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500U - 휴대폰용 외장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외장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500U
KR20090011500U KR2020090008744U KR20090008744U KR20090011500U KR 20090011500 U KR20090011500 U KR 20090011500U KR 2020090008744 U KR2020090008744 U KR 2020090008744U KR 20090008744 U KR20090008744 U KR 20090008744U KR 20090011500 U KR20090011500 U KR 200900115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all
button
switch unit
externa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7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욱
Original Assignee
강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욱 filed Critical 강현욱
Priority to KR20200900087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1500U/ko
Publication of KR200900115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50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외장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외장케이스에 통화버튼과 종료버튼이 형성되어 외장케이스를 해제하지 않고도 통화 및 종료가 가능한 휴대폰용 외장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외장케이스는, 휴대폰 외부의 일면 이상을 케이싱하는 외장케이스이며, 상기 외장케이스의 전면부에는 상기 휴대폰의 스피커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장케이스의 전면부에는 상기 휴대폰의 통화스위치부 및 종료스위치부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통화버튼부 및 종료버튼부가 형성되도록 구현된다.
터치스크린, 통화스위치부, 종료스위치부, 통화버튼부, 종료버튼부

Description

휴대폰용 외장케이스{Exterior case for mobile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 외장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외장케이스에 통화버튼과 종료버튼이 형성되어 외장케이스를 해제하지 않고도 통화 및 종료가 가능한 휴대폰용 외장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현대사회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통신장치로서, 그 기능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다양화 되고 있다.
휴대폰의 기능이 다양화 되면서 휴대폰 자체에 집적된 IT 기술은 복합적으로 발생되며 그에 따른 제품단가도 상승하는 추세에 있다.
이렇게 고단가의 휴대폰의 외장을 보호하거나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더하기 위해 최근에는 휴대폰의 외장케이스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고 시판되고 있다.
다만, 휴대폰의 외장케이스는 휴대폰의 외장보호와 심미감을 더해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휴대폰의 기본 기능인 통화시 외장케이스를 열고 통화를 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상존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외장케이스에 카메라가 위치하는 부분이나 스피커가 위치하는 부분 그리고 측면 실행버튼이 위치하는 부분을 절개하여 외부로 노출시킨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으며, 나아가 외장케이스 자체에 PCB 기판을 내장하고 외장케이스 자체에 실행버튼을 장착하여 외장케이스 해제없이 기본적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외장케이스에 절개부를 갖는 제품들은 카메라 동작시 또는 디스플레이 부분의 모니터링 같은 기초적인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을 뿐 휴대폰의 기본기능인 통화시에는 외장케이스를 해제해야 하는 문제가 여전히 남고, PCB를 내장한 외장케이스는 외장케이스 자체의 단가가 높아져 상용성이 낮아 문제가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휴대폰은 외장케이스의 외부에서 스위치에 의한 터치기능이 부여된 제품들은 전무한 상태에 있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폰에 있어서 외장케이스 외부에서 통화 및 종료 명령이 가능한 휴대폰용 외장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외장케이스는, 휴대폰 외부의 일면 이상을 케이싱하는 외장케이스이며, 상기 외장케이스의 전면부에는 상기 휴대폰의 스피커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장케이스의 전면부에는 상기 휴대폰의 통화스위치부 및 종료스위치부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통화버튼부 및 종료버튼부가 형성되도록 구현된다.
여기서, 상기 통화버튼부 및 종료버튼부는 상기 외장케이스에 고정되는 지지부를 매개로 하여 장착되어 탄성적으로 상하 동작되며, 상기 통화스위치부 및 종료스위치부로부터 각각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휴대폰은 텍트스위치 타입이며, 상기 통화버튼부 및 종료버튼부의 하면에는 돌출볼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휴대폰은 터치스크린 타입이며, 상기 통화버튼부 및 종료버튼부는 상기 통화스위치부 및 종료스위치부와 맞닿는 면에는 터치스크린용 휴대폰의 스타일러스펜 볼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르면, 휴대폰에 있어서 외장케이스 외부의 버튼 누름 동작에 의해 통화 및 종료 명령이 가능한 휴대폰용 외장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외장케이스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외장케이스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외장케이스는 내부에 휴대폰(110)을 감싸는 형태의 본체(120)와 휴대폰을 안착 고정시키며 본체(120)의 배면부(120c)에 연결되어 형성된 안착부(120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20)는 측면부(120a), 전면부(120b) 및 배면부(120c)로 이루어지며, 전면부(120a)에는 상대방의 통화음성을 들을 수 있는 스피커(110a)와 대응되는 위치의 개구부(150)가 형성되며, 휴대폰(110)의 통화스위치부(도 2의 161)와 종료스위치부(도 2의 162)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통화버튼부(130) 및 종료버튼부(140)가 형성된다.
