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1982A - 차량의 요소탱크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요소탱크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1982A
KR20090041982A KR1020070107808A KR20070107808A KR20090041982A KR 20090041982 A KR20090041982 A KR 20090041982A KR 1020070107808 A KR1020070107808 A KR 1020070107808A KR 20070107808 A KR20070107808 A KR 20070107808A KR 20090041982 A KR20090041982 A KR 20090041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ank
vehicle body
inlet
suppor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7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1982A/ko
Publication of KR20090041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02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ammonia or u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06Storage means for substances, e.g. tanks or reservoi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의 저면에 장착되며, 차체에 구비된 삽입부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노출이 가능하도록 일단에 요소주입구가 돌출 형성된 요소탱크; 및 차체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요소주입구에 조립이 가능하도록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설계상 제약이 많은 스트랩 부재만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방식보다 안정성 향상 및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되는 차량의 요소탱크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차량, 요소주입구, 요소탱크, 지지브라켓, 스트랩 부재,

Description

차량의 요소탱크 장착구조{Structure for Mounting urea tank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요소탱크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의 하부에 장착되는 요소탱크가 다수의 스트랩 부재를 사용하지 아니하면서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차량의 요소탱크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의 문제점으로 차량에서 배기되는 가스 내의 질소산화물(NOx)을 저감시키고자 하는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질소산화물의 저감(De-NOx)을 위한 후처리 기술로 SCR(Selective Catalyst Reduction)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SCR 시스템은 요소(UREA) 수용액을 배기관에 분사하여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는 방법으로, 배기관 내로 분사된 유레아 수용액(UREA Solution)은 배기관 내의 열에 의해 열분해(분해온도 : 156도) 되거나 촉매와 접촉하여 분해됨으로써 질소산화물이 저감된다.
따라서, 도 1의 도시와 같이 차체(100)의 하부에는 SCR 시스템(200)과 상기 SCR 시스템(200)의 가동을 위한 요소의 저장수단으로 요소탱크(300)가 다수의 스트랩 부재(400)를 통해 장착되고, 상기 요소탱크(300)에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차량의 주유구(500) 내에 별도의 요소주입구(510)를 마련하여 필러넥(미도시)에 의해 요소탱크(300)와 연결됨으로써 요소주입의 원활함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차체(100)의 하부에 요소탱크(300)의 고정시, 상기 요소탱크(300)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스트랩 부재(400)가 적어도 두 개 이상 필요할 뿐만 아니라, 차체(100)의 구조와 주변 부품 간의 레이아웃 제약 때문에 상기 스트랩 부재(400)의 마운팅 위치 설정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요소탱크(300)로부터 요소주입구(510)까지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부품인 필러넥(미도시)이 필요하게 되고, 또한 요소주입구(510)가 연료주입구(520)의 주변에 배치됨으로써 설계상 레이아웃 제약이 크게 됨은 물론, 요소주입구(510)와 연료주입구(520)의 혼동으로 인해 요소와 연료의 오주입 가능성이 있게 되는 문제점 등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의 하부에 장착되는 요소탱크가 다수의 스트랩 부재를 사용하지 아니하면서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차량의 요소탱크 장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요소탱크를 차체의 중앙 하부에 위치시키고, 요소주입구를 운전석 또는 조수석 시트 하단에 위치함으로써, 별도의 부품인 필러넥 필요 없이 요소주입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상기 시트를 이동시켰을 때만이 요소주입구가 외부로 나타나도록 하여 상기 요소주입구가 항시 외부로 나타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차량의 요소탱크 장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차체의 저면에 장착되며, 차체에 구비된 삽입부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노출이 가능하도록 일단에 요소주입구가 돌출 형성된 요소탱크; 및 차체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요소주입구에 조립이 가능하도록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요소탱크 장착구조에 