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364B1 - 광량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광량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364B1
KR101700364B1 KR1020100088051A KR20100088051A KR101700364B1 KR 101700364 B1 KR101700364 B1 KR 101700364B1 KR 1020100088051 A KR1020100088051 A KR 1020100088051A KR 20100088051 A KR20100088051 A KR 20100088051A KR 101700364 B1 KR101700364 B1 KR 101700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mensional
hole
photographing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5878A (ko
Inventor
변광석
이진기
황영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8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364B1/ko
Priority to US13/173,117 priority patent/US8238740B2/en
Priority to CN201110235996.0A priority patent/CN102402101B/zh
Priority to GB1114808.7A priority patent/GB2483543B/en
Publication of KR20120025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6Two or more co-operating pivoted blades, e.g. iris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0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recording
    • G03B35/10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recording having single camera with stereoscopic-base-defining syste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H04N13/211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96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광량 조절장치는, 제1 통공을 갖는 지지판과, 제2 통공을 가지며 지지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판과,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판에 맞물려 제1 통공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이차원 조리개판과, 일측은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회전판에 맞물려 제1 통공의 일부를 폐쇄하여 제1 촬영공과 제2 촬영공을 형성하는 삼차원 조리개판과, 제1 촬영공과 제2 촬영공의 어느 하나를 폐쇄하거나 제1 통공의 외측으로 퇴피하는 차단판과, 차단판을 구동하는 차단판 구동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광량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Light amount adjusting device and photographing apparatus with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량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삼차원 영상과 이차원 영상을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촬영장치 및 이를 위한 광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삼차원 영상은 사람이 시각을 통해 사물을 관찰할 때 느끼는 입체감을 동일하게 표현한 영상으로서, 예전에는 의료 장비와 같이 국한된 분야에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삼차원 영상을 이용한 영상물이 많이 제작되고 있으며 각 가정에 보급 가능한 삼차원 텔레비전 기술도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삼차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람의 양쪽 눈에 다른 각도에서 촬영된 영상을 동시에 보여주어야 하므로, 삼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는 이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와 다른 작동 구조를 갖는다. 삼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로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들이 알려져 있는데,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영상들을 동시에 획득해야 하기 때문에 삼차원 영상 촬영장치의 광학적 구조 또는 기계적 구조가 이차원 영상 촬영용 장치보다 복잡하다. 또한 삼차원 영상 촬영용 장치는 삼차원 영상만을 얻을 수 있어서 이차원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카메라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삼차원 영상과 이차원 영상을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촬영장치와 이를 위한 광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한 구조에 의해 삼차원 영상의 촬영을 구현할 수 있는 광량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소음과 저소비 전력의 특성을 가지며 삼차원 동영상 촬영을 실행할 수 있는 광량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광량 조절장치는, 광이 통과하는 제1 통공을 갖는 지지판과, 제1 통공에 대응하는 제2 통공을 가지며 지지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판과, 제1 통공을 완전히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폐쇄하는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판에 맞물려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제1 통공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이차원 조리개판과, 일측은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회전판에 맞물려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제1 통공의 외측에 위치하는 퇴피 위치와 제1 통공의 일부를 폐쇄하여 제1 촬영공과 제2 촬영공을 형성하는 촬영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삼차원 조리개판과, 제1 촬영공과 제2 촬영공의 어느 하나를 폐쇄하는 작동 위치와 제1 통공의 외측으로 퇴피한 정지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차단판과, 차단판을 구동하는 차단판 구동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회전판이 회전하여 이차원 조리개판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 삼차원 조리개판은 퇴피 위치에 유지될 수 있고, 이차원 조리개판이 개방 위치로 이동한 후 회전판이 더 회전하면 이차원 조리개판은 개방 위치에 유지되고 삼차원 조리개판은 촬영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회전판은 제1 구동핀을 구비할 수 있고, 이차원 조리개판은 제1 구동핀이 삽입되어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이차원 조리개판이 회전하도록 연장 형성된 제1 안내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안내홈은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이차원 조리개판을 회전시키도록 만곡된 구동 영역과, 구동 영역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함으로써 회전판이 회전하여도 이차원 조리개판을 개방 위치에 유지시키는 유지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회전판은 제2 구동핀을 구비할 수 있고, 삼차원 조리개판은 제2 구동핀이 삽입되어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삼차원 조리개판이 회전하도록 연장 형성된 제2 안내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안내홈은 제1 구동핀이 구동 영역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삼차원 조리개판이 퇴피 위치에 유지되도록 회전판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미작동 영역과,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삼차원 조리개판을 회전시키도록 미작동 영역의 단부에서 경사를 이루며 연장하는 작동 영역을 구비할 수 있고, 제2 구동핀이 작동 영역에 위치할 때에 제1 구동핀은 유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삼차원 조리개판은, 제1 촬영공과 제2 촬영공의 각각의 일측 반원을 형성하는 두 개의 오목부들을 구비하여 제1 통공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적어도 두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량 조절장치는, 삼차원 조리개판의 두 개의 오목부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구비하여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안내홈의 미작동 영역에 일치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미작동 영역과 제2 안내홈의 작동 영역보다 내측을 향해 경사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연장된 작동 영역을 구비하며 제2 구동핀이 삽입되는 제3 안내홈을 구비하여 제1 통공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촬영공 조정판들을 더 구비할 수 있고, 회전판이 회전하여 제2 구동핀이 제2 안내홈의 작동 영역과 제3 안내홈의 작동 영역의 단부를 향해 이동하면 촬영공 조정판이 제1 통공의 내측을 향해 더 이동하여 제1 촬영공과 제2 촬영공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촬영공 조정판들은, 제1 촬영공과 제2 촬영공이 서로 연결되도록 촬영공 조정판들의 마주보는 단부에 절단부를 구비하여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차원 조리개판은 지지판의 일측 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고, 회전판은 지지판의 타측 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구동핀은 회전판의 지지판을 향하는 일측 면에 돌출 형성되어 지지판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 구멍을 관통하여 이차원 조리개판의 제1 안내홈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삼차원 조리개판은 회전판의 타측 면에 배치될 수 있고, 삼차원 조리개판의 외측 가장자리가 지지판의 타측 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회전판의 타측 면에 제2 구동핀이 돌출 형성되어 삼차원 조리개판에 연장 형성된 제2 안내홈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차원 조리개판은 제1 구동핀을 구비할 수 있고, 회전판은 제1 구동핀이 삽입되며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이차원 조리개판이 회전하도록 제1 구동핀을 안내하는 제1 안내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삼차원 조리개판은 제2 구동핀을 구비할 수 있고, 회전판은 