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9729A - 항산화 및 피부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및 피부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9729A
KR20180049729A KR1020160146006A KR20160146006A KR20180049729A KR 20180049729 A KR20180049729 A KR 20180049729A KR 1020160146006 A KR1020160146006 A KR 1020160146006A KR 20160146006 A KR20160146006 A KR 20160146006A KR 20180049729 A KR20180049729 A KR 20180049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iotics
vitamin
composition
present
gen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8864B1 (ko
Inventor
정명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60146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864B1/ko
Priority to EP17198853.8A priority patent/EP3318263B1/en
Priority to DK17198853.8T priority patent/DK3318263T3/da
Priority to PCT/KR2017/012154 priority patent/WO2018084528A1/ko
Priority to US15/801,980 priority patent/US20180117103A1/en
Publication of KR20180049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및/또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산화 효소 활성화에 대해 시너지 효과를 부여하여 항산화 및 피부 개선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체내 대사에너지 조율을 활성화 시킴으로 인해 체중감소에 현저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산화 및 피부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oxidation and improvement of skin conditions}
본 발명은 항산화 및/또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화는 일반적으로 세포내의 대사 균형의 혼란, 불완전한 산화 또는 대사/산화환원 중간체의 결핍 등에 의해 촉진되며, 이들은 또한 각종 질병 예를 들면, 암, 심장질환, 정신질환 또는 피부노화 등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피부노화 메커니즘을 살펴보면, 먼저 자외선이나 외부 환경적 요인에 의해 활성산소나 자유 라디칼이 생성되며, 생성된 활성산소나, 자유 라디칼에 의해 세포막이 공격을 당하게 되어 피부는 염증(inflammation)이 일어나며, 염증화(inflammated)된 조직은 생리학적 진행 메카니즘에 의해 단백질이나 유전자 물질 등을 파괴. 주름 등을 형성하는 피부노화가 일어난다. 이에 피부노화 메카니즘에 관여 되는 단계를 모두 억제, 막아 주는 것이 피부노화를 근본적인 해결책에 해당하지만 아직까지 효과가 뛰어난 해결책이 제시된 바 없다.
또한, 상기 노화를 방지하기 위한 일 방편에 해당하는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는 1969년 McCord와 Fridovich가 수퍼옥사이드 라디칼을 소거하는 효소인 SOD를 발견한 것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최근에는 노화나 성인병 등의 질환이 활성산소와도 관련된 것으로 밝혀져 활성산소를 조절할 수 있는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며, 그 중 비타민 C의 항산화 효과에 대하여 특히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비타민 C)은 플라보노이드, 카로테노이드 클루타치온과 같이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로 우리 몸에 필수적인 물질이며, 체내 늘 일정한 양만큼의 활성산소를 유지하려 한다. 그러나 자외선, 약물, 환경오염물질(endocrine disrupters)과 같은 외부 요인 및 그 외의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해서 몸 안에 활성산소가 많아지게 되는 경우 조직과 기관 및 그를 구성하는 세포를 파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활성산소는 세포사멸, 질병 발생, 세포의 노화를 일으키게 되며, 나이가 듦에 따라 세포를 구성하는 분자들의 산화 정도가 더 심해진다는 사실도 잘 알려져있다. 따라서, 상기 세포 내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의 생성을 감소시키거나 자유 라디칼에 의한 산화적 손상을 복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유도할 수 있다면 상기 산화스트레스로 인한 노화 및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최근 몇 년 사이에, 기능성 식품(생리학 및 영양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도록 표적화된 방식으로 신체의 기능을 수행하는 식품), 특히 프로바이오틱스 포함 식품 등에 대한 상업적 제작 및 마케팅은 확립된 일본 틈새 시장에서 전세계 시장으로 확대되고 있다. 인간 기원의 다수의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는 이제 상업적으로 활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제품의 잠재적 적용 분야뿐만 아니라 효능을 개선 및 새로운 분야에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연구결과, 비타민 C에 프로바이오틱스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이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유도하여, 비타민 C를 단독으로 포함한 경우에 비하여 활성산소를 제거하는데 시너지 효과가 부여됨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및 비타민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란, 장의 미생물 균형을 개선함으로써 숙주에 유리한 영향을 미치는 살아있는 미생물 식품 보충제로, 보다 광범위하게는 특정한 수로 섭취될 경우 본래의 기초적인 영양을 너머 건강상의 효과를 부여하는 살아 있는 미생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다양한 미생물, 특히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및 비피도박테리엄(Bifidobacterium)의 혼합제 (cocktail)는 전통적으로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 발효된 유제품에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효과적이기 위해, 상기 프로바이오틱은 제조 공정, 포장 및 저장 조건에서 생존해야 할 뿐만 아니라, 프로바이오틱 물질이 긍정적인 건강 효과를 갖기 위해 생육 가능하게 남아있도록 위 장관을 통해 생존 가능하게 통과되어야 한다는 요건을 필요로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균주들은 유산균을 위한 일반적이 배양 방법으로 성장되고, 원심분리와 같은 