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069B1 -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069B1
KR101867069B1 KR1020160050526A KR20160050526A KR101867069B1 KR 101867069 B1 KR101867069 B1 KR 101867069B1 KR 1020160050526 A KR1020160050526 A KR 1020160050526A KR 20160050526 A KR20160050526 A KR 20160050526A KR 101867069 B1 KR101867069 B1 KR 101867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tea powder
raw material
water
b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1810A (ko
Inventor
김은경
Original Assignee
김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경 filed Critical 김은경
Priority to KR1020160050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069B1/ko
Publication of KR20170121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30Further treatment of dried tea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tea
    • A23F3/32Agglomerating, flaking or tabletting or gran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0Removing unwant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23F3/26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by lyoph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6Homoge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Disclosure)은,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설정된 차 원료를 세척하고, 설정된 크기로 분쇄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분쇄된 차 원료를 온도 40℃~50℃, 압력 500~2000기압 및 2~12시간의 조건에서 저온고압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차 분말을 형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 의해 제조된 차 분말에, 증류수와 풀루란(Pullulan)을 20~40:1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20~40:1로 희석된 풀루란 용액으로 구비되는 바인더를 첨가 및 교반하여 차 분말 반죽을 만드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에 의해 얻어진 차 분말 반죽을 설정된 두께로 압출하여 절단한 후, 20℃~35℃에서 수분함량이 3~10%가 되도록 건조 및 숙성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을 제1 발명으로 제공한다.

Description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ation of soluble tea block}
본 발명(Disclosure)은,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운반과 보관이 용이한 블록 형태를 가지면서도 물에 쉽게 녹을 수 있는 차 블록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차(tea)는 식물성 음료의 하나로 아시아의 대표적인 음료이다.
통상 차는 차나무(茶樹木)의 잎을 가공하여 만드는 것을 의미하는데, 차나무에서 찻잎을 채취하여 이를 가공하여 식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차의 원료가 개발되고 제품화되고 있다.
이러한 차는, 차 원료를 분말 또는 고형(固形)으로 가공한 후 뜨거운 물에 우리거나 물과 혼합하여 음용하게 된다.
이러한 차의 종류에는, 벽돌모양의 차라는 의미의 '전차' 또는 '판차(板茶)'가 있는데, 이는 홍차 또는 녹차의 잎사귀에다 교나 우혈ㆍ양혈 따위를 섞어서 반죽하여 판상으로 엷게 펴서 말려 굳힌 형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전차는, 필요량만큼 잘라내어 뜨거운 물에 우리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현대인이 쉽게 이용하기 어렵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724121호는, 차 원료 자체를 빻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생즙을 이용하여 판 형태 또는 블럭 형태의 차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 바 있으며, 이 경우 우혈, 양혈 등으로 인해 발생 되는 맛과 향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을 소개한 바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뜨거운 물에 우리는 과정을 요하는 불편과 이용 후 찌꺼기가 남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0724121호
본 발명은, 분말 형태의 차 원료를 이용함으로써 물에 쉽게 녹을 수 있으며, 블록 형태를 가지므로 운반과 보관이 용이한 물에 쉽게 녹을 수 있는 차 블록 제조방법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분말 형태의 차 원료를 블록 형태로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바인더로 차 분말의 외부를 코팅할 수 있는 바인더를 채용함으로써, 차 원료가 산화되거나 운반·보관 과정에서 차 블록이 부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물에 쉽게 녹을 수 있는 차 블록 제조방법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설정된 차 원료를 세척하고, 설정된 크기로 분쇄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분쇄된 차 원료를 온도 40℃~50℃, 압력 500~2000기압 및 2~12시간의 조건에서 저온고압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차 분말을 형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 의해 제조된 차 분말에, 증류수와 풀루란(Pullulan)을 20~40:1의 부피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20~40:1로 희석된 풀루란 용액으로 구비되는 바인더를 첨가 및 교반하여 차 분말 반죽을 만드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에 의해 얻어진 차 분말 반죽을 설정된 두께로 압출하여 절단한 후, 20℃~35℃에서 수분함량이 3~10%가 되도록 건조 및 숙성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을 제1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발명의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차 원료가 되는 식물을 확인할 수 있는 원재료 고형물;로서, 상기 차 원료가 되는 식물의 열매, 잎 및 꽃잎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 동결건조된 원재료 고형물이 상기 차 분말 및 바인더와 함께 교반되는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을 제2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의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2 단계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링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을 제3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3 발명의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설정된 차 원료는 100메쉬의 와이어 메쉬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절단되는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을 제4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3 발명의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바인더는 분사하여 첨가되는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을 제5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3 발명의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차 분말 반죽은 1~5mm의 두께로 압출되는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을 제6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 원료의 추출물로 제조된 차 분말을 이용하고, 플루란을 이용하여 이들을 블록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물에 쉽게 녹으면서도 운반과 보관이 편리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루란에 의해 차 분말의 외면이 코팅되므로, 차 분말이 보관 과정에서 산화 등으로 품질이 저하되거나 부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의 제1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제조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제조순서도.
