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9650A - 내시경용 처치구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처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9650A
KR20090029650A KR1020080090475A KR20080090475A KR20090029650A KR 20090029650 A KR20090029650 A KR 20090029650A KR 1020080090475 A KR1020080090475 A KR 1020080090475A KR 20080090475 A KR20080090475 A KR 20080090475A KR 20090029650 A KR20090029650 A KR 20090029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heath
treatment
rotating member
kn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9343B1 (ko
Inventor
유따 무야리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9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61B2017/2212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having a closed distal end, e.g. a lo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27Details of heads or jaws the angular position of the head being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shaft
    • A61B2017/2929Details of heads or jaws the angular position of the head being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shaft with a head rotatable abou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82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07Lo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18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microwaves
    • A61B2018/186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microwaves with an instrument inserted into a body lumen or cavity, e.g. a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 A61B2218/002Irrigation

Abstract

본 발명의 내시경용 처치구(1)는, 와이어(3)와, 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와이어(3)의 선단에 배치되고, 체강 내에서의 처치에 사용되는 Y형 나이프(2)와, 와이어(3)가 삽통된 가요성을 갖는 시스(4)와, 와이어(3)의 기단에 설치되고, 와이어(3)를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한 조작부(5)와, 시스(4)의 선단에 고정된 통 형상의 베어링(7)과, 베어링(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7)에 삽통된 회전 부재와, 회전 부재에 설치되고, Y형 나이프(2)의 회전 부재에 대한 축선 주위의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Y형 나이프(2)는 시스(4)의 외부에 있을 때에는 시스(4)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하도록 부세되어 있고, Y형 나이프(2)는 규제부와 접촉하여 회전 부재에 대한 축선 주위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 구성에 의해, 회전 조작량과 선단 기구의 회전량이 양호하게 대응한다.
Figure P1020080090475
와이어, 처치 부재, 베어링, 규제부, 내시경용 처치구, 통전 부재

Description

내시경용 처치구 {ENDOSCOPIC-USE TREATMENT INSTRUMENT}
본 발명은, 내시경 장치의 작업용 채널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내시경용 처치구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을 이용하여 점막 등의 생체 조직을 절제하는 처치로서, 소화관의 표면에 생긴 병변부를 절제하기 위해, 병변부의 외측의 정상 점막을 전체 둘레 절개한 후에 점막 하층을 박리하고, 병변부를 절제하는 등의 내시경적 점막 하층 박리술(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이 알려져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수기를 행하기 위해, 와이어의 선단에 처치를 행하기 위한 각종 기구를 구비한 내시경용 처치구가, 내시경의 작업용 채널로부터 삽입되고, 내시경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사용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들 처치구에서는, 처치 대상의 조직 등과 선단의 기구와의 위치 관계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 해당 기구를 회전시키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소화57-145654호 공보
선단의 기구를 회전시키는 경우, 유저는 와이어의 기단이 고정된 바로 앞 부분의 조작부를 회전하여, 선단 기구에 토크를 가한다. 그러나, 선단의 기구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110)가 삽통된 시스(111)의 외부에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는 형상이면, 그 선단 기구(112)가 시스(111)의 내면이나, 시스(111) 내에 고정된 절연 부재(113)와 접촉하여, 마찰력이 발생하여, 회전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경우, 선단 기구는 가해진 회전 토크의 양에 따라서 서서히 회전하지 않고, 소정값 이상의 토크가 가해졌을 때에 한번에 회전하는, 소위 회전 건너뛰기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회전 건너뛰기가 발생하면, 회전 조작과 선단 기구의 회전량과의 대응 관계가 불규칙하게 되어, 대상 조직과 선단 기구의 위치 맞춤이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회전 조작량과 선단 기구의 회전량이 양호하게 대응하는 내시경용 처치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내시경용 처치구는, 와이어와, 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선단에 배치되고, 체강 내에서의 처치에 사용되는 처치 부재와, 상기 와이어가 삽통된 가요성을 갖는 시스와, 상기 와이어의 기단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를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한 조작부와, 상기 시스의 선단에 고정된 통 형상의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베어링에 삽통된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처치 부재의 상기 회전 부재에 대한 축선 주위의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처치 부재는 상기 시스의 외부에 있을 때에는 상기 시스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하도록 부세되어 있고, 상기 처치 부재는 상기 규제부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 부재에 대한 축선 주위의 회전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내시경용 처치구에 따르면, 처치 부재가 규제부와 접촉함으로써 회전 부재에 대한 축선 주위의 회전이 규제되고, 처치 부재와 회전 부재가 일체로 되어 시스 및 베어링에 대하여 양호하게 회전한다.
