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2176A -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전기 광학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전기 광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2176A
KR20090042176A KR1020080104435A KR20080104435A KR20090042176A KR 20090042176 A KR20090042176 A KR 20090042176A KR 1020080104435 A KR1020080104435 A KR 1020080104435A KR 20080104435 A KR20080104435 A KR 20080104435A KR 20090042176 A KR20090042176 A KR 20090042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ilter
pixel
ligh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8290B1 (ko
Inventor
다까시 시노하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2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7Calibration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는, 적시 범위의 변동을 저감하는 것이 곤란하다. 표시면과, 제1 화상을 형성하는 제1 화소 및 제2 화상을 형성하는 제2 화소를 적어도 포함하며,상기 표시면측을 향해서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화소와, 상기 제1 화소로부터 상기 표시면을 통하여 제1 범위에 미치는 상기 광을 통과시킴과 함께,상기 제2 화소로부터 상기 표시면을 통하여 제2 범위에 미치는 상기 광을 통과시키는 필터부(179)와, 상기 복수의 화소 및 필터부(179)의 사이에 개재하는 기판(65)을 갖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기판(65)과 필터부(179)의 사이를 기판(65)의 두께 t에 따라서 설정된 거리 k로 유지한 상태에서, 기판(65)에 필터부(179)를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전기 광학 장치, 화소,필터부, 표시 패널, 스페이서층

Description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전기 광학 장치{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OPTIC DEVICE}
본 발명은,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전기 광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 광학 장치의 하나로서,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각각의 시방향마다 서로 다른 화상을 표시(이하, '지향성 표시'라 함)할 수 있는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로서는, 개구부와 차광부를 갖는 배리어를 통해서 복수의 시점의 각각에, 서로 다른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08501호 공보(제4페이지∼제5페이지, 도 18)
여기서, 화상을 형성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의 배리어를 갖는 표시 장치에서, 2개의 방향에 지향성 표시를 행하는 구조에 대하여, 단면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표시 패널(600)은, 도 2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화상을 표시하는 제1 화 소(601)와, 제2 화상을 표시하는 제2 화소(603)를 갖고 있다. 배리어(605)의 차광부(607)는, 제1 화소(601)의 일부(601a)와, 제2 화소(603)의 일부(603a)에 겹쳐 있다. 즉, 차광부(607)끼리 사이에 위치하는 개구부(609)는, 제1 화소(601)의 타부(60lb)와, 제2 화소(603)의 타부(603b)에 겹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부(609)를 통해서 제1 화소(601)를 시인할 수 있는 제1 범위(611)에 제1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개구부(609)를 통해서 제2 화소(603)를 시인할 수 있는 제2 범위(613)에 제2 화상이 표시된다. 즉, 제1 범위(611) 내에 시점이 있는 경우, 그 시점으로부터 제1 화상이 시인될 수 있다. 또한,제2 범위(613) 내에 시점이 있는 경우, 그 시점으로부터 제2 화상이 시인될 수 있다. 또한,제1 범위(611) 및 제2 범위(613)는, 서로 겹치는 범위(615)를 갖고 있다. 범위(615) 내에 있는 시점으로부터는, 제1 화상과 제2 화상이 중첩된 상태에서 시인된다.
제1 범위(611)부터 범위(615)를 제외한 범위(619a) 내에 있는 시점으로부터는, 제1 화상만이 시인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범위(613)부터 범위(615)를 제외한 범위(619b) 내에 있는 시점으로부터는, 제2 화상만이 시인될 수 있다. 범위(619a) 및 범위(619b)는, 각각, 적시 범위(619a) 및 적시 범위(619b)라 불린다. 이들 적시 범위(619a) 및 적시 범위(619b)는, 도 2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600)과 배리어(605)의 사이의 거리 L을 단축함으로써 확대될 수 있다.
그런데,배리어가 서로 겹쳐지는 표시 패널은, 대부분의 경우, 한쌍의 글래스 기판 사이에 표시 소자가 개재된 구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적시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배리어가 서로 겹쳐지는 측의 글래스 기판을 얇게 해야 한다. 이 경우, 글래스 기판에 연마 가공 등을 실시함으로써 글래스 기판을 얇게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글래스 기판에 연마 가공 등을 실시하면, 연마 가공에서의 가공 변동에 의해 글래스 기판의 두께에 변동이 발생한다. 이것은, 복수의 표시 장치 사이에서 적시 범위에 변동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는, 적시 범위의 변동을 저감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미해결의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의 형태 또는 적용예로서 실현될 수 있다.
[적용예 1]
표시면과, 제1 화상을 형성하는 제1 화소 및 제2 화상을 형성하는 제2 화소를 적어도 포함하며,상기 표시면측을 향해서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화소와, 상기 광 중에서, 상기 제1 화소로부터 상기 표시면을 통하여 제1 범위에 미치는 광을 통과시킴과 함께,상기 제2 화소로부터 상기 표시면을 통하여 제2 범위에 미치는 광을 통과시키는 필터와, 상기 복수의 화소 및 상기 필터의 사이에 개재하는 기판을 갖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상기 기판과 상기 필터의 사이를 상기 기판의 두께에 따라서 설정된 거리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기판에 상기 필터를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적용예 1의 제조 방법에 관한 전기 광학 장치는, 표시면과, 복수의 화소와, 필터와, 기판을 갖고 있다. 기판은, 복수의 화소와 필터의 사이에 개재하고 있다. 복수의 화소에는, 적어도, 제1 화소와 제2 화소가 포함된다. 필터는, 제1 화소로부터 표시면을 통하여 제1 범위에 미치는 광을 통과시킴과 함께,제2 화소로부터 표시면을 통하여 제2 범위에 미치는 광을 통과시킨다. 즉, 제1 화소로부터 표시면측을 향해서 출사된 광은, 필터에 의해 제1 범위에 미친다. 또한,제2 화소로부터 표시면측을 향해서 출사된 광은, 필터에 의해 제2 범위에 미친다. 이것에 의해,제1 범위로부터는, 제1 화소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화상이 시인되고, 제2 범위로부터는, 제2 화소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화상이 시인될 수 있다. 즉, 적용예 1의 제조 방법에 관한 전기 광학 장치에서는, 적어도 2개의 방향에 지향성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적용예 1의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은, 기판과 필터의 사이를 기판의 두께에 따라서 설정된 거리로 유지한 상태에서, 기판에 필터를 형성하는 공정을 갖고 있다. 이 제조 방법에서는, 기판과 필터의 사이를 기판의 두께에 따라서 설정된 거리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전기 광학 장치 사이에서 기판의 두께가 상이하여도, 복수의 화소와 필터의 사이의 거리를 맞추기 쉽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복수의 전기 광학 장치 사이에서의 적시 범위의 변동을 저감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적용예 2]
상기의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상기 기판에 상기 필터를 형성하 는 상기 공정에서는, 상기 기판과 상기 필터를, 접착제를 개재하여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적용예 2에서는, 기판에 필터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기판과 필터를, 접착제를 개재하여 접합하므로, 예를 들면 기판과 필터를 용착 등에 의해 접합하는 경우에 비하여, 기판에 필터를 형성할 때에 기판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적용예 3]
상기의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상기 기판에 상기 필터를 형성하는 상기 공정 전에, 상기 기판 및 상기 필터 중 적어도 한 쪽에, 상기 거리를 조정하는 스페이서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적용예 3에서는, 기판에 필터를 형성하는 공정 전에, 기판 및 필터 중 적어도 한쪽에 스페이서층을 형성하므로, 기판과 필터의 사이를 기판의 두께에 따라서 설정된 거리로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적용예 4]
상기의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상기 스페이서층을 형성하는 상기 공정에서는, 상기 기판에 상기 스페이서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적용예 4에서는, 스페이서층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기판에 스페이서층을 형성하므로, 스페이서층으로 기판의 보강을 도모할 수 있다.
[적용예 5]
상기의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상기 스페이서층을 형성하는 상기 공정에서는, 상기 필터에 상기 스페이서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적용예 5에서는, 스페이서층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필터에 스페이서층을 형성하므로, 스페이서층으로 필터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적용예 6]
상기의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상기 기판에 상기 필터를 형성하는 상기 공정 전에, 상기 기판을 얇게 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적용예 6에서는, 기판에 필터를 형성하는 공정 전에, 기판을 얇게 하므로, 복수의 화소와 필터의 사이의 거리를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적시 범위의 확대가 도모된다.
