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0233A - 경화 입출금기 - Google Patents

경화 입출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0233A
KR20090030233A KR1020080091503A KR20080091503A KR20090030233A KR 20090030233 A KR20090030233 A KR 20090030233A KR 1020080091503 A KR1020080091503 A KR 1020080091503A KR 20080091503 A KR20080091503 A KR 20080091503A KR 20090030233 A KR20090030233 A KR 20090030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passage
hardening
reject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3009B1 (ko
Inventor
아쓰시 나가세
게이타 도야마
게이타 이토
Original Assignee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42644A external-priority patent/JP510310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42645A external-priority patent/JP5103110B2/ja
Application filed by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0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07D1/02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4Apparatus driven under control of coin-sensing el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2Change tra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금 동작중에 에러 정지한 경우, 통로상에 잔류하는 경화를 자동 반환할 수 있는 경화 입출금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입금 동작중은, 입금용 반송수단(36)에 의해 통로상의 경화를 입금 반송방향으로 반송한다. 입금 동작중에 에러 정지한 경우, 입금용 반송수단(36)에 의해 통로상의 경화를 입금 반송방향에 대해서 역전하는 역전 반송방향으로 반송하여, 분류통로(34)의 1매의 경화를 리젝트부(58)로부터 상류측으로 반송한다. 그 후, 입금용 반송수단(36)에 의해 통로상의 경화를 입금 반송방향으로 반송하는 것과 함께 리젝트부(58)에서 배제한다. 입금용 반송수단(36)에 의해 통로상의 경화를 입금 반송방향과 역전 반송방향으로 교대로 반송시키면서, 분류통로(34)의 경화를 1매씩 리젝트부(58)에서 배제한다. 리젝트부(58)에서 배제한 경화를 출금용 반송수단(39)에 의해 경화 출금구(20)로 반환한다.

Description

경화 입출금기{COIN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본 발명은, 경화를 입출금 처리하는 경화 입출금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점포에 있어서는 금전 출납기에서, 금융기관에 있어서는 창구 등에서, 각각 오퍼레이터와 고객과의 현금의 주고받음을 정확하고 신속히 실시할 수 있도록, POS 레지스터나 전자식 금전 등록기, 및 입출금 관리기등의 출납기기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자동적으로 경화의 입금이나 출금이 가능한 경화 입출금기가 있다.
이러한 경화 입출금기에서는, 입금 처리시에, 경화 투입구에 투입된 경화를 1매씩 식별통로에 차례차례 내보내 식별부에서 식별하고, 리젝트 경화는 리젝트부에서 배제하고, 또한, 정상으로 식별된 경화는 분류통로에 반송하여 돈의 종류별로 분류하여 돈의 종류별의 수납투출부에 수납하고 있다. 또한, 출금 처리시에는, 출금 해당 돈의 종류의 각 수납투출부로부터 투출된 경화를, 출금용 반송수단에 받아 들여 경화 출금구에 지불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2001-43449호(제 5-7페이지, 도 1∼2)
그러나, 입금 처리중에, 분류통로에서 경화가 분류해야 할 돈의 종류의 위치에서 분류되지 않고 그 위치를 통과해 버리는 분류 미스 등이 검지된 경우, 입금 처리를 에러 정지한다. 이 에러 정지에서는, 통로상의 경화의 반송을 즉시 정지하기 때문에, 통로상에 복수의 경화가 잔류한다.
에러 정지한 경우에는, 오퍼레이터가 기체를 열고, 통로상에 잔류하는 모든 경화를 1매씩 오퍼레이터의 손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어, 에러 해제에 시간이 걸리는 것과 함께, 오퍼레이터의 손으로 경화를 제거할 때에, 경화를 외부에 떨어뜨리거나, 수납투출부에 떨어뜨려 버린다고 하는 해제 미스에 의해, 재고 불일치가 발생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입금 동작중에 에러 정지한 경우, 통로상에 잔류하는 경화를 수동으로 제거할 필요가 없고, 에러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수동으로, 에러 해제할 때의 해제 미스에 의한 재고 불일치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경화 입출금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 기재의 경화 입출금기는, 경화 투입구에 투입된 경화를 1매씩 차례차례 내보내는 조출기구와, 이 조출기구로부터 차례차례 내보내진 경화를 식별하는 식별부를 갖는 식별통로와, 이 식별통로에 이어져 배치되어, 상기 식별부에서 리젝 트 경화로 식별된 리젝트 경화를 배출하는 리젝트부를 갖는 배제통로와, 이 배제통로에 이어져 배치되어, 경화를 분류하는 분류통로와, 이들 식별통로, 배제통로 및 분류통로의 순서가 되는 입금 반송방향, 및 입금 반송방향에 대해서 역전하는 역전 반송방향으로 경화를 반송 가능하게 하는 입금용 반송수단과, 상기 분류통로의 아래쪽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분류통로에서 돈의 종류별로 분류된 경화를 수납하는 것과 함께, 수납된 경화를 투출 가능하게 하는 돈의 종류별의 수납투출부와, 이 수납투출부로부터 투출된 경화를 경화 출금구로 반송하는 출금용 반송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경화 입출금기에 있어서, 입금 동작중에 에러 정지한 경우, 상기 분류통로에 잔류하는 경화를 상기 입금용 반송수단, 상기 리젝트부 및 상기 출금용 반송수단에 의해 상기 경화 출금구로 반환하는 자동 복구 제어를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청구항 2 기재의 경화 입출금기는, 청구항 1 기재의 경화 입출금기에 있어서, 에러 정지의 리셋을 지시하는 리셋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리셋수단에 의한 에러 정지의 리셋에 의해, 자동 복구 제어를 하는 것이다.
청구항 3 기재의 경화 입출금기는, 청구항 1 기재의 경화 입출금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자동 복구 제어 후에, 상기 경화 출금구로의 반환분의 경화를 리젝트 경화의 취급으로 하여, 입금 동작을 자동 재개시키는 것이다.
청구항 4 기재의 경화 입출금기는, 청구항 1 기재의 경화 입출금기에 있어서, 상기 리젝트부는, 상기 입금용 반송수단으로 입금 반송방향 및 역전 반송방향으로 각각 반송하는 경화를 배출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자동 복구 제어시에, 상기 입금용 반송수단의 역전 반송방향으로의 역전만으로 경화를 상기 리젝트부로부터 배제시키는 것이다.
청구항 1 기재의 경화 입출금기에 의하면, 입금 동작중에 에러 정지한 경우, 자동 복구 제어에 의해, 분류통로에 잔류하는 경화를 입금용 반송수단, 리젝트부 및 출금용 반송수단에 의해 경화 출금구로 반환할 수 있기 때문에, 통로상에 잔류하는 경화를 수동으로 제거할 필요가 없고, 에러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수동으로, 에러 해제할 때의 해제 미스에 의한 재고 불일치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경화 입출금기에 의하면, 청구항 1 기재의 경화 입출금기의 효과에 더하여, 리셋수단으로 에러 정지의 리셋을 지시하는 것에 의해, 자동 복구 제어를 실시하게 할 수 있어, 간단한 조작으로 자동 복구시킬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경화 입출금기에 의하면, 청구항 1 기재의 경화 입출금기의 효과에 더하여, 자동 복구 제어 후에, 입금 동작을 자동 재개시킬 수 있고, 게다가, 경화 출금구로의 반환분의 경화를 리젝트 경화의 취급으로 하여, 재고 불일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경화 입출금기에 의하면, 청구항 1 기재의 경화 입출금기의 효과에 더하여, 자동 복구 제어시에, 입금용 반송수단의 역전 반송방향으로의 역전만으로, 분류통로에 잔류하는 경화를 리젝트부로부터 배제시킬 수 있어, 단시간으로 에러 해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경화 입출금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경화 입출금기는, 예를 들면, 점포의 금전 출납기에 있어서, POS 레지스터와 통신하여 경화의 입금이나 출금이 가능한 경화 입출금기이다.
