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3248U -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하우징 - Google Patents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3248U
KR20090013248U KR2020080008373U KR20080008373U KR20090013248U KR 20090013248 U KR20090013248 U KR 20090013248U KR 2020080008373 U KR2020080008373 U KR 2020080008373U KR 20080008373 U KR20080008373 U KR 20080008373U KR 20090013248 U KR20090013248 U KR 200900132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nector housing
wire
housing
cov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3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83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3248U/ko
Publication of KR200900132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24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01R13/501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comprising an integral hinge or a frangible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터미널이 삽입되는 장착공간(12)이 형성되는 커넥터하우징(10)과,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감싸 보호하는 와이어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커버(20)는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가 서로 조립됨에 의해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외면 일부와 상기 와이어의 일부를 감싸고, 상기 제1커버몸체(22) 또는 상기 제2커버몸체(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플랙시블한 재질의 연결리드(25,35)에 의해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외면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두 개의 커버몸체(22,32)로 구성되는 와이어커버(20)가 각각 커넥터하우징(10)에 연결리드(25,35)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되므로, 와이어커버(20)만을 별도로 제조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이 감소되고, 와이어커버(20)를 커넥터하우징(10)과 함께 보관 및 이송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커버(20)의 관리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터미널, 와이어커버

Description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하우징{Connector housing having wire cover}
본 고안은 커넥터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 및 이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외부로부터 차폐하여 보호하기 위한 와이어커버가 일체로 구비되는 커넥터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회로가 기기의 상호간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연결하는 접속기구물로서, 자동차의 내부에는 각종 배선과 함께 커넥터가 설치되어 배터리로부터 전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커넥터에 종래기술에 의한 와이어커버가 결합된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은 하우징(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고, 상대물과의 결합을 위해 일측 혹은 양측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에는 와이어(미도시)가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우징(1)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과 연결되어, 소정거리 이격된 기타 상대물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는 튜브(2)에 의해 감싸져 보호된다.
상기 하우징(1)에는 와이어커버(4)가 결합된다. 상기 와이어커버(4)는 상기 하우징(1)의 외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하우징(1)의 외면을 감쌈으로써, 상기 하우징(1)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와이어커버(4)는 상기 하우징(1)과 튜브(2)가 연결되는 부분을 차폐함으로써, 하우징(1)과 와이어의 연결 부위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의 내부에서 하우징(1)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각종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커버(4)는 제1몸체(5)와 제2몸체(6)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5)와 제2몸체(6)는 체결후크(7)와 체결턱(8)으로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을 감싸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몸체(5)와 제2몸체(6)는 상기 하우징(1)을 가운데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됨으로써, 하우징(1)을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커넥터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하우징(1)에 와이어가 연결된 터미널을 설치하고, 와이어커버(4)를 하우징(1)에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와이어커버(4)는 상기 하우징(1)과는 별개물이므로, 상기 하우징(1)과는 별도로 제조되고 하우징(1)에 조립되기에 앞서 따로 관리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커버(4)를 제작하기 위한 별도의 사출금형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제조비가 늘어나고, 제조된 와이어커버(4)를 하우징(1)과 별도로 보관해야 하므로 와이어커버(4)의 관리가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커버(4)를 하우징(1)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하우징(1)의 후단, 즉 상기 와이어가 연장되는 하우징(1)의 일단과 와이어 사이를 상기 두 몸체(5,6)가 정확하게 감싸도록 하면서 조립해야 하므로 와이어커버의 조립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어커버가 일체로 구비되는 커넥터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내부에 터미널이 삽입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양측면에 쌍을 이루어 연결되는 제1 및 제2커버몸체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가 서로 조립됨에 의해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면 일부와 상기 터미널에 연결되어 커넥터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와이어의 일부를 감싸는 와이어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커버몸체 또는 상기 제2커버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플랙시블한 재질의 연결리드에 의해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면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면과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걸이돌기와 걸이후크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가 조립되면 서로 걸어진다.
상기 연결리드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상기 제1커버몸체 또는 제2커버몸체가 연결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면에는 스토퍼리브가 구비되어 상기 제1커버몸체와 제2커버몸체가 조립되면 상기 제1 또는 제2커버몸체의 일단을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연결리드는 상기 커넥터하우징 의 양측면에 각각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상기 제1커버몸체와 제2커버몸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조립후크 및 조립턱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과 와이어를 감싼 상태로 서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두 개의 커버몸체로 구성되는 와이어커버가 각각 커넥터하우징에 연결리드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되므로, 와이어커버만을 별도로 제조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이 감소되고, 와이어커버를 커넥터하우징과 함께 보관 및 이송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커버의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두 개의 커버몸체가 연결리드를 중심으로 어느 정도 일정한 궤적을 그리면서 회전하여 커넥터하우징의 외면에 고정되므로, 와이어커버를 커넥터하우징에 보다 용이하게 커넥터하우징에 조립할 수 있어 와이어커버의 조립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도 2와 각도에서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하우징(10,이하 '커넥터하우징'이라 한다)의 골격은 하우징몸체(11)가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몸체(11)는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지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되고, 그 내부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는 장착공간(12)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외면에는 체결후크(13)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후크(13)는 상대커넥터의 커넥터하우징(10)과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그 외면에 체결턱(13')이 구비되어 상대커넥터하우징(10)에 걸어진다. 