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584A -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1584A
KR20090021584A KR1020070086214A KR20070086214A KR20090021584A KR 20090021584 A KR20090021584 A KR 20090021584A KR 1020070086214 A KR1020070086214 A KR 1020070086214A KR 20070086214 A KR20070086214 A KR 20070086214A KR 20090021584 A KR20090021584 A KR 20090021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amin
tablet
lactobacillus
sugar alcoho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환
Original Assignee
비타민하우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타민하우스(주) filed Critical 비타민하우스(주)
Priority to KR1020070086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1584A/ko
Publication of KR20090021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5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95Tabletting processes; Dosage units made by direct compression of powders or specially processed granules, by eliminating solvents, by melt-extrusion, by injection molding, by 3D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요 성분으로서 비타민 C, 유산균, 당알콜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성분이 함유된 것을 치아로 씹거나 또는 침에 의해 녹여서 섭취할 수 있는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타민 C, 당알콜, 유산균, 정제, 츄어블(Chewable)

Description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tablet comprising vitamin 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요 성분으로서 비타민 C, 유산균, 당알콜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성분이 함유된 것을 치아로 씹거나 또는 침에 의해 녹여서 섭취할 수 있는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타민 C(vitamin C)는 선원들에게 많이 발병한 괴혈병에서 유래하였고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이라는 명칭을 가지고 있다.
비타민C는 환원제 역할을 하고 콜라겐합성, 항산화제로의 작용, 소장에서 철분의 흡수를 돕고 카르니틴의 생합성 및 면역기능에 관여한다. 비타민C가 부족되면 괴혈병, 콜라겐 합성의 이상으로 결체조직의 이상, 뼈통증, 골절, 설사 등이 일어나며, 과잉시에는 메스꺼움, 복통, 설사 등의 위장관 장애가 일어날 수 있다. 성인의 영양 권장량은 70mg/day 이다.
이외에도 비타민 C는 분유 및 식품의 산화방지, 신선도 유지, 발색보조제, 변색방지에도 효과가 있어 과일쥬스, 과일통조림, 잼에 이용하며 맥주의 산화방지제 및 원료육의 변색방지에 이용한다. 기타 밀가루, 과자, 유지, 유제품 등에 사용한다. 빛이 차단된 밀봉용기에 보관한다.
위에서 언급한 역할 이외에도 비타민 C는 인체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물질이므로, 사람들은 음식물에 의한 인체내로의 섭취 이외에도 여러 가지 형태 및/또는 종류에 의해 비타민 C를 섭취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비타민 C 보충용 제품으로는 정제, 캡슐제, 환제, 액상 형태의 제품이 있으며, 가장 널리 알려진 대표적인 비타민 C 보충용 제품으로서 국내 제약회사에서 액상의 형태로 판매되고 있는 비타민 C 음료가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언급한 정제, 캡슐제, 환제 등의 비타민 C 보충용 제품들은 대부분 그 자체로서 섭취가 어렵기 때문에 물 또는 액상음료를 같이 병행하여 섭취하고 있는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액상 제품의 비타민 C 제품은 그 형태가 액상으로 되어 있어 용기에 충진되어 있으며, 비타민 C 제품 섭취시 상기에서 언급한 정제, 캡슐제, 환제 등의 비타민 C 보충용 제품에 비해 섭취가 용이하나, 소량만 섭취하는 경우 남은 제품을 용기에 넣어 용기마개를 막아서 보관하나, 제품이 유실되는 위험이 있으며, 특히 대부분의 용기가 유리로 되어 있어 용기가 파손되는 경우, 제품의 유실 뿐만 아니라 부상의 위험마저 있어 상당히 불편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비타민 C 보충용 제품으로서 비타민 C 이외에도 당알콜, 유산균 들을 포함하고 있어 영양성분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종래 정제, 캡슐제, 환제, 액상 등의 비타민 C 보충용 제품에 비해 치아로 씹어먹을 수 있는 정제형의 비타민 C 보충용 제품을 공급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 2004-0099936호에 퀘세틴과 비타민 C 각각이 항산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음은 공지되었으나, 이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이를 통상의 유제품, 음료, 건강보조식품, 피부 미용 팩, 의료용 밴드, 껌 등에 적용할 경우 자유 라디컬의 소거제(항산화제)로써 건강 증진 및 노화 방지에 커다란 효과가 있으며, 이를 농약중독증 치료, 동맥경화 발생 예방, 당뇨병성 미세혈관 합병증의 치료제로서도 사용가능한 퀘세틴과 비타민 C를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내용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2004-0052261호에는 헛개나무추출액에 비타민 C를 강화한 숙취 제거용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내용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본 발명의 구성과 비교시 기술적 구성이 서로 상이하다.
