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229A - 푸시버튼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버튼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229A
KR20090007229A KR1020080067455A KR20080067455A KR20090007229A KR 20090007229 A KR20090007229 A KR 20090007229A KR 1020080067455 A KR1020080067455 A KR 1020080067455A KR 20080067455 A KR20080067455 A KR 20080067455A KR 20090007229 A KR20090007229 A KR 20090007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contact
operating
housing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3280B1 (ko
Inventor
마코토 아사다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7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H01H15/102Operating parts comprising cam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01H2013/52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using a return spring acting perpendicular to the actuating direction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종래보다 긴 가동접점 압하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는 소형ㆍ박형인 횡방향압압식 타입의 푸시버튼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에 있어서, 하우징(1)의 내부 바닥부에 설치한 제1, 제2, 제3 고정접점(2a, 3a, 4a) 위에 가동접점(5, 6)을 상하 2단으로 설치하고, 조작부재(9)의 압압부(9a)로부터 하우징(1) 내로 돌출하는 작동부(9b)의 선단부측 양측 단부를 접촉 가능한 한 쌍의 안내부(8)를 하우징(1)의 상부에 장착되는 덮개(7)에 형성하는 동시에, 하우징(1) 내의 주변 측면부에 수납되는 주변부(10a)에 연설되어서 하우징(1) 내에 작동부(9b)와 대향해서 돌출되는 제2 작동부재(10)를 구비하고, 조작부재(9)를 횡방향으로부터 압압함으로써, 작동부(9b)와 제2 작동부재(10)를 하부측으로 변위시켜서 가동접점(5, 6)을 압하하고, 고정접점(2a, 3a, 4a)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푸시버튼스위치{PUSH BUTTON SWITCH}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휴대전화, 디지털카메라, PDA, 휴대음악플레이어 등의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횡방향압압식 타입의 푸시버튼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횡방향(수평방향)으로부터의 압압을 종방향(수직방향)으로 변환하는 횡방향압압식 타입의 푸시버튼스위치가 공지되어 있으며(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종래의 푸시버튼스위치를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다. 도 9는 종래의 푸시버튼스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종래의 푸시버튼스위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종래의 푸시버튼스위치의 덮개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2는 종래의 푸시버튼스위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에 있어서, 부호(1)는 하우징이며,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고, 수납부(1a)를 가지는 상부면 개구형상의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부(1a)의 내부 바닥부에는,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고정접점(2a, 2b)이 인서트성형 등의 방법에 의해 일부가 내부 바닥면에 표출되어서 일체로 매설되어 있다. 하우징(1)의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의 하부측에는, 상기 한 쌍의 고정접점(2a, 2b)으로부터 도출된 외부단자(3a, 3b)가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의 다른 한 측면에는, 상기 수납부(1a)에 연통하는 창구부(1b)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1)의 4개의 모서리부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걸어맞춤볼록부(1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부(1a)의 한 쌍의 고정접점(2a, 2b) 위에는, 도전성의 박판 금속판이며 돔형상으로 만곡해서 반전(反轉) 가능하게 형성된 가동접점(4)이 재치(載置)되어 있다. 이 가동접점(4)은, 돔형상의 정상부 하부면이 내부 바닥면에 표출된 한쪽의 고정접점(2a)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해서 대치되고, 돔형상의 외주의 둘레가장자리부분이 도 9에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수납부(1a)의 내부 바닥면에 표출된 다른 쪽의 고정접점(2b)과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가동접점(4)의 상부면측에는, 폴리아미드수지 등의 절연성의 수지시트재로 이루어지는 방진시트(5)가 배설되어 있다. 이 방진시트(5)는 둘레가장자리부분이 상기 하우징(1)의 수납부(1a) 상부면에 재치되어서 수납부(1a)의 개구를 덮도록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으며, 수납부(1a) 내에 배설된 각 접점부에의 먼지, 이물질 등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또, 부호(6)는 조작부재이며,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1)의 창구부(1b)로부터 돌출하는 압압부(6a)와, 이 압압부(6a)에서 상기 수납부(1a) 내로 돌출해서 형성된 작동부(6b)와, 이 작동부(6b)의 주변에 형성된 개구부(6c)를 개재해서 상기 작동부(6b)의 양측 측면부 및 후면부를 에워싸도록 압압부(6a)에 접속해서 형성된 슬라이드부(6d)를 가지고 있다. 조작부재(6)는, 상기 수납부(1a)에 배설된 방진시트(5)의 상부면측에 배치되고, 압압부(6a)가 상기 하우 징(1)의 창구부(1b)로부터 돌출되는 동시에, 작동부(6d)의 자유단부인 접촉부(6e)가 상기 방진시트(5)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동접점(4)의 돔형상의 정상부 상부면에 대향해서 배설되고, 슬라이드부(6d)가 상기 수납부(1a)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또한, 부호(7)는 덮개이며, 금속판을 타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의 상부에 장착되어서 수납부(1a)를 덮도록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상부판(7a)과, 이 상부판(7a)의 4개의 모서리부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고, L자 형상으로 하부측으로 늘어뜨린 4개의 장착다리를 가지고 있다. 이 장착다리의 선단부에는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편을 상기 하우징(1)의 4개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상기 걸림볼록부(1c)에 걺으로써 덮개(7)가 상기 하우징(1)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상부판(7a)의 대략 중앙에는, 상기 하우징(1)의 수납부(1a) 내에 절곡되어서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재(6)의 작동부(6b)의 접촉부(6e)와 접촉해서 이 작동부(6b)를 상기 가동접점(4)의 압압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부는, 상부판(7a)의 판면을 상기 하우징(1)의 수납부(1a) 내에 상기 조작부재(6)의 압압방향을 따라서 절곡된 대략 45도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부(7d)와, 이 경사부(7d)의 양측 측면부에 연속해서 형성되는 동시에, 상부판(7a)과 접속된 대략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접속부(7e)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7)가 상기 하우징(1)의 상부에 장착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경사부(7d) 및 접속부(7e)가, 상기 조작부재(6)의 슬라이드부(6d)에 형성된 개구부(6c) 내에 위치해서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이때, 상기 경사부(7d)가 조작부재(6)의 작동부(6b)의 접촉부(6e)(자유단부)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개구부(6c) 내에 절곡된 경사부(7d) 및 접속부(7e)의 후단부측을 절개함으로써, 슬라이드부(6d)가 수납부(1a) 내를 슬라이딩할 경우에 경사부(7d) 및 접속부(7e)가 슬라이드부(6d)의 개구부(6c) 후단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안내부를 상기 덮개(7)에 형성하는 경우, 우선, 덮개(7)의 상부판(7a)에서 안내부의 후단부가 되는 위치에, 프레스 등에 의해 약간 가늘고 긴 절개부(7f)를 형성하고, 다음에, 프레스 등에 의해 이 절개부(7f)의 전방을 아래쪽으로 대략 45도 절곡함으로써, 상기 경사부(7d)와, 이 경사부(7d)의 양측 측면부에 연속된 대략 삼각형상의 한 쌍의 접속부(7e)를 형성한다.
