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7240A - 스위치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안전장치및 보호방법 - Google Patents

스위치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안전장치및 보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7240A
KR20090047240A KR1020070113296A KR20070113296A KR20090047240A KR 20090047240 A KR20090047240 A KR 20090047240A KR 1020070113296 A KR1020070113296 A KR 1020070113296A KR 20070113296 A KR20070113296 A KR 20070113296A KR 20090047240 A KR20090047240 A KR 20090047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switch
electric vehicle
battery
rup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1757B1 (ko
Inventor
장수엽
오전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70113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757B1/ko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08801153026A priority patent/CN101855747B/zh
Priority to EP16183975.8A priority patent/EP3121870B1/en
Priority to JP2010532989A priority patent/JP5302970B2/ja
Priority to CN201210467082.1A priority patent/CN102945942B/zh
Priority to US12/740,252 priority patent/US8852767B2/en
Priority to EP08848027.2A priority patent/EP2212939B1/en
Priority to PCT/KR2008/005644 priority patent/WO2009061075A1/en
Publication of KR20090047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757B1/ko
Priority to JP2013097745A priority patent/JP5785213B2/ja
Priority to US14/506,940 priority patent/US986586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1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AC-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60L58/15Preventing over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08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006Switches operated by mechanical overload condition, e.g. transmitted force or torque becoming too hig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에 과충전, 단락, 역접속, 열노출 등이 발생하여 설정값 이상의 변위가 발생하면 상기 2차 전지의 외부에 부착된 스위치가 작동하여 상기 2차 전지의 충전 전원을 차단하는 릴레이 회로를 동작시켜 과충전, 단락, 역접속, 열노출 로 인한 2차 전지의 폭발 및 발화를 방지할 수 있는 2차 전지의 방폭 안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2차 전지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에 있어서, 제 1 2차 전지(21)의 일면에 구비되는 스위치부(23); 및 상기 스위치부(23)와 마주보는 제 2 2차 전지(22)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부(23)가 작동하도록 하는 작동유도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스위치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에 설정값 이상의 변위가 발생하면 스위치 장치가 작동되어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와 전기 자동차의 구동모터 사이의 회로를 차단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용 2차 전지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럽처 스위치, 2차 전지, 방폭 안전장치, 과 충전, 단락, 역접속, 열 노출

Description

스위치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안전장치 및 보호방법 {Safety Apparatus and Protection Method of secondary Battery for Electric Vehicle Using Switch}
본 발명은 2차 전지의 방폭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용 대용량 리튬폴리머전지의 사용에 있어서, 과 충전, 단락, 역 접속 및 열노출 등의 비정상적인 사용 상태로 인해 2차 전지의 팽창{swelling}이 발생되고 상기 2차 전지의 팽창 정도가 설정 값에 도달할 경우 상기 2차 전지 외부에 부착된 스위치 또는 럽처 스위치가 작동하여 상기 2차 전지와 모터를 연결해 주는 파워 릴레이 회로를 동작시킴 으로써 비정상적인 사용조건으로 인해 발생되는 상기 2차 전지의 폭발 및 발화를 방지할 수 있는 2차 전지의 방폭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2차 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대용량화가 가능한 것으로 대표적인 것으로 니켈카드뮴, 니켈수소 및 리튬이온전지 등이 있다. 이중에서 상기 리튬이온전지는 장 수명, 고용량 등 우수한 특성으로 인하여 차세대 동력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런데 리튬이온전지는 과충전, 단락, 역접속, 열노출 등 비 정상적인 사용 환경에 노출될 경우 전지 내부에 전기화학적인 작용으로 인한 가스가 발생하여 전지 내압이 상승된다. 전지의 내압 상승으로 인해 전지가 팽창하게 되고 특히 과 충전 등 비정상적인 사용시간이 지속되는 경우 전해액이나 활물질이 일부 분해되어 전지 내부 압력 및 온도가 급상승되어 폭발이나 화재를 야기할 위험이 있다.
위와 같은 이유로 상기 2차 전지의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과 충전, 과 방전, 단락, 역접속 등의 시험뿐만 아니라, 고온보관시험, 열 충격시험, 열 노출시험 등 다양한 열적 안정성 시험을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열적 안전성 시험조건에서 전지의 폭발, 발화가 없어야 한다.
상기 2차 전지의 안전성을 개선하려는 시도가 이제까지 매우 다양하게 진행되어 오고 있으며, 전지케이스의 파열부를 통해 상기 2차 전지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를 배출하거나 전지내부에 파열 디스크를 이용하여 전지 회로를 직접 차단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오고 있다. 이 경우 과 충전 등의 상황에서 가스가 발생하여 내압이 설계치를 상회할 경우 밀봉부가 파열되거나 전지의 전원이 차단되는 형태로 내압해소 및 안전성을 확보하게 되나 파열시 발생된 스파크가 점화원으로 작용하여 폭발 및 발화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의 (a)는 종래의 2차 전지 안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전지(4)는 케이스(2)와 전극조립체(3)로 구성되어 2차 전지용 팩(1)에 의해 수납된다. 상기 2차 전지용 팩(1)의 내부에 침상형 돌출부(5)가 구비되고 상기 2차 전지(4)의 과 충전, 단락, 역 전압 등의 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기 2차 전지(4) 내부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2차 전지(4) 내부의 전해액 및 활물질 등이 가스 상태로 변화되어 상기 2차 전지(4)의 팽창현상이 발생하고 상기 2차 전지(4) 가 부풀어 오르게 된다.
상기 2차 전지(4)가 설정된 값 이상으로 팽창되면 침상형 돌출부(5)에 의해 상기 2차 전지(4)의 밀봉이 파열되는 구조로 상기 2차 전지의 폭발 및 발화를 방지한다.