제2 구동핀이 삽입되어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삼차원 조리개판이 회전하도록 제2 구동핀을 안내하는 제2 안내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량 조절장치는, 회전판을 구동하는 회전판 구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회전판 구동부는 지지판에 배치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기어 조립체를 구비할 수 있고, 회전판은 외주면에 기어 조립체에 맞물리는 기어면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회전판은 외측으로 돌출되는 레버를 구비하여 레버를 통해 전달되는 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촬영장치는, 광이 통과하는 제1 통공을 갖는 지지판과, 제1 통공을 완전히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폐쇄하는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통공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이차원 조리개판과, 제1 통공의 외측에 위치하는 퇴피 위치와 제1 통공의 일부를 폐쇄하여 제1 촬영공과 제2 촬영공을 형성하는 촬영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삼차원 조리개판과, 제1 통공에 대응하는 제2 통공을 구비하여 지지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이차원 조리개판과 삼차원 조리개판에 결합되어 이차원 조리개판만을 구동하는 이차원 촬영영역과 이차원 조리개판이 개방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삼차원 조리개판만을 구동하는 삼차원 촬영영역의 사이에서 회전하는 회전판과, 제1 촬영공과 제2 촬영공의 어느 하나를 폐쇄하는 위치와 제1 통공의 외측으로 퇴피한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차단판과, 차단판을 구동하는 차단판 구동부를 구비하는, 광량 조절장치와,
광량 조절장치를 통과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와,
촬상소자와 차단판 구동부를 제어하여 촬영을 실행하며, 회전판이 이차원 촬영영역에 위치할 때에는 차단판 구동부를 제어하여 차단판을 퇴피 위치로 이동시켜 촬영을 실행하는 이차원 촬영모드와, 회전판이 삼차원 촬영영역에 위치할 때에는 차단판 구동부를 제어하여 차단판이 제1 촬영공과 제2 촬영공을 폐쇄하는 각각의 위치에서 촬영을 실행하여 두 개의 화상을 획득하는 삼차원 촬영모드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삼차원 촬영모드에서 동영상을 촬영할 때에는 제어부가 동영상의 화질 프레임과 차단판 구동부를 제어하는 주파수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회전판은 제1 구동핀을 구비할 수 있고, 이차원 조리개판은 제1 구동핀이 삽입되어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이차원 조리개판을 회전시키도록 만곡된 구동 영역과 구동 영역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함으로써 회전판이 회전하여도 이차원 조리개판을 개방 위치에 유지시키는 유지 영역을 구비하는 제1 안내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회전판은 제2 구동핀을 구비할 수 있고, 삼차원 조리개판은 제2 구동핀이 삽입되도록 연장 형성된 제2 안내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2 안내홈은 제1 구동핀이 구동 영역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삼차원 조리개판이 퇴피 위치에 유지되도록 회전판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미작동 영역과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삼차원 조리개판을 회전시키도록 미작동 영역의 단부에서 경사를 이루며 연장하는 작동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촬영장치는, 광량 조절장치의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를 이용해 이차원 촬영을 실행할 수 있고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를 이용해 삼차원 촬영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이차원 영상과 삼차원 영상을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이차원 영상과 삼차원 영상의 선택적인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와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가 회전판과 연동하여 작동하므로, 구동장치나 기구적 요소들을 별도로 부가하지 않는 단순한 구조에 의해 삼차원 영상의 촬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광량 조절장치의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단순한 작동에 의해 이차원 영상과 삼차원 영상을 선택하여 촬영할 수 있으므로, 저소음과 저소비전력의 특성을 갖는 삼차원 촬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장치를 구비한 촬영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량 조절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광량 조절장치가 결합된 모습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광량 조절장치에서 이차원 조리개판의 동작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의 광량 조절장치에서 이차원 조리개판이 개방 위치에 있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의 광량 조절장치에서 삼차원 조리개판이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의 광량 조절장치에서 삼차원 조리개판이 촬영 위치에 있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3의 광량 조절장치에서 이차원 조리개판과 삼차원 조리개판이 회전판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원리를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8의 광량 조절장치에서 이차원 조리개판이 개방 위치로 이동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3의 촬영장치의 이차원 촬영모드에서의 광의 경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촬영장치의 이차원 촬영모드에서 이차원 조리개에 의한 개방 면적이 조절된 상태에서의 광의 경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는 도 9의 광량 조절장치에서 삼차원 조리개판이 동작을 개시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광량 조절장치에서 삼차원 조리개판이 촬영 위치로 이동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광량 조절장치에서 제1 촬영공과 제2 촬영공의 크기가 조절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5는 도 3의 광량 조절장치에서 차단판이 정지 위치로 이동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광량 조절장치에서 차단판이 작동 위치로 이동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3의 촬영장치의 삼차원 촬영모드에서의 제1 촬영공을 통과하는 광의 경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촬영장치의 삼차원 촬영모드에서의 제2 촬영공을 통과하는 광의 경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9는 도 1의 촬영장치가 실행하는 촬영의 단계들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한 광량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장치를 구비한 촬영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촬영장치는 광량 조절장치(1)와, 광량 조절장치(1)를 통과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120)와, 촬상소자(120)와 광량 조절장치(1)의 차단판 구동부(65)를 제어하여 촬영을 실행하는 제어부(140)를 구비한다.
광량 조절장치(1)는 광이 통과하는 제1 통공(11)을 갖는 지지판(10)과, 제2 통공(21)을 가지며 지지판(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판(20)과, 회전판(20)에 의해 제1 통공(11)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이차원 조리개판(40)과, 회전판(20)에 의해 작동하여 삼차원 촬영을 실행할 수 있도록 제1 통공(11)의 일부를 폐쇄하는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50)와, 차단판 구동부(65)에 의해 구동되는 차단판(60)을 구비한다.
광량 조절장치(1)의 이차원 조리개판(40)이 제1 통공(11)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50)와 차단판(60)이 제1 통공(11)의 외측으로 퇴피하므로, 이 때 제어부(140)가 이차원 영상을 획득하는 이차원 촬영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광량 조절장치(1)의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50)가 제1 통공(11)의 일부를 폐쇄하도록 이동한 경우에 이차원 조리개판(40)은 제1 통공(11)의 외측으로 퇴피하고 차단판(60)이 작동하므로, 이 때 제어부(140)는 삼차원 영상을 획득하는 삼차원 촬영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촬영장치는 이차원 촬영모드와 삼차원 촬영모드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편리하게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촬영장치는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촬상소자(120)는 피사체의 영상을 촬상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며, 촬상소자(120)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화상 변환부(141)에 의해 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제어부(140)의 촬영 제어부(147)는 촬상소자(120)를 제어함으로써 촬영 동작을 실행한다.
경통(110)에 설치되어 촬상소자(120)의 앞에 배치되는 광학계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렌즈들(112)과 광량 조절장치(1)는 외부의 영상광을 촬상소자(120)의 촬상면에 결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렌즈들(112)은 서로의 간격이 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렌즈들(112)의 간격이 변동되면 줌 배율이나 초점 등이 조절될 수 있다. 렌즈들(112)은 광축(L)을 따라 배치되는데, 광축(L)은 렌즈들(112)의 광학적 중심을 잇는 직선을 말한다.
렌즈들(112)은 줌모터(미도시)와 같은 구동수단을 갖는 렌즈 구동부(111)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서로에 대한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렌즈들(112)은 피사체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시키는 줌렌즈와, 피사체의 초점을 조절하는 포커스렌즈등을 구비할 수 있다.
렌즈 구동부(111)는 제어부(140)의 렌즈 제어부(142)로부터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작동하여 렌즈들(112)이 복수 개의 확대 배율들 중 어느 하나를 갖도록 렌즈들(112)의 위치를 제어한다.
