기름을 가열하고 모시풀잎 부각을 튀김 솥 기름 면적의 1/2 정도를 넣고 10 ~ 30초 동안 튀김 처리하여 튀김 모시풀잎 부각으로 조성하는 단계와; 제13공정은 탈지 냉각 튀김 모시풀잎 부각을 조성하는 것으로, 튀긴 모시풀잎 부각을 채반이나 그물망으로 고온에서 기름을 탈취하여 파손을 방지하고 20℃ 이하의 저온 실에서 냉각하여 탈지 냉각 모시풀잎 부각을 조성하는 단계와; 제14공정은 선별포장하는 것으로, 새콤함을 바탕으로 고소하고 달콤하면서 짭짤한 대중적 월드 향미의 탈취 냉각 모시풀잎 부각을 모양이 좋고 동일한 규격으로 검사하여 100 ~ 50000g씩 빛과 공기가 차단된 밀폐용기에 탈 산 제를 넣고 운반용 상자에 포장하는 것과 탈취 냉각 모시풀잎 부각의 꼭지를 제거하고 동일한 방법과 규격으로 포장하여 상품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콤함을 바탕으로 고소하고 달콤하면서 짭짤한 대중적 담백한 향미의 모시풀잎 튀긴 부각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70116394A 2007-11-15 2007-11-15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947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394A KR100947666B1 (ko) 2007-11-15 2007-11-15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394A KR100947666B1 (ko) 2007-11-15 2007-11-15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131A KR20090050131A (ko) 2009-05-20
KR100947666B1 true KR100947666B1 (ko) 2010-03-17

Family

ID=40858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394A KR100947666B1 (ko) 2007-11-15 2007-11-15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6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16773A (zh) * 2017-02-20 2017-05-10 廉洪君 一种九蒸九曝黑芝麻养生食品加工工艺
KR20180089175A (ko) 2017-01-31 2018-08-08 농업회사법인 한백식품(주) 맛과 기호성이 향상된 대학찰옥수수 김부각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763B1 (ko) * 2007-09-21 2007-10-26 주식회사 마뚜레수산 함초를 포함하는 모시잎 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763B1 (ko) * 2007-09-21 2007-10-26 주식회사 마뚜레수산 함초를 포함하는 모시잎 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175A (ko) 2017-01-31 2018-08-08 농업회사법인 한백식품(주) 맛과 기호성이 향상된 대학찰옥수수 김부각 및 그 제조방법
CN106616773A (zh) * 2017-02-20 2017-05-10 廉洪君 一种九蒸九曝黑芝麻养生食品加工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131A (ko)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902B1 (ko) 한방 개량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 고추장 조성물
KR20100084594A (ko) 콜라겐 월드 김(海苔)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90032158A (ko) 가압전이(加壓轉移)에 의한 과일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79016B1 (ko) 한방 개량간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방 개량간장 조성물
KR100974357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모시풀잎 티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182039B1 (ko) 천연 초와 천연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구기자 고추장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974356B1 (ko) 새콤달콤한 동백꽃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90057340A (ko) 월드 김(海苔)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947666B1 (ko)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53838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감귤(柑橘) 비타 침출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84844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비타 사과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16538A (ko) 한방 개량된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된장 조성물
KR20090018876A (ko) 새콤달콤한 쿠르쿠민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52258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감귤 비타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50931A (ko) 동백(冬柏)꽃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90018874A (ko) 고혈압 환자가 마시는 새콤달콤한 진 코 침출 및 액상 티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10080685A (ko) 비타민을 함유하는 새로운 향미의 마른김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934348B1 (ko) 동백나무잎 또는 꽃송이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94284B1 (ko) 머위, 매실 및 함초를 함유하는 침출차와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한 침출차와 액상추출차
KR20090022208A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마늘 침출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60066706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한 콜라겐 비타 감귤(柑橘) 홍차(과일침출 차)
KR20090050930A (ko) 동백(冬柏)나무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84846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복분자 비타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13322B1 (ko) 고소하고 달콤한 유황 김(海苔)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60063855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함 콜라겐 복숭아 비타 녹차(과일 침출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