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4207A - 음료 제조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추출 덕트 - Google Patents
음료 제조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추출 덕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24207A KR20090024207A KR1020087031809A KR20087031809A KR20090024207A KR 20090024207 A KR20090024207 A KR 20090024207A KR 1020087031809 A KR1020087031809 A KR 1020087031809A KR 20087031809 A KR20087031809 A KR 20087031809A KR 20090024207 A KR20090024207 A KR 200900242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extraction duct
- duct
- mixing chamber
- extra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1—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hereby the powder ingredients and the water are delivered to a mixing bow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분말 물질과 고온 액체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1)는, 구동 수단(12)에 의해 구동가능한 혼합 수단(37)을 이용하여, 다량의 분말 물질과 다량의 고온 액체를 혼합하는 하나 이상의 혼합 챔버(11); 상기 다량의 고온 액체를 위해 상기 혼합 챔버(11) 내로 개구하는 입구(38); 상기 다량의 분말 물질을 위해 상기 혼합 챔버(11) 내로 개구하는 입구(21); 상기 혼합 챔버(11) 상에 위치된 추출기 후드(4); 상기 추출기 후드(4)에 연결되는 추출 덕트(3)로서, 상기 추출 덕트(3)와 상기 추출기 후드(4)를 거쳐 상기 혼합 챔버(11)로부터 증기와 먼지 입자를 추출하도록 환기 팬과 같은 흡입 수단(16)을 구비한 추출 덕트(3); 및 전기 요소와 배관과 같은 상기 제조 장치의 또다른 구성요소(12, 19, 20)를 수용하는 제 1 하우징(26);을 포함하며, 상기 추출 덕트는, 상기 추출 덕트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하우징의 외부를 따라 전체적으로 연장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말 물질과 고온 액체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조 장치는,
-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가능한 혼합 수단을 이용하여, 다량의 분말 물질과 다량의 고온 액체를 혼합하는 하나 이상의 혼합 챔버;
- 상기 다량의 고온 액체를 위해 상기 혼합 챔버 내로 개구하는 입구;
- 상기 다량의 분말 물질을 위해 상기 혼합 챔버 내로 개구하는 입구;
- 상기 혼합 챔버 상에 위치된 추출기 후드; 및
- 상기 추출기 후드에 연결되는 추출 덕트로서, 상기 추출 덕트와 상기 추출기 후드를 거쳐 상기 혼합 챔버로부터 증기와 먼지 입자를 추출하도록 환기 팬과 같은 흡입 수단을 구비한 추출 덕트;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조 장치는 종래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제조 장치는 커 피 또는 차와 같은 고온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실제로 사용된다.
이러한 타입의 장치는 고온수와 분말로부터 고온 음료를 제조한다. 이러한 분말을 저장기로부터 혼합 챔버로 공급한다. 그 다음, 혼합하여 그 분말을 분해하기 위해 고온수를 혼합 챔버에 첨가한다. 고온수는 증기를 동반한다. 증기가 분말 입구에 도달하면, 덩어리가 형성되어 막히게 된다. 더욱이, 공급된 분말은 몇 가지의 미세한 분말 입자가 증기와 함께 비산하여 흩어지게 한다. 이는 증기와 소용돌이치는 분말 입자를 추출하는 것을 필요하게 한다. 이러한 추출은 추출 덕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추출 덕트를 설치(분리)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 공지된 장치의 결점이다. 공지된 제조 장치에서, 추출 덕트는 제조 장치의 하우징을 통해 연장된다. 이 경우에, 추출 덕트는 전기 요소와 배관을 포함하는 하우징 내에 수용된 구성요소 사이의 공간을 통해 그 자체를 휜다. 그 결과, 추출 덕트의 제거 및 체결은 제 1 하우징을 분리하는 것과 같은 복잡한 동작을 수반한다. 이러한 동작은 귀찮은 일이며 비교적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결과 중 하나는 실지로 추출 덕트가 충분히 자주 세척되거나 교체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사용시에, 추출 덕트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 습기 및 분말 입자의 조합물이 추출 덕트의 내벽에 고착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추출 덕트가 빨리 더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추후에 추출 덕트의 내벽에 퇴적되는 물질을 형성한다. 그 결과, 추출 덕트는 초기에 부분적으로 차단되어 그 후에 완전히 차단된다. 이는 제조 장치의 작동 및 제조 장치로 제조된 음료의 맛에 악영향을 미친다. 추출이 열악하면, 제조 장치는 빨리 더러워질 것이다. 이는 제조 장치에 대한 식품 안전 및 위생 표준에 의해 방지되어야 한다. 또한, 부분적 또는 완전히 차단된 추출 덕트는 추출 덕트가 누설하게 하는 위험을 증가시켜서, 전기 요소와 같이 하우징 내에 수용된 구성요소의 결함 및 오작동을 초래할 수 있다.