경화 입출금기(11)는, 앞면을 개구한 기체(12)와 이 기체(12)의 앞면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하는 본체 유닛(13)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유닛(13)의 앞면을 따른 기체폭방향의 치수는, POS 레지스터에 대해서 대략 절반 정도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경화 입출금기(11)와 예를 들면 동일한 정도의 폭으로 형성된 지폐 입출금기를 조합하여 사용 가능하게 하고 있다.
기체(12)로부터 돌출하는 본체 유닛(13)의 앞부분 상면에는, 기체폭방향의 한쪽인 우측에 경화를 투입하는 경화 투입구(14)가 형성되고, 기체폭방향의 다른쪽인 좌측에 에러 정지시의 리셋을 지시하는 리셋수단으로서의 리셋버튼(15a)을 포함한 조작용이나 설정용의 버튼을 갖는 조작부(15) 및, 조작이나 설정 등에 관한 각종 표시를 하는 액정 표시기나 돈의 종류별의 경화 수납량을 표시하는 LED 표시기 등의 표시부(16)가 배치되어 있다. 경화 투입구(14)는 개폐 가능한 커버(17)에 개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유닛(13)의 앞면의 우측 하부에 출금 트레이(18)가 돌출설치되어, 이 출금 트레이(18)의 상면에 기내로부터 지불되는 경화가 경화 방출구(19)를 통해서 방출되는 경화 출금구(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출금 트레이(18)에는, 경 화 출금구(20)에 지불된 경화가 가득차게 되는 풀 상태를 광학적으로 검지하는 도시하지 않는 풀 검지 센서가 배치되어 있다.
경화 출금구(20)의 위쪽방향에 위치하는 본체 유닛(13)의 앞면부에는, 경화 출금구(20)에 지불된 출금 경화, 리젝트 경화, 에러 반환 경화 등의 경화의 취급 종류마다 다른 발광 형태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수단(21)이 배치되어 있다. 이 발광수단(21)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2색이 다른 색의 빛을 발광 가능하게 하는 발광부로서의 LED(22)를 구비하고, 이 LED(22)를 탑재한 기판(23)이 그 LED(22)를 경화 출금구(20)에 대향하도록 비스듬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과 함께 렌즈(24)로 덮여 있다. 이 렌즈(24)는, 경화 출금구(20)에 대향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경화 출금구(20) 전체 및 이 경화 출금구(20)에 지불된 경화(도면중에 부호 C로 나타내고, 이하 생략한다) 자체에 LED(22)로부터의 빛을 조사시키는 경화 출금구 조사용 렌즈부(25), 앞쪽방향에 대향하는 앞면에 형성되어 있고 LED(22)로부터의 빛을 앞쪽방향에 조사시키는 앞쪽방향 조사용 렌즈부(2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유닛(13)의 앞면의 좌측에는, 경화 입출금기(11)의 전원 스위치(27)나, 본체 유닛(13)을 기체(12)에 삽입한 상태에서 자물쇠를 채우는 자물쇠(28)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1에, 경화 입출금기의 내부구조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경화 입출금기(11)는, 앞부분에 기체 앞면을 따른 기체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조출기구(31), 이 조출기구(31)에 이어져 기체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식별통로(32)와 이 식별통로(32)에 이어져 기체 깊이방향으로 향하여 배치된 배제통로(33)와 이 배제통로(33)에 이어져 기체 깊이방향으로 향하여 배치된 분류통로(34)를 갖는 경화통로(35), 이 경화통로(35)내의 경화를 반송하는 입금용 반송수단(36), 조출기구(31)로부터 차례차례 내보내진 경화를 입금용 반송수단(36)에 1매씩 주고 받는 주고받음수단(37), 분류통로(34)의 아래쪽방향에 기체 깊이방향으로 향하여 병설된 종류별의 수납부로서의 돈의 종류별의 수납투출부(38), 및 이들 수납투출부(38)의 우측에서 기체 우측면을 따라서 전후방향에 배치된 출금용 반송수단(39)을 구비하고 있다.
조출기구(31)는, 경화 투입구(14)의 아래쪽방향에 이 경화 투입구(14)에 투입된 경화를 비정렬상태로 수수하는 수수부(42)를 갖고, 이 수수부(42)의 저면을 구성하는 조출벨트(43)가 기체폭방향을 따라서 배열설치되어 있다. 이 조출벨트(43)는, 무단형상의 평벨트로, 기체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향한 경화 조출방향으로 경화를 반송하는 것으로, 도시하지 않는 복수의 롤러에 의해서, 조출방향 상류측에 조출방향 하류측으로 향하여 상승 경사영역이 형성되도록 걸쳐져 있는 것과 함께, 조출방향 하류측에 수평영역이 형성되도록 걸쳐져 있다. 조출벨트(43)상에서의 통로폭은, 처리하는 경화 중 최대지름 경화보다 크고 최소지름 경화의 2매분보다 작은 치수로 규제되어 있다.
조출벨트(43)의 상승 경사영역의 위쪽방향에는, 경화가 두께 방향으로 1매만 통과할 수 있는 간격을 형성하여 역전롤러(44)가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역전롤러(44)는, 조출벨트(43)의 경화 조출방향에 대해서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조출 벨트(43)의 회전으로 경화 조출방향으로 차례차례 내보내지려고 하는 조출벨트(43)상의 비정렬상태의 경화를 1층 1열로 정렬시켜 차례차례 내보내게 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출벨트(43)의 조출방향 하류측의 수평영역의 위쪽방향에는, 조출벨트(43)와의 사이에 경화가 두께방향 1매만 들어갈 수 있는 간격을 형성하여 규제부재(45)가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규제부재(45)의 아래쪽에, 조출벨트(43)상의 경화의 둘레가장자리가 접촉하여 그 경화를 식별통로(32)의 시단측으로 이끄는 가이드부(46)가 배치되어 있고, 식별통로(32)의 시단측에게의 조출위치에 임하는 가이드부(46)의 부분은, 식별통로(32)로 차례차례 내보내지는 경화를 통로 안쪽에 옆으로 붙이는 옆붙임 레버(47)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옆붙임 레버(47)는, 주고받음수단(37)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축(47a)을 지점으로 하여 통로 안팎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하는 것과 함께, 도시하지 않는 부세수단으로서의 용수철로 통로 안쪽으로 향하여 요동하도록 힘이 가해져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화통로(35)는, 식별통로(32), 배제통로(33) 및 분류통로(34)에 걸쳐서, 경화의 한 면이 접하는 수평면으로 구성되는 통로면(50), 및 이 통로면(50)의 양측에서 경화의 둘레가장자리를 가이드하는 양측의 통로 측면 가이드(51)를 가지고 있다. 양측의 통로 측면 가이드(51)의 대향폭인 통로폭은, 처리하는 경화 중 최대지름 경화보다 크고 최소지름 경화의 2매분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식별통로(32)는, 조출기구(31)의 조출위치에 접속되는 시단부로부터 우측방향으로 꺾는 제 1 꺾음 통로부(53)를 사이에 두고, 조출기구(31)의 안쪽에서 이 조 출기구(31)의 조출벨트(43)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식별통로(32)에는, 경화의 재질, 지름 등을 검지하여 돈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부(54)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꺾음 통로부(53)에는, 식별부(54)에서의 경화의 식별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경화를 통로폭방향 한쪽에 옆으로 붙이는 옆붙임 레버(55)가 요동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과 함께 통로 안쪽으로 향하여 요동하도록 힘이 가해져 있다.
또한, 배제통로(33)는, 식별통로(32)에 이어져 기체 좌측방향으로 향하여 꺾는 제 2 꺾음 통로부(57)에 형성되어 있고, 식별부(54)에서의 식별의 결과, 리젝트 경화로 식별된 리젝트 경화를 배제하는 리젝트부(58)가 배치되어 있다. 이 리젝트부(58)에는, 통로면(50)으로부터 제 2 꺾음 통로부(57)의 바깥둘레측의 통로 측면 가이드(51)의 부분에 걸쳐서 경화를 분기 가능하게 하는 크기의 리젝트구멍(59)이 형성되고, 이 리젝트구멍(59)에 통로면(50)으로부터 제 2 꺾음 통로부(57)의 바깥둘레측의 통로 측면 가이드(51)의 일부를 겸용하는 리젝트게이트(60)가 배치되어 있다. 이 리젝트게이트(60)는, 기체 뒷부분측을 지점으로 하여, 통로 위쪽방향으로 요동하여 식별통로(32)측으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리젝트 경화를 리젝트구멍(59)으로부터 배제하는 개방위치와 리젝트구멍(59)을 폐색하여 식별통로(32)와 분류통로(34)와의 사이에서의 경화의 통과를 허용하는 폐색위치와의 사이에서 개폐 가능하게 하여, 도시하지 않는 솔레노이드나 모터 등의 전기적 구동수단에 의해서 개폐 구동된다.
