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2838A -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함유하는 혈당 강하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함유하는 혈당 강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2838A
KR20090042838A KR1020097004925A KR20097004925A KR20090042838A KR 20090042838 A KR20090042838 A KR 20090042838A KR 1020097004925 A KR1020097004925 A KR 1020097004925A KR 20097004925 A KR20097004925 A KR 20097004925A KR 20090042838 A KR20090042838 A KR 20090042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acia
bark
composition
extract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8715B1 (ko
Inventor
유쇼 나까모또
게이꼬 오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우드 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우드 원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우드 원
Publication of KR20090042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7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1Aromat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C07D311/58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other than with oxygen or sulphur atoms in position 2 or 4
    • C07D311/60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other than with oxygen or sulphur atoms in position 2 or 4 with aryl radicals attached in position 2
    • C07D311/62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other than with oxygen or sulphur atoms in position 2 or 4 with aryl radicals attached in position 2 with oxygen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3, e.g. anthocyanid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iabet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Physiology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기간 복용하더라도 부작용 등의 우려가 없고, 우수한 혈당 강하 작용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강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 혈당 강하 조성물,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의 추출물,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폴리페놀, 축합형 탄닌

Description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함유하는 혈당 강하 조성물{HYPOGLYCEMIC COMPOSITION CONTAINING COMPONENT ORIGINATING IN THE BARK OF TREE BELONGING TO THE GENUS ACACIA}
본 발명은 아카시아속(genus Acacia)에 속하는 수목에서 유래되는 혈당 강하 조성물 및 이 혈당 강하 조성물의 식품, 동물용 사료, 의약 및 의약부외품으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식생활의 구미화, 교통 기관의 발달에 의한 운동 부족 등 때문에, 당뇨병이나 그 예비군인 내당능 이상을 나타내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당뇨병은 저림, 통증 등의 당뇨병성 신경 장해, 백내장, 당뇨병성 망막증, 동맥 경화증, 당뇨병성 신증, 당뇨병성 괴저 등의 합병증을 일으켜, 최종적으로는 죽음에 이르는 케이스도 볼 수 있기 때문에, 그 치료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서는 생활 습관의 개선이 바람직하지만,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뇨병에 대한 치료로서는, 인슐린 주사나 혈당 강하제의 경구 투여에 의해서 혈중의 인슐린량을 조절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들 방법에는 부작용이 따르고, 또한 식사 요법이나 운동 요법에 있어서는, 환자에게 준수시키는 것이 곤란하 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중에, 다채로운 작용을 갖고, 장기간 복용하더라도 부작용 등의 우려가 없는 천연 유래의 성분을 이용하여, 당뇨병이나 고혈당증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거나 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도깨비바늘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혈당의 치료 및 예방제가, 특허 문헌 2에는 비름(Amaranthus) 종자 아세트산 발효물의 건조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고혈당 개선용 조성물이, 특허 문헌 3에는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 또는 그 처리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태의 예방·개선제가, 특허 문헌 4에는 고혈당을 억제하여 혈당을 낮게 유지하는 효과를 갖는 푸코이단계 건강 식품이, 특허 문헌 5에는 올리브잎 또는 그 추출 성분을 함유하는 고혈당자용 식품이 각각 기재되어 있다. 