도면부호 15는 손잡이부로 작업자가 커넥터 사이의 체결을 해제하는 경우에 외력을 가하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몸체(11)에는 걸이돌기(18)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돌기(18)는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쌍을 이루어 두 개씩 구비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걸이돌기(18)는 하우징몸체(11)의 외면 중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의 연결리드(25,35)가 구비되는 외면에 구비된다. 즉, 상기 걸이돌기(18)는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양측외면에 대칭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도 4참조).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외면에는 스토퍼리브(19)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리브(19)는 상기 걸이돌기(18)가 형성된 하우징몸체(11)의 외면에 구비되어, 제1커버몸체(22) 및 제2커버몸체(32)가 조립되면 제1커버몸체(22) 또는 제2커버몸체(32)의 일단을 지지하여 와이어커버(20)가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리브(19)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공간(12)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는 와이어커버(20)가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커버(2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10)과 상기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도시되지 않음)의 일부를 차폐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와이어커버(20)는 상기 와이어의 연장방향을 안내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커버(20)의 골격은 커버몸체(21)에 의해 형성되는데, 상기 커버몸체(21)는 다시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로 구성된다. 상기 제1커버몸체(22)와 제2커버몸체(32)는 서로 결합되어 각각의 내부공간(S,S')이 협력하여 양측으로 개구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의해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외면 일부와 상기 와이어의 일부가 감싸지게 된다.
상기 제1커버몸체(22) 및 제2커버몸체(32)는 서로 쌍을 이루어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외면에 대칭되게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는 그 형상 역시 서로 대칭되어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가 결합되면 그 외면은 서로 연속된 면을 이루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조립턱(23)과 조립후크(33)가 구비된다. 상기 조립턱(23)과 조립후크(33)는 서로 걸어져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가 조립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립턱(23)과 조립후크(33)는 각각 4개가 구비되는데 그 개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물론, 상기 조립턱(23)이 상기 제2커버몸체(32)에 구비되고, 상기 조립후크(33)가 상기 제1커버몸체(22)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는 각각 연결리드(25,35)에 의해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외면에 일체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리드(25,35)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되어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는 어느 정도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는 상기 연결리드(25,35)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리드(25,35)는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의 양측면에 각각 2개씩 쌍을 이루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가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하우징몸체(11)에 연결되고, 동시에 조립과정에서 일정한 회전경로를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에는 걸이후크(28,38)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후크(28,38)는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가 서로 조립되면 상기 하우징몸체(11)의 걸이돌기(18)에 걸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가 하우징몸체(11)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하우징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와이어커버가 조립되는 모습이 조립순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먼저 작업자는 커넥터하우징(10)의 하우징몸체(11)에 형성된 장착공간(12)에 터미널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터미널에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는 장착공간(12) 외부로 연장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하우징몸체(11)에 연결리드(25,35)에 의해 연결된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를 회전시켜 서로 조립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는 상기 연결리드(25,35)를 중심으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어 서로 조립된다.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커버몸체(32)에 구비된 조립후크(33)는 탄성변형을 통해 제1커버몸체(22)의 조립턱(23)에 걸어져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가 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가 조립되면, 상기 와이어커버(2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외면 일부 및 와이어의 일부를 감싸 보호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에 구비된 걸이후크(28,38)는 상기 하우징몸체(11)의 걸이돌기(18)에 걸어져 하우징몸체(11)에 유동없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가 상기 하우징몸체(11)에 일체로 구비되므로, 작업자는 상기 와이어커버(20)를 별도로 제조하고,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리드(25,35)가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의 회전방향을 어느 정도 안내해주므로,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외면의 정확한 위치를 감싸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 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가 모두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상기 제1커버몸체(22) 또는 제2커버몸체(32) 중 어느 하나만이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가 서로 연결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22,32)가 모두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연결된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커넥터에 종래기술에 의한 와이어커버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도 2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와이어커버가 조립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인 조립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커넥터하우징 11: 하우징몸체
12: 장착공간 13: 체결후크
18: 걸이돌기 20: 와이어커버
21: 커버몸체 22,32: 제1 및 제2커버몸체
23: 걸이돌기 28,38: 걸이후크

