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5721A -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5721A
KR20090045721A KR1020070111681A KR20070111681A KR20090045721A KR 20090045721 A KR20090045721 A KR 20090045721A KR 1020070111681 A KR1020070111681 A KR 1020070111681A KR 20070111681 A KR20070111681 A KR 20070111681A KR 20090045721 A KR20090045721 A KR 20090045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composition
sleep disorders
glycin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 지
조성준
허정윤
한종권
송상훈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070111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5721A/ko
Publication of KR20090045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72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라티노스(palatinos)를 포함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및 상기 팔라티노스 외에 BSL(bitter sesquiterpene lactones) 또는 BSL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글리신(glycine) 및 트립토판(tryptopha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더 포함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은 우수한 수면장애 개선 효과를 가지고 있어 불면증 등으로 고생하고 있는 환자들의 고통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팔라티노스, BSL(bitter sesquiterpene lactones), 글리신, 트립토판, 수면장애

Description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improving sleep disturbance}
본 발명은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대부분이 수면장애 경험이 있다고 하는 조사 결과도 있듯이, 스트레스가 급증한 사회적 분위기나 환경에 의해 수면장애로 고민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수면장애는 수면각성장애라고도 하며, 불면증, 과면증, 수면각성시간(circadian rhythm, 일간리듬)장애, 수면시 이상행동 등으로 분류한다. 불면증은 수면경향이 감퇴하는 양적 이상을 말하는데, 좀처럼 잠들기가 어려운 취면장애(就眠障碍), 일단 잠이 들었어도 숙면이 되지 않는 숙면장애(熟眠障碍), 아침 일찍 깨는 조조각성(早朝覺醒) 등이 있다. 과면증은 수면경향이 항진하는 것을 말하며, 탈력발작(脫力發作), 입면시 환각, 꿈, 수면, 마비, 수면발작 등의 증세가 있으며, 1주일 정도 경면기(傾眠期)를 반복하는 주기성 경면증 등도 있다. 수면각성시간장애는 시차병(時差病)이나 야간 근무자의 수면장애 등을 말하며, 수면시 이상행동은 몽유병, 야경증(夜警症), 야뇨증(夜尿症) 등의 질병으로 수면장애를 일으킨다.
이러한 수면장애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항히스타민약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미국, 영국, 독일, 캐나다 등의 구미는 물론 우리나라에서 일반용 의약품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형태의 수면장애를 겪고 있는 환자에게 충분한 효과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 할시온(Halcion)이나 리스토민 S(Listomine S) 등의 치료의약품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의약품은 현기증이나 건망증, 의존증에 따른 정서불안정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을 갖기 때문에 의사의 지시없이 복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여 수면장애를 갖는 모든 사람이 복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생약 추출물 또는 생합성 물질 등을 이용하여 수면장애를 개선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일례로서, 최근 민간요법으로 먹으면 잠이 잘 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상추의 쓴맛 성분인 BSL(Bitter sesquiterpene lactones)이 진정작용과 숙면효과가 있다는 과학적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으며(상추 BSL 숙면 유도효과 임상시험, 포천중문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2006), 글리신(glycine)과 관련하여 항스트레스 효과와 hexanal sleep 연장효과(Komissarova et al, Method of preventing and alleviating stress in a healthy mammal in need thereof, US 5643954) 및 수면질 개선효과(YAMADERA et al, 2007, Glycine ingestion improves subjective sleep quality in human volunteers, correlating with polysomnographic changes, Sleep and Biological Rhythms, 5 (2), 126-131)에 대한 연구 결과가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12593호에서는 글리신을 함유하는 숙면 장해 개선 식품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 제2007-230954호에서는 아르기닌을 함유하는 수면유도제 또는 스트레스성 불면증 개선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일본공개특허 제2005-325086호에서는 코엔자임 Q10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면 장애의 예방 및 치료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생약 추출물 등의 수면개선을 위한 조성물 또는 약제는 1일 2 내지 3회 이상 식간에 복용할 필요가 있어 복용이 번잡하다는 문제점 및 수면개선 효과를 발현하기까지 장기간 걸리는 문제점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종래 수면 