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753U - 휀스용 안전포스트 - Google Patents

휀스용 안전포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753U
KR20090006753U KR2020070021057U KR20070021057U KR20090006753U KR 20090006753 U KR20090006753 U KR 20090006753U KR 2020070021057 U KR2020070021057 U KR 2020070021057U KR 20070021057 U KR20070021057 U KR 20070021057U KR 20090006753 U KR20090006753 U KR 200900067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fence
fastening
receiving groove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10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운
Original Assignee
김종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운 filed Critical 김종운
Priority to KR20200700210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6753U/ko
Publication of KR200900067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75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6Caps or covers fo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휀스용 안전포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도에 세워지는 포스트의 각 모서리부에 고무, 실리콘 및 연질의 수지재 등의 충격흡수 쿠션재를 모서리부에 구성시켜 보행자가 포스트와 충돌할 때의 충격완화와 충돌로 인한 상처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함을 목적으로 하는 휀스용 안전포스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포스트의 모서리부에 고무, 실리콘 또는 연질의 수지재 등의 충격흡수재인 쿠션재를 모서리부에 결합 구성시켜 보행자가 포스트와 충돌할 때 충격완화와 충돌로 인한 상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을 목적을 하는 것이다.
휀스, 포스트

Description

휀스용 안전포스트{A safety-post for fence}
본 고안은 휀스용 안전포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도에 세워지는 포스트의 각 모서리부에 고무, 실리콘 및 연질의 수지재 등의 충격흡수 쿠션재를 모서리부에 구성시켜 보행자가 포스트와 충돌할 때의 충격완화와 충돌로 인한 상처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함을 목적으로 하는 휀스용 안전포스트에 관한 것이다.
포스트는 건축물의 울타리를 목적으로 경계용 휀스, 차도와 인도간의 경계 및 보행자의 안전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도로용 안전 휀스로 구분되어 구성되고 있고 이러한 휀스는 무늬를 구성한 울타리 부재와 이 울타리 부재를 지면에 세워 지지하기 위한 포스트가 함께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포스트는 지면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앙카에 매설된 앙카볼트로 포스트의 하단부를 체결시켜 고정한 다음 포스트와 포스트 사이에 울타리를 고정함으로써 휀스가 구성된다.
이러한 휀스는 대개가 보행자들이 많은 경계지역에 설치됨으로 보행자들이 보행 중 부주의에 의해 포스트와 충돌할 때에 그 통증이 매우 크고 또는 날카로운 모서리에 의한 손상을 입게 된다.
특히 학교주변 도로에는 어린이들이 차도를 횡단하는 것을 방지하고 교통사고로부터 어린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 휀스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안전 휀스는 초등학생의 키와 같거나 또는 커 포스트에 어린이 몸과 함께 얼굴이 접할 수 있는 위치에 있고 또한 어린이들은 등하굣길에 친구와 장난을 하면서 뛰거나 뒤를 돌아보면서 걷을 때 부주의에 의하여 포스트와 충돌하므로 통증발생으로 인한 아픔과 심한 경우 얼굴 등이 포스트의 모서리에 의해 찢어지는 상처를 입는 일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학교주변의 포스트는 원통형 포스트를 많이 선호하고 있으나 원형 포스트만으로는 도시미관에 보다 효과적인 미적 기능을 감당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포스트의 모서리부에 고무, 실리콘 또는 연질의 수지재 등의 충격흡수재인 쿠션재를 모서리부에 결합 구성시켜 보행자가 포스트와 충돌할 때 충격완화와 충돌로 인한 상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을 목적을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포스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포스트를 적용한 사용상태의 휀스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결합된 평단면도이고, 도 4의 (a), (b), (c), (d), (e)는 본 고안의 쿠션재를 포스트에 체결하는 실시 예시도이다.