한편, 아카시아에 관해서는, 아카시아 벌꿀이나 그 나무 껍질로부터 추출되는 탄닌을 가죽 타닝제나 목재용 접착제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고, 또한 최근에는 아카시아속의 추출물에 COX-2의 선택적 저해 효과(특허 문헌 6)가 있는 것이나 아카시아속의 나무 껍질에 활성 산소 소거 효과(특허 문헌 7)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에 의한 미백 효과(특허 문헌 8)가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아카시아속의 나무 껍질이나 나무 껍질 유래의 폴리페놀에 혈당 강하 작용이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았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2336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7-138178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17559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4054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0753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 특허 공표 제2004-532811호 공보
특허 문헌 7: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52639호 공보
특허 문헌 8: 일본 특허 공개 (평)10-025238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장기간 복용하더라도 부작용 등의 우려가 없고, 우수한 혈당 강하 작용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이 혈당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갖고, 당뇨병 등의 고혈당병의 용태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강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사용하는, 당뇨병 등의 고혈당병의 용태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당뇨병 등의 고혈당병의 용태의 예방 또는 치료용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혈당 강하 작용을 갖는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하고, 장기간 복용하더라도 부작용 등의 염려가 적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이란, 아카시아속에 속하는 수목(이하, 「아카시아」 또는 「아카시아속」이라 함)의 나무 껍질을 원료로 하여 얻어지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아카시아속의 나무 껍질의 세편(細片), 분말 및 이들의 현탁액, 아카시아속의 나무 껍질의 추출액, 농축 추출액, 및 엑기스 분말 등의 추출물 및 이 추출물을 정제하여 얻은 정제물을 들 수 있다.  우수한 혈당 강하 활성이 얻어지는 데에 있어서, 아카시아속의 나무 껍질의 추출물, 특히 아카시아 나무 껍질 폴리페놀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1종만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카시아는, 아카시아속에 속하는 수목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우수한 혈당 강하 작용이 있는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이 얻어지는 점에서, 학명: 아카시아 미아른시 드 와일드(Acacia mearnsii De Wild., 일반명 블랙 와틀), 학명: 아카시아 만시움 윌드(Acacia mangium Willd., 일반명 아카시아 만기움), 학명: 아카시아 딜바타 링크(Acacia dealbata Link), 학명: 아카시아 데커렌스 윌드(Acacia decurrens Willd.), 및 학명: 아카시아 피크난타 벤쓰(Acacia pycnantha Benth.)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아카시아속의 나무 껍질이 바람직하고, 특히 아카시아 미아른시 드 와일드 및 아카시아 만시움 윌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아카시아속의 나무 껍질을 1종만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아카시아속의 나무 껍질은, 통상, 수목으로서 벌채한 후, 나무 껍질만을 박리하여 채취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얻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태양 건조시킨 나무 껍질이 바람직하다. 
아카시아속의 나무 껍질은 외피와 약간 섬유질의 내피로 이루어지고, 함수율 20% 정도 이하로 건조되면 햄머밀(hammer mill) 등의 분쇄기로 용이하게 미분화한다.  본 발명에서는 아카시아속의 나무 껍질로서, 이 아카시아속의 내피와 외피의 양쪽을 함께 이용할 수도 있고, 어느 한쪽만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아카시아속의 나무 껍질의 세편은 관용의 방법에 따라서 아카시아속의 나무 껍질을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카시아속의 나무 껍질의 분말은 아카시아속의 나무 껍질을 관용의 방법으로 분쇄하여 분말화하여 얻을 수 있는데, 특히, 입경이 100 μm 이하, 특히 50 내지 70 μm인 분말이 바람직하다.  분말의 분획은, 함수율 20% 이하로 건조시킨 나무 껍질을 적당한 크기, 예를 들면 입경 1.6 mm 이하 정도로 분쇄하고, 얻어진 분말을 진동 체 등으로 등급 분류하여 요구되는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아카시아속의 나무 껍질의 추출물은 아카시아속의 나무 껍질을 관용의 방법에 따라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우수한 혈당 강하 작용을 갖는 아카시아속의 나무 껍질의 추출물을 얻기 위해서, 아카시아속의 나무 껍질을 알코올이나 극성 용매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알코올로서 에탄올을, 극성 용매로서 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이들 용매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특히, 우수한 혈당 강하 작용을 얻기 위해서, 물과 에틸 알코올 등의 알코올과의 혼합 용매가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용매에 의해서 복수회 추출 조작을 행할 수도 있다.
우수한 혈당 강하 작용을 갖는 추출물을 얻는 데에 있어서, 아카시아속의 나무 껍질로부터의 물 또는 열수에 의한 추출물을 추가로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추출은 아카시아속의 나무 껍질의 세편이나 분말 등에 용매를 첨가하고 필요에 따라서 교반하여 추출하는데, 온도나 시간 또는 고액비(solid-liquid ratio)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용매에 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열수로 추출할 수도 있다.  얻어진 추출액은 그대로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할 수도 있고, 또는 감압 농축하고 나서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할 수도 있다.  얻어지는 추출물은, 추출액, 용액, 분말, 농축액, 페이스트상물 등의 다양한 형태로 할 수 있고, 널리 필요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형태로 얻어진 본 발명의 아카시아속의 나무 껍질 추출물은 그대로 혈당 강하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외에, 추가로 필요에 따라서 정제하고, 그 정제물도 혈당 강하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로서, 아카시아속의 나무 껍질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도 예시된다.  이러한 성분으로서, 아카시아 나무 껍질 폴리페놀 등이 예시된다.  특히, 아카시아 나무 껍질 폴리페놀은 우수한 혈당 강하 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바람직한 성분이다. 
