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0068A - 표면 보호 필름, 그 제조 방법,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이용한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면 보호 필름, 그 제조 방법,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이용한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0068A
KR20090040068A KR1020070105653A KR20070105653A KR20090040068A KR 20090040068 A KR20090040068 A KR 20090040068A KR 1020070105653 A KR1020070105653 A KR 1020070105653A KR 20070105653 A KR20070105653 A KR 20070105653A KR 20090040068 A KR20090040068 A KR 20090040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density polyethylene
film
skin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8655B1 (ko
Inventor
김영희
강한준
한희식
이상민
김종학
손기목
김종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율촌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5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655B1/ko
Priority to CN201510398580.9A priority patent/CN105150619A/zh
Priority to CNA2008101706098A priority patent/CN101480857A/zh
Priority to US12/254,319 priority patent/US8916272B2/en
Publication of KR20090040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 B29C48/307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together components, e.g. melts within the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존재하는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층 또는 제2 스킨층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스킨층은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이 보호하는 표면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층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그 제조 방법,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이용한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은 스크래치의 발생이 없이 화면 보호가 가능하고, 종래 기술에 비하여 원가가 매우 낮으며, 슬립성이 있으면서도 슬립성의 경시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표면 보호 필름, 폴리에틸렌, 스크래치, 대전방지, 파우치

Description

표면 보호 필름, 그 제조 방법,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이용한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Surface protective film,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pouch using the surface 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면 보호 필름, 그 제조 방법,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이용한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액정표시장치(LCD), 브라운관(CRT), 피디피(PDP) 등과 같은 전자제품의 표면을 보호하는 표면 보호 필름, 그 제조 방법,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이용한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CD), 브라운관(CRT), 피디피(PDP) 등과 같은 각종 표시 장치는 표시부 표면에 보호 필름을 장착하거나, 상기 표면 보호 필름으로 이루어진 파우치 내에 상기 표시 장치가 보관되는데,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경우 제조 공정과 보관 및 운송 과정 중에 먼지나 이물질로 인한 오염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고, 또한 그 표면 보호 필름이 보호하는 표시 장치 표면에 이물질로 인한 스크래치도 발생시키지 않아야 한다.
위와 같은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예컨대, 고분자 필름에 점착제가 도포된 표면 보호 필름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에 하드 코팅을 한 표면 보호 필름이 있다.
그런데, 본 발명자들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분자 필름에 점착제가 도포된 표면 보호 필름은 점착제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전이됨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경우 표시 장치에 그 표면 보호 필름을 부착 시 작업자의 정확한 부착이 어렵다는 것과 지문이 점착제에 오염이 되어 투명도를 떨어뜨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에 하드 코팅을 한 표면 보호 필름은 그 필름의 경도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경도와 유사하므로 보호 필름과 화면 사이에 이물질이 삽입되는 경우, 이물질로 인하여 화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이른바 폴-더티(pol-dirty)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품 불량이 발생하였다.
한편, 기존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보호 필름에 슬립성을 주기 위하여 슬립제 및 안티블록킹제를 필름의 최외각층에 첨가하거나 보호 필름에 엠보싱 처리를 하였다.