추출 덕트가 하우징을 통해 연장됨에 따라, 추출 덕트가 누설하기 시작하는 경우에 하우징 내부의 구성요소의 오작동 및 결함에 대한 위험이 크다. 또다른 결점은 하우징이 그 내부로 인도하는 개구를 갖는다는 점이다. 이러한 개구는 하우징에 도입하는 오염물 및 습기에 대한 위험을 증가시켜서, 하우징 내에 수용된 구성요소의 결함 및 오작동을 초래할 것이다.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다른 제조 장치는 유럽 특허 공개 EP 1,088,505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3, 4 및 5에서, 본 공개물은 혼합 챔버(9)의 수직방향 위에 배치된 혼합 모터(10)에 의해 수직방향 샤프트(13) 주위에서 구동되는 혼합 부재(14)를 구비한 혼합 챔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들 혼합 챔버 중 5개는 연결 개구(16A-E)를 거쳐 추출 덕트(15)에 연결된다. 추출 덕트(15)는 상부 섹션(16)과 하부 섹션(20)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섹션(20)의 아래쪽에는, 환기 팬(23)이 제공된다. 상부 섹션(16)을 하부 섹션(2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수직방향 스크류(24)를 제거하여 아래로부터 접근가능하게 해야 한다. 본 공개물은 이러한 조립체가 제조 장치에 어떻게 수용되는지를 기술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분말용 저장기(1A-G)를 교체할 때 혼합 모터(10)가 하우징에 의해 구분되어야 하고 추출 덕트(15)의 상측부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그리고 도 1의 저장기 가 혼합 모터 위의 비교적 먼 거리에 있기 때문에, 혼합 모터와 추출 덕트는 폐쇄된 하우징에 의해 저장기에 대해 이음식으로 구분될 것이다. 이에 따라, EP 1,088,505호에 따른 추출 덕트는 단순한 방식으로 제거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스크류(24)가 아래로부터 접근하기 어렵다는 점에 의해 확인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단순하게 설치(분리)할 수 있는 추출 덕트를 구비한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요소와 같이 제 1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구성요소의 결함 및 오작동에 영향을 덜 받는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하기의 제조 장치에 의해 성취된다.
