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815B1 -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활성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과상기균의 배양액을 이용한 제품 - Google Patents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활성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과상기균의 배양액을 이용한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815B1
KR100720815B1 KR1020060000781A KR20060000781A KR100720815B1 KR 100720815 B1 KR100720815 B1 KR 100720815B1 KR 1020060000781 A KR1020060000781 A KR 1020060000781A KR 20060000781 A KR20060000781 A KR 20060000781A KR 100720815 B1 KR100720815 B1 KR 100720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plantarum
kimchi
lactobacillus
antimicrobial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0130A (ko
Inventor
장해춘
장지윤
Original Assignee
장해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해춘 filed Critical 장해춘
Publication of KR20060080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품은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활성이 있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 그것의 배양액 및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세균뿐 아니라 곰팡이에 대하여도 강력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며, 식품, 사료 및 향장품 등에 첨가하여 발효에 의한 맛 및 방부효과에 의한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도 및 그 외 항균제로 활용할 수 있다.
김치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항진균 활성, 생물학적 보존제(biopreservative)

Description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활성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과 상기균의 배양액을 이용한 제품{Lactobacillus plantarum AF1 with antifungal properties isolated from kimchi, and products produced by using them}
도 1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의 그람염색사진이다.
도 2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의 생육곡선 및 이 때 배지 내 적정산도 곡선이다.
도 3A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으로부터의 조항균물질에 미치는 pH의 영향을 알아본 사진이다.
도 3B는 대조구로서 3A와 동일조건에서 감수성균에 미치는 pH 자체의 영향을 알아본 사진이다.
도 4A는 대두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으로부터의 항균물질 처리 후 아스퍼질러스 플라버스를 접종한 사진이다.
도 4B는 대조구로서 대두에 항균물질 처리 없이 아스퍼질러스 플라버스를 접종한 사진이다.
도 5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 배양액을 SPE 컬럼으로 통과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6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 배양액 유래의 항균 물질을 HPLC로 정제 하는 것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항균 물질을 ESI-MS 스펙트럼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여주는그림이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 및 그로부터 생산되는 배양액을 이용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세계 식량생산량의 5-10%가 곰팡이성 변패에 의해 손실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Aspergillus, Penicillium 종은 다양한 종류의 식품이나 사료를 저장기간 중 변패시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아울러 이들 변패 곰팡이는 곰팡이 독소를 생성하여 심각한 인체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들 곰팡이 생육을 억제시켜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방법으로 물리적 방법(냉동, 건조, 열처리, 저온저장, MA저장 등)과 방부제 등의 첨가에 의한 화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Magnusson J., 2003, Antifung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최근 들어 대부분의 소비자들의 화학적 방부제나 첨가물에 대한 사용 거부감의 동향이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이나 그 대사산물로서 변패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하여 식품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천연보존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유산균은 젖산, 아세트산 등의 유기산, hydrogen peroxide, 박테리오신 등 여러 가지 항균물질을 생산한다고 알려지고 있으며 이들은 식품이나 사료의 중요한 생물학적 보존제가 될 수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Messens, W. and L. De Vuyst, 2002, Int. J. Food. Microbiol. 72,31-43, Lavermicocca, P., F. Valerio, A. Evidente, S. Lazzaronic, A. Corsetti and M. Gobetti, 2000)
유산균이 특별한 관심을 끄는 이유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식품에서 널리 이용되어 섭취되어왔으므로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식하는 'GRAS'(generally regarded as safe) 미생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많은 유산균의 항균작용에 관한 연구들이 항세균 효과(antibacterial effects)에 집중되어 항진균 효과(antifungal effects)에 관하여는 극히 소수의 보고가 존재한다(Magnusson, J. and Schnurer, 2001, J. Appl. & Environ. Microviol. 67,1-5, Magnusson, J. Strom, K., Roos, S., Sjogren, J. and Schurer, J., 2003, FEMS Microbiol Letters).
