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3578A -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3578A
KR20090013578A KR1020070077823A KR20070077823A KR20090013578A KR 20090013578 A KR20090013578 A KR 20090013578A KR 1020070077823 A KR1020070077823 A KR 1020070077823A KR 20070077823 A KR20070077823 A KR 20070077823A KR 20090013578 A KR20090013578 A KR 20090013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
module
elastic member
elastic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5628B1 (ko
Inventor
김영욱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7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628B1/ko
Priority to US12/157,493 priority patent/US7747162B2/en
Priority to GB0812118A priority patent/GB2451547B/en
Priority to CN2008101443533A priority patent/CN101359155B/zh
Publication of KR20090013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03Built-in units
    • G03B2215/0507Pop-up mechanis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팝업부재와, 상기 피팝업부재가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에 있어서, 제1 탄성부재와, 상기 피팝업부재에 배치되는 돌기부와, 이동 부재와, 제2 탄성부재와, 제1 회전 레버부와, 신축부와 구동부를 포함하는 신축 작동부와, 접촉부와 걸림부를 구비하는 제2 회전 레버부와, 제3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을 개시한다.
팝업 모듈, 카메라

Description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Pop-up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팝업 모듈(pop-up module)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피팝업부재를 팝업 및 수납시킬 수 있는 팝업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나 캠코더 등의 촬영 장치로 어두운 환경에서 촬영을 할 때에는 플래시의 사용이 필요하다. 촬영 장치가 점차 소형화됨에 따라, 촬영장치의 플래시는 촬영 장치의 내부로 수납되고,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만 외부로 노출되는 팝업 구조를 가지도록 종종 설계되고 있다.
또한, 촬영 장치 이외의 전자기기도 공간 및 디자인 등의 이유로 상기와 같은 팝업 구조를 구비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공간의 활용을 위해 팝업 구조의 크기는 작아져야 하며, 제조 단가를 줄이기 위해 가급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팝업 구조를 구현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를 적게 차지하는 전자기기 팝업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팝업부재와, 상기 피팝업부재가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에 있어서, 상기 피팝업부재의 회전에 따라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피팝업부재에 배치되어,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납시 걸림작용을 수행하는 돌기부;와,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납시, 상기 피팝업부재에 눌려 하방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와,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납시, 일단이 상기 이동 부재에 눌려 비틀림 모멘트를 받는 제2 탄성부재;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일단은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납시 상기 제2 탄성부재로부터 힘을 받고, 타단에는 작용핀이 설치된 제1 회전 레버부;와, 상기 작용핀이 끼워지는 슬롯을 구비한 신축부와, 상기 신축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신축 작동부;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일단은 상기 신축부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타단은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납시에 상기 돌기부에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제2 회전 레버부;와, 상기 제2 회전 레버부의 회전에 따라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3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을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피팝업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힌지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힌지 구조의 힌지핀에 끼워져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일단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제1 장착핀에 끼워져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 레버부에는 제1 장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장착구멍에 제2 장착핀이 끼워져 상기 베이스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1 회전 레버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 레버부의 부분 중 상기 제2 탄성부재로부터 힘을 받는 부분에는 설치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구멍에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일부가 끼워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축 작동부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될 때 자기력이 소멸되어 상기 신축부가 신장 가능한 상태가 되며,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내부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신축부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축부가 신장 가능한 상태가 되면, 상기 신축부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접촉부를 밀면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축부가 상기 접촉부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제2 회전 레버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돌기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려있는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회전 레버부에는 제2 장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장착구멍에 제3 장착핀이 끼워져 상기 베이스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2 회전 레버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3 장착핀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팝업 모듈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팝업 모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어, 팝업 모듈이 장착된 전자기기의 소형화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팝업 모듈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제조 공수 및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팝업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가 수납된 경우에 팝업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 부재, 제2 탄성부재, 제1 회전 레버부, 솔레노이드, 제2 회전 레버부 및 제3 탄성부재를 180도 회전시켜 하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 모 듈(100)은, 피팝업부재(110), 베이스(120), 제1 탄성부재(130), 이동 부재(140), 제2 탄성부재(150), 제1 회전 레버부(160), 솔레노이드(170), 제2 회전 레버부(180) 및 제3 탄성부재(190)를 포함한다.
