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5718A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의 치주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의 치주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5718A
KR20230105718A KR1020220000555A KR20220000555A KR20230105718A KR 20230105718 A KR20230105718 A KR 20230105718A KR 1020220000555 A KR1020220000555 A KR 1020220000555A KR 20220000555 A KR20220000555 A KR 20220000555A KR 20230105718 A KR20230105718 A KR 20230105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ysate
lactobacillus
lactobacillus plantarum
periodontitis
lactobacillus rhamnos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성
김민영
현인경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00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5718A/ko
Publication of KR20230105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dental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75Rhamnosus
    • A23Y2220/67
    • A23Y2220/73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의 치은염 및 치주염와 같은 치주질환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치은염 또는 치주염에 대한 항염증 효과, 특히 치은염 또는 치주염 유발균인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로 인한 염증의 억제 효과가 뛰어나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의 치주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Use of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actobacillus rhamnosus in the prevention, amelioration or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의 치주 질환, 예컨대 치은염 및 치주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치주질환은 풍치라고도 하며, 잇몸 또는 잇몸뼈에 생기는 염증 등에 의해 발생하는 만성질환이다. 치주 질환은 모든 치과 질환 중 유병률이 가장 높은 질환이며, 치주질환의 근본적인 원인은 플라크(plaque)라는 치면세균막이다. 치면세균막은 치아 표면에 붙어 있는 미세한 음식물의 얇고 끈적끈적한 당단백질의 잔류물에 구강내 세균들이 달라붙은 세균 덩어리의 막에 해당한다.
이러한 치아 표면에 서식하는 세균들이 만들어 내는 독성 물질로 인하여 잇몸에 염증이 발생하게 되고, 치면세균막이 쌓이게 되면 딱딱한 석회화 물질인 치석으로 변하게 되며 잇몸 염증을 더욱 심하게 만들고 치조골이 파괴된다. 또한, 치면세균막에서 나온 독소에 의해 치아를 잇몸에 부착시켜주는 부분이 파괴되기도 하며, 치아와 잇몸 사이가 점점 벌어져 치주낭이 형성되기도 한다. 그 결과, 그 틈으로 점점 더 많은 치석이 쌓이게 되어 뼈가 파괴되고 발치를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치주질환은 진행 정도에 따라 치은염 및 치주염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치은염은 비교적 가볍고 회복이 빠른 형태의 질환으로 잇몸, 즉 연조직에만 국한되어 발생하고, 염증이 잇몸과 잇몸뼈 주변까지 진행된 경우를 치주염이라고 한다.
이러한 치은염 및 치주염의 대표적인 원인균은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가 있으며,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균은 치은연하치태(subgingival plaque)에 주로 존재한다.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는 숙주조직과 세포에 부착 또는 침투하는 과정에서 대사산물 또는 세포벽 구성성분인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 황화수소 등의 병원성 물질을 내어 주변 치주조직에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 이때 숙주 세포에서 생산되는 사이토카인(cytokine), 및 기타 면역계 물질이 치주조직을 더욱 파괴하게 된다(비특허문헌 1 및 2 참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외과적인 치료 방법이 존재하고 개발되었으나, 개인에게 있어 외과적인 치료는 심리적으로 꺼려질 뿐 아니라 막대한 비용의 부담도 있으며, 적절한 시기에 지속적인 치료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치은염 또는 치주염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평소 구강 위생 확립과 이를 통한 예방이 보다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치은염 또는 치주염을 예방할 수 있고, 그 증상을 개선시키며, 나아가 치료 효과까지 달성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연구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균주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 균주가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LPS에 의해 야기된 염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치은염 및 치주염과 같은 치주 질환의 치료에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Noda D et al., J. Periodontal Res., 2007 42(6): 566-571 Dong Chen et al., Pharmacology, 2008 82(4): 264-269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또는 이의 용해물(lysate),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은염 또는 치주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은염 또는 치주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은염 또는 치주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은염 또는 치주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은염 또는 치주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구강용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은염 또는 치주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은염 또는 치주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는 생균(살아있는 균)이거나 사균(죽어있는 균)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사균은 열처리에 의한 사균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균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 균주일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 균주는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용해물"은 깨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와 같은 미생물의 세포의 수성 배지 내의 용액 또는 현탁액을 의미한다. 세포 용해물은, 예를 들어 DNA, RNA, 단백질, 펩타이드, 탄수화물, 지질 등과 같은 거대 분자 및/또는, 아미노산, 당, 지방산 등과 같은 미소분자, 또는 그의 분획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해물은 매끈하거나 과립 구조일 수 있는 세포 잔해를 포함한다.