본 발명의 아카시아 나무 껍질 폴리페놀이란, (-)-피세티니돌, (-)-로비네티니돌, (+)-카테킨, 및 (+)-갈로카테킨 등의 플라반-3-올을 기본 골격으로 하는 플라바놀류가 C4-C8, C4-C6 결합한 중합체인 축합형 탄닌의 일종을 의미한다.  여기서, 이러한 축합형 탄닌으로서 분자량 300 내지 3000, 특히 500 내지 3000의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아카시아 나무 껍질 폴리페놀은, 상기 아카시아속의 나무 껍질의 분말 등을 열수 추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아카시아 나무 껍질 폴리페놀 제품으로서는 미모사 센트랄 코퍼레이티브 엘티디. 제조의 등록상표 미모사 ME 파우더(MIMOSA ME POWDER), 미모사 MS 파우더, 미모사 GS 파우더, 미모사 FS 파우더, 미모사 WS 파우더, 미모사 RG 파우더, 미모사 RN 파우더, 미모사 DK 파우더, 미모사 AL 파우더, 미모사 CR 파우더, 골든 미모사 파우더(GOLDEN MIMOSA POWDER)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 예를 들면, 아카시아속의 나무 껍질, 그의 추출물, 그의 정제물, 또는 아카시아 나무 껍질 폴리페놀 그 자체 일 수도 있지만, 다른 혈당 강하 작용을 갖는 물질, 예를 들면, 흑 식초, 양파 추출물, 야콘(yacon)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상승 효과에 의한 우수한 혈당 강하 작용이 얻어지는 점에서, 야콘, 특히 야콘차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 예를 들면, 아카시아속의 나무 껍질, 그의 추출물, 그의 정제물, 또는 아카시아 나무 껍질 폴리페놀 그 자체일 수도 있는데,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부형제, 감미료, 산미료, 증점제, 향료, 색소, 유화제 및 그 외에 식품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소재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식품 또는 동물용 사료로서, 혈당 상승을 수반하는 질환, 예를 들면, 당뇨병이나 고혈당증의 예방 또는 해소 등의 목적으로 건강 식품, 기능성 식품, 건강 보조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미용 식품 및 영양 보조 식품(서플러멘트(supplement))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식품 및 동물용 사료는, 예를 들면, 차 및 쥬스 등의 음료수; 아이스크림, 젤리, 사탕, 초코렛 및 츄잉검 등의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액제, 가루제, 입제, 캡슐제 또는 정제의 형태일 수도 있다.  여기서, 동물용 사료의 동물로서는, 애완 동물, 축산 동물 또는 동물원 등에서 사육되고 있는 동물을 포함하는, 혈당 상승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해소를 필요로 하는 모든 동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의약 또는 의약부외품으로서, 혈당 상승을 수반하는 질환, 예를 들면, 당뇨병이나 고혈당증의 예방, 해소 또는 치료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의약품은, 예를 들면, 정제, 코팅정, 당의정, 경질 또는 연질 젤라틴 캡슐제, 액제, 유탁제 또는 현탁제의 형태로 경구적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섭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제형, 및 사용자 또는 환자 등의 섭취자 또는 섭취 동물의 연령, 체중 및 증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효 성분량으로서 1일당 섭취자 또는 섭취 동물의 체중 1 kg에 대하여 아카시아 나무 껍질 폴리페놀량으로 0.001 내지 1 g,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5 g,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1 g을 경구 섭취하는 것이 우수한 혈당 강하 작용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섭취 기간은 사용자 또는 환자의 연령, 증상에 따라서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제조예, 시험예, 배합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여기서는 본 발명의 아카시아속의 나무 껍질을 외피와 내피로 나누지 않고 실시예를 기술하고 있지만, 외피를 내피로부터 분리하여 각각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의 제조예, 시험예 등에 있어서, 본 발명의 각 아카시아를 각각의 학명의 다음의 괄호 내에 나타낸 번호로 나타낸다.  예를 들면, 학명: 아카시아 미아른시 드 와일드의 아카시아를 아카시아 No.1이라고 기재한다. 
학명: 아카시아 미아른시 드 와일드(No.1), 학명: 아카시아 만시움 윌드(No.2), 학명: 아카시아 딜바타 링크(No.3), 학명: 아카시아 데커렌스 윌 드(No.4), 학명: 아카시아 피크난타 벤쓰(No.5).
또한, %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를 의미한다. 
아카시아 나무 껍질 분말의 제조예 1
아카시아 No.1의 나무 껍질을 함수율 20% 이하까지 건조시키고, 그 건조 나무 껍질을 햄머밀로 1.6 mm 이하(10 메쉬체(타일러: Tyler) 통과)의 분말로 분쇄한 후, 다시 진동 체로 등급 분류하여 63 μm 이하(250 메쉬체 하)의 미분말을 얻었다.
