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255B1 - 강관 정형 이음 장치의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강관 정형 이음 장치의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255B1
KR100784255B1 KR1020060110020A KR20060110020A KR100784255B1 KR 100784255 B1 KR100784255 B1 KR 100784255B1 KR 1020060110020 A KR1020060110020 A KR 1020060110020A KR 20060110020 A KR20060110020 A KR 20060110020A KR 100784255 B1 KR100784255 B1 KR 100784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link
connection
steel pipes
forming mach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식
Original Assignee
웰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웰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0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09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bringing two tubular members closer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정형 이음 장치의 연결 장치는, 양쪽 정형기의 간격 조정에 따라 접혀졌다 펴졌다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연결 링크로 구성되어 상기 양쪽 정형기 사이에 설치되고, 이 연결 링크의 중앙부에 외부의 인양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 고리가 구비됨으로써,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하여, 장비의 하중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장치의 생산 비용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물질이 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작동 불량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강관, 정형기, 견인 장치, 연결 링크, 중앙 링크, 연결 장치

Description

강관 정형 이음 장치의 연결 장치{Lifting connector of device which is shapes roundness and joints steel pipes}
도 1은 선행 발명의 정형 이음장치를 백호우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선행 발명의 정형 이음장치를 이용하여 강관을 파지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선행 발명의 정형 이음장치를 이용하여 강관을 파지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선행 발명의 정형 이음장치를 이용하여 양쪽 강관을 견인하기 전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선행 발명의 정형 이음장치를 이용하여 양쪽 강관을 견인한 후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를 갖는 정형 이음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를 갖는 정형 이음장치를 이용하여 양쪽 강관을 견인하기 전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를 갖는 정형 이음장치를 이용하여 양쪽 강관을 견인한 후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형 이음장치에 자동 외관 용접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형 이음장치에 자동 외관 용접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 100B : 정형기 125 : 정형 장치
130 : 견인 장치 135 : 개폐 장치
138 : 잠금 장치 140 : 연결 장치
141 : 링크 브래킷 142 : 고정판
143 : 링크 연결판 144 : 볼트
145, 145L, 145R : 좌측 링크 및 우측 링크
150 : 중앙 링크 160 : 연결 고리
162 : 연결 홀 200 : 강관 외면 용접기
210 : 용접기 주행부 220 : 용접 장치
본 발명은 강관의 연결 시공 장비인 강관 정형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간단한 구조의 링크 연결 구조로 이루어진 강관 정형 이음 장치의 연결 장치 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일반 토사구간이나 가시설 구간 등 모든 현장 조건에 대형 강관 시공시에 배관 및 용접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시공성, 경제성, 안전성 확보와 용접 접합부의 품질을 높여 배관 시스템의 내구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연구 개발의 성과에 힘입어 "강관의 시공방법"(특허 제10-0440555호), "강관의 정형장치"(특허 제10-0440185호), "강관의 정형이음장치"(특허 제10-0598551호)를 특허 출원하여 특허된 바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위의 특허 발명 중 특허 제10-0598551호에 개시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강관 정형 이음장치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 발명의 강관의 정형이음장치(이하 '강관 정형 이음장치'라 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호우(BH)의 작업용 암(R)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백호우(BH)의 유압라인과 연결되어 제어되는 것이며, 강관(P)의 생산과정이라든가 시공현장까지 운송 내지 하적 등의 과정에서 변형된 강관(P)의 끝단부분을 소정의 진원도로 성형하고 삽입 연결하고 용접하기 위한 장비이다.
이러한 강관 정형 이음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또는 백호우(BH)의 작업용 암(R) 끝단과 연결할 수 있도록 마련된 연결몸체(40)와, 이 연결몸체(40)에 강관(P)을 정형할 수 있도록 2개가 한 쌍을 이루고 동심선상에서 슬라이딩되게 마련되고 복수개로 분할된 호형몸체(11)가 힌지(13)를 중심으로 하여 개폐되도록 연결되어 폐쇄시 하나의 원을 이루며 상기 호형몸체(11)에 방사상 으로 다수의 가압실린더(16)가 설치되고 잠금장치(15)가 구비된 정형기(10)와, 이 정형기(10)를 동심선상에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연결 설치된 견인기(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형기(10)의 호형몸체(11)는 상하로 양분된 상부반원형몸체(11a)와, 이 상부반원형몸체(11a)의 양단에 힌지(13)를 통해 연결되고 하부반원형몸체를 좌우로 양분한 쿼터원형몸체(11b)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반원형몸체(11a)에 대하여 쿼터원형몸체(11b)가 개폐되게 상부반원형몸체(11a) 및 쿼터원형몸체(11b)의 연결부분에 개폐실린더(14)가 연결되어 설치된다.
