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232B1 - 배터리 폭발 방지를 위한 캡슐형 소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 Google Patents

배터리 폭발 방지를 위한 캡슐형 소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232B1
KR102295232B1 KR1020190108651A KR20190108651A KR102295232B1 KR 102295232 B1 KR102295232 B1 KR 102295232B1 KR 1020190108651 A KR1020190108651 A KR 1020190108651A KR 20190108651 A KR20190108651 A KR 20190108651A KR 102295232 B1 KR102295232 B1 KR 102295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capsule
battery
forced exhaust
typ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7786A (ko
Inventor
김병열
Original Assignee
파이어킴 주식회사
김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어킴 주식회사, 김병열 filed Critical 파이어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8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232B1/ko
Priority to US17/007,685 priority patent/US20210060369A1/en
Priority to CN202010903471.9A priority patent/CN112448071A/zh
Priority to JP2020148116A priority patent/JP6999762B2/ja
Priority to EP20194245.5A priority patent/EP3789088A1/en
Publication of KR20210027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3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expelled by compressed gas, taken from storage tanks, or by generating a pressure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1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controlled by a signal from the danger zone
    • A62C35/13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controlled by a signal from the danger zone with a finite supply of extinguish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1Bi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배터리 폭발 방지를 위한 캡슐형 소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가 개시된다. 캡슐형 소화장치는, 내부에 외부 열에 의해서 팽창 및 폭발하여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화재를 소화시키는 소화물질이 구비되는 소화캡슐, 상기 소화캡슐을 배터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소화캡슐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소화캡슐과 상기 배터리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을 파괴시키는 강제 배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배터리 폭발 방지를 위한 캡슐형 소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CAPSULE TYPE FIRE EXTINGUISHER FOR PREVENTING BATTERY EXPLOSION AND BATTERY HAVING THE FIRE EXTINGUISHER }
이하의 설명은 배터리의 폭발 방지를 위한 캡슐형 소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자동차,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이차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이차전지를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여 용량과 출력을 높인 배터리 팩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편, 고성능 및 고용량의 배터리 팩의 경우, 과충전 및 과전류에 의한 화재와 폭발의 위험성이 있다. 배터리 팩에는 화재와 폭발 가능성을 감지하기 위해서 온도 센서 및 전류, 전압 센서 등을 이용하고 있고, 화재가 감지되면 소화를 위한 소화기가 배터리 팩과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배터리 팩과 별도로 소화기를 설치하는 경우, 설치가 복잡하고, 감지가 어렵다. 또한, 배터리가 폭발하여 화재가 발생하면 피해가 크기 때문에, 배터리에서 화재 및 폭발이 발생하기 전의 초기 상태에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소화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배터리에 간단하게 설치 가능하며, 화재 또는 열에 의해 배터리가 팽창할 때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소화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내용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인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실시예의 목적은, 배터리 폭발 방지를 위한 캡슐형 소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소화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배터리 폭발 방지를 위한 캡슐형 소화장치는, 내부에 외부 열에 의해서 팽창 및 폭발하여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화재를 소화시키는 소화물질이 구비되는 소화캡슐, 상기 소화캡슐을 배터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소화캡슐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소화캡슐과 