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307B1 -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 증진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 증진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307B1
KR101875307B1 KR1020170011986A KR20170011986A KR101875307B1 KR 101875307 B1 KR101875307 B1 KR 101875307B1 KR 1020170011986 A KR1020170011986 A KR 1020170011986A KR 20170011986 A KR20170011986 A KR 20170011986A KR 101875307 B1 KR101875307 B1 KR 101875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resent
composition
sleep
insomn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0362A (ko
Inventor
구병수
전송희
이가굉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70090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A61K36/8945Dioscorea, e.g. yam, Chinese yam or water y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7Sapindaceae (Soapberry family), e.g. lychee or soap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 증진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 증진 또는 개선용 조성물,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부작용이 거의 없고, 수면 증진, 증대 및 개선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수면 장애 또는 불면증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천연 항불면증제를 뛰어넘는 새로운 치료제 및 치료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 증진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Composition having sleep-improving effect comprising an extract of herbal combination,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수면 증진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 증진 또는 개선용 조성물,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은 스트레스와 불안, 초조 때문에 수면장애를 겪고 있다. 통계에 의하면 성인의 약 15%가 불안증상에 의한 불면증 때문에 약물 치료가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불면의 원인으로는 스트레스, 긴장, 공포 등 다양하며, 치료 약물로는 벤조다이아제핀 계열의 약물과 세로토닌 효능약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약물들은 장기간 사용하였을 때 내성 및 의존성이 형성되는 부작용이 심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면제 장기복용자 및 제한자의 경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 천연 보조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수면 증진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인바,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국내등록특허 10-1333982),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한편, 산약(山藥)은 마과(Dioscoreaeaceae)에 속하는 참마(Dioscorea japonica Thunb) 또는 마(Dioscorea batatas Thunb)의 뿌리 줄기로서, 맛은 달고 성질은 따듯하다. 산약은 항암작용, 항산화 작용, 면역증가작용, 및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 작용에 관한 연구 등이 보고되고 있다.
어성초(魚腥草)는 삼백초과의 약모밀(Houttuynia cordata Thunberg)의 개화기의 지상부를 말하며,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 차다. 어성초는 항염효과, 항암효과 및 면역증진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다.
용안육(龍眼肉)은 무환자나무과의 용안(Dimocarpus longan Lour.:龍眼)의 가종피를 말하며, 맛은 달고 성질은 따듯하다. 용안육은 기억력 증진, 스트레스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 없이 수면 증진 또는 개선 효과가 뛰어난 천연 약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산약(Dioscoreae batatas Decaisne),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 용안육(Euphoria longana STEUD)의 복합 생약추출물이 우수한 수면 증진 또는 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산약, 어성초 및 용안육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 증진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약, 어성초 및 용안육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약, 어성초 및 용안육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 증진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약, 어성초 및 용안육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산약, 어성초 및 용안육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저급알코올은 에탄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추출물은 산약, 어성초 및 용안육이 1: 0.1 내지 10: 0.1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중량비는 1: 1: 1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의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부작용이 거의 없고, 수면 증진, 증대 및 개선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수면 장애 또는 불면증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천연 항불면증제를 뛰어넘는 새로운 치료제 및 치료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복합 생약 추출물의 수면 증진 및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 투여 후 뇌파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복합 생약 추출물에 의한 초파리의 운동 활성 변화에 대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산약, 어성초 및 용안육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 증진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수면 증진 또는 개선은 수면 잠재기(sleep latency)가 감소하고 수면지속기간(sleep duration)이 증가하는 효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복합생약 추출물은 통상적인 추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고,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인 추출 방법은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복합생약 추출물은 생약 재료인 산약(Dioscoreae batatas Decaisne),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 용안육(Euphoria longana STEUD)을 물로 세척하여 음건 후, 모두 마쇄하여 상기 생약재료 중량의 약 1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10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30% 에탄올로 0 내지 120℃ 온도에서 약 1시간 내지 1일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초임계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후, 추출액을 냉각 후에 여과하고 여과액을 동결 건조하여 본 발명의 복합생약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산약, 어성초 및 용안육이 1: 0.1 내지 10: 0.1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1: 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는, 산약, 어성초 및 용안육의 복합 생약 추출물의 수면 증진 및 개선효과를 확인한 결과,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을 투여한 군의 wake와 rem 에서 TUKEY HSD와 LSD 모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초파리 치매모델에서 대조군에 비해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 처리군에서 밤 운동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낮 운동성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생약 추출물은 수면을 증진, 증대 또는 개선함으로써 수면 장애 또는 불면증의 예방, 개선, 억제 또는 치료에 유용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산약, 어성초 및 용안육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복합 생약 추출물과 함께 수면 장애 또는 불면증에 치료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이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중, 체내에서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및 배설속도, 질병종류, 병용되는 약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1㎏ 당 0.0001 내지 150 mg,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산약, 어성초 및 용안육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 장애 또는 불면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이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면 장애 또는 불면증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및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및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및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0.01~0.20g, 바람직하게는 약 0.04~0.10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0.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산약, 어성초 및 용안육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면 장애 또는 불면증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개체는 인간 또는 비-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이며, 비-인간 포유류는 마우스, 랫트, 개, 고양이, 말, 소, 양, 염소, 돼지, 토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실험준비 및 실험방법
1-1. 복합 생약 추출물의 제조
본 실험에 사용한 생약들은 ㈜동양허브에서 구입하여 정선한 것을 사용하였다. 먼저 산약, 어성초, 용안육을 음건 및 분쇄한 후, 산약 33g, 어성초 33g, 용안육 33g을 혼합하여 30% 에탄올 1ℓ에 넣고 약탕기를 이용해 열수 추출물을 얻은 후 동결건조하였다. 동결건조한 시료 100mg을 1ml의 30% 에탄올에 넣고 녹인 후 0.2um 필터로 불순물을 제거한 후 시료로 사용하였다.
