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5667B1 - 적층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5667B1
KR101115667B1 KR1020090048699A KR20090048699A KR101115667B1 KR 101115667 B1 KR101115667 B1 KR 101115667B1 KR 1020090048699 A KR1020090048699 A KR 1020090048699A KR 20090048699 A KR20090048699 A KR 20090048699A KR 101115667 B1 KR101115667 B1 KR 101115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layer
laminated film
weight
layer
intermedia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0045A (ko
Inventor
김종철
금종하
박성우
강정중
Original Assignee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율촌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8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667B1/ko
Publication of KR20100130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6Slipping, anti-blocking, low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14Corona, ionisation, electrical discharge, plasma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존재하는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스킨층은 프로필렌, 에틸렌 및 부텐의 삼원중합체와 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필름은 열접착 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방담성 및 인쇄적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야채를 비롯한 제빵?제과 등 다양한 식품의 포장재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필름은 블로킹 현상이 방지되어 개선된 슬립성을 가지며, 이로 인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부텐, 포장재, 열접착 강도

Description

적층필름 및 그 제조 방법{Laminate Film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적층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접착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방담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포장재로 사용될 수 있는 적층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인장강도, 강성, 표면경도, 내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 광택성, 투명성 등의 광학특성 또는 무독성, 무취성 등의 식품위생성 등이 뛰어나, 특히 식품포장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열접착(Heatseal) 온도까지 가열하면 수축되어, 단층으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는 열접착하는 것이 곤란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통상 열접착층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며, 열접착층은 일반적으로 저밀도 폴리에틸렌,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공중합체 등의 폴리머로 형성된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때때로 표면끼리 달라붙어 작업상 지장을 주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높은 마찰계수나 블로킹으로 인한 현상이다. 블로킹 은 필름 면이 서로 달라붙은 현상으로, 작업성 향상을 위해 이러한 블로킹 현상을 감소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나아가, 기존의 열접착성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BOPP) 필름은 열접착 강도가 400g/15mm 미만으로 쉽게 손상되는 등의 결함이 발생하여 단일재질로의 포장재로서 사용하기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특히, 콩나물 등의 야채 포장이나 제빵?제과 등의 번들 포장에서는 우수한 열접착 강도를 갖는 포장재를 요구하고 있는 바, 기존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야채 포장재 또는 제빵?제과 포장재로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한편, 포장된 야채 및 과일 등 내용물의 호흡 또는 포장재 내외면의 온도차이 등으로 인해 수분이 응축되며, 이로 인해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할 때에 내용물이 잘 보이지 않으며, 내용물의 신선도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구매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장된 내용물에 응축된 물방울이 닿을 경우 내용물이 쉽게 변질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접착 강도가 우수함과 동시에 이지-필(EASY-PEEL) 기능 부여 및 블로킹 현상을 방지하고, 나아가 인쇄적성, 방담성이 우수한 적층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존재하는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스킨층은 프로필렌, 에틸렌 및 부텐의 삼원중합체와 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킨층은 프로필렌, 에틸렌 및 부텐의 삼원중합체 30~80중량%와 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공중합체 1~5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킨층은 폴리부텐 1~10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킨층은 블로킹방지제 0.5~5중량% 및 슬립제 0.5~5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킨층은 방담제 1~20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폴리프로필렌, 방담제 및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은 폴리프로필렌 및 블로킹방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적층필름은 2축 연신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 중간층 및 제2 스킨층 각각은 적층필름 전체의 두께에 대하여 각각 3~30%, 40~87% 및 10~30% 범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적층필름을 이용하는 포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수지를 공압출하여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존재하는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필름을 형성하되, 상기 제2 스킨층은 상기 제2 스킨층은 프로필렌, 에틸렌 및 부텐의 삼원중합체와 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 및 상기 제1 스킨층의 압출 온도는 230~270℃로, 상기 제2 스킨층의 압출 온도는 250~300℃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필름은 열접착 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방담성 및 인쇄적성 등 포장재용 필름으로서 요구되는 물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야채를 비롯 한 제빵?제과 등 다양한 식품의 포장재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필름은 블로킹 현상이 방지되어 개선된 슬립성을 가지며, 이로 인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른 적층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른 적층필름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른 적층필름(100)은 제1 스킨층(10), 중간층(20) 및 제2 스킨층(30)이 순차로 적층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른 적층필름(100)은 중간층(2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제1 스킨층(10)과 제2 스킨층(3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적층필름(100)을 포장재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1 스킨층(10) 상에는 인쇄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스킨층(30)은 열접착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킨층(10)은 포장재의 내면을 이루고, 상기 제2 스킨층(30)은 포장재의 외면을 이루게 된다.