본 발명은 비타민 C 보충용 제품으로써 형상은 정제(tablet) 형태이나 치아로 씹어먹거나 또는 침에 의해 용해시켜 섭취할 수 있는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비타민 C 보충용 제품으로써 정제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비타민 C, 당알콜, 유산균을 포함하는 정제를 제공함으로써 형상은 정제(tablet) 형태이나 치아로 씹어먹거나 또는 침에 의해 용해시켜 섭취할 수 있는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비타민 C 보충용 제품은 비타민 C, 당알콜, 유산균을 포함하고 있어 영양성분면에서 우수한 비타민 C 보충용 정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형상이 정제(tablet) 형태이나 치아로 씹어먹거나 또는 침에 의해 용해시켜 섭취할 수 있어 종래의 단단한 정제 형태, 섭취시 액상이 필요한 캡슐제, 환제 및 또는 액상 등의 비타민 C 보충용 제품에 비해 섭취가 용이하고, 보관성이 에서 우수한 비타민 C 보충용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정제에 있어서,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정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정제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비타민 C, 당알콜(sugar-alcohol),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 LAB)을 포함하는 정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정제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비타민 C, 당알콜, 유산균을 포함하고, 씹어 먹을 수 있는 츄어블 정제(chewable tablet)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정제에 있어서 주요한 유효성분의 하나인 당알콜은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파라티노스, 만니톨, 말티톨, 이노시톨, 쿠에르시톨, 솔비톨, 락티톨, 팔라티니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제에 있어서 주요한 유효성분의 하나인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속,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속, 스포로락토바실러스(Sporolactobacillus)속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아키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부크네리(Lactobacillus buchner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아종) 아락토수스(Lactobacillus casei subsp. alactos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아종)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subsp. casei),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아종) 프세우도플란타룸(Lactobacillus casei subsp. pseudo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람노수스(Lactobacillus casei subsp.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톨레란스(Lactobacillus casei subsp. tolerans),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카네나포르미스(Lactobacillus catenaformis), 락토바실러스 켈로비오수스(Lactobacillus cellobiosus), 락토바실러스 콜리노이데스(Lactobacillus collinoides), 락토바실러스 콘푸수스(Lactobacillus confusus), 락토바실러스 코리니포르미스(Lactobacillus coryniformis), 락토바실러스 코리니포르미스 (아종) 코리니포르미스(Lactobacillus coryniformis subsp. coryniformis), 락토바실러스 코리니포르미스 (아종) 토르쿠엔스(Lactobacillus coryniformis subsp. torquens),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Lactobacillus crispatus), 락토바실러스 쿠르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엑끼이(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페르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프룩티보란스(Lactobacillus fructivorans), 락토바실러스 프룩토수스(Lactobacillus fructosu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레테르히오키이(Lactobacillus heterohiochii), 락토바실러스 힐가르디이(Lactobacillus hilgardii), 락토바실러스 호모히오키이(Lactobacillus homohiochii), 락토바실러스 옌세니이(Lactobacillus jensenii), 락토바실러스 락티스(Lactobacillus lactis), 락토바실러스 레이크만니이(Lactobacillus leichmannii), 락토바실러스 말 리(Lactobacillus mali), 락토바실러스 말타로미쿠스(Lactobacillus maltaromicus), 락토바실러스 미누투스(Lactobacillus minut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로고사이(Lactobacillus rogosae), 락토바실러스 루미니스(Lactobacillus ruminis), 락토바실러스 사케(Lactobacillus sake),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아종) 살리키니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아종) 살리바라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락토바실러스 트리코데스(Lactobacillus trichodes), 락토바실러스 비리데스켄스(Lactobacillus viridescens), 락토바실러스 비툴리누스(Lactobacillus