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758A - 광량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광량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758A
KR20130012758A KR1020110074120A KR20110074120A KR20130012758A KR 20130012758 A KR20130012758 A KR 20130012758A KR 1020110074120 A KR1020110074120 A KR 1020110074120A KR 20110074120 A KR20110074120 A KR 20110074120A KR 20130012758 A KR20130012758 A KR 20130012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late
blocking plate
dimensiona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치영
변광석
김정수
방진영
황영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4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2758A/ko
Priority to US13/447,386 priority patent/US9025010B2/en
Publication of KR20130012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6Two or more co-operating pivoted blades, e.g. iris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02Stereoscopic photography by sequential recording
    • G03B35/04Stereoscopic photography by sequential recording with movement of beam-selecting members in a system defining two or more viewpoi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14Two separate members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18More than two memb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26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incorporating cover blade or bla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H04N13/218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86Image signal generato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28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광량 조절 장치는, 광이 통과하는 통공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와, 통공의 일부를 폐쇄하여 제1 개구와 제2 개구를 형성하거나, 통공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통공을 개방하는 삼차원 조리개판과, 제1 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이동 가능한 제1 차단판과, 제1 차단판이 제1 개구를 개방하면 상기 제2 개구를 폐쇄하고 제1 개구를 폐쇄하면 제2 개구를 개방하도록 이동 가능한 제2 차단판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광량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Light amount adjusting device and photographing apparatus with the same}
본 발명은 광량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속 절환이 가능한 삼차원 영상과 이차원 영상을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광량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삼차원 영상을 이용한 영상물이 많이 제작되어 있으며 삼차원 영화, 삼차원 텔레비전과 삼차원 게임이 많이 보급되고 있다. 삼차원 영상은 사람이 시각을 통해 사물을 관찰할 때 느끼는 입체감을 동일하게 표현한 영상으로서, 예전에는 의료 장비와 같이 국한된 분야에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일반인이 직접 접할 수 있는 영역에까지 영향을 미침에 따라, 수요자들의 삼차원 영상을 직접 촬영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대되고 있다.
삼차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람의 양쪽 눈에 다른 각도에서 촬영된 영상을 동시에 보여주어야 하므로, 삼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는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영상들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하나의 영상만을 촬영하는 이차원 촬영 장치와는 다른 광학적, 기계적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차원 촬영과 삼차원 촬영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하여, 하나의 촬영 장치에 별도의 렌즈와 별도의 촬상 소자를 구비하도록 설계하였다. 그러나, 이는 촬영 장치의 부피와 무게가 커지고, 제작 비용이 증대된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특허문헌1(JP1996-069063호)은 하나의 조리개에 두 개의 개구부를 배치시켜 입체 영상을 촬영을 구현하였다. 그러나, 각각의 개구부를 차단하기 위해 액정을 이용하여, 제작 비용이 증대되고 액정의 투과성을 제어하기 위한 다른 구성 요소가 필요하여 구성이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삼차원 영상과 이차원 영상을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광량 조절 장치와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삼차원 영상을 촬영할 때 고속 구동이 가능한 광량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광이 통과하는 통공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와, 통공의 일부를 폐쇄하여 제1 개구와 제2 개구를 형성하거나 통공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통공을 개방하는 삼차원 조리개판과, 제1 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이동 가능한 제1 차단판과, 제1 차단판이 제1 개구를 개방하면 제2 개구를 폐쇄하고 제1 개구를 폐쇄하면 제2 개구를 개방하도록 이동 가능한 제2 차단판을 구비하는 광량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차단판은 제1 차단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 중심축을 구비하고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제2 차단판은 제2 차단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 중심축을 구비하고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중심축과 제2 중심축은 통공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1 차단판은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범위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 차단판은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범위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차단판과 제2 차단판은 360도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차단판을 구동하는 제1 차단판 구동부와, 제2 차단판을 구동하는 제2 차단판 구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차단판 구동부는 제1 모터와 제1 모터와 제1 중심축을 연결하여 제1 차단판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 기어 조립체를 구비하고, 제2 차단판 구동부는 제2 모터와 제2 모터와 제2 중심축을 연결하여 제2 차단판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 기어 조립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삼차원 조리개판은 제1 개구를 형성할 수 있는 제1 통공을 구비하는 제1 삼차원 조리개판과, 제2 개구를 형성할 수 있는 제2 통공을 구비하는 제2 삼차원 