그런데, 본 발명자들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위와 같이 첨가제를 보호 필름 내에 함유시키는 경우 시간에 따라 첨가제의 이동(migration)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골주름이 발생하거나 슬립성 등과 같은 필름 물성의 변화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표시 장치의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충격이나 이물질 등의 오염 및 이에 기인한 스크래치 발생이 없으며, 효과적으로 화면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 비하여 제조 원가가 매우 낮으며, 골주름의 발생이나 슬립성 등과 같은 필름 물성의 경시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표면 보호 필름, 그 제조 방법,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이용한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존재하는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층 또는 제2 스킨층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스킨층은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이 보호하는 표면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층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수지를 공압출하여 3층의 적층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적층 필름은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존재하는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1 스킨층 또는 제2 스킨층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은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이 보호하는 표면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수지로 형성하며, 상기 중간층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의 수지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나일론계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및 폴리메타크릴산계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지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의 수지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이고,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카르본산 변성체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의 수지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중밀도 폴리에틸렌의 단독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의 수지는 연필 경도가 2.5H 미만인 수지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의 수지는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중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상기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중밀도 폴리에틸렌 20~80중량% 및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20~80 중량%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중밀도 폴리에틸렌 단독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층은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중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 또는 제2 스킨 층 중 표면 보호 필름이 보호하는 표면 측에 위치하는 스킨 층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스킨 층에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대전 방지 코팅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암모늄염은 질산암모늄, 염화암모늄, 탄산암모늄, 수산화암모늄, 인산 암모늄 및 황산암모늄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 코팅층은 암모늄염 0.01~5중량% 및 용제 95~99.9중량%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일측에는 기재 필름이 더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 및 상기 표면 보호 필름 사이에 가스 배리어층이 더 형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표면 보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파우치에 의하여 달 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재 필름에 가스 배리어층을 라미네이션하는 제 1 단계;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상기 제 1 단계에서 라미네이션된 기재 필름 및 가스 배리어층과 라미네이션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라미네이션된 필름을 이용하여 파우치를 제작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은 충격이나 이물질 등에 의한 오염 및 이에 기인한 스크래치 발생이 없으며, 효과적으로 화면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 비하여 제조 원가가 매우 낮으며, 골주름의 발생이나 슬립성 등과 같은 필름 물성의 경시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 그 제조 방법,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이용한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100)은 제1 스킨층(10), 중간층(20) 및 제2 스킨층(30)이 순차로 적층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킨층(10)이나 제2 스킨층(3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은 편광판 등의 디스플레이 면 즉 표면 보호 필름에 의하여 보호되는 보호 표면과 맞닿 는 층이 되는 것으로서, 상기 보호 표면의 경도(예컨대, 연필경도 2~3H) 보다 낮은 경도의 연질 수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표면 보호 필름이 보호하는 표면과 맞닿는 부분인 스킨층의 수지를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이 보호하는 표면의 경도 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연질 수지로 구성함에 의하여 충격 흡수를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라 스크래치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연질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나일론계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및 폴리메타크릴산계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서 해당 경도를 만족하는 수지를 사용한다.
이때, 특히 표면 손상 및 오염 방지 즉 표면 보호의 측면을 고려하여 상기 연질 수지 중에서도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카르본산 변성체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한다.
한편, 상기 중간층(20)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수지층이다.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사용은 공정상에서 작업이 수월하도록 보호 필름에 충분한 스티프니스(stiffness)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간층(20)은 예컨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또는 중밀도 폴리에 틸렌 20~80 중량%에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20~80 중량%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특히 20중량% 이상인 경우 스티프니스(stiffness)가 양호하다.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80중량% 보다 과다하게 넣는 경우 고밀도 폴리에틸렌 제조 시 첨가되는 유기금속이나 크롬, 바나듐, 몰리브덴의 산화물 촉매가 스킨층으로 다량 빠져나와 필름 물성 변화가 초래될 뿐만 아니라, 원가 상승도 초래된다.
따라서, 스티프니스(stiffness)를 고려하는 경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50중량%를 넣지만, 필름 물성 변화 및 원가 상승을 고려하여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첨가량을 80중량%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중간층(20)에는 열안정성, 가공 안정성, 내구성 등의 향상 목적에서 산화방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중간층(20)이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진 경우 산화방지제는 200 내지 1500ppm 정도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첨가량은 수지에 따라 달라지며,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또는 인계 산화방지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표면 보호 필름(100)은 각 층을 공압출하여 3층의 적층 필름으로 제조한다. 제조된 표면 보호 필름(100)은 스티프니스, 작업성, 열안정성, 내산성, 내용제성, 대전방지성 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편광판 등의 디스플레이 운송, 보관 및 가공 시 발생할 수 있는 표면 손상 또는 외부의 먼지나 티끌 등의 표면 오염 에 기인한 스크래치의 발생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표면 보호 필름(100)의 두께는 20 내지 2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100㎛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 두께가 20㎛보다 얇다면 작업시(보호필름을 화면에 부착 시) 핸들링성이 좋지 않다. 한편, 상기 필름 두께가 200㎛보다 두꺼운 경우에는 원가가 불필요하게 상승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면 보호 필름(100)의 구성은 도 1의 경우와 동일하지만, 표면 보호 필름(100)의 일측 스킨 층에 대전 방지 코팅액이 더 코팅됨으로써 대전 방지층(4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대전 방지층(40)은 대전 방지 코팅액이 보호하여야할 표면 측으로 이동될 우려가 없도록 보호 표면과 맞닿게 되는 스킨층의 반대측 스킨층 측에 형성된다.