체중이 60kg인 성인이 복용하는 복합 생약(산약, 어성초, 용안육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을 1000mg, 3000mg로 정하고, 이를 마우스에 적용하기 위해 하기 공식을 이용하여 사료를 제조하였다.
HED (mg/kg)=Animal dose (mg/kg) X Animal Km/Human Km
1-2. 실험동물
250g 내외의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샘타코, 한국)를 사용하였으며, 수술 전 동물을 사육실의 사육상자에 2마리씩 넣고 동물이 물과 먹이를 자유롭게 먹을 수 있도록 하였다. 사육실의 환경은 12시간(08:00-20:00에 조명켜짐) 명암주기가 조절되고 온도가 20~25℃, 습도는 45~65% 정도로 유지하였다.
1-3. 수술(surgery)
수술을 총 3그룹(normal, A200; 200mg/kg, A400; 400mg/kg) 으로 나누어 수술을 진행하였고 각 그룹당 6마리씩 총 18마리로 진행하였다. 수술을 위해 Pentobarbital(40mg/kg)을 동물의 복강 내 주사하여 마취하였다. 마취된 쥐를 입체 고정기(stereotaxic instrument, Stoelting CO, USA)에 위치시키고 정수리점(bregma) 및 시옷점(lambda)이 수평이 되게 고정하였다. 두피 하에 출혈을 억제한 다음, 털을 깎고 두피를 절개하고 집게로 절개된 피부를 잡아 벌려 두개골 면이 노출되게 하여 골막(periosteum)을 제거하고 뼈를 노출시켰다. 염증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두개골 면의 골막 등의 조직 및 혈액을 깨끗이 제거하고 70% 소독용 알콜로 닦았다. Paxinos 및 Watson의 해부도에 따라 드릴로 구멍을 내고 electrode를 경막에 닿도록 삽입하였다. 근전도 기록을 위해 목 근육에 두 가닥의 은선 전극을 삽입 하였다. 뇌파 기록전극 및 근전도 기록전극의 연결된 핀들을 소뇌상부 두개골 위에 위치시키고 치과용 시멘트를 발라서 두개골 상부에 고정하였다. 수술이 끝난 동물을 사육실의 사육상자에 1마리씩 넣고 1주일간 회복시켰다. 회복기에도 12시간 명암주기를 적용하고 물과 먹이를 자유로이 섭취하도록 하였다.
1-4. 뇌파검사 ( Electroencephalography ; EEG)
수술회복 후, 쥐를 실험조건에 적응하도록 하였다. 경구투여로 각각의 약물을 투여하고 10분 후 EEG 레코딩(8:00pm부터 12시간 동안)을 진행하였다. 각성(Wake), REM(rapid eye movement), NREM(non-REM) 수면의 시간은 동물수면 전문분석 프로그램인 SleepSign Ver. 3 software (Kissei Comtec, Nagano, Japan)로 기록하였다.
수면 잠재기(sleep latency)는 샘플 투여와 적어도 2분간 지속되는 첫번째 연속적인 NREM 수면 삽화(sleep episode) 사이의 경과시간으로써 정의되며, six 4-s 시기이상 연속되고, NREM 수면으로 기록되지는 않는다. EEG 파워 스펙트럼은 0.5Hz 간격으로 계산되고 이를 통합하여 평균을 산출하였다. 이를 통해 델타파 활성 (0.65-4 Hz), 쎄타파 활성 (6-10 Hz) 및 알파파 활성 (12-14 Hz)의 3개의 주파수 영역으로 나누었다. NREM 수면의 EEG 파워 밀도(EEG power density)는 개별 랫트들의 총 EEG 파워 (0-20 Hz)로부터 각 간격의 퍼센트를 계산함으로써 한 그룹으로 표준화되었다. 한편, 수면-각성 상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특정한다:
각성 : 저-진폭 EEG 및 고-전압 EMG 활성;
NREM 수면 : 고-진폭의 slow 또는 spindle EEG 및 저-전압 EMG 활성;
REM 수면 : 저-전압 EEG 및 EMG 활성.
