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9462A -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9462A
KR20090029462A KR1020070094720A KR20070094720A KR20090029462A KR 20090029462 A KR20090029462 A KR 20090029462A KR 1020070094720 A KR1020070094720 A KR 1020070094720A KR 20070094720 A KR20070094720 A KR 20070094720A KR 20090029462 A KR20090029462 A KR 20090029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foil
supply unit
lower copper
combination
c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5905B1 (ko
Inventor
이봉원
Original Assignee
에센하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센하이텍(주) filed Critical 에센하이텍(주)
Priority to KR1020070094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905B1/ko
Publication of KR20090029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H05K13/0409Suck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된 서스판을 한 장씩 진공흡착하여 이송공급하는 서스판공급부와; 적층된 상부동박을 한 장씩 진공흡착하여 이송공급하는 상부동박공급부와, 상기 상부동박공급부의 아래에 위치하여 적층된 하부동박을 한 장씩 진공흡착하여 이송공급하는 하부동박공급부로 구성되는 동박공급부와; 승하강이 가능하여 상기 상부동박공급부와 하부동박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상, 하부동박을 상기 서스판의 상하면에 배치시켜 동박적층판을 형성시키는 조합부와; 상기 동박적층판을 척킹하여 외측으로 이송공급시키는 이송척킹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동박공급부는, 하부동박의 이송방향과 수평하게 형성되고 전진된 상태에서 하부동박의 양측을 흡착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합부에 하부동박을 이송한 후 이송된 하부동박의 외측으로 후진하는 한 쌍의 수평흡착바와, 상기 하부동박들이 적치되고 상기 수평흡착바가 상기 하부동박을 흡착할 때 상기 하부동박이 한 장씩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하강이동하는 하부동박적치테이블과, 상기 수평흡착바에 의해 흡착된 하부동박을 상기 조합부로 이송공급하는 하부동박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의하면, 수평흡착바가 전진된 상태에서 흡착된 하부동박을 조합부로 이송함과 동시에 후진하도록 형성되어 조합부의 신속한 이동을 통한 동박적층판의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 방법

Description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 및 그 방법 {Layup apparatus for copper clad laminat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기기, 전자기기 및 통신기기 등의 다층인쇄회로기판에 쓰이는 동박적층판을 보다 신속히 레이업할 수 있도록 한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박적층판(Copper Clad Laminate; CCL)(10)은 기계장치 등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기기, 전자기기 및 통신기기 등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다층인쇄회로기판(MLB; Multi Layer Board) 또는 PCB(Printed Circuit Board)의 제조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박적층판(10)은 서스판(Sus plate)(1)의 양면에 상, 하부동박(3)(1)을 적층시켜 제조된다.
이러한 동박적층판(10)을 적층 제조하는 장치로서,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장치가 일반적으로 채용되었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80)는 서스판(2)이 공급되는 서스판공급부(40)와, 상기 서스판(2)의 상하면에 상, 하부동박(3)(1)을 적층시 킬 수 있도록 하는 상부동박공급부(30) 및 하부동박공급부(20)와, 상기 서스판공급부(40)와 상, 하부동박공급부(30)(20)로부터 공급된 서스판(2)과 상, 하부동박(3)(1)을 적층시키는 제1적층부(50) 및 제2적층부(60)와, 적층된 동박적층판(10)이 적치되어 대기하는 동박적층판적치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종래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80)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하부동박공급부(20)가 상기 제1적층부(50)로 하부동박(1)을 공급하면, 곧이어 상기 서스판공급부(40)에서 서스판(2)이 상기 제1적층부(50)로 공급되어 상기 제1적층부(50)에는 하부동박(1)의 상면에 서스판(2)이 위치하게 된다.