vitulinus), 락토바실러스 크실로수스(Lactobacillus xylosu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유산균은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스켄티스(Bifidobacterium adolescentis), 비피도박테리움 앙굴라툼(Bifidobacterium angulatum),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Bifidobacterium animalis), 비피도박테리움 아스테로이데스(Bifidobacterium asteroides),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도박테리움 보움(Bifidobacterium boum), 비피도박테리움 브레웨(Bifidobacterium breve), 비피도박테리움 카테눌라툼(Bifidobacterium catenulatum), 비피도박테리움 코에리눔(Bifidobacterium choerinum), 비피도박테리움 쿠니쿨리(Bifidobacterium cuniculi), 비피도박테리움 덴티움(Bifidobacterium dentium), 비피도박테리움 인디쿰(Bifidobacterium indicum),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Bifidobacterium infantis),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마그눔(Bifidobacterium magnum), 비피도박테리움 프세우도카테눌라튬(Bifidobacterium pseudocatenulatum), 비피도박테리움 프세우도롱굼(Bifidobacterium pseudolongum), 비피도박테이움 풀로룸(Bifidobacterium pullorum), 비피도박테리움 수이스(Bifidobacterium suis), 비피도박테리움 데르모필리움(Bifidobacterium thermophilium)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속 유산균은 스트렙토코커스 아키도미니무스(Streptococcus acidominimus),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아이(Streptococcus agalactiae), 스트렙토코커스 앙기노수스(Streptococcus anginosus), 스트렙토코커스 보비스(Streptococcus bovis), 스트렙토코커스 콘스텔라투스(Streptococcus constellatus), 스트렙토코커스 크레모리스(Streptococcus cremoris), 스트렙토코커스 크리세투스(Streptococcus cricetus), 스트렙토코커스 에쿠이(Streptococcus equi), 스트렙토코커스 에쿠이누스(Streptococcus equinus), 스트렙토코커스 파이칼리스(Streptococcus faecalis), 스트렙토코커스 파이키움(Streptococcus faecium), 스트렙토코커스 한세니이(Streptococcus hansenii), 스트렙토코커스 이니아이(Streptococcus iniae), 스트렙토코커스 인테르메디우스(Streptococcus intermedius), 스트렙토코커스 라크리스(Streptococcus lactis), 스트렙토코커스 미티스(Streptococcus mitis), 스트렙토코커스 모르빌로 룸(Streptococcus morbillorum),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Streptococcus mutans), 스트렙토코커스 플레오모르푸스(Streptococcus pleomorphus), 스트렙토코커스 프네우모니아이(Streptococcus pneumoniae), 스트렙토코커스 피오게네스(Streptococcus pyogenes), 스트렙토코커스 랍피놀락티스(Streptococcus raffinolactis), 스트렙토코커스 랏투스(Streptococcus rattus),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Streptococcus salivarius), 스트렙토코커스 상구이스(Streptococcus sanguis),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스트렙토코커스 우베리스(Streptococcus uberi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류코노스톡(Leuconostoc)속 유산균은 류코노스톡 크레모리스(Leuconostoc cremoris), 류코노스톡 덱스트라니쿰(Leuconostoc dextranicum),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류코노스톡 오이노스(Leuconostoc oenos), 류코노스톡 파라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paramesenteroide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속 유산균은 페디오코커스 아키딜락티키(Pediococcus acidilactici), 페디오코커스 담노수스(Pediococcus damnosus), 페디오코커스 데크키트리니쿠스(Pediococcus dextrinicus), 페디오코커스 할로필루스(Pediococcus halophilus), 페디오코커스 파르불루스(Pediococcus parvulus),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케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스포로락토바실러스(Sporolactobacillus)속 유산균은 스포로락토바실러스 이눌리누스(Sporolactobacillus inulinus)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비타민 C, 당알콜, 유산균 이외의 성분으로서 감미료, 비타민 강화제, 색소, 향료, 활택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감미료는 아스파탐(aspartame), 설탕(sugar), 올리고당(oligosaccharide), 과당(fructose), 덱스트린(dextrin), 엿류, 당시럽류, 꿀(honey)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비타민 강화제는 L-아스코르빈산나트륨(L-sodium ascorbate)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비타민 강화제는 L-아스코르빈산나트륨과 아세로라추출물, 까뮤까뮤추출물, 씨트러스바이오플라보노이드(Citrus Bioflavonoid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세로라추출물, 까뮤까뮤추출물은 천연비타민 소재이고, 씨트러스바이오플라보노이드는 인체에서 비타민 C의 흡수를 돕는 성분이다.