상기 돌출부(5)로서 상기 2차 전지(4)를 보호하는 종래기술은 추가적인 생산 공정이 요구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고, 파열의 신뢰도를 보증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적층부가 밀봉성과 파열성을 동시에 가져야 하는 상반된 모순을 가지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지의 내압에 의한 밀봉부의 파열은 유해가스를 배출시켜 부근에 설치된 전자회로의 손상 및 인체에도 유해한 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파우치형 2차 전지의 경우 케이스가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와 폴리머수지 등의 수지재가 혼합된 유연성 박판으로 이루어지므로 종래 기술에 의한 안전장치 구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도 1의 (b)는 종래의 럽처 디스크형 2차 전지 안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2차 전지의 상부에 가스배출공(7)이 구비되고 럽처 디스크(9)에 의해 캡 커버(6)와 캡(8)이 격리된다. 상기 원통형 2차 전지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상기 가스배출공(7)을 통해 상기 럽처 디스크(9)에 내부 압력이 전달되고 설정된 값 이상의 내부 압력이 전달되면 상기 럽처 디스크(9)가 파열되면서 가스가 방출되어 상기 원통형 2차 전지의 전원을 차단하는 구조로 상기 2 차 전지의 폭발 및 발화를 방지한다.
상기 럽처 디스크(9)를 이용한 종래기술은 디스크 파열 및 작동시 유해가스를 배출하고 상기 럽처 디스크(9)의 파열시 발생되는 스파크가 배출가스의 점화원으로 작용하여 화재 및 폭발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전압, 대전류가 흐르는 자동차용 2차전지의 경우 직접적인 전지회로의 차단에 기술적인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사용시 과 충전, 단락 및 열 노출 상황에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내압이 상승하여 팽창현상으로 인한 파열 및 유해가스 배출로 인한 폭발,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스위치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안전장치 및 보호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위치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방폭을 방지하기위한 안전장치 및 보호방법의 스위치 장치는 하나 이상의 2차 전지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에 있어서, 제 1 2차 전지(21)의 일면에 구비되는 스위치부(23); 및 상기 스위치부(23)와 마주보는 제 2 2차 전지(22)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부(23)가 작동하도록 하는 작동유도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23)에는 근접 스위치(150-1)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유도 부(24)에는 자석(36)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2차 전지(21) 및 상기 제 2 2차 전지(22)의 팽창 시 상기 근접 스위치(150-1)와 상기 자석(36)이 근접하면 상기 자석(36)의 자계에 의해 상기 근접 스위치(150-1)가 off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상기 근접 스위치(150-1)는 밀봉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밀봉 케이스(35)의 일면에는 접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밀봉 케이스(35)의 내부에는 제 1 스위치 인출선(34)이 연결된 탄성을 가지는 제 1 연결부(31)와 제 2 스위치 인출선(33)이 연결된 탄성을 가지는 제 2 연결부(32)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상기 근접 스위치(150-1)는 상기 제 1 연결부(31)와 상기 제 2 연결부(32)가 접속되어 있으면 on 상태가 되고 상기 자석(36)이 근접하면 상기 자석(36)의 자계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부(31)와 상기 제 2 연결부(32)가 이격되어 off 상태가 되며 이격된 상기 제 1 연결부(31)와 상기 제 2 연결부(32)는 상기 자석(36)이 멀어지면 원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23)에는 마이크로 스위치(160-1)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유도부(24)에는 상기 제 2 2차 전지(22)가 이용되어 상기 제 1 2차 전지(21) 및 상기 제 2 2차 전지(22)의 팽창 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60-1)는 off 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60-1)는 접착부를 가지는 밀봉된 하우징(48) 내에 제 3 스위치 인출선(44)이 연결된 제 1 고정접점(41), 제 2 고정접점(42) 및 제 4 스위치 인출선(45)이 연결된 가동접점(4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접점(43)의 일측에 누름버튼(47)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48) 외부로 누름버튼(47)이 돌출되고 상기 누름버튼(47)과 동일한 위치의 상기 가동접점(43) 타측에 스프링(4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60-1)는 상기 제 1 고정접점(41)과 상기 가동접점(43)이 접속되어 있으면 on 상태가 되고 상기 제 2 2차 전지(22)가 상기 누름버튼(47)을 누르게 되어 상기 가동접점(43)이 상기 제 2 고정접점(42)과 접속되어 있으면 off 상태가 되며 상기 제 1 2차 전지(21) 및 상기 제 2 2차 전지(22)가 원상태가 되면 상기 스프링(46)에 의해 원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럽처 스위치는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외부에 부착되며, "U"자형 금속편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전지(110)에 부착 및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홀(50-1, 50-2)을 가지는 제 1 고정부(50); 상기 "U"자형 금속편 타 측의 한 종단에 구비되며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전지(110)에 부착 및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홀(51-1)을 가지는 제 2 고정부(51); 상기 "U"자형 금속편 타 측의 다른 종단에 구비되며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전지(110)에 부착 및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홀(52-1)을 가지는 제 3 고정부(52); 상기 "U"자형 금속편의 중앙에 구비되는 파열부(60); 및 상기 제 2 고정부(51) 및 상기 제 3 고정부(52)에 부착된 제 5 스위치 인출선(70) 및 제 6 스위치 인출선(7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상기 파열부(60)는 제 1 파열부(61) 및 제 2 파열부(62)로 구성되며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에 설정값 이상의 변위가 발생하면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상기 럽처 스위치(90-1)는 상기 파열부(60)의 파단 시 발생하는 전기적인 불꽃 확산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럽처 스위치(90-1) 전면을 가소성을 가진 난연성 절연물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방폭 안전장치는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2차 전지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 상기 전기자동차의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140);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상기 구동모터(140)의 연결 및 상기 구동모터(140)의 전력을 제어하는 배터리제어기(80); 및 상기 배터리제어기(80)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에 설정값 이상의 변위가 발생하면 작동 및 파열되는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스위치 장치 및 럽처 스위치(90-1);를 포함하되,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의 스위치 장치 및 상기 럽처 스위치(90-1)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상기 구동모터(140)를 연결하는 릴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상기 구동모터(140)를 연결하는 릴레이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전지의 스위치 장치 및 럽처 스위치(90-1)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제어기(80)에 의해 제어되는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 및 상기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에 의해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상기 구동모터(140)의 연결을 제어하는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상기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5)는 제 1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6) 및 제 2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7)가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5)는 제 1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6) 및 제 2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7)가 상기 배터리 제어기(80)의 출력부(81)에서 출력되는 제어출력 수에 따라 복수의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에 의해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140) 측에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에 의해 발생되는 전력이 충전되는 충전부(120); 및 상기 구동모터(140)의 속도 및 방향을 제어하는 인버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상기 배터리제어기(80)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에 설정값 이상의 변위가 가해졌을 때 발생하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스위치 장치 및 상기 럽처 스위치(90-1)의 작동 및 파열을 감지하여 