의하면, 일단은 기존과 같이 스트랩 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요소탱크에 일체로 형성된 요소주입구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설계상 제약이 많은 스트랩 부재만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방식보다 안정성 향상 및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요소탱크에 요소를 주입하기 위한 필너넥 부품을 삭제하여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주변 부품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 연료주입구와 요소주입구가 같은 위치에 있음으로써 발생되는 요소와 연료의 주입 혼동성의 염려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요소탱크 장착구조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분해 도시된 요소탱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은 요소(UREA)를 저장하기 위한 요소탱크(20)가 차체(10)의 실내로 노출되는 요소주입구(21)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30)과, 하나의 스트랩 부재(40)에 의해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요소탱크(20)는 내부에 요소가 주입되어 저장 가능하도록 적당한 크기의 함체형으로 구성되고, 일단에는 상측으로 일정부분이 돌출되어 차체(10)에 구비된 삽입부(11)를 통해 차량의 실내측으로 노출되는 요소주입구(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소주입구(21)의 외주면에는 후술될 지지브라켓(30)과 요소주입캡(50)의 체결을 위한 나선부(21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차체(10)에 구비된 삽입부(11)는 차체(10)의 운전석이나 조수석의 시트(S) 하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 운전석 또는 조수석 시트(S)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삽입부(11)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하여, 상기 삽입부(11) 를 통해 노출되는 요소주입구(21)가 항시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발생 되는 각종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차체(10)를 통해 차량의 실내 측으로 노출된 요소주입구(21)에는 지지브라켓(30)이 설치된다.
지지브라켓(30)은 상기 요소주입구(21)가 삽입 가능한 크기의 삽입공(31)이 구비된 판체로, 상기 삽입공(31)의 내주면에는 상기 요소주입구(21)에 구비된 나선부(21a)와 대응되는 나선부(31a)가 구비되어 서로 체결 조립됨으로써, 상기 요소탱크(20)의 일단을 지지 고정하게 된다.
즉, 상기 요소탱크(20)와 지지브라켓(30)이 각각 차체(10)를 사이에 두고 위치되어 상기 지지브라켓(30)이 요소탱크(20)를 지지하기 때문에 요소탱크(20)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브라켓(30)은 상기 요소주입구(21)로의 체결동작이 원활하도록 십자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상기 지지브라켓(30)을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30)은 상기 요소탱크(20)를 지지 고정한 상태에서 나선부(21a)(31a)의 체결력이 약화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방에는 상기 지지브라켓(30)과 차체(1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구(32)에 의해 상기 요소탱크(20)와의 체결력을 보강 및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같이 차체(10)에 조립된 요소탱크(20)의 요소주입구(21)에는 요소주입캡(50)이 체결 조립되어 요소주입구(21)를 개폐시킨다.
스트랩 부재(40)는 상기 요소탱크(20)의 다른 일단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요소탱크(20)는 함체형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길이 방향의 양단을 각각 고정하여야 만이 안정적인 장착구조가 구현된다.
따라서, 차체(10)의 삽입부(11)를 통해 노출되는 요소탱크(20)의 일단, 요소주입구(21)는 지지브라켓(30)에 의해 고정되고, 요소탱크(20)의 다른 일단은 상기 스트랩 부재(40)에 의해 차체(1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스트랩 부재(40)는 요소탱크(20)의 다른 일단을 감싸도록 일정 두께의 철판을 절곡하여 형성되며, 이때 상기 스트랩 부재(40)는 용접을 통해 차체(10)의 하부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지만, 스트랩 부재(40)의 양단에 체결공(41)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41)과 차체(10)를 관통하여 체결 조립되는 볼트(42)와 너트(43)에 의해 조립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차체의 하부에 장착되는 요소탱크(20)가 일단은 지지브라켓(30)에 의해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스트랩 부재(40)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2개 또는 3개 등 다수의 스트랩 부재(40)를 사용하지 아니하면서 안정적이고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SCR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의 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요소탱크의 요소주입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요소탱크 장착구조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분해 도시된 요소탱크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체 11 - 삽입부
20 - 요소탱크 21 - 요소주입구
30 - 지지브라켓 31 - 삽입공
32 - 체결구 40 - 스트랩 부재
41 - 체결공 21a,31a - 나선부

