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727B1 -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신규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신규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727B1
KR101256727B1 KR1020100137703A KR20100137703A KR101256727B1 KR 101256727 B1 KR101256727 B1 KR 101256727B1 KR 1020100137703 A KR1020100137703 A KR 1020100137703A KR 20100137703 A KR20100137703 A KR 20100137703A KR 101256727 B1 KR101256727 B1 KR 101256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sr
kccm
culture
food
kimch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5832A (ko
Inventor
최혜영
류병희
심관섭
김영신
이진혁
하월규
Original Assignee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7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727B1/ko
Publication of KR20120075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12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력, 항균력, 내담즙성, 내산성이 우수한 신규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 상기 유산균 및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 조성물, 사료용 조성물, 화장품 조성물, 식품첨가용 조성물 또는 발효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신규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NOVEL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ND HAVING ANTIFUNGAL ACTIVITY, AND COMPOSITON INCLUDING IT}
본 발명은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항진균 및 항균 활성을 가지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 및 이를 포함하는 항진균용 또는 항균용 조성물, 식품, 식품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식품 및 화장품, 의약품 등의 보존제는 식품, 화장품, 의약품의 변질 및 변패, 화학변화를 방지하여 영양가와 신선도, 품질 유지를 위해 사용되는 첨가물을 말하며 세균, 곰팡이, 효모 등의 미생물 증식을 억제하여 식품 및 화장품, 의약품을 보존하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물이다.
기존의 보존제 또는 방부제는 주로 화학적 보존제 및 방부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어린이의 경우 하루 허용양을 쉽게 초과할 수 있고, 천식 등의 질병을 유발 시킬 가능성이 야기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체내 축적으로 인한 급, 만성 독성이나 돌연변이 유발 등의 새로운 문제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 소비자들은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함께 상기의 문제점을 이유로 화학합성 식품 보존제에 대한 거부감을 갖고, 더 신선하고 천연 그대로의 것 또한 화학방부제의 무첨가 등을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수반하여, 안전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천연 보존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천연 보존제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 물질에 대한 개발과 관련하여, 미생물이나 미생물로부터 생산되는 항생물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유산균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식품에서 널리 이용되어 섭취되어 왔으므로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식하는 ‘GRAS’ (generally regarded as safe) 이다.
유산균이 생산하는 항균 물질로는 젖산, 아세트산 등의 유기산, hydrogen peroxide, 박테리오신 등이 알려져 있으며 특히 박테리오신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박테리오신은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항균 스펙트럼이 좁아 특히 그람 음성균이나 효모, 곰팡이에 대해서는 거의 항균력이 없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로 식품 보존제로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김치는 우리나라 전통 고유의 발효식품으로서 한국인의 장 건강에 기여하는 대표적인 유산균 공급원이다. 최근 들어 김치는 배추와 무 등 김치 재료와 김치발효에 관여하는 여러 유산균의 기능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항돌연변이와 항암 효과 등 여러 유용한 기능들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199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상품화되어 국내 수요량과 수출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김치의 맛을 내기 위한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로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 brevis), 락토코커스(Lactococcus), 류코노스톡(Leuconostoc),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등이 있으며 발효단계에 따라 전체 균총을 형성하는 균의 종류와 구성비율이 변하게 된다.
김치 내에는 상기와 같이 여러 종류의 유산균이 생육하고 있고 이 유산균 중에는 항균물질에 관한 보고는 있지만 항세균 효과에 집중되어 있으며 김치 유래 유산균 중 항진균 활성을 지니는 유산균에 관한 보고는 극히 소수이다. 지금까지 연구 된 물질의 한계를 해결할 수 있는 우수한 항진균 물질을 생산할 수 있는 미생물의 탐색 및 상기 미생물이 생산하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항균, 항진균 활성을 갖는 유산균을 분리, 동정하던 중, 신규한 균주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가 항균력, 항진균력을 갖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품의 저장 기간을 연장시키고, 천연 항균제로서의 효과를 갖는 신규한 유산균으로 내산성, 내담즙성이 우수하고, 항진균 뿐 아니라 항세균 활성이 있는 신규한 유산균 균주 및, 이의 생균제 조성물, 사료용 조성물, 식품 첨가용 조성물, 발효식품으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산성, 내담즙성이 우수하고, 항진균 뿐 아니라 항세균 활성이 있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DSR Y9(KCCM 11142P)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은 내담즙성, 내산성이 우수하고 항진균, 항균 활성이 있어 약학적/식품/사료/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2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의 16S rDNA 서열이다.