전기자동차에 경고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스위치 장치 및 상기 럽처 스위치(90-1)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를 구성하는 2차 전지의 개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스위치 장치 및 럽처 스위치(70-1, 70-2 ~ 70-n)를 상기 2차 전지의 외부에 부착, 상기 2차 전지사이에 설치 또는 별도로 구비된 2차전지 고정구조물에 고정하여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스위치 장치 및 럽처 스위치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방폭 보호방법에 있어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제어기(80)에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구동모터(140)의 연결 및 상기 구동모터(140)의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S10)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에 설정값 이상의 변위가 발생하면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전지의 스위치 장치 및 상기 럽처 스위치(90-1)가 작동 및 파열되는 단계;(S20)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스위치 장치 및 상기 럽처 스위치(90-1)의 제 1 스위치 인출선(33), 제 2 스위치 인출선(34), 제 3 스위치 인출선(44), 제 4 스위치 인출선(45), 제 5 스위치 인출선(70) 및 제 6 스위치 인출선(75)을 통해 상기 스위치 장치 및 럽처 스위치(90-1)의 작동 및 파열을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가 감지하여 차단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30) 상기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에서 자기적인 신호계통을 통해 상기 차단 제어신호 상기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5)에 전달되어 상기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5)가 제어되는 단계;(S40) 상기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5)에 의해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상기 전기자동차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40)를 연결하는 릴레이를 제어하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안전장치 및 보호방법은 2차 전지의 과 충전, 단락, 역 접속 및 열 노출로 인해 발생하는 상기 2차 전지의 방폭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2차 전지의 내부 압력이 상승할 경우 상기 2차 전지를 파열 시키거나 상기 2차 전지를 직접 차단시키는 방법에 비해 스위치를 이용한 간접적인 방 법으로 상기 2차 전지에 가해지는 충전전원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회로를 통해 상기 2차 전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2차 전지의 파열로 인해 발생하는 가스 때문에 일어나는 폭발 및 화재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2차 전지의 파열 시 발생하는 유해가스로 인한 인체 위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위치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안전장치 및 보호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대용량 2차 전지에 적용되는 파우치형 2차 전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a)는 파우치형 2차 전지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의 (b)는 상 기 파우치형 전지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2의 (c)는 상기 파우치형 2차 전지가 과 충전, 단락, 역 접속 등 오작동으로 팽창 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파우치형 2차 전지가 팽창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파우치형 리튬폴리머 2차 전지(20)는 밀폐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폐구조의 특성상 상기 파우치형 리튬폴리머 2차 전지(20)가 과 충전, 단락, 역 접속, 열노출 등의 과도한 상태에 놓이게 되면 상기 파우치형 리튬폴리머 2차 전지(20)의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여 상기 파우치형 리튬폴리머 2차 전지(20)가 팽창하며 팽창이 지속되면 상기 파우치형 리튬폴리머 2차 전지(20)는 내부의 전해액 등 화학물질이 유출 되거나 그 정도가 심한 경우 발화 및 폭발이 발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스위치 장치 개념도이다.
하나 이상의 2차 전지가 적층된 구조로 구성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에 있어서, 상기 2차 전지가 팽창 현상으로 인해 발화 및 폭발을 방지 하기 위해서 상기 2차 전지 사이에 스위치 장치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차 전지(21)와 제 2 2차 전지(22)에 스위치 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2차 전지(21)의 일면에 스위치부(23)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부(23)와 마주보는 상기 제 2 2차 전지(22)의 일면에 상기 스위치부(23)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유도부(24)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2차 전지(21) 및 상기 제 2 2차 전지(22)가 팽창되면 상기 스위치부(23)와 상기 작동유도부(24)가 근접되어 상기 제 1 2차 전지(21) 및 상기 제 2 2차 전지(22)의 팽창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부(23)에는 근접 스위치(150-1), 마이크로 스위치(160-1) 및 럽처 스위치(90-1)가 구비된다. 상기 각 스위치의 작동을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4의 (a)는 근접 스위치의 개념도이며, 도 4의 (b)는 본 발명의 근접 스위치 on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4의 (c)는 본 발명의 근접 스위치 off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근접 스위치가 적용된 보호 회로 및 배터리 제어 계통도와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 및 전기자동차 구동모터의 전력계통도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 스위치(150-1)는 밀봉 케이스(35) 내부에 제 1 연결체(31) 및 제 2 연결체(32)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연결체(31)에는 제 1 스위치 인출선(33)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연결체(32)에는 제 2 스위치 인출선(34)이 연결된다.
상기 제 1 연결체(31)와 상기 제 2 연결체(32)를 제어하는 자석(36)이 상기 근접 스위치(150-1)와 함께 구비된다.
상기 근접 스위치(150-1)의 작동은 상기 자석(36)이 상기 근접 스위치(150-1)에 근접 시에 상기 근접 스위치(150-1)는 off 상태가 되며, 상기 자석(36)이 상기 근접 스위치(150-1)에서 멀어지면 다시 on 상태가 되는 작동 상의 특징을 가진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차 전지(21)의 일면에 근접 스위치(150-1)가 on 상태로 구비되고 제 2 2차 전지(22)의 일면에 자석(36)이 구비된 다.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차 전지(21) 및 상기 제 2 2차 전지(22)가 팽창되면 상기 근접 스위치(150-1)와 상기 자석(36)은 근접된다. 상기 자석(36)이 가지는 자계의 영향에 의해 접속 상태의 상기 제 1 연결체(31) 및 상기 제 2 연결체(32)는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근접 스위치(150-1)는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전환된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상기 근접 스위치(150-1)는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에 구비되어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의 방폭을 보호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제어기(80)의 출력부(81)에 하나 이상의 근접 스위치(150-1)가 구비되며 상기 근접 스위치(150-1)에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가 연결된다.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전기자동차의 구동모터(140)가 구비되며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상기 전기자동차의 구동모터(140)를 연결하는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5)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140) 측에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에서 발생하는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부(120) 및 상기 구동모터(140)의 속도, 방향을 제어하는 인버터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상기 전기자동차 구동모터(140)의 연결을 제어하는 릴레이는 상기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 및 상기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5)로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는 상기 배터리제어기(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5)의 제 1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6) 및 제 2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7)를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제어기(80)의 출력 형식에 따라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독립적인 제어 신호를 제 1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6) 및 제 2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7)로 보내어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상기 전기자동차 구동모터(140)의 연결을 제어한다.