상기 미생물의 세포 용해를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은 공지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미생물의 세포 용해를 달성할 수 있는 임의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포 개방/파괴는 효소에 의해, 화학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효소 및 효소 혼합물의 비제한적 예는 프로테이나아제 K와 같은 프로테아제, 리파아제 또는 글리코시다아제이고; 화학물질의 비제한적 예는 이온투과 담체, 황산 도데실 나트륨과 같은 세제, 산 또는 염기이고; 물리적 수단의 비제한적 예는 프렌치 프레싱과 같은 고압, 삼투압, 열 또는 추위와 같은 온도이다. 또한, 단백질 분해 효소 이외의 효소, 산, 염기 등의 적절한 조합을 사용하는 방법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배양액"은 "배양 상층액", "조건 배양액" 또는 "조정 배지"와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가 시험관 내에서 성장 및 생존할 수 있도록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일정기간 배양하여 얻는 상기 미생물, 이의 대사물, 여분의 영양분 등을 포함하는 전체 배지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양액은 미생물을 배양하여 얻은 균체 배양액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양액 중 균체를 제거한 액체를 "상등액"이라고도 하며, 배양액을 일정시간 가만히 두어 하층에 가라앉은 부분을 제외한 상층의 액체만을 취하거나, 여과를 통해 균체를 제거하거나,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하부의 침전을 제거하고 상부의 액체만을 취하여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균체"는 본 발명의 미생물 자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샘플 등으로부터 분리하여 선별한 미생물 자체 또는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한 미생물을 포함한다. 상기 균체는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하층에 가라앉은 부분을 취하여 획득할 수 있고, 또는 중력에 의해 배양액의 하층으로 가라앉으므로 일정 시간동안 가만히 두었다가 상부의 액체를 제거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의 배양물은 미생물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 중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목적에 따라 용이하게 선택한 배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 예컨대 MRS(de Man-Rogosa-Sharpe) 액체 배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의 배양물은 상기 미생물 배양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접종하고, 당업계에 공지된 미생물 배양 방법(예를 들어, 정치 배양 등)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배양액은 미생물을 배양하여 수득된 배양액 자체, 그의 농축물, 또는 동결건조물 또는 배양액로부터 미생물을 제거하여 수득된 배양 상층액, 그의 농축물 또는 동결건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양액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적절한 배지(예를 들면, MRS 배지)에서 10℃ 내지 40℃ 중 어느 온도에서 일정 시간, 예를 들면, 4 내지 50 시간 동안 배양하여 수득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미생물의 배양 상층액은 미생물 배양액을 원심분리나 여과시켜 미생물을 제거하는 단계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농축물은 상기 미생물 배양액 자체, 또는 상기 배양액을 원심분리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수득된 상층액을 농축하는 단계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배양하기 위한 배양용 배지 및 배양 조건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적절하게 선택하거나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추출물"은 상기 용해물, 배양액 또는 그의 농축액로부터 추출한 것을 의미하며,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이를 분획한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1 중량% 내지 80 중량%, 예를 들면, 0.00001 중량% 내지 60 중량%, 0.00001 중량% 내지 40 중량%, 0.00001 중량% 내지 30 중량%, 0.00001 중량% 내지 20 중량%, 0.00001 중량% 내지 10 중량%, 0.00001 중량% 내지 5 중량%, 0.05 중량% 내지 60 중량%, 0.05 중량% 내지 40 중량%, 0.05 중량% 내지 30 중량%, 0.05 중량% 내지 20 중량%, 0.05 중량% 내지 10 중량%, 0.05 중량% 내지 5 중량%, 0.1 중량% 내지 60 중량%, 0.1 중량% 내지 40 중량%, 0.1 중량% 내지 30 중량%, 0.1 중량% 내지 20 중량%, 0.1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5 중량%의 미생물,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은염" 및 "치주염"은 치주질환의 한 예에 해당하며, 상기 치주질환의 진행 정도에 따라 치은염 및 치주염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치은염은 비교적 가볍고 회복이 빠른 형태의 질환으로 잇몸, 즉 연조직에만 국한되어 발생하고, 염증이 잇몸과 잇몸뼈 주변까지 진행된 경우를 치주염이라고 한다.
