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3239A -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효과적인 포도근 추출물을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효과적인 포도근 추출물을포함하는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3239A
KR20090103239A KR1020080028722A KR20080028722A KR20090103239A KR 20090103239 A KR20090103239 A KR 20090103239A KR 1020080028722 A KR1020080028722 A KR 1020080028722A KR 20080028722 A KR20080028722 A KR 20080028722A KR 20090103239 A KR20090103239 A KR 20090103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thma
obstructive pulmonary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배
최성식
전은미
박재영
최은욱
신동승
이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젝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젝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젝스
Priority to KR1020080028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3239A/ko
Priority to PCT/KR2008/005110 priority patent/WO2009119948A1/en
Publication of KR20090103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23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도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에 효과적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타2 아드레날린 수용체를 활성화 시키는데 우수한 효과가 있는 약물인 포도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폐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와 원료, 기능성 식품, 화장품, 생약제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부작용이 작은 천연물로서 종래기술보다 효율적이며 경제적 효용가치가 크다.

Description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효과적인 포도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A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belonged to Vitidis Viniferae Radix being effective asthmatic or COPD}
본 발명은 포도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에 효과적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포도근은 포도과(Vitaceae)에 속하는 포도(Vitis vinifera), 산포도(왕머루, Vitis amurensis)의 뿌리를 햇볕에 말리거나 신선한 그대로를 사용하는 생약으로, 생약명은 비티스 비니페래 라딕스(Vitidis Vinferae Radix)이다.
근래 급속한 산업화의 영향으로 갈수록 대기 오염문제가 갈수록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직접적인 질병 발생 문제는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호흡기 질환으로 호소하는 경우가 매년 증가 추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관지 질환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요법은 아직 완벽한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러한 폐질환은 만성으로 발작성으로 진행되고 그에 따르는 고통뿐만 아니라 의료부담이 많이 차지하고 있어 임상 분야에 전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신물질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폐질환 중 천식은 염증성 변화를 조직학적 특성으로 하는 가역적 폐색성 기도질환으로서 가역적인 기도수축에 의해 발작적 호흡곤란, 기침, 객담 등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그 발생 기전은 기관지 평활근의 수축이나 경련, 기관지점막의 부종과 점액 분비 증가에 의해서 일어나며 이 중에서도 기관지 평활근 수축이 주된 발생 기전이다. 기도 수축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유력한 학설은 항원의 흡입, 섭취로 인해 기도의 과민반응이 유발되어 기도가 광범위하게 수축된다는 것이다. 그 외 호흡기의 감염, SO2, 중금속, 석면, 분진 등으로 오염된 공기나 자극성 기체의 흡입, 기후의 급격한 변화, 심리적 자극, 내분비계의 이상, 자율신경계의 이상, 신체운동, β- 수용체 차단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질환으로 알려진 만성 천식 및 알레르기성 천식은 재발이 잘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질환들은 면역세포의 사이토카인에 의한 재발 위험과 자가면역에 의한 요인에 기인한 발병 기전이 알려져 있다.
천식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로는 크게 기관지 확장제, 항염증제, 항알레르기제가 있는데, 이 중 기관지 확장제는 아드레날린으로부터 시작하여 베타2 아드레날린 수용체를 촉진하는 물질이 사용되어 왔다. 베타2 아드레날린-항진제는 대표적인 기도 근육 이완제이며, 천식환자에 대해 응급상황은 물론, 만성적인 천식증상에도 이용되고 있는 약물로서, 베타2 아드레날린 수용체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세포내 c-AMP를 상승시키고, 기도 평활근을 이완시킴으로써 기관지 확장효과를 보인다.
상기 베타2 아드레날린-항진제는 살메테롤(salmeterol), 폴모테롤(formoterol) 등이 있으며, 이 약물들은 1회 투여시 12시간의 지속효과를 지님으로써 단독 투여 이외에 부신피질 호르몬과 복합처방제로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시장 점유율이 높은 이 약물들은 효능 또한 우수하나, 심계항진, 근육경련, 불안 등과 같은 부작용으로 불쾌감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많으며, 장기적인 투여가 지속된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경우 면역반응의 증가로 사망한 사례가 보고되어 처방에 따른 제한사항이 규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기존의 베타2 아드레날린-항진제보다 효능이 우수하고,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약물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자는 경제적 효용가치가 크고 부작용이 작은 천연물을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베타2 아드레날린 수용체를 활성화 시키는데 우수한 효과가 있는 약물인 포도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폐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와 원료, 기능성 식품, 화장품, 생약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포도근에서 수득한 천식, COPD(만성 폐쇄성 폐질환) 효능의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포도근 추출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a) 포도근을 건조하여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a)에서 수득한 포도근의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10 ~ 20부피의 탄소수 1 ~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으로 환류추출한 후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득된 여액을 여과한 후 40℃ 이하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도근으로부터 베타2 아드레날린 수용체 활성화와 기도과민성 저해 효능을 지닌 추출물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유기 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공되는 본 발명의 포도근 추출물은, 베타2 아드레날린 수용체를 활성화 시키는데 우수한 효과가 있으므로,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폐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의 원료, 기능성 식품 및 생약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도근 추출물은 천식(asthma), 