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3824A - 플래시 모듈 및 영상 캡쳐링 장치 - Google Patents

플래시 모듈 및 영상 캡쳐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3824A
KR20120083824A KR1020110018770A KR20110018770A KR20120083824A KR 20120083824 A KR20120083824 A KR 20120083824A KR 1020110018770 A KR1020110018770 A KR 1020110018770A KR 20110018770 A KR20110018770 A KR 20110018770A KR 20120083824 A KR20120083824 A KR 20120083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sliding block
hook
base
solenoi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8256B1 (ko
Inventor
웨이-퐁 린
이-지에 리아오
팅-쳉 린
Original Assignee
어빌러티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빌러티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어빌러티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83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8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factors external to the apparatus
    • H04N1/6086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factors external to the apparatus by scene illuminant, i.e. conditions at the time of picture capture, e.g. flash, optical filter used, evening, cloud, daylight, artificial lighting, white point measurement, colour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03Built-in units
    • G03B2215/0507Pop-up mechanis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플래시 모듈 및 이를 응용한 영상 캡쳐링 장치를 제공한다. 플래시 모듈은 플래시, 베이스, 솔레노이드 밸브, 링키지 바, 후크, 제1 탄성소자, 제2 탄성소자를 포함한다. 플래시 작동이 필요할 때, 각 소자는 일련의 동작을 진행하여, 플래시로 하여금 열림 위치까지 자동으로 이동하게 한다.

Description

플래시 모듈 및 영상 캡쳐링 장치{FLASH MODULE AND IMAGE-CAP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플래시 모듈과 그 플래시 모듈을 응용하는 영상 캡쳐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촬영 기술에서 플래시(flash)는 인공적으로 빛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써 촬영하고자 하는 장면을 밝혀 준다. 야간 장면과 같은 비교적 어두운 장면에 비교적 큰 노출(exposure)휘도를 얻거나 또는 실제적인 광선을 시뮬레이션해야하는 장면에서 플래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밖에, 만약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물건의 영상을 캡쳐링하거나 또는 광선품질을 변화시키고자 할 때도 플래시를 사용한다.
현재 디지털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자동방식으로 플래시를 작동시킨다. 플래시 작동과 사진 캡쳐링은 반드시 동시에 진행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싱크 케이블, 무선신호 또는 광감지 등 방식으로 플래시를 작동시킬 수 있다.
내장형 자동팝업 플래시 유닛은 일종의 메커니즘 설계로서, 플래시가 디지털 카메라 구조에 내장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며, 플래시를 작동해야 때, 플래시는 수용공간으로부터 발광위치까지 팝업한다. 사용자가 셔터를 누르면, 플래시는 동시에 발광한다.
내장형 플래시 유닛은 반드시 한정된 공간 내에서 가장 적은 개수의 소자를 이용하여 플래시의 열림 동작과 닫힘 동작을 완성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가 가볍고 얇으며 또한 소형화의 발전추세에 부합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장 적은 개수의 소자를 이용하여 플래시의 열림 동작과 닫힘 동작을 완성함으로써 가볍고 얇으며 소형화의 발전추세에 부합하는 내장형 플래시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모듈은 플래시, 베이스, 솔레노이드 밸브, 링키지 바, 후크, 제1 탄성소자, 제2 탄성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플래시는 걸림홈, 제1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플래시가 열림 위치 또는 닫힘 위치까지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기 플래시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관통홀을 구비한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제1 위치에 고정시킨다. 상기 링키지 바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과 서로 접촉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링키지 바의 상단은 상기 플래시의 하부 가장자리를 지탱한다. 상기 후크는 L형을 이루며, 상기 후크의 일단은 갈고리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기 걸림홈 내에 걸어잠그고, 상기 후크의 타단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피벗축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후크는 상기 후크를 회전하게 하는 제2 회전축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탄성소자는 양단을 구비하되, 그 중 일단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피벗축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탄성소자는 상기 피벗축에 대해 힘을 인가한다. 상기 제2 탄성소자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플래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래시에 대해 힘을 인가한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모듈은 플래시, 베이스, 솔레노이드 밸브, 링키지 바, 후크를 포함한다. 