본체(120)는 가죽, 실리콘, 우레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안착부(120d)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외장케이스(120)는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이며, 외장케이스의 구조는 도시된 것 외에 다양한 형태로 구현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 및 도 3은 텍트스위치 타입의 휴대폰 외장케이스에 적용되는 실시예이며, 도 4 및 도 5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휴대폰 외장케이스에 적용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텍트스위치 타입의 휴대폰의 예시로서 도 1의 A-A' 단면의 일실시예를 개략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휴대폰의 택트스위치와 외장케이스의 버튼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면(260)에는 누름동작에 의해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통화스위치부(261)와 통화후 종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종료스위치부(262)가 위치된다.
종료스위치부(262) 위로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종료버튼부(240)가 지지부(240a) 및 가이드부(240b)를 매개로 탄성 누름 및 복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지지부(240a)는 본체(220)의 전면부(220b)를 매개로 장착된다. 통화버튼부(230)도 종료버튼부(240)와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외장케이스는 특히 가죽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2장의 가죽이 접착된 형태(221)를 가지므로, 지지부(240a)는 외겹의 가죽(221a)과 내겹의 가죽(221b) 사이에서 고정되도록 장착할 수 있다. 지지부(240a)와 종료버튼부(240)의 연결구조는 다양하게 제조가 가능한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외장케이스가 씌워진 상태에서 통화버튼부(230) 또는 종료버튼부(240)를 누 르면 통화버튼부(230) 또는 종료버튼부(240)의 하면이 휴대폰의 통화스위치부(261)와 종료스위치부(262)와 접촉하게 되고 통화 및 통화종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통화스위치부(261) 및 종료스위치부(262)는 텍트스위치로 형성되어 통화버튼부(230) 및 종료버튼부(240)의 누름동작에 의해 휴대폰 통화 및 통화종료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텍트스위치 타입의 휴대폰의 예시로서 도 1의 A-A' 단면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통화스위치부(261) 및 종료스위치부(262)와 맞닿는 통화버튼부(230) 및 종료버튼부(240)의 하면에 돌출볼(240c) 형태의 돌출부를 마련한 예이다. 돌출볼(240c) 형태 외의 다른 구성은 도 2와 동일하다.
돌출볼(240c) 형태는 통화버튼부(230) 및 종료버튼부(240)의 누름 작동에 의해 통화스위치부(261) 및 종료스위치부(262)의 실행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4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휴대폰의 예시로서 도 1의 A-A' 단면의 일실시예를 개략화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휴대폰의 예시로서 도 1의 A-A' 단면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터치스크린은 압력식 저항막 방식(Registive overlay),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적분식 장력측정 방식(Integral Strain Guage),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surface Acoustic Wave), 피에조 효과 방식(piezo Electric)이 있다.
이 중에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외장케이스가 적용되는 방식은 저항막 방식에 한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휴대폰의 택트스위치와 외장케이스의 버튼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면(360)에는 터치동작에 의해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부인 통화스위치부(361)와 터치동작에 의해 통화후 종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부인 종료스위치부(362)가 위치된다.
종료스위치부(362) 위로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종료버튼부(340)가 지지부(340a) 및 가이드부(340b)를 매개로 탄성 누름 및 복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지지부(340a)는 본체(320)의 전면부(320b)를 매개로 하여 장착된다. 통화버튼부(330)도 종료버튼부(340)와 마찬가지로 통화스위치부(361) 위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지지부 및 가이드부를 매개로 하여 탄성 누름 및 복귀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외장케이스는 특히 가죽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2장의 가죽이 접착된 형태(321)를 가지므로, 지지부(340a)는 외겹의 가죽(321a)과 내겹의 가죽(321b) 사이에서 고정되도록 장착할 수 있다. 지지부(340a)와 종료버튼부(340)의 연결구조는 다양하게 제조가 가능한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외장케이스가 씌워진 상태에서 통화버튼부(330) 또는 종료버튼부(340)를 누르면 하면이 휴대폰의 통화스위치부(361)와 종료스위치부(362)와 접촉하게 되며 이는 곧 통화스위치부(361)와 종료스위치부(362)가 실행되어 통화 및 통화종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통화스위치부(361) 및 종료스위치부(362)와 맞닿는 통화버튼부(330) 및 종료버튼부(340)의 하면에 스타일러스펜 볼(340c) 형태의 돌출부를 마련한 예이다. 스타일러스펜 볼(340c) 형태 외의 다른 구성은 도 4와 동일하다.
스타일러스펜 볼(340c) 형태는 통화버튼부(330) 및 종료버튼부(340)의 누름 작동에 의해 통화스위치부(361) 및 종료스위치부(362)의 실행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외장케이스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텍트스위치 타입의 휴대폰의 예시로서 도 1의 A-A' 단면의 일실시예를 개략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텍트스위치 타입의 휴대폰의 예시로서 도 1의 A-A' 단면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휴대폰의 예시로서 도 1의 A-A' 단면의 일실시예를 개략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휴대폰의 예시로서 도 1의 A-A' 단면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Claims (4)

