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189B1 -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189B1
KR101707189B1 KR1020160053552A KR20160053552A KR101707189B1 KR 101707189 B1 KR101707189 B1 KR 101707189B1 KR 1020160053552 A KR1020160053552 A KR 1020160053552A KR 20160053552 A KR20160053552 A KR 20160053552A KR 101707189 B1 KR101707189 B1 KR 101707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ressing member
lower pressing
pair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관
장남종
조재교
Original Assignee
이흥관
(주)한성공영
(주)시조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관, (주)한성공영, (주)시조씨앤씨 filed Critical 이흥관
Priority to KR1020160053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16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of specific articles made from metal rods, tubes, or profiles, e.g. crankshafts, by specially adapted methods 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14Reconto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 상부의 일부분을 감싸는 상부 가압부재; 상기 상부 가압부재와 함께 상기 파이프의 외경을 감싸도록 다수로 분할되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하부 가압부재; 상기 파이프의 외경에 밀착되어 상기 파이프가 정원을 이루도록 상기 다수의 하부 가압부재를 회전시켜 가압하는 한 쌍의 실린더부재; 상기 한 쌍의 실린더부재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마련하여 다수로 분할된 하부가압부재에 의해 파이프를 외측에서부터 내측으로 감쌀 수 있고, 이로 인해 파이프의 손상 또는 파손의 우려 없이 파이프를 정원(正圓)으로 보정 할 수 있으며, 유압실린더에 의해 파이프를 정원으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라인스토핑 작업을 할 경우 부단수 차단 헤드를 설치하기 위해 파이프 정원이 이루어진 상태로 차단 헤드를 삽입 할 경우 용이하며 작업의 시공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고 차단 작업을 완벽하게 할 수 있으며, 바이패스관을 보다 용이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Perfect Circle Calibration Devices for Pipes}
본 발명은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도관의 변형 또는 파손에 따라 상수도관의 교체 또는 수리 작업 시 상수도관을 정원(正圓)으로 유지시켜 주는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은 정수장에서 정수 처리된 뒤, 대도시의 경우 각 자치구별로 큰 관을 통해 공급되고, 각 자치구에서는 중블록, 소블록 등으로 분류되어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다.
이러한 상수도관, 하수도관, 열 배관, 송유관 등은 주로 지중에 매설되고 있다. 이렇게 지중에 매설된 파이프는 토압, 차량의 통행에 따른 하중 등에 의해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지중에 매설된 상수도관, 하수도관 등의 파이프는 매설 시 정원(正圓)으로 설치되나, 장기간 매설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파이프의 일부가 찌그러지거나 크랙 등이 발생하게 되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수도관 등은 대략 1000㎜ ~ 2800㎜의 대형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강재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변형이나 크랙 등에 의해 파이프가 파손되는 경우, 보수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파이프의 찌그러짐 또는 형태적인 변형에 의해 지중에 매설된 파이프와 이에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를 연결할 수 없게 된다.
즉, 매설된 파이프가 높이와 폭이 다른 타원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매설된 파이프의 일부를 절단하게 되는데, 이때 매설된 파이프가 정원을 이루고 있지 못함에 따라 절단된 부위에 새로운 파이프를 맞대게 되면 2개의 파이프 사이에는 타원형으로 찌그러진 부분만큼의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설치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파이프의 파손 또는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수돗물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파손 부위를 중심으로 양측에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바이패스관이 설치된다.
