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212B1 - 에너지 저장 장치용 배터리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에너지 저장 장치용 배터리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212B1
KR102231212B1 KR1020190124254A KR20190124254A KR102231212B1 KR 102231212 B1 KR102231212 B1 KR 102231212B1 KR 1020190124254 A KR1020190124254 A KR 1020190124254A KR 20190124254 A KR20190124254 A KR 20190124254A KR 102231212 B1 KR102231212 B1 KR 102231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ies
metal plates
cartridge
battery
energy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일
박용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124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2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장치용 배터리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복수(소집단)의 배터리를 수용한 카트리지를 제공하되,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배터리가 수용된 카트리지 복수를 연이어 연결할 수 있는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구성은
복수의 배터리(20)를 하나의 카트리지(100)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100) 측면에 복수의 카트리지(100)가 연이어 끼워지는 착탈홈(110)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배터리(20) 사이에 여러가지 이유로 배터리(20) 측벽이 부풀어 오를 경우 압박을 받아 수축하는 에어백(120)과 상기 에어백(120)과 에어관(130)으로 연통되어 설치된 에어실린더(140)와,
상기 에어실린더(140)의 로드(140a)에 압박을 받으면 센싱에 의해 센서(150)를 설치한 구성이다.

Description

에너지 저장 장치용 배터리 카트리지{ENERGY STORAGE DEVICE MODULE}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장치용 배터리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복수(소집단)의 배터리를 수용한 카트리지를 제공하되,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배터리가 수용된 카트리지 복수를 연이어 연결할 수 있는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과,
또, 지진에 의한 변형, 지반침하로 인한 에너지저장 장치의 함체내에 이상 현상이 발생할 경우 복수의 배터리를 연이어 연결시킨 금속판에 과전류가 흐르거나 다른 여러가지 이유로 단락(합선)되며 화재로 이어지는데 이처럼 단락되는 경우 금속판이 용이하게 단선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에너지 저장 장치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작은 배터리 수십(대집단)개를 서로 연이어 결선시켜 하나의 함체에 수용한다.
그러다 보니 배터리가 흔들리고 그로 인해 충돌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 일반적으로 에너지 저장 장치는 수개의 배터리를 연이여 결선시켜 함체에 수용하는데 이 함체가 지진에 의해 변형, 지반침하로 인한 함체내의 이상 현상이 발생할 경우 배터리 결선부분이 접지가 헐거워지는 경우 그 접지부분에서 아크가 발생하여 화재로 이어진다. 이 경우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 Energy Storage System)은 에너지를 배터리처럼 저장해서 언제든 꺼내 쓸 수 있는 저장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지금까지의 전기에너지는 생산과 저장의 차이가 있으므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생산이 함께 움직여줘야 하는데 ESS는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저장해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에너지 생산에 대한 여유를 가질 수 있게 해준다.
그래서 ESS가 활성화되면 비교적 에너지 소비량이 적은 새벽에 생산되는 에너지를 저장하여 에너지 공급이 몰릴 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에너지 생산 가동률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미미하게 모이는 신재생에너지를 축적하여 에너지를 나눠 쓸 수 있기 때문에 지금의 전력난을 많이 해소시킬 수 있는 중요한 에너지 시스템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 중 제주도에서 펼쳐지는 ESS 실증 사업은 한 개의 변전소와 맞먹는 규모의 8메가와트급으로 진행되고 있어 전력난을 해소해 줄 수 있는 것으로 기대가 되고 있다.
근래 국가적 차원에서 에너지 확보를 위한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정책으로 풍력, 태양광 등의 에너지 생산설비가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신재생 에너지는 화석에너지의 고갈문제와 환경문제에 대한 핵심 해결방안이라는 점에서 선진국을 비롯하여 각 국가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중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발전시키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공해가 없고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 등으로 인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는 태양광 발전시스템 단독으로만 운전하는 독립형 발전 시스템과, 태양광 발전시스템과 상용전력 계통과 연계하여 운전하는 계통연계형 발전 시스템 두 종류가 있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컨버터와 인버터는 시스템 설계시 설정된 전격전압이나 전격전류에 따라 내부회로 소자가 결정된다. 이 경우 용량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용량 확장이 요청되는 경우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므로 공간적, 소비전력 면에서 어려운 점이 있다.
