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0026A -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0026A
KR20090040026A KR1020070105584A KR20070105584A KR20090040026A KR 20090040026 A KR20090040026 A KR 20090040026A KR 1020070105584 A KR1020070105584 A KR 1020070105584A KR 20070105584 A KR20070105584 A KR 20070105584A KR 20090040026 A KR20090040026 A KR 20090040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sr
kimchi
kfcc
lactic acid
mesentero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1547B1 (ko
Inventor
류병희
이진혁
김영신
이동관
윤석천
Original Assignee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5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547B1/ko
Publication of KR20090040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23V2200/3204Probiotics, living bacteria to be ingested for action in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31Leuconostoc
    • A23V2400/321Mesentero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유산균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저해하고 내산성, 내염성, 내답즙성및 항생제 내성이 우수한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DSR 910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DSR 910 또는 이의 배양물은 정장용, 생균제, 사료용, 식품첨가용,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및 발효식품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내산성, 내염성, 내답즙성, 항균제

Description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및 이의 용도{Novel Leuconostoc mesenteroide from kimchi with inhibiting activities on pathogenic microorganism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유산균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저해하고 내산성, 내염성, 내답즙성 및 항생제 내성이 우수한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DSR 910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인돌, 스케톨, 페놀, 아민 및 암모니아 등의 유해물질은 생산하지 않으면서 인간에게 유익한 젖산을 생산하는 유산균은 동물의 장내에서 가장 많은 밀도로 존재하며, 특히 소화흡수가 일어나는 소장에서 우점균으로 자리 잡고 있다(Barnes, F. M. et.al., Amer. J. Clin. Nutr., 33, 2426-2433, 1980; Salanitro, J. P. et.al., Appl. Environ. Microbiol., 33, 79-84, 1977).
상기 유산균에는 대표적으로 카르노박테리움속(Carnobacterium), 엔테로코커스속(Enterococcus),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락토코커스속(Lactococcus), 류코노스톡속(Leuconostoc), 페디오코커스속(Pediococcus),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us), 테트라제노코커스속(Tetragenococcus), 바고코커스속(Vagococcus) 바이쎌라속(Weissella) 및 비피더스속(Bifidobacterium) 균주 등이 포함된다(Stiles, M. E. et.al., Int. J. Food Microbiol., 36, 1-29, 1997). 특히 류코노스톡속 메센트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 균주는 김치 제조과정에서 초기부터 생육을 시작하여 김치를 복합적이며 독특한 풍미를 지닌 상태로 발효시키는 역할을 하는 균주로 알려져 있지만 김치가 발효됨에 따라 pH가 4.0-3.0으로 떨어지면 산에 약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균주의 수는 급격히 감소하여 그 이용에 제한이 있었다. 따라서 내산성이 강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균주를 개발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병원성 세균에는 대표적으로 식중독을 일으키는 살모넬라 속균(Salmonella spp.), 스타필로코코스 에우리우스(Staphylococcus aureus), 장독성 대장균(enterotoxigenic E. coli), 바실러스 세레우스(B.cereus),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 및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가 있으며 특히 스타필로코코스 에우리우스(Staphylococcus aureus)는 식중독뿐만 아니라 피부의 화농·중이염·방광염 등 화농성 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병원성 세균에 의한 감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 지금까지는 주로 합성 또는 천연 항생제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합성 항생제의 사용은 내성 및 잔류 등의 문제로 사용량에 대한 규제가 엄격한데다 장내 유익한 균총 또한 파괴하기 때문에 정상 균총에 의한 병원성 세균 감염에 대한 예방 효과를 잃게 한다. 또한 천연 항생제로 알칼로이드(alkaloid), 후라보노이드(flavonoid), 피토알렉신(Phytoalexin), 항균 펩타이드, 유기산 및 지방산이 알려져 있지만 대부분은 색취, 안정성 저하, 좁은 항균 스펙트럼 및 제형상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상기 병원성 세균에 대한 천연 항균제로 유산균이 크게 각광받을 수 있으나 실질적인 항균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이 요구되는데, 구체적으로 섭취 후 장내의 소화기관들에서 분비되는 여러 물질들을 견뎌낼 수 있는 내산성 및 내담즙성 등을 나타내어 장내 생존력이 우수해야 하며, 낮은 pH, 영양소 소비, 전위차 감소, 과산화수소 생산 및 항균물질 생산(예, 박테리오신) 등에 의한 병원성 세균 억제능이 우수해야 한다. 특히, 유산균을 이용한 항균제는 병원성 세균들의 생육을 저해함과 동시에 여러 가지 문제를 나타내는 항생제 사용량을 낮추며, 인체에 안전하기 때문에 식품 제조 과정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있으며 내산성, 내염성, 내담즙성 및 항생제 내성이 우수한 새로운 천연 항균제인 유산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김치는 우리나라 전통 고유의 발효식품으로서 한국인의 장 건강에 기여하는 대표적인 유산균 공급원이다. 최근 들어 김치는 배추와 무 등 김치 재료와 김치발효에 참여하는 여러 유산균의 기능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항 돌연변이와 항암 효과 등 여러 유용한 기능들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199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상품화되어 국내 수요량과 수출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김치의 맛을 내기 위한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로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 brevis), 락토코커스(Lactococcus), 류코노스톡(Leuconostoc),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등이 있으며 발효단계에 따라 전체 균총을 형성하는 균의 종류와 구성비율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김치에서 유래되는 유산균을 분리한 후, 김치제조시 스타터(starter)로 첨가함으로써 김치의 맛과 발효를 조절하려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89-4894호에 