상기 제조 장치는,
전기 요소와 배관과 같은 상기 제조 장치의 또다른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제 1 하우징; 및
상기 추출 덕트 및 분말 물질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저장기를 수용하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추출 덕트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외부를 따라 전체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혼합 챔버의 상기 혼합 수단을 위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제 1 하우징(26) 내에 위치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장치의 추출 덕트의 설치(분리)는 제 1 하우징의 분해와 같은 복잡한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결과, 추출 덕트는 비교적 단순하게 설치(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장치는, 제 1 하우징이 추출 덕트용의 개구를 가지지 않고 추출 덕트가 제 1 하우징의 내부에 누설할 수 없기 때문에, 제 1 하우징 내에 수용된 구성요소의 결함 및 오작동에 영향을 덜 미친다. 바람직하게, 추출 덕트는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주행한다. 이 경우에, 추출 덕트는 추출기 후드로의 연결부 근방에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하우징은 서비스 영역을 형성한다. 본 용어는 표준 NEN-EN-IEC60335-2-75 "particular requirements for commercial dispensing appliances and vending machines" (3장)에 규정되어 있다. 본 표준에 따르면, 이와 같은 제조 장치는 사용자 영역(3장, 109), 유지보수 영역(3장, 110) 및 서비스 영역(3장, 111)으로 다시 나뉜다. 사용자 영역은 사용자가 고온 음료를 받는 장소이다. 유지보수 영역은 매일의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공간이며, 이 경우에 분말 물질을 보급하도록 고려될 수 있다. 서비스 영역은 기술적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공간이다. 제 1 하우징의 목적은 서비스 영역을 차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장치에 있어서, 추출 덕트가 서비스 영역 외부 전체에 위치되기 때문에, 추출 덕트로의 접근이 간단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 장치는 추출 덕트와, 분말 물질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저장기를 수용하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제 2 하우징은 유지보수 영역일 수 있으며, 그 결과 점검, 세척, 필요하다면 매일의 유지보수의 과정에서 추출 덕트를 교체 가능하게 한다. 제 2 하우징의 목적은 유지보수 영역을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제 2 하우징은 제 1 하우징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고, 제 2 하우징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한 도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서, 개개인이 제 2 하우징의 내부에 간단하게 접근할 수 있고, 콤팩트한 설계의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미국 특허 US 3,709,408호는, 소위 서비스 영역의 범위를 정하는 제 1 하우징과, 소위 유지보수 영역의 범위를 정하는 제 2 하우징을 구비한 음료 제조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추출 덕트(100)가 존재한다. 본 문헌의 칼럼 2의 53-59째줄에는, 빈 저장기(24)가 하우징의 전방 패널을 제거함으로써 충진된 저장기로 교체될 수 있는 방법을 기술한다. 이에 따라, 이러한 패널, 소위 유지보수 영역 뒤의 공간이 접근가능하다. 그러나, 패널 후방은 서비스 영역을 규정하는 제 1 하우징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 제 1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추출 덕트(100)로의 접근법이 없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추출 덕트는 상기 덕트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한 종방향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접근 개구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추출 덕트를 개방할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분리된 설계를 갖는다. 그 결과, 추출 덕트는 이러한 방식으로 개방되어 쉽게 세척될 수 있다. 상기 접근 개구는 상기 추출 덕트의 전체 종방향에 걸쳐 연장될 수 있어서,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추출 덕트를 잘 세척가능하게 한다. 상기 추출 덕트는 덕트 요소와 벽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덕트 요소는 상기 종방향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상기 접근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접근 개구는 상기 벽부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부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외부 벽 상에 제공되어, 단순한 설계의 추출 덕트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벽부는 상기 외부 벽(15)의 일부를 형성하여, 콤팩트한 설계가 성취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추출 덕트를 거쳐 추출된 유체용 분출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 덕트는 상기 분출 통로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분출 통로 근방에 위치되는 분출 단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추출된 유체를 양호하게 추출하며, 추출된 유체는 제 2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이송된다. 용어 유체는 공기, 증기 및 분말 입자의 조합물을 의미한다.
제조 장치가 복수의 혼합 챔버를 포함하는 경우에, 복수의 추출 덕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추출 덕트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각각의 혼합 챔버는 별개의 추출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추출 덕트는 단일 동작으로 설치(분리)될 수 있다. 생산을 단순화하기 위해, 이들 추출 덕트는 일체로 형성된 추출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 덕트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힌지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제조 장치에 사용되는 추출 덕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후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조 장치의 II-II선을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제조 장치의 III-III선을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의 개략적인 하부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제조 장치를 부분적으로 분해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힌지식 추출 덕트를 구비한 도 1의 제조 장치의 개략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제조 장치(1)는 제 2 하우징(25)을 포함하여, 도어(24)에 의해 제 2 하우징(25)의 내부로의 접근을 하게 한다. 제 2 하우징(25)의 내부에는, 유지보수 영역이 있다. 유지보수 영역(27)에는, 분말 물질용의 저장기가 있다. 저장기(22)로부터의 분말은 분말 물질용 입구(21)를 거쳐 분말 이송 시스템(23)에 의해 혼합 챔버(11) 내로 이송된다. 혼합 챔버(11) 내에서, 액체용 입구(38)(도 2 참조)에 의해 혼합 챔버(11) 내로 이송되는 다량의 특정 고온 액체와 분말이 혼합된다.