상기 제2 스킨층(30)은 프로필렌, 에틸렌 및 부텐의 삼원중합체(이하 "Ter-pp"라고 함)와 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공중합체(이하 "Co-pp"라고 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er-pp로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프로필렌 90~95중량%, 에틸렌 3~7중량% 및 부텐 1~3중량%를 함유하는 Ter-pp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Co-pp 또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예로 TAFMER(미츠이 케미컬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킨층(30)은 Ter-pp 30~80중량%와 Co-pp 1~5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조성의 제2 스킨층(30)은 1000g/15mm 이상의 열접착 강도를 발휘하며, 이에 따라 열접착된 부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킨층(30)은 Co-pp를 1~50중량%로 함유함으로써, 기존의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보다 저온에서 열접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킨층(30)은 열접착성 향상을 위해 폴리부텐(PB) 1~10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킨층은 슬립성 향상을 위하여 블로킹방지제와 슬립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로킹방지제는 0.5~5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슬립제는 0.5~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블로킹방지제(Anti-blocking agent)는 적층필름 사이가 밀착되어 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슬립(Slip)성 향상에 도움을 준다. 상기 블로킹방지제로 실리카(Silica), 탈크(Talc), 제올라이트(Zeolite), 멜라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또는 탄산칼슘(CaCO3)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로킹방지제를 사용하는 경우, 필름의 표면을 거칠게 하여 인접한 필름 사이에 공간을 형 성함으로써 필름들이 서로 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슬립제(Slip agent)는 필름이나 시트 사이의 마찰계수를 줄여줌으로써, 필름이나 시트가 잘 미끄러지도록 하기 위한 첨가제이다. 슬립성은 필름이나 시트 사이의 마찰계수 값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적층필름(100)에서 제2 스킨층(30) 간의 마찰계수 값이 중요하며, 박리성 면에서 제2 스킨층(30) 간의 마찰계수 값이 0.2~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적성 면에서는 제2 스킨층(30) 간의 마찰계수 값이 0.25~0.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립제로서 일예로 에루카미드(Erucamide) 또는 올레인산 아미드(Oleicamid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적층필름(100)을 포장재로 사용하는 경우 구매자가 제품의 신선도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포장재 내부의 응축된 물방울에 의해 내용물이 쉽게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스킨층(30)에 방담제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담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적층필름(100)의 슬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방담제로는 시중에 판매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1~2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담제를 4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층(20)은 폴리프로필렌, 방담제 및 대전방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20)은 폴리프로필렌 60~99중량%, 방담제 0.5~20중량%, 대전방지제 0.5~20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전방지제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암모늄염, 설포뮴, 포스포늄 등),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다가 알코계 유도 체, 비이온계 활성제, 알칼아민유도체, 알킬인산염아민염, 지방산에스테르류, 알킬디에타놀아민, 양쪽성 계면활성제, 폴리에스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필름에서, 상기 중간층(20)이 대전방지제 및 방담제를 포함하고, 제2 스킨층(30)이 방담제를 포함함으로써, 1.0×1011Ω 이하의 표면저항 값(JISS6911에 따라 울프강 바름비에르 사(wolfgang warmbier)의 SRM-110기로 측정)을 나타낼 수 있다. 