촬상소자(120)는 씨씨디(CCD; charge coupled device) 또는 씨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여, 렌즈들(112)과 광량 조절장치(1)을 통해 입사된 영상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촬상소자(120)는 촬영 제어부(147)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화상 변환부(141)는 촬상소자(120)의 전기적 신호를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화상 처리를 행할 수 있게 하거나 메모리(115)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화상 변환부(141)는 촬상소자(120)의 전기적 신호를 RGB 데이터로 변환한 후, RGB 데이터를 휘도(Y) 신호 및 색차(UV) 신호를 포함하는 YUV 신호와 같은 형태의 원시 데이터(raw data)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촬상소자(120)의 전기적 신호가 화상 변환부(141)에 의해 변환되는 과정은, 예를 들어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DS 회로)를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에 포함된 촬상소자(120)의 구동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단계와, 자동이득제어회로(AGC회로)에 의해 노이즈 저감 후의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는 단계와, A/D 변환기를 이용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디지털 신호에 대한 픽셀 결함 보정, 게인 보정, 화이트 밸런스 보정, 감마 보정 등의 신호 처리와 같은 세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된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DS 회로)나, 자동이득제어회로(AGC회로)나, A/D 변환기 등은 별도의 회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촬상소자(120), 렌즈 구동부(111), 표시부(150), 광량 조절장치(1), 메모리(115)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이들 구성 요소와 제어 신호를 주고받거나, 데이터를 처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40)는 화상 변환부(141)와, 렌즈 제어부(142)와, 메모리 제어부(143)와, 표시 제어부(144)와, 조리개 제어부(145)와, 촬영 제어부(147)와, 2D/3D 촬영모드 제어부(148)와, 화상 압축부(149) 등을 구비한다.
제어부(140)는 마이크로 칩이나, 마이크로 칩을 구비하는 회로보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140)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들은 제어부(140)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나 회로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제어부(143)는 메모리(115)에 대한 데이터 기록과, 기록된 데이터나 설정 정보 등의 독출을 제어한다.
메모리(115)는 휘발성 내장 메모리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SDRAM(synchronous DRAM) 등의 반도체 기억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모리(115)는 화상 변환부(141)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 메모리 기능 및 데이터 처리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작업 메모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5)는 비휘발성 외장 메모리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모리 스틱, SD/MMC 와 같은 플래시 메모리나, HDD 와 같은 저장 장치나 DVD 또는 CD 와 같은 광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115)에는 화상 압축부(149)에 의해 JPEG 파일, TIF 파일, GIF 파일, PCX 파일 등과 같은 형태로 압축 변환된 화상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디지털 촬영장치는 화상 데이터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150)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전계 발광장치(OLED) 등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표면의 터치를 감지하여 감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2D/3D 촬영모드 제어부(148)는 촬영장치가 이차원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2D 촬영모드로 작동할 것인지 삼차원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3D 촬영모드로 작동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설정된 촬영모드에 기초해 조리개 제어부(145)와 촬영 제어부(147) 등의 작동 방식이 변화할 수 있다.
조리개 제어부(145)는 차단판 구동부(65)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차단판(60)의 구동을 제어하고, 회전판 구동부(30)에 제어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회전판(20)의 회전 운동을 제어한다.
도 2는 도 1의 광량 조절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2의 광량 조절장치가 결합된 모습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광량 조절장치(1)는, 광이 통과하는 제1 통공(11)을 갖는 지지판(10)과, 제1 통공(11)에 대응하는 제2 통공(21)을 가지며 지지판(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판(20)과, 제1 통공(11)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이동하는 이차원 조리개판(40)과, 제1 통공(11)의 외측으로 이동하거나 제1 통공(11)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이동 가능한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50)와, 제1 통공(11)의 외측으로 이동하거나 제1 통공(11)을 향해 이동 가능한 차단판(60)과, 차단판(60)을 구동하는 차단판 구동부(65)를 구비한다.
상술한 구성의 광량 조절장치(1)는 회전판(20)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이차원 조리개판(40)과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50)와 차단판(6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광량 조절장치(1)는 도 1의 제어부(140)가 이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이차원 촬영모드와 삼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삼차원 촬영모드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광량 조절장치(1)를 구비하는 촬영장치를 이용하면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이차원 촬영모드와 삼차원 촬영모드를 모두 실행할 수 있다.
지지판(10)과 회전판(20)과 이차원 조리개판(40)와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50)와 차단판(60) 등의 구성 요소들은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소재나 합성 수지 소재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지지판(1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촬영장치의 경통(110)에 고정됨으로써 다른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는 지지용 구조물로 기능한다.
지지판(10)의 일측 면에는 이차원 조리개판(40)이 배치되고, 지지판(10)의 타측 면에는 회전판(20)이 배치된다. 이차원 조리개판(40)의 지지판(10)을 향하는 면의 반대측 면에는 제1 통공(11)에 대응하는 관통공(71)을 갖는 후방 커버(70)가 배치된다. 후방 커버(70)는 지지판(10)과 이차원 조리개판(40)의 후방을 덮어 지지할 수 있다. 제1 통공(11)과 관통공(71)을 통과한 광은 도 1에 도시된 촬상소자(1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차원 조리개판(40)의 결합공(41a)에 지지판(10)의 힌지핀(12)이 결합되므로, 이차원 조리개판(40)은 힌지핀(1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차원 조리개판(40)은 제1 통공(11)을 중심으로 복수 개가 연이어 배치되므로, 이차원 조리개판(40)이 회전함으로써 제1 통공(11)을 완전히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으며, 또한 제1 통공(11)의 개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회전판(20)은 지지판(10)을 향하는 일측 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 구동핀(22)을 구비한다. 지지판(10)은 제1 구동핀(22)이 관통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구멍(16)을 구비한다. 제1 구동핀(22)은 가이드 구멍(16)을 관통하여 이차원 조리개판(40)의 제1 안내홈(42)에 삽입된다. 제1 안내홈(42)은 연장 형성되므로, 회전판(20)이 회전하면 제1 구동핀(22)을 통해 회전판(20)의 회전력이 제1 안내홈(42)에 전달되므로 이차원 조리개판(40)이 회전할 수 있다.
제1 안내홈(42)은 이차원 조리개판(40)을 회전시키도록 만곡된 구동 영역(42b)과, 구동 영역(42b)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하여 회전판(20)이 회전하여도 이차원 조리개판(40)을 개방 위치에 유지시키는 유지 영역(42a)을 구비한다. 개방 위치는 이차원 조리개판(40)이 제1 통공(11)을 완전히 개방하였을 때 이차원 조리개판(40)의 위치를 의미한다. 폐쇄 위치는 이차원 조리개판(40)이 제1 통공(11)을 완전히 폐쇄하였을 때 이차원 조리개판(40)의 위치를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차원 조리개판(40)에 제1 안내홈(42)이 형성되고 회전판(20)이 제1 안내홈(42)에 삽입되는 제1 구동핀(22)을 구비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즉 이차원 조리개판(40)이 제1 구동핀을 구비하고 회전판(20)이 제1 구동핀이 삽입되는 제1 안내홈을 구비할 수 있다.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50)는 삼차원 영상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제1 통공(11)의 일부를 폐쇄하여 두 개의 구멍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제1 통공(11)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삼차원 조리개판(51)과, 제1 통공(11)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삼차원 조리개판(51)을 보조하는 두 개의 촬영공 조정판(55)을 구비한다.
