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3543A - 날개장착 유치침 - Google Patents

날개장착 유치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3543A
KR20090023543A KR1020087008337A KR20087008337A KR20090023543A KR 20090023543 A KR20090023543 A KR 20090023543A KR 1020087008337 A KR1020087008337 A KR 1020087008337A KR 20087008337 A KR20087008337 A KR 20087008337A KR 20090023543 A KR20090023543 A KR 20090023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unit
guide member
hub
holder
cann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0599B1 (ko
Inventor
가츠히로 히에지마
유키노리 에바라
Original Assignee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3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53Interfaces between patient blood circulation and extra-corporal blood circuit
    • A61M1/3659Cannulae pertaining to extracorporeal circulation
    • A61M1/3661Cannulae pertaining to extracorporeal circulation for haemodi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18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having means for protecting only the distal tip of the needle, e.g. a needle guard
    • A61M25/0625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having means for protecting only the distal tip of the needle, e.g. a needle guard with a permanent connection to the needle hub, e.g. a guiding rail, a locking mechanism or a guard advancemen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37Butterfly or winged devices, e.g. for facilitating handling or for attachment to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ard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캐뉼러에 의해 혈관 등이 손상될 우려를 적게 하는 날개장착 유치침으로서, 캐뉼러와 허브를 가지는 가동 유닛(1)과, 허브의 뒷부분에 접속된 튜브(2)와, 홀더(3)와, 고정용 날개(4)를 가지며, 가동 유닛(1)이 홀더(3)에 축심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 위치와, 사용 위치보다 후방의 수납 위치로 위치변경가능해지는 동시에, 가동 유닛(1)이 사용 위치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홀더(3)는, 가동 유닛(1)이 수납 위치에 위치할 때 캐뉼러(6)의 날끝(6A)을 포함하는 앞 부분만을 내부에 수납하며 고정용 날개(4)가 구비되는 보호통(26)과, 상방으로 노출되어 가동 유닛(1)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27)를 가진다.
Figure P1020087008337
캐뉼러, 날개장착 유치침, 혈관, 천자

Description

날개장착 유치침{INDWELLING NEEDLE WITH WINGS}
본 발명은 동맥 등에 천자되어 투석 등에 사용되는 날개장착 유치침에 관한 것이다.
동맥에 천자되어 투석 등에 사용되는 날개장착 유치침은, 종래에는 사용 후에 그 캐뉼러에 통형상 프로텍터를 바깥쪽에서 끼웠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프로텍터를 바깥쪽에서 끼울 때 프로텍터를 유지하는 의료종사자의 손가락을 캐뉼러가 천자하는, 소위 오천자 사고가 발생하여 의료종사자가 에이즈나 간염 등에 감염될 우려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날개장착 유치침으로서 하기의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유치침은「캐뉼러와, 캐뉼러의 뒷부분이 앞 부분에 삽입 장착된 통형상의 허브를 가지는 가동 유닛」과,「허브의 뒷부분에 접속되어 캐뉼러와 연통하는 튜브」와,「보호통을 가지는 홀더」와,「보호통에 구비되고, 가요성을 가지며, 환자의 손이나 팔 등에 접착되는 고정용 날개」를 가지고 있다. 튜브는 허브에 보호통의 외부에서 접속되고, 캐뉼러, 허브 및 홀더는 경질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허브가 홀더에 축심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가동 유 닛은, 허브의 전단부 및 캐뉼러가 보호통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사용 위치와, 사용 위치보다 후방 위치이며 캐뉼러 전체를 수납하는 수납 위치로 위치변경이 가능하고, 가동 유닛이 상기 각 위치에서 홀더에 결합ㆍ해제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가동 유닛이 각 위치에서 홀더에 고정된다.
상기 종래에는, 가동 유닛이 수납 위치에 위치할 때, 캐뉼러 전체를 보호통부 내에 수납하기 때문에, 보호통 및 허브의 축심방향 길이를 길게 해야 했다. 그 결과, 가동 유닛을 사용 위치에 위치시켰을 때, 허브와 튜브의 접속부분으로부터 고정용 날개까지의 축심방향의 거리가 커졌다.
그런데, 가동 유닛이 사용 위치에 고정된 유치침을 환자에게 셋팅할 때에는, 고정용 날개가 환자에게 접착되어 유치침이 환자에게 고정되지만, 튜브가 어떠한 원인(예를 들어, 환자가 움직이거나 또는 튜브에 무엇인가가 접촉하는 등의 원인)에 의해 상방으로 움직인 경우에는, 고정용 날개를 지점으로 하여 유치침의 뒷부분이 상방으로 요동하고, 유치침의 앞 부분이 하방으로 요동하려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허브와 튜브의 접속부분으로부터 고정용 날개까지의 축심방향의 거리가 크기 때문에, 고정용 날개에 의한 유치침의 고정력에 비하여 가동 유닛의 요동시키고자 하는 외력이 커지고, 그 결과 캐뉼러의 날끝이 하방으로 크게 요동하여 동맥 등을 손상할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10-85333호 공보
본 발명은, 캐뉼러에 의한 오천자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시에 허브에 접속된 튜브가 상방으로 움직이더라도, 캐뉼러의 날끝이 하방으로 크게 요동하여, 혈관 등이 손상될 우려가 적은 날개장착 유치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것은, A. 캐뉼러와, 이 캐뉼러의 뒷부분이 앞 부분에 삽입 장착된 통형상의 허브를 가지는 가동 유닛과, B. 허브의 뒷부분에 접속되어 캐뉼러와 연통하는 튜브와, C. 홀더와, D. 가요성을 가지는 고정용 날개를 가지며, 가동 유닛은 홀더에 축심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 위치와, 사용 위치보다 후방의 수납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고, 가동 유닛이 사용 위치에 위치할 때, 가동 유닛은 홀더에 결합ㆍ해제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동 유닛이 홀더에 고정되는 날개장착 유치침에 있어서, 홀더는, 가. 이 홀더의 앞 부분에 위치하여, 가동 유닛이 사용 위치에 위치할 때, 캐뉼러가 전단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가동 유닛이 수납 위치에 위치할 때, 캐뉼러의 날끝을 포함하는 앞 부분만을 내부에 수납하며, 고정용 날개를 구비하는 보호통과, 나. 홀더의 뒷부분에 위치하여, 가동 유닛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고, 가동 유닛이 수납 위치에 위치할 때, 가동 유닛과 결합하여, 가동 유닛을 고정하는 안내 부재를 갖는다는 점이다.
