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549B1 - 커피콩 혼합장치 - Google Patents

커피콩 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549B1
KR101256549B1 KR1020120108650A KR20120108650A KR101256549B1 KR 101256549 B1 KR101256549 B1 KR 101256549B1 KR 1020120108650 A KR1020120108650 A KR 1020120108650A KR 20120108650 A KR20120108650 A KR 20120108650A KR 101256549 B1 KR101256549 B1 KR 101256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coffee bean
container
bean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호
윤종원
Original Assignee
윤종원
유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원, 유광호 filed Critical 윤종원
Priority to KR1020120108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4Powder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콩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커피콩들이 각각 저장되는 복수 개의 커피콩 저장용기들;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들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에서 설정된 개수의 커피콩을 인출시키는 커피콩 인출유닛; 상기 커피콩 인출유닛들에서 각각 인출되는 커피콩들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커피콩 배출안내유닛; 상기 커피콩 배출안내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커피콩들이 모이는 혼합용기; 및 상기 커피콩 인출유닛들에 연결되며, 각 커피콩 인출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피 소비자에게 다양한 커피의 맛과 향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커피 소비자가 선호하는 커피 맛과 향을 장소나 시간에 제한받지 않고 항상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커피콩 혼합장치{APPARATUS FOR MIXING MANY DIFFERENT COFFEE BEANS}
본 발명은 커피콩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두 커피는 커피콩을 분쇄한 커피 분말에 물을 부어 만들게 된다. 커피콩의 종류는 다양하며, 그 커피콩의 종류에 따라 커피의 향과 맛이 다르다. 또한, 상기 원두 커피는 커피 분말의 양과 물의 양에 따라 커피 맛이 다르게 된다.
근래, 커피 소비자가 증가함에 따라 커피 소비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커피 소비자가 증가함에 따라 커피 소비자의 취향이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다. 하지만, 커피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커피의 종류는 한정되어 있고, 또한 한 가지 종류의 커피 맛도 커피를 판매하는 커피 판매점 또는 커피를 만드는 바리스타에 따라 차이가 있어 커피 소비자의 불만을 초래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994-7003142호(1994. 10. 24 공개일)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32469호(2010. 03. 26. 공개일)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30184호(2010. 03. 18. 공개일)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 소비자에게 다양한 커피의 맛과 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피 소비자가 선호하는 커피 맛과 향을 장소나 시간에 제한받지 않고 항상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커피콩들이 각각 저장되는 복수 개의 커피콩 저장용기들;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들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에서 설정된 개수의 커피콩을 인출시키는 커피콩 인출유닛; 상기 커피콩 인출유닛들에서 각각 인출되는 커피콩들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커피콩 배출안내유닛; 상기 커피콩 배출안내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커피콩들이 모이는 혼합용기; 및 상기 커피콩 인출유닛들에 연결되며, 각 커피콩 인출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커피콩 혼합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커피콩 인출유닛은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의 출구와 연결되어 커피콩이 유입되는 유입구멍과 하부에 구비되며 커피콩이 배출되는 배출구멍이 구비된 수평형 인출가이드부재와, 상기 수평형 인출가이드부재에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유입구멍으로 유입되는 커피콩을 배출구멍으로 인출시키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피콩 인출유닛은 상부가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의 출구와 연결되고 측부에 배출구멍이 구비된 수직형 인출가이드부재와, 상기 수직형 인출가이드부재와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의 출구를 관통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 내부의 커피콩을 배출구멍으로 인출시키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피콩 배출안내유닛은 상기 혼합용기와 연결되는 메인 연결관과, 상기 커피콩 인출유닛과 상기 메인 연결관을 연결하는 분지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연결관은 상기 혼합용기 쪽에 위치한 한쪽이 다른 한쪽보다 