삼차원 조리개판(51)은 회전판(20)의 타측 면에 배치되고, 삼차원 조리개판(5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공(51a)은 지지판(10)의 타측 면에 돌출된 힌지핀(14)에 결합된다. 힌지핀(14)은 지지판(10)에서 회전판(20)의 외측 가장자리 보다 외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므로, 회전판(20)에 의해 간섭 받지 않고 삼차원 조리개판(5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삼차원 조리개판(51)은 힌지핀(1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판(20)과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50)의 사이에는 제1 통공(11)에 대응하는 관통공(97)을 갖는 제1 중간판(96)이 삽입되고,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50)와 차단판(60)의 사이에는 제1 통공(11)에 대응하는 관통공(91)을 갖는 제2 중간판(90)이 삽입된다. 제1 중간판(96)과 제2 중간판(90)은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50)와 차단판(60) 등을 지지한다. 제1 중간판(96)과 제2 중간판(90)의 각각은 힌지핀(14)이 관통하는 결합되는 결합공들(94, 99)을 구비한다.
회전판(20)은 지지판(10)을 향하는 일측 면의 타측 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구동핀(23)을 구비한다. 제1 중간판(96)과 제2 중간판(90)의 각각은 제2 구동핀(23)이 관통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구멍(98, 95)을 구비한다. 제2 구동핀(23)은 가이드 구멍(98, 95)을 관통하며 삼차원 조리개판(51)의 제2 안내홈(52)에 삽입된다.
제2 안내홈(52)은 삼차원 조리개판(51)에서 연장 형성되므로, 회전판(20)이 회전하면 제2 구동핀(23)을 통해 회전판(20)의 회전력이 제2 안내홈(52)에 전달되므로 삼차원 조리개판(51)이 회전할 수 있다.
제2 안내홈(52)은 제1 구동핀(22)이 구동 영역(42b)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삼차원 조리개판(51)이 퇴피 위치에 유지되도록 회전판(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미작동 영역(52a)과, 회전판(20)이 회전함에 따라 삼차원 조리개판(51)이 회전하도록 미작동 영역(52a)의 단부에서 경사를 이루며 연장하는 작동 영역(52b)을 구비한다. 삼차원 조리개판(51)의 퇴피 위치는 삼차원 조리개판(51)이 제1 통공(11)의 외측으로 이동한 위치를 의미한다.
미작동 영역(52a)이 회전판(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표현하였는데, 삼차원 조리개판(51)이 지지판(10)에 대해 회전하면 회전판(20)에 대한 상대적 위치도 변화하므로 미작동 영역(52a)이 항상 회전판(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되는 것은 아니다. 미작동 영역(52a)이 회전판(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는 것은, 이차원 조리개판(40)이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에 이를 때까지 삼차원 조리개판(51)이 유지하고 있는 퇴피 위치에 있을 때의 미작동 영역(52a)의 방향을 설명한 것이다.
제2 구동핀(23)이 제2 안내홈(52)의 작동 영역(52b)에 위치하는 동안 제1 구동핀(22)은 제1 안내홈(42)의 유지 영역(42a)에 위치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삼차원 조리개판(51)에 제2 안내홈(52)이 형성되고 회전판(20)이 제2 안내홈(52)에 삽입되는 제2 구동핀(23)을 구비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즉 삼차원 조리개판(51)이 제2 구동핀을 구비하고 회전판(20)이 제2 구동핀이 삽입되는 제2 안내홈을 구비할 수 있다.
삼차원 조리개판(51)은 두 개의 오목부들(53, 54)을 구비한다. 오목부들(53, 54)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삼차원 촬영을 위한 제1 촬영공(81)과 제2 촬영공(82)의 일측 반원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촬영공 조정판(55)은 삼차원 조리개판(51)의 두 개의 오목부들(53, 54)의 하나에 대응하는 오목부(57)를 구비하며 지지판(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삼차원 조리개판(51)이 힌지 결합하는 힌지핀(14)에는 촬영공 조정판(55)의 결합공(55a)이 힌지 결합한다(hinged).
촬영공 조정판(55)은 또한 제2 구동핀(23)이 삽입되는 제3 안내홈(56)을 구비한다. 제3 안내홈(56)은 제2 안내홈(52)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제3 안내홈(56)은 제2 안내홈(52)의 미작동 영역(52a)에 일치하도록 연장하는 미작동 영역(56a)과, 미작동 영역(56a)에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작동 영역(56b)을 구비한다.
제2 안내홈(52)의 미작동 영역(52a)과 제3 안내홈(56)의 미작동 영역(56a)을 일치시켰을 때, 제3 안내홈(56)의 작동 영역(56b)은 제2 안내홈(52)의 작동 영역(52b) 보다 내측을 향해 경사를 이루도록 절곡된다. 이와 같은 제3 안내홈(56)의 작동 영역(56b)의 형상으로 인해 제2 구동핀(23)이 제2 안내홈(52)의 작동 영역(52b)과 제3 안내홈(56)의 작동 영역(56b)의 단부를 향해 이동하면, 촬영공 조정판(55)이 삼차원 조리개판(51) 보다 제1 통공(11)의 내측을 향해 더 이동함으로써 제1 촬영공(81)과 제2 촬영공(82)의 크기가 축소된다.
광량 조절장치(1)의 가장 외측에는 제1 통공(11)에 대응하는 관통공(76)을 구비하는 전방 커버(75)가 결합된다. 차단판(60)은 전방 커버(75)와 제2 중간판(90)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차단판(60)을 구동하는 차단판 구동부(65)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로 구현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단판(6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스텝모터나 솔레노이드와 같은 여러 가지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차단판 구동부(65)는 코일(61)과 자석부(63)와 차단판(60)의 회전된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홀센서(62)와 차단판(60)을 제1 통공(11)의 외측으로 이동한 정지 위치에 유지하는 요크(64)를 구비한다.
광량 조절장치(1)는 회전판(20)을 구동하는 회전판 구동부(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회전판(20)을 구동하는 회전판 구동부(30)는 지지판(10)에 배치되는 모터(31)와, 모터(3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기어 조립체(35)를 구비한다. 회전판(20)은 기어 조립체(35)에 맞물리는 기어면(25)을 외주면에 구비한다.
도 4는 도 3의 광량 조절장치에서 이차원 조리개판의 동작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회전판 구동부(30)의 모터(31)에 의해 기어 조립체(35)가 회전하면 회전판(20)이 회전함으로써 이차원 조리개판(40)이 구동된다. 도 4에서는 이차원 조리개판(40)이 제1 통공(11)을 완전히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 놓여 있다. 이차원 조리개판(40)의 제1 안내홈(42)에 삽입된 제1 구동핀(22)은 제1 안내홈(42)의 구동 영역(42b)의 단부에 위치한다.
