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042A - 압출성형을 통한 차의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압출성형을 통한 차의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042A
KR20090009042A KR1020070072474A KR20070072474A KR20090009042A KR 20090009042 A KR20090009042 A KR 20090009042A KR 1020070072474 A KR1020070072474 A KR 1020070072474A KR 20070072474 A KR20070072474 A KR 20070072474A KR 20090009042 A KR20090009042 A KR 20090009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extrusion molding
extrusion
processing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7497B1 (ko
Inventor
김상희
김동수
이명기
임성일
차환수
장대자
이란숙
김철진
박종대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72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497B1/ko
Publication of KR20090009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4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의 가공방법으로서 압출성형을 통해 차의 침출능을 향상시킴에 따라 차나 음료로 이용시 성분용출이 용이해져 음용자가 차에 함유된 기능성 성분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과정에서 향미의 열화, 갈변화 현상 등이 최소화 되어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차엽, 압출성형, 전단력, 고온, 고압

Description

압출성형을 통한 차의 가공방법{A manufacturing method of tea for using a extrusion molding}
본 발명은 압출성형을 통한 차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차류를 고온, 고압 및 물리적 전단력에 의한 압출성형 가공처리 함으로서 차의 침출능을 향상시켜 성분용출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의 원료가 되는 차나무( Camellia sinensis O, Kuntze)는 동백나무과에 속하는 아열대성 상록식물로서, 이러한 차나무의 잎이나 싹을 채취하여 각 민족의 기호와 기술에 맞게 다양하게 가공하여 음용하여 왔다.
이와 같은 차에는 카테킨, 카페인, 아미노산, 섬유소, 팩틴 등과 엽록소 플라보놀 유도체, 안토시안 등의 식물 색소, 그리고 지질, 수지류, 정유, 비타민 등의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 성분 중 카페인에 의한 흥분, 강심, 이뇨, 해열, 수렴 등의 작용과 카테킨류에는 콜레스테롤 상승 억제, 아밀라아제 활성 저해 작용, 혈당 상승 저해 작용, 동맥경화방지 작용, 항산화 작용, 항균 작용, 혈압 상승 억제 및 효소활성 저해작용, 항궤양 작용, 돌연변이 억제 작용 등의 생리활성 효능이 보고되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차는 차엽의 가공방법에 따라 크게 녹차, 홍차, 우롱차 등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이들은 현재 잎차, 캔 및 패트 음료, 티백차와 같은 음용수 이외에도 차엽의 기능성 성분을 추출하여 식품의 원료나 첨가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이용되고 있다.
녹차는 채엽 후 증열, 유념, 건조, 가향 공정 등을 통하여 제조되고, 우롱차는 채엽 후 위조, 초청, 정치, 유념, 건조 공정 등을 통하여 제조되며, 홍차는 채엽 후 위조, 유념, 발효, 건조 등의 공정을 통하여 제조되는데, 이와 같이 제조된 차엽을 직접 더운물에 우리거나 티백 형태로 포장하여 우려 마셔왔으며, 캔이나 패트 형태의 음료 가공시에도 차엽을 더운물에 침출시켜 얻어진 침출물을 음료 혼합물에 포함시켜 음용하여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차는 물에 대한 침출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전술한 녹차의 약리적 성분들이 충분히 우러나오지 못한 상태에서 음용하여 왔으며, 또한 전술한 형태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비교적 장시간의 열처리로 인한 약리적 성분의 파괴, 향미의 변화 및 갈변화가 초래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녹차로부터 추출물 분말 또는 카테킨, 카페인, 아미노산 등의 기능성 성분을 따로 추출하여 의약이나 식품용으로 이용하여 왔으나, 이러한 성분추출 정제공정에 있어서도 녹차성분 침출시 침출능은 품질 및 생산원가 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녹차추출물 제조나 카테킨 등의 성분 추출 및 정제시 열수처리 또는 초음파 등을 통해 추출능 및 추출효율을 증가시키고자 하고 있으나, 이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어 그 효율성에서 한계가 있으며, 특히 상기 과정에서 유기용제의 사용은 인체 및 환경오염 등에 대한 영향 등의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차엽을 고온, 고압 및 물리적 전단력에 의한 압출성형으로 가공처리 함으로서 차엽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고분자층의 붕괴를 유도하여 이들 고분자 층에 내재되어 있는 유용성분이 노출되도록 함에 따라 추출시 차의 성분용출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가공과정에서 약리적 성분의 파괴나 향미의 열화, 갈변화 현상이 최소화 될 수 있는 차의 가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엽을 고온·고압 및 물리적 전단력에 의한 압출성형하여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을 통한 차의 가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티백용 차엽, 캔이나 패트 음료용 차엽 또는 녹차성분 추출용 차엽을 압출성형을 통해 가공함으로써 차엽의 물에 대한 침출능을 향상시켜 성분용출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압출성형은 종래 고분자 플라스틱, 사료, 생물산업, 식품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공정으로, 스크류(screw)의 회전운동에 의해 전단력 을 부여하고 사출구의 조절에 따라 압력을 가하며 내부온도의 조절에 따라 가열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고온·고압에 물리적 힘이 수반되는 연속공정이다.