그런 다음, 제1적층부(50)의 하부동박(1)과 서스판(2)이 상기 제2적층부(60)로 이송되며, 상기 제2적층부(60)에서 상기 상부동박공급부(30)로부터 상부동박(3)을 공급받아 상기 서스판(2)의 상면에 안착시켜 동박적층판(10)이 형성된다. 이렇게 제2적층부(60)에서 적층된 동박적층판(10)은 동박적층판적치부(70)로 이송되어 대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80)는 레이아웃 면적이 큼으로 인해 설치를 위한 전체 평면적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동박적층판(10)을 제조하기 위하여 각각의 동박(1)(3)과 서스판(2)을 분리하고 각각 적층하는 각 제조공정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하여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덴트 불량 및 생산성이 크게 떨어져, 동박적층판 제조공정의 자동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의 설치면적을 감소시키고, 제조공정상의 자동화를 통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층된 서스판을 한 장씩 진공흡착하여 이송공급하는 서스판공급부와; 적층된 상부동박을 한 장씩 진공흡착하여 이송공급하는 상부동박공급부와, 상기 상부동박공급부의 아래에 위치하여 적층된 하부동박을 한 장씩 진공흡착하여 이송공급하는 하부동박공급부로 구성되는 동박공급부와; 승하강이 가능하여 상기 상부동박공급부와 하부동박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상, 하부동박을 상기 서스판의 상하면에 배치시켜 동박적층판을 형성시키는 조합부와; 상기 동박적층판을 척킹하여 외측으로 이송공급시키는 이송척킹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동박공급부는, 하부동박의 이송방향과 수평하게 형성되고 전진된 상태에서 하부동박의 양측을 흡착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합부에 하부동박을 이송한 후 이송된 하부동박의 외측으로 후진하는 한 쌍의 수평흡착바와, 상기 하부동박들이 적치되고 상기 수평흡착바가 상기 하부동박을 흡착할 때 상기 하부동박이 한 장씩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하강이동하는 하부동박적치테이블과, 상기 수평흡착바에 의해 흡착된 하부동박을 상기 조합부로 이송공급하는 하부동박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박공급부가 이층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레이아웃 평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어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의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동선이 짧아져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는, 전체 제조공정을 자동화하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통해 일괄적으로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수직흡착바가 흡착된 상부동박을 조합부로 이송함과 동시에 좌우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수평흡착바가 전진된 상태에서 흡착된 하부동박을 조합부로 이송함과 동시에 후진하도록 형성되어 조합부의 신속한 이동을 통한 동박적층판의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박적층판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조합부를 상세히 보인 정면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박적층판 레 이업 장치(500)는 후술할 서스판(2)을 일측으로 이송공급하는 서스판공급부(100)와, 이층구조로서 후술할 상, 하부동박(3)(1)들을 이송공급하는 동박공급부(200)와, 승하강이 가능하며 상기 서스판공급부(100)와 동박공급부(200)로부터 공급받은 서스판(2)과 상, 하부동박(3)(1)들을 동박적층판(10)으로 레이업하는 조합부(300) 및 상기 조합부(300)에서 레이업된 상기 동박적층판(10)이 이송공급되어 대기하는 적층부(400)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50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서스판공급부(100)는 외측으로부터 단일 이송된 후 후술할 위치결정장치에 의해 위치결정된 서스판(2)을 한 장씩 조합부(300)로 이송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서스판(2)이 조합부(300)로 이송되는 서스판이송장치(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서스판이송장치(130)에는, 그 하측에 위치하며 상측으로 관통이동가능하도록 미도시된 위치결정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바, 이 위치결정장치는 외측으로부터 단일 이송된 서스판(2)의 각 측면과 네 방향에서 이동접촉하여 상기 서스판(2)이 정해진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서스판공급부(100)에는 서스판(2)의 