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8478A - 스타틴-캡슐화된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타틴-캡슐화된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8478A
KR20090048478A KR1020097004090A KR20097004090A KR20090048478A KR 20090048478 A KR20090048478 A KR 20090048478A KR 1020097004090 A KR1020097004090 A KR 1020097004090A KR 20097004090 A KR20097004090 A KR 20097004090A KR 20090048478 A KR20090048478 A KR 20090048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nanoparticles
group
ischemia
plg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5413B1 (ko
Inventor
겐스케 에가시라
Original Assignee
고쿠리쓰다이가쿠호진 규슈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리쓰다이가쿠호진 규슈다이가쿠 filed Critical 고쿠리쓰다이가쿠호진 규슈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090048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07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51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Dendrimers
    • A61K9/5161Polysaccharides, e.g. alginate, chitosan,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92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4Vasoprotectives; Antihaemorrhoidals; Drugs for varicose therapy; Capillary stabili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항-혈관 신생 치료법을 위한 신규한 나노기술-기재 전략, 특히 생분해성 나노입자에 캡슐화된 스타틴을 제공하는 것이다. 스타틴-캡슐화된 나노입자는 스타틴의 국소 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허혈 혈관 신생을 포함하는 스타틴으로 처리될 수 있는 질환에서 스타틴의 치료적 효능의 향상을 제공할 수 있다.
스타틴 함유 나노입자

Description

스타틴-캡슐화된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STATIN-ENCAPSULATED NANOPARTICLE}
본 발명은, 신혈관 형성을 위한 신규한 나노테크놀로지 기재 치료적 전략을 제공한다. 상기 스타틴-함유 나노입자는 스타틴의 국소적 전달을 허용하고, 따라서 허혈성 신혈관 형성과 같이 스타틴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여러가지 종류의 질환의 치료적 유효성을 향상시킨다.
스타틴은, 간에서의 콜레스테롤 생합성에 있어서 속도 결정 효소인 HMG-CoA 환원 효소를 저해한다. 따라서, 혈액으로부터 간으로의 콜레스테롤 흡수를 촉진시켜서,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및 혈청 트리글리세리드 수치의 현저한 저하를 초래한다. 스타틴은, 예를 들어, 프라바스타틴, 심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아토르바스타틴, 피타바스타틴, 로바스타틴 등, 특히 리피톨 (TM)을 포함한다.
최근의 연구는, 고지혈증의 치료 외에 스타틴이 여드름 및/또는 피부 노화의 치료에 유용하고 (비교, 특허 문헌 1); 일산화질소 (NO)-매개 혈관 확장 및 혈관 이완을 증가시킬 수 있고 (비교, 특허 문헌 2); 그리고 2번째 및 이후의 부가적인 심근경색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음 (비교, 특허 문헌 3 및 4)을 제시하였다.
또한, 스타틴은 조직에서의 혈관 신생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이 러한 스타틴은 신규 혈관 증식이 바람직한 상태의 치료에 유용하다 (비교, 특허 문헌 5). 이것은, (1) 내피원종 세포 (EPC)의 수와 기능을 증가시키는 것; (2) 허혈성의/손상된 조직으로의 EPC의 혼입을 자극하는 것; 및 (3) 손상된 조직의 재생/치유를 촉진하는 것을 포함한다.
참고 문헌
특허 문헌 1: 미국 특허 제 5,902,805호
특허 문헌 2: WO 99/18952
특허 문헌 3: 미국 특허 제 5,674,893호
특허 문헌 4: 미국 특허 제 5,622,985호
특허 문헌 5: WO 01/93806
발명의 개요
그러나, 이러한 유익한 효능은, 스타틴의 "전신성" 투여의 결과로서 수득되고, 보통 임상 환경에서 사용되는 양보다 극단적으로 더 높은 투여량에서만 오로지 관찰된다. 스타틴의 "전신성" 투여시, 횡문근 융해증 및 간장애 (hepatic disorder)와 같은, 스타틴에 의해 야기되는 역효과의 위험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역효과를 회피 또는 줄이기 위하여, 임상적으로 허용가능한 양의 스타틴을 "국소" 투여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이제 본 발명자는 생분해가능한 중합체성 나노입자 기술을 사용하여 나노입자를 통하여 스타틴이 전달될 수 있고, 임상적 투여량 범위에서 스타틴의 나노입자-매개 국소 전달은 허혈성 신혈관 형성의 치료적 효과를 향상시킨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국소" 투여는, 경피 투여나 눈 투여와 같은 국소 투여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허혈조직 및 다른 조직에 약물 성분을 선택적으로 전달시켜, 국소적으로 처리되는 경구 투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스타틴-함유 나노입자는, 횡문근 융해증이나 간장애와 같은 잠재적 부작용 없이, 특정 조직에서의 스타틴의 장기간 세포내 방출 및 신혈관 형성을 자극하는 치료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뒷다리 허혈 (hindlimb ischemia) 유도 후에 FITC 함유 나노입자를 근육내 주사한 뒷다리를 나타낸다. FITC 함유 나노입자는, 근육 세포 및 장 세포에 의해 흡수되어 7일 후에도 잔존하고 있었다.
도 2는 뒷다리 허혈 유도 후, 허혈성 뒷다리 근육에 아토르바스타틴, 또는 동등량의 아토르바스타틴-함유 나노입자를 근육내 투여한 후, 14일째의 레이저 도플러 (Laser Doppler)를 사용한 사지 (limb) 혈류측정 (화살촉은 허혈측을 의미함)을 나타낸다. 아토르바스타틴-함유 나노입자에 의해, 허혈측에서 혈류가 개선되었다.
도 3은 0일째 (수술 직후), 3일째, 7일째 및 14일째에 뒷다리의 혈류를 레이저 도플러로 측정한, 허혈측의 정상 측에 대한 혈류비를 나타낸다. 아토르바스타틴-함유 나노입자는 7일 후에 혈류의 현저한 개선을 초래하였다. 아토르바스타틴만 처리한 군과 PLGA만 처리한 군은 비처리 군과 동등하였다. 비처리 군에 대하여, *: p < 0.05 및 **: p < 0.01, n = 8 ~ 12 이다. ◆: 비처리, ■: PLGA, ▲: 아토르바스타틴, ×: PLGA-Ato, *: PEG/CS-Ato.
도 4는 뒷다리허혈 후 14일째의 뒷다리 근육의 조직학적 외견을 나타낸다. 아토르바스타틴-함유 나노입자군에서는, 괴사 영역이 더욱 작음을 HE 염색에 의해 나타낸다 (화살표로 둘러싸인 영역).
도 5는 뒷다리허혈 후 14일째의 뒷다리 근육의 조직학적 외견을 나타낸다. 아토르바스타틴-함유 나노입자군에서, 내피의 마커인 CD31에 대해 면역 염색을 함으로써, CD31 양성 세포의 현저한 증가를 관찰하였고, 이는 혈관신생의 증가를 제시한다. 아토르바스타틴만 처리한 군 및 PLGA만 처리한 군은 비처리군과 동등하였다.
도 6은 뒷다리허혈 후 14일째의 뒷다리 근육의 조직학적 평가를 나타낸다. 아토르바스타틴-함유 나노입자군에서, 내피의 마커인 CD31에 대해 면역 염색을 함으로써, CD31 양성 세포의 유의한 증가를 관찰하였고, 이는 혈관 신생의 증가를 제시한다. 아트로바스타틴만 처리한 군 및 PLGA만 처리한 군은, 비처리군과 동등하였다.
도 7은 뒷다리허혈 후 14일째의 뒷다리 근육의 조직학적 외견을 나타낸다. 아토르바스타틴-함유 나노입자군에서, 직경 20μm 초과의 혈관 구조의 현저한 증가가 관찰되었고, 이는 기능적 혈관 신생의 증가를 제시한다. 아토르바스타틴만 처리한 군 및 PLGA만 처리한 군은 비처리군과 동등하였다.
도 8은 뒷다리허혈 후 14일째의 뒷다리 근육의 조직학적 평가를 나타낸다. 아토르바스타틴-함유 나노입자군에서, 직경 20μm 초과의 혈관 구조의 현저한 증가가 관찰되었고, 이는 기능적 혈관 신생의 증가를 제시한다. 아토르바스타틴만 처리한 군 및 PLGA만 처리한 군은 비처리군과 동등하였다.