상기 대전방지 코팅액은 기본적으로 이송 중에 이물질이 달라붙지 않도록 일정한 대전성을 부여하게 되는 것으로서, 암모늄염 0.01~5 중량%와 용제 95 ~ 99.99 중량부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모늄염이 0.01 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원하고자 하는 표면 저항(대전방지성)을 이룰 수 없으며, 5 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대전 방지 특성의 향상이 없이 원가가 불필요하게 상승한다.
상기 암모늄염은 질산암모늄, 염화암모늄, 탄산암모늄, 수산화암모늄, 인산 암모늄 및 황산암모늄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용제는 메틸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IPA), 이소부틸알코올, 이소펜틸알코올 등의 알코올계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전 방지층(40)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제가 코팅되는 스킨층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코로나 처리된다. 이때, 표면장력은 38 다인 이상이 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암모늄계를 가지는 대전 방지 코팅액으로 대전 방지 코팅층을 형성하되, 상기 대전 방지 코팅층을 보호 표면과 맞닿게 되는 스킨층의 반대측 스킨층 측에 형성한다. 이에 따라, 편광판 등의 디스플레이 운송, 보관 및 가공 시 발생할 수 있는 표면 손상 또는 외부의 먼지나 티끌 등의 표면 오염에 기인한 스크래치의 발생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으며, 슬립성을 만족시키면서도 슬립성 등의 물성의 경시변화를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표면 보호 필름(100) 중 보호 표면에 맞닿게 되는 스킨층에 산화방지제, 안티블록킹제, 슬립제 및 대전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넣게 되면 시간이 경과할수록 상기 첨가제가 스킨층의 최외면으로 위치하여 보호 표면에 pol-dirty 현상을 발생시키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 표면에 맞닿는 스킨층에는 어떠한 첨가제도 첨가함이 없이 수지 자체만으로 스킨층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은 모니터, 텔레비전 등과 같은 보호 표면에 그 자체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표면 보호 필름에 기재 필름을 더 적층한 필름을 파우치 형태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을 최내층에 구비하는 파우치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파우치는 기재 필름(300)과 가스 배리어층(200) 및 상기 표면 보호 필름(100)이 적층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표면 보호 필름(100)이 파우치의 최내층에 존재한다.
상기 기재 필름(300)으로는 예컨대 최외층에 대전 방지 코팅층이 형성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나일론 필름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 등을 사용한다.
상기 가스 배리어층(200)으로는 예컨대 알루미늄 필름 등을 사용한다.
상기 표면 보호 필름(100)으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3층의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그 적층 필름에 대전 방지 코팅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을 사용한다.
상기 파우치를 제조하기 위하여는, 예컨대 상기 기재 필름(300)과 상기 가스 배리어층(200)을 라미네이션 한 후, 상기 라미네이트된 기재 필름(300)과 가스 배리어층(200)에 상기 표면 보호 필름(100)을 다시 라미네이션하여 필름 적층체를 만들고, 이 필름 적층체 두 장을 겹친 후 3면의 말단부를 실링함으로써 파우치 형태로 제조한다. 상기 라미네이션 시 접착제로는 우레탄 수지 또는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제조된 파우치는 그 파우치 내에 편광판 등 디스플레이 패널을 넣더라도 표면에 이물질이나 오염 발생이 없으며 스크래치를 발생시키지 아니하게 된 다. 또한, 상기 파우치는 가스 배리어층을 구비하므로 습기 및 산소에 대한 차단성이 우수하여 보관 시 광선의 투과를 막는 기능을 가진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파우치에는 대전 방지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마찰에 의한 먼지나, 이물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 구성>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하기 비교예들은 하기 실시예와 대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된 것일 뿐이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단독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1 스킨층,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져 있는 중간층[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량 비율은 1:1],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단독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2 스킨층으로 필름을 구성하였다. 여기서 전체 필름 두께는 80㎛로 하였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 중 보호 필름이 맞닿지 않는 제2 스킨층에 질산암모늄 1중량%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 99중량%로 이루어진 대전방지 코팅액을 코팅하였다.