상기 플래시는 제1 회전축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1 회전축은 상기 플래시를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회전축을 통해 상기 플래시와 연결되고, 상기 플래시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베이스상에 설치되고, 관통홀을 구비한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링키지 바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상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과 서로 접촉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후크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제2 회전축을 구비하고, 그 중 상기 제1 단부는 갈고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플래시를 걸어잠그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피벗축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후크로 하여금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슬라이딩 블록과 서로 잠금결합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제2 회전축을 통해 회전한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캡쳐링 장치는 환경 휘도를 측정하는 광센서, 상기 환경 휘도에 따라 플래시 신호를 제공하는 연산센터, 및 전술한 두 실시예 중 하나의 플래시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모듈은 극히 적은 수의 소자를 이용하여 플래시의 열림과 닫힘을 완성한다. 또한, 응용된 영상 캡쳐링 장치에 대해 각 소자의 연결관계는 모두 수직방향이며, 이에 따라 영상 캡쳐링 장치의 두께를 효과적으로 줄임으로써 사이즈를 최소화하는 목적에 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장형 플래시 모듈은 가장 적은 개수의 소자를 이용하여 플래시 열림 동작과 닫힘 동작을 진행하고, 응용되는 영상 캡쳐링 장치에 대해 각 소자의 연결관계는 모두 수직방향이므로 영상 캡쳐링 장치의 두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 중 도 1a는 플래시 모듈의 닫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b는 플래시 모듈의 열림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모듈의 주요 소자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모듈의 주요 소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 중 도 3a와 도 3b는 닫힘 상태를 두개의 시각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c는 열림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모듈의 당김 리브(10e)가 당김바(80a)를 잡아당기는 상세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중 도 4a는 플래시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를 나타내며, 도 4b는 플래시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를 나타내고 있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모듈의 주요 소자가 닫힘 상태와 열림 상태에서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다른 플래시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중 도 6a는 플래시 모듈의 정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A-A'방향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상 캡쳐링 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장치는 제1 실시예의 플래시 모듈을 응용하고 있다.
아래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 외에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광범위하게 실시가능하며 아래 모든 실시예에 대한 단순교체, 수정, 균등한 변화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을 완벽하게 이해하도록 돕기 위하여 많은 특정 세부사항을 개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생략되어도 여전히 실시 가능하다. 한편, 세부 사항에 잘 알려진 절차 또는 소자를 설명하지 않았는데 이는 본 발명에 대한 불필요한 한정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도면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는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로 표시했다. 특히 주의해야 할 점은,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도면은 단지 표시하기 위한 것일 뿐, 소자의 실제 사이즈나 수량을 나타낸 것이 아니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모듈(1)의 사시도이며, 그 중 도 1a는 플래시 모듈(1)의 닫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b는 플래시 모듈(1)의 열림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모듈(1)은 디지털 카메라 또는 캠코더와 같은 영상 캡쳐링 장치에 응용할 수 있다. 그 중 플래시 모듈(1)은 플래시(10)를 포함하고, 플래시(10)를 사용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장면을 밝힐 때, 플래시(10)는 도 1a에 도시한 닫힘 위치로부터 도 1b에 도시한 열림 위치로 열린다. 사용자가 셔터 버튼을 누른 후, 플래시(10)는 동시에 빛을 발산한다.
상기 실시예의 플래시 모듈(1)은 연동부재를 이용하여 플래시(10)로 하여금 닫힘과 자동 열림 동작을 완성하고, 상세하게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래시 모듈(1)의 주요 소자를 설명한다.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모듈(1) 중 주요 소자의 분해도를 나타내고 있는데, 플래시(10), 베이스(20), 솔레노이드 밸브(30), 제1 비틀림 스프링(40), 링키지 바(50), 후크(60), 제2 비틀림 스프링(70), 스위치(80)를 포함한다.
각 소자 사이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 3a 내지 도 3c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모듈(1)의 주요 소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 중 도 3a와 도 3b는 닫힘 상태를 두 시각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c는 열림 상태에서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면을 더욱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베이스(20)를 생략하였다.