상기에서 비타민 강화제로서 L-아스코르빈산나트륨과 아세로라추출물, 까뮤까뮤추출물, 씨트러스바이오플라보노이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후술하는 L-아스코르빈산나트륨의 함량을 다소 줄이고, 아세로라추출물, 까뮤까뮤추출물, 씨트러스바이오플라보노이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본 발명의 비타민 C, 당알콜, 유산균을 포함하는 정제에서 L-아스코르빈산나트륨을 정제 전체 중량 대비 20∼30 중량% 사용하면 L-아스코르빈산나트륨과 아세로라추출물, 까뮤까뮤추출물, 씨트러스바이오플라보노이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이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L-아스코르빈산나트륨을 정제 전체 중량 대비 20∼28중량%과 아세로라추출물, 까뮤까뮤추출물, 씨트러스바이오플라보노이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정제 전체 중량 대비 1∼2중량%을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색소(food coloring agent)는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색소의 일예로서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치자황색소(gardenia yellow), 카르민색소(carmine), 코치닐추출색소(cochineal extract), 치자적색소(gardenia red), 식용색소 녹색 3호, 식용색소 적색 2호, 식용색소 적색 3호, 식용색소 청색 1호, 식용색소 청색 2호, 식용색소 황색 4호, 식용색소 황색 5호, β-카로틴, 수용성 안나토, 황산구리, 산화제이철, 캐러멜, 구리 및 철 클로로필린나트륨, 산화티타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향료(food flavoring agent)는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정제에 대해 향미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향료의 일예로서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오렌지향 분말, 딸기향 분말, 포도향 분말, 복숭아향 분말, 사과향 분말, 레몬향 분말, 바닐라향, 초코향 분 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활택제는 정제 제조시 사용하는 성분으로서 식용으로 섭취할 수 있는 정제 제조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활택제의 일예로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제에서 비타민 C는 정제 전체 중량 대비 10∼15중량%, 당알콜은 정제 전체 중량 대비 50∼65중량%, 유산균은 정제 전체 중량 대비 0.5∼2.0중량%, 감미료는 0.1∼0.5중량%, 비타민 강화제 20∼30중량%, 색소 0.5∼1.5중량%, 활택제 1.0∼2.0중량% 및 잔부의 향료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정제의 제조에 있어서, 비타민 C를 함유하는 정제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정제의 제조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비타민 C, 당알콜, 유산균을 함유하는 정제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정제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비타민 C, 당알콜, 유산균을 포함하고, 씹어 먹을 수 있는 츄어블 정제(chewable tablet)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비타민 C, 당알콜, 유산균을 함유하는 정제의 제조방법은
정제수에 색소분말을 용해하여 얻은 색소수용액에 비타민 C, 당알콜 및 추가로 색소분말을 혼합하고 과립화하고 건조하는 단계,