낮도록 상기 메인 연결관이 기울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피콩 배출안내유닛은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들에 각각 연결되는 커피콩 인출유닛에서 각각 인출되는 커피콩들이 떨어지는 배출통과, 상기 배출통의 하부에 연통되어 상기 배출통으로 떨어지는 커피콩들이 상기 혼합용기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커피콩들 중 선택한 종류의 커피콩들과 그 개수를 정확하게 혼합하여 배출하게 되므로 다양한 종류의 커피콩들을 섞어 다양한 커피의 맛과 향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커피 소비자가 선호하는 맛과 향의 커피를 만들 수 있는 커피콩의 종류와 개수를 정확하게 혼합하여 배출하게 되므로 장소와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항상 같은 맛과 향의 커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콩 혼합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콩 혼합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콩 혼합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콩 혼합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커피콩 인출유닛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콩 혼합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커피콩 인출유닛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콩 혼합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커피콩 배출안내유닛의 제2 실시예가 구비된 커피콩 혼합장치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피콩 혼합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콩 혼합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콩 혼합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콩 혼합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피콩 혼합장치의 일실시예는 케이싱(100), 커피콩 저장용기(200)들, 커피콩 인출유닛(300), 커피콩 배출안내유닛(400), 혼합용기(500), 제어유닛(60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00)의 일예로, 상기 케이싱(100)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이 구비한다.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 공간은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200)들이 위치하는 용기설치공간(S1)과, 상기 제어유닛(600)이 위치하는 제어유닛 설치공간(S2)으로 구획된다. 상기 용기설치공간(S1)의 상부는 개구되며 상기 케이싱(100)의 일측에 상기 용기설치공간(S1)의 상부를 개폐하는 도어(11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10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200)들은 상기 케이싱(100)의 용기설치공간(S1)에 설치된다.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200)들은 다양한 종류의 커피콩들이 각각 저장된다. 한 개의 커피콩 저장용기(200)에 한 종류의 커피콩들만이 저장된다. 즉, 커피콩의 종류를 5개로 설정하면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200)들의 수는 5개이고, 커피콩의 종류를 10개로 설정하면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200)들의 수는 10개이다.
상기 케이싱(100)의 용기설치공간(S1)에 용기장착부재(120)가 설치되고 상기 용기장착부재(120)에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200)들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장착부재(120)는 소정의 두께와 면적을 가지며 내부에 관통된 다수 개의 장착 구멍들이 구비된다. 상기 다수 개의 장착 구멍들은 열을 이루도록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장착부재(120)는 상기 용기설치공간(S1)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200)는 균일한 내경을 갖는 원통부(210)와, 상기 원통부(210)의 하부에 깔때기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배출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부(210)의 상단에 환형으로 돌출된 테두리부(2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200)의 상단에 뚜껑(24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부(210)와 배출부(220)에 쌓인 커피콩들은 배출부(220)의 하단에 출구를 통해 아래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부(220)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200)들은 각각 상기 용기장착부재(120)의 장착 구멍들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200)의 테두리부(230)가 상기 용기장착부재(120)의 장착 구멍 가장자리에 걸려 고정된다.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120)의 길이는 서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120)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커피콩 인출유닛(300)은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200)들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커피콩 인출유닛(300)은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200)에서 설정된 개수의 커피콩을 인출시킨다.
