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8724A - 범용 모바일 프린트 에이전트 - Google Patents

범용 모바일 프린트 에이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8724A
KR20090018724A KR1020097000524A KR20097000524A KR20090018724A KR 20090018724 A KR20090018724 A KR 20090018724A KR 1020097000524 A KR1020097000524 A KR 1020097000524A KR 20097000524 A KR20097000524 A KR 20097000524A KR 20090018724 A KR20090018724 A KR 20090018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output
mobile
print
out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0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0529B1 (ko
Inventor
스티븐 호튼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18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37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43Ordering
    • H04N1/00145Ordering from a remote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85Image output
    • H04N1/00188Printing, e.g. prints or re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3Position information, e.g. geographical position at time of capture, GPS data

Abstract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가 설명된다.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출력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스함으로써 캡처된 이미지의 하드카피 출력을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출력 디바이스와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매개 디바이스 및/또는 시스템을 통해 간접적으로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이용하여 출력 디바이스와 직접 인터페이스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호스트 또는 클라이언트로서 동작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저장된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무선 접속을 통해 원격 출력 디바이스에 연결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바이스들의 미리 결정된 리스트로부터 원격 출력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도 있고, 또는 원격 출력 디바이스들의 동적 리스트가 제공될 수도 있다. 출력 디바이스들의 동적 리스트는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기초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Description

범용 모바일 프린트 에이전트{UNIVERSAL MOBILE PRINT AGENT}
본 출원은 UNIVERSAL MOBILE PICTURE PRINTING METHOD, SYSTEM AND APPARATUS라는 명칭으로 2006년 6월 9일자 제출된 미국 예비 출원 60/812,247호; 및 UNIVERSAL MOBILE PICTURE PRINTING METHOD, SYSTEM AND APPARATUS라는 명칭으로 2006년 8월 17일자 제출된 미국 예비 출원 60/838,549호의 이익을 청구하며, 이로써 둘 다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셀룰러폰과 같은 어떤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이미지들을 편리하게 캡처하여 저장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저장된 이미지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제시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선택된 이미지들이 메모리로부터 검색되어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나 네트워크화된 컴퓨터 등의 원격 위치로 전송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통상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저장된 이미지의 하드카피를 생성하기 위한 제한된 기회 및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대부분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한정된 물리적 크기로 인해 하드카피 출력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능력이 없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저장된 이미지의 하드카피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 프린터와 같은 출력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스할 필요가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통상적으로 출력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와 같은 어떤 매개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스할 것이 요구된다. 출력 디바이스와의 실제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아니라 컴퓨터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저장된 이미지의 하드카피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는 저장된 이미지를 컴퓨터에 전달하고, 사용자는 컴퓨터를 제어하여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하드카피 출력을 생성한다.
저장된 이미지의 하드카피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 현재 이용 가능한 프로세스는 지루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는 편리하지 않다. 또한, 출력 프로세스는 융통성이 없으며 사용자가 출력 디바이스에 연결된 컴퓨터에 액세스할 것을 요구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가 설명된다.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출력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스함으로써 캡처된 이미지의 하드카피 출력을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출력 디바이스와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매개 디바이스 및/또는 시스템을 통해 간접적으로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이용하여 출력 디바이스와 직접 인터페이스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호스트 또는 클라이언트로서 동작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저장된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무선 접속을 통해 원격 출력 디바이스에 연결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바이스들의 미리 결정된 리스트로부터 원격 출력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도 있고, 또는 원격 출력 디바이스들의 동적 리스트가 제공될 수도 있다. 출력 디바이스들의 동적 리스트는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기초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프린트 출력을 제공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프린트 출력을 초기화하는 단계,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가 로컬인지 또는 원격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이 유선으로 설정되는지 또는 무선으로 설정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접속을 통해 상기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형태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프린트 출력을 제공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이미지를 프린트하기 위한 출력 디바이스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의 무선 트랜시버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유선 출력 포트 중 하나를 통해 상기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인에이블(enable)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트랜시버 또는 상기 유선 출력 포트 중 하나에 의해 상기 이미지를 상기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형태들은 모바일 프린트 출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 무선 트랜시버, 유선 통신 포트에 연결되는 통신 처리 모듈, 및 상기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에 의해 캡처되는 이미지를 출력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무선 트랜시버 또는 상기 유선 통신 포트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범용 프린트 에이전트(UPA)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형태들은 모바일 프린트 출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프린트 출력을 초기화하라는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가 로컬인지 또는 원격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이 유선으로 설정되는지 또는 무선으로 설정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접속을 통해 상기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한 세트의 프로세서 실행 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는 기계 판독 가능 메모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형태들은 모바일 프린트 출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프린트 출력을 초기화하라는 지시를 수신하는 수단,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가 로컬인지 또는 원격인지를 결정하는 수단,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이 유선으로 설정되는지 또는 무선으로 설정되는지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접속을 통해 상기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특징, 과제 및 이점들은 도면들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며, 동일한 엘리먼트들은 동일한 참조 부 호를 갖는다.
도 1은 동적 출력 환경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간소화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간소화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모바일 프린트 구조의 실시예의 간소화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모바일 프린트 구조의 실시예의 간소화된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프린트 방법의 실시예의 간소화된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위치 결정 서비스들을 이용하여 원격 출력 디바이스들을 결정하는 방법의 간소화된 흐름도이다.
도 7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간소화된 기능 블록도이다.
내장 카메라를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사용자들은 사진, 특히 고품질 사진을 프린트하고자 할 수 있다.
방법, 시스템 및 장치가 다양한 칩셋 플랫폼에서 모바일 사진 프린트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방법 및 시스템은 장치의 모뎀, 접속성 및 위치 결정 능력과 결합하여 모바일 프린트 서비스를 인에이블할 수 있으며, 모바일 프린트 서비스는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그리고 다양한 시간에 사용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은 장치는 다양한 모바일 프린트 사용의 경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방법, 시스템 및 장치는 모바일 사진 프린트를 비교적 편리하고 쉽게 사용하게 하는데 사용되는 정보 및 데이터를 관리하는 단일화 및 통합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프린트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와 작동할 수 있다.