이차원 조리개판(40)이 폐쇄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는 구동 영역(42b)의 연장 방향이 회전판(20)의 회전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회전판(20)의 방사 방향을 향해 만곡되며 연장하므로, 회전판(20)이 회전하면 회전력이 제1 구동핀(22)을 통해 구동 영역(42b)에 전달되어 이차원 조리개판(40)이 회전한다.
도 5는 도 4의 광량 조절장치에서 이차원 조리개판이 개방 위치에 있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회전판(20)이 회전하면 제1 구동핀(22)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하므로, 제1 구동핀(22)에 결합된 제1 안내홈(42)의 구동 영역(42b)을 통해 회전판(20)의 회전력이 이차원 조리개판(40)에 전달되어 이차원 조리개판(40)이 힌지핀(1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1 구동핀(22)이 구동 영역(42b)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이차원 조리개판(40)이 제1 통공(11)을 점차적으로 개방한다. 이로써 제1 구동핀(22)이 구동 영역(42b)을 따라 이동하는 작용으로 인해 제1 통공(11)의 개방 면적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제1 구동핀(22)이 제1 안내홈(42)의 구동 영역(42b)의 타측 단부, 즉 구동 영역(42b)과 유지 영역(42a)의 사이에 위치하면 이차원 조리개판(40)은 제1 통공(11)을 완전히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놓인다.
도 6은 도 5의 광량 조절장치에서 삼차원 조리개판이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6의 광량 조절장치에서 삼차원 조리개판이 촬영 위치에 있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차원 조리개판(40)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50)는 퇴피 위치에 유지되고, 이차원 조리개판(40)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회전판(20)이 회전하던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이차원 조리개판(40)은 개방 위치에 계속 유지되고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50)가 촬영 위치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50)가 퇴피 위치에 유지되는 것은 삼차원 조리개판(51)과 촬영공 조정판(55)의 모두가 제1 통공(11)의 외측으로 이동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50)가 촬영 위치로 이동하는 것은 삼차원 조리개판(51)과 촬영공 조정판(55)이 제1 통공(11)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삼차원 촬영을 위한 제1 촬영공(81)과 제2 촬영공(82)을 형성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차원 조리개판(40)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유지 영역(42a)의 연장 방향은 회전판(20)의 원주 방향과 대략 일치하므로, 회전판(20)이 더욱 회전하여도 이차원 조리개판(40)은 회전하지 않고 개방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도 7에는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50)의 삼차원 조리개판(51)과 촬영공 조정판(55)이 제1 통공(11)의 일부를 폐쇄하여 제1 촬영공(81)과 제2 촬영공(82)을 형성한 모습이 도시되었다.
도 8은 도 3의 광량 조절장치에서 이차원 조리개판과 삼차원 조리개판이 회전판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원리를 설명한 개념도이고, 도 9는 도 8의 광량 조절장치에서 이차원 조리개판이 개방 위치로 이동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 및 도 9에서는 도 4 내지 도 7에서 광량 조절장치를 바라보는 측면의 방향의 반대측에서 바라본 광량 조절장치의 모습을 도시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이차원 조리개판(40)이 제1 통공(11)을 폐쇄한 폐쇄 위치에 있으며,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50)는 제1 통공(11)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퇴피 위치에 놓여 있다. 회전판(20)이 회전함에 따라 이차원 조리개판(40)이 회전함으로써 도 8의 폐쇄 위치로부터 도 9의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이차원 조리개판(40)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의 사이에 위치할 때에는 이차원 조리개판(40)에 의해 제1 통공(11)의 개방 면적이 조절되므로 이차원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차원 조리개판(40)에 의해 제1 통공(11)의 개방 면적이 조절될 수 있게 하는 회전판(20)의 회전하는 영역을 이차원 촬영영역이라 부를 수 있다.
도 10은 도 3의 촬영장치의 이차원 촬영모드에서의 광의 경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촬영장치의 이차원 촬영모드에서 이차원 조리개에 의한 개방 면적이 조절된 상태에서의 광의 경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의 이차원 조리개판(40)은 최대로 개방되어 충분한 광량을 확보한 상태이고, 도 11의 이차원 조리개판(40)은 축소되어 광량을 줄인 상태이다. 도 10 및 도 11의 작동 상태는 렌즈들(112)을 통과한 광이 지나는 경로 상에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50)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차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이차원 촬영모드에 해당한다. 렌즈들(112)을 통과한 광이 이차원 조리개판(40)을 통해 촬상소자(120)로 입사됨으로써 이차원 영상이 획득된다.
도 12는 도 9의 광량 조절장치에서 삼차원 조리개판이 동작을 개시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광량 조절장치에서 삼차원 조리개판이 촬영 위치로 이동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광량 조절장치에서 제1 촬영공과 제2 촬영공의 크기가 조절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는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50)가 제1 통공(11)의 외측으로 이동한 퇴피 위치에서 제1 통공(11)의 내측을 향하여 회전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13은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50)가 제1 통공(11)의 일부를 폐쇄함으로써 삼차원 촬영을 위한 제1 촬영공(81)과 제2 촬영공(82)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이차원 조리개판(40)은 개방 위치로 유지된 상태에서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50)에 의해 제1 촬영공(81)과 제2 촬영공(82)을 형성하여 삼차원 촬영을 가능하도록 회전판(20이 회전하는 영역을 삼차원 촬영영역이라 부를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회전판(20)이 더 회전함에 따라 촬영공 조정판(55)이 제1 통공(11)의 내측을 향해 더 이동함으로써 제1 촬영공(81)과 제2 촬영공(82)의 크기가 축소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50)의 삼차원 조리개판(51)과 촬영공 조정판(55)을 하나씩만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삼차원 조리개판(51)과 촬영공 조정판(55)이 대칭을 이루며 두 개씩 배치되므로, 제1 촬영공(81)과 제2 촬영공(82)이 원형을 이룰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에서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50)가 동작하는 동안 이차원 조리개판(40)은 제1 통공(11)을 완전히 개방한 개방 위치에 유지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나타난 광량 조절장치(1)에서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50)는 삼차원 조리개판(51)과 촬영공 조정판(55)의 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 촬영공(81)과 제2 촬영공(82)을 형성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광량 조절장치(1)에는 촬영공 조정판(55)을 설치하지 않고 삼차원 조리개판(51) 만을 설치함으로써 제1 촬영공(81)과 제2 촬영공(82)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5는 도 3의 광량 조절장치에서 차단판이 정지 위치로 이동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광량 조절장치에서 차단판이 작동 위치로 이동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차단판(60)은 힌지핀(60a)에 의해 제2 중간판(9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차원 조리개판(40)이 제1 통공(11)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동안 촬영이 이루어지는 이차원 촬영모드에서는 요크(64)가 작동함으로써 차단판(60)이 제1 통공(11)의 외측으로 이동한 정지 위치에 유지된다.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50)가 작동하여 제1 촬영공(81)과 제2 촬영공(82)을 형성할 때에는 코일(61)에 전류가 흘러 자석부(63)에 자력을 인가함으로써 차단판(60)이 제1 촬영공(81)이나 제2 촬영공(82)을 폐쇄하는 작동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차단판(60)이 제1 촬영공(81)을 폐쇄한 상태에 있으므로, 제2 촬영공(82)을 통해 촬영할 수 있다. 차단판(60)이 회전하는 동안 홀센서(62)가 차단판(60)의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된 위치를 차단판(60)의 구동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7은 도 3의 촬영장치의 삼차원 촬영모드에서의 제1 촬영공을 통과하는 광의 경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촬영장치의 삼차원 촬영모드에서의 제2 촬영공을 통과하는 광의 경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7에서와 같이 차단판(60)이 제2 촬영공(82)을 폐쇄한 상태에서는 제1 촬영공(81)을 통해 제1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18에서와 같이 차단판(60)이 제1 촬영공(81)을 폐쇄한 상태에서는 제2 촬영공(82)을 통해 제2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렇게 획득된 제1 화상과 제2 화상을 이용하면, 제1 화상과 제2 화상이 삼차원 영상을 관찰하는 사람의 두 눈에 맞추어 좌우측으로 달라진 각도의 차이를 가지므로 자연스러운 삼차원 영상이 구현된다.