조리개판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와 삼차원 조리개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삼차원 조리개판을 지지하는 제1 중간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삼차원 조리개판과 제2 삼차원 조리개판을 동시에 구동하는 삼차원 구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삼차원 조리개판은 통공의 외측에 배치된 제1 관통홀을 구비하고 제1 중간판은 제1 관통홀에 삽입되어 제1 삼차원 조리개판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1 보스를 구비하고, 제2 삼차원 조리개판은 통공의 외측에 배치된 제2 관통홀을 구비하고 제1 중간판은 제2 관통홀에 삽입되어 제2 삼차원 조리개판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 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중간판은 제1 보스와 제2 보스의 사이에 안내홈을 구비하고, 제1 삼차원 조리개판은 안내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3 관통홀(27)을 구비하고, 제2 삼차원 조리개판은 안내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4 관통홀(28)을 구비하고, 삼차원 구동부는 제3 관통홀(27)과 제4 관통홀(28)을 관통하여 안내홈에 삽입되어 안내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구동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동핀이 이동함에 따라 제1 삼차원 조리개판과 제2 삼차원 조리개판이 각각 제1 관통홀과 제2 관통홀을 중심으로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차단판이 제1 개구를 폐쇄하는 위치에 있는지 또는 개방하는 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하는 제1 위치 감지부와, 제2 차단판이 제1 개구를 폐쇄하는 위치에 있는지 또는 개방하는 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하는 제2 위치 감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광이 통과하는 통공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와 통공의 일부를 폐쇄하여 제1 개구와 제2 개구를 형성하거나 통공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통공을 개방하는 삼차원 조리개판과 제1 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이동 가능한 제1 차단판과 제1 차단판이 제1 개구를 개방하면 상기 제2 개구를 폐쇄하고 제1 개구를 폐쇄하면 제2 개구를 개방하도록 이동 가능한 제2 차단판을 구비하는 광량 조절 장치와, 광량 조절 장치를 통과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와, 촬상 소자와 광량 조절 장치를 제어하여 촬영을 실행하며 삼차원 조리개판에 의해 형성된 제1 개구와 제2 개구를 순차적으로 개방하여 두 개의 화상을 획득하는 삼차원 촬영모드와, 삼차원 조리개판에 의해 개방된 통공을 이용하여 화상을 획득하는 이차원 촬영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삼차원 촬영모드에서 동영상을 촬영할 때에는 제어부가 동영상의 화질 프레임과 차단판 구동부를 제어하는 주파수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삼차원 촬영모드에서 동영상을 촬영할 때에는 제1 차단판과 제2 차단판은 연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촬영 장치는, 광량 조절 장치의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를 이용해 이차원 촬영을 실행할 수 있고 삼차원 조리개판을 이용해 삼차원 촬영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이차원 영상과 삼차원 영상을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삼차원 영상을 촬영할 때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두 개의 영상을 두 개의 차단판을 이용해 고속으로 얻을 수 있으므로 고속 구동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 장치를 구비한 촬영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량 조절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구성 요소들이 결합된 광량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광량 조절 장치에서 삼차원 조리개판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와 도 6는 도 3의 광량 조절 장치에서 삼차원 조리개판이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과 도 8은 도 3의 광량 조절 장치에서 차단판이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은 도 1의 촬영 장치가 실행하는 촬영의 단계들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 장치를 구비한 촬영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촬영 장치는 광량 조절 장치(1)와, 광량 조절 장치(1)를 통과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120)와, 촬상 소자(120)와 렌즈 구동부(112)와 광량 조절 장치(1)의 구동부들(14)(40)(50)을 제어하여 촬영을 실행하는 제어부(130)를 구비한다.
광량 조절 장치(1)는, 광이 통과하는 통공(101)을 갖는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10)와, 통공(101)의 일부를 폐쇄하여 제1 개구(103)와 제2 개구(105)를 형성하는 삼차원 조리개판(20)과, 삼차원 촬영을 실행할 때 서로 다른 각도에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차단판(30)을 구비한다. 이때, 차단판(30)은 제1 개구(103)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 차단판(31)과, 제2 개구(105)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 차단판(32)을 구비한다.
이차원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 광량 조절 장치(1)의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10)가 통공(101)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고, 삼차원 조리개판(20)과 차단판(30)은 통공(101)의 외측에 배치된다. 삼차원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 광량 조절 장치(1)의 삼차원 조리개판(20)은 통공(101)의 일부를 폐쇄하여 제1 개구(103)와 제2 개구(105)를 형성하고, 차단판(30)이 작동하여 제1 개구(103) 또는 제2 개구(105)로 입사된 두 개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촬영한다. 그러므로 촬영 장치는 이차원 촬영모드와 삼차원 촬영모드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편리하게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촬영 장치는 정지 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촬상 소자(120)는 씨씨디(CCD; charge coupled device) 또는 씨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여, 렌즈들(111)과 광량 조절 장치(1)을 통해 입사된 영상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촬상 소자(120)는 촬영 제어부(133)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화상 변환부(131)는 촬상 소자(120)의 전기적 신호를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화상 처리를 행할 수 있게 하거나 메모리(113)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촬상 소자(120)의 앞에 배치되는 광학계(110)는 복수 개의 렌즈들(111)과 광량 조절 장치(1)를 구비하고, 외부의 영상광을 촬상 소자(120)의 촬상면에 결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렌즈들(111)은 서로의 간격이 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렌즈들(111)의 간격이 변동되면 줌 배율이나 초점 등이 조절될 수 있다. 렌즈들(111)은 광축(L)을 따라 배치되는데, 광축(L)은 렌즈들(111)의 광학적 중심을 잇는 직선을 말한다.