[적용예 7]
상기의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상기 복수의 화소는, 상기 기판과, 상기 기판에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기판에 접합된 제2 기판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을 얇게 하는 상기 공정에서는, 상기 기판에 상기 제2 기판이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기판을 얇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적용예 7에서는, 기판에 제2 기판이 접합된 상태에서 기판을 얇게 하므로, 얇게 한 기판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적용예 8]
상기의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상기 기판에 상기 필터를 형성하는 상기 공정 전에, 상기 기판의 두께를 측정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적용예 8에서는, 기판에 필터를 형성하는 공정 전에, 기판의 두께를 측정하므로, 두께를 측정한 결과에 기초하여 기판과 필터의 사이의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적용예 9]
상기의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상기 기판에 상기 필터를 형성하는 상기 공정에서는, 상기 접착제의 양으로 상기 기판과 상기 필터의 사이를 상기 거리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적용예 9에서는, 기판에 필터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접착제의 양으로 기판과 필터의 사이를 기판의 두께에 따라서 설정된 거리로 유지하므로, 기판과 필터를, 기판과 필터의 사이를 기판의 두께에 따라서 설정된 거리로 유지하면서 접합할 수 있다.
[적용예 10]
표시면과, 제1 화상을 형성하는 제1 화소 및 제2 화상을 형성하는 제2 화소를 적어도 포함하며,상기 표시면측을 향해서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화소와, 상기 광 중에서, 상기 제1 화소로부터 상기 표시면을 통하여 제1 범위에 미치는 광을 통과시킴과 함께,상기 제2 화소로부터 상기 표시면을 통하여 제2 범위에 미치는 광 을 통과시키는 필터와, 상기 복수의 화소 및 상기 필터의 사이에 개재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 및 상기 필터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기판 및 상기 필터의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스페이서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적용예 10의 전기 광학 장치는, 표시면과, 복수의 화소와, 필터와, 기판을 갖고 있다. 기판은, 복수의 화소와 필터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복수의 화소에는, 적어도, 제1 화소와 제2 화소가 포함된다. 필터는, 제1 화소로부터 표시면을 통하여 제1 범위에 미치는 광을 통과시킴과 함께,제2 화소로부터 표시면을 통하여 제2 범위에 미치는 광을 통과시킨다. 즉, 제1 화소로부터 표시면측을 향해서 출사된 광은, 필터에 의해 제l 범위에 미친다. 또한,제2 화소로부터 표시면측을 향해서 출사된 광은, 필터에 의해 제2 범위에 미친다. 이것에 의해,제1 범위로부터는, 제1 화소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화상이 시인되고, 제2 범위로부터는, 제2 화소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화상이 시인될 수 있다. 즉, 적용예 10의 전기 광학 장치에서는, 적어도 2개의 방향에 지향성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용예 10의 전기 광학 장치에서는, 기판과 필터의 사이에, 기판과 필터의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스페이서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전기 광학 장치 사이에서 기판의 두께가 상이하더라도, 복수의 화소와 필터의 사이의 거리를 맞추기 쉽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복수의 전기 광학 장치 사이에서의 적시 범위의 변동의 저감이 도모된다.
[적용예 11]
표시면과, 제1 화상을 형성하는 제1 화소 및 제2 화상을 형성하는 제2 화소 를 적어도 포함하며,상기 표시면측을 향해서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화소와, 상기 광 중에서, 상기 제1 화소로부터 상기 표시면을 통하여 제1 범위에 미치는 광을 통과시킴과 함께,상기 제2 화소로부터 상기 표시면을 통하여 제2 범위에 미치는 광을 통과시키는 광학 수단과, 상기 복수의 화소 및 상기 광학 수단의 사이에 개재하는 기판을 갖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상기 기판과 상기 광학 수단의 사이를 상기 기판의 두께에 따라서 설정된 거리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기판에 상기 광학 수단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적용예 12]
표시면과, 제1 화상을 형성하는 제1 화소 및 제2 화상을 형성하는 제2 화소를 적어도 포함하고,상기 표시면측을 향해서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화소와, 상기 광 중에서, 상기 제1 화소로부터 상기 표시면을 통하여 제1 범위에 미치는 광을 통과시킴과 함께,상기 제2 화소로부터 상기 표시면을 통하여 제2 범위에 미치는 광을 통과시키는 광학 수단과, 상기 복수의 화소 및 상기 광학 수단의 사이에 개재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 및 상기 광학 수단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기판 및 상기 광학 수단의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스페이서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전기 광학 장치의 하나인 표시 장치를 예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장치(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3)과, 조명 장치(5)를 갖고 있다.
여기서, 표시 패널(3)에는, 복수의 화소(7)가 설정되어 있다. 복수의 화소(7)는, 표시 영역(8) 내에서, 도면에서의 X 방향 및 Y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X 방향을 행 방향으로 하고, Y 방향을 열 방향으로 하는 매트릭스 M을 구성하고 있다. 표시 장치(1)는, 조명 장치(5)로부터 표시 패널(3)에 입사된 광을, 표시 패널(3)에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7)로부터 선택적으로 표시면(9)을 통해서 표시 패널(3)의 밖으로 출사함으로써, 표시면(9)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표시 영역(8)은, 화상이 표시될 수 있는 영역이다. 도 1에서는, 구성을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해서, 화소(7)가 과장되고, 또한 화소(7)의 개수가 감소되어 있다.
표시 패널(3)은, 도 1에서의 A-A선에서의 단면도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11)과, 편광판(13a 및 13b)과, 필터 기판(14)을 갖고 있다.
액정 패널(11)은, 구동 소자 기판(15)과, 대향 기판(17)과, 액정(19)을 갖고 있다.
구동 소자 기판(15)에는, 표시면(9)측 즉 액정(19)측에, 복수의 화소(7)의 각각에 대응하여, 후술하는 스위칭 소자 등이 형성되어 있다.
대향 기판(17)은, 구동 소자 기판(15)보다도 표시면(9)측에서 구동 소자 기판(15)에 대향하고, 또한 구동 소자 기판(15)의 사이에 간극을 갖는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대향 기판(17)에는, 표시 패널(3)에서의 표시면(9)의 이면에 상당하는 면인 저면(23)측 즉 액정(19)측에, 후술하는 대향 전극 등이 형성되어 있다.
액정(19)은, 구동 소자 기판(15) 및 대향 기판(17)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표시 패널(3)의 주연보다도 내측에서 표시 영역(8)을 둘러싸는 시일재(25)에 의해, 구동 소자 기판(15) 및 대향 기판(17)의 사이에 밀봉되어 있다. 또한,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19)으로서, TN(Twisted Nematic)형이 채용되어 있다.
필터 기판(14)은, 대향 기판(17)보다도 표시면(9)측에서 대향 기판(17)에 대향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편광판(13a)은, 구동 소자 기판(15)보다도 저면(23)측에 형성되어 있다. 편광판(13b)은, 필터 기판(14)보다도 표시면(9)측에 형성되어 있다. 표시 장치(1)에서는, 편광판(13a 및 13b)은, 편광판(13a)에서의 광의 투과축의 방향과, 편광판(13b)에서의 광의 투과축의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에 설정되어 있다. 편광판(13a 및 13b)은, 각각, 투과축의 방향에 편광축을 갖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조명 장치(5)는, 표시 패널(3)의 저면(23)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도광판(31)과, 광원(33)을 갖고 있다. 도광판(31)은, 도 2에서 보아 표시 패널(3)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표시 패널(3)의 저면(23)에 대향하는 광 사출면(35b)을 갖고 있다.
광원(33)은, 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나 냉음극관 등이 채용되며, 도 2에서 보아 도광판(31)의 측면(35a)의 우측에 형성되어 있다.
광원(33)으로부터의 광은, 도광판(31)의 측면(35a)에 입사된다. 도광판(31)에 입사된 광은, 도광판(31) 내에서 반사를 반복하면서 광 사출면(35b)으로부터 출사된다. 광 사출면(35b)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표시 패널(3)의 저면(23)으로부터, 편광판(13a)을 통해서 표시 패널(3)에 입사된다. 또한,도광판(31)에는, 필요에 따라, 광 사출면(35b)에 확산판이 형성되고, 저면(35c)에 반사판이 형성된다.
