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7473A -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7473A
KR20090027473A KR1020070092714A KR20070092714A KR20090027473A KR 20090027473 A KR20090027473 A KR 20090027473A KR 1020070092714 A KR1020070092714 A KR 1020070092714A KR 20070092714 A KR20070092714 A KR 20070092714A KR 20090027473 A KR20090027473 A KR 20090027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frequency
wireless communication
main clock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4432B1 (ko
Inventor
김범진
이승재
편승범
박우일
김대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2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432B1/ko
Priority to JP2008103581A priority patent/JP5280728B2/ja
Priority to US12/183,570 priority patent/US8253675B2/en
Priority to CN2008102150737A priority patent/CN101388170B/zh
Priority to EP08016037A priority patent/EP2037445A3/en
Priority to TW097134843A priority patent/TWI458270B/zh
Publication of KR20090027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8Timing circuits for raster scan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04B15/02Reducing interference from electric apparatus by means located at or near the interfering apparat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6Handl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EMI], covering emitted as well as received electromagnetic radi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09G2370/045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g. parallel and serial
    • G09G2370/047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g. parallel and serial using display data channel standard [DDC] commun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15/00Reducing interference at the transmission system level
    • H04B2215/064Reduction of clock or synthesizer reference frequency harmonics
    • H04B2215/065Reduction of clock or synthesizer reference frequency harmonics by changing the frequency of clock or reference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수신율이 향상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메인 클럭에 응답하여 구동하는 표시부 및 무선 통신 채널에서 수신한 신호들 내에 노이즈를 측정하여 메인 클럭을 제공하되, 노이즈를 줄일 수 있도록 메인 클럭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메인 클럭 제공부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70092714
무선 통신 장치, 표시 장치, 노이즈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Display apparatus includ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OLED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등 평판 패널형 표시 장치의 발달로, 표시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졌다. 그리고 이들 소형화된 표시 장치는 휴대용 전자 제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들 표시 장치들은 최근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WWAN(Wireless Wide Area Network),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등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무선 통신 장치와 결합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무선 통신은 공간을 전송매체로 하여, 정보 신호를 전자파에 실어서 송·수신하는 통신 방식으로, 공간적 제약이 적어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무선 통신은 공간을 매체로 하여 통신하기 때문에, 기존의 유선 통신 방식에 비해 노이즈가 많이 발생할 수 있어 통신의 수신율이 문제된다.
특히 WWAN 또는 WLAN을 이용하는 노트북과 같이 표시 장치와 결합하여 사용되는 무선 통신 장치에서 수신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수신율이 향상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수신율이 향상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메인 클럭에 응답하여 구동하는 표시부 및 무선 통신 채널에서 수신한 신호들 내에 노이즈를 측정하여 메인 클럭을 제공하되, 노이즈를 줄일 수 있도록 메인 클럭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메인 클럭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무선 통신 채널에서 수신한 신호들 내에 노이즈를 측정하여 메인 클럭을 제공하되, 노이즈를 줄일 수 있도록 메인 클럭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 및 메인 클럭에 응답하여 표시부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무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수신율이 향상된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 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 "피크(peak)"라는 용어는, 신호를 주파수 영역에서 나타내었을 때, 신호의 진폭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변곡점을 의미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 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우선,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표시 장치의 구동에 따른 노이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노이즈 측정부에서 노이즈를 측정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는 도 1의 데이터 처리부에서 노이즈의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표시부(100)와 메인 클럭 제공부(200)를 포함한다.
