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125Y1 - 컷 아웃 스위치의 퓨즈 홀더 - Google Patents

컷 아웃 스위치의 퓨즈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125Y1
KR200308125Y1 KR20-2002-0037942U KR20020037942U KR200308125Y1 KR 200308125 Y1 KR200308125 Y1 KR 200308125Y1 KR 20020037942 U KR20020037942 U KR 20020037942U KR 200308125 Y1 KR200308125 Y1 KR 2003081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holder
operating rod
harness
terminal
f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9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문
Original Assignee
박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문 filed Critical 박재문
Priority to KR20-2002-0037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1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1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1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봇대 위에서 전력선과 변압기 사이에 설치되는 컷 아웃 스위치를 지면에서 조작봉(P)으로 단락시키기 위한 휴즈 폴더의 일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지지애자(2)의 양단에 설치된 단자(3)와 단자(4)의 사이에 설치되는 퓨즈 홀더(5)에 있어서, 퓨즈 홀더(5)의 일측에 형성되는 원형의 연결고리(12) 일측이 개방되도록 개루프로 형성하고, 그 개방된 부분에 조작봉의 조작에 의하여 안쪽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개방될 수 있는 하네스(13)를 설치한 것이다. 지면에서 조작봉을 이용하여 컷 아웃 스위치의 퓨즈 홀더를 단자에서 분리시킬 때 그 분리작업이 주간 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신속히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오동작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Description

컷 아웃 스위치의 퓨즈 홀더{Fuse holder of cut out switch}
본 고안은 전봇대 위에서 전력선과 변압기 사이에 설치되는 컷 아웃 스위치를 지면에서 조작봉으로 단락시키기 위한 휴즈 폴더의 일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컷 아웃 스윗치(COS, cut out switch)는 주로 주상변압기의 각 상마다 설치하여 변압기의 보호와 개폐를 위한 것으로서 단극으로 제작된 것인데 내부의 퓨즈가 용단되면 스위치의 퓨즈홀더가 중력에 의하여 스스로 개방되게 하여 멀리서도 퓨즈의 용단 여부를 쉽게 눈으로 식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외형을 자기제 외면(원통형)에 퓨즈를 장치하는 구조이다. 과전류 차단기로 시설하는 휴즈 중 고압선로에 사용하는 휴즈는 정격전류의 1.3배의 전류에 견디고 또한 2배의 전류로 120분 안에 용단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컷 아웃 스위치는 배전선로에 이상이 생겨 전장부품을 교환하는 등 전기를 끊고 작업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지면에서 작업자가 긴 조작봉을 퓨즈 홀더에 형성된 연결고리에 걸어 당김으로서 퓨즈 홀더의 일단이 단자에서 인위적으로 분리되면서 전기가 끊어지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컷 아웃 스위치의 퓨즈 홀더에 형성된 연결고리는 내경이 최대 3cm밖에 되지 않는 원형 고리로서 여기에 거는 조작봉은 무려 5m나 되는 긴 장대이기 때문에 이렇게 긴 조작봉의 끝을 작은 연결고리의 구멍에 삽입하는 작업은 숙련자들도 어려운 형편이다. 조작봉이 긴 이유는 작업자를 고압의 전류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기 때문이다. 특히, 야간에 작업할 경우에는 거리가 멀고 연결고리의 구멍은 작은데다가 주위가 어두워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오동작시 사고는 물론 기기 파손의 우려까지 높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지면에서 조작봉을 이용하여 컷 아웃 스위치의 퓨즈 홀더를 단자에서 분리시킬 때 그 분리작업이 주간 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오동작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퓨즈 홀더의 연결고리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컷 아웃 스위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로서, 본 고안의 요부인 퓨즈 홀더의 연결고리부 를 나타낸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전원측 단자 4:부하측 단자
5:퓨즈 홀더 12:연결고리
13:하네스(또는 카라비너) 14:힌지
15:비틀림 스프링 P : 조작봉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지애자의 양단에 설치된 단자와 단자의 사이에 설치되는 퓨즈 홀더에 있어서, 퓨즈 홀더의 일측에 형성되는 원형의 연결고리 일측이 개방되도록 개루프로 형성하고, 그 개방된 부분에 조작봉의 조작에 의하여 안쪽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개방될 수 있는 하네스를 설치한 것이다.
