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877U - 정션박스 - Google Patents

정션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877U
KR20090011877U KR2020080006496U KR20080006496U KR20090011877U KR 20090011877 U KR20090011877 U KR 20090011877U KR 2020080006496 U KR2020080006496 U KR 2020080006496U KR 20080006496 U KR20080006496 U KR 20080006496U KR 20090011877 U KR20090011877 U KR 200900118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ook
main body
hinge
junc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4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8596Y1 (ko
Inventor
김자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6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596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8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8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5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2085/2075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 H01H2085/208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션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메인몸체(10)의 측면 일측에는 힌지축(24)이 선단에 구비된 힌지레그(20)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몸체(10)에는 커버(30)가 회전개폐되게 결합되고, 측면 일측에는 상기 힌지축(24)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걸이후크(4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30)의 천장면에는 상기 메인몸체(10)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독취하기 위한 정보표시면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힌지축(24)의 외주면 일부에는 상기 커버(30)의 개방방향을 따라 직경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댐핑리브(2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작업자가 커버를 분리하기 위해 걸이후크의 결합을 일일이 해제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커버를 분리하여 별도의 장소에 둘 필요가 없어 작업공간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커버를 재위치시키지 않고 바로 커버의 천장면에 형성된 정보표시면을 독취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되고, 힌지축의 외주면에 댐핑리브가 완충작용을 하여 커버가 급격하게 개방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정션박스, 커버, 걸이후크