도 9는 뒷다리허혈 유도 후 허혈성 뒷다리 근육에 피타바스타틴, 또는 동등량의 피타바스타틴-함유 나노입자를 근육내 투여한 후, 14일째의 레이저 도플러에서의 사지 혈류측정을 나타낸다. 피타바스타틴-함유 나노입자에 의해, 허혈측에서 혈류가 개선되었다.
도 10은 0일째 (수술 직후), 3일째, 7일째, 14일째에 뒷다리의 혈류를 레이저 도플러로 측정한 허혈측의 정상 측에 대한 혈류비를 나타낸다. 피타바스타틴-함유 나노입자는, 7일 후 혈류의 현저한 개선을 초래하였다. 피타바스타틴만 처리한 군 및 PLGA만 처리한 군은 비처리군과 동일하였다. 비처리군에 대해, *: p < 0.05 및 **: p < 0.01, n = 8 ~ 12 이다. ◆: 비처리, ■: PLGA, ▲: 피타바스타틴, ×: PLGA-Pit, *: PEG/CS-Pit.
도 11은 뒷다리허혈 후 14일째의 뒷다리 근육의 조직학적 외견을 나타낸다. 피타바스타틴-함유 나노입자군에서, 내피의 마커인 CD31에 대해 면역 염색을 함으로써, CD31 양성 세포의 현저한 증가를 관찰하였고, 이는 혈관 신생의 증가를 제시한다. 피타바스타틴만 처리한 군 및 PLGA만 처리한 군은 비처리군과 동일하였다.
도 12는 뒷다리허혈 후 14일째의 뒷다리 근육의 조직학적 평가를 나타낸다. 피타바스타틴-함유 나노입자군에서, 내피의 마커인 CD31에 대해 면역 염색을 함 으로써, CD31 양성 세포의 현저한 증가를 관찰하였고, 이는 혈관 신생의 증가를 제시한다. 피타바스타틴만 처리한 군 및 PLGA만 처리한 군은 비처리군과 동일하였다.
도 13은 뒷다리허혈 후 14일째의 뒷다리 근육의 조직학적 외견을 나타낸다. 피타바스타틴-함유 나노입자군에서, α-SMA (α-평활근 액틴) 양성 혈관 구조의 현저한 증가를 관찰하였고, 이는 기능성 혈관 신생의 증가를 제시한다. 피타바스타틴만 처리한 군 및 PLGA만 처리한 군은 비처리군과 동일하였다.
도 14는 뒷다리허혈 후 14일째의 뒷다리 근육의 조직학적 평가를 나타낸다. 피타바스타틴-함유 나노입자군에서, α-SMA (α-평활근 액틴) 양성 혈관 구조의 현저한 증가를 관찰하였고, 이는 기능성 혈관 신생의 증가를 제시한다. 피타바스타틴만 처리한 군 및 PLGA만 처리한 군은 비처리군과 동일하였다.
도 15는 뒷다리허혈 후, 3일째, 7일째 및 14일째에 나노입자만, 피타바스타틴 (0.4, 4, 20 mg/kg)만 또는 PLGA-피타바스타틴을 근육내 주사한 뒷다리에서의, 허혈 부분의 정상 부분에 대한 비를 나타낸다. 고투여량의 피타바스타틴은 혈관 신생을 초래하지 않지만, 피타바스타틴-함유 나노입자는 혈관 신생을 초래할 수 있다. ●: PLGA-Pit, ▲: 피타바스타틴 0.4 mg/kg, ■: 피타바스타틴 4 mg/kg, ×: 피타바스타틴 20 mg/kg.
도 16은 허혈 제조 후 35일째의 혈관조영정지화면상을 사용한, 혈관수의 평가를 나타낸다.
도 17은 허혈 제조 후 35일째의 PLGA-Pit 군 일본 토끼의 근육운동 전후에서 의 동정맥혈 중 산소 분압비를 나타낸다. 운동중에, 동정맥혈 중 산소 분압비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
도 18은 허혈 제조 후 35일째의 PLGA-FITC 군 일본 토끼의 근육운동 전후에서의 동정맥혈 중 산소 분압비를 나타낸다. 운동중에, 동정맥혈 중 산소 분압비의 증가가 나타났다.
도 19는 허혈 제조 후 35일째의 Pit 군 일본 토끼의 근육운동 전후에서의 동정맥혈 중 산소 분압비를 나타낸다. 운동중에, 동정맥혈 중 산소 분압비의 증가가 나타났다.
도 20은 허혈 제조 후 35일째의 비처리 (PBS 투여) 군 일본 토끼의 근육운동 전후에서의 동정맥혈 중 산소 분압비를 나타낸다. 운동중에, 동정맥혈 중 산소 분압비의 증가가 나타났다.
도 21은 비허혈마우스 (대조군), 및 허혈 제조 후 14일째의 비처리군과 피타바스타틴-함유 나노입자 투여 군에서, 말초혈액의 백혈구 중 혈관 내피 전구 세포 (EPC)의 비율 (%)을 나타낸다. 피타바스타틴-함유 나노입자 투여에 의한 혈관 신생 작용은, 골수를 포함한 전신에서 관찰된 것이라기 보다, 국소 전달로 인해 허혈 지역에서 우세한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한 구현예를 위한 상세한 설명
하나의 국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스타틴을 생체적합성 나노입자에 캡슐화하여 이루어지는 스타틴-함유 나노입자를 포함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스타틴은 HMG-CoA (3-히드록시-3-메틸글루타릴-코엔자임 A) 환원 효소 저해 제로서 알려진 임의의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5,622,985호; 미국 특허 제 5,135,935호; 미국 특허 제 5,356,896호; 미국 특허 제 4,920,109; 미국 특허 제 5,286,895호; 미국 특허 제 5,262,435호; 미국 특허 제 5,260,332호; 미국 특허 제 5,317,031호; 미국 특허 제 5,283,256호; 미국 특허 제 5,256,689호; 미국 특허 제 5,182,298호; 미국 특허 제 5,369,125호; 미국 특허 제 5,302,604호; 미국 특허 제 5,166,171호; 미국 특허 제 5,202,327호; 미국 특허 제 5,276,021호; 미국 특허 제 5,196,440호; 미국 특허 제 5,091,386호; 미국 특허 제 5,091,378호; 미국 특허 제 4,904,646호; 미국 특허 제 5,385,932호; 미국 특허 제 5,250,435호; 미국 특허 제 5,132,312호; 미국 특허 제 5,130,306호; 미국 특허 제 5,116,870호; 미국 특허 제 5,112,857호; 미국 특허 제 5,102,911호; 미국 특허 제 5,098,931호; 미국 특허 제 5,O81,136호; 미국 특허 제 5,025,000호; 미국 특허 제 5,021,453호; 미국 특허 제 5,017,716호; 미국 특허 제 5,001,144호; 미국 특허 제 5,001,128호; 미국 특허 제 4,997,837호; 미국 특허 제 4,996,234호; 미국 특허 제 4,994,494호; 미국 특허 제 4,992,429호; 미국 특허 제 4,970,231호: 미국 특허 제 4,968,693호; 미국 특허 제 4,963,538호; 미국 특허 제 4,957,940호; 미국 특허 제 4,950,675호; 미국 특허 제 4,946,864호; 미국 특허 제 4,946,860호; 미국 특허 제 4,940,800호; 미국 특허 제 4,940,727호; 미국 특허 제 4,939,143호; 미국 특허 제 4,929,620호; 미국 특허 제 4,923,861호; 미국 특허 제 4,906,657호; 미국 특허 제 4,906,624호; 및 미국 특허 제 4,897,402호에 기재된 것을 포함한다. 프라바스타틴 (미국 특허 제 4,346,227호), 심바스타틴 (미국 특허 제 4,444,784호), 플루바스타틴 (미국 특 허 제 4,739,073호), 아토르바스타틴 (미국 특허 제 5,273,995호), 피타바스타틴, 로바스타틴 (미국 특허 제 4,231,938호) 및 리피톨 (TM), 특히 피타바스타틴 및 아토르바스타틴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특허 문헌은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에는, 하나 이상의 스타틴(들)을 채워 넣을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나노입자에는 하나 이상의 스타틴(들)과 기타 약제를 채워 넣을 수 있다. 상기 기타 약제는 신혈관형성제, 항생 물질, 항염증제, 비타민, 또는 스타틴과 공동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약제 이외의 약제이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는, 생체적합성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생체적합성 중합체로부터 제조된다. "생체적합성 폴리에스테르"라는 용어는, D,L-락티드, D-락티드, L-락티드, D,L-락트산, D-락트산, L-락트산, 글리콜리드, 글리콜산, ε-카프로락톤, ε-히드록시 헥산산, γ-부티로락톤, γ-히드록시부틸산, δ-발레로락톤, δ-히드록시 발레르산, 히드록시부틸산, 말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를 중합함으로써 제조되는 임의의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생체적합성 중합체는, 폴리 락트산, 폴리 글리콜산,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 또는 락트산-아스파라긴산 공중합체, 특히 PLGA 또는 PEG/CS-PLGA (폴리에틸렌 글리콜/PLGA의 키토산 유도체)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PLGA"라는 용어는 임의의 비율의, 예를 들어 1:99 ~ 99:1, 바람직하게는 3:1의 락트산 또는 락티드 및 글리콜산 또는 글리콜리드의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이들은 또한 폴리락티드-글리콜리드 공중합체로 알려져 있 다. PLGA는 임의의 단량체로부터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적으로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시판가능하다. 시판되는 PLGA는, 예를 들어 PLGA 7520 (락트산:글리콜산 = 75:25, 평균 분자량: 20,000, Wako Junyaku, Japan)을 포함한다. 락트산 및 글리콜산을 25 중량% ~ 65 중량%로 함유하는 PLGA가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PLGA가 비결정질이고, 아세톤과 같은 유기 용매에 가용성이기 때문이다.
