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8506A -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8506A
KR20090048506A KR1020097005703A KR20097005703A KR20090048506A KR 20090048506 A KR20090048506 A KR 20090048506A KR 1020097005703 A KR1020097005703 A KR 1020097005703A KR 20097005703 A KR20097005703 A KR 20097005703A KR 20090048506 A KR20090048506 A KR 20090048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ce
compartment
housing
retain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5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랑 모렝
클로드 꺄세
에이이찌로 다끼자와
Original Assignee
에프씨아이 커넥터즈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아이 커넥터즈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에프씨아이 커넥터즈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90048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01R13/4362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과 이러한 하우징으로 구성된 커넥터가 제공된다. 하우징은 제1 요소와 제2 요소를 구비한다. 제1 요소는 전기 단자를 내부에 설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획실을 포함한다. 각각의 구획실은 단자를 고정하기 위한 랜스부를 포함한다. 제2 요소는 제1 요소의 전방면을 덮는 구멍이 뚫린 벽부를 구비한다. 제2 요소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제1 요소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제1 위치에 있을 때, 랜스부가 윈도우를 통해 노출됨으로써, 랜스부는 전기 단자로부터 결합해제되기 위해 전기 단자의 후퇴 및 교체를 허용하도록 예컨대, 지그에 의해 접근될 수 있다. 제2 위치에 있을 때, 윈도우는 랜스부로부터 멀리 이동됨으로써, 벽부에 의해 랜스부가 덮이게 되어 랜스부로의 접근이 차단된다.
전기 커넥터 하우징, 전기 단자, 구획실, 랜스부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ELECTRICAL CONNECTOR AND HOUSING THEREOF}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전기 단자의 교체를 위해 전기 단자가 하우징으로부터 탈착가능한 전기 커넥터 및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전기 단자를 수납하고 지지하기 위한 유전체 하우징을 구비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공보 제2002-75507A호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전기 단자를 고정시키기 위한 리테이너를 구비한 커넥터를 개시한다. 하우징과 리테이너는 열가소성 재료 등을 사출 성형하여 각각 제조된다. 하우징에는 전방향 및 후방향으로 개방되어 관통하는 정렬된 캐비티가 형성되며, 캐비티는 내부로 연장되는 랜스부(lance portion)와, 캐비티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된 리테이너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부를 포함한다. 리테이너는 내부에 형성된 홀부(hole portion)를 구비함으로써, 리테이너가 중공부로 삽입될 때, 홀부는 캐비티와 연통한다. 전기 단자는 연통하는 캐비티로 삽입된다.
하우징과 리테이너가 조립되면, 단자들은 전방벽부에 접촉할 때까지 캐비티로 삽입되어 랜스부에 의해 보류된다. 단자가 삽입된 이후에, 리테이너는 중공부에 완전히 수납되고, 하우징과 리테이너의 결합으로 단자가 유지된다.
단자가 손상되거나 결함이 있을 때, 단자는 하우징으로부터 결합해제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해제는 캐비티의 전방에서 개구부를 통해 지그(jig)를 삽입하여 랜스부를 변형시킴으로써 수행되며, 이로써 결함이 있는 단자는 교체를 위해 하우징으로부터 후퇴될 수 있다.
성형 공정과 주형의 형상의 한계로 인해, 커넥터의 하우징의 전방벽부는 매우 두껍게 제조될 수 없으므로, 얇을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이러한 얇은 벽은 단자의 삽입으로 인한 부하 또는 외부원으로부터의 충격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단자 교체 공정 중에, 지그가 랜스부와 단자를 결합해제시키기 위하여 삽입될 때, 지그는 받침점으로 작용하는 전방벽부에 대해 강하게 가압된다. 따라서, 전방벽부는 지그에 의해 작용되는 부하를 견디기에 충분히 강하지 못함으로써, 전방벽부 또는 홀 커넥터 하우징조차도 단자 후퇴 공정 중에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여전히 사출 성형으로 제조되지만 하우징의 전방벽부는 단자 삽입 및/또는 단자 후퇴 공정 중의 부하를 견디기에 충분히 강한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커넥터 및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하며, 상기 하우징은 단자를 삽입할 때 가해지는 부하, 외부원으로부터의 충격 및 지그의 작업으로 인한 부하를 견디기에 적절한 강도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 하우징과 이러한 하우징으로 구성된 커넥터가 제공된다. 하우징은 제1 요소와 제2 요소를 구비한다. 제1 요소는 제1 요소의 전방면과 후방면을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캐비티 또는 구획실을 포함한다. 구획실로 삽입된 단자를 고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구획실 내부에 랜스부가 형성된다. 제2 요소는 벽부를 구비하며, 제1 요소에 조립될 때 벽부는 제1 요소의 전방면을 덮는다. 벽부는 상부면에 형성된 윈도우를 구비한다. 제2 요소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제1 요소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제1 위치에 있을 때, 랜스부가 윈도우를 통해 노출됨으로써, 랜스부는 전기 단자의 후퇴 및 교체를 허용하도록 전기 단자로부터 결합해제되기 위해 예컨대 지그에 의해 접근될 수 있다. 제2 위치에 있을 때, 윈도우는 랜스부로부터 멀리 이동됨으로써, 벽부에 의해 랜스부가 덮이게 되어 랜스부로의 접근이 차단된다.