렌즈들(111)은 줌모터(미도시)와 같은 구동 수단을 갖는 렌즈 구동부(112)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서로에 대한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렌즈들(111)은 피사체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시키는 줌 렌즈와, 피사체의 초점을 조절하는 포커스 렌즈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렌즈 구동부(112)는 제어부(130)의 렌즈 제어부(137)로부터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작동하여 렌즈들(111)이 복수 개의 확대 배율들 중 어느 하나를 갖도록 렌즈들(111)의 위치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촬상 소자(120), 렌즈 구동부(112), 표시부(140), 조작부(150), 광량 조절 장치(1)의 구동부들(14)(40)(50), 메모리(113)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이들 구성 요소와 제어 신호를 주고받거나, 데이터를 처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30)는 화상 변환부(131)와, 표시 제어부(132)와, 촬영 제어부(133)와, 사용자 인터페이스(134)와, 조리개 제어부(135)와, 2D/3D 촬영모드 제어부(136)와, 렌즈 제어부(137)와, 메모리 제어부(138) 등을 구비한다.
제어부(130)는 마이크로 칩이나, 마이크로 칩을 구비하는 회로 보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130)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들은 제어부(130)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나 회로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제어부(138)는 메모리(113)에 대한 데이터 기록과, 기록된 데이터나 설정 정보 등의 쓰기와 읽기를 제어한다. 메모리(113)는 SDRAM(synchronous DRAM)과 같은 휘발성 내장 메모리일 수도 있고, 비휘발성 외장 메모리일 수도 있다. 메모리(113)는 화상 변환부(131)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 메모리 기능 및 데이터 처리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작업 메모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촬영 장치는 화상 데이터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 전계 발광 장치(OLED) 등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표면의 터치를 감지하여 감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조작부(150)는 사용자의 조작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조작부(150)는 메뉴 조작용 버튼이나, 조그 다이얼(jog dial)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조작부(150)는 이차원 또는 삼차원 촬영을 지시할 수 있는 버튼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는 조작부(150)를 통해 이차원 또는 삼차원 촬영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30)에 배치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4)는 조작부(1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조리개 제어부(135)와 2D/3D 촬영모드 제어부(136)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2D/3D 촬영모드 제어부(136)는 촬영 장치가 이차원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2D 촬영모드로 작동할 것인지 삼차원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3D 촬영모드로 작동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설정된 촬영모드에 기초해 조리개 제어부(135)와 촬영 제어부(133) 등의 작동 방식이 변화할 수 있다.
조리개 제어부(135)는 삼차원 구동부(40)와 차단판 구동부(50)와 이차원 조리개 구동부(14)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삼차원 조리개판(20)과 차단판(30)과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10)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2는 도 1의 광량 조절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2의 구성 요소들이 결합된 광량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광량 조절 장치(1)는, 광이 통과하는 통공(101)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10)와, 통공(101)의 일부를 폐쇄하여 제1 개구(103)와 제2 개구(105)를 형성하거나 통공(101)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통공(101)을 개방하는 삼차원 조리개판(20)과, 제1 개구(103) 또는 제2 개구(105)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차단판(30)을 구비한다. 차단판(30)은 제1 개구(103)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 차단판(31)과, 제2 개구(105)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 차단판(32)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 요소들은 광축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삼차원 조리개판(20)은 삼차원 조리개판(20)을 구동하는 삼차원 구동부(40)와 연결되어 있고, 차단판(30)은 차단판(30)을 구동하는 차단판 구동부(50)와 연결되어 있다. 또, 제1 중간판(60)과 제2 중간판(70)은 삼차원 조리개판(20)과 차단판(30)과 구동부들(40)(5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중간판(60)과 제2 중간판(70)은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10)와 나사 등의 체결 수단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10)는 이차원 조리개 베이스(11)와, 이차원 조리개 커버(12)과, 이차원 조리개 베이스(11)와 이차원 조리개 커버(12) 사이에 배치된 이차원 조리개판(13)과 이차원 조리개 구동부(14)를 구비한다. 또,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10)는 이차원 조리개판(13)와 이차원 조리개 구동부(14)를 연결하여 이차원 조리개 구동부(14)의 회전력을 이차원 조리개판(13)에 전달할 수 있는 회전링(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차원 조리개 구동부(14)는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일 수 있고, 스테핑 모터와 회전링 사이에는 기어 조립체가 배치될 수 있다. 이차원 조리개판은 회전링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력을 전달받아 이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링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링의 회전 방향과 회전량을 조절함으로써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10)는 통공(101)의 개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10)는 상기의 방식 외에도 다양한 방식에 의해 통공(101)의 개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10) 상에는 삼차원 조리개판(20)이 배치된다. 삼차원 조리개판(20)은 제1 개구(103)를 형성할 수 있는 제1 통공(23)을 구비하는 제1 삼차원 조리개판(21)과, 제2 개구(105)를 형성할 수 있는 제2 통공(24)을 구비하는 제2 삼차원 조리개판(22)을 구비한다.