차아염소산나트륨과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균주를 첨가하여 산패가 억제되고 보존성이 연장된 김치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 바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181009호에 류코노스톡 파라메센테로이드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균주를 혼합 첨가함으로써 맛이 좋을 뿐만 아니라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의 생육을 억제하여 산패가 지연되도록 한 김치의 제조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는 내산성이 약하기 때문에 김치의 발효가 점차 진행되면서 균주의 수가 감소되어 김치의 신선한 맛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김치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건강을 위한 기능성을 부가할 수 있는 새로운 유산균 스타터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는 신규한 유산균을 한국인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인 김치에서 찾고자 연구를 거듭하던 중, 병원성 세균을 억제하고 내산성, 내염성, 내담즙성 및 항생제 내성이 우수한 신규 김치 유산균을 분리 및 동정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고 내산성, 내염성, 내담즙성 및 항생제 내성이 우수한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DSR 910 및 이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고 항생제 내성이 우수하며 pH 2.5 ~ 5에서 내산성, NaCl 2 ~ 15 %에서 내염성 및 옥스갈(oxgall) 0.3 ~ 3 %에서 내담즙성을 갖는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또는 이의 배양물을 함유하는 정장용, 생균제, 사료용, 항균용, 식품첨가용 및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또는 이의 배양물을 함유하는 발효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또는 이의 배양물을 스타터로 이용하여 발효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는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고 내산성, 내염성, 내담즙성 및 항생제 내성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특히, 김치에서 분리한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DSR 910은 병원성 세균인 스타필로코코스 에우리우스(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coli), 바실러스 세레우스(B.cereus), 살모넬라 타이피뮤림(Salmonella typimurium), 살모넬라 콜레라수이스(Salmonella choleraesuis),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 및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활성이 있으며, pH 2.5 ~ 5에서 내산성, NaCl 2 ~ 15 %에서 내염성 및 옥스갈(oxgall) 0.3 ~ 3 % 내담즙성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실시예 1-2 내지 1-7 참조).
특히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는 pH 2.5에서 90 %이상 생존하여 강한 내산성을 가지고 NaCl 15 %에서 97 % 이상 생존하여 강한 내염성을 가지며 옥스갈(oxgall) 3 %에서 95 % 이상의 생존율을 보여 강한 내담즙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는 내산성, 내염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상기 균주를 경구 섭취하면 생체 내의 가혹한 환경, 즉 pH가 3 이하로 내려가는 산성 환경과 위장 및 소장에서 분비되는 소화효소 및 담즙산에 의해서도 생육이 우수해 장으로 도달할 수 있는 확률이 증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는 항생제 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항생제의 존재하에서도 생육이 가능해 생체 내에서 유익한 기능을 할 수 있다(실시예 1-6 참조).
또한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는 항균력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발명의 유산균은 병원성 세균인 스타필로코코스 에우리우스(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coli), 바실러스 세레우스(B.cereus), 살모넬라 타이피뮤림(Salmonella typimurium), 살모넬라 콜레라수이스(Salmonella choleraesuis),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 및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에 항균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실시예 1-7 참조).
상기와 같은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고 내산성, 내염성, 내담즙성 및 항생제 내성이 우수한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는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균주는 본 발명에서 처음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산균은 인간 및 동물의 건강증진을 위한 용도, 즉 정장용, 생균제, 항균용, 사료용, 식품 첨가용 또는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의 파쇄된 세포벽 분획, 생균, 사균, 건조균 또는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부형제 또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양물은 액체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 자체, 상기 배양액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균주를 제거한 여액(원심분리한 상등액)등을 포함한다. 조성물 내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의 함량은 조성물의 용도 및 제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병원성 세균의 감염증의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조 성물을 말하며 상기 병원성 세균은 스타필로코코스 에우리우스(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coli), 바실러스 세레우스(B.cereus), 살모넬라 타이피뮤림(Salmonella typimurium), 살모넬라 콜레라수이스(Salmonella choleraesuis),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 및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을 말하며 상기 감염증은 상기 병원성 세균의 감염으로 인한 모든 질병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구체적으로 식중독, 피부의 화농·중이염·방광염 등 화농성 질환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장용, 생균제, 항균용 또는 약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제형과 방법으로 제조 및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또는 이의 배양물을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담체 및 향료와 혼합하여 정제(tablet), 트로키(troche), 캡슐(capsule), 엘릭실(elixir), 시럽(syrup), 산제(powder), 현탁제(suspension) 또는 과립제(granule) 등의 형태로 제조 및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투여방식은 경구, 비경구 또는 도포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여용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및 배설속도, 피투여자의 연령, 성별, 상태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료용 