상기 구성의 종래의 푸시버튼스위치는, 도 9에 도시한 초기의 상태에서는, 조작부재(6)는, 작동부(6b)의 접촉부(6e)(자유단부)가 방진시트(5)를 개재해서 가동접점(4)의 돔형상의 정상부 상부면에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접점(4)이 가지는 상부측으로의 탄성 부세력과, 덮개(7)의 경사부(7d)의 경사면과의 상승작용에 의해, 도시된 좌측방향(압압부(6a)의 압압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부세되어서 압압부(6a)는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때, 가동접점(4)은 외주의 둘레가장자리부분이 고정접점(2b)과 접촉되어 있지만 돔형상의 정상부 하부면이 고정접점(2a)과 이간되어 있으며 스위치는 OFF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압압부(6a)가 도시된 우측방향으로 압압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부(6b)의 접촉부(6e)(자유단부)가 경사부(7d)를 따라서 도시된 하 부방향(압압부(6a)의 압압방향과는 직교하는 하부방향)으로 안내되고, 방진시트(5)를 개재해서 가동접점(4)의 돔형상의 정상부 상부면을 압압함으로써 가동접점(4)이 하부측으로 반전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가동접점(4)의 돔형상의 정상부 하부면이 고정접점(2a)과 접촉함으로써, 고정접점(2a, 2b)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스위치가 ON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압압부(6a)로의 압압이 해제되면, 가동접점(4)은 자체가 가지는 반전 복귀력에 의해 상부측으로 반전 복귀하고, 스위치가 OFF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때의 부세력에 의해 작동부(6b)의 접촉부(6e)는, 조금 전과는 반대로 경사부(7d)를 따라서 도시된 좌측방향(압압부(6a)의 압압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부세되어 압압부(6a)가 바깥쪽으로 돌출되어서 초기의 상태로 복귀하는 것이 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6-244977호 공보
상기와 같이, 종래의 횡방향압압식 타입의 푸시버튼스위치는 1단 동작 타입이지만, 최근, 소형 전자기기의 소형ㆍ박형화에 더불어 다기능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2단 동작 타입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횡방향압압식 타입의 푸시버튼스위치에 있어서 가동접점을 상하 2단으로 설치해서 2단 동작 타입화하고자 하면, 덮개(7)의 경사부(7d)의 높이를 크게 할 필요가 있으며, 푸시버튼스위치 전체의 높이 치수가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높이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종래보다 긴 가동접점 압하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는 소형ㆍ박형의 횡방향압압식 타입의 푸시버튼스위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푸시버튼스위치는, 수납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의 바닥부에 형성된 고정접점과, 이 고정접점 위에 설치된 가동접점과, 상기 수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압압부 및 이 압압부로부터 상기 수납부 내로 돌출하는 캔틸레버 구조의 작동부를 가지는 조작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어서 상기 수납부를 덮는 동시에, 상기 작동부의 선단부측이 접촉 가능한 안내부를 가지는 금속판제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압압부를 횡방향으로부터 압압함으로써 상기 안내부에 상기 작동부의 선단부측을 접촉시켜서 상기 선단부측을 하부측의 상 기 가동접점방향으로 안내해서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시키는 푸시버튼스위치로서, 상기 수납부의 주변 측면부에 위치 고정되어서 수납되는 주변부를 가지며, 이 주변부에 연설되어서 상기 수납부 내에 상기 작동부와 대향해서 돌출되는 캔틸레버 구조의 제2 작동부재와, 상기 제2 작동부재의 선단부측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상기 안내부와, 상기 각 안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압압부의 압압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는 제1 경사부와, 상기 작동부의 선단부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부와 대향하는 제2 경사부와, 상기 작동부의 선단부측 하부에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경사부 및 상기 제2 경사부와 교차하는 방향의 제3 경사부와, 상기 제2 작동부재의 선단부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경사부와 대향하는 제4 경사부와, 상기 제2 작동부재의 선단부측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동접점과 대향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부의 선단부측은, 상기 압압부를 횡방향으로부터 압압함으로써, 상기 제1 경사부에 상기 제2 경사부를 접촉시켜서 하부측의 상기 가동접점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상기 제3 경사부에 상기 제2 경사부를 접촉시켜서 상기 제2 작동부재의 선단부측을 하부측의 상기 가동접점방향으로 변위시키고, 상기 돌기부를 상기 가동접점에 접촉시켜서 상기 가동접점을 압하해서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종래와 동일한 압압 스트로크에 의해 종래보다 긴 가동접점 압하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2 작동부재를 조작부재의 작동부 및 덮개의 안내부를 설치하는 높이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푸시버튼스위치 전체의 높이 치수는 커지지 않는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푸시버튼스위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푸시버튼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부재의 주변부는, 해당 제2 작동부재의 기단부측 및 양측을 에워싸는 「コ」자형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작동부재를 돌출시키는 상기 주변부의 중앙부를 양측 단부보다 얇게 형성하고, 상기 중앙부를 비틀림 변형시키면서 상기 제2 작동부재의 선단부측을 하부측의 상기 가동접점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2 작동부재에 발생하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제2 작동부재의 변위량이 작동부의 변위량보다 커져도, 작동부와 거의 동일한 크기의 제2 작동부재에 의해 작동부와 동등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푸시버튼스위치 전체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푸시버튼스위치의 수명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푸시버튼스위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푸시버튼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작동부의 양측에서 상기 압압부로부터 상기 수납부의 주변 측면부로 돌출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작동부재의 주변부는, 해당 제2 작동부재의 기단부측 및 양측을 에워싸는 「コ」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 작동부재의 주변부의 양측 단부에 상기 슬라이드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작동부와 제2 작동부재 사이의 위치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안정된 가동접점 압하 스트로크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푸시버튼스위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푸 시버튼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3 경사부와 제4 경사부 중, 한쪽의 표면은 평탄면으로 형성하고, 다른 쪽의 표면은 볼록한 만곡면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3 경사부와 제4 경사부를 선접촉시켜서 슬라이딩시키고, 제3 경사부와 제4 경사부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가동접점 압하 