특히 상기 연결몸체(40)는 상부몸체(41)에 대하여 하부몸체(42)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상부몸체(41)의 한쪽에 유압모터(43)가 장착되고 이 유압모터(43)의 출력회전축에 장착된 제1구동기어(44)와 하부몸체(42)의 제2구동기어(45)가 맞물려있으며, 상기 하부몸체(42)에는 정형기의 슬라이더(47)와 결합되는 가이드(46)가 마련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특허 발명의 강관 정형 이음장치에 구비된 연결몸체(40)는 상부몸체(41)와 하부몸체(42), 그리고 슬라이더(47) 및 가이드(46) 등 그 구조가 복잡하여, 기기 전체의 하중을 크게 증가시킴과 아울러, 장치의 생산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발명의 장치는 토사가 많은 토목 시공 현장에서 주로 사용하게 되는 바, 연결 몸체(40)의 슬라이더(47)와 가이드(46) 사이에 토사 등의 이물질이 낄 경우에 정상적인 견인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 작동 불량이 발생할 수 있 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링크 연결 구조를 통해 장비의 구성을 간단히 함과 아울러, 하중 감소는 물론, 장치의 생산 비용도 절감할 수 있고, 견인 작동 구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강관 정형 이음 장치의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정형 이음 장치의 연결 장치는, 상호 연결할 양쪽 강관을 파지하는 양쪽 정형기의 상부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외부의 인양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연결장치가 구비된 강관 정형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양쪽 정형기의 간격 조정에 따라 접혀졌다 펴졌다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연결 링크로 구성되어 상기 양쪽 정형기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 링크의 중앙부에 외부의 인양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 고리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연결 링크는 각 정형기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좌측 링크 밑 우측 링크와, 상기 좌측 링크와 우측 링크를 상호 연결하고 중앙부에 상기 연결 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중앙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연결 링크는 상기 양쪽 정형기에 고정된 링크 브래킷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도 6은 정면도이고, 도 7과 도 8은 양쪽 강관을 견인하기 전과 양쪽 강관을 견인한 후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는, 강관(P)을 각각 정형할 수 있도록 도 7에서와 같이 원형 몸체(111,112)로 이루어진 2개의 정형기(100A, 100B)가 나란히 배치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견인 장치(130) 및 연결 장치(140)에 의해 하나의 세트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각 정형기(100A)(100B)의 원형 몸체(111,112)는 도 6에서와 같이 반원형 구조의 상부 몸체(113)와, 이 상부 몸체(113)의 양쪽에 결합되어 개폐 및 잠금이 이루어지는 양쪽 쿼터형 몸체(114,115)가 상호 조립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 몸체(113)는 원형 구조에서 1/2의 크기로 분할되고, 쿼터형 몸체(114,115)는 1/4의 크기로 분할되어, 상호 조립됨으로써 강관(P)의 둘레를 파지할 수 있도록 원형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양쪽 쿼터형 몸체(114,115)는 상기 상부 몸체(113)에 회동축(137)을 통해 연결되어 정형기(100A, 100B) 폐쇄시에는 전체가 하나의 원을 이루도록 회전하고, 강관(P)의 둘레에 삽입될 때와 같이 개방시에는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된 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정형기(100A, 100B)에는 상기 각 원형 몸체(111,112)의 내부에 강관의 진원을 조정하고, 강관의 둘레에 본 발명의 장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정형 장치(125)가 구성된다.
이 정형 장치(125)는 각 원형 몸체(111,112)에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는데,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정형 실린더(126) 및 이 실린더의 끝단부에 패드(127)가 부착되어 강관(P)의 외면에 밀착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정형 실린더(126)의 측면에는 유압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28)가 바로 부착되어 구성된다.