비교예 1
대전 방지 코팅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다. 즉, 실시예 1의 필름의 제2 스킨층(보호할 표면과 맞닿지 않는 스킨층)에 대전 방지 코팅층으로서 전도성 고분자 코팅액(PEDOT)을 코팅하였다.
비교예 2
대전 방지 코팅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다. 즉, 지방산 에스테르계와 아민 유도체의 복합물로 이루어진 대전방지제를 제2 스킨층(보호할 표면과 맞닿지 않는 스킨층) 자체에 첨가하고, 공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UV 조사 하드코팅층(아크릴 모노머)을 형성하였다.
<실험 1 : 스티프니스 측정>
디스플레이 화면에 해당하는 크기의 보호필름을 단재하여 작업자가 테이프로 고정시킬 때, 필름의 스티프니스(stiffness)가 있어야 작업성이 양호하다. 따라서, 화면에 맞닿는 스킨 층 이외의 중간층에 하드니스(hardness)를 주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실시예 1의 필름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함량을 조절하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10mm 바를 사용하여 시편을 커팅 후 스티프니스(stiffness) 테스트기에 시편을 넣고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LLDPE(wt%) HDPE(wt%) 스티프니스
TD MD
1 90 10 6.8 9.0
2 80 20 15.7 13.5
3 70 30 21.8 16.8
4 60 40 30.2 17.3
5 50 50 41.8 21.5
6 40 60 45.7 25.2
7 30 70 49.5 28.9
8 20 80 57.2 32.1
표 1에서 수치가 높을수록 스티프니스 강도가 높으며, TD 방향으로 15 이상인 경우 스티프니스가 비교적 양호한 것이고 40 이상인 경우 스티프니스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20중량% 이상인 경우 스티프니스가 비교적 양호하고 50중량% 이상인 경우 스티프니스가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실험 2 : 대전 방지성 측정>
ASTM-D257에 따라 울프강 바름비에르 사(wolfgang warmbier)의 SRM-110기로 표면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대전 방지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참고로, 표면 저항(단위 : Ω)은 1012 이하로 관리하여야 마찰에 의한 이물 및 먼지가 달라붙지 않고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실험 3 : pol-dirty 측정>
Pol-dirty는 표면보호용으로 사용하는 성분이 디스플레이 표면에 전위되거나 스크래치, 이물 등이 발생하는 것으로서, 그 발생 여부를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진동 테스터기[회사명 : IMV Co. (일본), 모델명 : CV-700]에 랜덤하게 60분 동안 진동을 주고 필름 및 화면에 스크래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였다. 진동수 범위는 2 내지 2000(㎐)로 하였고, 온진폭(Max.)은 51(㎜)로 하였다. 800mm X 500mm 크기의 샘플 1000개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 4 : 연필 경도 측정>
필름을 10 ×10mm로 절단 후 ASTM-D3363에 의하여 연필 경도 테스트 기기를 이용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여 연필 경도를 측정하였다. 연필 경도는 4B 내지 4H까지 나타내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 5 : 슬립성 측정>
롤 상태의 보호필름은 블로킹 현상이 없어야 하므로 슬립성을 가져야 한다. 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ASTM-D1894에 의하여 시스트 디지털 슬립 테스터기(CEAST DIGITAL SLIP TESTER CODE 6796/000를 이용하여 MD 방향(종방향)으로 기준 하여 컷팅된 필름의 슬립성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샘플은 120 X 250mm와 75 X 100mm 두 개의 사이즈로 준비하였으며, 사이즈가 큰 샘플을 고정시킨 후, 작은 사이즈의 샘플을 그 위에 올린 뒤 200g의 SLED를 가볍게 올려놓고 마찰계수를 측정하였다. 그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대전방지성 pol-dirty 생성여부 연필 경도 슬립성
가공 10일후 최초 측정 8 시간 후 측정
실시예1 109 109 없음 측정 불가 0.41 0.41
비교예1 109 109 발생 측정 불가 0.55 1.51
비교예2 1011 1013 발생 측정 불가 0.42 2.64
비교예3 1015 109 발생 3H 0.32 0.89
표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과 달리 대전방지제로 전도성 고분자(PEDOT)를 코팅한 비교예 1 및 스킨층 자체에 대전방지제를 넣은 비교예 2는 pol-dirty가 발생하였다. 또한, 비교예 3도 하드니스가 강하여 pol-dirty가 발생하였다. 참고로, 편광판의 연필 경도는 2.5H이다. 또한, 연필 경도측정에서 '측정 불가'라는 것은 가장 소프트한 경도인 4B인 연필로 경도를 측정하여도 필름의 경도가 더 낮기 때문에 필름이 찢어지거나 연필에 의하여 뜯김 현상이 발생하여 수치화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더욱이, 비교예 1, 2의 경우 슬립성의 경시변화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비교예 1, 2의 경우에는 대전방지제 또는 대전 방지 코팅액의 첨가제가 보호하고 있는 표면과 맞닿는 스킨층으로 이동이 되면서 슬립성이 증가하였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표면으로 나오는 대전방지제로 인하여 pol-dirty 현상이 발생하였다.
<실험 7 : 경시 변화 측정>