건조 후 비타민 강화제, 유산균, 감미료 및 향료 성분을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활택제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최종 혼합물을 얻은 후 상기 최종 혼합물을 타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비타민 C, 당알콜, 유산균을 함유하는 정제 제조시 사용하는 비타민 C, 당알콜, 유산균, 비타민 강화제, 감미료, 향료, 활택제, 색소에 대한 성분은 상기의 정제에 대한 설명에서 이미 언급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비타민 C, 당알콜, 유산균을 함유하는 정제 제조시 최종 혼합물에 대한 타정은 최종 제품인 정제를 치아로 씹어서 섭취할 수 있을 정도의 경도가 되도록 타정할 수 있다. 일예로 본 발명의 비타민 C, 당알콜, 유산균을 함유하는 정제 제조시 정제의 경도가 12.0∼13.0 되도록 최종 혼합물을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본 발명의 비타민 C, 당알콜, 유산균을 함유하는 정제 제조시 정제의 경도가 12.0∼13.0, 정제의 직경이 15±2π가 되도록 최종 혼합물을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본 발명의 비타민 C, 당알콜, 유산균을 함유하는 정제 제조시 정제의 경도가 12.0∼13.0, 정제의 직경이 15±2π, 두께가 5∼7mm가 되도록 최종 혼합물을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 더 다른 일예로 본 발명의 비타민 C, 당알콜, 유산균을 함유하는 정제 제조시 정제의 경도가 12.0∼13.0, 정제의 직경이 15±2π, 두께가 5∼7mm, 정제 하나의 무게가 1500∼2000mg이 되도록 최종 혼합물을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타민 C, 당알콜, 유산균을 함유하는 정제 제조시 비타민 C는 정 제 전체 중량 대비 10∼15중량%, 당알콜은 정제 전체 중량 대비 50∼65중량%, 유산균은 정제 전체 중량 대비 0.5∼2.0중량%, 감미료는 0.1∼0.5중량%, 비타민 강화제 20∼30중량%, 색소 0.5∼1.5중량%, 활택제 1.0∼2.0중량% 및 잔부의 향료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타민 C, 당알콜, 유산균을 함유하는 정제 및 이의 제조시 다양한 성분 및 함량으로 정제를 제조한바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정제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해 정제를 제조하는 것이 좋음을 알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오렌지향 츄어블 정제 제조
지자황 색소 0.625중량%, 코치닐 추출색소 0.1중량%를 정제수에 용해시켜 색소용액을 얻었다.
상기 색소용액에 비타민 C 11.5중량%, 팔라티노스 9중량%, 자일리톨 51.625중량%를 첨가하고 100rpm으로 6분간 혼합하여 비타민 C, 팔라티노스, 자일리톨에 색을 코팅한 다음 15±1메쉬(mesh)의 체를 통과시켜 과립화 하고 유동층 건조기에서 비타민 C가 파괴되지 않도록 50±5℃의 열풍으로 15분 동안 건조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건조 혼합물을 분쇄기(speed mill)로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분쇄한 다음 상기 분말에 L-아스코르빈산나트륨(L-sodium ascorbate) 22.2중량%,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0.75중량%,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0.75중량%, 아스파탐 0.25중량%, 오렌지향 분말(Cosis 제품) 1.7중량%을 첨가하고 분당 20회전의 속도로 20분간 혼합하였다.
상기의 L-아스코르빈산나트륨, 유산균, 아스파탐, 오렌지향이 첨가된 혼합물에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5중량%를 첨가하고 분당 20회전의 속도로 5분간 혼합하여 최종 혼합물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최종 혼합물을 정제타정기를 이용하여 경도가 12.8(경도측정기 HDT-300 측정), 직경이 15π, 두께가 6.66mm, 정당 1600mg이 되도록 압축성형하여 비타민 C, 당알콜, 유산균을 함유하는 오렌지향 츄어블 정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오렌지향 츄어블 정제의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딸기향 츄어블 정제 제조
코치닐 추출색소 0.35중량%를 정제수에 용해시켜 색소용액을 얻었다.