본 발명은 김치로부터 분리한 항진균, 항균 활성을 갖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DSR Y9(KCCM 11142P)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항진균용 또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스타터(starter)로 사용하여 발효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식품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항진균 활성이 높은 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함유하는 생균제 조성물, 또는 사료용 조성물 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DSR Y9(KCCM 11142P)는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는 발명 전반에 걸쳐, 균주 자체로 이용될 수도 있고, 그 배양물의 형태로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는 김치로부터 분리한 유산균으로 생균을 섭취하더라도 안전하며, 미생물에 의한 식품 병원균 및 변패 유발 효모의 생장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의 배양은 당업계에 알려진 적당한 배지와 배양조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양과정은 선택되는 균주에 따라 용이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세포의 성장방식에 따라 구분되는 현탁배양과 배양방법에 따라 구분되는 회분식과 유가식 및 연속배양식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배양할 수 있다. 상기 배양물은 액체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 자체, 상기 배양액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균주를 제거한 여액(원심분리한 상등액)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양 조성물 내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의 함량은 조성물의 용도 및 제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는 pH 3.0에서 생존하여 강한 내산성을 가지고, 옥스갈(oxgall) 0.5 %에서 100% 생존율을 보여 강한 내담즙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는 내산성, 내담즙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를 경구 섭취하면 생체 내의 가혹한 환경, 즉 pH가 3 이하로 내려가는 산성 환경과 위장 및 소장에서 분비되는 소화효소 및 담즙산에 의해서도 사멸되지 않고 생육이 가능해 장으로 도달할 수 있는 확률이 증가 될 수 있다.
상기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는 김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배양 등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을 통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은 식품의 유해 병원성 세균에 항균 활성을 갖는다. 상기 유해 병원성 세균은 바실러스속 균주, 대장균, 패혈증을 일으키는 녹농균, 식중독의 원인균인 리스테리아속 및 스트라필로코커스속 균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해 병원성 세균은 살모넬라속(Salmonella spp.), 식품에서 증식하여 엔테로톡신을 생성하여 식중독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피부의 화농중이염방광염 등 화농성 질환을 유발하는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장독성 대장균(enterotoxigenic E. coli),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 및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은 과숙성된 식품에서 분리한 변패 효모에 대해서도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우리나라 반찬류 및 김치에서 섭취하기 좋은 적숙기를 지나 과숙성 시기가 되면 산막 효모가 생성되어 식품의 변패를 초래하는 경우,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를 식품에 첨가하는 경우 저장 기간을 연장하고 천연항균제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함유하는 항균, 항진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항균 및 또는 항진균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유해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여 비정상적인 발효를 억제할 수도 있으며, 천연 항균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이란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식품, 천연식품, 가공식품, 일반 식품 등 전반적인 식품이다.
본 발명의 식품 첨가제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또는 이의 배양물 자체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 또는 이의 배양물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생균제 조성물, 사료용 조성물 또는 식품 첨가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생균, 건조균 또는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부형제 또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양물은 액체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 자체, 상기 배양액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제거한 여액(원심분리한 상등액)등을 포함 한다. 조성물 내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의 함량은 조성물의 용도 및 제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 또는 이의 배양물은 김치, 음료, 이유식, 유제품 등의 식품에 대한 식품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스타터(starter)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은 발효식품일 수 있으며, 상기 발효식품은 치즈, 김치, 발효생식제품, 발효 소시지, 된장, 간장, 피클, 절임 식품, 사우어 크라프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를 이용한 발효식품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를 김치 스타터로 사용하는 경우, 소금으로 절인 배추에 고춧가루, 마늘, 생강, 대파, 무채, 설탕과 같은 일반적인 김치 양념들을 혼합한 후, 본 발명의 식물성 유산균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의 배양물을 양념에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 배양물은 김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 5 중량% 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중량% 로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 또는 이의 배양물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형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비누, 샴푸,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리퀴드 파운데이션, 크림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스킨, 토너),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로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젤, 피부 접착용 패치, 파우더, 피부외용연고, 첩포제, 현탁액, 에멀젼 스프레이,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위터, 팩, 헤어 에센스 또는 미용액 등의 통상의 화장료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 또는 이의 배양물은 진균에 의하여 채소, 과일 등이 감염되는 것을 예방 및 개선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김치로부터 항균 활성을 갖는 균주의 분리
<1-1> 김치로부터 유산균의 분리
통상적인 김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여러 종류의 김치들을 유산균 분리 김치 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김치 시료를 채취하여, 0.85 % 식염수로 10 배 희석하고, 이를 0.1 ㎖씩 MRS 아가 배지(MRS 아가, 디프코(Difco.); 박토펩톤 10 g, 소고기추출물 10 g, 효모추출물 5 g, 글루코스 20 g, 트윈80 1 g, 구연산 2 g, 제2 인산칼륨 2 g, 초산나트륨 5 g, 황산망간 0.1 g, 황산마그네슘 0.05 g, 아가 15 g/증류수 1 ℓ)플레이트에 접종한 후, 유리막대로 도말하였다. 이후, 플레이트를 37 ℃의 항온 배양기에서 1일 동안 배양하였다. 생성된 각각의 콜로니를 MRS 아가 플레이트에 획선 접종하였고, 37 ℃에서 1일 동안 배양하여 유산균 콜로니를 분리하였다.