셀룰러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전화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을 캡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저장된 이미지를 일시적인 보기를 위한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저장된 이미지를 프린터와 같이 이미지가 출력의 하드카피로 변환될 수 있는 출력 디바이스에 출력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무선 전화와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모바일 디바이스는 전화기로 한정되지 않고 무선 전화 시스템을 통한 통신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추가로, 출력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된 사진의 프린트와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출력은 사진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 데이터, 구성 정보, 이미지는 물론,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포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된 임의의 타입의 정보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저장된 이미지를 로컬 출력 디바이스 또는 원격 출력 디바이스에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컬 출력 디바이스는 매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통신할 필요 없이 모바일 디바이스와 직접 통신하는 출력 디바이스로 간주할 수 있다. 추가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유선 링크 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출력 디바이스에 접속한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4개의 접속 카테고리 각각을 통한 출력을 지원한다. 4개의 접속 카테고리는 원격 유선 접속, 원격 무선 접속, 로컬 유선 접속 및 로컬 무선 접속을 포함한다. 추가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각 접속 카테고리 하에 다수의 출력 옵션을 지원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든 가능한 출력 시나리오에 필요한 정보 및 데이터를 관리하도록 동작하는 범용 프린트 에이전트(UPA)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또한 끊김 없고(seamless) 사용이 쉬우며 신뢰할 수 있는 프린트 체험을 위해 UPA 위에 모바일 프린트 애플리케이션을 통합할 수 있다. 이러한 두 부분의 긴밀한 협조는 완벽하고 편리하며 사용이 쉬운 점대점 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동적 출력 환경(10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실시예의 간소화된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의 동적 출력 환경(100)은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이용 가능할 수 있는 출력 디바이스들에 대한 다수의 경로 및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1의 동적 출력 환경(100)은 하나의 가능한 환경을 나타내며, 환경은 출력 디바이스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경로가 생략될 수 있고 나타낸 출력 경로들과 비슷한 추가 출력 경로들이 있어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이용 가능할 수 있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1의 동적 출력 환경(100)은 다양한 접속 카테고리 각각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예를 나타낸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출력을 위해 선택된 이미지가 전달되는 출력 경로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범용 프린트 에이전트(UPA)와 인터페이스하는 모바일 프린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해 로컬 출력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근거리 통신망(LAN) 또는 개인 영역 통신망(PAN)을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트랜시버는 예를 들어 IEEE 802.11 인에이블(enabled) 트랜시버 또는 블루투스 인에이블 트랜시버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무선 트랜시버를 이용하여 무선 인에이블 프린터(120)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무선 인에이블 프린터(120)의 능력에 따라 호스트 디바이스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무선 인에이블 프린터(120)와 접속하여 출력을 위해 선택된 이미지를 교환할 수 있다. 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출력을 위해 이미지들을 무선 인에이블 프린터(120)에 전달하기 위해 IEEE 802.11 애드혹 접속을 이용하여 무선 인에이블 프린터(120)에 접속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또한 유선 접속을 통해 로컬 프린터들에 접속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프린터에 유선 접속을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선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호스트 디바이스 또는 클라이언트(주변 장치) 디바이스로서 범용 직렬 버스(USB) 접속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개별 포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하나 이상의 USB 표준 A 또는 미니 A 소켓을 포함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클라이언트 또는 주변 장치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USB 유선 프린터(122a)에 대한 호스트 디바이스로서 동작할 수 있다. 유선 프린터(122a)는 예를 들어 범용 플러그-앤-플레이(UPnP) 표준을 지 원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유선 프린터(122a)와의 유선 접속을 통해 통신하여 원하는 이미지의 출력을 지원하거나 유선 프린터(122a)에 제출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드라이버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하나 이상의 USB 표준 B 또는 호스트 디바이스로 동작하는 유선 USB 프린터(122b)에 대한 클라이언트 또는 주변 장치 디바이스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일례로, 유선 USB 프린터(122b)는 PictBridge 표준을 지원할 수 있다. 유선 USB 프린터(122b)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의 선택 및 프린트를 인에이블 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또한 유선 접속을 통해 로컬 컴퓨터(130)에 접속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예를 들어 USB 접속을 통해 로컬 컴퓨터(130)에 접속할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호스트 또는 주변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다. 통상의 상황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주변 장치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되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호스트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로컬 컴퓨터(130)를 제어하는 사용자는 출력 디바이스에 대한 검색 및 이어지는 통신을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하나 이상의 캡처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로컬 컴퓨터(13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에 연결될 수 있지만, (도시하지 않은) 로컬 프린트에 이미지들을 연결할 수도 있다. 컴퓨터(130)를 프린터와 인터페이스하는 방식 및 프로세스는 공지되어 있으며, 일단 선택된 이미지들은 로컬 컴퓨터(130)로 전달되고, 로컬 컴퓨터(130)는 이미지들이 출력되는 방식을 제어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시스템(140)을 통해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셀룰러폰일 수 있다. 통신 시스템(140)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또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기술이나 다른 적당한 무선 기술을 지원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기술들은 임의의 다양한 무선 액세스 기술에 따라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DMA는 cdma2000 또는 광대역 CDMA(WCDMA) 표준에 따라 전달될 수 있다. TDMA는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SM) 표준에 따라 전달될 수 있다.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표준은 GSM 또는 WCDMA 동작을 허용한다. VT 애플리케이션들의 경우, 시스템(10)은 cdma2000 1x EV-DO, 배포 0, 개정 A 또는 다음 EV-DO 배포들과 같은 고속 데이터(HDR) 기술들을 지원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40)은 모바일 디바이스(11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170)에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170)는 인터넷과 같은 패킷 교환 네트워크뿐 아니라 공중 전화 교환망(PSTN)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단일 네트워크(170)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지만, 네트워크(170)는 다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네트워크는 상호 접속되거나 개별적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한다. 통신 시스템(140)은 도 1에서 안테나로서 표시되지만,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제어기, 이동국 제어기, 및 통신 시스템(140)을 네트워크들(170)에 인터페이스하는데 필요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들을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통신 시스템(140)을 이용하여 원격 프린터, 예를 들어 182b에 접속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원격 프린터에 직접 액세스할 수 있고 또는 원격 프린터에 간접적으로 액세스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는 통신 시스템(140)에 연결된 이용 가능한 프린터들의 리스트 또는 카탈로그를 입수할 수도 있고 이에 액세스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원격 프린터로 진행하여 통신 시스템을 통해 원하는 이미지를 원격 프린터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통신 시스템(140)을 통해 네트워크(170)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원하는 원격 컴퓨터(180a)로 진행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관련 프린터(182b)를 통해 출력하기 위해 통신 시스템(140)을 통해 컴퓨터(180b)로 전달할 수 있다.
대안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통신 시스템(140)과 관련하여 액세스 가능하거나 통신 시스템(140)에 의해 지원되는 서비스를 통해 간접적으로 원격 프린터들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통신 시스템(140)과 관련된 무선 캐리어에 의해 제공되는 프린트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이미지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는 전달 또는 교부 또는 픽업을 위해 하드카피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통신 시스템(140)을 통해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는 관련 컴퓨터(180b)를 이용하여 이미지들을 수신하거나 검색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컴퓨터(180b) 및 관련 프린터(182b)를 제어하여 요청된 하드카피 출력을 생성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150)를 통해 네트워크(170)와 통신하는 능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150)는 통신 시스템(140)에 의해 지원되는 무선 표준과 별개인 통신 표준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일례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IEEE 802.11 액세스 포인트(150)와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무선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액세스 포인트(150)를 통해 통신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140)을 이용하여 이용 가능한 것과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원격 프린터로부터 하드카피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또한 위치 결정 능력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결정 능력은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국한될 수도 있고 무선 통신 시스템(140)과 같은 지원 시스템들과 관련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일례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GPS 위성 차량(160)과 같은 위치 결정 시스템 내의 소스로부터 레인징(ranging)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독립형 GPS 수신기를 구현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레인징 신호를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자신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통신 시스템(140)과 관련하여 자신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같이 위치 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GPS 위성 차량(160)과 같은 다수의 소스뿐 아니라 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지상국들로부터 레인징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레인징 신호와 관련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통신 시스템(140)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40)은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기초로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엔티 티(PDE)를 구현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자신의 위치를 이용하여 가까운 서비스 제공자들의 리스트를 동적으로 얻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례로, 이동국(11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140)은 이동국(110)이 원격 프린트를 시작할 때 이동국(110)에 위치 기반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국은 무선 통신 시스템(140)으로부터의 서비스 제공자들의 리스트 또는 카탈로그를 요청할 수 있으며, 리스트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위치를 기초로 무선 통신 시스템(140)에 의해 동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사용자는 서비스 제공자들의 리스트를 조사하여 제공되는 서비스의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서비스 제공자들은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서비스 제공자로 이동하여 프린터에서 로컬 출력을 생성할 수도 있다. 다른 서비스 제공자들은 예를 들어 선택된 이미지들의 다운로드 및 원격 프린트를 허용할 수 있으며, 이미지들은 모바일 디바이스(110) 위치를 기초로 모바일 디바이스(110)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위치로 전달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UPA를 통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사용자에게 다수의 프린트 옵션을 제공한다. 이는 일부 옵션들이 이용 가능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사용자가 하드카피 출력에 대한 많은 옵션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디바이스(110)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실시예 의 간소화된 기능 블록도이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무선/이동/셀룰러/PCS 전화, 개인 디지털 보조기기(PDA), 랩탑 컴퓨터 또는 다른 어떤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센서(201), 이미지 처리 유닛(210), 트랜시버(230), 무선 네트워크 트랜시버(240), 위치 결정 모듈(232), 프린트 제어기(250), 입력들(260), 디스플레이 및/또는 출력(220)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220)은 하나 이상의 포트(222)를 포함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포트(222)에 연결될 수도 있다.