표시 패널(3)에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7)는, 각각, 표시면(9)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의 색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계(R), 녹계(G) 및 청계(B) 중 하나로 설정되어 있다. 즉, 매트릭스 M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7)는, R의 광을 출사하는 화소(7r)와, G의 광을 출사하는 화소(7g)와, B의 광을 출사하는 화소(7b)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R의 색은, 순수한 빨간 색상에 한정되지 않고, 주황색 등을 포함한다. G의 색은, 순수한 녹색의 색상에 한정되지 않고, 청녹색이나 황녹색을 포함한다. B의 색은, 순수한 파란 색상에 한정되지 않고, 청자색이나 청녹 등을 포함한다. 다른 관점으로부터, R의 색을 나타내는 광은, 광의 파장의 피크가, 가시광 영역에서 570㎚ 이상의 범위에 있는 광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또한,G의 색을 나타내는 광은, 광의 파장의 피크가 500㎚∼565㎚의 범위에 있는 광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B의 색을 나타내는 광은, 광의 파장의 피크가 415㎚∼495㎚의 범위에 있는 광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매트릭스 M에서는, Y 방향을 따라 배열하는 복수의 화소(7)가, 1개의 화소열(41)을 구성하고 있다. 1개의 화소열(41) 내의 각 화소(7)는, 광의 색이 R, G 및 B 중 하나로 설정되어 있다. 즉, 매트릭스 M은, 복수의 화소(7r)가 Y 방향으로 배열한 화소열(41r)과, 복수의 화소(7g)가 Y 방향으로 배열한 화소열(41g)과, 복수의 화소(7b)가 Y 방향으로 배열한 화소열(41b)을 갖고 있다. 그리고,매트릭스 M 에서는, 화소열(41r), 화소열(41g) 및 화소열(41b)이, 이 순서로 X 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배열되어 있다.
또한,표시 장치(1)에서는, 매트릭스 M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7)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화소(71)와, 복수의 제2 화소(72)로 나뉘어져 있다. 표시 장치(1)는, 조명 장치(5)로부터 표시 패널(3)에 입사된 광을, 복수의 제1 화소(71)로부터 선택적으로 표시면(9)을 통해서 표시 패널(3)의 밖으로 출사함으로써, 표시면(9)에 제1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표시 장치(1)은, 조명 장치(5)로부터 표시 패널(3)에 입사된 광을, 복수의 제2 화소(72)로부터 선택적으로 표시면(9)을 통해서 표시 패널(3)의 밖으로 출사함으로써, 표시면(9)에 제2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제1 화상과 제2 화상은, 서로 다른 화상인 점과, 서로 동일한 화상인 점이 문제되지 않는다. 또한,이하에서는,화소(7) 등의 표기와, 화소(7r, 7g 및 7b) 등의 표기와, 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 등의 표기가, 적절히, 나뉘어 사용된다. 또한, 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의 각각에 대하여 R, G 및 B가 식별되는 경우, 제1 화소(7r1, 7g1 및 7b1)와 제2 화소(7r2, 7g2 및 7b2) 등의 표기가 이용된다.
표시 장치(1)에서는, 제1 화소(71)와 제2 화소(72)가, X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1개의 화소열(41)은, 복수의 제1 화소(71) 또는 복수의 제2 화소(72)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매트릭스 M은, 복수의 제1 화소(71)가 Y 방향을 따라 배열한 화소열(411)과, 복수의 제2 화소(72)가 Y 방향을 따라 배열한 화소열(412)을 갖고 있다. 또한,이하에서는,화소열(41) 등의 표기와, 화소열(41r), 화소열(41g) 및 화소열(41b) 등의 표기와, 화소열(411) 및 화소열(412) 등의 표기가, 적절히, 나뉘어 사용된다. 또한,화소열(411) 및 화소열(412)의 각각에 대하여 R, G 및 B가 식별되는 경우, 화소열(41r1, 41g1 및 41b1)과 화소열(41r2, 41g2 및 41b2) 등의 표기가 이용된다.
표시 장치(1)에서는, 매트릭스 M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7)는, X 방향에 인접하는 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의 2개의 화소(7)마다, 이들 2개의 화소(7)를 1조로 하는 복수 조의 화소군(43)으로 나뉘어져 있다. 각 화소군(43)에서의 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의 배열순은, 복수 조의 화소군(43)의 사이에서 통일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화소(71)와 제2 화소(72)가, 도 4에서 보아, X 방향으로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이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의 배열순은, 복수 조의 화소군(43) 사이에서 통일되어 있으면, 어느 것이나 좌측이어도 우측이어도 된다.
매트릭스 M에서, 복수 조의 화소군(43)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X 방향 및 Y 방향의 각각의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즉, 복수 조의 화소군(43)은, 매 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액정 패널(11)의 구동 소자 기판(15) 및 대향 기판(17)과 필터 기판(14)의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 내용을 설명한다.
구동 소자 기판(15)은, 도 4의 C-C선에서의 단면도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판(51)을 갖고 있다. 제1 기판(51)은, 예를 들면 글래스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시면(9)측으로 향해진 제1 면(53a)과, 저면(23)측으로 향해진 제2 면(53b)을 갖고 있다.
제1 기판(51)의 제1 면(53a)에는, 게이트 절연층(55)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층(55)의 표시면(9)측에는, 절연층(57)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층(57)의 표시면(9)측에는, 배향막(5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구동 소자 기판(15)에는, 각 화소(7)에 대응하여, 스위칭 소자의 하나인 TFT(Thin Film Transistor) 소자(61)와, 화소 전극(63)이, 제1 기판(51)의 제1 면(53a)측에 형성되어 있다.
TFT 소자(61)는, 게이트 전극(165)과, 반도체층(167)과, 소스 전극(169)과, 드레인 전극(171)을 갖고 있다.
게이트 전극(165)은, 제1 기판(51)의 제1 면(53a)에 형성되어 있으며, 게이트 절연층(55)에 의해 표시면(9)측으로부터 덮어져 있다. 또한,게이트 절연층(55)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SiO이나 SiN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재료가 채용될 수 있다.
반도체층(167)은, 예를 들면 아몰퍼스 실리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게이트 절연층(55)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 전극(165)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층(167)에는, 도시하지 않은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소스 전극(169)은, 게이트 절연층(55)의 표시면(9)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일부가 반도체층(167)의 소스 영역에 겹쳐 있다.
드레인 전극(171)은, 게이트 절연층(55)의 표시면(9)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일부가 반도체층(167)의 드레인 영역에 겹쳐 있다.
TFT 소자(61)는, 절연층(57)에 의해 표시면(9)측으로부터 덮여져 있다. 또한,절연층(57)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SiO, SiN, 아크릴계의 수지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재료가 채용될 수 있다.
화소 전극(63)은, 예를 들면 ITO(Indium Tin 0xide) 등의 산화도전막이나, Mg 및 Ag 등의 금속이 광 투과성을 갖도록 박막화한 것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며, 절연층(57)의 표시면(9)측에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63)은, 절연층(57)에 형성된 컨택트홀(173)을 개재하여 드레인 전극(171)에 연결되어 있다.
배향막(59)은,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절연층(57) 및 화소 전극(63)을 표시면(9)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또한,배향막(59)에는, 배향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또한,제1 기판(51)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층(55), 절연층(57) 및 배향막(59)과 TFT 소자(61) 및 화소 전극(63)은, 구동 소자부(175)라 불린다.
대향 기판(17)은, 제2 기판(65)을 갖고 있다. 제2 기판(65)은, 예를 들면 글래스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시면(9)측으로 향해진 외향면(66a)과, 저면(23)측으로 향해진 대향면(66b)을 갖고 있다.