제 2 꺾음 통로부(57)에는, 리젝트부(58)에서의 리젝트 경화의 배제를 확실 히 실시하기 위해서, 경화를 통로폭방향 한쪽에 옆으로 붙이는 옆붙임 레버(61)가 축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과 함께 통로 안쪽으로 향하여 요동하도록 힘이 가해져 있다.
리젝트부(58)로부터 경화의 입금 반송방향{식별통로(32), 배제통로(33) 및 분류통로(34)의 순서가 되는 방향}의 하류측에는, 경화의 통과를 검지하는 경화 검지센서(6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젝트부(58)의 리젝트구멍(59)의 아래쪽방향에는, 리젝트상자(64)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리젝트상자 장착부(65)가 형성되어 있다.
리젝트상자(64)는, 상면을 개구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기체(12)로부터 본체 유닛(13)을 앞쪽방향으로 끌어낸 상태로, 리젝트상자 장착부(65)의 측면에 개구 형성된 탈착구(66)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탈착구(66)는, 뚜껑(67)에 의해서 개폐 조작 가능하게 하고 있다.
리젝트상자 장착부(65)는, 리젝트상자(64)의 앞끝단 가장자리부를 지탱하는 앞쪽 지탱부(68), 및 리젝트상자(64)의 뒷부분 하면을 지탱하는 뒤쪽 지탱부(69)를 갖고, 이들 앞쪽 지탱부(68)와 뒤쪽 지탱부(69)와의 사이가 아래쪽방향으로 개구되어, 그 아래쪽방향으로 출금용 반송수단(39)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리젝트부(58)의 리젝트구멍(59)의 아래쪽방향에 출금용 반송수단(39)이 배치되어, 이들 리젝트부(58)의 리젝트구멍(59)과 출금용 반송수단(39)과의 사이에 리젝트상자(64)가 탈착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젝트상자(64)를 리젝트상자 장착부(65)에 장착하지 않는 것에 의해, 리젝트부(58)로부터 배제된 리젝트 경화를 출금용 반송수단(39)에 받아 경화 출금구(20)에 지불하는 운용 방법이 되어, 또한,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젝트상자(64)를 리젝트상자 장착부(65)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리젝트부(58)로부터 배제된 리젝트 경화를 리젝트상자(64)에 수납하는 운용 방법이 된다.
리젝트상자 장착부(65)에는, 리젝트상자(64)의 장착의 유무를 검지하는 리젝트상자 검지수단(7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류통로(34)는, 배제통로(33)로부터 기체 좌측방향으로 향하는 접속 통로부(73), 및 이 접속 통로부(73)로부터 기체 뒤쪽방향으로 향하는 방향 변환 통로부(74)를 사이에 두고, 기체 깊이 방향으로 향하여 수납투출부(38)상의 좌측영역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돈의 종류별의 수납투출부(38)의 위쪽방향 위치에 대응한 돈의 종류별의 분류 위치에 경화를 돈의 종류별로 분류하여 각 수납투출부(38)에 수납시키는 돈의 종류별의 분류부(75)가 배치되어 있다. 분류부(75)에서 분류하는 돈의 종류는, 입금 반송방향 상류측으로부터 예를 들면 500엔, 100엔, 50엔, 10엔, 5엔, 1엔의 순서로 설정되어 있다. 각 분류부(75)에는, 통로면(50)에 경화가 낙하하는 분류구멍(76)이 개구 형성되고 있는 것과 함께, 입금 반송방향 최하류부의 분류구멍(76)을 제외하는 각 분류구멍(76)에 각 분류구멍(76)을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분류 게이트(77)가 배치되어 있다. 각 분류 게이트(77)는, 입금 반송방향 하류측을 지점으로 하여, 통로 위쪽방향으로 요 동하여 분류통로(34)의 입금 반송방향 상류측으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경화를 분류구멍(76)에 낙하시키는 개방 위치와 분류구멍(76)을 폐색하여 분류통로(34)의 입금 반송방향 하류측으로의 경화의 통과를 허용하는 폐색 위치와의 사이에서 개폐 가능하게 하고, 도시하지 않는 솔레노이드나 모터 등의 전기적 구동수단에 의해서 개폐 구동된다. 입금 반송방향 최하류부의 분류구멍(76)에는, 분류 게이트가 배치되지 않고, 반송되어 온 경화가 전부 낙하하도록 개구상태로 되어 있다. 이하, 입금 반송방향 최하류부의 분류구멍(76)을 개구상태 분류구멍(76a)이라고 부른다.
방향 변환 통로부(74)에는, 각 분류부(75)에서의 경화의 분기를 확실히 실시하기 위해서, 경화를 통로폭방향 한쪽에 옆으로 붙이는 옆붙임 레버(78)가 축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과 함께 통로 안쪽으로 향하여 요동하도록 힘이 가해져 있다.
분류통로(34)의 각 분류부(75)의 입금 반송방향 상류측에는, 분류 게이트(77)의 개폐 타이밍을 취하거나 각 수납투출부(38)로의 경화의 분류를 확인하기 위해서, 반송하는 경화를 검지하는 경화 검지센서(79)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입금용 반송수단(36)은, 연직 방향의 축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된 복수의 회전체로서의 풀리(82)에 의해서, 식별통로(32), 배제통로(33) 및 분류통로(34)의 통로폭방향 중앙영역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회전운동하도록 반송체로서의 반송벨트(83)가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반송벨트(83)는, 예를 들면 안둘레에 복수의 톱니를 갖는 타이밍 벨트가 이용되어, 이 경우, 풀리(82)에도, 둘레면에 복수의 톱니를 갖는 타이밍 풀리가 이용된다. 복수의 풀리(82)로 지지된 반송벨트(83)와 통로면(50)과의 간격은, 처리하는 경화 중 최대두 께 경화의 두께보다 넓은 치수로 유지되어 있다.
반송벨트(83)에는, 아래쪽으로 향하여 돌출하여 통로내의 경화를 1매씩 밀어 이동 반송하는 돌기부(84)(도 5 참조)가, 경화를 1매씩 분리하여 반송 가능하게 하는 소정의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84)와 통로면(50)과의 간격은, 처리하는 최소 두께 경화의 두께보다 작은 치수로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입금용 반송수단(36)은, 식별통로(32), 배제통로(33) 및 분류통로(34)의 순서가 되는 입금 반송방향, 및 입금 반송방향에 대해서 역전하는 역전 반송방향으로 경화를 반송 가능하게 한다.
또한, 주고받음수단(37)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출기구(31)로부터 차례차례 내보내지는 경화를 식별통로(32)에 받아들이는 식별통로(32)의 시단부에 배치되어, 조출벨트(43)상으로부터 식별통로(32)에 경화를 안내하는 옆붙임 레버(47)와, 이 옆붙임 레버(47)에 대해서 통로폭방향의 반대측의 위치에 연직방향의 축(87a)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된 원형상의 캠(87)을 가지고 있다. 이 캠(87)은, 도시하지 않는 예를 들면 펄스 모터 등의 전기적 구동수단에 의해서 경화의 주고받음 회전방향(도면중 시계회전방향) 또는 역전방향(도면중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캠(87)의 하면에는, 둘레가장자리부의 원둘레상의 대칭위치에, 한 쌍의 돌출부(88)가 아래쪽방향으로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이들 돌출부(88) 사이에 한 쌍의 홈부(89)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88)와 통로면(50)과의 간격은 경화가 진입할 수 없는 치수로 형성되고, 홈부(89)와 통로면(50)과의 간격 및 한 쌍의 돌출부(88) 사이의 홈부(89)의 폭은 각각 경화 1매가 진입할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88)의 주고받음 회전방향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는, 조출기구(31)로부터 차례차례 내보내져 홈부(89)내에 진입한 경화의 둘레가장자리를 밀어 그 경화를 반송벨트(83)의 돌기부(84)에 주고 받는 압출부(88a)로서 구성되고, 또한, 각 돌출부(88)의 주고받음 회전방향에 대해서 반대방향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 및 각 돌출부(88)의 바깥둘레면은, 주고 받는 경화에 대해서 후속의 경화를 다음의 주고받음 타이밍까지 분리하여 정지해 두는 억제부(88b)로서 구성되어 있다.
