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059A - 투사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투사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059A
KR20090012059A KR1020080063707A KR20080063707A KR20090012059A KR 20090012059 A KR20090012059 A KR 20090012059A KR 1020080063707 A KR1020080063707 A KR 1020080063707A KR 20080063707 A KR20080063707 A KR 20080063707A KR 20090012059 A KR20090012059 A KR 20090012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creen
image
adjustment
primary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이치로 니시무라
요시타케 콘도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2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0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04N9/312Driving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Liquid Crystal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장치의 사용 상황에 의하지 않고, 레지스트레이션 조정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투사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각 원색광 사이에서 위치 어긋남이 생긴 경우에는, 입력된 조정치 등에 따라, 위치 어긋남이 저감되도록 세가지 색용의 영상 신호의 보정을 행한다(레지스트레이션 조정을 행한다). 또한, 표시 화면 내에서 화상 반전이 이루어지도록, 입력 영상 신호(Din)에 대한 화상 반전 처리를 행한다. 유저에 의한 구성에 의해, 표시 화면 내에서 적절한 화상 반전이 이루어진다. 또한, 화상 반전 처리가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그와 같은 화상 반전 처리 전의 좌표계에서의 위치 어긋남 방향에 대해 역극성의 조정치를, 표시 화면상의 조작에 의해 입력 가능하다.

Description

투사형 표시 장치{PROJECTION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일본 특허출원 JP2007-193789(2007.07.25)호의 우선권 주장 출원이다.
본 발명은, 액정 프로젝터 등에 적용되는 투사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간 광변조 소자에 인가하는 전기 신호에 따라, 공간 광변조 소자에의 입사광을 공간 변조하여 출사하고, 출사광을 모아서 투영함으로써 영상 표시를 행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예를 들면, 액정 프로젝터 등)가 보급되어 있다. 그와 같은 투사형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광원으로서 램프와, 집광경을 갖음과 함께, 그들로부터 발하여진 광을 집광하여 공간 광변조 소자에 입사시키는 조명 광학계를 구비하고 있다. 공간 광변조 소자로부터의 광을 투영 렌즈에 의해 화면 등에 투영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투사형 표시 장치중, 적색광(R), 녹색광(G) 및 청색광(B)의 각 삼원색광을 합성하여 투사를 행하는 것(이른바 삼판식(三板式)의 투사형 표시 장치)에서는, 광학계의 고착의 정밀도 등에 편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고, 그와 같은 경우에는 화면상에 투사된 표시 영상에서, 각 원색광 사이에서의 위치 어긋남에 의해 색 어긋남이 발생하여 버리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광학 기구적인 요인으로 발생한 색 어긋남을 저감하기 위해, 종래로부터, 색 어긋남을 전기적으로 보정하는 레지스트레이션 조정 기능을 마련하도록 한 투사형 표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H08-201937호 공보)
그런데, 투사형 표시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유저가 화면의 이측(裏側)에서 영상을 보도록 하여 사용하는 경우나, 장치를 천정(天井)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이 하여 사용하는 경우, 유저에게 있어서 정상적인 방향으로 영상이 보이도록, 영상을 좌우(수평 방향)나 상하(수직 방향)로 반전하여 투영시키도록 되어 있다(화상 반전 기능).
여기서, 이와 같은 화상 반전 기능을 실행하고 있는 경우에도, 전술한 각 원색광 사이에서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색 어긋남의 방향은, 색 어긋남이 하드웨어상의 것이기 때문에, 화상 반전을 하기 전과 다르지 않다. 따라서 유저가 표시 화면상의 조작에 의해 레지스트레이션 조정을 행하려고 하면, 유저로부터 보이는 조정 방향과 실제의 조정 방향이 수평 방향이나 수직 방향에 따라 역(逆)으로 되어 버려서, 레지스트레이션 조정을 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장치의 사용 상황에 의하지 않고, 레지스트레이션 조정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투사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투사형 표시 장치는, 광원과; 이 광원으로부터 발하여진 광을 컬러 표시용의 각 원색광마다 영상 신호에 의거하여 변조하는 공간 광변조 소자와; 이 공간 광변조 소자에 의해 변조된 각 원색광을 화면에 투사하는 투사 수단과; 신호 처리 수단과; 보정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은, 유 저에 의한 조작에 따라, 화면상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중의 적어도 한 방향에 따라 화상 반전이 이루어지도록, 영상 신호에 대한 화상 반전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정 수단은, 화면상에 투사된 각 원색광 사이에서 표시 화면 내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적어도 한 방향에 따라 위치 어긋남이 생긴 경우에, 표시 화면상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보정치에 따라 그와 같은 위치 어긋남이 저감되도록 각 원색광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의 보정을 행하고, 보정 후의 영상 신호를 공간 광변조 소자에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화면에 투사된 화상이 반전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와 같은 화상 반전 처리 전의 좌표계에서의 위치 어긋남 방향에 대해 역극성의 보정치가, 표시 화면상의 조작에 의해 입력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투사형 표시 장치에서는, 광원으로부터 발하여진 광이 각 원색광마다 영상 신호에 의거하여 공간 광변조 소자에 의해 변조되고, 이 변조된 각 원색광이 화면에 투사됨에 의해, 영상 신호에 의거한 영상 표시가 이루어진다. 