고온 음료는 음료 출구(9)를 거쳐 그리고 사용자 영역을 향해 혼합 챔버(11) 외부로 흘러서, 음료는 제조 장치(1)의 사용자에 제공된다. 각각의 혼합 챔버(11) 상에는 추출기 후드(4)가 제공된다. 추출기 후드(4)는 혼합 챔버(11)로부터 공기, 증기 및 분말 입자의 조합물을 추출한다.
도 2는 도 1의 제조 장치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명확성을 위해, 저장기 및 혼합 챔버(11)로의 분말 입구는 도시하지 않는다. 추출기 후드(4)는 추출 개구(5)를 거쳐 환기 팬(16)을 구비한 추출 덕트(3)에 연결된다. 종래기술에 공지 된 임의의 다른 추출 수단이 환기 팬(16)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제조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로서, 혼합 챔버(11) 내에 위치된 혼합 수단(37)용의 구동 수단(12), 환기 팬(16)용의 전원 공급기(13) 및 분말 이송 시스템(23)용의 구동 수단(20) 등이 제 1 하우징(26) 내에 수용된다. 제 1 하우징(26)은 서비스 영역(2)을 형성한다. 서비스 영역(2)은 외부 벽(15)에 의해 제 1 하우징(26)으로부터 차단된다. 추출 덕트(3)는 제 1 하우징(26)의 외부를 따라 전체적으로 연장된다. 제 1 하우징(26)은 추출 덕트(3)를 수용하는 만입부(28)를 갖는다.
추출 덕트(3)는 상부 벽(6), 제 1 측벽(7) 및 제 2 측벽(14)을 갖는다. 벽(6, 7, 14)은 추출 덕트(3)를 형성하는 추출 하우징(33)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시한 상태에서, 벽(6, 7, 14)은 접근 개구(30)를 갖는 덕트부를 함께 형성한다. 접근 개구(30)는 제 1 하우징(26)의 외부 벽(15)에 의해 형성된 벽부(8)에 의해 차단된다. 제 2 측벽(14)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벽(6, 7)은 접근 개구를 갖는 덕트부를 함께 형성되고, 접근 개구는 제 1 하우징(26)의 외부 벽(15)에 의해 차단된다. 추출 덕트(3)는 종방향(29)에 수직하는 장방향 단면을 갖는다. 상부 벽(6)의 외부에는, 분말 저장기(22)를 정확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끼워맞춤 러그(17)가 있다.
도 3은 도 2의 제조 장치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에서, 2개의 별도인 추출 덕트(3)가 얻어지는 방식으로 추출 하우징(33) 내에 안내 벽(19)이 내장된다. 그 결과, 각각의 추출기 후드(4)는 환기 팬(16)과 개별적으로 유체 연통한다. 추출 덕트(3)는 종방향(29)을 가지고, 접근 개구(30)는 각각의 추출 덕 트(3)의 전체 종방향(29)에 걸쳐 연장된다. 안내 벽(19)은 유체의 유속이 크게 감소되는 추출 덕트(3)의 단면이 없도록 하는 방식으로 유체를 흡입되게 한다. 유체의 유속이 추출 덕트(3)의 특정 단면에서 크게 감소하면, 분말 입자가 이들 단면에서 축적된다. 이와 같이 축적되면, 추출 덕트(3)를 소정 시간에 차단하게 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안내 벽(19)을 설계함으로써, 추출덕트(3)의 (부분적인) 차단 위험이 감소한다. 더욱이, 추출 덕트(3) 내에는 필터(18)가 수용된다. 필터(18)의 기능은 흡입되는 공기 내의 분말 입자 및 증기에 의해 환기 팬(16)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필터(18)는 환기 팬(16) 근방에 배치된다. 또한, 제 2 하우징(25)은 추출 덕트(3)를 거쳐 추출된 유체용 분출 통로(31)를 포함하며, 추출 덕트(3)는 분출 통로(31) 근방에 위치된 분출 단부(32)를 포함한다. 분출 통로(31)에 의해, 흡입된 유체가 제 2 하우징(25)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도 4는 도 3의 단면에 대한 하부 사시도이다. 이 경우에, 필터는 명확성을 위해 도시하지 않는다.