센서(201)는 이미지들이나 비디오 시퀀스들을 캡처하기에 적합한 카메라 또는 비디오 카메라 센서일 수 있다. 센서(201)는 개별 센서의 표면에 정렬된 컬러 필터 어레이(CFA)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201)는 전하 결합 소자, CMOS 카메라 등이나 이미지들을 캡처하기 위한 다른 어떤 모듈일 수 있다.
이미지 처리 유닛(210)은 프로세서(202), 다른 하드웨어(214) 및 저장 유닛(204)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유닛(204)은 처리 전후에 이미지 또는 비디오 시퀀스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유닛(204)은 휘발성 저장소(206) 및 비휘발성 저장소(208)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유닛(204)은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플래시 메모리, NOR 또는 NAND 게이트 메모리, 또는 다른 어떤 데이터 저장 기술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데이터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유닛(210)은 이미지들 및/또는 비디오 시퀀스들을 처리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유닛(210)은 모바일 무선 전화를 위한 칩셋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또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 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현장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유닛(210)은 전단 이미지/비디오 처리 유닛 및 이미지/비디오 코딩 유닛에 연결되는 로컬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코딩 유닛은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인코딩(또는 압축) 및 디코딩(또는 압축 해제)하기 위한 인코더/디코더(CODEC)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컬 메모리는 저장 유닛(204)에 비해 더 작고 더 빠른 메모리 공간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저장 유닛(204)으로부터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로컬 메모리는 저장 유닛(204)과 별개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DRAM)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컬 메모리는 프로세서 집약적인 코딩 프로세스 도중 데이터에 대한 고속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처리 유닛(210)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집적되는 "온-칩"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유닛(210)은 비디오 시퀀스의 프레임들에 대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처리 기술을 수행하여 이미지 품질을 개선할 수 있고, 이로써 비디오 시퀀스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유닛(210)은 디모자이킹(de-mosaicing), 렌즈 롤오프(rolloff) 보정, 스케일링, 컬러 보정, 컬러 변환 및 공간 필터링과 같은 기술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유닛(210)은 다른 기술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트랜시버(230)는 코딩된 이미지 또는 비디오 시퀀스를 다른 디바이스로 수신 및/또는 전송할 수 있다. 트랜시버(230)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와 같은 무선 통신 표준을 이용할 수 있다. CDMA 표준의 예는 CDMA 1xEV-DO, WCDMA 등을 포함한다.
무선 네트워크 트랜시버(240)는 근거리 통신망과 같은 패킷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트랜시버는 예를 들어 트랜시버(230)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표준과 별개인 통신 표준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트랜시버(240)는 IEEE 802.11 통신 표준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 트랜시버(24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를 개인 영역 통신망(PAN)에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무선 네트워크 트랜시버(240)는 블루투스 통신 표준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는 단일 무선 네트워크 트랜시버(240)를 설명하고 있지만,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다수의 통신 표준이 지원되는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 트랜시버(240) 및 재구성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 트랜시버(240)를 구현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트랜시버(24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를 이용 가능한 무선 LAN 또는 PAN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무선 네트워크 트랜시버(24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를 무선 인에이블 프린터와 같은 무선 인에이블 디바이스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치 결정 모듈(232)은 위치 데이터 또는 위치 보조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트랜시버(230)와 독립적으로 또는 이와 관련하여 동작한다. 예를 들어, 위치 결정 모듈(232)은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GPS 수신기일 수 있다. 대안으로, 위치 결정 모듈(232)은 네트워크 위치 결정 엔티티에 의사 거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트랜시버(230)와 관련하여 동작하는 관련 GPS 수신기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위치 결정 엔티티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위치를 전달하거나 위치 기반 서비스에 관한 위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프린트 제어기(250)는 프린트 프로세스의 일부인 다양한 프린트 옵션, 입력 및 출력을 관리할 수 있다. 프린트 제어기(250)는 입력(260)을 구성하는 디바이스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입력을 수신하여 프린트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또한, 프린트 제어기는 입력들을 통해 사용자 선택 및 제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린트 제어기(250)는 또한 디스플레이 및/또는 출력(220)을 통해 하나 이상의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린트 제어기는 사용자가 이미지 선택을 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위해 이미지 처리 유닛(210)으로부터 이미지들을 검색할 수 있다. 프린트 제어기(250)는 또한 유선 접속이 사용될 때 하나 이상이 출력 포트(222)로 전달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 및 이미지를 제어할 수 있다.
프린트 제어기(250)는 선택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신호들의 생성 및 처리를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린트 제어기(250)는 USB 디바이스로서 접속될 때 호스트 제어 또는 주변 장치 동작을 관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린트 제어기(250)는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들로의 전송을 위한 이미지 파일들의 포맷화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엘리먼트들에 추가로 또는 이들 대신 다른 엘리먼트들이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에 나타낸 구조는 일례일 뿐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다양한 다른 구조들로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전용 메모리뿐 아 니라, 전용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가질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기술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밍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의 명령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기능의 어떤 형태들을 수행하게 한다.
도 3은 모바일 프린트 구조(300)의 실시예의 간소화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의 모바일 프린트 구조(300)는 예를 들어 도 2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프린트 구조(300)는 많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기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레버리지화(leverage) 한다. 기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는 다양한 출력 시나리오에 필요한 정보 및 데이터를 관리하는 단일화 및 통합된 범용 프린트 에이전트(UPA; 370)로 보강된다.
모바일 프린트 구조(300)는 이용 가능한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들과 인터페이스 접속함으로써 기존 모바일 디바이스 하드웨어 위에 설계될 수 있다. 일례로, UPA는 무선을 위한 이진 런타임 환경(BREW)과 같은 기존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존의 셀룰러폰 하드웨어와 인터페이스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는 셀룰러폰의 기저대역 처리 부분의 일부일 수도 있는 이동국 모뎀(310) 하드웨어를 기초로 설계된 모바일 프린트 구조(300)를 나타낸다. 그러 나 이 구조는 한 가지 가능한 구현의 예일 뿐이다.
모바일 프린트 구조(300)는 통상의 셀룰러폰에 포함되는 것과 같이 이동국 모뎀(310)의 하드웨어 기반에 설계된다. 이동국 모뎀(310)은 캡처된 또는 로컬 수신된 정보뿐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어 기저대역으로 변환된 정보를 포함하여, 기저대역 데이터 및 정보의 처리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이동국 처리 모듈이 이동국 모뎀(310)과 관련하여 또는 그 위에 설계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이동국 처리 모듈들 각각은 이동국 모뎀(310)을 통해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로서 도시된다. 그러나 이동국 처리 모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추가로, 도 3에 나타낸 처리 모듈들의 타입 및 개수는 통상의 구현의 예이며, 모바일 프린트 구조(300)에 대한 한정이 아니다.
이동국 처리 모듈들은 이미지 파일들을 포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는 다양한 파일을 관리 및 조직하도록 구성되는 파일 시스템 모듈(322)을 포함할 수 있다. UPA(370)는 예를 들어 파일 시스템 모듈(322)을 통해 파일들에 액세스하여 사용자가 출력 디바이스로 전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원하는 이미지를 조종하여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라이브러리(324)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캡처된 이미지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일 시스템 모듈(322)은 이미지 처리 라이브러리(324)에 저장된 다양한 이미지를 추적한다.