중합체 매트는 다양한 평균 사슬 길이를 갖고, 이로 인해 여러가지 고유 점성 및 중합체 특성이 야기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중합체는 투여 후 분해되고 대사되도록 생체적합성 및 생분해성이고, 유기체에 대한 자극이나 독성이 거의 없다. 바람직하게는, 생체적합성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나노입자는 장기간 동안 스타틴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중합체 중에서, 분자량이 예를 들어 5,000 ~ 200,000, 바람직하게는 15,000 ~ 25,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생체적합성 중합체의 표면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로 개질될 수 있고, 그 결과 수용성의 스타틴과 중합체의 친화성이 증가되어, 캡슐화가 더욱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스타틴-함유 나노입자는, 광산란법으로 측정했을 때 1,000 nm 미만, 바람직하게는 2.5 ~ 1,000 n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 ~ 500 n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5 ~ 300 nm,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0 ~ 200 nm 의 개수 평균 입자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타틴-함유 나노입자는 임의의 방법, 바람직하게는 구형정석법 (spherical crystallization method)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구형정석법에서, 구형 결정입자는, 결정이 특성의 직접 제어 하에 가공처리되도록, 화 합물 합성 경로의 최종 단계에서 결정입자의 생성 및 성장을 제어함으로써 설계될 수 있다. 구형정석법 중 하나는, 에멀젼 용매 확산법 (ESD법)이다.
간단하게, ESD법에는, 2가지 종류의 용매, 즉 (1) 약물 성분을 캡슐화하는 기본 중합체로서 생체적합성 중합체를 용해할 수 있는 양용매 (good solvent) 및 (2) 생체적합성 중합체를 용해하지 않는 빈용매 (poor solvent)가 사용된다. 양용매는, 생체적합성 중합체를 용해할 수 있고, 빈용매와 혼합할 수 있는 유기 용매이다. 양용매 및 빈용매는 스타틴 등의 종류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용매로서,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들은 인체에 더욱 안전하고 더 적은 환경 부하를 야기하는데, 그 이유는 본 발명의 나노입자가 약학적 제형물의 재료로서 사용될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 빈용매는 물, 또는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물, 예컨대 계면활성제로서 폴리비닐 알코올을 함유한 폴리비닐 알코올 수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코올 이외의 계면활성제는, 레시틴, 히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과량의 폴리비닐 알코올이 잔존 하고 있는 경우에는, 용매가 증류에 의해 제거된 후에, 원심분리 또는 기타 수단에 의해 잔여 폴리비닐 알코올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양용매는, 할로겐화 알칸,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시클로헥산, 벤젠, 톨루엔 등과 같은 저비점을 가지는 난수용성의 유기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톤 또는 에탄올과 아세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환경 및 인체에 대한 역효과가 적을 수 있기 때문 이다.
초기에, 양용매 중에 생체적합성 중합체를 용해한 후, 이 생체적합성 중합체가 침전되지 않는 방식으로 약물 성분을 용액에 첨가한다. 양용매 중 상기 중합체와 약물의 혼합물을 교반되는 빈용매 중에 적가하여, 양용매가 빈용매 내에 급속히 분산된다. 그 결과, 양용매상이 빈용매 중에서 유화되어, 서브미크론 크기의 액체 입자가 형성된다. 에멀젼 입자 중 유기 용매는 연속적으로 빈용매 내에 분산된다. 양용매와 빈용매의 상호 분산에 의해, 생체적합성 중합체 및 약물 성분의 용해성이 상실되어, 최종적으로, 약물 성분을 캡슐화하는 구형 결정 중합체 나노입자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약물 함유 나노입자는 약물 성분을 0.1 ~ 99% (w/v), 바람직하게는 0.1 ~ 30 % (w/v),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0 % (w/v)의 비율로 함유할 수 있다. 약물 성분은 하나 이상의 스타틴 및 임의로 기타 약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형정석법을 이용하여, 물리화학적인 수단으로 나노입자를 제조할 수 있고, 대략 구형의 입자가 좁은 분포의 입자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잔여 촉매나 출발 물질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그 후, 유기 양용매는 원심분리 또는 감압하 증발 작용에 의해 제거되어, 분말 형태의 약물-함유 나노입자를 수득할 수 있다. 그렇게 해서 수득한 분말은 그대로, 또는 필요에 따라 동결건조 또는 기타 수단에 의해 재분산가능한 응집 분말로 전환된 후에(복합화 단계), 복합 분말을 제공하고, 용기내에 충전되어 스타틴-함유 나노입자가 수득된다.
나노입자 내 스타틴의 함유비율을 높이기 위해, 빈용매에 양이온성 중합체를 첨가할 수 있다. 빈용매에 첨가된 양이온성 중합체는 나노입자 표면에 흡착될 수 있고, 이 입자의 표면에 존재하는 스타틴과 상호작용을 하여, 스타틴이 빈용매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양이온성 고분자는, 키토산 및 키토산 유도체, 다수의 양이온성 기를 운반하는 셀룰로오스인 양이온화된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이민, 폴리비닐아민 또는 폴리알릴아민과 같은 폴리아미노 화합물, 폴리오르니틴 또는 폴리 리신과 같은 폴리 아미노산, 폴리비닐 이미다졸, 폴리비닐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알킬아미노 메타크릴레이트 4차 염공중합체 (DAM), 알킬아미노 메타크릴레이트 4차 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DAA) 등, 바람직하게는 키토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키토산은 천연 중합체이고, 아미노당의 한 종류인 글루코사민으로 이루어진 대 분자 (large molecule)이다. 다른 것들 중에서, 에멀젼 안정성, 보형성, 생분해성, 생체적합성, 항균성 등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화장품, 식품, 의류품, 약제와 같은 광범위한 제품에서 첨가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역효과가 거의 없고 안전성이 향상된 스타틴-함유 나노입자는 상기 키토산을 빈용매에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양용매중에서의 핵산 화합물의 친화성 및 분산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양용매에 DOTAP와 같은 양이온성 지방질을 첨가하여, 핵산 화합물과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세포내에 방출되는 경우 세포 병증 (cytopathy)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양이온성 지방질의 사용량은 주의 깊게 결정되어야만 한다.