(제 2 실시예)
도 5의 (a)는 마이크로 스위치의 개념도이며, 도 5의 (b)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위치 on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5의 (c)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위치 off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근접 스위치가 적용된 보호 회로 및 배터리 제어 계통도와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 및 전기자동차 구동모터의 전력계통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스위치(160-1)는 하우징(48) 내부에 제 1 고정접점(41), 제 2 고정접점(42) 및 가동접점(43)이 구비되며 상기 가동접점(43)에는 제 3 스위치 인출선(44)이 연결되고 상기 제 1 고정접점(41)에는 제 4 스위치 인출선(45)이 연결된다.
상기 가동접점(43)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누름버튼(47)은 하우징(48)의 외부에 돌출된다. 상기 가동접점(43)의 타측으로는 스프링(46)이 구비된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60-1)의 작동은 상기 누름버튼(47)이 눌러지면 off 상태가 되고 상기 누름버튼(47)이 원상태가 되면 상기 스프링(46)에 의해 on 상태가 되는 특징이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차 전지(21)의 일면에 마이크로 스위치(160-1)가 상기 제 1 고정접점(41)과 상기 가동접점(43)이 접속되어 있는 on 상태로 구비된다.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차 전지(21) 및 상기 제 2 2차 전지(22)가 팽창되면 상기 누름버튼(47)을 상기 제 2 2차 전지(22)가 누르게 되어 상기 가동접점(43)은 상기 제 1 고정접점(41)과 이격되어 상기 제 2 고정접점(42)과 접속되어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전환된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60-1)는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에 구비되어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의 방폭을 보호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제어기(80)의 출력부(81)에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스위치(160-1)가 구비되며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60-1)에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가 연결된다.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전기자동차의 구동모터(140)가 구비되며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상기 전기자동차의 구동모터(140)를 연결하는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5)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140) 측에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에서 발생하는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부(120) 및 상기 구동모터(140)의 속도, 방향을 제어하는 인버터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상기 전기자동차 구동모터(140)의 연결을 제어하는 릴레이는 상기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 및 상기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5)로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는 상기 배터리제어기(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5)의 제 1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6) 및 제 2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7)를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제어기(80)의 출력 형식에 따라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독립적인 제어 신호를 제 1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6) 및 제 2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7)로 보내어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상기 전기자동차 구동모터(140)의 연결을 제어한다.
(제 3 실시예)
도 6의 (a)는 본 발명의 럽처 스위치의 개념도이며, 도 5의 (b)는 본 발명의 럽처 스위치를 2차 전지에 부착한 사시도이다.
럽처 스위치(90-1)는 "U"자형 금속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U"자형 금속편의 일 측에 구비되는 제 1 고정부(50) 및 상기 "U"자형 금속편 타 측의 양 종단에 구비되는 제 2 고정부(51) 및 제 3 고정부(52)를 이용하여 파우치형 리튬폴리머 2차 전지(20)의 일면에 부착한다. 부착된 상기 럽처 스위치(90-1)는 상기 제 1 고정부(50), 제 2 고정부(51) 및 제 3 고정부(52)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제 1 고정홀(50-1), 제 2 고정홀(50-2), 제 3 고정홀(51-1) 및 제 4 고정홀(52-1)을 이용하여 상기 파우치형 리튬폴리머 2차 전지(20)에 고정한다.
상기 파우치형 리튬폴리머 2차 전지(20)의 일면에 부착 및 고정된 상기 럽처 스위치(90-1)의 중앙부에는 제 1 파열부(61) 및 제 2 파열부(62)로 구성된 파열부(60)가 구비되어 상기 파우치형 리튬폴리머 2차 전지(20)가 과 충전, 단락, 역 접속, 또는 고온에 노출되어 설정 값 이상의 변위가 발생하면 상기 파열부(60)는 이를 감지하여 파단 된다. 상기 파열부(60)의 파단은 상기 럽처 스위치(90-1)의 제 2 고정부(51)에 연결된 제 5 스위치 인출선(70) 및 제 3 고정부(52)에 연결된 제 6 스위치 인출선(75)을 통해 상기 파우치형 리튬폴리머 2차 전지(20)의 작동을 중지시켜 상기 파우치형 리튬폴리머 2차 전지(20)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상기 럽처 스위치(90-1)의 파열부(60) 파단 시 발생하는 전기적인 불꽃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럽처 스위치(90-1) 전면을 가소성을 가진 난연성 절연물로 도포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파우치형 리튬폴리머 2차 전지(20)를 일례로 들었지만 상기 럽처 스위치(90-1)는 통상의 2차 전지에 다양한 형태로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럽처 스위치가 적용된 보호회로 및 배터리 제어 계통도 및 전기자동차용 대용량 2차 전지와 전기 자동차 구동모터의 전력 계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제어기(60)의 출력부(81)에 하나 이상의 럽처 스위치(90-1)가 구비되며 상기 럽처 스위치(90-1)에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가 연결된다.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전기자동차의 구동모터(140)가 구비되며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상기 전기자동차의 구동모터(140)를 연결하는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5)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140) 측에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에서 발생하는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부(120) 및 상기 구동모터(140)의 속도, 방향을 제어하는 인버터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상기 전기자동차 구동모터(140)의 연결을 제어하는 릴레이는 상기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 및 상기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5)로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는 상기 배터리제어기(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5)의 제 1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6) 및 제 2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7)를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제어기(80)의 출력 형식에 따라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독립적인 제어 신호를 제 1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6) 및 제 2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7)로 보내어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상기 전기자동차 구동모터(140)의 연결을 제어한다.