상기 규제부는, 상기 회전 부재의 내강면, 선단측의 끝면, 및 후단측의 끝면 중의 적어도 1개소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규제부는, 상기 회전 부재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처치 부재와 규제부가 접촉할 때까지의 공회전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시경용 처치구는, 상기 와이어에 접촉하여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에 통전하기 위한 통전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처치 부재는 와이어재로 이루어지는 처치 전극이며, 상기 규제부는 절연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내시경용 처치구에 따르면, 통전되는 처치 부재를 규제부에 의해 바람직하게 절연하여, 양호하게 처치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시경용 처치구에 따르면, 조작부의 회전 조작량과 선단에 형성된 처치 부재의 회전량이 양호하게 대응하는 내시경용 처치구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처치구(이하, 간단하게 「처치구」라고 칭함)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처치구(1)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처치구(1)는, 선단에 Y형 나이프(처치 부재, 처치 전극)(2)가 부착된 와이어(3)와, 와이어(3)가 삽통된 시스(4)와, 와이어(3) 및 시스(4)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Y형 나이프(이하, 간단하게 「나이프」라고 칭함)(2)는, 탄성을 갖는 스테인레스강 등으로 이루어지는 와이어가 시스(4)의 외부에서 시스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대략 Y자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나이프(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주파 전원이 통전되어, ESD 등의 처치에 사용된다.
도 2는, 처치구(1)의 선단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다. 와이어(3)는, 토크 전달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후술하는 시스(4)에 삽통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3)는 대략 원반 형상의 스토퍼(6)에 형성된 구멍(6A)에 삽통되어 있다. 삽통된 와이어(3)의 단부는, 나이프(2)로서 Y자형으로 절곡된 후, 시스(4)의 내부에 진입하여 스토퍼(6)에 형성된 또 하나의 구멍(6B)에 삽통되어 고정되어 있다. 즉, 나이프(2)와 와이어(3)는 동일한 재료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스(4)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성 및 가요성을 갖는 관 형상 부재이다. 시스(4)의 전단에는, 대략 원통 형상의 베어링(7)이 압입이나 접착 등의 방 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7)에는, 금속 등으로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회전 부재(8)가 베어링(7)에 대하여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회전 부재(8)는 후단측에 플랜지(8A)를 갖고, 베어링(7)의 후단(7A)과 맞닿아서 그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 부재(8)의 내면은 후단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나이프(2)는, 회전 부재(8) 내를 통하여 시스(4)의 선단으로부터 진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6)는 회전 부재(8)의 후단의 테이퍼면(8B)에 맞닿아서 그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7)의 내주면(7B) 및 회전 부재(8)의 외주면(8C)은 양자간에 마찰력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도록, 매끈하게 가공되어 있다.
회전 부재(8)의 선단측에는, 나이프(2)의 회전 부재(8)에 대한 축선 주위의 회전을 규제하는 대략 원반 형상의 규제 부재(9)가 회전 부재(8)와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규제 부재(9)는 예를 들면 세라믹 등의 절연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데, 와이어(3)의 선단에 설치된 기구에 통전되지 않는 경우에는, 특히 절연성을 갖는 재료일 필요는 없다.