동영상을 삼차원 영상으로 촬영할 때에는 도 1의 제어부(140)가 동영상의 화질 프레임과 차단판 구동부(65)를 제어하여 차단판(60)을 이동시키는 구동 주파수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동기화라 함은, 동영상의 화질 프레임이 달라짐에 따라 촬상소자(120)가 영상을 획득하는 속도가 빨라지거나 느려지므로, 이러한 화질 프레임에 맞추어 차단판(60)을 빠르게 이동시키거나 느리게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동영상을 촬영하는 동안 하나의 프레임을 획득하는 데 드는 시간을 반으로 나누어, 절반의 시간 동안은 제1 촬영공(81)을 통해 제1 화상을 획득하고 나머지 절반의 시간 동안은 제2 촬영공(82)을 통해 제2 화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의 촬영장치가 실행하는 촬영의 단계들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9에 나타난 촬영의 단계들에 의하면 하나의 촬영장치를 이용해 이차원 촬영모드 또는 삼차원 촬영모드를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가장 먼저 이차원 촬영모드를 행할 것인지 삼차원 촬영모드를 행할 것인지를 미리 설정하는 2D/3D 촬영모드 설정 단계(S110)가 실행된다. 촬영을 위한 셔터 조작이 이루어지면 2D/3D 촬영모드 설정 단계(S110)에서 3삼차원 촬영모드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120)가 실행된다.
이차원 촬영모드로 설정된 경우, 도 2의 이차원 조리개판(40)을 구동하여 제1 통공(11)의 개방 면적을 조절함과 아울러 이차원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을 실행한다(S140). 제1 통공(11)의 개방 면적은 촬영을 행할 피사체의 밝기에 따라 결정된다.
삼차원 촬영모드로 설정된 경우, 이차원 조리개판(40)은 개방 위치로 유지한 상태에서 삼차원 조리개판(51) 등을 구동함으로써 제1 촬영공(81)과 제2 촬영공(82)을 형성하는 단계(S150)가 실행된다.
제1 촬영공(81)과 제2 촬영공(82)이 형성된 이후에는 차단판(60)을 이동시켜 제1 촬영공(81)을 차단하는 단계(S155)를 실행한 후, 제2 촬영공(82)을 통과한 광을 촬상하여 제2 화상을 획득하는 촬영을 실행한다(S160).
그 이후에는 차단판(60)을 이동시켜 제2 촬영공(82)을 차단하는 단계(S170)를 실행한 후, 제1 촬영공(81)을 통과한 광을 촬상하여 제1 화상을 획득하는 촬영을 실행한다(S180).
본 발명은 제1 촬영공(81)과 제2 촬영공(82)을 차단하는 순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상술한 단계를 변형하여 제2 촬영공(82)을 먼저 차단한 후 제1 촬영공(81)을 차단할 수도 있다.
삼차원 촬영모드가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한 후(S190), 삼차원 촬영모드가 계속 실행중인 경우에는 단계 S155 내지 단계 S180을 다시 실행하여 다음 삼차원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삼차원 촬영을 반복하는 것은 정지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와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단판(60)을 이동시켜 획득된 제1 화상 및 제2 화상을 이용하면 삼차원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지지판(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판(320)이 회전함에 따라 삼차원 조리개판(51)과 촬영공 조정판(55)을 구비하는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50)가 제1 촬영공(81)과 제2 촬영공(82)을 형성하므로 삼차원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도 20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장치(301)는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장치(1)와 전체적으로 구성이 유사하지만, 회전판(32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 변형되었다. 회전판(320)은 외측으로 돌출되는 레버(325)를 구비하므로, 레버(325)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8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장치(301)는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회전판(20)이 자동적으로 작동할 수 있었으나, 도 20의 광량 조절장치(301)에서는 사용자가 레버(325)를 회전시킴으로써 삼차원 촬영모드와 이차원 촬영모드의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차원 촬영모드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레버(325)를 조작하여 회전판(320)의 회전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이차원 조리개판이 제1 통공을 개방하는 면적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장치(401)는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장치(1)와 전체적으로 구성이 유사하지만, 제1 촬영공(481)과 제2 촬영공(482)을 형성하는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450)의 구성이 변형되었다.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450)는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삼차원 조리개판(451)과,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삼차원 조리개판(451)을 보조하는 두 개의 촬영공 조정판(455)을 구비한다. 촬영공 조정판(455)은 제1 촬영공(481)과 제2 촬영공(482)이 서로 연결되도록 마주보는 단부가 서로 이격되도록 절단부(456)를 구비한다.