그 중에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84214호(계통 연계형 전력저장시스템 및 전력저장시스템 제어방법)에서는 공간 및 소비전력을 개선하면서 용량을 확장할 수 있는 전력 저장 시스템에 대하여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소비전력을 개선하면서 용량을 확장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방재 기능이 없어 화재를 예방하거나 상황을 모니터링 하는 기술적인 부분이 존재하지 않아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미연에 화재를 방지할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면 고가의 에너지 저장 장치 전체가 전소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에너지 저장 장치의 구성을 더 살펴보면, 랙에 복수의 트레이가 직렬로 결선되고 상기 트레이 내부에 복수의 충전지(배터리)가 수용되어 충전지와 충전지 사이를 금속판에 의해 직렬로 결선되어 있다.
따라서 지진에 의한 변형, 지반침하로 인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함체(랙이라 칭함) 내에 수용된 트레이가 흔들릴 때 복수의 배터리 또한 흔들리는데 이때 배터리와 배터리를 결선하는 결선회로가 배터리의 단자로부터 훨거워지는데 이 경우 복수로 겹쳐진 복수의 금속판(도 4 참조)이 흔들려 아크가 발생하고 그 이유로 화재로 이어진다.
상기 복수의 금속판이란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배터리(20)가 금속판(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흔들릴
경우 금속판(2)이 탄성력을 갖도록 얇은 철판을 여러장 겹친 구성이다.
그러므로 헐거워질 경우 금속판과 금속판 사이에서 아크가 발생할 확률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은 종래기술이다.
그러므로 금속판이 헐거워지면 아크가 발생하고 그로 인해 에너지 저장 장치 전체가 전소되는 것이다.
특히 여러장의 금속판이 밀착(하나의 금속판 처럼)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상기 금속판에 과전류가 흐르면 쉽게 단선되지 않아 과부하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배터리가 수용된 카트리지 복수를 연이어 연결할 수 있는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과,
그리고 본 발명은 복수의 금속판(2) 중에서 적어도 하나 내지는 두개의 금속판(2a)은 나머지 복수의 금속판과 비교할 경우 금속판 두께를 더 얇게 형성하였다.
이처럼 복수의 금속판(2) 중에서 하나 내지는 두개의 금속판(2a)을 얇게 하므로서 과전류가 흐르면 얇은 금속판(2a)이 먼저 녹아 단선된다.
그 후 나머지 복수의 금속판으로 과전류가 집중되므로
나머지 복수의 금속판(2b)이 연이어 단선되거나 동시에 단선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이상의 과제는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밝혀진다.
첨부한 도면에 의해 구성을 살펴보면,
복수의 배터리(20)를 하나의 카트리지(100)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100) 측면에 복수의 카트리지(100)가 연이어 끼워지는 착탈홈(110)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배터리(20) 사이에 여러가지 이유로 배터리(20) 측벽이 부풀어 오를 경우 압박을 받아 수축하는 에어백(120)과 상기 에어백(120)과 에어관(130)으로 연통되어 설치된 에어실린더(140)와,
상기 에어실린더(140)의 로드(140a)에 압박을 받으면 센싱하는 센서(150)를 설치한 구성이다.
다음 구성을 살펴보면 상용전력과, 상기 상용전력을 DC전원으로 변환하여 에너지 저장 장치로 출력하거나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의 DC전원을 인입받아 AC전력으로 변화하여 상용전력으로 출력하는 인버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100)를 수용하는 함체(200)를 제공하되 상기 함체(200)는 상기 함체(200)의 사방 내부 벽면에 복수의 연질재질(210)이 사방에 일정간격으로 부착된 구성이다.
상기 연질재질(210)은 함체(200)가 내진으로 인해 흔들일 경우 배터리(20)가 충격을 받지 않록 쿠션(210a)을 갖도록 한다.
상기 연질재질(210)은 사각형으로 형성하여 이면에 접착제(미도시)가 코팅되고 제착제는 제작재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립(미도시)의 접착된다.
그러므로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연질재질을 함체 벽면에 부착하면 된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 함체(200)의 내부 벽면 사방에 복수의 연질재질(210)이 일정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그래서 함체(200)가 여러가지 이유로 흔들릴 경우 상기 함체(200) 내부에 수용된 트레이의 충격을 흡수한다.
그러면 트레이 내부에 수용시킨 배터리가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질재질은 카트리지(100)가 충격이 받지 않도록 쿠션(210a)을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이 쿠션(210a)을 함으로서 카트리지(100)는 충격으로부터 더욱 안전하고 그로 인해 배터리(20)가 충격으로부터 더욱 안전한 것이다.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보호 1에 해당)의 구성을 더 살펴보면, 랙(함체)에 복수의 트레이(1)가 직렬로 결선되고 상기 트레이(1) 내부에 복수의 배터리(충전지)가 수용되어 직렬로 결선되거나 병렬로 결선된 구성에 있다.