상기 커피콩 인출유닛(300)의 제1 실시예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피콩 인출유닛(300)은 상부에 커피콩이 유입되는 유입구멍(311)과 하부에 커피콩이 배출되는 배출구멍(312)이 구비된 수평형 인출가이드부재(310)와, 상기 수평형 인출가이드부재(310)에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유입구멍(311)으로 유입되는 커피콩을 배출구멍(312)으로 인출시키는 스크류(320)와, 상기 스크류(320)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330)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형 인출가이드부재(310)는 원통 형태의 관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형 인출가이드부재(310)는 수평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수평형 인출가이드부재(310)의 유입구멍(311)은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200)의 출구와 연결된다. 상기 수평형 인출가이드부재(310)의 유입구멍(311)과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200)의 출구는 각각 커피콩이 빠져나오도록 충분한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320)는 축(321)의 외주면에 나선형 날개(322)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구동유닛(330)은 회전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피콩 인출유닛(300)의 제1 실시예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200)에 채워진 커피콩들은 커피콩 저장용기(200)의 하단에 구비된 출구와 수평형 인출가이드부재(310)의 유입구멍(311)을 통해 수평형 인출가이드부재(3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수평형 인출가이드부재(3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커피콩들은 스크류(320)의 나선형 날개의 턴과 턴사이, 즉 날개와 날개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배열된다. 상기 구동유닛(330)이 스크류(320)를 회전시킴에 따라 스크류(320)의 나선형 날개(322)의 날개와 날개 사이의 공간으로 배열된 커피콩들은 전진하면서 수평형 인출가이드부재(310)의 배출구멍(312)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배출구멍(312)으로 배출되는 커피콩의 수는 스크류(3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커피콩 인출유닛(300)의 제2 실시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피콩 인출유닛(300)은 상부가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200)의 출구와 연결되고 측부에 배출구멍(351)이 구비된 수직형 인출가이드부재(350)와, 상기 수직형 인출가이드부재(350)와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200)의 출구를 관통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200) 내부의 커피콩을 배출구멍(351)으로 인출시키는 스크류(360)와, 상기 스크류(360)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370)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형 인출가이드부재(350)는 원통 형태의 관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형 인출가이드부재(350)는 수직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수직형 인출가이드부재(350)의 상단은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200)의 출구와 연통된다. 상기 수직형 인출가이드부재(350)의 하단 측면엔 상기 배출구멍(351)이 구비된다. 상기 스크류(360)는 축(361)의 일정 길이의 외주면에 나선형 날개(362)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스크류(360)는 길이 방향이 수직으로 위치하며 상기 스크류(360)의 나선형 날개(362) 부분은 수직형 인출가이드부재(350)의 내부를 관통하고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200)의 출구를 관통한다. 상기 스크류(360)의 나선형 날개(362)가 구비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구동유닛(370)과 연결된다. 상기 구동유닛(370)은 모터(371)와, 상기 스크류(360)에 결합되는 워엄 기어(372)와, 상기 모터(371)와 워엄 기어(372)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37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워엄 기어(371)를 회전시키는 워엄(372)을 포함한다. 상기 워엄(372)과 워엄 기어(371)는 소정 형상의 하우징(380)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우징(380)은 하우징 고정브라켓(390)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고정브라켓(390)은 케이싱(100) 또는 용기장착부재(120)에 연결된다. 상기 모터(371)는 하우징(380) 또는 하우징 고정브라켓(39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371)에 연결된 워엄(372)은 상기 스크류(360)와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다.