규제 부재(9)에는 축선을 따라 관통 구멍(9A)이 형성되어 있고, 시스(4)의 외부에서 회전 부재(8)에 부착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는 규제 부재(9)를 선단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9A)의 선단측에는, 상하 좌우의 4개소에, 관통 구멍(9A)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소정의 깊이의 홈(규제부)(9B) 이 형성되어 있다. 홈(9B)의 폭은, 나이프(2)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고,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이프(2)가 규제 부재(9)로부터 돌출하여 직경 방향으로 넓어지기 시작하는 확장부(2A)와 감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홈(9B)은 관통 구멍(9A)의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2개소가 1조로 되어 기능하는데, 형성 개소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2조 4개소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1조 2개소만 형성하여도 되고, 3조 6개소 이상 형성되어도 된다.
조작부(5)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스(4)가 고정된 본체(10)와, 와이어(3)가 고정된 슬라이더(11)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체(10)는, 막대 형상의 부재이며, 슬라이더(11)를 섭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홈(10A)이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본체(10)의 전단에는 원반 형상의 계지부(12A)를 갖는 관 형상의 회전자(12)가, 본체(10)에 대하여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회전자(12)의 전단에는, 시스(4)의 후단이 고정되어 있다. 즉, 시스(4)는, 회전자(12)를 통하여, 본체(10)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본체(10)의 후단에는, 조작시에 손가락을 걸기 위한 링(10B)이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11)는, 본체(10)의 외주를 둘러싸는 통 형상부(13A) 및 조작시에 손가락을 거는 핸들(13B)을 갖는 조작 부재(13)에, 도시하지 않은 고주파 전원과 접속되는 플러그(통전 부재)(14)가 부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회전자(12)에 삽통된 와이어(3)의 후단은, 강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 좌굴 방지 파이프(15)에 삽통되어 있다. 와이어(3) 및 좌굴 방지 파이프(15)의 후단은, 가이드 홈(10A)의 내부에서, 도시하지 않은 나사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플러그(14)와 접속 고정되어 있다. 즉, 슬라이더(11) 및 와이어(3)는, 가이드 홈(10A)을 따라서, 축 방향으로 섭동 가능하게 본체(10)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처치구(1)의 사용시의 동작에 대하여, 처치구(1)를 이용하여 ESD를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내시경의 삽입부를 환자 등의 체강 내에 삽입하고, 삽입부의 선단을 처치 대상의 조직 부근까지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내시경의 작업용 채널을 통하여 주사 바늘(100)을 체강 내에 도입하고, 절제하는 병변부 X 근방의 점막 하층 W에 생리 식염수를 국주하여,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병변부 X를 팽융시킨다. 또한, 이 국주를 행하기 전에, 병변부 X 주변에 색소 산포를 행하여, 병변부 X의 경계를 명확하게 한 후에, 후술하는 둥근 막대 형상의 공지된 고주파 나이프(101) 등을 이용하여, 병변부 X 주위를 둘러싸는 복수의 위치에서 점막 S에 마킹을 실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작업용 채널에 고주파 나이프(101)를 삽통하여,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병변부 X 근방의 점막 S의 일부에 당접시키고, 고주파 전류를 통전하여, 전체 둘레 절개의 계기로 되는 구멍 H를 뚫는다. 그리고, 내시경과 고주파 나이프(101)의 양방을 조작하여, 병변부 X 주위의 점막을 절개하면서 점막 하층 W를 노출시킨다.
다음으로, 고주파 나이프(101)를 작업용 채널로부터 발거함과 함께,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처치구(1)를 작업용 채널(104)에 삽입한다.