<1-2> 항균, 항진균 활성을 갖는 유산균의 분리
상기 <1-1>에서 분리된 유산균들 중에서 유해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하는 유산균을 선발하기 위하여, 먼저 유해 미생물 4종 바실러스 세레우스 KCCM 12142(Bacillus cereus KCCM 12142),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KCCM 11335), 대장균 KCCM11234(E. coli KCCM 11234) 및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 KCCM40307(Listeria monocytogenes KCCM 40307)을 뉴트리언트 배지(박토 펩톤 5.0 g, 소고기추출물 1.0 g, 효모추출물 2.0 g, 염화나트륨 5.0 g, 아가 15 g/증류수 1ℓ)에 접종하여 37 ℃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균체들을 배지로부터 모아 인산완충액(PBS, pH 7.4)으로 2회 세척하고 20 % 글리세롤(glycerol)에 현탁하여 -20 ℃에 보관하였다.
상기 실시예 <1-1>에서 분리된 유산균들 중에서 변패 효모의 생육을 저해하는 유산균을 선발하기 위하여, 먼저 과숙성된 김치, 이미, 이취가 나는 절임 깻잎에서 변패 효모를 분리하였다. 각각의 시료를 0.85 % 식염수로 10 배 희석하고, 이를 0.1 ㎖씩 YPD 아가 (펩톤 5.0 g, 효모 추출물 5.0 g, 덱스트로스 5.0 g, 아가 15 g/증류수 1ℓ)플레이트에 접종한 후, 유리막대로 도말하였다. 이후, 플레이트를 25 ℃의 항온 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생성된 각각의 콜로니를 YPD 아가 플레이트에 획선 접종하였고, 25 ℃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콜로니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변패 효모를 YPD 배지에 접종하여 25 ℃에서,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균체들을 배지로부터 모아 인산완충액(PBS, pH 7.4)으로 2회 세척하고 20 % 글리세롤(glycerol)에 현탁하여 -20℃에서 보관하였다.
상기 <1-1>에서 분리한 유산균 콜로니들을 MRS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37 ℃에서 24 시간 배양한 후, 원심 분리하여 균체에 10% skim milk에 현탁하여 -20 ℃에 보관하였다.
뉴트리언트 액체배지에 3차 계대 배양 한 유해 미생물을 뉴트리언트 아가배지에 1 % 접종하여 플레이트에서 굳힌 후 20분간 건조하였다. YPD 액체배지에 3차 계대한 변패 효모를 YPD 아가배지에 1 % 접종하여 플레이트에서 굳힌 후 20분간 건조하였다. 여기에 코크보어러로 직경 9 mm의 구멍을 뚫고 상기 분리한 각각의 유산균 배양 상등액 50 ㎕를 적하시켰다. 37 ℃에서 24 시간(효모는 25 ℃, 48시간) 동안 배양 후 억제 환을 형성하는 유산균 중 가장 우수한 균주를 1차 선발하였다(Y9, K1, WS-19, DS-1-39 균주). 이후, 상기 1차 선발된 균주들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다시 2차 선발하여 최종적으로 유해 미생물의 생육을 가장 우수하게 억제하는 균주 Y9를 선별하였다(표 1.).