표시부(100)는 그래픽 컨트롤러(280)에서 제공되는 입력 영상 신호(R, G, B) 및 입력 제어 신호(Hsync, Vsync, MCLK)를 제공받아, 정보를 표시(display)한다. 표시부(100)는 표시 패널(120), 타이밍 컨트롤러(140), 게이트 구동부(160), 및 데이터 구동부(18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20)은 다수의 표시 신호선(G1~Gn, D1~Dn)과 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단위 화소(PX)를 포함한다. 표시 신호선(G1~Gn, D1~Dn)은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G1~Gn)과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D1~Dn)을 포함한다. 여기서 표시 패널(120)은 단위 화소(PX)를 구현하는 방식에 따라 LCD(Liquid Display) 패널,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패널,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일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그래픽 컨트롤러(280)로부터 입력 영상 신호(R, G, B) 및 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입력 제어 신호(Hsync, Vsync, MCLK)를 수신한다. 입력 제어 신호(Hsync, Vsync, MCLK)의 예로는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메인 클럭(MCLK) 등이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입력 영상 신호(R, G, B)와 입력 제어 신호(Hsync, Vsync, MCLK)를 기초로 게이트 제어 신호(CONT1), 데이터 제어 신호(CONT2) 및 영상 신호(R', G', B') 등을 생성한다. 그리고 게이트 제어 신호(CONT1)를 게이트 구동부(160)에 제공하고, 데이터 제어 신호(CONT2)와 영상 신호(R', G', B')를 데이터 구동부(180)에 제공한다.
여기서 게이트 제어 신호(CONT1), 데이터 제어 신호(CONT2) 등과 같이 타이밍 컨트롤러(140)에서 제공되는 신호들은 메인 클럭(MCLK)을 기준으로 시간적 관계가 제어될 수 있다. 메인 클럭(MCLK)의 주파수는 표시부(100)의 구동 주파수일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주파수는 프레임 율(frame rate), 수평 총 데이터 및 수직 총 데이터 등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수평 총 데이터는 H-sync, H-backporch 및 H-active를 포함하며, 수직 총 데이터는 V-sync, V-backporch 및 V-activ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제어 신호(CONT1)는 게이트 구동부(16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 한 신호로써, 게이트 구동부(160)의 동작을 개시하는 수직 시작 신호, 및 게이트 온 전압(Von)의 출력 시기를 결정하는 게이트 클럭 신호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제어 신호(CONT2)는 데이터 구동부(18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로써, 데이터 구동부(180)의 동작을 개시하는 수평 개시 신호, 및 영상 신호(R', G', B')의 출력 시기를 결정하는 데이터 클럭 신호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부(160)는 게이트 라인(G1~Gn)에 연결되어 게이트 온/오프 전압 발생부(미도시)로부터 제공된 게이트 온 전압(Von)과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을, 게이트 제어 신호(CONT1)에 응답하여 게이트 라인(G1~Gn)에 인가한다.
데이터 구동부(180)는 데이터 라인(D1~Dn)에 연결되어 영상 신호(R', G', B')를 데이터 제어 신호(CONT2)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1~Dn)에 인가한다.
메인 클럭 제공부(200)는 무선 통신 채널에서 수신한 신호들 내에 노이즈를 측정하여, 노이즈를 줄일 수 있도록 메인 클럭(MCLK)의 주파수를 변경하여 표시부(100)에 제공한다. 메인 클럭 제공부(200)는 무선 통신부(220), 노이즈 측정부(240), 데이터 처리부(260), 및 그래픽 컨트롤러(280)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220)는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하여 수신측으로부터 반송파(carrier)에 실려서 온 정보 신호를 수신한다. 무선 통신부(220)는 RF(Radio Frequency) 동조부(222)와 기저 대역 처리부(224)를 포함한다.
RF 동조부(222)는 무선 통신 채널 선택 및 동기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동기화된 신호(SRS)를 기저 대역 처리부(224)에 제공한다. 여기서 RF 동조부(222)는 무선 통신에서 입력되는 신호의 동기 복조(synchronous demodulation)를 위하여, 송신된 입력 반송파 위상과 국부 발진기의 위상을 허용 범위 안에서 일정한 시간적 관계로 유지시키거나 일치시킨다.
기저 대역 처리부(224)는 RF 동조부(222)를 거친 동기화된 신호(SRS)를 디지털 신호(PRS)로 복조한다. RF 동조부(222)를 통과한 신호를 I-채널 및 Q-채널 신호로 분리하고, 이를 저역 통과 필터(lowpass filter)로 필터링한 후에,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 Digital Converter: ADC)에서 디지털 신호(PRS)로 변환한다.
노이즈 측정부(240)는 무선 통신부(220)에서 수신한 신호들(PRS)에서 노이즈를 측정하여, 데이터 제공부(260)에 제공한다. 여기서 노이즈는 구동 주파수에 의한 노이즈일 수 있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무선 통신에서 영향을 미치는 표시부의 구동 주파수에 의한 노이즈를 설명한다.