본 고안은 상기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포스트(10)와, 이 포스트(10)와 포스트(10) 사이에 체결되는 휀스(3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관(11)과, 미도시된 앙카블럭에 체결하기 위한 앙카볼트(40) 및 앙카볼트(40) 체결부를 덮어 수용하는 수납 캡(41)과 상부 캡(42)으로 구성되는 포스트(10)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 포스트(10)의 각진 모서리부에 내향되고 상하로 기다란 수용홈(12)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12)에 수용가능한 크기와 길이의 쿠션재(20)를 체결시켜 포스트(10)의 각진 모서리부에 충격흡수 쿠션재(20)가 위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쿠션재(20)는 고무, 실리콘 또는 연질의 수지재 등의 충격흡수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션재(20)는 도 4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0)의 수용홈(12) 내면에 체결공(13)을 다수 개로 형성하고 수용홈(12)에 결합되는 쿠션재(20)에는 상기 체결공(13)에 끼워져 결합되는 체결 돌기(21)를 구성시켜 체결하도록 한다.
도 4의 (b)로 도시된 실시 예는 상기 체결공(13)이 외측이 좁고 내측이 넓은 체결공(13)으로 구성되고 쿠션재(20)의 체결 돌기(21)는 상기 체결공(13)과 반대로 외측이 넓고 내측이 좁은 형태의 체결 돌기(21)로 구성하여 억지 끼움에 의한 체결로 실시되는 것이다.
도 4의 (c)로 도시된 실시 예는 상기 수용홈(12)의 양측을 단부가 내향되어 좁게 형성되는 이탈방지 턱(14)으로 구성하여 이 수용홈(12)에 끼워지는 형상으로 구성된 쿠션재(20)를 상하에서 억지 끼움에 의한 결합이 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4의 (d)로 도시된 실시 예는 수용홈(12)에 결합되는 쿠션재(20)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쿠션재(20)가 수용홈(12) 내면과 접착 고정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4의 (c)에서의 실시 예는 쿠션재(20)를 관통하고 수용홈(12) 내측면에 뚫린 나사공(15)에 체결되는 볼트(22)로 체결시켜 조립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볼트(22) 머리가 노출되지 않도록 쿠션재(20)에는 볼트 머리 수용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도 4로 제시한 체결 실시 예는 보편된 체결수단을 일 실시 예로 제시한 것이며 이와 달리하는 체결수단으로 쿠션재(20)를 고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고 이러한 실시 예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있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은 포스트의 모서리부에 고무, 실리콘 또는 연질의 수지재 등의 충격흡수재인 쿠션재를 모서리부에 결합 구성시켜 보행자가 포스트와 충돌할 때 충격완 화와 충돌로 인한 상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한 특징과,
특히 초등학교 주변에서는 어린이들이 차도를 횡단하는 것을 방지하고 교통사고로부터 어린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휀스가 설치될 때 어린이들이 등하굣길에 친구와 장난을 하면서 뛰거나 뒤를 돌아보면서 걷을 때 부주의에 의하여 포스트와 충돌하는 경우 통증으로 인한 아픔 또는 얼굴 등이 포스트의 모서리에 의해 찢어지는 상처를 입게 되는 문제를 개선함으로써 안전한 보행을 이룰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내용을 첨부도면을 참고하여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의 본 고안 포스트 분해 사시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포스트(10)에 휀스(3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관(11)을 구비하는 통상의 포스트(10)의 각진 모서리부에 내향되고 상하로 기다란 수용홈(12)을 구성시켜 이 수용홈(12)에 수용가능한 크기와 길이로 구성된 쿠션재(20)를 체결시켜 포스트(10)를 구성한다.