삼차원 조리개판(20)은 이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통공(101)의 외측에 배치되므로, 도 1의 렌즈들(111)을 통과한 광은 삼차원 조리개판(2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10)에 도달할 수 있다.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10)의 통공(101)을 통과한 광은 도 1의 촬상 소자(120)에 도달할 수 있다. 삼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삼차원 조리개판(20)의 제1 삼차원 조리개판(21)과 제2 삼차원 조리개판(22)이 통공(101)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제1 개구(103)와 제2 개구(105)를 형성한다. 삼차원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영상들을 얻어야 하므로, 제1 개구(103)와 제2 개구(105)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개구(103)와 제2 개구(105)의 사이의 거리는 두 눈의 간격에 대응될 수 있다. 삼차원 조리개판(20)은 삼차원 구동부(40)에 의해 구동되고, 제1 중간판(60)에 돌출 형성된 제1 보스(61)와 제2 보스(62)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삼차원 조리개판(20)의 구동 원리는 후술한다.
삼차원 조리개판(20)과 제2 중간판(70) 사이에는 차단판(30)이 배치된다. 차단판(30)은 제1 개구(103)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 차단판(31)과 제2 개구(105)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 차단판(32)을 구비한다.
제1 개구(103)과 제2 개구(105)를 통해 입사된 각각의 영상을 얻기 위해, 제1 개구(103)와 제2 개구(105)는 순차적으로 폐쇄되어야 한다. 제1 차단판(31)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회전 중심에 대응되는 제1 중심축(33)이 구비되어 있다. 제1 중심축(33)은 이차원 영상을 촬영할 때에, 입사광을 차단하지 않도록 통공(101)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차단판(31)은 제2 중간판(70)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제1 중심축(3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차단판(31)은 제1 중심축(33)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범위에 형성되어 광을 차단하는 제1 차단부(35)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는 제1 차단부(35)이 반원 형태인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제1 차단부(35)는 제1 개구(103)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제1 개구(103)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져야 한다. 제2 차단판(32)은 제1 차단판(31)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므로 기재를 생략한다.
차단판(30)은 차단판 구동부(50)에 의해 구동된다. 차단판 구동부(50)는 제1 차단판(31)을 구동하는 제1 차단판 구동부(51)와 제2 차단판(32)을 구동하는 제2 차단판 구동부(52)를 구비하고, 제1 차단판 구동부(51)는 제1 차단판 구동 모터(53)와 제1 기어 조립체(55)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제1 중간판(60)은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10)와 삼차원 조리개판(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보스(61)와 제2 보스(62)에 의해 삼차원 조리개판(20)을 지지하고, 제2 중간판(70)은 차단판(30)과 구동부들(40)(50)의 사이에 배치되어, 차단판(30)과 구동부들(40)(50)을 지지한다. 제2 중간판(70) 상에는 상기 구성 요소들을 덮는 커버판(8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단판 구동 모터들(53)(54)이 커버판(80) 상에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상술한 구성의 광량 조절 장치(1)는 도 1의 제어부(13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구동부들(13)(40)(50)에 의해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10)와, 삼차원 조리개판(20)과, 차단판(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광량 조절 장치(1)는 제어부(130)가 이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이차원 촬영모드와 삼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삼차원 촬영모드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광량 조절 장치(1)를 구비하는 촬영 장치를 이용하면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이차원 촬영모드와 삼차원 촬영모드를 모두 실행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광량 조절 장치에서 삼차원 조리개판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5와 도 6는 도 3의 광량 조절 장치에서 삼차원 조리개판이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삼차원 조리개판(20)은 제1 통공(23)을 구비하는 제1 삼차원 조리개판(21)과 제2 통공(24)을 구비하는 제2 삼차원 조리개판(22)을 구비한다. 제1 삼차원 조리개판(21)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제1 관통홀(25)이 배치되고, 제1 관통홀(25)에는 제1 중간판(60)에 돌출 형성된 제1 보스(61)가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삼차원 조리개판(21)은 제1 관통홀(2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1 중간판(60)에 의해 지지된다. 마찬가지로, 제2 삼차원 조리개판(22)은 제2 관통홀(26)을 구비하고, 제2 관통홀(26)에 제2 보스(62)가 삽입되어 제1 중간판(60)에 의해 지지된다. 제1 삼차원 조리개판(21)과 제2 삼차원 조리개판(22)은 통공(90)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어 있고, 제1 관통홀(25)과 제2 관통홀(26)은 이차원 영상을 촬영할 때 통공(101)에 입사되는 광을 차단하지 않도록 통공(101)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1 중간판(60)은 제1 보스(61)와 제2 보스(62)의 사이에 안내홈(63)을 구비한다. 상기 안내홈(63)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1 삼차원 조리개판(21)에 구비된 제3 관통홀(27)과 제2 삼차원 조리개판(22)에 구비된 제4 관통홀(28)이 차례로 배치된다. 삼차원 조리개판(20)은 도 1의 삼차원 구동부(40)에 의해 구동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삼차원 구동부(40)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구동핀(41)이, 제3 관통홀(27)과 제4 관통홀(28)을 관통하여 안내홈(63)에 끼워지고 안내홈(63)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 삼차원 조리개판(21)과 제2 삼차원 조리개판(22)을 회전시킨다.
