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726A - 발효물 조성물, 화장품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효물 조성물, 화장품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726A
KR20090007726A KR1020087026036A KR20087026036A KR20090007726A KR 20090007726 A KR20090007726 A KR 20090007726A KR 1020087026036 A KR1020087026036 A KR 1020087026036A KR 20087026036 A KR20087026036 A KR 20087026036A KR 20090007726 A KR20090007726 A KR 20090007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composition
fermentation
vitamin
fermentation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6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7976B1 (ko
Inventor
토시타카 오카다
켄지 후지사와
히로코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학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학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학코
Publication of KR20090007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9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01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23L33/155Vitamins A or 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2Spore-forming bacteria, e.g. Bacillus coagulans, Bacillus subtilis, clostridium or Lactobacillus sporoge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1Vitamin A; Derivatives thereof, e.g. ester of vitamin A acid, ester of retinol, retinol, re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은 쌀겨와 콩류 유래 펩티드를 고초균에 의해 발효시켜서 얻어지는 발효물과 펩티드 및 비타민 A류의 적어도 1종을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쌀겨와 콩류 유래 펩티드를 고초균에 의해 발효시켜서 얻어지는 발효물과 펩티드 및 비타민 A류의 적어도 1종을 혼합하는 혼합공정을 포함한다.
발효물 조성물, 화장품 조성물

Description

발효물 조성물, 화장품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FERMENTED PRODUCT COMPOSITION,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효물 조성물, 화장품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안전성이 높고, 콜라겐 합성 작용 등이 우수한 발효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효물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효물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쌀겨 등을 발효시켜서 얻어지는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등의 화장품 등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발효 쌀겨류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화장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있어서, 이 화장품은 보습성이 우수하고, 피부에 도포했을 때의 자극이 적고, 염증이 발생하기 어려워 쾌적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쌀겨와 대두 펩티드를 고초균에 의해 발효시키고, 그 후 정제처리해서 얻어지는 피부외용제 원료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있어서, 이 피부외용제 원료는 안전성이 높고, 피부의 활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4-26282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평8-104647호 공보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발효물을 피부외용제 등의 화장품에 배합하는 것에 의한 효능은 많다. 예를 들면, 이 발효물을 배합한 피부외용제 등의 화장품은 주름, 검버섯, 처짐 등을 억제할 수 있고, 동상, 살갗이 틈 및 피부 거칠어짐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이 발효물을 배합한 피부외용제 등의 화장품에서는 창상치유 및 화상 등의 증상의 개선 등의 효능이 얻어진다.
본 발명은 안전성이 높고, 콜라겐 합성 작용 등이 우수한 발효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효물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효물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쌀겨와 콩류 유래 펩티드를 고초균에 의해 발효시켜서 얻어지는 발효물과 펩티드 및 비타민 A류의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물 조성물.
[2] 상기 펩티드는 대두 단백질이 가수분해된 펩티드 및 실크 피브로인 중 적어도 1종인 상기 [1]에 기재된 발효물 조성물.
[3] 상기 [1]에 기재된 발효물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4] 쌀겨와 콩류 유래 펩티드를 고초균에 의해 발효시켜서 얻어지는 발효물과 펩티드 및 비타민 A류의 적어도 1종을 혼합하는 혼합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물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쌀겨와 콩류 유래 펩티드를 고초균에 의해 발효시켜서 얻어지는 발효물과 펩티드 및 비타민 A류의 적어도 1종을 혼합하는 혼합공정, 및 상기 혼합공정에 서 얻어지는 발효물 조성물을 제제화해서 화장품 조성물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은 천연물을 원료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은 안전성이 높고, 또한 우수한 콜라겐 합성 작용 및 세포 증식 작용 등을 갖는다.
또한, 상기 펩티드는 대두 단백질이 가수분해된 펩티드 및 실크 피브로인 중 적어도 1종인 경우에는, 보다 입수가 용이하고 또한 충분한 콜라겐 합성성 등을 갖는 발효물 조성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콜라겐 합성 작용 및 세포 증식 작용을 발휘한다.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입수가 용이한 고초균을 이용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우수한 작용을 갖는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 등을 소형의 제조설비에 의해 안전하고 또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발효물 조성물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은 쌀겨와 콩류 유래 펩티드를 고초균에 의해 발효시켜서 얻어지는 발효물과 펩티드 및 비타민 A류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쌀겨」로는, 예를 들면 쌀겨, 탈지 쌀겨, 미배아, 및 탈지 미배아가 열거된다. 이것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상기 쌀겨는 시판의 쌀겨 등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종류의 쌀겨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콩류 유래 펩티드」는 콩류에 함유되는 펩티드 또는 콩류에 함유되는 단백질로부터 유래하는 펩티드이면 그 구체적인 종류 및 구조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상기 「콩류 유래 펩티드」는 시판의 콩류 유래 펩티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종류의 콩류 유래 펩티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콩류 유래 펩티드로는, 예를 들면 대두 펩티드, 팥 펩티드, 완두 펩티드 및 잠두 펩티드가 열거된다. 상기 콩류 유래 펩티드로는 대두 펩티드가 바람직하다. 상기 콩류 유래 펩티드는 1종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상기 콩류 유래 펩티드를 얻는 방법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콩류 유래 펩티드는 콩류(예를 들면 대두, 팥, 완두 및 잠두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용매(물, 열수, 알콜(에탄올 등)의 유기용매 또는 물-유기용매 혼합용매)로 추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과정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분획 및 정제 등 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테아제, 산 또는 알칼리에서 가수분해 처리를 함으로써, 얻어진 콩류 유래 펩티드 또는 콩류 단백질을 더욱 단편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콩류 유래 펩티드는 화학적으로 아미노산끼리를 펩티드 결합시킴으로써 또는 공지의 유전자 공학적 방법에 의해 인위적으로 합성된 펩티드이어도 좋다.