이러한 포스트(10)는 공지와 같이 휀스(30)가 설치 계획선을 따라 지면에 콘 크리트 앙카블럭을 매설한 후 이 앙카블럭에 본 고안의 포스트(10)를 세워 앙카볼트(40)로 체결하고 앙카볼트(40)의 체결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수납 캡(41)을 덮어 체결함과 함께 상부에 미려한 상부 캡(42)을 체결하게 된다.
이러한 포스트(10)가 소정간격으로 구성되며 소정간격으로 세워진 포스트(10)와 포스트(10)의 체결관(11)에 공지의 휀스(30)를 체결시켜 울타리 또는 차도 간에 안전 휀스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사람들이 왕래하면서 어린이 또는 노약자들이 보행 중 부주의에 의해 넘어지거나 무심코 방향을 혼동하여 휀스와 충돌하는 경우에 본 고안의 포스트(10)의 각진 모서리부에 구성된 충격흡수 쿠션재(20)와 충돌하게 되고 이때 쿠션재(20)는 충격을 흡수하여 통증완화로 인한 아픔이 적고 심한 충격에서도 피부가 찢어지는 상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초등학교 주변에서는 어린이들이 차도를 횡단하는 것을 방지하고 교통사고로부터 어린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 휀스가 설치되고 있고 이러한 안전 휀스는 초등학생의 키와 같거나 또는 커 포스트(10)에 어린이 몸과 함께 얼굴이 접할 수 있는 위치에 있고 또한 어린이들은 등하굣길에 친구와 장난을 하면서 뛰거나 뒤를 돌아보면서 걷을 때 부주의에 의하여 포스트(10)와 충돌하는 경우 포스트(10)의 모서리부에 구성되는 쿠션재(20)에 의해 충격완화로 인한 아픔이 적고 얼굴 등이 포스트의 모서리에 의해 찢어지는 폐단을 방지하여 학교주변 도로에서는 어린이 보호에 더욱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에서의 쿠션재(20)는 도 4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0)의 수용홈(12)내면에 체결공(13)을 다수 개로 형성하고 수용홈(12)에 결합되는 쿠션재(20)에는 상기 체결공(13)에 끼워져 결합되는 체결 돌기(21)를 구성시켜 체결할 수 있고,
도 4의 (b)로 도시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체결공(13)이 외측이 좁고 내측이 넓은 체결공(13)으로 구성되고 쿠션재(20)의 체결 돌기(21)는 상기 체결공(13)과 반대로 외측이 넓고 내측이 좁은 형태의 체결 돌기(21)로 구성하여 억지 끼움에 의한 체결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c)로 도시된 실시 예로 수용홈(12)의 양측을 단부가 내향되어 좁게 형성되는 이탈방지 턱(14)으로 구성하여 이 수용홈(12)에 끼워지는 형상으로 구성된 쿠션재(20)를 상하에서 억지 끼움에 의한 결합과,
도 4의 (d)로 도시된 실시 예로 수용홈(12)에 결합되는 쿠션재(20)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쿠션재(20)가 수용홈(12)내면과 접착 고정시켜 구성 및 도 4의 (c)에서의 실시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재(20)를 관통하고 수용홈(12) 내측면에 뚫 린 나사공(15)에 체결되는 볼트(22)로 체결시켜 조립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쿠션재(20)는 고무, 실리콘 또는 연질의 수지재 등의 충격흡수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달리하는 충격흡수재를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도 4로 제시한 체결 실시 예는 보편된 체결수단을 일 실시 예로 제시한 것이며 이와 달리하는 체결수단으로 쿠션재(20)를 고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고 이러한 실시 예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있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포스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포스트를 적용한 사용상태의 휀스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결합된 평단면도.
도 4의 (a), (b), (c), (d), (e)는 본 고안의 쿠션재를 포스트에 체결하는 실시 예시도.
*도면의 중요 부호설명*
10; 포스트 11; 체결관 12; 수용홈
13; 체결공 14; 이탈방지 턱 15; 나사공
20; 쿠션재 21; 체결 돌기 22; 볼트
30; 휀스 40; 앙카볼트 41; 수납 캡
42; 상부 캡