도 5는 도 1의 제조 장치를 부분적으로 분해한 사시도이다. 추출 덕트(3)의 추출 하우징(33)이 실질적으로 박스 형상인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추출 덕트(3)는, 예컨대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단일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덕트(3)를 설치하기 위해, 필터는 추출 덕트(3) 내에 위치되고, 하우징(33)은 제 1 하우징(26)의 만입부(28) 내에 위치된다. 추출 덕트(3)가 만입부(28) 내에 위치되면, 벽(6, 7, 14)(덕트 요소)은 외부 벽(15)의 일부[벽부(8)]가 접근 개 구(30)를 차단하는 방식으로 위치된다. 추출 덕트(3)를 분리하기 위해, 하우징(33)만이 만입부(28) 외부로 들어올려져야 한다. 이로써, 벽부(8)를 형성하는 외부 벽(15)의 일부로의 직접적인 접근이 가능하므로, 벽부(8)가 간단하게 세척될 수 있다. 필터(18)는 교체 또는 세척을 위해 추출 덕트(3)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접근 개구(30)는 추출 덕트(3)로의 직접적인 접근을 하게 하므로, 추출 덕트(3)가 간단하게 세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출 덕트(3)는 식기 세척기 내에서 세척될 수도 있다.
도 6은 힌지식 추출 덕트를 갖는 도 1의 제조 장치의 도면이다. 이 경우에, 도 1과 동일한 제조 장치의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낸다. 추출 덕트(3')는 힌지점(35)에서 제 1 하우징(26)에 연결된다. 추출 덕트(3')는 벽(6')과 제 1 측벽(7')을 갖고, 제 2 측벽(14')을 가질 수도 있다. 벽(6', 7')은 접근 개구(30')를 갖는 덕트부를 함께 형성한다. 추출 덕트(3')는 벽(6', 7')이 화살표방향(34)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제 1 하우징(26)의 외부 벽(15)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벽(6', 7')은 아래로 접히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접근 개구(30')는 제 1 하우징(26)의 외부 벽(15)의 벽부(8)에 의해 차단된다. 힌지식 변위의 결과로서, 벽(6', 7')은 접근 개구(30')가 접근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위로 접혀진 위치애 위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추출 덕트(3')의 내부로의 접근이 가능하므로, 추출 덕트(3')가 간단하게 세척될 수 있다. 벽(6', 7')을 위로 접혀진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벽부(8)를 접근가능하게 하므로, 외부 벽(15)의 이러한 부분이 간단하게 세척될 수 있다. 제 1 측벽(7')과 외부 벽(15)은 추출 덕트(3')를 고정하기 위해 상호 작용하는 고정 수단(36)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장치의 다양한 변경이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 명백한 것이다.