조성물은 발효사료, 배합사료, 펠렛형태 및 사일레지(silage)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발효사료는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와 여러 가지 미생물 균 또는 효소들을 첨가함으로써 유기물을 발효시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배합 사료는 여러 종류의 일반사료와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펠렛 형태의 사료는 상기 발효사료 또는 배합사료를 펠렛기로 제형화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사일레지는 청예사료를 본 발명에 따른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로 발효시킴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또는 이의 배양물은 김치, 음료, 이유식, 유제품 등의 식품에 대한 식품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는 발효식품의 제조를 위한 스타터(starter)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효식품은 치즈, 김치, 발효생식제품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를 이용한 발효식품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현미와 율무 등의 곡류 분말에 본 발명에 따른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또는 이를 포함하는 2 ~ 3종의 혼합 유산균을 처리하여 적정 온도에서 발효시킨 후, 백태, 찹쌀, 수수 등의 다양한 농산물을 영양적인 균형과 기호성이 우수하도록 적절히 배합하여 발효 생식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는 김치를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금으로 절인 배추에 고춧가루, 마늘, 생강, 대파, 무채, 설탕과 같은 일반적인 김치 양념들을 혼합한 후,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의 배양물을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의 배양물 은 김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 5 중량% 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중량% 로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는 통상적인 류코노스톡 속 미생물의 배양방법에 의해 대량으로 배양할 수 있다. 배양배지로는 탄소원, 질소원, 비타민 및 미네랄로 구성된 배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MRS(Man-Rogosa-Sharp)배지 또는 배추즙 배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추즙 배지는 절임배추를 분쇄하고 착즙한 후, 멸균하여 사용할 수 있다. 미생물의 배양은 통상의 류코노스톡 미생물의 배양 조건상에서 가능하며, 예컨대 25 ℃ 내지 37 ℃에서 18 시간 내지 48 시간 정도 배양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에서 24시간 정도 배양할 수 있다. 배양액 중의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농축된 균체만을 회수하기 위해 원심분리 또는 여과 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 이러한 단계는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농축된 균체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냉동(frozen)하거나 또는 냉동건조(lyophilized)하여 그 활성을 잃지 않도록 보존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규한 김치 유산균인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DSR 910은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활성이 있고 내산성, 내염성, 내담즙성 및 항생제 내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산균은 정장용, 생균제, 항균용, 사료용, 식품첨가용, 약학적 조성물 및 발효식품의 제조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DSR 910을 김치 발효를 위한 스타터로 사용하여 제조하는 경우, 좋은 김치 맛을 오래 유지할 수 있고 김치에 기능성을 부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병원성 세균으로 인한 감염증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균주의 분리
<1-1> 김치로부터 유산균의 분리
통상적인 김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김치 20 종을 선택하고, 상기 김치를 유산균 분리 김치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김치시료를 0.85 % 식염수로 10 배 희석하였고, 0.1 ㎖씩 MRS 아가 배지(MRS 아가, 디프코(Difco.); 박토 펩톤 10 g, 소고기추출물 10 g, 효모추출물 5 g, 글루코스 20 g, 트윈 801 g, 구연산 2 g, 제2 인산칼륨 2 g, 초산나트륨 5 g, 황산망간 0.1 g, 황산마그네슘 0.05 g, 아가 15 g/증류수 1 ℓ)플레이트에 접종한 후, 유리막대로 도말하였다. 이후, 플레이트를 25℃의 항온 배양기에서 2일 동안 배양하였다. 생성된 각각의 콜로니를 MRS 아가 플레이트에 획선 접종하였고, 25 ℃에서 2일 동안 배양하여 총 200개의 유산균 콜로니를 분리하였다.
<1-2> 병원성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유산균의 분리
상기 실시예 <1-1>에서 분리된 200개의 유산균들 중에서 병원성세균의 생육을 저해하는 유산균을 선발하기 위하여, 먼저 병원성세균 4종 스타필로코코스 에우리우스(Staphylococcus aureus KCCM 12214), 대장균 KCCM 11234(E.coli KCCM 11234), 바실러스 세레우스 KCCM 11774(B.cereus KCCM 11774) 및 살모넬라 타이피뮤림 KCCM 40253(Salmonella typimurium KCCM 40253)을 뉴트리언트 배지(박토 펩톤 5.0 g, 소고기추출물 1.0 g, 효모추출물 2.0 g, 염화나트륨 5.0 g, 아가 15 g/증류수 1ℓ)에 접종하여 37 ℃, 24 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균체들을 배지로부터 긁어모아 인산완충액(PBS, pH 7.4)으로 2회 세척하고 20 % 글리세롤(glycerol)에 현탁시켜 -20 ℃에 보관하였고, 상기 실시예 <1-1>에서 분리한 200개의 유산균 콜로니들은 MRS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37 ℃에서 24 시간 배양한 후, 원심 분리하여 균체에 10% skim milk 에 현탁하여 -20 ℃에 보관하였다.
이후, 뉴트리언트 한천배지(Nutrient agar)에 병원성세균을 1 % 접종하여 20분간 건조한 후, 여기에 디스크 페이퍼를 올려놓고 상기 200개의 각 유산균 배양 상등액 50 ㎕를 적하시키고 37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억제 환을 형성하는 유산균 중 가장 우수한 균주를 1차 선발하였다. 이후, 상기 1차 선발된 균주들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다시 2차 선발하여 최종적으로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가장 우수하게 억제하는 DSR 910을 선발하였다(도 2 참조).
<1-3> 내산성 테스트
상기 실시예 <1-2>에서 분리된 병원성세균의 생육을 가장 우수하게 억제하는 DSR 910 유산균을 염산을 이용하여 pH 2.5, 3.0, 3.5, 4.0, 4.5, 5로 조정한 MRS 브로스(MRS 브로스, Difco.; 박토 펩톤 10 g, 소고기추출물 10 g, 효모추출물 5 g, 글루코스 20 g, 트윈 801 g, 구연산 2 g, 제2인산칼륨 2 g, 초산나트륨 5 g, 황산망간 0.1 g, 황산마그네슘 0.05 g/증류수 1ℓ) 10 ㎖에 각각 접종하였다. 이후, 37 ℃에서 2 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생균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상기 선별된 균주는 pH 2.5 ~ 5에서 생육이 활발하고, 특히 pH 2.5에서도 90 % 이상 생존하며, pH 3에서 약 95 %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어 내산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3 참조).
