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0013A - 외장형 메모리 장치 및 휴대단말기와 외장형 메모리장치간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외장형 메모리 장치 및 휴대단말기와 외장형 메모리장치간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0013A
KR20060090013A KR1020050010839A KR20050010839A KR20060090013A KR 20060090013 A KR20060090013 A KR 20060090013A KR 1020050010839 A KR1020050010839 A KR 1020050010839A KR 20050010839 A KR20050010839 A KR 20050010839A KR 20060090013 A KR20060090013 A KR 20060090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memory
memory device
data
ex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0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한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0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0013A/ko
Publication of KR20060090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0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외장형 메모리 장치는 다양한 외장형 메모리를 탈착할 수 있는 메모리 소켓부, 상기 메모리 소켓부에 장착된 외장형 메모리와 외부 장치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외부 장치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외장형 메모리에 맞는 형식으로 변환해서 상기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와 외장형 메모리 장치간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외장형 메모리 장치를 검색하는 과정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해서 상기 검색된 외장형 메모리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면,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에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외장형 메모리에 맞는 형식으로 변환해서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메모리, 외장형, 블루투스, 무선랜, 근거리 무선 통신

Description

외장형 메모리 장치 및 휴대단말기와 외장형 메모리 장치간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EXTERNAL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BETWEEN MOBILE TERMINAL AND THE EXTERNAL MEMOR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메모리 장치와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메모리 장치와 휴대단말기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외장형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와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외장형 메모리 장치 및 휴대단말기와 외장형 메모리 장치간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폰은 메모리의 교체나 확장이 불가능하거나 제한적이었고 별도의 확장 슬롯을 구비한 경우에만 메모리의 확장이 가능했었다. 즉, 휴대폰의 메모리 크기는 제품 생산 시에 포함된 내장형 메모리로 제한되어 휴대폰 생산 후에는 메모리의 확장이 힘들었고 휴대폰이 소형화됨에 따라 외장형 메모리를 위한 확장 슬롯의 공간을 마련하기도 어렵다.
그런데,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의 경우에 메모리의 크기에 따라 촬영할 수 있는 사진의 양이 결정되는데, 카메라 기능이 고해상도로 향상됨에 따라 사진의 화소수도 증가하여 기존에 구비된 메모리의 크기보다 더 큰 용량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메모리 크기의 확장의 필요성이 증가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메모리의 확장이 쉽지 않아서 사용자는 더 이상 사진을 촬영하지 못하거나 촬영한 사진을 컴퓨터와 같은 매체로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MP3(MPEG-1 Audio Layer 3) 재생기나 다양한 게임 등과 같이 대용량의 메모리가 필요한 부가 기능도 이러한 메모리의 확장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외장형 메모리 장치와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와 휴대단말기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외장형 메모리 장치는 다양한 외장형 메모리를 탈착할 수 있는 메모리 소켓부, 상기 메모리 소켓부에 장착된 외장형 메모리와 외부 장치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외부 장치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외장형 메모리에 맞는 형식으로 변환해서 상기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 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와 외장형 메모리 장치간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외장형 메모리 장치를 검색하는 과정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무선 통시 기능을 이용해서 상기 검색된 외장형 메모리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면,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에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외장형 메모리에 맞는 형식으로 변환해서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메모리 장치와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의 메모리 소켓부(110)는 CF(Compact Flash), MMC(Multi Media Card), SD(Security Digital) 및 메모리스틱(memory stick)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외장형 메모리(111)를 탈착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20)는 상기 외장형 메모리 소켓부(110)에 장착된 외장형 메모리(111)와 휴대단말기(200)간의 데이터를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통신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서 송수 신한다.
제어부(130)는 상기 휴대단말기(200)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무선 통신부(120)를 통해서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 소켓부(110)에 장착된 외장형 메모리(111)에 맞는 형식으로 변환해서 상기 외장형 메모리(11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200)에서 상기 외장형 메모리(111)에 저장된 데이터의 접근을 요청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해당 데이터를 상기 외장형 메모리(111)에서 읽은 후 상기 휴대단말기(200)에 맞는 형식으로 변환해서 상기 무선 통신부(120)를 통해서 상기 휴대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외장형 메모리(111)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읽을 때 참조하는 주소값을 상기 휴대단말기(200)로부터 할당받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는 상기 휴대단말기(200)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고유의 할당된 식별자를 가지고 있는데, 그 식별자의 예를 들면 ESSID(Extended Service Set IDentifier)와 같다. 또한,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는 상기 휴대단말기(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드가 설정되는데, 상기 통신 모드는 상기 무선통신부(120)에서 이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거나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와 상기 휴대단말기(200)간의 데이터 통신 방식이 무선랜이라면, 그 통신 모드로 애드 혹(ad-hoc)이나 AP(access point)가 선택될 수 있거나 이 중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드가 결정되면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200)와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결정된 통신 모드로 데이터 통신을 한다.
한편, 외장형 메모리 자체에 상기 무선통신부(120)와 제어부(130)와 같은 구 성을 내장시킴으로써 외장형 메모리 자체로도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200)는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를 인식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에서 이용되는 통신 방식을 제공하는 무선통신부(210)를 구비한다. 상기 무선통신부(210)는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의 무선통신부(120)와 같이 블루투스 또는 무선랜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블루투스 또는 무선랜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휴대단말기(200)의 경우에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를 통해서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의 인식 및 제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기능 모듈부(220)는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통화 기능 외에 부가적으로 추가될 수 있는 카메라, MP3 재생기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대용량의 메모리를 요구한다. 메모리부(230)는 상기 휴대단말기(200) 생산시 제한된 용량으로 포함된 내장형 메모리이다.