개선 효과가 있음이 알려진 여러 성분들을 실험하는 과정에 있어서 팔라티노스의 새로운 용도로서 종래의 수면유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성분들에 비하여 우수한 수면장애 개선 효과 및 빠른 효과 등이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팔라티노스(palatinose)를 포함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조성물의 팔라티노스 외에 BSL(Bitter Sesquiterpene lactones) 또는 BSL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글리신(glycine) 및 트립토판(tryptopha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을 수면장애를 갖는 개체에 투여하여 수면장애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팔라티노스(palatinose)를 포함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팔라티노스(palatinose)는 이소말툴로스(isomaltulose)라고도 하며, 글루코스(glucose)가 프락토오스(fructose)에 α-1,6-글루코실 결합함으로써 구성된 2당(二糖)을 말한다. 상기 팔라티노스는 1957년 사탕수수, 벌꿀 등에 함유 된 천연당으로써 발견된 이래, 치아비우식성 및 충치억제효과가 우수한 물질로서 밝혀져 제과와 음료 등의 설탕 대체 물질로써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상기 효과 이외에 팔라티노스를 적당량 섭취하는 경우 수면장애 개선에 효과적임을 밝혀내고 팔라티노스를 포함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팔라티노스는 천연에서 봉밀(蜂蜜), 사탕수수즙 등에 존재하므로 이들로부터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팔라티노스는 자당에 프로타미노박터 루브룸(Protaminobacter rubrum) 또는 세라티아 플리무티카(Serratia plymuthica) 등의 세균이나 효모에 α-글루코실트랜스퍼라아제를 작용시킴으로써 자당의 대부분이 팔라티노스로 변환되므로 이로부터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팔라티노스는 시판되고 있는 결정 팔라티노스 IC, 팔라티노스 시럽-ISN 또는 미르디아-75(모두 신미츠이 세이도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팔라티노스는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서 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중량%로 포함된다. 팔라티노스가 상기 5중량% 미만인 경우는 효과가 미미하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팔라티노스가 60중량% 이상인 경우는 양에 비례하여 효과의 차이가 미미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은 각종 원인에 의해 발 생하는 여러 수면장애를 완화시키고 숙면을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수면장애는 예컨대 불면증, 불면증, 과면증, 수면각성시간(circadian rhythm, 일간리듬)장애, 수면시 이상행동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불면증은 취면장애(就眠障碍), 숙면장애(熟眠障碍), 조조각성(早朝覺醒) 등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팔라티노스 수면장애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팔라티노스 외에 BSL(Bitter Sesquiterpene lactones) 또는 BSL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글리신(Glycine) 및 트립토판(tryptopha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물질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BSL(Bitter Sesquiterpene lactones)은 식물을 섭취하는 경우 쓴맛을 일으키는 성분으로서, 락투신(lactucin), 8-데옥시락투신(8-deoxylactucin), 락투코피크린(lactucopicrin) 등의 테르페노이드(terpenoid) 계통의 화합물을 말한다. 상기 BSL은 상추(Lactuca sativa L.), 치커리(Chichorium intybus), 엔디브(Cichorium endivia L.) 등의 쓴맛을 가진 식물의 주요 성분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BSL은 BSL 자체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쓴맛을 가진 식물, 예를 들어 상추, 치커리, 엔디브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BSL 성분 자체를 직접 이용하는 경우 상기 BSL은 BSL을 포함하는 식물로부터 추출 및 정제하여 제조,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상추 추출물 또는 치커리 추출물 등을 이용하는 경우 그 추출 방법은 당해 분야에서 알려진 일반적인 추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BSL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서 0.001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70 중량%로 포함되며, 상추 추출물 또는 치커리 추출물 등의 BSL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는 경우 BSL 함량이 상기 함량에 포함될 수 있도록 상기 식물 추출물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글리신(glycine)은 CH2(NH2)COOH 구조를 가진 가장 간단한 비필수 아미노산으로서, 글리신(glycine)의 단독 형태만이 아니라 개체 내에서 섭취시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형태를 말한다. 상기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glycine)으로 될 수 있는 형태'란, 가수분해 반응(특히 생체내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글리신이 수득되는 물질로서, 이의 전형적인 예로는, 글리신을 구성 단위로 갖는 단백질이나 펩타이드가 있다.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글리신이 수득되는 물질은 섭취 후의 체내에서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이 생성되어 처음부터 글리신을 섭취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기대된다.