기관지 천식(bronchial asthma), 만성 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알레르기성 비염(allergic rhinitis), 호산성의 육아종(eosinophilic granuloma), 신염(nephritis), 루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낭포성 섬유종(cystic fibrosis), 만성 기관지염(chronic bronchitis),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크론병(Crohn's disease), 건선(psoraisis), 두드러기(uticaria), 성인용 춘계 결막염(adult vernal cojunctivitis),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루마티스양 척추염(rheumatoid spondylitis), 골관절염(osteoarthritis), 통풍성 관절염(gouty arthritis), 자궁염(utelitis), 알레르기성 결막염(allergic conjunctivitis), 장염(inflammatory bowel conditions),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alitis), 습진(eczema),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및 만성 염증(chronic inflammation)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또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폐질환은 오발부민(Ovalbumin)으로 유도한 천식 동물모델에 투여하여 억제하는 기전을 통해 기인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포도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0.01 내지 500 mg/㎏의 양,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그 추출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랫트, 마우스,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이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실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도근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포도근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폐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포도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폐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으며,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의 경우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의 경우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식품보조첨가제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식품첨가제, 예를 들어 향미제,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안정화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외에 첨가되는 성분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도근 추출물은 베타2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활성 촉진 효과가 우수하므로,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폐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와 원료, 건강기능식품 및 생약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도근 추출물의 베타2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활성화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도근 추출물의 세포독성 비교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도근 추출물를 이용한 쥐의 기도과민성 감소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포도근 추출물의 분리
건조하여 분쇄한 포도근( Vitidis Vinferae Radix ) 9kg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90 내지 180 리터 부피의 탄소수 1 ~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으로 20시간 정도 환류추출한 후 여과하여 여액을 모으고 다시 잔사에 2 ~ 25 배량의 탄소수 1 ~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을 가하여 4시간 이상 가온하여 여과한 다음 이전의 여액과 혼합하였다. 그 이후 상기 추출용액을 여과한 후 40℃이하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하여 포도근 추출물 214g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2: 베타2 아드레날린 수용체 활성화의 확인
사람골아세포인 U2-OS 세포주에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하여 베타2 아드레날린 수용체 유전자와 신호전달과정 말단에서 활성화되는 CRE(cAMP-response element)에 luciferase 염기서열을 결합한 유전자를 24시간 과발현 시켰다. 다음 24시간 동안 무혈청(serum-free) McCoy’s 5A 배양액으로 바꾸어 준 후, 포도근 추출물을 6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luciferase assay kit를 이용하여 베타2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활성화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도 1 참고).
그 결과, 포도근 추출물이 베타2 아드레날린 수용체를 활성화 시킴을 확인하였다. 포도근 추출물의 베타2 아드레날린 수용체 활성화 농도(EC50)는 각각 4ug/ml 과 7ug/ml 이었다.
실시예 3: 세포 독성 비교
MRC5 세포주(ATCC)에 포도근 추출물을 각각 농도별로 처리한 후 살아있는 세포수를 측정하여 세포독성을 대조군과 비교하였다(도 3 참고). 도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포도근 추출물의 세포독성 농도(CC50)는 둘다 100ug/ml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동물 효력( AHR , 기도저항) 확인
6주령 Balb/c 생쥐 복강에 OVA를 2주 간격으로 10ug 농도로 2회 투여하고, 이후 6주 동안 1% OVA을 주당 3회 30분간 분무하여 기관지과민증을 나타내는 천식 모델마우스를 제조하였다. 위 과정 중에 포도근 추출물을 100mg/kg 농도로 6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이후 기관지에 메타콜린(methacholine)을 농도별로 분무하여 whole-body plethysmograph(Buxco, Sharon, CT)로 기도저항수치(Penh)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도근 추출물은 OVA를 처리한 대조군에 비하여 메타콜린 6.25, 12.5, 25, 50 mg/ml 처리군에서 유의성 있는 Penh 수치 저하를 나타내어 효과적으로 기도과민성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도 4에서 NC는 정상대조군(Normal control), OVA는 오발부민(Ovalbumin)이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포도근 추출물의 건조분말           3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포도근 추출물의 건조분말       5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포도근 추출물의 건조분말       5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포도근 추출물의 건조분말   5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포도근 추출물의 건조분말         10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1의 포도근 추출물의 건조분말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포도근 추출물 건조분말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포도근 추출물은 베타2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활성 촉진 효과가 우수하므로,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폐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와 원료, 건강기능식품 및 생약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부작용이 작은 천연물이므로 종래기술보다 효율적이며 경제적 효용가치가 크다.