실시예 1의 필름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함량을 변화시키면서 pol-dirty 현상을 확인하였다. 표면 보호 필름 샘플 10000개를 만들고 온도 60℃ 및 습도 70%로 한 상태에서 500 시간 경과 후 실험 3과 동일한 방법으로 pol-dirty 현상의 발생 여부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중 특히 고밀도 폴리에틸렌 함량이 80중량% 부근에서의 표면 보호 필름의 pol-dirty 현상 발생 여부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LLDPE(wt%) HDPE(wt%) pol-dirty현상
1 23 77 없음
2 22 78 없음
3 21 79 없음
4 20 80 없음
5 18 82 발생
6 17 83 발생
7 15 85 발생
8 10 90 발생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밀도 폴리에틸렌 함량이 80중량%까지는 pol-dirty 현상이 발생되지 않았으나, 80중량%를 넘어서는 pol-dirty 현상을 보여주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을 최내층에 구비하는 파우치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10 : 제1 스킨층 20 : 중간층
30 : 제2 스킨층 40 : 대전 방지 코팅층
100 : 표면 보호 필름 200 : 가스 배리어층
300 : 기재 필름

Claims (17)

  1.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존재하는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층 또는 제2 스킨층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스킨층은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이 보호하는 표면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층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의 수지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나일론계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및 폴리메타크릴산계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의 수지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이고,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카르본산 변성체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의 수지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중밀도 폴리에틸렌의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의 수지는 연필 경도가 2.5H 미만인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의 수지는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중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상기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중밀도 폴리에틸렌 20~80중량% 및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20~8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 면 보호 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중밀도 폴리에틸렌의 단독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층은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중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 또는 제2 스킨 층 중 표면 보호 필름이 보호하는 표면 측에 위치하는 스킨 층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스킨 층에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대전 방지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늄염은 질산암모늄, 염화암모늄, 탄산암모늄, 수산화암모늄, 인산 암모늄 및 황산암모늄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 코팅층은 암모늄염 0.01~5중량% 및 용제 95~99.9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일측에 기재 필름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 및 상기 표면 보호 필름 사이에 가스 배리어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16.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수지를 공압출하여 3층의 적층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적층 필름은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존재하는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1 스킨층 또는 제2 스킨층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은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이 보호하는 표면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수지로 형성하며,
    상기 중간층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17. 기재 필름에 가스 배리어층을 라미네이션하는 제 1 단계;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을 상기 제 1 단계에서 라미네이션된 기재 필름 및 가스 배리어층과 라미네이션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라미네이션된 필름을 이용하여 파우치를 제작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의 제조 방법.