피팝업부재(110)는 베이스(12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팝업 모듈(100)을 카메라의 플래시부에 적용하게 되면, 플래시부를 구성하는 램프 등이 피팝업부재(110)에 내장되게 된다.
피팝업부재(110)는 베이스(120)에 힌지 구조로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 힌지핀(111)이 사용된다. 즉, 피팝업부재(110)에는 힌지구멍(110a)이 형성되고, 베이스(120)에는 힌지핀 장착 구멍(121)이 형성되며, 힌지핀(111)은 힌지핀 장착 구멍(121)을 경유하여 힌지구멍(110a)에 끼워져 설치됨으로써, 피팝업부재(110)는 팝업 작용시 힌지핀(111)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힌지핀(111)은 도 1의 x축 방향으로 배치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팝업부재(110)가 2개의 힌지핀(111)으로 베이스(120)에 장착되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피팝업부재가 베이스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면, 피팝업부재의 장착 구조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힌지핀(111) 대신에 회전축을 사용하여 피팝업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할 수도 있다.
베이스(120)는 피팝업부재(110)가 장착되며, 팝업 모듈(100)의 전체 틀(frame)을 구성하는데,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탄성부재(130)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데, 제1 탄성부 재(130)는 힌지핀(111)에 끼워져 배치된다.
피팝업부재(110)의 회전시 제1 탄성부재(130)는 축선 주위에 비틀림 모멘트를 받아 감기게 되고, 그렇게 되면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서는, 피팝업부재(110)가 팝업 위치에서 수납 위치로 회전할 때, 제1 탄성부재(130)가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이후, 피팝업부재(110)가 수납 위치로부터 팝업 위치로 회전하는 경우에, 저장한 탄성 위치에너지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팝업 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피팝업부재(110)의 일측에는 돌기부(112)가 장착되는데, 돌기부(112)는 힌지핀(111)이 설치되는 곳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피팝업부재(110)가 수납 위치에 있을 경우, 걸림 작용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돌기부(112)는 피팝업부재(110)와 따로 형성된 후, 스크류 등으로 피팝업부재(110)에 장착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돌기부와 피팝업부재는 처음부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부재(140)는 원기둥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베이스(120)의 가이드 구멍(122)에 배치된다.
가이드 구멍(122)은 중공의 원통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 이동 부재(140)는 가이드 구멍(122)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이동 부재(140)는 도 1의 z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피팝업부재(110)가 수납되는 경우에는, 피팝업부재(110)의 일부 부분은 이동 부재(140)를 누르게 되고, 눌려진 이동 부재(140)는 하부로 이동하면서 제2 탄성부 재(150)의 일단(151)을 누르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부재(140)의 하면에는 홈(140a)이 형성되어 있다. 피팝업부재(110)의 수납시에 홈(140a)은 제2 탄성부재(150)의 일단(151)에 접촉하여, 제2 탄성부재(150)의 일단(151)을 눌러 줌으로써, 제2 탄성부재(150)에 비틀림 모멘트를 주게 된다.
한편, 제2 탄성부재(150)는 제1 장착핀(123)에 끼워져 장착되는데, 제1 장착핀(123)은 베이스(120)에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제1 장착핀(123)은 도 1의 x축 방향으로 배치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장착핀(123)과 베이스(120)를 따로 형성한 뒤, 억지끼워맞춤으로 제1 장착핀(123)을 베이스(120)에 장착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장착핀과 베이스를 처음부터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착핀을 베이스에 장착하는 방법도 접착제, 용접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150)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데, 피팝업부재(110)의 수납시, 제1 회전 레버부(160)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피팝업부재(110)의 수납시에, 제2 탄성부재(150)의 일단(151)은 이동 부재(140)의 홈(140a)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타단(152)은 제1 회전 레버부(160)의 일단(161)의 설치구멍(161a)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피팝업부재(110)의 수납시, 이동 부재(140)가 제2 탄성부재(150)의 일단(151)을 눌러주게 되면, 제2 탄성부재(150)에 비틀림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고, 제2 탄성부 재(150)는 소정의 힘을 제1 회전 레버부(160)로 전달하게 된다.