제1 요소 및 제2 요소는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 제2 요소 상의 벽부는 제1 요소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벽부는 적절한 두께를 구비하거나 제1 요소와는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에 적절한 부하 저항 능력을 제공하며 단자 삽입 부하, 외부원으로부터의 충격 및 지그의 작업으로 인한 부하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및 장점은, 본 발명의 독창적인 개념의 예를 위해 설명하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정점 및 다른 장점은 다음의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기술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이전의 커넥터 하우징의 사 시도이다.
도 1의 (b)는 도 1의 (a)를 역전시킨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커넥터 하우징이 일시적 위치로 조립될 때의 도 1의 (a)의 사시도이다.
도 2의 (b)는 도 2의 (a)를 역전시킨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완전히 조립된 상태의 도 1의 (a)의 사시도이다.
도 3의 (b)는 도 3의 (a)를 역전시킨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도 3의 (a)의 평면도이다.
도 4의 (b)는 도 3의 (a)의 정면도이다.
도 4의 (c)는 도 2의 (a)의 단면도이다.
도 4의 (d)는 도 3의 (a)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이전의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8의 (b)는 도8 의 (a)를 역전시킨 사시도이다.
도 9는 완전히 조립된 상태의 도 8의 (a)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커넥터 하우징이 일시적으로 조립될 때의 도8 의 (a)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단면도이다.
도 1의 (a) 및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의 (a)는 커넥터 하우징의 제1 요소(1)와 제2 요소(2)를 조립하기 이전 상태를 도시한다. 제1 요소(1)와 제2 요소(2)는 모두 주조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요소(1)는 전방면(A)으로부터 후방면(B)으로 통과하는 3열의 캐비티 또는 구획실(3)을 구비한다. 각각의 구획실(3) 내에는 랜스부(16)(도 4(c) 및 도 4(d) 참조)가 있다. 중공부(11)는 제1 요소(1) 내부의 구획실(3)을 차단하고 교차한다. 중공부(11)는 측벽(13)의 내부 표면 상에 보류편(detaining pieces, 14)(도 5 및 도 6 참조)을 구비한다. 보류편(14)은 후술되는 제2 요소(2)의 리테이너(4)의 측면 상에 제공된 계단부(10)에 대해 작용한다. 측벽(13)은 경계부(19)의 주연의 일부를 덮는다. 측벽(13)의 모서리부는 전방면(A)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 요소(2)의 전방벽(5)을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부(12)와 제한부(20)를 형성한다.
제2 요소(2)는 제1 요소(1)의 중공부(11)에 수납되는 리테이너(4) 및 연결부(6)를 통해 리테이너(4)에 연결되는 전방벽(5)을 구비한다. 리테이너(4)와 전방벽(5)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간극(21)에 의해 분리된다. 리테이너(4)는 구획실(3)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된 홀(9)을 구비한다. 계단부(10)는 리테이너(4)로부터 외향하는 경사진 표면을 구비한다. 홀(9)은 구획실(3)에 대응하는 3열로 형성된다. 전방벽(5)은 각각 3열의 제1 세트 윈도우(7)와 제2 세트 윈도 우(8)를 포함한다. 제1 세트 윈도우(7)와 제2 세트 윈도우(8)는 각각 구획실(3)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되고 통과한다.