KR1020070105653A 2007-10-19 2007-10-19 표면 보호 필름, 그 제조 방법,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이용한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918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653A KR100918655B1 (ko) 2007-10-19 2007-10-19 표면 보호 필름, 그 제조 방법,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이용한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
CN201510398580.9A CN105150619A (zh) 2007-10-19 2008-10-17 一种表面保护膜及制造方法和该保护膜的袋及制造方法
CNA2008101706098A CN101480857A (zh) 2007-10-19 2008-10-17 一种表面保护膜及制造方法和该保护膜的袋及制造方法
US12/254,319 US8916272B2 (en) 2007-10-19 2008-10-20 Surface protective film,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pouch thereof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653A KR100918655B1 (ko) 2007-10-19 2007-10-19 표면 보호 필름, 그 제조 방법,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이용한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068A true KR20090040068A (ko) 2009-04-23
KR100918655B1 KR100918655B1 (ko) 2009-09-22

Family

ID=40563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653A KR100918655B1 (ko) 2007-10-19 2007-10-19 표면 보호 필름, 그 제조 방법,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이용한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16272B2 (ko)
KR (1) KR100918655B1 (ko)
CN (2) CN10148085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667B1 (ko) * 2009-06-02 2012-03-14 율촌화학 주식회사 적층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154878B1 (ko) * 2010-07-19 2012-06-18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영구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lcd 보호용 필름
WO2016182102A1 (ko) * 2015-05-13 2016-11-17 세계화학공업(주) 보호용 테이프에 사용되는 연질 피브이씨 필름을 대체하는 다층 폴리에틸렌 필름
CN114083856A (zh) * 2021-12-07 2022-02-25 江门市华龙膜材股份有限公司 一种耐高温自粘性纯聚乙烯保护膜及其制备方法
KR20230067040A (ko) * 2021-11-09 2023-05-16 임광근 보호필름 가공 장치 및 보호필름 가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439B1 (ko) 2010-11-03 2013-01-31 세계화학공업(주) 디프 드로잉(Deep drawing)용 표면보호 점착 테이프
CN102259451B (zh) * 2011-05-06 2014-04-09 安徽双津实业有限公司 一种it产品专用保护膜基材
US10463570B2 (en) 2011-06-10 2019-11-05 Advanced Films,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mproved film for medical supply packaging
US20120312711A1 (en) * 2011-06-10 2012-12-13 Davies Edward A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mproved Film for Medical Supply Packaging
US20130074454A1 (en) * 2011-09-26 2013-03-28 Cryovac, Inc. Polyolefin Films for Packaging and Administering Medical Solutions
KR101434389B1 (ko) * 2013-02-13 2014-08-27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영구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노트북 또는 모니터 보호용 필름
KR20140142026A (ko) * 2013-06-03 2014-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합착용 하부 필름, 기판 밀봉체 및 이들을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6313255B2 (ja) * 2015-03-20 2018-04-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部材、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
JP6639098B2 (ja) * 2015-03-20 2020-02-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部材、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
KR101852370B1 (ko) 2015-08-04 2018-04-27 주식회사 지인테크 딥 드로잉 가공용 다층 구조의 표면보호용 테이프
KR102604087B1 (ko) 2016-06-24 2023-1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0699000A (zh) * 2019-10-11 2020-01-17 上海固柯胶带科技有限公司 用于半导体研磨和封装的膜材料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9831A (en) * 1978-08-18 1981-09-15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imited Polyolefin films
US5284741A (en) * 1989-12-11 1994-02-08 Konica Corporation Antistatic layer
US5576038A (en) * 1995-03-10 1996-11-19 James River Paper Company, Inc. Liquid packaging film
