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6308A -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6308A
KR20090016308A KR1020070080846A KR20070080846A KR20090016308A KR 20090016308 A KR20090016308 A KR 20090016308A KR 1020070080846 A KR1020070080846 A KR 1020070080846A KR 20070080846 A KR20070080846 A KR 20070080846A KR 20090016308 A KR20090016308 A KR 20090016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shaping
orthopedic
steel pipes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2611B1 (ko
Inventor
이성식
Original Assignee
웰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웰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0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611B1/ko
Publication of KR20090016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external pipe alignment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06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0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는, 강관을 각각 정형할 수 있도록 원형 몸체로 이루어진 2개의 정형기가 나란히 배치되어 견인 장치 및 연결 장치에 의해 하나의 세트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각 원형 몸체는 반원형 구조의 상부 몸체와, 이 상부 몸체의 양쪽에 결합되어 개폐 및 잠금이 이루어지는 양쪽 하부 몸체가 상호 조립되어 구성되되, 상기 각 하부 몸체는 그 중간부가 분할되어, 상부 몸체에 회동축을 통해 연결된 제 1 하부 몸체와, 이 제 1 하부 몸체에 다른 회동축을 통해 연결된 제 2 하부 몸체로 구성됨으로써, 원형 몸체가 전체적으로 3단 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협소한 시공 현장에서도 용이하게 강관 연결 시공 작업을 시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맞대기, 정형기, 접속 플레이트, 3단, 정형 실린더

Description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Device for shaping roundness and jointing steel pipes of 3-steps seizing type, for constructing of jointing steel pipes}
본 발명은 강관의 연결 시공 장비 중의 하나인 강관 정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강관을 파지하기 위한 원형 몸체의 양쪽부를 3단 파지 방식으로 구현하여, 협소한 시공 현장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일반 토사구간이나 가시설 구간 등 모든 현장에서, 중대형 강관 시공시에 배관 및 용접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시공성, 경제성, 안전성 확보와 용접 접합부의 품질을 높여 배관 시스템의 내구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연구 개발의 성과에 힘입어, "강관의 시공방법"(특허 제10-0440555호), "강관의 정형장치"(특허 제10-0440185호), "강관 정형이음장치"(특허 제10-0598551호)를 특허 출원하여 특허된 바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위의 특허 발명 중 특허 제10-0598551호에 개시된 도면으 로서, 이를 참조하여 강관 정형이음장치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강관의 정형이음장치가 백호우(BH)의 작업용 암(R)에 연결되어 시공할 강관으로 이송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강관의 정형이음장치는, 도 4에서와 같이 두 개의 정형기(10)가 나란히 위치되어, 연결 장치(40) 및 견인 장치(20)를 통해 서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각 정형기(10)는 폐쇄시 원형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반원형 몸체(11a)가 구비되고, 하부에 한 쌍의 하부 몸체(11b)가 구성되는데, 이 한 쌍의 하부 몸체(11b)는 상기 반원형 몸체(11a)의 하부에 힌지(13)로 연결되어 강관의 둘레에 결합 및 분리될 때,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 몸체(11b)의 개폐 작동은 상기 반원형 몸체(11a)와 하부 몸체(11b) 사이를 연결하는 개폐 실린더(14)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양쪽 하부 몸체(11b)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는 정형기(10)가 원형 구조로 닫힌 상태에서 벌어지지 않도록 잠금 장치(15)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상기 양쪽 정형기(10)의 상부에는 도 1에서와 같이 크레인 또는 백호우(BH) 등의 작업용 암(R)과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 장치(40)가 구성된다.