스트로크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푸시버튼스위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푸시버튼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표면은, 볼록한 구면의 일부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돌기부를 가동접점에 점접촉시켜서, 돌기부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가동접점 압하 스트로크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가동접점이 반전동작 가능한 돔형상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그 중심을 정밀도 좋게 압하할 수 있으므로, 양호한 동작감촉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의 푸시버튼스위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푸시버튼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고, 수납부를 덮도록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상부판을 구비하고, 상기 각 안내부는, 상기 상부판을 부분적으로 외부면이 오목하고, 내부면이 볼록하며, 양측 단부가 폐쇄된 V자 형상으로 입체형상화되는 프레스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V자부의 경사진 한쪽의 직선부분에 의해 상기 제1 경사부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덮개의 상부판에 구멍을 뚫지 않고 제1 경사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푸시버튼스위치와 같은 방진시트가 불필요하게 되며, 푸시 버튼스위치 전체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푸시버튼스위치의 부품점수 및 조립공정수의 삭감과 비용저하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의 푸시버튼스위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푸시버튼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은, 반전 가능한 돔형상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해당 가동접점의 중심부에 상기 제2 작동부재의 돌기부를 대향시킨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동접점의 중심을 정밀도 좋게 압하할 수 있으므로, 양호한 동작감촉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의 푸시버튼스위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푸시버튼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은, 반전 가능한 돔형상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접점을 상하 2단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상부측 가동접점의 주변부의 바닥부측 및 하부측 가동접점의 주변부와 중심부의 바닥부측의 3개소에 다른 제1 및 제2와 제3 고정접점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측 가동접점을 상기 제1 고정접점과 상시 접촉시키고, 상기 하부측 가동접점을 상기 제2 가동접점과 상시 접촉시키며, 상기 상부측 가동접점을 압하하면 하향으로 반전해서 상기 하부측 가동접점과 접촉하고, 한층 더 압하하면 상기 하부측 가동접점을 압하하여 반전시키고, 상기 제3 고정단자와 접촉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종래는 1단 동작인 횡방향압압식 타입의 푸시버튼스위치를, 높이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종래보다 긴 가동접점 압하 스트로크를 확보하면서, 2단 동작 타입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의 푸시버튼스위치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의 푸시버튼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측 가동접점은, 상기 제2 작동부재의 주변부의 일부에 의해 압압되고, 해당 하부측 가동접점의 부상을 방지하는 굽힘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2단 동작의 횡방향압압식 타입의 푸시버튼스위치에 있어서, 하부측 가동접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하의 가동접점의 절연거리를 유지하며, 2단째의 동작감촉을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이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종래보다 긴 가동접점 압하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는 소형ㆍ박형인 횡방향압압식 타입의 푸시버튼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소형ㆍ박형인 2단 동작의 횡방향압압식 타입의 푸시버튼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의한 푸시버튼스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의한 푸시버튼스위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의한 푸시버튼스위치를 뒤집은 상태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의한 푸시버튼스위치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의한 푸시버튼스위치를 뒤집은 상태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의한 푸시버튼스위치의 덮개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에 있어서의 화살표 a-b방향을 푸시버튼스위치의 전후방향, 화살표 c-d방향을 푸시버튼스위치의 좌우방향, 화살표 e-f방향을 푸시버튼스위치의 상하방향으로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있어서, 부호(1)는 하우징이며,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며, 수납부(1a)를 가지는 상부면 개구형상의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1)의 내부 바닥면(1b)의 4개의 모서리부에는 해당 내부 바닥면(1b)으로부터 1단 낮춘 상부측 가동접점 지지오목부(1c)가 얕게 형성되고, 이 각 상부측 가동접점 지지오목부(1c)의 내부측에는 대략 원형의 하부측 가동접점 지지오목부(1d)가 한층 더 깊게 형성되고, 이 하부측 가동접점 지지오목부(1d)의 주변부에는 전후의 상부측 가동접점 지지오목부(1c)의 사이에 돌출하는 좌우의 굽힘부 수납부(1e)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하우징(1)의 전후의 측벽 상부에는 전후의 절개부(1f, 1g)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하우징(1)의 4개의 모서리부에는 걸어맞춤오목부(1h)가 형성되고, 이 각 걸어맞춤오목부(1h)의 상부측에는 아래를 향해서 점차 외부측으로 확장되는 경사형상의 가이드부(1i)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의 외부 바닥면의 주변부에는 복수의 얕은 외부 접속단자용 오목부(1j)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좌우의 외부 접속단자용 오목부(1j)에 인접해서 각 외부 접속단자용 오목부(1j)보다 약간 깊은 좌우의 접지단자용 오목부(1k)가 형성되고, 각 외부 접속단자용 오목부(1j)의 내부측에는 실장 시의 좌우의 위치결정 핀(1m)이 수직으로 돌출 설치되 어 있다.
상기 하우징(1)은, 인서트성형에 의해 제 1, 제 2, 제 3의 고정단자(2, 3, 4)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제 1, 제 2, 제 3의 고정단자(2, 3, 4)는, 양호한 도전성의 금속박판을 타발 및 굽힘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하우징(1)의 바닥부에 절연상태로 매설되어 있다. 제1 고정단자(2)는, 그 일부를 상기 상부측 가동접점 지지오목부(1c)에 대략 동일면으로 노출해서, 제1 고정접점으로서의 공통접점(2a)을 형성하고 있다. 제2 고정단자(3)는, 그 일부를 상기 하부측 가동접점 지지오목부(1d)의 주변부에 대략 동일면으로 노출해서, 제2 고정접점으로서의 제1 선택접점(3a)을 형성하고 있다. 제3 고정단자(4)는, 그 일부를 상기 하부측 가동접점 지지오목부(1d)의 중심부에 대략 동일면으로 노출해서, 제3 고정접점으로서의 제2 선택접점(4a)을 형성하고 있다. 또, 제 1, 제 2, 제 3의 고정단자(2, 3, 4)는, 그 이외의 일부를 각각 소정의 상기 외부 접속단자용 오목부(1j)에 대략 동일면으로 노출해서, 상기 공통접점(2b)과 도통이 있는 제1 외부 접속단자(2a), 상기 제1 선택접점(3a)과 도통이 있는 제2 외부 접속단자(3b), 제2 선택접점(4a)과 도통이 있는 제3 외부 접속단자(4b)를 형성하고 있다.