상기 콩류 유래 펩티드의 형태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다. 상기 콩류 유래 펩티드는 상기 추출후 건조 등에 의해 고형화한 고형물(예를 들면, 분상물 또는 입상물 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콩류 유래 펩티드로서 상기 추출물 자체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콩류 유래 펩티드로서 상기 콩류 유래 펩티드를 함유하는 추출물(콩류 추출물, 특히 대두 추출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콩류 유래 펩티드로서 콩류(예를 들면 대두, 팥, 완두 및 잠두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용매(물, 열수, 알콜(에탄올 등)의 유기용매또는 물-유기용매 혼합용매)로 추출함으로써 얻어지는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대두 펩티드를 함유하는 추출물(대두 추출물)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콩류 유래 펩티드를 함유하는 추출물을 얻기 위한 추출방법, 추출조건 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다. 예를 들면, 추출 원료인 콩류는 미분쇄한 것이어도 분쇄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추출물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한 불순물 제거 등의 사전처리를 해도 좋다. 또한, 추출 용매로서는 물 또는 열수 이외에 메탄올 및 에탄올 등의 알콜, 아세트산 에틸 등의 에스테르, n-헥산 등의 유기용매, 및 이들 유기용매와 물 또는 열수의 혼합용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로는 물 또는 열수, 알콜(메탄올 및 에탄올 등), 및 물 또는 열수와 알콜의 혼합용매가 바람직하다. 상기 열수의 온도는 통상 40~100℃이고, 바람직하게는 50~8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70℃이다. 또한, 추출시의 추출 용매의 pH는 보통 3~7, 바람직하게는 4~6, 더욱 바람직하게는 4~5이다. pH를 상기 범위내로 함으로써, 추출 원료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성분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추출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온 또는 가열 추출이 바람직하다. 가열 추출의 경우, 가열 온도로서는 통상 40~100℃이고, 바람직하게는 50~8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50~70℃이다. 가열 온도를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추출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쌀겨와 상기 콩류 유래 펩티드의 비율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통상, 상기 콩류 유래 펩티드를 100질량부로 했을 경우에, 상기 쌀겨의 비율은 1~2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5~20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8~18질량부이다. 상기 쌀겨가 상기 범위이면 충분한 콜라겐 합성 작용 등을 갖는 발효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고초균」[바실루스 수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은 호기성 포자형성 세균의 대표적 종류이다. 상기 고초균의 종류는 안전성이 보증되어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고초균으로서는, 예를 들면 납두균[바실루스 나토(Bacillus natto)]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초균으로서는 입수가 용이하고 또한 저렴한 납두균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초균으로서는 시판되어 있는 일반적인 고초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콜라겐 합성 작용 등을 갖는 발효물이 얻어지는 한 상기 고초균으로는 자연적으로 또는 니트로소 구아니딘 등의 화학물질, X 선 및 자외선 등에 의해 인위적인 변이수단에 의해 생성하여 균학적 성질이 변이된 변이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효물」은 상기 쌀겨와 상기 콩류 유래 펩티드를 고초균에 의해 발효시켜서 얻어진다. 상기 발효물은 통상 상기 쌀겨 및 상기 콩류 유래 펩티드를 함유하는 배지에 고초균을 섭취하고, 적절한 조건에서 발효 배양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발효물」을 얻기 위한 발효 배양조건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발효 배양은 통상 통풍 교반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상기 배지에 관해서도 상기 고초균이 증식가능한 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배지는 통상은 액체 배지이지만, 고형 배지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배지의 pH(특히 발효시)는 통상 5.5~8.5, 바람직하게는 6.0~8.0, 더욱 바람직하게는 6.5~7.5이다. 이 pH를 상기의 범위 내로 하면, 추출 원료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성분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배양 온도에 관해서도 발효가 행해지는 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배양온도는 통상 15~50℃이고, 바람직하게는 20~4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4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43℃이다. 또한, 당 등의 각종 영양소 및 pH 조정을 위한 산 및 알칼리 등을 배지에 첨가해도 좋다. 또한, 상기 발효는 혼합 발효이어도 연속 발효이어도 좋다.
상기 발효물의 형태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상기 발효물은 발효 배양에 의해 얻어진 발효액 또는 상기 발효액을 여과한 그대로의 액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발효물은 상기 발효액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서 멸균처리 또는 pH 조정을 하거나 또는 이온교환 수지, 활성탄 컬럼 또는 투석막 등을 이용하여 탈취·탈색 등의 후처 리를 한 발효액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발효물은 상기 발효액을 농축한 농축액 또는 페이스트상물이어도 좋다. 그 밖에도, 상기 발효물은 상기 발효액을 동결건조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용매를 제거한 고형물 및 분말화한 분말물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발효물은 상기 발효액 또는 상기 고형물 및 분말물을 물 또는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 등의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첨가한 용액 또는 분산액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펩티드」는 아미노산이 펩티드 결합에 의해 결합된 폴리펩티드이다. 또한, 상기 아미노산은 통상은 L-아미노산이지만, D-아미노산이어도 좋고 또는 양자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즉, 상기 펩티드를 구성하는 아미노산은 L-아미노산, D-아미노산 및 양자의 혼합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상기 펩티드의 종류, 유래 및 구조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예를 들면, 상기 펩티드는 식물에 함유되는 식물 유래의 펩티드이어도 좋고, 동물에 함유되는 동물 유래의 펩티드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펩티드의 구조도 직쇄 구조 뿐만 아니라, 디술피드 결합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펩티드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대두 단백질(대두에 함유되는 단백질)을 가수분해함으로써 얻어지는 펩티드 및 실크 피브로인 등의 비단 펩티드(비단에 함유되는 펩티드 및 비단에 함유되는 단백질을 가수분해해서 얻어지는 펩티드) 등이 열거된다. 이들 펩티드를 사용하면, 우수한 콜라겐 합성 작용 및 세포 증식 작용 등을 갖는 발효물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펩티드를 얻는 방법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상기 펩티드는 통상 각종 단백질을 프로테아제, 산 또는 알칼리 등에 의해 가수분해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물론, 구체적인 가수분해의 방법 및 조건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여기에서, 상기 단백질의 종류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상기 단백질로서, 예를 들면 대두 단백질 및 비단에 함유되는 비단 단백질이 열거된다. 또한, 상기 펩티드로서 화학적으로 아미노산끼리를 펩티드 결합시킴으로써 또는 공지의 유전자 공학적 방법에 의해 인위적으로 합성된 펩티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펩티드의 아미노산 수 및 분자량도 특별한 한정은 없다. 