표시부의 구동 주파수(m)에 정수배가 되는 주파수(예를 들어, nm, (n+1)m) 부근에서 강한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가 발생한다. 즉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 내에 표시부의 구동 주파수에 의한 EMI가 존재할 경우, 이는 무선 통신 채널 내에서 노이즈로 작용하여 무선 통신의 수신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노이즈 측정부(240)는 제1 구동 주파수(예를 들어 m)에서 수신된 신호(PRS1)와 제2 구동 주파수(예를 들어 l)에서 수신된 신호(PRS2)를 분석하여 노이즈(NDS)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신된 신호들(PRS)을 주파수 영역 상에서 분석할 경우, 정보 신호, 표시부의 구동 주파수에 의한 노이즈 등 여러 신호들에 의한 피크 가 나타나게 된다. 여기서 표시부(100)의 구동 주파수에 의한 노이즈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표시부(100)의 구동 주파수의 정수배가 되는 주파수 부근에서 피크가 나타나게 되며, 또한 표시부(100)의 구동 주파수가 변하게 되면 이에 따라 피크의 위치 이동하게 한다.
따라서 제1 구동 주파수와 제2 구동 주파수에서의 피크들 중에서 위치가 변하는 피크를 노이즈 피크로 정의하고, 이를 분석한다. 즉 제1 구동 주파수와 제2 구동 주파수의 차이(예를 들어 l-m)에 해당하는 만큼의 위치가 이동하는 피크를 노이즈 피크로 정의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다. 노이즈 피크의 분석은 노이즈 피크가 위치하는 주파수 영역과 노이즈 피크의 진폭을 분석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노이즈 측정부(24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에서 설명한 동작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으나, 노이즈 측정부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등으로 수신 신호의 세기 등을 검출하고, 이 신호를 처리하여 예컨대, BER(Bit Error Rate) 등을 검출하는 회로일 수도 있다.
데이터 처리부(260)는 노이즈 측정부(240)에서 측정된 노이즈(NDS)와 기준치를 비교하여 허용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 결과에 따라 그래픽 컨트롤러(280)에 주파수 변경 신호(FC)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부(260)는 노이즈 측정부(240)에서 측정한 노이즈(NDS)의 허용 여부를, 노이즈 피크와 기준치를 비교하여 판단한다. 여기서 기준치는 일정한 범위를 가지는 주파수 대역으로써,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과 같은 크기일 수 있다. 또한, 기준치는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보다 작은 범위를 가지는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도 4a와 같이 노이즈 피크가 기준치 범위 내에 있을 경우, 데이터 처리부(260)는 노이즈를 허용할 없다는 판단을 할 수 있다. 반면에 도 4b와 같이 노이즈 피크의 위치가 기준치 범위 밖에 있을 경우, 데이터 처리부는 노이즈를 허용할 수 있다는 판단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노이즈 피크가 기준치 범위 내에 있더라도, 노이즈 피크가 허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경우 허용할 수 있다는 판단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 내에 두 개의 노이즈 피크가 존재하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는 기준치 범위 내에 적어도 하나의 노이즈 피크만 존재하거나, 노이즈 피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허용할 수 있다는 판단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두 개의 노이즈 피크가 기준치 범위 내에 있더라도, 노이즈 피크가 허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경우 허용할 수 있다는 판단을 할 수도 있다.
데이터 처리부(260)는 노이즈(NDS)의 허용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그래픽 컨트롤러(280)에 주파수 변경 신호(FC)를 제공한다. 노이즈(NDS)를 허용할 수 없는 경우는 인에이블(enable)된 주파수 변경 신호(FC)를 제공하고, 반면에 노이즈를 허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디스에이블(disable)된 주파수 변경 신호(FC)를 제공한다.
여기서 데이터 처리부(260)는 CPU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노이즈를 RSSI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경우, 노이즈가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허용할 수 없다는 판단을 할 수 있다. 반면에 노이즈가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허용할 수 있다는 판단을 할 수도 있다.