또한, 화면상에 투사된 각 원색광 사이에서 표시 화면 내의 수평 방향 및/또는 수직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저감되도록, 표시 화면상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보정치에 따라 각 원색광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의 보정이 이루어지고, 보정 후의 영상 신호가 공간 광변조 소자에 공급된다. 그 결과, 각 원색광 사이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색 어긋남의 발생이 억제되고, 표시 화질이 향상된다. 또한, 유저에 의한 조작에 따라, 화면상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중의 적어도 한 방향에 따라 화상 반전이 이루어지도록, 영상 신호에 대한 화상 반전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로써, 장치의 사용 상황에 따른 유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표시 화면 내에서 적절한 화상 반전이 이루 어진다. 또한, 이와 같은 화상 반전 처리가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화상 반전 처리 전의 좌표계에서의 위치 어긋남 방향에 대해 역극성의 보정치가 표시 화면상의 조작에 의해 입력 가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 화면 내에서 화상 반전이 이루어지는 사용 상황이라도, 유저에 의한 보정치의 입력 조작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히 나타날 것이다.
본 발명의 투사형 표시 장치에 의하면, 화면상에 투사된 각 원색광 사이에서 표시 화면 내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적어도 한 방향에 따라 위치 어긋남이 생긴 경우에는, 표시 화면상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보정치에 따라 그와 같은 위치 어긋남이 저감되도록 각 원색광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의 보정을 행하도록(레지스트레이션 조정을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각 원색광 사이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색 어긋남의 발생을 억제하고, 표시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화면상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중의 적어도 한 방향에 따라 화상 반전이 이루어지도록 영상 신호에 대한 화상 반전 처리를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장치의 사용 상황에 따른 유저로부터 조작에 의해, 표시 화면 내에서 적절한 화상 반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화상 반전 처리가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화상 반전 처리 전의 좌표계에서의 위치 어긋남 방향에 대해 역극성의 보정치를 표시 화면상의 조작에 의해 입력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표시 화면 내에서 화상 반전이 이루어지는 사용 상황이라도, 유저에 의한 보정치의 입력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사용 상황에 의하지 않고, 레지스트레이션 조정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에 대해서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투사형 표시 장치(액정 프로젝터(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 액정 프로젝터(1)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영상 신호(Din)에 의거하여 영상 표시를 행하는 것이고, 광원부(11)와, 이색성(dichroic) 미러(121, 122)와, 반사 미러(131, 132, 133)와, 광변조기(14)와, 이색성 프리즘(15)과, 투사 렌즈(16)와, 화면(17)과, 입력 영상 신호(Din)에 의거하여 광변조기(14)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2)로 구성되어 있다.
광원(11)은, 컬러 화상 표시에 필요하게 되는, 적색광(R), 청색광(B) 및 녹색광(G)의 각 원색광을 포함한 백색광을 발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할로겐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또는 크세논 램프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색성 미러(121)는, 광원(11)으로부터 발하여진 조사광(L0)중, 적색광(Lr) 및 녹색광(Lg)을 투과시키는 한편, 청색광(Lb)을 반사시킴에 의해, 적색광(Lr) 및 녹색광(Lg)과 청색광(Lb)을 서로 분리하여 진행시키는 것이다. 또한, 이색성 미러(122)는, 이색성 미러(121)를 투과한 적색광(Lr) 및 녹색광(Lg)중, 적색광(Lr)을 투과시키는 한편, 녹색광(Lg)을 반사시킴에 의해, 적색광(Lr)과 녹색광(Lg)을 서로 분리하여 진행시키는 것이다. 또한, 이 이색성 미러(122)에 의해 반사된 녹색 광(Lg)은, 광변조기(14)의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
반사 미러(131)는, 이색성 미러(121)에 의해 반사된 청색광(Lb)을, 광변조기(14)의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것이다. 반사 미러(132, 133)는, 이색성 미러(122)에 의해 반사된 적색광(Lr)을, 광변조기(14)의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것이다.