이하, 본 개시에 따른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을 구현한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만, 본 개시의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개시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개시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의 제1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제조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은, 먼저, 설정된 차 원료를 세척하고, 설정된 크기로 분쇄하는 제1 단계(S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설정된 차 원료는 100메쉬의 와이어 메쉬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절단되는 것이 후술하는 저온고압 추출 효율에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분쇄된 차 원료를 온도 40℃~50℃, 압력 500~2000기압 및 2~12시간의 조건에서 저온고압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제2 단계(S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얻어진 추출물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링 단계를 더 두는 것이 음용시 소비자 만족도를 위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형성하는 제3 단계(S13)를 포함한다.
여기서, 건조분말의 입도는, 10000메쉬 이상의 와이어 메쉬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 즉 100~200um의 입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건조분말에, 증류수와 풀루란(Pullulan)을 20~40:1의 부피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20~40:1로 희석된 풀루란 용액으로 구비되는 바인더를 첨가 및 교반하여 차 분말 반죽을 만드는 제4 단계(S14)를 포함한다.
여기서, 건조분말과 바인더의 효과적인 혼합을 위해 바인더는 분사하여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건조분말의 표면 또는 차 분말 반죽의 표면에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데도 도움이 된다.
여기서, 본 발명자는 바인더로 꿀, 곡물을 당화시켜 만든 물엿, 나무의 수액을 농축시켜 만든 용액, 콘시럽, 심플시럽, 아몬드시럽, 메이플시럽, 검시럽, 아가베시럽(선인장) 등이 함유된 용액을 이용하여 실험을 하여 보았으나, 모든 경우에서 공통적으로 건조과정을 거치더라도 끈적거림이 남거나 주변온도에 따라 끈적거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풀루란의 경우 이러한 끈적거림의 문제가 발생 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차 분말 반죽을 1~5mm의 두께로 압출하고 앞서 설명한 설정된 크기로 절단하여 차 블록을 제조한 후, 20℃~35℃에서 수분함량이 3~10%가 되도록 건조 및 숙성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제조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은 앞서 설명한 실시형태와 모두 동일하나, 제4 단계(S24)는 차 원료가 되는 식물을 확인할 수 있는 원재료 고형물을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원재료 고형물을 차 분말 및 바인더와 함께 교반하여 차 분말 반죽을 형성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여기서, 원재료 고형물은, 차 원료가 되는 식물의 열매, 잎 및 꽃잎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차 분말 카드로는 한눈에 확인이 어려운 차의 종류를 원재료 고형물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여기서 차 분말과 원재료 고형물의 혼합 비율은 9:1의 중량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자가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제품(실시제품)의 우수성을 비교제품과 비교한 실험결과를 통해 설명한다.
[실시제품]
(1) 차 원료를 인삼으로 정하고, 인삼 500g을 추출용기에 투입하고, 온도 45℃, 압력 1200기압 및 3시간의 조건에서 저온 고압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동결건조 및 분쇄하여 인삼차 분말을 제조한다.
(2) 진생베리(인삼꽃)를 세척한 후 원료형태를 알아볼 수 있게 절단하여 동결건조하여 원재료 고형물을 만든다.
(3) 인삼차 분말 90중량%와 원재료 고형물 10중량%를 혼합 후 증류수와 풀루란(Pullulan)을 30:1의 부피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30:1로 희석된 플루란 용액을 분사하여 인삼차 분말 반죽을 형성한다.
(4) 인삼차 분말 반죽을 프레스에 넣고 압착한 후 롤러로 3mm 두께가 되게 밀어 원하는 형태가 되도록 절단하여 물에 녹는 인삼차 블록을 만든다.
[비교제품 1]
상기한 실시제품과 전체적으로 동일하나, 플루란을 대신하여 증류수와 메이플시럽을 20:1의 부피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20%로 희석된 메이플시럽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제품 2]
한국인삼유통공사(주)에서 판매하는 '고려인삼차' 3g 분말 포장된 제품을 준비하였다.
실험은, 실시제품(3g)과, 비교제품 1(3g), 비교제품 2가 50℃의 물 100g에 완전히 녹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비교하였으며, 관능검사로서, 20~50세의 일반 성인 40인을 대상으로, 실시제품과 비교제품 1에 대해 25℃의 외기에 24시간 노출된 제품을 사용하여 끈적거림을 실험하였으며, 80℃의 물에 녹여 그 맛 및 향을 실험하였고, 끈적거림이 '없다' 또는 '양호하다'라는 답변자의 수와, 맛과 향이 '우수하다' 또는 '양호하다'라는 답변자의 수를 아래의 표로 정리하였다.
용해시간
시험결과 실시제품 비교제품1 비교제품2
용해시간(초) 17 45 15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제품은 현재 시판 중인 분말 차와 녹는 속도 면에서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블록 형태로 제조되어 운반 및 보관의 편리성을 도모하면서도 녹는 속도를 분말 형태의 차와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하였다. 한편, 비교제품 1의 경우 분말 사이의 접착상태가 해제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었다.
