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9427A -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9427A
KR20090029427A KR1020070094640A KR20070094640A KR20090029427A KR 20090029427 A KR20090029427 A KR 20090029427A KR 1020070094640 A KR1020070094640 A KR 1020070094640A KR 20070094640 A KR20070094640 A KR 20070094640A KR 20090029427 A KR20090029427 A KR 20090029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frame
seat
seat height
height adjustment
connect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8372B1 (ko
Inventor
김준재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엠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엠앤아이 filed Critical (주)케이엠앤아이
Priority to KR1020070094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372B1/ko
Publication of KR20090029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5Gear wheel driven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측 사이드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좌·우측 사이드프레임 사이에 보강부재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는 시트를 전·후 이동시키는 상·하트랙과, 상기 상·하트랙의 상부에 구비되어 노브와 연동되는 톱니기어 및 상기 톱니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드럼으로 구성된 높이조절용 레귤레이터가 설치된 좌·우측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레귤레이터에 의해 회전되는 전방로드와 연결바를 통해 상기 전방로드와 연동되는 후방로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측 사이드프레임과 우측 사이드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좌측 사이드프레임과 우측 사이드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는 강성보강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된다는 작용효과가 있다.
시트, 높이조절, 보강, 강성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Mechanism for Adjusting of Height of Vehicular Sea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측 사이드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좌·우측 사이드프레임 사이에 보강부재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와 승객이 탑승할 수 있도록 프론트 시트와 리어시트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 시트는 운전석과 조수석이 각각 별도로 분리되어 있는 분리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어시트는 좌측과 우측의 시트가 일체로 결합된 벤치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운전석의 시트는 운전자의 체형에 알맞게 조정하여 운전자가 안전운행을 할 수 있도록 시트가 전후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 좌·우측에 시트가 앞뒤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하트랙(10, 11)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트 랙(10, 11)의 상부에 각각 사이드프레임(30)이 설치되며 상기 사이드프레임(30)의 상부에 시트(미도시)가 설치되어진다. 상기 좌·우측 사이드프레임(30) 사이에는 시트(미도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전방로드(33)와 후방로드(38)가 형성되는데, 상기 전방로드(33)와 후방로드(38)의 회전에 의해 상기 좌·우측 사이드프레임(30)의 상부에 설치된 시트(미도시)가 승·하강 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시트(미도시)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방로드(33)와 후방로드(38)의 회전에 대해서 살펴보면, 상기 좌·우측 사이드프레임(30)의 외측에는 노브(21)가 형성되어지는데 상기 노브(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노브(21)와 연동된 톱니기어(23)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톱니기어(2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톱니기어(23)와 치합되는 상기 섹터기어(31)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전방로드(33)를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전방로드(33)와 연결바(39)에 의해 연동된 후방로드(38) 또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의 시트 높이조절장치를 보면 상기 노브(33)에 의해서 발생된 회전운동은 전방로드(33)와 후방로드(38)를 회전되게끔 하고 상기 전방로드(33)와 후방로드(38)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 제1링크(34)와 상기 시트(미도시)의 하측에 일 측이 고정되며 타 측이 힌지(36)에 의해서 상기 제1링크(34)와 결합되는 제2링크(35)에 의해서 상·하운동으로 변환되어 시트의 높낮이가 조절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시트의 상부에는 운전자 내지 승객이 착석하게 되는데, 이처럼 시트에 운전자 내지 승객이 착석함에 따라 상기 시트 높이조절장치에는 하중이 집중되고 그로 인해 내구성이 약화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좌·우측의 사이드프레임 사이에 강성보강재를 더 구비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핀에 의해 좌·우측 사이드프레임과 강성보강부재의 결합구조가 단순화된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는 시트를 전·후 이동시키는 상·하트랙과, 상기 상·하트랙의 상부에 구비되어 노브와 연동되는 톱니기어 및 상기 톱니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드럼으로 구성된 높이조절용 레귤레이터가 설치된 