제1 회전 레버부(160)는 제2 탄성부재(150)로부터 전달된 힘을 솔레노이드(17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베이스(120)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제1 회전 레버부(160)의 중앙에는 제1 장착구멍(16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회전 레버부(160)의 일단(16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탄성부재(150)의 타단(152)이 걸리는 설치구멍(161a)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162)에는 작용핀(162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장착구멍(160a)에 대응하는 제2 장착핀(124)은 도 1의 z축 방향으로 베이스(120)에 장착되게 되는데, 조립자는 제2 장착핀(124)을 제1 장착구멍(160a)에 끼운후 베이스(120)에 고정함으로써, 제1 회전 레버부(160)가 제2 장착핀(124)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장착핀(124)과 베이스(120)는 처음부터 일체로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장착핀과 베이스를 따로 형성한 뒤, 억지끼워맞춤, 접착제,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제2 장착핀을 베이스에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장착핀(124)과 베이스(120)를 따로 형성한 뒤, 나사결합으로 제2 장착핀(124)을 베이스(120)에 장착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장착핀과 베이스를 처음부터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장착핀을 베이스에 장착하는 방법도 억지끼워맞춤, 접착제, 용접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작용핀(162a)은 제1 회전 레버부(160)와 일체로 형성되며, 도 1의 z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솔레노이드(170)의 신축부(171)에 힘을 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신축 작동부인 솔레노이드(170)는 베이스(120)에 형성된 솔레노이드 장착핀(125)등으로 고정되는데, 신축부(171) 및 구동부(1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솔레노이드(170)에 전원을 인가하면 자기력이 소멸되어 신축부(171)가 신장 가능한 상태가 되며, 솔레노이드(17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내부의 자기력에 의해 신축부(171)가 구동부(172)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게 된다.
신축부(171)에는 슬롯(slot)(171a)이 형성되는데, 그 슬롯(171a)에는 작용핀(162a)이 끼워지도록 구성될 뿐만 아니라, 슬롯(171a)의 형성 길이는 작용핀(162a)이 슬롯(171a)을 따라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제1 회전 레버부(160)의 회전운동과 신축부(171)의 직선운동이 동시에 무리없이 일어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신축 작동부로서 솔레노이드(170)가 사용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적 또는 기계적 신호에 따라 신축부를 신장시키거나 신축부를 구동부에 고정시킬 수만 있다면,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지 않고, 그 외의 기계적, 전기적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신축 작동부로서 용수철 등이 사용되는 기계적인 트리거 시스템이 사용될 수도 있고, 그 작동 매체로서 자기력이 아닌 열, 유체, 정전기 등을 이용한 시스템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회전 레버부(180)는 베이스(120)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데, 제2 회전 레버부(180)의 일단에는 접촉부(18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걸림부(182)가 형성된다.
접촉부(181)는 신축부(171)와 접촉하며, 걸림부(182)는 피팝업부재(110)가 수납되는 경우, 돌기부(112)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제2 회전 레버부(180)의 중간부에는 제2 장착구멍(180a)이 형성되는데, 베이스(120)에는 제2 장착구멍(180a)에 대응하는 제3 장착핀(126)이 장착되게 된다. 여기서, 제3 장착핀(126)은 도 1의 x축 방향으로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조립자는 제3 장착핀(126)을 제2 장착구멍(180a)에 끼운 후, 베이스(120)에 고정함으로써, 제2 회전 레버부(180)가 제3 장착핀(126)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장착핀(126)과 베이스(120)를 따로 형성한 뒤, 억지끼워맞춤으로 제3 장착핀(126)을 베이스(120)에 장착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3 장착핀과 베이스를 처음부터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3 장착핀을 베이스에 장착하는 방법도 접착제, 용접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제3 탄성부재(190)는 제3 장착핀(126)에 끼워지게 되는데,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제3 탄성부재(190)의 일단은 제2 회전 레버부(180)에 접촉하여 장착되고, 타단은 베이스(120)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부(127)에 접촉하여 장착되게 된다.