또한, 안내 부재는 상하방향으로 면형상을 나타내는 판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방으로 노출되며, 가동 유닛이 사용 위치에 위치할 때, 튜브는 안내 부재의 상방에 위치하여, 안내 부재가 튜브의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기도 한다.
또한, 안내 부재에는, 축심방향의 압축력이 작용할 때 안내 부재를 상방으로 만곡 돌출형으로 휘어지게 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기도 한다.
또한, 가동 유닛은, 허브에 고착되는 가동 유닛 조작용의 조작체를 가지며, 이 조작체는, A. 요동가능하며, 가동 유닛이 사용 위치에 위치할 때, 요동에 의해 홀더에 결합ㆍ해제 가능하게 결합하는 요동 아암과, B. 안내 부재에 대하여 축심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한 슬라이더를 가지며, 안내 부재 뒷부분에는, 슬라이더와 결합하여 가동 유닛을 수납 위치에 고정하는 결합수단이 구비되기도 한다.
또한, 홀더가, A. 보호통의 후단부와 안내 부재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요동 아암과 결합ㆍ해제 가능하게 결합하는 대략 링형상의 잠금부와, B. 이 잠금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가동 유닛이 수납 위치에 위치할 때, 캐뉼러의 축심방향 중도부를 피복하는 커버를 갖기도 한다.
또한, 가동 유닛은, A. 허브에 고착되는 가동 유닛 조작용의 조작체와, B. 허브 및 안내 부재에 축심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가동 유닛의 수납 위치로의 이동시에, 허브 및 안내 부재에 이탈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가동 유닛을 수납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체를 가지며, 조작체가, 요동가능하며, 가동 유닛이 사용 위치에 위치할 때, 요동에 의해 홀더에 결합ㆍ해제 가능하게 결합하는 요동 아암을 갖기도 한다.
또한, 고정체는 중공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내부에 허브 및 안내 부재가 삽입 관통되고, 고정체 내부에는 결합 돌기와 결합 오목부가 형성되며, 이 결합 돌기가 이탈 불가능하게 결합가능한 결합 홈부가 허브에 형성되고, 결합 오목부와 이탈 불가능하게 결합가능한 결합 갈고리가 안내 부재의 뒷부분에 형성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뉼러에 의한 오천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시에 허브에 접속된 튜브가 상방으로 움직이더라도, 캐뉼러의 날끝이 하방으로 크게 요동하여, 환자의 혈관 등이 손상될 우려가 적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안내 부재에 축심방향의 압축력이 작용할 때, 안내 부재가 상방으로 만곡 돌기형으로 휘어지고, 캐뉼러의 날끝이 하방으로 기울어진 전방을 지향하므로, 캐뉼러가 의료종사자를 오천자할 우려가 적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커버가 캐뉼러의 축심방향 중도부를 피복하기 때문에, 예컨대 캐뉼러의 축심방향 중도부에 환자의 혈액 등이 묻어 있더라도, 이 혈액 등이 의료종사자에게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안내 부재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시에 안내 부재에 의료종사자나 환자가 접촉될 우려를 적게 할 수 있고, 유치침이 움직일 우려를 적게 할 수 있어, 캐뉼러에 의해 환자의 혈관 등에 뜻하지 않게 상처를 줄 우려를 적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1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 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B-B 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C-C 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가동 유닛이 수납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저면도이다.
도 12은 도 11의 D-D 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E-E 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F-F 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2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저면도이다.
도 19은 도 15의 G-G 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5의 H-H 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J-J 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5의 가동 유닛이 수납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도 22의 저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K-K 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L-L 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6의 M-M 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3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측면도이다.
도 31은 도 29의 평면도이다.
도 32는 도 29의 저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N-N 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P-P 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5는 도 33의 Q-Q 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6은 도 33의 R-R 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7은 도 29의 가동 유닛이 수납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8은 도 37의 측면도이다.
도 39은 도 37의 평면도이다.
도 40은 도 37의 저면도이다.
도 41은 도 40의 S-S 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2는 도 41의 T-T 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3은 도 41의 U-U 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4는 도 41의 V-V 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5는 도 41의 W-W 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동 유닛 2: 튜브
3 : 홀더 4 : 고정용 날개
6 : 캐뉼러 6A : 날끝
7 : 허브 8 : 조작체
15 : 슬라이더 16 : 요동 아암
25 : 잠금부 26 : 보호통
27 : 안내 부재 27B : 오목부
28 : 커버 34 : 안내 홈
37 : 결합 홈부 38 : 요동 편부
51 : 결합 돌기 55 : 결합편
56 : 결합 오목부 63 : 결합 홈부
67 : 고정체 68 : 결합 돌기
69 : 공동부 70 : 결합 오목부
73 : 결합 갈고리
[실시형태의 제1 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1 예를 도 1∼도 14의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날개장착 유치침은 가동 유닛(1)과, 튜브(2)와, 홀더(3)와, 고정용 날개(4) 를 가진다.