전술한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 및 제 3실시예의 근접 스위치(150-1), 마이크로 스위치(160-1) 및 럽처 스위치(90-1)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의 보호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방폭 보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한 개의 근접 스위치(150-1), 마이크로 스위치(160-1) 및 럽처 스위치(90-1)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의 방폭 보호방법을 설명한다.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제어기(80)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를 작동시키고 상기 전기자동차의 상태를 감시한다.(S10)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에 설정값 이상의 변위가 발생하면 상기 전 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에는 고온 및 내압 상승 등의 물리적인 변위가 발생되면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의 일면에 부착된 근접 스위치(150-1) 및 마이크로 스위치(160-1)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의 물리적인 변위를 감지하고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의 일면에 부착된 상기 럽처 스위치(90-1)의 파열부(60)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의 물리적인 변위를 감지하고 상기 파열부(60)는 파단되고 상기 럽처 스위치(90-1)는 파열된다.(S20)
상기 근접 스위치(150-1) 및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60-1)의 작동 중지 및 상기 럽처 스위치(90-1)(90-1)의 파열은 상기 근접 스위치(150-1),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60-1) 및 상기 럽처 스위치(90-1)(90-1)의 스위치 인출선을 통해 배터리제어기(80)에 전달된다. 상기 배터리제어기(80)는 상기 스위치 인출선을 통해 상기 근접 스위치(150-1) 및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60-1)의 작동 중지 또는 상기 럽처 스위치(90-1)의 파열을 감지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상기 전기자동차의 구동모터(140)를 차단하기 위해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에서는 차단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30)
상기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에서 생성된 상기 차단 제어신호는 상기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의 자기적인 신호 계통을 통해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5)에 전달되어 상기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를 제어한다.(S40)
상기 차단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5)는 제 1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6) 및 제 2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7)를 제어하여 상기 전기자동 차용 2차 전지(110)와 상기 전기자동차 구동모터(140)의 연결을 차단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를 안전하게 보호한다.(S50)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한 개의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를 표시하였지만 상기 배터리 릴레이는 배터리제어기(80)의 출력형태에 따라 하나 이상의 릴레이 코일을 통하여 제 1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6)와 제 2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7)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한 개의 상기 근접 스위치(150-1),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60-1) 및 상기 럽처 스위치(90-1)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의 방폭 보호방법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상기 근접 스위치(150-1),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60-1) 및 상기 럽처 스위치(90-1)는 전기자동차에 이용되는 2차 전지의 개수에 따라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a)는 종래의 2차 전지 안전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1의 (b)는 종래의 럽처 디스크형 2차 전지 안전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2는 파우치형 리튬 폴리머 2차 전지의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개념도이며,
도 4의 (a)는 근접 스위치의 개념도이며,
도 4의 (b)는 본 발명의 근접 스위치의 on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4의 (c)는 본 발명의 근접 스위치의 off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5의 (a)는 마이크로 스위치의 개념도이며,
도 5의 (b)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위치의 on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5의 (c)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위치의 off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6의 (a)는 본 발명의 럽처 스위치의 개념도이며,
도 6의 (b)는 본 발명의 파우치형 리튬 폴리머 2차 전지에 부착된 럽처 스위치 개념도이며,
도 7의 (a)는 본 발명의 럽처 스위치가 적용된 보호 회로 및 배터리 제어 계통도이며,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용 대용량 2차 전지와 전기자동차 구동모터의 전력 계통도이며,
도 8의 (a)는 본 발명의 근접 스위치가 적용된 보호 회로 및 배터리 제어 계통도이며,
도 8의 (b)는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용 대용량 2차 전지와 전기자동차 구동모터의 전력 계통도이며,
도 9의 (a)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위치가 적용된 보호 회로 및 배터리 제어 계통도이며,
도 9의 (b)는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용 대용량 2차 전지와 전기자동차 구동모터의 전력 계통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용 2차 전지의 방폭 보호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차 전지용 팩 2:케이스 3:전극조립체 4:2차 전지 5:돌출부 6:캡 커버 7:가스배출공 8:캡 9:럽처 디스크 10:절연가스켓 20:파우치형 리튬폴리머 2차 전지 21:제 1 2차 전지 22:제 2 2차 전지 23:스위치부 24:작동유도부 31:제 1 연결체 32:제 2 연결체 33:제 1 스위치 인출선 34:제 2 스위치 인출선 35:밀봉 케이스 36:자석 41:제 1 고정접점 42:제 2 고정접점 43:가동접점 44:제 3 스위치 인출선 45:제 4 스위치 인출선 46:스프링 47:누름버튼 48:하우징 50:제 1 고정부 50-1:제 1 고정홀 50-2:제 2 고정홀 51-1:제 3 고정홀 52-1:제 4 고정홀 51:제 2 고정부 52:제 3 고정부 60:파열부 61:제 1 파열부 62:제 2 파열부 70:제 5 스위치 인출선 75:제 6 스위치 인출선 80:배터리제어기 81:출력부 90-1, 90-2 ~ 90-n:럽처 스위치 100:배터리 릴레이 코 일부 105:배터리 릴레이 접점부 106:제 1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 107:제 2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 110: 전기 자동차용 2차 전지 120:충전부 130:인버터부 140:구동모터 150-1, 150-2 ~ 150-n:근접 스위치 160-1, 160-2 ~ 160-n:마이크로 스위치

Claims (20)

  1. 하나 이상의 2차 전지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에 있어서,
    제 1 2차 전지(21)의 일면에 구비되는 스위치부(23); 및 상기 스위치부(23)와 마주보는 제 2 2차 전지(22)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부(23)가 작동하도록 하는 작동유도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스위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23)에는 근접 스위치(150-1)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유도부(24)에는 자석(36)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2차 전지(21) 및 상기 제 2 2차 전지(22)의 팽창 시 상기 근접 스위치(150-1)와 상기 자석(36)이 근접하면 상기 자석(36)의 자계에 의해 상기 근접 스위치(150-1)가 off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스위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스위치(150-1)는 밀봉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밀봉 케이스(35)의 일면에는 접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밀봉 케이스(35)의 내부에는 제 1 스위치 인출선(34)이 연결된 탄성을 가지는 제 1 연결부(31)와 제 2 스위치 인출선(33)이 연결 된 탄성을 가지는 제 2 연결부(32)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스위치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스위치(150-1)는 상기 제 1 연결부(31)와 상기 제 2 연결부(32)가 접속되어 있으면 on 상태가 되고 상기 자석(36)이 근접하면 상기 자석(36)의 자계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부(31)와 상기 제 2 연결부(32)가 이격되어 off 상태가 되며 이격된 상기 제 1 연결부(31)와 상기 제 2 연결부(32)는 상기 자석(36)이 멀어지면 원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스위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23)에는 마이크로 스위치(160-1)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유도부(24)에는 상기 제 2 2차 전지(22)가 이용되어 상기 제 1 2차 전지(21) 및 상기 제 2 2차 전지(22)의 팽창 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60-1)는 off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스위치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60-1)는 접착부를 가지는 밀봉된 하우징(48) 내에 제 3 스위치 인출선(44)이 연결된 제 1 고정접점(41), 제 2 고정접점(42) 및 제 4 스위치 인출선(45)이 연결된 가동접점(4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접점(43)의 일측 에 누름버튼(47)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48) 외부로 누름버튼(47)이 돌출되고 상기 누름버튼(47)과 동일한 위치의 상기 가동접점(43) 타측에 스프링(4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스위치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60-1)는 상기 제 1 고정접점(41)과 상기 가동접점(43)이 접속되어 있으면 on 상태가 되고 상기 제 2 2차 전지(22)가 상기 누름버튼(47)을 누르게 되어 상기 가동접점(43)이 상기 제 2 고정접점(42)과 접속되어 있으면 off 상태가 되며 상기 제 1 2차 전지(21) 및 상기 제 2 2차 전지(22)가 원상태가 되면 상기 스프링(46)에 의해 원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스위치 장치.