크기에 따라 그 위치를 조절하여 지정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위치조절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스판공급부(100)에는 서스판(2)이 여러장으로 한꺼번에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서스판(2)의 수를 검출하는 서스판검출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동박공급부(200)는 적층된 상부동박(3)을 한 장씩 진공흡착하여 이송공급하는 상부동박공급부(210)와, 이 상부동박공급부(210)의 아래에 위치하여 적층된 하부동박(1)을 한 장씩 진공흡착하여 이송공급하는 하부동박공급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동박공급부(210)는 도 4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상부동박(3)을 한 장씩 진공흡착하며 상기 상부동박(3)의 이송방향과 수직되게 상부동박(3)의 양측을 흡착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합부(300)에 상기 상부동박(3)을 이송한 후 좌우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수직흡착바(211)와, 상기 수직흡착바(211)에 의해 흡착된 상부동박(3)을 상기 조합부(300)로 이송공급하는 상부동박 이송장치(212)와, 상기 상부동박(3)들이 적치되고 상기 수직흡착바(211)가 상기 상부동박(3)을 흡착할 때 상기 상부동박(3)이 한 장씩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하강이동하는 상부동박적치테이블(213)과, 상기 한 쌍의 수직흡착바(211)를 승하강시킴은 물론 상기 수직흡착바(211)를 서로 일정거리 이격시키는 수직흡착바 좌우이격장치(214)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동박 이송장치(212)는 상기 수직흡착바(211)가 상부동박(3)을 상기 조합부(3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프레임 상에 설치된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상기 수직흡착바(211)를 공압 또는 모터에 의해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서스판이송장치(130)와 일체로 연동 형성되어 상기 상부동박(3)과 서스판(2)이 상기 조합부(300)로 신속히 이송공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그래서
상기 수직흡착바 좌우이격장치(214)는 일정거리 승하강이 가능한바, 상기 상 부동박(3)의 흡착을 위해 하강하고 곧이어 승강하여 상기 조합부(300)로 이동한 후에는 적층을 위해 하강하는 장치로서, 이와 더불어 상기 조합부(300)로 이송된 상부동박(3)의 적층이 완료되면 신속히 상기 한 쌍의 수직흡착바(211)를 좌, 우로 일정거리 이격시킴이 가능한바, 이는 상부동박(3)이 이송된 후 완성된 동박적층판(10)의 이동괘적으로부터 상기 수직흡착바(211)를 양측으로 떨어지게 하여 조합부(300)에서 조합된 동박적층판(10)의 신속한 이동을 가능케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하부동박공급부(220)는 도 4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동박(1)의 이송방향과 수평하게 형성되고 전진된 상태에서 하부동박(1)의 양측을 흡착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합부(300)에 하부동박(1)을 이송한 후 이송된 하부동박(1)의 외측으로 후진하는 한 쌍의 수평흡착바(221)와, 상기 수평흡착바(221)에 의해 흡착된 하부동박(1)을 상기 조합부(300)로 이송공급하는 한 쌍의 하부동박이송장치(222)와, 상기 하부동박(1)들이 적치되고 상기 수평흡착바(221)가 상기 하부동박(1)을 흡착할 때 상기 하부동박(1)이 한 장씩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하강이동하는 하부동박적치테이블(223)과, 상기 한 쌍의 수평흡착바(221)를 승하강시킴은 물론 상기 수평흡착바(221)를 서로 전후진 시키는 수평흡착바 전후진장치(224)와, 상기 한 쌍의 수평흡착바(221)와 수평흡착바 전후진장치(224)를 연결하는 ㄱ자 형상을 한 쌍의 절곡바(225)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동박이송장치(222) 또한 상기 수평흡착바(221)가 하부동박(1)을 상기 조합부(3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프레임 상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상기 수평흡착바(221)를 공압 또는 모터에 의해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수평흡착바 전후진장치(224)는 일정거리 승하강이 가능한바, 상기 하부동박(1)의 흡착을 위해 하강하고 곧이어 승강하여 상기 조합부(300)로 이동한 후에는 적층을 위해 하강하는 장치로서, 이와 더불어 상기 조합부(300)로 이송된 하부동박(1)의 적층이 완료되면 신속히 상기 수평흡착바(221)를 서로 전후진 시킴이 가능한바, 이는 하부동박(1)이 이송된 후 상기 조합부(300)의 이동괘적(승강)으로부터 상기 수평흡착바(221)를 양측으로 떨어지게 하여 조합부(300)의 신속한 승강을 가능케 하기 위함이다.