Claims (16)
- 분말 물질과 고온 액체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1)에 있어서,구동 수단(12)에 의해 구동가능한 혼합 수단(37)을 이용하여, 다량의 분말 물질과 다량의 고온 액체를 혼합하는 하나 이상의 혼합 챔버(11);상기 다량의 고온 액체를 위해 상기 혼합 챔버(11) 내로 개구하는 입구(38);상기 다량의 분말 물질을 위해 상기 혼합 챔버(11) 내로 개구하는 입구(21);상기 혼합 챔버(11) 상에 위치된 추출기 후드(4);상기 추출기 후드(4)에 연결되는 추출 덕트(3)로서, 상기 추출 덕트(3)와 상기 추출기 후드(4)를 거쳐 상기 혼합 챔버(11)로부터 증기와 먼지 입자를 추출하도록 환기 팬과 같은 흡입 수단(16)을 구비한 추출 덕트(3);전기 요소와 배관과 같은 상기 제조 장치의 또다른 구성요소(12, 19, 20)를 수용하는 제 1 하우징(26); 및상기 추출 덕트(3) 및 분말 물질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저장기(22)를 수용하는 제 2 하우징(25);을 포함하며,상기 추출 덕트(3)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외부를 따라 전체적으로 연장되고,상기 하나 이상의 혼합 챔버(11)의 상기 혼합 수단을 위한 상기 구동 수단(12)은 상기 제 1 하우징(26)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 1 하우징(26)은 서비스 영역(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구동 수단(20)을 갖는 하나의 분말 이송 시스템(23)은 각각의 저장기(22)용으로 제공되고, 각각의 저장기(22)용의 상기 분말 이송 시스템(23)의 상기 구동 수단(20)은 상기 제 1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상기 흡입 수단(16)용의 전원 공급부(13)는 상기 제 1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제 2 하우징(25)은 상기 제 1 하우징(26)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한 도어(24)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제 2 하우징(25)은 유지보수 영역(2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하우징(26)은 상기 추출 덕트(3)를 수용할 수 있는 만입부(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추출 덕트(3)는, 상기 추출 덕트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한 종방향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접근 개구(30)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추출 덕트(3)를 개방할 수 있도록, 종방향(29)으로 분리된 설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접근 개구(30)는 상기 추출 덕트(3)의 전체 종방향(29)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상기 추출 덕트(3)는 덕트 요소(6, 7, 14)와 벽부(8)를 포함하며,상기 덕트 요소(6, 7, 14)는 상기 종방향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상기 접근 개구(30)를 포함하고, 상기 접근 개구는 상기 벽부(8)에 의해 차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 제9항에 있어서,상기 벽부(8)는 상기 제 1 하우징(26)의 외부 벽(15)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벽부(8)는 상기 외부 벽(15)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하우징(25)은 상기 추출 덕트(3)를 거쳐 추출된 유체용 분출 통로(31)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 덕트(3)는 상기 분출 통로(31)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분출 통로(31) 근방에 위치되는 분출 단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추출 덕트(3)는 상기 분출 통로(31) 근방에 위치된 필터(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음료 제조 장치는 복수의 혼합 챔버(11)를 포함하며, 각각의 혼합 챔버(11)는 별개의 추출 덕트(3)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 덕트(3)는 단일부로 형성된 하우징(33)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추출 덕트(3)는 상기 제 1 하우징(26)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에 사용되는 추출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NL1031947A NL1031947C2 (nl) | 2006-06-02 | 2006-06-02 | Bereidingsinrichting met zuigkanaal voor het bereiden van een drank uit een poedervormig materiaal en een hete vloeistof, alsmede een afzuigkanaal. |
NL1031947 | 2006-06-02 | ||
PCT/NL2007/050255 WO2007142519A1 (en) | 2006-06-02 | 2007-05-31 | Preparing device with a suction duct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a powdery substance and a hot liquid, as well as an extraction duc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24207A true KR20090024207A (ko) | 2009-03-06 |
KR101516617B1 KR101516617B1 (ko) | 2015-04-30 |