Claims (5)

  1. 내부에 터미널이 삽입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양측면에 쌍을 이루어 연결되는 제1 및 제2커버몸체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가 서로 조립됨에 의해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면 일부와 상기 터미널에 연결되어 상기 장착공간의 외부로 연장되는 와이어의 일부를 감싸는 와이어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커버몸체 또는 상기 제2커버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플랙시블한 재질의 연결리드에 의해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면에 일체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하우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면과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걸이돌기와 걸이후크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커버몸체가 조립되면 서로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하우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리드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쌍을 이루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하우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몸체 또는 제2커버몸체가 연결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면에는 스토퍼리브가 구비되어 상기 제1커버몸체와 제2커버몸체가 조립되면 상기 제1 또는 제2커버몸체의 일단을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하우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몸체와 제2커버몸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조립후크 및 조립턱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과 와이어를 감싼 상태로 서로 결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하우징.
KR2020080008373U 2008-06-23 2008-06-23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하우징 KR2009001324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373U KR20090013248U (ko) 2008-06-23 2008-06-23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373U KR20090013248U (ko) 2008-06-23 2008-06-23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248U true KR20090013248U (ko) 2009-12-31

Family

ID=49299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373U KR20090013248U (ko) 2008-06-23 2008-06-23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324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2460A1 (ko) * 2021-08-18 2023-02-23 주식회사 유니크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2460A1 (ko) * 2021-08-18 2023-02-23 주식회사 유니크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KR20230027366A (ko) * 2021-08-18 2023-02-28 주식회사 유니크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2893B1 (en) Connector
US9972417B2 (en) Electrically conducting path
US9592775B2 (en) Wiring harness protector fixing structure
KR101595680B1 (ko)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
US9991632B2 (en) Lock mechanism, connector and wire harness
JP6482575B2 (ja) 多極の電気コネクタ部分
JP6501339B2 (ja) 電気コネクタハウジング
WO2011096497A1 (ja) コネクタ
WO2014175360A1 (ja) 電線のコネクタ構造
JP6262579B2 (ja) 電流センサーと導電部材との組み付け構造
KR20090013248U (ko)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하우징
KR20130066447A (ko) 방수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KR20090022945A (ko) 와이어커버
KR20150074033A (ko) 전기 접속 시스템
KR100936255B1 (ko) 패널장착형 커넥터어셈블리
JP6103387B2 (ja) 保護ケース
JP5030660B2 (ja) プロテクタ付きコネクタ
JP2013176205A (ja) ワイヤーハーネス
JP7313774B2 (ja) 電気接続箱
KR20120004256U (ko) 와이어커버
KR102428144B1 (ko) 브리지 파트 하우징
JP6570278B2 (ja) コネクタ構造
JP6376946B2 (ja) プロテクタ
KR20080004985U (ko) 와이어커버
JP6920879B2 (ja) ワイヤカバーおよび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