상기 양쪽 정형기(10)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양쪽 강관(P)을 파지한 상태에서 양쪽 강관의 진원도를 정형할 수 있도록, 반경 방향으로 실린더가 작동되는 다수의 정형 장치(16)가 일정 간격마다 다수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양쪽 정형기(10) 사이에는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한쪽 정형 기(10)가 고정된 상태에서 다른 쪽 정형기(10)를 당겨서 상대 강관이 다른 강관에 삽입되도록 하는 견인 장치(2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강관의 정형이음장치는, 다수의 정형 장치를(16) 이용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양쪽 강관(P)을 파지한 상태에서 강관의 끝단부분을 소정의 진원도로 성형하고, 견인 장치(20)를 이용하여 양쪽 강관을 삽입 연결한 다음 용접 로봇 등이 구비된 용접 장비를 이용하여 강관의 접합부(PS)를 용접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장비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특허 발명의 강관 정형이음장치는, 하나의 반원형 몸체(11a)의 양쪽에 하부 몸체(11b)가 각각 연결되어 강관의 파지 및 해제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강관을 파지할 때 전체 장비의 진입 폭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더욱 협소한 시공 구간에서 사용하는 데는 한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발명의 강관 정형이음장치는, 강관을 정형하는 정형장치(16)가 모두 정형 실린더로만 구성되어, 강관을 보다 정밀하게 정형하는데 있어서도 한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원형 몸체를 3단 구조로 구성하여, 협소한 시공 현장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관의 하부 쪽은 고정된 받침 구조로 구성하고, 상부는 정형 실린더를 구비하여, 강관을 정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어 구조를 간단히 함과 아울러 강관 정형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관을 지지하는 플레이트가 상호 접속되게 구성함으로써 양쪽 정형기의 견인 작동시에 견인 작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양쪽 강관의 접속 이음 정도(精度)도 향상시킬 수 있는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는, 강관을 각각 정형할 수 있도록 원형 몸체로 이루어진 2개의 정형기가 나란히 배치되어 견인 장치 및 연결 장치에 의해 하나의 세트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각 원형 몸체는 반원형 구조의 상부 몸체와, 이 상부 몸체의 양쪽에 결합되어 개폐 및 잠금이 이루어지는 양쪽 하부 몸체가 상호 조립되어 구성되되, 상기 각 하부 몸체는 그 중간부가 분할되어, 상부 몸체에 회동축을 통해 연결된 제 1 하부 몸체와, 이 제 1 하부 몸체에 다른 회동축을 통해 연결된 제 2 하부 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원형 몸체의 내부에 강관의 진원을 조정하는 복수의 정형 장치가 구성되고, 상기 정형 장치는, 상기 상부 몸체에 구비되고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정형 실린더들이 설치되어 강관의 상부에 접촉하면서 강관을 정형하거나 단차를 조정하는 상부 정형기구와, 상기 하부 몸체에 구비되고 강관의 외주면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강관의 하부를 지지하는 정형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하부 정형기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정형 장치는, 상기 상부 몸체에 구비되고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정형 실린더들이 설치되어 강관의 상부에 접촉하면서 강관을 정형하거나 단차를 조정하는 상부 정형기구와, 상기 하부 몸체에 구비되고 복수의 플레이트들이 일정 간격마다 돌출되게 설치되어 강관의 하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적어도 어느 한 쌍의 플레이트들이 상호 접속된 구조로 이루어져, 견인 작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정형기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때, 신장 및 수축 작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하부 정형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정형기구는 양쪽 정형기 사이에서 상호 접속되어 수축 및 이완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접속 플레이트와, 각각 정형기에만 독립적으로 설치된 독립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는, 원형 몸체가 3단 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협소한 시공 현장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관의 하부 쪽은 고정된 받침 구조로 구성되고, 상부는 정형 실린더가 구비되어 강관을 정형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유압 제어 구조를 간단해짐과 아울러, 강관 정형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쪽 정형기 각각 구비된 지지 플레이트가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 수축 및 이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양쪽 정형기가 보다 안정된 상태로 상호 연결됨과 아울러, 양쪽 정형기의 견인 작동도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양쪽 강관의 맞대기 용접시에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의 강관 파지전 상태의 정면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의 강관 파지 상태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형이음장치를 이용하여 양쪽 강관을 견인하기 전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형이음장치를 