도 2, 도 3a 내지 도 3c를 동시에 참고하면, 플래시(10)는 적어도 걸림대(10a), 걸림홈(10b), 대칭되는 두 축홀(10c), 제1 회전축(10d)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베이스(20)는 수용공간(20a), 개구(20b), 두개의 리브(20c)를 구비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말하면 각 리브(20c)는 리브홀(20d)을 구비하고 있다. 그 중 제1 회전축(10d)은 동시에 플래시(10)의 두 축홀(10c)과 베이스(20)의 두 리브홀(20d)를 관통함으로써, 플래시(10)와 베이스(20)가 서로 연결되고, 플래시(10)가 제1 회전축(10d)에 의해 회전하도록 한다. 그밖에, 제2 비틀림 스프링(70)은 베이스(20)의 두 리브(20c)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동시에 제1 회전축(10d)에 의해 관통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2 비틀림 스프링(70)은 제3 단부(70a)와 제4 단부(70b)를 구비하고 있으며, 베이스(20)의 제1 오목홈(20h)과 플래시(10)의 제2 오목홈(10g)에 각각 끼워넣는다. 이에 따라, 제2 비틀림 스프링(70)은 항상 정y방향을 향한 추진력 또는 회전토크를 제공하며, 만약 이러한 힘이 제지되지 않는다면, 플래시(10)는 제1 회전축(10d)을 회전축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xy평면상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실제적인 작업에서 제2 비틀림 스프링(70)은 탄성소자 또는 토크소자에 의해 대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밖에, 다시 도 2, 도 3a 내지 도 3c를 동시에 참고하면, 후크(60)는 갈고리부(60a), 제2 회전축(60b), 축홀(60c), 피벗축(60d)을 구비하고 있다. 그 중 제2 회전축(60b)은 축홀(60c)을 관통하고, 후크(60)가 xy평면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갈고리부(60a)가 플래시(10)의 걸림대(10a)의 걸림홈(10b) 내에 삽입되면 플래시(10)는 닫힘 위치에 있게 된다. 갈고리부(60a)가 걸림대(10a)를 이탈하면 플래시(10)는 열림 위치에 있게 된다. 닫힘 위치에서 플래시(10)는 베이스(20)의 수용공간(20a)내에 수납되고, 그 중 걸림대(10a)는 베이스(20)의 개구(20b) 안에 수납하게 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30) 상측에는 y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 블록(30a)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중 슬라이딩 블록(30a)은 관통홀(30b)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솔레노이드 밸브(30)는 상시 닫힘형 솔레노이드 밸브이며, 그 안에 자석(미도시) 및 한 세트의 마그네틱 코일(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솔레노이드 밸브(30)에 전기가 흐르지 않을 때, 슬라이딩 블록(30)은 자석의 자력에 이끌리어 고정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 밸브(30)와 결합한다. 솔레노이드 밸브(30)에 전기가 흐를 때, 마그네틱 코일은 도통되어 자석의 자력과 서로 상반되는 자력을 생성하는데, 이때 마그네틱 코일에 생성된 자력은 자석의 자력과 서로 상쇄되어, 슬라이딩 블록(30a)이 더 이상 자력의 제한을 받지 않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c를 동시에 참고하면, 이때 만약 슬라이딩 블록(30a)에 대해 y방향의 외력을 가하면, 슬라이딩 블록(30a)은 y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관이 L형인 후크(60)의 일단에 피벗축(60d)을 구비하고 있으며, 피벗축(60d)의 타단은 슬라이딩 블록(30a)의 관통홀(30b)을 관통하고, 제1 비틀림 스프링(40)은 베이스(20)의 볼록축(20f)을 관통하고 제1 단부(40a)와 제2 단부(40b)를 구비하고, 제1 단부(40a)는 베이스(20)의 볼록블록(20g)과 베이스(20)가 형성된 오목홈에 걸려있고, 제2 단부(40b)는 슬라이딩 블록(30a)의 외측에서 후크(60)의 피벗축(60d)에 걸려있고, 이와 같이 제1 비틀림 스프링(40)은 피벗축(60d)을 통해 슬라이딩 블록(30a)에 항상 정y방향을 향한 추진력 또는 회전토크를 가한다. 그러므로, 만약 상기 슬라이딩 블록(30a)과 솔레노이드 밸브(30)의 자력이 없어지면, 제1 비틀림 스프링(40)은 슬라이딩 블록(30a)이 y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실제적인 조작에서 제1 비틀림 스프링(40)은 탄성소자 또는 토크소자에 의해 대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를 참고하면, 링키지 바(50)는 슬라이딩 블록(30a)의 상측에 설치되고, 가이드홈(50a)을 구비하고, 그 윤곽은 슬라이딩 블록(30a)과 서로 일치한다. 그러므로 슬라이딩 블록(30a)이 제1 비틀림 스프링(40)을 통해 정y방향으로 이동할 때, 가이드홈(50a)은 슬라이딩 블록(30a)의 푸쉬에 의해 링키지 바(50)로 하여금 동시에 정y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반대로, 링키지 바(50)에 부y방향의 추진력을 가할 때, 링키지 바(50) 또한 가이드홈(50a)에 의해 슬라이딩 블록(30a)이 부y방향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래시(1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링키지 바(50)의 상단은 플래시(10)의 하부 가장자리를 지탱한다.