도 5는 구동핀(41)이 안내홈(63)에서 통공(101)에 가까운 영역에 위치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이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 삼차원 조리개판(20)이 통공(101)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는 구동핀(41)이 안내홈(63)에서 통공(101)으로부터 먼 영역에 위치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삼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 삼차원 조리개판(20)이 통공(101)의 일부를 폐쇄하여 제1 개구(103)와 제2 개구(105)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1 삼차원 조리개판(21)에 구비된 제1 통공(23)은 제1 개구(103)를 형성하고, 제2 삼차원 조리개판(22)에 구비된 제2 통공(24)은 제2 개구(105)를 형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삼차원 조리개판(21)이 제1 개구(103)와 제2 개구(105)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제2 삼차원 조리개판(22)이 제1 개구(103)와 제2 개구(105)의 다른 일부분을 형성하여, 제1 삼차원 조리개판(21)과 제2 삼차원 조리개판(22)의 결합에 의해 제1 개구(103)와 제2 개구(105)를 형성할 수도 있다.
삼차원 구동부(40)는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or)로 구현될 수있다. 도 2의 삼차원 구동부(40)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요크(미도시)와 요크(미도시)의 일부에 권선되어 전류가 흐르는 코일(미도시)을 지지하는 지지부(43)와, 구동핀(41)과, 마그넷(42)을 구비한다. 상기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요크에 자기력이 인가되고, 마그넷(42)이 자기력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마그넷(42)에 부착되어 있는 구동핀(41)이 이동한다.
구동핀(4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관통홀(27)과 제4 관통홀(28)을 관통하여 안내홈(63)에 끼워져 있으므로, 안내홈(63)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 삼차원 조리개판(21)과 제2 삼차원 조리개판(22)을 회전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삼차원 구동부(40)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차원 조리개판(2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스테핑 모터나 솔레노이드나 초음파 모터나 공압 실린더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도 3의 광량 조절 장치에서 차단판이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삼차원 조리개판(20) 상에 제1 차단판(31)과 제2 차단판(32)이 배치되고, 제1 차단판(31)과 제2 차단판(32)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각각 제1 중심축(33)과 제2 중심축(34)이 배치된다. 제1 차단판(31)은 제1 차단판 구동부(51)의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차단판 구동부(51)는 제1 모터(53)와 제1 기어 조립체(55)를 구비하고 제1 기어 조립체(55)는 복수 개의 기어들이 서로 맞물려 돌아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제1 기어 조립체(55)를 구성하는 기어들이 세 개인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기어들이 세 개 이상일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즉, 제1 차단판(31)은 제1 모터(53)와 직접 연결되어 구동될 수도 있다. 제1 모터(53)가 도 1의 제어부(130)의 지시에 의해 회전하면 제1 기어 조립체(55)에 구비되어 있는 기어들이 서로 맞물려 회전하고, 제1 기어 조립체(55)와 연결되어 있는 제1 차단판(31)이 회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단판(30)과 차단판 구동부(50)는 각각 제2 중간판(70)의 하부와 상부에 배치되어, 제2 중간판(70)에 의해 지지된다. 제2 중간판(70)은 차단판(30)과 차단판 구동부(50)가 연결될 수 있도록 관통홀을 구비한다.
