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6526A - 누룽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누룽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6526A
KR20090016526A KR1020070080965A KR20070080965A KR20090016526A KR 20090016526 A KR20090016526 A KR 20090016526A KR 1020070080965 A KR1020070080965 A KR 1020070080965A KR 20070080965 A KR20070080965 A KR 20070080965A KR 20090016526 A KR20090016526 A KR 20090016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rungji
additive
deposition solution
deposition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원
Original Assignee
정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원 filed Critical 정창원
Priority to KR1020070080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6526A/ko
Publication of KR20090016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5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룽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누룽지에 천연 첨가재료를 증착시켜 누룽지와 천연 첨가재료의 부가적인 맛이 아우러지는 누룽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누룽지 제조방법은, 성형틀의 저면에 증착액을 도포하는 1차 증착액 도포단계와, 상기 증착액 도포단계 이후 누룽지 재료를 성형틀에 삽입하는 재료삽입단계와, 상기 재료삽입단계 이후 상기 성형틀을 가열하여 누룽지 재료를 성형틀 형상으로 정형화시키는 재료성형단계와, 상기 재료성형단계 이후 정형화된 누룽지 재료의 상면에 상기 증착액을 도포하는 2차 증착액 도포단계와, 상기 2차 증착액 도포단계에서 누룽지 재료의 상면에 도포 된 증착액에 수분이 존재할 때, 천연첨가재를 가미하는 첨가재 가미단계와, 상기 첨가재 가미단계 이후 첨가재가 가미된 누룽지 재료의 상면을 가압수단으로 눌러주는 첨가재 고착단계 및 상기 첨가재 고착단계 이후 성형틀과 상기 고착된 누룽지 재료를 분리시키는 재료분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누룽지의 맛이 보다 월등해 지는 이점이 있다.
누룽지, 성형틀, 첨가재, 흑임자, 들깨, 검은콩, 좁쌀, 흑미

Description

누룽지 제조방법{A making method for scorched rice }
본 발명은 누룽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누룽지에 천연 첨가재료를 증착시켜 누룽지와 천연 첨가재료의 부가적인 맛이 아우러지는 누룽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룽지는 밥을 지을 때 냄비나 솥과 같은 용기의 저면에 쌀이 눌어붙어 형성되는 것으로, 간식거리가 충분하지 않던 시절 간식으로 많이 애용되던 식품이다.
상기와 같은 누룽지는 가마치 또는 눌은밥이라고도 불리우며, 맛이 고소하고 조직감이 단단하여 씹는 맛이 느껴지는 우리나라 고유의 음식으로 최근에는 전기밥솥이나 압력밥솥 등을 많이 사용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제조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쉽게 찾아볼 수 없는 음식이 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누룽지에 대한 추억을 더듬어 누룽지를 형상화한 과자류가 출시되기도 하며, 일정량의 밥을 소정시간 가압함으로써 강제적으로 밥을 눌어붙게 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누룽지 제조장치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또한, 누룽지는 주원료가 쌀과 같은 곡물로 이루어져 물을 넣고 끓이게 되면 식사 대용으로 이용가능하며, 튀긴 누룽지에 갖은 해물과 채소를 볶아서 걸쭉하게 끓인 소스를 부어 만드는 누룽지탕과 같이 요리 재료로도 그 활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누룽지의 맛을 보다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지는 것으로, 누룽지에 천연첨가재를 증착시키는 누룽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이 누룽지에 천연첨가재를 증착시키기 위하여 증착액을 사용하는 누룽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증착액이 2회 이상 사용되는 누룽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성형틀의 저면에 증착액을 도포하는 1차 증착액 도포단계와, 상기 증착액 도포단계 이후 누룽지 재료를 성형틀에 삽입하는 재료삽입단계와, 상기 재료삽입단계 이후 상기 성형틀을 가열하여 누룽지 재료를 성형틀 형상으로 정형화시키는 재료성형단계와, 상기 재료성형단계 이후 정형화된 누룽지 재료의 상면에 상기 증착액을 도포하는 2차 증착액 도포단계와, 상기 2차 증착액 도포단계에서 누룽지 재료의 상면에 도포 된 증착액에 수분이 존재할 때, 천연첨가재를 가미하는 첨가재 가미단계와, 상기 첨가재 가미단계 이후 첨가재가 가미된 누룽지 재료의 상면을 가압수단으로 눌러주는 첨가재 고착단계 및 상기 첨가재 고착단계 이후 성형틀과 상기 고착된 누룽지 재료를 분리시키는 재료분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2차 증착액은 쌀뜨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2차 증착액은 쌀뜨물과 우유 및 콩나물 삶은 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첨가재는 