상기 배터리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을 파괴시키는 강제 배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강제 배기부는, 전기 신호 또는 열에 의해서 형상이 변형되는 바이메탈 금속이나 형상기억 합금 및 플라스틱 소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강제 배기부는, 전기 신호 또는 열에 의해서 형상이 변형되는 바이메탈 금속이나 형상기억 합금 및 플라스틱 소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적어도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이 전기 신호 또는 열에 의해서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상기 소화캡슐 및 상기 배터리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을 향해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강제 배기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화캡슐의 내부 또는 상기 소화캡슐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강제 배기부는, 상기 소화캡슐과 상기 배터리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제 배기부는, 상기 소화캡슐 및 상기 배터리 양측 모두를 파괴시키도록 상기 돌출부가 양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강제 배기부는, 상기 소화캡슐과 상기 배터리 사이에 구비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는, 금속 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며, 불연 및 난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캡슐형 소화장치를 구비하는 배터리는, 복수의 단위 셀 및 상기 각 단위 셀에 구비되는 캡슐형 소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형 소화장치는, 내부에 외부 열에 의해서 팽창 및 폭발하여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화재를 소화시키는 소화물질이 구비되는 복수의 소화캡슐 및 상기 각 소화캡슐의 어느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각 소화캡슐과 상기 단위 셀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을 파괴시키는 강제 배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각 소화캡슐들에 연결되는 공급 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 배관에도 상기 강제 배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강제 배기부는, 전기 신호 또는 열에 의해서 형상이 변형되는 바이메탈 금속이나 형상기억 합금 및 플라스틱 소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제 배기부는, 전기 신호 또는 열에 의해서 형상이 변형되는 바이메탈 금속이나 형상기억 합금 및 플라스틱 소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적어도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강제 배기부는, 상기 각 상기 소화캡슐의 내부 또는 상기 소화캡슐과 상기 단위 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슐형 소화장치는, 상기 각 소화캡슐을 각 단위 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금속 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며, 불연 및 난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제 배기부는, 상기 소화캡슐과 상기 단위 셀 사이에 구비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캡슐형 소화장치는, 배터리에 구비되어서 소화캡슐 및 배터리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을 파손시킴으로써 배터리의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
캡슐형 소화장치는 소화물질을 수용하는 캡슐 형태의 소화캡슐로 구성되므로, 크기가 작고, 구조가 단순하며, 사용 및 설치 환경에 따라 그 형태와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온도 이상에서 소화물질의 기화에 의해서 소화캡슐이 자동으로 파괴될 뿐만 아니라, 소정의 전기 신호 또는 열에 의해서 소화캡슐과 배터리를 강제로 파괴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의 폭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를 위한 캡슐형 소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소화장치가 부착된 배터리의 정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소화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소화장치에서 강제 배기부의 모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소화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소화장치가 적용된 배터리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소화장치(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소화장치(10)가 부착된 배터리(1)의 정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소화장치(10)의 단면도들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소화장치(10)에서 강제 배기부(12)의 모식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소화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캡슐형 소화장치(10)는, 소화물질(110)이 수용되는 소화캡슐(11)과, 소화캡슐(11)을 배터리(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3)와, 소화캡슐(11) 및 배터리(1)를 파괴시키는 강제 배기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소화물질(110)은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기화되어서 화재를 소화시킬 수 있는 물질이다. 소화물질(110)은 액상, 분말 등의 상태일 수 있다.