  8.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외부에 부착되며,
    "U"자형 금속편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전지(110)에 부착 및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홀(50-1, 50-2)을 가지는 제 1 고정부(50);
    상기 "U"자형 금속편 타 측의 한 종단에 구비되며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전지(110)에 부착 및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홀(51-1)을 가지는 제 2 고정부(51);
    상기 "U"자형 금속편 타 측의 다른 종단에 구비되며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전지(110)에 부착 및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홀(52-1)을 가지는 제 3 고정부(52);
    상기 "U"자형 금속편의 중앙에 구비되는 파열부(60); 및
    상기 제 2 고정부(51) 및 상기 제 3 고정부(52)에 부착된 제 5 스위치 인출선(70) 및 제 6 스위치 인출선(7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럽처 스위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부(60)는 제 1 파열부(61) 및 제 2 파열부(62)로 구성되며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에 설정값 이상의 변위가 발생하면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럽처 스위치.
  10. 제 8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럽처 스위치(90-1)는 상기 파열부(60)의 파단 시 발생하는 전기적인 불꽃 확산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럽처 스위치(90-1) 전면을 가소성을 가진 난연성 절연물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럽처 스위치.
  11.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2차 전지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
    상기 전기자동차의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140);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상기 구동모터(140)의 연결 및 상기 구동모터(140)의 전력을 제어하는 배터리제어기(80); 및
    상기 배터리제어기(80)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에 설 정값 이상의 변위가 발생하면 작동 및 파열되는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스위치 장치 및 럽처 스위치(90-1);를 포함하되,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의 스위치 장치 및 상기 럽처 스위치(90-1)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상기 구동모터(140)를 연결하는 릴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안전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상기 구동모터(140)를 연결하는 릴레이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전지의 스위치 장치 및 럽처 스위치(90-1)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제어기(80)에 의해 제어되는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 및
    상기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에 의해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상기 구동모터(140)의 연결을 제어하는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안전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5)는 제 1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6) 및 제 2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7)가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5)는 제 1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6) 및 제 2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7)가 상기 배터리 제어기(80)의 출력부(81)에서 출력되는 제어출력 수에 따라 복수의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에 의해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를 이용 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안전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140) 측에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에 의해 발생되는 전력이 충전되는 충전부(120); 및 상기 구동모터(140)의 속도 및 방향을 제어하는 인버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안전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제어기(80)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에 설정값 이상의 변위가 가해졌을 때 발생하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스위치 장치 및 상기 럽처 스위치(90-1)의 작동 및 파열을 감지하여 전기자동차에 경고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안전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스위치 장치 및 상기 럽처 스위치(90-1)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를 구성하는 2차 전지의 개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스위치 장치 및 럽처 스위치(70-1, 70-2 ~ 70-n)를 상기 2차 전지의 외부에 부착, 상기 2차 전지사이에 설치 또는 별도로 구비된 2차전지 고정구조물에 고정하여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를 이용 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안전장치.
  17.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스위치 장치 및 럽처 스위치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보호방법에 있어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제어기(80)에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구동모터(140)의 연결 및 상기 구동모터(140)의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S10)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에 설정값 이상의 변위가 발생하면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전지의 스위치 장치 및 상기 럽처 스위치(90-1)가 작동 및 파열되는 단계;(S20)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스위치 장치 및 상기 럽처 스위치(90-1)의 제 1 스위치 인출선(33), 제 2 스위치 인출선(34), 제 3 스위치 인출선(44), 제 4 스위치 인출선(45), 제 5 스위치 인출선(70) 및 제 6 스위치 인출선(75)을 통해 상기 스위치 장치 및 럽처 스위치(90-1)의 작동 및 파열을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가 감지하여 차단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30)
    상기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에서 자기적인 신호계통을 통해 상기 차단 제어신호 상기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5)에 전달되어 상기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5)가 제어되는 단계;(S40)
    상기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5)에 의해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상기 전기자동차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40)를 연결하는 릴레이를 제어하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보호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상기 구동모터(140)를 연결하는 릴레이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전지의 스위치 장치 및 상기 럽처 스위치(90-1)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제어기(80)에 의해 제어되는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 및
    상기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에 의해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와 상기 구동모터(140)의 연결을 제어하는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보호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5)는 제 1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6) 및 제 2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7)가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5)는 제 1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6) 및 제 2 배터리 릴레이 접점부(107)가 상기 배터리 제어기(80)의 출력부(81)에서 출력되는 제어출력 수에 따라 복수의 배터리 릴레이 코일부(100)에 의해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보호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140) 측에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110)에 의해 발생되는 전력이 충전되는 충전부(120); 및 상기 구동모터(140)의 속도 및 방향을 제어하는 인버터부(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보호방법.