제2 기판(65)의 대향면(66b)에는, 각 화소(7)를 구획하는 광 흡수층(71)이 영역(72)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표시 장치(1)에서는, 각 화소(7)는, 광 흡수층(71)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광 흡수층(71)은, 광 흡수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면에서 보아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제2 기판(65)의 대향면(66b)에는, 광 흡수층(71)에 의해 둘러싸인 각 영역, 즉 각 화소(7)의 영역을 저면(23)측으로부터 덮는 컬러 필터(7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컬러 필터(73)는, 입사된 광 중 소정의 파장 영역의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컬러 필터(73)는, 화소(7r), 화소(7g) 및 화소(7b)마다 서로 다른 색으로 착색된 수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소(7r)에 대응하는 컬러 필터(73)는, R의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화소(7g)에 대응하는 컬러 필터(73)는 G의 광을 투과시키고, 화소(7b)에 대응하는 컬러 필터(73)는 B의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또한,이하에서, 각 컬러 필터(73)에 대하여 R, G 및 B가 식별되는 경우에, 컬러 필터(73r, 73g 및 73b) 등의 표기가 이용된다.
광 흡수층(71) 및 컬러 필터(73)의 저면(23)측에는, 오버코트층(75)이 형성되어 있다. 오버코트층(75)은, 광 투과성을 갖는 수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광 흡수층(71) 및 컬러 필터(73)를 저면(23)측으로부터 덮여져 있다.
오버코트층(75)의 저면(23)측에는, 대향 전극(77)이 형성되어 있다. 대향 전극(77)은, 예를 들면 ITO 등의 산화 도전막이나, Mg 및 Ag 등의 금속이 광 투과성을 갖도록 박막화한 것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대향 전 극(77)은, 매트릭스 M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7)에, 평면에서 보아 겹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대향 전극(77)은, 도시하지 않은 공통선에 연결되어 있다.
대향 전극(77)의 저면(23) 측에는, 배향막(79)이 형성되어 있다. 배향막(79)은,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향 전극(77)을 저면(23)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배향막(79)에는, 배향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또한,제2 기판(65)에 형성된 광 흡수층(71), 컬러 필터(73) 및 오버코트층(75)과 대향 전극(77) 및 배향막(79)은, 대향 소자부(177)라 불린다.
또한,전술한 TFT 소자(61)는, 도 6에서 보아 좌측의 영역(72)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드레인 전극(171)이 영역(72) 내로부터 화소(7)의 영역 내로 연장되어 있다. X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7) 사이에서, 게이트 전극(165)끼리는, 도시하지 않은 게이트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Y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7) 사이에서, 소스 전극(169)끼리는,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구동 소자 기판(15) 및 대향 기판(17)의 사이에 개재하는 액정(19)은, 배향막(59)과 배향막(79)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표시 장치(1)에서는, 도 2에 도시한 시일재(25)는, 도 6에 도시한 제1 기판(51)의 제1 면(53a)과, 제2 기판(65)의 대향면(66b)에 의해 협지되어 있다. 즉, 표시 장치(1)에서는, 액정(19)은, 제1 기판(51) 및 제2 기판(65)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또한,시일재(25)는, 배향막(59) 및 배향막(79)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액정(19)은, 구동 소자 기판(15) 및 대향 기판(17)에 유지되어 있다고 간주될 수 있다.
필터 기판(14)은, 제3 기판(81)을 갖고 있다. 제3 기판(81)은, 예를 들면 글래스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시면(9)측으로 향해진 외향면(82a)과, 저면(23)측으로 향해진 대향면(82b)을 갖고 있다.
제3 기판(81)의 대향면(82b)에는, 차광막(85)이 형성되어 있다. 차광막(85)은, 예를 들면, 카본블랙 등을 함유하는 수지나, 크롬 등의 광 흡수성이 높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차광막(85)은, Y 방향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화소(7)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차광막(85)의 저면(23)측에는, 오버코트층(87)이 형성되어 있다. 오버코트층(87)은, 예를 들면 아크릴수지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차광막(85)을 저면(23)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필터 기판(14)은, 대향면(82b)이 제2 기판(65)의 외향면(66a)으로 향해진 상태에서, 오버코트층(87)이 외향면(66a)에, 광 투과성을 갖는 접착제(89)를 개재하여 접착되어 있다.
여기서, 차광막(85)은, 도 6의 D-D선에서의 단면도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군(43)마다 형성되어 있다. 즉, 필터 기판(14)은, 복수의 차광막(85)을 갖고 있다. 각 차광막(85)은, 화소군(43)을 구성하는 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 사이에 걸친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각 차광막(85)은, 차광막(85)과 화소군(43)을 도시한 평면도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Y 방향으로 배열하는 복수 조의 화소군(43)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즉, 1개의 차광막(85)은, Y 방향으로 배열하는 복수 조의 화소군(43)에 대응되어 있다. 또한,도 8에서는, 구성을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해서, 각 차광막(85)에 해칭이 실시되어 있다.
그리고, X 방향에 인접하는 차광막(85)끼리 사이에는, 개구부(91)가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복수의 차광막(85)은, 매트릭스 M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7) 사이에 걸쳐 일련된 차광막에, X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군(43) 사이에 개구부(91)를 형성한 구성을 갖고 있다고 표현될 수 있다.
개구부(91)와, 개구부(91)를 사이에 두고 X 방향에 인접하는 2개의 차광막(85)은, 필터(92)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개구부(91) 내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버코트층(87)이 미치고 있다. 즉, 오버코트층(87)은, 복수의 차광막(85) 및 제3 기판(81)의 대향면(82b)을, 저면(23)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또한,제3 기판(81)에 형성된 복수의 차광막(85) 및 오버코트층(87)은, 필터부(179)라 불린다.
대향 전극(77)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화소(7) 사이에 걸쳐 일련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화소(7) 사이에 걸쳐 공통적으로 기능한다. 각 화소 전극(63)은, 평면에서 보아 주연부가 영역(72) 내에 미치고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표시 장치(1)에서는, 조명 장치(5)로부터 표시 패널(3)에 광을 조사한 상태에서 액정(19)의 배향 상태를 화소(7)마다 변화시킴으로써, 표시가 제어된다. 액정(19)의 배향 상태는, TFT소자(61)의 OFF 상태 및 ON 상태를 절환함으로써 변화할 수 있다.
도 9의 (a)는, TFT 소자(61)가 OFF 상태일 때의 편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며, 도 9의 (b)는, TFT 소자(61)가 ON 상태일 때의 편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 장치(1)에서는, 편광판(13a)의 투과축의 방향(93)은, 도 9의 (a) 및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광판(13b)의 투과축의 방향(95)에 직교하고 있다. 배향막(59)의 배향 방향(97)은, 투과축의 방향(95)에 직교하고 있다. 배향막(79)의 배향 방향(99)은, 투과축의 방향(95)을 따르고 있다.
또한,도 9의 (a) 및 도 9의 (b)에서, X'방향 및 Y'방향은, X'방향이 평면에서 보아 편광판(13b)의 투과축의 방향(95)을 따른 방향을 나타내고, Y' 방향이 XY 평면 내에서 X'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X' 방향 및 Y' 방향은, XY 평면 내에서 서로 직교하는 임의의 2방향이다.
조명 장치(5)로부터 편광판(13a)에 입사된 입사광은, 편광판(13a)의 투과축의 방향(93) 즉 Y' 방향을 따른 편광축을 갖는 직선 편광(103)으로서 액정(19)에 입사된다. 액정(19)에 입사된 직선 편광(103)은, TFT 소자(61)가 OFF 상태일 때에,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19)의 선광성에 의해 X' 방향을 따른 편광축을 갖는 직선 편광(105)으로서 편광판(13b)을 향해서 출사된다. 편광판(13b)을 향해서 출사된 직선 편광(105)은, 편광축의 방향이 편광판(13b)의 투과축의 방향(95)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편광판(13b)을 투과한다.
다른 쪽에서, TFT 소자(61)가 ON 상태일 때에, 직선 편광(103)은,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광 상태가 유지된 채 직선 편광(103)으로서 편광판(13b)을 향해서 출사된다. 편광판(13b)을 향해서 출사된 직선 편광(103)은, 편 광축의 방향이 편광판(13b)의 투과축의 방향(95)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편광판(13b)에 의해 흡수된다.