또, 도 2의 광량 조절 장치는 제1 차단판(31)과 제2 차단판(32)의 위치를 각각 감지하는 제1 위치 감지부(91)와 제2 위치 감지부(92)를 더 구비한다. 위치 감지부들(91)(92)은 차단판(30)이 제1 개구(91) 또는 제2 개구(92)를 개방하는 위치에 있는지, 폐쇄하는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삼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삼차원 조리개판(20)이 제1 개구(103)와 제2 개구(105)를 형성하고, 그 후에 차단판 구동부(50)는 도 1의 제어부(130)의 지시에 의해 구동을 개시함으로써 촬영을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제1 차단판(31)과 제2 차단판(32)의 위치를 각각 감지하는 제1 위치 감지부(91)와 제2 위치 감지부(92)에서 얻어진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제1 차단판(31)과 제2 차단판(32)의 운동을 지시한다. 제1 개구(103)와 제2 개구(105)는 순차적으로 개폐되어야 하므로, 제1 차단판(31)과 제2 차단판(32)은 교번하여 제1 개구(103)와 제2 개구(105)를 폐쇄 또는 개방한다.
도 7은 제2 차단판(32)이 제2 개구(105)를 폐쇄하여 제1 개구(103)에 입사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제1 차단판(31)이 제1 개구(103)를 폐쇄하여 제2 개구(105)에 입사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촬영 장치가 정지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제1 개구(103)와 제2 개구(105)를 1회씩만 폐쇄하여, 두 개의 촬영 영상을 얻고 이로부터 삼차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촬영을 수행하는 시간 동안, 제1 차단판(31)과 제2 차단판(32)은 제1 개구(103)와 제2 개구(105)를 교번하여 연속적으로 폐쇄와 개방을 반복하여야 한다. 이때, 제1 차단판(31)과 제2 차단판(32)은 제1 차단판 구동부(51)과 제2 차단판 구동부(52)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이 가능하므로, 고속 촬영이 가능하다.
정지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1 개구(103)와 제2 개구(105)를 통과하는 영상을 동시에 촬영하여야 한다. 그러나, 하나의 렌즈와 하나의 촬상 소자를 구비하는 경우 두 영상을 동시에 촬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제1 개구(103)와 제2 개구(105)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시간의 간격을 짧게 구현할 수 있다면 동시에 촬영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차단판(30)은 제1 차단판(31)과 제2 차단판(32)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제1 개구(103)를 개방/폐쇄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2 개구(105)를 폐쇄/개방할 수 있다.
특히,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도 1의 제어부(130)가 동영상의 화질 프레임과 차단판 구동부(50)를 제어하여 제1 차단판(31)과 제2 차단판(32)의 회전하는 구동 주파수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동기화라 함은, 동영상의 화질 프레임이 달라짐에 따라 촬상 소자(120)가 영상을 획득하는 속도가 빨라지거나 느려지므로, 이러한 화질 프레임에 맞추어 차단판(30)을 빠르게 회전시키거나 느리게 회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동영상을 촬영하는 동안 하나의 프레임을 획득하는 데 드는 시간을 반으로 나누어, 절반의 시간 동안은 제1 개구(103)를 통해 제1 화상을 획득하고 나머지 절반의 시간 동안은 제2 개구(105)를 통해 제2 화상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개구(103)와 제2 개구(105)를 통해 화상을 획득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면, 화질 프레임의 주파수가 높아져 고화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는 60 Hz의 구동 주파수를 획득할 수 있지만, 모터(53)(54)와 기어 조립체(55)(56)의 구성에 따라 더 높은 주파수를 얻을 수도 있다.
도 9은 도 1의 촬영 장치가 실행하는 촬영의 단계들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에 나타난 촬영의 단계들에 의하면 하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해 이차원 촬영모드 또는 삼차원 촬영모드를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가장 먼저 이차원 촬영모드를 행할 것인지 삼차원 촬영모드를 행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2D/3D 촬영모드 설정 단계(S110)가 실행된다. 도 1의 조작부(150)에서 조작이 이루어지면, 2D/3D 촬영모드 설정 단계(S110)에서 삼차원 촬영모드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120)가 실행된다.
이차원 촬영모드로 설정된 경우, 도 2의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10)를 구동하여 통공(101)의 개방 면적을 조절함과 아울러 이차원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을 실행한다(S140). 통공(101)의 개방 면적은 촬영을 행할 피사체의 밝기에 따라 결정된다. 삼차원 촬영모드로 설정된 경우,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10)는 통공(101)을 완전히 개방한 상태로 유지되고, 삼차원 조리개판(20)을 구동함으로써 제1 개구(103)와 제2 개구(105)를 형성하는 단계(S150)가 실행된다. 제1 개구(103)과 제2 개구(105)가 형성된 이후에는 제1 차단판(31)을 구동시켜, 제1 개구(103)를 차단하는 단계(S155)를 실행한 후, 제2 개구(91)를 통과한 광을 촬영하여 제2 화상을 획득한다(S160). 그 이후에는 제2 차단판(32)을 구동시켜 제2 개구(105)을 차단하는 단계(S170)를 실행한 후, 제1 개구(103)을 통과한 광을 촬영하여 제1 화상을 획득한다(S180).