그래픽 컨트롤러(280)는 데이터 처리부(260)에서 주파수 변경 신호(FC)에 응답하여 메인 클럭(MCLK)을 표시부(100)의 타이밍 컨트롤러(140)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그래픽 컨트롤러(280)는 CPU 등으로부터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표시부(100)의 타이밍 컨트롤러(140)에 입력 영상 신호(R, G, B) 및 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입력 제어 신호(Hsync, Vsync, MCLK)를 제공한다. 여기서 그래픽 컨트롤러(280)에 제공되는 영상 신호에는 주파수 변경 신호(FC)를 포함한다. 또한 그래픽 컨트롤러(280)는 인에이블된 주파수 변경 신호(FC)에 응답하여 메인 클럭(MCLK)의 주파수를 변경하여 표시부(100)의 타이밍 컨트롤러(14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메인 클럭 제공부(200)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여 인에이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하던 무선 통신 채널과 다른 무선 통신 채널을 사용하게 될 경우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이 변동하게 되어,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원인(도 2 참조)으로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만 노이즈 감소를 위하여 메인 클럭 제공부(200)를 인에이블시키고, 동일한 무선 통신 채널을 계속 사용할 경우에는 메인 클럭 제공부(200)를 디스에이블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피드백하여 동작하게 된다. 즉, 표시부(100)에서의 구동과, 메인 클럭 제공부(200)에서의 노이즈 측정 및 이에 따라 표시부(100)의 구동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해 변경된 주파수의 메인 클럭(MCLK)을 제공하는 것이 반복되어 피드백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무선 통신시 노이즈에 의한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b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은,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MFW)과 메인 클럭의 주파수(FMCLK)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300)를 더 포함한다는 점이다. 또한 메모리부(300)에 저장된 주파수 대역(MFW)과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UFM)을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저장된 메인 클럭의 주파수(FMCLK)로 메인 클럭(MCLK)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메모리부(300)에는 데이터 처리부(260)에서 노이즈(NDS)와 기준치를 비교하여 노이즈(NDS)를 허용할 수 있는 경우, 무선 통신부(220)에서 사용하고 있는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MFW)과 표시부(100)에 제공되는 메인 클럭의 주파수(FMCLK)가 저장된다.
메모리부(300)의 위치에 제한은 없지만, 메모리부(300)는 표시부(100)에 포 함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100)에 제조사, 제품 식별코드 및 기본 디스플레이 변수와 특성을 알려주는 모니터 정보(Extended Dispay Identification Data: EDID) 등을 저장한 메모리일 수도 있다. 메모리부(300)가 표시부(100)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그래픽 컨트롤러(280)를 통하여 메모리부(300)에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MFW)과 메인 클럭(MCLK)의 주파수(FMCLK)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MCLK, FMCLK)를 읽어낼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60)는 메모리부(300)에 저장된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MFW)과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UFW)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가 일치할 경우 그래픽 컨트롤러(280)에서 메모리부(300)에 저장된 메인 클럭의 주파수(FMCLK)로 메인 클럭(MCLK)을 제공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처리부(260)는 무선 통신부(220)로부터 사용하고 있는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UFW)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받고, 메모리부(300)로부터는 저장된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MFW)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들을 비교한다.
데이터 처리부(260)는 저장된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MFW)과 현재 사용하고 있는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UFW)이 일치할 경우, 그래픽 컨트롤러(280)에서 메모리부(300)에 저장된 주파수(FMCLK)의 메인 클럭(MCLK)을 제공하도록 한다. 반면에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피드백 과정을 통하여 노이즈를 줄여나가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b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 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제1 실시예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4b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해당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무선 통신 채널 내의 노이즈를 측정한다(S100). 여기서 노이즈는 표시부(100)의 구동 주파수에 의한 노이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구동 주파수(예를 들어, m)에서 수신된 신호(PRS1)와 제2 구동 주파수(예를 들어, l)에서 수신된 신호(PRS2)를 분석하여, 노이즈(NDS)를 측정한다. 상술한 것처럼 표시부(100)의 구동 주파수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NDS)는 표시부(100)의 구동 주파수에 따라, 피크가 발생하는 위치가 달라진다. 따라서 표시부(100)의 구동 주파수가 변함에 따라, 표시부(100)의 구동 주파수 변화량(예를 들어, l-m)만큼 이동하는 피크를 노이즈 피크로 정의하여, 이를 분석한다. 노이즈 피크의 분석은 노이즈 피크가 위치하는 주파수 영역과 노이즈 피크의 진폭을 분석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 및 노이즈 측정은 CPU에서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노이즈는 RSSI 등으로 수신 신호의 세기 등을 검출하고, 이 신호를 처리하여 예컨대, BER 등을 측정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측정된 노이즈(NDS)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허용 여부를 판단한다(S200).