다음, 상기 양쪽 원형 몸체(111,112) 사이에는 견인 장치(130)가 구비되는데, 이 견인 장치(130)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양쪽 강관(P)을 양쪽 정형기(100A, 100B)를 통해 각각 파지한 상태에서 도 8에서와 같이 양쪽 강관(P)이 상호 접속되어 이어지도록 한쪽 강관을 견인하여 연결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견인 실린더(131)를 작동하여 진원이 확보되는 강관(P)에 정확하게 압입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견인 실린더(131)의 양측에는 양쪽 원형 몸체(111,112)를 서로 연결하는 견인 가이드봉(132)이 구비된다.
다음, 상기 상부 몸체(113)와 쿼터형 몸체(114,115)의 연결부분 사이에는 강관(P)의 둘레에 결합시킬 때, 쿼터형 몸체(114,115)를 벌린 상태에서 다시 모아지도록 하기 위한 유압 실린더(136)가 포함된 개폐 장치(135)가 구비된다.
다음, 상기 양쪽 쿼터형 몸체(114,115)의 상호 마주하는 끝단부에는 강관에 둘레에 결합될 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잠금 장치(138)가 구성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정형 이음장치에는 상기 양쪽 정형기(100A, 100B)의 상부에 크레인 또는 백호우 등의 인양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 장치(14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 장치(140)는 상기 양쪽 정형기(100A, 100B)의 간격 조정에 따라 접혀졌다 펴졌다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연결 링크(145, 150)로 구성되어 상기 양쪽 정형기(100A, 100B)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 링크(145, 150)의 중앙부에 외부의 인양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 고리(160)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연결 링크(145, 150)는 상기 양쪽 정형기(100A, 100B)에 고정된 링크 브래킷(141)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링크 브래킷(141)은 각 정형기(100A, 100B)의 안쪽 플레이트에 볼트(144) 등의 체결 수단으로 고정되는 고정판(142)과, 이 고정판(142)에서 수직으로 세워져서 상기 연결 링크(145)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연결판(14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연결 링크(145, 150)는 상기 각 정형기(100A, 100B)의 링크 연결판(143)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좌측 링크(145L) 및 우측 링크(145R)와, 이 좌측 링크(145L)와 우측 링크(145R)를 상호 연결하는 중앙 링크(1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 링크(150)는 도 6에서와 같이 두 겹으로 구성되어, 그 사 이에 상기 좌측 링크(145L), 우측 링크(145R), 그리고 연결 고리(16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 링크(150)의 중심에는 상기 연결 고리(16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연결 고리(160)에는 인양 장치의 로프 또는 체인 등을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 홀(16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링크 구조로 이루어진 연결 장치(140)는 상기한 견인 장치(130)를 이용하여, 도 7에서와 같이 양쪽 정형기(100A, 100B)를 통해 상기 양쪽 강관(P)을 각각 파지한 상태에서, 도 8에서와 같이 한쪽 정형기(100B)를 견인하여 양쪽 강관(P)이 상호 접속되어 이어지도록 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접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정형 이음 장치를 크레인 등의 인양 장치를 이용하여 인양 또는 이송할 때는 상기 연결 장치(140)의 연결 고리(160)에 인양 장치를 연결하여 이동시키면 된다.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강관 정형 이음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9는 측면도, 10은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크게 다른 부분은 한쪽 정형기(100A, 100B)의 외측면에 강관 외면 용접기(200)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 부분은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구성되는 강관 외면 용접기(200)는 도 8에서와 같이 견인 실린더(131)가 작동하여 양쪽 강관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외면을 자동으로 용접하는 장치로서, 도 9를 참고하면, 한쪽 정형기(100A)의 측면에 원형 구조로 된 용접기 주행부(210)가 설치된다. 이 용접기 주행부(210)의 내면에는 용접 장치(220)가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주행 레일(미도시)이 구비된다.