표시 장치(1)에서는, TFT 소자(61)가 OFF 상태일 때에 표시면(9)으로부터 광이 출사되고, TFT 소자(61)가 ON 상태일 때에 표시면(9)으로부터의 광의 사출이 차단되는 소위 노멀리 화이트의 표시 모드가 채용되어 있다. 그러나, 표시 모드는, 노멀리 화이트에 한정되지 않고, 노멀리 블랙도 채용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장치(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차광막(85)을 갖고 있다. X 방향에 인접하는 차광막(85)끼리 사이에는, 개구부(91)가 형성되어 있다. 조명 장치(5)로부터 각 화소(7)에 입사된 광은, 개구부(91)를 통해서 표시면(9)을 향하여 출사된다.
이 때, 제1 화소(7r1, 7g1 및 7b1)의 각각으로부터 표시면(9)측을 향해서 출사된 광(107a)은, 복수 조의 화소군(43) 및 복수의 차광막(85)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개구부(91)를 통해서 제1 범위(109)에 미친다.
또한,제2 화소(7r2, 7g2 및 7b2)의 각각으로부터 표시면(9)측을 향해서 출사된 광(107b)은, 각 개구부(91)를 통해서 제2 범위(111)에 미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단면은, 도 8의 E-E선에서의 단면에 상당한다.
제1 범위(109)로부터는, 개구부(91)를 통해서 제1 화소(71)로부터의 광(107a)이 시인될 수 있다. 제2 범위(111)로부터는, 개구부(91)를 통해서 제2 화 소(72)로부터의 광(107b)이 시인될 수 있다. 제1 범위(109) 내에 시점이 있으면, 복수의 제1 화소(71)로부터의 광(107a)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화상이 시인될 수 있다. 제2 범위(111) 내에 시점이 있으면, 복수의 제2 화소(72)로부터의 광(107b)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화상이 시인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에서는, 도 8에 도시한 필터(92)는, 제1 화소(71)로부터 제1 범위(109)에 미치는 광(107a)을 통과시킴과 함께, 제2 화소(72)로부터 제2 범위(111)에 미치는 광(107b)을 통과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제1 화상을 제1 범위(109)에 표시하고, 제2 화상을, 제1 범위(109)와는 다른 제2 범위(111)에 표시하는 소위 지향성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제1 범위(109) 및 제2 범위(111)는, 서로 중복하는 범위(113)를 갖고 있다. 이 범위(113)로부터는, 제1 화상과 제2 화상이 중첩한 상태에서 시인된다. 제1 범위(109)로부터 범위(113)를 제외한 범위(115a)(이하, '적시 범위(115a)' 라 함)로부터는, 제1 화상만이 시인될 수 있다. 또한,제2 범위(111)로부터 범위(113)를 제외한 범위(115b)(이하, '적시 범위(115b)'라 함)로부터는, 제2 화상만이 시인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복수의 제1 화소(71)로부터 출사된 광(107a)이 제1 범위(109)의 양단의 각각에서 교차하고, 복수의 제2 화소(72)로부터 출사된 광(107b)이 제2 범위(111)의 양단의 각각에서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X 방향으로 인접하는 차광막(85)끼리간의 간격 Pa를, X 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소군(43)끼 리 사이의 간격 Pb 보다도 짧게 설정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적시 범위(115a) 내에 있는 임의의 시점으로부터 시인되는 광의 양을, 복수의 제1 화소(71) 사이에서 동등하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적시 범위(115b) 내에 있는 임의의 시점으로부터 시인되는 광의 양을, 복수의 제2 화소(72) 사이에서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장치(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 장치(1)의 제조 방법은, 기판의 제조 공정과, 액정 패널(11)의 제조 공정과, 표시 패널(3)의 제조 공정과, 표시 장치(1)의 제조 공정으로 대별된다.
우선,기판의 제조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판의 제조 공정은, 구동 소자 기판(15)의 제조 공정과, 대향 기판(17)의 제조 공정과, 필터 기판(14)의 제조 공정으로 나뉘어진다.
구동 소자 기판(15)의 제조 공정에서는,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매의 머더 기판(51m)에, 액정 패널(11)의 복수 갯수분에 상당하는 복수의 구동 소자부(175)를 형성한다. 복수의 구동 소자부(175)는, 1개의 액정 패널(11)에 상당하는 부위(121)마다 형성된다. 대향 기판(17)의 제조 공정에서는,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매의 머더 기판(65m)에, 액정 패널(11)의 복수 갯수분에 상당하는 복수의 대향 소자부(177)를 형성한다. 복수의 대향 소자부(177)는, 1개의 액정 패널(11)에 상당하는 부위(121)마다 형성된다.
필터 기판(14)의 제조 공정에서는, 우선,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매의 머더 기판(81m)에, 액정 패널(11)의 복수 갯수분에 상당하는 영역에 걸쳐 차광막(181)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이 차광막(181)을 패터닝함으로써, 1개의 액정 패널(11)에 상당하는 부위(121)마다, 도 7에 도시한 복수의 차광막(85)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각 부위(121)에 형성된 복수의 차광막(85)은, 오버코트층(87)에 의해 덮여진다. 이것에 의해,각 부위(121)에는,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부(179)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복수의 필터부(179)이 형성된 머더 기판(81m)을, 도 1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위(121)마다 절단함으로써, 복수의 필터 기판(14)이 제조된다.
액정 패널(11)의 제조 공정에서는, 우선,복수의 구동 소자부(175)가 형성된 머더 기판(51m)과, 복수의 대향 소자부(177)가 형성된 머더 기판(65m)을,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위(121)마다 환 형상으로 형성된 시일재(25)을 개재하여 접합한다. 이 때, 부위(121)마다 형성되는 시일재(25)는, 평면에서 보아 환 형상의 윤곽의 일부를 뺀 상태에서 형성된다. 시일재(25)의 고리 형상의 윤곽의 일부를 뺀 부분은, 액정(19)의 주입구로 된다.
다음으로, 머더 기판(65m)의 면(178a)에 에칭 처리나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처리 등을 실시하여,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더 기판(65m)을 얇게 한다. 이 때, 머더 기판(65m)에는, 면(178a)에 에칭 처리나 CMP 처리 등이 실시됨으로써, 외향면(66a)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부위(121)마다 액정(19)을 주입구로부터 주입하고 나서, 주입 구를 막아서 액정(19)을 봉입한다.
다음으로, 각 부위(121)를 절단함으로써,도 14에 도시한 액정 패널(11)이 제조될 수 있다.
표시 패널(3)의 제조 공정에서는, 우선,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11)의 제2 기판(65)의 두께 t를, 예를 들면 레이저 변위계(123) 등으로 측정한다.
다음으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기판(14)과 대향 기판(17)을, 접착제(89)를 개재하여 접합한다. 이 때, 필터부(179)와 제2 기판(65)의 사이에는, 제2 기판(65)의 두께 t에 따른 거리 k로 유지된다.
거리 k는, 대향 소자부(177)와 필터부(179)의 사이의 거리 k0이 허용 범위 내로 되도록, 두께 t의 기준값으로부터의 차에 따라서 설정된다. 두께 t가 기준값과 동등한 경우, 거리 k는, 기준 거리 k1로 설정된다. 그리고,예를 들면, 두께 t가 기준값보다도 to만큼 얇은 경우, 거리 k는, 기준 거리 k1에 두께 t의 기준값으로부터의 차 to를 가산한 값으로 설정된다.
표시 장치(1)에서는, 필터부(179)와 제2 기판(65)의 사이에는, 접착제(89)의 양에 의해 거리 k가 유지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접착제(89)를 디스펜서에 의해 도포하고, 접착제(89)의 토출 압력을 조정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토출 압력을 기준 압력보다도 높게 하면, 접착제(89)의 도포량을 기준량보다도 많게 할 수 있 다.
그리고, 액정 패널(11)에 필터 기판(14)을 형성하고 나서, 편광판(13a)을 제1 기판(51)에 형성하고, 편광판(13b)을 제3 기판(81)에 형성함으로써, 도 7에 도시한 표시 패널(3)이 제조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제조 공정에서는, 표시 패널(3)과 조명 장치(5)를 조합함으로써, 표시 장치(1)가 제조될 수 있다.
표시 장치(1)에서, 필터(92)가 광학 수단으로서의 필터에 대응하고, 제2 기판(65)이 기판에 대응하며, 구동 소자 기판(15)이 제2 기판에 대응하고 있다.