동일하게 하여, 나머지 4종의 아카시아 No.2 내지 5의 나무 껍질을 분쇄하여 각각 63 μm 이하의 미분말을 얻었다.  종류에 따라서 250 메쉬체 통과의 미분말의 수율에 다소의 차는 있지만, 목적으로 하는 미분말이 얻어졌다. 
아카시아 나무 껍질 추출물의 제조예 2
본 발명의 각 아카시아 No.1 내지 5의 나무 껍질을 각각 함수율 20% 이하까지 건조시키고, 그 건조 나무 껍질을 햄머밀로 1.6 mm 이하의 분말로 분쇄한 후, 이 건조 분쇄 나무 껍질 100 g에 대하여 5배량의 열수를 첨가하고, 비등하고 나서 15분간 추출하고, 10 내지 20 μm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얻어진 여과액을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분무 건조하여 나무 껍질 추출물 각 40 g을 얻었다. 
이하, 각 나무 껍질 추출물은 아카시아 No.1 내지 5 열수 추출물이라고 기재한다. 
아카시아 나무 껍질 추출물의 제조예 3
본 발명의 아카시아의 나무 껍질을 함수율 20% 이하까지 건조시키고, 그 건 조 나무 껍질을 햄머밀로 1.6 mm 이하의 분말로 분쇄한 후, 이 건조 분쇄 나무 껍질 100 g에 대하여 5배량의 에탄올을 첨가하고, 비등시켜 환류시키면서 15분간 추출하고, 10 내지 20 μm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얻어진 여과액으로부터 에탄올을 증발시킨 후, 농축액을 밀폐형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분무 건조하여, 나무 껍질 추출물(이하, 아카시아 No.1 에탄올 추출물과 같이 기재함) 40 g을 얻었다. 
동일하게 하여, 아카시아 No.1 내지 5의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아카시아 나무 껍질 추출물의 제조예 4
제조예 2에서 얻어진 아카시아 열수 추출물 10 g에 3배량의 에탄올을 첨가하고, 비등시켜 환류시키면서 15분간 추출하고, 10 내지 20 μm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얻어진 여과액으로부터 에탄올을 증발시키고, 그것에 물을 첨가하고 나서 동결 건조시켜서 9 g의 추출물(이하, 아카시아 No.1 열수 추출물 에탄올 분획과 같이 기재함)을 얻었다. 
동일하게 하여 아카시아 No.1 내지 5의 열수 추출물 에탄올 분획을 얻었다. 
시험예 1 혈당 상승 억제 시험 (1)
1. 시험 방법
제조예 2에 기재된 아카시아 No.1 열수 추출물을 5% 함유하는 사료를 II형 당뇨병 모델 마우스(C57BLKS/J Iar-+Leprdb/+Leprdb, 수컷, 7주령)에 28일간 먹이로 주었다.  대조군에는 시판되고 있는 보통 사료를 먹이로 주었다. 
투여 개시 전 및 투여 최종일의 다음날에 혈당, 요당, 및 혈장의 인슐린량을 측정하였다.  특정일 전일부터 마우스는 절식(絶食)시켜 놓었다.  혈당치 및 요당치는 프리스타일 킷세이 미터(C-D036-01014, 킷세이 야꾸힝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에 의해 측정하였다.  인슐린량은 인슐린-마우스-T(가부시끼가이샤 시바야기)에 의해 측정하였다. 
얻어진 각 측정치는 평균치±표준 오차로 나타내었다.  대조군과의 유의차 검정은, F 검정에 의해 분산에 균일성이 보이는 경우에는 스튜던트(Student)의 t 검정으로, 분산에 균일성이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아스핀 웰치(Aspin Welch)의 t 검정으로 행하였다.  유의 수준은 5% 및 1%로 표시하였다. 
2. 시험 성적
결과를 하기의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모든 예에 있어서 사망 및 일반 상태 이상은 보이지 않았다. 
Figure 112009014299648-PCT00001
Figure 112009014299648-PCT00002
이상의 결과로부터, 아카시아 나무 껍질 폴리페놀은 혈당치를 저하시켜, 당뇨병에 의한 혈당 상승 억제 효과를 갖고, 또한 당뇨병의 증상도 경감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시험예 2 혈당 상승 억제 시험 (2)
1. 시험 방법
제조예 2에 기재된 아카시아 No.1 열수 추출물을 0.5, 1.5, 및 5.0% 각각 함유하는 사료를 II형 당뇨병 모델 마우스(BKS.Cg-+Leprdb/+Leprdb/Jc1 수컷, 7주령)에 각각 28일간 먹이로 주었다.  대조군에는 시판되고 있는 보통 사료를 먹이로 주었다. 