제어부(240)는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를 인식하기 위해서 상기 무선통신부(210)에서 이용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제공하는 장치들을 검색하여서 상기 검색된 장치들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상기 검색된 장치들은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무선통신부(210)에서 이용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제공하는 장치들로서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도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식 방식을 제공하므로 검색 대상에 포함된다.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가 포함되어 검색된 장치들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에 고유로 할당된 식별자로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를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인식된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의 메모리 소켓부(110)에 장착된 외장형 메모리(111)의 주소값을 할당한다. 상기 제어부(240)가 주소값을 할당하면,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상기 휴대단말기(200)간에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주소값에 따라 상기 외장형 메모리(111)에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240)는 메모리부(230)에 저장된 데이터나 상기 기능모듈부(220)에 동작에 따라 생성된 사진등과 같은 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부(210)를 통해서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로 송신하면,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상기 송신된 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부(120)를 통해서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소켓부(110)에 장착된 상기 외장형 메모리(111)에 맞는 형식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제어부(240)에 의해 주소값이 정해진 상기 외장형 메모리(111)에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제어부(240)에서 상기 외장형 메모리(111)에 저장된 데이터, 예를 들면 사진 데이터나 MP3 파일등에 접근하는 요청을 상기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서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로 송신하면,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상기 요청을 상기 무선통신부(120)를 통해서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상기 요청된 데이터를 상기 외장형 메모리(111)에서 읽은 후 상기 휴대단말기(200)에 맞는 형식으로 변환해서 상기 무선통신부(120)를 통해서 상기 휴대단말기(200)로 송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메모리 장치와 휴대단말기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상기 기능 모듈부(220)에 포함된 카메라나 MP3 재생기 같은 기능을 이용하려는데 촬영된 사진이나 MP3 파일을 저장할 공간이 상기 메모리부(230)의 용량으로는 부족해서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를 이용하려고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제어부(240)는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를 검색하기 위해서 상기 무선통신부(210)에서 이용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제공하는 장치들을 검색한다(S100).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에서는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검색신호에 응답함으로써 상기 휴대단말기(200)에서 검색된다(S200).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를 포함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검색되면,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제어부(240)는 상기 검색된 장치들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사용자가 상기 검색된 장치들 중에서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제어부 (240)는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에 고유로 할당된 식별자로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를 인식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제어부(240)는 상기 인식된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의 메모리 소켓부(110)에 장착된 외장형 메모리(111)의 주소값을 할당한다(S300). 이로써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와 상기 휴대단말기(200)간의 데이터는 상기 선택된 통신 모드에 따라 송수신되며, 상기 휴대단말기(200)에서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로 송신되는 데이터는 상기 할당된 주소값에 따라 저장된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서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와 상기 휴대단말기(200)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초기화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데이터를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200)에 저장하거나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200)의 외장형 메모리(111)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기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메모리부(230)에 저장된 데이터나 상기 기능모듈부(220)에 동작에 따라 생성된 사진등과 같은 데이터를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의 외장형 메모리(111)에 저장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제어부(240)는 상기 무선통신부(210)를 통해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200)로 송신한다(S400).
이에 따라,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상기 휴대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부(120)를 통해서 수신하여 상기 외장 형 메모리(111)에 맞는 형식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제어부(240)에 의해 주소값이 할당된 상기 외장형 메모리(111)에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한다(S500).
또한, 사용자가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의 외장형 메모리(111)에 저장된 데이터, 예를 들면 사진 데이터나 MP3 파일등을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상기 기능 모듈부(220)를 통해서 보거나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러한 데이터에 접근하는 요청을 하면,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제어부(240)는 상기 무선통신부(210)를 통해서 상기 데이터 접근 요청을 위한 신호를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로 송신한다(S600).
이에 따라,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상기 휴대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요청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부(120)를 통해서 수신하여 상기 요청된 데이터를 상기 외장형 메모리(111)에서 읽은 후 상기 휴대단말기(200)에 맞는 형식으로 변환한다(S700). 그리고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부(120)를 통해서 상기 휴대단말기(200)로 송신한다(S800).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외장형 메모리 장치를 무선 통신으로 이용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소형화, 경량화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휴대단말기의 메모리를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는 휴대단말기와 직접 연결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를 가방이나 주머니에 휴대할 수 있기 때문에 메모리 확장을 위해서 휴대단말기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장형 메모리 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외장형 메모리를 지원하므로 사용자는 기존에 가지고 있는 특정 메모리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장형 메모리 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외장형 메모리에 따라 저장할 데이터를 그에 맞게 변환하므로, 예를 들면 휴대폰,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또는 MP3 재생기에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만 구비되어 있다면 외장형 메모리 장치를 위한 추가적인 기능을 구비시킬 필요가 없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장형 메모리 장치는 컴퓨터의 외장형 하드 디스크, 즉 휴대용 저장매체처럼 사용할 수도 있어서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장치들로 옮기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4)