기존에 보고된 항진균 활성이 있는 유산균의 항진균 활성 원인 물질은 Lavermicocca 등이 보고한(Lavermicocca, P., F. Valerio, A. Evidente, S. Lazzaroni, A. Corsetti, and M. Gobbetti, 2000, Appl. Environ. Microbiol. 66,4084-4090) sour dough로부터 분리된 Lactobacillus plantarum 21B으로부터의 phenyllactic acid와 4-hydroxyphenyllactic acid, Corsetti 등이 보고한(Corsetti A., M. Gobbetti, J. Rossi and P. Damiani, 1998, Appl. Micro. Biotechnol. 50,253-256) Lactobacillus sanfrancisco CBI가 분비하는 caproic acid와 같은 저분자의 지방산(short chain fatty acid), Niku-Paavola 등이(Niku-Paavda, M., L.A. Laitila, T. Mattila-Sandholm and A. Haikara, 1999, J. Appl. Microbiol. 86,29-35) 맥주로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VTT E-78016으로부터의 유기산외의 저분자 항미생물물질(benzoic acid, methylhydantain, mevalonolactone and cyclo-(glycyl-L-leucyl)+lactic acid), Okkers 등의(Okkers, D.J., L.M.T. Dicks, M. Silvester, J.J. Joubert and H.J. Odendaol, 1999, J. Appl. Microbiol. 87,726-734) Lactobacillus pentosus로 부터 peptide pentocin TV35b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이들의 유산균이 지니는 항진균활성은 특정 곰팡이, 효모류에 보다 유효하며, 그 원인물질이 규명된 경우도 있고 단지 그 활성이 있음만 확인되고 원인물질이 정확히 규명되지 않은 경우도 많다.
김치내에는 여러 종류의 유산균이 번식하며 이 유산균 중에는 항균물질을 생성하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다(Shin, J.Y., A. Cheol, 1997, J. Food Sci. Nutr., 2(2),101-108, Park, Y.H., H.J. Song, 1991, Kor. J. Microbiol. Biotechnol., 19(6),637-643). 그러나 현재까지 보고된 바에서 김치유래 유산균 중 항진균 활성을 지니는 유산균에 관한 보고는 전무하다.
본 발명은 김치로부터 항균활성을 지니는 유산균을 분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김치에서 분리된 Lactobacillus plantarum AF1을 사용하여 김치류를 제조한 제품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 배양액을 이용하여 식품이나 사료 및 향장품 등의 생물학적 보존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Lactobacillus plantarum AF1 배양액을 함유하는 생물학적 보존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균 활성이 있는 신규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항균"은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항세균 및 항진균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김치로부터 분리된 Lactobacillus plantarum AF1(KFCC-11340)에 관한 것이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은 잘 익은 김치로부터 분리한 유산균으로, 그람양성의 막대형태를 지닌다(도1). 락토바실러스 플라타룸 AF1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L935225와 16S rDNA 전체 염기서열에서 99%의 상동성을 가진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은 통상의 유산균 배지에서 생육 가능하며 배양온도 30±5℃에서 혐기조건으로 배양할 수 있다. 상기 균주는 액체배지상 30℃에서 배양하는 경우 도2의 생육곡선을 나타내어 배양 16-20시간에 생육정지기에 도달할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 플라타룸 AF1은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04년 11월 6일자로 기탁하여 수탁번호 KFCC-11340을 부여받았다.