카메라 서비스 모듈(326)은 이동국 모뎀(310)을 통해 하나 이상의 센서, 카 메라 또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에 인터페이스하도록 동작한다. 카메라 서비스 모듈(326)은 캡처된 이미지들을 원하는 파일 구조로 변환하기 위해 이미지들의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서비스 모듈(326)은 카메라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를 JPEG 인코딩 파일 포맷과 같은 특정 인코딩 파일 포맷으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뎀 무선(OTA; over-the-air) 처리 모듈(332)은 이동국 모뎀(310)에 의해 요구되는 포맷에 대한 수신 및 발신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뎀 OTA 처리 모듈(332)은 이동국 모뎀(310)을 통해 정보가 교환될 때 이용된다. UPA(370)는 모바일 디바이스 트랜시버가 셀룰러폰 시스템과 같은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정보를 출력 디바이스로 전달하는데 사용될 때 모뎀 OTA 처리 모듈(332)을 초기화하여 이용할 수 있다.
GPA/A-GPS 정보 모듈(334)은 위치 기반 서비스들이 사용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시작하거나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위치 결정 모듈을 나타낸다. UPA(370)는 UPA(370) 위에서 또는 이와 관련하여 실행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들의 요청시 위치 결정을 시작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336)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블루투스 통신 표준을 이용하는 통신을 지원할 때 포함될 수 있다. UPA(370)는 로컬 출력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접속이 접속 타입으로서 사용될 때 적절한 트랜시버 하드웨어를 통해 이미지를 출력 디바이스로 밀어넣도록 블루투스 모듈(336)을 구성할 수 있다.
USB 디바이스 호스트 모듈(342)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호스트 USB 디바이스로 서 동작할 때 이용될 수 있다. USB 디바이스 호스트 모듈(342)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출력 디바이스인 범용 플러그-앤-플레이(UPnP) 디바이스들에 대해 인터페이스하고 호스트로서 동작할 때 UPnP 모듈(356)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비슷하게, USB 주변 장치 모듈(344)은 USB 주변 장치로서의 모바일 디바이스 동작, 및 특히 PictBridge 인에이블 USB 주변 장치로서의 모바일 디바이스 동작을 지원하도록 PictBridge 모듈(346)과 동작할 수 있다. PictBridge 구성에서, PictBridge 인에이블 프린터와 같은 출력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호스트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원하는 이미지의 액세스, 선택 및 출력을 허용하는 프린터 제어로서 동작할 수 있다.
UPnP 모듈(356)은 USB 호스트 모듈(342)과 인터페이스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UPnP 인터페이스를 유선 접속에 제공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UPnP 모듈(256)은 하나 이상의 무선 모듈과 인터페이스하여 무선 링크를 통해 UPnP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PnP 모듈(356)은 IEEE 802.11에 따르는 인터페이스 모듈과 같은 WiFi 모듈(354)과 인터페이스하여 UPnP 구성 및 이어지는 출력이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일어나게 할 수 있다. UPnP 모듈(356)은 UPnP 인터페이싱 및 구성을 제어할 수 있고 선택된 이미지를 활성 UPnP 구성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은 적절한 포맷으로 변환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WiFi 모듈(354)은 WiFi 트랜시버 하드웨어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다른 무선 하드웨어에 대한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다른 모듈들 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컬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에 대한 무선 링크로서 단거리 또는 초광대역 통신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단거리 통신/초광대역 모듈(352)이 사용될 수 있다.
범용 프린트 에이전트(UPA; 370)는 각종 처리 모듈 위에서 구동하여 프린트 동작을 관리 및 이행한다. UPA(370)는 해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통해 각종 처리 모듈과 인터페이스한다. 예를 들어, OTA API(362a)는 UPA(370)와 모뎀 OTA 모듈(332) 간에 표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마찬가지로, GPS API 모듈(362b), 블루투스 API 모듈(362c), USB 호스트 API 모듈(362d) 및 다른 API 모듈들은 UPA(370)와 UPA(370)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해당 처리 모듈 간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모바일 프린트 API 모듈(380)은 UPA(370) 위에서 구동하여 UPA(370) 위에서 구동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단일 API를 제공한다. 어떤 경우에, 모바일 프린트 API 모듈(380)은 UPA(370)의 일부로 간주할 수 있다.
제삼자 프린트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린트 애플리케이션(390)은 UPA(370) 위에서 구동하고 모바일 프린트 API 모듈(380)을 통해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모바일 프린트 API 모듈(380)은 프린트 애플리케이션(390)이 제삼자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에 의해 기록되게 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미리 설치될 수도 있고 종단 사용자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특정 프린트 애플리케이션(390)은 네트워크화된 프린트 서비스들 또한 공급하는 제삼자 프린트 제조사에 의해 기록될 수 도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제삼자 저자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 및 출력 디바이스들의 선택 및 사용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프린트 애플리케이션(390)은 조종, 선택 및 출력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간소화하도록 동작한다. 프린트 애플리케이션(390)은 주요 프린트 제조사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될 때 사용자에게 끊김 없고 사용이 용이하며 신뢰할 수 있는 프린트 체험을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도 4는 모바일 프린트 구조(400)의 실시예의 간소화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모바일 프린트 구조(400)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비슷하다. 그러나 도 4의 모바일 프린트 구조(400)에서 UPA(470)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에 통합되고, 모바일 디바이스 내의 처리 모듈들 각각에 대해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인터페이스할 필요가 없다. 도 4의 구조에서 처리 모듈들 중 일부는 생략된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구현될 수 있는 처리 모듈들의 타입 및 개수에는 설계 절충이 이루어진다.
구조(400)는 각종 처리 모듈과 인터페이스하는 이동국 모뎀(310)을 포함한다. 처리 모듈들은 모뎀 OTA 모듈(332), 위치 결정 모듈로 동작하는 GPS 정보 모듈(334), 블루투스 모듈(336), USB 호스트 모듈(342), PictBridge 모듈(346)과 인터페이스하는 USB 주변 장치 모듈(344) 및 UPnP 모듈(356)과 인터페이스하는 WiFi 모듈(354)을 포함한다.
도 3에 나타낸 구조와 달리, 도 4의 모바일 프린트 구조(40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통해서가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조 내에 UPA(470)를 구현한다. 따라서 UPA(470)는 각각의 처리 모듈, 예를 들어 342와 직접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되며 API를 통해 인터페이스할 필요가 없다.
도 4의 모바일 프린트 구조(400)로부터 API 레이어의 제거는 UPA(470)를 약간 간소화하고 UPA(470)와 처리 모듈들 간의 인터페이스를 간소화한다. 이는 UPA(470)가 각 처리 모듈에 보다 효율적으로 액세스 및 작동하게 할 수 있다. 모바일 프린트 API(480)는 UPA(470)와 프린트 애플리케이션(490) 간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모바일 프린트 API(480)는 도 3의 구조에 제공된 것과 동일한 API를 프린트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프린트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어떤 구조가 구현되는지를 알 필요가 없다. 대안으로, 모바일 프린트 API(480)는 도 3의 구조에 제공된 것과 다른 API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린트 애플리케이션(490)은 도 3의 구조의 프린트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수도 있고 도 4의 모바일 프린트 구조(400)에 대해 최적화된 프린트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프린트 애플리케이션(490)은 프린트 옵션들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도 5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프린트하는 방법(500)의 실시예의 간소화된 기능 블록도이다. 방법(500)은 예를 들어 도 3 또는 도 4의 모바일 프린트 구조로 구성된 도 2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는 프린트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디바이스 처리 모듈들과의 구성으로 UPA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500)은 블록(510)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프린트 애플리케이션을 시작(launch)할 때 시작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블록(512)으로 진행하여 메모리로부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미지들을 검색한다. 예를 들어, 프린트 애플리케이션은 UPA를 제어하여 이미지 처리 라이브러리의 액세스를 인에이블하는 파일 시스템 모듈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린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출력을 위한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대안으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선택하는 프로세스는 방법(500)에서 생략될 수도 있고 뒤에 수행될 수도 있다. 대신, 방법(500)은 프린트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되면 출력 디바이스의 결정으로 진행할 수 있다. 출력할 이미지를 선택하는 프로세스는 원하는 출력 디바이스에 접속한 후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다수의 출력 접속 카테고리를 지원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결정 블록(520)으로 진행하여 원격 출력이 바람직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바람직하지 않다면, 로컬 출력 디바이스로 출력하는 다른 옵션이 선택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결정 블록(530)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출력 접속이 유선 접속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출력 디바이스 선택을 기초로 프린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를 결정할 수 있다.