가동 유닛(1)은 홀더(3)에 축심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캐뉼러(6)와, 허브(7)와, 조작체(8)를 가진다.
캐뉼러(6)는 가늘고 긴 튜브형으로 되어 있고, 전단부가 끝이 날카로운 날끝(6A)으로 되어 있다. 캐뉼러(6)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SUS304가 바람직함) 등의 탄성을 가지는 경질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허브(7)는 축심방향 양측으로 개구된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그 앞 부분에 캐뉼러(6)의 뒷부분이 삽입 장착되어 있다. 허브(7)의 축심방향 중도부는, 다른 부분보다 직경이 큰 대직경부(11)로 되어 있다. 허브(7)는, 탄성을 가지는 경질 재료, 예를 들어 염화비닐, ABS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체(8)는, 가동 유닛(1)을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 끼워맞춤부(13)와, 후방 돌출부(14)와, 슬라이더(슬라이딩체, 이동체; 15)와, 좌우 한 쌍의 요동 아암(16)을 가지며, 허브(7)와 동일한 탄성을 가지는 경질 재료에 의해 허브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별개로 형성된 후 조립되기도 한다. 끼워맞춤부(13)는 하측이 절결된 링형상으로 되어 있고, 허브(7)의 뒷부분에서 그 후방으로부터 바깥에 끼워져, 허브(7)의 대직경부(11)와 축심방향에서 맞닿아 있다. 후방 돌출부(14)는 끼워맞춤부(13)의 좌우 양측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방 돌출부(14)는 하방으로 개구되고 양측부에 윈도우를 가진다. 슬라이더(15)는 후방 돌출부(14)의 좌우 양측부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것으로, 그 후단부에서 결합 돌 기(51)가 상방으로 돌출되고, 결합 돌기(51)의 후면은 전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면(52)으로 되어 있다. 각 요동 아암(16)은 후방 돌출부(14)의 후단부로부터 외측 방향과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 요동 아암(16)은 탄성 변형을 통해 폭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앞 부분에는,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피결합부(20)와, 전면이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1)으로 형성된 돌출부(22)가 전방을 향하여 이어서 형성되어 있다.
튜브(2)는 허브(7)의 뒷부분의 바깥에 끼워지고, 접착제 등에 의해 허브(7)와 접속되어, 허브(7)를 통해 캐뉼러(6)와 연통하고 있다. 이때 튜브(2)의 접속측 단부와 허브(7)의 대직경부(11)와의 사이에, 상기 조작체(8)의 끼워맞춤부(13)의 적어도 일부를, 그 사이에 끼워, 조작체(8)가 허브(7)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튜브(2)는 바람직하게는 반투명하고 유연성을 갖춘 재료로 성형되며, 예를 들어 허브(7)와 동일한 재료에 의해 허브에 일체로 형성된다.
홀더(3)에는 가동 유닛(1)이 축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도 1∼도 7에 도시되는 사용 위치와, 도 8∼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 위치보다 후방의 수납 위치로 위치변경 가능하게 된다. 홀더(3)는, 잠금부(25)와, 보호통(26)과, 안내 부재(27)와, 커버(28)를 가지며, 허브(7)와 동일한 경질 재료에 의해 허브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25)는 (대략) 링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축심방향 중도부의 내면이 전단부보다 직경이 큰 대직경부(30)로 되어 있고, 내면중에서 대직경부(30)와 전단부의 경계부에 후방이 면형상을 나타내는 단차면(31)이 형성되어 있고, 가동 유 닛(1)이 사용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허브(7)의 대직경부(11)가 상기 대직경부(30)내에 끼워져, 단차면(31)과 축심방향에서 맞닿는다. 잠금부(25)로부터는, 상방으로 만곡 돌출형으로 된 커버(28)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가동 유닛(1)을 수납 위치에 위치시켰을 때, 캐뉼러(6)의 축심방향 중도부를 피복한다. 또, 그 좌우 양측에는 결합부(32)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결합부(32)의 전방측에는, 요동 아암(16)의 돌출부(22)가 삽입ㆍ이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가동 유닛(1)을 사용 위치에 고정시키는 삽입이탈구(54)가 폭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다.
보호통(26)은 잠금부(25)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가동 유닛(1)이 사용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보호통(26)의 내부에 허브(7)의 앞 부분이 축심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허브(7)의 전단부와 캐뉼러(6)가 보호통(26)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또, 가동 유닛(1)이 수납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보호통(26) 내부에 캐뉼러(6)의 날끝(6A)을 포함하는 앞 부분만을 수납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호통(26) 및 허브(7)의 축심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여, 가동 유닛(1)을 사용 위치에 위치시켰을 때에, 허브(7)와 튜브(2)의 접속부분으로부터 고정용 날개(4)까지의 축심방향에서의 거리를 작게 하고 있다.
안내 부재(27)는 가동 유닛(1)을 축심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축심방향으로 가늘고 긴 판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하방향으로 면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안내 부재(27)의 하방에 슬라이더(15)가 축심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안내 부재(27)의 하면에는, 슬라이더(15)의 결합 돌기(51)가 내부를 슬라이딩하는 안내 홈부(27A)가 상방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안내 부재(27)의 후단부에 コ 형상의 노치가 형성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요동가능하며 결합수단이 되는 결합편(55)이 배치되어 있다. 결합편(55)의 뒷부분의 하면에는, 가동 유닛(1)이 수납 위치에 도달할 때 결합 돌기(51)가 이탈 불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 오목부(56)가 상방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결합편(55)의 앞 부분의 하면, 즉, 하면에 있어서의 결합 오목부(56)의 전측부분은, 전방으로 상승되는 경사면(57)으로 되어 있다. 안내 부재(27)는 잠금부(25)의 뒷부분의 하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안내 부재(27)의 앞 부분에는, 하면측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힌지, 절결부; 27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안내 부재(27)에 축심방향의 압축력이 작용할 때, 안내 부재(27)가 상방으로 만곡 돌출형으로 휘어지게 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27B)의 내부의 후면은 전방으로 상승된 경사형으로 되어 있다.