  1. 다양한 외장형 메모리를 탈착할 수 있는 메모리 소켓부;
    상기 메모리 소켓부에 장착된 외장형 메모리와 외부 장치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외부 장치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외장형 메모리에 맞는 형식으로 변환해서 상기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메모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양한 외장형 메모리는 CF(Compact Flash), MMC(Multi Media Card), SD(Security Digital) 및 메모리스틱(memory stick) 중의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메모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메모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및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통신 중의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메모리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메모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 장치에 맞는 형식으로 변환해서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메모리 장치.
  7.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와 외장형 메모리 장치간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외장형 메모리 장치를 검색하는 과정;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해서 상기 검색된 외장형 메모리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면,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에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외장형 메모리에 맞는 형식으로 변환해서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를 검색하는 과정은,
    상기 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장치들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장치들 중에서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에 할당된 식별자를 이용해서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를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에 장착된 메모리의 주소값을 할당하고,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는 상기 주소값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형 메모리 장치에서 상기 장착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단말기에 맞는 형식으로 변환해서 상기 휴대단말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기능은 근거리 무선 통신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기능은 블루투스 통신 기능 및 무선랜 통신 기능 중의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010839A 2005-02-04 2005-02-04 외장형 메모리 장치 및 휴대단말기와 외장형 메모리장치간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20060090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839A KR20060090013A (ko) 2005-02-04 2005-02-04 외장형 메모리 장치 및 휴대단말기와 외장형 메모리장치간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839A KR20060090013A (ko) 2005-02-04 2005-02-04 외장형 메모리 장치 및 휴대단말기와 외장형 메모리장치간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013A true KR20060090013A (ko) 2006-08-10

Family

ID=37571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0839A KR20060090013A (ko) 2005-02-04 2005-02-04 외장형 메모리 장치 및 휴대단말기와 외장형 메모리장치간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00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776B1 (ko) * 2007-08-21 2014-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장형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데이터 공유 시스템
KR101390704B1 (ko) * 2012-11-22 2014-04-30 주식회사 머글 스마트폰을 이용한 유에스비 메모리 안전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776B1 (ko) * 2007-08-21 2014-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장형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데이터 공유 시스템
KR101390704B1 (ko) * 2012-11-22 2014-04-30 주식회사 머글 스마트폰을 이용한 유에스비 메모리 안전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005B1 (ko) 전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접속의 사용을 지원하는 방법 및장치
JP5792328B2 (ja) ユニバーサルモバイル印刷エージェント
EP26321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a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12771900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电子设备
US771579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evice selec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00169548A1 (en) Memory card and method for controlling memory card
US20110185098A1 (en) Memory card supplemented with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erminal for using same, memory card including wpan communication module, and wpan communication method using same
US813195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 memory use in portable terminal
JP200308726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1103047A (ja) 電子機器及びアクセス制御方法
EP1733517A1 (en) Proximity detection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JP2005347836A (ja)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通信システム、データ送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データ受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WO2021197354A1 (zh) 一种设备的定位方法及相关装置
KR20060090013A (ko) 외장형 메모리 장치 및 휴대단말기와 외장형 메모리장치간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US20100267337A1 (en) Printing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wireless device
CN114531742B (zh) 双Wi-Fi连接方法及电子设备
WO2022042363A1 (zh) 一种共享库的复用方法及电子设备
CN115080505A (zh) 数据迁移方法、终端、存储介质和程序产品
JP2002353883A (ja) 携帯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KR101117345B1 (ko) 메모리 카드 변환 어댑터와 그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JP2008158737A (ja) 可搬記憶媒体
CN117527822A (zh) 数据同步方法、电子设备及系统
CN117676913A (zh) 路由器管理的方法、路由器以及电子设备
KR20240078248A (ko) 미디어 컨텐트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6561351A (zh) 缩略图存储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