이는 기존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의 표면저항 값보다 훨씬 낮은 값이며, 1.0×1011Ω 이하의 표면저항 값을 가짐으로써, 마찰에 의한 이물 및 먼지가 달라붙지 않고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적층필름을 사용하여 형성한 스티커 라벨의 낱장 공급시 공급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킨층(10)은 폴리프로필렌 및 블로킹방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제1 스킨층(10)은 폴리프로필렌 90~99.5중량% 및 블로킹방지제 0.5~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킨층(10)은 상기 제2 스킨층(30)과 마찬가지로 필름 사이가 밀착되어 떨어지지 않는 현상을 방지하고 슬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블로킹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층필름(100)이 포장재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1 스킨층(10) 상에 인쇄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스킨층(10)의 인쇄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스킨층(10)은 코로나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필름(100)에 있어서, 열접착 강도의 향상을 위해 상기 제1 스킨층, 중간층 및 제2 스킨층 각각은 적층필름 전체의 두께에 대하여 각각 3~30%, 40~87% 및 10~30% 범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상기 적층필름(100)의 두께가 30㎛이고, 상기 제1 스킨층, 중간층 및 제2 스킨층 각각의 두께를 적층필름 전체의 두께에 대하여 각각 20%, 60% 및 20% 로 조절하는 경우, 상기 제1 스킨층과 상기 제2 스킨층 각각은 6㎛의 두께를 갖고, 상기 중간층은 18㎛의 두께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2 스킨층(30)은 3~9㎛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스킨층, 중간층 및 제2 스킨층 각각의 두께를 상기 범위에서 조절함으로써, 기존의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열접착 강도보다 우수한 1000g/15mm 이상의 열접착 강도를 발휘하는 적층필름(10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적층필름(100)은 공압출시 2축 연신된 것이 바람직하다. 2축 연신으로 필름의 차단성, 특히 수분투과 차단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으며, 투명성, 저온 충격강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필름(100)은 상기 제2 스킨층(30)을 열접착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포장재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적층필름(100)을 포장재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1 스킨층(10)상에 내용물을 광고하는 선전 문구 또는 다양한 문양을 새기기 위해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필름(100)은 열접착 강도가 우수하므로, 콩나물류 등 수분이 포함된 야채 포장, 제빵?제과 등의 번들(bundle) 포장을 위한 포장재로 사용가능하다.
특히, 다른 필름과의 접착 없이, 본 발명의 적층필름(100)만으로 제빵?제과 용 포장재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빵?제과용 포장재의 제조 공정의 단순화를 꾀할 수 있다. 즉, 기존에는 연신 폴리프로필렌필름과 무연신 폴리프로필렌필름을 드라이 라미네이션(Dry Lamination; DL)하여 제빵?제과용 포장재를 제조하였으나, 본 발명의 적층필름(10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적층필름으로 제빵?제과용 포장재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DL공정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장재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적층필름(100)의 제2 스킨층(30)은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용기 또는 폴리프로필렌(PP) 용기와의 부착성이 우수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적층필름(100)은 이들 용기의 인몰드 라벨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필름(100)은 천공 과정을 거쳐 기공 필름 등의 2차 가공필름으로 가공된 후 포장재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적층필름(100)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서는 수지를 공압출하여 중간층(20)과 그 양측에 제1 스킨층 (10)및 제2 스킨층(30)을 형성하여 3층의 적층필름(100)을 만든다. 여기서 공압출 시, 상기 제2 스킨층(30)의 Ter-pp의 용융온도가 상기 중간층(20)과 상기 제1 스킨층(10)에 각각 포함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용융온도보다 낮으므로, 상기 중간층(20) 및 상기 제1 스킨층(10)의 압출 온도는 230~270℃로, 상기 제2 스킨층(30)의 압출 온도는 250~300℃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압출시 중간층(20), 제1 스킨층 (10) 및 제2 스킨층(30)의 각층을 2축 연신하여 2축 연신된 적층필름(100)을 제조하는 것이 필름의 차단특성 향상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실시예 및 비교예 구성>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하기 비교예들은 하기 실시예와 대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된 것일 뿐이다.