이러한 압출성형은 공지된 압출성형기에서 용이하게 시행이 가능하며, 이러한 공정에서 조절이 가능한 독립변수는 원료투입속도, 원료수분함량, 원료입도, 스크류 회전속도, 사출구 직경, 스크류 배열 등으로 이들 변수를 가공하고자 하는 차의 특성에 맞춰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이 조절된 압출성형기의 스크류(screw)와 베럴(Barrel) 사이에 차엽을 투입하면 마찰력 또는 전단력을 부여하여 차엽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고분자층의 붕괴를 유도함으로써, 이들 고분자 층에 내재되어 있는 차의 유용성분이 노출되도록 함에 따라 물 등과 같은 용매에 침출시 유용성분의 용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아울러, 이러한 압출성형 공정에서 차엽의 혼합, 분쇄, 가열, 건조와 같은 단위조작이 단시간에 동시에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차의 가공공정과 비교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공정이다.
상기한 압출성형 공정에 있어서 사출구 부위 온도는 120~190℃로 조절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에너지 소모율(SME: Special Mechanism Energy)은 180~500 KJ/Kg 정도가 된다. 사출구 온도 120℃ 이하이면 차 세포벽 구성 고분자 물질의 붕괴가 충분치 않아 추출시 녹차성분 용출율이 떨어지고 사출구 온도를 190℃ 이상으로 하였을때는 압출성형된 차엽이 갈변되어 색택이 나빠지며 탄화취가 부분적으로 발생하여 기호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사출구 온도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180℃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한 압출성형 과정에서 마찰열 발생을 조절하기 위하여 물을 투입할수도 있으며, 그 투입량은 수분함량이 5중량%인 차엽을 기준으로 0.8~4.8ℓ/hr로 하여 마찰열에 의한 차의 기능성 성분들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첨가범위보다 물이 적게 들어가면 마찰열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가 없어 차의 성분파괴가 발생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범위보다 많이 들어가면 가공된 차엽에 수분함량이 많아 충분히 가열되지 못해 추후 성분용출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수분의 투입량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4.0ℓ/hr로 하는 것이 좋다. 이때 사용되는 물은 차엽의 갈변을 최소화하기 위해 탈이온수를 사용한다.
아울러, 차엽에 전단력을 부여하는 스크류 회전속도는 수분함량이 5중량%인 차엽을 기준으로 100-400rpm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회전속도보다 낮으면 차엽에 부여되는 전단력이 적어 차의 침출능의 향상율이 미비하게 나타나고, 상기 회전속도보다 높으면 차엽에 부여되는 전단력이 너무 높아 차엽에 함유된 기능성 성분의 파괴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스크류 회전속도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300rpm의 조건으로 수행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압출성형을 하기 위한 차류는 Camellia속 또는 이들의 잡종에서 얻어지는 차엽으로서 불발효차인 녹차류나 우롱차, 무이암차 등 반발효차류는 물론 홍차와 같은 발효차류가 모두 적용가능하며, 특정 차의 원료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녹차 가공시 사용되는 증제식 및 덖음식 제조공정 중 살청(증기 또는 덖음) 단계 이후의 어떤 단계의 잎을 사용해도 좋다.