상기 색소용액에 비타민 C 11.5중량%, 팔라티노스 9중량%, 자일리톨 52.2중량%, 카르민 색소(carmine red) 0.1중량%를 첨가하고 100rpm으로 6분간 혼합하여 비타민 C, 팔라티노스, 자일리톨에 색을 코팅한 다음 15±1메쉬(mesh)의 체를 통과시켜 과립화 하고 유동층 건조기에서 비타민 C가 파괴되지 않도록 50±5℃의 열풍으로 15분 동안 건조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건조 혼합물을 분쇄기(speed mill)로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분쇄한 다음 상기 분말에 L-아스코르빈산나트륨(L-sodium ascorbate) 22.2중량%,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0.75중량%,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0.75중량%, 아스파탐 0.25중량%, 딸기향 분말(Cosis 제품) 1.4중량%을 첨가하고 분당 20회전의 속도로 20분간 혼합하였다.
상기의 L-아스코르빈산나트륨, 유산균, 아스파탐, 딸기향이 첨가된 혼합물에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5중량%를 첨가하고 분당 20회전의 속도로 5분간 혼합하여 최종 혼합물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최종 혼합물을 정제타정기를 이용하여 경도가 12.8(경도측정기 HDT-300 측정), 직경이 15π, 두께가 6.66mm, 정당 1600mg이 되도록 압축성형하여 비타민 C, 당알콜, 유산균을 함유하는 딸기향 츄어블 정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딸기향 츄어블 정제의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포도향 츄어블 정제 제조
지자적 색소 0.8중량%를 정제수에 용해시켜 수용성 색소용액을 얻었다.
상기 수용성 색소 용액에 비타민 C 11.5중량%, 팔라티노스 9중량%, 자일리톨 52.250중량%를 첨가하고 100rpm으로 6분간 혼합하여 비타민 C, 팔라티노스, 자일리톨에 색을 코팅한 다음 15±1메쉬(mesh)의 체를 통과시켜 과립화 하고 유동층 건조기에서 비타민 C가 파괴되지 않도록 50±5℃의 열풍으로 15분 동안 건조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건조 혼합물을 분쇄기(speed mill)로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분쇄한 다음 상기 분말에 L-아스코르빈산나트륨(L-sodium ascorbate) 22.2중량%,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0.75중량%,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0.75중량%, 아스파탐 0.25중량%, 포도향 분말(Food Korea 제품) 1.0중량%을 첨가하고 분당 20회전의 속도로 20분간 혼합하였다.
상기의 L-아스코르빈산나트륨, 유산균, 아스파탐, 포도향이 첨가된 혼합물에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5중량%를 첨가하고 분당 20회전의 속도로 5분간 혼합하여 최종 혼합물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최종 혼합물을 정제타정기를 이용하여 경도가 12.8(경도측정기 HDT-300 측정), 직경이 15π, 두께가 6.66mm, 정당 1600mg이 되도록 압축성형하여 비타민 C, 당알콜, 유산균을 함유하는 포도향 츄어블 정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포도향 츄어블 정제의 사진을 도 3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비타민 C, 당알콜, 유산균을 함유하는 오렌지향 츄어블 정제,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비타민 C, 당알콜, 유산균을 함유하는 딸기향 츄어블 정제 및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비타민 C, 당알콜, 유산균을 함유하는 포도향 츄어블 정제를 실험군으로 하고, 대조군으로 현재 시중에서 정제 형태로 판매되고 있는 비타민 C 제품에 대한 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관능검사는 식품관련 분야에서 3년 이상의 관능검사 경력을 지닌 관능검사 요원 20명(남여 각각 10명)으로 5점 척도법으로 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1. 실시예의 실험군 및 대조군의 관능검사
항목 전체적 기호도
실시예 1 4.1 4.2 4.1
실시예 2 4.3 4.1 4.2
실시예 3 4.2 4.0 4.1
대조군 3.8 3.6 3.7
* 표 1의 수치는 관능검사 요원들에 의한 관능성 점수의 총합을 관능검사 요원들의 수로 나눈 후 이를 소수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관능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시험예 2>
상기 시험예 1의 관능검사 요원들로 하여금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해서 섭취 용이성에 대한 기록을 수집하고, 이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정리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실시예의 실험군 및 대조군의 섭취 용이성 검사
항목 섭취 용이성
실시예 1 씹어 먹을 수 있어 치아가 약한 사람이라도 섭취가 용이하다.