Family
ID=37834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31809A KR101516617B1 (ko) | 2006-06-02 | 2007-05-31 | 음료 제조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추출 덕트 |
Country Status (17)
Country | Link |
---|---|
US (1) | US8065953B2 (ko) |
EP (1) | EP2023785B2 (ko) |
JP (1) | JP5068815B2 (ko) |
KR (1) | KR101516617B1 (ko) |
CN (1) | CN101484049B (ko) |
AU (1) | AU2007256029B2 (ko) |
CA (1) | CA2654155C (ko) |
DK (1) | DK2023785T4 (ko) |
ES (1) | ES2393624T5 (ko) |
IL (1) | IL195661A (ko) |
NL (1) | NL1031947C2 (ko) |
NZ (1) | NZ573243A (ko) |
PL (1) | PL2023785T3 (ko) |
PT (1) | PT2023785E (ko) |
RU (1) | RU2455915C2 (ko) |
TW (1) | TWI377929B (ko) |
WO (1) | WO2007142519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6549B1 (ko) * | 2012-09-28 | 2013-04-19 | 윤종원 | 커피콩 혼합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TO20080081A1 (it) * | 2008-02-04 | 2009-08-05 | N&W Global Vending Spa | Distributore automatico di bevande |
WO2014185783A1 (en) * | 2013-05-17 | 2014-11-20 |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 Coffee brewing apparatus, coffee beverage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coffee beverage |
CN106572765B (zh) * | 2014-07-30 | 2020-06-19 | 雀巢产品有限公司 | 从粉末制备饮料的分配器 |
WO2016016191A1 (en) * | 2014-07-30 | 2016-02-04 | Nestec S.A. | Dispenser with openable door |
BR112017010573B1 (pt) | 2014-11-20 | 2022-03-22 |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 Aparelho, sistema e método para preparação de uma bebida de café |
CN104523145A (zh) * | 2014-12-16 | 2015-04-22 | 沁园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带蒸汽消除的饮水机 |
ITUB20160854A1 (it) * | 2016-02-19 | 2016-05-19 | Sandenvendo Europe S P A | Dispositivo di erogazione di sostanza liquida per preparare bevande.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300094A (en) * | 1965-11-23 | 1967-01-24 | Rock Ola Mfg Corp | Mixing device |
US3385569A (en) * | 1967-01-11 | 1968-05-28 | Rock Ola Mfg Corp | Mixing apparatus for beverage |
US3709408A (en) * | 1970-11-25 | 1973-01-09 | Fountain Industries | Beverage dispensing machine |
US4194651A (en) * | 1977-10-31 | 1980-03-25 | Societe D'assistance Technique Pour Produits Nestle S.A. | Dispensing and mixing means for water and dehydrated coffee |
US4366920A (en) * | 1977-12-28 | 1983-01-04 | Greenfield Jr Irving E | Demand preparation soluble coffee urn |
US5192002A (en) * | 1991-10-01 | 1993-03-09 | Unidynamics Corporation | Ingredient mixing bowl and evacuation system |
US5344050A (en) * | 1993-04-01 | 1994-09-06 | Unidynamics Corporation | Moisture reduction system for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
IL106960A (en) * | 1993-09-09 | 1996-07-23 | Etzion Metal Works | Gas-flame kettle |
US5918768A (en) † | 1996-07-24 | 1999-07-06 | Bunn-O-Matic Corporation | Powdered beverage mixing and dispensing apparatus |
US5927553A (en) * | 1996-07-24 | 1999-07-27 | Bunn-O-Matic Coporation | Powdered beverage mixing and dispensing apparatus |
US5839610A (en) * | 1997-10-14 | 1998-11-24 | Crane Co. | Ingredient mixing bowl and moisture reduction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
EP1016366A1 (en) * | 1998-12-28 | 2000-07-05 | SANYO ELECTRIC Co., Ltd. | Beverage serving apparatus |
US6237468B1 (en) * | 1999-09-27 | 2001-05-29 | Sanyo Electric Co., Ltd. | Vapor-exhausting mechanism of drink supply appliance |