이러한 유체 차단공법은 부단수 차단 공법 또는 라인스토핑(line-stopping) 공법이라 일컫는 공법으로 파이프 내로 삽입이 되어 유체를 차단하는 피봇형 차단 헤드, 폴딩형 차단 헤드, 전개판형 차단 헤드와 같은 다양한 형태 및 구조의 차단 헤드를 갖는 유체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상수도관, 지역난방의 열배관, 송유관, 가스관 등 다양한 관로의 일부 구간을 임의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관로의 유체 공급 상태에 영향을 주지않고 파이프를 유지 보수할 수 있는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유체 차단 공법용 진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유체 차단 공법용 진원 장치는 강철 소재로 이루어지고 배관의 외부를 감싸는 틀 형태로 결합과 분리가 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 내측에 배관의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수평방향(0˚)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유압 자키, 수평방향 기준 -15˚ ∼ -45˚ 사이의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유압 자키 및 15˚ ∼ 45˚ 사이의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유압 자키로 이루어져 수평방향 중심 기준 최소 30˚에서 최대 90˚ 사이의 범위에서 상기 배관을 가압하는 유압 자키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일측 프레임과 타측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분리되는 구조로 상기 일측 프레임과 상기 타측 프레임의 각 결합 부위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돌출부와 상기 삽입부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유압 자키와 나란하게 결합하는 길이 조절용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을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하기 위한 나사축 설치부를 포함하고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부의 작동암과 하부의 작동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서로 마주보며 설치되는 한 쌍의 피벗레버와 상기 마주보며 설치되는 한 쌍의 피벗레버의 작동암 내면 상에 설치되는 가압용 조를 포함하는 조 장착부와 상기 힌지축으로 축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피벗레버를 연결하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에 있어서, 상기 조 장착부의 가압용 조는 한 쌍의 작동암 각각의 내면에서 이동하는 가동조와 한 쌍의 작동암 사이에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고정조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작동암 선단 쪽 하부에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작동암 선단 쪽 하 부와 가동조 사이에 여유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77187호(2013년 6월 14일 등록)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052952호(2015년 5월 15일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 1에 따른 유체 차단 공법용 진원 장치는 파이프의 외면에 상호 대칭되는 지지프레임을 설치하여 수작업으로 조정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으며, 작업자가 외부에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파이프를 정원으로 보정하기 어렵고,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작업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 2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는 피벗 레버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작동암과 작동레버로 이루어져 작동레버에 의해 작동암의 가동조가 회전되면서 파이프의 외면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있으나, 파이프의 외면 중에서 피벗 레버와 인접한 하부 가동조가 먼저 파이프의 외면을 가압하고 난 후 상부가동조가 파이프의 외면에 접촉되므로 상부가동조와 하부가동조의 압착 시 먼저 압착되는 파이프의 일부에 가중한 힘이 가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파이프의 직경 중에서 두께의 일부가 얇아지게 되며, 이로 인해 파이프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면에 매설되어 형태적인 변형이 발생된 파이프를 정원(正圓)으로 보정하는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는 파이프의 외경에 대응되는 원호부가 구비하여 가압 작동 시 파이프의 외경을 감싸며, 각각의 원호부가 정원을 이루도록 다수의 가압 부재를 구비하는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상부의 일부분을 감싸는 상부 가압부재; 상기 상부 가압부재와 함께 상기 파이프의 외경을 감싸도록 다수로 분할되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하부 가압부재; 상기 파이프의 외경에 밀착되어 상기 파이프가 정원을 이루도록 상기 다수의 하부 가압부재를 회전시켜 가압하는 한 쌍의 실린더부재; 상기 한 쌍의 실린더부재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가압부재는 상기 상부 가압부재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하부 가압부재; 상기 제1 하부 가압부재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하부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가압부재는 상기 한 쌍의 실린더부재 일단이 결합되게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기부; 상기 제2 하부 가압부재는 상기 한 쌍의 실린더부재 타단이 결합되게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실린더부재는 상기 돌기부와 상기 연장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가압부재 및 상기 하부 가압부재는 원호부 내면에 각각 상기 파이프의 외경에 