도 1, 도 4, 도 5에 있어서, 부호(5)는 상부측 가동접점, 부호(6)는 하부측 가동접점이며, 이들 상부측 가동접점(5) 및 하부측 가동접점(6)은, 양호한 도전성의 금속박판을 타발 및 굽힘가공함으로써 형성된 반전 가능한 돔형상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상부측 가동접점(5)에는 주변부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돌출하는 전후 한 쌍의 다리부(5a)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측 가동접점(6)에는 주변부로부터 좌우방향 으로 돌출하는 좌우의 굽힘부(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각 굽힘부(6a)는 상부측을 향해 개구하는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측 가동접점(5)은, 주변부가 4개의 상기 각 다리부(5a)를 개재해서 상기 상부측 가동접점 지지오목부(1c)에 의해 지지되고, 하부측 가동접점(6)은, 주변부가 상기 하부측 가동접점 지지오목부(1d)의 주변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1)의 수납부(1a)의 바닥부에 일정한 극간을 형성해서 상하 2단으로 상부측 가동접점(5) 및 하부측 가동접점(6)이 설치 수납되어 있다. 설치상태에서는, 상부측 가동접점(5)은 다리부(5a)를 개재해서 공통접점(2a)과 상시 접촉하고, 하부측 가동접점(6)은 주변부가 제1 선택접점(3a)과 상시 접촉되는 동시에, 중심부가 하부측의 상기 제2 선택접점(4a)에 일정한 극간을 형성해서 대향하고 있다. 또, 하부측 가동접점(6)의 각 굽힘부(6a)가 상기 굽힘부 수납부(1e)에 끼이고, 각 굽힘부(6a)의 상부를 하우징(1)의 내부 바닥면(1b)을 향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있어서, 부호(7)는 덮개이며, 금속판을 타발 및 굽힘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덮개(7)는, 상기 하우징(1)의 상부에 장착되어서 상기 수납부(1a)를 덮도록 직사각형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상부판(7a)과, 이 상부판(7a)의 전후측 가장자리의 양측 단부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고, L자 형상으로 하부측으로 늘어뜨린 4개의 장착다리(7b)와, 상기 후측의 좌우 장착다리(7b)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판(7a)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후측의 좌우 장착다리(7b)와 일체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고, 상기 하우징(1)의 후측의 절개부(1g)를 덮는 평판형상의 후측판(7c)과, 상부판(7a)의 전후측 가장자리의 양측 단부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고, 상기 하우징(1)의 좌우측면 상부에 중첩하는 좌우측판(7d)과, 이 좌우측판(7d)의 앞부분에서 더욱더 하부측으로 연설되고, 선단부측을 하우징(1)의 외부 바닥면으로부터 하부측으로 돌출시키는 접지단자(7e)를 가지고 있다. 각 장착다리(7b)의 선단부측에는 걸림편(7f)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7)는, 푸시버튼스위치의 조립 최종단계에 상부판(7a)을 하우징(1)의 상부에 장착해서 상기 수납부(1a)를 덮을 경우에, 각 장착다리(7b)의 선단부측(걸림편(7f))을 하우징(1)의 각 가이드부(1i)에 슬라이딩식 접촉시키면서 외부측으로 확대한 후, 각 가이드부(1i)를 타고 넘어간 시점에서 원상태로 탄성 복귀시키고, 하우징(5)의 각 걸어맞춤오목부(1h)에 각 걸림편(7f)을 걸어 맞춤으로써, 하우징(1)에 장착된다. 이 장착 후, 하우징(1)의 외부 바닥면으로부터 하부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좌우의 접지단자(7e)의 선단부측을 각각 내부측에 대략 직각으로 절곡하고, 하우징(1)의 좌우의 접지단자용 오목부(1k)에 끼워 유지함으로써, 하우징(1)의 외부 바닥면에 대략 동일면으로 노출하는 좌우의 접지용 납땜부(7g)를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상부판(7a)의 중앙부에는, 한 쌍의 안내부(8)가 상기 상부판(7a)의 좌우방향의 중심선을 대칭축으로서 좌우축대칭위치로 병설되어 있다. 각 안내부(7a)는, 상기 상부판(7a)을 부분적으로 외부면이 오목하고, 내부면이 볼록하며, 양측 단부가 폐쇄된 좌우측면에서 보면 상향으로 대략 90도의 각도로 개확(開擴)한 V자 형상으로 입체형상화되는 돌출가공 등의 프레스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이 V자부의 전측에 위치하는 대략 45도로 경사진 한쪽의 직선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경사부(8a)와, V자부의 후측에 위치하는 대략 45도로 경사진 다른 쪽의 직선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후측 경사부(8b)와, V자부의 좌우 양측 단부에 위치하는 역삼각형의 좌우 폐쇄 단부(8c)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있어서, 부호(9)는 조작부재(푸시버튼)이며,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1)의 전측의 절개부(1f)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압압부(9a)와, 이 압압부(9a)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수납부(1a) 내로 돌출해서 형성된 캔틸레버 구조의 작동부(9b)와, 이 작동부(9a)의 좌우 양측에서 상기 압압부(9a)의 좌우 단부로부터 상기 수납부(1a) 내로 돌출해서 형성된 좌우의 슬라이드부(9c)를 가지고 있다. 조작부재(9)는, 수납부(1a)의 바닥부에 상하 2단으로 설치된 상기 가동접점(5, 6)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압압부(9a)가 상기 하우징(1)의 전측의 절개부(1f)로부터 돌출되는 동시에, 작동부(9b)의 자유단부측인 선단부측이 상기 상부측 가동접점(5)의 중심부(정점부)에 직접 대향해서 배설되고, 슬라이드부(9c)가 상기 수납부(1a) 내의 좌우 양측 측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상기 작동부(9b)는, 선단부측이 고정단부측(지점측)인 근원부측보다 폭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작동부(9b)의 선단부측 상부에는, 해당 선단부측 상부 모서리부를 모따기한 제2 경사부(9d)가 형성되고, 작동부(9b)의 선단부측 하부에는, 해당 선단부측 하부 모서리부를 크게(상기 제2 경사부(9d)에 비해서) 모따기한 제3 경사부(9e)가 형성되고, 제2 경사부(9d)의 좌우 양측 단부가 상기 좌우 한 쌍의 안내부(8)의 각 제1 경사부(8a)에 대향해서 접촉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9c)는, 외부측 하부 모서리부가 사각으로 절개되어서 L형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1, 도 4, 도 5, 도 6에 있어서, 부호(10)는 제2 작동부재이며,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납부(1a)의 주변 측면부에 수납되는 주변부(10a)를 가지고 있다. 이 주변부(10a)는 「コ」자형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하우징(1)의 후측의 측벽을 따르는 주변부(10a)의 중앙부인 연결판(1Ob)과, 이 연결판(1Ob)의 양측 단부에 후단부측이 연설되어서 상기 하우징(1)의 좌우의 측벽을 따라서 앞쪽으로 연설되는 주변부(10a)의 양측 단부인 좌우의 가이드부(10c)로 형성되어 있다. 주변부(10a)는, 좌우의 가이드부(10c)의 하부면이 하우징(1)의 내부 바닥면(1b)에 접촉 지지되고, 좌우의 가이드부(10c)의 외부 측면이 하우징(1)의 좌우 측벽 내부면에 접촉되고, 좌우의 가이드부(10c)의 상부면이 상기 덮개(7)의 상부판(7a)에 의해 압압되어서, 상기 수납부(1b) 내의 주변부에 위치 고정되어서 수납되어 있다. 이 주변부(10a)의 좌우의 가이드부(10c)는, 내부측 하부 모서리부가 사각으로 절개되어서 상기 좌우의 슬라이드부(9c)와 점대칭의 L형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좌우의 가이드부(10c)의 하부 수평부분에 좌우의 상기 슬라이드부(9c)의 상부 수평부분을 중첩함으로써, 좌우의 가이드부(10c)의 수직부분에 의해서 좌우의 상기 슬라이드부(9c)의 좌우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고, 좌우의 가이드부(10c)의 하부 수평부분과 이것에 대향하는 상부판(7a)에 의해서 좌우의 상기 슬라이드부(9c)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고, 좌우의 상기 슬라이드부(9c)의 전후방향의 이동만을 허용해서, 상기 조작부재(9)를 주변부(1a)의 좌우의 가이드부(10c)에 의해 전후방향으 로만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 주변부(10a)의 좌우의 가이드부(10c)는, 상기 하우징(1)의 각 상부측 가동접점 지지오목부(1c) 및 좌우의 굽힘부 수납부(1e)의 개방 상부면을 폐쇄하고, 상기 상부측 가동접점(5)의 부상을 상기 각 다리부(5a)를 개재해서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하부측 가동접점(6)의 부상을 상기 좌우의 굽힘부(6a)를 개재해서 방지하고 있다.