구체적으로 노이즈(NDS)의 허용 여부 판단은 노이즈 피크의 위치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치는 일정한 범위를 가지는 주파수 대역으로써,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과 같은 크기일 수 있다. 또한 기준치는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보다 작은 범위를 가지는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노이즈 피크가 기준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허용할 수 없다는 판단을 하고, 반면에 노이즈 피크가 기준치 범위 밖에 있는 경우 허용할 수 있다는 판단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노이즈 피크가 기준치 범위 내에 있더라도, 노이즈 피크가 허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경우 허용할 수 있다는 판단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 내에 두 개의 노이즈 피크가 존재하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는 기준치 범위 내에 적어도 하나의 노이즈 피크만 존재하거나, 노이즈 피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허용할 수 있다는 판단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노이즈를 RSSI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경우에는, 노이즈가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허용할 수 없다는 판단을 할 수 있다. 반면에 노이즈가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허용할 수 있다는 판단을 할 수도 있다.
허용할 수 없다는 판단을 하게 되면, 메인 클럭(MCLK)의 주파수를 변경한다(S300). 여기서 메인 클럭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것은,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데 이터 처리부(260)에서 할 수 있다.
그리고 주파수가 변경된 메인 클럭(MCLK)을 제공 받은 표시부(100)는, 이에 응답하여 구동 주파수가 변경되어 구동하게 된다(S400).
이와 같은 과정들이 반복되면,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표시부(100)의 구동 주파수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피드백 과정(S100, S200, S300, S40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서 설명한 것과 같은 이유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여 인에이블 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b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제2 실시예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4b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해당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이 제3 실시예와 다른 점은, 노이즈(NDS)를 허용할 수 있는 경우,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MFW) 및 표시부(100)의 구동 주파수(FMCLK)를 메모리부(300)에 저장하는 단계(S500)가 더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또한, 메모리부(300)에 저장된 주파수 대역(MFW)과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UFW)을 비교하여(S600) 일치할 경우, 저장된 메인 클럭의 주파수(FMCLK)로 메인 클럭(MCLK)을 제공하는 단계(S700)가 더 포함된다는 점이다.
메모리부(300)에 저장된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MFW)과 현재 사용하고 있는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UFW)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S600).
주파수 대역이 일치할 경우, 메모리부(300)에 저장된 주파수(FMCLK)의 메인 클럭(MCLK)을 표시부(100)에 제공한다(S700). 이에 의해 해당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UFW, MFW)에서, 표시부(100)의 구동 주파수에 의한 노이즈의 영향을 허용할 수 있는 범위로, 표시부(100)를 구동할 수 있다.
반면에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은 과정(S100, S200, S300, S400)을 거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상술하였는바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노이즈(NDS)의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0)에서 허용할 수 있다는 판단을 하게되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MFW)과 메인 클럭의 주파수(FMCLK)를 메모리부(300)에 저장한다(S500).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은 피드백 과정(S100, S200, S300, S400)을 거치면서, 표시부(100)에 제공되는 메인 클럭(MCLK)의 주파수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에서 허용할 수 있는 정도의 노이즈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후에 주파수 대역이 같은 무선 통신 채널에서 통신을 하게 될 경우, 상기와 같은 피드백 과정(S100, S200, S300, S400)을 반복하지 않도록, 메모리 부(300)에 주파수 대역(MFW)과 표시부(100)의 구동 주파수(FMCLK)를 저장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표시 장치의 구동에 따른 노이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노이즈 측정부에서 노이즈를 측정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는 도 1의 데이터 처리부에서 노이즈의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표시부 120: 표시 패널
140: 타이밍 콘트롤러 160: 게이트 구동부
180: 데이터 구동부 200: 메인 클럭 제공부
220: 무선 통신부 240: 노이즈 측정부
260: 데이터 처리부 280: 그래픽 컨트롤러
300: 메모리부

Claims (22)

  1. 메인 클럭을 제공받고, 상기 메인 클럭의 주파수에 따른 구동 주파수로 구동되는 표시부; 및
    무선 통신 채널에서 수신한 신호들 내에 노이즈를 측정하여 상기 메인 클럭을 제공하되, 상기 노이즈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클럭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메인 클럭 제공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클럭 제공부는 상기 무선 통신 채널에서 신호들을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수신한 신호들에서 노이즈를 측정하는 노이즈 측정부,