본 발명의 상기 글리신(glycine)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의 함량은 글리신 환산으로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서 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0 중량%이다. 상기 '글리신 환산으로'란 글리신 그 자체를 함유하는 경우는 이의 글리신 중량을 말하며,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을 함유하는 경우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을 전부 글리신으로 했을 때의 글리신 중량을 말한다. 또한 글리신과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을 가수분해에 의해 모두 글리신으로 했을 때의 글리신의 중량과 본래 글리신이던 것과의 총 중량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글리신(glycine)은 단백질 가수분해법, 화학 합성법, 효소법, 발효법 등의 어느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글리신은 동물이나 식물 등의 천연 원료로부터 추출 및 정제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립토판(tryptophane)은 C11H12N2O2의 화학식 구조를 가지는 인간의 천연 영양분으로 존재하는 필수 아미노산으로서, 트립토판의 단독 형태만이 아니라 개체 내에서 섭취시 가수분해에 의해 트립토판으로 될 수 있는 형태를 말한다. 상기 '가수분해에 의해 트립토판으로 될 수 있는 형태'란 가수분해 반응(특히 생체내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트립토판이 수득되는 물질로서, 이의 전형적인 예로는, 트립토판을 구성 단위로 갖는 단백질이나 펩타이드가 있다.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트립토판이 수득되는 물질은 섭취 후의 체내에서 가수분해에 의해 트립토판이 생성되어 처음부터 트립토판을 섭취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기대된다.
본 발명의 상기 트립토판(tryptophane)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트립토판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의 함량은 트립토판 환산으로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서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중량%이다. 상기 '트립토판 환산으로'란 트립토판 그 자체를 함유하는 경우는 이의 트립토판 중량을 말하며, 가수분해에 의해 트립토판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을 함유하는 경우는 가수분해에 의해 트립토판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을 전부 트립토판으로 했을 때의 트립토판 중량을 말한다. 또한 트립토판과 가수분해에 의해 트립토판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수분해에 의해 트립토판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을 가수분해에 의해 모두 트립토판으로 했을 때의 트립토판의 중량과 본래 트립토판이던 것과의 총 중량을 말한다.
본 발명의 팔라티노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수면장애를 겪는 사람에게 음용케 한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의 각 성분을 음용한 사람에 비하여 취침 전 잠들기가 보다 용이하였고, 숙면으로 인하여 아침에 눈뜨기가 보다 용이하였음을 확인하 였다(실시예 1 참조). 또한, 본 발명의 팔라티노스 함량 변화에 따라 취침 전 잠들기가 보다 용이해지고, 숙면을 더 잘 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는바(실시예 2 참조), 팔라티노스는 수면장애 개선을 위하여 중요한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면장애를 완화시키고 개선하여 숙면을 유도하는 효과가 종래 알려진 수면장애 개선물에 비하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팔라티노스 뿐만 아니라 BSL(Bitter Sesquiterpene lactones), 글리신 및 트립토판은 생체 내에서 생성되거나 생체의 구성 성분이고, 식품 중에도 보편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성분이므로 독성이 없는 안전한 성분들이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로 인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면 장애 개선용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면장애 개선용 기능성 식품은 팔라티노스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상기 팔라티노스 외에 BSL(Bitter Sesquiterpene lactones) 또는 BSL을 포함하는 식물추출물, 글리신(Glycine) 및 트립토판(tryptopha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물질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형식품 또는 미네랄음료, 기호음료, 알코올 음 료 등의 액상식품을 들 수 있다. 