이렇게 수득된 나노입자는 동결건조등에 의해 분말화하여 재분산가능한 응집 분말 (나노합성물, nanocomposite)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나노입자는 유기 또는 무기 성분과 재분산가능하게 복합되고, 건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 알코올 또는 자당을 이용함으로써, 함유비율의 변동은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충전물로서 기능하는 당 알코올로 인해 취급의 용이성이 향상될 것이다. 당 알코올은 만니톨, 트레할로스,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말티톨, 자일리톨 등, 바람직하게는 트레할로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전환에 의해, 나노입자는 취급이 용이한 응집물로 전환되고, 사용전에 물과 접촉시킴으로써 높은 반응성 나노입자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동결건조법 대신에, 나노입자를 유동층 건조 조립법 (예를 들어, Hosokawamicron, Japan 제, Aggromaster AGM을 이용)에 의해 복합체로 전환시켜 재분산가능한 응집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타틴-함유 나노입자는 HMG-CoA 환원 효소와 관련된 상태, 예를 들어 병에 걸린 조직의 불충분한 혈관화 (또는 그 소질)를 특징으로 할 수 있는 상태, 즉 병에 걸린 조직에서 충분한 혈관화를 달성하기 위해 신혈관형성이 필요한 상태, 그리고 하기 군의 상태 또는 질환으로 선택되는 상태의 치료 또는 예방에 이용될 수 있다: 1) 당뇨병성궤양, (2) 괴저, (3) 치유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신혈관 형성이 필요한 외과적 또는 다른 창상, (4) 버거 증후군 (Buerger's syndrome), (5) 고혈압 (폐고혈압증을 포함함), (6) 뇌혈관허혈, 신허혈, 폐허혈, 사지허혈, 허혈성 심근증, 심근 허혈, 근육, 뇌, 신장 및 폐와 같은 조직의 허혈; 고혈압; 궤양 (예를 들어 당뇨병성궤양), 미세혈관구조 (microvasculature)의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외과적 창상 및 다른 상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허혈 질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될 수 있는 상태는 치료적 혈관신생이 제시되는 상태, 특히 허혈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치료"는, 상태의 치료 및 예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스타틴-함유 나노입자는 내피세포, 백혈구, 심근 세포 및 섬유아세포에 흡수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스타틴-함유 나노입자는 특정한 난치성 질환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더욱 넓은 국면에서, 스타틴-함유 나노입자는 또한 중증의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폐고혈압증, 동맥경화증, 대동맥류, 퇴행성 신경 질환, 알츠하이머 병, 뇌혈관성 치매, 장기 섬유화, 악성종양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국면에서, 본 발명은 스타틴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질환 및/또는 상태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본 발명의 스타틴-함유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발견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스타틴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질환 및/또는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방법은 본 발명의 스타틴-함유 나노입자의 치료적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온혈동물 (사람 포함)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국소적, 경장적 (enterally), 예를 들어 경구적 또는 직장적, 또는 비경구적 투여에, 특히 근육내, 정맥내 또는 동맥내 주사에 적합하고, 여기서 상기 조성물은 무기 또는 유기, 고체 또는 액체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경구용 약학적 조성물은 스타틴-함유 나노입자 외에, 부형제, 예컨대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셀룰로오스 및/또는 글리세롤, 및/또는 윤활제, 예컨대 실리케이트, 탤크, 스테아르산 또는 스테아르산 마그네슘이나 스테아르산 칼슘과 같은 그의 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안정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정제 또는 젤라틴 캡슐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정제는 결합제 및, 임의로 붕괴제, 흡착제, 착색제, 향미료 및 감미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는 또한 비경구적 약학적 조성물 또는 주사액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액은 활성 성분 부형제, 예컨대 안정화제, 보존제, 습윤제 및/또는 유화제 이외에, 삼투압을 조절하는 염 및/또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은 0.1중량% ~ 99중량%, 특히 약 1중량% ~ 약 50중량%, 바람직하게는 1 ~ 20중량%의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의 투여량 범위는 온혈동물의 종, 체중 및 연령, 투여 형태, 사용되는 활성 성분 및 치료되는 질환의 상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요소에 의존한다. 별도로 제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나노입자는 매일 1 ~ 4회 투여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매일, 격일, 1 주에 1회, 격주마다, 1개월에 1회 등과 같은 여러가지 빈도로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빈도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요소에 의존하고, 의사 등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타틴은 그의 유효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유효량이란, 의학적으로 원하는 결과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스타틴의 투여량이다. 일반적으로, 치료적 유효량은 치료되는 특정한 상태의 발병의 지연, 진행의 저해, 또는 함께 중지하는데 필요한 양을 의미한다. 치료적 유효량은 전형적으로는, 0.01 mg/kg ~ 약 1000 mg/kg, 바람직하게는 약 0.1 mg/kg ~ 약 200 mg/kg,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2 mg/kg ~ 약 20 mg/kg 의 범위로 다양하고, 1일 이상의 날 동안 매일 1회 이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스타틴-함유(loading) 나노입자의 제조
i) 아토르바스타틴-함유 나노입자
PLGA (Wako Junyaku, Japan 제 PLGA 7520, 락트산: 글리콜산 = 75:25, 평균 분자량 20,000) 1.2 g과 아토르바스타틴 120 mg을 아세톤 (40 mL)과 에탄올 (20 mL)의 혼합 용액에 용해하여 중합체 용액을 형성하였다. 이 용액을 40℃에서, 교반 (400 rpm) 중의 0.5 중량%의 PVA 용액 (120 mL)에 일정 속도 (4 mL/분)로 적가하여, 아토르바스타틴-함유 PLGA 나노입자 현탁액을 제공하였다. 후속하여, 100 rpm으로 교반하면서 40℃에서 감압하에 유기 용매 (아세톤 및 에탄올)를 제거하였다. 2시간에 걸쳐 용매를 제거한 후, 현탁액을 여과기 (체눈 크기 32μm) 로 여과한 후, 여과액을 밤새 동결건조하여, 아토르바스타틴-함유 PLGA 나노입자를 수득하였다. 아토르바스타틴의 함유량은 나노입자 중 6.3%(w/v)이었다. 아토르바스타틴 대신에 FITC를 사용하여, 형광 이소티오시아네이트 (FITC) 함유 PLGA가 함유된 나노입자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형광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유량은 나노입자 중 5%(w/v)이었다.
ii) 아토르바스타틴-함유 PEG/CS-PLGA
peg-PLGA (Absorbable Polymers International 제, 락트산/글리콜산= 75:25, 평균 분자량 22,900, peg 부분 분자량 6,000) 1.2 g과 아토르바스타틴 120 mg을 아세톤 (40 mL) 및 에탄올 (20 mL)의 혼합 용액에 용해하여 중합체 용액을 형성하였다. 이 용액을 교반 (400 rpm) 중의 0.04 중량%의 키토산 (Katakura Chikkarin 제 Moiscoat PX, N-[2-히드록시-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키토산 클로라이드) 용액 (120 mL)에 40℃에서 일정 속도 (4 mL/분)로 적가하여, 아토르바스타틴-함유 peg-PLGA 나노입자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후속적으로, 유기 용매 (아세톤 및 에탄올)를 100 rpm으로 교반하면서 40℃에서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2시간에 걸쳐 용매를 제거한 후, 현탁액을 여과기 (체눈 크기 32μm)로 여과하여 아토르바스타틴-함유 PEG/CS-PLGA 나노입자를 수득하였다. 아토르바스타틴의 함유량은 나노입자 중 8.8% (w/v)이었다. 아토르바스타틴 대신에 FITC를 이용하여 형광 이소티오시아네이트 (FITC) 함유 PEG/CS-PLGA가 함유된 나노입자를 유사하게 제조했다. 형광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유량은 나노입자 중 2.4% (w/v)이었다.
iii)
아토르바스타틴 대신에, 피타바스타틴을 이용하여 피타바스타틴-함유 PLGA 나노입자 및 PEG/CS-PLGA 나노입자를 각각 제조하였다. 피타바스타틴의 함유량은 나노입자 중 5 5% (w/v)이었고, PEG/CS-PLGA 나노입자 중 2.3% (w/v)이었다.