삼차원 촬영모드가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한 후(S190), 삼차원 촬영모드가 계속 실행중인 경우에는 단계 S155 내지 단계 S180을 다시 실행하여 다음 삼차원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삼차원 촬영을 반복하는 것은 정지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와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단판(30)을 이동시켜 획득된 제1 화상 및 제2 화상을 이용하면 삼차원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제1 개구(103)와 제2 개구(105)를 통한 영상을 반복적으로 획득하여야 하고, 본 실시예는 제1 차단판(31)과 제2 차단판(32)을 이용하여 영상의 획득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으므로 고화질의 삼차원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 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상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특정 용어에 의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발명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등의 표현은 기술의 개방형 종결부의 용어로 이해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선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는 발명의 범위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1: 광량 조절 장치 110: 광학계
111: 렌즈들 112: 렌즈 구동부
113: 메모리 120: 촬상 소자
130: 제어부 140: 표시부
150: 조작부 10: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
14: 이차원 조리개 구동부 20: 삼차원 조리개판
21: 제1 삼차원 조리개판 22: 제2 삼차원 조리개판
23: 제1 통공 24: 제2 통공
25: 제1 관통홀 26: 제2 관통홀
30: 차단판 31: 제1 차단판
32: 제2 차단판 33: 제1 중심축
34: 제2 중심축 40: 삼차원 구동부
41: 구동핀 42: 마그넷
50: 차단판 구동부 51: 제1 차단판 구동부
52: 제2 차단판 구동부 53: 제1 모터
54: 제2 모터 55: 제1 기어 조립체
56: 제2 기어 조립체 60: 제1 중간판
61: 제1 요크 62: 제2 요크
63: 안내홈 70: 제2 중간판
80: 커버판 91: 제1 위치 감지부
92: 제2 위치 감지부 101: 통공
103: 제1 개구 105: 제2 개구
L: 광축

Claims (16)

  1. 광이 통과하는 통공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
    상기 통공의 일부를 폐쇄하여 제1 개구와 제2 개구를 형성하거나, 상기 통공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통공을 개방하는 삼차원 조리개판;
    상기 제1 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이동 가능한 제1 차단판; 및
    상기 제1 차단판이 상기 제1 개구를 개방하면 상기 제2 개구를 폐쇄하고, 상기 제1 개구를 폐쇄하면 상기 제2 개구를 개방하도록 이동 가능한 제2 차단판;을 구비하는 광량 조절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판은 상기 제1 차단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 중심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2 차단판은 상기 제2 차단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 중심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광량 조절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심축과 상기 제2 중심축은 상기 통공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차단판은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범위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차단판은 상기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범위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광량 조절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판과 상기 제2 차단판은 360도 회전 가능한 광량 조절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판을 구동하는 제1 차단판 구동부와, 상기 제2 차단판을 구동하는 제2 차단판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광량 조절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판 구동부는 제1 모터와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1 중심축을 연결하여 상기 제1 차단판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 기어 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차단판 구동부는 제2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와 상기 제2 중심축을 연결하여 상기 제2 차단판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 기어 조립체를 구비하는 광량 조절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조리개판은 상기 제1 개구를 형성할 수 있는 제1 통공을 구비하는 제1 삼차원 조리개판과, 상기 제2 개구를 형성할 수 있는 제2 통공을 구비하는 제2 삼차원 조리개판을 구비하는 광량 조절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와 상기 삼차원 조리개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삼차원 조리개판을 지지하는 제1 중간판을 더 구비하는 광량 조절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삼차원 조리개판과 상기 제2 삼차원 조리개판을 동시에 구동하는 삼차원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광량 조절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삼차원 조리개판은 상기 통공의 외측에 배치된 제1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중간판은 상기 제1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삼차원 조리개판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1 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삼차원 조리개판은 상기 통공의 외측에 배치된 제2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중간판은 상기 제2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삼차원 조리개판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 보스를 구비하는 광량 조절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판은 상기 제1 보스와 상기 제2 보스의 사이에 안내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삼차원 조리개판은 상기 안내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3 관통홀(27)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삼차원 조리개판은 상기 안내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4 관통홀(28)을 구비하고, 상기 삼차원 구동부는 상기 제3 관통홀(27)과 상기 제4 관통홀(28)을 관통하여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구동핀을 구비하는 광량 조절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핀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삼차원 조리개판과 상기 제2 삼차원 조리개판이 각각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을 중심으로 동시에 회전하는 광량 조절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판이 제1 개구를 폐쇄하는 위치에 있는지 또는 개방하는 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하는 제1 위치 감지부와, 상기 제2 차단판이 제1 개구를 폐쇄하는 위치에 있는지 또는 개방하는 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하는 제2 위치 감지부를 더 구비하는 광량 조절 장치.