상기 트레이(1)에 수용된 배터리(20)의 단자(21)에 복수로 겹쳐진 복수의 금속판(2)의 일측이 결선되고 상기 복수의 금속판(2)의 타측은 상기
복수의 금속판(2) 연이어 결선되는 제2배터리(20a)의 단자(21a)에
결선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금속판(2)은 상기 복수의 금속판(2)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단선이 용이하도록 상기 복수의 금속판(2)을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키는 것과,
상기 복수의 금속판(2) 중에서 적어도 하나 내지는 두개의 금속판(2a)은 나머지 복수의 금속판(2b)과 비교할 경우 금속판 두께를 더 얇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배터리가 수용된 카트리지 복수를 연이어 연결할 수 있는 카트리지를 제공함으로서 조립성이 편리하고 배터리를 견고한 상태로 함체에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수의 금속판(2) 중에서 적어도 하나 내지는 두개의 금속판(2a)은 나머지 복수의 금속판과 비교할 경우 금속판 두께를 더 얇게 형성하였다.
이처럼 복수의 금속판(2) 중에서 하나 내지는 두개의 금속판(2a)을 얇게 하므로서 과전류가 흐르면 얇은 금속판(2a)이 먼저 녹아 단선된다.
그 후 나머지 복수의 금속판으로 과전류가 집중되므로
나머지 복수의 금속판(2b)이 연이어 단선되거나 동시에 단선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서 에너지저장장치를 화재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상의 효과는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밝혀진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저장 장치용 배터리 카트리지의 사시도.
제 2도는 본 발명의 배터리 카트리지를 연이어 부착시킨 상태의 사이도이고.
제 3도는 본 발명의 에어백 시스템의 사시도.
제 4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사시도.
제 5도는 제 4도에서 요부를 확대하고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
제 6도는 에너지저장 장치의 사시도로서 랙에서 배터리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 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첨부한 도면에 의해 구성을 살펴보면,
복수의 배터리(20)를 하나의 카트리지(100)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100) 측면에 복수의 카트리지(100)가 연이어 끼워지는 착탈홈(110)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배터리(20) 사이에 여러가지 이유로 배터리(20) 측벽이 부풀어 오를 경우 압박을 받아 수축하는 에어백(120)과 상기 에어백(120)과 에어관(130)으로 연통되어 설치된 에어실린더(140)와,
상기 에어실린더(140)의 로드(140a)에 압박을 받으면 센싱하는 센서(150)를 설치한 구성이다.
여기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참고로, 일반적으로 배터리(인산철배터리)는 배터리(20) 특성상 내부에 가스가 발생한다. 그래서 배터리 내부에는 체크밸브(미도시)가 있는데 그 체크밸브가 작동을 하지 않을 경우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배터리 측벽이 부풀어올라 결국 터진다.
실시, 여러가지 이유로 배터리(20)의 체크밸브가 불능상태가 되면 상기 배터리의 측벽이 부풀어 오른다.
그러면 복수의 배터리(20) 사이에 밀착되게 설치된 에어백(120)이 압박을 받고 그로인해 에어백(120)에 충전된 에어는 에어관(130)을 지나 에어실린더(140)의 로드(140a)를 압박하여 이동시킨다.
이 이동으로 로드는 센서(150)를 압박하여 상기 센서(150)를 온'시킨다.
그러면 센서(150)와 연동되는 제어부는 신호처리하여 외부관리자에게 통신수단을 통해 알린다.
이처럼 배터리(20)의 문제점을 감시하므로 복수의 배터리 전체 피해를 미연(未然)에 차단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통신수단은, 상기 제어부(20)의 연산처리결과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WAP을 이용하여 관리자나 사용자의 이동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무선 모듈과,
상기 무선모듈과 기존 이동통신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지의 관리자나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소집단(10)의 고유번호와 비정상 상태에 대응하여 정해진 경보문자 및 기억장치에 저장된 측정데이터를 원격지의 관리자나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것으로 어느 에너지저장장치의 소집단(10)이 이상 상태인가를 원격지에서 알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원격감시 시스템의 능동적인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원격감시를
원하는 관리자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제어부(20)에 접속하고, 제어부(20)로 상태확인 요청을 전송하면, 제어부(20)는 관리자나 사용자로부터의 상태확인 요청에 의하여 추출된 현재 또는 과거의 결과를 관리자나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해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0) 및 관리자나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되어, 양 장비 사이의 무선 데이터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WAP(무선 응용 프로토콜)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장비없이, 원격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
WAP는 하나의 통신에뮬레이터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복조된 신호를 의미 있는 정보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원격지에 있는 태양전지 소집단의 이상상태를 감시할 수 있게 해준다.