조출기구(31)의 조출벨트(43)의 측부 위치에는, 조출기구(31)로부터 식별통로(32)로 차례차례 내보내지는 경화를 검지하는 경화 검지센서(9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87)은, 조출기구(31)로부터 식별통로(32)로 차례차례 내보내지는 경화가 캠(87)의 한쪽의 홈부(89)에 진입하여 한쪽의 억제부(88b)에 접촉한 상태로 정지하는 위치를 정(定)위치로 하고, 반송벨트(83)의 돌기부(84)의 위치에 따라서 그 돌기부(84)에 경화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타이밍으로 주고받음 회전방향(도면중 시계회전방향)으로 180° 회전운동하고, 한쪽의 홈부(89)내의 경화를 식별통로(32)에 차례차례 내보낸다. 조출기구(31)로부터의 후속의 경화는 캠(87)의 다른쪽의 홈부(89)에 진입하고 다른쪽의 억제부(88b)에 접촉한 상태에서 정지하는 위치, 즉 다음의 정위치에서 정지하고, 다음의 주고받음 동작에 대기한다.
이 때, 도 5(a)에 나타내는 정위치로부터 도 5(b)와 같이 캠(87)이 회전운동하면,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87)의 압출부(88a)가 경화에 접촉하여 옆붙임 레버(47)와의 사이에 끼워 넣고, 캠(87)에서 경화를 사이에 두고 밀리는 옆붙임 레버(47)가 힘을 가함에 저항하여 통로 바깥쪽방향으로 요동하지만, 캠(87)이 정위치로부터 일정량 회전운동한 위치에서 캠(87)의 회전운동을 소정시간 일시 정지하는 것에 의해, 도 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옆붙임 레버(47)의 힘을 가함에 의해 경화를 캠(87)의 홈부(89)내에 밀어넣는다.
소정시간의 일시정지 후, 캠(87)의 회전운동이 재개되어 홈부(89)내에 밀어넣어진 경화를 식별통로(32)에 차례차례 내보내, 캠(87)이 180° 회전운동한 정위치에서 정지한다.
취급 경화가 예를 들면 최대지름 경화의 500엔으로부터 최소지름 경화의 1엔의 경우, 캠(87)의 홈부(89)는 최대지름 경화가 비집고 들어가기 가능한 치수로 형성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옆붙임 레버(47)가 아니라, 도 5(c)에 나타내는 옆붙임 레버(47)의 위치에 고정 가이드를 설치한 것만으로는, 캠(87)의 홈부(89)내에 최소지름 경화의 1엔이 2매 비집고 들어가, 이들 2매의 최소지름 경화의 1엔을 고정 가이드와의 사이에 맞물려 넣어 캠(87)이 잠글 우려가 있다. 그것에 대하여, 옆붙임 레버(47)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캠(87)의 홈부(89)내에 비집고 들어가는 경화를 최소지름 경화의 1엔이라도 1매로만 제한하고, 또한, 캠(87)을 회전운동 도중에 일시정지시키는 것에 의해, 옆붙임 레버(47)로 경화를 캠(87)의 홈부(89)내에 확실히 밀어넣어, 경화를 차례차례 내보낼 수 있어, 따라서, 경화의 맞물려 넣음을 방지할 수 있어서, 안정된 경화의 차례차례 내보냄을 할 수 있다.
또한, 돈의 종류별의 수납투출부(38)는, 분류통로(34)에서의 분류부(75)에서, 분류하는 돈의 종류에 대응하여, 기체 앞쪽으로부터 500엔, 100엔, 50엔, 10엔, 5엔, 1엔의 순서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류통로(34)에서 분류되어 낙하하는 경화를 비정렬상태로 수납하는 수납부(93)를 갖고, 이 수납부(93)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투출벨트(94)가 기체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투출벨트(94)는, 무단형상의 평벨트로, 수평방향의 축에서 축으로 지지된 양 끝단의 롤러(95,96)를 포함한 복수의 롤러에 의해서 투출방향 상류측인 좌측으로부터 하류측인 우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승 경사지도록 매달아져 있다.
투출벨트(94)의 경화 투출방향의 끝단부 위쪽방향에, 경화가 1매만 통과할 수 있는 간격을 형성하여 역전롤러(97)가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역전롤러(97)는, 투출벨트(94)의 경화 투출방향에 대해서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투출벨트(94)의 회전으로 경화 투출방향으로 투출되려고 하는 투출벨트(94)상의 비정렬상태의 경화를 1층 1열로 정렬시켜 투출시킨다.
투출벨트(94)의 역전롤러(97)로부터 투출방향의 끝단부측에는, 투출벨트(94)의 끝단부로부터 투출되는 경화의 투출 매수를 검지하기 위한 투출 검지수단(98), 및 필요 매수 분의 경화를 투출한 시점에서 후속의 경화의 투출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스토퍼(99)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출금용 반송수단(39)은, 도 1, 도 2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든 수납투출부(38)의 경화 투출방향의 측부에 전후방향을 따라서 팽팽하게 설치된 출금 반송벨트(102)를 갖고, 각 수납투출부(38)로부터 투출되는 경화를 출금 반송벨트(102)상에 실어 앞쪽방향으로 반송한다. 이 출금 반송벨트(102)의 출금 반송방향의 앞끝단부 위쪽방향에, 경화가 1매만 통과할 수 있는 간격을 형성하여 역전롤러(103)가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역전롤러(103)는, 출금 반송벨트(102)의 출금 반송방향에 대해서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출금 반송벨트(102)의 회전으로 앞쪽방향으로 차례차례 내보내지려고 하는 출금 반송벨트(102)상의 비정렬상태의 경화를 1층 1열로 정렬시켜 차례차례 내보내게 한다.
출금 반송벨트(102)의 앞끝단부와 경화 출금구(20)와의 사이에 통로판(104)이 배치되어, 이 통로판(104)상에 출금 반송벨트(102)로 차례차례 내보내지는 경화를 반송하여 경화 출금구(20)에 방출하는 방출벨트(105)가 배치되어 있다.
출금용 반송수단(39)에는, 경화 출금구(20)에 지불하는 경화의 지불 매수를 검지하기 위한 지불 검지수단(106)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류통로(34)의 입금 반송방향 최하류부의 개구상태 분류구멍(76a)의 위치에는, 입금처리가 실시되는 통상 처리시는 개구상태 분류구멍(76a)을 개구상태로 유지하고, 적어도 입금 처리중의 에러 해제 처리시는 개구상태 분류구멍(76a)으로의 경화의 낙하를 저지하는 폐색 상태로 하는 셔터기구(1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셔터기구(111)는, 통로면(50)의 아래쪽에서, 분류통로(34)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기체(12)로부터 앞쪽방향으로의 본체 유닛(13)의 인출방향에 교차하는 방 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셔터(1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셔터(112)에는, 개구상태 분류구멍(76a)을 개구하는 개구부(113)와 개구상태 분류구멍(76a)을 폐색하는 폐색부(114)가 슬라이드 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다. 셔터(112)에는, 이 셔터(112)의 슬라이드 방향의 한쪽으로서 기체(12)의 일측부의 방향으로 향하여 힘을 가하는 부세수단으로서의 인장 용수철(115)이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유닛(13)을 기체(12)에 수납한 상태에서는, 셔터(112)가 인장 용수철(115)의 가하는 힘으로, 기체(12)의 일측부의 내벽면에 접촉하는 분류구멍 개방위치에 위치하고, 이 셔터(112)의 분류구멍 개방 위치에서 개구부(113)가 개구상태 분류구멍(76a)에 겹쳐져 개구상태 분류구멍(76a)을 개구한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유닛(13)을 기체(12)로부터 끌어낸 상태에서는, 셔터(112)가 인장 용수철(115)이 가하는 힘에 의해서 본체 유닛(13) 및 기체(12)의 일측부보다 바깥쪽방향으로 돌출하는 분류구멍 폐색 위치로 이동하여 도시하지 않는 스토퍼에 의해 정지하고, 이 셔터(112)의 분류구멍 폐색 위치에서, 폐색부(114)가 개구상태 분류구멍(76a)에 겹쳐져 개구상태 분류구멍(76a)을 폐색한다.