제2 작동부재(10)는, 상기 수납부(1b) 내의 후측에서 좌우방향으로 가설되는 연결판(10b)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작동부(9b)와 대향해서 돌출되고, 캔틸레버 구조로 형성되며, 제2 작동부재(10)의 자유단부측인 선단부측이 상기 좌우 한 쌍의 안내부(8)의 사이에서 상기 상부측 가동접점(5)의 중심부(정점부)에 직접 대향해서 배설되어 있다. 제2 작동부재(10)의 선단부측 상부에는, 해당 선단부측 상부 모서리부를 모따기한 제4 경사부(10d)가 형성되고, 선단부측 하부에는, 하향으로 돌출된 구형의 돌기부(10e)가 형성되고, 제4 경사부(10d)가 상기 좌우 한 쌍의 안내부(8)의 사이에서 상기 작동부(9b)의 제3 경사부(9e)에 대향해서 접촉되고, 돌기부(10e)가 상기 상부측 가동접점(5)의 상부측 가동접점(5)의 중심부(정점부)에 대향해서 접촉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작동부재(10)의 고정단부측(지점측)인 근원부측에 연설되어 있는 연결판(10b)은, 좌우의 가이드부(10c)보다 얇게 형성되고, 제2 작동부재(10)의 선단부측의 압하에 따라서 비틀림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작동부(9b)의 제3 경사부(9e)와 상기 제2 작동부재(10)의 제4 경사부(10e)를 선접촉에 의해 접촉시키도록, 한쪽의 표면을 평탄면으로 형성하고, 다른 쪽의 표면을 볼록한 만곡면으로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4 경사부(10e)의 표면을 볼록한 만곡면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푸시버튼스위치의 조립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수납부(1a)의 바닥부에 상부측 가동접점(5)과 하부측 가동접점(6)을 상하 2단으로 설치하고, 다음에 상기 수납부(1a)의 상부에 제2 작동부재(10)를 주변부(10a)와 함께 수납하고, 다음에 하우징(1)의 전측의 절개부(1f)에 조작부재(9)의 압압부(9a)를 끼워 유지하면서, 조작부재(9)의 작동부(9b) 및 좌우의 슬라이드부(9c)를 수납하고, 다음의 최종공정에서 덮개(7)를 상부측으로부터 덮어서 하우징(1)에 장착한 후, 접지단자(7e)의 선단부측을 절곡가공하고, 접지용 납땜부(7g)를 형성함으로써 완료한다.
다음에, 도 1, 도 7, 도 8을 참조해서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푸시버튼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의한 푸시버튼스위치의 1단째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의한 푸시버튼스위치의 2단째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조작부재(9)를 조작하지 않은 동작 전의 초기상태에서는, 상부측 가동접점(5)과 하부측 가동접점(6)은 각각이 상향으로 팽창된 초기상태에 있으며 이간하는 동시에, 하부측 가동접점(6)은, 중심부가 제2 선택접점(4a)에 대하여 이간 대향하고 있다. 또, 조작부재(9)는 초기위치에 위치해서 작동부(9b)가 압압부(9a)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수납부(1a) 내로 돌출 지지되고, 제2 작동부재(10)도 초기위치에 위치해서 조작부재(9)의 작동부(9a)와 대향해서 대략 수평으로 수납부(1a) 내로 돌 출 지지되어서, 작동부(9b)의 제2 경사부(9d)의 좌우 양측 단부가 좌우의 안내부(8)의 각 제1 경사부(8a)에 대향해서 접촉되고, 작동부(9b)의 제3 경사부(9e)가 제2 작동부재(10)의 제4 경사부(10d)에 대향해서 접촉되고, 제2 작동부재(10)의 돌기부(10e)가 상부측 가동접점(5)의 중심부에 대향해서 접촉되어 있다.
이 초기상태에서, 조작부재(9)의 압압부(9a)를 횡방향으로부터 앞쪽으로 압압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재(9)가 전체적으로 앞쪽으로 이동되고, 작동부(9b)의 제2 경사부(9d)의 좌우 양측 단부가 좌우의 안내부(8)의 각 제1 경사부(8a) 위를 해당 경사 하단부측을 향해 슬라이딩함으로써, 횡방향으로부터의 조작부재(9)의 압압이 하부 직각방향으로 변환된다. 이에 의해, 작동부(9b)의 선단부측이 작동부(9b)의 휨 변형을 수반해서 압하된다. 또, 이 작동부(9b)의 제3 경사부(9e)에는 제2 작동부재(10)의 제4 경사부(10d)가 접촉되어 있으므로, 작동부(9b)의 선단부측의 하강하면서의 앞쪽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작동부(9b)의 제3 경사부(9e)가 제2 작동부재(10)의 제4 경사부(10d)를 압하하면서, 제4 경사부(1Od) 위를 해당 경사 상단부측을 향해 슬라이딩함으로써, 횡방향으로부터의 조작부재(9)의 압압이 하부 직각방향으로 변환되어서 제2 작동부재(10)의 선단부측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제2 작동부재(10)의 선단부측이 작동부(9b)의 선단부측의 하강량에, 횡방향의 압압성분이 하부 직각방향으로 변환된 압하량을 부가한 압하량으로 압하된다. 이 결과, 상부측 가동접점(5)의 중심부가 제2 작동부재(1O)의 선단부측 하부의 돌기부(1Oe)에 의해서 압하된다.
그리고, 상부측 가동접점(5)의 중심부가 압하되면, 상부측 가동접점(5)은 하 향으로 반전 동작해서, 해당 하부측에 있는 하부측 가동접점(6)에 접촉하기 때문에, 공통접점(2a)과 제1 선택접점(3a)이 상하의 가동접점(5, 6)을 통과해서 전기적으로 도통 접속되고, 1단째의 스위치가 ON이 된다. 즉 1단째의 감촉과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계속해서, 조작부재(9)의 압압부(9a)를 횡방향으로부터 더욱더 앞쪽으로 압압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재(9)가 전체적으로 더욱더 앞쪽으로 이동되고, 작동부(9b)의 제2 경사부(9d)의 좌우 양측 단부가 좌우의 안내부(8)의 각 제1 경사부(8a) 위를 해당 경사 하단부측을 향해 더욱더 슬라이딩함으로써, 작동부(9b)의 선단부측이 작동부(9b)의 휨 변형을 수반해서 한층 더 압하되는 동시에, 이 작동부(9b)의 선단부측의 하강하면서의 앞쪽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작동부(9b)의 제3 경사부(9e)가 제2 작동부재(10)의 제4 경사부(10d)를 더욱더 압하하면서, 제4 경사부(10d) 위를 해당 경사 상단부측을 향해 더욱더 슬라이딩함으로써, 제2 작동부재(10)의 선단부측이 작동부(9b)의 선단부측의 가일층의 하강량에, 횡방향의 압압성분이 하부 직각방향으로 변환된 가일층의 압하량을 부가한 압하량으로 더욱더 압하된다. 이 결과, 상부측 가동접점(5)의 중심부와 함께 하부측 가동접점(6)의 중심부가 제2 작동부재(10)의 선단부측 하부의 돌기부(1Oe)에 의해서 압하된다.