다만, 이와 같은 차엽은 압출성형을 시행하기 전에 용이한 이동과 마찰에 의 한 기계적 에너지의 발생을 위하여 수분함량을 5~40중량%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로 조절하는 것이 좋다. 또한 차엽의 입자 크기도 분쇄과정을 통해 2~50메쉬(mesh)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30메쉬(mesh)로 분쇄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차엽의 전처리 공정은 압출성형 공정이 원활히 일어나도록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수분함량과 입자크기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압출성형에 따른 마찰력 또는 전단력이 충분히 생성되지 않아 차엽의 침출능이 떨어지거나 과도한 마찰력 형성으로 인한 갈변으로 색택이 나빠지게 되며 기호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압출성형을 통해 가공된 차엽은 그대로 분말 형태의 차나 티백 포장지에 담아 티백 차의 형태로 바로 사용이 가능하며, 음료의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도 음료 혼합물에 침지시켜 소정시간 동안 성분을 용출시킨 후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다만, 저장성 향상을 위해 압출형성된 차엽의 수분함량을 5%미만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차나 음료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배전기에서 가향처리 하여 차의 고유한 향기를 생성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출성형을 통한 차의 가공방법은 고온·고압 및 전단력을 동시에 부여함에 따라 단일공정에 의한 가공시간을 줄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압출성형을 통해 종래 가공방법보다 차의 침출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차나 음료로 이용 시 성분용출이 용이해져 음용자가 차에 함유된 기능성 성분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과정에서 약리적 성분의 파괴나 향미의 열화, 갈변화 현상이 최소화 되어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차나무의 차엽의 가공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에도 곡류함유 차의 제조방법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를 위하여 현미분말, 옥수수분말, 메밀분말 등의 곡류를 선별하여 차엽의 1~40중량%를 첨가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가 첨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출성형을 통한 차의 가공방법은 압출성형을 통해 종래 가공방법보다 차의 침출능을 향상시킴에 따라 차나 음료로 이용시 성분용출이 용이해져 음용자가 차에 함유된 기능성 성분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과정에서 향미의 열화, 갈변화 현상 등이 최소화되어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출성형을 통해 고온·고압 및 전단력을 동시에 부여함에 따라 단일공정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 다수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적용해야 했던 방법들과 비교하여 가공시간을 현저하게 줄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또 다른 효과를 가져온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8>
증제식 공정으로 가공된 음료용 녹차엽(수분함량 5%)을 5mesh로 분쇄하여 압출성형기에 투여하였으며, 이 때 압출성형을 위한 압출공정변수로서 회전속도, 원료 공급량, 물 공급량, 사출구 부위의 온도 등을 하기 표 1과 같이 하여 시행하였다. 압출성형을 거친 차엽은 건조실에서 수분함량이 5%가 되도록 건조한 후 원적외선 드럼배전기로 온도 120℃, 파장 20 nm에서 15분간 원적외선 가향처리 하였다.
실시예 스크류 회전속도 (rpm) 시료 공급량 (kg/hr) 가수량 (L/hr) 원시료 수분량(%) 반죽 수분량(%) 사출구 온도(℃) SME (KJ/kg)
1 340 20 4.0 5.3 21.08 115 191.41
2 160 30 5.0 5.3 18.83 130 196.17
3 360 20 3.0 5.3 17.65 140 240.81
4 270 25 3.0 5.3 16.07 155 261.81
5 270 30 3.3 5.3 15.31 160 290.81
6 270 30 3.1 5.3 14.29 173 320.83
7 270 30 3.0 5.3 13.91 180 337.81
8 270 30 2.5 5.3 13.23 197 394.81
<비교예 1>
증제식 공정으로 처리된 음료용 녹차엽(수분함량 5%)을 5mesh로 분쇄하여, 실시예 1 내지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원적외선 가향처리 하였다.
<실험예 1>
-성분분석 및 관능검사-
상기 실시예 1 내지 8과 비교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녹차에 대하여 가용성고형분 함량, 카테킨 및 카페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압출성형 공정변수를 달리한 녹차엽의 침출온도 및 시간에 따른 가용성 고형분 함량, 카테킨 및 카페인의 분석결과를 표 2,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으며 60℃에서 5분 침출한 관능검사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를 위하여 60℃와 70℃의 온수 100㎖에 녹차엽 1.0g을 넣고 각각 1분과 2분으로 교반 침출 후 여과하여 실험용 시료로 하였고, 각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다.