첨부한 도면에 의해 또 다른 구성을 살펴보면, (도 4,5,6,7 참조)
상용전력과, 상기 상용전력을 DC전원으로 변환하여 에너지 저장 장치로 출력하거나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의 DC전원을 인입받아 AC전력으로 변화하여 상용전력으로 출력하는 인버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보호 1에 해당)의 구성을 더 살펴보면, 랙(함체)에 복수의 트레이(1)가 직렬로 결선되고 상기 트레이(1) 내부에 복수의 배터리(충전지)가 수용되어 직렬로 결선되거나 병렬로 결선된 구성에 있다.
상기 트레이(1)에 수용된 배터리(20)의 단자(21)에 복수로 겹쳐진 복수의 금속판(2)의 일측이 결선되고 상기 복수의 금속판(2)의 타측은 상기
복수의 금속판(2)에 연이어 결선되는 제2배터리(20a)의 단자(21a)에
결선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금속판(2)은 상기 복수의 금속판(2)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단선이 용이하도록 상기 복수의 금속판(2)을 서로 일정간격을 이격시키는 것과,
상기 복수의 금속판(2) 중에서 적어도 하나 내지는 두개의 금속판(2a)은 나머지 복수의 금속판(2b)과 비교할 경우 금속판 두께를 더 얇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금속판(2)은 상기 복수의 금속판(2)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단선이 용이하도록 서로 일정간격을 이격시킨다.
이와 같이 복수의 금속판(2)을 서로 이격시킨 이격회로(2c)와 서로 밀착시킨 종래의 밀착회로(복수의 금속판을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본 발명의 상기 이격회로(2c)에 해당하는 상기 복수의 금속판(2) 중에서 취약한 하나의 금속판이 녹아 단선될 확률이 높다.
이처럼 이격시키면 그 복수의 금속판(2) 중에서 취약한 금속판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먼저 단선되고 그 후 나머지 복수의 금속판으로 과전류가 집중되므로
나머지 복수의 금속판이 연이어 단선되거나 동시에 단선될 확률이 높다.
상기 복수의 금속판은 그 재질이 알루미늄이고 휴즈 역할을 한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금속판(2) 중에서 적어도 하나 내지는 두개의 금속판(2a)은 나머지 복수의 금속판과 비교할 경우 금속판 두께를 더 얇게 형성하였다.
이처럼 복수의 금속판(2) 중에서 하나 내지는 두개의 금속판(2a)을 얇게 하므로서
과전류가 흐르면 얇은 금속판(2a)이 먼저 녹아 단선된다.
그 후 나머지 복수의 금속판으로 과전류가 집중되므로
나머지 복수의 금속판(2b)이 연이어 단선되거나 동시에 단선된다.
이상과 같이 과전류가 흐르면 단선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얇은
금속판(2a)이 함으로서 과전류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지반침하로 인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함체내에 이상 현상이 발생하여 복수의 금속판(2)에 과전류가 흐르면 금속판(2a)이 단선되고 이어서 나머지
복수의 금속판(2b)이 단선되므로 이로 인해 에너지 저장 장치(1)가 화재로부터 보호되는 것이다.
상기 단자(21)에 압박부재(40)의 일측을 고정부(41)에 의해 고정하고 상기 압박부재(40)의 타측은 복수의 금속판(2) 평면을 압박하는 탄성부(42)로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압박부재(40)의 일측을 단자(21)에 고정하고 타측은 복수의 금속판(2)의 평면을 압박하는 구성이므로, 예를 들어 지진으로 인해 배터리(20)가 흔들려 단자(21)와 연결된 압박부재(40)가 헐거워지더라도 탄성부(42)가 복수의 금속판(2)을 압박하고 있어 아크가 발생할 확률이 낮아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배터리(20)가 흔들릴 경우 복수의 금속판(2)가 헐거워져 아크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또한 탄성부(42)가 압박하고 있어 복수의 금속판(2)이
서로 흔들리지 않아 아크가 발생할 확률이 낮아진다.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배터리(20) 단자(21)에 홀(60)을 형성하여 상기 홀 내측에 걸림부(61)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41)에 상기 걸림부(61)에 걸림되는 걸림턱(43)을 형성하여
상기 압박부재(40)의 고정부(41)를 상기 걸림부(61)에 걸림시키면
상기 탄성부(42)가 복수의 금속판(2)의 평면을 압박하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성과 도면을 보아 홀(60) 내측에 걸림부(61)를 형성하고 고정부(61)에
걸림턱(43)을 형성함으로서 고정부(61)를 홀(60)에 삽입만으로 압박부재(40)
가 단자(21)에 고정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압박부재 설치시간이 대폭 단축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참고로 설명하면, 랙 내부에는 수십개의 트레이가 수용되고 그 수십개의 트레이 내부에는 수십개의 충전용 배터리가 수용된다.