  1. 휴대폰 외부의 일면 이상을 케이싱하는 외장케이스이며,
    상기 외장케이스의 전면부에는 상기 휴대폰의 스피커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장케이스의 전면부에는 상기 휴대폰의 통화스위치부 및 종료스위치부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통화버튼부 및 종료버튼부가 형성되는, 휴대폰용 외장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버튼부 및 종료버튼부는 상기 외장케이스에 고정되는 지지부를 매개로 하여 장착되어 탄성적으로 상하 동작되며, 상기 통화스위치부 및 종료스위치부로부터 각각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휴대폰용 외장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은 텍트스위치 타입이며, 상기 통화버튼부 및 종료버튼부의 하면에는 돌출볼이 형성되는,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외장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은 터치스크린 타입이며, 상기 통화버튼부 및 종료버튼부는 상기 통화스위치부 및 종료스위치부와 맞닿는 면에는 터치스크린용 휴대폰의 스타일러스펜 볼이 형성되는, 휴대폰용 외장케이스.
KR2020090008744U 2009-07-07 2009-07-07 휴대폰용 외장케이스 KR200900115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744U KR20090011500U (ko) 2009-07-07 2009-07-07 휴대폰용 외장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744U KR20090011500U (ko) 2009-07-07 2009-07-07 휴대폰용 외장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500U true KR20090011500U (ko) 2009-11-11

Family

ID=42931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744U KR20090011500U (ko) 2009-07-07 2009-07-07 휴대폰용 외장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150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33Y1 (ko) * 2010-05-27 2010-10-18 손정호 휴대단말기 케이스
CN103338674A (zh) * 2011-01-18 2013-10-02 美泰公司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保护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33Y1 (ko) * 2010-05-27 2010-10-18 손정호 휴대단말기 케이스
CN103338674A (zh) * 2011-01-18 2013-10-02 美泰公司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保护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53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JP6454482B2 (ja) 携帯端末
KR20120005719U (ko) 외부 터치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KR200467372Y1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TW201526056A (zh) 覆蓋結構、輸入裝置及覆蓋結構製造方法
TWI559176B (zh) 輸入裝置及其軟性保護蓋
CN104576152A (zh) 输入装置及其软性保护盖
KR20130007175U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20090011500U (ko) 휴대폰용 외장케이스
KR20100056014A (ko) 휴대 단말기의 보호 케이스
KR102355318B1 (ko) 가요성 재료용 장착 웨지
KR101106125B1 (ko)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외장케이스
KR101239281B1 (ko) 완충부재와 장식부재가 분리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JP6051103B2 (ja) 防水構造及び電子機器
JP5242845B1 (ja) 携帯端末用カバー
KR101043045B1 (ko) 터치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12124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호 케이스
JP5477732B2 (ja) 携帯電子機器
KR200403717Y1 (ko) 휴대전화 본체용 커버
KR101317932B1 (ko) 이동 단말기 케이스
KR20130142307A (ko) 모바일폰 케이스
US20170079392A1 (en)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1039260Y (zh) 一种手机按键装置与具有该装置的手机
CN105511660A (zh) 触摸板
CN203706140U (zh) 覆盖结构及输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