볶은 흑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첨가재는 들깨 미분 볶은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룽지 재료는 흑미와 일반미가 2대 8의 중량비로 배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룽지 재료는 좁쌀과 일반미가 4대 6의 중량비로 배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료분리단계 이후에는 분리된 누룽지 재료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가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료분리단계와 건조단계 사이에는 누룽지 재료를 반으로 접는 성형과정이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단계 이후에는 건조된 누룽지 재료를 분쇄하는 성형과정이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누룽지에 천연 첨가재료가 증착되어 누룽지의 맛이 보다 월등해 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천연 첨가재료를 다양하게 증착시킴으로써 누룽지의 맛을 보다 다양하게 창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누룽지에 증착되는 천연 첨가재료는 증착액을 통해 고정 되며, 상기 증착액은 주 원료가 상기 누룽지 재료의 부산물이므로 누룽지의 본래 맛을 해치지 않으면서 다양한 천연 첨가재료의 맛을 느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의한 누룽지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예인 누룽지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A-A'부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누룽지 제조방법에 의한 누룽지 제조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누룽지 제조방법이 적용된 누룽지는 대략 누룽지 재료(100)가 성형틀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누룽지 재료(100)의 상면에 천연 첨가재(200)가 고착되어 형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누룽지 제조방법이 적용된 누룽지를 제조하는 과정은 성형틀에 1차 증착액이 도포되는 1차 증착액 도포단계(S100)가 먼저 수행된다.
상기 1차 증착액(蒸着液) 도포단계(S100)에서는 미즙(米汁) 즉, 쌀뜨물에 다양한 종류의 첨가물을 가미하여 성형틀에 도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착액은 대부분이 상기 미즙(米汁)으로 구성되며, 상기 미즙은 상기 누룽지 재료(100)를 다수회 세척할 때, 상기 누룽지 재료(100)를 2회 이상 세척한 것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미즙은 용기에 일정시간 가라앉힌 뒤 상대적으로 점도가 약한 윗물은 버리고, 용기 저면에 남아있는 잔여분을 사용한다.
한편, 상기 증착액에 가미되는 첨가물은 보리쌀을 볶아서 만든 미분, 우유, 콩나물 삶은 물 등이 추가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1차 증착액이 성형틀의 저면에 도포되면, 상기 성형틀에 누룽지 재료(100)가 투입되는 재료삽입단계(S200)가 수행된다.
상기 재료삽입단계(S200)에서 투입되는 누룽지 재료(100)는 흑미와 일반미가 2대 8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 사용되거나, 좁쌀과 일반미가 4대 6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배합되는 누룽지 재료(100)의 배합 비율은 누룽지의 맛을 배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흑미가 제시한 배합비율 이상으로 투입되면 제조된 누룽지의 색이 탁해지고, 좁쌀이 제시한 배합비율 이상으로 투입되면, 제조된 누룽지의 감칠맛이 감소된다.
한편, 상기 재료삽입단계(S200)가 수행되고 나면, 상기 성형틀에 투입된 누룽지 재료(100)를 성형틀 형상으로 정형화 시키는 재료성형단계(S300)가 수행된다.
상기 재료성형단계(S300)에서는, 투입된 누룽지 재료(100)를 주걱과 같은 가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누룽지 재료(100)가 상기 성형틀의 저면에 고르게 분포할 수 있도록 가압하면서 상기 성형틀을 가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누룽지 재료(100)의 저면에는 상기 1차 증착액 도포단계(S100)에서 도포 된 증착액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증착액이 누룽지 재료(100)의 저면에 고착되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증착액층(120)을 형성하 게 된다.
이와 같은 1차 증착액층(120)은 제조된 누룽지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재료성형단게(S300)가 수행되고 나면, 정형화된 누룽지 재료(100)의 상면에 상기 증착액을 도포하는 2차 증착액 도포단계(S400)가 수행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2차 증착액 도포단계(S400)는 상기 1차 증착액 도포단계(S100)에서 도포된 증착액을 성형틀의 형상으로 정형화된 누룽지 재료(100)의 상면에 재도포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2차 증착액 도포단계(S400)를 통해 아래에서 설명할 첨가재 가미단계(S500)에서 가미되는 첨가재(200)가 용이하게 고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2차 증착액 도포단계(S400)에서 도포된 증착액에 수분이 남아 있을 때, 상기 첨가재 가미단계(S500)가 수행된다.