실시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99중량%과 블로킹방지제 1중량%로 이루어져 있는 제1 스킨층; 폴리프로필렌 95.5중량%, 대전방지제 0.5중량%와 방담제 4중량%로 이루어져 있는 중간층;과 Ter-pp 57중량%, Co-pp(TAFMER) 35중량%, PB 2중량%, 블로킹방지제 1중량%, 슬립제 1중량% 및 방담제 4중량%로 이루어져 있는 제2 스킨층으로 적층필름을 구성하였다. 여기서 제1 스킨층, 중간층 및 제2 스킨층은 각각 1㎛, 21㎛, 8㎛의 두께를 갖도록 하였다.
적층필름의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스킨층, 제2 스킨층, 중간층을 형성하기 위한 각각의 원료를 세 개의 다른 압출기에 각각 주입하고, 압출기를 통해 용융한 후에 티-다이(T-DIE)를 이용하여 시트 형상의 적층필름을 형성하였다. 이후, 기계방향 (Machine direction; MD)과 횡방향 (Transvers direction; TD) 으로 각각 연신하였다.
비교예 1
제2 스킨층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같다. 즉, 실시예의 적층필름에서 제2 스킨층을 Ter-pp 91중량%, 블로킹방지제 2중량%, 슬립제 2중량% 및 방담제 5중량%로 형성하였다.
비교예 2
적층필름의 각층의 두께를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같다. 제1 스킨층, 중간층 및 제2 스킨층은 각각 1㎛, 27㎛, 2㎛ 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었다.
비교예 3
폴리프로필렌 98중량%과 블로킹방지제 2중량%로 이루어져 있는 제1 스킨층; 폴리프로필렌 99.5중량%와 대전방지제 0.5중량%로 이루어져 있는 중간층;과 폴리프로필렌 98중량%와 블로킹방지제 2중량%로 이루어져 있는 제2 스킨층으로 적층필름을 구성하였다. 여기서 제1 스킨층, 중간층 및 제2 스킨층은 각각 1㎛, 27㎛, 2㎛의 두께를 갖도록 하였다.
비교예 4
폴리프로필렌 98중량%과 블로킹방지제 2중량%로 이루어져 있는 제1 스킨층; 폴리프로필렌 96.5중량%, 방담제 3중량% 및 대전방지제 0.5중량%로 이루어져 있는 중간층;과 폴리프로필렌 95중량%, 방담제 3중량% 블로킹방지제 2중량%로 이루어져 있는 제2 스킨층으로 적층필름을 구성하였다. 여기서 제1 스킨층, 중간층 및 제2 스킨층은 각각 1㎛, 27㎛, 2㎛의 두께를 갖도록 하였다.
<실험 1 : 열접착 강도 측정>
상기 실시예, 비교예1 및 비교예2로 제조된 적층필름의 열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열접착 강도의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적층필름의 제2 스킨층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 후, 실러 바(Sealer Bar)를 이용하여 130℃의 온도에서 2bar의 압력으로 0.5초 동안 압착하여 제2 스킨층을 열접착시켰다. 이후 폭 15mm로 절단하고, 인장강도 테스터기를 이용하여 열접착된 적층필름의 열접착 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열접착 강도 1000g/15mm 500g/15mm 350g/15mm
표 1에서 실시예에 따른 적층필름의 열접착 강도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른 적층필름의 열접착 강도보다 현저하게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수한 열접착 강도를 요구하는 야채 포장재 또는 제빵?제과 포장재로 사용이 가능하다.
<실험 2 : 방담성 평가>
상기 실시예, 비교예3 및 비교예4로 제조된 적층필름의 방담성을 비교 평가하 였다. 방담성의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다.
용기에 100℃의 물을 넣고 용기의 상부를 적층필름으로 밀봉한 후, 육안으로 적층필름에 물방울이 맺히는 정도와, 용기의 바닥이 보이는지 여부를 관찰하여 방담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필름의 경우 밀봉 후 24시간이 지나도록 용기의 상부를 커버하는 적층필름에 물방울이 맺히지 않았으며, 용기의 바닥을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 3에 따른 적층필름(기존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경우에는 용기의 상부를 커버하는 적층필름 전체에 걸쳐서 물방울이 맺혔으며, 용기의 바닥면을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시간이 경과할수록 물방울이 더 많이 맺혔으며, 그 사이즈 또한 더 커졌다.