유선 접속이 시도되지 않는다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블록(532)으로 진행하여 무선 출력 디바이스를 지원하는데 사용되는 적절한 무선 포트를 결정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다수의 무선 트랜시버 중 하나를 이용하여 무선 접속을 시작 할 수 있으며, 각 무선 트랜시버는 모든 무선 접속의 부분집합을 지원한다.
유선 출력 디바이스가 선택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결정 블록(540)으로 진행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유선 접속을 통해 호스트로 동작하는지 클라이언트/주변 장치 디바이스로 동작하는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유선 USB 접속을 선택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는 USB 접속에서 호스트 또는 주변 장치로서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또는 주변 장치 디바이스로서 구성되어야 한다면 결정 블록(540)에서 블록(542)으로 진행한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주변 장치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상황의 일례는 PictBridge 인에이블 프린터에 대한 USB 접속이 출력 접속으로 설정되는 경우이다. PictBridge 프린터는 주변 장치인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호스트 디바이스로서 동작한다.
결정 블록(54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호스트 디바이스로서 구성되어야 한다고 결정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블록(544)으로 진행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를 호스트 디바이스로서 구성한다. 일례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USB 접속을 통해 UPnP 프린터에 연결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는 프린트 프로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호스트 디바이스로서 동작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나 호스트 디바이스로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구성한 후, 모바일 디바이스는 블록(542) 또는 블록(544)에서 블록(570)으로 진행하여 선택된 이미지를 원하는 유선 출력 디바이스로 전달한다.
결정 블록(5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원격 출력이 바람직하다고 결정한다 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결정 블록(550)으로 진행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LBS) 출력 애플리케이션이 바람직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프린트 애플리케이션에서 LBS 출력이 선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또는 원하는 출력 선택을 기초로 LBS 출력 디바이스들이 바람직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LBS 출력 디바이스들이 바람직하지 않다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블록(554)으로 진행하여, 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 리스트로부터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미리 결정된 원격 출력 디바이스들 및 서비스들을 검색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블록(564)으로 진행하여 사용자에게 옵션들이 제시된다.
결정 블록(55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LBS 출력이 바람직하다고 결정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블록(552)으로 진행하여 위치 결정을 검색 또는 시작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GPS 또는 A-GPS 위치 결정을 시작할 수 있다. 프린트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위치 고정이 알려질 필요가 있는지 또는 LBS를 지원하기에 네트워크 위치 결정이 충분한지를 결정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블록(560)으로 진행하여 이용 가능한 LBS 출력 디바이스들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기반 위치 결정을 시작할 수 있고, 네트워크상의 PDE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가 결정되면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의 미리 결정된 부근 안에 있는 출력 디바이스들 또는 서비스들에 대해 네트워크의 데이터베이스에 문의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블록(564)으로 진행하여 출력 디바이스 및 서비스 옵션들을, 예를 들어 프린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모바일 디바이 스는 예를 들어 LBS가 이용되지 않을 때는 비-LBS 출력 디바이스들 및 서비스들만 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LBS가 이용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LBS 출력 디바이스들 및 서비스들만을 제시할 수 있고 또는 비-LBS 출력 디바이스들 및 서비스들과 조합하여 이용 가능한 LBS 출력 디바이스들 및 서비스들을 제시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시된 옵션들을 기초로 사용자 출력 디바이스 또는 서비스 선택을 수락할 수 있고, 블록(570)으로 진행하여 선택된 이미지들을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로 전달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를 기초로 셀룰러폰 링크 또는 WiFi 링크와 같은 적절한 하드웨어를, 예를 들어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위치 결정 서비스들을 이용하여 원격 출력 디바이스들을 결정하는 방법(600)의 간소화된 흐름도이다. 방법(600)은 도 5의 방법 도중, 예를 들어 LBS 출력 디바이스들이 바람직하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방법(600)은 예를 들어 도 2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도 3 또는 도 4의 구조의 UPA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방법(600)은 블록(610)에서 시작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UPA가 위치 결정을 시작한다. UPA는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GPS/A-GPS 모듈을 이용하여 위치 결정을 시작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또는 네트워크 PDE에서 결정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블록(620)으로 진행하여 잠재적인 LBS 출력 디바이스들을 필터링하기 위한 기준 또는 파라미터들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는 출력 디바이스들까지의 바람직한 최대 거리에 관한 사용자 입력, 서비스 제공자들의 식별자에 관한 파라미터들, 출력 디바이스 또는 제공자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출력 타입들에 관한 파라미터들, 및 다른 파라미터들을 수락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특정 브랜드의 서비스 제공자를 원할 수도 있고 출력 이미지들이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의 1000 미터 범위 내에 있길 원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블록(630)으로 진행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필터 기준을 이용하여 문의를 생성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출력 디바이스들 및 서비스 제공자들의 데이터베이스를 문의하여, 존재한다면 기준을 만족하는 디바이스들 및 서비스 제공자들의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국소적일 수도 있고 네트워크 액세스 가능한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및 서비스 제공자 데이터베이스는 셀룰러폰 통신 시스템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네트워크 위치에 저장될 수 있고, 셀룰러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셀룰러 서비스 제공자가 위치 결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는 셀룰러 네트워크 밖에 있는 임의의 상대로 전송될 필요가 없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블록(640)으로 진행하여 문의를 만족하는 출력 디바이스들의 리스트를 수신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로컬 데이터베이스 문의 또는 네트워크화된 또는 다른 원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결과들을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블록(650)으로 진행하여 문의 결과들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거나 제시한다. 예를 들어, UPA는 문의 결과를 얻을 수 있고 결과를 사용 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프린트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7은 모바일 디바이스(700)의 실시예의 간소화된 기능 블록도이다.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이미지 캡처 수단(701), 이미지 처리 수단(710), 송수신 수단(730), 무선 네트워크 송수신 수단(740), 위치 결정 수단(732), 프린트 제어 수단(750), 입력 수단(760), 디스플레이 및/또는 출력 수단(72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및/또는 출력 수단(720)은 하나 이상의 포트(722)를 포함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포트(722)에 연결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미지 캡처 수단(701)을 포함한다. 이미지 캡처 수단은 이미지 처리 수단(710)에 연결된다. 이미지 처리 수단(710)은 처리 수단(702), 다른 하드웨어(714) 및 저장 수단(704)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수단(704)은 처리 전후에 이미지 또는 비디오 시퀀스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수단(704)은 휘발성 저장 수단(706) 및 비휘발성 저장 수단(708)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프린트 동작 제어 수단(750)을 포함한다. 프린트 동작 제어 수단(750)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프린트 출력을 초기화하라는 명령을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프린트 동작 제어 수단(750)은 또한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가 로컬인지 원격인지를 결정하는 수단, 및 출력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이 유선으로 설정되는지 무선으로 설정되는지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미지를 출력 디바이스로 전달하기 위한 여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전달 수단은 유선 통신 포트(722)를 통해 이미지를 전달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전달 수단은 무선 접속(730, 740)을 통해 이미 지를 전달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린트 동작 제어 수단(750)은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접속을 통해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수단(73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린트 동작 제어 수단은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결정을 시작하는 수단(732)과 결합하여 동작할 수 있다. 프린트 동작 제어 수단은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출력 디바이스 옵션들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 시스템 및 장치 및/또는 장치 내의 마이크로칩은 가정, 소매 및 온라인 사진 프린트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각각의 출력 시나리오를 지원할 수 있어 프린트 프로세스를 상당히 간소화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관리 및 지원될 수 있는 가능한 출력 접속들 중 일부를 설명하기 위해 가정, 소매점 및 온라인 시나리오 각각에서의 출력 디바이스들에 대한 접속의 예가 제공된다. 가정
가정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된 이미지들의 프린트를 지원하기 위한 로컬 출력 디바이스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개인용 컴퓨터(PC)에 대한 범용 직렬 버스(USB) 링크를 통해 사진 프린터에 접속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셀룰러 핸드셋)로부터 사진 프린터로 향하는 USB 및 PictBridge 모듈이 있을 수도 있다. 대안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프린터에 대해 직접 USB 접속을 통해 호스트로서 동작할 수 있다.