상기 펩티드의 아미노산 수의 하한은, 예를 들면 2, 3 또는 4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펩티드의 아미노산 수의 상한은, 예를 들면 100, 80, 60 또는 40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펩티드의 분자량의 하한은, 예를 들면 50, 100 또는 200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펩티드의 분자량의 상한으로서는, 예를 들면 300000, 200000, 100000, 50000또는 30000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세포 증식 작용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펩티드로서 고분자량의 펩티드, 예를 들면 분자량이 40000 이상인 펩티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펩티드의 분자량은 공지의 각종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펩티드의 분자량은 예를 들면 SDS-PAGE에 의한 전기영동법 및 HPLC과 컬럼에 의한 겔여과 크로마토그래피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펩티드의 아미노산 수 및 분자량은 단백질 또는 펩티드를 프로테아제, 산 또는 알칼리 등에 의해 가수분해함으로써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펩티드로서 바람직하게는, (1) 분자량이 200~200000인 펩티드, (2) 아미노산 수가 4~40이며, 또한 분자량이 220~8000인 펩티드, 및 (3) 아미노산 수가 2~3이며, 또한 분자량이 100이하, 100~250 및 250~500인 분자량이 다른 펩티드의 혼합물이다. 또한 이들 (1)~(3)의 펩티드로서 실크 피브로인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펩티드와 상기 발효물을 함유시킴으로써, 발효물만을 함유할 때와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콜라겐 합성 작용 및 세포 증식 작용 등을 갖는 발효물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펩티드로서는 대두 단백질이 가수분해된 것으로 아미노산 수가 2~6, 또한 분자량이 100~1200인 펩티드도 바람직하다. 이 대두 단백질을 사용한 펩티드와 발효물을 함유시킴으로써, 발효물만을 함유할 때와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콜라겐 합성 작용 및 세포 증식 작용 등을 갖는 발효물 조성물로 할 수 있다.
상기 펩티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펩티드로서는 상기 각종의 펩티드 중 1종만을 사용해도 좋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펩티드로서 아미노산 수 및/또는 분자량이 다른 2종 이상의 펩티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펩티드로서 대두 단백질이 가수분해되어서 이루어진 펩티드 및 실크 피브로인 등의 비단 펩티드와 같이 종류가 다른 펩티드의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비타민 A류」는 이소프레노이드형 폴리엔 알콜을 기본 골격으로 갖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의 유도체이다. 상기 비타민 A류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비타민 A1(레티놀), 비타민 A2, 비타민 A3 및 3,4-디히드로 레티놀 및 이것들이 산화된 알데히드(레티날 등) 및 카르복실산(레티노인산) 등이 열거된다. 또한, 상기 「비타민 A류」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도체도 포함된다. 상기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레티놀 등의 카르복실산 에스테르가 열거된다. 상기 유도체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레티놀 및 팔미트산 레티놀 등의 C1~C30 에스테르 등이 열거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타민류는 1종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A류의 함유형태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상기 비타민 A류 자체를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에 함유시켜도 좋고, 그 밖의 물질과 병용해서 함유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비타민 A류는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호스트 화합물에 포접시킨 포접 화합물로서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에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타민 A류는 상기 비타민 A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또는 혼합물로서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에 함유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타민 A류는 간유 등의 상기 비타민 A류를 함유하는 조성물로서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에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타민 A류는 상기 비타민 A류가 용해 또는 분산된 용액 또는 분산액으로 하여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에 함유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타민 A류를 동물유 또는 식물유에 용해시켜 해당 용액을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에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과, 상기 펩티드 및 상기 비타민 A류의 비율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상기 발효물과, 상기 펩티드 및 상기 비타민 A류의 합계를 100질량%로 했을 경우에, 상기 발효물의 비율은 보통 0.1~99.9질량%, 바람직하게는 10~8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0~60질량%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효물과 상기 펩티드 및 상기 비타민 A류의 1종 또는 2종 이상 을 함유함으로써 콜라겐 합성 작용 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효물과 상기 펩티드 및 상기 비타민 A류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각각의 함유량에 큰 차이가 없을 경우, 즉 상기 발효물의 질량 비율이 40~60질량%일 때에는 콜라겐 합성 작용 등이 보다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은 각종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용도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은, 예를 들면 피부외용제 등의 화장품, 화장품 소재, 음식물, 음식물용 첨가제 및 입욕제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은 화장품 및 음식물 등에 배합할 수 있다. 화장품에 배합할 경우,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의 배합량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상기 배합량은 화장품의 종류 등에 따라 적당량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의 배합량은 화장품을 100질량%로 했을 경우에, 0.001~100질량%, 특히 0.001~50질량%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우수한 콜라겐 합성 작용 등을 갖는 화장품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을 배합할 수 있는 화장품의 종류도 특별한 한정은 없다. 상기 화장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프리즈드라이, 팩, 팩시트, 필링, 파우더, 화장수, 분, 고형 분, 입술연지, 고형 볼연지, 파운데이션 크림, 유액, 로션, 바디 로션, 클렌징 로션, 세안 크림, 스킨케어 크림, 헤어 린스, 헤어 리퀴드, 아이세도 및 눈썹 연필 등이 열거된다. 또한, 이들 화장품에는 그 종류에 따라서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 예를 들면 식물 추출물, 비타민, 비타민형태 물질, 미네랄, 저급 알콜류, 다가 알콜류, 유지류, 계면활성제, 항산화제, 자외선 흡수제, 증점제, 색소, 방부제 및 향료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을 배합하는 화장품으로는 특히 피부외용제가 열거된다.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은 우수한 콜라겐 합성 작용 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해서 사용하는 화장품에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는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과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그 외의 배합제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상기 외의 배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액체유(스쿠알란 및 호호바유 등), 고체유(밀랍 및 세틸알콜 등), 각종 활성제, 및 보습제(글리세린 및 1,3-부틸렌글리콜 등)가 열거된다. 