EP1088505A1 (en) * | 1999-09-29 | 2001-04-04 | Sanyo Electric Co. Ltd | Vapor-exhausting mechanism of drink supply appliance |
CN2655782Y (zh) * | 2003-09-04 | 2004-11-17 | 深圳市宝安区西乡镇臣田唐锋电器厂 | 多功能咖啡壶 |
JP4204517B2 (ja) * | 2004-05-27 | 2009-01-07 | フジコーン株式会社 | 飲料ディスペンサにおけるチューブ状部材の取り回し構造 |
-
2006
- 2006-06-02 NL NL1031947A patent/NL1031947C2/nl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
- 2007-05-31 US US12/303,210 patent/US8065953B2/en active Active
- 2007-05-31 NZ NZ573243A patent/NZ573243A/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05-31 DK DK07747478.1T patent/DK2023785T4/en active
- 2007-05-31 RU RU2008152319/12A patent/RU2455915C2/ru active
- 2007-05-31 ES ES07747478.1T patent/ES2393624T5/es active Active
- 2007-05-31 KR KR1020087031809A patent/KR10151661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7-05-31 PT PT77474781T patent/PT2023785E/pt unknown
- 2007-05-31 AU AU2007256029A patent/AU2007256029B2/en active Active
- 2007-05-31 JP JP2009513078A patent/JP5068815B2/ja active Active
- 2007-05-31 WO PCT/NL2007/050255 patent/WO200714251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7-05-31 CA CA2654155A patent/CA2654155C/en active Active
- 2007-05-31 CN CN2007800247182A patent/CN101484049B/zh active Active
- 2007-05-31 PL PL07747478T patent/PL2023785T3/pl unknown
- 2007-05-31 EP EP07747478.1A patent/EP2023785B2/en active Active
- 2007-06-01 TW TW096119744A patent/TWI377929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
- 2008-12-02 IL IL195661A patent/IL195661A/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6549B1 (ko) * | 2012-09-28 | 2013-04-19 | 윤종원 | 커피콩 혼합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K2023785T4 (en) | 2015-12-21 |
NL1031947C2 (nl) | 2007-12-04 |
NZ573243A (en) | 2011-12-22 |
PL2023785T3 (pl) | 2013-01-31 |
EP2023785B1 (en) | 2012-09-05 |
KR101516617B1 (ko) | 2015-04-30 |
US20090183641A1 (en) | 2009-07-23 |
WO2007142519A1 (en) | 2007-12-13 |
ES2393624T3 (es) | 2012-12-26 |
AU2007256029B2 (en) | 2013-05-23 |
RU2008152319A (ru) | 2010-07-20 |
CA2654155C (en) | 2014-12-09 |
CA2654155A1 (en) | 2007-12-13 |
CN101484049A (zh) | 2009-07-15 |
RU2455915C2 (ru) | 2012-07-20 |
IL195661A0 (en) | 2009-09-01 |
AU2007256029A1 (en) | 2007-12-13 |
US8065953B2 (en) | 2011-11-29 |
CN101484049B (zh) | 2011-09-28 |
DK2023785T3 (da) | 2013-01-07 |
JP2009538679A (ja) | 2009-11-12 |
EP2023785B2 (en) | 2015-12-02 |
IL195661A (en) | 2011-12-29 |
EP2023785A1 (en) | 2009-02-18 |
TWI377929B (en) | 2012-12-01 |
PT2023785E (pt) | 2012-12-21 |
ES2393624T5 (es) | 2016-02-23 |
TW200806239A (en) | 2008-02-01 |
JP5068815B2 (ja) | 2012-1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16617B1 (ko) | 음료 제조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추출 덕트 | |
US10842312B2 (en) | Beverage preparation assembly | |
JP2011511979A (ja) | 飲料自動販売装置 | |
JP2008200505A (ja) | 業務用食器洗浄機及びその運転方法 | |
CN106572765B (zh) | 从粉末制备饮料的分配器 | |
JP2008200496A (ja) | 業務用食器洗浄機 | |
JP2010063595A (ja) | 飲料供給装置 | |
JP2010063521A (ja) | 飲料供給装置 | |
CN218186499U (zh) | 多功能阀门装置及食品加工机 | |
JP2010061526A (ja) | 飲料供給ノズル | |
EP4288700B1 (en) | Apparatus for cooking food | |
KR102249791B1 (ko) | 세면대 하부장 | |
JP3685928B2 (ja) | 消毒液噴出装置 | |
US3889697A (en) | Aeration drain plug for dishwashers | |
KR20210025660A (ko) | 음료 공급 장치 | |
KR200314522Y1 (ko) | 커피 자판기의 증기 배출장치 | |
JP2021127125A (ja) | 飲料供給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