이용하여 양쪽 강관을 견인하여 상호 접속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형이음장치의 하부 몸체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형이음장치의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단면도로서, 도 11a는 잠금 전 상태도, 도 11b는 잠금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는, 강관(P)을 각각 정형할 수 있도록 도 8에서와 같이 원형 몸체(111,112)로 이루어진 2개의 정형기(100A, 100B)가 나란히 배치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견인 장치(130) 및 연결 장치(140)에 의해 하나의 세트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먼저, 상기 양쪽 정형기(100A, 100B)의 상부에 크레인 또는 백호우 등의 인양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 장치(14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 장치(140)는 견인 작동시와 같이 상기 양쪽 정형기(100A, 100B)의 간격 조정에 따라 접혀졌다 펴졌다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연결 링크(142, 143)로 구성되어 상기 양쪽 정형기(100A, 100B)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 링크(142, 143)의 중앙부에 외부의 인양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 고리(144)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연결 링크(142, 143)는 상기 양쪽 정형기(100A, 100B)에 고정된 링크 브래킷(141)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이 링크 구조로 이루어진 연결 장치(140)는 후술할 견인 장치(130)를 이용하여, 도 8에서와 같이 양쪽 정형기(100A, 100B)를 통해 상기 양쪽 강관(P)을 각각 파지한 상태에서, 도 9에서와 같이 한쪽 정형기(100B)를 견인하여 양쪽 강관(P)이 상호 접속되어 이어지도록 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접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각 정형기(100A)(100B)의 원형 몸체(111,112)는 도 7에서와 같이 반원형 구조의 상부 몸체(113)와, 이 상부 몸체(113)의 양쪽에 결합되어 개폐 및 잠금이 이루어지는 양쪽 하부 몸체(114,115)가 상호 조립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 몸체(113)는 원형 구조에서 1/2의 크기로 분할되고, 하부 몸체(114,115)는 대략 1/4의 크기로 분할되어, 상호 조립됨으로써 강관(P)의 둘레를 파지할 수 있도록 원형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양쪽 하부 몸체(114,115)는 상기 상부 몸체(113)에 회동축(137)을 통해 연결되어 정형기(100A, 100B) 폐쇄시에는 전체가 하나의 원을 이루도록 회전하고, 강관(P)의 둘레에 삽입될 때와 같이 개방시에는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양쪽 하부 몸체(114,115)의 중간부도 각각 분할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각 하부 몸체(114)(115)는 상부 몸체(113)에 회동축(137)을 통해 연결된 제 1 하부 몸체(114A, 115A)와, 이 제 1 하부 몸체(114A, 115A)에 역시 회동축(114C, 115C)을 통해 연결된 제 2 하부 몸체(114B, 115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하부 몸체(114A, 115A)와 제 2 하부 몸체(114B, 115B)는 각각 원형에서 대략 1/8의 크기로 구성된다.
다음, 상기 상부 몸체(113)와 제 1 하부 몸체(114A, 115A)의 연결부분 사이 및 제 1 하부 몸체(114A, 115A)와 제 2 하부 몸체(114B, 115B) 사이에는 강관(P)의 둘레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때, 제 1 하부 몸체(114A, 115A) 및 제 2 하부 몸체(114B, 115B)를 벌리거나 모아지도록 하기 위한 유압 실린더(136)가 포함된 개폐 장치(135)(114D, 115D)가 구비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몸체(113)로부터 양쪽의 제 1 하부 몸체(114A, 115A)와 제 2 하부 몸체(114B, 115B)가 벌어지게 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하부 몸체(114A, 115A)와 제 2 하부 몸체(114B, 115B)가 모아지면서 원형 몸체(111,112) 전체가 강관을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하부 몸체(114A, 115A)와 제 2 하부 몸체(114B, 115B)가 분할되어 구성됨에 따라 제 1 하부 몸체(114A, 115A)와 제 2 하부 몸체(114B, 115B)가 일체로 된 종래 구성(도 2 참조)의 벌림 폭(W1)보다 작은 벌림 폭(W2)을 갖게 되므로, 가시설 구간이나, 터파기가 협소한 공사 현장 등에서 강관 파지 작동시에 걸림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강관 정형이음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정형기(100A, 100B)에는 상기 각 원형 몸체(111,112)의 내부에 강관의 진원을 조정하고, 강관의 둘레에 본 발명의 장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정형 장치(125)가 구성된다.
상기 정형 장치(125)는 크게 상부 정형기구(125A)와 하부 정형기구(125B)로 나누어지는데, 상부 정형기구(125A)는 상기 상부 몸체(113)에 구비되고, 하부 정형 기구(125B)는 상기 제 1 하부 몸체(114A, 115A)와 제 2 하부 몸체(114B, 115B)에 구비된다.
상부 정형기구(125A)는 각 상부 몸체(1131)에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는데,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정형 실린더(126) 및 이 실린더의 끝단부에 패드(127)가 부착되어 강관(P)의 외면에 밀착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정형 실린더(126)의 측면에는 유압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28)가 바로 부착되어 구성된다.