이 피부외용제의 제형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이 피부외용제는, 예를 들면 로션, 크림 및 유액 등 목적에 따라서 각종 제형으로 할 수 있다. 이 피부외용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의 배합량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의 배합량은 피부외용제를 100질량%로 했을 경우에, 0.001~100질량%, 특히 0.001~50질량%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내이면 우수한 콜라겐 합성 작용 등을 갖는 피부외용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을 함유하는 음식물은,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을 다른 식품원료와 함께 혼합하거나, 또는 미리 혼합된 식품원료 혼합물에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을 배합하고, 이어서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가공해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을 함유하는 음식물은, 예를 들면 유지,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또는 이들 혼합물에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을 용해시키고, 이것을 음료 또는 고형 식품에 배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을 함유하는 음식물은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과, 아라비아검 및 덱스트린 등의 바인더를 혼합해서 분말 또는 과립 등으로 하고, 이것을 음료 또는 고형 식품에 배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을 함유하는 음식물은 건강식품 및 기능성 식품 등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을 배합한 배합물을 화장품 소재, 입욕제 및 음식물용 첨가제 등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2) 화장품 조성물, 세포 부활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화장품 원료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 세포 부활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화장품 원료는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 세포 부활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화장품 원료에 함유되는 상기 발효물 조성물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한 내용이 적용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 세포 부활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화장품 원료에 있어서의 상기 발효물 조성물의 비율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상기 발효물 조성물의 비율은,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 세포 부활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화장품 원료 전체를 100질량%로 했을 경우에, 0.001~100질량%, 특히 0.001~50질량%로 할 수 있다. 상기 발효물 조성물의 비율이 상기 범위내이면, 우수한 콜라겐 합성 작용 등을 갖는 화장품 조성물, 세포 부활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화장품 원료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의 종류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상기 화장품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면 프리즈드라이, 팩, 팩시트, 필링, 분, 고형 분, 입술연지, 고 형 볼연지, 파운데이션 크림, 유액, 로션, 바디 로션, 클렌징 로션, 세안 크림, 스킨케어 크림, 헤어 린스, 헤어 리퀴드, 아이세도 및 눈썹 연필이 열거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는 그 종류에 따라서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예를 들면 식물 추출물, 비타민, 비타민형태 물질, 미네랄, 저급 알콜류, 다가 알콜류, 유지류, 계면활성제, 항산화제, 자외선 흡수제, 증점제, 색소, 방부제 및 향료)을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특히 피부외용제가 열거된다. 상기 발효물 조성물은 우수한 콜라겐 합성 작용 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발효물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해서 사용하는 화장품에 특히 유용하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상기 발효물 조성물과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그 밖의 배합제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그 밖의 배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액체유(스쿠알란 및 호호바유등), 고체유(밀랍 및 세틸알콜 등), 각종 활성제 및 보습제(글리세린 및 1,3-부틸렌글리콜 등)가 열거된다. 이 피부외용제의 제형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이 피부외용제는 로션, 크림 및 유액 등, 목적에 따라서 각종의 제형으로 할 수 있다. 이 피부외용제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 조성물의 배합량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상기 발효물 조성물의 배합량은 피부외용제를 100질량%로 했을 경우에 0.001~100질량%, 특히 0.001~50질량%로 할 수 있다. 발효물 조성물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우수한 콜라겐 합성 작용 등을 갖는 피부외용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포 부활용 피부외용제는 상기 발효물 조성물을 함유한다. 상기 발효물 조성물은 우수한 콜라겐 합성 작용 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발효물 조성 물은 피부에 도포해서 사용하는 화장품에 배합했을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세포 부활용 피부외용제는 상기 피부외용제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원료는, 예를 들면 프리즈드라이, 팩, 팩시트, 필링, 파우더, 화장수, 분, 고형 분, 입술 연지, 고형 볼연지, 파운데이션 크림, 유액, 로션, 바디 로션, 클렌징 로션, 세안 크림, 스킨케어 크림, 헤어 린스, 헤어 리퀴드, 아이세도 및 눈썹 연필에 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3) 발효물 조성물 등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 화장품 조성물, 세포 부활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화장품 원료의 제조방법은 쌀겨와 콩류 유래 펩티드를 고초균에 의해 발효시켜서 얻어지는 발효물과 펩티드 및 비타민 A류의 적어도 1종을 혼합하는 혼합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쌀겨」, 상기 「콩류 유래 펩티드」, 상기 「고초균」, 상기 「펩티드」 및 상기 「비타민 A류」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에서 설명한 내용이 적용된다.
상기 「발효물」은 보통 쌀겨와 콩류 유래 펩티드를 함유하는 배지에 고초균을 접종해서 발효시키는 발효공정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발효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배지」는 쌀겨 및 콩유래 펩티드를 함유하고, 고초균이 증식해서 발효 배양을 할 수 있는 배지이면 좋다. 상기 배지의 종류 및 조성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상기 배지는 통상 액체 배지이지만, 고형 배지이여도 좋다. 또한, 상기 배지의 pH(특히 발효시)는 보통 5.5~8.5, 바람직하게는 6.0~8.0, 더욱 바람직하게는 6.5~7.5이다. 또한, 상기 배지에는 pH 및 영양 조건 등을 바람직한 범위로 조정하기 위해서 글루코오스 등의 당류, 프로테아제 등의 효소, 정제수 등의 물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발효시의 배양 온도는 발효가 행해지는 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배양 온도는 통상 15~50℃이고, 바람직하게는 20~4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4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43℃이다. 발효 배양은 통상 통기 교반을 함으로써 행해진다.
상기 발효 공정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발효물의 형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발효물의 형태는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에서 설명한 내용이 적용된다.