1) 가용성 고형분 함량
각각의 추출물을 상온이 되게 한 후 digital refractometer(PR-101, Atago co. Ltd.)로 측정하여 ˚brix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2) 카테킨 및 카페인 분석
HPLC를 이용한 SentriTM μBondapak C18 guard column (125Å, 3.9×20 mm, Waters, USA)이 장착된 μBondapak C18 column (125Å, 3.9×300 mm, Waters, USA)을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이동상은 A용액 (H2O-CH3CN-85% H3PO4, 94.95/5/0.05, v/v/v)과 B용액 (H2O-CH3CN-85% H3PO4, 49.95/50/0.05, v/v/v)의 농도구배에 의해 40℃에서 유속 1㎖/min으로 하여 231nm에서 검출하여, 그 결과를 표 3과 표 4에 나타내었다.
3) 관능검사
각각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녹차를 60℃의 온수 100mL에 1g씩 5분간 우려낸 후 훈련된 전문패널 20명에게 시음을 시킨 후 구수한 맛, 떫은맛, 감칠맛, 풋냄새, 발효취, 화향 및 전반적 기호도에 대한 9점 척도법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처리구 60℃ 70℃
1 min 2 min 1 min 2 min
비교예 1 0.2 0.2 0.2 0.2
실시예 1 0.2 0.2 0.2 0.3
실시예 2 03 0.3 0.3 0.4
실시예 3 0.3 0.3 0.3 0.4
실시예 4 0.3 0.3 0.3 0.4
실시예 5 0.3 0.3 0.3 0.5
실시예 6 0.3 0.3 0.3 0.5
실시예 7 0.3 0.4 0.3 0.5
실시예 8 0.3 0.3 0.3 0.3
처리구 침출온도 Total catechins(mg/g) Caffeine(mg/g)
1 min 2 min 1 min 2 min
비교예 1 60℃ 18.192 18.715 4.175 5.847
실시예 1 60℃ 20.324 22.425 4.825 6.338
실시예 2 60℃ 26.824 29.561 6.224 7.341
실시예 3 60℃ 31.548 34.284 6.952 8.256
실시예 4 60℃ 36.169 38.108 7.584 8.998
실시예 5 60℃ 39.087 42.343 8.262 9.372
실시예 6 60℃ 39.239 45.963 9.578 11.954
실시예 7 60℃ 40.493 48.109 11.079 12.216
실시예 8 60℃ 37.120 41.114 9.809 11.343
처리구 침출온도 Total catechins(mg/g) Caffeine(mg/g)
1 min 2 min 1 min 2 min
비교예 1 70℃ 19.815 27.102 4.997 6.426
실시예 1 70℃ 21.145 28.832 5.589 7.068
실시예 2 70℃ 28.551 30.223 6.763 8.635
실시예 3 70℃ 32.782 36.424 7.025 9.214
실시예 4 70℃ 37.205 43.328 7.624 9.984
실시예 5 70℃ 39.090 45.125 8.038 10.718
실시예 6 70℃ 40.234 46.323 10.210 12.025
실시예 7 70℃ 43.456 48.553 11.447 13.051
실시예 8 70℃ 42.087 45.311 11.170 12.811
처리구 떫은맛 감칠맛 전반적 기호도
비교예 1 5.2 5.5 4.8 4.5 5.2
실시예 1 6.8 5.5 5.6 4.9 5.6
실시예 2 7.5 5.5 6.2 5.8 6.1
실시예 3 7.4 5.5 6.2 5.8 6.2
실시예 4 7.5 5.5 6.2 5.8 6.1
실시예 5 7.5 5.6 6.2 5.8 6.1
실시예 6 7.6 5.5 6.3 5.8 6.2
실시예 7 7.5 5.5 6.2 5.8 6.2
실시예 8 5.1 4.8 5.1 4.3 4.7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각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시험구 모두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비교예 1에 비해 약간 더 높게 나타났다. 카테킨 및 카페인 함량은 표 3 및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출구 온도 150~180℃ 부근에서의 압출성형이 침출능이 높게 나타났으며 190℃이상에서는 압출성형된 녹차엽에서 탄화취가 발생하여 품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는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출성형에 의해 녹차고유의 녹색을 유지할 수 있었으며 떫은맛은 감소하였고, 감칠맛 및 전반적 기호도는 증가하였으나 190℃ 이상에서는 탄화취에 의해 선호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9 내지 12>
증제식 공정으로 가공된 음료용 녹차엽(수분함량 5%) 90g과 현미녹차용 볶음현미를 10g을 혼합하고 5mesh로 분쇄한 다음 압출성형기에 투여하였으며, 이 때 압출성형을 위한 압출공정변수로서 회전속도, 원료 공급량, 물 공급량, 사출구 부위의 온도 등을 하기 표 6과 같이 하여 시행하였다. 압출성형을 거친 차엽은 건조실에서 수분함량이 5%가 되도록 건조한 후 원적외선 드럼배전기로 온도 120℃, 파장 20nm에서 15분간 원적외선 가향처리 하였다.