하부 정형기구(125B)는 강관의 외주면과 일치하는 정형 플레이트(171)로 구성되어, 제 1 하부 몸체(114A, 115A)와 제 2 하부 몸체(114B, 115B)의 내주면에 각각 설치된다. 즉, 도 10을 참조하면, 각 하부 몸체(114A, 115A)(114B, 115B)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내주면 상부에 정형 플레이트(171)가 설치되는데, 각 정형 플레이트(171)는 그 저면에 볼트(173)가 돌출되어 하부 몸체의 내측 구조물과 볼트 체결되어 고정된다.
다음, 상기 양쪽 제 2 하부 몸체(114B, 115B)의 상호 마주하는 끝단부, 즉 개폐 부분에 강관의 둘레에 결합될 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잠금 장치(150)가 구성된다.
이 잠금 장치(150)는 유압에 의해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한 구성을 도 11a와 도 11b를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1a와 도 11b에서는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기본 구조로 하여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양쪽 정형 기(100A, 100B) 중에서 어느 한쪽의 구성만을 나타낸 것으로, 양쪽 정형기 모두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 잠금 장치(150)는 상기 양쪽 제 2 하부 몸체(114B, 115B)의 양쪽 잠금부(114a,115a)가 서로 겹치게 위치된 상태에서 가운데 설치된 잠금 실린더(151)의 잠금 로드(153)가 양쪽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양쪽 잠금부(114a,115a)를 각각 관통하면서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도 11a에서와 같이 상기 양쪽 제 2 하부 몸체(114B, 115B)가 양쪽으로 분리되어 있는 비잠금 상태는 잠금 실린더(151)의 잠금 로드(153)가 돌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11b에서와 같이 양쪽 잠금부(114a,115a)가 상호 결합된 후에 상기 잠금 실린더(151)에 유압이 제공되면 잠금 로드(153)가 돌출되면서 양쪽 잠금부(114a,115a)의 잠금홀(114b,115b)을 관통하면서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한쪽 제 2 하부 몸체(114B, 115B)(본 실시예에서 왼쪽 제 2 하부 몸체; 114B, 115B))의 양쪽 외측면에는 잠금 플레이트(116)가 구성되고, 이 잠금 플레이트(116)에 상기 잠금홀(114b)이 구비된다.
참고로 참조 번호 155는 상기 잠금 실린더(151)에 제공되는 유압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잠금 장치(150)는 각 정형기(100A, 100B)의 외부에 별도로 돌출되는 구조 없이 잠금 로드(153)가 내부에서 양쪽으로 돌출되면서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므로, 장비의 외면이 심플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하여 장비 이용시 걸림 부분이 최소화되고,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특히, 상기 잠금 장치(150)는 각각의 정형기(100A, 100B)에 별도로 설치되므로, 양쪽 강관을 연결하기 위한 견인 작동시에 작동 간섭이나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음, 상기 양쪽 원형 몸체(111,112) 사이에는 견인 장치(130)가 구비되는데, 이 견인 장치(130)는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양쪽 강관(P)을 양쪽 정형기(100A, 100B)를 통해 각각 파지한 상태에서 도 9에서와 같이 양쪽 강관(P)이 상호 접속되어 이어지도록 한쪽 강관을 견인하여 연결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견인 실린더(131)를 작동하여 진원이 확보된 강관(P)에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견인 실린더(131)의 양측에는 양쪽 원형 몸체(111,112)를 서로 연결하는 견인 가이드봉(132)이 구비된다.