Description

정션박스{Junction box}
본 고안은 정션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를 구성하는 메인몸체에 커버가 회전개폐되게 결합되는 정션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부에는 각종 전기장치와 함께 와이어가 설치되어 배터리로부터 전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와이어는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와이어의 일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와이어 프로텍터와 같은 박스가 설치된다. 그리고, 각종 전장부품 측으로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로를 개폐하는 릴레이가 수납되는 정션박스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정션박스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정션박스(1)의 외관 및 골격은 메인몸체(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2)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릴레이와 퓨즈를 비롯한 각종 전장품들이 장착된다.
상기 메인몸체(2)의 외면에는 걸이턱(3)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3)은 후술할 커버(5)의 걸이후크(7)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걸이후크(7)를 걸 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몸체(2)에는 커버(5)가 결합된다. 상기 커버(5)는 상기 메인몸체(2)의 상부에 결합되어 메인몸체(2)에 장착된 각종 부품들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5)에는 걸이후크(7)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7)는 상기 걸이턱(3)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걸이턱(3)에 걸어져 커버(5)와 메인몸체(2)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걸이후크(7)는 상기 메인몸체(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됨으로써 상기 걸이턱(3)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걸이후크(7)와 걸이턱(3)은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걸이후크(7)가 형성된 상기 커버(5)의 타측에는 별도의 걸이후크(7)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몸체(2)와 양측에서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5)를 메인몸체(2)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걸이후크(7)와 걸이턱(3)의 결합을 해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걸이후크(7)를 상기 메인몸체(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켜, 상기 걸이턱(3)으로부터 걸이후크(7)를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5)를 메인몸체(2)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5)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커버(5)의 양측에 형성된 걸이후크(7)를 모두 상기 걸이턱(3)으로부터 분리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5) 의 결합작업 시에도 상기 커버(5)의 양측에 형성된 걸이후크(7)가 모두 걸이턱(3)에 걸어져야 하므로, 커버(5)의 분리·결합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커버(5)를 분리한 후에 상기 메인몸체(2)를 수리하거나 장착부품을 교체하는 동안에 상기 커버(5)를 놓아둘 별도의 장소가 필요하고, 커버(5)를 분실할 우려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5)의 천장면에는 조립순서, 유의사항 등이 기재된 정보표시면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작업자는 상기 커버(5)를 뒤집은 상태로 메인몸체(2) 옆에 두고 상기 정보표시면을 보면서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가 임의로 커버(5)를 뒤집은 상태로 보기 때문에 정보표시면에 기재된 글자의 상하좌우가 바뀐 상태로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커버(5)의 정보표시면을 독취하기 위해 커버(5)를 재위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박스와 커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박스의 커버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커버가 분리되어 박스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박스의 커버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커버를 뒤집은 상태에서 정보표시면을 바로 독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를 회전개폐하도록 결합되고, 천장면에는 상기 메인몸체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독취하기 위한 정보표시면이 형성되는 커버와; 상기 메인몸체 및 커버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고, 선단에는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축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 일부에는 상기 커버의 개방방향을 따라 직경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댐핑리브가 형성되는 힌지레그와; 상기 메인몸체 및 커버 중 다른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에 걸어지고, 상기 댐핑리브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버를 개방시키는 과정에서 탄성변형되는 탄성부가 구비되는 걸이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레그는, 상기 메인몸체 또는 커버의 측면에서 나란하게 연장되는 다수개의 힌지몸체와; 상기 힌지몸체의 선단을 연결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형성되는 댐핑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이후크는, 상기 메인몸체 또는 커버의 측면에서 나란하게 연장되는 다수개의 후크몸체와; 상기 후크몸체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축에 걸어지는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와 이격되게 상기 걸이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댐핑리브를 감싸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이부 및 탄성부는 일부가 절개된 링형상의 종단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축에는 상기 커버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의 선단이 걸어지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의 회전범위를 규제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커버의 일측에 걸이후크가 구비되어 메인몸체의 힌지레그에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커버를 분리하기 위해 걸이후크의 결합을 일일이 해제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가 메인몸체의 일측에 걸어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커버를 분리하여 별도의 장소에 둘 필요가 없어 작업공간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커버를 재위치시키지 않고 바로 커버의 천장면에 형성된 정보표시면을 독취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부가적으로, 본 고안에서는 힌지축의 외주면에 댐핑리브가 형성되어 커버가 급격하게 개방되지 않고 완충되면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의 개방과정에서 연결부위가 과도한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정션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정션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정션박스가 폐쇄된 상태에서 요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정션박스의 외관 및 골격은 메인몸체(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그 내부에 퓨즈나 릴레이 등 각종 부품들이 장착된다.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들은 본 고안의 요지와 무관하기에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메인몸체(10)의 측면 일측에는 힌지레그(20)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힌지레그(20)는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두 개가 나란하게 구비된다. 물론, 상기 힌지레그(20)는 두 개 이상이 메인몸체(10)의 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힌지레그(20)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후크(4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힌지레그(20)에는 상기 메인몸체(10)의 측면 일측에서 연장되는 힌지몸체(22)가 구비된다. 