<1-4> 내염성 테스트
상기 실시예 <1-2>에서 분리된 DSR 910 유산균을 염화나트륨(NaCl)로 2, 5, 8, 10 및 15 %로 조정한 MRS 브로스 10 ㎖에 각각 접종하였다. 이후, 37 ℃에서 2시간 배양하면서 상기 염농도에서 균주의 생육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상기 선별된 균주는 염화나트륨 2~15 %에서 생육이 활발하며, 특히 염화나트륨 15 %에서도 97 %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도 4 참조).
<1-5> 내담즙성 테스트
상기 실시예 <1-2>에서 분리된 DSR 910 유산균을 옥스갈(oxgall)로 0.3, 0.5, 1 및 3 %로 조정한 MRS 브로스 10 ㎖에 각각 접종하였다. 이후, 37 ℃에서 2 시간 배양하면서 상기 인공 담즙 농도에서의 균주의 생육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상기 선별된 균주는 옥스갈(oxgall) 0.3 ~ 3.0 %에서 생육이 활발하며, 특히 옥스갈(oxgall) 3 %에서도 95 %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도 5 참조).
<1-6> 항생제 내성 테스트
상기 실시예 <1-2>에서 분리된 DSR 910 유산균을 MRS 고체배지에 접종하고, 항생제가 포함된 필터(직경 6 mm)를 올려놓고 24시간 배양하여 항생제에 의한 형성된 억제 환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억제 환의 크기가 작을수록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의 항생제 내성 측정 결과
항생제의 종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DSR 910(mm)
테트라사이클린(30㎕) 22
에리트로마이신(15㎕) 14
앰피실린(10㎕) 25
페니실린(10IU/IE/UI) 27
세파로신(30㎕) 21
겐타마이신(10㎕) 12
상기 표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DSR 910 균주는 항생제 내성이 우수하여 항생제와 함께 정장용, 생균제, 사료용, 식품첨가용,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및 발효식품에 사용하더라도 그 활성이 유지되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7> 항균력 테스트
상기 실시예 <1-2>에서 분리된 DSR 910 유산균을 항균력 테스트를 위해 MRS 브로스에 3 차 계대 배양하고, 뉴트리언트 한천배지(Nutrient agar)에 병원성세균 스타필로코코스 에우리우스(Staphylococcus aureus KCCM 12214), 대장균(E.coli KCCM 11234), 바실러스 세레우스(B.cereus KCCM 11774) 및 살모넬라 타이피뮤림(Salmonella typimurium KCCM 40253), 살모넬라 콜레라수이스(Salmonella choleraesuis KCCM40763),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KCCM11204),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 KCCM 41657), 스타필로코코스 에우리우스(Staplyococcus aureus KCCM 11335),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 KCCM4307)의 1 %를 접종하여 20 분간 건조한 후, 여기에 디스크 페이퍼를 올려놓고 상기 DSR-910 유산균의 배양 상등액 50 ㎕를 적하시켜 37 ℃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여 억제 환의 크기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의 항균력 테스트 결과
병원성 세균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DSR 910(mm)
살모넬라 콜레라수이스 13
바실러스 세레우스(KCCM11204) 18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33
스타필로코코스 에우리우스(KCCM11335) 14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 23
스타필로코코스 에우리우스(KCCM12214) 10
대장균 10
살모넬라 타이피뮤림 14
바실러스 세레우스(KCCM11774) 13
상기 표 2에 기재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DSR 910 균주는 상기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하며 특히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및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 등의 병원성 세균에 대해서는 억제 환의 크기가 20 mm을 넘어 우수한 항균력을 가지고 있어, 상기 병원성세균에 대한 항균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8> 선별된 유산균의 동정
a. 버지스의 분류 세균학 매뉴얼에 따른 분석
상기 실시예 <1-2>에서 선별된 유산균을 단일 콜로니로 분리한 후, 버지스의 분류 세균학 매뉴얼(Berg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에 준하여 형태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그람 염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상기 분리된 균주는 그람 양성 균주이며 간균의 형태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3 및 도 6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의 형태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
특성 DSR 910
그람(Gram) +
콜로니 형태(Colony form) 막대형(rod)
콜로니 색깔(Colony color) 노란색(yellow)
운동성(Motility) -
카탈라제(Catalase) -
발효형태 헤테로(Hetero)
포자(Spore) -
15 ℃에서 생육 +
NaCl 4 %에서 생육 +
b. API 시스템을 이용한 분석