표시 장치(1)의 제조 방법은, 제2 기판(65)과 필터부(179)의 사이를, 제2 기판(65)의 두께 t에 따라서 설정된 거리 k로 유지한 상태에서, 제2 기판(65)에 필터 기판(14)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고 있다. 이 제조 방법에서는, 제2 기판(65)과 필터부(179)의 사이를, 제2 기판(65)의 두께 t에 따라서 설정된 거리 k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표시 장치(1) 사이에서 제2 기판(65)의 두께가 상이하여도, 복수의 화소(7)와 필터(92)의 사이의 거리를 맞추기 쉽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복수의 표시 장치(1) 사이에서, 적시 범위(115a)나 적시 범위(115b)의 변동을 저감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표시 장치(1)의 제조 방법은, 제2 기판(65)에 필터 기판(14)을 형성하는 공정 전에, 제2 기판(65)을 머더 기판(65m)의 상태에서 얇게 하는 공정을 갖고 있다. 제2 기판(65)을 얇게 함으로써, 복수의 화소(7)와 필터(92)의 사이의 거리를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표시 장치(1)의 적시 범위(115a)나 적시 범 위(115b)의 확대가 도모된다.
또한,표시 장치(1)에서는, 제2 기판(65)을 머더 기판(65m)의 상태에서 얇게 하는 공정에서, 머더 기판(65m)과 머더 기판(51m)을 접합한 상태에서 머더 기판(65m)이 얇게 된다. 일반적으로, 기판을 얇게 하면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얇게 한 기판의 취급이 곤란해진다. 표시 장치(1)에서는, 머더 기판(65m)과 머더 기판(51m)을 접합한 상태에서 머더 기판(65m)이 얇게 되므로,머더 기판(51m)에 의해 머더 기판(65m)이 보강된다. 따라서, 얇게 한 머더 기판(65m)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표시 장치(1)의 제조 방법은, 제2 기판(65)에 필터 기판(14)을 형성하는 공정 전에, 제2 기판(65)의 두께 t를 측정하는 공정을 갖고 있다. 따라서, 두께 t를 측정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2 기판(65)과 필터(92)의 사이의 거리 k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표시 장치(1)에서는, 제2 기판(65)에 필터 기판(14)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접착제(89)의 양으로 거리 k가 유지되므로, 거리 k를 유지하면서, 제2 기판(65)과 필터 기판(14)을 접합할 수 있다.
또한,표시 장치(1)의 제조 방법에서는, 접착제(89)의 양으로 거리 k를 조정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거리 k를 조정하는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2 기판(65)과 필터(92)의 사이에 개재시킨 스페이서층에서 거리 k를 조정하여도 된다.
이 경우, 스페이서층(125)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부(179)와 접 착제(89)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층(125)은, 예를 들면, SiO이나 SiN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무기재료나, 아크릴이나 에폭시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유기 재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SiO이나 SiN 등의 무기 재료에서는, 스페이서층(125)은, 증착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아크릴이나 에폭시 등의 유기 재료에서는, 액상의 유기 재료를 스핀 코트 등에 의해 도포하고 나서 고화시킴으로써 스페이서층(12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유기 재료로 구성된 시트재를 접착함으로써도 스페이서층(125)이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층(125)이 적용되는 표시 패널(10)에서는, 필터부(179)와 제2 기판(65)의 사이가, 제2 기판(65)의 두께 t에 따른 거리 k로 유지된다. 스페이서층(125)의 두께가, 제2 기판(65)의 두께 t와 기준값과의 차 t0으로 설정되면, 복수의 표시 패널(10) 사이에서 접착제(89)의 양을 변화시키지 않고 거리 k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0)에서는, 스페이서층(125)에 의해 거리 k가 조정되므로,제2 기판(65)과 필터부(179)의 사이의 거리 k를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복수의 표시 패널(10) 사이에서 접착제(89)의 양을 변화시키지 않고 거리 k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디스펜서 등의 접착제(89)의 도포에 관한 장치의 조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장치의 조정에 수반하는 접착제(89)의 양의 변동이 억제되어, 복수의 표시 장치(1) 사이에서, 적시 범위(115a)나 적시 범위(115b)의 변동을 한층 저감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접착제(89)의 도포에 관한 장치의 조정이 생략되므로,제조 공정의 효율화가 도모된다.
또한,표시 패널(10)에서는, 필터부(179)가 스페이서층(125)에 의해 덮여지므로, 필터부(179)를 스페이서층(125)으로 보호할 수가 있어,필터 기판(14)의 취급을 쉽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제조 공정의 효율화가 한층 더 도모된다.
또한,스페이서층(125)이 적용되는 표시 패널(10)에서는, 제2 기판(65)의 두께 t를 측정한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액정 패널(11)을 복수의 구분으로 층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층별마다 스페이서층(125)의 두께를 통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제2 기판(65)의 두께 t와 기준값과의 차 to(마이너스의 값)을 제1 구분부터 제3 구분까지의 3개의 구분으로 층별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제1 구분은, 차 t0이, t1을 초과하고 0 미만의 구분으로 한다. 제2 구분은, 차 t0이, t2를 초과하여 t1 이하의 구분으로 한다. 제3 구분은, 차 t0이, t3을 초과하고 t2 이하의 구분으로 한다. t1, t2 및 t3은, 하기 수학식 1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다.
Figure 112008073771591-PAT00001
그리고, 제1 구분으로 층별된 액정 패널(11)에는, 예를 들면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되는 두께 ts1을 갖는 스페이서층(125)이 적용된다.
Figure 112008073771591-PAT00002
마찬가지로, 제2 구분으로 층별된 액정 패널(11)에는, 하기 수학식 3에 의해 산출되는 두께 ts2를 갖는 스페이서층(125)이 적용되며, 제3 구분으로 층별된 액정 패널(11)에는, 수학식 4에 의해 산출되는 두께 ts3을 갖는 스페이서층(125)이 적용된다.
Figure 112008073771591-PAT00003
Figure 112008073771591-PAT00004
Figure 112008073771591-PAT00005
또한,차 t0이 0인 경우에는, 스페이서층(125)은 적용되지 않는다.
액정 패널(11)이 복수의 구분으로 층별되고, 구분마다 두께가 설정된 스페이서층(125)이 적용되는 표시 패널(10)에서는, 복수의 필터 기판(14)이 액정 패널(11)의 구분 수에 대응하는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그룹마다 두께가 설정된 스페이서층(125)이, 복수의 필터 기판(14)에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1개의 그룹 내에서 복수의 필터 기판(14)에 적용되는 스페이서층(125)의 두께가 통일된다. 그 결과, 스페이서층(125)의 표준화가 도모되어, 표시 패널(10)의 제조의 효율화가 한층 더 도모된다.
표시 패널(10)에서는, 스페이서층(125)이 필터 기판(14)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스페이서층(125)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 패널(11)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스페이서층(125)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기판(17)의 제2 기판(65)에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층(125)이 제2 기판(65)에 형성된 표시 패널(20)에서는, 이 스페이서층(125)에 의해 제2 기판(65)이 보강된다. 따라서, 제2 기판(65)이 머더 기판(65m)의 상태일 때에, 머더 기판(65m)에 스페이서층(125)을 형성하면, 얇게 된 머더 기판(65m)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복수의 액정 패널(11)을 제2 기판(65)의 두께 t마다 층별한 후에, 각 제2 기판(65)에 스페이서층(125)을 형성하면, 두께 t의 구분마다 동등한 두께의 스페이서층(125)을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표시 패널(20)에서는, 1매의 머더 기판(65m) 내에서, 복수의 제2 기판(65) 사이의 두께 t가 변동되어도, 제2 기판(65)마다 적정한 두께의 스페이서층(125)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표시 패널(20)에서는, 제2 기판(65)의 두께 t의 구분마다, 복수의 제2 기판(65)에 통합하여 스페이서층(125)을 형성할 수 있어, 제조 공정의 효율화가 도모된다.
또한,필터 기판(14) 혹은 머더 기판(65m) 또는 제2 기판(65)에, 유기 재료로 구성된 시트재를 접착함으로써 스페이서층(125)을 형성하는 경우에, 시트재의 접착 방법으로서, 이하와 같은 방법이 고려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시트재의 접착에는, 도 18의 (a)에 도시한 접착 장 치(131)가 적용될 수 있다.