또한, 상기 치은염 또는 치주염은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프리보텔라 인터미디아(Prevotella intermedia), 악티노바실러스 악티티노미세템코미탄스(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트레포네마 덴티콜라(Treponema denticola), 푸소박테리움 누클리아툼(Fusobacterium nucleatum) 등의 세균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치은염 또는 치주염 유발균인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 프리보텔라 인터미디아, 악티노바실러스 악티티노미세템코미탄스,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또는 푸소박테리움 누클리아툼에 의해 야기된 사이토카인 및/또는 케모카인(chemokine)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치은염 또는 치주염에 대한 항염증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은 치은염 또는 치주염 유발균인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LPS에 의해 야기된 사이토카인 및/또는 케모카인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사이토카인은 인터루킨-1β(IL-1β) 및 IL-6일 수 있으며, 상기 케모카인은 monocyte chemoattracted protein-1(MCP-1)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방(prevention)"은 질환, 장애, 또는 그의 부수적 증상의 발병 또는 재발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지연시키거나 방지하거나, 질환 또는 장애의 획득 또는 재획득을 막거나, 질환 또는 장애의 획득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을 총칭한다. 상기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염증 또는 염증 관련 질환, 장애, 또는 증상의 발생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개선"은 상태의 완화 도는 치료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건강보조의 목적으로 특정성분을 원료로 하거나 식품 원료에 들어있는 특정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상기 성분에 의해 생체방어, 생체리듬의 조절, 질병의 방지와 회복 등 생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가공된 식품을 말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및 개선 등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겔, 젤리, 현탁액, 에멀젼, 시럽제, 티백제, 침출차, 껌, 캔디류 및 건강 음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감미제,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천연감미제 또는 합성 감미제일 수 있다. 천연감미제는 타우마틴(taumatin) 또는 스테비아(stevia) 추출물일 수 있고, 합성감미제는 사카린(saccharin) 또는 아스파르탐(aspartame)일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monosaccharide), 디사카라이드(disaccharide),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 자일리톨(xylitol), 소르비톨(sorbitol) 또는 에리트리톨(erythritol)일 수 있다. 상기 모노사카라이드는 포도당 또는 과당일 수 있고, 디사카라이드는 말토오스(maltose) 또는 수크로오스(sucrose)일 수 있다. 폴리사카라이드는 덱스트린(dextrin) 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일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10 g, 예를 들면, 약 0.01 내지 0.1 g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은염 또는 치주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이의 용해물, 배양액 및 추출물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치은염 및 치주염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 식품이란 함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이고,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 식품 첨가제,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캔디,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 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 식품(각 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아이스크림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 비타민 복합제, 알코올 음료, 주류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은염 또는 치주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이의 용해물, 배양액 및 추출물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치은염 및 치주염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는 질환, 장애, 또는 그의 부수적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환제, 산제, 현탁화제, 시럽제, 주사제 및 과립제로 이루어지는 군중에서 선택된 제제로 제형화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pH 조절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알긴산 및 그의 염, 펙트산 및 그의 염, 보호성 콜로라이드, 글리세린,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담체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및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환제, 산제, 현탁화제, 시럽제, 주사제 및 과립제 등이 포함되고, 이러한 제제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는 크림, 로션제, 연고제, 경고제, 액제, 에어로솔제, 유동엑스제, 엘릭서, 침제, 향낭, 패취제 또는 주사제 등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임의의 동물에 적용 가능하며, 동물은 인간 및 영장류뿐 아니라, 소, 돼지, 양, 말, 개 및 고양이 등의 가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치은염 또는 치주염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투여하는", "도입하는", 및 "이식하는"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원하는 부위로의 적어도 부분적 국소화를 초래하는 방법 또는 경로에 의한 개체 내로의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배치를 의미할 수 있다.