KR1020070113296A 2007-11-07 2007-11-07 스위치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안전장치및 보호방법 KR101121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296A KR101121757B1 (ko) 2007-11-07 2007-11-07 스위치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안전장치및 보호방법
EP16183975.8A EP3121870B1 (en) 2007-11-07 2008-09-23 Safety apparatus and protection method of secondary battery for electric vehicle using switch
JP2010532989A JP5302970B2 (ja) 2007-11-07 2008-09-23 電気自動車用2次電池のスイッチ装置及びラプチャースイッチ
CN201210467082.1A CN102945942B (zh) 2007-11-07 2008-09-23 破裂开关以及电动车辆用蓄电池的安全装置和保护方法
CN2008801153026A CN101855747B (zh) 2007-11-07 2008-09-23 使用开关的电动车辆用蓄电池的安全装置和保护方法
US12/740,252 US8852767B2 (en) 2007-11-07 2008-09-23 Safety apparatus and protection method of secondary battery for electric vehicle using switch
EP08848027.2A EP2212939B1 (en) 2007-11-07 2008-09-23 Safety apparatus and protection method of secondary battery for electric vehicle using switch
PCT/KR2008/005644 WO2009061075A1 (en) 2007-11-07 2008-09-23 Safety apparatus and protection method of secondary battery for electric vehicle using switch
JP2013097745A JP5785213B2 (ja) 2007-11-07 2013-05-07 スイッチを利用した電気自動車用2次電池の安全装置及び保護方法
US14/506,940 US9865863B2 (en) 2007-11-07 2014-10-06 Safety apparatus and protection method of secondary battery for electric vehicle using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296A KR101121757B1 (ko) 2007-11-07 2007-11-07 스위치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안전장치및 보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240A true KR20090047240A (ko) 2009-05-12
KR101121757B1 KR101121757B1 (ko) 2012-03-23

Family

ID=40625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296A KR101121757B1 (ko) 2007-11-07 2007-11-07 스위치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안전장치및 보호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852767B2 (ko)
EP (2) EP3121870B1 (ko)
JP (2) JP5302970B2 (ko)
KR (1) KR101121757B1 (ko)
CN (2) CN101855747B (ko)
WO (1) WO2009061075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107B1 (ko) * 2013-03-22 2013-06-07 주식회사 사마스전자 배터리 과충전 방지용 안전장치
WO2015008948A1 (ko) * 2013-07-16 2015-01-2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 팩
KR20150074439A (ko) * 2013-12-24 2015-07-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과충전 안전 장치
EP2960966A1 (en) 2014-06-25 2015-12-30 SK Innovation Co., Ltd. Battery cell assembly and battery module for detecting swelling phenomenon thereof
KR20180064051A (ko) * 2016-12-05 2018-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과충전 안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6057B2 (ja) * 2010-06-25 2013-03-06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ボックスの搭載構造
KR101383167B1 (ko) * 2011-10-20 2014-04-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US8789360B2 (en) 2011-10-26 2014-07-29 Boshart Automotive Testing Services, Inc. Over temperature/pressure safety device for diesel particulate filters
EP2631969B1 (en) * 2012-02-22 2021-08-25 Autoliv Development AB Battery pack for a vehicle
JP2013222582A (ja) * 2012-04-16 2013-10-28 Sony Corp 二次電池、電池パック、電動車両、電力貯蔵システム、電動工具および電子機器
DE102012208470A1 (de) * 2012-05-21 2013-11-21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bkoppeln und/oder Überbrücken von Anschlüssen für eine Batteriezelle
DE102013108641A1 (de) * 2012-08-16 2014-02-20 Autoliv Development Ab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Gas zum Aufblasen eines Airbags
KR20140032165A (ko) * 2012-09-06 2014-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 배터리모듈 안전장치
CN103770612B (zh) * 2012-10-23 2016-05-25 潘世澄 电动汽车的安全保护装置
CN103138023A (zh) * 2013-02-27 2013-06-05 杭州万好万家动力电池有限公司 一种防过充锂离子电池组
KR101449306B1 (ko) * 2013-06-28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과충전 보호장치
KR20150057732A (ko) * 2013-11-20 2015-05-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보호 장치
JP6199723B2 (ja) * 2013-12-12 2017-09-20 株式会社東芝 電池パック、電池パックセルの膨らみ検知システム、蓄電装置及び自動車
KR20150071571A (ko) * 2013-12-18 2015-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CN106165187B (zh) * 2014-03-31 2018-10-12 东洋橡胶工业株式会社 密闭型二次电池用变形检测传感器
JP6265847B2 (ja) * 2014-06-27 2018-01-24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密閉型二次電池の変形検出センサ、密閉型二次電池、及び、密閉型二次電池の変形検出方法
CN104269822A (zh) * 2014-09-11 2015-01-07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9947497B2 (en) 2014-09-30 2018-04-1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Integrated connector having sense and switching conductors for a relay used in a battery module
US10926326B2 (en) * 2014-10-05 2021-02-23 Yazaki Corporation 3D printers and feedstocks for 3D printers
KR101649552B1 (ko) 2014-10-28 2016-08-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과충전 방지장치가 장착된 배터리모듈 및 배터리모듈용 과충전 방지장치
KR102421778B1 (ko) * 2014-11-14 2022-07-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충전 장치
CN106842043A (zh) * 2016-12-28 2017-06-13 国联汽车动力电池研究院有限责任公司 用于锂离子电池安全等级评价的测试方法
WO2018120732A1 (zh) * 2016-12-30 2018-07-0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电池组的保护装置、电池组及车辆
KR102144922B1 (ko) * 2017-05-08 2020-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폭발방지 장치, 배터리 팩 및 작동 방법
CN107403895B (zh) * 2017-08-30 2024-05-07 南京善若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电池盖帽拉断开启结构
KR102415271B1 (ko) 2017-09-22 2022-07-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스웰링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CN108134037A (zh) * 2018-01-30 2018-06-08 王国成 一种动力电池的连接装置
EP3591739A1 (de) * 2018-07-03 2020-01-08 Hilti Aktiengesellschaft Sicherheitseinrichtung für batteriepacks mit pouchzellen durch mechanische stromunterbrecher