그리고, 하부측 가동접점(6)의 중심부가 압하되면, 하부측 가동접점(6)은 하향으로 반전 동작해서, 해당 중심부의 하부측에 있는 제2 선택접점(4a)에 접촉하기 때문에, 공통접점(2a)과 제2 선택접점(4a)이 상하의 가동접점(5, 6)을 통과해서 전기적으로 도통 접속되고, 1단째의 스위치에 이어서 2단째의 스위치가 ON이 된다. 즉 1단째의 감촉과 전기신호의 출력에 이어서 2단째의 감촉과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조작부재(9)의 압압부(9a)가 압압되어서 하부측 가동접점(6)과 제2 선택접점(4a)이 접촉되어 있는 동안은, 1단째의 스위치 및 2단째의 스위치의 ON상태를 유지한다.
이 1단째의 스위치 및 2단째의 스위치의 ON상태에서, 조작부재(9)의 횡방향으로부터의 압압을 제거하면, 상하의 가동접점(5, 6)이 각각 스프링력에 의해 상향으로 반전 동작해서 초기상태로 복귀되는 동시에, 조작부재(9)의 작동부(9b) 및 제2 작동부재(10)도 각각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귀되고, 이에 따라서, 조작부재(9)가 초기위치로 복귀되고, 도 1에 도시한 스위치 동작 전의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이 초기상태로의 복귀 시에, 하부측 가동접점(6)과 제2 선택접점(4a)과의 접촉이 끊어진 시점에서 2단째의 스위치가 OFF가 되고, 상부측 가동접점(5)과 하부측 가동접점(6)과의 접촉이 끊어진 시점에서 1단째의 스위치가 OFF가 된다.
상기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푸시버튼스위치는, 수납부(1a)를 가지는 하우징(1)과, 상기 수납부(1a)의 바닥부에 형성된 고정접점(2a, 3a, 4a)과, 이 고정접점(2a, 3a, 4a) 위에 설치된 가동접점(5, 6)과, 상기 수납부(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하우징(1)의 측면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압압부(9a) 및 이 압압부(9a)로부터 상기 수납부(1a) 내로 돌출하는 캔틸레버 구조의 작동부(9b)를 가지는 조작부재(9)와, 상기 하우징(1)의 상부에 장착되어서 상기 수납부(1a)를 덮는 동시에, 상기 작동부(9b)의 선단부측이 접촉 가능한 안 내부(8)를 가지는 금속판제 덮개(7)를 구비하고, 상기 압압부(9a)를 횡방향으로부터 압압함으로써 상기 안내부(8)에 상기 작동부(9b)의 선단부측을 접촉시켜서 상기 선단부측을 하부측의 상기 가동접점(5, 6)방향으로 안내해서 상기 가동접점(5, 6)을 상기 고정접점(2a, 3a, 4a)과 접촉시키는 푸시버튼스위치로서, 상기 수납부(1a)의 주변 측면부에 위치고정되어서 수납되는 주변부(10a)를 가지며, 이 주변부(10a)에 연설되어서 상기 수납부(1a) 내에 상기 작동부(9b)와 대향해서 돌출되는 캔틸레버 구조의 제2 작동부재(10)와, 상기 제2 작동부재(10)의 선단부측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상기 안내부(8)와, 상기 각 안내부(8)에 형성되고, 상기 압압부(9a)의 압압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는 제1 경사부(8a)와, 상기 작동부(9b)의 선단부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부(8a)와 대향하는 제2 경사부(9d)와, 상기 작동부(9b)의 선단부측 하부에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경사부(8a) 및 상기 제2 경사부(9d)와 교차하는 방향의 제3 경사부(9e)와, 상기 제2 작동부재(10)의 선단부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경사부(9e)와 대향하는 제4 경사부(10d)와, 상기 제2 작동부재(10)의 선단부측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동접점과 대향하는 돌기부(10e)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부(9b)의 선단부측은, 상기 압압부(9a)를 횡방향으로부터 압압함으로써, 상기 제1 경사부(8a)에 상기 제2 경사부(9d)를 접촉시켜서 하부측의 상기 가동접점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상기 제3 경사부(9e)에 상기 제2 경사부(9d)를 접촉시켜서 상기 제2 작동부재(10)의 선단부측을 하부측의 상기 가동접점방향으로 변위시키고, 상기 돌기부(10e)를 상기 가동접점(5, 6)에 접촉시켜서 상기 가동접점(5, 6)을 압하해서 상기 고정접점(2a, 3a, 4a)과 접촉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서, 이 구성에 의해서, 종래와 동일한 압압 스트로크에 의해 종래보다 긴 가동접점 압하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2 작동부재(10)를 조작부재(9)의 작동부(9b) 및 덮개(7)의 안내부(8)을 설치하는 높이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푸시버튼스위치 전체의 높이 치수는 커지지 않는다.
또, 상기 제2 작동부재(10)의 주변부(10a)는, 상기 제2 작동부재(10)의 기단부측 및 양측을 에워싸는 「コ」자형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작동부재(10)를 돌출시키는 상기 주변부(10a)의 중앙부(10b)를 양측 단부(10c)보다 얇게 형성하고, 상기 중앙부(10b)를 비틀림 변형시키면서 상기 제2 작동부재(10)의 선단부측을 하부측의 상기 가동접점(5, 6)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서, 이 구성에 의해서, 제2 작동부재(10)에 발생하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제2 작동부재(10)의 변위량이 작동부(9b)의 변위량보다 커져도, 작동부(9b)와 대략 동일한 크기의 제2 작동부재(10)에 의해 작동부(9b)와 동등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고, 푸시버튼스위치 전체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푸시버튼스위치의 수명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조작부재(9)는, 상기 작동부(9b)의 양측에서 상기 압압부(9a)로부터 상기 수납부(1a)의 주변 측면부로 돌출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부(9c)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작동부재(10)의 주변부(10a)는, 해당 제2 작동부재(10)의 기단부측 및 양측을 에워싸는 「コ」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 작동부재(10)의 주변부(10a)의 양측 단부에 상기 슬라이드부(9c)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10c)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서, 이 구성에 의해서, 작동부(9b)와 제2 작동부재(10)의 사이의 위치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안정된 가동접점 압하 스트로크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제3 경사부(9e)와 제4 경사부(10d) 중, 한쪽의 표면은 평탄면으로 형성하고, 다른 쪽의 표면은 볼록한 만곡면으로 형성한 것으로서, 이 구성에 의해서, 제3 경사부(9e)와 제4 경사부(10d)를 선접촉시켜서 슬라이딩시키고, 제3 경사부(9e)와 제4 경사부(10d)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가동접점 압하 스트로크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돌기부(10e)의 표면은, 볼록한 구면의 일부로 형성한 것으로서, 이 구성에 의해서, 돌기부(10e)를 가동접점(5, 6)에 점접촉시켜서, 돌기부(10e)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가동접점 압하 스트로크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가동접점(5, 6)이 반전 동작 가능한 돔형상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그 중심을 정밀도 좋게 압하할 수 있으므로, 양호한 동작감촉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덮개(7)는, 상기 하우징(1)의 상부에 장착되고, 수납부(1a)를 덮도록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상부판(7a)을 구비하고, 상기 각 안내부(8)는, 상기 상부판(7a)을 부분적으로 외부면이 오목하고, 내부면이 볼록하며, 양측 단부가 폐쇄된 V자 형상으로 입체형상화되는 프레스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V자부의 경사진 한쪽의 직선부분에 의해 상기 제1 경사부(8a)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서, 이 구성에 의해서, 덮개(7)의 상부판(7a)에 구멍을 뚫지 않고 제1 경사부(8a)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푸시버튼스위치와 같은 방진시트가 불필요하게 되며, 푸시버튼스위치 전체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푸시버튼스위치의 부품점수 및 조립공정수의 삭감과 비용저하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가동접점(5, 6)은, 반전 가능한 돔형상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해당 가동접점(5, 6)의 중심부에 상기 제2 작동부재(10)의 돌기부(10e)를 대향시킨 구성으로 한 것으로서, 이 구성에 의해서, 가동접점(5, 6)의 중심을 정밀도 좋게 압하할 수 있으므로, 양호한 동작감촉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가동접점(5, 6)은, 반전 가능한 돔형상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해당 