고정용 날개(4)는 보호통(26)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보호통(26)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좌우 한 쌍의 날개부(41)를 가진다. 고정용 날개(4)는 허브(7)와 동일한 재료에 의해 허브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유연성 및 탄성을 가진다. 날개부(41)는 환자의 팔 또는 손 등에 접착된다.
상기 구성예에 따르면, 날개장착 유치침의 사용시에는, 도 1∼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동 유닛(1)은 사용 위치에 있고, 허브(7)의 전단부와 캐뉼러(6)가 보호통(26)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홀더(3)의 잠금부(25)의 결합부(32)에 가동 유닛(1)의 조작체(8)의 돌출부(22)가 결합하여, 가동 유닛(1)이 사용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날개장착 유치침을 환자의 손 또는 팔 등에 셋팅할 때에는, 캐뉼러(6)를 환 자의 손 또는 팔 등의 동맥 등에 천자하고, 고정용 날개(4)를 환자의 손 또는 팔 등에 접착하여, 날개장착 유치침을 환자에게 고정한다.
그런데, 튜브(2)가 어떠한 원인으로 상방 또는 좌우로 움직였을 때, 튜브(2)의 움직임은 가동 유닛(1)에 전달되고, 예를 들어 가동 유닛(1)의 뒷부분이 상부로 요동하면, 가동 유닛(1)의 앞 부분, 즉 캐뉼러(6)가 하방으로 요동한다. 이 요동은 환자에게 고정된 고정용 날개(4)가 지점이 되어 발생하므로, 고정용 날개(4)로부터 튜브(2)의 움직임이 저해되지 않는 부분까지의 거리가 커질수록, 캐뉼러(6)에 전해지는 요동은 커진다. 종래의 날개장착 유치침은, 캐뉼러를 수납하는 홀더의 전체 길이가 길고, 또 튜브는 홀더의 전체 길이와 대략 같은 허브의 말단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용 날개로부터 튜브의 움직임이 저해되지 않는 부분, 즉 튜브와 허브의 접속부분까지의 축심방향 거리가 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날개장착 유치침은 홀더(3)의 후방은 안내 부재(27)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튜브(2)가 상방 및 좌우방향으로 노출되어 있고, 허브(7)도 홀더(3)의 전방에 형성되는 보호통(26), 잠금부(25) 및 커버(28)의 전체 길이와 대략 같은 길이로 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용 날개(4)로부터 튜브(2)와 허브(7)의 접속부분까지의 축심방향 거리가 현격하게 짧아져, 튜브의 움직임에 의한 캐뉼러(6)의 요동도 작게 할 수 있고, 캐뉼러(6)의 날끝(6A)이 동맥 등을 손상할 우려를 적게 할 수 있다.
유치침을 환자로부터 제거할 때에는, 우선 가동 유닛(1)의 조작체(8)의 요동 아암(16)을 내측 방향으로 요동시켜, 홀더(3)의 잠금부(25)의 결합부(32)로부터 요 동 아암(16)의 돌출부(22)를 이탈시킨 후, 가동 유닛(1)을 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보호통(26)에 캐뉼러(6)의 날끝(6A)을 포함하는 앞 부분만을 수납시킨다. 이에 따라, 의료종사자의 손가락 등이 캐뉼러(6)에 의해 천자 되는, 소위 오천자 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의료종사자가 에이즈나 간염 등에 감염될 우려를 없앨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상측의 커버(28)가 캐뉼러(6)의 축심방향 중도부를 피복하기 때문에, 캐뉼러(6)의 축심방향 중도부에 환자의 혈액 등이 묻어 있더라도, 이 혈액 등이 의료종사자에게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가동 유닛(1)의 상기 슬라이딩시에, 슬라이더(15)가 안내 부재(27)의 뒷부분에 도달하면, 슬라이더(15)의 결합 돌기(51)의 경사면(52)이 안내 부재(27)의 결합편(55)의 경사면(57)과 맞닿아, 결합편(55)을 상방으로 요동시켜, 결합 돌기(51)가 결합편(55)의 결합 오목부(56)에 이탈 불가능하게 결합되고, 결합편(55)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가동 유닛(1)은 수납 위치에 고정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경우에, 보호통(26)에 후방측에 대한 외력이 작용하여, 안내 부재(27)에 축심방향의 압축력이 작용한 경우에, 안내 부재(27)에 오목부(27B)가 형성되어 있으면, 안내 부재(27)가 상방으로 만곡 돌출형으로 휘어지므로, 캐뉼러(6)의 날끝(6A)이 하방으로 기울어진 전방을 지향하게 되어, 의료종사자를 천자할 우려가 적다.