상기 힌지몸체(22)는 두 개가 나란하게 연장되어 구비된 다. 물론, 상기 힌지몸체(22)는 소정의 폭을 가진 한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힌지몸체(22)의 선단에는 힌지축(24)이 구비된다. 상기 힌지축(24)은 상기 힌지몸체(22)의 선단을 연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부(44)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힌지축(24)의 중앙에는 댐핑리브(26)가 구비된다. 상기 댐핑리브(26)는 상기 힌지축(24)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댐핑리브(26)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30)를 개방시에 커버(30)가 급속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댐핑리브(26)는 완충작용을 위해 다음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댐핑리브(26)는 커버(30)의 개방방향을 따라 직경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도 4 및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즉, 커버(30)의 개방이 시작되는 지점에서의 댐핑리브(26)의 직경이 작고 폐쇄되는 지점에서의 직경이 크기 때문에 작업자가 커버(30)를 동일한 힘으로 개방한다고 하였을 때 커버(30)가 개방되는 정도가 커질수록 회전속도가 느려지고 보다 안정적으로 커버(30)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24)의 일측에는 스토퍼(28)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28)는 상기 댐핑리브(26)의 끝단에 구비된다. 물론, 상기 스토퍼(28)의 위치가 댐핑리브(26)의 끝단에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댐핑리브(26)의 끝단과 이격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스토퍼(28)는 탄성부(46)가 실질적으로 걸리는 부분이다. 상기 스토퍼(28)는 상기 탄성부(46)가 걸려 커버(3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28) 는 상기 커버(30)가 대략 180°만큼 회전되도록 규제한다.
한편, 상기 메인몸체(10)에는 커버(30)가 회전개폐되게 결합된다. 상기 커버(30)는 상기 메인몸체(10)의 상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메인몸체(10)에 실장된 각종 부품들을 차폐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커버(30)는 상기 메인몸체(10)와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정션박스의 수리나 부품의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에 메인몸체(10)의 내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커버(30)의 분리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 커버(30)의 천장면에는 정보표시면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표시면에는 정션박스에 장착된 부품들의 종류나 순서가 표시되거나, 조립순서 및 작업시 유의사항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커버(30)를 개방한 상태에서 정보표시면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30)는 일방으로만 회전되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정보표시면의 상하좌우 위치를 조정하여 커버(30)의 천장면에 형성하면 작업자는 상기 커버(30)를 개방하고 바로 정보표시면을 독취하여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30)의 일측에는 걸이후크(40)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걸이후크(40)는 상기 힌지레그(20)에 걸어져 상기 메인몸체(10)와 커버(3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후크(40)는 상기 힌지레그(20)에 대응되는 개수로 상기 커버(30)에 구비된다.
상기 걸이후크(40)에는 상기 커버(30)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후크몸체(42)가 구비된다. 상기 후크몸체(42)는 상기 힌지몸체(22)와 수직한 방향을 이루도록 연장 된다. 상기 후크몸체(42)의 선단에는 상기 걸이부(44)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부(44)는 상기 힌지축(2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걸어진다. 상기 걸이부(44)는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대략 일부가 절개된 링형상의 종단면을 가진다. 상기 걸이부(44)는 상기 후크몸체(42)의 선단 양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걸이부(44)의 사이에는 탄성부(46)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46)는 상기 후크몸체(42)에 일단이 연결되어 탄성변형을 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46)는 상기 댐핑리브(26)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댐핑리브(26)의 외주면을 감싸게 된다. 상기 탄성부(46)는 상기 댐핑리브(26)를 따라 회전되면서 댐핑리브(26)의 외면에 대응되게 탄성변형된다. 즉, 상기 커버(30)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회전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커버(30)가 완충되면서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46)는 도 4 및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스토퍼(28)에 선단이 걸어져 상기 커버(3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정션박스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커버(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몸체(10)에 대해 일방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커버(30)의 외면을 잡고 회전시켜 커버(30)가 메인몸체(10)를 개방하도록 한다. 상기 커버(30)는 실질적으로 상기 걸이부(44)가 걸어진 힌지축(24)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커 버(30)는 한번에 급격하게 개방되지 않고 완충되면서 개방된다. 이는 상기 힌지축(24)에 구비된 댐핑리브(26)에 의해서이다.
즉, 상기 댐핑리브(26)는 상기 커버(30)의 개방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직경이 증가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커버(30)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급격하게 개방되지 않고 서서히 개방된다(도 4 및 도 5 참조). 동시에 상기 탄성부(46)는 상기 댐핑리브(26)에 의해 탄성변형되면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30)가 급격하게 개방되면서 커버(30)와 메인몸체(10)의 연결부위에 모멘트에 의한 충격이 가해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30)는 상기 스토퍼(28)에 의해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180°만큼 회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가 정보표시면을 확인하는 것에 대해 살펴본다. 작업자가 평면을 기준으로 했을 때 커버(30)가 메인몸체(10)의 우측에 놓이도록 회전시킨다고 가정한다. 상기 커버(30)가 개방되면, 작업자는 상기 커버(30)의 천장면에 형성된 정보표시면을 보고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정보표시면은 커버(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커버(30)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않고 바로 독취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작업자는 커버(30)를 개방하고 바로 정보표시면을 독취하여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 다.
예를 들어, 상기 스토퍼(28)는 상기 탄성부(46)에 걸리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스토퍼(28)에 걸이부(44)가 걸리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힌지레그(20)는 메인몸체(10)에 구비되고 상기 걸이후크(40)는 커버(3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힌지레그(20)는 커버(30)에 구비되고 상기 걸이후크(40)는 메인몸체(10)에 구비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정션박스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정션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정션박스가 폐쇄된 상태에서 요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정션박스가 개방된 상태에서 요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메인몸체 20 : 힌지레그
22 : 힌지몸체 24 : 힌지축
26 : 댐핑리브 28 : 스토퍼
30 : 커버 40 : 걸이후크
42 : 후크몸체 44 : 걸이부
46 : 탄성부