하네스는 D자형 고리와 함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명칭으로서, 더욱 정확히는 카라비너라고 하여야 하지만 이하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하네스라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지면에서 조작봉을 이용하여 퓨즈 홀더의 연결고리 일측을 밀면 하네스가 안쪽으로 개방되면서 조작봉의 연결부가 연결고리에 끼워지게 된다. 조작봉의 연결부가 퓨즈 홀더의 연결고리에 삽입되면 하네스는 원상태로 탄성 복귀하여 연결고리를 폐루프 상태로 만들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먼저, 컷 아웃 스위치의 구조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컷 아웃 스위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컷 아웃 스위치는 부착금구(1)를 이용하여 전주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부착금구(1)의 일단에는 애자로 이루어진 절연체로서의 지지애자(2)가 부착된다. 지지애자(2)의 양단에는 전원측 단자(3)와 부하측 단자(4)가 각각 설치된다. 전원측 단자(3)에는 전력선에서 오는 리드선이 연결되며, 부하측 단자(4)에는 주상변압기로 가는 리드선이 연결된다. 전원측 단자(3)와 부하측 단자(4) 간에는 퓨즈 홀더(5)가 설치된다. 퓨즈 홀더(5)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퓨즈(6)가 설치된 것으로서, 양단은 상기 단자(3,4)들과 전기적 접촉을 한다. 퓨즈 홀더(5)의 하단은 브래킷(7)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브래킷(7)은 부하측 단자(4)와 연결되어 있다. 퓨즈 홀더(5)의 상단은 전원측 단자(3)에 함께 설치된 탄성편(8)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전원측 단자(3)에 설치된 스톱퍼(9)는 퓨즈 홀더(5)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하여 지지애자(2) 쪽으로 회전시킬 때 지지애자(2)와 평행한 상태로 퓨즈 홀더(5)가 정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퓨즈 홀더(5)의 상부에는 스톱퍼(9)와 접촉하는 링(10)이 설치되어 있다. 링(10)은 퓨즈 홀더(5)의 외통에 끼워져 고정 조립되는 캡(11)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캡(11)에는 연결고리(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고리(12)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서 전방(도 1 및 도 2의 우측) 쪽으로 개방된 개루프 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그 개방된 부위에 하네스(13)가 설치된다. 하네스(13)는 연결고리(12)와 일체를 이룰 때 완전한 원형의 고리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된다. 하네스(13)의 하단은 연결고리(12) 본체와 힌지(14)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힌지(14) 안쪽에는 비틀림 스프링(15)이 설치되어 있다. 비틀림 스프링(15)은 하네스(13)가 연결고리(12)의 안쪽에서 탄성적으로 전후 회전하도록 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하네스(13)의 상단은 연결고리(12)의 단부와 엇비스듬하게 결합되어 외면이 일체를 이루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하네스(13)의 상단은 연결고리(12)의 안쪽으로만 열릴 수 있으며 바깥쪽으로는 연결고리(12)의 단부에 걸려 있다.