동물 및 실험 프로토콜
연구 프로토콜은 큐슈 대학 의학부 (Kyushu University Faculty of Medicine)의 동물 실험 윤리 위원회에 의해 검증되고 승인되었고, 실험은 미국 생리학회 (American Physiological Society)의 가이드 라인에 따라 실시하였다.
i) 아토르바스타틴-함유 나노입자의 평가
큐슈 대학 동물 실험 연구실에서 수컷 C57BL/6J 야생형 마우스를 사육하고 부양하였다. 케타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자일라딘 히드로클로라이드의 복강내 주사에 의한 마취 후, 동물의 왼쪽 대퇴 동맥에 외과적 결찰술 및 절제를 수행하여 한쪽에만 뒷다리허혈을 제조했다. 허혈-유도성 혈관 신생에 있어서 스타틴의 역할을 조사하기 위해, 한 무리의 Ato-마우스(Ato 군)에 아토르바스타틴 [0.01 mg/100㎕ (0.5 mg/kg)]을 근육내 주사하였다. 한 무리의 PLGA-Ato-마우스 (PLGA-Ato 군) 및 한 무리의 PEG/CS-PLGA-Ato-마우스 (PEG/CS-Ato 군)에, 각각 아토르바스타틴-함유 PLGA 나노입자 및 아토르바스타틴-함유 PEG/CS-PLGA 나노입자 (0.16 mg/100μl 및 0.12 mg/100μl, 각각은 0.01 mg의 아토르바스타틴을 포함함)를 근육내 주사했다. 대조군으로서, 한 무리의 PLGA-FITC-마우스 (FITC 군)에게 FITC-함유 PLGA 나노입자 (0.16 mg/100μl)를 근육내 주사하고, 한 무리의 PEG/CS-PLGA-FITC-마우스 (PEG/CS-FITC 군)에게 FITC-함유 PEG/CS-PLGA 나노입자 (0.16 mg/100μ1)를 근육내 주사하고, 다른 한 무리의 마우스 (NT 군)에는 처리를 실시하지 않았다. 뒷다리허혈 유도 직후, 마우스의 왼쪽 대퇴 동맥 및 경골근육에 아토르바스타틴 또는 나노입자를 27-게이지 바늘로 주사하였다.
(i) 조직학적 외견
투여 후의 나노입자의 동태를 조사하기 위해, FITC 군 및 PEG/CS-FITC 군 마우스의 근조직을 허혈 유도 후 7일째에 수득하여, 광학 현미경 및 형광 현미경으로 각각 관찰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냈다. 2개의 군 모두에서 형광이 관찰되었고, 이에 따라 나노입자는 허혈 유도 후 7일째에 근조직내에 잔존하고 있다.
(ii) 레이저 도플러 국소관류 (perfusion) 화상
레이저 도플러 국소관류 화상 (LDPI) 분석기 (Moor Instruments)로 사지혈류측정을, 0일째 (수술의 직후), 3일째, 7일째와 14일째에 수행하였다. 14일째의 결과를 도 2 에 나타냈다. LDPI 지수를, 허혈의 정상 사지에 대한 비율로서 표현하였다 (도 3에 표현됨). Ato 군, PLGA 군 및 NT 군에서는 혈류의 개선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PLGA-Ato 군 및 PEG/CS-Ato 군에서는 허혈 영역에서 혈류 개선이 나타났다.
(iii) 허혈 후 14일째의 조직학적 평가
HE 염색에 의해 근조직의 괴사 영역을 관찰하고 각 군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냈다. NT 군 또는 Ato 군과 비교하여, PLGA-Ato 군 및 PEG/CS-Ato 군에서 괴사 영역이 더 작게 나타났다.
항-마우스 혈소판 내피 세포 접착 분자 (PECAM)-1 항체 (Santa Cruz)를 사용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에 의해 모세관 밀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5 및 6 에 나타냈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동맥 밀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6 에 나타냈다. NT 군 또는 Ato 군과 비교하여, PLGA-Ato 군 및 PEG/CS-Ato 군에서 내피 세포의 증가가 나타났다.
직경 20μm 초과의 혈관 구조를 측정했다. 그 결과를 도 7 및 8 에 나타냈다. NT 군 또는 Ato 군과 비교하여, PLGA-Ato 군 및 PEG/CS-Ato 군에서 혈관 구조의 증가가 나타났다.
(iv) 혈청학적 평가
뒷다리허혈 후 14일째의 혈청학적 평가를 하기 표에 나타냈다. 혈청 중의 전체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미오글로빈, CK, BUN 및 Cre 수치는 각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아토르바스타틴 군 또는 아토르바스타틴-함유 나노입자가 근육내 주사된 마우스 군 중 어느 것도 횡문근 융해증의 징후를 나타내지 않았다.
Figure 112009012072050-PCT00001
ii) 피타바스타틴-함유 나노입자의 평가
아토르바스타틴-함유 나노입자의 방법에 따라, 마우스를 마취하고 허혈을 유도한 후, 한 무리의 Pit-마우스 (Pit 군)에 피타바스타틴[0.01 mg/100μl (0.5 mg/kg)]을 근육내 주사하였다. 한 무리의 PLGA-Pit-마우스 (PLGA-Pit 군)와 한 무리의 PEG/CS-PLGA-Pit-마우스 (PEG/CS-Pit 군)에게, 각각 피타바스타틴-함유 PLGA 나노입자 (0.18 mg/100μl)와 피타바스타틴-함유 PEG/CS-PLGA 나노입자 (0.44 mg/100μl, 각각은 0.01 mg의 피타바스타틴을 포함함)를 근육내 주사하였다. 대조군으로서, 한 무리의 PLGA-마우스 (PLGA 군)에게 PLGA 나노입자 (0.18 mg/100μl)를 근육내 주사하고, 다른 한 무리의 마우스 (NT 그룹)에는 처리를 실시하지 않았다.
(i) 레이저 도플러 국소관류 화상
0일째(수술 직후), 3일째, 7일째와 14일째에, 레이저 도플러 국소관류 화상 (LDPI) 분석기 (Moor Instruments)로 사지혈류의 측정을 수행하였다. 14일째의 결과를 도 9에 나타냈다. LDPI 지수를, 허혈의 정상 사지에 대한 비율로서 표현했다 (도 10 에 제시됨). Pit 군, PLGA 군 및 NT 군에서는 혈류의 개선을 볼 수 없었지만, PLGA-Pit 군과 PEG/CS-Pit 군에서는 허혈 영역의 혈류 개선이 나타났다.
(iii) 허혈 후 14일째의 조직학적 평가
항-마우스 혈소판 내피 세포 접착 분자 (PECAM)-1 항체 (Santa Cruz)를 사용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에 의해 모세관 밀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1 및 12에 나타냈다. NT 군 또는 Pit 군과 비교하여, PLGA-Pit 군에서 내피 세포 (CD31 양성 세포)의 증가가 나타났다.
α-SMA를 사용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에 의해 동맥형성 (Arteriogenesis)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3 및 14에 나타냈다. NT 군 또는 Pit 군과 비교하여, PLGA-Pit 군에서 혈관 구조의 증가가 나타났다.
나노입자만, 피타바스타틴 (0.4, 4 및 20 mg/kg)만 또는 PLGA-피타바스타틴을 한번에 근육내 주입한 허혈 마우스에 대해 허헐 조직의 회복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5에 나타냈다. 피타바스타틴의 투여량을 증가해도 혈관 신생은 나타나지 않은 반면, PLGA-Pit 군에서는 현저한 회복이 나타났다.
(iv) 허혈 후 35일째의 조직학적 평가
일본 토끼 (2.7 ~ 3.2 kg)의 한쪽만의 대퇴 동맥에 외과적 결찰술 및 절제를 수행함으로써 뒷다리허혈을 제조하였다. 7일 후에 마우스를 PLGA-피타바스타틴 군, PLGA-FITC 군, 피타바스타틴 군 및 PBS 군의 4개의 군으로 무작위 분류하여, 허혈근육내에 치료 성분을 5 ml (피타바스타틴-함유 나노입자 농도 6 mg/ml, 피타바스타틴 0.33 mg/ml에 상응함)로 주사했다. 근육내주사 후 28일째 (허혈제조 후 35일째)에 동물에 혈관조영을 실시하였다. 오른쪽 내부 경동맥으로부터 마우스에 카테터 (5 Fr)를 삽입하고, 형광투시 제어 하에 왼쪽 내부 장골 동맥에 카테터를 유치했다. Millisrol 0.25 mg을 카테터를 통해 동맥내 주입한 후, 조영제를 1 ml/초의 속도로 5초 동안 주입해 혈관조영을 실시했다. 조영제 주입 후 3초째의 정지영상을 사용해, 혈관수의 평가를 실시했다. 대퇴골 하부 끝 (상부 끝), 사두근 하부 끝 (하부 끝), 내장골동맥 (줄기는 계측하지 않음, 내부 끝) 및 손상된 혈관 말초부 (바깥 끝)로 둘러싸인 범위내에서 5 mm의 격자를 제조하였다. 혈관이 발견된 격자의 수를 격자의 총 수로 나누어서 혈관조영 스코어 (angiographic score)를 계산하였다.