가동접점(5, 6)을 상하 2단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상부측 가동접점(5)의 주변부(10a)의 바닥부측 및 하부측 가동접점(6)의 주변부(10a)와 중심부의 바닥부측의 3개소에 다른 제1 및 제2와 제3 고정접점(2a, 3a, 4a)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측 가동접점(5)을 상기 제1 고정접점(2a)과 상시 접촉시키고, 상기 하부측 가동접점(6)을 상기 제2 가동접점(3a)과 상시 접촉시키고, 상기 상부측 가동접점(5)을 압하하면 하향으로 반전해서 상기 하부측 가동접점(6)과 접촉하고, 더욱더 압하하면 상기 하부측 가동접점(6)을 압하해서 반전시키고, 상기 제3 고정단자(4a)와 접촉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서, 이 구성에 의해서, 종래는 1단 동작인 횡방향압압식 타입의 푸시버튼스위치를, 높이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종래보다 긴 가동접점 압하 스트로크를 확보하면서, 2단 동작 타입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하부측 가동접점(6)은, 상기 제2 작동부재(10)의 주변부(10a)의 일부에 의해 압압되고, 해당 하부측 가동접점(6)의 부상을 방지하는 굽힘부(6a)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서, 이 구성에 의하면, 2단 동작의 횡방향압압식 타입의 푸시버튼스위치에 있어서, 하부측 가동접점(6)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하 의 가동접점(5, 6)의 절연거리를 유지하고, 2단째의 동작감촉을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푸시버튼스위치는, 높이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종래보다 긴 가동접점 압하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는 소형ㆍ박형의 횡방향압압식 타입의 푸시버튼스위치로 되어 있다. 또, 소형ㆍ박형의 2단 동작의 횡방향압압식 타입의 푸시버튼스위치로 되어 있다.
또한, 이상의 본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의 양호한 일실시의 형태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의한 푸시버튼스위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의한 푸시버튼스위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의한 푸시버튼스위치를 뒤집은 상태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의한 푸시버튼스위치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의한 푸시버튼스위치를 뒤집은 상태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의한 푸시버튼스위치의 덮개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의한 푸시버튼스위치의 1단째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의한 푸시버튼스위치의 2단째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푸시버튼스위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푸시버튼스위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종래의 푸시버튼스위치의 덮개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종래의 푸시버튼스위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하우징 1a: 수납부
2a: 공통접점(고정접점) 3a: 제1 선택접점(고정접점)
4a: 제2 선택접점(고정접점) 5: 상부측 가동접점(가동접점)
6: 하부측 가동접점(가동접점) 6a: 굽힘부
7: 덮개 7a: 상부판
8: 안내부 8a: 제1 경사부
9: 조작부재 9a: 압압부
9b: 작동부 9c: 슬라이드부
9d: 제2 경사부 9e: 제3 경사부
10: 제2 작동부재 1Oa: 주변부
1Ob: 연결판(주변부의 중앙부) 1Oc: 가이드부(주변부의 양측 단부)
1Od: 제4 경사부 1Oe: 돌기부

Claims (9)

  1. 수납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의 바닥부에 형성된 고정접점과, 이 고정접점 위에 설치된 가동접점과, 상기 수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압압부 및 이 압압부로부터 상기 수납부 내로 돌출하는 캔틸레버 구조의 작동부를 가지는 조작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어서 상기 수납부를 덮는 동시에, 상기 작동부의 선단부측이 접촉 가능한 안내부를 가지는 금속판제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압압부를 횡방향으로부터 압압함으로써 상기 안내부에 상기 작동부의 선단부측을 접촉시켜서 해당 선단부측을 하부측의 상기 가동접점방향으로 안내해서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시키는 푸시버튼스위치로서, 상기 수납부의 주변 측면부에 위치고정되어서 수납되는 주변부를 가지며, 이 주변부에 연설되어서 상기 수납부 내에 상기 작동부와 대향해서 돌출되는 캔틸레버 구조의 제2 작동부재와, 상기 제2 작동부재의 선단부측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상기 안내부와, 상기 각 안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압압부의 압압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는 제1 경사부와, 상기 작동부의 선단부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부와 대향하는 제2 경사부와, 상기 작동부의 선단부측 하부에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경사부 및 상기 제2 경사부와 교차하는 방향의 제3 경사부와, 상기 제2 작동부재의 선단부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경사부와 대향하는 제4 경사부와, 상기 제2 작동부재의 선단부측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동접점과 대향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부의 선단부측은, 상기 압 압부를 횡방향으로부터 압압함으로써, 상기 제1 경사부에 상기 제2 경사부를 접촉시켜서 하부측의 상기 가동접점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상기 제3 경사부에 상기 제2 경사부를 접촉시켜서 상기 제2 작동부재의 선단부측을 하부측의 상기 가동접점방향으로 변위시키고, 상기 돌기부를 상기 가동접점에 접촉시켜서 해당 가동접점을 압하해서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부재의 주변부는, 해당 제2 작동부재의 기단부측 및 양측을 에워싸는 「コ」자형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작동부를 돌출시키는 상기 주변부의 중앙부를 양측 단부보다 얇게 형성하고, 해당 중앙부를 비틀림 변형시키면서 상기 제2 작동부재의 선단부측을 하부측의 상기 가동접점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스위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작동부의 양측에서 상기 압압부로부터 상기 수납부의 주변 측면부로 돌출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작동부재의 주변부는, 상기 제2 작동부재의 기단부측 및 양측을 에워싸는 「コ」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 작동부재의 주변부의 양측 단부에 상기 슬라이드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스위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경사부와 제4 경사부 중, 한쪽의 표면은 평탄면으로 형성하고, 다른 쪽의 표면은 볼록한 만곡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스위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표면은, 볼록한 구(球)면의 일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스위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고, 수납부를 덮도록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상부판을 구비하고, 상기 각 안내부는, 상기 상부판을 부분적으로 외부면이 오목하고, 내부면이 볼록하며, 양측 단부가 폐쇄된 V자 형상으로 입체형상화되는 프레스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V자부의 경사진 한쪽의 직선부분에 의해 상기 제1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스위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은, 반전(反轉) 가능한 돔형상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접점의 중심부에 상기 제2 작동부재의 돌기부를 대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스위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은, 반전 가능한 돔형상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접점을 상하 2단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상부측 가동접점의 주변부의 바닥부측 및 하부측 가동접점의 주변부와 중심부의 바닥부측의 3개소에 다른 제1 및 제2와 제3 고정접점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측 가동접점을 상기 제1 고정접점과 상시 접촉시키고, 상기 하부측 가동접점을 상기 제2 가동접점과 상시 접촉시키고, 상기 상부측 가동접점을 압하하면 하향으로 반전해서 상기 하부측 가동접점과 접촉하고, 한층 더 압하하면 상기 하부측 가동접점을 압하해서 반전시키고, 상기 제3 고정단자와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스위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측 가동접점은, 상기 제2 작동부재의 주변부의 일부에 의해 압압되고, 상기 하부측 가동접점의 부상을 방지하는 굽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스위치