실시예 2 씹어 먹을 수 있어 치아가 약한 사람이라도 섭취가 용이하다.
실시예 3 씹어 먹을 수 있어 치아가 약한 사람이라도 섭취가 용이하다.
대조군 씹어 먹기에 단단해서 일정한 시간 동안 침으로 정제를 용해시켜야 하거나 또는 물을 이용해서 섭취해야 하므로 섭취성이 낮다.
* 표 2의 내용은 관능검사 요원들의 전체적인 의견을 정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1 및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비타민 C 보충용 제품인 정제는 종래 정제 형태의 비타민 C 보충 제품과 비교시 관능성이 우수하고, 섭취가 용이하여 남녀노소 누구라도 쉽게 섭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비타민 C 보충용 제품인 정제는 비타민 C에 의해 유해산소로부터 신체를 보호해주는 항산화 작용을 하며, 스트레스 해소, 콜라겐 합성, 피부건강유지, 김기예방 등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타민 C 보충용 제품인 정제는 비타민 C 이외에 유산균, 당알콜을 포함하고 있어 치아건강 및 장건강에도 도웅을 줄 수 있으며, 한편 본 발명의 비타민 C 보충용 제품인 정제는 씹어서 먹을 수 있어 알약을 삼키기에 불편한 사람, 치아가 나쁜 사람들 및 남녀노소 모두 쉽게 섭취할 수 있어 국미건강 생활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오렌지향 츄어블 정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딸기향 츄어블 정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포도향 츄어블 정제를 나타낸 사진이다.

Claims (8)

  1. 정제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비타민 C, 당알콜, 유산균을 포함하는 정제.
  2. 제1항에 있어서, 당알콜은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파라티노스, 만니톨, 말티톨, 이노시톨, 쿠에르시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고,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속,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속, 스포로락토바실러스(Sporolactobacillus)속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정제.
  3. 제1항에 있어서, 비타민 C는 정제 전체 중량 대비 10∼15중량%, 당알콜은 정제 전체 중량 대비 50∼65중량%, 유산균은 정제 전체 중량 대비 0.5∼2.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정제.
  4. 정제의 제조에 있어서,
    정제수에 색소분말을 용해하여 얻은 색소수용액에 비타민 C, 당알콜 및 카르민 색소를 혼합하고 과립화하고 건조하는 단계,
    건조 후 소디움 아스코베이트(sodium ascobate), 유산균, 감미료 및 향료 성 분을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활택제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최종 혼합물을 얻은 후 상기 최종 혼합물을 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당알콜은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파라티노스, 만니톨, 말티톨, 이노시톨, 쿠에르시톨, 솔비톨, 락티톨, 팔라티니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고,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속,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속, 스포로락토바실러스(Sporolactobacillus)속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감미료는 아스파탐이고, 향료는 오렌지향, 딸기향, 포도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활택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타정은 정제의 경도가 12.0∼13.0 되도록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비타민 C는 정제 전체 중량 대비 10∼15중량%, 당알콜은 정제 전체 중량 대비 50∼65중량%, 유산균은 정제 전체 중량 대비 0.5∼2.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
KR1020070086214A 2007-08-27 2007-08-27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215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214A KR20090021584A (ko) 2007-08-27 2007-08-27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214A KR20090021584A (ko) 2007-08-27 2007-08-27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584A true KR20090021584A (ko) 2009-03-04

Family

ID=40691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214A KR20090021584A (ko) 2007-08-27 2007-08-27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158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6659A3 (en) * 2012-10-11 2014-07-03 Unilever N.V. Cosmetic composition
CN104703577A (zh) * 2012-10-11 2015-06-10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化妆品组合物
CN105851768A (zh) * 2016-03-31 2016-08-17 常州大学 一种不添加辅料制备天然易食维生素c片的方法