마지막으로, 도 3b와 도 3c를 참고하면, 스위치(80)는 플래시(10)의 타측에 설치되어 플래시(10)의 위치를 감지한다. 플래시(10)는 또한 당김 리브(10e)를 더 포함하고, 스위치(80)는 당김바(80a)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중 플래시(10)의 위치가 변할 때, 당김 리브(10e)가 당김바(80a)를 당기게 함으로써, 플래시(10)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도 4a와 도 4b는 당김 리브(10e)가 당김바(80a)를 당기는 상세 상황을 추가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그 중 도 4a는 플래시(1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를 나타내고, 도 4b는 플래시(10)이 열림 위치에 있을 때를 나타낸다. 주의해야 할 점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위치(80)와 당김 리브(10e)를 생략할 수 있으며, 다른 방식으로 플래시(10)의 위치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어서, 전체 플래시 모듈(1)의 열림 과정과 닫힘 과정을 설명한다.
도 5a와 도 5b는 각각 상기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모듈(1)의 주요 소자의 닫힘 상태와 열림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그 중 도면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베이스(20)를 생략하였다.
도 2, 도 5a 및 도 5b를 동시에 참고하면, 플래시(1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솔레노이드 밸브(30)에 전기가 흐르지 않고 닫힘 상태가 되며,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30)의 자석은 슬라이딩 블록(30a)에 대해 자력을 가한다. 여기서 상기 자력은 제1 비틀림 스프링(40)이 슬라이딩 블록(30a)에 대해 정y방향으로 가하는 힘보다 크므로, 슬라이딩 블록(30a)을 솔레노이드 밸브(30) 내에 고정시킬 수 있는바, 예를 들면 도 5a와 같은 닫힘 위치이다. 영상 캡쳐링 장치가 플래시(10)를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전환하도록 결정할 때, 솔레노이드 밸브(30)는 순간적으로 전기가 흘러 슬라이딩 블록(30a)에 가하는 자력이 상쇄되어 없어지므로, 제1 비틀림 스프링(40)은 피벗축(60d)이 슬라이딩 블록(30a) 및 링키지 바(50)와 함께 정y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때 피벗축(60d)이 정y방향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전체 후크(60)가 제2 회전축(60b)을 회전축심으로 xy평면상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고, 후크(60)의 갈고리부(60a)가 걸림홈(10b)을 이탈한 후 플래시(10)를 이탈하게 한다. 이때, 제2 비틀림 스프링(70)을 구속하는 힘이 없어져 플래시(10)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xy평면상에서 시계방향으로 일정한 각도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각도는 45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어서 도 5a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플래시(10)를 닫고자 할 때, 수동으로 플래시(10)를 누를 수 있으며, 또한 누른 힘은 제2 비틀림 스프링(70)이 정y방향으로 향하는 반대방향의 힘보다 크므로 플래시(10)의 하부 가장자리가 링키지 바(50)에 접촉하고, 나아가 링키지 바(50)로 하여금 가이드홈(50a)을 통해 슬라이딩 블록(30a)을 부y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닫힘 위치로 돌아오게 한다. 그리고 다시 솔레노이드 밸브(30)내 자석의 자력에 이끌리게 된다. 그밖에, 슬라이딩 블록(30a)은 피벗축(60d)을 부y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후크(60)를 제2 회전축(60b)을 중심으로 xy평면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갈고리부(60a)는 걸림홈(10b)에 삽입되어 플래시(10)를 닫힘 위치에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주의할 점은 플래시(10)는 xy평면에서 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하여 열린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도 6a와 도 6b는 본 실시예에서 플래시(10)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중 도 6a는 플래시 모듈(1)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6b는 도 6a의 A-A'방향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를 동시에 참고하면, 플래시(10)는 여전히 정지부(10f)를 더 포함하며, 베이스(20)는 측벽(20e)을 더 포함한다. 플래시(10)가 xy평면상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정지부(10f)도 회전하게 되어 측벽(20e)에 접촉하게 된다. 그밖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탄성 부재로 상기 제1 비틀림 스프링(40)과 제2 비틀림 스프링(70)을 교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캡쳐링 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장치는 위에 설명한 플래시 모듈(1)을 응용하고 있으며, 본 도면은 플래시 모듈(1)이 열림 상태일 때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영상 캡쳐링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또는 디지털 캠코더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영상 캡쳐링 장치는 플래시 모듈(1) 외에 광센서(2), 연산센터(미도시), 렌즈 모듈(3), 셔터 버튼(4)을 더 포함한다.
