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4199A - 구동 모터를 구비한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 Google Patents

구동 모터를 구비한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4199A
KR20100094199A KR1020090013514A KR20090013514A KR20100094199A KR 20100094199 A KR20100094199 A KR 20100094199A KR 1020090013514 A KR1020090013514 A KR 1020090013514A KR 20090013514 A KR20090013514 A KR 20090013514A KR 20100094199 A KR20100094199 A KR 20100094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
lead screw
base
modu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6221B1 (ko
Inventor
김상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3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221B1/ko
Publication of KR20100094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있어서 피팝업 부재를 자동으로 팝업 및 수납시킬 수 있는 구동 모터를 구비한 팝업 모듈에 관한 것으로, 플래시부를 구비한 피팝업 부재; 상기 피팝업 부재가 장착되는 장착부와, 소정의 나사 면이 형성된 나사부를 구비한 이동 부재; 상기 나사부의 나사 면과 결합하는 나사 면을 구비한 리드 스크류; 상기 리드 스크류의 일단이 장착되는 제 1 베이스와, 상기 리드 스크류의 타단이 장착되는 제 2 베이스를 구비한 베이스; 및 상기 리드 스크류의 타단에 결합하여 회전력을 전달하고, 제 1 제어 신호를 입력하면 제 1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제어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구동 모터를 구비한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Pop-up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providing electric motor}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팝업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피팝업 부재를 자동으로 팝업 및 수납시킬 수 있는 구동 모터를 구비한 팝업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나 캠코드 등의 촬영 장치로 어두운 환경에서 촬영을 할 때에는 플래시의 사용이 필요하다.
촬영 장치가 점차 소형화됨에 따라, 촬영 장치의 플래시는 촬영 장치의 내부로 수납되고,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만 외부로 노출되는 팝업 구조를 가지도록 설계되고 있다. 또한, 촬영 장치 이외의 전자기기도 공간 및 디자인 등의 이유로 상기와 같은 팝업 구조를 구비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는 팝업 모듈 가운데는 플래시가 포함된 피팝업 부재를 수동으로 팝업 시키는 것과, 솔레노이드 조립체를 사용하여 피팝업 부재를 자동으로 팝업 시키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그런데, 종래의 솔레노이드 조립체를 사용한 팝업 구조는, 팝업 시(스트로보 오픈 시) 작동을 위해 솔레노이드를 이용해 잠김 상태의 후크(hook)를 풀어줘야 하기 때문에 잠김 구조 및 잠김 걸림량에 한계가 있어 외부 충격이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쉽게 잠김 상태가 풀려 오작동 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피팝업 부재의 수납시에는 수동식으로 사용자가 직접 닫아줘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팝업 부재를 자동으로 수납하고, 외부 충격에 의해 잠김 상태가 쉽게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팝업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플래시부를 구비한 피팝업 부재; 상기 피팝업 부재가 장착되는 장착부와, 소정의 나사 면이 형성된 나사부를 구비한 이동 부재; 상기 나사부의 나사 면과 결합하는 나사 면을 구비한 리드 스크류; 상기 리드 스크류의 일단이 장착되는 제 1 베이스와, 상기 리드 스크류의 타단이 장착되는 제 2 베이스를 구비한 베이스; 및 상기 리드 스크류의 타단에 결합하여 회전력을 전달하고, 제 1 제어 신호를 입력하면 제 1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제어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리드 스크류에 끼워져 상기 리드 스크류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부재의 나사부는 상기 이동 구멍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은 상기 제 1 베이스 및 제 2 베이스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가이드 봉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가이드 봉이 끼워지는 이동 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리드 스크류가 끼워지는 이동 구멍과 상기 가이드 봉이 끼워지는 이동 구멍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동 부재의 수직 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해, 상기 제 1 베이스의 양 측면에 상기 이동 부재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슬롯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피팝업 부재의 팝업 시, 상기 피팝업 부재에 장착된 이동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리드 스크류가 장착되는 상기 제 1 베이스 및 제 2 베이스의 양단은 저지벽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리드 스크류의 타단은 제 2 베이스의 장착홀에 장착되고, 상기 리드 스크류는 상기 장착홀을 관통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2 베이스는 상기 구동 모터를 수납하는 모터 수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에 의하면, 피팝업 부재를 자동으로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구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서 팝업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한 잠김 상태가 풀리는 것을 막아 기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팝업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 모듈(100)은 피팝업 부재(110), 이동 부재(120), 리드 스크류(130), 가이드 봉(140), 제 1 베이스(150), 제 2 베이스(160) 및 구동 모터(170)를 포함한다.