따라 두께를 달리하여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호 형상의 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에 의하면, 다수로 분할된 하부가압부재에 의해 파이프를 외측에서부터 내측으로 감쌀 수 있고, 이로 인해 파이프의 손상 또는 파손의 우려 없이 파이프를 정원(正圓)으로 보정 할 수 있으며, 유압실린더에 의해 파이프를 정원으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라인스토핑 작업을 할 경우 파이프 내 부단수 차단 헤드의 삽입이 용이하여 시공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고, 차단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며, 바이패스관을 보다 용이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를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의 작동 초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가 작동 완료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가 작동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를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는 파이프(1)의 외경에 대응되는 원호부(11)가 구비하여 가압 작동 시 파이프(1)의 외경을 감싸며, 각각의 원호부(11)가 정원을 이루도록 다수의 가압 부재를 구비하는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1) 상부의 일부분을 감싸는 상부 가압부재(10), 상기 상부 가압부재(10)와 함께 상기 파이프(1)의 외경을 감싸도록 다수로 분할되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하부 가압부재(20), 상기 파이프(1)의 외경에 밀착되어 상기 파이프(1)가 정원을 이루도록 상기 다수의 하부 가압부재(20)를 회전시켜 가압하는 한 쌍의 실린더부재(30), 상기 한 쌍의 실린더부재(30)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는 지중에 매설되어 토압 또는 차량의 통행에 따라 형태적인 변형이 이루어진 상수도관 등의 파이프(1)를 정원(正圓, 완전히 동그란 원)으로 보정하는 것이다.
즉, 지중에 매설된 상수도관은 토압 또는 차량의 하중 등을 지속적으로 받게 되므로, 파이프의 매설 시 정원(正圓)으로 매설되었다가 정원의 파이프가 타원 형상 또는 일부분에 형태적인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상수도관 등의 파이프는 파손에 의해 누수 등이 발생하게 되며, 이때 상수도관 등의 파손 시 상수도관의 급수를 차단하지 않고서 지속적인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바이패스관을 연결하게 된다.
이때 바이패스관은 정원(正圓)으로 이루어져 있고, 매설된 파이프(1)는 형태적인 변형이 발생되어 정원(正圓)이 아닌 찌그러지거나 일부가 변형된 타원의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는 찌그러지거나 타원으로 변형된 파이프의 외면을 감싸 가압하여 줌으로써, 바이패스관의 연결 시 매설된 파이프(1)를 정원(正圓)으로 보정함은 물론 정원(正圓)으로 보정된 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는 파이프(1)의 상부 일부분을 감싸는 상부 가압부재(10)와 상기 상부 가압부재(10)와 함께 파이프(1)의 외경을 감싸는 다수로 분할된 하부 가압부재(20) 및 상기 하부 가압부재(20)를 가압하는 실린더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가압부재(10)는 파이프(1)의 외경에 밀착되는 원호부(11)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실린더부재(30)가 설치되도록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기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원호부(11)는 파이프(1)의 외경에 따라 달리 형성되며, 돌기부(12)에는 실린더부재(30)의 일단이 결합되는 결합구멍(13)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부 가압부재(10)의 상부에는 장착구멍(14)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구멍(14)은 밧줄 또는 로프 등이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밧줄 또는 로프 등은 크레인(미도시)의 호이스트 등에 매달리게 된다. 이러한 장착구멍(14)은 크레인 등에 의해 이동 및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부 가압부재(10)에는 하부 가압부재(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구멍(15)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가압부재(20)는 파이프(1)의 측부에 밀착되는 제1 하부가압부재(21)와 상기 파이프(1)의 하부에 밀착되는 제2 하부가압부재(2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하부가압부재(21)는 파이프(1)의 측부에 대응되는 원호부(11)를 형성하며, 제1 하부가압부재(21)의 상부에는 제1 회전구멍(22)이 형성되고, 제1 하부가압부재(21)의 하부에는 제2 하부가압부재(2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2 회전구멍(2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하부가압부재(25)에는 파이프(1)의 외경에 밀착되는 원호부(11)가 형성되고, 원호부(11)로부터 파이프(1) 외경의 외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연장부(26)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26)에는 제2 회전구멍(23)에 결합되는 제1 구멍(26)이 형성되고, 이와 함께 실린더부재(30)가 결합되는 제2 구멍(28)이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부재(30)는 다수의 하부 가압부재(20)를 파이프(1) 외면에 밀착시켜 가압되게 한다. 실린더부재(30)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그 일단은 결합구멍(1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실린더부재(30)의 타단은 연장부(26)에 형성된 제2 구멍(2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실린더부재(30)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린더부재(30)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40)를 포함한다.