실시예 스크류 회전속도 (rpm) 시료 공급량 (kg/hr) 가수량 (L/hr) 원시료 수분량(%) 반죽 수분량(%) 사출구 온도(℃) SME (KJ/kg)
9 270 20 2.0 3.3 13.3 151 276.86
10 270 20 1.6 3.3 10.46 160 334.21
11 270 20 1.0 3.3 8.90 186 461.92
12 270 20 0.8 3.3 8.70 194 480.52
<비교예 2>
증제식 공정으로 가공된 음료용 녹차엽 90g과 현미녹차용 볶음현미 10g을 혼합하고 5mesh로 분쇄하고 수분함량이 5%가 되도록 조절한 후, 실시예 9 내지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원적외선 가향처리 하였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9 내지 12와 비교예 2의 방법에 제조된 현미녹차에 대하여, 침출온도 및 시간에 따른 가용성 고형분 함량, 카테킨 및 카페인의 분석결과를 표 7, 표 8 및 표 9에 나타내었으며 60℃에서 5분 침출한 관능검사 결과는 표 10에 나타내었다.
처리구 60℃ 70℃
1 min 2 min 1 min 2 min
비교예 2 0.2 0.2 0.2 0.2
실시예 9 0.2 0.2 0.2 0.3
실시예 10 0.2 0.3 0.2 0.3
실시예 11 0.3 0.3 0.3 0.3
실시예 12 0.3 0.3 0.3 0.3
처리구 Total catechins(mg/g) Caffeine(mg/g)
1 min 2 min 1 min 2 min
비교예 2 16.572 16.841 2.685 4.163
실시예 9 22.423 25.758 5.349 6.371
실시예 10 25.038 27.198 5.983 6.910
실시예 11 28.087 29.950 6.225 7.808
실시예 12 27.268 29.186 5.945 7.285
처리구 Total catechins(mg/g) Caffeine(mg/g)
1 min 2 min 1 min 2 min
비교예 2 17.814 21.895 3.275 5.386
실시예 9 23.602 27.536 5.744 6.881
실시예 10 25.357 29.918 6.281 7.712
실시예 11 30.476 33.098 7.073 8.247
실시예 12 30.065 32.481 6.018 7.536
처리구 떫은맛 감칠맛 전반적 기호도
비교예 1 5.1 5.7 5.0 4.5 5.0
실시예 8 6.5 6.0 6.8 5.7 6.5
실시예 9 6.5 6.0 6.8 5.7 6.5
실시예 10 6.6 6.0 6.7 5.7 6.5
실시예 11 4.8 5.2 4.8 4.6 4.6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용성 고형분 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표 8 및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테킨 및 카페인 함량은 사출구 온도 160~180℃ 부근에서의 압출성형이 침출능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194℃에서는 186℃에서 보다 오히려 침출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0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관능검사 결과 각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시험구는 실시예 12를 제외하고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비교예 2에 비해 떫은맛은 감소하였고, 전반적 기호도는 증가함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차나무로부터 채취한 차엽을 고온·고압 및 물리적 전단력에 의한 압출성형하여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을 통한 차의 가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출성형은 원료투입속도, 수분함량, 스큐류 회전속도, 사출구 직경, 스큐류 배열의 변수를 갖는 압출성형기에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을 통한 차의 가공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압출성형시 사출구 부위 온도가 120~1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을 통한 차의 가공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압출성형시 더욱 바람직하게는 사출구 부위 온도가 140~180℃의 열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을 통한 차의 가공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원료가 되는 차엽은 수분함량이 5~40중량%인 2~50메쉬(mesh)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을 통한 차의 가공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원료가 되는 차엽에 현미분말, 옥수수분말, 메밀분말 중에 선택된 한종 이상의 곡류가 1~40중량%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을 통한 차의 가공방법.