    상기 측정된 노이즈와 기준치를 비교하고 허용 여부를 판단하여, 주파수 변경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주파수 변경 신호에 응답하여 메인 클럭을 제공하는 그래픽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측정부는 제1 구동 주파수에서 수신된 신호와 제2 구동 주파수에서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노이즈를 측정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측정부는 상기 수신된 신호를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할 때 나타나는 피크 중에서,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에서 위치가 변하는 피크를 노이즈 피크로 정의하고, 상기 노이즈 피크를 분석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노이즈를 상기 기준치와 비교하여 허용할 수 없는 경우, 인에이블된 상기 주파수 변경 신호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를 상기 기준치와 비교하여 허용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과 상기 메인 클럭의 주파수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클럭 제공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과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가 일치할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주파수의 메인 클럭을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과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을 비교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측정부 및/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포함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클럭 제공부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여 인이에블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무선 통신 채널에서 수신한 신호들 내에 노이즈를 측정하여 메인 클럭을 제공하되, 상기 노이즈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클럭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클럭을 제공받아, 상기 메인 클럭의 주파수에 따른 구동 주파수로 표시부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클럭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는 무선 통신 채널 내의 노이즈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노이즈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메인 클럭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를 측정하는 단계는, 제1 구동 주파수에서 수신된 신호와 제2 구동 주파수에서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노이즈를 측정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신호를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할 때 나타나는 피크 중에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구동 주파수에서 위치가 변하는 피크를 노이즈 피크로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 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를 상기 기준치와 비교하여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노이즈 피크의 위치와 상기 기준치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클럭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노이즈와 상기 기준치를 비교하여 허용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메인 클럭의 주파수를 일정한 양만큼 변화시키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노이즈와 상기 기준치를 비교하여 허용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과 상기 메인 클럭의 주파수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와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을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 비교 결과가 일치할 경우, 상기 저장된 주파수의 메인 클럭을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를 측정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노이즈와 상기 기준치를 비교하여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CPU에서 수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1.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클럭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여 인에이블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클럭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된 메인 클럭의 주파수에 따른 구동 주파수로 표시부를 구동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피드백하는 무선 통 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070092714A 2007-09-12 2007-09-12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394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714A KR101394432B1 (ko) 2007-09-12 2007-09-12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JP2008103581A JP5280728B2 (ja) 2007-09-12 2008-04-11 無線通信装置を含む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12/183,570 US8253675B2 (en) 2007-09-12 2008-07-31 Display apparatus includ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2008102150737A CN101388170B (zh) 2007-09-12 2008-09-09 包括无线通信装置的显示设备及操作其的方法
EP08016037A EP2037445A3 (en) 2007-09-12 2008-09-11 Display apparatus includ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W097134843A TWI458270B (zh) 2007-09-12 2008-09-11 含有無線通訊裝置的顯示器裝置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714A KR101394432B1 (ko) 2007-09-12 2007-09-12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473A true KR20090027473A (ko) 2009-03-17
KR101394432B1 KR101394432B1 (ko) 2014-05-15

Family

ID=40111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714A KR101394432B1 (ko) 2007-09-12 2007-09-12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53675B2 (ko)
EP (1) EP2037445A3 (ko)
JP (1) JP5280728B2 (ko)
KR (1) KR101394432B1 (ko)
CN (1) CN101388170B (ko)
TW (1) TWI45827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9996A (ko) * 2012-12-20 2014-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70039817A (ko) * 2015-10-01 2017-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70043145A (ko) * 2015-10-12 2017-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1538A (ja) * 2008-12-10 2010-06-24 Toshiba Corp 電子機器、及び表示制御方法
JP5263094B2 (ja) * 2009-09-10 2013-08-14 株式会社デンソー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101641239B1 (ko) * 2009-12-08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에 적용되는 클럭 제어방법
US8417983B2 (en) * 2010-12-06 2013-04-09 Apple Inc. Adjusting a device clock source to reduc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erence
US8406722B2 (en) * 2011-02-28 2013-03-26 Psion Inc. Channel reception characteristics through clock rate adjustment