[실시형태의 제2 예]
도 15∼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2 예를 나타내고, 제1 예의 상이점을 주로 설명하면, 가동 유닛(1)의 조작체(8)에는, 끼워맞춤부(13)의 좌우 양측부 로부터 후방 돌출부(14)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슬라이더(15)는 끼워맞춤부(13)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역 T 자형으로 되어 있고, 상부측의 슬라이딩부(18)와, 슬라이딩부(18)보다 폭이 넓은 이탈방지부(19)로 이루어진다. 요동 아암(16)은 단일하며, 양후방 돌출부(14)의 후단부로부터 상방과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탄성 변형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요동 아암(16)의 전단부에는,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피결합부(20)와, 상방으로 돌출되고 전단면이 후방으로 기울어진 형의 경사면(21)으로 형성된 돌출부(22)가 전방을 향하여 이어서 형성되어 있다. 또, 요동 아암(16)의 축심방향 중도부에는, 요동 아암(16)을 하방으로 가압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23)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3)의 잠금부(25)의 상단부에는, 결합부(32)가 폭방향으로 가로로 형성되어 있고, 가동 유닛(1)을 사용 위치에 위치시켰을 때, 조작체(8)의 요동 아암(16)에서, 돌출부(22)의 경사면(21)이 결합부(32)와 맞닿음으로써, 요동 아암(16)이 하방으로 요동하여, 요동 아암(16)의 피결합부(20)에 결합부(32)가 상대적으로 상방으로부터 결합ㆍ해제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동 유닛(1)은 사용 위치에 고정된다.
안내 부재(27)의 폭방향 중앙부는 양측부보다 상위이며, 떠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안내 부재(27)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안내 홈(34)이 축심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안내 홈(34)에 조작체(8)의 슬라이더(15)의 슬라이딩부(18)가 삽입되어, 축심방향으로 안내되고, 슬라이더(15)의 이탈방지부(19)에 의해 슬라이더(15)가 안내 홈(3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한, 이탈방지부(19)는 안내 부재(27)의 하면측에 수납형으로 되어 있다. 안내 홈(34)의 축심방향 중도부에는, 슬라이더(15)의 이탈방지부(19)보다 한층 큰 삽입구(35)가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더(15)의 슬라이딩부(18)를 안내 홈(34)에 삽입할 때에는, 이 삽입구(35)에 슬라이더(15)가 상방으로부터 삽입된다. 안내 홈(34)의 뒷부분에는, 결합수단으로서, 다른 부분보다 폭이 넓은 광폭부(36)와, 다른 부분과 동일한 폭의 결합 홈부(37)가 후방을 향하여 이어서 형성되고, 광폭부(36)의 앞가장자리부의 좌우 양측으로부터는, 외측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된 좌우 한 쌍의 요동 편부(38)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 요동 편부(38)의 뒷부분은 후방을 향함에 따라서 광폭부(36)의 폭방향 중앙부를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형으로 형성되고, 두 요동 편부(38)의 후단부는 약간의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가동 유닛(1)이 사용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슬라이더(15)가 안내 홈(34)의 전단부에 위치하고, 가동 유닛(1)이 수납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슬라이더(15)가 결합 홈부(37)에 위치하는 동시에, 슬라이더(15)의 결합 홈부(37)로부터의 이탈은 요동 편부(38)에 의해 저지된다.
커버(28)는 안내 부재(27)의 앞 부분의 좌우 양측부에 형성되는 동시에, 그 전단부는 잠금부(25)에 연결되어 외측 방향으로 만곡 돌출되어, 가동 유닛(1)을 수납 위치에 위치시켰을 때 캐뉼러(6)의 축심방향 중도부를 피복한다.
고정용 날개(4)는 보호통(26)과는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폭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는 바깥끼움부(40)와, 바깥끼움부(40)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좌우 한 쌍의 날개부(41)를 가지며, 허브(7)와 동일한 재료에 의해 허브에 일체로 형성 되어 있다. 바깥끼움부(40)는 보호통(26)에 바깥에서 끼워져 고착되어 있다. 또한, 고정용 날개(4)를, 제1 예와 마찬가지로, 보호통(26)과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또, 날개부(41)의 이면은, 환자에게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해,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요철을 가지는 표면이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상기 구성예에서는, 가동 유닛(1)을 도 15∼도 21에 도시되는 사용 위치로부터 도 22∼도 28에 도시되는 수납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는, 가동 유닛(1)의 조작체(8)의 요동 아암(16)을 조작부(23)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하여, 돌출부(22)를 홀더(3)의 잠금부(25)의 결합부(32)로부터 이탈시킨 후, 가동 유닛(1)을 수납 위치까지 슬라이딩시켜, 가동 유닛(1)의 캐뉼러(6)에서의, 날끝(6A)을 포함하는 앞 부분만을 보호통(26) 및 잠금부(25)의 내부에 수납한다. 또, 상기의 경우에는, 좌우의 커버(28)가 캐뉼러(6)의 축심방향 중도부를 피복한다.
또한, 가동 유닛(1)의 상기 슬라이딩시에는, 조작체(8)의 슬라이더(15)는 가동 유닛(1)의 안내 부재(27)의 안내 홈(34)내를 이동하지만, 슬라이더(15)의 이탈방지부(19)가 안내 부재(27)의 하면측에 수납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15)는 환자의 손이나 팔에 닿지 않는다.
또, 가동 유닛(1)의 상기 슬라이딩시에, 슬라이더(15)가 안내 홈(34)의 뒷부분에 도달하면, 슬라이더(15)는 두 요동 편부(38)와 맞닿고, 두 요동 편부(38)를 탄성 변형시켜 외측 방향으로 요동시키면서 밀어서 열어, 슬라이더(15)의 슬라이딩부(18)가 안내 홈(34)의 결합 홈부(37)내에 도달한다. 그리고, 두 요동 편부(38)는 슬라이딩부(18)가 통과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슬라이 더(15)가 결합 홈부(37)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에 따라, 가동 유닛(1)은 수납 위치에 고정된다.