도 7을 예로 들면, 사용자가 사진을 찍고자 할 때, 셔터 버튼(4)을 반만 누르면, 영상 캡쳐링 장치는 포커싱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이때 연산센터는 광센서(2)로부터 현재의 환경 휘도를 수신하고, 환경 휘도에 따라 플래시 모듈(1)의 작동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환경의 휘도를 증가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환경 휘도가 소정의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기준으로 하되, 만약 초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연산센터는 상기 환경 휘도에 따라 플래시 명령을 제공하여 플래시 모듈(1) 내부의 각 소자가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일련의 동작을 진행하도록 하여 플래시(10)를 영상 캡쳐링 장치로부터 팝업시킨다. 플래시(10)가 열림 위치까지 팝업될 때, 상기 스위치(80)는 위치확인신호를 연산센터로 피드백하고, 연산센터는 동시에 플래시(10)에 대해 충전 명령을 하달한다. 플래시(10)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때, 사용자는 사진을 찍기 위하여 셔터 버튼(4)을 완전히 누르면, 플래시(10)는 빛을 발산하고, 광센서(2)는 바로 영상을 캡쳐한다. 촬영을 마친 후, 사용자는 수동으로 플래시(10)를 누르고, 앞의 과정을 통해 플래시(10)를 수용공간(20a)에 수용한다. 그 중 광센서(2)는 광전 전환 유닛으로서, 유사한 광신호를 감지하여 광신호를 디지털 전기신호로 전환시키는데 이용되며, 특히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플래시 모듈은 가장 적은 개수의 소자를 이용하여 플래시 열림 동작과 닫힘 동작을 진행하고, 응용되는 영상 캡쳐링 장치에 대해 각 소자의 연결관계는 모두 수직방향이다. 이에 따라, 영상 캡쳐링 장치의 두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사이즈를 최소화하는 목적에 도달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개시된 정신에 따라 진행한 균등한 변경 또는 수정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 플래시 모듈
2: 광센서
3: 렌즈 모듈
4: 셔터 버튼
10: 플래시
10a: 걸림대
10b: 걸림홈
10c: 축홀
10d: 제1 회전축
10e: 당김 리브
10f: 정지부
10g: 제2 홈부
20: 베이스
20a: 수용공간
20b: 개구
20c: 리브
20d: 리브홀
20e: 측벽
20f: 볼록축
20g: 볼록블록
20h: 제1 오목홈
30: 솔레노이드 밸브
30a: 슬라이딩 블록
30b: 관통홀
40: 제1 비틀림 스프링
40a: 제1 단부
40b: 제2 단부
50: 링키지 바(linkage bar)
50a: 가이드홈
60: 후크(hook)
60a: 갈고리부
60b: 제2 회전축
60c: 축홀
60d: 피벗축(pintle)
70: 제2 비틀림 스프링
70a: 제3 단부
70b: 제4 단부
80: 스위치
80a: 당김바

Claims (15)

  1. 걸림홈 및 제1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축은 플래시가 열림 위치 또는 닫힘 위치까지 회전하도록 하는 플래시;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기 플래시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 베이스;
    관통홀을 구비한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제1 위치에 고정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슬라이딩 블록과 서로 접촉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단은 상기 플래시의 하부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링키지 바;
    L형을 이루며, 일단은 갈고리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기 걸림홈 내에 걸어잠기고, 타단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피벗축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2 회전축을 통해 회전하는 후크;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피벗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피벗축에 힘을 가하는 제1 탄성소자;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플래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래시에 힘을 가하는 제2 탄성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해제할 때, 상기 제1 탄성소자는 상기 피벗축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제2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그 중 상기 피벗축은 상기 후크로 하여금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여, 상기 갈고리부를 상기 플래시의 상기 걸림홈에서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플래시로 하여금 상기 제2 탄성소자 및 상기 제1 회전축을 통해 상기 열림 위치까지 회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에 인가되는 힘이 상기 제2 탄성소자가 인가하는 힘의 역방향의 힘보다 클 때, 상기 플래시는 상기 제1 회전축을 통해 회전하고, 상기 하부 가장자가 상기 링키지 바에 접촉되게 함으로써 나아가 상기 링키지 바가 상기 가이드홈 및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밀어 상기 제1 위치로 되돌아오게 하고, 그 중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상기 관통홀은 상기 피벗축 및 상기 후크가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여 상기 갈고리부를 상기 플래시의 상기 걸림홈 내에 삽입시켜 상기 플래시가 상기 닫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모듈은 당김바를 구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래시는 당김 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래시는 상기 당김 리브가 상기 닫힘 위치 및 상기 열림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상기 당김 리브가 상기 당김바를 당겨 상기 플래시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는 정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래시가 회전할 때, 상기 정지부도 연동 회전하여 상기 베이스의 일측벽에 바로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모듈.