균주 Y9 K1 WS-19 DS-1-39
절임 깻잎 분리 효모 12 10 10 11
과숙성 김치 분리 효모 11 10 9 13
바실러스 세레우스
(Bacillus cereus KCCM12142)
12 10 10 9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erus KCCM11335)
10 0 9 0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
(Listeria monocytogenes KCCM40307)
13 10 0 0
대장균
(E. coli KCCM11234)
10 0 8 0
<1-1>에서 분리된 균주들의 미생물 생육 억제 환의 크기(단위: mm)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상기 선별된 유산균 Y9의 16S r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도 2, 서열번호 1),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균주 Y9를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 (Leuconostoc mesenteroides DSR Y9)"로 명명하고 이를 한국미생물 보존센터 (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에 2010년 12월 10일자로 기탁하였다 (기탁번호: KCCM-11142P).
<실시예 2>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의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
<2-1> 형태학적 특성
현미경을 이용하여,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의 형태학적 특성을 관찰 하였다. 분리된 유산균은 그람 양성균이며 막대형태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집락은 불투명의 연한 노란색으로 집락의 표면은 매끄러웠다(표 2).
Figure 112010087122443-pat00001
<2-2> 생화학적 특성
API 시스템(API system; La Balme-les-Grottes, France)으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를 동정하였다. 우선, 멸균한 백금이로 균 콜로니를 각각 취한 후 멸균 증류수 2 ㎖에 부유시켰다. 멸균 증류수 5 ㎖에 API 50CH 키트(BioMerieux, France)에서 제공되는 맥팔란드 표준 용액 No.2(MccFaland Standard Solution No.2)의 농도로 상기 균액을 부유시켰다. 상기 부유액을 API 50CH 키트의 액체배지에 첨가하여 균질화시킨 후, API 50CH 키트의 50개 각 튜브에 200 ㎕씩 접종하였다. 미네랄 오일로 튜브 위를 엎어준 후, 30 ℃에서 48 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상기 배양액을 API 시스템으로 분석하여 49종의 탄수화물 발효패턴을 확인한 후, 이 결과를 ATB 동정 컴퓨터 시스템에 입력하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은 하기 표 3의 탄수화물 발효패턴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Figure 112010087122443-pat00002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 탄수화물 발효패턴 분석 결과
<실시예 3>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의 항균, 항진균 활성 검증
<3-1> 내산성 확인
젖산 (lactic acid)으로 pH 3.0, 3.5 로 각각 조정한 MRS 액체배지 5㎖에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 및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KCTC3505를 각각 접종하였다. 25 ℃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생육유무를 관찰하여 상기 pH범위에서 생육이 활발한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은 pH 3.0~3.5에서 생육이 활발하여 내산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4).
Figure 112010087122443-pat00003
+: 생육함, -: 생육하지 않음.
<3-2> 내담즙성 테스트
상기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 및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KCTC3505를 옥스갈(oxgall)로 0.3%, 0.5%로 조정한 MRS 액체배지 10 ㎖에 각각 접종하였다. 이후, 37 ℃에서 2 시간 배양하면서 상기 인공 담즙 농도에서의 균주의 생육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는 옥스갈(oxgall) 0.3, 0.5%에서 생육이 활발하며, 100 %의 생존율을 보여 내담즙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5).
Figure 112010087122443-pat00004
내담즙성 테스트 결과
<3-3> 항균력, 항진균력 테스트
항균력 테스트
상기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의 항균력 테스트를 위해 MRS 액체배지에 3 차 계대 배양하고, 뉴트리언트 아가배지(Nutrient agar)에 병원성세균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KCCM 3624),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KCCM12142),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lyococcus aureus KCCM 11335),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 KCCM40307), 대장균(E.coli KCCM 11234)를 각각 1 % 씩 접종하여 플레이트에서 굳힌 후 20분간 건조하였다. 여기에 코크보어러로 직경 9 mm의 구멍을 뚫고 상기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의 배양 상등액을 50 ㎕ 적하 시켜 37 ℃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여 억제 환의 크기를 측정하였다(표 6).