[실시형태의 제3 예]
도 29∼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3 예를 나타내고, 제1 예의 변형예로서, 그 상이점을 설명하면, 허브(7)의 대직경부(11)보다 앞 부분측은, 대직경부(11)보다 소직경이며 축심방향으로 직경이 일정한 소직경부(61)와, 후방을 향하여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는 테이퍼부(62)와, 외주면에 결합 홈부(63)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 둘레홈부(64)와, 테이퍼부(62)의 전단과 외경이 동일하고 축심방향으로 직경이 일정한 일정 직경부(65)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부분은 축심방향으로 이어서 형성되어 있다.
가동 유닛(1)은 중공형상의 고정체(67)를 가진다. 고정체(67)는 상단부가 절결된 대략 링형상으로 되어 있고, 허브(7)와 동일한 탄성을 가지는 경질 재료에 의해 허브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체(67)는, 허브(7)의 대직경부(11)보다 앞 부분 측과 안내 부재(27)에 축심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바깥에 끼워져 있고, 그 내주면에는, 직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된 결합 돌기(68)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유닛(1)의 사용 위치에서는, 결합 돌기(68)는 허브(7)의 대직경부(11)와 축심방향에서 맞닿아 있거나, 또는 적은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고정체(67)의 하부에는, 전후방향 및 하방으로 개구된 공동부(69)가 형성되고, 이 공동부(69)내에 잠금부(25) 및 안내 부재(27)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공동부(69)내의 앞 부분의 좌우 양측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 오목부(70)가 형성되고, 공 동부(69)내의 뒷부분의 좌우 양측의 내면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71)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 부재(27)의 축심방향 길이는 짧게 되어 있고, 그 후단은 축심방향에서 커버(28)의 후단과 대략 동일한 위치로 되어 있다. 안내 부재(27)의 뒷부분은 좌우 한 쌍의 결합 갈고리(73)로 되어 있다. 결합 갈고리(73)는, 탄성 변형을 통하여 좌우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후단부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갈고리부(74)로 되어 있다. 각 갈고리부(74)는, 고정체(67)의 후방으로의 이동시에, 고정체(67)의 결합 오목부(70)에 이탈 불가능하게 결합하여 고정체(67)를 고정한다.
상기 구성예에서는, 가동 유닛(1)을 도 29∼도 36에 도시되는 사용 위치로부터 도 37∼도 45에 도시되는 수납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는, 가동 유닛(1)의 조작체(8)의 요동 아암(16)을 내측 방향으로 요동시켜, 홀더(3)의 잠금부(25)의 결합부(32)로부터 조작체(8)의 돌출부(22)를 이탈시킨 후, 가동 유닛(1)을 후방으로 인장시킨다.
이에 따라, 가동 유닛(1)은 튜브(2)와 함께 후방의 수납 위치까지 이동하여, 보호통(26)에 캐뉼러(6)의 날끝(6A)을 포함하는 앞 부분만이 수납된다. 이 이동시에, 허브(7)의 소직경부(61) 및 테이퍼부(62)가 고정체(67)의 결합 돌기(68)와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테이퍼부(62)가 결합 돌기(68)와 슬라이딩할 때, 고정체(67)가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탄성 변형하여, 상기 슬라이딩 후, 고정체(67)가 직경방향 안쪽으로 탄성 복귀하여, 고정체(67)의 결합 돌기(68)가 허브(7)의 결합 홈부(63)내에 이탈 불가능하게 낙하 결합하여, 허브(7)와 고정체(67)가 고정된다.
또, 이 고정후(또는, 고정전에), 고정체(67)의 경사면(71)이 안내 부재(27)의 결합 갈고리(73)의 갈고리부(74)에 맞닿아, 축심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이에 따라, 결합 갈고리(73)는 탄성 변형을 통해 내측 방향으로 요동한다. 상기 슬라이딩이 종료하면, 결합 갈고리(73)가 탄성 복귀하여 외측 방향으로 요동하고, 그 갈고리부(74)가 고정체(67)의 결합 오목부(70)내에 이탈 불가능하게 결합하여, 고정체(67)가 수납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가동 유닛(1)은 수납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제3 예에서는, 고정체(67)가 허브(7), 잠금부(25) 및 안내 부재(27)에 축심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가동 유닛(1)의 수납 위치로의 이동시에, 허브(7) 및 안내 부재(27)에 이탈 불가능하게 결합하여 가동 유닛(1)이 수납 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안내 부재(27)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시에 안내 부재(27)에 의료종사자나 환자가 접촉될 우려를 적게 할 수 있고, 유치침이 움직일 우려를 적게 할 수 있어, 캐뉼러(6)에 의해 환자의 혈관 등을 뜻하지 않게 상처주거나 할 우려를 저감 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의 제1 예 및 제3 예에서는, 결합부를 결합 오목부에 상대적으로 외측 방향에서 결합하도록 했지만, 반대로 상대적으로 내측 방향에서 결합하게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제2 예에서는, 결합부를 결합 오목부에 상방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결합하도록 했지만, 반대로 하방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결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2 예 및 제3 예에서는, 안내 부재에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았지만, 형성해도 된다.