상기 고형식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아이스크림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액상식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녹차, 우롱차, 홍차, 허브티 등의 차류, 농축과즙, 농축환원쥬스, 스트레이트쥬스, 과실믹스쥬스, 과육이 함유된 과실쥬스, 과즙이 함유된 음료, 과실과 야채의 믹스 주스, 야채 주스, 미네랄워터, 비타민 복합제, 탄산음료, 청량음료, 우유, 유음료, 소주, 맥주, 와인, 칵테일, 위스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면장애 개선용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과 다른 원재료를 분체혼합하는 방법, 용매 중에 상기 조성물과 다른 원재료를 녹여 혼합용액으로 하는 방법 또는 그 혼합용액을 동결건조하는 방법, 분무건조하는 방법 등 일반적인 식품의 제조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면장애 개선용 기능성 식품에 포함되는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2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 식품을 제조할 때에 사용할 수 있는 상기 조성물 이외의 성분은 상기 조성물에 의한 원하는 효과의 발현이 저해되지 않는 한, 적절히 원하는 용도에 맞춰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수면장애 개선용 기능성 식품을 제조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과 다른 원재료 외에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0.03g 이다. 또한 상기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기능성 식품을 수면장애를 갖는 개체에 투여하여 수면장애를 완화시키고 숙면을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개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포유동물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인간, 돼지, 소, 개, 고양이, 말 등을 들 수 있으나, 특히 인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기능성 식품을 개체에 투여함으로써 빠른 시간 안에 수면장애를 완화시키고 숙면을 유도함으로써 수면장애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에 의하여 불면증 또는 과면증 등의 수면장애를 완화 및 개선시킴으로써 잠들기가 용이하고 보다 깊은 숙면을 유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BSL ( bitter sesquiterpene lactones )을 주성분으로 한 수면장애 개선용 음료 A의 제조
BSL은 상추잎을 채취하여 생체로 녹즙기를 이용하여 마쇄한 후 그 수용액을 모은 다음, 수용액을 회전증발기(rotary evaporator)로 감압 증류하였다. 남은 잔사를 바람직하게는 메탄올과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로 순차적으로 추출하나, 식품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에탄올로 추출한 후 감압 증류하였다. 이로써 얻은 BSL을 정량화하여 분말화하고 음료제조에 사용하였다. BSL 7g을 50℃의 물 93g에 첨가하여 총 100g의 음료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함유량(g)
BSL 7
93
총 음료량 100
제조예 2: 글리신을 주성분으로 한 수면장애 개선용 음료 B의 제조
글리신(교와: Kyowa Hakko Kogyo co.,Ltd) 7g을 50℃의 물 93g에 첨가하여 총 100g의 음료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함유량(g)
글리신 7
93
총 음료량 100
제조예 3: 트립토판을 주성분으로 한 수면장애 개선용 음료 C의 제조
트립토판(교와: Kyowa Hakko Kogyo co.,Ltd) 7g을 50℃의 물 93g에 첨가하여 총 100g의 음료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함유량(g)
트립토판 7
93
총 음료량 100
제조예 4: 팔라티노스를 주성분으로 한 수면장애 개선용 음료 D의 제조
팔라티노스(크레마 코리아) 7g을 50℃의 물 93g에 첨가하여 총 100g의 음료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함유량(g)
팔라티노스 7
93
총 음료량 100
제조예 5: 숙면유도 음료 조성물 E
제조예 1의 상추 추출물로부터 획득한 BSL, 글리신 (Kyowa), 트립토판(Kyowa), 팔라티노스(크레마 코리아)를 각각 0.9g, 1g, 0.1g, 5g씩 취하여 50℃의 물 93g에 첨가한 후 총 100g의 음료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함유량(g)
BSL(상추추출물로부터 얻음) 0.9
글리신 1
트립토판 0.1
팔라티노스 5
93
총 음료량 100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 내지 3의 숙면유도 음료 조성물의 숙면유도 효과 비교 실험
평상시의 수면 습관 등을 통하여 수면장해가 있는 60명의 대상자를 1차 선별하여 6그룹으로 나누어 그룹 1에는 벌꿀향을 0.01% 첨가한 음료를 잠들기 1시간 전 복용하게 하고(위약군), 그룹 2에는 A 음료를, 그룹 3에는 B 음료를, 그룹 4에는 C 음료를, 그룹 5에는 D 음료를, 그룹 6에는 E 음료를 복용하게 한 후, 복용한 다음날에 전날의 수면에 관련된 사항을 설문조사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실험은 1주간 진행하였다.