Claims (5)

  1. 차체(10)의 저면에 장착되며, 차체에 구비된 삽입부(11)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노출이 가능하도록 일단에 요소주입구(21)가 돌출 형성된 요소탱크(20); 및
    차체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요소주입구(21)에 조립 가능하도록 중앙에 삽입공(31)이 형성된 지지브라켓(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요소탱크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주입구(21)의 외주면에는 나선부(21a)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30)의 삽입공(31) 내주면에는 상기 요소주입구(21)의 나선부(21a)와 대응되는 나선부(3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요소탱크 장착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30)은,
    상기 요소주입구(21)와의 체결력을 보강 또는 유지하기 위해 체결구(32)에 의해 차체(10)에 체결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요소탱크 장착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주입구(21)가 삽입되는 삽입부(11)는,
    차량의 운전석 또는 조수석 시트(S)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요소주입구(21)는 상기 운전선 또는 조수석 시트(S)의 움직임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거나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요소탱크 장착구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탱크(20)의 다른 일단에는,
    상기 요소탱크(20)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차체(10)에 고정되는 스트랩 부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요소탱크 장착구조.
KR1020070107808A 2007-10-25 2007-10-25 차량의 요소탱크 장착구조 KR200900419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808A KR20090041982A (ko) 2007-10-25 2007-10-25 차량의 요소탱크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808A KR20090041982A (ko) 2007-10-25 2007-10-25 차량의 요소탱크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982A true KR20090041982A (ko) 2009-04-29

Family

ID=40764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808A KR20090041982A (ko) 2007-10-25 2007-10-25 차량의 요소탱크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19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7279A (zh) * 2018-09-30 2018-12-18 安徽安凯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后置客车尿素罐固定结构
KR20190043439A (ko) * 2017-10-18 2019-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요소수 필러넥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439A (ko) * 2017-10-18 2019-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요소수 필러넥 장치
CN109017279A (zh) * 2018-09-30 2018-12-18 安徽安凯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后置客车尿素罐固定结构
CN109017279B (zh) * 2018-09-30 2024-04-02 安徽安凯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后置客车尿素罐固定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6612B2 (ja) 車両の排気浄化装置配設構造
CN103889757A (zh) 操作流体容器
JP2009096223A (ja) 車両の排気浄化装置配設構造
JP2008037135A (ja) 車体後部のバッテリ搭載構造
JP5361688B2 (ja) 排気浄化装置
JP2018158613A (ja) 燃料電池車両
JP3869825B2 (ja) 自動車用マフラーの固定機構
KR20090041982A (ko) 차량의 요소탱크 장착구조
JP2014118004A (ja) 車両のタンク構造
JP2018145841A (ja) 車体構造
JP5769047B2 (ja) 尿素水タンクの取付構造
JP6066056B2 (ja) 車両のタンク構造
JP6701720B2 (ja) 車両のフィラネック固定構造
JP2003003838A (ja) 自動車のマフラ構造
WO2016199837A1 (ja) 還元剤タンクの取付構造
EP3369599A1 (en) Piping structure for vehicle
JP2009138680A (ja) 排気浄化装置
JP6930201B2 (ja) サプライポンプ
JP2014092096A (ja) 尿素水タンクの固定構造
KR102228238B1 (ko) 후방 패널 모듈형 요소수 탱크
JP2013087698A (ja) 配管構造及び排ガス浄化装置
JP6672956B2 (ja) 添加剤容器
JP2018144597A (ja) 車体構造
JP6922384B2 (ja) 制御ユニットのカバー構造
JP6699527B2 (ja) タンクの大気開放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