Claims (7)

  1. A. 캐뉼러와, 이 캐뉼러의 뒷부분이 앞 부분에 삽입 장착된 통형상의 허브를 가지는 가동 유닛과,
    B. 상기 허브의 뒷부분에 접속되어 상기 캐뉼러와 연통하는 튜브와,
    C. 홀더와,
    D. 가요성을 가지는 고정용 날개
    를 가지며,
    상기 가동 유닛은 상기 홀더에 축심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 위치와, 사용 위치보다 후방의 수납 위치로 위치변경가능하고, 상기 가동 유닛이 사용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가동 유닛은 상기 홀더에 결합ㆍ해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동 유닛이 상기 홀더에 고정되는 날개장착 유치침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가. 이 홀더의 앞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가동 유닛이 사용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캐뉼러가 전단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동 유닛이 수납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캐뉼러의 날끝을 포함하는 앞 부분만을 내부에 수납하며, 고정용 날개를 구비하는 보호통과,
    나. 상기 홀더의 뒷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가동 유닛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고, 상기 가동 유닛이 수납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가동 유닛과 결합하여 상기 가동 유닛을 고정하는 안내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인 날개장착 유치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하방향으로 면형상을 나타내는 판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방으로 노출되며,
    상기 가동 유닛이 사용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튜브는 상기 안내 부재의 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안내 부재가 튜브의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인 날개장착 유치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의 하면에는, 축심방향의 압축력이 작용할 때 상기 안내 부재를 상방으로 만곡 돌출형으로 휘어지게 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인 날개장착 유치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유닛은, 허브에 고착되는 가동 유닛 조작용의 조작체를 가지며,
    이 조작체는,
    A. 요동가능하며, 상기 가동 유닛이 사용 위치에 위치할 때, 요동에 의해 홀더에 결합ㆍ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요동 아암과,
    B. 상기 안내 부재에 대하여 축심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한 슬라이더
    를 가지며,
    상기 안내 부재 뒷부분에는,
    ㆍ슬라이더와 결합하여 가동 유닛을 수납 위치에 고정하는 결합수단
    이 구비되는 것인 날개장착 유치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A. 상기 보호통의 후단부와 상기 안내 부재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요동 아암과 결합ㆍ해제 가능하게 결합하는 대략 링형상의 잠금부와,
    B. 이 잠금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동 유닛이 수납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캐뉼러의 축심방향 중도부를 피복하는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인 날개장착 유치침.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유닛은,
    A. 상기 허브에 고착되는 가동 유닛 조작용의 조작체와,
    B. 상기 허브 및 상기 안내 부재에 축심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동 유닛의 수납 위치로의 이동시에, 상기 허브 및 상기 안내 부재에 이탈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동 유닛을 수납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체
    를 가지며,
    상기 조작체는,
    ㆍ요동가능하며, 상기 가동 유닛이 사용 위치에 위치할 때, 요동에 의해 홀더에 결합ㆍ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요동 아암
    을 포함하는 것인 날개장착 유치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중공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허브 및 안내 부재가 삽입 관통되고, 상기 고정체의 내부에는 결합 돌기와 결합 오목부가 형성되며,
    이 결합 돌기와 이탈 불가능하게 결합가능한 결합 홈부가 상기 허브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 오목부와 이탈 불가능하게 결합가능한 결합 갈고리가 상기 안내 부재의 뒷부분에 형성되는 것인 날개장착 유치침.
KR1020087008337A 2006-06-30 2007-06-07 날개장착 유치침 KR101410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81698 2006-06-30
JP2006181698 2006-06-30
PCT/JP2007/061515 WO2008001590A1 (fr) 2006-06-30 2007-06-07 aiguille à demeure dotée d'ai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543A true KR20090023543A (ko) 2009-03-05
KR101410599B1 KR101410599B1 (ko) 2014-06-20

Family

ID=38845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337A KR101410599B1 (ko) 2006-06-30 2007-06-07 날개장착 유치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52641B2 (ko)
EP (1) EP2042204A4 (ko)
JP (1) JP5163353B2 (ko)
KR (1) KR101410599B1 (ko)
CN (1) CN101443059A (ko)
CA (1) CA2655519C (ko)
WO (1) WO20080015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4775B2 (ja) 2006-10-12 2012-08-08 日本コヴィディエン株式会社 針先保護具
US8323249B2 (en) 2009-08-14 2012-12-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Integrated vascular delivery system
US8790298B2 (en) 2009-09-21 2014-07-29 Translational Biologic Infusion Catheter, Llc Infusion catheter tip for biologics
US10155099B2 (en) 2009-09-21 2018-12-18 Cook Regentec Llc Method for infusing stem cells
US10058675B2 (en) 2009-09-21 2018-08-28 Cook Regentec Llc Infusion catheter tip for biologics with reinforced external balloon valve
WO2011146769A2 (en) 2010-05-19 2011-11-24 Tangent Medic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vascular delivery system
WO2011146772A1 (en) 2010-05-19 2011-11-24 Tangent Medical Technologies Llc Safety needle system operable with a medical device
ES2662356T3 (es) 2011-04-27 2018-04-06 Kpr U.S., Llc Conjuntos de catéter IV de seguridad
US8715250B2 (en) 2011-09-26 2014-05-06 Covidien Lp Safety catheter and needle assembly
WO2013048975A1 (en) 2011-09-26 2013-04-04 Covidien Lp Safety catheter
EP2578256A1 (en) * 2011-10-06 2013-04-10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Needle safety device