KR20180049729A (ko) * 2016-11-03 2018-05-11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항산화 및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90081016A (ko) * 2017-12-29 2019-07-0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유 및 감귤농축액을 함유한 츄어블 태블릿
US11351103B2 (en) 2016-11-18 2022-06-0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Method of providing oral care benefi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5608A (ko) * 1995-11-08 1997-06-24 장민수 연질 당의정 및 그 제조방법
JP2000007555A (ja) * 1998-04-23 2000-01-11 Nitto Yakuhin Kogyo Kk 錠剤およびこの錠剤の製造方法
KR20010070914A (ko) * 2001-06-20 2001-07-27 정기련 비타민류 및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분말과립상의에리스리톨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5608A (ko) * 1995-11-08 1997-06-24 장민수 연질 당의정 및 그 제조방법
JP2000007555A (ja) * 1998-04-23 2000-01-11 Nitto Yakuhin Kogyo Kk 錠剤およびこの錠剤の製造方法
KR20010070914A (ko) * 2001-06-20 2001-07-27 정기련 비타민류 및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분말과립상의에리스리톨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6659A3 (en) * 2012-10-11 2014-07-03 Unilever N.V. Cosmetic composition
CN104703577A (zh) * 2012-10-11 2015-06-10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化妆品组合物
EA027190B1 (ru) * 2012-10-11 2017-06-30 Юнилевер Н.В.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CN104703577B (zh) * 2012-10-11 2018-11-06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化妆品组合物
US10363209B2 (en) 2012-10-11 2019-07-30 Conopco, Inc. Cosmetic composition
CN105851768A (zh) * 2016-03-31 2016-08-17 常州大学 一种不添加辅料制备天然易食维生素c片的方法
KR20180049729A (ko) * 2016-11-03 2018-05-11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항산화 및 피부 개선용 조성물
WO2018084528A1 (ko) * 2016-11-03 2018-05-11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항산화 및 피부 개선용 조성물
US11351103B2 (en) 2016-11-18 2022-06-0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Method of providing oral care benefits
KR20190081016A (ko) * 2017-12-29 2019-07-0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유 및 감귤농축액을 함유한 츄어블 태블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00166T3 (es) Formas probióticas de dosificación oral
US20090169682A1 (en) Functional Masticatory Material,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5564493B2 (ja) 口腔歯科感染症の予防のための藻類含有菓子製品
CZ307143B6 (cs) Cukrovinka
KR20090021584A (ko)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179601A (ja) ラクトバチルス属菌を含む美容組成物
JP2005526854A (ja) オオバコのゲル形成抽出物を含有する咀しゃく可能な組成物
ES2381851T3 (es) Procedimiento de obtención de un extracto de pulpa de arándanos para uso en la prevención y el tratamiento de afecciones tales como caries, gingivitis e infecciones leves de garganta
JP2013241354A (ja) 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2阻害剤
KR20060132003A (ko) 구강용 조성물
CN108135814B (zh) 木兰树皮提取物和L-精氨酸Nα-月桂酰基乙酯对唾液菌的协同抗菌作用
ES2890074T3 (es) Efectos antibacterianos sinérgicos del extracto de corteza de magnolia y de éster etílico de N-alfa-lauroil-L-arginina sobre biopelícula de placa dental
WO2005094860A1 (ja) 末梢血流改善剤
JP2005029486A (ja) 皮膚改善組成物
WO2005094859A1 (ja) 皮膚保湿能改善剤
ES2678395T3 (es) Nueva cepa de Lactobacillus casei con capacidad para degradar el péptido inmunotóxico del gluten
CN107847427A (zh) 作为用于从口腔优先去除革兰氏阴性菌的疏水配体的木兰树皮提取物
US20150064304A1 (en) Probiotic lozenge, method of making same, and uses thereof
JP7426685B2 (ja) 錠剤
JP7257665B2 (ja) 経口組成物
JP7433125B2 (ja) 口腔用抗菌剤
JP6838752B2 (ja) 血流改善組成物
JP2021185767A (ja) 泥炭を含有する組成物
TW201642882A (zh) 含有蜂子的滋養強壯劑
JP2000086525A (ja) カプセル配合打錠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