팝업 모듈(100)을 카메라의 플래시부에 적용하게 되면 플래시부(111)를 구성하는 램프 등이 피팝업 부재(110)에 내장되며, 피팝업 부재(110)는 베이스(150, 160)에 대하여 수직 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를 위하여 피팝업 부재(110)의 후면에는 이동 부재(120)가 장착된다.
이동 부재(120)에는 피팝업 부재(110)에 장착되는 장착부(121)와, 나사 면이 형성된 나사부(125)가 구비된다.
장착부(121)에는 두 개의 장착 구멍(122a, 122b)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 구멍(122a, 122b)에는 피팝업 부재(110)의 저면에 형성된 관통 구멍(112a, 112b)을 관통하여 장착핀(113a, 113b)이 결합되어 피팝업 부재(110)를 이동 부재(120)에 고정 시킨다. 본 실시 예에서 설명된 장착 구멍(122a, 122b)의 위치 및 개수 등은 예시일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의해 제한받지 않는다.
피팝업 부재(110)가 장착부(121)에 결합된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 부 재(120)에는 두 개의 이동 구멍(123, 124)이 형성된다.
제 1 이동 구멍(123)의 내부에는 소정의 나사 면이 형성된 나사부(125)가 구비되고, 제 1 이동 구멍(123)에는 후술할 리드 스크류(130)가 끼워진다. 제 2 이동 구멍(124)에는 후술할 가이드 봉(140)이 끼워지며, 제 2 이동 구멍(124)에는 나사 면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제 1 이동 구멍(123)의 나사면(125)은 리드 스크류(130)의 나사면(135)에 결합되어, 리드 스크류(130)에 의한 회전 운동에 대응하여 이동 부재(120)의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 시킨다. 그 결과, 이동 부재(120)에 장착된 피팝업 부재(110)의 수직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한다. 이때, 원활한 움직임을 위해 제 1 이동 구멍(123)의 나사면(125)과 리드 스크류(130)의 나사면(135) 사이에는 간극(clearance)이 필요하다. 즉, 리드 스크류(130)의 나사면(135)이 제 1 이동 구멍(123)의 나사면(125)에 억지끼워 맞춤이 되지 않게 설계되어야 한다.
제 2 이동 구멍(124)은 리드 스크류(130)의 나사면(135)과 제 1 이동 구멍(123)에 형성된 나사면(125)의 결합에 의해 생성된 이동 부재(120)의 직선 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하기 위하여 가이드 봉(140)을 따라 움직인다. 즉, 피팝업 부재(110)의 팝업 작용이 흔들림 없이 수행되도록 가이드 한다. 이를 위해 제 1 이동 구멍(123)과 제 2 이동 구멍(124)의 위치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활한 움직임을 위해 제 2 이동 구멍(124)과 가이드 봉(140)의 외면 사이에는 간극(clearance)이 생기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및 제 2 이동 구멍(123, 124)에 리드 스크류(130) 및 가이드 봉(140)이 끼워짐으로써, 이동 부재(120)의 수평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상쇄하고 수직 방향으로의 운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리드 스크류(130)에 인가된 회전력이 리드 스크류(130)의 나사면(135)에 결합 된 이동 부재(120)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수평력은 리드 스크류(130)와 가이드 봉(140)에 의한 이동 부재(120)의 수평 지지력에 의해 상쇄되고, 회전축에 평행한 수직력만 이동 부재(120)에 전달되므로 이동 부재(120)의 직선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동 부재(120)에 장착된 피팝업 부재(110)의 수직 운동을 흔들림 없이 가이드 한다.