여기서, 제3 탄성부재(190)는, 제1 회전 레버부(160)의 작용핀(162a)으로부 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신축부(171)가 신장됨으로써 제2 회전 레버부(180)가 회전을 시작할 때부터, 제3 탄성부재(190)가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하도록 배치한다. 그렇게 되면, 이후, 피팝업부재(110)가 팝업되어, 작용핀(162a)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이 사라지는 경우에, 제3 탄성부재(190)에 저장된 탄성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바뀌면서, 제2 회전 레버부(180)를 초기 위치로 회전시키게 되고, 그렇게 되면, 신축부(171)가 원래의 위치로 원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설명한 팝업 모듈(100)의 내부 구조를 참고로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팝업 모듈(100)이 작동되는 모습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피팝업부재(110)가 팝업 상태에서 수납 상태에 도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110)가 수납되는 경우에, 돌기부(112)와 걸림부(182)의 상호작용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사용자가 피팝업부재(110)를 수납하기 위해, 피팝업부재(110)를 위에서 누르게 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돌기부(112)의 경사부(112a)가 걸림부(182)에 접촉하게 된다.
계속하여, 사용자가 피팝업부재(110)를 누르게 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12)의 경사부(112a)는 걸림부(182)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하강하게 되는데, 이 때, 경사부(112a)는 걸림부(182)에 소정의 힘(F)을 가하게 되고, 소정의 힘(F)의 수평성분(F1)은 걸림부(182)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렇게 되면, 제2 회전 레버부(180)는 제3 장착핀(126)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3 탄성부재(190)는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하게 된다.
계속하여, 사용자가 피팝업부재(110)를 눌러, 경사부(112a)로부터 걸림부(182)가 벗어나게 되면, 상기 소정의 힘(F)의 수평성분(F1)이 더 이상 걸림부(182)에 작용하지 않게 되고, 그렇게 되면, 제3 탄성부재(190)에 저장되었던 탄성 위치에너지의 일부가 운동에너지로 전환되면서, 도 4c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82)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걸림부(182)에 돌기부(112)가 걸리게 됨으로써, 피팝업부재(110)는 수납 상태에 있게 된다.
한편, 피팝업부재(110)가 수납 상태에 이르는 과정에서, 제1 탄성부재(130)는 비틀림 모멘트를 받아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이동 부재(140)는 피팝업부재(110)에 눌려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도 6은 피팝업부재(110)가 팝업 상태에 있는 경우의 이동 부재(140)의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피팝업부재(110)가 수납 상태에 있는 경우의 이동 부재(140)의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즉,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하여 살펴보면, 이동 부재(140)는 가이드 구멍(122)에 배치되어, 가이드 구멍(12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피팝업부재(110)가 팝업 상태에서 수납 상태로 변환되는 경우, 이동 부재(140)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경우에는 이동 부재(140)의 하단이 제2 탄성부재(150)의 일단(151)을 누르게 됨으로써, 제2 탄성부재(150)는 비틀림 모멘트를 받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틀림 모멘트를 받은 제2 탄성부재(150)는 소정의 힘(P1)을 제1 회전 레버부(160)로 전달하게 된다.
즉, 비틀림 모멘트를 받은 제2 탄성부재(150)의 타단(152)은 소정의 힘(P1)으로 제1 회전 레버부(160)의 일단(161)을 밀게 되는데, 이러한 힘에 의해 회전 레버부(160)는 제2 장착핀(124)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고, 회전 레버부(160)의 작용핀(162a)은 소정의 힘(P2)으로 신축부(171)의 슬롯(171a)의 내벽을 밀게 된다.