광변조기(14)는, 적색광(Lr), 녹색광(Lg) 및 청색광(Lb)의 각 원색광에 대응하는 3개의 액정 소자(14R, 14G, 14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광원(11)으로부터 발하여진 조사광(L0)을, 각 원색광(적색광(Lr), 녹색광(Lg) 및 청색광(Lb))마다, 제어부(2)로부터 공급되는 각 색용의 영상 신호에 의거하여 각각 변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액정 소자(14R)는, 반사 미러(133)와 이색성 프리즘(15)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입사한 적색광(Lr)을, 제어부(2)로부터 공급되는 적색용의 영상 신호에 의거하여 변조하는 것이다. 또한, 액정 소자(14G)는, 이색성 미러(122)와 이색성 프리즘(15)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입사한 녹색광(Lg)을, 제어부(2)로부터 공급되는 녹색용의 영상 신호에 의거하여 변조하는 것이다. 또한, 액정 소자(14B)는, 반사 미러(131)와 이색성 프리즘(15)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입사한 청색광(Lb)을, 제어부(2)로부터 공급되는 청색용의 영상 신호에 의거하여 변조하는 것이다. 이들 액정 소자(14R, 14G, 14B)는 각각, 예를 들면, 영상 신호에 의거한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이 끼워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색성 프리즘(15)은, 액정 소자(14R, 14G, 14B)에 의해 각각 변조된 적색 광(Lr), 녹색광(Lg) 및 청색광(Lb)을 혼합하여 혼합광(표시광)(Lout)으로 함과 함께, 이 표시광(Lout)을 하나의 광로상(투사 렌즈(16)를 향하는 광로상)으로 진행시키는 것이다.
투사 렌즈(16)는, 이색성 프리즘(15)과 화면(17)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이색성 프리즘(15)에 의해 생성된 표시광(Lout)을 화면(17)상에 투사시키기 위한 렌즈이다. 화면(17)은, 액정 소자(14R, 14G, 14B)에 의해 각각 변조되고 투사 렌즈(16)에 의해 투사된 광(표시광(Lout))이 투사되는 부분이다.
제어부(2)는, 영상 신호 처리부(21)와, 레지스트레이션 조정부(22)와, 액정 소자 구동부(23)를 갖고 있다.
영상 신호 처리부(21)는, 입력 영상 신호(Din)에 대해, 영상 신호의 색 온도를 조정하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과 이른바 감마 보정을 행함에 의해 영상 신호(D1)(조정 전 데이터(D1))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로써, 표시 영상의 화질이 향상하는 조정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영상 신호 처리부(21)는, 유저에 의한 조작에 따라, 화면(17)상의 표시 화면 내의 수평 방향(H 방향) 및 수직 방향(V 방향)중의 적어도 한 방향에 따라 화상 반전이 이루어지도록, 입력 영상 신호(Din)에 대한 화상 반전 처리를 행하는 기능(화상 반전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영상 신호 처리부(21)에 의한 화상 반전 처리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레지스트레이션 조정부(22)는, 화면(17)상에 투사된 각 원색광(Lr, Lg, Lb) 사이에서 위치 어긋남이 생긴 경우에, 유저에 의한 표시 화면상의 조작에 의해 입 력된 조정치(보정치)에 따라, 그와 같은 위치 어긋남이 저감되도록 각 원색광(Lr, Lg, Lb)에 대응하는 각 색용의 영상 신호(D1)(조정 전 데이터(D1))의 보정을 행하고(레지스트레이션 조정을 행하고), 조정 후의 각 색용의 영상 신호(D2)(조정 후 데이터(D2))를 액정 소자 구동부(23)에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이 레지스트레이션 조정부(22)에 의한 조정 처리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액정 소자 구동부(23)는, 레지스트레이션 조정부(24)에 의해 공급되는 조정 후 데이터(D2)에 의거하여, 액정 소자(14R, 14B, 14G)를 각각 구동하는 것이다.
여기서, 액정 소자(14R, 14B, 14G)가 본 발명에서의 「공간 광변조 소자」의 한 구체예에 대응하고, 투사 렌즈(16)가 본 발명에서의 「투사 수단」의 한 구체예에 대응한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부(21)가 본 발명에서의 「신호 처리 수단」의 한 구체예에 대응하고, 레지스트레이션 조정부(22)가 본 발명에서의 「보정 수단」의 한 구체예에 대응한다.
다음에,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의 액정 프로젝터(1)의 동작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2는, 레지스트레이션 조정부(22)에 의한 조정 처리의 한 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화상 반전이 불필요한 경우의 액정 프로젝터(1)의 사용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 내지 도 8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용예에서의 화상 반전 처리 및 레지스트레이션 조정 처리의 한 예에 관해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9는, 수평 방향의 화상 반전이 필요한 경우의 액정 프로젝터(1)의 사용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 내지 도 13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용예에서의 화상 반전 처리 및 레지스트레 이션 조정 처리의 한 예를, 비교예(도 12)와 비교하면서 도시한 것이다.