접착 장치(131)는, 용기부(133)와, 덮개부(135)를 갖고 있다. 용기부(133) 내에는, 재치부(137)가 형성되어 있다. 재치부(137)는, 예를 들면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력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연부가 고정부(139)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덮개부(135)는, 경첩을 통해서 용기부(133)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135)에는, 용기부(133)측의 면(141)에 갈고리부(143)가, 면(141) 사이에 간극을 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재(145)의 접착에서는, 우선,도 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재(145)를 갈고리부(143)와 면(141)(도 18의 (a) 참조)의 사이에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시트재(145)는, 덮개부(135)에 장착된다.
다음으로, 필터 기판(14)과 머더 및 제2 기판(65) 중에서, 시트재(145)를 접착하는 대상으로 되는 대상 기판(147)을, 재치부(137)에 재치한다. 다음으로, 덮개부(135)를 회동시켜서, 용기부(133) 내를 덮개부(135)에서 봉한다. 여기에서, 용기부(133)에는, 용기부(133)의 내측과 외측 사이를 관통하는 도시하지 않은 배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용기부(133)의 내측의 바닥과 외측의 저부의 사이를 관통하는 도시하지 않은 흡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흡기 구멍은, 재치부(137)에 의해 용기부(133)의 내측으로부터 차단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시하지 않은 배기 구멍으로부터 용기부(133) 내의 기체를 배출시킴으로써 용기부(133) 내를 감압한다. 이 때, 재치부(137)는, 도 1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부(133)의 외측의 압력에 의해 갈고리부(143)에 맞닿는다. 재치부(137)가 갈고리부(143)에 맞닿을 때에, 대상 기판(147)은, 시트재(145)에 꽉 눌려진다.
접착 장치(131)를 이용하여 시트재(145)를 대상 기판(147)에 접착하면, 대상 기판(147)의 대략 전역에 걸쳐 균일한 압력으로 시트재(145)를 대상 기판(147)에 접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대상 기판(147)이 머더 기판(65m) 또는 제2 기판(65)인 경우에, 얇게 된 머더 기판(65m) 또는 제2 기판(65)에 국부적으로 강한 힘이 걸림으로써 발생하는 표시 얼룩을 방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표시 패널(3), 표시 패널(10) 및 표시 패널(20)에서는, 복수의 차광막(85)이 복수의 화소(7)보다도 표시면(9) 측에 형성되어 있지만, 복수의 차광막(85)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화소(7)보다도 저면(23)측이어도 된다.
복수의 차광막(85)이 복수의 화소(7)보다도 저면(23)측에 형성된 표시 패널(30)은, 표시 패널(30)을 도 6의 D-D선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인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기판(14)이 액정 패널(11)보다도 저면(23)측에 형성된다.
또한,표시 패널(30)은, 필터 기판(14)이 액정 패널(11)보다도 저면(23)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 및 각 화소군(43)에 대한 각 차광막(85)의 위치가 서로 다른 것을 제외하고, 표시 패널(3, 10 및 20)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표시 패널(30)의 각 구성 중에서 표시 패널(3, 10 또는 20)과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표시 패널(30)에서는, 필터 기판(14)의 제3 기판(81)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향면(82a)이 저면(23)측으로 향해지고, 대향면(82b)이 표시면(9)측으로 향해져 있다. 그리고,필터 기판(14)은, 대향면(82b)이 구동 소자 기판(15)이 향해진 상태에서, 오버코트층(87)이 구동 소자 기판(15)에서의 제1 기판(51)의 제2 면(53b)에 접착제(89)를 개재하여 접착되어 있다.
또한,편광판(13a)은, 제3 기판(81)의 외향면(82a)에 형성되고, 편광판(13b)은, 제2 기판(65)의 외향면(66a)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표시 패널(30)에서는, 각 차광막(85)은, 차광막(85)과 화소군(43)을 나타내는 평면도인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X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군(43)끼리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화소군(43)을 구성하는 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 사이에 걸치는 영역에, 개구부(9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도 20에서는, 구성을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해서, 각 차광막(85)에 해칭이 실시되어 있다.
표시 패널(30)에서는, 조명 장치(5)로부터의 광은, 차광막(85)끼리 사이의 개구부(91)를 거쳐서 각 화소(7)에 입사된다.
이 때, 각 개구부(91)를 거쳐서 제1 화소(7r1, 7g1 및 7b1)의 각각에 입사된 광(107a)은, 복수 조의 화소군(43) 및 복수의 차광막(85)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범위(109)에 미친다.
또한,각 개구부(91)를 거쳐서 제2 화소(7r2, 7g2 및 7b2)의 각각에 입사된 광(107b)은, 제2 범위(111)에 미친다. 또한,도 21에 도시한 단면은, 도 20의 J-J 선에서의 단면에 상당한다.
표시 패널(30)에서는, 복수의 차광막(85)은, 제1 화소(71)로부터 제1 범위(109)에 미치는 광(107a)을 통과시킴과 함께,제2 화소(72)로부터 제2 범위(111)에 미치는 광(107b)을 통과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제1 화상을 제1 범위(109)에 표시하고, 제2 화상을, 제1 범위(109)와는 다른 제2 범위(111)에 표시하는 지향성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표시 패널(30)에서는, X방향에 인접하는 차광막(85)끼리 사이의 간격 Pa는, X방향에 인접하는 화소군(43)끼리 사이의 간격 Pb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표시 패널(30)에서는, 제1 기판(51)이 기판에 대응하고, 대향 기판(17)이 제2 기판에 대응하고 있다.
표시 패널(30)은, 표시 패널(3), 표시 패널(10) 및 표시 패널(20)의 각각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표시 패널(3, 10 및 20)에서는, 각 차광막(85)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Y 방향을 따라 배열하는 복수 조의 화소군(43) 사이에 걸쳐 일련하여 연장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각 차광막(85)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차광막(85)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군(43)마다 독립된 구성도 채용될 수 있다.
또한,표시 패널(30)에서는, X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군(43)끼리 사이에 위치 하는 각 차광막(85)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Y 방향을 따라 배열하는 복수 조의 화소군(43) 사이에 걸쳐 일련하여 연장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각 차광막(85)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X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군(43)끼리 사이에 위치하는 각 차광막(85)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Y 방향을 따라 배열하는 복수의 화소군(43) 사이에서, 화소군(43)마다 독립된 구성도 채용될 수 있다.
또한,표시 패널(3, 10, 20 및 30)에서는, TN형의 액정(19)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액정(19)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FFS(Fringe Field Switching)형, IPS(In Plane Switching)형, VA(Vertical Alig㎚ent)형 등의 다양한 형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3, 10, 20 및 30)에서는, 복수 조의 화소군(43)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X 방향 및 Y 방향의 각각의 방향을 따라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한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복수 조의 화소군(43)의 배열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 조의 화소군(43)의 배열은, 예를 들면,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Y 방향에 지그재그로 배열한 배열도 채용될 수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배열의 경우, 도 4에 도시한 제1 화소(71)와 제2 화소(72)는, X방향에 교대로 배열되어 있음과 함께,Y방향에도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3, 10 및 20)에서는, 각 차광막(85)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군(43)마다 형성된다. 또한,표시 패널(30)에서는, 각 차광막(85)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X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군(43)끼리 사이마다 형성된다.
또한,표시 패널(3, 10, 20 및 30)에서는, 광학 수단으로서 필터(92)가 채용 이 되고, 필터(92)에 의해 지향성 표시를 실현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지향성 표시를 실현하는 광학 수단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향성 표시를 실현하는 광학 수단으로서는, 렌티큘러 렌즈도 채용될 수 있다. 또한,광학 수단으로서의 필터는, 필터(92)에 한정되지 않고, 컬러 필터(73)와는 다른 새로운 컬러 필터도 채용될 수 있다. 지향성 표시는, 필터(92) 대신에, 새로운 컬러 필터를 추가함으로써도 실현될 수 있다.