한편, 피팝업부재(110)가 수납 상태에 있으면, 솔레노이드(17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게 됨으로써, 솔레노이드(170)의 자기력에 의해 신축부(171)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 그렇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부(171)에 접촉하는 접촉부(181)도 움직이지 않게 됨으로써, 돌기부(112)는 걸림부(182)에 계속 걸려 있게 되고, 피팝업부재(110)의 수납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9,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팝업 모듈(100)이 팝업되는 모습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가 팝업되는 순간에 제1 회전 레버부, 솔레노이드 및 제2 회전 레버부의 상호 작용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가 팝업되는 순간에 돌기부와 제2 회전 레버부의 상호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가 팝업된 직후의 팝업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 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팝업부재(110)의 수납시에는 솔레노이드(17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솔레노이드(170)의 자기력에 의해 신축부(171)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조작이나 내부 제어 회로의 지시 등에 의해 솔레노이드(170)에 전원이 인가되면, 솔레노이드(170)의 자기력이 소멸됨으로써, 신축부(171)가 신장가능한 상태가 되는데, 그렇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레버부(160)의 작용핀(162a)이 미는 힘(P2)에 의해 신축부(171)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신축부(171)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181)도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렇게 되면, 제2 회전 레버부(18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제3 탄성부재(190)에 비틀림 모멘트가 작용하여, 제3 탄성부재(190)는 탄성 위치에너지를 축적하게 된다. 여기서, 제3 탄성부재(190)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2 회전 레버부(180)가 회전할 수 있는 이유는, 제2 탄성부재(150)에 의하여 발생하는 신축부(171)를 전진시키려는 힘(P2)이 제3 탄성부재(190)의 탄성력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
그와 같이, 제2 회전 레버부(18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걸림부(182)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돌기부(112)가 걸림부(182)와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피팝업부재(110)가 팝업이 되게 된다. 이 때, 피팝업부재(110)의 수납시에 제1 탄성부재(130)에 저장되었던 탄성 위치 에너지가 운동 에너지로 바뀌 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팝업부재(110)가 자동으로 팝업되게 된다.
한편, 피팝업부재(110)가 팝업된 후의 과정을 설명한다.
피팝업부재(110)가 팝업되고 나면, 수납 상태시 피팝업부재(110)가 누르고 있던 이동 부재(140)도 위로 올라가게 되어, 제2 탄성부재(150)도 원래의 형상으로 원복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제2 탄성부재(150)가 제1 회전 레버부(160)의 일단(161)에 작용하는 힘(P1)과 작용핀(162a)이 신축부(171)에 작용하는 힘(P2)이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신축부(171)에 작용하는 힘은, 제3 탄성부재(190)의 탄성력에 의해 접촉부(181)가 신축부(171)를 미는 힘만이 존재하게 되고, 그렇게 되면, 신축부(171)는 원래의 위치로 후퇴되게 된다. 한편, 신축부(171)가 원래의 위치로 후퇴하고, 솔레노이드(170)에 전원이 끊어지게 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신축부(171)가 고정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피팝업부재(110)가 수납되는 과정, 피팝업부재(110)가 팝업되는 과정 및 팝업된 후의 과정을 설명하였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팝업 모듈(100)이 카메라(200)의 플래시부에 적용되어 피팝업부재(110)가 팝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카메라(200)의 플래시부에 적용된 팝업 모듈(100)은, 카메라 외부의 밝기가 기준 밝기보다 작으면, 센서가 이를 측정하여, 내부의 제어 장치가 피팝업부재(110)를 자동으로 팝업시켜 플래시를 발광하여 촬영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팝업 모듈(100)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구비하여 모듈화가 가능함으로써, 여러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팝업 모듈(100)은, 그 내부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기 때문에, 제조 공수 및 제조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작은 부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팝업 모듈(100)이 장착된 전자기기의 소형화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팝업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가 수납된 경우에 팝업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 부재, 제2 탄성부재, 제1 회전 레버부, 솔레노이드, 제2 회전 레버부 및 제3 탄성부재를 180도 회전시켜 하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가 수납되는 경우에, 돌기부와 걸림부의 상호작용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가 수납된 경우에 돌기부와 제2 회전 레버부의 상호 작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가 팝업된 경우에 이동 부재의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가 수납된 경우에 이동 부재의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가 수납된 경우에 제1 회전 레버부, 솔레노이드 및 제2 회전 레버부의 상호 작용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가 팝업되는 순간에 제1 회전 레버부, 솔레노이드 및 제2 회전 레버부의 상호 작용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 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가 팝업되는 순간에 돌기부와 제2 회전 레버부의 상호 작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가 팝업된 직후의 팝업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팝업 모듈이 카메라의 플래시부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팝업 모듈 110: 피팝업부재