그래서 지면에서 작업자가 조작봉(P)을 들고 연결고리(12)의 상방에서 연결고리(12)의 중심을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조작봉(P)의 연결부(단부)를 밀면 하네스(13)가 하부의 힌지(14)를 축으로 하여 도 2의 가상선과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연결고리(12)가 개방된다. 연결고리(12)가 개방되면 조작봉의 연결부가 연결고리(12) 안쪽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하네스(13)는 힌지(14)에 설치된 비틀림 스프링(15)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귀하여 연결고리(12)를 폐루프 상태로 닫는다. 조작봉(P)이 연결고리(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작봉(P)을 당기면 퓨즈 홀더(5)가 브래킷(7)을 중심으로 도 1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래서 퓨즈 홀더(5)의 상단이 전원측 단자(3)와 그 탄성편(8)으로부터 분리되어 단전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지면에서 긴 조작봉을 이용하여 컷 아웃 스위치의 퓨즈 홀더를 단자에서 분리시킬 때 연결고리의 하네스가 조작봉의 가벼운 압력에 의하여 쉽게 열려 조작봉의 연결부를 신속히 삽입할 수 있다. 이렇게 단전을 위한 퓨즈 홀더의 분리작업이 주간 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고압이 흐르는 전봇대에서 조작봉을 잘 못 건드려 합선 내지 기기를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속히 단전하지 않아서 생길 수 있는 인명 사고나 물질적인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지지애자의 양단에 설치된 단자와 단자의 사이에 설치되는 퓨즈 홀더에 있어서, 퓨즈 홀더의 일측에 형성되는 원형의 연결고리 일측이 개방되도록 개(開)루프로 형성하고, 그 개방된 부분에 조작봉의 조작에 의하여 안쪽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개방될 수 있는 하네스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 아웃 스위치의 퓨즈 홀더.
KR20-2002-0037942U 2002-12-20 2002-12-20 컷 아웃 스위치의 퓨즈 홀더 KR2003081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942U KR200308125Y1 (ko) 2002-12-20 2002-12-20 컷 아웃 스위치의 퓨즈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942U KR200308125Y1 (ko) 2002-12-20 2002-12-20 컷 아웃 스위치의 퓨즈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125Y1 true KR200308125Y1 (ko) 2003-03-19

Family

ID=49332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942U KR200308125Y1 (ko) 2002-12-20 2002-12-20 컷 아웃 스위치의 퓨즈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12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605Y1 (ko) 2008-10-22 2010-12-27 박종수 컷아웃 스위치의 홀더 절연구조
KR200462948Y1 (ko) * 2011-02-24 2012-10-11 한국전력공사 후크형 특고압 컷아웃 스위치 퓨즈홀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605Y1 (ko) 2008-10-22 2010-12-27 박종수 컷아웃 스위치의 홀더 절연구조
KR200462948Y1 (ko) * 2011-02-24 2012-10-11 한국전력공사 후크형 특고압 컷아웃 스위치 퓨즈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806602B1 (pt) dispositivos de desconexão de comutador do fusível
KR101499652B1 (ko) 주상변압기 보호용 피뢰기와 컷아웃 스위치의 일체형 설치구조
ES2592697T3 (es) Módulos y dispositivos de interruptor seccionador con fusible con detección de corriente en línea
CN108777244B (zh) 一种储能液压断路器以及过流保护设备
KR200308125Y1 (ko) 컷 아웃 스위치의 퓨즈 홀더
KR100714148B1 (ko) 파워휴즈 조합형 가스절연부하개폐기
ES2527593T3 (es) Módulos y dispositivos seccionadores interruptores fusibles controlados electrónicamente
CN208489163U (zh) 一种液压电磁铁结构以及断路器
CN211294996U (zh) 断路器
KR200190795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
CN208580706U (zh) 一种液压电磁脱扣开关以及断路器
CN108922837B (zh) 一种动平衡电磁脱扣开关以及断路器
CN209016007U (zh) 一种储能液压断路器以及过流保护设备
CN109155216B (zh) 自动重合开关电池组件
KR20130026295A (ko) 피뢰기를 내장한 컷아웃 스위치
CN108288554B (zh) 一种实现互锁的熔断器组件
CN205406416U (zh) 一种具有高分断能力控制与保护开关限流模块装置
KR100290932B1 (ko) 배선용차단기의한류장치
CN109036990B (zh) 一种液压电磁脱扣开关以及断路器
CN108766845B (zh) 一种液压电磁铁结构以及断路器
CN211208381U (zh) 一种真空负荷开关熔断器
CN215599202U (zh) 一种适用于不同截面针式插头的套管式连接头
KR200204076Y1 (ko) 전절연 특고압 컷아우트스위치
CN215988460U (zh) 一种新型电力铺设用高压开关导体
CN215600319U (zh) 一种光伏储能电路过载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