분리과정으로 회수되며, 건조,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지만 동결건조에 의해 생균제 형태로 제조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바이오틱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락토코커스(Lactococcus) 속,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속,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 속, 비셀라(Weissella) 속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 균주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엔테로코커스 페슘(Enterococcus faecium),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3 X 109내지 6 X 109 CFU/g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바이오틱스의 함량이 3 X 109 CFU/g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함량이 적어 항산화 효과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없고, 프로바이오틱스의 함량이 6 X 109 CFU/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성물의 성상이 나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타민 C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800 내지 1200 mg/g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타민C의 함량이 800 mg/g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항산화 효과를 발휘할 수 없고, 비타민 C의 함량이 1200 mg/g 초과에 해당하는 경우 과다섭취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혹은 경제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한 항산화용 조성물은 화장료, 식품,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 본 발명에서 상기 "항산화"란,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발휘되는 효능을 의미한다. 상기 활성산소는 산소가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을 가져 안정되지 못한 상태를 의미하며, 그로 인해 강한 활성을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활성산소는, 체내 효소계, 환원 대사, 화학약품, 공해물질 및 광화학 반응 등의 각종 물리적, 화학적 및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세포 구성 성분인 지질, 단백질, 당 및 DNA 등에 대하여 비 선택적, 비가역적인 파괴 작용을 함으로써, 세포 노화 또는 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산소가 과잉되면, 생체에 대해 독성 즉, 산화적 손상(oxidative stress)을 가져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자유 라디칼을 제거하는 과정을 통해 비타민C가 결핍되어 있는 사람에게 비타민C를 추가로 공급하는 경우, 육체적 수행능력 및 운동역량을 증가시키고, 나아가 비만감소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 48. No. 12, 2005).
본 발명에 따른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비타민 C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항산화 능력을 현저하게 상승시켜 노화방지에 따른 육체적 수행능력 및 운동역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체내 대사에너지의 조율을 활성화 시킴으로 인해 체중감소에도 현저한 시너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바이오틱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락토코커스(Lactococcus) 속,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속,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 속, 비셀라(Weissella) 속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 균주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엔테로코커스 페슘(Enterococcus faecium),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3 X 109내지 6 X 109 CFU/g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바이오틱스의 함량이 3 X 109CFU/g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포함되는 함량이 적어 항산화 효과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없고, 프로바이오틱스의 함량이 6 X 109 CFU/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성물의 성상이 나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타민 C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800 내지 1200 mg/g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타민C의 함량이 800 mg/g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항산화 효과를 발휘할 수 없고, 비타민 C의 함량이 1200 mg/g 초과에 해당하는 경우 과다섭취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거나, 혹은 경제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화장료, 식품 또는 의약부외품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개선"이란, 피부 주름, 노화 방지 또는 개선을 포함하는 용어로, 노화에 수반되는 피부에 나타내는 증상의 개선으로 예를 들면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톤(tone) 개선, 피부탄력 개선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산화용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캡슐, 정제, 수성 현탁액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경구투여시에는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국소투여용의 경우에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투여시에는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서(elixir), 서스펜션,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 단위 투약 앰플 또는 다수회 투약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기타, 용액, 현탁액, 정제, 캡슐, 서방형 제제 등으로 제형화 할 수 있다.