셔터(112)에는, 기체(12)로부터 끌어낸 본체 유닛(13)을 기체(12)내에 수납할 때에, 기체(12)의 일측부 앞끝단에 접촉하여 셔터(112)가 기체(12)내에 수납되도록 셔터(112)를 분류구멍 폐색 위치로부터 분류구멍 개방 위치에 슬라이드시키는 가이드면(1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유닛(13)내에는, POS 레지스터와 통신하여 경화 입출금기(11)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21)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어수단(121)은, 식별부(54)에서의 식별 및 각 경화 검지센서(62,79)에서의 검지에 기초하여 경화통로(35)상의 경화의 위치를 특정하여, 경화를 해당하는 돈의 종류의 분류부(75)에서 분류시키는 분류 제어수단의 기능, 식별부(54)에서의 식별 및 각 경화 검지센서(62,79)에서의 검지와 각 투출 검지수단(98)에서의 검지에 기초하여 돈의 종류별의 각 수납투출부(38)에 수납되어 있는 경화의 수납 매수를 검지하는 수납 매수 검지수단 즉 재고를 검지하는 재고 검지수단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어수단(121)은, 입금 처리시 및 보충처리시의 경화의 입금 동작중에 각 경화 검지센서(79)에서의 검지에 기초하여 분류 미스 등이 검지된 경우에 조출기구(31)에 의한 조출동작 및 입금용 반송수단(36)에 의한 반송동작을 포함한 입금 동작을 정지시키는 에러 정지 수단의 기능, 이 에러 정지한 경우에, 분류통로(34)에 잔류하는 경화를 입금용 반송수단(36), 리젝트부(58) 및 출금용 반송수단(39)에 의해 경화 출금구(20)로 반환하는 자동 복구 제어를 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리셋버튼(15a)에 의한 에러 정지의 리셋에 의해, 자동 복구 제어를 개시하는 기능, 자동 복구 제어 후에, 경화 출금구(20)로의 반환분의 경화를 리젝트 경화의 취급으로 하여, 입금 동작을 자동 재개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경화 입출금기(11)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입금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리젝트상자(64)는 리젝트상자 장착부(65)에 장착되지 않고, 리 젝트부(58)로부터 분기된 리젝트 경화를 출금용 반송수단(39)에 받아 경화 출금구(20)에 지불하는 운용 방법으로 하고 있다.
입금 경화가 경화 투입구(14)로부터 조출기구(31)에 투입되어, 이 조출기구(31)의 도시하지 않는 경화 검지센서로 조출벨트(43)상에 경화가 투입된 것을 검지하는 것에 의해, 조출기구(31)를 동작시키는 것과 함께 반송벨트(83)를 회전운동시켜 입금 동작을 개시한다.
조출기구(31)에서는, 조출벨트(43)를 회전시키는 것과 함께 역전롤러(44)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출벨트(43)상의 비정렬상태의 경화를 1층 1열로 정렬시켜 주고받음수단(37)에 차례차례 내보낸다. 주고받음수단(37)에서는, 상술한 옆붙임 레버(47)와 캠(87)과의 동작에 의해, 조출기구(31)로부터 차례차례 내보내진 경화를 1매씩 식별통로(32)내에 보내 회전운동하고 있는 반송벨트(83)의 각 돌기부(84)에 주고 받는다.
또한, 식별통로(32)내에서는, 주고받음수단(37)에 의해서 주고 받아진 경화를 반송벨트(83)의 돌기부(84)로 밀어 이동 반송하여, 식별부(54)에서 식별한다.
식별의 결과, 적정한 경화로 식별된 경화는, 배제통로(33)의 리젝트부(58)를 통과하여 분류통로(34)에 반송한다. 분류통로(34)에서는, 식별부(54), 경화 검지센서(62), 경화 검지센서(79)에서의 각 검지와 반송벨트(83)에 의한 경화의 반송거리에 기초하여, 경화의 반송위치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식별부(54)에서 돈의 종류가 식별된 경화를 해당하는 돈의 종류의 분류 게이트(77)로 분류하여, 해당하는 돈의 종류의 수납투출부(38)에 수납시킨다.
이 때,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유닛(13)은 기체(12)내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셔터기구(111)의 셔터(112)는 분류구멍 개방 위치에 있어서 개구부(113)가 개구상태 분류구멍(76a)에 겹쳐져, 개구상태 분류구멍(76a)이 개구상태에 있기 때문에, 개구상태 분류구멍(76a)에 반송되어 온 경화 즉 1엔 경화를 낙하시켜, 1엔 경화용의 수납투출부(38)에 수납시킨다.
또한, 식별의 결과, 식별 불능등의 리젝트 경화는, 배제통로(33)의 리젝트부(58)에 도달할 때에, 리젝트게이트(60)에서 리젝트구멍(59)으로부터 배제한다.
이 때, 리젝트상자(64)를 장착하고 있지 않는 운용 방법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리젝트게이트(60)에서 리젝트구멍(59)으로부터 배제된 리젝트 경화는 출금 반송벨트(102)상에 직접 낙하한다. 그리고, 출금 반송벨트(102)를 회전운동시키는 것과 함께 역전롤러(10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출금 반송벨트(102)상의 리젝트 경화를 1매씩 통로판(104)상에 차례차례 내보내, 방출벨트(105)에 의해서 경화 출금구(20)에 지불한다. 또한, 조출기구(31)에서 경화를 검지하지 않게 되어 식별부(54)에서도 소정시간 검지하지 않으면, 발광수단(21)의 LED(22)를 적색 점등시켜, 경화 출금구(20)에 리젝트 경화를 지불한 것을 알린다.
또한, 입금 처리중에, 예를 들면 어느 돈의 종류의 경화를 해당 돈의 종류의 분류부(75)의 분류 게이트(77)에서 분기하지 못하고, 해당 돈의 종류의 분류부(75)로부터 입금 반송방향 하류측으로 반송되어 그 입금 반송방향 하류측의 경화 검지센서(79)에서 해당 경화를 검지한 경우, 분류 미스가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입금동작을 즉시 에러 정지시킨다.
에러 정지한 상태를 예를 들면 도 1의 상태로 한 경우, 식별통로(32)에 경화(C1,C2)가 잔류하여, 분류통로(34){접속 통로부(73) 및 방향 변환 통로부(74)도 포함한다}에 경화(C3,C4,C5,C6)가 잔류하고 있다. 이들 경화(C1∼C6)의 통로상에서의 위치는, 각 경화 검지센서(62,79,90)에 의한 검지에 기초하여 파악하고 있다.
에러 정지한 것을 표시부(16) 등으로 표시하여, 이것을 확인한 오퍼레이터가 리셋버튼(15a)을 아래로 누르는 것에 의해, 자동 복구 제어를 개시한다.
자동 복구 제어에서는, 제 1 복구 제어 동작과 제 2 복구 제어 동작을 교대로 실시한다. 우선, 제 1 복구 제어 동작에서는, 반송벨트(83)를 역전시켜 역전 반송방향으로 회전운동시켜, 통로상의 경화(C1∼C6)를 역전 반송방향으로 반송하여, 분류통로(34)의 가장 상류 위치에 있는 경화(C3)를, 경화 검지센서(62)로 검지한 시점으로부터, 그 경화(C3)가 리젝트부(58)의 위치를 통과하는데 필요한 소정량만큼 반송시킨 부분에서 반송벨트(83)의 회전운동을 정지시킨다.