구체적으로는, 처치구(1)의 슬라이더(11)를 한껏 앞(링(10B)측)으로 당겨 후퇴시키고, 나이프(2)를 시스(4)의 내부에 수납한다. 시스(4)의 전단을 내시경(102)의 조작부에 개구한 겸자구(103)로부터 작업용 채널(104)에 삽입하고, 내시경(102)의 삽입부(105)의 선단으로부터 처치구(1)의 전단을 돌출시킨다. 그리고 플러그(14)에, 도시하지 않은 전원 코드를 접속한다. 전원 코드는, 처치구(1)를 내시경(102)에 삽입하기 전에, 미리 접속해 두어도 된다.
처치구(1)의 선단이 병변부 X에 근접하면, 유저는 슬라이더(11)를 전진시켜, 나이프(2)를 시스(4)로부터 돌출시킨다. 그리고, 나이프(2)의 Y자 형상이 병변부 X에 대하여 대략 수평으로 되도록 조작부(5)를 회전시켜 조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는 회전자(12)를 한쪽 손으로 유지하고, 조작부(5)의 본체(10) 및 슬라이더(11)를 회전시킨다. 조작부(5)의 회전 조작에 의해 와이어(3)가 회전하고, 그 토크는 나이프(2)에 전달된다.
규제 부재(9)의 전방에 돌출된 나이프(2)의 선단은, 나이프(2)의 확장부(2A)가 규제 부재(9)의 홈(9B)과 감합할 때까지는 규제 부재(9) 및 회전 부재(8)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한다. 확장부(2A)는, 적어도 90도 회전할 때까지 어느 한쪽의 홈(9B)과 감합한다. 규제 부재(9)는 회전 부재(8)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확장부(2A)와 홈(9B)이 감합함으로써, 나이프(2)의 회전 부재(8)에 대한 회전이 규제되고, 이후 나이프(2), 규제 부재(9), 및 회전 부재(8)는, 일체로 되어 시스(4) 및 베어링(7)에 대하여 회전한다.
나이프(2)와 병변부 X와의 위치 관계 조정 후, 나이프(2)의 선단을 점막 하층 W에 당접시키면서 고주파 전류를 흘리고, 내시경(102)을 고정한 상태에서 관찰하면서, 처치구(1)의 시스(4)를 작업용 채널(104)에 대하여 전진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이프(2)에 의해 점막 하층 W가 절개되어, 병변부 X가 박리된다.
본 실시 형태의 처치구(1)에 따르면, 규제 부재(9)의 홈(9B)과 나이프(2)의 확장부(2A)가 감합함으로써 나이프(2)의 회전 부재(8)에 대한 회전이 규제되고, 나이프(2), 규제 부재(9), 및 회전 부재(8)가 일체로 되어 시스(4) 및 베어링(7)에 대하여 회전한다.
이 때, 베어링(7)과 회전 부재(8)는, 매끈하게 가공된 내주면(7B)과 외주면(8C)에서 접촉하므로, 베어링(7)과 회전 부재(8)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기 어렵고, 나이프(2)가 조작부의 회전 조작과 양호하게 대응한 상태에서 회전한다. 따라서, 회전 조작에 의해, 확실하게 원하는 회전량만큼 나이프(2)를 회전시킬 수 있는 처치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하와 좌우의 2조의 홈(9B)이 규제 부재(9)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적어도 90도 와이어(3)를 회전시키면, 나이프(2)와 홈(9B)이 감합한다. 따라서, 나이프(2)의 선단 제어가 곤란한 공회전 상태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규제 부재(9)는 절연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전되는 나이프(2)가 확장부(2A)에서 확실하게 절연된다. 이 때문에, 부주의하게 병변부 이외의 조직을 손상하는 일이 없음과 함께, 전기 에너지를 나이프(2)의 선단에 집 중시켜, 조직 박리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처치구의 선단에 Y형 나이프(2)가 설치된 예를 설명하였지만, 선단의 기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시스의 외부에서 확장하는 와이어의 스네어 루프나, 1쌍의 아암부가 시스로부터 돌출되었을 때에 넓어지는 파지 겸자와 같이, 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고, 또한 시스의 외부에서 시스의 직경 방향을 향하여 확장하여 규제 부재 또는 회전 부재와 감합 또는 계합하는 것이면, 문제없이 본 발명의 처치구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선단의 기구는 통전하여 사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단의 기구에 통전이 필요없으면, 절연의 필요성이 없어지므로, 규제 부재가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도 되고, 규제 부재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회전 부재와 일체로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 부재의 홈(9B)이 나이프(2)의 회전 부재(8)에 대한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부로서 기능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규제부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고무와 같이, 마찰 계수가 큰 링 형상의 부재를 규제 부재(9)의 관통 구멍(9A)의 선단 부근의 내면에 압입 등의 수단으로 고정하고, 나이프(2)의 확장부(2A)와 마찰력으로 계합시킴으로써, 나이프(2), 규제 부재(9), 및 회전 부재(8)를 일체로 회전시키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홈(9B)과 같은 형상의 구조가 회전 부재(8)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나이프(2)와 감합하도록 구성되어 규제부로 되어도 된다. 또한, 마찬가지의 형상이 회전 부재(8)의 플랜지(8A)의 후단면에 형성되고, 스토퍼(6)에 그 형상과 감합하는 볼록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처치구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상기 내시경용 처치구의 선단 부근을 일부 단면으로 도시하는 확대도.