Claims (7)

  1. 휀스(30)를 설치하기 위한 체결관(11)을 구비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는 포스트(10)와 앙카블럭에 체결하기 위한 앙카볼트(40) 및 앙카볼트(40) 체결부를 덮어 수용하는 수납 캡(41)과 상부 캡(42)으로 구성되는 포스트(10)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10)의 각진 모서리부에 내향되고 상하로 기다란 수용홈(12)과,
    상기 수용홈(12)에 수용가능한 크기와 길이의 쿠션재(20)를 구성시켜 쿠션재(20)를 포스트(10)의 각진 모서리부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용 안전포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20)는 포스트(10)의 수용홈(12)의 체결공(13)에 쿠션재(20)에서 돌출된 체결 돌기(21)로 체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용 안전포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13)이 외측이 좁고 내측이 넓은 체결공(13)으로 구성되고 쿠션재(20)의 체결 돌기(21)는 상기 체결공(13)과 대응되게 외측이 넓고 내측이 좁은 형태의 체결 돌기(21)로 구성하여 억지 끼움에 의한 체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 는 휀스용 안전포스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12)의 양측을 단부가 내향되어 좁게 형성되는 이탈방지 턱(14)으로 구성되고 이 수용홈(12)과 대응되는 쿠션재(20)를 상하에서 억지 끼움에 의한 결합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용 안전포스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12)에 결합되는 쿠션재(20)를 접착제로 접착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용 안전포스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20)를 관통하고 수용홈(12)내측면에 뚫린 나사공(15)에 체결되는 볼트(22)로 체결시켜 조립함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용 안전포스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20)는 고무, 실리콘, 연질의 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충격흡수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용 안전포스트.
KR2020070021057U 2007-12-31 2007-12-31 휀스용 안전포스트 KR200900067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1057U KR20090006753U (ko) 2007-12-31 2007-12-31 휀스용 안전포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1057U KR20090006753U (ko) 2007-12-31 2007-12-31 휀스용 안전포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753U true KR20090006753U (ko) 2009-07-03

Family

ID=41331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1057U KR20090006753U (ko) 2007-12-31 2007-12-31 휀스용 안전포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675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23964A (zh) * 2020-10-29 2021-02-05 时千翔 一种环保型装配式房屋及其装配方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23964A (zh) * 2020-10-29 2021-02-05 时千翔 一种环保型装配式房屋及其装配方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310B1 (ko) 탄성형 무단횡단 금지대
KR100837432B1 (ko) 충격흡수 볼라드 및 시공방법
KR101066918B1 (ko) 가드레일용 지주 고정장치
KR20110074837A (ko) 울타리용 연결 브라켓의 각도조절 및 완충장치
KR20090006753U (ko) 휀스용 안전포스트
US20180355632A1 (en) Safety Device for Guard Rail
KR100969810B1 (ko) 트러스 구조의 완충부를 구비한 차량안전 방호책
KR101449876B1 (ko) 볼라드
KR20100025666A (ko) 볼라드
KR100714806B1 (ko) 원형 고무틀을 이용한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
KR20130044715A (ko) 가드레일 포스트 설치구조
KR200465109Y1 (ko) 도로용 안전 펜스
KR200349985Y1 (ko) 충격흡수가 가능한 교량 난간 구조
KR20050082240A (ko) 충격흡수가 가능한 교량 난간 구조
KR100582022B1 (ko)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도로 중앙분리대
KR200456136Y1 (ko) 볼라드 캡
KR102186454B1 (ko) 가드 펜스
KR101206946B1 (ko) 축광물질이 구비된 난간
KR20100003794A (ko) 충격흡수용 볼라드
KR20090002747U (ko) 기둥 구조물
KR101473993B1 (ko) 완충 기능을 갖는 보차도 경계용 난간의 시공방법
KR101766424B1 (ko) 도로표지병
KR100526399B1 (ko)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겸용 난간
KR100533053B1 (ko) 가드레일 겸용 난간
KR200327669Y1 (ko) 가드레일 겸용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