상기 첨가재 가미단계(S500)에서는 천연 첨가재를 별도 가공하여 상기 2차 증착액 도포단계(S400)에서 도포된 증착액의 상측에 흩뿌리는 것으로 흑임자, 들깨, 검은콩 등이 사용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흑임자는 통으로 볶아서 사용하고, 상기 들깨는 미분으로 가공한 뒤 볶아서 사용하며, 상기 검은콩은 볶은 뒤 미분으로 가공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가공 방법은 재료의 특성이 고려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첨가재 가미단계(S500)가 수행되고나면, 상기 누룽지 재료(100)의 상면에 흩뿌려진 첨가재(200)를 고착시키는 첨가재 고착단계(S600)가 수 행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첨가재 고착단계(S600)에서는 누룽지 재료(100)의 상면에 존재하는 2차 증착액의 수분을 증발시키면서 상기 첨가재 가미단계(S500)에서 흩뿌려진 천연 첨가재(200)를 누룽지 재료(100)에 고착시키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첨가재(200)가 흩뿌려진 상태에서 주걱과 같은 가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누룽지 재료(100)를 고르게 가압한다.
이때, 상기 성형틀을 가열하는 가열원을 약하게 조절함으로써 누룽지 재료(100)가 탄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누룽지 재료(100)의 상면에는 도포된 2차 증착액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2차 증착액층(140)이 형성되고 이러한 2차 증착액층(140)의 상측에는 첨가재(200)가 고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첨가재 고착단계(S600)가 수행되고 나면, 상기 누룽지 재료(100)를 성형틀에서 분리시키는 재료분리단계(S700)가 수행된다.
상기 재료분리단계(S700)에서는 상기 성형틀의 가열을 중지하고, 성형틀에 온기가 남아 있을 때, 상기 누룽지 재료(100)를 성형틀에서 분리시키게 되며, 상기 재료분리단계(S700)에서 분리된 누룽지 재료(100)는 건조단계(S800)를 거쳐 누룽지의 제조가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조된 누룽지는 포장방법을 고려하여, 별도의 성형과정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성형과정에서는 상기 재료분리단 계(S700)에서 분리된 누룽지 재료(100)에 온기가 남아 있을 때, 누룽지 재료(100)를 반으로 접어서 건조단계(S800)를 거치도록 하거나, 상기 건조단계(S800)가 완료된 이후 제조된 누룽지 재료(100)를 다수의 조각으로 분쇄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분되는 성형과정을 통해 포장되는 누룽지는 그 제조방법은 동일하나 두께가 다르게 형성된다. 즉, 다수의 조각으로 분쇄되는 성형과정에서는 상기 누룽지 재료(100)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여 분쇄가 용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성형과정은 누룽지 재료(100)를 포장하는 방법에 따른 것으로, 상기와 같이 반으로 접은 누룽지는 포장지에 개별 포장되고, 다수의 조각으로 분쇄된 누룽지는 컵과 같은 별도의 포장용기에 수용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예인 누룽지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A'부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누룽지 제조방법에 의한 누룽지 제조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누룽지 재료 120..... 1차 증착액층
140..... 2차 증착액층 200..... 첨가재
S100.... 1차 증착액 도포단계 S200.... 재료삽입단계
S300.... 재료성형단계 S400.... 2차 증착액 도포단계
S500.... 첨가재 가미단계 S600.... 첨가재 고착단계
S700.... 재료분리단계 S800.... 건조단계

Claims (10)

  1. 성형틀의 저면에 증착액을 도포하는 1차 증착액 도포단계;
    상기 증착액 도포단계 이후 누룽지 재료를 성형틀에 삽입하는 재료삽입단계;
    상기 재료삽입단계 이후 상기 성형틀을 가열하여 누룽지 재료를 성형틀 형상으로 정형화시키는 재료성형단계;
    상기 재료성형단계 이후 정형화된 누룽지 재료의 상면에 상기 증착액을 도포하는 2차 증착액 도포단계;
    상기 2차 증착액 도포단계에서 누룽지 재료의 상면에 도포 된 증착액에 수분이 존재할 때, 천연첨가재를 가미하는 첨가재 가미단계;
    상기 첨가재 가미단계 이후 첨가재가 가미된 누룽지 재료의 상면을 가압수단으로 눌러주는 첨가재 고착단계; 및
    상기 첨가재 고착단계 이후 성형틀과 상기 고착된 누룽지 재료를 분리시키는 재료분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2차 증착액은,
    쌀뜨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2차 증착액은,
    쌀뜨물과 우유 및 콩나물 삶은 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재는,
    볶은 흑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재는,
    들깨 미분 볶은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룽지 재료는,
    흑미와 일반미가 2대 8의 중량비로 배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룽지 재료는,
    좁쌀과 일반미가 4대 6의 중량비로 배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분리단계 이후에는 분리된 누룽지 재료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가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분리단계와 건조단계 사이에는
    누룽지 재료를 반으로 접는 성형과정이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 이후에는,
    건조된 누룽지 재료를 분쇄하는 성형과정이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방법.