  6. 플래시를 회전하게 하는 제1 회전축을 구비한 플래시;
    상기 제1 회전축을 통해 상기 플래시와 연결되고, 상기 플래시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 베이스;
    상기 베이스상에 배치되며, 관통홀을 구비한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한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상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과 서로 접촉하는 가이드홈을 구비한 링키지 바; 및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제2 회전축을 구비하고, 그 중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플래시를 걸어잠그는 갈고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피벗축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슬라이딩 블록과 서로 잠금결합하고, 상기 제2 회전축을 통해 회전하는 후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비틀림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벗축과 상기 베이스 사이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플래시 사이에 각각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열림 상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해제할 때, 상기 비틀림 소자는 상기 피벗축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잡아당기고, 그 중 상기 피벗축은 상기 후크가 상기 제2 회전축을 통해 회전하게 하고, 상기 갈고리부가 상기 플래시의 걸림홈을 이탈하게 함으로써, 상기 플래시로 하여금 상기 비틀림 소자 및 상기 제1 회전축을 통해 열림 위치까지 회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닫힘 상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래시가 회전하여 상기 링키지 바를 밀 때, 상기 링키지 바는 상기 가이드홈 및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연동하여 밀어, 상기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결합시키고, 그 중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상기 관통홀은 상기 피벗축 및 상기 후크로 하여금 상기 제2 회전축을 통해 회전하게 하여, 상기 갈고리부로 하여금 상기 플래시의 걸림홈을 잠그게 함으로써, 상기 플래시를 닫힘 위치에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모듈.
  10. 환경 휘도를 측정하는 광센서, 상기 환경 휘도에 따라 플래시 신호를 제공하는 연산센터, 및 플래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플래시 모듈은,
    걸림홈 및 제1 회전축을 포함하고, 그 중 상기 회전축을 이용하여 열림 위치 및 닫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플래시;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기 플래시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 베이스;
    슬라이딩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관통홀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딩 블록과 결합한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슬라이딩 블록과 접촉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끼워넣은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상기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플래시의 하부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링키지 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제2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는 갈고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기 걸림홈에 걸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피벗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회전축을 통해 회전하는 후크;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피벗축 사이에 배치된 제1 탄성소자;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플래시의 사이에 배치된 제2 탄성소자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캡쳐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센터는 포커싱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환경 휘도에 따라 상기 플래시 모듈의 작동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플래시 모듈을 작동하는 경우, 상기 플래시로 하여금 상기 열림 위치까지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캡쳐링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해제할 때, 상기 제1 탄성소자는 상기 피벗축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이동시키고, 상기 피벗축은 상기 후크가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고, 그 중 상기 갈고리부는 상기 플래시의 상기 걸림홈을 이탈함으로써, 상기 플래시가 상기 제1 회전축에 의해 상기 열림 위치까지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캡쳐링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가 상기 제2 탄성소자의 토크(torque)에 대항하는 역방향의 힘을 인가받을 때, 상기 플레시의 하부 가장자리는 상기 링키지 바에 접촉되어, 상기 링키지 바로 하여금 상기 가이드홈을 거쳐 상기 슬라이딩 블록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와 결합되게 하고, 그 중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상기 관통홀은 상기 피벗축 및 상기 후크가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여 상기 후크를 상기 플래시의 상기 걸림홈에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플래시는 상기 닫힘 위치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캡쳐링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모듈은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당김바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플래시는 당김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래시는 상기 당김 리브를 회전시켜 상기 당김 리브가 상기 당김바를 당겨, 상기 플래시의 위치확인신호를 상기 연산센터로 피드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캡쳐링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광전 전환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캡쳐링 장치.