이들 수십개의 배터리는 금속판(2)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어느 한 곳의 금속판(2)에서 아크가 발생하면 랙 내부에 있는 수백개의 배터리가 전소되므로 이를 예방해야 한다.
그 예방방법으로는 본 발명에서 언급한 압박부재(40)를 이용한 방법이 생산성과 작업성을 포함하여 저렴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즉, 간단한 방법으로 큰 효과를 갖는 구성이므로 아주 유익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1 : 트레이 2 : 금속판
2c: 이격회로 20 : 배터리
20a : 제2배터리 21 : 단자
40 : 압박부재 41 : 고정부
42 : 탄성부 43 : 걸림턱
60 : 홀 61 : 걸림부
100: 카트리지 110 : 착탈홈
120 : 에어백 130 : 에어관
150 : 센서

Claims (1)

  1. 복수의 배터리(20)를 하나의 카트리지(100)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100) 측면에 복수의 카트리지(100)가 연이어 끼워지는 착탈홈(110)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배터리(20) 사이에 여러가지 이유로 배터리(20) 측벽이 부풀어 오를 경우 압박을 받아 수축하는 에어백(120)과, 상기 에어백(120)과 에어관(130)으로 연통되어 설치된 에어실린더(140)와,
    상기 에어실린더(140)의 로드(140a)에 압박을 받으면 센싱에 의해 센서(15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에어백(120)이 압박을 받아 상기 에어백(120)에 충전된 에어가 에어관(130)을 지나 상기 에어실린더(140)의 로드(140a)를 압박하면 상기 로드(140a)가 상기 센서(150)를 압박하여 상기 센서(150)가 온'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용 배터리 카트리지.
KR1020190124254A 2019-10-08 2019-10-08 에너지 저장 장치용 배터리 카트리지 KR102231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254A KR102231212B1 (ko) 2019-10-08 2019-10-08 에너지 저장 장치용 배터리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254A KR102231212B1 (ko) 2019-10-08 2019-10-08 에너지 저장 장치용 배터리 카트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212B1 true KR102231212B1 (ko) 2021-03-23

Family

ID=75223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254A KR102231212B1 (ko) 2019-10-08 2019-10-08 에너지 저장 장치용 배터리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2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702B1 (ko) * 2005-11-30 2009-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안전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지팩
KR20130077279A (ko) * 2011-12-29 2013-07-09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휴대용 에너지 저장 카트리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702B1 (ko) * 2005-11-30 2009-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안전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지팩
KR20130077279A (ko) * 2011-12-29 2013-07-09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휴대용 에너지 저장 카트리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55747B (zh) 使用开关的电动车辆用蓄电池的安全装置和保护方法
RU2468477C2 (ru) Аккумуляторная батарея среднего или большого размера повышен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WO2002099922A1 (en) Storage battery device and power source apparatus comprising it
JP2006269345A (ja) 過電圧検出方法、装置及びバッテリパック
KR101944837B1 (ko) 이차 전지용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
US11594792B2 (en) Overcharge protection systems for prismatic lithium ion battery cells with biased packaging
JP2016096080A (ja) 蓄電池ユニットおよび蓄電装置
KR102237845B1 (ko) 에너지저장시스템의 배터리 다중 보호 방법
JP6829485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モジュール用健全性監視及び安全保護並びに用途
KR102231212B1 (ko) 에너지 저장 장치용 배터리 카트리지
WO2016076420A1 (ja) 蓄電池ユニットおよび蓄電装置
WO2016076417A1 (ja) 蓄電池ユニットおよび蓄電装置
KR20210041704A (ko) 화재방지 예방을 위해 내진 기능을 부설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함체
KR102032169B1 (ko) 화재방지 예방을 위해 내진 기능과 휴즈 기능을 부설한 에너지저장 장치
KR102229166B1 (ko) 에너지저장시스템의 환경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US20120052343A1 (en) Sealed secondary battery
KR20180138416A (ko) 배터리 모듈
KR20220145014A (ko) 화염을 외부로 유도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KR102656906B1 (ko) 벤팅부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JP6263774B2 (ja) 蓄電体の膨張判別構造
JP2021057360A (ja) 蓄電モジュール
KR20240013826A (ko) 벤팅부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CN111048734A (zh) 电池模组
KR20000065813A (ko) 전지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