결과: 혈관조영 스코어: PLGA-Pit 군; 0.74±0.04 (평균 ± SE), Pit 군; 0. 51 ± 0.04, PLGA-FITC 군; 0.59 ± 0.03, PBS 군; 0.58 ± 0.02 (도 16). 다른 3개의 군과 비교하여, PLGA-Pit군에서 현저한 혈관의 증가가 나타났다. 혈관조영에 의해 제시된 혈관의 증가는, 스타틴-함유 나노입자 치료가 허혈조직내의 혈관 신생을 효율적으로 야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근육운동 시의 허혈성 뒷다리의 혈액 부족에 대한 나노스타틴의 영향을 조사 하였다. 허혈 유도 후 35일째에, 충분한 마취하에 허혈성 뒷다리 근육에 전기 자극시켜 근육 운동을 실시하였다. 30분 동안 운동을 실시하고, 허혈성 뒷다리로부터 정맥혈을 0분, 15분 및 30 분째에 수합하고, 동맥혈을 0분째에 수집하였다. 각 시점에서의 동정맥혈 중 산소 분압비를 측정하였다. 0 분째에 헤모글로빈 농도를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은 Bonferroni's Multiple Comparison Test 로부터의 Repeated Measures ANOVA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헤모글로빈 농도에 대해서는 일원 분산분석법 (One-way analysis of variance)을 사용했다.
결과: 나노스타틴 군 이외의 군에서, 운동 중에 동정맥혈 중 산소 분압비의 증가가 발견되었다 (도 17 ~ 20). 헤모글로빈 농도에 대해서는 각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Fick의 원리에 의하면, 혈액박출량은 하기 식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산소 소비량/(Hb×1.36×10×동정맥혈 중 산소 분압비). 이 원리를 본 뒷다리허혈의 운동 모델에 적용하여, 뒷다리 근육에서의 산소 소비량을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Hb 수치에 차이가 없는 관점에서 본다면, 뒷다리 운동시에 뒷다리에 공급된 혈액은 동정맥혈 중 산소 분압비에 반비례하게 된다. 나노스타틴 군 이외의 군에서는, 운동시에 동정맥혈 중 산소 분압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이는 불충분한 혈액 공급을 제시하지만, 나노스타틴 투여가 이를 예방할 수 있다.
(v) 나노입자에 의한 국소적 전달
비허혈 마우스 (대조군) 및 허혈 후 14일째의 비처리군과 피타바스타틴-함유 나노입자 투여 군의 마우스로부터 말초혈액을 수합했다. 말초혈액 0.5 ml를 용혈한 후, 얻어진 백혈구를 FITC 표시된 항-Sca-1 항체 (1μg)와 PE 표시된 항-Flk- 1 항체 (1μg)와 함께 30분 동안, 4℃에서 인큐베이션하여, 유세포 분석을 실시했다. Sca-1 및 Flk-1 모두에 대해 양성인 세포를 혈관 내피 전구 세포 (EPC)로서 간주하여, 말초혈액 중 백혈구의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결과: 비처리군 (1.19 ± 0.05%) 및 스타틴-함유 나노입자군 (1.21 ± 0.03%)에서, 말초혈액 중 EPC는 비허혈마우스 (0.51 ± 0.09%)와 비교하여, 현저히 증가했다. 그러나, 비처리군과 스타틴-함유 나노입자군 사이에서는 거의 유사했다 (도 21). 골수로부터 말초혈액으로 모아진 EPC는 뒷다리허혈에 의해 증가되었지만, 스타틴-함유 나노입자에 의한 추가의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피타바스타틴-함유 나노입자의 투여로 인한 혈관 신생 작용은, 골수를 포함한 전신에서 관찰되는 것이라기보다, 국소 전달로 인해 허혈 영역에서 우세한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4)

  1. 스타틴을 생체적합성 나노입자에 캡슐화한 스타틴-함유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타틴이 프라바스타틴, 심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아토르바스타틴, 피타바스타틴, 로바스타틴 및 리피톨 (TM)로부터 선택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스타틴이 피타바스타틴 또는 아토르바스타틴인 약학적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타틴이 2개 이상의 스타틴의 조합인 약학적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타틴과 함께 다른 약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다른 약제가 신혈관 형성제 (neovascular agent), 항생 물질, 항염증제, 비타민, 또는 스타틴과 공동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약제 이외의 약제인 약학적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가 생체적합성 폴리에스테르 또는 그의 폴리에틸렌 글리콜/키토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폴리에스테르가 폴리-락티드-글리콜리드 공중합체인 약학적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가 2.5 ~ 1,000 nm의 개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약학적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HMG-CoA 환원 효소가 관련된 상태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HMG-CoA 환원 효소가 관련된 상기 상태가 신혈관 형성이 필요한 상태, 당뇨병성궤양, 괴저, 치유 촉진을 위해서 신혈관 형성이 필요한 외과적 또는 다른 창상, 버거 증후군 (Buerger's syndrome), 고혈압 (hypertension), 허혈질환, 고혈압 (high blood pressure), 궤양 또는 미세혈관구조 (microvasculature)의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외과 창상인 약학적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허혈 질환이 뇌혈관허혈, 신허혈, 폐허혈, 사지허혈, 허혈성 심근증, 심근허혈, 또는 뇌허혈인 약학적 조성물.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온혈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HMG-CoA 환원 효소가 관련된 상태를 치료하거나 또는 예방하기 위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투여가 주사에 의한 것인 방법.
KR1020097004090A 2006-08-30 2007-08-30 스타틴-캡슐화된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14554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4095006P 2006-08-30 2006-08-30
US60/840,950 2006-08-30
PCT/JP2007/066926 WO2008026702A1 (en) 2006-08-30 2007-08-30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statin-encapsulated nanop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478A true KR20090048478A (ko) 2009-05-13
KR101455413B1 KR101455413B1 (ko) 2014-10-27

Family

ID=39135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090A KR101455413B1 (ko) 2006-08-30 2007-08-30 스타틴-캡슐화된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68860B2 (ko)
EP (1) EP2057987B1 (ko)
JP (2) JP4881385B2 (ko)
KR (1) KR101455413B1 (ko)
CN (1) CN101511348B (ko)
ES (1) ES2532595T3 (ko)
WO (1) WO20080267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3264B2 (en) 2009-03-02 2014-03-18 Assistance Publique-Hopitaux De Paris Injectable biomaterial
JP4856752B2 (ja) * 2009-11-30 2012-01-18 ホソカワミクロン株式会社 薬物含有ナノ粒子の製造方法
JP2015529655A (ja) * 2012-08-02 2015-10-08 ステルス ペプチドズ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テローム性硬化症の処置方法
JP6053945B2 (ja) * 2012-11-23 2016-12-27 ペキン ユニバーシティ サード ホスピタルPeking University Third Hospital 肥満症、糖尿病、高血圧症及び高脂血症を治療するための局所薬としてのスタチン化合物の使用
US9433638B1 (en) 2013-10-02 2016-09-06 University Of Kentucky Research Foundation Polymeric prodrug
CN104288141B (zh) * 2014-05-30 2016-08-24 河南科技大学 一种辛伐他汀固体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6573064A (zh) * 2014-07-07 2017-04-19 株式会社先端医疗开发 药物组合物
WO2016076227A1 (ja) 2014-11-10 2016-05-19 正明 伊井 幹細胞機能増強用スタチン封入ナノ粒子製剤、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機能増強幹細胞及びその製造方法
AU2016214922B2 (en) 2015-02-02 2019-07-25 Stryker European Operations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characterizing tissue of a subject
EP3352697A4 (en) * 2015-09-23 2019-06-19 Novadaq Technologies ULC METHOD AND SYSTEMS FOR ADMINISTERING DATA FROM MEDICAL IMAGING
KR20190018420A (ko) 2016-05-06 2019-02-22 각코우호징 오사카 이카야쿠카 다이가쿠 염증성 질환 치료용 줄기세포의 기능 강화를 위한 스타틴 봉입 나노입자 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기능 강화 줄기세포
US11096602B2 (en) 2016-07-29 2021-08-24 Stryker European Operations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characterizing tissue of a subject utilizing a machine learning
JP6788003B2 (ja) * 2016-08-26 2020-11-18 学校法人大阪医科薬科大学 スタチン封入ナノ粒子を含有する機能増強幹細胞を含む炎症性疾患治療用細胞製剤
JP6355688B2 (ja) * 2016-09-01 2018-07-11 ペキン ユニバーシティ サード ホスピタルPeking University Third Hospital 虚血性疾患の治療におけるスタチンの使用
JPWO2019146612A1 (ja) * 2018-01-23 2020-11-26 学校法人大阪医科薬科大学 皮膚疾患治療用組成物
CA3096511A1 (en) * 2018-04-23 2019-10-31 Graybug Vision, Inc. Improved continuous microparticle manufacture
CN108727448B (zh) * 2018-05-04 2020-09-22 华东理工大学 螺旋霉素类抗生素球形结晶及其制备方法
JP2019196342A (ja) * 2018-05-10 2019-11-14 学校法人大阪医科薬科大学 スタチン封入ナノ粒子製剤、それを含有する歯髄由来幹細胞及びそれを含む細胞製剤。