소화캡슐(11)은 소정 온도 이상에서 소화물질(110)이 기화되면서 팽창되면 파열되어서 소화물질(110)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된다. 다만, 소화캡슐(11)의 형상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화캡슐(11)의 형상은 사용 환경 및 설치 환경에 따라 그 형태와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고정부재(13)는 소화캡슐(11)을 배터리(1)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13)는 금속 또는 폴리머 재질로 형성되며, 불연성 또는 난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3)는 소화캡슐(11)에서 고정시키고자 하는 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고정부재(13)의 형상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강제 배기부(12)는 소화캡슐(11)의 일 측에 구비되어 소화캡슐(11)과 배터리(1)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을 파괴시킨다. 여기서, 강제 배기부(12)는 소화캡슐(11)을 파괴하거나, 배터리(1)를 파괴하거나, 소화캡슐(11)과 배터리(1)의 양측 모두를 파괴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강제 배기부(12)는 소화캡슐(11)의 내부 또는 소화캡슐(11)의 외측 또는, 소화캡슐(11)과 배터리(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제 배기부(12)는 소화캡슐(11) 내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강제 배기부(12)는 소화캡슐(11)의 내부에 구비되되 소화캡슐(11)을 파괴시킬 수 있도록 소화캡슐(11)의 벽(110)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도면에서는 강제 배기부(12)가 소화캡슐(11)의 배면 측(111b)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표면 측(111a)에 가까운 위치 또는 측면 측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제 배기부(12)는 소화캡슐(11)의 배면 측(111b)(즉, 배터리(1)에 장착되는 측의 면)에 구비된다. 또한, 강제 배기부(12)는 소화캡슐(11)의 벽(111)의 외측에 구비되거나, 벽(111)을 관통 또는 벽(111)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제 배기부(12)는 소화캡슐(11)의 표면 측(111a)(즉, 소화캡슐(11)에서 배면 측(111b)과 반대쪽의 면)에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강제 배기부(12)는 소화캡슐(11)의 표면 측(111a)의 벽(111) 외측에 구비되거나, 벽(111)을 관통 또는 벽(111)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제 배기부(12)는 고정부재(13)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재(13)에서 소화캡슐(11)과 배터리(1) 사이의 위치에 홈(13a)이 형성되고, 상기 홈(13a)에 강제 배기부(12)가 구비됨에 따라, 소화캡슐(11)과 배터리(1) 중 적어도 일 측을 파괴시킬 수 있다.
강제 배기부(12)는 소화캡슐(11) 또는 배터리(1)를 파괴시킬 수 있도록 돌출부(121)가 형성되고, 돌출부(121)를 소화캡슐(11) 또는 배터리(1)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지지 프레임(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강제 배기부(12)는, 적어도 지지 프레임(122)이 전기 신호 또는 열에 의해서 형상이 변형되는 바이메탈 금속이나 형상기억 합금 및 플라스틱 소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된다. 즉, 강제 배기부(12)는, 전기 신호 또는 열에 의해서 지지 프레임(122)이 변형됨에 따라 돌출부(121)를 소화캡슐(11)과 배터리(1)에 대해서 가압함으로써, 소화캡슐(11)과 배터리(1)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을 파괴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제 배기부(12)는, 소화캡슐(11)과 배터리(1) 사이에 구비되어서, 소화캡슐(11) 및 배터리(1) 양측 모두를 파괴시키도록 돌출부(121)가 양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1)가 열에 의해서 팽창하였을 때, 강제 배기부(12)가 배터리(1)에 대해서 충격을 가함으로써 배터리(1)의 팽창을 억제하여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소화캡슐(11)에 대해서도 충격을 가함으로써 소화캡슐(11)을 파괴시켜서 소화물질(110)을 배출시킴으로써 화재 발생을 방지 및 소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강제 배기부(12)는, 소화캡슐(11)에 대해서 파괴시키도록 돌출부(121)가 형성되거나, 배터리(1)에 대해서 파괴시키도록 돌출부(121)가 형성될 수도 있다.
강제 배기부(12)는 지지 프레임(122)에 대해서 탄성력을 가하도록 탄성 지지부(123)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1개의 셀로 이루어지는 배터리(1)에 적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캡슐형 소화장치(10)는 복수의 단위 셀(1a)을 포함하는 배터리(1)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배터리(1)는 복수의 단위 셀(1a)을 포함하고, 복수의 단위 셀(1a)을 수용하는 하우징(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배터리(1)는 단위 셀(1a)을 제외한 구성 요소들은 생략하여서 간략화하여 도시하였다.
각 단위 셀(1a)에는 캡슐형 소화장치(10)가 구비된다.
여기서, 각 캡슐형 소화장치(10)는 독립적으로 구비되거나, 소화물질(110)을 공급하는 공급 배관(102)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는 공급 배관(102)에 소화물질(110)을 공급하는 공급 탱크(101)도 구비될 수 있다.
캡슐형 소화장치(10)는 각 단위 셀(1a) 및 공급 배관(102)에도 구비될 수 있다.