시험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항목을 측정하였다.  또한, 혈당 및 요당은 투여 개시 전, 투여 개시 후 14일째 및 투여 최종일의 다음날에 측정하였다.  또한, 주 1회, 1주간분의 섭수량, 섭이량을 측정하고, 각각 1일당의 양을 산출하였다.  투여 최종일의 다음날에 당화 헤모글로빈량을 면역저해 혼탁측정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얻어진 각 측정치는 평균치±표준 편차로 나타내었다.  대조군과의 유의차 검정은, 던넷(Dunnett) 다중 비교 검정으로 행하였다.  유의 수준은 5% 및 1%로 표시하였다. 
2. 시험 성적
결과는 하기의 표 3 내지 7에 나타내었다.  모든 예에 있어서 사망예 및 일반 상태에 이상은 보이지 않았다. 
Figure 112009014299648-PCT00003
Figure 112009014299648-PCT00004
Figure 112009014299648-PCT00005
Figure 112009014299648-PCT00006
Figure 112009014299648-PCT00007
상기 결과로부터, 아카시아 나무 껍질 No.1 열수 추출물의 투여량에 의존하여, 인슐린치의 증가, 및 섭수량, 혈당치, 요당치 및 당화 헤모글로빈치의 감소가 보여졌기 때문에, 아카시아 나무 껍질 폴리페놀 섭취에 의해, 당뇨병의 증상인 저인슐린혈증, 다음(多飮), 고혈당 등의 증상이 경감되었다고 생각되었다. 
시험예 3 돌연 변이 유기성 시험
일본 노동부 고시 제77호((소)63년 9월 1일)에 준거하여 돌연 변이 유기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156 내지 5,000 μg/플레이트의 용량의 검체(제조예 2의 아카시아 No.1 내지 5 열수 추출물)로 시험한 결과, 어느 균주에 대해서도 복귀 돌연변이(revertant) 콜로니수는 증가하지 않았다. 
시험예 4 소핵 시험
통상법에 따라서, 생체 내에서의 소핵 유발능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아카시아 No.1 열수 추출물을, 수컷 ICR계 마우스에, 2,000, 1,000, 및 500 mg/kg의 하루 용량으로, 24시간 간격으로 2회 경구 투여하고, 최종 투여 24시간 후에 소핵 표본을 제조하였다. 
아카시아 No.1 열수 추출물의 어느쪽의 용량도 양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동시에 관찰한 총다염성 적혈구의 총적혈구에 대한 비에 있어서 일정한 변동은 없었고,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더라도 적혈구의 증식 억제는 보이지 않았다. 
시험예 5 마우스 급성 독성 시험(경구 투여)
OECD(Guidelines for the Testing of Chemicals 401, 1987)에 준거하여, ICR 계 암수 마우스를 이용한 급성 경구 독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카시아 No.1 열수 추출물의 LD50치는 수컷에서는 4,468 mg/kg, 암컷에서는 3,594 mg/kg이었다. 
상기 시험을 제조예 2의 아카시아 No.2 내지 5 열수 추출물에 대해서 행하여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시험예 6 래트 반복 투여 독성 시험(경구 투여)
통상법에 따라서, 래트를 이용한 13주간 반복 투여 독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아카시아 No.1 열수 추출물을 0.5, 1.5, 및 5.0% 함유하는 혼합 사료를 Slc:SD 래트의 암수에 먹이로 주었다. 
그 결과, 래트의 사망예는 없었다.  일반 상태를 포함하여, 검사에 있어서 이상은 없었다. 
시험예 7 인간 단회 투여 시험
32세 내지 43세의 건강한 성인 남성 5명에게 아카시아 No.1 열수 추출물을 1500 mg(하기의 배합예 4의 정제를 12정) 섭취시키고, 섭취 전·섭취 3시간 후·섭취 8시간 후·섭취 24시간 후·섭취 1주간 후에, 일반 검사·혈액학적 검사·혈액 생화학적 검사, 뇨 검사를 실시했지만, 임상상 문제가 되는 검사치의 변동은 없었다.  정제에 관련하는 유해 사상(adverse event)도 없었다. 