상기 유압펌프(40)는 통상의 것을 사용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부 가압부재(10) 및 하부 가압부재(20)에는 각각 서로 다른 직경의 파이프(1)의 외경에 밀착되어 가압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패드(29)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패드(29)는 상부 가압부재(10) 및 하부 가압부재(20)의 원호부(11)에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패드(29)는 실린더부재(30)의 가압력에 의해 파이프(1)의 외경을 가압할 수 있도록 경질의 합성수지 또는 강성을 갖는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패드(29)는 상부가압부재(10) 및 하부 가압부재(20)의 원호부(11)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며, 패드(29)는 미도시 된 통상의 볼트 또는 고정구 등에 의해 각각의 가압부재(10, 20)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는 상수도관 등의 파손 시 변형된 파이프(1)가 정원(正圓)을 이루도록 가압되게 한다.
상기 상부 가압부재(10)는 파이프(1)의 상부 일부분을 감싸도록 원호부(11)를 형성하며, 원호부(11)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돌기부(12)를 형성한다. 상기 돌기부(12)에는 실린더부재(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결합구멍(13)을 형성하며, 상부 가압부재(10)의 상부에는 로프 등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장착구멍(14)을 형성한다
또한 돌기부(12)에는 하부 가압부재(20)를 결합할 수 있도록 양측에 각각 회전구멍(15)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가압부재(20)는 파이프(1)의 측부를 감싸는 제1 하부가압부재(21)와 파이프(1)의 하부를 감싸는 제2 하부가압부재(25)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가압부재(20)는 제1 하부가압부재(21)와 제2 하부가압부재(25)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와 달리 3개 이상으로 분할된 다수의 하부가압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하부 가압부재(20)는 3개 또는 4개 이상으로 다수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가압부재(21)는 파이프(1)의 외경에 대응되게 원호부(11)가 형성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일(一)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가압부재(21)의 일측에는 제1 회전구멍(22)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제2 회전구멍(23)을 형성한다.
상기 제1 회전구멍(22)은 상부 가압부재(10)의 결합구멍(13)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이들 결합구멍(13) 및 제1 회전구멍(22)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를 결합한다.
상기 제2 하부가압부재(25)는 제1 하부가압부재(21)의 제2 회전구멍(23)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구멍(27)을 형성하고, 연장부(26)에는 제2 구멍(28)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 가압부재(10)의 회전구멍(15)과 제1 하부가압부재(21)의 제1 회전구멍(22)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를 결합하고, 제1 하부가압부재(21)의 제2 회전구멍(23)과 제2 하부가압부재(25)의 제1 구멍(27)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를 결합한다.
또 상부 가압부재(10)의 결합구멍(13)과 실린더부재(30)의 일측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를 결합하며, 제2 하부가압부재(25)의 제2 구멍(28)과 실린더부재(30)의 타측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를 결합한다.
아울러 실린더부재(30)는 유압펌프(40)와 호스로 연결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의 작동 초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가 작동 완료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가 작동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는 작업 위치로 이동된 다음 크레인 또는 리프트 등에 의해 일정 높이로 들어올려지며, 상수도관 등의 파이프(1) 작업 위치로 하강된다.