각 단위 셀(1a)에 구비되는 캡슐형 소화장치(10)의 위치 및 동작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작동할 수 있다. 즉, 캡슐형 소화장치(10)는 각 소화캡슐(11)의 일 측에 구비되어서, 소화캡슐(11) 및/또는 각 단위 셀(1a)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을 파괴시킨다. 따라서, 캡슐형 소화장치(1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공급 배관(102)에도 강제 배기부(12)가 구비된다. 공급 배관(102)에 구비되는 강제 배기부(12)는 각 단위 셀(1a)에 구비되는 강제 배기부(12)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강제 배기부(12)는, 전기 신호 또는 열에 의해서 형상이 변형되는 바이메탈 금속이나 형상기억 합금 및 플라스틱 소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122)과 상기 지지 프레임(122)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21)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강제 배기부(12)는, 전기 신호 또는 열에 의해서 형상이 변형되어서 공급 배관(102)을 파괴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위 셀(1a)이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어서 팽창하면, 강제 배기부(12)가 단위 셀(1a) 및 상기 단위 셀(1a)에 구비된 소화캡슐(11)에 충격을 가하여 단위 셀(1a) 및 소화캡슐(11)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을 파괴시켜서 단위 셀(1a)의 팽창을 억제하여 폭발을 방지하거나, 소화캡슐(11)에서 방출되는 소화물질(110)에 의해서 화재 발생을 방지 및 소화시킬 수 있다. 또는 소정의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단위 셀(1a)에 구비된 강제 배기부(12)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단위 셀(1a)이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단위 셀(1a) 주변의 공급 배관(102) 역시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됨에 따라, 공급 배관(102)에 구비된 강제 배기부(12)가 작동하여 공급 배관(102)을 파괴하여, 소화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
또는, 단위 셀(1a)이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었을 때, 소정의 전기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단위 셀(1a)에 구비된 강제 배기부(12)와 공급 배관(102)에 구비된 강제 배기부(12)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캡슐형 소화장치(10)는 일정 온도 이상에서 팽창하는 소화물질(110)을 수용하는 소화캡슐(11)로 구성되므로, 크기가 작고, 구조가 단순하며, 사용 및 설치 환경에 따라 그 형태와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소화물질(110)에 의한 소화캡슐(11)의 파괴 뿐만 아니라, 강제 배기부(12)가 소정의 전기 신호 또는 열에 의해서 소화캡슐(11)과 배터리(1)를 강제로 파괴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의 폭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배터리
1a: 단위 셀
100: 배터리 하우징
101: 소화물질의 공급 탱크
102: 소화물질의 공급 배관
10: 캡슐형 소화장치
11: 소화캡슐
110: 소화물질
111: 소화캡슐의 벽
111a: 표면 측
111b: 배면 측
12: 강제 배기부
121: 돌출부
122: 지지 프레임
123: 탄성 지지부
13: 고정부재
13a: 홈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복수의 단위 셀; 및
    상기 각 단위 셀에 구비되는 캡슐형 소화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형 소화장치는,
    내부에 외부 열에 의해서 팽창 및 폭발하여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화재를 소화시키는 소화물질이 구비되는 복수의 소화캡슐;
    상기 복수의 소화캡슐들을 연결하는 공급 배관; 및
    상기 각 소화캡슐과 별도의 개체로 형성되어 상기 각 소화캡슐, 상기 각 단위 셀, 상기 공급 배관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고, 전기 신호 또는 열에 의해서 형상이 변형되는 바이메탈 금속이나 형상기억 합금 및 플라스틱 소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며 전기 신호 또는 열에 의해서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상기 각 소화캡슐과 상기 각 단위 셀 및 상기 공급 배관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을 파괴시키는 강제 배기부;
    를 포함하는 캡슐형 소화장치를 구비하는 배터리.