항진균력 테스트
상기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의 항진균력 테스트를 위해 과숙성된 김치, 청국장 산막, 절임 깻임에서 분리된 변패 효모를 YPD 액체배지에 3차 계대 배양하고, YPD 아가배지에 1 %를 접종하여 플레이트에서 굳힌 후 20분간 건조하였다. 여기에 코크보어러로 직경 9 mm의 구멍을 뚫고 상기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의 배양 상등액 50 ㎕를 적하시켜 25 ℃에서 48 시간 동안 배양하여 억제 환의 크기를 측정하여 표 6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10087122443-pat00005
항진균, 항균 테스트 결과 (㎜)
<실시예 4>
<4-1> 김치의 제조
배추를 각각 소금으로 절여 배추의 염도가 2.3 %가 되도록 하였다. 절인 배추(82.5 중량%)에 고춧가루(2.5 중량 %), 마늘(2 중량%), 생강(0.5 중량%), 대파(2 중량%), 무채(9 중량%), 설탕(0.5 중량%)의 김치 양념을 사용하였다. 양념에 스타터로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를 김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중량%(약 1×105 균주)로 첨가하였다.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균체는 MRS 배지에서 37 ℃에서 24 시간 액체 배양한 후 10,000 g x 5분 (4℃) 원심분리하고, 펠렛을 멸균수에 2회 수세하여 준비하였다. 이때, 음성 대조군에는 스타터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하였다. 이후, 제조된 각 김치를 10 ℃에서 6일간 숙성시켰다.
<4-2>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를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 (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1142P 20101210
<110> DAESANG FNF CORPORATION <120> LEUCONOSTOC MESENTEROIDES DSR Y9 ISOLATED FROM KIMCHI AND HAVING ANTIFUNGAL ACTIVITY, AND COMPOSITON INCLUDING IT <130> KNP100007 <160> 1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470 <212> DNA <213> Leuconostoc mesenteroides <220> <221> old_sequence <222> (1)..(1470) <223> 16S rDNA <400> 1 aacgctggcg gcgtgcctaa tacatgcaag tcgaacgcac agcgaaaggt gcttgcacct 60 ttcaagtgag tggcgaacgg gtgagtaaca cgtggacaac ctgcctcaag gctggggata 120 acatttggaa acagatgcta ataccgaata aaacttagtg tcgcatgaca caaagttaaa 180 aggcgcttcg gcgtcaccta gagatggatc cgcggtgcat tagttagttg gtggggtaaa 240 ggcctaccaa gacaatgatg catagccgag ttgagagact gatcggccac attgggactg 300 agacacggcc caaactccta cgggaggctg cagtagggaa tcttccacaa tgggcgaaag 360 cctgatggag caacgccgcg tgtgtgatga aggctttcgg gtcgtaaagc actgttgtat 420 gggaagaaca gctagaatag gaaatgattt tagtttgacg gtaccatacc agaaagggac 480 ggctaaatac gtgccagcag ccgcggtaat acgtatgtcc cgagcgttat ccggatttat 540 tgggcgtaaa gcgagcgcag acggtttatt aagtctgatg tgaaagcccg gagctcaact 600 ccggaatggc attggaaact ggttaacttg agtgcagtag aggtaagtgg aactccatgt 660 gtagcggtgg aatgcgtaga tatatggaag aacaccagtg gcgaaggcgg cttactggac 720 tgcaactgac gttgaggctc gaaagtgtgg gtagcaaaca ggattagata ccctggtagt 780 ccacaccgta aacgatgaac actaggtgtt aggaggtttc cgcctcttag tgccgaagct 840 aacgcattaa gtgttccgcc tggggagtac gaccgcaagg ttgaaactca aaggaattga 900 cggggacccg cacaagcggt ggagcatgtg gtttaattcg aagcaacgcg aagaacctta 960 ccaggtcttg acatcctttg aagcttttag agatagaagt gttctcttcg gagacaaagt 1020 gacaggtggt gcatggtcgt cgtcagctcg tgtcgtgaga tgttgggtta agtcccgcaa 1080 cgagcgcaac ccttattgtt agttgccagc attcagatgg gcactctagc gagactgccg 1140 gtgacaaacc ggaggaaggc ggggacgacg tcagatcatc atgcccctta tgacctgggc 1200 tacacacgtg ctacaatggc gtatacaacg agttgccaac ccgcgagggt gagctaatct 1260 cttaaagtac gtctcagttc ggattgtagt ctgcaactcg actacatgaa gtcggaatcg 1320 ctagtaatcg cggatcagca cgccgcggtg aatacgttcc cgggtcttgt acacaccgcc 1380 cgtcacacca tgggagtttg taatgcccaa agccggtggc ctaacctttt aggaaggagc 1440 cgtctaaggc aggacagatg actggggtga 1470

Claims (8)

  1. 바실러스 세레우스, 스타필로코코스 아우레우스,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 대장균 및 효모에 대하여 항진균 및 항균 활성을 갖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DSR Y9(KCCM 11142P).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은 김치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
  3.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함유하는, 바실러스 세레우스, 스타필로코코스 아우레우스,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 대장균 및 효모에 대한 항진균용 또는 항균용 조성물.