이때 신축된 실린더부재(30)의 신축에 의해 제1 하부가압부재(21)와 제2 하부가압부재(25)는 파이프(1)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하강되면서 파이프(1)의 외경보다 큰 간격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제2 하부가압부재(25)는 파이프(1)의 외경보다 큰 길이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제1 하부가압부재(21)는 제2 하부가압부재(21)보다 작은 간격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2 하부가압부재(25)는 실린더부재(30)의 신장에 의해 파이프(1)의 외경을 향해 회전되면서 제1 하부가압부재(21)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제2 하부가압부재(25)는 실린더부재(30)에 의해 회전 반경이 크게 이루어지고, 제1 하부가압부재(21)는 제2 하부가압부재(25)에 비하여 보다 작은 회전 반경으로 회전되기 때문이다.
상기 상부 가압부재(10)는 크레인 등에 의해 파이프(1)의 상부에 안착되고, 이때 하부 가압부재(20)는 파이프(1)의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상부 가압부재(10)가 파이프(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부재(30)는 유압펌프(40)로부터 공급된 유압에 의해 신장된다.
상기 제2 하부가압부재(25)는 실린더부재(30)의 신장에 의해 파이프(1)의 하부측을 향해 회전되며, 이와 함께 제1 하부가압부재(21)는 실린더부재(30)의 산장에 의해 파이프(1)의 측부를 향해 회전된다.
이때 제2 하부가압부재(25)는 제1 하부가압부재(21)의 회전 반경보다 큰 회전각도로 회전되므로, 상기 제2 하부가압부재(25)는 파이프(1)의 하측을 감싸게 된다.
이와 함께 제1 하부가압부재(21)는 실린더부재(30)의 신장 및 제2 하부가압부재(25)의 회전에 의해 파이프(1)의 측부를 감싸게 된다.
즉, 제1 하부가압부재(21)와 제2 하부가압부재(25)는 파이프(1)의 외경에 동시에 밀착되도록 회전된다.
상기 하부가압부재(20)는 파이프(1)의 하부 및 측부를 감싼 정원(正圓)으로 밀착되고, 상기 실린더부재(30)의 신장에 의해 파이프(1)의 외경을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형태적인 변형이 발생된 파이프(1)는 상부 가압부재(10)와 제1 하부가압부재(21) 및 제2 하부가압부재(25)의 가압력에 의해 정원(正圓)으로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 가압부재(10) 및 하부 가압부재(20)는 실린더(30)에 의해 파이프(1)를 정원(正圓)으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파이프(1)는 주관 또는 분기관 등으로 연결되어 서로 다른 직경을 갖게 되며, 상기 파이프(1)의 직경이 다를 경우 상부 가압부재(10) 및 하부 가압부재(20)의 원호부(11)에는 패드(29)를 설치하여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파이프(1)의 직경이 원호부(11)에 의해 형성되는 정원(正圓)보다 작은 경우, 상부 가압부재(10) 및 하부 가압부재(20)의 원호부(11)에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패드(29)를 설치한다.