한편, 상기 이동 부재에 형성된 이동 구멍은 본 실시 예와 같이 반드시 두 개일 필요는 없다. 상기 도면들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만약 가이드 봉이 구비되지 않고, 하나의 리드 스크류 만으로 이동 부재의 수직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이동 부재에 형성되는 이동 구멍은 하나로 충분하다. 다만, 팝업 작용시 피팝업 부재의 팝업 작용이 흔들림 없이 수행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하여 이동 구멍의 위치는 이동 부재의 중심부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가이드 부재만으로 이동 부재를 가이드 하는 경우에는, 수평 방향의 흔들림을 상쇄하기 위하여, 제 1 베이스(150)의 양측에 이동 부재 가이드 슬롯을 별도로 더 구비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130)는 이동 부재(120)의 나사부(125)에 결합할 수 있는 소정의 나사면(135)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 1 이동 구멍(123)에 끼워진다.
리드 스크류(130)의 일단(131)은 제 1 베이스(150)의 제 1 장착홀(151)에 장 착 고정된다. 리드 스크류(130)의 타단(132)은 제 2 베이스(160)의 제 1 장착홀(161)에 장착된다.
한편, 리드 스크류(130)의 타단(132)의 외경은 나사면(135)의 외경보다 크게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 부재(120)의 수직 하강 운동 시, 이동 부재(120)가 더 이상 내려가지 않도록 걸림으로써 피팝업 부재(1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리드 스크류(130)의 타단(132)에는 후술할 구동 모터(170)의 회전축(171)이 결합 될 수 있는 결합홈(133)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봉(140)은 이동 부재(120)의 제 2 이동 구멍(124)에 끼워진다.
가이드 봉(140)의 일단(141)은 제 1 베이스(150)의 제 2 장착홀(152)에 장착된다. 가이드 봉(140)의 타단(142)은 제 2 베이스(160)의 제 2 장착홀(162)에 장착된다.
한편, 가이드 봉(140)의 타단(142) 상부에는 원형의 돌기판(143)이 구비되어 있어서, 제 2 이동 구멍(124)을 통한 이동 부재(120)의 수직 하강 운동 시, 이동 부재(120)가 더 이상 내려가지 않도록 걸림으로써 피팝업 부재(1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멈춤 돌기(113) 및 가이드 슬롯(123)이 피팝업 부재(110) 및 베이스(120)의 양 측면에 모두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피팝업부재(110) 및 베이스(120)의 일 측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리드 스크류(130) 및 가이드 봉(140)이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베이스(150, 160)는 팝업 모듈(110)의 전체 틀(frmae)을 구성하며, 금속이나 합성수 지 등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 베이스(150)의 하단에 형성된 두 개의 장착 구멍(153a, 153b), 제 2 베이스(160)의 상단에 형성된 두 개의 장착 구멍(163a, 163b)은 중심이 일치되도록 배치되고, 이들 장착 구멍(153a, 153b, 163a, 163b)에 장착핀(154a, 154b)이 장착되어 제 1 베이스(150)와 제 2 베이스(160)를 서로 고정한다. 본 실시 예에서 설명된 제 1 베이스(150)와 제 2 베이스(160)의 결합 방법, 장착 구멍(153a, 153b, 163a, 163b)의 위치 및 개수 등은 예시일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의해 제한받지 않는다.
한편, 제 2 베이스(160)의 하부에는 후술할 구동 모터(170)를 수납하는 모터 수납부(16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동 모터(17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 부재(120)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구동 모터(170)의 축(171)은 제어 신호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만약 제 1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 모터(17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동 부재(120)가 수직 상승 운동을 하게 되면, 피팝업 부재(110)는 팝업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만약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 모터(17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동 부재(120)가 수직 하강 운동을 하게 되면 피팝업 부재(110)는 팝업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 예에 따른 팝업 모듈에 따르면, 피팝업 부재의 팝업 온(ON)/오프(OFF) 동작을 전부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170)로는 일반적인 모터가 사용될 수 있고, 기어 내장 모 터(geared motor)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팝업 모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팝업 부재가 수납된 경우에 팝업 모듈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피팝업 부재(110)가 수납 상태에 이르는 과정에서 구동 모터(170)에 제 1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 모터(170)는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발생 된 회전력은 구동 모터(170)의 회전축(171)에 결합 된 리드 스크류(13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리드 스크류(130)의 회전에 의해 리드 스크류의 나사면(135)은, 이동 부재(120)의 나사면(125)을 밀어낸다.