Claims (6)

  1. 포도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폐질환(COPD)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포도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폐질환(COPD)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베타2 아드레날린 수용체 활성 촉진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폐질환(COPD)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베타2 아드레날린 수용체 활성 촉진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폐질환(COPD)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폐질환(COPD)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폐질환의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포도근을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포도근을 건조하여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a)에서 수득한 포도근의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10 ~ 20 부피의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으로 환류추출한 후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득된 여액을 여과한 후 40℃ 이하의 온도에서 감압농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포도근의 추출방법.
KR1020080028722A 2008-03-28 2008-03-28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효과적인 포도근 추출물을포함하는 조성물 KR2009010323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722A KR20090103239A (ko) 2008-03-28 2008-03-28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효과적인 포도근 추출물을포함하는 조성물
PCT/KR2008/005110 WO2009119948A1 (en) 2008-03-28 2008-09-01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belonged to vitidis viniferae caulis or vitidis viniferae radix being effective asthmatic or cop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722A KR20090103239A (ko) 2008-03-28 2008-03-28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효과적인 포도근 추출물을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239A true KR20090103239A (ko) 2009-10-01

Family

ID=41532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722A KR20090103239A (ko) 2008-03-28 2008-03-28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효과적인 포도근 추출물을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323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1501A1 (ko) 2012-03-22 2013-09-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죽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4193088A1 (ko) * 2013-05-31 2014-12-0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포도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c형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258662B2 (en) 2013-05-31 2019-04-16 Dongguk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patitis C including vitidis vinferae radix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KR20210122367A (ko) * 2020-03-30 2021-10-12 심우필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를 위한 오가피, 교맥 및 목과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46577A (ko) 2020-05-27 2021-12-0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알리솔 b 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폐쇄성폐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1501A1 (ko) 2012-03-22 2013-09-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죽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4193088A1 (ko) * 2013-05-31 2014-12-0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포도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c형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258662B2 (en) 2013-05-31 2019-04-16 Dongguk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patitis C including vitidis vinferae radix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KR20210122367A (ko) * 2020-03-30 2021-10-12 심우필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를 위한 오가피, 교맥 및 목과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46577A (ko) 2020-05-27 2021-12-0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알리솔 b 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폐쇄성폐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668B1 (ko) 비만억제 활성과 혈당강하 효능이 있는 꾸지뽕 및 의이인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US20060228430A1 (en) Novel method for preparing processed ginseng to obtain increased amount of ginsenoside RG5
KR102169920B1 (ko) 오미자 추출물, 배 추출물 및 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103239A (ko)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효과적인 포도근 추출물을포함하는 조성물
KR101793503B1 (ko) 퇴행성 뇌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01113A (ko) 구절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51369A (ko) 나한과(Siraitia grosvenorii)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및 아토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824970B1 (ko) 호장근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과 알레르기 질환의치료제로서 그의 용도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78227B1 (ko)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119410B1 (ko) 회향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852264B1 (ko)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효과적인 포도등 추출물을포함하는 조성물
KR101483585B1 (ko) 황기, 오미자 및 길경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82396A (ko) 계혈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9527A (ko) 석창포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50113434A (ko) 인삼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우울증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379574B1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41302B1 (ko) 디아세틸 토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2471629B1 (ko) 석창포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73797A (ko) 지실, 금은화 및 백지 혼합물로부터의 생약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30029283A (ko) 변비 치료용 조성물
KR102202224B1 (ko) 한약재 추출물 yj06을 함유하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4356756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degenerative arthritis comprising steamed ginger extract or 1-dehydro-6-gingerdione isolated therefrom as active ingredient
KR20120033443A (ko) 대황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피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68522A (ko) 맥문동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