투여는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예를 들면, 정맥내, 근육내, 경구, 경피 (transdermal), 점막, 코안 (intranasal), 기관내 (intratracheal) 또는 피하 투여와 같은 경로로, 임의의 수단에 의하여 개체로 직접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전신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사람,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을 필요로 하는 개체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환자의 중증도, 상태, 체내에서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률 및 병용되는 약물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1일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0.1 mg/kg(체중) 내지 500 mg/kg(체중), 0.1 mg/kg(체중) 내지 400 mg/kg(체중) 또는 1 mg/kg(체중) 내지 300 mg/kg(체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 횟수는 1일 1회 또는 임상적으로 용인 가능한 부작용의 범위 내에서 2회 이상이 가능하고, 투여 부위에 대해서도 1개소 또는 2개소 이상에 투여할 수 있으며, 매일 또는 2 내지 5일 간격으로 총 투여 일수는 한번 치료 시 1일에서 30일까지 투여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적정 시기 이후에 동일한 치료를 반복할 수 있다. 인간 이외의 동물에 대해서도, kg당 인간과 동일한 투여량으로 하거나, 또는 예를 들면 목적의 동물과 인간과의 기관(심장 등)의 용적비(예를 들면, 평균값) 등으로 상기의 투여량을 환산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은염 또는 치주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이의 용해물, 배양액 및 추출물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치은염 및 치주염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르면 의약외품이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ㆍ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섬유ㆍ고무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으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병을 막기 위한 살균ㆍ살충제 등이 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의 종류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붕대, 거즈, 탈지면, 반창고, 소독 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 비누, 핸드 워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또는 필터 충진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치은염 또는 치주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로 의약외품에 포함시킬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포함하여 사용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의약외품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20 중량%의 미생물,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은염 또는 치주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구강용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이의 용해물, 배양액 및 추출물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치은염 및 치주염은 전술한 바와 같다.
구강용 외용제는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크림제, 산제, 현탁제, 겔제 또는 젤의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필름, 치약, 구강양치용액, 연고제, 분무제, 드레싱용액, 도포제, 치실 또는 치주 포대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외용제를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등과 같이 구강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강용 외용제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1 중량% 내지 80 중량%의 미생물,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은염 또는 치주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이의 용해물, 배양액 및 추출물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치은염 및 치주염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 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은 치은염 또는 치주염에 대한 항염증 효과, 특히 치은염 또는 치주염 유발균인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로 인한 염증에 대한 억제 효과가 뛰어나다.
도 1(a)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의 용해물의 세포 독성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b)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의 용해물의 세포 독성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용해물에 의한 치주염 매개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 mRNA의 발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 용해물에 의한 치주염 매개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 mRNA의 발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용해물에 의한 치주염 매개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 용해물에 의한 치주염 매개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용해물에 의한 MAPKs 단백질(ERK, JNK 및 p38)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western blot 이미지이고, 도 6(b)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의 용해물에 의한 MAPKs 단백질(ERK, JNK 및 p38)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western blot 이미지이다.
도 7(a)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용해물에 의한 IκBα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western blot 이미지이고. 도 7(b)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의 용해물에 의한 IκBα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western blot 이미지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균주의 배양 및 이의 용해물 제조
실험에 사용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 USA)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고, 이를 각각 배양한 후 용해시켜 각 균주에 대한 용해물을 얻었다.