이때, 리드 스크류(130)에 인가된 회전력이 리드 스크류(130)의 나사면(135)에 결합 된 이동 부재(120)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수평력은 리드 스크류(130)와 가이드 봉(140)에 의한 이동 부재(120)의 수평 지지력에 의해 상쇄되고, 리드 스크류(130)의 회전축에 평행한 수직력만 이동 부재(120)에 전달되므로 이동 부재(120)는 수직 하방 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가이드 봉(140)의 하단에는 원형의 돌기판(143)이 구비되고, 리드 스크류(130)의 하단(132)도 돌출되어 있어서, 이동 부재(120)의 수직 하강 시, 이동 부재(120)가 더 이상 내려가지 않도록 걸림으로써 피팝업 부재(110)의 이탈을 방지 하고, 피팝업 부재(110)는 안정적으로 제 1 및 제 2 베이스(150, 160)에 안착되어 수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팝업 부재가 팝업된 경우에 팝업 모듈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은 도 4의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피팝업 부재(110)가 수납된 상태에서, 구동 모터(170)에 제 2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 모터(170)는 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발생 된 회전력은 구동 모터(170)의 회전축(171)에 결합 된 리드 스크류(13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리드 스크류(130)의 회전에 의해 리드 스크류의 나사면(135)은, 이동 부재(120)의 나사면(125)을 밀어낸다.
이때, 리드 스크류(130)에 인가된 회전력이 리드 스크류(130)의 나사면(135)에 결합 된 이동 부재(120)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수평력은 리드 스크류(130)와 가이드 봉(140)에 의한 이동 부재(120)의 수평 지지력에 의해 상쇄되고, 리드 스크류(130)의 회전축에 평행한 수직력만 이동 부재(120)에 전달되므로 이동 부재(120)는 수직 상방 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제 1 베이스(150)의 상단에는 리드 스크류(130) 및 가이드 봉(140) 장착되는 제 1 장착홀(151) 및 제 2 장착홀(152)이 구비되어 있고, 제 1 베이스(150)의 상단은 저지벽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동 부재(120)의 수직 상승 시, 이동 부재(120)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베이스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팝업 모듈(100)이 카메라(200)의 플래시부에 적용되어 피팝업 부재(110)가 팝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카메라(200)의 플래시부에 적용된 팝업 모듈(100)은, 카메라 외부의 밝기가 기준 밝기보다 작으면, 센서가 이를 측정하여, 내부의 제어 장치가 피팝업 부재(110)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구동 모터(170)에 제 1 제어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피팝업 부재(110)를 팝업시켜 플래시를 발광하여 촬영하게 된다.
또한, 소정의 플래시 작업이 완료되면, 내부의 제어 장치가 피팝업 부재(110)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구동 모터(170)에 제 2 제어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피팝업 부재(110)를 자동으로 베이스(150, 160)에 수납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팝업 모듈(100)은, 종래의 솔레노이드 조립체를 구비한 팝업 모듈과는 달리 피팝업 부재를 자동으로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구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서 팝업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한 잠김 상태가 풀리는 것을 막아 기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 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팝업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팝업 부재가 수납된 경우에 팝업 모듈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팝업 부재가 팝업된 경우에 팝업 모듈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은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한 팝업 모듈의 피팝업 부재가 팝업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 >
100: 팝업 모듈 110: 피팝업부재
111: 플래시부 112a, 112b: 관통 구멍
113a, 113b: 장착핀 120: 이동 부재
121: 장착부 122a, 122b: 장착 구멍
123: 제 1 이동 구멍 124: 제 2 이동구멍
125: 나사부 130: 리드 스크류
133: 결합 홈 140: 가이드 봉
143: 돌기판 150: 제 1 베이스
160: 제 2 베이스 165: 모터 수납부
170: 구동 모터 171: 회전축

Claims (9)

  1. 플래시부를 구비한 피팝업 부재;
    상기 피팝업 부재가 장착되는 장착부와, 소정의 나사 면이 형성된 나사부를 구비한 이동 부재;
    상기 나사부의 나사 면과 결합하는 나사 면을 구비한 리드 스크류;
    상기 리드 스크류의 일단이 장착되는 제 1 베이스와, 상기 리드 스크류의 타단이 장착되는 제 2 베이스를 구비한 베이스; 및
    상기 리드 스크류의 타단에 결합하여 회전력을 전달하고, 제 1 제어 신호를 입력하면 제 1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제어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리드 스크류에 끼워져 상기 리드 스크류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부재의 나사부는 상기 이동 구멍의 내부에 형성된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은 상기 제 1 베이스 및 제 2 베이스에 의해 양단 이 지지되는 가이드 봉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가이드 봉이 끼워지는 이동 구멍을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스크류가 끼워지는 이동 구멍과 상기 가이드 봉이 끼워지는 이동 구멍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의 수직 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해, 상기 제 1 베이스의 양 측면에 상기 이동 부재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슬롯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팝업 부재의 팝업 시, 상기 피팝업 부재에 장착된 이동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리드 스크류가 장착되는 상기 제 1 베이스 및 제 2 베이스의 양단은 저지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스크류의 타단은 제 2 베이스의 장착홀에 장착되고,