취침 전 수면장애 개선 음료 섭취에 따른 잠들기의 개선 (단위: 사람 수)
위약군 A 복용군 B 복용군 C 복용군 D 복용군 E 복용군
쉽게 잠들지 않았다. 4 2 2 3 2 1
평소와 같다 5 5 4 4 2 3
쉽게 잠들었다. 1 3 4 3 6 6
상기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면장애 개선 음료 D와 E를 복용한 후 취침 전 잠들기가 개선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수면장애 개선용 물질이 단독 투여된 군에서 D가 가장 효과적이며, 또한 이들 단독 투여된 군보다 수면장애 개선용 물질이 혼합된 E를 복용한 군에서 잠들기가 상당히 더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면장애 개선 음료 섭취에 따른 수면의 질 개선 1(단위: 사람 수)
위약군 A 복용군 B 복용군 C 복용군 D 복용군 E 복용군
눈뜨기가 어려웠다. 5 1 2 2 1 1
평소와 같다 4 6 5 6 5 4
눈뜨기가 상쾌하였다. 1 3 3 2 4 5
상기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면장애 개선 음료 A, B, C, D 및 E를 복용한 후 아침에 눈뜨기가 상쾌하였으며, 특히 D 및 E를 복용한 군에서 눈뜨기가 상쾌했다는 응답이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면장애 개선 음료 섭취에 따른 수면의 질 개선 2(단위: 사람 수)
위약군 A 복용군 B 복용군 C 복용군 D 복용군 E 복용군
숙면감이 없었다. 4 0 1 2 0 2
평소와 같다 5 5 4 4 5 2
숙면감이 있었다. 1 5 5 4 5 6
상기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면장애 개선 음료 A, B, C, D 및 E를 복용한 후 숙면감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A 및 C를 복용한 군을 제외하고는 모두 숙면감이 50% 이상이었으며, 특히 E를 복용한 군에서 60%의 환자에게 숙면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면장애 개선 음료 섭취에 따른 수면의 질 개선 3(단위: 사람 수)
위약군 A 복용군 B 복용군 C 복용군 D 복용군 E 복용군
꿈을 꾸었다. 4 4 5 5 3 1
기억이 나지 않는다. 3 2 2 3 2 2
꿈을 꾸지 않았다. 3 4 3 2 5 7
상기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숙면유도음료 E를 복용한 군에서 꿈을 꾸지 않고 가장 숙면을 취할 수 있었으며, 다음으로 D를 복용한 군에서 숙면을 취할 수 있었다.