그 후, 제 2 복구 제어 동작에 의해, 리젝트부(58)의 리젝트게이트(60)를 열고, 반송벨트(83)를 입금 반송방향으로 회전운동시켜, 통로상의 경화(C1∼C6)를 입금 반송방향으로 반송하여, 경화(C3)를 리젝트부(58)에서 배제하고, 경화(C3)를 리젝트부(58)에서 배제하는데 필요한 소정량만큼 반송시킨 부분에서 반송벨트(83)의 회전운동을 정지시켜, 리젝트게이트(60)를 닫는다.
마찬가지로 하여, 제 1 복구 제어 동작과 제 2 복구 제어 동작을 교대로 실시하여, 경화(C4,C5,C6)를 1매씩 순서대로 리젝트부(58)로부터 배제한다.
리젝트부(58)로부터 차례차례 배제한 경화(C3∼C6)를 출금 반송벨트(102) 및 방출벨트(105)에 의해서 경화 출금구(20)에 지불하여 에러 반환 경화로 하여 반환한다. 이 때, 지불 검지수단(106)으로 경화 출금구(20)에 지불한 경화의 매수를 카운트한다.
한편, 자동 복구 제어의 개시시에 있어서, 반송벨트(83)를 역전시켜 역전 반송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기 전에, 주고받음수단(37)의 캠(87)을, 역전 반송방향으로 반송되어 오는 경화(C1)를 홈부(89)에 넣기 가능하게 하는 역전 정위치에 회전운동시켜, 캠(87)을 회전운동시키는 모터의 여자를 오프 하고, 캠(87)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로 한다.
제 1 회째 또는 수회째의 제 1 복구 제어 동작에 의해, 역전 반송방향으로 반송하는 경화(C1)가 캠(87)의 홈부(89)에 들어가는 것과 함께 캠(87)을 밀어 역전 회전운동시켜, 이 경화(C1)를 경화 검지센서(90)로 검지한 시점에서, 캠(87)을 역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경화(C1)를 강제적으로 조출기구(31)에 되돌린다.
마찬가지로 하여, 수회째의 제 1 복구 제어 동작에 의해, 경화(C2)를 조출기구(31)에 되돌린다.
그리고, 제 1 복구 제어 동작에 의해, 반송벨트(83)를 역전시켜 역전 반송방향으로 회전운동시켜도, 경화 검지센서(62)로 경화의 검지가 소정시간 없으면, 반송벨트(83)를 입금 반송방향으로 회전운동시켜 경화의 잔류 확인을 실시하여, 경화의 잔류가 검지되지 않으면, 반송벨트(83)를 정지하고, 자동 복구 제어를 완료한다.
자동 복구 제어 후에, 리젝트부(58)로부터 배제한 경화에 관해서, 식별 부(54)에서의 식별에 의해 돈의 종류별의 수납투출부(38)에 수납하고 있는 수납 매수로서 카운트하고 있는 경우에는, 리젝트부(58)로부터 배제한 경화의 매수와 지불 검지수단(106)으로 검지한 경화의 매수가 일치하면, 리젝트부(58)로부터 배제한 경화분에 대해 돈의 종류별의 수납 매수치로부터 감산하여, 즉 경화 출금구(20)에 반환한 경화는 리젝트 경화로서 취급한다.
게다가, 조출기구(31)에 되돌린 경화 중, 식별부(54)를 통과하여 돈의 종류별의 수납투출부(38)에 수납하고 있는 수납 매수로서 카운트하고 있는 경우에는, 경화 검지센서(90)의 검지로 조출기구(31)에 되돌린 것을 검지하면, 조출기구(31)에 되돌린 경화분에 대해 돈의 종류별의 수납 매수치로부터 감산한다.
또한, 에러 반환 경화를 경화 출금구(20)에 지불한 경우에도, 리젝트 경화와 마찬가지로, 발광수단(21)의 LED(22)를 적색 점등시켜, 오퍼레이터에 알린다. 오퍼레이터는, 경화 출금구(20)에 반환되어 있는 경화를 꺼내 경화 투입구(14)에 재투입한다.
그리고, 자동 복구 제어가 완료한 후, 입금 동작을 자동 재개시킨다.
또한, 만일, 자동 복귀 제어에 의해서 에러 해제할 수 없는 경우, 혹은 자동 복귀 제어를 이용하지 않고 오퍼레이터 자신의 조작에 의해 에러 해제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유닛(13)을 기체(12)로부터 끌어내어 통로 위쪽방향을 개방하여, 각 통로상에 잔류하는 경화(C1∼C6)를 제거한다.
이 때, 본체 유닛(13)을 기체(12)로부터 끌어냄으로써, 셔터기구(111)의 셔터(112)가 인장 용수철(115)이 가하는 힘에 의해 분류구멍 폐색 위치로 이동하여, 폐색부(114)가 개구상태 분류구멍(76a)을 폐색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경화가 꺼내기 어려운 장소에 있기 때문에, 반송벨트(83)를 입금 반송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켜서 경화를 꺼내기 쉬운 장소로 이동시킨 경우에, 경화(C6)가 개구상태 분류구멍(76a)으로 이동해도, 그 개구상태 분류구멍(76a)을 폐색하는 셔터(112)에 의해서 경화(C6)가 낙하하는 일이 없어, 경화(C6)를 확실히 꺼낼 수 있다. 따라서, 수납투출부(38)내의 경화의 재고 불일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통로상의 경화(C1∼C6)를 꺼내기를 끝내면, 본체 유닛(13)을 기체(12)에 밀어넣어 수납시킴으로써, 셔터기구(111)의 셔터(112)의 가이드면(116)이 기체(12)의 일측부 앞끝단에 접촉하여 셔터(112)가 기체(12)내에 수납되면서 분류구멍 개방위치로 이동하고, 개구부(113)가 개구상태 분류구멍(76a)과 겹쳐져 그 개구상태 분류구멍(76a)이 개구상태로 한다.
오퍼레이터는, 통로상으로부터 꺼낸 경화(C1∼C6)를 경화 투입구(14)에 재투입한다. 본체 유닛(13)을 기체(12)에 수납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혹은 조작부(15)의 조작에 의해, 입금 처리를 재개한다.
다음에, 출금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POS 레지스터로부터의 출금 지령의 신호에 의해, 투출벨트(94)가 회전하는 것과 함께 역전롤러(97)가 역회전하여, 각 수납투출부(38)내의 투출벨트(94)상의 비정렬상태의 경화를 1층 1열로 정렬시켜 투출방향으로 향하여 내보낸다.
출금 해당 돈의 종류의 수납투출부(38)에서는 스토퍼(99)를 열고, 경화를 투 출벨트(94)의 끝단부로부터 출금용 반송수단(39)의 출금 반송벨트(102)상에 투출한다. 투출한 경화는 투출 검지수단(98)으로 검지하여 투출 매수를 카운트한다.
비출금 해당 돈의 종류의 수납투출부(38), 및 필요 매수를 투출을 끝낸 출금 해당 돈의 종류의 수납투출부(38)에서는, 스토퍼(99)를 닫고, 경화의 투출을 규제한다.
그리고, 출금용 반송수단(39)의 출금 반송벨트(102)를 회전운동시키는 것과 함께 역전롤러(10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출금 반송벨트(102)상의 출금 경화를 1매씩 통로판(104)상에 차례차례 내보내, 방출벨트(105)에 의해서 경화 출금구(20)에 지불한다. 이 출금용 반송수단(39)의 동작 개시는, 수납투출부(38)로부터의 투출동작 개시와 동시, 또는 모든 수납투출부(38)로부터의 투출동작 완료 후의 어느 쪽으로 해도 좋다. 출금용 반송수단(39)으로 경화 출금구(20)에 지불하는 경화를 지불 검지수단(106)으로 검지하여 지불 매수를 카운트한다.
투출 검지수단(98)으로 검지하는 투출 매수와 지불 검지수단(106)으로 검지하는 지불 매수가 일치하여, 모든 출금 경화를 경화 출금구(20)에 지불하면, 발광수단(21)의 LED(22)를 녹색 점등시켜, 경화 출금구(20)에 출금 경화를 지불한 것을 알린다.