그러므로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450)가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촬영공(481)과 제2 촬영공(482)을 형성하는 촬영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제1 촬영공(481)과 제2 촬영공(482)의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통로(483)가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도 18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장치(1)에서는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5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촬영공(81)과 제2 촬영공(82)은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도 17과 도 18을 참조하면, 제1 촬영공(81)이나 제2 촬영공(82)을 통해 제1 화상과 제2 화상을 획득하고, 제1 화상과 제2 화상을 이용하면 삼차원 영상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획득된 제1 화상과 제2 화상의 광학적 중심은 각각 제1 촬영공(81)과 제2 촬영공(82)의 중심에 대응되므로, 제1 화상과 제2 화상을 이용하여 얻는 삼차원 영상의 광학적 중심이 실제로 촬영하고자 하였던 피사체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삼차원 영상을 자세히 관찰하면 배경에 비해 피사체가 상대적으로 어둡고 배경은 밝게 표현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도 2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장치(401)를 이용하면 차단판(60)이 제2 촬영공(482)을 폐쇄한 상태에서 촬영을 실시하면 광은 제1 촬영공(481)과 연결 통로(483)를 통해 유입된다. 또한 차단판(60)이 제1 촬영공(481)을 폐쇄한 상태에서 촬영을 실시하면 광은 제2 촬영공(482)과 연결 통로(483)를 통해 유입된다. 그러므로 삼차원 영상을 얻기 위해 촬영된 제1 화상과 제2 화상에서는 연결 통로(483)를 통해 입사되는 광량을 더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제1 화상과 제2 화상을 이용해서 형성되는 삼차원 영상에서는 중심상이 더 밝게 표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 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상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선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 301, 401: 광량 조절장치 110: 경통
10: 지지판 111: 렌즈 구동부
11: 제1 통공 112: 렌즈들
21: 제2 통공 115: 메모리
22: 제1 구동핀 120: 촬상소자
23: 제2 구동핀 140: 제어부
25: 기어면 141: 화상 변환부
30: 회전판 구동부 142: 렌즈 제어부
31: 모터 143: 메모리 제어부
35: 기어 조립체 144: 표시 제어부
40: 이차원 조리개판 145: 조리개 제어부
42b: 구동 영역 147: 촬영 제어부
42a: 유지 영역 148: 2D/3D 촬영모드 제어부
42: 제1 안내홈 149: 화상 압축부
52: 제2 안내홈 150: 표시부
56: 제3 안내홈 57, 53, 54: 오목부
60: 차단판 16, 98, 95: 가이드 구멍
61: 코일 325: 레버
62: 홀센서 71, 76, 91, 97: 관통공
63: 자석부 41a, 51a, 55a, 94, 99: 결합공
64: 요크 20, 320: 회전판
65: 차단판 구동부 456: 절단부
70: 후방 커버 483: 연결 통로
75: 전방 커버 50, 450: 삼차원 조리개 조립체
12, 14, 60a: 힌지핀 51, 451: 삼차원 조리개판
90: 제2 중간판 55, 455: 촬영공 조정판
96: 제1 중간판 81, 481: 제1 촬영공
52a, 56a: 미작동 영역 82, 482: 제2 촬영공
52b, 56b: 작동 영역 L: 광축

Claims (20)

  1. 광이 통과하는 제1 통공을 갖는 지지판;
    상기 제1 통공에 대응하는 제2 통공을 가지며 상기 지지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판;
    상기 제1 통공을 완전히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폐쇄하는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회전판에 맞물려 상기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통공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이차원 조리개판;
    일측은 상기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판에 맞물려 상기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통공의 외측에 위치하는 퇴피 위치와, 상기 제1 통공의 일부를 폐쇄하여 제1 촬영공과 제2 촬영공을 형성하는 촬영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삼차원 조리개판;
    상기 제1 촬영공과 상기 제2 촬영공의 어느 하나를 폐쇄하는 작동 위치와 상기 제1 통공의 외측으로 퇴피한 정지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차단판; 및
    상기 차단판을 구동하는 차단판 구동부;를 구비하는, 광량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여 상기 이차원 조리개판이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 상기 삼차원 조리개판은 상기 퇴피 위치에 유지되고, 상기 이차원 조리개판이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회전판이 더 회전하면 상기 이차원 조리개판은 상기 개방 위치에 유지되고 상기 삼차원 조리개판은 상기 촬영 위치로 이동하는, 광량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제1 구동핀을 구비하고, 상기 이차원 조리개판은 상기 제1 구동핀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차원 조리개판이 회전하도록 연장 형성된 제1 안내홈을 구비하는, 광량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홈은 상기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차원 조리개판을 회전시키도록 만곡된 구동 영역과, 상기 구동 영역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함으로써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여도 상기 이차원 조리개판을 상기 개방 위치에 유지시키는 유지 영역을 구비하는, 광량 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제2 구동핀을 구비하고, 상기 삼차원 조리개판은 상기 제2 구동핀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삼차원 조리개판이 회전하도록 연장 형성된 제2 안내홈을 구비하는, 광량 조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내홈은 상기 제1 구동핀이 상기 구동 영역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삼차원 조리개판이 상기 퇴피 위치에 유지되도록 상기 회전판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미작동 영역과, 상기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삼차원 조리개판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미작동 영역의 단부에서 경사를 이루며 연장하는 작동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구동핀이 상기 작동 영역에 위치할 때에 상기 제1 구동핀은 상기 유지 영역에 위치하는, 광량 조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조리개판은, 상기 제1 촬영공과 상기 제2 촬영공의 각각의 일측 반원을 형성하는 두 개의 오목부들을 구비하여 상기 제1 통공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적어도 두 개가 배치되는, 광량 조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조리개판의 상기 두 개의 오목부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안내홈의 상기 미작동 영역에 일치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미작동 영역과 상기 제2 안내홈의 상기 작동 영역보다 내측을 향해 경사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연장된 작동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구동핀이 삽입되는 제3 안내홈을 구비하여, 상기 제1 통공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촬영공 조정판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여 상기 제2 구동핀이 상기 제2 안내홈의 상기 작동 영역과 상기 제3 안내홈의 상기 작동 영역의 단부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촬영공 조정판이 상기 제1 통공의 내측을 향해 더 이동하여 상기 제1 촬영공과 상기 제2 촬영공의 크기를 축소하는, 광량 조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공 조정판들은, 상기 제1 촬영공과 상기 제2 촬영공이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촬영공 조정판들의 마주보는 단부에 절단부를 구비하여 서로 이격되는, 광량 조절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원 조리개판은 상기 지지판의 일측 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지지판의 타측 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구동핀은 상기 회전판의 상기 지지판을 향하는 일측 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이차원 조리개판의 상기 제1 안내홈에 삽입되는, 광량 조절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조리개판은 상기 회전판의 타측 면에 배치되고, 상기 삼차원 조리개판의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지지판의 상기 타측 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판의 상기 타측 면에 제2 구동핀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삼차원 조리개판에 연장 형성된 제2 안내홈에 삽입되는, 광량 조절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원 조리개판은 제1 구동핀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제1 구동핀이 삽입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차원 조리개판이 회전하도록 상기 제1 구동핀을 안내하는 제1 안내홈을 구비하는, 광량 조절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조리개판은 제2 구동핀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제2 구동핀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삼차원 조리개판이 회전하도록 상기 제2 구동핀을 안내하는 제2 안내홈을 구비하는, 광량 조절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을 구동하는 회전판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광량 조절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 구동부는 상기 지지판에 배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기어 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판은 외주면에 상기 기어 조립체에 맞물리는 기어면을 구비하는, 광량 조절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외측으로 돌출되는 레버를 구비하여 상기 레버를 통해 전달되는 힘에 의해 회전되는, 광량 조절장치.