KR1020110018770A 2011-01-18 2011-03-03 플래시 모듈 및 영상 캡쳐링 장치 KR1011882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0101740A TWI425293B (zh) 2011-01-18 2011-01-18 閃光燈模組及影像擷取裝置
TW100101740 2011-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824A true KR20120083824A (ko) 2012-07-26
KR101188256B1 KR101188256B1 (ko) 2012-10-15

Family

ID=44677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770A KR101188256B1 (ko) 2011-01-18 2011-03-03 플래시 모듈 및 영상 캡쳐링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78985B2 (ko)
JP (1) JP5398765B2 (ko)
KR (1) KR101188256B1 (ko)
TW (1) TWI4252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25910B2 (en) * 2013-05-07 2015-12-29 Htc Corporation Methods for controlling a remote flashlight source provided by a peer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tilizing the same
JP6272037B2 (ja) * 2014-01-14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6512780B2 (ja) * 2014-09-10 2019-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6448332B2 (ja) * 2014-12-02 2019-01-0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TWI672087B (zh) * 2015-11-25 2019-09-11 佳能企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其容納盒
CN107422577B (zh) * 2017-06-26 2023-06-16 重庆盾达科技有限公司 银行安防系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9916B2 (ja) * 1988-09-30 1998-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トロボ組込み一眼レフカメラ
JP3997398B2 (ja) * 2002-03-29 2007-10-24 ソニー株式会社 被ポップアップ体の駆動機構およびこれを具備する記録、再生装置
JP2003307769A (ja) 2002-04-17 2003-10-31 Sony Corp 閃光装置のポップアップ機構
JP2004287260A (ja) * 2003-03-24 2004-10-14 Fuji Photo Optical Co Ltd カメラ
JP3852609B2 (ja) 2003-09-16 2006-12-06 三菱電機株式会社 製氷装置、冷蔵庫
JP2005284091A (ja) * 2004-03-30 2005-10-13 Kyocera Corp 閃光装置設置機構及び撮像装置
KR101335628B1 (ko) 2007-08-02 2013-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JP2009134107A (ja) * 2007-11-30 2009-06-18 Sony Corp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78985B2 (en) 2014-11-04
JP2012150419A (ja) 2012-08-09
JP5398765B2 (ja) 2014-01-29
TW201232147A (en) 2012-08-01
TWI425293B (zh) 2014-02-01
KR101188256B1 (ko) 2012-10-15
US20120182465A1 (en)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256B1 (ko) 플래시 모듈 및 영상 캡쳐링 장치
KR101700364B1 (ko) 광량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US7972069B2 (en) Camera system and camera body
US20060263080A1 (en) Digital camera
KR20150014320A (ko) 전자식 뷰파인더 장치 및 촬상 장치
US20110164871A1 (en) Focal plane shutter device and imaging device
US9223188B2 (en) Focal plane shuttering apparatus and image capture device
JP4098940B2 (ja) デジタルカメラ
US20140176747A1 (en) Image capture device
CN102540643A (zh) 摄像设备
JP2011013540A (ja) シャッター装置及びカメラ本体
US20050219401A1 (en) Image-taking apparatus and image-taking system
US8019214B2 (en) Camera accessory coupling apparatus
US8559810B2 (en) Extendable emitter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US9110353B2 (en) Focal plane shuttering apparatus and image capture device
CN107783350A (zh) 快门设备及其控制方法、摄像设备以及存储介质
TWI443436B (zh) 閃光燈模組及影像擷取系統
JP2008053844A (ja) カメラ
JP4548924B2 (ja) 撮像装置
US8170410B2 (en) Imaging apparatus
US11838612B2 (en) Electronic apparatus
JP5409026B2 (ja) ストロボポップアップ機構及び撮影装置
JPH1073754A (ja) カメラ
JP3767247B2 (ja) レンズ付きフィルムユニット、レンズ付きフィルムユニット包装体、及びレンズ付きフィルムユニット包装体の製造方法
JP4810156B2 (ja) 鏡筒、及び該鏡筒を備える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