실시예 2. 복합 생약 추출물의 수면 증진 및 개선 효과 확인
2-1. 복합 생약 추출물에 따른 동물모델에서의 수면 증진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3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수술을 진행한 실험동물을 상기 실시예 1-4에 기재된 방법으로 뇌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 생약 추출물을 400mg/kg의 농도로 투여한 군(A400)에서 wake와 rem 에서 TUKEY HSD와 LSD 모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약물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wake 감소 / rem 증가의 경향성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2-2. 복합 생약 추출물에 따른 Aß42 형질전환 초파리 치매모델에서의 수면 증진 효과 확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 추출물이 초파리의 운동 활성에 끼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 1-1을 통해 제조된 복합 생약 추출물 (산약, 어성초, 용안육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 HED)을 5% 자당 (sucrose) 및 1% 한천 (agar)배지에 100㎎/㎖의 농도로 배합한 후, 초파리 행동 조사 분석 시스템 (Drosophila Activity Monitoring system, DAM; TriKinetics, Waltham, MA, USA)을 이용하여 운동 활성 수준을 평가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DAM 시스템은 4일 동안 (3일 정상식이에 적응, 4일 수크로오스 한천 배지에서 아미노산을 처리한 실험) 어두운 환경에서 수행하였으며, 이 때, 실험군으로는 대조군, 복합 생약 추출물 처리군 (HED), 산약 처리군 및 용안육 처리군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당 10마리씩 튜브에서 24시간 적응시킨 다음, 1분 간격으로 4일 동안 활동량을 기록하고, 4일 동안의 평균 활동량을 계산하였다.
이 때, 상기 결과값은 평균 ± 표준편차 (SEM)로 나타내었으며, 유의성 수준은 *p < 0.05 vs elav > Aß42 및 #p < 0.05 vs elav > Aß42 + 산약으로 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 생약 추출물 처리군 (HED)의 밤 운동성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낮 운동성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1)

  1. 산약, 어성초 및 용안육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 증진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서,
    상기 추출물은 산약, 어성초 및 용안육이 1: 0.1 내지 10: 0.1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산약, 어성초 및 용안육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추출물은 산약, 어성초 및 용안육이 1: 0.1 내지 10: 0.1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급알코올은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비는 1: 1: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산약, 어성초 및 용안육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추출물은 산약, 어성초 및 용안육이 1: 0.1 내지 10: 0.1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급알코올은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비는 1: 1: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70011986A 2016-01-28 2017-01-25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 증진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875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10560 2016-01-28
KR1020160010560 2016-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362A KR20170090362A (ko) 2017-08-07
KR101875307B1 true KR101875307B1 (ko) 2018-07-05

Family

ID=5965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986A KR101875307B1 (ko) 2016-01-28 2017-01-25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 증진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30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713A (ko) 2018-11-30 2020-06-09 한국식품연구원 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47415A (ko) 2019-10-21 2021-04-30 한국식품연구원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gabaa 수용체 효능제의 부작용 경감용 조성물
KR20210047416A (ko) 2019-10-21 2021-04-30 한국식품연구원 강황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47414A (ko) 2019-10-21 2021-04-30 한국식품연구원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42661A (ko) 2020-09-28 2022-04-05 한국식품연구원 갯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56941A (ko) 2020-10-29 2022-05-09 한국식품연구원 갯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gabaa 수용체 효능제의 내성 억제 또는 부작용 경감을 위한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57663A (ko) 2021-05-21 2022-11-29 한국식품연구원 구릿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4539B1 (ko) 2022-12-16 2023-08-0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46051B1 (ko) 2022-09-22 2024-03-13 국립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3913A (zh) * 2018-02-10 2018-06-12 武汉立芳华科技有限公司 一种罗布麻去烦安眠膏及制作方法
CN108721448A (zh) * 2018-07-30 2018-11-02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助眠养生中药及其制备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8124A (ja) * 1994-07-28 1996-02-13 Nikku Ind Co Ltd 龍眼肉を含有する薬草茶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15540A (ko) * 2000-08-22 2002-02-28 김상근 치매관련 질환예방용 식품소재 및 이를 이용한 식품
JP2005060357A (ja) * 2003-08-12 2005-03-10 ▲張▼ ▲書▼廷 植物を原料に用いた睡眠促進及び精神安定のための健康食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6327970A (ja) * 2005-05-25 2006-12-07 Daicho Kikaku:Kk 消化器剤、抗ストレス剤
KR101041044B1 (ko) * 2008-09-10 2011-06-1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20110101648A (ko) * 2010-03-09 2011-09-16 김동환 수면 유도용 조성물