락토바실러스 플라타룸 AF1은 같은 유산균종인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루코노스톡 속 균주와 바실러스 속 균주 섭틸러스, 대장균, 스트렙토코커스 속 균주, 패혈증을 일으키는 녹농균과(Psedomonas), 식중독의 원인균인 리스테리아 속, 마이크로코커스 속, 스트라필로코커스 속, 및 살모넬라 속 균주에 대하여 강력한 항균활성을 나타낸다. 특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락토바실러스 델부르에키, 루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바실러스 섭틸러스, 대장균, 스트렙토코커스 패칼리스,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스트렙토코커스 아루레우스,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슈도모나스 에어로기노사 및 리스테리아 모노시아토게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은 김치 산패에 기여하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뿐만 아니라 유해세균(E. coli O-157, Salmonella, Listeria, Micrococcus, Staphylococcus, Pseudomonas, Sterptococcus sp.)의 생육을 억제하는 작용이 탁월하여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사용하여 김치제조 시 김치 내 유해 또는 오염미생물의 출현을 억제할 수 있어 김치발효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는 넓은 범위의 항세균 활성을 지닐 뿐만 아니라, 땅콩이나 옥수수 그리고 곡류를 오염시키는 곰팡이로서 강력한 간암 유발 물질인 afltoxin을 생성하는 아스퍼질러스 플라버스, 저장곡물의 변패원인이 되며 Aspergillosis라는 곰팡이성 폐렴 원인균인 아스퍼질러스 푸미가투스, 피부질환 원인균인 에피코쿰 니그룸, 알러르겐 염증성폐렴, 피부염 원인균인 클라도스포리움 고시피콜라에 대하여 강력한 항균활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또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의 배양액으로부터 제조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특히 항진균 활성이 뛰어나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의 배양액을 정제 및 또는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식품이나 사료 등에 생물학적 보존제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특히 락토바실러스속, 루코노스톡속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어 유산균 발효식품내에서 원하지 않는 유산균의 작용을 저해할 수 있을뿐 아니라 유해균에 대하여도 강력한 항균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 그것의 배양액 또는 그것으로부터 제조되는 항균 조성물을 이용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한 예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은 김치발효소 스타터로 사용되어 김치 숙성 중 유해균 및 잡균 성장을 제어할 수 있어 특정 풍미를 나타내는 맛있는 김치를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김치 내에서 항균 물질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김치를 식중독 예방 식품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 또한 강력한 항진균활성의 특성을 활용하여 김치류 제조뿐 아니라 생물학적 식품보존제, 정장제, 동물용 사료첨가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의 배양액에 더하여 추가의 항균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의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한 항균활성을 갖는 화학식 1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6500077076-pat00001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항균 활성, 특히 항진균 활성이 뛰어나므로 식품, 사료 또는 향장품의 보존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균활성을 갖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크림, 로션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화학식 1 화합물 외에 추가로 항염증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 분리
1-1. 균주의 분리
잘 익은 김치를 수집하여 김치 내용물 전체를 마쇄하여 멸균여과한 다음 희석수로 적정배율로 희석시키고, 희석액을 CaCO3가 2% 첨가된 MRS배지(Lactobacilli MRS broth 5.5 g, CaCO3 2 g/100 ㎖)에 접종하여 30℃에서 평판배양하였으며, 투명환을 형성하는 콜로니를 선별하였다.
1-2. 균주의 동정
선별한 균은 현미경하에 형태학적 특성을 관찰하였고, 그람염색과 16S rDNA 염기분석으로 동정하였다.
분리된 유산균은 도 1로 도시한 바와 같이, 그람 양성균이며 막대형이었다. 집락은 불투명의 연한 노란색으로 집락의 표면은 매끄러웠다.
또한 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서열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AL935255와 99%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상기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으로 동정하였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으로 명하고 이를 한국미생물보존센터(서울 서대문구 홍제 1동 361-221 유림빌딩 2F)에 2004년 11월 6일자로 기탁하여 수탁번호 KFCC11340을 부여받았다.
1-3. 균주의 당 이용성 확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의 당 대사능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06500077076-pat00002
실시예 2: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의 항균활성 검증
하기 표 2에 기재한 지시 균주 각각에 대한 생육억제 저해환 확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방법은 균체를 직접 가하는 직접방법(Kim, S.I., Kim, I. C. and Chang, H.C., 1999,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gent producing microorganisms and sensitive strain from soi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3), 526-553)과, 제균된 배양액을 종이 디스크에 가하여 한천확산법 (Tagg, J.R. and Mcgiven, A.R., 1971, Assay system for bacteriocin. Appl. Microbiol. 21, 943)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을 5 ㎖ MRS 액체배지에 30℃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원심분리(9,950×g, 4℃, 15분)하여 회수한 상징액을 막필터(포어크기: 0.45 ㎛, Millipore, 미국)로 제균하고, 한천 확산법으로 지시균주에 대한 생육저지환을 측정하였다. 항균활성은 저해환의 직경크기에 따라 하기와 같이 구분하였고, 실험결과는 표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06500077076-pat00003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은 락토바실러스 루코노스톡속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어 유산균 발효식품내에서 원하지 않는 유산균의 작용을 저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해균에 대하여도 강력한 항균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유해균주에 대한 특징은 표 3에 정리하였다.