부가하여, 상기 동박공급부(200)에는 상기 상부동박공급부(210)와 하부동박공급부(220)가 공급하는 각각의 상, 하부동박(3)(1)이 2장 또는 여러 장이 겹쳐져서 한꺼번에 이송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각 동박의 수를 검출할 수 있는 동박검출센서(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상, 하부동박(3)(1)이 진공흡착될 때 흡착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동박감지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동박공급부(200)에는 상기 상, 하부동박(3)(1)이 진공흡착될 때, 동박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하여 동박이 한 장씩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이온에어블로잉장치(미도시) 및 동박의 원활한 분리를 위해 진동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한 동박검출센서와 동박감지센서 및 상기 이온에어블로잉장치와 진동장치는 상기 상, 하부동박공급부(210)(220)의 각각에 설치할 수 있으며, 부가하여 상기 동박공급부(200)에는 동박의 원활한 분리를 위해 스윙장치(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합부(300)는 상기 동박공급부(200)로부터 공급받은 상, 하부동박(3)(1)을 상기 서스판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된 서스판(2)의 상하면 즉, 하부동박(1), 서스판(2), 상부동박(3)의 순으로 적층시켜 동박적층판(10)을 형성시키며, 이층구조의 동박공급부(200)에 대응하여 신속하고 원활하게 동박을 공급받아 적층시킬 수 있도록 승하강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합부(300)의 승하강은 공압실린더나, 모터, 스크류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그외 상기 조합부(300)를 승하강 시킬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사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합부(300)는 하부동박(1), 서스판(2), 상부동박(3)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동박적층판조합테이블(310)과, 상기 동박적층판조합테이블(310)의 하면에 상기 동박공급부(200)로부터 공급받은 동박을 지정위치에 위치하게 하는 위치결정장치(320)와, 그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진공흡입장치(도시생략)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동박이 상기 조합부(300)에 적층될 때, 동박 자체가 얇고 가볍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들뜸이나 위치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합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박적층판조합테이블(310)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동박(1)이 상기 동박적층판조합테이블(310)에 안착될 시에 상기 동박적층판조합테이블(310)의 판상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홈(310a)에 상기 하부동박(1)의 각 측부가 그 내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다수의 하동박처짐방지장치(33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하동박처짐방지장치(330)는 일정각도 경사진 공압실린더장 치(331)와, 힌지축(332a)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공압실린더장치(331)와 연동식으로 회동되어 상기 동박적층판조합테이블(310)의 관통홈(310a)들을 선택적으로 메우는 회동바(3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500)는 이송척킹부(450)를 더 구비하는바, 상기 조합부(300)에서 조합된 동박적층판(10)은 상기 이송척킹부(450)에 의해 적층부(400)로 이송된다.
상기 이송척킹부(450)는 상기 조합부(300)에서 조합 적층된 동박적층판(10)을 척킹하는 척커(451)와, 상기 척커(440)에 의해 척킹된 상기 동박적층판(10)을 상기 적층부(400)로 이송 적층하는 과정에서 동박적층판(10)의 구성 일부가 미끄러져서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동박적층판(10)의 대략 중간 부분을 누르면서 언척킹 및 적층할 수 있는 누름장치(452)와, 상기 척커(440)에 의해 척킹된 동박적층판(10)을 상기 적층부(400)로 이송공급하도록 슬라이딩 레일을 구비하는 동박적층판이송장치(4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500)는, 상기 서스판공급부(100)와, 동박공급부(200), 조합부(300) 및 이송척킹부(450)를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의 제어원리는 이하 제조공정을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박적층판의 레이업장치(500)의 제조공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박적층판의 제조공정을 개략 적으로 나타낸 절차도이다.
먼저,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서스판공급부(100)에는 서스판(2)이 적층 대기하고 있으며, 상기 상, 하부동박공급부(210)(220)의 각 상, 하부동박적치테이블(213)(223)에는 상, 하부동박(3)(1)이 각각 적치되어 대기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각 상, 하부동박적치테이블(213)(223)의 상면에는 한 쌍의 수직흡착바(211)와 수평흡착바(221)가 각각 위치하고 있고, 상기 서스판공급부(100)와 동박공급부(200)의 사이에는 조합부(300)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한 도 6의 상태에서 동박적층판(10)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합부(300)가 하강을 하게 되고, 이때 상기 하부동박공급부(22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흡착바(221)가 전진된 상태에서 하강하여 하부동박적치테이블(223) 상에 적치된 하부동박(1) 중에서 한 장을 진공 흡입한 후 상승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동박적치테이블(223)은 상기 수평흡착바(221)가 하부동박(1)을 흡착할 때 한 장만을 원활하게 흡착할 수 있도록 흡착 순간에 일정높이 하강 이동한다.