구체적으로, 유산균으로부터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을 MRS 액체 배지에서 배양한 후, 배양된 균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해 14000 Хg에서 10분 동안 원심 분리하고 상등액을 제거하여 균을 농축시켰다. 그리고 상기 농축된 균에 EDTA와 2-Mercaptoethanol을 포함한 Tris-HCl 용액을 넣은 후, 비드 버그(bead bug) (Benchmark, UK)를 이용하여 균을 용해시켰다. 상기 균 용해액을 14000 Хg에서 10분 동안 원심 분리해 상등액을 취한 뒤, 여기서 얻어진 상등액을 20000 Хg에서 30분 동안 다시 원심 분리하고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회수한 상등액을 0.2 μm 필터로 여과하여 불순물을 걸러내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의 용해물을 얻었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산균으로부터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를 배양하고 농축 및 수득하여,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의 용해물을 얻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의 용해물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 용해물은 -80℃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2. BCA(bicinchoninic acid) assay를 통한 세균 용해물의 정량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로부터 용해 추출하여 분리한 용해물의 단백질 성분 및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BCA assay를 이용하였다.
실험예 1. 세포 독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용해물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의 용해물을 대식세포(RAW 264.7, mouse macrophage cell line)에 처리하여 세포 독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용해물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 용해물 0.01, 0.1, 1 또는 10 μg/mL를 대식세포에 24시간 처리한 뒤, 암실 상태에서 MTT(3-[4,5-dimethylthiazole-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용액 0.5 mg/mL를 4시간 동안 처리하여 보라색 포르마잔 결정을 얻었다. 그 후, 상기 결정을 다이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로 용해시켜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상기 용해물의 농도에 따른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냈다.
도 1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의 용해물의 세포 독성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a)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의 용해물의 세포 독성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b)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의 용해물의 세포 독성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구체예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용해물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용해물은 모두 0.01, 0.1, 1 또는 10 μg/mL 농도에서 세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qRT-PCR을 통한 염증 반응 조절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용해물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 용해물의 치주염 매개 인자에 대한 조절 효과 확인을 위해 qRT-PCR을 이용하여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의 발현 변화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 용해물의 농도를 달리하여(각각 0.01, 0.1 또는 1 μg/mL로) 쥐의 대식세포 RAW 264.7을 15 시간 동안 전처리하였다. 이어서,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LPS 1 μg/mL로 상기 대식세포를 3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그 다음, total RNA를 수득하고, 이로부터 cDNA를 합성한 후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케모카인에 해당하는 IL-1β, IL-6 및 MCP-1의 발현 변화를 qRT-PCR을 이용해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 및 도 3는 각각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용해물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 용해물에 의한 치주염 매개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 mRNA의 발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주염 유발균인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LPS에 의해 야기된 IL-1β, IL-6 및 MCP-1의 mRNA 발현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용해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유의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용해물 1 μg/mL를 처리한 경우 IL-1β 및 MCP-1의 mRNA 발현이 미처리 대조군 대비 약 75% 이상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주염 유발균인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LPS에 의해 야기된 IL-1β, IL-6 및 MCP-1의 mRNA 발현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 용해물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 용해물 1 μg/mL를 처리한 경우 IL-1β 및 MCP-1의 mRNA 발현이 미처리 대조군 대비 약 80% 이상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용해물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 용해물이 치주염에 대해 현저한 염증 반응 조절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ELISA를 통한 염증 반응 조절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용해물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 용해물의 치주염 매개 인자에 대한 조절 효과 확인을 위해 ELISA를 이용하여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의 발현 변화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 용해물의 농도를 달리하여(각각 0.01, 0.1 또는 1 μg/mL로) 쥐의 대식세포 RAW 264.7에 15 시간 동안 전처리하였다. 그 뒤,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LPS 1 μg/mL로 상기 대식세포를 24 시간 동안 처리해 상등액을 얻고, IL-1β, IL-6 및 MCP-1의 발현 변화를 ELISA 방법을 이용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용해물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 용해물에 의한 치주염 매개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주염 유발균인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LPS에 의해 야기된 IL-1β, IL-6 및 MCP-1의 발현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용해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유의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용해물 1 μg/mL로 처리한 경우 IL-1β, IL-6 및 MCP-1의 발현이 미처리 대조군 대비 현저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주염 유발균인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LPS에 의해 야기된 IL-1β, IL-6 및 MCP-1의 발현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 용해물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 용해물 1 μg/mL로 처리한 경우 IL-1β, IL-6 및 MCP-1의 발현이 현저히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용해물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 용해물이 치주염에 대해 현저한 염증 반응 조절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MAPKs 및 NF-κB의 발현 조절 효과 확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에 의한 쥐의 대식세포 RAW 264.7에서의 치주염 억제에 대한 신호전달 기작을 규명하기 위하여 MAPKs(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인 ERK, JNK, p38와 NF-κB의 저해단백질인 IκBα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용해물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 용해물의 농도를 달리하여(각각 0.01, 0.1 또는 1 μg/mL로) RAW 264.7 세포를 15 시간 동안 전처리하였다. 그 후, 상기 대식세포 각각을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LPS 1 μg/mL로 30분 동안 처리한 뒤, western blot을 통하여 MAPKs인 ERK, JNK 및 p38와 NF-κB의 저해단백질인 IκBα의 발현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는 β-actin을 사용하였다.