한편, 제제화에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디톨, 전분, 아카시아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포스페이트, 칼슘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된다. 경구 또는 비경구투하가 바람직하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활액낭내, 흉골내, 경막내, 병소내 및 두개골내 주사 또는 주입 기술을 포함한다. 본 발명 약학 조성물은 또한 직장 투여를 위한 좌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사용된 특정 화합물의 활성,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성별, 정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출율, 약물 배합 및 예방 또는 치료될 특정 질환의 중증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고, 상기 약학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무 형태, 투여 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1일 0.0001 내지 50mg/kg 또는 0.001 내지 50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 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조성물은 환제, 당의정, 캡슐, 액제, 겔, 시럽, 슬러리, 현탁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산화용 조성물 및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마사지 크림, 미용목욕물첨가제, 바디로션, 바디밀크, 배스오일, 베이비오일, 베이비파우더, 샤워겔, 샤워크림, 선스크린로션, 선스크린크림, 선탠크림, 스킨로션, 스킨크림, 자외선차단용 화장품, 크렌징밀크, 탈모제화장용, 페이스 및 바디로션, 페이스 및 바디크림, 피부미백크림, 핸드로션, 헤어로션, 화장용크림, 쟈스민오일, 목욕비누, 물비누, 미용비누, 샴푸, 손세정제(핸드클리너), 약용비누비의료용, 크림비누, 페이셜 워시, 전신 세정제, 두피 세정제, 헤어린스, 화장비누, 치아미백용 겔, 치약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용매나,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내에 더 추가될 수 있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물, 식염수, DMSO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고,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흡습제(humectant), 증점제, 항산화제, 점도 안정화제, 킬레이팅제, 완충제, 저급 알콜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미백제, 보습제, 비타민, 자외선 차단제, 향수, 염료, 항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로서는 수소화 식물성유, 피마자유, 면실유, 올리브유, 야자인유, 호호바유, 아보카도유가 이용될 수 있으며, 왁스로는 밀랍, 경랍, 카르나우바, 칸델릴라, 몬탄, 세레신, 액체 파라핀, 라놀린이 이용될 수 있다.
지방산으로는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올레산이 이용될 수 있고, 지방산 알콜로는 세틸 알콜, 옥틸 도데칸올, 올레일 알콜, 판텐올, 라놀린 알콜, 스테아릴 알콜, 헥사데칸올이 이용될 수 있으며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는 당업계에 알려진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 가능하며 가능한 한 천연물 유래의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화장품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흡습제, 증점제, 항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와 양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에 따른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산화용 조성물 및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과자, 떡, 빵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는 식물 추출물로 구성된 것이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이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때 그 양은 전체 중량의 0.1 내지 50%의 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품 조성물이 음료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지시된 비율로 상기 식품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즉, 천연 탄수화물로서 포도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로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핵심적인 요소에 해당하지 아니하지만,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5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밀크 또는 유장계 발효 유제품과 같은 식품 또는 영양 제품으로서 또는 식품 보조제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섭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제품, 음료수, 주스, 수프 또는 어린이용 식품과 같은 식품을 예로 들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제품은 다양한 지방 함량을 갖는 임의의 액체 또는 반고체 밀크 또는 유장계 제품을 의미한다. 상기 유제품은 예를 들어 우유, 염소의 젖, 양의 젖, 크림, 전지유(full-fat milk), 전유(whole milk), 저지방유(low-fat milk) 또는 탈지유(skim milk), 한외여과유, 이중여과유(diafilteredmilk), 미세여과유(microfiltered milk), 임의의 가공을 통해 분유 또는 유장으로부터 얻은 재조합유, 가공 제품, 예를 들어, 요거트, 응유, 산유, 산전유(sour whole milk), 버터유, 기타 발효유 제품, 예를 들어 빌리(viili), 스낵바의 필링(filling of snack bars)등 일 수 있다. 