대안으로,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프린트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원격 서비스 또는 원격 출력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프린트들이 사용자에게 우송되기를 원할 수도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캐리어 서비스에 대한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OTA 링크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보통은 가정용 프린터를 통해 이용 가능하지 않은 캐리어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여 특별한 부가가치 프린트들을 선택할 수 있다.
사실상 무제한의 가능성이 있다. 사용자는 블루투스(BT) 인에이블 가정용 프린터로 프린트할 수도 있다(BT-사진 프린터). 사용자는 메모리 카드를 이용하여 가정용 프린터로 프린트할 수도 있다(디지털 프린트 주문 포맷(DPOF)-메모리 카드). 사용자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범용 플러그-앤-플레이(UPnP) 인에이블 가정용 프린터로 프린트하고자 할 수도 있다(UPnP/WiFi-가정용 프린터). 사용자는 초광대역 무선 링크를 통해 UPnP 인에이블 가정용 프린터로 출력하고자 할 수도 있다(UPnP/UWB- 사진 프린터-로). 소매
소매 위치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무선 접속을 이용하여 포토 키오스크(photo kiosk)에서 프린트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위치 결정 또는 일반적인 LBS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여 가까운 소매상들을 식별하고 위치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글로벌 위치 결정 위성(GPS) 시스템 또는 A-GPS를 이용하여 식별된 소매상으로 선택된 이미지들을 라우팅하기 위해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LBS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예에서,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여 프린트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미리 결정된 반경 내의 소매상들을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는 로컬 소매점에서 프린트를 기다리길 원할 수도 있고 GPS 위치 결정과 결합하여 OTA 링크를 이용하여 관여하는 로컬 소매상(들)의 식별 및 선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위치 결정이 필요하지 않은 원격 출력의 예는 사용자가 로컬 소매점에서 프린트를 기다리길 원하는 시나리오이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관여하는 온라인 웹 서비스에 대한 OTA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프린트들의 픽업을 위해 관여하는 로컬 소매상을 식별할 수도 있고 LBS를 이용하여 관여하는 소매상들을 식별할 수도 있다.
다른 시나리오들의 예로서, 사용자는 메모리 카드를 이용하여 키오스크에서 프린트할 수도 있다(DPOF-메모리 카드). 사용자는 단거리 통신(NFC)을 이용하여 키오스크에서 프린트할 수도 있다(NFC-키오스크). 사용자는 WiFi 인에이블 키오스크에서 프린트할 수도 있다(WiFi-kiosk). 사용자는 UWB 인에이블 키오스크에서 프린트할 수도 있다(UWB-키오스크). 온라인
모바일 디바이스는 무선 모뎀을 통해 반송파 기반 온라인 서비스로 프린트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프린트들이 사용자에게 우송되길 원할 수도 있다. 일례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온라인 웹 프린트 서비스에 대한 OTA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인터넷 프린트 서비스 제공자 에 대한 게이트웨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온라인 웹 프린트 서비스를 이용하여 특별한 부가가치 프린트들을 원할 수도 있다.
세 가지 프린트 상황(가정, 소매 및 온라인)을 모두 가능하게 하는 방법, 시스템 및 모바일 디바이스는 편리한 "범용" 프린트 서비스를 인에이블할 수 있다. 이 방법, 시스템 및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일화된 프린트 에이전트로 비교적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여러 접속 옵션을 문제없이 통합할 수도 있고 근본적인 기술 복잡도를 숨길 수도 있다. 어떤 프린트 선택(들)은 항상 이용 가능할 수도 있다. 더 큰 프린트 부피 및 다수의 출력 옵션은 프린트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캐리어 자체의 프린트 서비스의 사용을 촉진할 수 있고, 소매 프린트 라우팅 옵션에 대한 방송 시간 및 캐리어 LBS의 증가한 사용을 촉진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집에 있더라도 캐리어 옵션들의 사용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집에서 프린트를 시도할 수 있지만 링크나 종이가 떨어져 온라인 프린트 옵션들도 이용 가능한지를 확인하고 로컬 소매상으로 라우팅할 수 있다.
점대점 시스템은 두 부분: 모든 사용 경우에 필요한 모든 정보 및 데이터를 관리하는 단일화 및 통합된 UPA; 및 UPA 위에 통합되는 끊김 없고 사용이 쉬우며 신뢰할 수 있는 프린트 체험을 위한 모바일 프린트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러한 두 부분의 긴밀한 협조는 완벽하고 편리하며 사용이 쉬운 점대점 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다. 시스템은 전체 모바일 프린트 가치 사슬의 이익을 얻도록 구성 가능할 수도 있다.
범용 프린트 에이전트는 접속성 기술 조종 & 구성, 발견, 및 다수의 모바일 모뎀(MSM) 구조 & 기술 변형을 다룰 수 있고 네이티브 및 무선을 위한 이진 런타임 환경(BREW) API 버전들을 다룰 수 있는 단일화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은 OTA 서비스들을 위한 EV-DO(CDMA 1x Evolution Data Optimized) 개정 A(DORA) 및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역방향 링크(HSUPA R/L)에 관련될 수 있다. 시스템은 새로운 "단거리" 서비스들을 위해 USB HS/WiFi/UWB를 사용할 수도 있다.
시스템은 GPS 정보를 사용하여 로컬 소매 서비스를 편리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일시, 사진 완성기에 대한 현재 위치 및 거리를 사용하여 고객을 위해 현재 위치에서 사진 완성기까지의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은 일시 및 빌딩 내부 또는 외부의 견적을 이용하여 프린트를 위한 이미지 전처리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어느 서비스들이 지원되는지를 구성하는 능력을 가진 진보적인 모바일 가입자 소프트웨어 배포에 완벽한 솔루션이 번들화될 수 있다. 이는 캐리어 및/또는 OEM 희망에 기반한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연결 또는 접속이라는 용어는 직접 연결 또는 접속뿐 아니라 간접 연결의 의미로도 사용된다. 2개 이상의 블록, 모듈, 디바이스 또는 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연결된 두 블록 간에 하나 이상의 개재 블록이 있을 수도 있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 모 듈 및 회로는 여기서 설명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감소 명령 세트 컴퓨터(RISC)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현장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연산 장치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프로세스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에 직접,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또는 이 둘의 조합에 구현될 수 있다. 방법 및 프로세스의 각종 단계 또는 동작은 도시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고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추가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방법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또는 방법 단계가 방법 및 프로세스에 추가될 수도 있다. 추가 단계, 블록 또는 동작은 방법 및 프로세스의 기존 엘리먼트들의 시작, 끝 또는 중간에 부가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상기 설명은 당업자들이 본 발명을 제작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당업자들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본원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발명의 진의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 나타낸 실시예로 한정되 는 것이 아니라 본원에 개시된 원리 및 신규한 특징들에 부합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따르는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가 설명되었다.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은 다음 청구범위 내에 있다.