상기 「혼합 공정」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과 상기 펩티드 및 비타민 A류의 적어도 1종을 혼합하는 방법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발효물과 펩티드는 각각의 형태 및 각각의 질량 비율 등에 따라서 호모 믹서 등의 혼합기 등의 적당한 장치를 이용하여 혼합할 수 있다. 또한, 혼합시의 온도도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발효물 및 펩티드의 각각의 종류 등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효물과 펩티드는 5~20℃의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서 냉각하면서 혼합할 수 있고, 35~85℃의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서 가열하면서 혼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또 다른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이외의 공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발효물을 정제처리하는 공정 등이 열거된다. 발효공정에 의해 얻어진 발효물은 그대로 펩티드와 혼합해도 좋고, 또는 상기 발효물을 정제처리하고, 그 후 펩티드와 혼합해도 좋다. 이 정제처리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발효액을 압착하고 여과함으로써 상기 발효물을 정제할 수 있다. 또한, 발효액을 압착하고, 여과하고, 이어서 활성탄 등에 의한 탈취, 탈색처리 및/또는 침전물의 제거처리를 하고, 그 후 재차 여과함으로써 상기 발효물을 정제할 수도 있다.
상기 발효물 조성물을 제제화해서 화장품 조성물 및 세포 부활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얻는 공정의 내용은 화장품 조성물 및 세포 부활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이 얻어지는 한 특별한 한정은 없다. 통상은 상기 발효물 조성물과 화장품 조성물 및 세포 부활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것 이외의 원료를 혼합하고, 정제 또는 액제 등으로 제제화함으로써, 화장품 조성물 및 세포 부활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물론, 상기 발효물 조성물을 그대로 정제 또는 액제 등으로 제제화함으로써, 화장품 조성물 및 세포 부활용 피부외용제 조성물로 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발효물 조성물의 제조
쌀겨 3kg, 대두 펩티드 0.4kg, 글루코오스 0.5kg, 알칼리성 프로테아제 0.01kg 및 정제수 50kg을 혼합하여 배지를 조제했다. 그 후, 배지의 pH를 6.0~8.0로 조정하고, 이어서 납두균을 접종하고, 37℃에서 38시간 배양해서 발효를 행했다. 그 후, 발효액을 압착 및 여과하고, 이어서 활성탄에 의해 탈색, 탈취했다. 그 후, 재차 발효액을 여과해서 정제함으로써 발효물을 제조했다.
[2] 실크 피브로인을 함유하는 발효물 조성물의 평가
상기 [1]에서 제조한 발효물, 비타민 C(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제), 및 실크 피브로인(오드레만사 제품, 상품명 「피브로인시트」)를 각각 고형분 농도로 2%(질량/체적)이 되도록 완충액(PBS)에 용해했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0.22㎛의 필터에 의해 여과했다. 그 후, 각 성분이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상기 용액을 희석해서 혼합함으로써, 실험예 2~15의 시료 용액을 조제했다. 또한, 실험예 1은 시료 용액으로서 상기 완충액(PBS)을 사용했다.
2개의 96구멍 웰플레이트(표 중에서는 「P1」 및 「P2」라고 함)의 각각에 1웰당 5000개의 인간 피부섬유 싹세포를 살포했다. 이어서, 5% FBS 첨가 MEM 배지에서 3일간 배양했다. 5% FBS 첨가 MEM 배지에 대하여 실험예 1~15의 시료를 첨가해서 시료 첨가 배지를 조제했다. 상기 시료 첨가 배지에 있어서의 실험예 1~15의 시료 용액의 농도는 1%(질량/체적, 단 상기 PBS의 질량을 제외함)이다(따라서, 배지에 있어서의 발효물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최종 농도는 시료 용액 중의 농도의 1/100이다.). 그리고, 웰 중의 상기 5% FBS 첨가 MEM 배지를 상기 시료 첨가 배지로 교환하고, 3일간 더 배양했다.
이어서, 「콜라겐 스테이닝 키트」(콜라겐 기술 연구회 제품)을 이용하여, 키트에 첨부된 메뉴얼에 따라서 콜라겐 합성량(μg)을 측정했다. 플레이트 1(P1) 및 플레이트 2(P2)에 있어서의 콜라겐 합성량의 평균치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실험예 1의 콜라겐 합성량을 1로 하여 실험예 2~8의 콜라겐 합성량의 상대치를 구했다. 마찬가지로, 실험예 9의 콜라겐 합성량을 1로 하여 실험예 10~15의 콜라겐 합성량의 상대치를 구했다.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병기한다. 또한, 표 1 및 표 2에 있어서, 「VC」은 비타민 C를 의미하고, 「SF」는 실크 피브로인을 의미한다.
Figure 112008073833321-PCT00001
Figure 112008073833321-PCT00002
표 1 및 표 2로부터, 실크 피브로인과 발효물을 병용하고 있는 실험예 5~8 및 13~15에서는 발효물만을 사용하고 있는 실험예 3 및 11 및 실크 피브로인만을 사용하고 있는 실험예 4 및 12와 비교해서 콜라겐 합성 작용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3] 그외 실크 원료 유래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발효물 조성물의 평가
상기 [1]에서 제조한 발효물, 비타민 C(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제), 실크 피브로인, 및 하기 실크 펩티드(a) 및 (b)를 각각 고형분 농도로 2%(질량/체적)이 되도록 완충액(PBS)에 용해했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0.22㎛의 필터에 의해 여과했다. 그 후, 각 성분이 표 3~표 5에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상기 용액을 희석해서 혼합함으로써, 실험예 17~19, 24~28 및 33~35의 시료 용액을 조제했다. 또한, 실험예 17~19, 24 ~28 및 33~35의 시료 용액을 체적으로 등량 혼합함으로써, 실험예 20~22, 29~31 및 36의 시료 용액을 조제했다. 또한, 실험예 16, 23 및 32에서는 시료 용액으로서 상기 완충액(PBS)을 사용했다.