도 3a 및 3b는, 상기 내시경용 처치구의 규제 부재를 선단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4는, 상기 내시경용 처치구를 내시경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ESD의 일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ESD의 일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ESD의 일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ESD의 일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종래의 내시경용 처치구의 선단 부근을 일부 단면으로 도시하는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처치구
2: Y형 나이프
3: 와이어
4: 시스
5: 조작부

Claims (4)

  1. 와이어와,
    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선단에 배치되고, 체강 내에서의 처치에 사용되는 처치 부재와,
    상기 와이어가 삽통(揷通)된 가요성(可撓性)을 갖는 시스와,
    상기 와이어의 기단(其端)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를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한 조작부와,
    상기 시스의 선단에 고정된 통 형상의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베어링에 삽통된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처치 부재의 상기 회전 부재에 대한 축선 주위의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처치 부재는 상기 시스의 외부에 있을 때에는 상기 시스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하도록 부세(付勢)되어 있고, 상기 처치 부재는 상기 규제부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 부재에 대한 축선 주위의 회전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회전 부재의 내강면, 선단측의 끝면, 및 후단측의 끝면 중 적어도 1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회전 부재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 접촉하여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에 통전하기 위한 통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치 부재는 와이어재로 이루어지는 처치 전극이며, 상기 규제부는 절연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KR20080090475A 2007-09-18 2008-09-12 내시경용 처치구 KR101479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41366 2007-09-18
JP2007241366A JP5122894B2 (ja) 2007-09-18 2007-09-18 内視鏡用処置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650A true KR20090029650A (ko) 2009-03-23
KR101479343B1 KR101479343B1 (ko) 2015-01-05

Family

ID=4023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90475A KR101479343B1 (ko) 2007-09-18 2008-09-12 내시경용 처치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01708B2 (ko)
EP (1) EP2039313B1 (ko)
JP (1) JP5122894B2 (ko)
KR (1) KR1014793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690B1 (ko) * 2011-01-25 2013-08-21 신경민 의료용 스네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0694B2 (en) 2008-07-14 2011-12-06 Medtronic Vascular, Inc. Fiber based medical devices and aspiration catheters
US8863748B2 (en) * 2008-07-31 2014-10-21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Endoscopic surgical operation method
JP5398506B2 (ja) 2009-12-16 2014-01-29 Ntn株式会社 可撓性ワイヤ
JP2012115317A (ja) * 2010-11-29 2012-06-21 Asahi Intecc Co Ltd 医療用処置具
JP6010254B1 (ja) * 2014-11-21 2016-10-1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高周波処置具および高周波処置システム
GB2543509B (en) * 2015-10-19 2020-10-14 Creo Medical Ltd Electrosurgical instrument
US10716915B2 (en) 2015-11-23 2020-07-21 Mivi Neuroscience, Inc. Catheter systems for applying effective suction in remote vessels and thrombectomy procedures facilitated by catheter systems