Claims (27)

  1.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프린트 출력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프린트 출력을 초기화하는 단계;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가 로컬인지 또는 원격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이 유선으로 설정되는지 또는 무선으로 설정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접속을 통해 상기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트 출력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 접속의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서 해당하는 무선 트랜시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는 상기 무선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출력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하는 무선 트랜시버는 무선 전화 시스템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출력 제공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하는 무선 트랜시버는 패킷 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출력 제공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하는 무선 트랜시버는 IEEE 802.11 통신 표준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출력 제공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하는 무선 트랜시버는 블루투스 통신 표준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출력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결정을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출력 디바이스 옵션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출력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디바이스 옵션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필터링 기준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및 상기 필터링 기준을 기초로 출력 디바이스들의 데이터베이스를 문의(query)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링 기준을 만족하는 출력 디바이스 리스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출력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호스트 디바이스인지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출력 제공 방법.
  10.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프린트 출력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이미지를 프린트하기 위한 출력 디바이스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의 무선 트랜시버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유선 출력 포트 중 하나를 통해 상기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을 인에이블(enable)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트랜시버 또는 상기 유선 출력 포트 중 하나에 의해 상기 이미지를 상기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트 출력 제공 방 법.
  11. 모바일 프린트 출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장치로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
    무선 트랜시버;
    유선 통신 포트에 연결되는 통신 처리 모듈; 및
    상기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에 의해 캡처되는 이미지를 출력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무선 트랜시버 또는 상기 유선 통신 포트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범용 프린트 에이전트(UPA)를 포함하는, 모바일 프린트 출력 제공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위치 결정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UPA는 상기 출력 디바이스가 선택되는 출력 디바이스들의 리스트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위치 결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프린트 출력 제공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모듈은 GPS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프린트 출력 제공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모듈은 A-GPS 위치 결정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프린트 출력 제공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트랜시버는 무선 전화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프린트 출력 제공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트랜시버는 블루투스 인에이블(Bluetooth enabled)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프린트 출력 제공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트랜시버는 IEEE 802.11 인에이블(IEEE 802.11 enabled)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프린트 출력 제공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처리 모듈은 범용 직렬 버스 호스트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프린트 출력 제공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범용 직렬 버스 주변 장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프린트 출력 제공 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UPA는 상기 무선 트랜시버 및 상기 통신 처리 모듈 각각에 해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인터페이스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프린트 출력 제공 장치.
  21. 한 세트의 프로세서 실행 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는 기계 판독 가능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프로세서 실행 가능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프린트 출력을 초기화하라는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가 로컬인지 또는 원격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이 유선으로 설정되는지 또는 무선으로 설정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접속을 통 해 상기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접속에 대응하는 통신 처리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무선 접속의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서 해당하는 무선 트랜시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는 상기 무선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호스트 디바이스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서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모바일 프린트 출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장치로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프린트 출력을 초기화하라는 지시를 수신하는 수단;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가 로컬인지 또는 원격인지를 결정하는 수단;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이 유선으로 설정되는지 또는 무선으로 설정되는지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접속을 통해 상기 선택된 출력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프린트 출력 제공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통신 프로토콜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처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프린트 출력 제공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결정을 시작하는 수단;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출력 디바이스 옵션들을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프린트 출력 제공 장치.
KR1020097000524A 2006-06-09 2007-06-11 범용 모바일 프린트 에이전트 KR1011405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1224706P 2006-06-09 2006-06-09
US60/812,247 2006-06-09
US83854906P 2006-08-17 2006-08-17
US60/838,549 2006-08-17
US11/760,150 US8571602B2 (en) 2006-06-09 2007-06-08 Universal mobile print agent
US11/760,150 2007-06-08
PCT/US2007/070841 WO2007146858A2 (en) 2006-06-09 2007-06-11 Universal mobile print agen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1027A Division KR20120014053A (ko) 2006-06-09 2007-06-11 범용 모바일 프린트 에이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724A true KR20090018724A (ko) 2009-02-20
KR101140529B1 KR101140529B1 (ko) 2012-05-02

Family

ID=388327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1027A KR20120014053A (ko) 2006-06-09 2007-06-11 범용 모바일 프린트 에이전트
KR1020097000524A KR101140529B1 (ko) 2006-06-09 2007-06-11 범용 모바일 프린트 에이전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1027A KR20120014053A (ko) 2006-06-09 2007-06-11 범용 모바일 프린트 에이전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71602B2 (ko)
EP (1) EP2036324A2 (ko)
JP (4) JP2010513995A (ko)
KR (2) KR20120014053A (ko)
CN (2) CN101461227A (ko)
WO (1) WO200714685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369B1 (ko) * 2012-07-09 2014-02-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 설정 원격 프린팅 서비스 시스템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1602B2 (en) * 2006-06-09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Universal mobile print agent
US9516178B2 (en) * 2006-09-20 2016-12-06 Marvell World Trade Ltd. Multiple media format support for printers
US8929360B2 (en) * 2006-12-07 2015-01-06 Cisco Technology, Inc. Systems, methods, media, and means for hiding network topology
JP4331233B2 (ja) 2007-12-26 2009-09-16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
US8935436B2 (en) * 2009-02-18 2015-01-13 Qualcomm Incorporated Wakeup trigger to support multiple user interfaces, environments, and/or virtual machines
JP5333076B2 (ja) * 2009-09-04 2013-11-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ネットワークに接続可能なデバイス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590034B1 (ko) 2009-11-18 201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 제어 단말장치,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시스템, 및 화상형성방법
CN102333168A (zh) * 2010-07-13 2012-01-25 金宝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档案排版输出装置及其档案排版输出方法
JP5104921B2 (ja) * 2010-07-26 2012-12-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制御プログラム及び通信装置
JP5170183B2 (ja) 2010-07-29 2013-03-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制御プログラム及び通信装置
US9891867B2 (en) * 2010-11-10 2018-02-13 Electronics For Imaging, Inc. Protocol for interac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and other devices
CN102547031B (zh) * 2010-12-08 2014-12-03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移动印刷系统
US9973899B1 (en) * 2011-03-01 2018-05-15 Sozo Innovations, LLC System for location based triggers for mobile devices
US20120257245A1 (en) * 2011-04-08 2012-10-11 Mccoog Phillip A Autoselected print paths
US20120300245A1 (en) * 2011-05-25 2012-11-29 Manjirnath Chatierjee Inductive charging and data transfer based upon mutual device capabilities
US9036184B2 (en) * 2011-07-29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Printer registration
US8385973B1 (en) * 2011-09-23 2013-02-26 Peter Tamposi Remote equipment control system