또 다른 중요한 그룹은 유음료(milkbeverage), 예를 들어, 유장 음료, 발효유, 농축유, 유아 및 아기용 밀크, 아이스크림, 단것과 같은 유 함유 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산화 효소 활성화를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항산화 및 피부개선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체내 대사에너지 조율을 활성화 시킴으로 인해 체중감소에 현저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실험예 2에서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복합체를 투여한 각 흰쥐의 항산화효소활성(SOD)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험예 2에서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복합체를 투여한 각 흰쥐의 총 항산화능(TAS)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험예 3에서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복합체를 투여한 각 흰쥐의 혈중 내 비타민 C의 함량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험예 4에서 실시예 1의 각 처리에 따른 흰쥐의 분변 내 L. 람노수스(L. rhamnosus)의 분포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험예 4에서 실시예 1의 각 처리에 따른 흰쥐의 분변 내 E. 페슘(E.facecium)의 분포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준비예 1] 실험 동물의 준비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의 조합에 의한 노화 억제 등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생후 4주된 흰쥐(male, SD Rat, 새론바이오, 한국)를 구입하였다. 상기 동물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케이지에 2마리씩 넣고, 고형사료(pellet type)와 음용수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순화 기간을 1주일 거치도록 하였다. 또한, 사육 환경은 온도 24±2℃, 상대습도 40±20% 및 명암 주기 12시간의 조건에서 진행하였다. 상기 순화 기간 동안 상기 쥐의 건강을 확인하였고, 그 중 활동성이 떨어지지 않는 동물을 선별하여 이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 경구투여
상기 준비예 1에 의해 선별된 흰쥐에서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의 노화 억제 등의 효과 검증을 위해 하기 표 1과 같이 음성 대조군으로 PBS(G1)과 실험군으로 L. 람노수스(L. rhamnosus) 및 E. 페슘(E.facecium) 5 X 109 CFU(G2), L-아스코르빅산(L-ascorbic acid)(G3) 및 상기 G2 와 G3의 혼합물을 5주간 경구 투여한 뒤 하기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군 투여 투여량
G1 PBS -
G2 L. 람노수스(L. rhamnosus) 및 E. 페슘(E.facecium) 5 X 10 9 CFU/Head
G3 L-아스코르빅산(L-ascorbic acid) 1000mg/Head
G4 G2 + G3 5 X 10 9 CFU/Head +1000mg/Head
[실험예1]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 투여시 체중의 감소
상기 실시예 1에서 5주간 실험군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를 투여하였을 때 개체의 안정성 및 표현형(phenotype)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을 수행하기 전일부터 투여 시작 후 5주간 상기 흰쥐의 체중 변화 양상을 확인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체중 변화
0주 1주 2주 3주 4주 5주
G1
(NC)
Mean (g) 132.4 187.0 250.2 307.5 360.3 381.2
STD (g) 2.5 2.7 6.3 8.4 7.8 8.6
G2
(LAB)
Mean (g) 138.7 205.0 267.2 319.4 356.8 374.6
STD (g) 4.5 3.4 4.8 3.3 4.9 6.6
G3
(Vit C)
Mean (g) 137.6 178.8 237.8 293.0 338.1 354.1
STD (g) 1.8 4.8 3.6 2.6 3.2 4.4
G4
(Mixed)
Mean (g) 134.6 184.6 236.3 288.6 331.0 344.2
STD (g) 4.4 10.9 6.3 6.8 9.6 9.7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G1 내지 G4 군의 흰쥐에서 지속적인 체중의 증가가 나타났다.
또한,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를 각각 투여한 경우(G2 및 G3)에는 5주 후 몸무게가 각각 374.6g 및 354.1g 에 해당하고,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 혼합물을 투여한 경우(G4)에는 344.2g에 해당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 혼합물을 투여한 경우에 항산화 작용을 현저하게 높여, 체중감소에 시너지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흰쥐의 혈청 내 항산화 효소 활성 측정
본 발명에 따른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의 투여(G4)로 인한 항산화 작용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산화 효소 활성 평가 및 혈중 내 비타민 농도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흰쥐 혈액을 안와로부터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혈액은 실온(room temperature)에서 2시간 배양(incubation)한 후, 4℃, 1500X g, 15분 동안 원심분리를 통해 혈청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혈액은 실험에 사용될 때까지 - 80℃에서 보관되었다.