KR1020070072474A 2007-07-19 2007-07-19 압출성형을 통한 차의 가공방법 KR100907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474A KR100907497B1 (ko) 2007-07-19 2007-07-19 압출성형을 통한 차의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474A KR100907497B1 (ko) 2007-07-19 2007-07-19 압출성형을 통한 차의 가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042A true KR20090009042A (ko) 2009-01-22
KR100907497B1 KR100907497B1 (ko) 2009-07-13

Family

ID=4048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474A KR100907497B1 (ko) 2007-07-19 2007-07-19 압출성형을 통한 차의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49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8424B2 (en) 2007-11-05 2012-01-03 Conopco,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tea products
US8273395B2 (en) 2007-11-05 2012-09-25 Conopco,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tea products
CN103262920A (zh) * 2013-05-28 2013-08-28 广西桂人堂金花茶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调味金花茶叶的加工方法
CN104054869A (zh) * 2014-06-03 2014-09-24 神农架林区欣森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双苦茶及其制作方法
US9078455B2 (en) 2010-03-25 2015-07-14 Conopco,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tea products
KR101867069B1 (ko) * 2016-04-26 2018-06-14 김은경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817A (ko) * 2000-06-15 2001-12-22 황재관 녹차의 생리활성물질 분리방법
KR100535371B1 (ko) * 2003-07-28 2005-12-08 류기형 압출성형공법을 이용한 인삼 침출차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8424B2 (en) 2007-11-05 2012-01-03 Conopco,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tea products
US8273395B2 (en) 2007-11-05 2012-09-25 Conopco,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tea products
US9078455B2 (en) 2010-03-25 2015-07-14 Conopco,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tea products
CN103262920A (zh) * 2013-05-28 2013-08-28 广西桂人堂金花茶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调味金花茶叶的加工方法
CN104054869A (zh) * 2014-06-03 2014-09-24 神农架林区欣森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双苦茶及其制作方法
KR101867069B1 (ko) * 2016-04-26 2018-06-14 김은경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7497B1 (ko) 200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497B1 (ko) 압출성형을 통한 차의 가공방법
TWI469737B (zh) Can be processed into high green base of coffee beans method
KR101691919B1 (ko) 과립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Villanueva-Bermejo et al. Recent advances in the processing of green tea biomolecules using ethyl lactate. A review
AU2010344586B9 (en) Tea for green-tea beverage extract
EP3011837A1 (en) Method for making reconstituted plant material using extrusion or molding processes and products so obtained
PT2211630E (pt)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e produtos à base de chá
Raghunath et al. Processing technologies for the extraction of value-added bioactive compounds from tea
JP2008307012A (ja) メリンジョ健康茶
KR101324939B1 (ko) 익스트루더 가공에 의한 차잎 가공품
JP7357360B2 (ja) 抗老化剤
JP2008212024A (ja) カフェイン含有量が低減された茶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26939A (ko) 구아바잎을 주성분으로한 당뇨병치료용, 비만개선용,노화방지용차의 효과적인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건강식품
JP5729899B2 (ja) 容器詰飲料
JP2009112302A (ja) 飲料
KR102394666B1 (ko) 발효녹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발효녹차 추출물
KR20140018160A (ko) 생약제 추출물이 함유된 천연 차 및 이의 제조방법
EP2008526A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eißgetränks aus einem Lebensmittel
CN107969525A (zh) 一种养生红茶及其制作工艺
KR102206967B1 (ko) 황칠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
JPH09149780A (ja) 醗酵黒大豆入り健康茶抽出用組成物及び健康茶
Purkait et al. Technological Advancements in Product Valorization of Tea Waste
KR101889482B1 (ko)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된 맥주보리 추출물의 제조방법
JP2004350591A (ja) コ−ヒ−パック飲料
JP5509495B2 (ja) 植物抽出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