상기 커피콩 인출유닛(300)의 제2 실시예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커피콩 저장용기(200)의 저장된 커피콩들이 커피콩 저장용기(200) 내부에 수직으로 위치한 스크류(360)의 나선형 날개(362)의 턴과 턴 사이, 즉 날개와 날개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다. 모터(371)의 작동에 따라 워엄(372)이 회전하면서 워엄 기어(372)를 회전시키게 된다. 워엄 기어(372)가 회전함에 따라 스크류(360)가 회전하게 되고 스크류(360)가 회전함에 따라 스크류(360)의 나선형 날개(362)의 날개와 날개 사이의 공간으로 배열된 커피콩들이 아래로 이동하면서 수직형 인출가이드부재(350)의 배출구멍(351)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배출구멍(351)으로 배출되는 커피콩의 수는 스크류(360)의 회전 각도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커피콩 인출유닛(30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커피콩 배출안내유닛(400)은 상기 커피콩 인출유닛(300)에서 인출되는 커피콩들을 상기 혼합용기(500)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혼합용기(500)에는 커피콩 저장용기(200)들에 각각 구비된 커피콩 인출유닛(300)에서 인출되는 커피콩들이 모이게 된다. 상기 커피콩 배출안내유닛(400)은 각 커피콩 인출유닛(300)에서 인출된 커피콩들이 서로 혼합되면서 상기 혼합용기(500)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피콩 배출안내유닛(400)의 제1 실시예로, 상기 커피콩 배출안내유닛(400)은 상기 혼합용기(500)와 연통되는 메인 연결관(410)과, 상기 커피콩 인출유닛(300)과 상기 메인 연결관(410)을 연결하는 분지 연결관(42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연결관(410)은 상기 혼합용기(500) 쪽에 위치한 한쪽이 다른 한쪽보다 낮도록 상기 메인 연결관(410)이 기울어지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연결관(410)은 복수 개의 지지대(430)에 의해 지지 고정된다. 상기 복수 개의 커피콩 저장용기(200)들의 열과 상기 메인 연결관(410)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연결관(410)은 커피콩 저장용기(200)의 열들 중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200)들의 수와 상기 분지 연결관(420)들의 수는 같다.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200)에 저장된 커피콩들이 커피콩 인출유닛(300)에 의해 인출되면 인출된 커피콩(들)은 분지 연결관(420)과 메인 연결관(410)을 통해 굴러 혼합용기(500)로 유입된다. 상기 각 분지 연결관(420)을 통해 배출되는 커피콩들은 메인 연결관(410)으로 유입되면서 서로 섞이게 된다.
상기 커피콩 배출안내유닛(400)의 제2 실시예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피콩 배출안내유닛(400)은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200)들에 각각 연결되는 커피콩 인출유닛(300)에서 각각 인출되는 커피콩들이 떨어지는 배출통(440)과, 상기 배출통(440)의 하부에 연통되어 상기 배출통(440)으로 떨어지는 커피콩들이 상기 혼합용기(500)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관(450)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통(440)은 상측이 개구되고 하면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통(440)의 하면의 경사진 아래쪽에 출구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통(440)의 상부 개구 크기는 상기 커피콩 인출유닛(300)들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통(440)은 상기 커피콩 인출유닛(300)들의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배출통(440)의 출구에 상기 배출관(450)이 연결된다.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200)에 저장된 커피콩들이 커피콩 인출유닛(300)에 의해 인출되면 아래로 떨어져 배출통(440)으로 유입되고 배출통(440)으로 유입되는 커피콩들은 배출통(440)의 하면에 구비된 출구와 배출관(450)을 통해 혼합용기(500)로 유입된다. 상기 배출통(440)으로 유입되는 커피콩들은 배출관(450)으로 유입되면서 서로 섞이게 된다.
상기 커피콩 배출안내유닛(40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혼합용기(500)는 케이싱(100)의 전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100)의 전면 내측에 용기가이드부재(130)들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100)의 전면에 상기 용기가이드부재(130)들과 연통되는 삽입구멍이 구비된다. 상기 혼합용기(500)는 상기 케이싱(100)의 전면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가이드부재(130)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혼합용기(500)가 상기 케이싱(10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연결관(410)의 한쪽 끝부분이 상기 혼합용기(50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어유닛(600)은 상기 케이싱(100)의 제어유닛 설치공간(S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유닛(600)은 상기 커피콩 인출유닛(300)들에 연결되며, 각 커피콩 인출유닛(300)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유닛(600)은 커피콩 인출유닛(300)의 구동유닛(330)(37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330)(370)을 제어하며, 상기 구동유닛(330)(370)을 제어함에 따라 스크류(320)(360)의 회전각(또는 회전수)이 제어되면서 커피콩이 인출되는 개수를 제어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피콩 혼합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피콩 저장용기(200)들에 각각 다른 종류의 커피콩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유닛(600)에서 설정된 커피콩 저장용기(200)들의 각 커피콩 인출유닛(300)을 제어하여 각 커피콩 저장용기(200)에서 설정된 개수의 커피콩들을 인출시킨다. 각 커피콩 인출유닛(300)에서 설정된 개수의 커피콩들이 인출되면 커피콩 배출안내유닛(400)을 통해 혼합용기(500)로 유입되어 모이게 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커피콩 저장용기(200)가 5개이고 그 5개의 커피콩 저장용기(200)에 각각 다른 종류의 커피콩을 채운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5개의 커피콩 저장용기(200)를 제1,2,3,4,5 커피콩 저장용기(200A)(200B)(200C)(200D)(200E)라 하고, 각 커피콩 저장용기(200)에 채워진 커피콩을 각각 제1,2,3,4,5류 커피콩이라 한다.