이렇게 하부동박공급부(220)의 수평흡착바(221)에 의해 흡착된 하부동박(1)은 수평흡착바(221)가 상부동박 이송장치(212)에 의해 조합부(300)로 이동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한 조합부(300)에 안착이 되며, 이때 상기 일정높이 하강된 하부동박적치테이블(223)은 다시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기한 작동을 통해 하부동박(1)이 조합부(300)에 안착되면, 도 10와 도 11(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수평흡착바(221)가 수평흡착바 전후진장치(224)에 의해 후진되어 조합부(300)가 신속히 상승이동하게 되며, 그런 다음 서스판공급부(1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합부(300)의 하부동박(1)의 상면에 서스판(2)을 적층시킨다.
상기한 작동에 의하여 조합부(300)에는 하부동박(1)과 서스판(2)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동박공급부(210)의 상부동박적치테이블(213)에 적치된 상부동박(3) 중 한 장을 수직흡착바(211)가 진공흡착 및 조합부(300)로 이동하여 상부동박(3)이 조하부(300)에 안착되면 서스판(2)의 양면에 상, 하부동박(3)(1)이 각각 적층된 동박적층판(10)이 제조완성된다.
이때, 상부동박적치테이블(213)은 상부동박공급부(210)가 상부동박(3)을 흡착할 시에 전술한 하부동박적치테이블(223)과 동일한 원리로 승, 하강함은 물론이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끝으로, 도 14(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수직흡착바(211)는 상부동박(3)을 조합부(300)에 안착시킴과 동시에 좌우로 서로 벌어짐으로써 이송척킹부(450)의 척커(451)가 동박적층판(10)을 신속히 척킹함과 아울러 외측인 적층부(400)로의 빠른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동박적층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동박적층판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박적층판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조합부를 상세히 보인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박적층판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절차도이다.

Claims (4)

  1. 적층된 서스판을 한 장씩 진공흡착하여 이송공급하는 서스판공급부와;
    적층된 상부동박을 한 장씩 진공흡착하여 이송공급하는 상부동박공급부와, 상기 상부동박공급부의 아래에 위치하여 적층된 하부동박을 한 장씩 진공흡착하여 이송공급하는 하부동박공급부로 구성되는 동박공급부와;
    승하강이 가능하여 상기 상부동박공급부와 하부동박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상, 하부동박을 상기 서스판의 상하면에 배치시켜 동박적층판을 형성시키는 조합부와;
    상기 동박적층판을 척킹하여 외측으로 이송공급시키는 이송척킹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동박공급부는, 하부동박의 이송방향과 수평하게 형성되고 전진된 상태에서 하부동박의 양측을 흡착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합부에 하부동박을 이송한 후 이송된 하부동박의 외측으로 후진하는 한 쌍의 수평흡착바와, 상기 하부동박들이 적치되고 상기 수평흡착바가 상기 하부동박을 흡착할 때 상기 하부동박이 한 장씩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하강이동하는 하부동박적치테이블과, 상기 수평흡착바에 의해 흡착된 하부동박을 상기 조합부로 이송공급하는 하부동박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동박공급부는,
    상기 상부동박의 이송방향과 수직되게 상부동박의 양측을 흡착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합부에 상기 상부동박을 이송한 후 좌우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수직흡착바와, 상기 상부동박들이 적치되고 상기 수직흡착바가 상기 상부동박을 흡착할 때 상기 상부동박이 한 장씩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하강이동하는 상부동박적치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동박과 상기 서스판을 상기 조합부로 이송공급하되 연동되어 신속히 공급되도록 하는 일체화된 상부동박 및 서스판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
  4. 조합부가 하강함과 아울러 하부동박공급부의 수평흡착바가 전진된 상태로 하강하여 하부동박을 흡착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동박공급부의 하부동박이송장치에 의해 하부동박이 조합부의 상면으로 이송되는 단계와;
    상기 하부동박공급부의 수평흡착바가 후진함과 아울러 상기 조합부가 승강되는 단계와;
    상기 하부동박공급부가 하부동박적치테이블로 원위치함과 동시에 서스판공급부에 의해 흡착된 서스판이 상기 조합부의 하부동박 상면에 적층되는 단계와;
    상기 서스판공급부가 서스판 흡착위치로 원위치함과 동시에 상부동박공급부 의 수직흡착바에 의해 흡착된 상부동박이 상기 조합부의 서스판 상면에 적층되는 단계와;
    상기 상부동박공급부의 수직흡착바가 좌우로 이격됨과 아울러 이송척킹부에 의해 동박적층판이 척킹되어 외측으로 이송되는 단계와;
    상기 상부동박공급부와 이송척킹부가 원위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박적층판 레이업 방법.