따라서 용접 장치(220)가 상기 용접기 주행부(210)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상기 강관(P)의 외면 접속부(PS)를 자동으로 용접(W)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연결 장치(140)가 복수의 연결 링크(145, 150) 및 연결 고리(160) 등이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정형 이음 장치의 연결 장치는, 종래와 같은 복잡한 슬라이딩 방식이 아닌 링크 방식을 채택하여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하여, 장비의 하중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장치의 생산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링크 구조로 자연스럽게 접혀졌다 펴졌다 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종래의 슬라이딩 구조에서 이물질이 낄 경우에 발생하는 작동 불량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3)

  1. 상호 연결할 양쪽 강관을 파지하는 양쪽 정형기의 상부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외부의 인양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연결장치가 구비된 강관 정형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양쪽 정형기의 간격 조정에 따라 접혀졌다 펴졌다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연결 링크로 구성되어 상기 양쪽 정형기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 링크의 중앙부에 외부의 인양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 고리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정형 이음 장치의 연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 링크는 각 정형기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좌측 링크 밑 우측 링크와, 상기 좌측 링크와 우측 링크를 상호 연결하고 중앙부에 상기 연결 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중앙 링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정형 이음 장치의 연결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 링크는 상기 양쪽 정형기에 고정된 링크 브래킷에 연결되 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정형 이음 장치의 연결 장치.
KR1020060110020A 2006-11-08 2006-11-08 강관 정형 이음 장치의 연결 장치 KR100784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020A KR100784255B1 (ko) 2006-11-08 2006-11-08 강관 정형 이음 장치의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020A KR100784255B1 (ko) 2006-11-08 2006-11-08 강관 정형 이음 장치의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4255B1 true KR100784255B1 (ko) 2007-12-11

Family

ID=3914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020A KR100784255B1 (ko) 2006-11-08 2006-11-08 강관 정형 이음 장치의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42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611B1 (ko) 2007-08-10 2009-06-11 웰텍 주식회사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
US20210172268A1 (en) * 2019-12-05 2021-06-10 National Oilwell Varco Uk Limited Clamp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0100A (en) 1990-07-30 1992-06-09 Crescent Pipe Tongs, Incorporated Lifting and gripping apparatus
JPH04209198A (ja) * 1990-11-30 1992-07-30 Koken Kogyo Kk 二重管ロッドの連結方法
JPH1160143A (ja) 1997-08-06 1999-03-02 Sankyo Trading:Kk 吊上げ具
US6012752A (en) 1999-02-24 2000-01-11 Douglas; William E. Concrete pipe lif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0100A (en) 1990-07-30 1992-06-09 Crescent Pipe Tongs, Incorporated Lifting and gripping apparatus
JPH04209198A (ja) * 1990-11-30 1992-07-30 Koken Kogyo Kk 二重管ロッドの連結方法
JPH1160143A (ja) 1997-08-06 1999-03-02 Sankyo Trading:Kk 吊上げ具
US6012752A (en) 1999-02-24 2000-01-11 Douglas; William E. Concrete pipe lift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611B1 (ko) 2007-08-10 2009-06-11 웰텍 주식회사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
US20210172268A1 (en) * 2019-12-05 2021-06-10 National Oilwell Varco Uk Limited Clamp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86260B2 (en) Fluid collecting device
US20120067840A1 (en) Pinned connection system for crane column segments
KR20090086922A (ko) 구동 텀블러, 트랙 드라이브, 트랙 연결 시스템 및 트랙 인장 시스템
JP2014162646A (ja) クレーン結合部のためのピン駆動装置
KR100440555B1 (ko) 강관의 시공방법
KR100784255B1 (ko) 강관 정형 이음 장치의 연결 장치
CN103306690A (zh) 隧道加固机器人
CN204847663U (zh) 一种电梯用制动装置
CN107503333A (zh) 一种超大口径压力钢管安装方法
CN106988692B (zh) 一种排管臂可折叠的连续油管倒管装置
CN104603378A (zh) 混凝土布料杆
CN209025626U (zh) 小修井口无人化作业装备
KR100953114B1 (ko) 파이프 배관용 정형이음장치
US9217303B2 (en) Apparatu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a threaded coupling between two riser joints
KR100598551B1 (ko) 강관의 정형이음장치
US20090084748A1 (en) Common pipelayer frame for multiple machine configurations
KR100739106B1 (ko) 강관 맞대기용 정형이음장치
KR100902611B1 (ko)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
KR100848547B1 (ko) 강관 시공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외면 자동용접기
CN109458506B (zh) 一种法兰连接设备
KR100828306B1 (ko) 강관 정형이음장치
KR100778275B1 (ko) 강관 외면 용접 로봇의 자동주행장치
KR100853255B1 (ko) 강관 정형이음장치
JP4028438B2 (ja) ピン抜差し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ピン抜差し治具
KR100440185B1 (ko) 강관의 정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