상기의 실험을 통해서 개별 소재 중에서 팔라티노스가 숙면유도효과가 가장 효과적이며, 또한 이들 개별 소재를 단독 복용하는 것보다는 여러 소재의 적절한 배합을 통해 숙면유도효과가 시너지를 발휘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제조예 6: 숙면유도 음료 조성물 F
제조예 1의 상추 추출물로부터 획득한 BSL, 글리신 (Kyowa), 트립토판(Kyowa), 팔라티노스(크레마 코리아), 물을 각각 14 중량%, 10 중량%, 1 중량%, 15 중량%, 60 중량% 를 함유한 조성물을 50℃의 물에 20 중량% 첨가하여 총 100g의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7: 숙면유도 음료 조성물 G
제조예 1의 상추 추출물로부터 획득한 BSL, 글리신(Kyowa), 트립토판(Kyowa), 팔라티노스(크레마 코리아), 물을 각각 14 중량%, 10 중량%, 1 중량%, 30중량%, 45중량% 를 함유한 조성물을 50℃의 물에 20 중량% 첨가하여 총 100g의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8: 숙면유도 음료 조성물 H
제조예 1의 상추 추출물로부터 획득한 BSL, 글리신(Kyowa), 트립토판(Kyowa), 팔라티노스(크레마 코리아), 물을 각각 14 중량%, 10 중량%, 1 중량%, 50 중량%, 25 중량% 를 함유한 조성물을 50℃의 물에 20 중량% 첨가하여 총 100g의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9: 숙면유도 음료 조성물 I
제조예 1의 상추 추출물로부터 획득한 BSL, 글리신 (Kyowa), 팔라티노스(크레마 코리아) 물을 각각 14 중량%, 10 중량%, 1 중량%, 60 중량%, 15 중량% 함유한 조성물을 50℃의 물에 20 중량% 첨가하여 총 100g의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숙면유도음료의 각 성분비에 따른 숙면유도효과
실시예 1의 대상에게 상기 제조예 F, G, H 및 I의 네 가지의 배합비를 달리한 숙면유도음료를 제공하여 1주일간 복용하게 한 후 복용한 다음날에 전날의 수면에 관련된 사항을 설문조사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취침 전 수면장애 개선 음료 섭취에 따른 잠들기의 개선 (단위: 사람 수)
F 복용군 G 복용군 H 복용군 I 복용군
쉽게 잠들지 않았다. 2 1 1 1
평소와 같다 5 6 4 4
쉽게 잠들었다. 8 8 10 10
상기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면장애 개선 음료 F, G, H, I 를 복용한 후 취침 전 잠들기가 개선됨을 알 수 있었으며, H 및 I를 복용한 군에서 잠들기가 상당히 개선되어 큰 차이는 없었다.
수면장애 개선 음료 섭취에 따른 수면의 질 개선 1(단위: 사람 수)
F 복용군 G 복용군 H 복용군 I 복용군
눈뜨기가 어려웠다. 2 1 0 1
평소와 같다 5 5 6 4
눈뜨기가 상쾌하였다. 8 9 9 10
상기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면장애 개선 음료 F, G, H 및 I 를 복용한 후 아침에 눈뜨기가 상쾌하였으며, 특히 I를 복용한 군에서 눈뜨기가 상쾌했다는 응답이 좀 더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면장애 개선 음료 섭취에 따른 수면의 질 개선 2(단위: 사람 수)
F 복용군 G 복용군 H 복용군 I 복용군
숙면감이 없었다. 2 1 0 0
평소와 같다 4 3 2 3
숙면감이 있었다. 9 12 13 12
상기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면장애 개선 음료 F, G, H 및 I를 복용한 후 숙면감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팔라티노스 함량이 60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그 효과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었다.
수면장애 개선 음료 섭취에 따른 수면의 질 개선 3(단위: 사람 수)
F 복용군 G 복용군 H 복용군 I 복용군
꿈을 꾸었다. 2 0 1 1
기억이 나지 않는다. 4 5 4 5
꿈을 꾸지 않았다. 9 10 10 9
상기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면장애 개선 음료 F, G, H 및 I를 복용한 후 꿈을 꾸지 않고 숙면을 취할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면장애 개선 음료는 수면장애 개선에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팔라티노스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그 효과가 조금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60 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그 효과에 있어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을 섭취함으로써 수면장애를 해소하고 충분한 숙면을 취할 수 있다.

Claims (7)

  1. 팔라티노스(palatinose)를 포함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팔라티노스가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서 5 내지 60중량%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BSL(Bitter Sesquiterpene lactones), BSL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글리신(Glycine) 및 트립토판(tryptopha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상추, 치커리 및 엔디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물인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BSL 또는 BSL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서 0.001 내지 95 중량%, 글리신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서 0.1 내지 95 중량%, 및 트립토판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서 0.01 내지 50 중량%인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3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기능성 식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전체 식품의 중량에 있어서 1 내지 20 중량%인 수면장애 개선용 기능성 식품.