KR101795744B1 (ko) * 2011-04-06 2017-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소음 감소 기능을 가지는 표시 장치 및 소음 감소 방법
CN103974267A (zh) 2013-02-06 2014-08-06 索尼移动通讯有限公司 降低干扰的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US9170290B1 (en) * 2013-08-23 2015-10-27 Audyssey Laboratories, Inc. Method for asynchronous impulse response measurement between separately clocked systems
US9953598B2 (en) * 2014-05-29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river IC with improved noise characteristics
US9613556B2 (en) * 2014-09-02 2017-04-0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resistant to radio-frequency display interference
US11277160B2 (en) * 2020-04-06 2022-03-15 Intel Corporation Technologies for dynamic wireless noise mitig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WO2022009405A1 (ja) * 2020-07-09 2022-01-13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TWI824878B (zh) * 2022-12-14 2023-12-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4088Y2 (ja) * 1992-02-03 1998-03-04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液晶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6343145A (ja) * 1993-06-01 1994-12-13 Fujitsu Ltd 受信表示装置
KR19990010293A (ko) 1997-07-16 1999-02-18 윤종용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JP4005710B2 (ja) 1998-08-31 2007-11-14 富士通株式会社 自動周波数制御装置および自動周波数制御方法
JP2002290340A (ja) * 2001-03-23 2002-10-04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クロック制御方法
JP3813097B2 (ja) * 2002-02-04 2006-08-23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
US20030198307A1 (en) 2002-04-19 2003-10-23 Compaq Information Dynamic clock control to reduce radio interference in digital equipment
JP3638271B2 (ja) * 2002-07-23 2005-04-1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9184856B2 (en) * 2005-01-26 2015-11-10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Detecting wireless noise within time period in which no data is purposefully wirelessly communicated
JP2006237718A (ja) 2005-02-22 2006-09-07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受信装置
US7676197B2 (en) * 2005-06-30 2010-03-09 Intel Corporation Signal spectrum steer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JP4861654B2 (ja) 2005-07-29 2012-01-25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通信プログラム
JP2007158633A (ja) * 2005-12-02 2007-06-21 Nec Engineering Ltd 受信端末
US7895461B2 (en) * 2007-07-31 2011-02-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lock shifting and prioritization system and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9996A (ko) * 2012-12-20 2014-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70039817A (ko) * 2015-10-01 2017-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70043145A (ko) * 2015-10-12 2017-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37445A2 (en) 2009-03-18
JP5280728B2 (ja) 2013-09-04
TW200926625A (en) 2009-06-16
US8253675B2 (en) 2012-08-28
KR101394432B1 (ko) 2014-05-15
CN101388170B (zh) 2012-12-26
CN101388170A (zh) 2009-03-18
US20090066677A1 (en) 2009-03-12
JP2009069804A (ja) 2009-04-02
TWI458270B (zh) 2014-10-21
EP2037445A3 (en) 201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7473A (ko)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20100141613A1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8379060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display calibration
US10134349B2 (en) Display interference mitig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00066837A1 (en) Adaptive screen color calibration
US10902777B1 (en) Adaptive parking voltage tuning to optimize display front-of-screen with dynamic supply voltage
US9293075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10185304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US11445171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953598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river IC with improved noise characteristics
US10939095B2 (en) Display system for calibrating a displayed image by using a calibration device
US20120254924A1 (en) method circuit and system for detecting a connection request while maintaining a low power mode
US20190098435A1 (en) Adaptive matching with antenna detuning detection
US11095844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4861654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通信プログラム
KR10249632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RE42787E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621899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JP5301313B2 (ja) リフレッシュ・レートの設定方法および携帯情報端末装置
KR102477653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0706807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060070782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영상신호 처리 디바이스
KR20150137960A (ko) 노이즈 특성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의 제어 방법
KR20050092468A (ko) 모니터의 영상 모드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JP2008227777A (ja) 放送受信装置、テレビ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