비교예 4에 따른 적층필름(기존 방담필름)의 경우, 밀봉 후 초기에는 물방울이 용기의 상부를 커버하는 적층필름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었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크고 많은 물방울이 맺혀서 26시간 경과 후에는 적층필름 전체 면에 물방울이 맺혔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필름은 기존 필름들보다 우수한 방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3 : 슬립성 측정>
실시예에 따른 적층필름의 슬립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ASTM-D1894에 의하여 시스트 디지털 슬립 테스터기(CEAST DIGITAL SLIP TESTER CODE 6796/000)를 이용하 여 MD 방향(종방향)으로 기준 하여 컷팅된 적층필름의 슬립성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샘플은 120 X 250mm와 75 X 100mm 두 개의 사이즈로 준비하였으며, 사이즈가 큰 샘플을 고정시킨 후, 작은 사이즈의 샘플을 그 위에 올린 뒤 200g의 SLED를 가볍게 올려놓고 마찰계수를 측정하였다. 이때, 두 샘플의 제1 스킨층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1 스킨층과 제2 스킨층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2 스킨층이 서로 마주보도록 두 샘플을 각각 배치하여, 제1 스킨층 간, 제1 스킨층과 제2 스킨층 간, 제2 스킨층간의 마찰계수를 각각 측정하였다. 그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마찰계수 제1 스킨층/
제1 스킨층
정마찰 0.350
동마찰 0.363
제1 스킨층/
제2 스킨층
정마찰 0.850
동마찰 0.763
제2 스킨층/
제2 스킨층
정마찰 0.525
동마찰 0.600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적층필름에서, 제1 스킨층 간, 제1 스킨층과 제2 스킨층 간, 제2 스킨층간의 마찰계수 측정치가 0.2~1.0 범위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제2 스킨층간의 마찰계수 측정치는 0.25~0.5 범위의 값을 나타낸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필름은 슬립성이 우수하므로 박리성 및 인쇄적성을 개선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0 : 제1 스킨층 20 : 중간층
30 : 제2 스킨층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존재하는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필름으로서,
    상기 제2 스킨층은 프로필렌, 에틸렌 및 부텐의 삼원중합체 30~80중량%, 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공중합체 1~50중량%, 및 폴리부텐 1~1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은 폴리프로필렌 60~99중량%, 대전방지제 0.5~20중량%, 및 방담제 0.5~2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킨층, 중간층 및 제2 스킨층 각각은 적층필름 전체의 두께에 대하여 각각 3~30%, 40~87% 및 10~30% 범위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킨층은 블로킹방지제 0.5~5중량% 및 슬립제 0.5~5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방지제는 실리카(Silica), 실리콘(Silicon) 탈크(Talc), 제올라이트(Zeolite), 멜라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또는 탄산칼슘(CaCO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킨층은 방담제 1~20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킨층은 열접착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8. 삭제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은 폴리프로필렌 및 블로킹방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은 코로나 처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11. 삭제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필름은 2축 연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
  13. 제 3항, 제 4항, 제 5항, 제 6항, 제 7항, 제 9항, 제 10항 및 제 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적층필름을 이용하는 포장재.
  14. 수지를 공압출하여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존재하는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필름을 형성하되,
    상기 제2 스킨층은 프로필렌, 에틸렌 및 부텐의 삼원중합체 30~80중량%, 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공중합체 1~50중량%, 및 폴리부텐 1~1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은 폴리프로필렌 60~99중량%, 대전방지제 0.5~20중량%, 및 방담제 0.5~2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킨층, 중간층 및 제2 스킨층 각각은 적층필름 전체의 두께에 대하여 각각 3~30%, 40~87% 및 10~30% 범위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의 제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 및 상기 제1 스킨층의 압출 온도는 230~270℃ 이고, 상기 제2 스킨층의 압출 온도는 250~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의 제조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필름은 2축 연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필름의 제조방법.