  17. 광이 통과하는 제1 통공을 갖는 지지판과, 상기 제1 통공을 완전히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폐쇄하는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통공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이차원 조리개판과, 상기 제1 통공의 외측에 위치하는 퇴피 위치와 상기 제1 통공의 일부를 폐쇄하여 제1 촬영공과 제2 촬영공을 형성하는 촬영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삼차원 조리개판과, 상기 제1 통공에 대응하는 제2 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이차원 조리개판과 상기 삼차원 조리개판에 결합되어 상기 이차원 조리개판만을 구동하는 이차원 촬영영역과 상기 이차원 조리개판이 상기 개방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삼차원 조리개판만을 구동하는 삼차원 촬영영역의 사이에서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제1 촬영공과 상기 제2 촬영공의 어느 하나를 폐쇄하는 위치와 상기 제1 통공의 외측으로 퇴피한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을 구동하는 차단판 구동부를 구비하는, 광량 조절장치;
    상기 광량 조절장치를 통과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 및
    상기 촬상소자와 차단판 구동부를 제어하여 촬영을 실행하며, 상기 회전판이 상기 이차원 촬영영역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차단판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단판을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시켜 촬영을 실행하는 이차원 촬영모드와, 상기 회전판이 상기 삼차원 촬영영역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차단판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단판이 상기 제1 촬영공과 상기 제2 촬영공을 폐쇄하는 각각의 위치에서 촬영을 실행하여 두 개의 화상을 획득하는 삼차원 촬영모드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촬영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촬영모드에서 동영상을 촬영할 때에는 상기 제어부가 동영상의 화질 프레임과 상기 차단판 구동부를 제어하는 주파수를 동기화시키는, 촬영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제1 구동핀을 구비하고, 상기 이차원 조리개판은 상기 제1 구동핀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차원 조리개판을 회전시키도록 만곡된 구동 영역과 상기 구동 영역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함으로써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여도 상기 이차원 조리개판을 상기 개방 위치에 유지시키는 유지 영역을 구비하는 제1 안내홈을 구비하는, 촬영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제2 구동핀을 구비하고, 상기 삼차원 조리개판은 상기 제2 구동핀이 삽입되도록 연장 형성된 제2 안내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안내홈은 상기 제1 구동핀이 상기 구동 영역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삼차원 조리개판이 상기 퇴피 위치에 유지되도록 상기 회전판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미작동 영역과, 상기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삼차원 조리개판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미작동 영역의 단부에서 경사를 이루며 연장하는 작동 영역을 구비하는, 촬영장치.
KR1020100088051A 2010-09-08 2010-09-08 광량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KR101700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051A KR101700364B1 (ko) 2010-09-08 2010-09-08 광량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US13/173,117 US8238740B2 (en) 2010-09-08 2011-06-30 Light quantity adjustment apparatus and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201110235996.0A CN102402101B (zh) 2010-09-08 2011-08-15 光量调节设备
GB1114808.7A GB2483543B (en) 2010-09-08 2011-08-26 Light quantity adjus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051A KR101700364B1 (ko) 2010-09-08 2010-09-08 광량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878A KR20120025878A (ko) 2012-03-16
KR101700364B1 true KR101700364B1 (ko) 2017-01-31

Family

ID=44838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051A KR101700364B1 (ko) 2010-09-08 2010-09-08 광량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38740B2 (ko)
KR (1) KR101700364B1 (ko)
CN (1) CN102402101B (ko)
GB (1) GB24835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5043A (ko) 2010-10-04 2012-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경로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KR101739376B1 (ko) * 2010-11-15 2017-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경로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KR101993240B1 (ko) * 2012-03-30 2019-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경로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JP6099924B2 (ja) * 2012-10-04 2017-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DE102012218863A1 (de) * 2012-10-16 2014-04-17 Arnold & Richter Cine Technik Gmbh & Co. Betriebs Kg Stereoskopisches Abbildungssystem
JP6172955B2 (ja) * 2013-01-30 2017-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量調整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US9134588B2 (en) * 2013-08-08 2015-09-15 Canon Kabushiki Kaisha Stop apparatus, and lens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4714354B (zh) * 2014-10-30 2017-08-22 启芯瑞华科技(武汉)有限公司 一种光圈结构及其图像处理方法
CN108027546B (zh) * 2015-09-16 2020-12-08 佳能电子株式会社 叶片驱动装置和光学装置
JP7066376B2 (ja) 2017-11-13 2022-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絞り装置、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装置
CN108449576B (zh) * 2018-03-22 2020-05-08 平顶山学院 一种计算机图像采集器
US10345682B1 (en) * 2018-04-16 2019-07-09 Panavision International, L.P. Variable diameter mounting attachment
KR102158710B1 (ko) * 2018-06-08 2020-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20230384650A1 (en) * 2021-04-14 2023-11-3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Aperture device, camera module with aperture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3844A (ja) 1999-07-15 2001-02-09 Olympus Optical Co Ltd 露出調整装置及びこれを使用する電子カメラ
US20020008907A1 (en) 2000-07-18 2002-01-24 Masao Yamamoto Stereoscopic image pickup apparatus and stereoscopic image pickup method
JP2004184486A (ja) 2002-11-29 2004-07-02 Nidec Copal Corp カメラ用絞り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0675A (en) * 1978-12-04 1981-09-22 Leo Beiser Anaglyph stereoscopy
GB2164470B (en) * 1984-09-14 1988-10-26 Michael Rodney Browning Iris device
JP2518636Y2 (ja) * 1990-02-21 1996-11-27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504108Y2 (ja) * 1990-02-21 1996-07-1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AU7989591A (en) 1990-06-01 1991-12-31 Hanimex Corporation Stereoscopic photography
JPH05134331A (ja) * 1991-11-12 1993-05-28 Fuji Photo Optical Co Ltd ステレオカメラ用シヤツタ
CA2123077C (en) 1994-04-14 2001-09-04 Anthony B. Greening Single lens stereoscopic imaging system
TW262541B (ko) * 1994-05-09 1995-11-11 Image Technology Internat Inc
CN2257036Y (zh) * 1996-11-12 1997-06-25 北京银视野科技有限责任公司 多镜头立体相机用的双叶片滑动电动快门
JP2008096629A (ja) * 2006-10-11 2008-04-24 Chinontec Kk 絞り羽根、絞り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JP5393462B2 (ja) * 2008-03-11 2014-01-22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羽根駆動装置及び光学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3844A (ja) 1999-07-15 2001-02-09 Olympus Optical Co Ltd 露出調整装置及びこれを使用する電子カメラ
US20020008907A1 (en) 2000-07-18 2002-01-24 Masao Yamamoto Stereoscopic image pickup apparatus and stereoscopic image pickup method
JP2004184486A (ja) 2002-11-29 2004-07-02 Nidec Copal Corp カメラ用絞り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02101A (zh) 2012-04-04
GB201114808D0 (en) 2011-10-12
GB2483543B (en) 2013-10-09
CN102402101B (zh) 2016-02-24
KR20120025878A (ko) 2012-03-16
US8238740B2 (en) 2012-08-07
GB2483543A (en) 2012-03-14
US20120057859A1 (en)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364B1 (ko) 광량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JP3541820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9307135B2 (en) Electronic viewfinder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photographing angles to a user, and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8937677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EP2525565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o increase continuous shooting speed for capturing panoramic photographs
US9176362B2 (en) Optical path adjusting device and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30012758A (ko) 광량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US9288477B2 (en) Light path adjustment apparatus and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20011920A (ko)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8947577B2 (en) Lens barrel assembly and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472800B2 (en) Light amount adjusting device, and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739376B1 (ko) 광경로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US8736749B2 (en) Photographing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hybrid focal plane shutter
JP5448391B2 (ja) 撮像装置及び赤目補正方法
JP2007215110A (ja) 2板ccd撮像装置における信号量検出処理方法および露出パラメータ設定方法
JP2010148045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4247024B2 (ja) カメラ
JP2006080984A (ja) 撮像装置
JP6021475B2 (ja) 撮像装置
KR20150072960A (ko) 팝업 플래쉬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촬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