AU6820301A (en) * 2000-06-06 2001-12-17 Cryovac Inc Printed thermoplastic film with radiation-cured overprint varnish
AU2001283036A1 (en) * 2000-07-31 2002-02-13 Reynolds Metals Company Plastic wrap with cling layer
US6623866B2 (en) * 2001-04-04 2003-09-23 Exxonmobil Oil Corporation Multilayer films including anti-block
KR20030062668A (ko) * 2002-01-18 2003-07-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터치패널용 보호시트
JP2005125659A (ja) * 2003-10-24 2005-05-19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
WO2006004897A1 (en) 2004-06-29 2006-01-12 Main Tape Company, Inc. Adhesiveless protective film
WO2006037603A1 (en) * 2004-10-04 2006-04-13 Borealis Technology Oy Film
US20060188678A1 (en) * 2005-02-21 2006-08-24 Ohlsson Stefan B Multi-layer polyethylene films
KR20070052566A (ko) * 2005-11-17 2007-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보호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포함한 액정 표시 장치
US20080311261A1 (en) * 2007-06-13 2008-12-18 Alcan Packaging Flexible France Multilayer food product packaging materials, having improved sealing and stiffnes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667B1 (ko) * 2009-06-02 2012-03-14 율촌화학 주식회사 적층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154878B1 (ko) * 2010-07-19 2012-06-18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영구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lcd 보호용 필름
WO2016182102A1 (ko) * 2015-05-13 2016-11-17 세계화학공업(주) 보호용 테이프에 사용되는 연질 피브이씨 필름을 대체하는 다층 폴리에틸렌 필름
KR20230067040A (ko) * 2021-11-09 2023-05-16 임광근 보호필름 가공 장치 및 보호필름 가공 방법
CN114083856A (zh) * 2021-12-07 2022-02-25 江门市华龙膜材股份有限公司 一种耐高温自粘性纯聚乙烯保护膜及其制备方法
CN114083856B (zh) * 2021-12-07 2023-08-11 江门市华龙膜材股份有限公司 一种耐高温自粘性纯聚乙烯保护膜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8655B1 (ko) 2009-09-22
CN101480857A (zh) 2009-07-15
US20090104467A1 (en) 2009-04-23
CN105150619A (zh) 2015-12-16
US8916272B2 (en) 201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655B1 (ko) 표면 보호 필름, 그 제조 방법,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이용한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
EP2844468B1 (en) Low peel force surface protection film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40109931A (ko)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롤의 포장체
KR101154877B1 (ko) 편광판 제조공정용 자기점착성 보호 필름
KR101319344B1 (ko) 보호 필름 일체형 파우치
EP2447177A1 (en) Anti-static packaging bag for liquid crystal module and liquid crystal module packaging method
JP5328890B2 (ja) 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16705B1 (ko) 디스플레이 제품 포장용 폼 합지 폴리에틸렌 필름
JP5628132B2 (ja) 易滑及び離型性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並びに該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からなる包装体及び離型又は加工プロセス用支持体フィルム
TW201132733A (en) Surface-protection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base film for a surface-protection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0746173B1 (ko) 프리즘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6806753B2 (ja) カバーテープおよび電子部品用包装体
CN107073911B (zh) 超高阻隔金属化膜
KR101383995B1 (ko) 다층구조의 편광판 보호용 필름
JP2006137149A (ja) 帯電防止フィルム
JP2010234525A (ja) 積層体
KR101142748B1 (ko)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273194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보호 필름
KR100725246B1 (ko) 광학 관련부품 보호재료
KR101364969B1 (ko) Lcd모듈 포장용 봉투
JP2023092899A (ja) 電子部品包装用カバーテープおよび包装体
JP2020055626A (ja) カバーテープおよび電子部品用包装体
JP2022133653A (ja) 光学関連部品保護材料
JP2011079263A (ja) 静電気防止粘着積層体
JPH06398B2 (ja) 複合2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フィルムおよび該フィル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