[표 3]
Figure 112006500077076-pat00004
실시예 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이 첨가된 김치제조
김치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을 접종하고 김치를 익힌 후 균총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절인 배추(염도 약 1.5%) 2,700-3,000 g에 대하여 김치양념 300-580 g(마늘: 27-52 g, 고추: 55-105 g, 생강: 14-26 g, 설탕: 18-34 g, MSG: 8-16 g, 액젓: 95-185 g 쪽파: 27-53 g, 무: 20-39 g, 배: 20-39 g, 당근: 14-27 g)을 사용하고 양념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 균체 100 ㎎(wet weight, 109 내지 1010 cfu/㎖)를 가하였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균체는 MRS 배지에서 30℃로 24시간 액체 배양 후 9,950 g, 4℃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고, 펠렛을 멸균수에 2회 수세하여 준비 하였다.
제조한 김치는 2일간 상온(20-28℃)에 방치한 후, 냉장보관하였다. 냉장보관하면서 김치시료액 일부를 취하여 균수 및 균총을 확인하였다. 표 4는 냉장보관 14일 경과하였을 때 김치내 균총변화 및 균수를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표 4에서, 김치제조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을 첨가한 실험군은 14일 후에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을 109 cfu/㎖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었다.
또다른 대조군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FRI 464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를 제조한 후 2일간 상온(20-28℃)에 방치한 후, 냉장보관하였다. 2주동안 보관 후 종균무첨가 김치(대조군A)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FRI 464 첨가김치(대조군B),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 첨가김치(실험군)의 관능검사를 시행하였다. 관능검사는 20명의 관능요원을 선발하여 색, 신맛, 단맛, 젓갈맛, 군내 등의 항목을 종합한 최종 기호도를 9점 만점법으로 시행하였다(표5).
[표 4]
Figure 112006500077076-pat00005
[표 5]
Figure 112006500077076-pat00006
또한 실험군 김치 맛은 시지만 단맛이 약간 있으며 잘 묵은 김장김치 특유의 깊은 맛을 나타내었으며 신 김치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서는 기호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상기한 결과는 동일한 실험을 3회 반복 실시하여 동일한 결과를 확인한 것이다.
실시예 4: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으로부터 항균 활성물질 생산
4-1. 조항균 물질의 제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을 30℃에서 24시간 전배양하고 배양액을 100 ㎖ MRS 배지에 1% 접종하여 30℃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은 원심분리(9,500 × g, 10 min)하고 2 N HCl과 NaOH를 사용하여 pH를 적정하였다. pH가 조정된 배양액은 0.45 ㎛ 막필터(Millipore)로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제균한 상징액은 동결건조(Labconco, Kansas, USA)한 다음 적정 pH의 완충용액에 녹여 조항균물질로 사용하였다.
4-2. 조항균물질의 특성
가. pH 안정성
본발명 조성물의 항균활성이 젖산에(pH 저하) 의한 작용이 아닌, 또 다른 항 균물질이 생산에 기인함을 증명하기 위하여 다음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4-1의 방법에 따라 조항균물질을 준비하고 동결건조된 조항균 물질을 pH 2(50 mM Glycine-HCl), pH 3(50 mM Glycine-HCl), pH 4(50 mM Sodium acetate), pH 5(50 mM Sodium acetate), pH 6(50 mM Sodium citrate), pH 7(50 mM Tris-HCl) 완충용액에 녹여 조항균물질을 제조하였다. 이때 대조구로 동 pH의 같은 MRS 배지를 조항균물질 제조법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준비된 시험구 조항균물질과 대조구 항균물물질을 사용하여 아스퍼질러스 플라버스가 도포된 MRS 배지에서 항진균활성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도 3에 나타낸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으로부터의 조항균물질은 대조구의 동 pH에서 보다 pH 2-5 범위에서 확연히 더 큰 활성을 나타내며 pH 6에서도 약간 활성을 보이나 pH 7 이상에서는 더 이상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로부터 본 항균 물질도 pH에 영향을 받아 산성 pH 범위(pH 2-4)에서 최적 활성을 나타내지만 이 활성이 단순히 젖산 등의 유기산 생산에 의한 pH 저하에 의한 영향은 아님을 알 수 있다.