상기 분리된 혈청 내의 항산화 효소의 활성 측정을 위하여, 비색법 분석(colorimetry assay)에 기초한 슈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분석 키트를 통해 슈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의 활성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항산화비타민, 비 효소적 항산화 물질 및 항산화 효소로 이루어져 활성산소의 유해성을 막는 방어 체계를 측정하기 위해 비색법 분석(colorimetry assay)에 기초한 총 항산화(anti-oxidant)정도를 측정하는 키트를 사용하여, 그 결과를 도 2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Mean±SD pValue
G1(NC) G2(LAB) G3(VitC) G4(mixed)
SOD(U/L) 4.594±0.1524 5.870±0.07317 6.248±0.08967 6.726±0.1496 <0.0001
구분 Mean±SD pValue
G1(NC) G2(LAB) G3(VitC) G4(mixed)
TAS(mmol/L) 1.418±0.01924 1.430±0.02449 1.568±0.01708 1.655±0.01915 <0.0001
도 1 및 표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를 각각 투여한 경우(G2 및 G3)에 비하여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 혼합물을 투여한 경우(G4)에서 항산화 효소의 활성도(SOD)가 6.726U/L로 현저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2 및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 혼합물을 투여한 경우(G4)가 총 항산화(TAS) 값이 1.655mmol/L로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를 각각 투여한 경우에 비하여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 혼합물을 투여한 경우에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높여 항산화 작용에 현저한 시너지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흰쥐의 혈청 내 비타민 C 농도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흰쥐의 혈중 비타민 C의 농도를 측정을 위해 비타민 C 시약 키트를 사용해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분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3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Mean±SD pValue
G1(NC) G2(LAB) G3(VitC) G4(mixed)
VitC(μmol/L) 23.35±2.057 23.91±1.393 32.50±1.289 36.60±2.238 <0.0001
도 3 및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를 동시에 투여한 경우 이들을 각각 투여한 경우와 비교하여 혈중 비타민 C의 농도가 36.60 μmol/L로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서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이들을 각각 투여한 경우에 비하여 프로바이오틱스에 의한 혈액 내 비타민 C 흡수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효과에 시너지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흰쥐의 장 내 프로바이오틱스 분포 변화
본 발명에 따른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의 투여로 인한 장내 미생물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의 실험군 G1 내지 G4의 L. rhamnosusE.faecium의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G1 내지 G4의 쥐에서 경구 투여 5주 후 장 내 분변을 분리해 MP bio stool 키트를 이용하여, 제조사가 제공한 프로토콜에 의하여 DNA를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된 DNA를 이용하여 L. rhamnosusE.faecium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실시간중합효소연쇄반응(Real time PCR)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도 4,5 및 표 6,7에 나타내었다.
구분 Mean±SD pValue
G1(NC) G2(LAB) G3(VitC) G4(mixed)
L. rhamnosus
(Nlog10/1g feces)
6.950±0.2130 9.360±0.01732 7.340±0.09975 9.664±0.03975 <0.0001
구분 Mean±SD pValue
G1(NC) G2(LAB) G3(VitC) G4(mixed)
E.faecium
(Nlog10/1g feces)
7.436±0.1641 8.334±0.03209 7.032±0.1134 8.310±0.05612 <0.0001
도 4 및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 혼합물을 투여한 군(G4)에서 프로바이오틱스를 단독으로 투여한 군(G2)와 같이 L. rhamnosus의 분포가 각각 9.360 및 9.664 Nlog10/1g feces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5 및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 혼합물을 투여한 군(G4)에서 프로바이오틱스를 단독으로 투여한 군(G2)와 같이 E. faecium의 분포가 각각 8.334 및 8.310 Nlog10/1g feces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서 프로바이오틱스 및 비타민 C 혼합물을 투여한 경우에도 비타민 C에 의해 프로바이오틱스의 분포 저해를 받지 않음을 통하여 항산화 효과를 현저하게 높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를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0)

  1.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및 비타민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는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락토코커스(Lactococcus) 속,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속,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 속, 비셀라(Weissella) 속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 균주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는 엔테로코커스 페슘(Enterococcus faecium),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3 X 109 내지 6 X 109 CFU/g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항산화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C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800 내지 1200 mg/g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항산화용 조성물.