좌·우측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레귤레이터에 의해 회전되는 전방로드와 연결바를 통해 상기 전방로드와 연동되는 후방로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측 사이드프레임과 우측 사이드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좌측 사이드프레임과 우측 사이드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는 강성보강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강성보강재는 상기 후방로드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성보강재는 속이 빈 중공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성보강부재의 양단부와 상기 좌우측 사이드프레임의 내측면 사이에는 연결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핀은 강성보강재의 양단부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핀이 삽입된 부위는 외부로부터 상기 강성보강재와 연결핀을 관통하는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핀의 중앙에는 삽입제한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강성보강부재에 의해 시트 높이조절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된다는 작용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강성보강재를 설치함에 있어 연결핀을 사용하여 사이드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강성보강재와 연결핀이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도록 하여 종래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으며 설치 작업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강성보강재와 연결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핀의 사시도이다.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의 높이조절장치는 차량 내부 저면에 고정되는 한쌍의 하부트랙(11)과, 상기 하부트랙(11)에 삽입되어 전·후로 이동하는 상부트랙(10)과, 상기 상부트랙(10)의 상부에 구비된 좌·우측 사이드프레임(30a, 30b)과, 상기 좌·우측 사이드프레임(30a, 30b) 사이에 구비된 시트(미도시), 및 상기 좌측 사이드프레임(30a) 또는 우측 사이드프레임(30b)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레귤레이터(20)와, 상기 시트를 지지하도록 좌측 사이드프레임(30a)과 우측 사이드프레임(30b)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레귤레이터(20)에 의해 회전되는 전방로드(33)와, 상기 전방로드(33)와 연결바(39)를 통해 연결되어 연동되는 후방로드(38) 그리고 상기 좌·우측 사이드프레임(30a, 30b) 사이에 배치되는 강성보강재(50)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좌·우측 사이드프레임(30a, 30b) 사이에 구비된 상기 전방로드(33)와 후방로드(38)는 상기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기 좌측 사이드프레임(30a) 또는 우측 사이드프레임(30b) 중 어느 한곳에 구비된 상기 레귤레이터(2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전방로드(33)와 후방로드(38)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시트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상기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상기 전방로드(33)와 후방로드(38)의 회전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좌측 사이드프레임(30a) 또는 우측 사이드프레임(30b)의 외측에는 노브(21)가 구비되어지는데 탑승자에 의해 상기 노브(21)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노브(21)의 회전력은 톱니기어(23)로 전달된다. 상기 톱니기어(2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톱니기어(23)와 치합되는 상기 섹터기어(31)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전방로드(33)가 회전되며, 상기 전방로드(33)와 연결바(39)에 의해 연동되는 상기 후방로드(38) 또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의 시트 높이조절장치를 보면 상기 노브(33)에 의해서 발생된 회전운동은 상기 전방로드(33)와 후방로드(38)에 전달되고 이렇게 전달된 회전력은 상기 전방로드(33)와 후방로드(38)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 제1링크(34)와 상기 시트(미도시)의 하측에 일 측이 고정되며 타 측이 힌지(36)에 의해서 상기 제1링크(34)와 결합되는 제2링크(35)에 의해서 상·하운동으로 변환되어 시트의 높낮이가 조절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후방로드(38)의 후방에는 좌·우측 사이드프레임(30a, 30b) 사이에 양단이 고정된 강성보강재(50)가 구비된다. 상기 강성보강재(50)는 상기 좌·우측 사이드프레임(30a, 30b)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시트 높이 조절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 좌·우측 사이드프레임(30a, 30b) 사이에 상기 강성보강재(50)가 구비됨으로서 상기 시트 높이조절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4와 도 5는 강성보강재와 연결핀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좌·우측 사이드프레임(30a, 30b)사이에 시트 높이조절장치의 내구도를 향상시키도록 속이 빈 중공파이프로 이루어진 강성보강재(50)가 구비된다. 상기 강성보강재(50)는 종래에 생산되어지는 시트 높이조절장치의 설계를 크게 변경하지 않도록 연결핀(51)을 매개로 하여 좌·우측 사이드프레임(30)에 연결되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핀(51)은 상기 강성보강재(50)의 양측 단부에 삽입되어 볼트와 같은 체결구(54)를 통해 체결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핀(51)은 소정부위에 체결공(53)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기 연결핀(51)이 강성보강재(50)에 삽입됨에 있어 오조립을 방지하고 체결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삽입제한수단(52)이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강성보강재와 연결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트랙 11: 하부트랙