다음에, 보충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보충처리는, 기내에 경화가 전혀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초기 보충과, 운용중에 경화량이 감소한 경우의 도중 보충이 있다. 이 보충처리일 때에는, 경화 투입구(14)의 커버(17)를 여는 것에 의해, 다량의 보충 경화를 투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보충처리에서는, 입금 처리와 같이, 조출기구(31)에 투입된 보충 경화를 1매씩 식별통로(32)에 차례차례 내보내, 식별부(54)에서 식별한다.
식별의 결과, 정상적인 보충 경화이면, 분류통로(34)에서 돈의 종류별로 수납하여 돈의 종류별의 수납투출부(38)에 수납시켜 보충한다. 또한, 리젝트 경화이면, 리젝트부(58)에서 배제하여, 출금용 반송수단(39)을 통해서 경화 출금구(20)로 반환한다.
이 보충처리중에 있어서도, 보충 경화의 입금 동작중에 에러 정지한 경우에는, 상술한 입금 처리일 때와 같이, 리셋버튼(15a)의 조작에 의해 자동 복구 제어를 실시하고, 자동적으로 에러 해제하고, 자동적으로 보충 경화의 입금 동작을 재개한다. 또한, 가령, 자동 복귀 제어에 의해서 에러 해제할 수 없는 경우, 혹은 자동 복귀 제어를 이용하지 않고 오퍼레이터 자신의 조작에 의해 에러 해제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입금 처리일 때와 같이, 본체 유닛(13)을 기체(12)로부터 끌어내어 통로상의 경화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에러 해제한 후, 본체 유닛(13)을 기체(12)에 수납시켜, 보충 경화의 입금 동작을 재개시킨다.
이와 같이, 입금 처리시 및 보충처리시에 있어서, 입금 동작중에 에러 정지한 경우, 자동 복구 제어에 의해, 분류통로(34)에 잔류하는 경화를 입금용 반송수단(36), 리젝트부(58) 및 출금용 반송수단(39)에 의해 경화 출금구(20)로 반환할 수 있기 때문에, 통로상에 잔류하는 경화를 수동으로 제거할 필요가 없고, 에러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수동으로, 에러 해제할 때에 경화를 외부에 떨어뜨리거나 수납투출부(38)에 떨어뜨려 버린다고 하는 해제 미스에 의한 재고 불일치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셋버튼(15a)으로 에러 정지의 리셋을 지시하는 것에 의해, 자동 복구 제어를 실시하게 할 수 있어, 간단한 조작으로 자동 복구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 복구 제어 후에, 입금 동작을 자동 재개시킬 수 있고, 게다가, 경화 출금구(20)로의 반환분의 경화를 리젝트 경화의 취급으로 하여, 재고 불일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리젝트부(58)는, 입금 반송방향으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경화를 배제 가능하게 하는 구조이었지만, 입금 반송방향에 대해서 역전하는 역전 반송방향으로 반송되어 오는 경화도 배제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자동 복구 제어시에, 반송벨트(83)의 역전 반송방향으로의 역전만으로 분류통로(34)에 잔류하는 경화를 리젝트부(58)로부터 배제시킬 수 있어 단시간으로 에러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리셋버튼(15a)의 조작에 의해, 자동 복구 제어를 실시하고 있었지만, 에러 정지했을 때에, 자동적으로 자동 복구 제어를 실시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동으로, 에러 해제할 때에 수납부{수납투출부(38)}내의 경화의 재고 불일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 입금 처리시에, 기내에 투입된 경화를 1매씩 식별통로에 차례차례 내보내 식별부에서 식별하고, 정상으로 식별된 경화는, 분류통로에 반송하여 돈의 종류별로 분류하여, 돈의 종류별의 수납부에 수납하고 있다. 이들 식별통로 및 분류 통로상에는, 경화를 반송하는 반송 벨트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분류통로에는, 경화를 돈의 종류별로 분류하는 돈의 종류별의 분류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경화의 바깥지름 치수를 기준으로서 분류하는 경우에는, 작은 지름의 경화로부터 큰 지름의 경화의 순서로 경화를 낙하시키는 돈의 종류별의 분류구멍이 각각 개구상태로 형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특허공보 제 3867748호 참조.). 또한, 돈의 종류별의 수납부에 관해서는, 식별부에서의 식별 및 통로상에 설치되어 있는 경화 검지센서에 의한 검지에 기초하여, 분류통로에서 분류되어 수납부에 수납된 경화의 재고를 관리하고 있다.
입금 처리중에 있어서, 반송계의 에러가 생긴 경우에는 경화의 반송을 정지하고, 에러 해제 대기가 된다. 이러한 에러 정지가 발생한 경우에는, 통로상에 반송 도중의 경화가 잔류하고 있어, 이들 경화를 제거하는 에러 해제가 필요해진다. 에러 해제시에는, 통로상이 개방되도록 유닛을 여는 것에 의해, 통로상에 잔류하는 경화를 제거하고 있다. 이 때, 경화의 장소에 따라서는 꺼내기 어려운 경우도 있기 때문에, 반송 벨트를 수동으로 회전운동시켜서 경화를 꺼내기 쉬운 장소로 이동시켜 꺼내기도 한다.
그러나, 분류통로에 개구상태의 분류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반송 벨트의 수동에 의한 회전운동에 의해서 경화가 개구상태에 있는 분류구멍에 낙하해 버리는 일이 있어, 수납 부내의 경화의 재고의 데이터와 실제의 재고과의 불일치가 발생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적어도 입금 처리중의 에러 해제 처리시, 잘못하여 경화가 분류구멍 으로부터 낙하하는 일이 없고, 수납부내의 경화의 재고 불일치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경화 투입구(14)에 투입된 경화를 1매씩 차례차례 내보내는 조출기구(31)와, 이 조출기구(31)로부터 차례차례 내보내진 경화를 식별하는 식별부(54)를 갖는 식별통로(32)와, 이 식별통로(32)에 이어져 배치되어, 경화를 종류별로 분류하는 복수의 분류구멍(76)을 갖는 분류통로(34)와, 이들 식별통로(32) 및 분류통로(34)에 대해 경화를 반송하는 입금용 반송수단(36)과 분류통로(34)의 아래쪽방향에 배치되어, 분류통로(34)에서 종류별로 분류된 경화를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부{수납투출부(38)}를 구비하고 있는 경화 입금기{경화 입출금기(11)}에 있어서, 분류구멍(76)중의 적어도 개구상태에 있는 분류구멍(76)에 대해서, 입금처리가 실시되는 통상 처리시는 분류구멍(76)을 개구상태로 유지하고, 적어도 입금 처리중의 에러 해제 처리시는 분류구멍(76)으로의 경화의 낙하를 저지하는 폐색 상태로 하는 셔터기구(111)를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셔터기구(111)에 의해, 입금처리가 실시되는 통상 처리시에는 분류구멍(76)을 개구형상으로 유지하지만, 적어도 입금 처리중의 에러 해제 처리시에는 분류구멍(76)으로의 경화의 낙하를 저지하는 폐색 상태로 하기 때문에, 잘못하여 경화가 분류구멍으로부터 낙하하는 일이 없고, 수납부{수납투출부(38)}내의 경화의 재고 불일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체(12)와, 이 기체(12)로부터 개방 가능 또는 인출 가능하게 하고, 조출기구(31), 식별통로(32), 분류통로(34), 입금용 반송수단(36) 및 수납부{수납 투출부(38)}를 갖는 본체 유닛(13)을 구비하고, 셔터기구(111)는, 본체 유닛(13)의 개방 또는 끌어내기에 연동하여 분류구멍(76)을 폐색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에러 해제 처리시에, 본체 유닛(13)을 개방 또는 끌어내는 것에 의해, 셔터기구(111)가 연동하여 분류구멍(76)을 자동적으로 폐색 하기 때문에, 특별한 조작이 필요 없어, 잘못하여 경화가 분류구멍(76)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류통로(34)의 복수의 분류구멍(76) 중 경화의 반송방향의 마지막에 위치하는 분류구멍(76)이 개구상태에 있고, 그 분류구멍(76)에 셔터기구(111)를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분류통로(34)의 복수의 분류구멍(76) 중 경화의 반송방향의 마지막에 위치하는 분류구멍(76)이 개구상태에 있어도, 그 분류구멍(76)에 셔터기구(111)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에러 해제 처리시에, 잘못하여 경화가 분류구멍(76)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분류통로(34)의 복수의 분류구멍(76) 중 경화의 반송방향의 마지막에 위치하는 분류구멍(76)이 개구상태에 있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복수의 분류구멍(76)이 개구상태에 있는 경우, 혹은 모든 분류구멍(76)이 개구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그것들 개구상태에 있는 분류구멍(76)에 셔터기구(111)를 적용하여 에러 해제시에 경화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기구(111)에 관해서는, 경화의 입출금이 가능한 경화 입출금기(11)에 한정하지 않고, 입금 전용의 경화 입금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경화 입출금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고, (a)는 리젝트상자의 비장착상태의 측면도, (b)는 리젝트상자의 장착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경화 출금구 부근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주고받음수단의 동작을 (a)∼(d)에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리젝트상자의 탈착 조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수납투출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기체로부터 끌어낸 본체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경화 입출금기