KR1020070094720A 2007-09-18 2007-09-18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 및 그 방법 KR100895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720A KR100895905B1 (ko) 2007-09-18 2007-09-18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720A KR100895905B1 (ko) 2007-09-18 2007-09-18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462A true KR20090029462A (ko) 2009-03-23
KR100895905B1 KR100895905B1 (ko) 2009-05-04

Family

ID=40696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720A KR100895905B1 (ko) 2007-09-18 2007-09-18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90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4898B2 (ja) * 1994-08-18 2000-10-30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積層板素材等の重ね合わせ・搬送装置
DE19731538C2 (de) 1997-07-23 1999-07-22 Siempelkamp Gmbh & Co Anlage zum Herstellen von Laminaten, insbesondere von Industrielaminaten
KR100619530B1 (ko) 2004-05-13 2006-09-08 에센하이텍(주) 자동 레이업 시스템
KR200405736Y1 (ko) 2005-10-25 2006-01-10 에센테크(주) 동박적층판 레이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5905B1 (ko) 2009-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9871B1 (ko) 다층형 연성인쇄기판의 커버레이 라미네이팅 방법 및 장치
KR101734271B1 (ko) 연료전지 스택 자동 적층 장치
CN211945338U (zh) 堆叠玻璃片料分离定位装置
JP6343049B2 (ja) ワークを分離する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140100067A (ko) Fpcb 적층용 이형필름 자동 접합 장비
KR20130128950A (ko) 커버레이 로딩장치
KR20180102295A (ko) 접착필름용 접착시트 부착장치
KR101268121B1 (ko) 레이업기판 자동 분리 공급장치
KR100895905B1 (ko) 동박적층판 레이업 장치 및 그 방법
KR101692902B1 (ko) 연료전지 스택 자동 적층 장치
KR100920973B1 (ko) 시트 공급장치
KR20090029461A (ko) 레이업기판 및 코어기판 공급장치
KR200405736Y1 (ko) 동박적층판 레이업장치
KR101786600B1 (ko) 인쇄회로기판 제조용 코어기판과 프리프레그 자동 레이업 장치
KR100772151B1 (ko) 시트적층물의 가공장치 및 그 방법
JP2539911Y2 (ja) 自動基板裁断装置における清掃兼用搬送機
KR101654277B1 (ko) 연료전지 스택 적층을 위한 단위셀 부품 정렬 이송 컨베이어
CN111071791A (zh) 一种pcb板自动上料机
JP2018087085A (ja) 板材分離装置、その板材分離装置を備えた板材搬送装置、及び板材の分離方法
TW202024809A (zh) 一種基板交接裝置及基板交接方法
KR20160097990A (ko) 2열 이송장치가 구비된 복합금형 장치
JP4923752B2 (ja) 板材加工搬送システム
KR101393484B1 (ko) 다층기판 레이업용 가이드핀 제거장치
KR101969780B1 (ko) 인쇄회로기판의 정합 및 적층장치
KR101452362B1 (ko) 인쇄회로기판 원자재 자동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