20: 레귤레이터 21: 노브
22: 드럼 23: 톱니기어
30: 사이드프레임 30a: 좌측 사이드프레임
30b: 우측 사이드프레임 31: 섹터기어
33: 전방로드 34: 제 1링크
35: 제 2링크 36: 힌지
37: 결합부 38: 후방로드
39: 연결바 50: 강성보강재
51: 연결핀 52: 삽입제한수단
53: 체결공 54: 체결구

Claims (6)

  1. 시트를 전·후 이동시키는 상·하트랙(10, 11)과, 상기 상·하트랙(10, 11)의 상부에 구비되어 노브(21)와 연동되는 톱니기어(23) 및 상기 톱니기어(23)의 회전을 제한하는 드럼(22)으로 구성된 높이조절용 레귤레이터(20)가 설치된 좌·우측 사이드프레임(30a, 30b)과, 상기 레귤레이터(20)에 의해 회전되는 전방로드(33)와 연결바(39)를 통해 상기 전방로드(33)와 연동되는 후방로드(38)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측 사이드프레임(30a)과 우측 사이드프레임(30b) 사이에는 상기 좌측 사이드프레임(30a)과 우측 사이드프레임(30b)에 양단이 고정되는 강성보강재(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보강재(50)는 상기 후방로드(38)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보강재(50)는 속이 빈 중공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 트 높이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보강부재(50)의 양단부와 상기 좌·우측 사이드프레임(30a, 30b)의 내측면 사이에는 연결핀(51)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51)은 강성보강재(50)의 양단부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핀(51)이 삽입된 부위는 외부로부터 상기 강성보강재(50)와 연결핀(51)을 관통하는 체결구(54)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51)의 중앙에는 삽입제한수단(5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KR1020070094640A 2007-09-18 2007-09-18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KR100898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640A KR100898372B1 (ko) 2007-09-18 2007-09-18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640A KR100898372B1 (ko) 2007-09-18 2007-09-18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427A true KR20090029427A (ko) 2009-03-23
KR100898372B1 KR100898372B1 (ko) 2009-05-18

Family

ID=40696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640A KR100898372B1 (ko) 2007-09-18 2007-09-18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3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933B1 (ko) * 2011-12-09 2013-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의 안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4956U (ko) * 1995-04-04 1996-11-21 이병성 조립식 가구의 프레임 연결구
KR100457396B1 (ko) * 2002-06-27 2004-11-18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높이조절장치
FR2863961B1 (fr) 2003-12-22 2007-08-17 Faurecia Sieges Automobile Structure d'assise de siege de vehicule muni d'une assise comportant une telle structure
KR20060040938A (ko) * 2004-11-08 2006-05-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측면 충돌성능 보강용 시트프레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933B1 (ko) * 2011-12-09 2013-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의 안전장치
US9108539B2 (en) 2011-12-09 2015-08-18 Hyundai Motor Company Safety apparatus of seat for vehicle with height adjus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8372B1 (ko) 2009-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3950B2 (en) Seat device for vehicle
US20050218684A1 (en) Seat device for vehicle
JP5335698B2 (ja) 車両座席
CN107757431B (zh) 用于车辆座椅的倾角调节机构及车辆后排座椅
KR100898372B1 (ko)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KR20200000622A (ko) 차량용 시트 이동 장치
JP2582361Y2 (ja) シートの取付け構造
WO2016181677A1 (ja) シートフレーム及びシートフレームの製造方法
KR20040013862A (ko) 자동차용 프론트시트의 리클라이너 잠금장치
JP2010120554A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構造および該構造を有する車両用シート
JP6824831B2 (ja) 乗物用シートの支持構造
JP2011011613A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H035142Y2 (ko)
JP3737653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4396566B2 (ja) 車両用シート支持部の構造
KR101592779B1 (ko) 자동차의 시트프레임 조립체
KR100351357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장착구조
JP4006495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KR100551769B1 (ko) 자동차의 시트트랙 연동형 시트 틸트장치
JP5366283B2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構造および該スライド構造を有する車両用シート
KR102332001B1 (ko) 캠핑카용 운전석 및 조수석 회전구조
US2652096A (en) Seat structure
CN219214794U (zh) 坐垫骨架总成和车辆
JP5820426B2 (ja) アシストグリップの取付構造
CN109228988B (zh) 一种车辆座椅集成操控箱翻转调节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