이후, 상기 균주는 API 시스템(API system; La Balme-les-Grottes, France)으로 동정하였다. 우선, 멸균 백금이로 균 콜로니를 각각 취한 후 멸균 증류수 2 ㎖에 부유시켰다. 다시 상기 균액을 멸균 증류수 5 ㎖에 API 50CH 키트(BioMerieux, France)에서 제공되는 맥팔란드 표준 용액 No.2(MccFaland Standard Solution No.2)의 농도로 균액을 부유시켰다. 상기 부유액을 API 50CH 키트의 액체배지에 첨가하여 균질화시킨 후, API 50CH 키트의 50개 각 튜브에 200 ㎕씩 접종하였다. 미네랄 오일로 튜브 위를 엎어준 후, 30 ℃에서 48 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상기 배양액을 API 시스템으로 분석하여 49종의 탄수화물 발효패턴을 확인한 후, 이 결과를 ATB 동정 컴퓨터 시스템에 입력하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상기 실시예 <1-2>에서 선별된 DSR 910 유산균은 하기 표 4의 탄수화물 발효패턴을 갖고 있는 류코노스톡 속에 속하는 균주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의 탄수화물 발효패턴 분석 결과
대조군 - D-만노즈 + 살리신 + 겐티오비오즈 +
글리세롤 - L-솔보즈 - 셀로비즈 + D-튜라노즈 +
에리쓰리톨 - 람노즈 - 말토즈 + D-리조즈 -
D-아라비노즈 - 둘시톨 - 락토즈 - D-타가토즈 -
L-아라비노즈 + 이노시톨 - 멜리비오즈 + D-퓨코즈 -
리보오즈 + 만니톨 - 사카로즈 + L-퓨코즈 -
D-자일로즈 + 솔비톨 - 트레할로즈 + D-아라비톨 -
L-자일로즈 - D-만노시드 - 이눌린 - L-아라비톨 -
아도니톨 - D-글루코시드 + 멜레지토즈 - 글루코네이트 +
자일로시드 - 글루코사민 + D-라피노즈 - 2-세토-글루코네이트 -
갈락토즈 - 아미그달린 + 아미돈 - 5-세토-글루코네이트 +
D-글루코즈 + 알부틴 + 글리코겐 -
D-프록토즈 + 에스큘린 + 자일리톨 -
c. 16S rDNA 염기서열 분석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상기 선별된 유산균들의 16S r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기 DSR 910번 유산균의 16S rDNA 염기서열(서열번호 1)은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의 16S rDNA 염기서열과 99 %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도 1 참조)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DSR 910번 유산균을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DSR 910"으로 명명하고 이를 한국미생물보존센터(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에 2007년 8월 10일자로 기탁하였다(KFCC-11394P)
<실시예 2>
본 발명의 유산균을 이용한 김치 제조
배추를 각각 소금으로 절여 배추의 염도가 2.3 %가 되도록 하였다. 절인 배추(82.5 중량%)에 고춧가루(2.5 중량%), 마늘(2 중량%), 생강(0.5 중량%), 대파(2 중량%), 무채(9 중량%), 설탕(0.5 중량%)의 김치 양념을 혼합하였다. 이후, 스타터로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DSR 910을 김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중량%(약 1×105 균주)로 각각 첨가하였다. 이때, 음성 대조군에는 스타터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았다. 이후, 제조된 각 김치를 10℃에서 10일간 숙성시켰다.
<실험예 1>
제조된 김치의 산도 및 유산균 수 측정
<1-1> 산도 측정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각 김치를 대상으로 산도를 측정하였다. 10 ℃에서 10일 동안 숙성시킨 각 김치 100 g을 마쇄한 후 거즈로 여과하여 김치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김치의 숙성된 상태를 비교하기 위하여 각 김치의 산도를 측정하였다. 산도는 NaCl 적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김치로부터 김치즙액을 제조한 후, 김치즙액 5 ㎖의 pH를 측정하였다. 이후, 0.1N NaOH를 적정하여 pH 8.2 가 되는 시점의 0.1N NaOH의 첨가량을 계산하여 하기의 수학식 1로 산도(%)를 구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기재하였다.
산도(%) = {0.00908×1N NaOH 인자 * ×1N NaOH 첨가량} / 시료 무게
* 1N NaOH 인자 = 1
본 발명의 유산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김치의 산도 측정 결과
스타터로 첨가된 유산균 산도(%)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DSR 910 0.72
스타터 무첨가(음성 대조군) 0.80
그 결과,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DSR 910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김치는 스타터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된 김치에 비해 산도가 비교적 낮아 상기 유산균은 김치의 발효 후반부에 산도를 서서히 증가시켜 적숙기를 연장함으로서 김치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2> 김치의 유산균 수 측정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각 김치의 유산균 수를 측정하였다. 10 ℃에서 10일 동안 숙성시킨 각 김치를 0.85 % 식염수로 10배 희석하고 MRS 아가 배지(MRS 아가, 디프코(Difco.); 박토 펩톤 10 g, 소고기 추출물 10 g, 효모 추출물 5 g, 글루코스 20 g, 트윈 80 1 g, 구연산 2 g, 제2 인산칼륨 2 g, 초산나트륨 5 g, 황산망간 0.1 g, 황산마그네슘 0.05 g, 아가 15 g/증류수 1 ℓ) 플레이트에 상기 김치 희석액 0.1 ㎖을 접종한 후, 유리막대로 도말하였다. 상기 김치 희석액이 도말된 각 아가 플레이트를 27 ℃의 항온배양기에서 12 일 동안 배양한 후 생성된 집락의 수를 각각의 균수로 계수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기재하였다.