US9141887B2 (en) 2011-10-31 2015-09-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ndering permissions for rendering content
US9158480B2 (en) * 2011-12-19 2015-10-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er application states
US8896868B2 (en) 2012-02-08 2014-11-25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Mobile device implemen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to print with multifunction peripheral device
US9069501B2 (en) 2012-02-28 2015-06-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chanism that allows initiating print without being aware of the printer email address
US9462080B2 (en) 2012-04-27 2016-10-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anagement service to manage a file
US9400622B2 (en) 2012-06-29 2016-07-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ath independent print queues
US9219829B2 (en) * 2012-08-28 2015-12-22 Walgreen Co.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printing digital images for pickup at a retail store
US9066323B2 (en) 2012-11-15 2015-06-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 Hoc network connection
US9134937B2 (en) 2013-04-01 2015-09-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cure printing
JP5900433B2 (ja) * 2013-07-26 2016-04-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遠隔操作装置、遠隔制御方法、遠隔操作方法、遠隔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遠隔操作プログラム
JP6260267B2 (ja) * 2013-12-27 2018-01-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モバイ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9367271B2 (en) 2014-10-28 2016-06-14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hieving tap-to-print functionality on a mobile device
JP6641928B2 (ja) * 2015-11-27 2020-02-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グラム
CN109582249B (zh) * 2017-09-29 2021-08-17 南京云照乐摄影有限公司 一种便携式多功能影像工作站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9789B1 (en) * 1996-12-16 2001-01-02 Sanjay K. Rao Intelligent keyboard system
US6148261A (en) * 1997-06-20 2000-11-14 American Calcar, Inc.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to send and receive voice data positioning information
US6321231B1 (en) * 1997-08-11 2001-11-20 Marshall, O'toole, Gerstein, Murray & Borun Data management and order delivery system
JP3266146B2 (ja) * 1999-01-20 2002-03-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及びネットワーク印刷システム
US20060013630A1 (en) * 1999-06-30 2006-01-1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ing a photograph using a mobile device
US20040078236A1 (en) * 1999-10-30 2004-04-22 Medtamic Holdings Storage and access of aggregate patient data for analysis
CN1183439C (zh) * 2000-01-12 2005-01-05 精工爱普生株式会社 便携式终端及数据输出控制系统
US6603977B1 (en) * 2000-02-04 2003-08-05 Sbc Properties, Lp Location information syste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therefor
JP4032611B2 (ja) * 2000-06-21 2008-01-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提示装置
US7355732B2 (en) * 2000-12-22 2008-04-08 Ricoh Company, Ltd. Printing mechanism for wireless devices
US7266379B2 (en) * 2001-05-30 2007-09-04 Palm, Inc. Resource location through location history
US6922258B2 (en) * 2001-05-30 2005-07-26 Polaroid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remote images using a mobile device and printer
US20030202104A1 (en) * 2001-07-10 2003-10-30 Werner Raymond J. Location-based services for photography
CA2400555C (en) 2001-09-07 2009-10-27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ocument service requests using a mobile computing device
US7409434B2 (en) * 2001-09-07 2008-08-05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ocument service requests using a mobile computing device
JP2003216770A (ja) * 2002-01-24 2003-07-31 Ricoh Co Ltd 投票/予約方式
JP2003280778A (ja) 2002-03-19 2003-10-02 Canon Inc 電子機器
JP3682777B2 (ja) * 2002-03-25 2005-08-1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および遠隔管理システム
US7535492B2 (en) * 2002-07-02 2009-05-19 Lightsurf Technologies, Inc. Imaging system providing automated fulfillment of image photofinishing based on location
US20040125401A1 (en) * 2002-07-31 2004-07-01 Earl David J.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on the nearest printer
JP3937434B2 (ja) 2002-09-24 2007-06-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ホストとデバイスのいずれの役割も選択的に設定することができる通信コントローラ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4234218A (ja) * 2003-01-29 2004-08-19 Canon Inc 画像形成処理システム
US7272407B2 (en) * 2003-02-18 2007-09-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on wireless mobile device
US20040160623A1 (en) 2003-02-18 2004-08-19 Michael Strittmatter Wireless device imaging
JP2004259206A (ja) * 2003-02-27 2004-09-16 Ntt Docomo Inc 情報管理装置、情報出力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情報出力方法
US7409452B2 (en) * 2003-02-28 2008-08-05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ocument service requests from a mobile device
JP2004274152A (ja) 2003-03-05 2004-09-30 Canon Inc ピコネット構築方法
US20040203358A1 (en) 2003-03-17 2004-10-14 Anderson Jeff M. Mobile-printing desktop assistant
JP4348121B2 (ja) 2003-06-17 2009-10-2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支援方法、画像形成支援プログラム及び画像形成支援システム
JP2005044024A (ja) * 2003-07-24 2005-02-17 Fuji Xerox Co Ltd プリンタシステム及びスキャナシステム
JP2005223783A (ja) 2004-02-09 2005-08-18 Fuji Photo Film Co Ltd 携帯端末装置、プリント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812860B2 (en) * 2004-04-01 2010-10-12 Exbiblio B.V. Handheld device for capturing text from both a document printed on paper and a document displayed on a dynamic display device
GB2412804A (en) * 2004-03-30 2005-10-05 Nokia Corp Recording images with associated context information
US7213057B2 (en) * 2004-03-31 2007-05-01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configuration of notebook computer based on location
US7509131B2 (en) 2004-06-29 2009-03-24 Microsoft Corporation Proximity detection using wireless signal strengths
US20080248828A1 (en) * 2004-09-17 2008-10-09 Kaoru Tomiyasu Mobile Terminal Apparatus, Printing System, Printing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of the Same
JP2006099193A (ja) 2004-09-28 2006-04-13 Canon Inc 印刷装置設定方法
US7509125B2 (en) * 2005-03-18 2009-03-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for scanning wireless frequencies
US20070032244A1 (en) * 2005-08-08 2007-02-08 Microsoft Corporation Group-centric location tagging for mobile devices
US8346903B2 (en) * 2005-11-29 2013-01-01 Xerox Corporation Print server, mobile compu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using a mobile computing device
US8014025B2 (en) * 2005-12-05 2011-09-06 Lexmark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a job
KR101003295B1 (ko) * 2006-04-26 2010-12-23 노키아 코포레이션 범용직렬버스 연결
US8571602B2 (en) * 2006-06-09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Universal mobile print ag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369B1 (ko) * 2012-07-09 2014-02-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 설정 원격 프린팅 서비스 시스템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71602B2 (en) 2013-10-29
JP2016028323A (ja) 2016-02-25
KR20120014053A (ko) 2012-02-15
CN103716493B (zh) 2018-06-12
KR101140529B1 (ko) 2012-05-02
EP2036324A2 (en) 2009-03-18
CN101461227A (zh) 2009-06-17
JP5792328B2 (ja) 2015-10-07
WO2007146858A2 (en) 2007-12-21
WO2007146858A3 (en) 2008-04-10
JP2014116965A (ja) 2014-06-26
CN103716493A (zh) 2014-04-09
JP2010513995A (ja) 2010-04-30
JP2012164332A (ja) 2012-08-30
US20080004075A1 (en) 200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529B1 (ko) 범용 모바일 프린트 에이전트
EP2291981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rvice discovery over alternate transports
JP5646712B2 (ja) メモリシステム
KR101076065B1 (ko) 통합된 라디오가 있는 가입자 식별 모듈
JP2003234936A (ja)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ィジタル・カメラからディジタル画像を転送する方法
US974289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04055638A2 (en)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uting devices
KR101438345B1 (ko)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메모리 시스템
JP6755081B2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00253788A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JP6395394B2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7140538B2 (ja) 情報処理装置
US20050030375A1 (en) Image capture device with multiple protocol wireless transmission
KR2007000585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주소록 사진 등록 방법
JP2008199356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6882012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58889B2 (ja) 端末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と端末装置
JP2019153929A (ja) 端末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と端末装置
JP2012058473A (ja) 位置情報取得装置、撮像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WO2023179561A1 (zh) 打印方法、电子设备及系统
JP485339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制御プログラ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ならびに記録媒体
JP2003298987A (ja) 携帯型通信装置及び画像保存方法
JP711866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60090013A (ko) 외장형 메모리 장치 및 휴대단말기와 외장형 메모리장치간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JP2020108035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