이 액정 프로젝터(1)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11)으로부터 발하여진 조사광(L0)이, 이색성 미러(121)에 의해 적색광(Lr) 및 녹색광(Lg)과 청색광(Lb)으로 분리되고, 또한 이색성 미러(122)에 의해, 적색광(Lr)과 녹색광(Lg)이 분리된다. 분리된 적색광(Lr)은, 반사 미러(132, 133)를 통하여 액정 소자(14R)에 입사하고, 분리된 녹색광(Lg)은, 그대로 액정 소자(14G)에 입사하고, 분리된 청색광(Lb)은, 반사 미러(131)를 통하여 액정 소자(14B)에 입사한다. 이들 각 원색광(Lr, Lg), 청색광(Lb)은 각각, 액정 소자(14R, 14G, 14B)에서, 제어부(2)로부터 공급되는 각 색용의 영상 신호에 의거하여 변조된다. 그리고 변조된 각 원색광(Lr, Lg), 청색광(Lb)은 이색성 프리즘(15)에 의해 혼합된 표시광(Lout)이 되고, 이 표시광(Lout)이 투사 렌즈(16)에 의해 화면(17)상에 투사됨에 의해, 입력 영상 신호(Din)에 의거한 영상 표시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어부(2)에서는, 우선, 영상 신호 처리부(21)에서, 입력 영상 신호(Din)에 대해 화이트 밸런스 조정이나 감마 보정이 시행됨에 의해, 영상 신호(D1)가 생성된다. 그리고 레지스트레이션 조정부(22)에서는, 영상 신호 처리부(21)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신호(D1)(조정 전 데이터(D1))에 대해,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유저로부터 입력되는 보정치에 따라 영상 신호의 보정(레지스트레이션 조정)이 이루어지고, 보정 후의 영상 신호(D2)(조정 후 데이터(D2))가 액정 소자 구동부(23)에 공급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젝터 본체부(10)로부터 화 면(17)상에 투사된 영상(표시 화면(3C))을, 유저(5)가, 화면(17)에 대해 프로젝터 본체부(10)와 동일한 측에서 보는 사용 상황인 경우에는, 유저(5)는 그대로라도 정상적인 방향의 영상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영상 신호 처리부(21)에 의한 화상 반전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용 상황인 경우에는, 유저(5)에 의해,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화면(3C)상의 조정용 메뉴 화면(32)에서, 수평 방향(H 방향) 및 수직 방향(V 방향)의 화상 반전 기능을 「오프」로 하는 조작 입력이 이루어지고,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여 레지스트레이션 조정이 행하여진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표시 화면(3A)과 같이, 레지스트레이션 조정용의 복수의 조정 포인트(P)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도면중의 부호 P1 부근에서,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색 어긋남(적색광 라인(41R), 녹색광 라인(41G) 및 청색광 라인(41B)중의 청색광 라인(41B)이, 수평 방향(H 방향)으로 예를 들면 「-0.4 포인트(왼쪽 방향으로 0.4 포인트)」분만큼 위치 어긋나 있음에 의한 색 어긋남)이 생기고 있는 경우에는, 이하와 같이 하여 레지스트레이션 조정이 이루어진다.
즉, 우선, 예를 들면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표시 화면(3B)상의 조정용 메뉴 화면(31)에서, 유저에 의해 조정 대상이 되는 색(이 경우, 청(B))이 선택되고(도 2의 스텝 S101), 마찬가지로 표시 화면(3B)상에서 조정 대상이 되는 위치(포인트)가 선택되고(이 경우, 부호 P1 부근의 조정 포인트가 선택 포인트(P2)로서 선택되어 있다)(스텝 S102), 조정용 메뉴 화면(31)에서, 유저에 의해 조정 방향(수평 방향(H 방향) 또는 수직 방향(V 방향) ; 이 경우, 수평 방향) 및 조정치(이 경 우, 「+0.4」포인트(오른쪽 방향으로 0.4포인트))가 설정되면(스텝 S103), 레지스트레이션 조정부(22)에서는, 이와 같은 선택·지정 처리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104). 유저에 의해, 아직 완료하지 않은 취지의 지시가 이루어진 경우에는(스텝 S104 : N), 스텝 S101로 되돌아와 재차 스텝 S101 내지 S103의 선택·지정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유저에 의해, 완료한 취지의 지시가 이루어진 경우에는(스텝 S104 : Y), 다음에, 선택·지정된 내용에 의거하여 실제의 레지스트레이션 조정 처리가 행하여지고, 유저에 의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정 효과 확인 처리가 이루어진다(스텝 S105). 그리고 전체의 조정 처리를 종료하는지의 여부의 판단이 레지스트레이션 조정부(22)에 의해 이루어지고(스텝 S106), 유저에 의해 전체 조정 처리를 아직 종료하지 않은 취지의 지시가 이루어진 경우에는(스텝 S106 : N), 스텝 S101로 되돌아와 재차 스텝 S101 내지 S105의 처리를 반복하는 한편,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색광 라인(41B)의 수평 방향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색 어긋남이 저감(해소)된 경우에는, 유저에 의해 전체의 조정 처리를 종료하는 취지의 지시가 이루어지고(스텝 S106 : Y), 전체의 조정 처리가 종료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화상 반전 처리가 불필요한 경우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H 방향)의 레지스트레이션 조정할 때에는, 유저(5)는, 예를 들면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고(thinking)에 의해 조정을 행한다고 생각된다. 즉, 표시 화면(3C)상에서 유저로부터 보이는 조정 방향과, 장치에서 실제의 조정 방향이 수평 방향에서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레지스트레이션 조정할 때의 조작은 용이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레지스트레이션 조정부(22)에서는, 화면(17)상에 투사된 각 원색광(Lr, Lg, Lb) 사이에서 위치 어긋남이 생긴 경우에, 유저에 의해 입력된 조정치 등에 따라 그와 같은 위치 어긋남이 저감되도록 각 원색광(Lr, Lg, Lb)에 대응하는 각 색용의 영상 신호(D1)의 보정이 이루어지고(레지스트레이션 조정이 행하여지고), 보정 후의 영상 신호(D2)가 액정 소자(14R, 14G, 14B)에 공급된다. 이로써, 각 원색광(Lr, Lg, Lb) 사이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색 어긋남의 발생이 억제되고, 표시 화질이 향상된다.