시험예 8 인간 4주간 연속 투여 시험
23세 내지 44세의 건강한 성인 남성 25명에게 하기의 배합예 4의 아카시아 No.1 열수 추출물을 750 mg/일(배합예 4의 정제를 6정) 및 1000 mg/일(배합예 4의 정제를 8정) 4주간 각각 섭취시켰다. 
각 군의 섭취 전, 섭취 2주간 후, 섭취 4주간 후, 섭취 종료 2주간 후에, 일반 검사, 혈액 검사, 뇨 검사를 실시하였다.  문제가 있는 검사치의 변동은 없었다.  유해 사상도 없었다. 
배합예 1 내복제의 제조
제조예 4의 아카시아 나무 껍질 열수 추출물 에탄올 분획을 이용하여, 하기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내복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의 추출물 분획 1.0(중량%)
젖당   30.0
옥수수 전분  60.0
결정 셀룰로오스  8.0
폴리비닐피롤리돈 1.0
계  100.0
배합예 2 애완 동물 사료의 제조
제조예 2의 아카시아 나무 껍질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애완 동물 사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의 추출물  1.0(중량%)
오트밀  88.0
전분   5.0
식염   2.5
전란(全卵)   3.0
조미료   0.5
계  100.0
배합예 3 정제(과자)의 제조
제조예 4의 아카시아 나무 껍질 열수 추출물 에탄올 분획을 이용하여, 하기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정제(과자)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의 추출물 분획 1.0(중량%)
시트르산   1.0
탈지 분유   15.0
자당 에스테르  1.0
플레이버   0.5
가루당   20.0
젖당   61.5
계  100.0
배합예 4 정제의 제조
제조예 2의 아카시아 나무 껍질 No.1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의 아카시아 나무 껍질 No.1 열수 추출물 125(mg)
자당 에스테르     9
젖당       166
계     300
본 발명의 혈당 강하 조성물은, 혈당 상승을 수반하는 질환의 해소 및/또는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 또는 건강 식품, 건강 보조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또는 영양 보조 식품 등의 식품 또는 동물용 사료로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혈당 상승을 수반하는 질환으로서, I 형 및 II형 당뇨병 등의 당뇨병 및 고혈당증뿐만아니라, 이들 당뇨병이나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병, 예를 들면, 당뇨병성 고지혈증, 당뇨병성 골다공증, 당뇨병에 의해 체중이 감소하는 증상, 당뇨병에 의해 혈중 미네랄 농도가 변동하는 증상, 저림 또는 통증 등의 당뇨병성 신경 장해, 백내장, 동맥 경화증, 말초혈류 장해, 족부괴저 등의 당뇨병 괴저, 당뇨병성 망막증, 또는 당뇨병 신증 등의 합병증 등이 예시된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당의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고혈당증을 예방할 수 있고, 나아가서 당뇨병을 예방할 수가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건강 식품이나 특정 보건용 식품에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Claims (13)

  1.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강하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이 아카시아 미아른시 드 와일드(Acacia mearnsii De Wild.), 아카시아 만시움 윌드(Acacia mangium Willd.), 아카시아 딜바타 링크(Acacia dealbata Link), 아카시아 데커렌스 윌드(Acacia decurrens Willd.), 및 아카시아 피크난타 벤쓰(Acacia pycnantha Benth.)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나무 껍질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이 아카시아 미아른시 드 와일드 또는 아카시아 만시움 윌드의 나무 껍질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이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의 추출물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이 아카시아 나무 껍질 폴리페놀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아카시아 나무 껍질 폴리페놀이 축합형 탄닌인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축합형 탄닌이 분자량 500 내지 3000인 조성물.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축합형 탄닌이 플라반-3-올을 기본 골격으로 하는 플라바놀류의 중합체인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량으로서 1일당 섭취자 또는 섭취 동물의 체중 1 kg에 대하여 0.001 내지 1 g의 아카시아 나무 껍질 폴리페놀이 경구 섭취되는 것인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품인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물용 사료인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품인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부외품인 조성물.