이러한 패드(29)는 경질의 합성수지 또는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상기 패드(29)는 정원(正圓)으로 보정하고자 하는 파이프(1)의 직경에 따라 적정 두께를 사용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상부 가압부재 11: 원호부
12: 돌기부 13: 결합구멍
14: 장착구멍 15: 회전구멍
20: 하부 가압부재 21: 제1 하부가압부재
22: 제1 회전구멍 23: 제2 회전구멍
25: 제2 하부가압부재 26: 연장부
27: 제1 구멍 28: 제2 구멍
29: 패드 30: 실린더부재
40: 유압펌프

Claims (4)

  1. 파이프의 외경에 대응되는 원호부가 구비하여 가압 작동 시 파이프의 외경을 감싸며, 각각의 원호부가 정원을 이루도록 다수의 가압 부재를 구비하는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상부의 일부분을 감싸는 상부 가압부재;
    상기 상부 가압부재와 함께 상기 파이프의 외경을 감싸도록 다수로 분할되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하부 가압부재;
    상기 파이프의 외경에 밀착되어 상기 파이프가 정원을 이루도록 상기 다수의 하부 가압부재를 회전시켜 가압하는 한 쌍의 실린더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실린더부재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가압부재는, 상기 상부 가압부재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하부 가압부재; 및
    상기 제1 하부 가압부재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하부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압부재는 상기 한 쌍의 실린더부재의 일단이 결합되게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부 가압부재는 상기 한 쌍의 실린더부재의 타단이 결합되게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실린더부재는 상기 돌기부와 상기 연장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압부재 및 상기 하부 가압부재는 원호부 내면에 각각 상기 파이프의 외경에 따라 두께를 달리하여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호 형상의 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
KR1020160053552A 2016-04-29 2016-04-29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 KR101707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552A KR101707189B1 (ko) 2016-04-29 2016-04-29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552A KR101707189B1 (ko) 2016-04-29 2016-04-29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189B1 true KR101707189B1 (ko) 2017-02-15

Family

ID=58111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552A KR101707189B1 (ko) 2016-04-29 2016-04-29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1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70018A (zh) * 2015-05-27 2017-01-04 乐清市国美自动化设备制造有限公司 整形机
KR102077809B1 (ko) * 2019-07-30 2020-02-14 (주)에쎈테크 파이프의 형상 교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6308A (ko) * 2007-08-10 2009-02-13 웰텍 주식회사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
KR101277187B1 (ko) 2012-11-08 2013-07-17 (주)수맥이엔씨 유체 차단 공법용 진원 장치
KR20150052952A (ko) 2013-11-07 2015-05-15 주식회사 서원기술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6308A (ko) * 2007-08-10 2009-02-13 웰텍 주식회사 강관 연결 시공용 3단 파지형 정형이음장치
KR101277187B1 (ko) 2012-11-08 2013-07-17 (주)수맥이엔씨 유체 차단 공법용 진원 장치
KR20150052952A (ko) 2013-11-07 2015-05-15 주식회사 서원기술 파이프 연결용 압착공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70018A (zh) * 2015-05-27 2017-01-04 乐清市国美自动化设备制造有限公司 整形机
KR102077809B1 (ko) * 2019-07-30 2020-02-14 (주)에쎈테크 파이프의 형상 교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3103B2 (en) Pipe repair system
FI96527B (fi) Raskastekoinen murskaustyökalu
CA2642034C (en) Apparatus for lifting pipelines
US8082823B2 (en) Scraping tool
KR101707189B1 (ko) 파이프용 정원 보정장치
NO319635B1 (no) Anordning for sammenkopling av ror.
EP2044356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inbinden von rohrleitungen in rohrleitungstransportsysteme
US9982829B2 (en) External pipe reinforcement
KR20150000156U (ko) 파이프 지지 장치
JP2015200410A (ja) 内面材押圧装置
US4178668A (en) Pipe tool
CA2503872A1 (en) Method and device for positioning a branch connection on a pipeline
CN111550067A (zh) 一种用于装配式建筑的临边洞口防护装置及其使用方法
US201501301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amping flanges and other connections
EP0629271A4 (en) SEALING FOR PIPES.
KR101686212B1 (ko) 파이프 진원 형상 교정장치
KR102068053B1 (ko)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폴딩형 차단 장치를 이용한 에스엘에스 공법
RU2698537C2 (ru) Способ ремонта действующего газопровода с локальным сквозным дефектом без прекращения подачи газа
CN207438022U (zh) 一种管道带压快速连接器
CN112648469A (zh) 一种管线堵漏装置
KR100874410B1 (ko) 배관용 유체차단기를 이용한 배관 이설방법
CN111716069A (zh) 管道外对口器及其对口焊接方法
JP4833607B2 (ja) 補修用被覆体
JP6921408B2 (ja) 流体機器の接続工法と流体機器の接続構造及びテーパフランジ
RU2097646C1 (ru)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звития дефектов стенок трубопровод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