KR1020070080965A 2007-08-11 2007-08-11 누룽지 제조방법 KR200900165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965A KR20090016526A (ko) 2007-08-11 2007-08-11 누룽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965A KR20090016526A (ko) 2007-08-11 2007-08-11 누룽지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526A true KR20090016526A (ko) 2009-02-16

Family

ID=40685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965A KR20090016526A (ko) 2007-08-11 2007-08-11 누룽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652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799B1 (ko) * 2018-11-22 2019-10-01 정경숙 발효 현미를 이용한 누룽지 스낵의 제조방법 및 그 누룽지 스낵
KR102179264B1 (ko) * 2020-07-07 2020-11-1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자연향기 곡물 발효 생성물을 이용한 누룽지 제조방법
KR102345268B1 (ko) * 2021-08-02 2021-12-31 (주)메가홀딩스 저염식 누룽지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52120A (ko) 2022-10-13 2024-04-23 왈순아지매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콩나물을 이용한 누룽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콩나물을 이용한 누룽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799B1 (ko) * 2018-11-22 2019-10-01 정경숙 발효 현미를 이용한 누룽지 스낵의 제조방법 및 그 누룽지 스낵
KR102179264B1 (ko) * 2020-07-07 2020-11-1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자연향기 곡물 발효 생성물을 이용한 누룽지 제조방법
KR102345268B1 (ko) * 2021-08-02 2021-12-31 (주)메가홀딩스 저염식 누룽지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52120A (ko) 2022-10-13 2024-04-23 왈순아지매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콩나물을 이용한 누룽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콩나물을 이용한 누룽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914B1 (ko) 인삼 월병 및 그 제조방법
KR100736013B1 (ko) 누룽지 초코스낵과 누룽지 초코파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50171B1 (ko) 누룽지 칩의 제조방법
KR101402110B1 (ko) 누룽지용 재성형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KR20090016526A (ko) 누룽지 제조방법
KR101996799B1 (ko) 발효 현미를 이용한 누룽지 스낵의 제조방법 및 그 누룽지 스낵
KR100809380B1 (ko) 마늘을 함유하는 스낵과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741978B1 (ko) 케이크용 앙금 레이스 크림 및 이를 이용한 앙금 레이스를 제조하는 방법
KR20120105091A (ko) 누룽지의 제조방법
KR100529823B1 (ko) 누룽지 제조방법
JP4400204B2 (ja) シート状米飯の製造方法
KR101615349B1 (ko) 바나나 누룽지의 제조방법
KR102014381B1 (ko) 떡 팝핑 과자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떡 팝핑 과자
KR101477987B1 (ko) 호떡 및 호떡의 제조방법
KR100453498B1 (ko) 과일유과 제조방법
KR101871354B1 (ko) 현미누룽지 비스킷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현미누룽지 비스킷
KR101626144B1 (ko) 대량 생산을 위한 누룽지 제조방법
KR101648134B1 (ko) 유과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유과
KR102414849B1 (ko) 신규한 누룽지 면류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986661B1 (ko) 저당앙금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0901651B1 (ko) 누룽지 라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94745B1 (ko) 누룽지 초코과자의 제조방법
KR20210003332A (ko) 초콜릿을 이용한 누룽지 제조방법
JP2000060491A (ja) 成形挽肉加工食品
CN113016919A (zh) 一种微膨化豆/谷夹心巧克力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