A 커피 소비자가 제1류 커피콩 2개와 제3류 커피콩 2개 제5류 커피콩 3개를 혼합한 커피콩들로 만든 커피를 선호할 경우 제어유닛(600)이 제1 커피콩 저장용기(200A)의 커피콩 인출유닛(300)과 제3 커피콩 저장용기(200C)의 커피콩 인출유닛(300)과 제5 커피콩 저장용기(200E)의 커피콩 인출유닛(300)을 각각 제어하여 제1 커피콩 저장용기(200A), 제3 커피콩 저장용기(200C), 제5 커피콩 저장용기(200E)에서 각각 커피콩 2개, 2개, 3개를 인출시킨다. 제1 커피콩 저장용기(200A), 제3 커피콩 저장용기(200C), 제5 커피콩 저장용기(200E)에서 각각 인출된 커피콩 2개, 2개, 3개는 커피콩 배출안내유닛을 통해 혼합용기(500)로 유입된다. 혼합용기(500)를 케이싱(100)으로부터 빼내어 혼합용기(500)에 혼합된 제1류 커피콩 2개, 제3류 커피콩 2개, 제5류 커피콩 3개의 커피콩들로 커피를 만들게 된다.
또한, B 커피 소비자가 제1류 커피콩 1개, 제2류 커피콩 2개, 제4류 커피콩 3개를 혼합한 커피콩들로 만든 커피를 선호할 경우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제1,2,4 커피콩 저장용기(200A)(200B)(200D)들에서 각각 커피콩을 1개, 2개, 3개를 인출하여 커피를 만들게 된다.
한편, 다양한 커피콩 종류 및 개수를 조합하여 만든 다양한 종류의 혼합 커피콩들로 각각 커피를 만들게 되면 다양한 커피의 맛과 향을 커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피 소비자가 다양한 종류의 커피를 맛 본 다음 제일 선호하는 커피를 선택하게 되면 그 커피 소비자가 선택한 커피의 맛과 향을 내는 커피콩의 종류 및 개수를 그 커피 소비자의 이름으로 제어유닛(600)에 입력한 다음 그 커피 소비자가 커피 판매점에 다시 커피를 마시러 올 경우 커피 소비자의 이름을 입력하면 커피콩의 종류 및 개수가 배출되고 그 커피콩들로 커피를 만들게 되면 그 커피 소비자가 선호하는 커피 맛과 향을 항상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커피콩들 중 선택한 종류의 커피콩들과 그 개수를 정확하게 혼합하여 배출하게 되므로 다양한 종류의 커피콩들을 섞어 다양한 커피의 맛과 향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커피 소비자가 선호하는 맛과 향의 커피를 만들 수 있는 커피콩의 종류와 개수를 정확하게 혼합하여 배출하게 되므로 장소와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항상 같은 맛과 향의 커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00; 케이싱 200; 커피콩 저장용기
300; 커피콩 인출유닛 400; 커피콩 배출안내유닛
500; 혼합용기 600; 제어유닛

Claims (6)

  1. 다양한 종류의 커피콩들이 각각 저장되는 복수 개의 커피콩 저장용기들;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들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에서 설정된 개수의 커피콩을 인출시키는 커피콩 인출유닛;
    상기 커피콩 인출유닛들에서 각각 인출되는 커피콩들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커피콩 배출안내유닛;
    상기 커피콩 배출안내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커피콩들이 모이는 혼합용기; 및
    상기 커피콩 인출유닛들에 연결되며, 각 커피콩 인출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커피콩 인출유닛은
    직선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의 출구와 연결되고 측부에 배출구멍이 구비되며,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수직형 인출가이드부재; 상기 수직형 인출가이드부재와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의 출구를 관통한 상태로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회전하면서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 내부의 커피콩을 배출구멍으로 인출시키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커피콩 혼합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모터와, 상기 스크류에 결합되는 워엄 기어와, 상기 모터와 워엄 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워엄 기어를 회전시키는 워엄을 포함하는 커피콩 혼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콩 배출안내유닛은 상기 혼합용기와 연결되는 메인 연결관과, 상기 커피콩 인출유닛과 상기 메인 연결관을 연결하는 분지 연결관을 포함하는 커피콩 혼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연결관은 상기 혼합용기 쪽에 위치한 한쪽이 다른 한쪽보다 낮도록 상기 메인 연결관이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혼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콩 배출안내유닛은 상기 커피콩 저장용기들에 각각 연결되는 커피콩 인출유닛에서 각각 인출되는 커피콩들이 떨어지는 배출통과, 상기 배출통의 하부에 연통되어 상기 배출통으로 떨어지는 커피콩들이 상기 혼합용기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커피콩 혼합장치.