KR1020080067455A 2007-07-13 2008-07-11 푸시버튼스위치 KR101003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84077A JP4469878B2 (ja) 2007-07-13 2007-07-13 押釦スイッチ
JPJP-P-2007-00184077 2007-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229A true KR20090007229A (ko) 2009-01-16
KR101003280B1 KR101003280B1 (ko) 2010-12-21

Family

ID=39847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455A KR101003280B1 (ko) 2007-07-13 2008-07-11 푸시버튼스위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64815B2 (ko)
EP (1) EP2015328B1 (ko)
JP (1) JP4469878B2 (ko)
KR (1) KR101003280B1 (ko)
CN (1) CN101345151B (ko)
CA (1) CA2636748C (ko)
TW (1) TW20090354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031B1 (ko) * 2008-04-25 2011-05-02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압입 조작형 전자 부품 및 푸시 스위치
US9661771B2 (en) 2014-02-21 2017-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ed in a cover
WO2021137653A1 (ko) * 2020-01-03 2021-07-08 주식회사 토비스 버튼 복합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7110A (ja) * 2009-01-30 2010-08-12 Alpha Corp 押釦スイッチ
JP5911049B2 (ja) * 2011-09-29 2016-04-2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US9686642B2 (en) * 2015-03-06 2017-06-2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0755876B2 (en) * 2016-09-13 2020-08-2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Push switch
CN108172437A (zh) * 2016-12-08 2018-06-1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开关组件和洗衣设备
CN111316392B (zh) * 2017-10-30 2022-02-22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按压开关
KR101940992B1 (ko) * 2017-12-07 2019-01-22 주식회사 지티티 터널 현상을 개선한 lcd 일체형 투명 푸시 버튼
CN207529857U (zh) * 2017-12-11 2018-06-22 施耐德电气(澳大利亚)有限公司 按钮及按钮开关
JP7042333B2 (ja) * 2018-04-11 2022-03-25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TWI672719B (zh) * 2018-05-11 2019-09-21 緯穎科技服務股份有限公司 具有開關按鈕之電子裝置及其開關按鈕
CN112567490A (zh) * 2018-09-06 2021-03-26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按压开关
JP7221065B2 (ja) * 2019-01-31 2023-02-1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蓋付き容器
JP7340490B2 (ja) * 2020-04-15 2023-09-07 ホシデン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着脱検出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25U (ja) 1991-06-21 1993-01-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釦スイツチ
FR2734398B1 (fr) * 1995-05-16 1997-07-18 Itt Composants Instr Commutateur electrique a actionnement lateral
US6018132A (en) * 1999-08-27 2000-01-2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Horizontal tact switch
FR2803428B1 (fr) * 1999-12-30 2002-02-08 Itt Mfg Entpr S Inc Commutateur electrique a actionnement lateral
TW559329U (en) * 2003-03-28 2003-10-21 Hon Hai Prec Ind Co Ltd Tact switch
US6756554B1 (en) * 2003-04-29 2004-06-2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Tact switch
JP4254415B2 (ja) * 2003-08-07 2009-04-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CN2736904Y (zh) * 2004-08-17 2005-10-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按压式开关
JP4513579B2 (ja) 2005-01-18 2010-07-28 日本電気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装置及び電子機器
JP4508957B2 (ja) 2005-02-03 2010-07-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
JP2007173172A (ja) * 2005-12-26 2007-07-05 Omron Corp 押釦スイッチ
TWI405229B (zh) * 2006-08-01 2013-08-11 Hosiden Corp Push push switch
JP2008071564A (ja) * 2006-09-13 2008-03-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9193773A (ja) * 2008-02-13 2009-08-27 Citizen Electronics Co Ltd 照光押釦スイッ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031B1 (ko) * 2008-04-25 2011-05-02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압입 조작형 전자 부품 및 푸시 스위치
US9661771B2 (en) 2014-02-21 2017-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ed in a cover
WO2021137653A1 (ko) * 2020-01-03 2021-07-08 주식회사 토비스 버튼 복합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64815B2 (en) 2011-06-21
EP2015328A2 (en) 2009-01-14
US20090014308A1 (en) 2009-01-15
KR101003280B1 (ko) 2010-12-21
JP2009021155A (ja) 2009-01-29
TW200903544A (en) 2009-01-16
CN101345151A (zh) 2009-01-14
CN101345151B (zh) 2013-07-24
CA2636748C (en) 2016-01-12
EP2015328A3 (en) 2010-04-07
CA2636748A1 (en) 2009-01-13
JP4469878B2 (ja) 2010-06-02
TWI356431B (ko) 2012-01-11
EP2015328B1 (en)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280B1 (ko) 푸시버튼스위치
TWI405229B (zh) Push push switch
US20070144875A1 (en) Push button switch
JP2001255995A (ja) ポインティング装置
CN215451206U (zh) 可动构件以及输入装置
JP4280761B2 (ja) 横押し型プッシュスイッチ
JP4508957B2 (ja) 押釦スイッチ
US6689967B2 (en) Slide switch
JP4418378B2 (ja) ポインティング装置
JP2009070671A (ja) 押釦スイッチ
JP4524247B2 (ja) スイッチ装置
JP4513579B2 (ja) 押釦スイッチ装置及び電子機器
US11462370B2 (en) Push switch
KR100357926B1 (ko) 푸시 버튼 스위치와 그 제조방법
JP2009070672A (ja) 押釦スイッチ
JP4332543B2 (ja) 横押し型プッシュスイッチ
JP4649393B2 (ja) 横押し型2段動作スイッチ
TW201230108A (en) Multi-direction switch
JP4457097B2 (ja) 横押し型プッシュスイッチ
JPH1153980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2010165526A (ja) スライドプッシュスイッチ
JP2011253720A (ja) 小型電子機器用横押し型プッシュスイッチとメイン基板との接続構造
JP2001014983A (ja) スイッチ装置
JP2007005192A (ja) 多方向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1253719A (ja) 小型電子機器用横押し型プッシュ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