비타민 C 및 실크 피브로인은 상기 [2]에서 사용한 것과 같다. 또한, 실크 펩티드(a) 및 (b)로서는 하기의 것을 사용했다. 또한, 실크 펩티드(a) 및 (b)는 모두 액체이어서, 고형분 농도로서의 최종 농도가 1%(질량/체적)가 되도록 완충액에 의해 희석해서 사용했다.
실크 펩티드(a); COSMO FOODS CO., LTD. 제품, 상품명 「실크 펩티드 M-500」
실크 펩티드(b); COSMO FOODS CO., LTD. 제품, 상품명 「실크 펩티드 M-500 #60」
상기 [2]와 같은 방법에 의해, 실험예 16~36의 콜라겐 합성량(μg)을 측정했다. 플레이트 1(P1) 및 플레이트 2(P2)에 있어서의 콜라겐 합성량의 평균치를 표 3~표 5에 나타낸다. 또한, 실험예 16, 23 및 32의 각 콜라겐 합성량을 1로 하여 다른 실험예의 콜라겐 합성량의 상대치를 구했다. 그 결과를 표 3~표 5에 병기한다. 또한, 표 3~표 5에 있어서, 「VC」은 비타민 C를 의미하고, 「SF」는 실크 피브로인을 의미하고, 「SP」는 실크 펩티드를 의미한다.
Figure 112008073833321-PCT00003
Figure 112008073833321-PCT00004
Figure 112008073833321-PCT00005
표 3~5의 결과에 의하면, 실크 피브로인과 발효물을 병용하고 있는 실험예 22, 29 및 36에서는 발효물만을 사용하고 있는 실험예 18, 25 및 34, 및 실크 피브로인만을 사용하고 있는 실험예 19, 26 및 35와 비교해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보다 우수한 콜라겐 합성 작용을 갖고 있다. 또한, 실크 펩티드와 발효물을 병용하고 있는 실험예 30 및 31도 실크 피브로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다 우수한 콜라겐 합성 작용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험예 17, 24 및 33으로부터, 비타민 C도 콜라겐 합성 작용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발효물과 비타민 C를 병용한 실험예 20 및 비타민 C와 실크 피브로인을 병용한 실험예 21에서는 병용에 의한 상승효과는 보여지지 않거나 또는 극히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발효물과 펩티드의 병용에 의한 상승효과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4] 대두 펩티드를 함유하는 발효물 조성물의 평가
상기 [1]에서 제조한 발효물, 비타민 C(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 실크 피브로인 및 하기 대두 펩티드(a)~(c)를 각각 고형분 농도로 2%(질량/체적)가 되도록 완충액(PBS)에 용해했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0.22㎛의 필터에 의해 여과했다. 그 후, 각 성분이 표 6 및 표 7에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상기 용액을 희석해서 혼합함으로써, 실험예 38~43 및 49~54의 시료 용액을 조제했다. 또한, 실험예 38~43 및 49~54의 시료 용액을 체적으로 등량 혼합함으로써, 실험예 44~47 및 55~56의 시료 용액을 조제했다. 또한, 실험예 37 및 48에서는 시료 용액으로서 상기 완충액(PBS)을 사용했다.
비타민 C 및 실크 피브로인은 상기 [2]에서 사용한 것과 같다. 또한, 대두 펩티드(a)~(c)로서는 하기의 것을 사용했다. 또한, 대두 펩티드(a), (b) 및 (c)은 모두 액체이어서, 고형분 농도로서의 최종 농도가 1%(질량/체적)이 되도록 완충액에 의해 희석해서 사용했다.
대두 펩티드(a); Fuji Oil Co., Ltd. 제품, 상품명 「하이뉴트 SMP」
대두 펩티드(b); Fuji Oil Co., Ltd. 제품, 상품명 「하이뉴트 R」
대두 펩티드(c); Fuji Oil Co., Ltd. 제품, 상품명 「하이뉴트 DC5」
상기 [2]와 같은 방법에 의해, 실험예 37~47의 콜라겐 합성량(μg)을 측정했다. 플레이트 1(P1) 및 플레이트 2(P2)에 있어서의 콜라겐 합성량의 평균치를 표 6에 나타낸다. 또한 실험예 37의 콜라겐 합성량을 1로 하여 다른 실험예의 콜라겐 합성량의 상대치를 구했다. 그 결과를 표 6에 병기한다. 또한, 표 6에 있어서, 「VC」은 비타민 C를 의미하고, 「SF」는 실크 피브로인을 의미하고, 「SBP(a)~(c)」은 대두 펩티드(a)~(c)를 의미한다.
Figure 112008073833321-PCT00006
2개의 96구멍 웰플레이트 각각에 1웰당 2000개의 인간 피부섬유 싹세포를 살포했다. 이어서, 5% FBS 첨가 MEM 배지에서 3일간 배양했다. 그 후, 무혈청 MEM 배지로 교환하고, 1일간 더 배양했다. 0.5% 혈청 첨가 MEM 배지에 대하여 실험예 48~56의 시료를 첨가해서 시료 첨가 배지를 조제했다. 상기 시료 첨가 배지에 있어서의 상기 실험예 48~56의 시료 용액의 농도는 1%(질량/체적, 단 상기 PBS의 질량을 제외함)이다(따라서, 배지에 있어서의 발효물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최종 농도는 시료 용액 중의 농도의 1/100이다.). 그리고, 웰 중의 상기 무혈청 MEM 배지를 상기 시료 첨가 배지로 교환하고, 4일간 더 배양했다.
그 후, Dojindo Laboratories 「셀 카운팅 키트 8」에 근거하여 WST-8 테트라졸륨염을 발색 기질로 해서 생세포 내의 탈수소 효소에 의해 환원시켜서 생성한 수용성 호르마잔을 450nm의 파장에서 측정함으로써 흡광도를 측정했다(생세포수는 해당 흡광도치에 비례한다.). 또한, 실험예 48의 생세포수를 1로 하여 다른 실험예의 생세포량의 상대치를 산출하여 세포 증식 작용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7에 병기한다. 또한, 표 7에 있어서, 「VC」은 비타민 C를 의미하고, 「SF」는 실크 피브로인을 의미하고, 「SBP(a)~(c)」는 대두 펩티드(a)~(c)를 의미한다. 또한, 표 7에 있어서의 세포 증식률의 항의 평균치는 상기 흡광도치의 평균치이다.