  11. 삭제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배기부는,
    전기 신호 또는 열에 의해서 형상이 변형되는 바이메탈 금속이나 형상기억 합금 및 플라스틱 소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적어도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를 포함하는 캡슐형 소화장치를 구비하는 배터리.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배기부는, 상기 각 상기 소화캡슐의 내부 또는 상기 소화캡슐과 상기 단위 셀 사이에 구비되는 캡슐형 소화장치를 구비하는 배터리.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소화장치는, 상기 각 소화캡슐을 각 단위 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금속 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며, 불연 및 난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캡슐형 소화장치를 구비하는 배터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배기부는,
    상기 소화캡슐과 상기 단위 셀 사이에 구비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되는 캡슐형 소화장치를 구비하는 배터리.
KR1020190108651A 2019-09-03 2019-09-03 배터리 폭발 방지를 위한 캡슐형 소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KR102295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651A KR102295232B1 (ko) 2019-09-03 2019-09-03 배터리 폭발 방지를 위한 캡슐형 소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US17/007,685 US20210060369A1 (en) 2019-09-03 2020-08-31 Capsule type fire extinguisher for preventing battery explosion and battery having the fire extinguisher
CN202010903471.9A CN112448071A (zh) 2019-09-03 2020-09-01 用于防止电池爆炸的胶囊式灭火装置及具有其的电池
JP2020148116A JP6999762B2 (ja) 2019-09-03 2020-09-03 バッテリ爆発の防止のためのカプセル型消火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バッテリ
EP20194245.5A EP3789088A1 (en) 2019-09-03 2020-09-03 Capsule type fire extinguisher for preventing battery explosion and battery having the fire extingui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651A KR102295232B1 (ko) 2019-09-03 2019-09-03 배터리 폭발 방지를 위한 캡슐형 소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786A KR20210027786A (ko) 2021-03-11
KR102295232B1 true KR102295232B1 (ko) 2021-08-31

Family

ID=72355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651A KR102295232B1 (ko) 2019-09-03 2019-09-03 배터리 폭발 방지를 위한 캡슐형 소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060369A1 (ko)
EP (1) EP3789088A1 (ko)
JP (1) JP6999762B2 (ko)
KR (1) KR102295232B1 (ko)
CN (1) CN1124480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020B1 (ko) * 2022-04-11 2022-12-22 주식회사 동명기업 화재방지 및 초기 진압을 위한 배터리 보관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210820A1 (en) * 2021-10-29 2023-05-04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
CN114069167B (zh) * 2022-01-18 2022-06-07 江苏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二次电池、电池模块、电池包和用电装置
CN115531770B (zh) * 2022-03-31 2023-08-08 江西新威动力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灭火机构
CN114796935B (zh) * 2022-03-31 2023-02-17 江西新威动力能源科技有限公司 自灭火型动力电池
CN114788938B (zh) * 2022-03-31 2023-01-06 江西新威动力能源科技有限公司 快速响应式动力电池火灾灭火装置
KR102556107B1 (ko) * 2023-03-08 2023-07-18 주식회사 루나볼트 소화필름을 구비한 배터리모듈
KR102556108B1 (ko) * 2023-03-08 2023-07-18 주식회사 루나볼트 소화필름을 구비한 방수 방폭용 하드케이스 배터리모듈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5577A (ja) * 2000-09-19 2002-03-26 Grand Forum:Kk 自動消火装置
JP2018206656A (ja) * 2017-06-07 2018-12-27 アクソンデータマシン株式会社 エンジン始動補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1442A (ja) * 2003-04-24 2004-11-18 Hidenobu Wakamatsu 消火方法とその消火装置
KR100853618B1 (ko) * 2006-01-04 2008-08-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중대형 전지팩