제1 요소(1)와 제2 요소(2)를 서로 결합시킬 때, 제2 요소(2)의 리테이너(4)는 제1 요소(1)의 중공부(11) 내로 삽입되어 캐비티(3)를 가로지른다. 제2 요소(2)의 전방벽(5)은 제1 요소(1)의 가이드부(12)를 따라 삽입되어 전방면(A)을 덮는다. 동시에, 제1 요소(1)의 경계부(19)는,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로도 칭해지는 일시적 조립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제2 요소(2)의 간극(21)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일시적 조립 위치에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요소(1)의 측면(13) 상의 보류편(14)과 제2 요소(2)의 리테이너(4) 상의 계단부(10)는 중공부(11)의 측벽(13) 내부에서 서로 접촉하게 됨으로써, 리테이너(4)의 삽입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어 제1 요소(1)와 제2 요소(2)는 서로 완전히 결합되지 않는다.
이러한 일시적 조립 위치에서 구획실(3)의 내부 상황은 도 4(c)에 도시된다. 제2 요소(2)의 전방벽(5)은 제1 요소(1)의 전방면(A)을 덮도록 위치되고, 전방벽(5)의 제2 윈도우(8)는 구획실(3)과 연통한다. 또한, 리테이너(4)는 중공부(11)로 삽입되고, 홀(9)을 통해 구획실(3)과 연결되는 연통 홀을 형성한다.
단자(15)들은 각각 전방면(A)을 향한 방향으로 후방면(B)으로부터 구획실(3)로 삽입된다. 각각의 단자(15)는 주연 표면 상에 형성된 리세스 또는 개구부(18)를 구비한다. 단자(15)는 대응하는 구획실(3)로 삽입되고, 리세스부(18)는 랜스부(16)와 대면한다. 삽입 공정 동안, 각 단자(15)의 주연 표면은 랜스부(16)의 돌 출부(17)에 대해 작용하며, 구획실을 따라 활주하는 동안 랜스부(16)를 탄성 변형시킨다. 완전한 삽입 위치에서, 돌출부(17)는 리세스부(18)에 의해 수납되고, 돌출부(17) 상의 압력이 완화되어 랜스부(16)의 탄성이 회복된다. 그 결과, 돌출부(17)는 표면(B)를 향한 방향으로 단자(15)의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단자(15)는 전방벽(5)에 의해 정지됨으로써, 전방면(A) 너머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단자(15)를 구획실(3)로부터 후퇴시키려고 할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30)는 제2 윈도우(8)로부터 구획실로 삽입되고, 제2 윈도우(8)의 주연에서 두꺼운 부분이 받침점의 역할을 하여 리세스부(18)로부터 돌출부(17)를 들어올려 돌출부(17)를 결합해제시킨다. 윈도우 프레임부의 주연부는 지그(30)로부터의 압력에 저항하기에 충분히 두껍고 강해서, 주연부에 작용하는 부하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조립 과정을 완성하기 위하여, 제1 요소(1)와 제2 요소(2)는 도 3 및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위치"로도 칭해지는 완전한 조립 위치로 서로를 향해 더욱 끼워진다.
도 6은 완전한 조립 위치에서 보류편(14)과 계단부(10) 사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다. 일시적 조립 위치에서 완전한 조립 위치로의 삽입 공정 동안, 계단부(10)는 보류편(14)의 경사진 표면을 따라 활주하고, 보류편(14)과 계단부(10) 모두 탄성 변형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끼워져서 지정된 위치에 도달할 때 탄성 회복된다. 결과적으로, 보류편(14)과 계단부(10)는 서로에 대해 걸림으로써, 제1 요소(1)와 제2 요소(2)의 조립을 완성시킨다.
달리, 돌출부 또는 리세스부가 가이드부(12) 상에 제공되고, 대응하는 리세스 또는 돌출부는 전방벽(5)의 측부 상에 제공될 수도 있어서, 돌출부와 리세스가 서로 끼워지는 곳에서 제1 요소(1)와 제2 요소(2)를 보류시킨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전한 조립 위치에서, 리테이너(4)의 홀(9)은 도 4(c)와 비교하여 리테이너(4)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홀(9)의 주연부(92)는 각 구획실을 부분적으로 점유하여 단자(15)의 계단부(152)와 결합한다. 또한, 이러한 결합은 단자가 구획실(3)로부터 표면(B)을 향해 후퇴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d)에 도시된 완전한 조립 위치에서, 제2 세트 윈도우(8)는 캐비티(3)로부터 멀리 이동함으로써, 제2 세트 윈도우(8)와 구획실(3)과의 연통이 차단된다. 대신에, 구획실(3)은 제1 세트 윈도우(7)에 의해 노출됨으로써, 대응하는 커넥터(미도시)가 안내 및 정합되어 단자(15)들을 연결함으로써 전기 접속을 이룰 수 있다.