본 발명의 유산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김치의 유산균 수 측정 결과
스타터로 첨가된 유산균(log cfu/ml) 총유산균 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DSR 910 8.53
스타터 무첨가(음성 대조군) 8.11
그 결과, 상기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산균을 첨가하여 제조된 김치에서 스타터를 첨가하지 않고 제조된 김치에 비해 총 유산균 수가 현저하게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제조된 김치의 관능 검사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각 김치의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10 ℃에서 6일 동안 숙성시킨 후, 4 ℃에서 보관한 지 2일째 되는 각 김치에 대하여 훈련된 검사요원 10명이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5점을 만점으로 기호도 척도법에 의해 실시하였으며, 유의성 검증은 t-테스트에 의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유산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김치의 관능 검사 결과
스타터로 첨가된 유산균 종합적인 맛 이미 외관 신맛 질감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DSR 910 4.2 1.0 3.8 4.0 4.1
스타터 무첨가(음성 대조군) 3.5 1.0 3.1 3.5 3.2
그 결과, 상기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산균을 첨가하여 제조된 김치가 스타터를 첨가하지 않고 제조된 김치에 비해 전반적으로 관능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유산균을 이용한 동치미의 제조
무 및 배추를 소금으로 절여 배추의 염도가 4.0 %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 절인 배추(6 %)와 무(38 %)에 마늘(3 중량%), 생강(0.2 중량%), 포도당(5 중량%)등으로 구성된 동치미 양념을 혼합하였다. 이후, 스타터로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DSR 910을 동치미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중량%(약 1×105 균주)로 각각 첨가한 후 25 ℃에서 5일간 발효시켜 동치미를 제조하였다. 이때 스타터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를 음성대조군으로 하였다.
<실험예 3>
제조된 동치미의 산도 및 유산균 수 측정
<3-1> 산도 측정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동치미 국물을 거즈로 여과하여 동치미액을 제조한 후, 동치미액 5 ㎖의 pH를 측정하고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산도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기재하였다.
본 발명의 유산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동치미의 산도 측정 결과
스타터로 첨가된 유산균 산도(%)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DSR 910 0.65
스타터 무첨가(음성 대조군) 0.43
그 결과, 상기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산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동치미의 산도는 스타터를 이용하지 않고 제조된 동치미에 비해 산도가 빠르게 증가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산균은 동치미의 발효를 빠르게 유도하여 적정 산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3-2> 동치미의 유산균 수 측정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각 동치미를 0.85 % 식염수로 10배 희석하여 실험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총 유산균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9에 기재하였다.
본 발명의 유산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동치미의 유산균 수 측정 결과
스타터로 첨가된 유산균(log cfu/ml) 총유산균 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DSR 910 9.17
스타터 무첨가(음성 대조군) 7.85
그 결과, 상기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산균을 첨가하여 제조된 동치미에서 스타터를 첨가하지 않고 제조된 동치미에 비해 총 유산균 수가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3> 제조된 동치미의 항균력 테스트
병원성 세균인 살모넬라 콜레라(Salmonella choleraesuis KCCM40763),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 KCCM 41657),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 KCCM4307), 스타필로코코스 에우리우스(Staphylococcus aureus KCCM 12214), 대장균(E.coli KCCM 11234), 살모넬라 타이피뮤림(Salmonella typimurium KCCM 40253), 바실러스 세레우스(B.cereus KCCM 11774)를 뉴트리언트 배지(박토 펩톤 5.0 g, 소고기추출물 1.0 g, 효모추출물 2.0 g, 염화나트륨 5.0 g, 아가 15 g/증류수 1 ℓ)에 접종하여 37 ℃, 24시간 배양한 후, 뉴트리언트 한천배지(Nutrient agar)에 접종하여 20분간 건조한 후, 여기에 디스크 페이퍼를 올려놓고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동치미액을 50 ㎕를 적하시키고 37 ℃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여 억제 환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0에 기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동치미의 항균력 테스트 결과
병원성 세균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DSR 910을 이용하여 제조된 동치미(mm)
살모넬라 콜레라수이스 12
바실러스 세레우스(KCCM11204) 18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32
스타필로코코스 에우리우스(KCCM11335) 17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 26
스타필로코코스 에우리우스(KCCM12214) 13
대장균 12
살모넬라 타이피뮤림 15
바실러스 세레우스(KCCM11774) 16
상기 표 10에 기재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DSR 910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동치미는 상기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하며 특히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및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등의 병원성 세균에 대해서는 억제 환의 크기가 20 mm을 넘어 우수한 항균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1>
본 발명의 유산균을 이용한 사료용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DSR 910 유산균을 2.0 % 글루코스, 1.0 % 펩톤, 1.0 % 효모추출물, 0.2 % 제이인산, 0.05 % 황산마그네슘 및 0.05 % 시스테인이 함유된 배지에 접종하여 37 ℃에서 2일 동안 호기적으로 배양하였다. 각 균주의 배양액과 부형제 탈지강을 1:1의 중량비로 단순 혼합한 후 40 ℃ 이하에서 건조시켰으며, 건조된 혼합물을 분쇄하여 사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사료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유산균이 1×109 cfu/g 이상으로 포함되도록 하였다.
<제조예 2>
본 발명의 유산균을 이용한 생균제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DSR 910 유산균을 2.0 % 글루코스, 1.0 % 펩톤, 1.0 % 효모추출물, 0.2 % 제이인산, 0.05 % 황산마그네슘 및 0.05 % 시스테인이 함유된 배지에 접종하여 37 ℃에서 2 일 동안 호기적으로 배양하였다. 탈지강, 대두박, 옥분 및 당밀이 각각 3:1:1: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들어 있는 고체 배양기에 상기 각 균주의 배양액을 10 중량%로 접종한 후, 여기에 물을 45 내지 60 중량%로 첨가하였다. 이를 40 ℃에서 3 일 동안 교반시키면서 혐기적으로 고체발효를 수행하여 생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때 제조된 생균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유산균이 1×109 cfu/g 이상으로 포함되도록 하였다.