CN110237055B (zh) * 2019-07-15 2021-09-07 江苏中兴药业有限公司 一种水飞蓟宾与辛伐他汀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WO2023145831A1 (ja) * 2022-01-28 2023-08-03 国立大学法人九州大学 網膜色素変性症を治療するための医薬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3919A (en) * 1969-10-23 1973-11-20 Du Pont Polylactide-drug mixtures
US4231938A (en) 1979-06-15 1980-11-04 Merck & Co., Inc. Hypocholesteremic fermentation products and process of preparation
US4444784A (en) 1980-08-05 1984-04-24 Merck & Co., Inc. Antihypercholesterolemic compounds
DK149080C (da) 1980-06-06 1986-07-28 Sankyo Co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derivater af ml-236b-carboxylsyre
US4739073A (en) 1983-11-04 1988-04-19 Sandoz Pharmaceuticals Corp. Intermediates in the synthesis of indole analogs of mevalonolactone and derivatives thereof
US4940727A (en) 1986-06-23 1990-07-10 Merck & Co., Inc. Novel HMG-CoA reductase inhibitors
US5116870A (en) 1986-06-23 1992-05-26 Merck & Co., Inc. HMG-CoA reductase inhibitors
US5091378A (en) 1987-05-22 1992-02-25 E. R. Squibb & Sons, Inc. Phosphorus-containing HMG-CoA reductase inhibitors, new intermediates and method
US4904646A (en) 1987-05-22 1990-02-27 E. R. Squibb & Sons, Inc. Phosphorus-containing HMG-COA reductase inhibitors
US5017716A (en) 1987-05-22 1991-05-21 E.R. Squibb & Sons, Inc. Phosphorous-containing HMG-CoA reductase inhibitors, new intermediates and method
US4997837A (en) 1987-09-08 1991-03-05 Warner-Lambert Company 6-(((substituted)pyridin-3-yl)alkyl)-and alkenyl)-tetrahydro-4-hydroxypyran-2-one inhibitors of cholesterol biosynthesis
US4906624A (en) 1987-09-08 1990-03-06 Warner-Lambert Company 6-(((Substituted)pyridin-3-yl)alkyl)-and alkenyl)-tetrahydro-4-hydroxypyran-2-one inhibitors of cholesterol biosynthesis
US4929620A (en) 1987-12-10 1990-05-29 Warner-Lambert Company 5-pyrimidinyl-3,5-dihydroxy-6-heptenoic acid compounds useful as inhibitors of cholesterol biosynthesis
US4900754A (en) 1987-12-21 1990-02-13 Rorer Pharmaceutical Corp. HMG-COA reductase inhibitors
US4994494A (en) 1987-12-21 1991-02-19 Rhone-Poulenc Rorer Pharmaceuticals Inc. HMG-COA reductase inhibitors
US5001144A (en) 1987-12-21 1991-03-19 Rhone-Poulenc Rorer Pharmaceuticals Inc. Substituted cyclohexene derivatives as HMG-CoA reductase inhibitors
US4939143A (en) 1987-12-21 1990-07-03 Rorer Pharmaceutical Corporation Substituted cyclohexene derivatives as HMG-CoA reductase inhibitors
US5001128A (en) 1987-12-21 1991-03-19 Rhone-Poulenc Rorer Pharmaceuticals Inc. HMG-COA reductase inhibitors
US4946864A (en) 1988-02-01 1990-08-07 Merck & Co., Inc. Novel HMG-CoA reductase inhibitors
DE68914495T2 (de) 1988-03-02 1994-10-27 Merck & Co Inc Antihypercholesterolemisches Mittel.
US5021453A (en) 1988-03-02 1991-06-04 Merck & Co., Inc. 3-keto HMG-CoA reductase inhibitors
US4920109A (en) 1988-04-18 1990-04-24 Merck & Co., Inc. Antifungal compositions and method of controlling mycotic infections
US5166171A (en) 1988-05-13 1992-11-24 Hoechst Aktiengesellschaft 6-phenoxymethyl-4-hydroxytetrahydropyran-2-ones and 6-thiphenoxymethyl-4-hydroxytetrahydropyran-2-ones and the corresponding dihydroxycarboxylic acid derivatives, salts and esters, and in treating hypercholesterolemia
US4897402A (en) 1988-06-29 1990-01-30 Merck & Co., Inc. 5-oxa, 5-thia, 5-aza HmG-CoA reductase inhibitors
US4963538A (en) 1988-06-29 1990-10-16 Merck & Co., Inc. 5-oxygenated HMG-CoA reductase inhibitors
IT1226726B (it) 1988-07-29 1991-02-05 Zambon Spa Composti attivi come inibitori della biosintesi del colesterolo.
US5196440A (en) 1988-07-29 1993-03-23 Zambon Group S.P.A. Compounds active as inhibitors of the cholesterol biosynthesis
DE3832570A1 (de) 1988-09-24 1990-03-29 Hoechst Ag 7-substituierte derivate der 3,5-dihydroxyhept-6-insaeure, verfahren zur ihrer herstellung, ihre verwendung als arzneimittel, sowie zwischenprodukte
US4950675A (en) 1988-12-21 1990-08-21 Warner-Lambert Company Pyridine di-mevalono-lactones as inhibitors of cholesterol biosynthesis
US4957940A (en) 1988-12-21 1990-09-18 Warner-Lambert Company Bicyclo heptane and bicyclo octane substituted inhibitors of cholesterol synthesis
US4906657A (en) 1988-12-21 1990-03-06 Warner-Lambert Company Bicyclo heptane and bicyclo octane substituted inhibitors of cholesterol synthesis
US4923861A (en) 1989-02-07 1990-05-08 Warner-Lambert Company 6-(2-(2-(Substituted amino)-3-quinolinyl) ethenyl and ethyl) tetrahydro-4-hydroxypyran-2-one inhibitors of cholesterol biosynthesis
US5130306A (en) 1989-03-13 1992-07-14 Merck & Co., Inc. 5-Oxygenated HMG-COA reductase inhibitors
US5132312A (en) 1989-03-27 1992-07-21 Rhone-Poulenc Rorer Pharmaceuticals Inc. Substituted cyclohexene derivatives as HMG-CoA reductase inhibitors
US5102911A (en) 1989-06-09 1992-04-07 Merck & Co, Inc. 4-Substituted HMG-CoA reductase inhibitors
US4970231A (en) 1989-06-09 1990-11-13 Merck & Co., Inc. 4-substituted HMG-CoA reductase inhibitors
FI94339C (fi) 1989-07-21 1995-08-25 Warner Lambert Co Menetelmä farmaseuttisesti käyttökelpoisen /R-(R*,R*)/-2-(4-fluorifenyyli)- , -dihydroksi-5-(1-metyylietyyli)-3-fenyyli-4-/(fenyyliamino)karbonyyli/-1H-pyrroli-1-heptaanihapon ja sen farmaseuttisesti hyväksyttävien suolojen valmistamiseksi
US4992429A (en) 1989-08-24 1991-02-12 Rhone-Poulenc Rorer Pharmaceuticals Inc. Novel HMG-COA reductase inhibitors
US5098931A (en) 1989-08-31 1992-03-24 Merck & Co., Inc. 7-substituted HMG-CoA reductase inhibitors
US4946860A (en) 1989-11-03 1990-08-07 Rorer Pharmaceutical Corporation Benzothiopyranyl derivatives as HMG-CoA reductase inhibitors
IT1237793B (it) 1989-12-21 1993-06-17 Zambon Spa Composti attivi come inibitori dell'enzima hmg-coa reduttasi
US5025000A (en) 1990-03-02 1991-06-18 E. R. Squibb & Sons, Inc. Phosphorus-containing HMG-CoA reductase inhibitor compounds
US5622985A (en) 1990-06-11 1997-04-2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Method for preventing a second heart attack employing an HMG CoA reductase inhibitor
US5112857A (en) 1990-09-04 1992-05-12 Merck & Co., Inc. Hmg-coa reductase inhibitor metabolites
US5182298A (en) 1991-03-18 1993-01-26 Merck & Co., Inc. Cholesterol lowering agents
US5256689A (en) 1991-05-10 1993-10-26 Merck & Co., Inc. Cholesterol lowering compounds
US5135935A (en) 1991-05-17 1992-08-04 Merck & Co., Inc. Squalene synthetase inhibitors
US5250435A (en) 1991-06-04 1993-10-05 Merck & Co., Inc. Mutant strains of Aspergillus terreus for producing 7-[1,2,6,7,8,8a(R)-hexa-hydro-2(S),6(R)-dimethyl-8(S)-hydroxy-1(S)-naphthyl]-3(R),5(R)-dihydroxyheptanoic acid (triol acid),I)
US5202327A (en) 1991-07-10 1993-04-13 E. R. Squibb & Sons, Inc. Phosphorus-containing hmg-coa reductase inhibitors