도 8의 (a) 및 도 8의 (b)는 조립 이전의 상태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을 도시하는 다른 각도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커넥터 하우징의 제1 요소(81)와 제2 요소(82)의 완전한 조립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1 요소(81)는 전방면(A)과 후방면(B) 사이로 통과하는 개방된 2열의 구획실(83) 및 구획실(83)을 차단하고 교차하는 중공부(91)를 구비한다. 경사진 표면을 구비한 돌출부(90)는 제1 요소(81)의 경계부(99)의 측면 상에 형성된다. 랜스부(103, 도 10 및 도 11)는 각각의 구획실(83)에 형성된다.
제2 요소(82)는 중공부(91)에 수납되는 리테이너(84) 및 연결부(86)에 의해 리테이너(84)에 연결되는 벽부(85)를 구비한다. 리테이너(84)와 벽부(85)는 평행하게 연장되며 지정된 거리만큼 이격된다. 전방면(A)과 후방면(B)으로 개방되고 이들 사이로 통과하는 일 열의 관통 홀(89)은 리테이너(84)에 형성된다. 벽부(85)는 전방면(A)을 덮는 전방면 벽부(95) 및 제1 요소(81)의 경계부(99)의 측면을 따라 활주하는 가이드부(100)를 구비한다. 전방면 벽부(95)는 2열의 윈도우(87)를 구비한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부(100)는 돌출부(90)와 결합하는 제1 홈 또는 제1 리세스(97)와, 제2 홈 또는 제2 리세스(97')를 구비한다.
제1 요소(81)와 제2 요소(82)가 조립될 때, 제2 요소(82)의 리테이너(84)는 제1 요소(1)의 중공부(91)로 삽입된다. 또한, 제2 요소(82)의 전방 벽부(85)가 이동함으로써 전방면 벽부(95)는 제1 요소(81)의 표면(A)를 덮고, 가이드부(100)는 경계부(99)의 측면을 따라 활주한다. 한편, "제1 위치"로도 칭해지는 제1 요소(81)와 제2 요소(82)의 일시적 조립 위치에서, 돌출부(90)는 홈 또는 리세스(97)에 끼워져 결합된다. 도 10은 일시적 조립 위치에서의 구획실(83)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리테이너(84)는 중공부(91)로 삽입되며, 연통 홀은 구획실(83)의 홀(89)에 의해 표면(A)와 표면(B) 사이에 형성된다.
이후, 단자(105)는 후방면(B)으로부터 전방면(A)을 향해 구획실(83)로 삽입된다. 도 10에서, 단자(105)는 삽입되어, 랜스부(103)의 돌출부(113)에 대해 작용하고 랜스부(103)를 탄성 변형시킨다. 랜스부(103)가 지정된 위치에 도달할 때, 돌출부(113)는 단자(105)의 개구 또는 리세스(115)로 끼워지고 탄성 회복된다. 따 라서, 단자(105)는 랜스부(103)의 돌출부(113)에 의해 구획실(83)에 유지된다. 구획실로부터의 단자(105)의 후퇴는 방지된다. 또한, 단자(105)는 전방면 벽부(95)에 의해 표면(A)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 단자(105)의 삽입력이 크더라도, 전방면 벽부(95)의 두께는 적절하기 때문에, 단자(105)와의 접촉은 전방면 벽부(95)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일시적 조립 위치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실(83)은 윈도우(87)에 의해 노출되며, 이 윈도우(87)를 통해 지그(130)는, 단자(105)를 후퇴시키고 교체할 목적으로 랜스부(103)를 해제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리테이너(84)의 홀(89)을 경계짓는 상부벽(92)은 단자(105)의 상부 열로부터 지정된 거리에 위치되며, 홀(89)의 하부면부(98)는 단자(105)의 하부 열로부터 지정된 거리에 위치된다.
단자(105)가 여러 개의 또는 모든 구획실(83)로 완전히 삽입된 이후에, 제2 요소(82)는 제1 요소(81)를 향해 더 이동하여, 돌출부(90)는 제2 홈 또는 리세스(97') 내로 끼워짐으로써, 제1 요소(81)와 제2 요소(8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위치"로도 칭해지는 완전한 조립 위치에 있게 된다.