한편,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젝터 본체부(10)로부터 화면(17)상에 투사된 영상(표시 화면(3D))을, 유저(5)가, 화면(17)에 대해 프로젝터 본체부(10)와 반대측에서 보는 사용 상황인 경우에는, 유저(5)는 그대로는 정상적인 방향의 영상을 볼 수 없기(수평 방향에 따라 역방향의 영상이 된다) 때문에, 영상 신호 처리부(21)에 의한 수평 방향의 화상 반전 처리를 행할 필요가 생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용 상황인 경우에는, 유저(5)에 의해,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화면(3D)상의 조정용 메뉴 화면(33)에서, 수평 방향(H 방향)의 화상 반전 기능을 「온」으로 하는 조작 입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써, 예를 들면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입력 영상 신호(Din)가, 예를 들면 도 11의 B에 도시한 영상 신호(D11)와 같이 수평 방향의 화상 반전 처리가 이루어지고, 장치의 사용 상황에 따른 유저(5)로부터 조작에 의해, 표시 화면(3D) 내에서 적절한 화상 반전이 이루어진다(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5)가 정상적인 방향의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도 3에 도시한 사용 상황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2,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레지스트레이션 조정이 이루어진다.
단, 이 경우에는 수평 방향의 화상 반전 처리를 행하고 있기 때문에, 유저(5)가 표시 화면(3D)상의 조작에 의해 레지스트레이션 조정을 행하려고 하면, 그대로는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비교예와 같이, 유저(5)로부터 보이는 조정 방향과 장치에서의 실제의 조정 방향이 수평 방향에 따라 역으로 되어 버리고, 레지스트레이션 조정이 하기 어렵게 된다. 이것은, 화상 반전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경우에도, 각 원색광(Lr, Lg, Lb) 사이에서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색 어긋남의 방향은, 색 어긋남이 하드웨어상의 것이기 때문에, 화상 반전을 하기 전과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의 액정 프로젝터(1)에서는, 예를 들면 도 13의 A에 도시한 표시 화면(3E)상의 조정용 메뉴 화면(34)과 같이, 이와 같은 화상 반전 처리가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화상 반전 처리 전의 수평 방향(H 방향)의 좌표계에서의 위치 어긋남 방향에 대해 역극성의 조정치(이 경우, 「-」의 조정치)가, 표시 화면(3E)상의 조작에 의해 입력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화면(3E)상에서 유저로부터 보이는 조정 방향과, 장치에서의 실제의 조정 방향이 수평 방향에서 일치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표시 화면 내에서 화상 반전이 이루어지는 사용 상황(이 경우, 수평 방향의 화상 반전이 이루어지는 사용 상황)이라도, 레지스트레이션 조정할 때에, 유저(5)에 의한 조정치의 입력 조작이 용이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화면(17)상에 투사된 각 원색광(Lr, Lg, Lb) 사이에서 표시 화면 내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적어도 한 방향에 따라 위 치 어긋남이 생긴 경우에는, 유저에 의한 표시 화면상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조정치 등에 따라 그와 같은 위치 어긋남이 저감되도록 각 원색광(Lr, Lg, Lb)에 대응하는 각 색용의 영상 신호(D1)의 보정을 행하도록(레지스트레이션 조정을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각 원색광(Lr, Lg, Lb) 사이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색 어긋남의 발생을 억제하고, 표시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화면(17)상의 표시 화면 내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중의 적어도 한 방향에 따라 화상 반전이 이루어지도록 입력 영상 신호(Din)에 대한 화상 반전 처리를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장치의 사용 상황에 따른 유저로부터 조작에 의해, 표시 화면 내에서 적절한 화상 반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화상 반전 처리가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화상 반전 처리 전의 수평 방향(H 방향)의 좌표계에서의 위치 어긋남 방향에 대해 역극성의 조정치를 표시 화면상의 조작에 의해 입력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표시 화면 내에서 화상 반전이 이루어지는 사용 상황이라도, 유저에 의한 조정치의 입력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사용 상황에 의하지 않고, 레지스트레이션 조정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실시의 형태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의 형태로 한정된 것이 아니고,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화상 반전 처리가 필요해지는 사용 상황의 한 예로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의 화상 반전 처리가 필요해지는 사용 상황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젝터 본체부(10)를 천정 등에 부착하여 사용함과 함께, 화면(17)상에 투사된 영상(표 시 화면(3F))을, 유저(5)가, 화면(17)에 대해 프로젝터 본체부(10)와 동일한 측에서 보는 사용 상황인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이 경우에는 유저(5)는 그대로는 정상적인 방향의 영상을 볼 수 없기(수직 방향에 따라 역방향의 영상이 된다) 때문에, 영상 신호 처리부(21)에 의한 수직 방향의 화상 반전 처리를 행할 필요가 생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용 상황인 경우에는, 유저(5)에 의해, 예를 들면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화면(3F)상의 조정용 메뉴 화면(35)에서, 수직 방향(V 방향)의 화상 반전 기능을 「온」으로 하는 조작 입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써, 예를 들면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입력 영상 신호(Din)가, 예를 들면 도 15(C)에 도시한 영상 신호(D12)와 같이 수직 방향의 화상 반전 처리가 이루어지고, 장치의 사용 상황에 따른 유저(5)로부터 조작에 의해, 표시 화면(3D) 내에서 적절한 화상 반전이 이루어진다(유저(5)가 정상적인 방향의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 예를 들면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호 P1 부근에서 수직 방향의 색 어긋남(적색광 라인(42R), 녹색광 라인(42G) 및 청색광 라인(42B)중의 청색광 