US10478535B2 (en) 2017-05-24 2019-11-19 Mivi Neuroscience, Inc. Suction catheter systems for applying effective aspiration in remote vessels, especially cerebral arteries
US11234723B2 (en) * 2017-12-20 2022-02-01 Mivi Neuroscience, Inc. Suction catheter systems for applying effective aspiration in remote vessels, especially cerebral arteries
WO2019008704A1 (ja) 2017-07-05 2019-01-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EP3754322A1 (en) * 2019-06-18 2020-12-23 Xyall B.V. Tissue sample dissection apparatus
US11617865B2 (en) 2020-01-24 2023-04-04 Mivi Neuroscience, Inc. Suction catheter systems with designs allowing rapid clearing of clots
TWI759076B (zh) * 2021-01-15 2022-03-21 陳映臻 治療內腔室傷口之藥劑推進裝置及其藥劑推進管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5654A (en) 1981-03-02 1982-09-08 Olympus Optical Co Ultrasonic incision instrument
US5049124A (en) * 1989-10-14 1991-09-17 Dow Corning Wright Corporation Catheter drive apparatus having fluid delivery bearing
JPH0542159A (ja) * 1991-08-13 1993-02-23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処置具
JPH09238898A (ja) * 1996-03-12 1997-09-16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
JPH10146345A (ja) * 1996-11-21 1998-06-02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高周波切除具
JP3417778B2 (ja) 1997-01-17 2003-06-16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US6235026B1 (en) * 1999-08-06 2001-05-22 Scimed Life Systems, Inc. Polypectomy snare instrument
JP3923022B2 (ja) * 2003-02-28 2007-05-3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KR100832957B1 (ko) * 2004-12-07 2008-05-27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 및 처치구가 내포된 카트리지
JP4763307B2 (ja) 2005-02-18 2011-08-3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JP4425224B2 (ja) * 2006-02-17 2010-03-03 Hoya株式会社 内視鏡用高周波ナイ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690B1 (ko) * 2011-01-25 2013-08-21 신경민 의료용 스네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343B1 (ko) 2015-01-05
JP2009072215A (ja) 2009-04-09
EP2039313A1 (en) 2009-03-25
JP5122894B2 (ja) 2013-01-16
EP2039313B1 (en) 2011-07-06
US20090076319A1 (en) 2009-03-19
US8801708B2 (en) 201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9650A (ko) 내시경용 처치구
US7481225B2 (en) Medical instrument including an end effector having a medical-treatment electrode
EP2108326B1 (en) High-frequency treatment apparatus
EP1135079B1 (en) Polypectomy snare instrument
KR100595803B1 (ko) 고주파 나이프 및 내시경 장치
EP2057953B1 (en) Treatment tool for endoscope
EP1987794B1 (en)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US9161804B2 (en) Treatment instrument for endoscope
JP4616210B2 (ja) 高周波処置具
JP2009090003A (ja)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JP2006333995A (ja) 内視鏡用処置具
US9168095B2 (en) High-frequency treatment device
CN112040894A (zh) 医疗设备
JP2001079017A (ja) 内視鏡用処置具
JP4542559B2 (ja) 内視鏡用処置具
EP1847231B1 (en) Soft bipolar forceps
JP7439550B2 (ja) 内視鏡用針状メス
US20190328451A1 (en) Multifunctional electrosurgical instruments with dynamic electrode assemblies
JP2008295905A (ja) 内視鏡用モノポーラ型高周波ナイフ
JPH09285472A (ja) 高周波切開具
JP2010131049A (ja)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JP2005204995A (ja) 内視鏡用処置具及び内視鏡用処置装置並びに内視鏡処置具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