도 12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정형이음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하부 몸체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 12는 강관 견인 전의 상태도, 도 13은 강관 견인 후의 상태도이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하부 몸체 중 제 2 하부 몸체(114B) 한쪽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전술한 실시예의 제 2 하부 몸체(114B, 115B)에 구비된 하부 정형기구(125B)가 판형 구조로 형성된 반면, 본 실시예의 제 2 하부 몸체(114B, 115B)의 하부 정형기구(125B)는 강관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다수의 지지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하부 정형기구(125B)는 강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각 쌍의 지지 플레이트들(161, 162)(163, 164)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 몸체(114,115)를 이루는 양쪽 플레이트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고정된다. 물론 하부 정형기구(125B)들의 돌출 높이는 상부에 위치된 상부 조정기구(125A)를 통해 진원을 조정할 때 강관(P)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강관의 하부 진원도 및 단차도 함께 조정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하부 정형기구(125B)는 각각의 정형기(100A, 100B)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반면, 두 정형기(100A, 100B)는 강관의 견인 작동시에 도 13에서와 같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양쪽 강관을 안정되게 지지하면서 신장 및 수축도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하부 정형기구(125B)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정형기(100A, 100B) 사이에서 상호 접속되어 수축 및 이완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접속 플레이트(161, 162)와, 각 정형기에만 독립적으로 설치된 독립 플레이트(163, 164)로 구성된다. 이때 접속 플레이트(161, 162)와 독립 플레이트(163, 164)는 도면에서와 같이 일정 간격마다 번갈아가며 배치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 플레이트(161, 162)는 양쪽 정형기(100A, 100B)의 각 하부 몸체에 폭 방향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되는 부분이 암수 방식으로 결합되어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상호 마주하면서 접속되는 한 쪽 부분(162a)은 'ㄷ'자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다른 쪽 부분(161a)은 'ㅡ'자형 구조로 이루어져, 'ㅡ'자형 부분(161a)이 'ㄷ'자형 부분(162a)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쪽 정형기(100A, 100B)의 작동 상태에 따라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ㄷ'자형 구조를 갖는 접속 플레이트(162)는 하부 몸체(114)(115)에 고정된 플레이트 부분(162b)의 한쪽 끝단부에 'ㄷ'자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양쪽 플레이트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독립 플레이트(163, 164)는 상기 접속 플레이트(161, 162)를 구성하는 'ㅡ'자형 플레이트 부분(161a) 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각각의 하부 몸체(114,115)에 독립적으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접속 플레이트(161, 162)와 독립 플레이트(163, 164)로 이루어진 각 하부 정형기구(125B)는 양쪽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범위 내에 접촉하면서 지지하는 부분, 즉 양쪽 하부 정형기구(125B)가 상호 마주하는 부분(H)의 일정 구간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게 형성되고, 바깥쪽 부분(L)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부 정형기구(125B)의 높이를 다르게 형성하는 이유는, 도 9를 참고하면,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부분(H)이 강관(P)의 비코팅부(NC)에 접촉되어 강관의 코팅부(C)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하부 정형기구(125B)에서 높이가 낮은 부분(L)은 강관(P)의 표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각각의 하부 정형기구(125B)를 각 하부 몸체(114, 115)에 안정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 정형기구(125B)에서 강관 접촉되는 부분(H)에는 완충 패드 등을 설치할 수 있는데, 이때 설치될 수 있는 완충 패드는 고체형 실리콘이나, 벨트 소재로 이용되는 섬유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하부 정형기구(125B)는 양쪽 정형기(100A, 100B)를 중심으로 가운데 부분과 양쪽 부분의 높이를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강관을 파지, 견인, 정형할 때, 코팅부의 손상 없이 강관 이음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부 정형기구(125B) 중 일부 플레이트를 상호 접속되는 접속 플레이트(161, 162)로 구성함으로써 양쪽 정형기의 견인 작동이 보다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양쪽 강관의 접속 이음 정도(精度)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정형이음장치를 백호우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정형이음장치를 이용하여 강관을 파지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정형이음장치를 이용하여 강관을 파지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의 정형이음장치를 이용하여 양쪽 강관을 견인하기 전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의 정형이음장치를 이용하여 양쪽 강관을 견인한 후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의 강관 파지전 상태의 정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의 강관 파지 상태의 정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형이음장치를 이용하여 양쪽 강관을 견인하기 전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형이음장치를 이용하여 양쪽 강관을 견인하여 상호 접속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형이음장치의 하부 몸체를 보인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형이음장치의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단면도로서, 도 11a는 잠금 전 상태도, 도 11b는 잠금 상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발명에 따른 정형이음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하부 몸체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 12는 강관 견인 전의 상태도, 도 13은 강관 견인 후의 상태도이다.