US8834422B2 (en) 2011-10-14 2014-09-16 Covidien Lp Vascular access assembly and safety device
US8747360B2 (en) * 2011-12-07 2014-06-10 Becton, Dickinston And Company Adhesive backed IV catheter with auto release liner
JP6352903B2 (ja) * 2012-05-17 2018-07-04 クック リージェンテック エルエルシー 生物製剤用の注入カテーテルチップ
WO2014043718A1 (en) * 2012-09-17 2014-03-20 Laird Darrell Lynn Intravenous line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US9044539B2 (en) * 2013-03-14 2015-06-02 Trenclasp, LLC IV line clasp
US8672891B1 (en) * 2013-03-14 2014-03-18 Trenclasp LLC IV line clasp
CN103191496B (zh) * 2013-04-10 2014-10-29 上海维朴芮国际贸易有限公司 蝴蝶型针组件和蝴蝶型针保护套
USD787665S1 (en) * 2013-11-28 2017-05-23 Pengfei Wu Curved hypodermic needle
WO2015119940A1 (en) 2014-02-04 2015-08-13 Icu Medical, Inc. Self-priming systems and methods
CN104784806B (zh) * 2015-03-10 2019-01-15 北京伏尔特技术有限公司 一种动静脉留置装置及其使用方法
US10463840B2 (en) * 2015-10-28 2019-11-0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ompliant catheter adapter having self-slitting needle
JP6864181B2 (ja) * 2015-12-28 2021-04-28 株式会社トップ プロテクタ付き医療用針
US10179205B2 (en) * 2016-02-04 2019-01-15 Novum Vascular, Llc Passive safety huber needle
JP6664270B2 (ja) * 2016-04-26 2020-03-13 株式会社トップ プロテクタ付き医療用針
KR101679166B1 (ko) 2016-05-11 2016-11-24 엘케이메디칼(주) 약액 투여용 의료기구
WO2018133028A1 (zh) * 2017-01-20 2018-07-26 福建省百仕韦医用高分子股份有限公司 外置敷翼的护套型留置针
CN107198531A (zh) * 2017-04-27 2017-09-26 王祖扬 一种针头自动回缩式采血针
JP7123359B2 (ja) * 2017-09-01 2022-08-23 メディキット株式会社 針組立体
US10888364B2 (en) 2018-01-02 2021-01-12 Medtronic Holding Company Sarl Scoop cannula with deflectable wings
KR200486337Y1 (ko) 2018-01-31 2018-05-03 최대한 호환성을 향상시킨 일회용 주사기 세트
TWI675677B (zh) * 2018-06-04 2019-11-01 洪志華 用於內廔管翼狀針之針座及使用其之內廔管翼狀針
US11717650B2 (en) * 2018-09-10 2023-08-0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theter stabilization platform, systems, and methods
JP2023543702A (ja) * 2020-09-16 2023-10-18 イオフロー・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ニードル組立体及びそれを含む薬液注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5012A (en) * 1988-06-10 1990-06-19 George R. Magre Safety device for medical needles
US5176655A (en) * 1990-11-08 1993-01-05 Mbo Laboratories, Inc. Disposable medical needle and catheter placement assembly having full safety enclosure means
US5108376A (en) * 1990-11-14 1992-04-28 Safetyject Retractable intravenous needle assembly
JP3134920B2 (ja) 1996-09-20 2001-02-13 株式会社ニッショー 翼付留置針
US6210371B1 (en) * 1999-03-30 2001-04-03 Retractable Technologies, Inc. Winged I.V. set
JP2002345955A (ja) 2001-05-23 2002-12-03 Kazuaki Yamaoka 安全キャップ付注射針
JP4137426B2 (ja) 2001-10-16 2008-08-20 川澄化学工業株式会社 針カバー付翼付針
CA2409306C (en) * 2001-10-24 2012-05-0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Retractable needle assembly
US7294118B2 (en) * 2001-10-24 2007-11-1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Retractable needle assembly
CN1269537C (zh) * 2002-03-19 2006-08-16 贝克顿迪肯森公司 针组件
AU2003201341A1 (en) * 2002-03-20 2003-10-1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Needle assembly
US7010344B2 (en) * 2002-04-26 2006-03-07 Medtron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laying a ventricular tachycardia therapy
US7914488B2 (en) * 2002-05-22 2011-03-29 C. Dickerson Co. Safety needle introducer and universal needle protector for vascular access devices
IL149867A0 (en) * 2002-05-27 2002-11-10 Sergey Popov Safety catheter device
US7018344B2 (en) * 2003-01-21 2006-03-2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Retractable needle shielding device
US7041066B2 (en) * 2003-03-13 2006-05-09 Becton, Dickinson & Company Needl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0599B1 (ko) 2014-06-20
CA2655519A1 (en) 2008-01-03
CA2655519C (en) 2011-05-31
US8052641B2 (en) 2011-11-08
JP5163353B2 (ja) 2013-03-13
EP2042204A4 (en) 2015-04-15
WO2008001590A1 (fr) 2008-01-03
US20100234804A1 (en) 2010-09-16
CN101443059A (zh) 2009-05-27
JP2008259905A (ja) 2008-10-30
EP2042204A1 (en)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3543A (ko) 날개장착 유치침
JP4211858B2 (ja) 翼付留置針
US5772638A (en) Protector for needle
US8992483B2 (en) Indwelling needle assembly and protector
JP4833488B2 (ja) 傾いた状態で収納される針を有する液体採取装置
KR100998126B1 (ko) 의료용 바늘 장치
JP3655857B2 (ja) 翼付留置針
JP4848989B2 (ja) プロテクタ
JPH1085333A (ja) 翼付留置針
JPWO2006123645A1 (ja) 翼状針組立体
EP3466464B1 (en) Needle tip protector for indwelling needle and indwelling needle assembly
EP1159983B1 (en) Clamp for winged needle
WO2003033056A1 (fr) Dispositif medical a aiguille dote d&#39;un element de protection a ailettes permettant d&#39;empecher un percage errone
US8603126B2 (en) Lancet
JP2017176455A (ja) カテーテル組立体
JPH0724071A (ja) 血管内留置カテーテル組立体
WO2016152415A1 (ja) カテーテル組立体
JP5262262B2 (ja) 留置針装置
JPH1157002A (ja) 留置針組立体
AU717410B2 (en) Easy use needle protector sheath
JPH0928811A (ja) 血管内留置カテーテル組立体
CN110177590B (zh) 保护套和医用针组件
JP2005152282A (ja) 穿刺具
US20080167612A1 (en) Intravenous catheter introducing device
US20210330894A1 (en) Medical nee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