  6.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및 비타민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는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락토코커스(Lactococcus) 속,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속,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 속, 비셀라(Weissella) 속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 균주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는 엔테로코커스 페슘(Enterococcus faecium),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3 X 109내지 6 X 109 CFU/g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C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800 내지 1200 mg/g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46006A 2016-11-03 2016-11-03 항산화 및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938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006A KR101938864B1 (ko) 2016-11-03 2016-11-03 항산화 및 피부 개선용 조성물
EP17198853.8A EP3318263B1 (en) 2016-11-03 2017-10-27 Antioxidant composition and composition for improvement of skin conditions
DK17198853.8T DK3318263T3 (da) 2016-11-03 2017-10-27 Antioxidantsammensætning og sammensætning til forbedring af hudtilstande
PCT/KR2017/012154 WO2018084528A1 (ko) 2016-11-03 2017-10-31 항산화 및 피부 개선용 조성물
US15/801,980 US20180117103A1 (en) 2016-11-03 2017-11-02 Composition for antioxidation and improvement of skin condi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006A KR101938864B1 (ko) 2016-11-03 2016-11-03 항산화 및 피부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729A true KR20180049729A (ko) 2018-05-11
KR101938864B1 KR101938864B1 (ko) 2019-01-16

Family

ID=60190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006A KR101938864B1 (ko) 2016-11-03 2016-11-03 항산화 및 피부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117103A1 (ko)
EP (1) EP3318263B1 (ko)
KR (1) KR101938864B1 (ko)
DK (1) DK3318263T3 (ko)
WO (1) WO201808452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008A (ko) * 2018-06-28 2020-01-07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피부 유래 스트렙토코쿠스 살리바리우스 sbk4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102267B1 (ko) * 2019-11-20 2020-04-22 주식회사 류마앤정바이오 유산균 복합균주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및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2635818B1 (ko) * 2022-11-10 2024-02-14 주식회사 메디오젠 김치에서 분리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엔테로코커스 페슘 mg523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2220A1 (zh) * 2018-10-23 2020-04-30 利时雨 一种头孢抗性且高表达去乙酰化酶2样蛋白的粪肠球菌及应用
FR3090384B1 (fr) * 2018-12-21 2021-05-28 Lvmh Rech Effet pro-vitaminique d’un extrait d’un microorganisme probiotique
CN115944085A (zh) * 2022-12-07 2023-04-11 山东奥博森生物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功能性益生菌组合物及定量添加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5971A (ko) * 2007-02-14 2008-08-20 (주)네오팜 프로바이오틱스 복합 제제
KR20090021584A (ko) * 2007-08-27 2009-03-04 비타민하우스(주)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44966A (ko) * 2011-04-20 2011-05-03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항산화 조성물
KR20130002543A (ko) * 2011-06-29 2013-01-08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20521A (ko) * 2013-07-23 2015-02-26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인체 유래 복합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발효물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8389A (ko) * 2014-11-17 2016-05-25 정기관 항산화 물질이 증가된 유산균 배양 생성물의 제조 공법 및 이를 조성으로하는 의약품 및 의약외품,화장품 및 식음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23771C2 (sv) * 1999-05-21 2004-05-18 Probi Ab Sportdryck innehållande mikronäringsämnen i kombination med levande laktobaciller
DE20202562U1 (de) * 2002-02-19 2002-05-23 Orthomol Pharmazeutische Vertr Mikronährstoffkombinationsprodukt mit Pro- und Prebiotika
WO2009031106A2 (en) * 2007-09-04 2009-03-12 L'oreal Use of a combination of hesperidin and of a microorganism for influencing the barrier function of the skin