<제조예 3>
본 발명의 유산균을 이용한 식품첨가용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DSR 910 유산균을 각각 2.0 % 글루코스, 1.0 % 펩톤, 1.0 % 효모추출물, 0.2 % 제이인산 및 0.05 % 황산마그네슘, 0.05 % 시스테인 등이 함유된 배지에 접종하여 37 ℃에서 2 일간 호기적으로 배양하였다. 분유 또는 탈지유(skim milk) 및 전분 또는 유당을 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에 상기 배양액을 60 중량%로 첨가한 후, 이를 -70℃ 이하에서 급속 냉동시킨 후, -60 ℃에서 36 시간 동안 동결 건조시켜 식품첨가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동결건조시 수분 증발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열판의 온도는 30 ℃로 하였으며, 이때 제조된 식품첨가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유산균이 1×109 cfu/g 이상으로 포함되도록 하였다.
<제조예 4>
본 발명의 유산균을 이용한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 2 및 3에서 얻어진 생균 조성물 분말을 각각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정제, 환제 및 캡슐제로 성형하여 약학조성물로 제조하였으며, 이때 제조된 조성물은 본 발명의 유산균이 1×109 cfu/g 이상으로 포함되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산균의 16S rDNA 염기서열을 유전자 은행상의 염기서열과 비교한 덴드로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산균과 김치에서 분리한 다른 유산균들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력을 테스트한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 DSR 910 유산균의 내산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 DSR 910 유산균의 내염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 DSR 910 유산균의 내담즙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 DSR 910 유산균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110> DAESANG FNF CORPORATION <120> Novel Leuconostoc mesenteroide from kimchi with inhibiting activities on pathogenic microorganism and use thereof <130> NP07-0126 <160> 1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846 <212> DNA <213> Leuconostoc mesenteroides <400> 1 ggacgagcgg ggctatatgc agtcgaagcc agcgaaggtg cttgcacctt tcagtgagtg 60 gcgaacgggt gagtaacacg tggacaacct gcctcaaggc tggggataac atttggaaac 120 agatgctaat accgaataaa acttagtgtc gcatgacaca aagttaaaag gcgcttcggc 180 gtcacctaga gatggatccg cggtgcatta gttagttggt ggggtaaagg cctaccaaga 240 caatgatgca tagccgagtt gagagactga tcggccacat tgggactgag acacggccca 300 aactcctacg ggaggctgca gctaggaatc ttcaacaatg ggcgaaagcc tgatggagca 360 acgccgcgtg tgtgatgaag gctttcgggt cgtaaagcac tgttgtatgg gaagaacagc 420 tagaatagga aatgatttta gtttgacggt accataccag aaagggacgg ctaaatacgt 480 gccagcagcc gcggtaatac gtatgtcccg agcgttatcc ggatttattg ggcgtaaagc 540 gagcgcagac ggtttattaa gtctgatgtg aaagcccgga gctcaactcc ggaatggcat 600 tggaaactgg ttaacttgag tgcagtagag gtaagtggaa ctccatgtgt agcggtggaa 660 tgcgtagata tatggaagaa caccagtggc gaaggcggct tactggactg caactgacgt 720 tgaggctcga aagtgtgggt agcaaacagg attagatacc ctggtagtcc acaccgtana 780 cgatgaacac taggtgttag gaggtttccg cctcttagtg ccgaacctaa cgcattaagt 840 gttccg 846

Claims (10)

  1.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고 pH 2.5~5에서 내산성, NaCl 2~15 %에서 내염성, 옥스갈(Oxgall) 0.3~3 %에서 내답즙성 및 항생제 내성을 갖는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 DSR 910( KFCC-11394P).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성 세균은 스타필로코코스 에우리우스(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coli), 바실러스 세레우스(B.cereus), 살모넬라 타이피뮤림(Salmonella typimurium), 살모넬라 콜레라수이스(Salmonella choleraesuis),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 및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 DSR 910(KFCC-11394P).
  3. 제1항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 DSR 910(KFCC-11394P)또는 이의 배양물을 함유하는 정장용 조성물.
  4. 제1항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 DSR 910(KFCC-11394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함유하는 생균제 조성물.
  5. 제1항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 DSR 910(KFCC-11394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함유하는 사료용 조성물.
  6. 제1항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 DSR 910(KFCC-11394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함유하는 식품첨가용 조성물.
  7. 제1항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 DSR 910(KFCC-11394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함유하여 스타필로코코스 에우리우스(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coli), 바실러스 세레우스(B.cereus), 살모넬라 타이피뮤림(Salmonella typimurium), 살모넬라 콜레라수이스(Salmonella choleraesuis),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 및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
  8. 제1항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 DSR 910(KFCC-11394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함유하여 스타필로코코스 에우리우스(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coli), 바실러스 세레우스(B.cereus), 살모넬라 타이피뮤림(Salmonella typimurium), 살모넬라 콜레라수이스(Salmonella choleraesuis),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 및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병원성 세균의 감염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9. 제1항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 DSR 910(KFCC-11394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함유하는 발효식품.