KR1020070111681A 2007-11-02 2007-11-02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KR20090045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681A KR20090045721A (ko) 2007-11-02 2007-11-02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681A KR20090045721A (ko) 2007-11-02 2007-11-02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721A true KR20090045721A (ko) 2009-05-08

Family

ID=4085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681A KR20090045721A (ko) 2007-11-02 2007-11-02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572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7920A (zh) * 2012-06-26 2012-10-03 陈慧婷 治疗嗜睡症的藿香中药制剂及制备方法
WO2014155186A1 (es) * 2013-03-27 2014-10-02 Palsgaard Industri De Mexico, S. De R.L. De C.V. Complemento alimenticio para personas con trisomia 21, trastorno del espectro autista y/o trastorno por déficit de atención con o sin hiperactividad
KR101871435B1 (ko) 2017-12-29 2018-06-26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상추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수면 유도 조성물 제조방법
KR102590243B1 (ko) 2023-03-13 2023-10-20 주식회사 에코월드팜 수면장애 개선을 위한 l-트립토판 및 키토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7920A (zh) * 2012-06-26 2012-10-03 陈慧婷 治疗嗜睡症的藿香中药制剂及制备方法
WO2014155186A1 (es) * 2013-03-27 2014-10-02 Palsgaard Industri De Mexico, S. De R.L. De C.V. Complemento alimenticio para personas con trisomia 21, trastorno del espectro autista y/o trastorno por déficit de atención con o sin hiperactividad
CN105050428A (zh) * 2013-03-27 2015-11-11 墨西哥帕斯嘉工业公司 用于患21三体综合征、孤独症谱系障碍和/或多动或无多动的注意力缺陷障碍的人的食物补充剂
KR101871435B1 (ko) 2017-12-29 2018-06-26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상추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수면 유도 조성물 제조방법
KR102590243B1 (ko) 2023-03-13 2023-10-20 주식회사 에코월드팜 수면장애 개선을 위한 l-트립토판 및 키토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30573T3 (es) Agente anti-obesidad cuyo principio activo es la procianidina.
KR101875307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 증진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3051728A1 (ja) 睡眠の質改善剤
JP2007031371A (ja) 睡眠障害改善剤
KR20110115862A (ko) 숙취 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음주전 후 숙취해소용 음료
JP6100692B2 (ja) 睡眠の質改善剤
JP2007082482A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含有食品及びその製造法
EP1609375B1 (en) Glycine-containing food and use thereof
KR20090045721A (ko)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JP2005232045A (ja) 抗ストレス及びリラックス用組成物
JP2018516987A (ja) 阿魏茸の水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代謝性疾患の予防及び治療用薬学的組成物又は健康機能性食品
KR101468551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면증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11439603B2 (en) Compositions for ameliorating, preventing or treating somnipathy including phloroglucinol as active ingredient and compositions for suppressing intolerance to or alleviating side effects of agonist at benzodiazepine binding site of GABA-A receptor including phloroglucinol as active ingredient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ntonik et al. Characteristics of sweeteners used in foods and their effects on human health
KR100902368B1 (ko)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45027B1 (ko) 상추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 장애 개선용 조성물
JP4669077B1 (ja) アスパラガス擬葉を有効成分とする自律神経調整剤
KR102489829B1 (ko) 흑하랑상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유도용 조성물
KR101998821B1 (ko) 황칠 발효물 및 l-세린을 이용한 수면 장애 개선용 조성물
KR20210147707A (ko) 미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
CN110800893A (zh) 无蔗糖降脂减肥消肉食清热健脾利湿降糖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50005482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면증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501557B1 (ko) 갯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gabaa 수용체 효능제의 내성 억제 또는 부작용 경감을 위한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30030A (ko) 당뇨병 환자와 잠재환자의 혈당조절효과가 있는 요구르트 조성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