Figure 112008073833321-PCT00007
표 6으로부터, 실크 피브로인과 발효물을 병용하고 있는 실험예 44는 발효물만을 사용하고 있는 실험예 39 및 실크 피브로인만을 사용하고 있는 실험예 40과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콜라겐 합성 작용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발효물과 대두 펩티드를 병용하고 있는 실험예 45~47도 실크 피브로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다 우수한 콜라겐 합성 작용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7로부터, 발효물과 대두 펩티드(c)를 병용하고 있는 실험예 56은 발효물만을 사용하고 있는 실험예 50과 비교해서 세포 증식 작용이 보다 향상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발효물과 실크 피브로인을 병용한 실험예 55도 마찬가지로 세포 증식 작용이 향상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5] 비타민 A류를 함유하는 발효물 조성물의 평가
상기 [1]에서 제조한 발효물, 비타민 C(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 및 시클로덱스트린 포접 레티놀(상품명 「CAVAMAX W8/Retinol Complex」 Cyclochem Co., Ltd. 제품)을 각각 고형분 농도로 2%(질량/체적)가 되도록 완충액(PBS)에 용해했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0.22㎛의 필터에 의해 여과했다. 그 후, 각 성분이 표 8에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상기 용액을 희석해서 혼합함으로써, 실험예 58~66의 시료 용액을 조제했다. 또한, 실험예 57에서는 시료 용액으로서 상기 완충액(PBS)을 사용했다.
상기 [2] 및 [4]에 기재된 방법과 같은 방법에 의해 실험예 57~66의 콜라겐 합성량(μg) 및 세포 증식률을 측정했다. 그 평균치를 표 8에 나타낸다. 또한, 실험예 57의 콜라겐 합성량 및 생세포량을 1로 하여 다른 실험예의 콜라겐 합성량 및 생세포량의 상대치를 구했다. 그 결과를 표 8에 병기한다. 또한, 표 8에 있어서, 「VC」는 비타민 C를 의미하고, 「CDR」은 시클로덱스트린 포접 레티놀을 의미한다. 또한, 표 8에 있어서의 세포 증식률의 항의 평균치는 흡광도치의 평균치이다.
Figure 112008073833321-PCT00008
표 8로부터, 레티놀과 발효물을 병용하고 있는 실험예 64~66은 발효물만을 사용하고 있는 실험예 59 및 레티놀만을 사용하고 있는 실험예 60~63과 비교하여 우수한 콜라겐 합성 작용 및 세포 증식 작용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6] 펩티드 및 비타민 A류를 함유하는 발효물 조성물의 평가
상기 [1]에서 제조한 발효물, 상기 실크 피브로인, 상기 대두 펩티드(a) 및 상기 시클로덱스트린 포접 레티놀을 각각 고형분 농도로 2%(질량/체적)가 되도록 완충액(PBS)에 용해했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0.22㎛의 필터에 의해 여과했다. 그 후, 각 성분이 표 9 및 표 10에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상기 용액을 희석해서 혼합 함으로써, 실험예 68, 69, 71 및 72의 시료 용액을 조제했다. 또한, 실험예 67 및 70에서는 시료 용액으로서 상기 완충액(PBS)을 사용했다.
상기 [2] 및 [4]와 같은 방법에 의해, 실험예 67~72의 콜라겐 합성량(μg) 및 세포 증식률을 측정했다. 그 평균치를 표 9 및 표 10에 나타낸다. 또한, 실험예 67 및 70의 콜라겐 합성량 및 생세포량을 1로 하여 다른 실험예의 콜라겐 합성량 및 생세포량의 상대치를 구했다. 그 결과를 표 9 및 표 10에 병기한다. 또한, 표 9 및 표 10에 있어서, 「SF」는 실크 피브로인을 의미하고, 「SBP」는 대두 펩티드를 의미하고, 「CDR」은 시클로덱스트린 포접 레티놀을 의미한다. 또한, 표 9 및 표 10에 있어서의 세포 증식률의 항의 평균치는 흡광도치의 평균치이다.
Figure 112008073833321-PCT00009
Figure 112008073833321-PCT00010
표 10으로부터, 레티놀 및 펩티드와 발효물을 병용하고 있는 실험예 69 및 72는 우수한 콜라겐 합성 작용 및 세포 증식 작용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체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목적, 용도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은 안전성이 우수하고, 콜라겐 합성 작용 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발효물 조성물은 피부외용제 등의 각종의 화장품, 및 건강식품 및 기능성 식품 등의 각종 음식물 등에 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화장품 및 음식물 등의 분야에 있어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쌀겨와 콩류 유래 펩티드를 고초균에 의해 발효시켜서 얻어지는 발효물과 펩티드 및 비타민 A류의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물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는 대두 단백질이 가수분해된 펩티드 및 실크 피브로인의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물 조성물.