라인(42B)이, 수직 방향으로 예를 들면 「-0.4 포인트(아래방향으로 0.4포인트)」분만큼 위치 어긋나 있음에 의한 색 어긋남이 생기고 있을 때에는, 예를 들면 도 17의 A에 도시한 표시 화면(3G)상의 조정용 메뉴 화면(36)을 이용하여 유저가 조작함에 의해, 상기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여 레지스트레이션 조정이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어긋남에 의한 색 어긋남을 저감(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도, 도 17의 A중의 조정용 메뉴 화면(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반전 처리 전 의 수직 방향(V 방향)의 좌표계에서의 위치 어긋남 방향에 대해 역극성의 조정치를 표시 화면(3G)상의 조작에 의해 입력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표시 화면(3G)상에서 유저로부터 보이는 조정 방향과, 장치에서의 실제의 조정 방향이 수직 방향에서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표시 화면 내에서 화상 반전이 이루어지는 사용 상황(이 경우, 수직 방향의 화상 반전이 이루어지는 사용 상황)이라도, 레지스트레이션 조정할 때에, 유저(5)에 의한 조정치의 입력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젝터 본체부(10)를 천정 등에 부착하여 사용함과 함께, 화면(17)상에 투사된 영상(표시 화면(3H))을, 유저(5)가, 화면(17)에 대해 프로젝터 본체부(10)와 반대측에서 보는 사용 상황인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이 경우에는 유저(5)는 그대로는 정상적인 방향의 영상을 볼 수 없기(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에 따라 역방향의 영상이 된) 때문에, 영상 신호 처리부(21)에 의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화상 반전 처리를 행할 필요가 생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용 상황인 경우에는, 유저(5)에 의해, 예를 들면 도 1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화면(3H)상의 조정용 메뉴 화면(37)에서, 수평 방향(H 방향) 및 수직 방향(V 방향)의 화상 반전 기능을 모두 「온」으로 하는 조작 입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써, 예를 들면 도 1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입력 영상 신호(Din)가, 예를 들면 도 19의 C에 도시한 영상 신호(D13)와 같이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화상 반전 처리가 이루어지고, 장치의 사용 상황에 따른 유저(5)로부터 조작에 의해, 표시 화면(3H) 내에서 적절한 화상 반전이 이루어진다(유저(5)가 정상적인 방향의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 표시 화면(3H) 내에서 수평 방향이나 수직 방향의 색 어긋남이 생기고 있을 때에는, 예를 들면 도 20의 A에 도시한 표시 화면(3I)상의 조정용 메뉴 화면(38)을 이용하여 유저가 조작함에 의해, 상기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여 레지스트레이션 조정이 이루어지고, 위치 어긋남에 의한 색 어긋남을 저감(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도, 도 20의 A중의 조정용 메뉴 화면(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반전 처리 전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좌표계에서의 위치 어긋남 방향에 대해 역극성의 조정치를 각각 표시 화면(3I)상의 조작에 의해 입력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표시 화면(3I)상에서 유저로부터 보이는 조정 방향과, 장치에서의 실제의 조정 방향이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에서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표시 화면 내에서 화상 반전이 이루어지는 사용 상황(이 경우,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화상 반전이 이루어지는 사용 상황)이라도, 레지스트레이션 조정할 때에, 유저(5)에 의한 조정치의 입력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저감(해소)하기 위해 레지스트레이션 조정을 행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역으로,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저감(해소)하기 위해 레지스트레이션 조정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고, 같은 작용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지스트레이션 조정할 때에, 유저에 의해 조정 대상의 색을 선택한 후에 조정 대상의 위치(조정 포인트)를 선택한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역으로, 조정 대상의 위 치(조정 포인트)를 선택한 후에 조정 대상의 색을 선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른바 삼판식(3-modulation-panel)의 투사형 표시 장치(프로젝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투사형 표시 장치의 방식은 이것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화면상에 투사된 각 원색광 사이에서 위치 어긋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이면, 다른 방식의 투사형 표시 장치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공간 광변조 소자가 액정 소자(액정 소자(14R, 14G, 14B))이고, 액정 표시 장치(액정 프로젝터(1))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다른 공간 광변조 소자로서, 예를 들면, DMD( Digital Micromirror Device )소자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사고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확하며, 본 발명의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내에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투사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레지스트레이션 조정부에 의한 조정 처리의 한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화상 반전이 불필요한 경우의 투사형 표시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경우에 있어서의 화상 반전 기능의 설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레지스트레이션 