EP2149368B1 (en) * 2008-07-29 2018-05-30 L'Oréal Cosmetic and dermatological use of probiotic Lactobacillus paracasei microorganisms for the treatment of greasy scalp disorders
JP2010178736A (ja) * 2009-01-06 2010-08-19 Zenyaku Kogyo Kk 肌美容改善剤、抗酸化剤、肌美容改善用組成物、又は美容用飲食品
RU2017133256A (ru) * 2015-03-09 2019-04-09 Биоиммунизер Сагл Композиция против старения, содержащая комбинацию антиоксидантных агентов в сочетании с бифидобактериями и выделенными из пробиотиков клеточными стенкам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5971A (ko) * 2007-02-14 2008-08-20 (주)네오팜 프로바이오틱스 복합 제제
KR20090021584A (ko) * 2007-08-27 2009-03-04 비타민하우스(주)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44966A (ko) * 2011-04-20 2011-05-03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항산화 조성물
KR20130002543A (ko) * 2011-06-29 2013-01-08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20521A (ko) * 2013-07-23 2015-02-26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인체 유래 복합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발효물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8389A (ko) * 2014-11-17 2016-05-25 정기관 항산화 물질이 증가된 유산균 배양 생성물의 제조 공법 및 이를 조성으로하는 의약품 및 의약외품,화장품 및 식음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자료: 리얼생생 프로바이오틱스 6플러스 홍보자료( http://miyaoov.blog.me/220591210829, 2016.01.08)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008A (ko) * 2018-06-28 2020-01-07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피부 유래 스트렙토코쿠스 살리바리우스 sbk4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102267B1 (ko) * 2019-11-20 2020-04-22 주식회사 류마앤정바이오 유산균 복합균주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및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2635818B1 (ko) * 2022-11-10 2024-02-14 주식회사 메디오젠 김치에서 분리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엔테로코커스 페슘 mg523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18263A1 (en) 2018-05-09
EP3318263B1 (en) 2021-10-06
DK3318263T3 (da) 2021-10-25
US20180117103A1 (en) 2018-05-03
WO2018084528A1 (ko) 2018-05-11
KR101938864B1 (ko)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864B1 (ko) 항산화 및 피부 개선용 조성물
EP2081566B1 (en) Improved biological effects of compositions comprising rosmarinic acid
KR102040972B1 (ko)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 활성이 있는 신규한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Bifidobacterium lactis) UBC-U04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KR20180072589A (ko) 케피어 그레인 유래 미세소포체의 용도
JP2012140360A (ja) 抗酸化剤、化粧料、飲食品組成物及び医薬品組成物
KR101088069B1 (ko) 판두라틴 유도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카엠페리아 판두라타 추출물의 신규한 용도
JP6096943B2 (ja) 飲食品組成物
JP2024050702A (ja) エンテロコッカス・フェカーリス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肥満または肥満から誘導された代謝症候群の予防または治療用の組成物
KR20200070081A (ko) 충치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를 포함하는 조성물
JP5976271B2 (ja) リパーゼ阻害剤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飲食品組成物及び医薬品組成物
US20150297506A1 (en) Use of probiotic micro-organisms as an agent that promotes the synthesis of melanin
JP7179025B2 (ja) 後発酵茶由来の新規なケンペロール系化合物を含む抗炎症組成物
KR101906798B1 (ko) 항균성 락토패드 조성물
JP2002047193A (ja) アレルギー性皮膚炎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JP5507437B2 (ja) 抗酸化剤、化粧料、飲食品組成物及び医薬品組成物
KR20220014372A (ko) 엘라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20200070080A (ko) 충치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mg505 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132705A (ko) 철갑상어 알 및 철갑상어 양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을 위한 조성물
KR20140135552A (ko) 밀기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 조성물
JP5665117B2 (ja) 抗酸化剤、化粧料、飲食品組成物及び医薬品組成物
KR20230122472A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05718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의 치주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
KR20230131340A (ko) 편백 추출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00072601A (ko) 별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30076110A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