KR1020090048699A 2009-06-02 2009-06-02 적층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115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699A KR101115667B1 (ko) 2009-06-02 2009-06-02 적층필름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699A KR101115667B1 (ko) 2009-06-02 2009-06-02 적층필름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045A KR20100130045A (ko) 2010-12-10
KR101115667B1 true KR101115667B1 (ko) 2012-03-14

Family

ID=43506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699A KR101115667B1 (ko) 2009-06-02 2009-06-02 적층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6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227B1 (ko) * 2011-07-15 2013-03-11 율촌화학 주식회사 폴리올레핀계 연신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폴리올레핀계 연신 필름
KR20140142026A (ko) 2013-06-03 2014-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합착용 하부 필름, 기판 밀봉체 및 이들을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893118B1 (ko) * 2016-03-04 2018-08-30 (주)케이테크 식품포장용 필름
JP6939134B2 (ja) * 2017-06-22 2021-09-22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ケース組み立て用ハードコートシート及び包装ケース
KR102209243B1 (ko) * 2019-02-28 2021-01-29 주식회사 에스피씨팩 경량화된 식빵 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59983B1 (ko) * 2022-04-19 2023-07-28 삼영화학공업주식회사 우수한 점착력을 가진 다층구조의 폴리올레핀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0480B1 (ko) * 1998-10-30 2000-12-01 최좌진 열접착성을 부여한 무연신 무광택 적층필름
KR200220128Y1 (ko) * 2000-11-20 2001-04-16 주식회사서통 제빵포장용 적층필름
KR100384616B1 (ko) * 1995-03-29 2003-09-13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폴리올레핀계적층필름
KR20090040068A (ko) * 2007-10-19 2009-04-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면 보호 필름, 그 제조 방법,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이용한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616B1 (ko) * 1995-03-29 2003-09-13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폴리올레핀계적층필름
KR100270480B1 (ko) * 1998-10-30 2000-12-01 최좌진 열접착성을 부여한 무연신 무광택 적층필름
KR200220128Y1 (ko) * 2000-11-20 2001-04-16 주식회사서통 제빵포장용 적층필름
KR20090040068A (ko) * 2007-10-19 2009-04-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면 보호 필름, 그 제조 방법,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이용한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045A (ko) 201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667B1 (ko) 적층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702149B1 (ko) 다층 적층 개봉 용이 포장체
US20090317650A1 (en) Cross-laminated elastic film
CN112672882A (zh) 具有改进的刚度的可回收的pe包装膜
CN114423610A (zh) 包装体
DK2683772T3 (en) Antifogging sealing composition for heat-sealable films and packaging made therefrom that can be easily opened
US11628654B2 (en) Recyclable film
JP2019019197A (ja) ポリプロピレン系一軸延伸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積層体
JP6150687B2 (ja) 多層シーラントフィルム
US20230415465A1 (en) Polyolefin resin film and multilayer body using same
CN114007844B (zh) 聚烯烃系树脂薄膜和使用其的层叠体
US11427390B2 (en) Fruit and vegetable anti-fog packaging bag
KR101060262B1 (ko) 제품포장용 다층 올레핀계 열수축필름
CN115362198B (zh) 聚烯烃系树脂薄膜和使用其的层叠体
JP2007238155A (ja) 含気ボイル用包装体
JP5429852B2 (ja) 包装体
KR20130127296A (ko) 박리성을 갖는 접합 구조의 형성 방법
KR20160069545A (ko)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약포지
US6528134B1 (en) Non-wax packaging film
JP2984611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複合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溶断製プラスチック袋
KR101960769B1 (ko) 방습 및 방담성 공압출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CN115996845A (zh) 耐热的可回收利用的蒸煮包装
JP2995869B2 (ja) 横方向易引裂性積層フィルム
JP4798430B2 (ja) 共押出多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紙ラミネートフィルム
JP2005305859A (ja) 共押出多層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