나. 열 안정성
조항균물질을 최적 활성상태인 pH 4 완충액에 녹여 30, 50, 70℃에서 각각 24시간, 100℃에서 30분, 121℃에서 15분간 열처리 하였다. 열처리 된 조항균물질의 항균활성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112006500077076-pat00007
표 6에 결과로부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으로부터의 조항균물질은 최대 121 ℃에서도 열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다. 효소
트립신(EC 3.4.21.4 타입 Ⅰ, Sigma, 미국), 리파제(EC 3.1.1.3 type Ⅶ, Sigma), 프로테아제(타입 Ⅰ, Sigma) 및 라이소자임을 각각 50 mM Tris-HCl 완충액(pH 7.5)에 용해시킨 용액을 준비하고, 또한 펩신(EC 3.4.23.1 타입Ⅰ, Sigma)은 50 mM 사이트레이트 완충액(pH 2.0)에 용해시키고, 프로테아제 K(EC 3.4.21.64, Sigma)는 10 mM Tris-HCl, 50 mM NaCl 및 5 mM EDTA(pH 7.5)를 포함하는 완충용액에 용해시키고, α- 아밀라제(EC 3.2.1.1 타입 Ⅷ-A, Sigma)는 0.1 M 소듐 인산완충액(pH 7.0)에 용해시켰다. 상기 효소의 농도는 20 ㎎/㎖로 준비하였다.
동결건조시킨 조항균물질에 준비된 각종 효소용액을 최종 4 ㎎/㎖ 농도로 가하고, 37℃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켜 항균활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상기와 모든 동일한 조건에서 효소를 처리하지 않은 실험군은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표 7에서 확인되듯이 효소처리 후에도 항균활성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표 7]
Figure 112006500077076-pat00008
SPE(Solid phase extraction) 컬럼(Isolute, C18 EC, International Sorbent Technology Ltd., 영국)을 통한 부분정제로부터, 이 항균물질은 저분자량의 특정물질로 추정되며 기존의 보고들을 살펴보았을 때 4-hydroxyphenyllactic acid, benzoic acid, methylhydantoin, mevalolacton 등과 같은 특이 구조의 카르복시 화합물로 추정된다.
실시예 5.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의 배양액을 이용한 생물학적 보존제의 제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 배양액을 함유하는 생물학적 보존제를 제조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대두 8알(약 2.3 g)을 5시간 물에 불려 121℃에서 20분간 익힌 후 대두 무게 약 4.8 g을 10 mM 소디움 아세테이트(pH 4.0) 완충용액에 녹인 3배 농축 조항균물질 5 ㎖에 4℃ 하룻밤 담궈 조항균물질이 대두에 충분히 흡수되도록 하였다.
이 때 대조구로는 동일조건에서 조항균물질 대신 조항균물질 제조 시 사용된 균주 를 배양시키기 위해 사용된 MRS 배지를 조항균물질 제조 조건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동량의 10 mM 소디움 아세테이트(pH 4.0) 완충용액에 녹여 대조구로 삼았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로부터의 조항균물질은 농도 3배 농축물에서부터 유해곰팡이인 아스퍼질러스 플라버스의 생육을 저해함을 확연히 나타내었다. 아스퍼질러스 플라버스나 아스퍼질러스 푸미가투스는 저장곡물을 변패시켜 식량자원의 손실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aflatoxin과 같은 간암유발물질을 생성하므로 식품, 사료업체에 커다란 위해요소로 지적되고 있다. 김치로부터 분리된 GRAS 미생물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과 그 배양액으로 준비된 조항균물질은 안전한 생물학적 보존제로 활용가능함을 보여준다.