도 11에서, 윈도우(87)는 노출된 랜스부(103)로부터 멀리 이동되지만, 단자(105)와 대면하고 정렬된다. 이러한 완전한 조립 위치에서, 대응 커넥터의 단자(205)는 윈도우(87)를 통해 구획실(83)로 삽입되어 단자(105)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87)는 대응 커넥터의 단자를 안내하기 위하여 테이퍼링된 입구를 구비함으로써, 대응 커넥터의 단자가 접촉 단자(105)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 부벽(92)과 하부면부(98)는 각각 상부열과 하부열의 단자(105)를 지지하고, 후퇴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 단자를 보류시킨다. 따라서, 단자(105)는 랜스부(103)와 리테이너(84) 사이의 결합에 의해 구획실(83)에 고정된다.
윈도우(87)는 단자(105)를 후퇴시키기 위한 지그(130)에 대한 액세스(access) 홀 및 대응 커넥터의 단자를 수납하기 위한 홀 모두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추가적 또는 보조적 지그 액세스 홀이 본 실시예에서는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되고 전술된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청구항에서 설명되고 기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 내에서 다수의 재구성, 변형, 변경 및 교체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9)

  1. 전기 커넥터용 하우징이며,
    전방면으로부터 후방면으로 통과하는 복수의 구획실과, 각각의 구획실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랜스부를 구비한 제1 요소와,
    상기 전방면을 덮고 복수의 윈도우를 구비한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요소에 결합되는 제2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요소는, 랜스부가 윈도우를 통해 노출되는 제1 위치와 랜스부가 벽부에 의해 차단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제1 요소에 대해 이동가능한, 전기 커넥터용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소 및 제2 요소는,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서 제1 요소와 제2 요소를 고정하기 위하여 서로 결합가능한 유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용 하우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제1 요소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 및 제2 요소에 형성된 일 세트의 리세스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용 하우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세트는 한 쌍의 제1 리세스와 한 쌍의 제2 리세스를 포함하며, 한 쌍의 제1 리세스가 한 쌍의 돌출부에 결합될 때 제2 요소는 제1 위치에 고정되고, 한 쌍의 제2 리세스가 한 쌍의 돌출부에 결합될 때 제2 요소는 제2 위치에 고정되는, 전기 커넥터용 하우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소는 구획실을 교차하는 중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요소는 중공부로 삽입되는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용 하우징.
  6. 제5항에 있어서, 제2 요소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테이너는 각 구획실로 돌출되어 각 구획실의 단면적을 부분적으로 점유하는, 전기 커넥터용 하우징.
  7. 제6항에 있어서, 제2 요소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테이너는 각 구획실의 단면적을 완전히 다시 점유하는, 전기 커넥터용 하우징.
  8. 전기 커넥터이며,
    전방면으로부터 후방면으로 통과하는 복수의 구획실과, 각각의 구획실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랜스부를 구비한 제1 요소와; 상기 전방면을 덮고 복수의 윈도우를 구비한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요소에 결합되는 제2 요소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각각의 구획실에 각각 배치되고 랜스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전기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요소는, 랜스부를 전기 단자로부터 결합해제시키기 위하여 윈도우를 통한 랜스부로의 접근이 허용되는 제1 위치와 랜스부로의 접근이 벽부에 의해 차단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제1 요소에 대해 이동가능한, 전기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소는 구획실을 교차하는 중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요소는 중공부로 삽입되는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제2 요소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테이너는 각 구획실의 단면적을 부분적으로 점유하여 전기 단자가 구획실로부터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제2 요소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테이너는 각 구획실의 단면적을 완전히 다시 점유하여 전기 단자가 구획실로부터 후퇴하는 것을 허용하는, 전기 커넥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소는 한 쌍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요소는 한 쌍의 제1 리세스 및 한 쌍의 제2 리세스를 더 포함하며,
    한 쌍의 제1 리세스가 한 쌍의 돌출부에 결합될 때 제2 요소는 제1 위치에 고정되고, 한 쌍의 제2 리세스가 한 쌍의 돌출부에 결합될 때 제2 요소는 제2 위치에 고정되는, 전기 커넥터.