  4.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함유하는 식품 첨가제.
  5.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함유하는 식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김치, 발효 소시지, 발효 생식식품, 절임식품, 음료, 이유식 또는 유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7.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스타터(starter)로 사용하여 발효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8.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Y9(KCCM 11142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함유하는 사료용 조성물.



KR1020100137703A 2010-12-29 2010-12-29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신규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256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703A KR101256727B1 (ko) 2010-12-29 2010-12-29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신규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703A KR101256727B1 (ko) 2010-12-29 2010-12-29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신규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832A KR20120075832A (ko) 2012-07-09
KR101256727B1 true KR101256727B1 (ko) 2013-04-19

Family

ID=46709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703A KR101256727B1 (ko) 2010-12-29 2010-12-29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신규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7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184B1 (ko) 2018-09-21 2019-04-05 주식회사 제이투케이바이오 말라세지아 퍼퍼에 대한 항진균 성능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
KR20220030376A (ko) * 2020-08-28 2022-03-11 한국식품연구원 신규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0120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미선나무 발효 추출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0026A (ko) * 2007-10-19 2009-04-23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및 이의 용도
KR20100099537A (ko) * 2009-03-03 2010-09-13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신규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218 균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0026A (ko) * 2007-10-19 2009-04-23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및 이의 용도
KR20100099537A (ko) * 2009-03-03 2010-09-13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신규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218 균주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Vol.20, pp.219-224(1992.) *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Vol.20, pp.219-224(1992.)*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184B1 (ko) 2018-09-21 2019-04-05 주식회사 제이투케이바이오 말라세지아 퍼퍼에 대한 항진균 성능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
KR20220030376A (ko) * 2020-08-28 2022-03-11 한국식품연구원 신규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0120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미선나무 발효 추출물
KR102435154B1 (ko) 2020-08-28 2022-08-25 한국식품연구원 신규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0120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미선나무 발효 추출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832A (ko) 2012-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gunbanwo et al. Influence of cultural conditions on the production of bacteriocin by Lactobacillus brevis OG1
KR101761186B1 (ko) 김치로부터 분리한 신규 유산균 및 이를 이용한 항균용 조성물
KR102032703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ifi-sy3 균주를 이용한 아로니아 발효액의 제조방법
KR100720815B1 (ko)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활성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과상기균의 배양액을 이용한 제품
KR101495309B1 (ko)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 유산균 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kf12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381547B1 (ko)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및 이의 용도
CN107788517B (zh) 一种利用保加利亚乳杆菌强化酵素功效的方法
US20220174980A1 (en) Method for Preparing Feed by Bacteria-enzyme Synergistic Fermentation
KR101834231B1 (ko) 신선유지를 위한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식물성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kf15 및 이의 용도
KR101451810B1 (ko) 감마-아미노부티르산 생산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255 균주
CN117264854B (zh) 一种植物乳杆菌及其应用
JP5328948B2 (ja) 新規乳酸菌による発酵風味液
CN110583852A (zh) 一种含山茶籽粕的菌酶协同发酵方法
KR101923571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쉰다리 제조 방법
JP4182145B1 (ja) ラクトバチルス・プランタラムの新菌株、並びに、それを含む飲食品、それを用いた製パン用種及び製パン法
KR101256727B1 (ko)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신규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6853624B2 (ja) 新規な植物性乳酸菌
KR20230093214A (ko)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 방법
KR101055949B1 (ko) 신규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218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070071911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및 이의 용도
KR20230019483A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PBio03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102456439B1 (ko) 신규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19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미선나무 발효 추출물
KR102229553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ml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김치 제조방법
KR20140022652A (ko) 신규한 류코노스톡 사이트리움 및 이를 함유한 식품
KR20220092787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균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