KR1020097004925A 2006-08-10 2006-08-10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함유하는 혈당 강하 조성물 KR1013987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15863 WO2008018138A1 (fr) 2006-08-10 2006-08-10 Composition hypoglycémique contenant un composant issu de l'écorce d'un arbre appartenant au genre acaci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838A true KR20090042838A (ko) 2009-04-30
KR101398715B1 KR101398715B1 (ko) 2014-05-27

Family

ID=39032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925A KR101398715B1 (ko) 2006-08-10 2006-08-10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함유하는 혈당 강하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128969B2 (ko)
EP (1) EP2052728B1 (ko)
KR (1) KR101398715B1 (ko)
CN (1) CN101505778B (ko)
AU (1) AU2006347121B2 (ko)
BR (1) BRPI0621960A2 (ko)
WO (1) WO2008018138A1 (ko)
ZA (1) ZA2009016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5923A (ja) * 2008-10-28 2010-05-13 Mimozax Co Ltd アカシア属樹皮由来物を含有するPPARδ発現促進剤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5726A (en) 1987-04-24 1989-01-27 Yuutoku Yakuhin Kogyo Kk Agent for eliminating active oxygen free radical
JPH03287507A (ja) 1990-04-05 1991-12-18 Iwata Kagaku Kogyo Kk 汚損生物防除剤及び汚損防止塗料組成物
JP3232137B2 (ja) 1992-08-21 2001-11-26 丸善製薬株式会社 活性酸素消去剤
FR2710533A1 (fr) 1993-09-29 1995-04-07 Nemet Pierre Alain Nouvelles applications de l'extrait d'écorce de Tepesco Huite dans le domaine de la cosmétologie ou de la dermatologie.
JP2747206B2 (ja) 1993-11-12 1998-05-06 神協産業株式会社 高血糖改善用組成物
JP3290291B2 (ja) 1994-05-02 2002-06-10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活性酸素消去剤及びこれを含む組成物
JP3532999B2 (ja) 1995-03-24 2004-05-31 株式会社ロッテ 新規なタンニン類および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リパーゼ阻害剤
KR19980702533A (ko) 1995-12-26 1998-07-15 도리이 신이찌로 프로시아니딘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비만제
JPH09291039A (ja) * 1995-12-26 1997-11-11 Suntory Ltd プロシアニジンを有効成分とする抗肥満剤
JPH1025238A (ja) 1996-07-10 1998-01-27 Mikimoto Pharmaceut Co Ltd 皮膚外用剤
JP4831849B2 (ja) 1997-04-23 2011-12-07 三省製薬株式会社 活性酸素消去剤およびその用途
JPH11180888A (ja) 1997-12-24 1999-07-06 Otsuka Pharmaceut Co Ltd 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菌用の抗菌剤、感染予防剤および食品
JP2000044472A (ja) 1998-07-30 2000-02-15 Kikkoman Corp 糖尿病性合併症の予防または治療薬剤
JP2000073056A (ja) 1998-09-01 2000-03-07 Sunstar Inc 抗酸化性抽出物およびその製法
US20010024664A1 (en) 1999-03-19 2001-09-27 Obukowicz Mark G. Selective COX-2 inhibition from edible plant extracts
US6290993B1 (en) 1999-07-23 2001-09-18 E-L Management Corp. Compositions containing mimosa phenolic compounds
JP2001064172A (ja) 1999-08-26 2001-03-13 Kikkoman Corp Apc遺伝子の変異に起因する疾患の予防・治療剤
JP2001098264A (ja) 1999-09-30 2001-04-10 Kobayashi Pharmaceut Co Ltd 抗酸化剤及び活性酸素消去剤
JP2002010753A (ja) 2000-04-24 2002-01-15 Marukin Chuyu Co Ltd オリーブ葉またはその抽出成分を含有するアミラーゼ阻害剤および高血糖者用食品
JP2002051736A (ja) 2000-08-11 2002-02-19 Mayekawa Mfg Co Ltd ウインナ等燻製物の製造システム
JP2002275076A (ja) 2001-03-15 2002-09-25 Toyo Shinyaku:Kk 血糖上昇抑制剤および健康食品
NZ515523A (en) 2001-11-15 2004-04-30 Horticulture & Food Res Inst Extraction of phenolic antioxidants
US7108868B2 (en) 2002-03-22 2006-09-19 Unigen Pharmaceuticals, Inc. Isolation of a dual cox-2 and 5-lipoxygenase inhibitor from acacia
JP2003313138A (ja) 2002-04-23 2003-11-06 Kanzu Kenkyu Kaihatsu:Kk 痒みを抑制するための薬剤または機能性食品、及びその効果の評価方法
WO2003092599A2 (en) 2002-04-30 2003-11-13 Unigen Pharmaceuticals, Inc. Formulation of a mixture of free-b-ring flavonoids and flavans as a therapeutic agent
JP2003342185A (ja) 2002-05-25 2003-12-03 Bhn Kk リパーゼ活性阻害剤
CN1246011C (zh) 2002-06-07 2006-03-22 云南白药集团天然药物研究院 藕节提取物在制备改善人体胰岛素抵抗和治疗或预防肥胖症的药物中的应用