KR101470241B1 (ko) * 2013-11-14 2014-12-08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8124A (ja) * 1994-07-28 1996-02-13 Nikku Ind Co Ltd 龍眼肉を含有する薬草茶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15540A (ko) * 2000-08-22 2002-02-28 김상근 치매관련 질환예방용 식품소재 및 이를 이용한 식품
JP2005060357A (ja) * 2003-08-12 2005-03-10 ▲張▼ ▲書▼廷 植物を原料に用いた睡眠促進及び精神安定のための健康食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6327970A (ja) * 2005-05-25 2006-12-07 Daicho Kikaku:Kk 消化器剤、抗ストレス剤
KR101041044B1 (ko) * 2008-09-10 2011-06-1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20110101648A (ko) * 2010-03-09 2011-09-16 김동환 수면 유도용 조성물
KR101470241B1 (ko) * 2013-11-14 2014-12-08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C Chen 외 3명. Drug-use pattern of Chinese herbal medicines in insomnia: a 4-year survey in Taiwan. Neuroscience Letters. Volume 34, Issue 5, 2009, pp. 555-560 *
LC Chen 외 3명. Drug-use pattern of Chinese herbal medicines in insomnia: a 4-year survey in Taiwan. Neuroscience Letters. Volume 34, Issue 5, 2009, pp. 555-560*
왕덕중 외 6명. 수면장애를 동반한 당뇨병성 소양증 환자에 대한 육미지황탕가미방(六味地黃湯加味方) 투여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Volume 26, Issue 3, 2005, pp. 725-732 *
왕덕중 외 6명. 수면장애를 동반한 당뇨병성 소양증 환자에 대한 육미지황탕가미방(六味地黃湯加味方) 투여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Volume 26, Issue 3, 2005, pp. 725-732*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713A (ko) 2018-11-30 2020-06-09 한국식품연구원 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7248B1 (ko) 2018-11-30 2020-09-17 한국식품연구원 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47415A (ko) 2019-10-21 2021-04-30 한국식품연구원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gabaa 수용체 효능제의 부작용 경감용 조성물
KR20210047416A (ko) 2019-10-21 2021-04-30 한국식품연구원 강황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47414A (ko) 2019-10-21 2021-04-30 한국식품연구원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42661A (ko) 2020-09-28 2022-04-05 한국식품연구원 갯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56941A (ko) 2020-10-29 2022-05-09 한국식품연구원 갯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gabaa 수용체 효능제의 내성 억제 또는 부작용 경감을 위한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57663A (ko) 2021-05-21 2022-11-29 한국식품연구원 구릿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46051B1 (ko) 2022-09-22 2024-03-13 국립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4539B1 (ko) 2022-12-16 2023-08-0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362A (ko) 2017-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307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 증진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02894437A (zh) 一种清热降火银花莲心饮料及其制备方法
JP2013537890A (ja) ハリグワ及びヨクイニンを含む肥満抑制又は血糖降下用組成物、並びにその用途
JP2008528481A (ja) 脳卒中及び神経変性疾患の予防及び治療ための神経保護活性を有する複合生薬材抽出物を含む組成物
KR101789424B1 (ko) 구기자를 포함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한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90175B1 (ko) 고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면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68551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면증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090103239A (ko)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효과적인 포도근 추출물을포함하는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38491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제
KR101779536B1 (ko) 둥굴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 장애 치료 및 수면 시간 증진을 위한 조성물
KR20130029284A (ko) 치매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0456281B1 (ko) 방광기능개선제 또는 배뇨장애치료제, 및 방광기능개선용또는 배뇨장애치료용 음식물
KR101987418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 보호용 조성물
KR20090045721A (ko)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KR102262763B1 (ko) 강황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17843B1 (ko) 울금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아로매틱-튜메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1406529B1 (ko) 우묵사스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05482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면증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4669077B1 (ja) アスパラガス擬葉を有効成分とする自律神経調整剤
KR101769972B1 (ko) 한약재 추출물(yj05)을 함유하는 불면증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46051B1 (ko)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5824B1 (ko) 당뇨 예방 및 개선용 복합 천연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02224B1 (ko) 한약재 추출물 yj06을 함유하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2182B1 (ko) 큰뱀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 증상 또는 스트레스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