실시예 6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 배양액으로부터 항균활성 물질 분리 및 정제
6-1. 항균활성 물질 정제
6-1-1. SPE(solid phase extraction) 정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을 MRS 액체배지에서 30℃,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AF1 배양액 2.5 ℓ, 8,000 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취하고, 이 상징액을 0.45 ㎛ 막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한 상징액을 SPE 컬럼 (Isolute, C18 EC, 10 g; IST, 영국)에 통과시킨 후에 95% 수용성 아세토니트릴로 3 ㎖씩 수집하였다. 각각의 분획들은 진공원심농축기(VS-802, Vision, Korea)를 이 용하여 용매를 휘발시킨 후에 10 mM 소디움 아세테이트 (pH 4.0)에 녹여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FRI 464에 대한 항균 활성이 있는 구획을 선별하였다.
6-1-2. HPLC 정제
SPE 전처리 시료를 JAIGEL-GS310 프렙-컬럼(prep-column, 20×500 mm, JAI, 일본)을 이용하여 재순환 프렙 (Recycling preparative) HPLC 시스템 (JAI, 일본)으로 분리, 정제하였다. HPLC는 80% 수용성 아세트니트릴을 용매로 유속은 5 ml/ min 조건으로 시행하였으며, UV 디텍터를 사용하여 210 nm의 파장에서 검출하였다. 분리된 모든 피크는 한천확산법(Tagg, J. R. and Mcgiven, A. R. 1971. Assay system for bacteriocin. Appl. Microbiol. 21:943)을 사용하여 각각 지시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FRI 464에 대하여 항균 활성 실험을 시행하였다. 항균 활성 역가가 확인된 피크의 시료는 수집하여 화합물의 구조 결정을 위하여 NMR과 MS 분석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6-2. 항균활성 물질 구조 분석
HPLC에서 분리 정제한 AF1 항균물질을 ESI-MS(electo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scopy)와 NMR에 의하여 그 구조를 결정하였다. ESI-MS는 Mariner(Perseptive Biosystem, USA)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spectrum은 다음과 같다.
ESI-MS 측정을 통하여 항균물질의 분자량이 226임을 알 수 있었다.
NMR 분석은 Bruker Avance 500(500MHz NMR, Bruker, Germany) 분석기를 이용 하여 시행하였으며, 1H-NMR과 13C-NMR 스펙트럼 분석 결과 AF1 항균물질의 분자식은 C12H22N2O2이며 구조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은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주이며, 상기 유산균주를 사용하여 김치를 담그면 시지만 깊은 풍미를 지닌 묵은 김장김치 맛을 그대로 낼 수 있으며, 김치환경제어능이 강하여 다른 유산균의 번식을 억제시키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 발효에 의한 고유한 풍미의 김치 맛을 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은 세균 뿐 아니라 곰팡이 등의 진균에 대하여도 항균활성을 나타내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 이의 배양액 및 조항진균물질은 식품, 사료 및 향장품 등에 첨가하여 생물학적 보존제 및 곰팡이성 질환의 치료제 등으로도 개발이 가능하다.

Claims (6)

  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KFCC 11340).
  2.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KFCC 11340) 배양액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KFCC 11340) 또는 그것의 배양액을 함유하는 식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이 김치인 식품.