111: 힌지핀 112: 돌기부
120: 베이스 121: 힌지핀 장착 구멍
122: 가이드 구멍 123: 제1 장착핀
124: 제2 장착핀 125: 솔레노이드 장착핀
126: 제3 장착핀 127: 스프링 걸림부
130: 제1 탄성부재 140: 이동 부재
150: 제2 탄성부재 160: 제1 회전 레버부
161a: 설치구멍 162a: 작용핀
170: 솔레노이드 171: 신축부
171a: 슬롯 172: 구동부
180: 제2 회전 레버부 181: 접촉부
182: 걸림부 190: 제3 탄성부재
200: 카메라

Claims (14)

  1. 피팝업부재와, 상기 피팝업부재가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에 있어서,
    상기 피팝업부재의 회전에 따라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피팝업부재에 배치되어,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납시 걸림작용을 수행하는 돌기부;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납시, 상기 피팝업부재에 눌려 하방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납시, 일단이 상기 이동 부재에 눌려 비틀림 모멘트를 받는 제2 탄성부재;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일단은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납시 상기 제2 탄성부재로부터 힘을 받고, 타단에는 작용핀이 설치된 제1 회전 레버부;
    상기 작용핀이 끼워지는 슬롯을 구비한 신축부와, 상기 신축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신축 작동부;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일단은 상기 신축부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타단은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납시에 상기 돌기부에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제2 회전 레버부; 및
    상기 제2 회전 레버부의 회전에 따라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3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팝업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힌지 구조로 장착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힌지 구조의 힌지핀에 끼워져 배치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일단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제1 장착핀에 끼워져 장착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레버부에는 제1 장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장착구멍에 제2 장착핀이 끼워져 상기 베이스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1 회전 레버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레버부의 부분 중 상기 제2 탄성부재로부터 힘을 받는 부분에는 설치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구멍에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일부가 끼워지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작동부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된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될 때 자기력이 소멸되어 상기 신축부가 신장 가능한 상태가 되며,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내부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신축부가 고정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가 신장 가능한 상태가 되면, 상기 신축부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접촉부를 밀면서 이동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가 상기 접촉부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제2 회전 레버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돌기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려있는 상태가 해제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레버부에는 제2 장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장착구멍에 제3 장착핀이 끼워져 상기 베이스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2 회전 레버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3 장착핀에 끼워져 설치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KR1020070077823A 2007-08-02 2007-08-02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KR101335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823A KR101335628B1 (ko) 2007-08-02 2007-08-02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US12/157,493 US7747162B2 (en) 2007-08-02 2008-06-10 Pop-up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GB0812118A GB2451547B (en) 2007-08-02 2008-07-02 Pop-up moduel for electronic device
CN2008101443533A CN101359155B (zh) 2007-08-02 2008-07-28 用于电子装置的弹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823A KR101335628B1 (ko) 2007-08-02 2007-08-02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578A true KR20090013578A (ko) 2009-02-05
KR101335628B1 KR101335628B1 (ko) 2013-12-03

Family

ID=39707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823A KR101335628B1 (ko) 2007-08-02 2007-08-02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47162B2 (ko)
KR (1) KR101335628B1 (ko)
CN (1) CN101359155B (ko)
GB (1) GB245154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8985B2 (en) 2011-01-18 2014-11-04 Ability Enterprise Co., Ltd. Flash module and image-captur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4311A (ja) * 2010-01-28 2011-08-11 Sanyo Electric Co Ltd ストロボ装置