조정을 행하기 전의 표시 화면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특정한 원색광에 수평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생기고 있는 경우의 표시 화면예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7의 A는 수평 방향의 레지스트레이션 조정할 때의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B는 조정 사고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6에 도시한 표시 화면예에서 레지스트레이션 조정을 행한 후의 표시 화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수평 방향의 화상 반전이 필요한 경우의 투사형 표시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경우에 있어서의 화상 반전 기능의 설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의 A 및 B는 도 9의 경우에 있어서의 화상 반전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9의 경우에 비교예에 관한 조정 사고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의 A는 도 9의 경우에 실시의 형태에 관한 레지스트레이션 조정할 때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조정 사고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수직 방향의 화상 반전이 필요한 경우의 투사형 표시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의 A 및 B는 도 14의 경우에 있어서의 화상 반전 기능의 설정예 및 화상 반전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의 A 및 B는 특정한 원색광의 수직 방향의 위치 어긋남에 대한 레지스트레이션 조정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의 A는 도 14의 경우에 실시의 형태에 관한 레지스트레이션 조정할 때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조정 사고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화상 반전이 필요한 경우의 투사형 표시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의 A 내지 C는 도 18의 경우에 있어서의 화상 반전 기능의 설정예 및 화상 반전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의 A는 도 18의 경우에 실시의 형태에 관한 레지스트레이션 조정할 때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조정 사고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3)

  1.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하여진 컬러 표시용의 각 원색광마다 영상 신호에 의거하여 변조하는 공간 광변조 소자;
    상기 공간 광변조 소자에 의해 변조된 각 원색광을 화면에 투사하는 투사 수단;
    유저에 의한 조작에 따라, 상기 화면상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중의 적어도 한 방향에 따라 화면에 투사된 화상이 반전되도록,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한 화상 반전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 수단; 및
    상기 화면상에 투사된 각 원색광 사이에서 위치 어긋남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표시 화면상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보정치에 따라, 각 원색광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신호의 보정을 행하고, 보정된 영상 신호를 상기 공간 광변조 소자에 공급하는 보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화면에 투사된 화상이 반전되었을 때, 화상이 반전되지 않은 좌표계에서의 위치 어긋남 방향에 대해 역극성인 상기 보정치가 화면 상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광변조 소자는 액정 소자이고,
    상기 투사형 표시 장치는 액정 프로젝터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3.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하여진 컬러 표시용의 각 원색광마다 영상 신호에 의거하여 변조하는 공간 광변조 소자;
    상기 공간 광변조 소자에 의해 변조된 각 원색광을 화면에 투사하는 투사부;
    유저에 의한 조작에 따라, 상기 화면상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중의 적어도 한 방향에 따라 화면에 투사된 화상이 반전되도록,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한 화상 반전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화면상에 투사된 각 원색광 사이에서 위치 어긋남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표시 화면상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보정치에 따라, 각 원색광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신호의 보정을 행하고, 보정된 영상 신호를 상기 공간 광변조 소자에 공급하는 보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면에 투사된 화상이 반전되었을 때, 화상이 반전되지 않은 좌표계에서의 위치 어긋남 방향에 대해 역극성인 상기 보정치가 화면 상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KR1020080063707A 2007-07-25 2008-07-02 투사형 표시 장치 KR200900120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93789A JP4363469B2 (ja) 2007-07-25 2007-07-25 投射型表示装置
JPJP-P-2007-00193789 2007-07-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059A true KR20090012059A (ko) 2009-02-02

Family

ID=40294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707A KR20090012059A (ko) 2007-07-25 2008-07-02 투사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139167B2 (ko)
JP (1) JP4363469B2 (ko)
KR (1) KR200900120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98507B2 (ja) 2007-11-12 2013-09-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2012088636A (ja) 2010-10-22 2012-05-10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WO2012174422A2 (en) 2011-06-17 2012-12-20 Berry Plastics Corporation Insulated container with molded brim