KR101121757B1 (ko) * 2007-11-07 2012-03-2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스위치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안전장치및 보호방법
JP5181743B2 (ja) * 2008-03-11 2013-04-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力供給機器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0097836A (ja) * 2008-10-17 2010-04-30 Panasonic Corp 電池パック、それを電源として用いた電子機器、及び電池パック用ケース
KR101097101B1 (ko) * 2009-12-29 2011-12-22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폭발방지수단을 구비하는 이차전지
JP5530882B2 (ja) * 2010-09-29 2014-06-25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DE102011075318A1 (de) * 2011-05-05 2012-11-08 Sb Limotive Company Ltd. Batteriegehäuse für Lithium-Ionen-Zellen
EP2541666B1 (en) * 2011-07-01 2014-08-20 Autoliv Development AB A battery safety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KR101605936B1 (ko) * 2013-05-02 2016-03-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배터리 셀 내부의 가스 배출이 가능한 배터리 팩
CN104064692B (zh) * 2014-02-18 2016-03-02 浙江超威创元实业有限公司 带灭火装置的锂电池
JP6409702B2 (ja) * 2015-07-17 2018-10-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衝突検知装置及びその検査方法
CN106159152A (zh) * 2016-08-30 2016-11-23 南通鼎鑫电池有限公司 一种预防锂电池膨胀爆炸的安全装置
JP2018085245A (ja) * 2016-11-24 2018-05-31 技術研究組合リチウムイオン電池材料評価研究センター 電池用短絡試験装置及び電池の短絡試験方法
KR101984817B1 (ko) * 2017-05-11 2019-05-31 주식회사 대경산전 에너지 저장시스템용 자동소화장치
CN207474524U (zh) * 2017-09-29 2018-06-08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及其电池箱、电池模组、灭火部件、灭火容器
JP3215506U (ja) * 2017-12-22 2018-03-29 潔 石原 消火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5577A (ja) * 2000-09-19 2002-03-26 Grand Forum:Kk 自動消火装置
JP2018206656A (ja) * 2017-06-07 2018-12-27 アクソンデータマシン株式会社 エンジン始動補助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020B1 (ko) * 2022-04-11 2022-12-22 주식회사 동명기업 화재방지 및 초기 진압을 위한 배터리 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48071A (zh) 2021-03-05
JP6999762B2 (ja) 2022-01-19
EP3789088A1 (en) 2021-03-10
KR20210027786A (ko) 2021-03-11
JP2021037289A (ja) 2021-03-11
US20210060369A1 (en)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5232B1 (ko) 배터리 폭발 방지를 위한 캡슐형 소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KR102123684B1 (ko) 소화 기능을 갖춘 ess 배터리 장치
CN101855747B (zh) 使用开关的电动车辆用蓄电池的安全装置和保护方法
JP4907362B2 (ja) 安全装置を備えた中型又は大型バッテリーパック
TWI308877B (en) Fire extinguisher kit,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0614393B1 (ko) 발열시 알람이 작동하는 배터리 팩
JP6804662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
JP2016092007A (ja) 二次電池の熱暴走抑止システム
JP2018538655A5 (ko)
KR20200087956A (ko) 화재확산 방지기능이 강화된 외장 컨테이너형 에너지저장장치시스템
KR101915298B1 (ko) 파우치형 소화장치
KR20210090965A (ko) 흡수 부재를 포함한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시스템
KR20210109315A (ko) 배터리 팩, 그것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시스템
CN210583451U (zh) 储能电池包的灭火降温装置
KR102336357B1 (ko) 인젝션 노즐 타입의 배터리모듈용 소화장치
KR102535429B1 (ko) 배터리 안전 충전 장치
KR102341404B1 (ko) 배터리 모듈
CN112701414B (zh) 电池模块
KR100989969B1 (ko) 배터리 팩의 고온 폭발 방지 장치
KR102466536B1 (ko)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
KR102231212B1 (ko) 에너지 저장 장치용 배터리 카트리지
KR102675950B1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KR101567651B1 (ko)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KR102623519B1 (ko) 화염을 외부로 유도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KR102466535B1 (ko) 보조 소화수단이 구비된 장비 부착형 자동 소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