Claims (5)

  1.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를 회전개폐하도록 결합되고, 천장면에는 상기 메인몸체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독취하기 위한 정보표시면이 형성되는 커버와;
    상기 메인몸체 및 커버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고, 선단에는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축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 일부에는 상기 커버의 개방방향을 따라 직경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댐핑리브가 형성되는 힌지레그와;
    상기 메인몸체 및 커버 중 다른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에 걸어지고, 상기 댐핑리브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버를 개방시키는 과정에서 탄성변형되는 탄성부가 구비되는 걸이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레그는,
    상기 메인몸체 또는 커버의 측면에서 나란하게 연장되는 다수개의 힌지몸체와;
    상기 힌지몸체의 선단을 연결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형성되는 댐핑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후크는,
    상기 메인몸체 또는 커버의 측면에서 나란하게 연장되는 다수개의 후크몸체와;
    상기 후크몸체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축에 걸어지는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와 이격되게 상기 걸이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댐핑리브를 감싸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 및 탄성부는 일부가 절개된 링형상의 종단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에는 상기 커버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의 선단이 걸어지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의 회전범위를 규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KR2020080006496U 2008-05-19 2008-05-19 정션박스 KR200448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496U KR200448596Y1 (ko) 2008-05-19 2008-05-19 정션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496U KR200448596Y1 (ko) 2008-05-19 2008-05-19 정션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877U true KR20090011877U (ko) 2009-11-24
KR200448596Y1 KR200448596Y1 (ko) 2010-05-03

Family

ID=44237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496U KR200448596Y1 (ko) 2008-05-19 2008-05-19 정션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59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860B1 (ko) * 2017-02-24 2018-07-11 (주)티에이치엔 좌우 개폐형 정션 블럭 커버
CN108770248A (zh) * 2018-06-06 2018-11-06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底盘电器盒
KR102385118B1 (ko) * 2021-12-29 2022-06-03 엠에스인터내셔널 주식회사 선박의 전동기 모터용 정션박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9138A (ja) * 1991-06-06 1993-02-26 Yazaki Corp 電気接続箱のカバー取付構造
KR100755030B1 (ko) 2006-10-31 2007-09-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버의 회전개폐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860B1 (ko) * 2017-02-24 2018-07-11 (주)티에이치엔 좌우 개폐형 정션 블럭 커버
CN108770248A (zh) * 2018-06-06 2018-11-06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底盘电器盒
KR102385118B1 (ko) * 2021-12-29 2022-06-03 엠에스인터내셔널 주식회사 선박의 전동기 모터용 정션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596Y1 (ko) 201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596Y1 (ko) 정션박스
KR101463167B1 (ko) 와이어링 밴드케이블
JP6243197B2 (ja) バッテリカバー
EP3188205B1 (en) Interlock apparatus of ring main unit
KR100963979B1 (ko) 배전용 가공전선의 애자 링커
JP4518326B2 (ja) 端子カバー
JP5263971B2 (ja) 電気機器収納箱
KR20090110604A (ko) 자석을 이용한 문닫힘 방지구
JP6521365B2 (ja) 分電盤
KR200465241Y1 (ko) 안전커버가 구비된 차단기
RU2007141594A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авливаемых заподлицо электрических механизмов
KR200460873Y1 (ko) 탈착구를 이용한 빨래건조대 커버 탈착장치
JP2008027732A (ja) 蓋及び収容ボックス
JP6060985B2 (ja) 配索物のガイド構造及び作業機械
KR200390964Y1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클립 구조
JP6189706B2 (ja) バッテリカバー
JP2020075562A (ja) 車両の充電部構造
KR200449876Y1 (ko)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KR20120020591A (ko) 정션박스
KR200308125Y1 (ko) 컷 아웃 스위치의 퓨즈 홀더
JP2001000095A (ja) 揺動型鳥害防止具
JP6150378B2 (ja) ハンドルロック装置
JP2019193549A (ja) 絶縁カバー及び接触抑制具
KR200323572Y1 (ko) 진공 청소기용 도어의 배선 커버구조
JP6376946B2 (ja) プロテ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