    상기 리드 스크류는 상기 장착홀을 관통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이스는 상기 구동 모터를 수납하는 모터 수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9. 제 1 항 내지 8 항 중 어느 한 항의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20090013514A 2009-02-18 2009-02-18 구동 모터를 구비한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KR101596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514A KR101596221B1 (ko) 2009-02-18 2009-02-18 구동 모터를 구비한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514A KR101596221B1 (ko) 2009-02-18 2009-02-18 구동 모터를 구비한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199A true KR20100094199A (ko) 2010-08-26
KR101596221B1 KR101596221B1 (ko) 2016-02-22

Family

ID=4275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514A KR101596221B1 (ko) 2009-02-18 2009-02-18 구동 모터를 구비한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2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6125A1 (zh) * 2017-11-17 2019-05-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功能组件及移动终端
WO2021127928A1 (zh) * 2019-12-23 2021-07-01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一种升降式双向旋转镜头的电子设备及其使用方法
KR102603792B1 (ko) * 2022-08-11 2023-11-17 김동우 미니어처 관람 팝업 카메라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7250A (ja) * 1999-06-03 2000-12-15 Fuji Photo Optical Co Ltd ポップアップストロボを備えたカメラ
JP2003295030A (ja) * 2002-03-29 2003-10-15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ユニット及び電子カメ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7250A (ja) * 1999-06-03 2000-12-15 Fuji Photo Optical Co Ltd ポップアップストロボを備えたカメラ
JP2003295030A (ja) * 2002-03-29 2003-10-15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ユニット及び電子カメ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6125A1 (zh) * 2017-11-17 2019-05-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功能组件及移动终端
WO2021127928A1 (zh) * 2019-12-23 2021-07-01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一种升降式双向旋转镜头的电子设备及其使用方法
KR102603792B1 (ko) * 2022-08-11 2023-11-17 김동우 미니어처 관람 팝업 카메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6221B1 (ko) 201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7162B2 (en) Pop-up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JP7354142B2 (ja) 移動端末
US8781315B2 (en) Camera accessory device that is removably attached to camera-side accessory shoe
US8368808B2 (en) Camera module having a rotatable imaging unit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721415B2 (ja) 撮像装置
US8827471B2 (en) Storage structure and support mechanism for light emitting device
KR20100094199A (ko) 구동 모터를 구비한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CN110062139B (zh) 相机模块以及电子装置
KR20120083824A (ko) 플래시 모듈 및 영상 캡쳐링 장치
US8559810B2 (en) Extendable emitter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6206571A (ja) 撮像装置
JP2015141281A (ja) 撮像装置
KR200403448Y1 (ko) 감시카메라장치
JP6049363B2 (ja) 撮像装置
JP2012038465A (ja) 電子機器
JP2013130699A (ja) 電子機器
JP5820180B2 (ja) パチンコ機
JP6494225B2 (ja) 撮像装置
JP2018018000A (ja) 発光装置、及び撮像装置
JP2023170892A (ja) カメラ装置
JP2006284725A (ja) レンズ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撮像装置
JP2017120321A (ja) 電子機器
KR101448533B1 (ko)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US9395601B2 (e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light emitting section
KR20150043192A (ko) 적외선 필터 교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