HU217629B (hu) 1991-12-12 2000-03-28 Novartis Ag. Eljárás fluvasztatint tartalmazó stabilizált gyógyszerkészítmények előállítására
US5260332A (en) 1992-02-07 1993-11-09 Merci & Co., Inc. Cholesterol lowering compounds
US5262435A (en) 1992-02-10 1993-11-16 Merck & Co., Inc. Cholesterol lowering compounds
US5286895A (en) 1992-02-19 1994-02-15 Merck & Co., Inc. Cholesterol lowering compounds
US5302604A (en) 1992-03-09 1994-04-12 Merck & Co., Inc. Cholesterol lowering compounds produced by directed biosynthesis
US5369125A (en) 1992-07-17 1994-11-29 Merck & Co., Inc. Cholesterol-lowering agents
US5283256A (en) 1992-07-22 1994-02-01 Merck & Co., Inc. Cholesterol-lowering agents
US5317031A (en) 1992-10-19 1994-05-31 Merck & Co., Inc. Cholesterol lowering compounds
US5565215A (en) * 1993-07-23 1996-10-15 Massachusettes Institute Of Technology Biodegradable injectable particles for imaging
US6369103B1 (en) 1994-01-18 2002-04-0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Method for preventing or reducing risk of onset of cardiovascular events employing an HMG CoA reductase inhibitor
US5902805A (en) 1996-04-22 1999-05-11 L'oreal Method for treatment of acne and/or the effects of ageing using HMG-coenzyme A-reductase inhibitor and compositions for performing the same
US6147109A (en) 1997-10-14 2000-11-14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Upregulation of Type III endothelial cell Nitric Oxide Synthase by HMG-CoA reductase inhibitors
US8293277B2 (en) * 1998-10-01 2012-10-23 Alkermes Pharma Ireland Limited Controlled-release nanoparticulate compositions
US6689807B1 (en) * 2000-06-08 2004-02-10 Caritas St. Elizabeth's Medical Center Of Boston, Inc. HMG CoA reductase inhibitors for promoting angiogenesis
US20050171032A1 (en) * 2002-04-11 2005-08-04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CA2488499C (en) * 2002-06-10 2013-03-19 Elan Pharma International Ltd. Nanoparticulate formulations comprising hmg coa reductase inhibitor derivatives ("statins"),combinations thereof as well as manufacturing of thes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20050255164A1 (en) * 2002-08-15 2005-11-17 Yunging Liu Solid nano pharmaceutical formula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20060078531A1 (en) * 2004-10-12 2006-04-13 Osemwota Sota Method of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therosclerosis, peripheral vascular disease, coronary artery disease, and age-related disorders including osteoporosis, arthritis, type 2 diabetes, dementia and Alzheimer's disease
US7727969B2 (en) * 2003-06-06 2010-06-0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ontrolled release nanoparticle having bound oligonucleotide for targeted delivery
WO2005071019A1 (ja) * 2004-01-22 2005-08-04 Nippon Sheet Glass Company, Limited 着色された光輝性顔料
IL160095A0 (en) 2004-01-28 2004-06-20 Yissum Res Dev Co Formulations for poorly soluble drugs
US7842716B2 (en) * 2004-03-29 2010-11-30 HeartDrug Research, LLC Treating vascular events with statins by inhibiting PAR-1 and PAR-4
CA2565250C (en) * 2004-05-03 2013-11-12 Omega Bio-Pharma (I.P.3) Limited Cysteamines for treating complications of hypercholesterolemia and diabetes
US8222293B2 (en) * 2004-05-24 2012-07-17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rolina Treating learning deficits with inhibitors of Hmg CoA reductase
JP2009529051A (ja) 2006-03-07 2009-08-13 オステオスクリーン アイピー, エルエルシー HMGCo−Aレダクターゼ阻害剤による骨および軟骨の強化
PT2136788E (pt) * 2007-03-30 2012-02-03 Bind Biosciences Inc Direccionamento a células de cancro utilizando nanopartícul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57987A1 (en) 2009-05-13
JP5464716B2 (ja) 2014-04-09
EP2057987B1 (en) 2015-03-04
US20100086602A1 (en) 2010-04-08
JP4881385B2 (ja) 2012-02-22
CN101511348A (zh) 2009-08-19
EP2057987A4 (en) 2010-07-28
KR101455413B1 (ko) 2014-10-27
JPWO2008026702A1 (ja) 2010-01-21
US10568860B2 (en) 2020-02-25
WO2008026702A1 (en) 2008-03-06
CN101511348B (zh) 2012-04-18
JP2012021002A (ja) 2012-02-02
ES2532595T3 (es) 2015-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413B1 (ko) 스타틴-캡슐화된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Tiwari et al. Statins therapy: a review on conventional and novel formulation approaches
Kempe et al. In situ forming implants—an attractive formulation principle for parenteral depot formulations
US20040109893A1 (en) Sustained release dosage forms of anesthetics for pain management
JP2007521225A (ja) 疼痛を管理するための麻酔薬の徐放性剤形
US20090111732A1 (en) Gelling Hydrophobic Injectable Polymer Compositions
Rafiei et al. Pharmacokinetic consequences of PLGA nanoparticles in docetaxel drug delivery
Gai et al. Delivery of benzoylaconitine using biodegradable nanoparticles to suppress inflammation via regulating NF-κB signaling
US20150010616A1 (en) Biocompatible Particles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JP5754740B2 (ja) 細胞内薬物送達のためのfas(アポ−1,cd95)標的化プラットフォーム
US20160045439A1 (en) Compositions for inhibiting inflammation in a subject with a spinal cord injury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0172867B2 (en) Afobazole nanoparticles formulation for enhanced therapeutics
US11660345B2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enhancing the delivery of anti-platelet drugs for the treatment of acute stroke
O Morales et al. Novel nanostructured polymeric carriers to enable drug delivery for cardiovascular diseases
Zhang et al. Drug delivery systems based on tyrosine-derived nanospheres (TyroSpheres™)
Abdelghany et al. Critical Appraisal of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atins and Drug Delivery Systems for Improving Their Bioavailability
Moideen et al. Significance of nanoparticle drug delivery system than conventional drug delivery system of antihypertensive drugs
Chehri Chamchamali Development of a 3D printed particle embedded hydrogel mesh for localized delivery of iron-chelating agents
Senthamil Selvan Formulation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Simvastatin Loaded Long Acting Microspheres
WO2024089046A1 (en) Dosage form for intra-articular injection comprising colchicine and an anesthesic agent in the treatment of crystal-and non-crystal associated acute inflammatory arthritis
Hatefi Development of an injectable implant system for local delivery of camptothecin
WO2022241331A2 (en) Polymer-lipid hybrid nanoparticles of emricasan and use thereof
TWI632916B (zh) 增強治療急性中風之抗血小板藥物之遞送方法及其組合物
Rabanel et al. 12 Polymeric Nanop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