KR101696805B1 (ko) * 2011-02-01 2017-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의 팝업 플래시
JP5943751B2 (ja) * 2012-07-18 2016-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発光装置
CN103777436B (zh) * 2012-10-24 2017-05-24 浙江艺迅装饰设计工程有限公司 闪光灯弹出结构
CN103338327A (zh) * 2013-06-29 2013-10-02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摄像头弹出机构
CN103501403B (zh) * 2013-09-27 2017-06-13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弹出机构和摄像头
US11523034B2 (en) 2016-02-10 2022-1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aging apparatus
US10165162B2 (en) 2016-06-27 2018-12-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lectromagnetic camera device
JP6729849B2 (ja) * 2016-07-22 2020-07-29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操作ユニットの組み付け構造
US10317779B2 (en) 2016-08-16 2019-06-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ag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7054B2 (ja) 1988-07-06 1997-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トロボを内蔵するカメラ
US5384612A (en) 1990-11-29 1995-01-24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having a pop up flash unit driven by one direction of a motor
US5363162A (en) 1991-05-17 1994-11-08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with valuable illumination angle pop-up flash
JP2630522B2 (ja) * 1991-10-18 1997-07-1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塗布方法及び装置
JPH0741539U (ja) 1993-12-29 1995-07-21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ストロボ内蔵カメラ
US6226456B1 (en) * 1997-03-12 2001-05-01 Konica Corporation Lens-fitted film unit with built-in strobe
US6434333B2 (en) * 1997-05-01 2002-08-13 Minolta Co., Ltd. Driving mechanism using shape-memory alloy
JP3397721B2 (ja) 1999-06-25 2003-04-21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内蔵フラッシュのポップアップ機構
KR100806391B1 (ko) * 2003-04-28 2008-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팝업구동이 가능한 플래시 장치를 구비한 촬영기기
CN100395649C (zh) * 2003-12-03 2008-06-18 宇东光学公司 具有自动弹出结构的闪光灯模组
KR20050090801A (ko) * 2004-03-10 2005-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기기의 플래시 팝업장치
TWI263108B (en) 2004-10-01 2006-10-01 Asia Optical Co Inc Flash device having ejecting structure
CN100418005C (zh) * 2004-11-09 2008-09-10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弹起式闪光灯机构
KR101156680B1 (ko) 2005-01-12 2012-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트로보 팝업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8985B2 (en) 2011-01-18 2014-11-04 Ability Enterprise Co., Ltd. Flash module and image-captu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51547B (en) 2010-07-07
GB2451547A (en) 2009-02-04
CN101359155A (zh) 2009-02-04
GB0812118D0 (en) 2008-08-06
CN101359155B (zh) 2012-07-18
US7747162B2 (en) 2010-06-29
US20090034957A1 (en) 2009-02-05
KR101335628B1 (ko) 201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628B1 (ko)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US11237456B2 (en) Blade driving device, camera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021022B2 (en) Lighting structure
US20080310832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with pop-up flash structure
JP2011158793A (ja) 撮像装置
KR101310234B1 (ko)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US10593914B2 (en) Battery cover structure for portable optical communication equipment and optical communication equipment
US10632612B2 (en) Assembly for robot and robot having the same
KR101242623B1 (ko)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JP2016206571A (ja) 撮像装置
KR101683454B1 (ko) 팝업장치
JP2014228713A (ja) リードスクリュー装置とこれを用いたレンズ駆動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カメラ
KR20090075538A (ko)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US10488735B2 (en) Focal-plane shutter, and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that are provided therewith
KR20090060668A (ko)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KR20100094199A (ko) 구동 모터를 구비한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US9104089B2 (en) Electronic device
KR101623831B1 (ko) 외부 장치의 장착을 위한 장착 구조
KR101193063B1 (ko) 전자기기 팝업 모듈
CN113014705B (zh) 电子设备
JP4728038B2 (ja) カメラのフラッシュ機構
US6542697B1 (en) Camera having light emission unit
JP2010197789A (ja) 電子機器及びその組立て方法
JP2016128850A (ja) 内蔵ストロボのバウンス機構
JP2023092160A (ja) カメ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