JP2004024054A (ja) 2002-06-21 2004-01-29 Makoto Fujii フコイダン系健康食品
JP2004051513A (ja) 2002-07-18 2004-02-19 Asahi Breweries Ltd 抗腫瘍剤
JP2004075579A (ja) 2002-08-13 2004-03-11 Nippon Hypox Lab Inc 外用鎮痒剤
JP4432069B2 (ja) 2002-09-03 2010-03-17 ビーエイチエヌ株式会社 肥満抑制剤
JP2004217559A (ja) 2003-01-14 2004-08-05 Maruhachi Muramatsu:Kk 糖尿病態の予防・改善剤
BRPI0407893A (pt) * 2003-02-26 2006-03-01 Unigen Pharmaceuticals Inc formulação para uso na prevenção e tratamento de doenças e condições induzidas por carboidrato
DE10308355A1 (de) 2003-02-27 2004-12-23 Aventis Pharma Deutschland Gmbh Aryl-cycloalkyl substituierte Alkansäure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Anwendung als Arzneimittel
CN100381132C (zh) * 2003-03-25 2008-04-16 邓家刚 降血糖中药制剂及其生产方法
JP2004300117A (ja) 2003-04-01 2004-10-28 Rasheru Seiyaku Kk 化粧料組成物
JP4495406B2 (ja) 2003-04-21 2010-07-07 株式会社武蔵野免疫研究所 センダングサ属植物抽出物含有組成物
JP4730642B2 (ja) 2003-05-28 2011-07-20 株式会社mimozax 活性酸素消去剤及びその組成物
GB0317020D0 (en) 2003-07-21 2003-08-27 Sahajanand Biotech Private Ltd Herbo-mineral formulation for refractory leukemias and lymphomas
JP2005068081A (ja) 2003-08-25 2005-03-17 Asahi Breweries Ltd 発癌予防剤
BRPI0414063A (pt) 2003-09-02 2006-10-24 Unigen Pharmaceuticals Inc formulação de uma mistura de flavonóides de anel b livre e flavanos para uso na prevenção e tratamento de declìnio cognitivo e danos de memória relacionados à idade
JP2005239559A (ja) 2004-02-24 2005-09-08 Nof Corp ホスホリパーゼa2阻害剤
JP2006016330A (ja) 2004-06-30 2006-01-19 Suntory Ltd 脂肪燃焼促進剤
JP5002127B2 (ja) * 2005-02-28 2012-08-15 株式会社mimozax アカシア属樹皮由来物を含有する血糖降下組成物
JP4823538B2 (ja) 2005-02-28 2011-11-24 株式会社mimozax アカシア属樹皮由来物を含有する抗肥満組成物
US20060204599A1 (en) 2005-03-14 2006-09-14 Wheat Jared R Dietary supplement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090023722A (ko) * 2006-06-20 2009-03-05 메타프로테오믹스, 엘엘씨 테트라하이드로이소알파산 기본 단백질 키나제 변조 암 치료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52728B1 (en) 2018-06-13
EP2052728A1 (en) 2009-04-29
BRPI0621960A2 (pt) 2011-12-27
KR101398715B1 (ko) 2014-05-27
EP2052728A4 (en) 2012-03-21
WO2008018138A1 (fr) 2008-02-14
ZA200901649B (en) 2010-02-24
AU2006347121B2 (en) 2013-06-06
CN101505778B (zh) 2012-09-05
US20100166899A1 (en) 2010-07-01
AU2006347121A1 (en) 2008-02-14
US8128969B2 (en) 2012-03-06
CN101505778A (zh) 200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060B1 (ko)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40011430A (ko)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JP5002127B2 (ja) アカシア属樹皮由来物を含有する血糖降下組成物
JPWO2004112817A1 (ja) セリ科植物由来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5105125A1 (ja) 骨粗鬆症予防または治療剤
WO2008150074A2 (en)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s, fractions and the isolated compounds of rhus verniciflua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abetic complications
KR20190122484A (ko) 새싹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9203209A (ja) アカシア属樹皮由来物を含有する血糖降下及び/又は抗肥満組成物
KR101398715B1 (ko)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함유하는 혈당 강하 조성물
KR101332531B1 (ko)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함유하는 소양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98737B1 (ko)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함유하는 종양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265177B2 (ja) アカシア属樹皮由来物を含有する便通改善用組成物
JP5016200B2 (ja) アカシア属樹皮由来物を含有する腫瘍の予防及び/又は治療用組成物
KR20090039838A (ko)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KR20100090371A (ko) 제비꽃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110121238A (ko) 양파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