  13. 제1 요소와 제2 요소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이며,
    상기 제1 요소는 전방향 및 후방향으로 개방된 하나 또는 복수의 관통 캐비티를 구비하고 랜스부는 상기 캐비티로 삽입되며,
    상기 제2 요소는 전방향 및 후방향으로 개방된 관통홀부를 구비한 리테이너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부는 제1 요소의 상기 캐비티를 가로질러 삽입되어 상기 홀부 및 상기 캐비티와 연통하며,
    단자는 상기 랜스부에 의해 보류될 때까지 후방으로부터 상기 캐비티로 삽입되며,
    상기 단자는 상기 리테이너부가 완전히 삽입될 때, 리테이너부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제2 요소는 리테이너부에 연결되고 제1 요소의 전방 개구를 덮는 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벽부는 각각의 전방 개구를 통해 캐비티의 내부에 연결되는 윈도우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캐비티 내부의 랜스부와 통하는 제1 윈도우와, 단자와 통하는 제2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소 또는 제2 요소는 벽부를 안내 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에 보류편이 형성되는, 전기 커넥터.
  17.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제2 요소의 하우징은 상기 윈도우에 삽입된 단자를 수납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대응 커넥터에 제공된 돌출부 또는 리세스와 결합하는 리세스 또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요소는, 랜스부가 윈도우를 통해 노출되는 제1 위치와 랜스부가 벽부에 의해 차단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제1 요소에 대해 이동가능한, 전기 커넥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제2 요소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랜스부는 전기 단자로부터 결합해제되도록 윈도우를 통해 접근가능하며, 제2 요소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랜스부는 벽부에 의해 접근이 차단되는, 전기 커넥터.
KR1020097005703A 2006-08-21 2007-08-21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KR200900485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23763 2006-08-21
JP2006223763A JP2008047476A (ja) 2006-08-21 2006-08-21 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506A true KR20090048506A (ko) 2009-05-13

Family

ID=38596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703A KR20090048506A (ko) 2006-08-21 2007-08-21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057714A1 (ko)
JP (1) JP2008047476A (ko)
KR (1) KR20090048506A (ko)
CN (1) CN101517838B (ko)
WO (1) WO20080230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2603B2 (ja) * 2007-01-31 2009-04-0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9021159A (ja) * 2007-07-13 2009-01-29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組立体、雄型コネクタ
JP5183315B2 (ja) * 2008-06-25 2013-04-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94696B2 (ja) * 2008-11-05 2014-01-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210898B2 (ja) * 2009-01-20 2013-06-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421809B2 (ja) * 2010-01-28 2014-02-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R3022700B1 (fr) * 2014-06-20 2022-10-21 Delphi Int Operations Luxembourg Sarl Connecteur porte-fusibles pour vehicules automobiles et procede de montage et demontage d'un contact dans ce connecteur.
US9666972B2 (en) * 2014-11-13 2017-05-30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R3094143A1 (fr) * 2019-03-21 2020-09-25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eur à grille avant protectr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7979A (ja) * 1988-01-31 1989-08-09 Amp Inc タブルロックを有するコネクター
US5997364A (en) * 1998-01-09 1999-12-0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Electrical connector
JP4032925B2 (ja) * 2002-10-30 2008-01-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7044808B1 (en) * 2005-06-07 2006-05-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17838A (zh) 2009-08-26
EP2057714A1 (en) 2009-05-13
WO2008023009A1 (en) 2008-02-28
JP2008047476A (ja) 2008-02-28
CN101517838B (zh) 201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48506A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KR101387278B1 (ko) 커넥터
US7661999B2 (en) Connector
US7108542B2 (en) Connector apparatus with a mating detecting member called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US6361378B1 (en) Connector with a side retainer
JP2002305052A (ja) コネクタ
JP2018120666A (ja) 防水コネクタ
CN101106234B (zh) 对阳性连接器和分离式连接器进行连接的方法
JP3000869B2 (ja) コネクタ
JPH1050384A (ja) コネクタ
JP3690788B2 (ja) リヤホルダ付き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5209676A (en) Connector with terminal retainer
US20220393383A1 (en)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corresponding connector assembly
JP3494285B2 (ja) コネクタ
JP3405425B2 (ja) 基板用コネクタ
CN1332479C (zh) 一种分离式连接器以及一种使辅助连接器外壳从其中脱离的方法
US7059916B2 (en) Divided connector, a method of assembling it and a method of connecting it with a mating connector
EP3748784B1 (en) Electrical connector
JP3634111B2 (ja) 雌型コネクタ
JP7144293B2 (ja) コネクタ
EP3021423B1 (en) Electrical connector
AU2003204259B2 (en) Connector
JP4656911B2 (ja) コネクタ
JP2002141133A (ja) コネクタ
JP2002270275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