  3. 제 1 항에 기재된 발효물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4. 쌀겨와 콩류 유래 펩티드를 고초균에 의해 발효시켜서 얻어지는 발효물과 펩티드 및 비타민 A류의 1종 이상을 혼합하는 혼합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물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쌀겨와 콩류 유래 펩티드를 고초균에 의해 발효시켜서 얻어지는 발효물과 펩티드 및 비타민 A류의 1종 이상을 혼합하는 혼합공정, 및
    상기 혼합공정에서 얻어지는 발효물 조성물을 제제화해서 화장품 조성물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87026036A 2006-05-02 2007-05-02 세포 부활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97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28692 2006-05-02
JP2006128692 2006-05-02
PCT/JP2007/059398 WO2007129674A1 (ja) 2006-05-02 2007-05-02 発酵物組成物、化粧品組成物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726A true KR20090007726A (ko) 2009-01-20
KR101397976B1 KR101397976B1 (ko) 2014-05-27

Family

ID=38667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036A KR101397976B1 (ko) 2006-05-02 2007-05-02 세포 부활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4945556B2 (ko)
KR (1) KR101397976B1 (ko)
CN (2) CN102225045B (ko)
HK (1) HK1130182A1 (ko)
WO (1) WO20071296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7486B2 (ja) * 2009-01-19 2010-09-01 国立大学法人秋田大学 糠臭が取り除かれた米糠浸出物の製造方法、糠臭が取り除かれた米糠浸出物、及びγ−アミノ酪酸の製造方法
KR20130058107A (ko) * 2011-11-25 2013-06-04 (주)아모레퍼시픽 콩으로부터 저분자 펩타이드 추출물을 분리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2846537B (zh) * 2012-10-18 2014-01-29 天津市可美国际贸易有限公司 一种护肤精华液原液的制备方法
JP6332941B2 (ja) * 2013-11-01 2018-05-30 株式会社東洋発酵 美容健康用経口組成物
CN106466291B (zh) * 2015-08-19 2019-06-07 德州昂立达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含有谷物发酵物的无泡皮肤清洁产品及其制备方法
CN105596286A (zh) * 2016-01-25 2016-05-25 广州保税区雅兰国际化妆品有限公司 一种酵母美白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484569A (zh) * 2019-09-18 2019-11-22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米源发酵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2022792B (zh) * 2020-09-27 2022-12-09 黑龙江省中医药科学院 一种可食用的药食同源中药染发剂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7419B2 (ja) * 1992-07-13 2003-06-16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JP3625501B2 (ja) * 1994-10-06 2005-03-02 御木本製薬株式会社 細胞賦活用皮膚外用剤原料の製造方法及び細胞賦活用皮膚外用剤
JPH10234301A (ja) * 1997-02-27 1998-09-08 Meiji Seika Kaisha Ltd 緑茶飲料
DE19713092A1 (de) * 1997-03-27 1998-10-01 Wacker Chemie Gmbh Komplexe aus Gamma-Cyclodextrin und Retinol bzw. Retinol-Derivaten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4755325B2 (ja) * 1997-11-04 2011-08-24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絹蛋白質加水分解物由来の生理活性作用組成物
JP2000327538A (ja) * 1999-05-24 2000-11-28 Toyo Hakko:Kk 毛髪処理用剤組成物
JP2001000140A (ja) * 1999-06-22 2001-01-09 Bizen Kasei Kk 活性酸素除去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JP2001120222A (ja) * 1999-10-28 2001-05-08 Bizen Kasei Kk 過酸化脂質抑制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KR20030089710A (ko) * 2001-04-06 2003-11-22 가부시키가이샤 도요학코 미용화장품 소재 및 그 제조방법
AU2003281532A1 (en) * 2002-07-23 2004-02-09 Fuji Oil Company, Limited Antioxidan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05080655A (ja) * 2003-09-10 2005-03-31 Suetsuna Yoko 新規なイソフラボン含有組成物及び活性化酸素阻害剤
JP4387760B2 (ja) * 2003-10-24 2009-12-24 株式会社ラティアクリエイツ 抗酸化用組成物
JP2005143480A (ja) * 2003-11-17 2005-06-09 Hasegawa Hidetoshi 米糠や大豆オカラやビール粕等の産業廃棄物の製法
JP2006213688A (ja) * 2005-02-07 2006-08-17 Toshio Oshiro Nk活性増強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31980B (zh) 2012-08-01
JP4945556B2 (ja) 2012-06-06
JP4945692B2 (ja) 2012-06-06
HK1130182A1 (en) 2009-12-24
CN101431980A (zh) 2009-05-13
CN102225045B (zh) 2013-01-02
JP2011173921A (ja) 2011-09-08
WO2007129674A1 (ja) 2007-11-15
KR101397976B1 (ko) 2014-05-27
CN102225045A (zh) 2011-10-26
JPWO2007129674A1 (ja)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5692B2 (ja) 細胞賦活用皮膚外用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018171B2 (ja) 植物由来の賦活化剤及び細胞外マトリックス産生促進剤
JPWO2007148739A1 (ja) 植物由来の細胞賦活化剤、抗老化剤及び細胞外マトリックス産生促進剤
KR101840508B1 (ko) 피부 미용 촉진제 및 그의 이용
JPWO2007148737A1 (ja) 植物抽出物の調製方法、並びに植物抽出物及びその用途
WO2019159588A1 (ja) アンチポリューション剤及び皮膚外用組成物
JP4286513B2 (ja) 抗老化用組成物
JP5890100B2 (ja)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JP6259207B2 (ja) エラスチン産生促進剤
WO2013039056A1 (ja) ダイズタンパク質の加水分解物を含有する組成物
JP5583259B1 (ja) コラーゲン産生作用を有する新規な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05984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皮膚外用剤、浴用剤及び飲食物
JP2002332224A (ja) 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および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組成物
JP2002138027A (ja) 皮膚外用剤
TWI492768B (zh) Cell protective agent
US9610236B2 (en) Cosmetic use of Queuine
JP2011195537A (ja) 抗酸化剤、美白剤、抗老化剤、育毛剤、保湿剤、皮膚外用剤及び機能性経口組成物
JP2002284632A (ja) 酒粕を有効成分とするスーパーオキシドアニオン消去物質
JP4713032B2 (ja) 皮膚外用剤
JPH11240817A (ja) 美容パック
JP3895636B2 (ja) 老化防止剤及びそれを用いた皮膚外用剤
KR20150036856A (ko) 알러지 성분이 제거된 분리정제봉독을 이용한 기능성 봉독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JP5578160B2 (ja) 植物由来の賦活化剤及び細胞外マトリックス産生促進剤
JP2021187787A (ja) エクソソーム分泌促進剤、エクソソーム取り込み促進剤、エクソソーム分泌促進用美容組成物、及びエクソソーム分泌促進方法
JP3746260B2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