  5. 삭제
  6. 삭제
KR1020060000781A 2005-01-04 2006-01-02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활성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과상기균의 배양액을 이용한 제품 KR1007208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01430 2005-01-04
KR1020050001430 2005-01-0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751A Division KR100743828B1 (ko) 2005-01-04 2007-01-23 항균 활성이 있는 신규 화합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130A KR20060080130A (ko) 2006-07-07
KR100720815B1 true KR100720815B1 (ko) 2007-05-21

Family

ID=371715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781A KR100720815B1 (ko) 2005-01-04 2006-01-02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활성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f1과상기균의 배양액을 이용한 제품
KR1020070007751A KR100743828B1 (ko) 2005-01-04 2007-01-23 항균 활성이 있는 신규 화합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제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751A KR100743828B1 (ko) 2005-01-04 2007-01-23 항균 활성이 있는 신규 화합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7208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561B1 (ko) 2010-12-09 2013-03-21 주식회사 제일바이오 항바이러스 및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lp-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생균제
KR101274467B1 (ko) * 2011-08-10 2013-06-17 (주)케비젠 유해세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jbmi f5 균주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115B1 (ko) * 2007-06-15 2009-08-11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내산성, 내담즙산성 및 항균 효과를 가진 신규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986306B1 (ko) * 2008-02-11 2010-10-07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김치유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ls41 및 그 용도
KR101442083B1 (ko) * 2012-08-17 2014-09-19 주식회사 바이오셀트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의 배양액을 방부제 또는 기능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28193B1 (ko) * 2013-11-26 2015-06-1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007로부터 분리된 항진균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KR102032546B1 (ko) * 2017-11-16 2019-10-15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2056B1 (ko) * 2017-12-13 2019-12-04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033439B1 (ko) * 2018-11-19 2019-10-1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김치유래 신규한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dgk-17(kacc 81028bp)으로부터 제조되는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김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232A (ko) * 1998-04-03 1999-11-05 남승우 콜레스테롤 저하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피엠오08(케이에프씨씨-11028)미생물
KR20030077895A (ko) * 2002-03-27 2003-10-04 (주) 피엘바이오 김치에서 분리된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부착과성장억제성능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R20040017099A (ko) * 2002-08-20 2004-02-2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내산성, 내담즙성 및 항생제 내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232A (ko) * 1998-04-03 1999-11-05 남승우 콜레스테롤 저하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피엠오08(케이에프씨씨-11028)미생물
KR20030077895A (ko) * 2002-03-27 2003-10-04 (주) 피엘바이오 김치에서 분리된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부착과성장억제성능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R20040017099A (ko) * 2002-08-20 2004-02-2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내산성, 내담즙성 및 항생제 내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561B1 (ko) 2010-12-09 2013-03-21 주식회사 제일바이오 항바이러스 및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lp-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생균제
KR101274467B1 (ko) * 2011-08-10 2013-06-17 (주)케비젠 유해세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jbmi f5 균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3828B1 (ko) 2007-07-30
KR20060080130A (ko) 2006-07-07
KR20070026710A (ko)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3828B1 (ko) 항균 활성이 있는 신규 화합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제품
Ogunbanwo et al. Influence of cultural conditions on the production of bacteriocin by Lactobacillus brevis OG1
Ryu et al.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fungal compounds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HD1 isolated from kimchi
JP6709208B2 (ja) 新規ラクトバチルス株及びその使用
Yang et al. Purification of a new antifungal compound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AF1 isolated from kimchi
Gautam et al. Bacteriocin: safest approach to preserve food products
Chuah et al. Physio-chemical,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tempoyak and molecular characteris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tempoyak
Kwon et al. Bacteriocin produced by Pediococcus sp. in kimchi and its characteristics
JP2514118B2 (ja) バクテリオシンとバクテリオシンを用いる細菌抑制法
AU2005233240A1 (en) Method for reducing the content of pathogenic organisms present in food materials
Girma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ermented Ethiopian traditional dairy products against food spoilage and pathogenic bacterial strains
Fan et al. Fermentation and biopreservation of plant-based foods with lactic acid bacteria
Indira et al. Biopreservative potential of marine Lactobacillus spp
Kaur et al.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ediococcus pentosaceus LB44 and Weissella confusa LM85 for the presence of bacteriocin-like inhibitory substances (BLIS)
Meera et al. Partial characterization and optimization of parameters for Bacteriocin production by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Muhialdin et al. Biopreservation of food by lactic acid bacteria against spoilage fungi
Powell Bacteriocins and bacteriocin producers present in kefir and kefir grains
Mojgani et al.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s produced by Lactobacillus brevis NM 24 and L. fermentum NM 332 isolated from green olives in Iran
CA2238559A1 (en) Selective bactericide against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KR101302465B1 (ko)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및 상기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식품
KR100509558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j9 및 이의 용도
KR101256727B1 (ko)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신규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Mahmood et al. Optimiz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bulgaricus-TLBFT06 isolated from Dahi
Deshmukh et al. Detection of antimicrobial efficacy of novel bacteriocin produced from Lactobacillus similis RL7
Gurumayum et al. Bacteriocins: Biosynthesis, production, purification, and its potential applications in food and human heal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