WO2014066761A1 (en) 2012-10-26 2014-05-01 Berry Plastics Corporation Polymeric material for an insulated container
US9840049B2 (en) 2012-12-14 2017-12-12 Berry Plastics Corporation Cellular polymeric material
JP6180117B2 (ja) * 2013-01-16 2017-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
US9957365B2 (en) 2013-03-13 2018-05-01 Berry Plastics Corporation Cellular polymeric material
US10761636B2 (en) * 2018-03-08 2020-09-01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user interface using a film and projecto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843A (ja) 1991-07-04 1993-01-22 Nec Home Electron Ltd 液晶駆動用タイミング信号の位相制御装置
US5488492A (en) * 1993-06-04 1996-01-30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adjusting color tone of image to be recorded
US5467152A (en) * 1994-04-28 1995-11-14 Wilson; James S. Overhead projector
JPH08201937A (ja) 1995-01-20 1996-08-09 Fujitsu General Ltd 液晶プロジェクタのレジストレーション調整装置
US5986634A (en) * 1996-12-11 1999-11-16 Silicon Light Machines Display/monitor with orientation dependent rotatable image
JP2907281B2 (ja) * 1997-08-26 1999-06-21 日本電気株式会社 投射型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映像の適正方向の切替方法
JP4114249B2 (ja) * 1998-10-14 2008-07-09 ソニー株式会社 3板式液晶プロジェクタ
JP2000209575A (ja) 1999-01-11 2000-07-28 Star Micronics Co Ltd 監視カメラ装置
JP2001054131A (ja) * 1999-05-31 2001-02-23 Olympus Optical Co Ltd カラー画像表示システム
JP3755479B2 (ja) 2002-04-01 2006-03-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映像投射装置
EP1464541B1 (en) * 2003-03-31 2007-01-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lay system
JP2006335126A (ja) * 2005-05-31 2006-12-14 Toshiba Corp スクリーンボックス装置、投射装置、及び投射方法
US7658498B2 (en) * 2006-07-13 2010-02-09 Dell Product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display orientation detection and compen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63469B2 (ja) 2009-11-11
JP2009033364A (ja) 2009-02-12
US20120147276A1 (en) 2012-06-14
US8587732B2 (en) 2013-11-19
US20090027569A1 (en) 2009-01-29
US8139167B2 (en) 201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7732B2 (e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which enables a selected image inverting process to be performed to facilitate registration adjustment
JP5477185B2 (ja) マルチ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ー、及び、画像投射制御方法
US8294834B2 (e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for facilitating registration adjustment of colors of a display image
US10839727B2 (en) Projector and control method of projector
US10701325B2 (en) Multi-projection system, projec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jector
JP2012165091A (ja) マルチ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及び、プロジェクター
US10536676B2 (en) Projec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8199261B2 (e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which enables misregistration between primary color lights projected on a screen to be reduced
JP2009141829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及びプロジェクタ
JP5045290B2 (ja) 投射型表示装置
JP2019024180A (ja) プロジェクター、マルチ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2003322908A (ja) 投射システム
JP2006352203A (ja) プロジェクタ
JP5045291B2 (ja) 投射型表示装置
JP2013105170A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5205828B2 (ja) マルチ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JP2014160155A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2012150260A (ja) マルチ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ー、及び、画像投射制御方法
JP2008277953A (ja) プロジェクタ
JP2012199734A (ja) 投写型表示装置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18180105A (ja) 投影装置及び画像投影方法
JP2009210765A (ja) プロジェクタ
JP2006162726A (ja) プロジェクタ
JP2006258859A (ja) プロジェクタ
JP2017175303A (ja) 色ずれ補正装置、および色ずれ補正装置を搭載したプロジェクション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ション装置における色ずれ補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