KR102295232B1 (ko) * 2019-09-03 2021-08-31 파이어킴 주식회사 배터리 폭발 방지를 위한 캡슐형 소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JP7213944B2 (ja) * 2019-09-27 2023-01-27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それを含む自動車
US11359981B2 (en) 2020-05-04 2022-06-14 Cirque Corporation Resistance sensor for battery swell detection
EP3940858A1 (de) * 2020-07-16 2022-01-19 Hilti Aktiengesellschaft Akkupack mit pouchzelle und verfahren
US11811032B2 (en) 2020-10-07 2023-11-07 Cirque Corporation Battery swell detection
KR102524183B1 (ko) * 2020-10-16 2023-04-21 에코브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충전 스테이션의 부하 밸런싱 장치 및 그 방법
US11575163B2 (en) 2021-06-23 2023-02-07 Cirque Corporation Battery swell detection with an electrically conductive dome
US20230147262A1 (en) * 2021-11-09 2023-05-11 Hand Held Products, Inc. Battery fault detection assemblie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2129C (ko) * 1947-03-14
US5221861A (en) * 1989-11-20 1993-06-22 Kinsell David A Voltage maintenance system
JPH0974610A (ja) * 1995-09-01 1997-03-18 Mitsubishi Motors Corp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の過充電防止装置
JPH11265699A (ja) 1998-03-18 1999-09-28 Asahi Chem Ind Co Ltd 薄型電池
JP2000231912A (ja) * 1999-02-15 2000-08-22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二次電池の安全弁装置
JP2002117911A (ja) * 2000-10-06 2002-04-19 Nec Mobile Energy Kk 電池搭載機器
JP2002289265A (ja) * 2001-03-23 2002-10-04 Mitsubishi Heavy Ind Ltd リチウム二次電池の監視装置
EP1406340B1 (en) * 2001-06-05 2008-07-23 GS Yuasa Corporation Storage battery device and power source apparatus comprising it
JP2003036890A (ja) * 2001-07-24 2003-02-07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及び電気自動車
GB2385182B (en) * 2002-02-06 2006-06-21 Mechan Controls Ltd Safety switching devices
JP2004039512A (ja) * 2002-07-05 2004-02-05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池
JP2004198217A (ja) * 2002-12-18 2004-07-15 Honda Motor Co Ltd 容器の内圧監視装置、内圧の監視を可能にした容器、及び寿命の予測を可能にしたコンデンサ
JP2004319463A (ja) * 2003-03-28 2004-1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二次電池
KR100572703B1 (ko) * 2004-05-10 2006-04-24 주식회사 코캄 안전장치를 구비한 배터리
KR100702800B1 (ko) * 2004-06-14 2007-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을 향상시킨 이차전지
KR100579377B1 (ko) * 2004-10-28 2006-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2006269345A (ja) * 2005-03-25 2006-10-05 Nec Lamilion Energy Ltd 過電圧検出方法、装置及びバッテリパック
EP1878071B1 (en) * 2005-05-02 2012-08-15 Lg Chem, Ltd. Improved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of increased safety
JP4701821B2 (ja) * 2005-05-02 2011-06-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負荷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車両
CN100570928C (zh) * 2005-09-07 2009-12-16 株式会社Lg化学 使用安全元件的二次电池
JP5780694B2 (ja) 2006-02-20 2015-09-1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高効率操作ハイブリッド型電池パック
KR100899284B1 (ko) * 2006-03-13 2009-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간단한 구조의 안전수단을 구비한 전지모듈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107B1 (ko) * 2013-03-22 2013-06-07 주식회사 사마스전자 배터리 과충전 방지용 안전장치
WO2015008948A1 (ko) * 2013-07-16 2015-01-2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 팩
KR20150009650A (ko) * 2013-07-16 2015-01-27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 팩
US10014560B2 (en) 2013-07-16 2018-07-03 Sk Innovation Co., Ltd. Secondary battery pack
KR20150074439A (ko) * 2013-12-24 2015-07-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과충전 안전 장치
US9893344B2 (en) 2013-12-24 2018-02-13 Hyundai Motor Company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overcharging of battery
EP2960966A1 (en) 2014-06-25 2015-12-30 SK Innovation Co., Ltd. Battery cell assembly and battery module for detecting swelling phenomenon thereof
KR20160000742A (ko) 2014-06-25 2016-01-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셀 조립체와 이 배터리 셀 조립체의 스웰링 현상을 감지하는 배터리 모듈
KR20180064051A (ko) * 2016-12-05 2018-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과충전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12939A4 (en) 2013-12-25
WO2009061075A1 (en) 2009-05-14
CN101855747B (zh) 2013-05-29
US20150093604A1 (en) 2015-04-02
JP2013233077A (ja) 2013-11-14
JP5302970B2 (ja) 2013-10-02
KR101121757B1 (ko) 2012-03-23
EP3121870B1 (en) 2018-08-01
US8852767B2 (en) 2014-10-07
US20100247980A1 (en) 2010-09-30
US9865863B2 (en) 2018-01-09
CN102945942A (zh) 2013-02-27
EP2212939B1 (en) 2016-09-14
CN101855747A (zh) 2010-10-06
JP2011505650A (ja) 2011-02-24
EP3121870A1 (en) 2017-01-25
JP5785213B2 (ja) 2015-09-24
EP2212939A1 (en) 2010-08-04
CN102945942B (zh)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757B1 (ko) 스위치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안전장치및 보호방법
US8547069B2 (en) Safety switch for secondary battery module for electric vehicle and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for secondary battery module for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JP5952418B2 (ja) 安全性の向上した電池パック
KR101359310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KR100881641B1 (ko) 안전 시스템을 구비한 중대형 전지팩
KR20140042269A (ko) 이차 전지용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
KR20090026418A (ko) 이차전지
KR20150080123A (ko)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JP5152098B2 (ja) 密閉型二次電池
KR20040110535A (ko) 파열기구를 구비한 이차전지 조립체
KR20150068845A (ko) 전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KR102447727B1 (ko) 전류 차단 장치 및 그 플립핑 부재,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셀, 배터리 모듈, 파워 배터리 및 전기 자동차
JP2007095498A (ja) 電池パックの安全性システム
KR101999610B1 (ko) 과충전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베터리
US20240128616A1 (en) Battery pack
KR20240066051A (ko) 이차 전지
KR20200097329A (ko) 배터리 시스템 및 전기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