Claims (4)

  1. 강관을 각각 정형할 수 있도록 원형 몸체로 이루어진 2개의 정형기가 나란히 배치되어 견인 장치 및 연결 장치에 의해 하나의 세트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각 원형 몸체는 반원형 구조의 상부 몸체와, 이 상부 몸체의 양쪽에 결합되어 개폐 및 잠금이 이루어지는 양쪽 하부 몸체가 상호 조립되어 구성되되,
    상기 각 하부 몸체는 그 중간부가 분할되어, 상부 몸체에 회동축을 통해 연결된 제 1 하부 몸체와, 이 제 1 하부 몸체에 다른 회동축을 통해 연결된 제 2 하부 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원형 몸체의 내부에 강관의 진원을 조정하는 복수의 정형 장치가 구성되고,
    상기 정형 장치는, 상기 상부 몸체에 구비되고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정형 실린더들이 설치되어 강관의 상부에 접촉하면서 강관을 정형하거나 단차를 조정하는 상부 정형기구와, 상기 하부 몸체에 구비되고 강관의 외주면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강관의 하부를 지지하는 정형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하부 정형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원형 몸체의 내부에 강관의 진원을 조정하는 복수의 정형 장치가 구성되고,
    상기 정형 장치는, 상기 상부 몸체에 구비되고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정형 실린더들이 설치되어 강관의 상부에 접촉하면서 강관을 정형하거나 단차를 조정하는 상부 정형기구와, 상기 하부 몸체에 구비되고 복수의 플레이트들이 일정 간격마다 돌출되게 설치되어 강관의 하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적어도 어느 한 쌍의 플레이트들이 상호 접속된 구조로 이루어져, 견인 작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정형기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때, 신장 및 수축 작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하부 정형기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정형기구는 양쪽 정형기 사이에서 상호 접속되어 수축 및 이완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접속 플레이트와, 각각 정형기에만 독립적으로 설치된 독립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
KR1020070080846A 2007-08-10 2007-08-10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 KR100902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846A KR100902611B1 (ko) 2007-08-10 2007-08-10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846A KR100902611B1 (ko) 2007-08-10 2007-08-10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308A true KR20090016308A (ko) 2009-02-13
KR100902611B1 KR100902611B1 (ko) 2009-06-11

Family

ID=40685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846A KR100902611B1 (ko) 2007-08-10 2007-08-10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6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189B1 (ko) * 2016-04-29 2017-02-15 이흥관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264B1 (ko) 2009-10-13 2012-05-07 웰텍 주식회사 지능형 로봇장치를 이용한 강관 외면 자동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용접방법
KR101050815B1 (ko) 2009-10-13 2011-07-20 웰텍 주식회사 지능형 자동용접로봇을 이용한 강관 현장시공 연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8571A (ja) * 1993-12-22 1995-07-18 Railway Technical Res Inst 大径鋼管用圧接装置
KR100598551B1 (ko) 2004-08-02 2006-07-07 웰텍 주식회사 강관의 정형이음장치
KR100784255B1 (ko) 2006-11-08 2007-12-11 웰텍 주식회사 강관 정형 이음 장치의 연결 장치
KR100739106B1 (ko) 2006-12-20 2007-07-12 웰텍 주식회사 강관 맞대기용 정형이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189B1 (ko) * 2016-04-29 2017-02-15 이흥관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2611B1 (ko)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9988B2 (en) Pinned connection system for crane column segments
KR100902611B1 (ko)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
EP1281017B1 (en) A method for connection of underwater pipelines and a tool for such connection
KR100440555B1 (ko) 강관의 시공방법
NO854185L (no) Innvendig apparat for anvendelse ved buttsveising av roer.
US20130333348A1 (en) Chain consisting of oval profile chain links, and method for producing a chain of this type
KR102045599B1 (ko) 콘크리트 분배기 마스트
KR101955676B1 (ko) 직선 운동하는 가동후크가 구비된 퀵 커플러
KR100850688B1 (ko) 강관 맞대기용 정형이음장치
KR100598551B1 (ko) 강관의 정형이음장치
US20180119380A1 (en) Joint mechanism and connection method for steel pipe
KR100739106B1 (ko) 강관 맞대기용 정형이음장치
KR200469569Y1 (ko) 굴삭기용 집게 장치
KR100853255B1 (ko) 강관 정형이음장치
KR100784255B1 (ko) 강관 정형 이음 장치의 연결 장치
KR100880034B1 (ko) 강관 연결 시공장비의 잠금장치
KR100828306B1 (ko) 강관 정형이음장치
KR100848547B1 (ko) 강관 시공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외면 자동용접기
CN207419479U (zh) 液压截桩机
CN102179869A (zh) 预制钢筋混凝土检查井模具的接管孔成型装置
CN207419477U (zh) 一种液压截桩机钎杆装置基套装配机构
KR100778275B1 (ko) 강관 외면 용접 로봇의 자동주행장치
CN211312508U (zh) 一种预制混凝土桩连接结构
KR101870713B1 (ko) 건설기계용 퀵 커플러 연결구조체
CN207419478U (zh) 刚性吊杆液压截桩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