14 : 경화 투입구
15a : 리셋수단으로서의 리셋버튼
20 : 경화 출금구
31 : 조출기구
32 : 식별통로
33 : 배제통로
34 : 분류통로
36 : 입금용 반송수단
38 : 수납투출부
39 : 출금용 반송수단
54 : 식별부
58 : 리젝트부
121 : 제어수단

Claims (4)

  1. 경화 투입구에 투입된 경화를 1매씩 차례차례 내보내는 조출기구와,
    이 조출기구로부터 차례차례 내보내진 경화를 식별하는 식별부를 갖는 식별통로와,
    이 식별통로에 이어져 배치되어, 상기 식별부에서 리젝트 경화로 식별된 리젝트 경화를 배출하는 리젝트부를 갖는 배제통로와,
    이 배제통로에 이어져 배치되어, 경화를 분류하는 분류통로와,
    이들 식별통로, 배제통로 및 분류통로의 순서가 되는 입금 반송방향, 및 입금 반송방향에 대해서 역전하는 역전 반송방향으로 경화를 반송 가능하게 하는 입금용 반송수단과,
    상기 분류통로의 아래쪽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분류통로에서 돈의 종류별로 분류된 경화를 수납하는 것과 함께, 수납된 경화를 투출 가능하게 하는 돈의 종류별의 수납투출부와,
    이 수납투출부로부터 투출된 경화를 경화 출금구로 반송하는 출금용 반송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경화 입출금기에 있어서,
    입금 동작중에 에러 정지한 경우, 상기 분류통로에 잔류하는 경화를 상기 입금용 반송수단, 상기 리젝트부 및 상기 출금용 반송수단에 의해 상기 경화 출금구로 반환하는 자동 복구 제어를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입출금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에러 정지의 리셋을 지시하는 리셋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리셋수단에 의한 에러 정지의 리셋에 의해, 자동 복구 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입출금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자동 복구 제어 후에, 상기 경화 출금구로의 반환분의 경화를 리젝트 경화의 취급으로 하여, 입금 동작을 자동 재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입출금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젝트부는, 상기 입금용 반송수단으로 입금 반송방향 및 역전 반송방향으로 각각 반송하는 경화를 배출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자동 복구 제어시에, 상기 입금용 반송수단의 역전 반송방향으로의 역전만으로 경화를 상기 리젝트부로부터 배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입출금기.
KR1020080091503A 2007-09-19 2008-09-18 경화 입출금기 KR101473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42644 2007-09-19
JPJP-P-2007-00242645 2007-09-19
JP2007242644A JP5103109B2 (ja) 2007-09-19 2007-09-19 硬貨入出金機
JP2007242645A JP5103110B2 (ja) 2007-09-19 2007-09-19 硬貨入金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233A true KR20090030233A (ko) 2009-03-24
KR101473009B1 KR101473009B1 (ko) 2014-12-15

Family

ID=39810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503A KR101473009B1 (ko) 2007-09-19 2008-09-18 경화 입출금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61841B2 (ko)
EP (1) EP2043056B1 (ko)
KR (1) KR1014730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6807B2 (ja) * 2011-07-20 2016-09-06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処理機、貨幣処理システムおよび貨幣処理方法
JP2013045434A (ja) * 2011-08-26 2013-03-04 Toshiba Tec Corp 硬貨入出金装置、硬貨入出金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DE102012020154A1 (de) * 2012-10-15 2014-04-17 Crane Payment Solutions Gmbh Münzsortiervorrichtung
JP2018180624A (ja) * 2017-04-04 2018-11-15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処理機、貨幣処理システムおよび貨幣処理方法
CN109658644A (zh) * 2018-12-10 2019-04-19 胡晨阳 一种公交车智能收款机
JP1643761S (ko) * 2019-03-04 2019-10-21
USD942533S1 (en) * 2019-10-31 2022-02-01 Cima S.P.A. Coin handling machine
JP1669635S (ko) * 2020-01-07 2020-10-05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77722B1 (en) * 1990-09-20 2000-03-22 Kabushiki Kaisha Nippon Conlux Coin processing apparatus
JP3002904B2 (ja) * 1991-04-16 2000-01-24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硬貨処理装置
US5746299A (en) * 1995-04-27 1998-05-05 Coinstar, Inc. Coin counter dejamming method and apparatus
DE69717383T2 (de) 1996-09-20 2003-03-27 Laurel Bank Machine Co Gerät zur Einnahme und Ausgabe von Münzen
JP3867748B2 (ja) 1998-05-08 2007-01-10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入出金装置
JP3308244B2 (ja) 1999-07-30 2002-07-29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貨幣入出金装置
GB2357617A (en) * 1999-12-23 2001-06-27 Mars Inc Methods for detecting surfaces in vending machines
US6602125B2 (en) * 2001-05-04 2003-08-05 Coinstar, Inc. Automatic coin input tray for a self-service coin-counting machine
US6989118B2 (en) * 2002-01-15 2006-01-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making a reinforced fibrous absorbent member
JP4997374B2 (ja) 2005-10-19 2012-08-08 旭精工株式会社 硬貨の金種別振り分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61841B2 (en) 2011-01-04
US20090071793A1 (en) 2009-03-19
KR101473009B1 (ko) 2014-12-15
EP2043056A2 (en) 2009-04-01
EP2043056B1 (en) 2012-07-25
EP2043056A3 (en) 200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0233A (ko) 경화 입출금기
EP2045781B1 (en) Cash processing machine
JPWO2008099477A1 (ja) 硬貨入出金機
JP5103109B2 (ja) 硬貨入出金機
JP2009059306A (ja) 貨幣処理機
JP5142637B2 (ja) 貨幣入出金機
JP2009059307A (ja) 硬貨入出金機
JP4341578B2 (ja) 硬貨処理装置
JP5103110B2 (ja) 硬貨入金機
JP2000149089A (ja) 紙幣取扱装置及び紙幣取扱法
JP3581806B2 (ja) 硬貨入出金機のカセット装置
WO2008072545A1 (ja) 硬貨処理装置
JP5479555B2 (ja) 貨幣処理機
JP2009059308A (ja) 硬貨入出金機
JPH10208107A (ja) 硬貨入金装置および循環式硬貨入出金機
JP5033593B2 (ja) 硬貨処理機
WO2018066428A1 (ja) 硬貨選別機構および硬貨処理装置
JP4375279B2 (ja) 釣銭払出機
JPH0755652Y2 (ja) 紙幣識別装置
JP3663042B2 (ja) 硬貨入出金装置
JP2006065522A (ja) 循環式硬貨入出金装置
JP3549785B2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
JP6674232B2 (ja) 貨幣処理装置、貨幣処理システムおよび貨幣処理方法
JP5033592B2 (ja) 硬貨処理機
JP2001319261A (ja) 紙幣取扱装置及び紙幣取扱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