  14. 광이 통과하는 통공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이차원 조리개 조립체와, 상기 통공의 일부를 폐쇄하여 제1 개구와 제2 개구를 형성하거나 상기 통공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통공을 개방하는 삼차원 조리개판과, 상기 제1 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이동 가능한 제1 차단판과, 상기 제1 차단판이 상기 제1 개구를 개방하면 상기 제2 개구를 폐쇄하고, 상기 제1 개구를 폐쇄하면 상기 제2 개구를 개방하도록 이동 가능한 제2 차단판을 구비하는 광량 조절 장치;
    상기 광량 조절 장치를 통과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 및
    상기 촬상 소자와 상기 광량 조절 장치를 제어하여 촬영을 실행하며, 상기 삼차원 조리개판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를 순차적으로 개방하여 두 개의 화상을 획득하는 삼차원 촬영모드와, 상기 삼차원 조리개판에 의해 개방된 상기 통공을 이용하여 화상을 획득하는 이차원 촬영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촬영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촬영모드에서 동영상을 촬영할 때에는 상기 제어부가 동영상의 화질 프레임과 상기 차단판 구동부를 제어하는 주파수를 동기화시키는 촬영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촬영모드에서 동영상을 촬영할 때에는 상기 제1 차단판과 상기 제2 차단판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촬영 장치.
KR1020110074120A 2011-07-26 2011-07-26 광량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20130012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120A KR20130012758A (ko) 2011-07-26 2011-07-26 광량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US13/447,386 US9025010B2 (en) 2011-07-26 2012-04-16 Light amount adjust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120A KR20130012758A (ko) 2011-07-26 2011-07-26 광량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758A true KR20130012758A (ko) 2013-02-05

Family

ID=47596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120A KR20130012758A (ko) 2011-07-26 2011-07-26 광량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25010B2 (ko)
KR (1) KR201300127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856A (ko) * 2017-07-28 2019-02-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프로젝터 장치
KR20190095242A (ko) * 2019-08-08 2019-08-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프로젝터 장치
CN110945423A (zh) * 2018-08-02 2020-03-31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光圈控制方法、装置、光圈设备和拍摄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5043A (ko) 2010-10-04 2012-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경로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KR101993240B1 (ko) * 2012-03-30 2019-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경로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US11693208B2 (en) 2019-02-01 2023-07-04 Tdk Taiwan Corp. Optical sens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14A (zh) * 1994-03-28 1996-07-03 迈格玛公司 二维、三维成像装置
CA2123077C (en) 1994-04-14 2001-09-04 Anthony B. Greening Single lens stereoscopic imaging system
TW262541B (ko) * 1994-05-09 1995-11-11 Image Technology Internat Inc
JPH0869063A (ja) 1994-08-29 1996-03-12 Olympus Optical Co Ltd 立体映像録画装置および録画方法
KR100220888B1 (ko) * 1997-01-18 1999-09-15 박호군 이동 개구를 이용한 다시야 3차원 영상 구현 방법 및 시스템
US20050140820A1 (en) * 1999-08-20 2005-06-30 Koichi Takeuchi Lens unit and camera
EP1984785B1 (en) * 2006-02-13 2014-05-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onocular three-dimensional imaging
US8363156B2 (en) * 2010-04-09 2013-01-29 3Dv Co. Ltd Single-lens 2D/3D digital camera
US20120320164A1 (en) * 2011-06-16 2012-12-20 Lenny Lipton Stereoscopic camera with polarizing apertur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856A (ko) * 2017-07-28 2019-02-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프로젝터 장치
CN110945423A (zh) * 2018-08-02 2020-03-31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光圈控制方法、装置、光圈设备和拍摄设备
CN110945423B (zh) * 2018-08-02 2021-07-02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光圈控制方法、装置、光圈设备和拍摄设备
KR20190095242A (ko) * 2019-08-08 2019-08-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프로젝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27524A1 (en) 2013-01-31
US9025010B2 (en) 2015-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0445B1 (en) Photograph shoo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1700364B1 (ko) 광량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KR20130012758A (ko) 광량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EP2555507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5595499B2 (ja) 単眼立体撮像装置
JP5269252B2 (ja) 単眼立体撮像装置
JP6286668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画像の表示方法
JP5753321B2 (ja) 撮像装置及び合焦確認表示方法
JP574004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撮像装置
TW201206158A (en) Forming video with perceived depth
EP2645165B1 (en) Optical path adjusting device for selectively capturing a 2D image or a 3D image
JP2011259168A (ja) 立体パノラマ画像撮影装置
JP2011114547A (ja) 立体画像表示装置、複眼撮像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10226362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242185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US9152014B2 (en)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es and methods
US8401379B2 (en) Optical path adjusting device and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20035043A (ko) 광경로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JP5307189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複眼撮像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15028548A (ja) 撮像装置
JP2010109709A (ja) 撮像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および動画撮影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