KR1020120108650A 2012-09-28 2012-09-28 커피콩 혼합장치 KR101256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650A KR101256549B1 (ko) 2012-09-28 2012-09-28 커피콩 혼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650A KR101256549B1 (ko) 2012-09-28 2012-09-28 커피콩 혼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6549B1 true KR101256549B1 (ko) 2013-04-19

Family

ID=48443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650A KR101256549B1 (ko) 2012-09-28 2012-09-28 커피콩 혼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5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4207A (ko) * 2006-06-02 2009-03-06 브라빌로 홀딩 베.베. 음료 제조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추출 덕트
KR20100021622A (ko) * 2007-05-24 2010-02-25 브라빌로 홀딩 베.베. 분말 재료용 홀더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음료 마련 수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4207A (ko) * 2006-06-02 2009-03-06 브라빌로 홀딩 베.베. 음료 제조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추출 덕트
KR20100021622A (ko) * 2007-05-24 2010-02-25 브라빌로 홀딩 베.베. 분말 재료용 홀더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음료 마련 수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0758C2 (ru) Машины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KR101468906B1 (ko) 자동 커피 드립장치
EP2276381B1 (en) Beverage production device
US20100162898A1 (en) Brewing unit of a device for preparing beverages
US8418603B2 (en) Multi-portion container for powdered drink constituents
RU253622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EP2741643B1 (en) Centrifugal brewing machine with flow collecting assembly
US20130017303A1 (en) Apparatus and products for producing beverag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CN104334472B (zh) 包囊及用于获得粉末产品的浸液的方法
US20150040769A1 (en) Device for orienting capsules in a beverage producing machine
KR101896838B1 (ko) 자동 드립 커피 머신
JP2017508570A (ja) カップ飲料およびカラフェ飲料の生産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3082521B1 (en) Beverage preparation assembly
US3335911A (en) Beverage blending machinery
WO2019091296A1 (zh) 一种胶囊饮品机
CN105848538A (zh) 饮料机
JP2016038624A (ja) カップ内飲料調合方法
WO2020200192A1 (zh) 冰箱及用于冰箱的冲泡组件
JP6962409B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攪拌具
KR101256549B1 (ko) 커피콩 혼합장치
KR200469512Y1 (ko)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JP5537987B2 (ja) ミルクフォーマー及び飲料製造装置
EP3027088B1 (en) Juicing device for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citrus fruits and the like
CN105125083B (zh) 一种打豆咖啡机
KR20170054174A (ko) 자동판매기 제빙기의 얼음보관호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