  10. 제1항의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 DSR 910(KFCC-11394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스타터(starter)로 이용하여 발효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070105584A 2007-10-19 2007-10-19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381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584A KR101381547B1 (ko) 2007-10-19 2007-10-19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584A KR101381547B1 (ko) 2007-10-19 2007-10-19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026A true KR20090040026A (ko) 2009-04-23
KR101381547B1 KR101381547B1 (ko) 2014-04-17

Family

ID=40763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584A KR101381547B1 (ko) 2007-10-19 2007-10-19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54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727B1 (ko) * 2010-12-29 2013-04-19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신규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329644B1 (ko) * 2011-10-31 2013-11-14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유산균 스타터를 이용한 야채 절임의 제조방법
KR20150091789A (ko) * 2014-02-04 2015-08-12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바이오제닉 아민 분해 활성이 있는 루코노스톡 속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60051917A (ko) 2014-10-23 2016-05-12 한국식품연구원 내염성 및 단백질 분해 활성을 갖는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60070393A (ko) * 2014-12-10 2016-06-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 및 항산화 효과를 갖는 아로니아 발효 주정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102234836B1 (ko) 2020-01-31 2021-04-01 우진 비앤지 주식회사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lbr_c1 균주 및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lba_c5 균주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의 정장용 조성물
CN113474447A (zh) * 2019-01-04 2021-10-01 莱托生物股份有限公司 菌株、组合物和使用方法
CN115581272A (zh) * 2022-08-26 2023-01-10 上海利康精准医疗技术有限公司 甜菊酚酸和益生菌在制备抑制幽门螺杆菌的产品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946B1 (ko) * 1994-09-09 1997-11-25 이은선 새로운 박테리오신 생산 유산균
EP1634357A2 (en) * 2003-06-02 2006-03-15 Magnetic Applications Inc. Controller for permanent magnet alternator
KR100508079B1 (ko) 2004-06-01 2005-08-18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코로나바이러스 및 유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신규한 내산성 프로바이오틱 미생물 루코노스톡 메센테로이즈 프로바이오-62
KR100707102B1 (ko) 2006-07-07 2007-04-16 주식회사 두산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및 유해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김치 유산균,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727B1 (ko) * 2010-12-29 2013-04-19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신규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329644B1 (ko) * 2011-10-31 2013-11-14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유산균 스타터를 이용한 야채 절임의 제조방법
KR20150091789A (ko) * 2014-02-04 2015-08-12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바이오제닉 아민 분해 활성이 있는 루코노스톡 속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60051917A (ko) 2014-10-23 2016-05-12 한국식품연구원 내염성 및 단백질 분해 활성을 갖는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60070393A (ko) * 2014-12-10 2016-06-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 및 항산화 효과를 갖는 아로니아 발효 주정 추출물 및 이의 용도
CN113474447A (zh) * 2019-01-04 2021-10-01 莱托生物股份有限公司 菌株、组合物和使用方法
KR102234836B1 (ko) 2020-01-31 2021-04-01 우진 비앤지 주식회사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lbr_c1 균주 및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lba_c5 균주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의 정장용 조성물
CN115581272A (zh) * 2022-08-26 2023-01-10 上海利康精准医疗技术有限公司 甜菊酚酸和益生菌在制备抑制幽门螺杆菌的产品中的应用
CN115581272B (zh) * 2022-08-26 2024-04-30 上海利康精准医疗技术有限公司 甜菊酚酸和益生菌在制备抑制幽门螺杆菌的产品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1547B1 (ko) 201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056B1 (ko) 신선유지를 위한 식물성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ck10, dsr m2 및 이의 용도
KR100911115B1 (ko) 내산성, 내담즙산성 및 항균 효과를 가진 신규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85182B1 (ko)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및 이의 용도
KR101381547B1 (ko)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761186B1 (ko) 김치로부터 분리한 신규 유산균 및 이를 이용한 항균용 조성물
KR101960352B1 (ko)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생제 내성, 항산화 활성, 효소 분비능, 내산성, 내담즙성, 내열성 및 프리바이오틱스 기질 이용능이 우수하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베리류 발효물 유래의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sbb07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080109585A (ko) 내산성, 내담즙산성, 내염성 및 항균 효과를 가진 신규한식물성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00475B1 (ko) 바실러스 세레우스에 대한 항균 활성 및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 저해 활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 ny12-2 균주 및 이를 포함한 조성물
KR100707102B1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및 유해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김치 유산균,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155849B1 (ko)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과 유산 생성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rcm102369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834231B1 (ko) 신선유지를 위한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식물성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kf15 및 이의 용도
KR101005747B1 (ko)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및 그의 용도
KR10213064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식 어류 및 갑각류용 사료첨가제
EP2011859B1 (en) Pediococcus pentosaceus lactose-positive strain and a complex of fructan-containing exopolysaccharides synthesized by the strain
KR102424594B1 (ko) 항염 활성 및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okbl-l.fe 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073791B1 (ko) 장내효소활성, 내산성, 내담즙성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pl-11 균주와 이를 이용한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
KR100803532B1 (ko) 내산성, 내담즙성의 적응력이 강하고, 병원성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고, 알파-갈락토시데이지 효소를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에스피 살리바리우스 df20(kctc10942bp) 미생물
KR20070071911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및 이의 용도
KR20080102773A (ko) 이소플라본의 비배당체 전환능력을 가진 신규한 식물 유래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EP2040723B1 (en) Lactic acid bacterium with increased acid tolerance
KR100909452B1 (ko) 신규 유산균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573897B1 (ko) 내산성 및 내염성이 우수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1310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00076540A (ko) 식물성 배지, 식물성 부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성유산균 발효 분말의 제조방법
Lavanya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biotic bacteria from the soil samples of the coastal areas of (Gudur division, Nellore Dt.) for utilization in Shrimp farming
KR101658655B1 (ko) 뱀장어에서 분리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플란타륨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