전술한 표시 패널(10, 20 및 30)는, 각각, 표시 장치(1)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표시 패널(3, 10, 20 또는 30)이 적용된 표시 장치(1)는, 예를 들면, 도 27에 도시한 전자 기기(500)의 표시부(510)에 적용될 수 있다. 이 전자 기기(500)는,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용의 표시 기기이다. 전자 기기(500)에서는, 표시 장치(1)가 적용된 표시부(510)에 의해, 예를 들면, 운전석측으로부터 제1 화상으로서 지도 등의 화상이 시인되고, 조수석측으로부터 제2 화상으로서 영화 등의 화상이 시인될 수 있다.
또한,전자 기기(500)에서는, 제1 화상과 제2 화상이 중첩하는 범위(113)의 경감이 도모되고, 넓은 적시 범위(115a)로부터 제1 화상이 시인되고, 넓은 적시 범위(115b)로부터 제2 화상이 시인될 수 있다.
또한,전자 기기(500)에서는,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용의 표시 기기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 전화기, 모바일 컴퓨터, 디지털 스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차량 탑재 기기, 오디오 기기 등의 다양한 전자 기기를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서의 단면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복수의 화소의 일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복수의 화소의 일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복수 조의 화소군의 배열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6은 도 4의 C-C선에서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D-D선에서의 단면도.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차광막과 화소군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장치의 편광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복수 조의 화소군 및 복수의 차광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구동 소자 기판 및 대향 기판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필터 기판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액정 패널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패널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패널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패널의 제조 공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패널의 제조 공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시트재의 접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9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패널의 다른 예를 도 6의 D-D선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도.
도 20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패널의 다른 예에서의 차광막과 화소군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1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패널의 다른 예에서의 복수 조의 화소군 및 복수의 차광막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2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차광막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3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패널의 다른 예에서의 차광막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4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복수 조의 화소군의 배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5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차광막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6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패널의 다른 예에서의 차광막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7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장치를 적용한 전자 기기의 사시도.
도 28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표시 장치
3, 10, 20, 30: 표시 패널
7: 화소
71: 제1 화소
72: 제2 화소
8: 표시 영역
9: 표시면
11: 액정 패널
14: 필터 기판
15: 구동 소자 기판
17: 대향 기판
19: 액정
23: 저면
43: 화소군
51: 제1 기판
53a: 제1 면
53b: 제2 면
65: 제2 기판
66a: 외향면
66b: 대향면
81: 제3 기판
82a: 외향면
82b: 대향면
85: 차광막
89: 접착제
91: 개구부
92: 필터
109: 제1 범위
111: 제2 범위
113: 범위
115a, 115b: 적시 범위
123: 레이저 변위계
125: 스페이서층
131: 접착 장치
175: 구동 소자부
177: 대향 소자부
179: 필터부
500: 전자 기기
510: 표시부

Claims (10)

  1. 표시면과,
    제1 화상을 형성하는 제1 화소 및 제2 화상을 형성하는 제2 화소를 적어도 포함하며,상기 표시면측을 향하여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화소와,
    상기 광 중에서, 상기 제1 화소로부터 상기 표시면을 통하여 제1 범위에 미치는 광을 통과시킴과 함께,상기 제2 화소로부터 상기 표시면을 통하여 제2 범위에 미치는 광을 통과시키는 필터와,
    상기 복수의 화소 및 상기 필터의 사이에 개재하는 기판
    을 갖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기판과 상기 필터의 사이를 상기 기판의 두께에 따라서 설정된 거리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기판에 상기 필터를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상기 필터를 형성하는 상기 공정에서는, 상기 기판과 상기 필터를, 접착제를 개재하여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상기 필터를 형성하는 상기 공정의 전에, 상기 기판 및 상기 필터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거리를 조정하는 스페이서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층을 형성하는 상기 공정에서는, 상기 기판에 상기 스페이서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층을 형성하는 상기 공정에서는, 상기 필터에 상기 스페이서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상기 필터를 형성하는 상기 공정의 전에, 상기 기판을 얇게 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는, 상기 기판과, 상기 기판에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기판에 접합된 제2 기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을 얇게 하는 상기 공정에서는, 상기 기판에 상기 제2 기판이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기판을 얇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 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상기 필터를 형성하는 상기 공정의 전에, 상기 기판의 두께를 측정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상기 필터를 형성하는 상기 공정에서는, 상기 접착제의 양으로 상기 기판과 상기 필터의 사이를 상기 거리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10. 표시면과,
    제1 화상을 형성하는 제1 화소 및 제2 화상을 형성하는 제2 화소를 적어도 포함하며,상기 표시면측을 향하여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화소와,
    상기 광 중에서, 상기 제1 화소로부터 상기 표시면을 통하여 제1 범위에 미치는 광을 통과시킴과 함께,상기 제2 화소로부터 상기 표시면을 통하여 제2 범위에 미치는 광을 통과시키는 필터와,
    상기 복수의 화소 및 상기 필터의 사이에 개재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 및 상기 필터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기판 및 상기 필터의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스페이서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KR20080104435A 2007-10-24 2008-10-23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전기 광학 장치 KR101498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76066A JP5246739B2 (ja) 2007-10-24 2007-10-24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JP-P-2007-276066 2007-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176A true KR20090042176A (ko) 2009-04-29
KR101498290B1 KR101498290B1 (ko) 2015-04-03

Family

ID=40282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04435A KR101498290B1 (ko) 2007-10-24 2008-10-23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전기 광학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59736B2 (ko)
EP (1) EP2053866B1 (ko)
JP (1) JP5246739B2 (ko)
KR (1) KR101498290B1 (ko)
CN (1) CN1014193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6791B2 (en) * 2012-05-14 2014-05-27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1264B2 (ja) * 1995-05-24 1999-09-20 三洋電機株式会社 2次元映像/3次元映像互換型映像表示装置
US6624860B1 (en) * 1998-01-26 2003-09-23 Sharp Kabushiki Kaisha Color filter layer providing transmitted light with improved brightness and display device using same
JP4242963B2 (ja) * 1999-02-10 2009-03-25 三洋電機株式会社 カラー液晶表示装置
EP1148468A4 (en) * 1999-09-27 2005-02-02 Citizen Watch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A COLOR LIQUID SIGN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A CLOCK
JP4329495B2 (ja) * 2002-10-31 2009-09-09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
JP4449318B2 (ja) * 2003-03-25 2010-04-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立体映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646467B2 (en) * 2003-06-25 2010-01-12 Lg Display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having various driving modes on a common substrate
GB2405542A (en) 2003-08-30 2005-03-02 Sharp Kk Multiple view directional display having display layer and parallax optic sandwiched between substrates.
CN100483201C (zh) * 2003-10-22 2009-04-29 东芝松下显示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JP4024769B2 (ja) * 2004-03-11 2007-12-19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20050219693A1 (en) 2004-04-02 2005-10-06 David Hartkop Scanning aperture three dimensional display device
JP4381217B2 (ja) * 2004-05-06 2009-12-09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626674B2 (en) * 2005-07-11 2009-12-01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having particular parallax barrier
JP4337794B2 (ja) * 2005-09-16 2009-09-30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935045B2 (ja) * 2005-10-14 2012-05-23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19355A (zh) 2009-04-29
EP2053866A2 (en) 2009-04-29
US20090109532A1 (en) 2009-04-30
US7859736B2 (en) 2010-12-28
JP2009103955A (ja) 2009-05-14
EP2053866A3 (en) 2009-12-16
KR101498290B1 (ko) 2015-04-03
EP2053866B1 (en) 2013-07-03
CN101419355B (zh) 2013-05-01
JP5246739B2 (ja) 201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8651B1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8687132B2 (en) Display device with parallax barrier on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28981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1003029B2 (en) Display device
WO2012073456A1 (ja) 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4148187A1 (ja) 表示パネル、及び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WO2015045581A1 (ja) 表示部品及び表示装置
US2010001404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JP2009069458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145878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8176167A (ja)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101498290B1 (ko)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전기 광학 장치
JP5176993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N110824756A (zh) 显示装置
JP5778411B2 (ja) 液晶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CN210401940U (zh) 显示装置
JP2009069567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080384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419748B1 (ko) 균일한 셀갭을 가진 액정표시소자
JP2009217098A (ja) 液晶装置
KR20080112623A (ko) 다중 화면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JP2009276508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157295A (ja) 液晶表示素子
JP2009103953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251418A (ja) 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