도 6(a)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용해물에 의한 MAPKs 단백질(ERK, JNK 및 p38)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western blot 이미지이고, 도 6(b)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 용해물에 의한 MAPKs 단백질(ERK, JNK 및 p38)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western blot 이미지이다.
도 7(a)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용해물에 의한 IκBα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western blot 이미지이고, 도 7(b)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 용해물에 의한 IκBα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western blot 이미지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 용해물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의 용해물은 MAPKs 및 NF-κB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치주염 유발균인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로 야기된 염증에 대해 항염증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Claims (9)

  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또는 이의 용해물(lysate),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은염 또는 치주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CC 14917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ATCC 53103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는 IL-1β, IL-6 및 MCP-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은염 또는 치주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은염 또는 치주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은염 또는 치주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의약외품 조성물.
  8.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은염 또는 치주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구강용 외용제 조성물.
  9.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은염 또는 치주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KR1020220000555A 2022-01-03 2022-01-0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의 치주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 KR20230105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555A KR20230105718A (ko) 2022-01-03 2022-01-0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의 치주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555A KR20230105718A (ko) 2022-01-03 2022-01-0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의 치주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718A true KR20230105718A (ko) 2023-07-12

Family

ID=87163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555A KR20230105718A (ko) 2022-01-03 2022-01-0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의 치주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5718A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ong Chen et al., Pharmacology, 2008 82(4): 264-269
Noda D et al., J. Periodontal Res., 2007 42(6): 566-57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9891B2 (ja) 新規ローヤルゼリー分画物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KR102042967B1 (ko) 푸코실락토오스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MXPA05002087A (es) Composicion que comprende el extracto de actinidia arguta y especies relacionadas, para la prevencion y tratamiento de enfermedades alergicas y enfermedades inflamatorias no alergicas.
KR101938864B1 (ko) 항산화 및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90000955A (ko)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831711B1 (ja) タモギタケ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抗カンジダ菌剤ならびにカンジダ症予防および/または治療剤
JP2024050702A (ja) エンテロコッカス・フェカーリス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肥満または肥満から誘導された代謝症候群の予防または治療用の組成物
KR20170121532A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20120133135A (ko) 화마인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아우식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05718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의 치주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
KR101671061B1 (ko) 발효 지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64303B1 (ko) 효소처리된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방지용 조성물
JP2015071623A (ja) オレウロペインおよびその分解物を含有する歯周組織健康維持剤
KR102546957B1 (ko)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
KR102511133B1 (ko)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102546196B1 (ko) 치주염 치료 효과를 가진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557352B1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57460A (ko) 스클라레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17518B1 (ko) 치주염 예방 또는 치료용 유산균 및 그의 용도
KR20240044750A (ko) 리포테이코익산을 포함하는 치주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4344547A1 (en) Candida anti-fungal composition containing lipoteichoic acid
KR102236417B1 (ko) 호랑가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및 그 용도
EP4321166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biofilm comprising lactobacillus rhamnosus as active ingredient
KR20180104960A (ko) 바나나, 체리 및 호두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3820A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