관능검사 결과
시험결과 실시제품 비교제품1
끈적거림 38 12
맛과 향 35 30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제품과 비교제품1은 상온에 장시간 노출, 즉 유통과정이나 보관 과정에서의 조건에 따라 끈적거림이 발생 되는 빈도에서 크게 차이를 보였다. 한편, 맛과 향에 있어 실시제품은 풀루란의 우수한 코팅력으로 산화 발생이 저하되어 맛과 향에 있어서 근소한 우위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6)

  1. 설정된 차 원료를 세척하고, 설정된 크기로 분쇄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분쇄된 차 원료를 온도 40℃~50℃, 압력 500~2000기압 및 2~12시간의 조건에서 저온고압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차 분말을 형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 의해 제조된 차 분말에, 증류수와 풀루란(Pullulan)을 20~40:1의 부피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20~40:1로 희석된 풀루란 용액으로 구비되는 바인더를 첨가 및 교반하여 차 분말 반죽을 만드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에 의해 얻어진 차 분말 반죽을 설정된 두께로 압출하여 절단한 후, 20℃~35℃에서 수분함량이 3~10%가 되도록 건조 및 숙성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바인더는 분사하여 첨가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차 원료가 되는 식물을 확인할 수 있는 원재료 고형물;로서, 상기 차 원료가 되는 식물의 열매, 잎 및 꽃잎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 동결건조된 원재료 고형물이 상기 차 분말 및 바인더와 함께 교반되며,
    상기 제2 단계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링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설정된 차 원료는 100메쉬의 와이어 메쉬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절단되며,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차 분말 반죽은 1~5mm의 두께로 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50526A 2016-04-26 2016-04-26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 KR101867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526A KR101867069B1 (ko) 2016-04-26 2016-04-26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526A KR101867069B1 (ko) 2016-04-26 2016-04-26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921A Division KR20180050612A (ko) 2018-03-29 2018-03-29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810A KR20170121810A (ko) 2017-11-03
KR101867069B1 true KR101867069B1 (ko) 2018-06-14

Family

ID=60383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526A KR101867069B1 (ko) 2016-04-26 2016-04-26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0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072B1 (ko) * 2019-01-23 2020-11-19 경상남도 산청군 진생베리 분말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121B1 (ko) * 2006-05-26 2007-06-04 고형석 생(生)차잎과 한약재를 이용한 전차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09042A (ko) * 2007-07-19 2009-01-22 한국식품연구원 압출성형을 통한 차의 가공방법
KR20110040603A (ko) * 2009-10-14 2011-04-20 주식회사 빙그레 커피젤리가 함유된 커피음료의 제조방법
JP5491415B2 (ja) * 2008-02-01 2014-05-14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水溶性担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227B1 (ko) * 2013-01-16 2015-08-06 김성호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121B1 (ko) * 2006-05-26 2007-06-04 고형석 생(生)차잎과 한약재를 이용한 전차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09042A (ko) * 2007-07-19 2009-01-22 한국식품연구원 압출성형을 통한 차의 가공방법
JP5491415B2 (ja) * 2008-02-01 2014-05-14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水溶性担体
KR20110040603A (ko) * 2009-10-14 2011-04-20 주식회사 빙그레 커피젤리가 함유된 커피음료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5491415호(2014.05.14.)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810A (ko) 2017-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0098C1 (ru) Кофей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стоящая из кофе растворимого сублимированного и натурального жареного тонкого помола, обладающая вкусом и ароматом свежезаваренного натурального кофе,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JP5662153B2 (ja) 茶製品を製造する方法
CN105050415A (zh) 增强的食品和饮料组分的提取物
CN101385492B (zh) 一种速溶茶粉及加工方法
CN107156584A (zh) 一种不老莓果汁粉的制备方法
KR101867069B1 (ko)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
KR20130130257A (ko) 차 분말을 이용한 덩이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덩이차
US1374160A (en) Composition of suga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20180050612A (ko) 물에 녹는 차 블록 제조방법
CN107594618A (zh) 基于天然香料超微粉的缓释微丸及其制备方法
KR20090073924A (ko) 흡습성이 개량된 인삼추출농축액 피복과립 및 그 제조방법
DE1792525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poroeser und koerniger Aggregate aus pulverfoermigem Material
EP1885193B1 (en) A bush tea product
CN102970877A (zh) 用于制备可冲泡饮料产品的方法
RU2226059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чая из кипрея узколистного
KR101844487B1 (ko) 차 분말을 이용한 홍보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60003B1 (ko) 와송 원액 제조방법
US11849744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powdered fermented paste
JP2015146739A (ja) 緑色ペーストとエキス含有液または緑色ペースト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製造装置
RU2679191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чая из листьев осины обыкновенной
RU2761659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чая из листьев рябины обыкновенной
CN101199356A (zh) 话梅可乐泡腾片及其制备方法
CN108991177A (zh) 一种刺梨嫩叶茶加工方法
KR102480698B1 (ko) 고체형 다이어트 커피의 제조방법
CN107494876A (zh) 一种蔬果类压片糖果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